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918B1 -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 - Google Patents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918B1
KR101557918B1 KR1020107024166A KR20107024166A KR101557918B1 KR 101557918 B1 KR101557918 B1 KR 101557918B1 KR 1020107024166 A KR1020107024166 A KR 1020107024166A KR 20107024166 A KR20107024166 A KR 20107024166A KR 101557918 B1 KR101557918 B1 KR 10155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open end
bumper
transverse memb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9100A (ko
Inventor
쥘리에뜨 마쑬리
크리스토프 오두
필리페 보게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3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형성 부재(4)를 수용하기 위한 자동차 동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동체는: 전방 횡단 바아; 상기 범퍼 형성 부재(4)를 위한 한쌍의 베어링(3); 및,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5)을 구비하고, 상기 도관(5)은 개방 단부(51)를 구비하여 개방 단부를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도관(51)으로 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3)들중 하나는 상기 개방 단부(51)의 보호 부분(35)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분(35)은 상기 개방 단부(51)에 근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개방 단부(51)를 덮으며, 상기 도관(5)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반면에, 상기 보호 부분(35)과 상기 도관(5) 사이에 간극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개방 단부(51)를 통하여 상기 도관(5) 안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Automobile body including a bearing for a bumper-forming member and an air intake duct to the engine}
본 발명은 자동차 동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에는 공기 흡입 도관을 통해서 연소 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도관은 엔진에 연결되고 개방 단부를 가져서, 그 개방 단부를 통하여 공기가 외부로부터 진입한다. 공기 흡입 도관의 개방 단부는 전체적으로 차량의 전방에서, 동체의 전방 횡단 부재 위에, 횡단 부재를 보호하는 범퍼 형성 요소 뒤에 위치한다.
직면되는 문제점들중 하나는 유입되는 공기에 있는 물의 존재이다. 따라서, 어떤 공기 흡입 도관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6,540,802 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공기 및 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들을 가진다.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은 여울을 통해서 또는 너무 큰 웅덩이를 통해서 운전할 때의 폭우 상황에서 공기 흡입 도관 안으로 다량의 물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하에서, 분리 장치는 완전히 효과적이지 않고, 엔진에 물이 차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엔진 공기 흡입 도관을 가지고 그 도관을 물의 직접적인 유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량 동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 단부를 보호할 수 있는 범퍼 형성 요소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동체를 제공하는데,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 단부를 형성하는, 전방 횡단 부재;
상기 범퍼 형성 요소를 위한 한쌍의 장착부들로서, 상기 장착부들은 상기 전방 횡단 부재상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되고, 장착부 각각은, 상기 전방 횡단 부재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범퍼 형성 요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착 부분을 구비하는, 한쌍의 장착부; 및,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엔진 공기 흡입 도관으로서, 공기가 외부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하여 도관으로 진입하게 되는, 엔진 공기 흡입 도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범퍼 형성 요소를 위한 상기 장착부들중 하나는 상기 개방 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부분은 상기 개방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보호 부분은 상기 개방 단부를 덮고 상기 도관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하여 상기 도관 안으로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보호 부분과 상기 도관 사이에 공간이 남겨진다.
본 발명의 의미내에서, "근접한"이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것은, 보호 부분이 도관의 개방 단부로부터 멀어야 150 mm 정도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다.
도관의 개방 단부를 위치시키고 따라서 보호 부분을 위치시키는 것은 본 발명에 제한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방 단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개방 단부는 범퍼 형성 요소를 위한 장착부에 근접하기 때문에 (또는 심지어 그것의 일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그것은 물이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것 같은 범퍼 형성 요소에 형성된 개구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있다. 따라서 범퍼 형성 요소는 물(water)에 대한 제 1 장애물이 되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개방 단부가 범퍼 형성 요소에 있는 개구에 직접적으로 위치되는 경우와는 다른 것이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전방 횡단 부재는 자동차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을 가지고, 상기 개방 단부는 자동차의 내부를 향함으로써 상기 상부면과 같은 방향을 향한다. 횡단 부재 및 동체에 대하여,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도관 부분의 실질적으로 수직의 위치는 그 개방 단부를 통해서 도관 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회피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보호 부분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관은 엔진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보호 부분은 상기 개방 단부 위에 위치된 단부 벽 및 상기 단부 벽에 연결된 가장자리 형성 벽을 가지고, 상기 가장자리 형성 벽은 상기 도관을 따라서, 상기 개방 단부를 지나, 엔진에 연결된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단부 벽과 가장자리 형성 벽 또는 벽들 사이의 구분은 경계가 있는 것(marked one)이 아닐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단부 벽까지의 최소 거리(H)는 상기 도관 직경의 0.8 배보다 크다.
이전의 구현예와 조합될 수 있는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관으로부터 상기 가장자리 형성 벽까지의 거리(E)는 상기 도관 직경의 절반보다 크다.
출원인은 상기의 값들이 조합되거나 또는 조합되지 않을지라도, 공기 흡입 도관 안으로 물이 직접적으로 다량 유입되는 것을 회피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 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대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동체의 전방 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보호 부분의 축(III-III)을 통과하고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에 직각인 평면도상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동체의 부분적인 정면도를 도시하며, 범퍼 형성 요소가 장착부상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동체의 전방 부분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체는 전방 횡단 부재(1)를 구비하며, 전방 횡단 부재는 동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체의 전방 단부를 형성한다. 전방 횡단 부재(1)는 하부면(11) 및 상부면(12)을 가지는데, 하부면(11)은 동체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지면을 향하도록 의도되고, 상부면(12)은 하부면(11)에 대하여 반대인 것으로서, 자동차의 내부의 지붕을 향하도록 의도된다.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2)의 단부는 전방 횡단 부재(1)에 부착된다. 이러한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2)은 동체의 길이를 형성한다.
동체(1)는 범퍼 형성 요소의 장착부(3)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부(3)는 횡단 부재(1)의 상부면(12)상에 장착되고, 전방 횡단 부재(1)에 평행하게 연장된 길이 방향 부분(31) 및, 길이 방향 부분(31)의 각 단부에 하나씩 배치된 2 개의 측방향 부분(32,33)들을 가진다. 제 1 측방향 부분(32)은 전방 횡단 부재(1)에 부착되고, 전방 횡단 부재 및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2)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측방향 부분(32)은 횡단 부재(1)의 상부면(12) 위로 돌출된다. 제 2 측방향 부분(33)은 전방 횡단 부재(1)의 단부를 지나서 위치된다. 이러한 제 2 측방향 부분(33)은 횡단 부재(1)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키며 범퍼 형성 요소(4)의 측부의 벽(41)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참조). 제 2 측방향 부분(33)은 장착 부분을 구비하는데, 장착 부분은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횡단 부재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2 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는 엔진 공기 흡입 도관(5)을 포함한다. 상기 도관(5)은 개방 단부(51)를 가지며, 개방 단부는 제 2 측방향 단부(33)에서 장착부(3) 내에 형성된 보호 부분(35) 안에 삽입된다. 상기 보호 부분(35)은 개방 단부(51)에 걸쳐 캡(cap)을 형성하며, 이는 도 3 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장착부(3)는 그것의 전방에, 횡단 부재(1)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즉,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 부분(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 부분(34)은 클립 형성 수단(clip forming means)을 구비하는데, 클립 형성 수단은 범퍼 형성 요소(4)의 벽을 파지하여 횡단 부재(1)의 전방에 매달아서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둔다. 범퍼 형성 요소(4)는 전방 횡단 부재(1)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덮고, 횡단 부재(1)의 2 개 단부들 각각의 앞에 위치된 측부 벽(41)들을 가진다. 이러한 측부 벽(41)들은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들에 평행하게, 전방 바퀴(6)에 근접하여 연장된다. 측부 벽(41)들은 헤드라이트(7) 아래에 위치된다. 범퍼 형성 요소(4)는 횡단 부재(1)에 평행한 전방 벽 안에 형성된 개구(42)를 가진다 (도 4 참조). 이러한 개구(4)들은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동체와 범퍼 형성 요소(4)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공기 도관(5)의 개방 단부(51)는 장착부(3)의 보호 부분(35)내에 위치된다. 보호 부분(35)은 자동차의 전방 바퀴(6)에 근접하게, 횡단 부재(1)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그것의 연속으로서 위치된다. 보호 부분(35)은, 도관의 개방 단부(51)를 적절하게 덮기 위하여 도관(5)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된 가장자리(39)들 및 단부 벽(37)을 포함한다. 단부 벽(37)은 개방 단부(51) 위에 위치되고 개방 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가장자리(39)도 도관(5)으로부터 떨어져서 공기가 도관(5)의 개방 단부(51)를 통해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물이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개방 단부(51)는 자동차의 내부를 향하여 면한다 (도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분(35)은 단부 벽(37) 및 2 개의 가장자리(39)를 구비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보호 부분(35)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이다. 도관(5)은 최대 직경(D)을 가진다. 개방 단부(51)가 포함된 평면(P)으로부터 단부 벽(37)이 이격된 최소 거리는 H 로서 정의된다. 개방 단부(51)의 가장자리로부터 가장자리(39)들 각각이 떨어진 최소 거리는 E 로서 정의된다. 가장자리(39)들은 도관(5)의 일부에 걸쳐서, 개방 단부(51)를 지나 연장됨으로써, 개방 단부에 적절한 보호를 제공한다. 거리(H)는 도관의 직경(D)의 적어도 0.8 배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H 가 실질적으로 D 와 같다. 거리(E)는 도관(5)의 직경(D)의 0.5 배 보다 크다. 이러한 예에서, 가장자리(39)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가장자리 벽의 부분을 형성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형성 요소(4)는 2 개의 배플(baffle) 형성 개구(42)(상부 단부 및 저부 단부)들을 가지며, 이러한 배플 형성 개구들은 공기가 외부로부터 범퍼 형성 요소와 차체 사이에서 범퍼 형성 요소(4)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외부로부터의 공기는 범퍼 형성 요소(4)에 있는 개구(42)를 통해 들어간다. 따라서 공기는 전방 횡단 부재(1)의 앞에 있는, 범퍼 형성 요소에 의해 한정된 중공형의 영역에 도달한다. 공기는 그러한 중공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순환된다. 보호 영역(35)의 단부 벽(37) 및 가장자리(39)들은 도관(5)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기 때문에, 공기는 도관(5) 안으로 진입될 수 있고 따라서 자동차 엔진에 공급될 수 있다. 만약 물이 범퍼 형성 요소(4)에 진입하려고 한다면, 그 물은 보호 부분(35)에 의해 부여되는 보호 때문에 도관(5) 안으로 진입할 수 없다. 상세하게는, 가장자리(39)가 도관(5)의 개방 단부(51)를 둘러싸고, 엔진에 연결된 단부인 도관(5)의 제 2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파동의 형태로 장착부(3)에 근접하게 도달되는 물은 도관과 가장자리(39) 사이에서 도관(5) 안으로 진입할 수 없다.
1. 전방 횡단 부재 2. 섀시 프레임 측부 레일
3. 장착부 4. 범퍼 형성 요소
31. 길이 방향 부분 33. 측부 부분

Claims (5)

  1. 전방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 단부를 보호할 수 있는 범퍼 형성 요소(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의 동체로서, 상기 자동차의 동체는:
    상기 동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방 단부를 형성하는, 전방 횡단 부재(1);
    상기 범퍼 형성 요소(4)를 위한 한쌍의 장착부(3)들로서, 상기 장착부(3)들은 상기 전방 횡단 부재(1)상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되고, 장착부 각각은, 상기 전방 횡단 부재(1)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범퍼 형성 요소(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착 부분(34)을 구비하는, 한쌍의 장착부(3); 및,
    개방 단부(51)를 구비하는 엔진 공기 흡입 도관(5)으로서, 공기가 외부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하여 상기 도관(5)으로 진입하게 되는, 엔진 공기 흡입 도관(5);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 형성 요소(4)를 위한 상기 장착부(3)들중 하나는 상기 개방 단부(51)를 보호하는 보호 부분(35)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분(35)은 상기 개방 단부(51)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보호 부분(35)은 상기 개방 단부(51)를 덮고 상기 도관(5)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공기가 상기 개방 단부(51)를 통해서 상기 도관(5)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보호 부분(35)과 상기 도관(5)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횡단 부재(1)는 자동차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12)을 가지고, 상기 개방 단부(51)는 상기 자동차의 내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5)은 엔진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보호 부분(35)은 상기 개방 단부(51) 위에 위치된 단부 벽(37) 및 상기 단부 벽(37)에 연결된 가장자리 형성 벽(39)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 형성 벽(39)은 엔진에 연결된 상기 단부의 방향으로 상기 개방 단부(51)를 지나서 상기 도관(5)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단부(51)로부터 상기 단부 벽(37)까지의 최소 거리(H)는 상기 도관(5)의 직경(D)의 0.8 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5)으로부터 상기 가장자리-형성 벽(39) 까지의 거리(E)는 상기 도관(5)의 직경(D)의 절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체.
KR1020107024166A 2008-04-28 2009-04-09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 KR101557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2378A FR2930508B1 (fr) 2008-04-28 2008-04-28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support d'un element formant pare-choc et un conduit d'admission d'air au moteur
FR0802378 200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9100A KR20100139100A (ko) 2010-12-31
KR101557918B1 true KR101557918B1 (ko) 2015-10-06

Family

ID=3987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166A KR101557918B1 (ko) 2008-04-28 2009-04-09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24937B2 (ko)
EP (1) EP2268497B1 (ko)
JP (1) JP5279895B2 (ko)
KR (1) KR101557918B1 (ko)
CN (1) CN102015348B (ko)
AT (1) ATE527130T1 (ko)
BR (1) BRPI0910555A2 (ko)
FR (1) FR2930508B1 (ko)
RU (1) RU2483943C2 (ko)
WO (1) WO2009136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0687A1 (de) * 2011-05-06 2012-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Instrumententafel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802B2 (en) 2000-06-21 2003-04-01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Air intake system including a water separator with an inner pipe projecting into an outer pipe
FR2906191A1 (fr) 2006-09-26 2008-03-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renant un systeme d'admission d'air.
EP1847446B1 (en) 2006-04-20 2008-10-15 Honda Motor Co., Lt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3921U (ja) * 1982-12-16 1984-06-2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空気取入れ部構造
GB2174652A (en) * 1985-05-09 1986-11-12 Ford Motor Co Engine cooling system
JPS6316927U (ko) * 1986-07-21 1988-02-04
JPH0534978Y2 (ko) * 1986-08-08 1993-09-06
DE4132570A1 (de) * 1991-09-30 1993-04-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vorderbau
JPH0573259U (ja) * 1992-02-29 1993-10-08 スズキ株式会社 レゾネータ装置
RU2044915C1 (ru) * 1992-05-26 1995-09-27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центр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АвтоВАЗ"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577018B2 (ja) * 2001-08-31 2004-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周りの吸気構造
DE10248440B4 (de) * 2002-10-17 2008-09-18 Daimler Ag Luftführung im Vorbau eines Kraftfahrzeugs
DE10257299B4 (de) * 2002-12-07 2005-02-03 Dr.Ing.H.C. F. Porsche Ag Einrichtung zur Rohluftansaug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7359795B2 (en) * 2006-08-28 2008-04-15 Ard Technology, Llc Calibration method for air intake tract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4661941B2 (ja) * 2008-11-06 2011-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44233B2 (ja) * 2009-05-07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グリル装置
WO2011151917A1 (ja) * 2010-06-03 201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風導入構造
DE102010056390A1 (de) * 2010-12-28 2012-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rontbereich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802B2 (en) 2000-06-21 2003-04-01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Air intake system including a water separator with an inner pipe projecting into an outer pipe
EP1847446B1 (en) 2006-04-20 2008-10-15 Honda Motor Co., Lt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R2906191A1 (fr) 2006-09-26 2008-03-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renant un systeme d'admission d'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7130T1 (de) 2011-10-15
WO2009136094A1 (fr) 2009-11-12
EP2268497B1 (fr) 2011-10-05
BRPI0910555A2 (pt) 2016-10-25
EP2268497A1 (fr) 2011-01-05
KR20100139100A (ko) 2010-12-31
RU2483943C2 (ru) 2013-06-10
FR2930508B1 (fr) 2010-04-23
RU2010148462A (ru) 2012-06-10
JP2011518723A (ja) 2011-06-30
JP5279895B2 (ja) 2013-09-04
FR2930508A1 (fr) 2009-10-30
US20110148153A1 (en) 2011-06-23
CN102015348B (zh) 2013-08-14
US8424937B2 (en) 2013-04-23
CN102015348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3994B (zh) 底板下罩以及具备该底板下罩的电动车
EP2172389B1 (en) Fender liner structure
EP2979963B1 (en) Power source supply structure of saddle-type vehicle
US20080289896A1 (en) Four wheeled utility vehicle
US9227670B2 (en) Mount for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 in an engin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EP3299263B1 (en) Method of assembling a tractor
US20140375084A1 (en) Motor vehicle arrangement having a three-element water box
CN101654132B (zh) 跨骑式车辆
CN110294031B (zh) 车身下表面结构
WO2013133097A1 (ja) エアガイド構造
KR101557918B1 (ko) 엔진으로의 공기 흡입 도관 및 범퍼 형성 부재를 위한 베어링을 구비하는 자동차 동체
CN112955371A (zh) 包括防冲击导流板的机动车辆
JP6614213B2 (ja) エンジンルーム内のハーネス配索構造
JP6224644B2 (ja) 不整地走行車両
EP3173273B1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5026250A (zh) 鞍乘型车辆的前部结构
CN115042720A (zh) 车辆用传感器的安装构造
JP4048958B2 (ja) フューエルフィルタの取付構造
JP4784275B2 (ja) 車両の走行風導入路構造
JP6035581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890617B1 (ko) 칵핏모듈
JP5857655B2 (ja) 車両のハーネス配設構造
JP3583619B2 (ja) 自動車の燃料配管配設構造
RU2615084C2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основания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7156492B2 (ja) フロアアンダー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