KR101568627B1 -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 Google Patents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27B1
KR101568627B1 KR1020147010560A KR20147010560A KR101568627B1 KR 101568627 B1 KR101568627 B1 KR 101568627B1 KR 1020147010560 A KR1020147010560 A KR 1020147010560A KR 20147010560 A KR20147010560 A KR 20147010560A KR 101568627 B1 KR101568627 B1 KR 10156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teel sheet
magnesia
annealing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680A (ko
Inventor
도모유키 오쿠보
마코토 와타나베
다카시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8Temporary coatings or embedding materials applied before or during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21D8/1283Application of a separating or insulating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 H01F1/18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with insulating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방향성 전기강판을 코일 상태로 하여 마무리 어닐링할 때의 분위기 가스의 유통성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미세요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대해 제공한다. Cl : 0.01 ~ 0.05 mass%, B : 0.05 ~ 0.15 mass%, CaO : 0.1 ~ 2 mass% 및 P2O3 : 0.03 ~ 1.0 mass% 를 함유하고, 시트르산 활성도가 40 % CAA 에서 30 ~ 120초,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8 ~ 50 ㎡/g,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이 0.5 ~ 5.2 mass% 및,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이 0.1 mass% 이하인, 마그네시아를 주체로 하고, 또한 입경 45 ㎛ 이상 150 ㎛ 이하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0.05 mass% 이상 20 mass% 이하로 함유시킨다.

Description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ANNEALING SEPARATOR FOR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에 사용하는 어닐링 분리제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공정은 소정의 성분 조성으로 조정한 강 슬래브에, 열간 압연 그리고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이어서 탈탄 어닐링을 실시한 후, 2 차 재결정을 위해서 최종 마무리 어닐링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공정 가운데, 최종 마무리 어닐링중에 2 차 재결정이 일어나, 압연 방향으로 자화 용이축이 정렬된 조대한 결정립이 생성되는 결과, 우수한 자기 특성이 얻어진다. 이 최종 마무리 어닐링은 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장시간 행해지기 때문에, 강판이 감긴 안쪽과 바깥쪽의 늘어붙음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이 어닐링전에 마그네시아를 주제로 하는 어닐링 분리제를 물과 현탁시킨 슬러리로 하여 도포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 마그네시아는 이러한 어닐링 분리제로서의 역할 외에, 최종 마무리 어닐링에 앞서 행해지는 탈탄 어닐링 (일차 재결정 어닐링) 에 의해 강판 표면에 생성되는 SiO2 를 주체로 하는 산화층과 반응함으로써, 포스테라이트 (Mg2SiO4) 피막을 형성시킨다는 기능이 있다. 코일 어닐링에서 균일한 포스테라이트 피막을 형성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균일한 피막을 얻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100 메시 통과 325 메시 불통과분 (44 ~ 150 ㎛) 을 1 ~ 20 % 함유하는 마그네시아를 어닐링 분리제로서 사용함으로써, 강판 상호의 늘어붙음을 방지하여 코일의 가스 유통성을 개선시키고 균일한 피막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소54-14566호
여기서, 발명자들이 상기 특허문헌 1 에서 제안된 발명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밝혀졌다.
즉, 100 메시 통과 325 메시 불통과분 (44 ~ 150 ㎛) 을 1 ~ 20 % 함유하는 마그네시아는 확실히 균일한 포스테라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높지만, 포스테라이트 피막 표면에 국소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이른바 미세요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미세요철은 제품을 적층할 때에 점적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는 것 외에, 상기 볼록부가 탈락하여 피막 결함을 만드는 원인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을 코일 상태로 하여 마무리 어닐링할 때의 분위기 가스의 유통성을 저해하지 않는, 또한 미세요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에 대해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Cl : 0.01 ~ 0.05 mass%, B : 0.05 ~ 0.15 mass%, CaO : 0.1 ~ 2 mass% 및 P2O3 : 0.03 ~ 1.0 mass% 를 함유하고, 시트르산 활성도가 40 % CAA 에서 30 ~ 120초,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8 ~ 50 ㎡/g,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이 0.5 ~ 5.2 mass% 및,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이 0.1 mass% 이하인 마그네시아를 주체로 하고, 나아가 입경 45 ㎛ 이상 150 ㎛ 이하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0.05 mass% 이상 20 mass%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여기서, 상기 시트르산 활성도란, 시트르산과 MgO 의 반응 활성도를 측정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온도 : 30 ℃, 0.4 N 의 시트르산 수용액 중에 40 % 의 최종 반응 당량의 MgO, 즉 40 % CAA (Citric Acid Activity) 로 투여하여 교반하면서, 최종 반응까지의 시간, 요컨대 시트르산이 소비되고 용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반응 시간을 이용하여 MgO 의 활성도를 평가한다.
상기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BET 법의 1 점 가스 (N2) 흡착량을 기초로, 분체의 표면적을 구한 값이다.
상기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은 MgO 를 1000 ℃ 의 온도까지 가열했을 때의 중량 감소 백분율이며, 주로 MgO 중에 함유되는 미량인 Mg(OH)2 의 함유율을 추정 할 수 있다.
(2) 상기 비수용성 화합물이 산화물이며, 그 산화물이 Al, Si, P, Ti, Cr, Mn, Fe, Co, Ni, Cu, Zn 및 Ga 로부터 선택된 1 종 혹은 2종 이상의 산화물, 혹은 MgO 의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그런데, 마무리 어닐링에 있어서, 포스테라이트 피막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요철은 그 볼록부가 주로 Mg 산화물로서, 이는 마그네시아에 함유되는 조대립이 강판 표면에 접착되어 그대로 피막의 일부로서 고정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추정 아래, 발명자들은 미세요철을 저감하면서, 코일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피막을 얻기 위한 수법에 대해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어닐링 분리제의 주제가 되는 마그네시아의 불순물량, 분체 특성을 적정하게 제어한 다음, 마그네시아에 함유되는 조대립을 저감하고, 또한 가스 유통성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 마그네시아 이외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피막이 얻어지는 것을 신규로 알아냈다.
이하, 이 지견을 얻기에 이른 실험의 일례에 대해 말한다.
즉, 다양한 분체 특성 그리고 입도 분포를 가지는 마그네시아를 준비하여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에 적용했다.
구체적으로는 C : 0.04 ~ 0.05 mass%, Si : 3.3 ~ 3.4 mass%, Mn : 0.06 ~ 0.075 mass%, Al : 0.02 ~ 0.03 mass%, Se : 0.018 ~ 0.020 mass%, Sb : 0.04 ~ 0.05 mass% 및 N : 0.007 ~ 0.010 mass%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규소강 슬래브를, 1350 ℃ 에서 18000 s 가열 후, 열간 압연하여 2.2 mm 의 판두께로 한 후, 1100 ℃ 에서 6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나서, 젠지미어 압연기에 의해 0.23 mm 두께까지 200 ℃ 에서 온간 압연하여 최종 판두께로 마무리했다.
이것을 탈탄 어닐링 후, 다양한 입도 분포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마그네시아 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티타니아 (TiO2) 를 5 중량부 첨가한 어닐링 분리제를, 수화 온도 20 ℃ 및 수화 시간 2400 s 로 수화하고, 도포량이 양면에서 15 g/㎡ 로 하여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그 후, 강판을 코일로 권취하고 나서, 최종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하고, 절연 장력 코팅을 도포한 후, 플래트닝을 겸해 860 ℃, 60 s 의 열처리에 의해 베이킹을 실시했다. 또한,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한 티타니아의 45 ㎛ 이상의 입자 함유량은 티타니아 전체의 0.01 mass% 미만이었다.
이 실험 결과를 해석한 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네시아에 있어서의 입경이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율을 0.1 mass%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미세요철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입경이 45 ㎛ 이상인 마그네시아 입자를 0.1 mass% 이하로 하면, 피막의 밀착성 불량이 증가된다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 밀착성 불량은 마무리 어닐링시의 코일 저변부를 중심으로 발생하였고 조대한 마그네시아가 함유되지 않는 점에서, 마무리 어닐링시의 코일내로의 가스 유통성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왜냐하면, 코일 저변부는 노상 (爐床) 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분위기 가스의 코일내로의 유입은 코일 상부로부터의 확산이 주체가 되는 결과, 코일의 강판층간 거리의 축소가 미소해도, 그 층간의 가스 흐름은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피막 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발명자들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더욱 검토했다. 즉, 조대 마그네시아의 스페이서 효과에 주목하여, 이 스페이서 효과를 마그네시아 이외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발현시키겠다는 착상을 얻었다. 상기 실험에 제공한 어닐링 분리제 (마그네시아에 있어서의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율 : 0.1 mass%) 에 대해, 비수용성 화합물로서 여러 가지 입도 분포를 가지는 실리카를 첨가한 결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경 45 ㎛ 이상 150 ㎛ 이하의 실리카를 어닐링 분리제에 있어서 0.05 mass% 이상 첨가함으로써, 미세요철의 저감과 기타 피막 불량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입경 45 ㎛ 이상 150 ㎛ 이하의 실리카의 첨가 효과는 Al, Si, P, Ti, Cr, Mn, Fe, Co, Ni, Cu, Zn 및 Ga 등의 산화물에 있어서도 동일하였다.
본 발명의 어닐링 분리제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하고 또한 평활한 포스테라이트 피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점적률이 높고 또한 피막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도 1 은 입경이 45 ㎛ 이상인 마그네시아의 함유량과 미세요철 및 피막 밀착성 불량 발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입경이 45 ~ 150 ㎛ 인 실리카의 함유량과 미세요철 및 피막 밀착성 불량 발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마그네시아의 첨가 성분 함유량 그리고 분체 특성을 이하와 같이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의 범위를 만족하는 마그네시아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적절한 활성도를 가지는 마그네시아를 사용하는 것과 마무리 어닐링에 있어서의 가스 유통성을 확보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하다.
먼저, 마그네시아에 첨가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각 성분의 함유율부터 차례로 설명한다.
Cl : 0.01 ~ 0.05 mass%
Cl 은 피막 형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즉, 0.01 mass% 미만으로는 충분한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한편 0.05 mass% 보다 많으면 과잉되게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어 점상 결함의 원인이 되어, 모두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0.01 ~ 0.05 mass%,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 0.04 mass% 의 범위로 한다.
B : 0.05 ~ 0.15 mass%
B 는 피막 형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즉, 0.05 mass% 미만으로는 충분한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한편 0.15 mass% 보다 많으면 과잉되게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어 점상 결함의 원인이 되어, 모두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0.05 ~ 0.15 mass%,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 0.13 mass% 의 범위로 한다.
CaO : 0.1 ~ 2 mass%
CaO 는 피막 형성을 억제하여 피막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원소이다. 즉, 0.1 mass% 미만으로는 지철과 피막의 계면의 요철이 없어져 피막이 박리되기 쉬워지고, 한편 2 mass% 보다 많으면 충분한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모두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0.1 ~ 2 mass%,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0 mass% 의 범위로 한다.
P2O3 : 0.03 ~ 1.0 mass%
P2O3 는 피막 형성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즉, 0.03 mass% 미만으로는 충분한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한편 1.0 mass% 보다 많으면 과잉되게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어 점상 결함의 원인이 되어, 모두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0.03 ~ 1.0 mass%,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0.7 mass% 의 범위로 한다.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고, 잔부는 불가피 불순물과 MgO 이다. 불가피 불순물로서는 S, Si, Fe, Al 등이다. 또한, 어닐링 분리제의 반응성을 미조정하기 위해서, 공지된 첨가 성분을 불순물 레벨로 미량 첨가해도 된다.
또, 마그네시아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시트르산 활성도 (40 % CAA) : 30 ~ 120 s
상기 서술한 시트르산 활성도가 30 s 미만에서는 수화량이 너무 커지고, 한편 120 s 를 초과하면 반응성이 너무 낮아, 어느 경우에도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50 ~ 100 s 이다.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 : 8 ~ 50 ㎡ /g
상기 서술한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50 ㎡ /g 를 초과하면, 마그네시아의 수화량이 너무 커지고, 한편 8 ㎡ /g 미만에서는 반응성이 너무 낮아, 어느 경우에도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 ~ 35 ㎡/g이다.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 : 0.5 ~ 5.2 mass%
상기 서술한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이 0.5 mass% 미만에서는 반응성이 너무 낮아지고, 한편 5.2 mass% 를 초과하면 마무리 어닐링중에 마그네시아중의 수화수가 강판을 산화시키기 때문에, 모두 양호한 피막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8 ~ 2.0 mass% 이다.
입경이 45 ㎛ 이상인 마그네시아 함유량 : 0.1 mass% 이하
입경이 45 ㎛ 이상인 마그네시아 함유량이 0.1 mass% 를 초과하는 경우, 포스테라이트 피막에 미세요철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06 mass% 이하이다. 이 범위내에 마그네시아 함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체를 이용하여 마그네시아 조대립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또, 마그네시아를 제조할 때, 로터리킬른을 사용하면 입경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경이 45 ㎛ 이상인 마그네시아 함유량은 0 mass% 까지 저감해도 된다.
본 발명의 어닐링 분리제에는 이상의 마그네시아에 추가하여 비수용성 화합물을 이하와 같이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경이 45 ㎛ 이상 150 ㎛ 이하인 비수용성 화합물의 함유량 : 0.05 mass% 이상 20 mass% 이하
어닐링 분리제는 슬러리로서 강판에 도포되기 때문에, 그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하는 화합물은 비수용성인 것이 필수이다. 여기서, 비수용성이란, 20 ℃ 의 물에 용해되는 양이 투입량의 1.0 mass% 이하인 화합물을 가리킨다.
이 비수용성 화합물로서는 먼저, 입경이 45 ㎛ 이상 150 ㎛ 이하일 필요가 있다. 즉, 입경이 45 ㎛ 미만인 입자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이 약하고, 한편 150 ㎛ 보다 큰 입자는 강판에 가압흠집을 만드는 원인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비수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0.05 mass% 미만의 경우, 마무리 어닐링시의 가스 유통성이 나빠져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함유량이 20 mass% 보다 많아지면, 어닐링 분리제의 강판 부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공업적인 생산이 곤란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 mass% 이상 2.0 mass% 이하이다. 또, 강판의 가압흠집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입경이 45 ㎛ 이상 75 ㎛ 이하인 비수용성 화합물의 함유량을 0.1 mass% 이상 2.0 mass%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어닐링 분리제를 100 mass% 로 했을 때의 질량 퍼센트로 규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대상이 되는 비수용성 화합물의 조대립은 일반적인 레이저 산란 방식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정확한 측정을 실시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체 잔류물에 의해 함유량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입경이 45 ㎛ 이상이란 표준체로 330 메시를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고, 75 ㎛ 이하 그리고 150 ㎛ 이하란, 각각 표준체로 200 메시 그리고 100 메시를 통과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비수용성 화합물은 코일층간에서 스페이서로서 기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경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마그네시아는 강판 표층의 실리카와 반응하여 강판에 접착되기 쉽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즉, 사용하는 산화물로서는 Al, Si, P, Ti, Cr, Mn, Fe, Co, Ni, Cu, Zn 및 Ga 로부터 선택한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iO2, Al2O3 및 TiO2 등이 저렴하고 입수하기 쉽고, 비용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또, 상기 산화물과 MgO 의 복합 산화물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gAl2O4, Mg2SiO4, MgP2O6, Mg2TiO4 등이다. 이들 화합물은 실리카와의 반응성이 낮아 피막 불량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리고,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시에는 어닐링 분리제에 TiO2 등을 보조제로서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보조제는 MgO 나 강판 표면의 산화물과 반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MgO 의 입경과 동등 이하로, 가능한 한 세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 ㎛ 이상의 조대립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입경이 45 ㎛ 이상인 조대한 비수용성 화합물을 준비하여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1
C : 0.05 ~ 0.07 mass%, Si : 3.2 ~ 3.5 mass%, Mn : 0.06 ~ 0.075 mass%, Al : 0.02 ~ 0.03 mass%, Se : 0.018 ~ 0.021 mass%, Sb : 0.02 ~ 0.03 mass% 및 N : 0.007 ~ 0.009 mass%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1350 ℃ 에서 1800 s 가열 후, 열간 압연하여 2.2 mm 의 판두께로 한 후, 1000 ℃ 에서 60 s 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나서, 1050 ℃ 에서 60 s 의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하고, 탠덤 압연기에 의해 210 ℃ 에서 온간 압연하여 0.23 mm 두께로 마무리했다. 그리고, 강판을 탈탄 어닐링 후, 표 1 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마그네시아 100 중량부에 대해, 산화 티탄 : 8.5 중량부, 황산 스트론튬 : 1.5 중량부 및 실리카 : 0.5 중량부를 각각 첨가한 어닐링 분리제를, 도포량 (양면) : 13 g/㎡, 수화 온도 : 20 ℃ 및 수화 시간 : 2400 s 로 수화하여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여기서,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한 실리카는 표준체를 이용하여 45 ㎛ 이상 150 ㎛ 이하의 입자를 선별하여 사용했다. 또한, 어닐링 분리제에 있어서의 실리카의 함유율은 0.45 mass% 였다. 또,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한 산화티탄, 황산스트론튬에 대해서는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은 0.01 mass% 이하이며, 실질 입경이 45 ㎛ 미만인 입자를 사용했다.
이어서, 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고, 최종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그 후, 절연 코팅을 도포하고, 히트 플래트닝을 겸해 860 ℃, 60 s 에서 베이킹하고 나서, 전자빔 조사에 의해 자구 세분화 처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강판의 피막 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1 에 함께 나타낸다. 동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닐링 분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막 특성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37689811-pct00001
실시예 2
C : 0.05 ~ 0.09 mass%, Si : 3.2 ~ 3.5 mass%, Mn : 0.06 ~ 0.075 mass%, Al : 0.02 ~ 0.03 mass%, Se : 0.018 ~ 0.021 mass%, Sb : 0.02 ~ 0.03 mass%, N : 0.007 ~ 0.009 mass%, Ni : 0.1 ~ 0.5 mass% 및 Sn : 0.02 ~ 0.12 mass%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1380 ℃ 에서 2100 s 가열 후, 열간 압연하여 2.1 mm 의 판두께로 한 후, 1050 ℃, 60 s 에서의 열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나서, 1070 ℃, 60 s 의 중간 어닐링을 사이에 하고, 탠덤 압연기에 의해 190 ℃ 에서 온간 압연하여 0.23 mm 두께로 마무리했다. 그리고, 강판을 탈탄 어닐링 후, 표 1 의 No.1 에 나타내는 마그네시아 100 중량부에 대해, 산화 티탄 : 6.1 중량부, 수산화 스트론튬 : 2.2 중량부,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대한 여러 가지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각각 첨가한 어닐링 분리제를, 도포량 (양면) : 15 g/㎡, 수화 온도 : 20 ℃ 및 수화 시간 : 2200 s 로 수화 하여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여기서, 표 2 에 나타낸 화합물과는 별도로 어닐링 분리제에 첨가한 산화 티탄 및 황산 스트론튬에 대해서는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은 0.01 mass% 이하였다. 이어서, 강판을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고, 최종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그 후, 절연 코팅을 도포하고, 히트 플래트닝을 겸해 860 ℃, 60 s 로 베이킹하고 나서, 레이저 조사에 의해 자구 세분화 처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강판의 피막 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2 에 함께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어닐링 분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막 특성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37689811-pct00002

Claims (2)

  1. Cl : 0.01 ~ 0.05 mass%, B : 0.05 ~ 0.15 mass%, CaO : 0.1 ~ 2 mass% 및 P2O3 : 0.03 ~ 1.0 mass% 를 함유하고, 시트르산 활성도가 40 % CAA 에서 30 ~ 120초, BET 법에 의한 비표면적이 8 ~ 50 ㎡/g, 강열 감량에 의한 수화량이 0.5 ~ 5.2 mass% 및, 입경 45 ㎛ 이상인 입자의 함유량이 0.1 mass% 이하인 마그네시아를 주체로 하고, 나아가 입경 45 ㎛ 이상 150 ㎛ 이하의 비수용성 화합물을 0.05 mass% 이상 20 mass% 이하로 함유하고,
    상기 비수용성 화합물이, 마그네시아 이외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화합물은 Al, Si, P, Ti, Cr, Mn, Fe, Co, Ni, Cu, Zn 및 Ga 로부터 선택된 1 종 혹은 2종 이상의 산화물, 혹은 MgO 의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KR1020147010560A 2011-10-04 2012-10-04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KR101568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0486 2011-10-04
JP2011220486 2011-10-04
PCT/JP2012/006375 WO2013051270A1 (ja) 2011-10-04 2012-10-04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680A KR20140091680A (ko) 2014-07-22
KR101568627B1 true KR101568627B1 (ko) 2015-11-11

Family

ID=4804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60A KR101568627B1 (ko) 2011-10-04 2012-10-04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94016B2 (ko)
EP (1) EP2765219B1 (ko)
JP (1) JP5786950B2 (ko)
KR (1) KR101568627B1 (ko)
CN (1) CN103857827B (ko)
IN (1) IN2014MN00456A (ko)
RU (1) RU2569267C1 (ko)
WO (1) WO2013051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341B1 (ko) * 2015-12-18 2017-07-27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소둔분리제, 방향성 전기강판, 및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
JP6613919B2 (ja) * 2016-01-21 2019-12-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粉末、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6468208B2 (ja) * 2016-01-21 2019-02-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粉末、その製造方法、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
JP6472767B2 (ja) * 2016-03-30 2019-02-20 タテホ化学工業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及び方向性電磁鋼板
CN117070729A (zh) * 2016-03-30 2023-11-17 达泰豪化学工业株式会社 退火分离剂用氧化镁及取向性电工钢
JP6494554B2 (ja) * 2016-03-30 2019-04-03 タテホ化学工業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及び方向性電磁鋼板
JP6494555B2 (ja) * 2016-03-30 2019-04-03 タテホ化学工業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及び方向性電磁鋼板
JP6579078B2 (ja) * 2016-10-18 2019-09-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850133B1 (ko) 2016-10-26 2018-04-1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소둔 분리제 조성물, 방향성 전기강판 및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44899B1 (ko) * 2016-12-22 2019-02-01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
KR101906962B1 (ko) * 2016-12-22 2018-10-11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소둔 분리제 조성물, 방향성 전기강판 및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RU2661967C1 (ru) * 2017-04-10 2018-07-23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лип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анизотропной стали с высоки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адгезии и коэффициента сопротивления электр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CN111868279B (zh) * 2018-03-20 2022-06-28 日本制铁株式会社 单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174155B1 (ko) * 2018-09-27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소둔 분리제 조성물, 방향성 전기강판 및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6939767B2 (ja) * 2018-12-27 2021-09-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6939766B2 (ja) * 2018-12-27 2021-09-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N113195751B (zh) * 2019-01-08 2023-01-10 日本制铁株式会社 方向性电磁钢板、成品退火用钢板、退火分离剂、方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及成品退火用钢板的制造方法
JP7328777B2 (ja) * 2019-03-28 2023-08-17 タテホ化学工業株式会社 チタン酸マグネシウムを含有する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その製造方法、焼鈍分離剤及び方向性電磁鋼板
US20230326638A1 (en) * 2020-09-01 2023-10-12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KR20230145412A (ko) 2021-03-15 2023-10-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어닐링 분리제용 분말 및 그것을 사용한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CN113388725B (zh) * 2021-06-18 2022-12-02 协和化学工业株式会社 退火隔离剂的制备方法以及退火隔离剂和方向性电磁钢板
JP7470246B1 (ja) 2023-11-29 2024-04-17 セトラ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焼鈍分離剤用の酸化マグネシウ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258A (ja) 2000-04-25 2001-10-31 Kawasaki Steel Corp 方向性電磁鋼の焼鈍分離剤用マグネシ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被膜特性に優れる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4238668A (ja) 2003-02-05 2004-08-26 Tateho Chem Ind Co Ltd 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及び方向性電磁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566B2 (ko) * 1973-04-11 1979-06-08
JPS5414566A (en) 1977-07-27 1979-02-02 Tokyo Electric Co Ltd Ice crusher
JPS6014105B2 (ja) * 1982-10-07 1985-04-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の焼鈍分離剤塗布方法
US4582547A (en) * 1984-05-07 1986-04-15 Allegheny Ludlum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nnealing separator coating on silicon steel and coating therefor
JPS6179781A (ja) * 1984-09-27 1986-04-23 Nippon Steel Corp 方向性電磁鋼板のグラス皮膜形成方法
JPH0474871A (ja) * 1990-07-13 1992-03-10 Kawasaki Steel Corp 方向性けい素鋼板用焼鈍分離剤
DE69218511T2 (de) * 1991-07-10 1997-11-06 Nippon Steel Corp Kornorientiertes Siliziumstahlblech mit ausgezeichneten primären Glasfilmeigenschaften
DE4409691A1 (de) * 1994-03-22 1995-09-28 Ebg Elektromagnet Werkstoff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blechen mit einem Glasüberzug
US5840131A (en) * 1994-11-16 1998-11-24 Nippon Stee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glass film and magnetic properties
US5547519A (en) * 1995-02-28 1996-08-20 Armco Inc. Magnesia coat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for punching quality
US6280534B1 (en) * 1998-05-15 2001-08-28 Kawasaki Steel Corporation Grain 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thereof
JP3536776B2 (ja) * 2000-04-25 2004-06-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の焼鈍分離剤用マグネシアと磁気特性および被膜特性に優れる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3892300B2 (ja) * 2000-05-01 2007-03-14 タテホ化学工業株式会社 酸化マグネシウム粒子集合体
WO2002034965A1 (fr) * 2000-10-25 2002-05-02 Tateho Chemical Industries Co., Ltd. Agregat de particules a base d'oxyde de magnesium
KR100979785B1 (ko) * 2005-05-23 2010-09-03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피막 밀착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47999A1 (en) * 2006-10-18 2008-04-24 Posco Annealing separating agent for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uniform glass film and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g the same
JP4893259B2 (ja) * 2006-11-21 2012-03-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の塗布方法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258A (ja) 2000-04-25 2001-10-31 Kawasaki Steel Corp 方向性電磁鋼の焼鈍分離剤用マグネシ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被膜特性に優れる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04238668A (ja) 2003-02-05 2004-08-26 Tateho Chem Ind Co Ltd 焼鈍分離剤用酸化マグネシウム及び方向性電磁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219B1 (en) 2017-04-26
IN2014MN00456A (ko) 2015-06-19
RU2569267C1 (ru) 2015-11-20
JPWO2013051270A1 (ja) 2015-03-30
EP2765219A4 (en) 2015-07-29
WO2013051270A8 (ja) 2014-03-06
US20140246124A1 (en) 2014-09-04
US9194016B2 (en) 2015-11-24
JP5786950B2 (ja) 2015-09-30
WO2013051270A1 (ja) 2013-04-11
KR20140091680A (ko) 2014-07-22
CN103857827B (zh) 2016-01-20
EP2765219A1 (en) 2014-08-13
RU2014117732A (ru) 2015-11-10
CN103857827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627B1 (ko) 방향성 전기강판용 어닐링 분리제
EP2182091B1 (en) Insulating film treating liquid for grain 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plate with insulating film
KR101480498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245277B2 (ja) 焼鈍分離剤用のマグネシア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7299511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WO2020067136A1 (ja) 方向性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WO2020149351A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3476976A1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chrome-free insulation/tension coa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579078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5418844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5287641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5633178B2 (ja)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
KR101089303B1 (ko) 방향성 전기강판의 그라스피막 형성방법
JP6624028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20105595A (ja)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39130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5494268B2 (ja) 焼鈍分離剤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1698706A1 (en)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JP6939767B2 (ja) 方向性電磁鋼板用焼鈍分離剤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WO2020149346A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680529B2 (ja) 一方向性珪素鋼板用焼鈍分離剤
US20230326638A1 (en) Method of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2005240078A (ja) 低磁場磁気特性の経時安定性に優れた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