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383B1 -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383B1
KR101554383B1 KR1020127009847A KR20127009847A KR101554383B1 KR 101554383 B1 KR101554383 B1 KR 101554383B1 KR 1020127009847 A KR1020127009847 A KR 1020127009847A KR 20127009847 A KR20127009847 A KR 20127009847A KR 101554383 B1 KR101554383 B1 KR 10155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rming
sensitive adhesive
continuou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293A (ko
Inventor
기요타카 다카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61F13/0008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packaging and release 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피부에 대한 첩부가 용이한 첩부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방법은, 지지체 (12) 상에 점착제층 (14) 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 (16) 상에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에 약화부 (20) 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접합된 박리 시트 (16) 를,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지지체 (12) 상의 점착제층 (14) 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DHESIVE PATCH}
본 발명은, 파프제나 플라스터제 등의 첩부 (貼付) 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첩부제는, 통상, 직포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첩착 (貼着) 된 박리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에는, 경피 흡수성의 약물 등이 함유된다.
이와 같은 첩부제에 있어서는, 피부에 대한 첩부의 용이성이 항상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은 첩부제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첩부제는,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의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첩부된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고, 박리 시트의 중앙 부분에 미싱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첩부제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첩부제를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미싱눈을 찢고 점착제층을 노출시켜, 그 노출 부분을 피부에 첩부하고, 그 후 박리 시트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첩부제는, 점착제층 상에 2 장의 박리 시트를 두고, 일방의 박리 시트의 내측 단부 (端部) 를 절곡시키고, 그 절곡 부분 상에 타방의 박리 시트의 내측 단부를 중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첩부제에 있어서는, 절곡 부분 또는 그 위에 중첩시킨 단부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점착제층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피부에 대한 첩부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첩부제는, 2 장의 박리 시트를 각각 절곡시키고, 절곡선을 맞댄 상태에서 점착제층 상에 둔 것이다. 이 첩부제도,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절곡시킨 부분을 잡아 박리 시트를 용이하게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또,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것은, 첩부제와는 상이한 창상 붕대, 이른바 반창고인데, 이것도 박리 시트의 박리를 용이화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다. 즉, 이 창상 붕대는,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2 장의 박리 시트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점착제층 상에 둔 것이다. 그리고, 각 박리 시트의 맞댄 측의 단부 상에, 박리 시트를 잡아당겨 박리시키는 당김 탭을 부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창상 붕대도, 특허문헌 3, 4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당김 탭을 잡아 박리 시트를 용이하게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종래의 첩부제 및 창상 붕대는 각각 첩부 용이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를 미싱눈을 따라 분단한 후, 점착제층의 노출 부분을 피부에 붙이면, 박리 시트가 잘 떼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 4 의 첩부제 및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창상 붕대는, 잡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점착제층으로부터 떼어내기 쉽다는 이점은 있지만, 2 장의 박리 시트의 중첩 부분이나 맞댄 부분으로부터 점착제층 중의 약효 성분이 누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일방의 박리 시트의 절곡 부분과, 그 위에 중첩시킨 타방의 박리 시트의 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측에서만 박리 시트를 잡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불편하다. 또한, 박리 시트를 절곡시키기 위해 특수한 시트 절곡 장치가 필요해져, 첩부제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첩부제에 대해서도, 제조시에는 박리 시트를 절곡시키는 공정이 필요해지고, 또한, 약효 성분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2 장의 박리 시트의 절곡선끼리를 양호한 정밀도로 맞대야 하기 때문에, 첩부제의 제조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5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첩부제와 동일하게, 박리 시트 및 당김 탭의 맞댐을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만약 절단 전의 박리 시트 (시트 소재) 에 절단 전의 당김 탭 (탭 소재) 을 부착시킨 후에, 시트 소재 및 탭 소재를 절단한다고 해도, 양자가 부착되어 강도가 높아져 있는 부분을 절단하게 되기 때문에, 절단이 곤란해진다는 문제도 있다.
또,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창상 붕대에 있어서는, 당김 탭을 당겨 박리 시트를 떼어낼 때에는, 대부분 저항 없이 분리되기 때문에, 창상 붕대의 단에 박리 시트의 박리를 억제하는 박리 억제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박리 억제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한 공정 이상 증가하게 되어 제조에 수고나 비용이 든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 박리 억제 수단으로서 절곡식 (특허문헌 5 의 도 5 를 참조) 이나 클립식 (특허문헌 5 의 도 6 을 참조) 이 있는데, 이들은 창상 붕대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것이 환부에 대한 첩부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돌출부는, 파프제나 플라스터제와 같은 대형의 것에 있어서는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또, 특허문헌 3 ∼ 5 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2 장의 박리 시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젖혀지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약효 성분이 더욱 누출되기 쉬워져, 제제의 안정성상 문제가 된다. 또, 박리 시트의 위치 어긋남은, 절곡 부분 내지는 당김 탭을 잡아당겼을 때에 지지체를 변형시키게 되고, 그 결과, 첩부시에 주름이 진다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에 의한 폐해는, 특히, 단부를 맞대고 있을 뿐인 특허문헌 4 및 5 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현저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첩부가 용이하고, 제조도 용이한 첩부제가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12305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1337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196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15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49141호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첩부제를 창안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한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제조 방법 내지는 첩부제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첩부제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와, 박리 시트에 형성된,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를 구비하고, 또한, 박리 시트 상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상기 약화부를 덮도록 하여 접합되고, 당해 접합 부분 이외의 파지편 형성 시트의 부분이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파지편 형성 시트에는, 박리 시트의 약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지지체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를 잡아당김으로써, 박리 시트와 파지편 형성 시트를 약화부를 따라 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첩부제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와 파지편 형성 시트를 약화부를 따라 분단함으로써, 분단된 각 박리 시트의 각각에 파지편이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 파지편을 사용하여 박리 시트를 점착제층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고, 또, 첩부제의 위치 조정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박리 시트는, 사용 전에 있어서는 1 장 구성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3 ∼ 5 에 기재된 종래 구성과 같은 박리 시트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약효 성분의 누출이나 첩부제의 주름 발생이라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은 첩부제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 상에 파지편 형성 시트를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박리 시트 및 파지편 형성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파지편 형성 시트가 접합된 박리 시트를,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지지체 상의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단계의 접합은 열융착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첩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도 관련된 것으로, 그 경우에는, 지지체, 박리 시트 및 파지편 형성 시트를 각각 구성하는 연속 시트로부터 제조하게 된다. 즉, 당해 방법은, 지지체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를 제 1 원반 (原反) 으로부터 조출하고, 그 제 1 연속 시트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를 제 2 원반으로부터 조출함과 함께, 파지편 형성 시트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를 제 3 원반으로부터 조출하여, 제 2 연속 시트 상에 제 3 연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제 3 연속 시트가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를,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제 1 연속 시트 상의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첩부제를 형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제 2 단계의 접합은 열융착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화부를 형성하는 지점으로는, 접합 부분이 1 지점인 경우에는 접합 부분 상으로 할 수 있는데, 접합 부분이 2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2 개의 접합 부분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부분의 강성 내지는 강도는 접합 부분 이외의 지점보다 높기 때문에, 2 개의 접합 부분 사이에 용이하게 약화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열융착에 의해 박리 시트 (제 2 연속 시트) 와 파지편 형성 시트 (제 3 연속 시트) 를 접합시키는 경우, 박리 시트 및/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수축될 가능성이 있는데, 접합 부분이 가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합 부분을 2 지점으로 하여 접합 부분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첩부제 제조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제 1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지지체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 상에 점착제를 전착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전착부와, 제 2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박리 시트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와, 제 3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파지편 형성 시트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접합시키는 접합부와,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약화부 형성부와, 약화부 형성부를 통과한 제 3 연속 시트가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를, 전착부를 통과한 제 1 연속 시트 상의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부와, 적층체 형성부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첩부제를 형성하는 재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접합부로는 열융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열융착 장치가 프레스식인 경우에는,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를 축적할 수 있는 제 1 축적 장치 및 제 2 축적 장치가, 각각 열융착 장치의 상류측, 및 열융착 장치와 적층체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면 된다. 이와 같은 축적 장치를 형성해 둠으로써, 열융착 장치에 의한 제 2 연속 시트와 제 3 연속 시트의 접합 중에도, 제 2 원반 및 제 3 원반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를 제 1 축적 장치에 의해 일시적으로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의 이송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또, 제 2 축적 장치에 의해 축적되어 있던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를 하류측에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 연속 제조 공정을 정체없이 실시할 수 있어, 첩부제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에는 절곡 가공이 필요한 부재는 없다. 따라서, 그 제조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도, 특수한 절곡 장치 등은 불필요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또, 특허문헌 5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박리 억제 수단도 필요없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조 효율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첩부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첩부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2 층 구조로 한 파지편 형성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약화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첩부제의 단면 부분도이다.
도 6 은, 첩부제의 첩부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첩부제의 기본적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첩부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접합부의 구체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첩부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박리 시트 및 파지편 형성 시트를 분단한 후의 사용 양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다른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또 다른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또 다른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의 (a) ∼ 도 15 의 (g) 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의 다양한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첩부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제조 방법 내지는 첩부제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첩부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이러한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평면도, 도 3 은 그 측면도이다. 도시한 첩부제 (10) 는, 파프제 또는 플라스터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 (12) 와, 지지체 (12) 의 일방의 면의 대략 전체면에 형성된,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 (14) 과, 점착제층 (14) 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첩부된 박리 시트 (16) 와, 박리 시트 (16) 에 접합된 파지편 형성 시트 (18) 로 구성되어 있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그 전체면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 (16) 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좌우의 양단 부분은 박리 시트 (16) 와 비접합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대략 중앙부 (첩부제 (1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이며, 이하, 「대략 중앙부」라고 하는 경우에는 동일) 에는, 첩부제 (10) 의 일방의 장변으로부터 타방의 장변에 걸쳐,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분단을 용이하게 하는 미싱눈 등의 약화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체 (12) 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면, 직포, 편포, 부직포, 부직지, 필름 등, 적당한 시트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두께, 연신, 인장 강도, 첩부 작업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나 첩부시의 감촉, 피부의 밀폐성, 약효 성분의 지지체 (12) 로의 이행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이 지지체 (12) 의 신축성에 대해서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에 있어서 50 % 모듈러스가 0.5 ∼ 10 N/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12) 의 구체적인 재료로는, 종이, 면, 대마, 황마 등의 인피 섬유, 마닐라삼 등의 엽맥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등의 수모 섬유나, 견 섬유, 우모 섬유 등의 단백 섬유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단백 섬유 등의 재생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섬유나 프로믹스 등의 반합성 섬유, 나일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옥시메틸렌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즈비스티아졸 (PBT)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점착제층 (14) 에 함유되는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적은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14) 은, 점착 기제에 약물을 함유 또는 부착 등을 시킴으로써, 파프제나 플라스터제 등의 첩부제 (10) 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또, 점착제층 (14) 의 구성 재료인 점착 성분으로는, 점착성을 갖고 피부에 첩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파프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점착제층 (14) 은, 피부 밀착성이 양호한 것,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높이는 것, 수분을 가급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 점착제층 (14) 중의 수분이 증발될 때에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지만, 이 발열량이 청량감을 주고, 또 각질층이 내부로부터 증산되어 오는 수분자에 의해 수화되어, 약물의 흡수가 촉진되는 것, 상온 또는 그 부근의 온도에서도 쳐지지 않는 것, 떼어낼 때에 아프지 않고 오염이 남지 않는 것, 끈적거리지 않는 것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 (14) 은, 수용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증점제 5 중량%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15 중량%, 습윤제 5 중량% ∼ 40 중량%, 충전제 20 중량% 이하, 물 10 중량% ∼ 80 중량%, 용해 보조제 0 ∼ 8 중량%, 약물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 5 중량%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젤라틴, 한천, 알긴산, 만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 등, 혹은 이들 중 적어도 1 종을 유기 또는 무기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점착 기제 이외에, 점착제층 (14) 에는 적절히 증점제, 습윤제 등이 첨가된다.
예를 들어, 증점제로는 수분을 10 % ∼ 80 %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보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예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카리기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카라야검, 펙틴, 전분, 아카시아검 등의 식물계, 잔탄검 등의 미생물계, 젤라틴, 콜라겐 등의 동물계 등의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계,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전분계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비닐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아크릴계, 그 외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겔 강도가 강하고, 또한 보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 20000 ∼ 70000 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20000 보다 작아짐에 따라 증점 효과가 부족해져 충분한 겔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평균 중합도가 70000 보다 커짐에 따라 증점 효과가 지나치게 강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 상기 수용성 고분자를 2 종류 이상 병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강이온 고분자와 고분자 컴플렉스를 형성하고, 한층 더 겔 강도가 큰 탄성 겔을 얻을 수 있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이나, 충전제로서 카올린, 탤크, 티탄,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메타규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 용해 보조제 또는 흡수 촉진제로서 탄산프로필렌, 크로타미톤, l-멘톨, 박하유, 리모넨,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등이나, 약효 보조제로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l-멘톨, 티몰, 박하유, 노닐산바니릴아미드, 고추 엑기스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나 항산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그 외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중합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점착제층 (14) 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보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가교제나 중합제는, 증점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증점제에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을 적용한 경우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Ca, Mg, Al 등의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글루콘산염, 스테아르산염 등의 유기산염, 산화아연, 무수 규산 등의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적용한 경우에는, 아디프산, 티오글리콜산, 에폭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알데히드류, N-메틸올 화합물, Al, Ti, Zr, Sn, V, Cu, B, Cr 등의 화합물 등의 착화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적용한 경우에는,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애시드 화합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이나 탄닌산 및 그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적용한 경우에는, 퍼옥사이드, 폴리술폰아자이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에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를 적용한 경우에는, 다관능 하이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민, 요오드,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철, 수은, 연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증점제에 젤라틴을 적용한 경우에는,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부타디엔옥사이드 등의 디에폭시드류, 디비닐케톤 등의 디케톤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증점제에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적용한 경우, 가교제로서 수산화리튬, 수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붕산나트륨 등의 다가 금속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연염, 알루미늄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첨가되는 다가 금속염의 농도는, 증점제 (또는 수용성 고분자) 1 당량에 대해 0.5 ∼ 1.5 당량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0.5 당량보다 작아짐에 따라 반응이 지나치게 느려 겔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1.5 당량보다 커짐에 따라 반응이 지나치게 빨라 겔화가 불균일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한편, 플라스터제이면, 점착 기제는 고무계 점착 성분, 아크릴계 점착 성분, 실리콘계 점착 성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고무계 점착 성분으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합성 고무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나 폴리이소부틸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로는, 스티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SEPS) 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크레이톤 D-1112, D-1111, D-1107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JSR5000 또는 JSR5002 (상품명, 닛폰 합성 고무 (주) 제조), 퀸택 3530, 3421 또는 3570C (상품명, 닛폰 제온 (주) 제조), 크레이톤 D-KX401CS 또는 D-1107CU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등의 리니어 트리 블록 코폴리머나, 크레이톤 D-1124 (상품명, 크레이톤 폴리머 (주) 제조), 솔프렌 418 (상품명, 필립 패트롤리엄 (주) 제조) 등의 분기 블록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예를 들어 고분자에서 저분자의 것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오파놀 B10, B12, B12SF, B15, B15SF, B30SF, B50, B50SF, B80, B100, B120, B150, B200 (상품명, BASF (주) 제조), 비스타넥스 LM-MS, LM-MH, LM-H, MM L-80, MM L-100, MM L-120, MM L-150 (상품명, 엑손 화학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고분자로는, 모노머 단위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으로 대표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아크릴산·아크릴산옥틸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N-비닐-2-피롤리돈·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메타크릴산-2-에틸헥실·메타크릴산도데실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 수지 에멀젼,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액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등의 점착제, Duro-Tak 아크릴 점착제 시리즈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컬사 제조), GELVA 아크릴 점착제 시리즈 (몬산토사 제조), SK 다인매트리덤 (소켄 화학), 유드라기트 시리즈 (히구치 상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점착 기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플라스터제의 경우에는,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안정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점착제층 (14) 에 함유되는 약물로는, 경피적으로 체내에 흡수되어 약리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항염증제,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혈행 촉진제, 마취제, 정신 안정제, 항고혈압제, 항균제, 혈관 확장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물로는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1-멘톨, 고추 엑기스, 노닐산바니릴아미드, 박하유, 디클로페낙, 이브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술린닥, 톨메틴, 로벤자리트, 페니실라민, 펜프펜, 풀루루비프로펜, 나프록센, 프라노프로펜, 티아프로펜, 수프로펜, 펠비낙, 케토롤락, 옥사프로진, 에토돌락, 잘토프로펜, 피록시캄, 펜타조신, 염산부프레노르핀, 타르타르산부토르파놀 등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이나,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베타메타손, 플루오시노니드, 플루오시놀론아세토니드, 발레르산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디프로피온산덱사메타손, 발레르산디플루코르톨론, 디플루프레드네이트, 발레르산베타메타손, 부티르산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르산클로베타손, 부티르산베타메타손, 프로피온산클로베타손, 숙신산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21-(2E,6E)파르네시트, 발레르산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트산디플로라손, 프로피온산덱사메타손,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암시노니드, 발레르산덱사메타손, 할시노니드, 부데소니드, 프로피온산알클로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은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약물은 필요에 따라 에스테르체로 유도된 화합물, 아미드체로 유도된 화합물, 아세탈체로 유도된 화합물, 혹은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 유기염의 형태로써 점착제층 (14) 에 함유 또는 부착되어도 된다. 약물의 양은,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미리 설정된 유효량을 피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파프제나 플라스터제 등의 첩부제 (10) 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박리 시트 (16) 로는,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합성 수지나 합성지, 합성 섬유 등에 실리콘 가공한 실리콘 가공지, 알루미늄박, 크라프트지에 폴리에틸렌 등을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 가공지 등의 무색 또는 착색된 것이 사용된다.
박리 시트 (16)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 75 ㎛, 바람직하게는 12 ㎛ ∼ 50 ㎛ 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 (16) 의 두께가 10 ㎛ 를 하회하면, 박리 시트 (16) 가 지나치게 얇아져 박리시에 박리 시트 (16) 가 점착제층 (14) 에 얽히거나, 또 제조시에 박리 시트 (16) 가 곧바로 분단되게 되어 작업성 등이 저하되거나, 또 점착제층 (14) 상에 박리 시트 (16) 를 첩착하는 경우, 박리 시트 (16) 에 주름이 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10) 를 사용하는 경우,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약화부 (20) 를 따라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분단하는데, 박리 시트 (16) 의 두께가 75 ㎛ 를 초과하면, 분단이 곤란해지고, 또 제조시에 원반의 시트를 절단하는 것이 곤란해져 작업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박리 시트 (16) 에는, 도면으로는 나타내지 않지만,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요철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단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박리 시트 (16) 의 좌우 부분에 화살표 등의 도형이나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를 형성하거나, 착색 등을 실시해도 된다. 이 표시부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박리 시트 (16) 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경우,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박리 시트 (16) 의 표면에 엠보싱 가공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 요철이 손가락이나 점착제층 (14) 과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분단할 때, 박리 시트 (16) 상의 요철이 마찰이 되어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박리 시트 (16) 와 점착제층 (14)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첩부제 (10) 를 좌우로 잡아당길 때, 그 힘이 박리 시트 (16) 에 확실하게 전달되어, 박리 시트 (16) 의 분단이 용이해진다. 또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요철에 의해 박리 시트 (16) 의 두께가 위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박리 시트 (16) 의 분단 후에는, 분단선을 따르는 박리 시트 (16) 의 단부가 점착제층 (14) 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경향이 보여지며, 이것도 박리 시트 (16) 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박리 시트 (16) 의 단부의 이와 같은 부상 현상에 의해, 지지체 (12) 의 노출 부분이 굴곡되거나, 그 부분의 점착제층 (14) 끼리가 부착될 우려가 있지만, 박리 시트 (16) 의 약화부 (20) 를 따라 파지편 형성 시트 (18) (파지편 (18a, 18b)) 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 시트 (16) 의 단부가 점착제층 (14) 으로부터 갑자기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이며, 그 장변의 길이 (D1) 는 첩부제 (10) 의 단변의 길이 (D2)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단변의 길이 (D3) 는 첩부제 (10) 의 장변의 길이 (D4) 보다 짧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박리 시트 (16) 의 대략 중앙부에,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장변이 박리 시트 (16) 의 단변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그 길이 방향 중심축선 (약화부 (20) 의 위치) 으로부터 좌우의 각 측에 소정의 간격 (x)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5 ∼ 25 ㎜) 을 둔 위치에서, 박리 시트 (16) 에 실질적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와 박리 시트 (16) 의 좌우 각 접합 부분 (22) 은,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각 접합 부분 (22) 보다 외측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길이 방향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의 부분에 관해서는, 박리 시트 (16) 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으며, 이 비접합 부분이 후술하는 파지편 (18a, 18b) 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파지편 (18a, 18b) 은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이면 적절히 정해지는 것인데, 파지편 (18a, 18b) 의 폭 (y) 은 2 ∼ 4 ㎝ 정도가 바람직하다. 2 ㎝ 보다 하회하면 손가락으로 잡기 어려워지고, 4 ㎝ 를 초과하면 파지편 (18a, 18b) 이 지나치게 커서 취급하기 어려워지고, 재료비도 비싸지기 때문이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와 박리 시트 (16) 의 접합 부분 (22) 의 폭 (z) 은, 양 시트 (16, 18) 의 접합이 분리 불가능해지는 최소한의 치수를 확보할 수 있으면 적절히 정해지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시트 분단시에 힘을 파지편 형성 시트 (18) 로부터 박리 시트 (16) 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폭을 갖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어, 0.1 ∼ 10 ㎜ 정도의 폭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변의 길이 (D2) 가 150 ㎜, 장변의 길이 (D4) 가 200 ㎜ 인 첩부제 (10) 의 경우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 (18) 로서 그 장변의 길이 (D1) 가 150 ㎜, 단변의 길이 (D3) 가 70 ㎜ 인 것을 사용하고,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길이 방향 중심축선 (약화부 (20) 의 위치) 으로부터 접합 부분 (22) 까지의 간격 (x) 을 2.5 ㎜, 접합 부분 (22) 의 폭 (z) 을 1.0 ㎜ 로 하며, 따라서 파지편 (18a, 18b) 의 폭 (y) 을 31.5 ㎜ 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와 박리 시트 (16) 의 접합 수단으로는, 양 시트 (16, 18) 를 실질적으로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수단이어도 되는데,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열융착법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융착법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접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거나 하는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또, 도면에서는 접합 부분 (22) 은 연속선의 형태로 하고 있지만, 점선과 같은 불연속선의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재료는, 상기 서술한 박리 시트 (16) 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파지편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면,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유효하다. 그러나, 박리 시트 (16) 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단층 구조이고, 박리 시트 (16) 가 적어도 표층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자를 열융착시키는 것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는데, 열융착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4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2 층 구조로 하면 된다. 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기층의 하면 (박리 시트 (16) 측의 면) 에,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함으로써, 요철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박리 시트 (16) 에 대해서도 열융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두께는 적절히 정해질 수 있는 것이지만, 파지편으로서의 강도나 잡았을 때의 감촉 등을 고려하면, 10 ∼ 1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의 2 층 구조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은 5 ∼ 40 ㎛,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은 10 ∼ 60 ㎛ 정도이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층 대신에 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을 사용한 경우에는, 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의 두께는 10 ∼ 6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파지편 형성 시트 (18) 내지 파지편 (18a, 18b) 이 되는 부분을, 상기 박리 시트 (16) 와 상이한 색으로 착색하여 나눔으로써, 용이하게 파지편 (18a, 18b) 을 시인할 수 있다.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약화부 (20) 는, 양 시트 (16, 18) 를 용이하게 분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관통하는 소공 (小孔) (20a) 을 늘어놓은, 이른바 미싱눈이 되어 있다. 이 미싱눈의 구성은 적절히 정해질 수 있는 것이지만, 소공 (20a) 과, 소공 (20a) 간의 연결부 (20b) 사이의 길이의 비가, [20a] : [20b] = 1 ∼ 1500 : 1 ∼ 2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a] : [20b] = 1 ∼ 1000 : 1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a] : [20b] = 100 ∼ 1000 : 1 ∼ 10 이다. 소공 (20a) 의 길이가 연결부 (20b) 의 길이에 대해 상기 범위보다 커지면, 사용시 이외에도 분단되게 될 우려가 있고, 또 약효 성분이 휘발되어 약효 효과가 저하되는 등, 신뢰성이나 편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소공 (20a) 으로부터의 약효 성분이나 수분의 도산 (逃散) 은, 박리 시트 (16) 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소공 (20a) 을 닫는 것에 의해 방지 내지는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소공 (20a) 의 길이가 연결부 (20b) 의 길이에 대해 상기 범위보다 작아지면, 박리 시트 (16) 의 분단이 곤란해져, 편리성이나 작업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 연결부 (20b) 의 길이도 적절히 정해질 수 있는 것이지만, 연결부 (20b) 의 길이는 0.03 ∼ 10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연결부 (20b) 가 과도하게 길어지면 잘 분단되지 않는 한편, 연결부 (20b) 가 짧으면 분단하기 쉽지만, 지나치게 짧으면 사용시 이외에 찢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약화부 (20) 는,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분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미싱눈 대신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홈을 형성해도 된다. 이 홈은,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관통하고, 박리 시트 (16) 의 도중까지 연신된 것, 이른바 하프 컷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홈에 의한 약화부 (20) 는, 미싱눈과 같은 약효 성분의 누출이라는 문제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이 외에, 약화부 (20) 로는, 레이저 등에 의해 열을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에 국소적으로 가하여, 그 부분을 분단하기 쉽게 한 것, 박육 등, 여러 가지가 생각된다.
약화부 (20) 를 따른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분단을 고려한 경우, 박리 시트 (16) 의 인장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g/㎝ ∼ 200 g/㎝ , 바람직하게는 1 g/㎝ ∼ 100 g/㎝ 의 범위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 범위는, 박리 시트 (16) 에 접합된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재료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고, 박리 시트 (16) 보다 강성이 높은 것에 기초하는 것이다. 즉, 약화부 (20) 를 갖는 박리 시트 (16) 의 인장 강도가 1 g/㎝ 정도의 낮은 것이어도, 박리 시트 (16) 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한 분단성을 갖게 된다. 그 한편으로, 박리 시트 (16) 의 인장 강도가 1 g/㎝ 보다 작아짐에 따라, 제조시에 박리 시트 (16) 가 도중에 절단되게 되어, 연속해서 점착제층 (14) 상에 박리 시트 (16) 를 첩착할 수 없게 되고, 또 파프제나 플라스터제 등의 첩부제 (10) 를 포장대에 넣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박리 시트 (16) 가 분단되어, 수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쉽다. 반대로, 인장 강도가 200 g/㎝ 보다 커짐에 따라 사용시에 용이하게 박리 시트 (16) 를 분단하는 것이 곤란해져, 편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첩부제 (10) 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 (10) 의 양단부를 잡고, 지지체 (12) 와 함께 박리 시트 (16) 를 좌우로 잡아당겨, 약화부 (20) 를 따라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좌우로 분단한다. 이 때, 박리 시트 (16) 에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가 되어 첩부제 (10) 를 잡아당기기 쉬워진다.
또, 접합 부분 (22) 은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쌍방분의 두께를 갖고, 그에 따라 강도 내지는 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첩부제 (10) 의 양 단부를 잡아 좌우로 잡아당기면, 그 인장력은 접합 부분 (22) 전체로 분산되게 된다. 그 결과, 약화부 (20) 의 일부가 파단을 개시하면, 그 파단은 순시에 약화부 (20) 전체로 퍼져, 양 시트 (16, 18) 의 분단을 일순간에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약화부 (20) 가 미싱눈이고,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재료 및 두께 범위인 경우에는, 미싱눈의 소공 (20a) 사이의 연접부 (20b) 를 순시에 절단해 가기 때문에 독특한 절단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 이 절단감은, 사용자가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2 개로 균열된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는 감각에 추가하여, 일순간의 분단 후에 계속해서 지지체 (12) 가 연신된다는 감각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단되었다는 감각이 없고, 잡아당긴 순간에 연신을 느낀 경우에는, 첩부제 (10) 의 박리 시트 (16) 가 한 번 분단되었을 가능성이 있게 된다. 즉, 첩부제 (10) 의 점착제층 (14) 이 사용시까지 보호되고 있는 안심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감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양태에 있어서는, 약화부 (20) 는 박리 시트 (16) 와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비접합 부분 상에 있기 때문에, 접합 부분 (22), 즉 열융착 혹은 접착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약화부 (20) 의 절단을 컨트롤하면서,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분단된 후에도, 양 시트 (16, 18) 사이의 접합 부분 (22) 은 분리되지 않고 접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은 다소의 만곡이 발생하지만, 대체로 직선 상태 내지는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 안정성에 의해, 당해 접합 부분 (22) 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체 (12) 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분단되면, 지지체 (12) 상의 점착제층 (14) 이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노출된 점착제층 (14) 을 피부에 댄다. 점착제층 (14) 의 노출 부분은 작은 것이지만, 첩부제 (10) 는 피부 (S) 에 대한 임시 고정 효과가 얻어진다.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분단되면, 각각의 박리 시트 (16) 에 대해 파지편 (18a, 18b) 이 형성되기 때문에, 첩부제 (10) 의 임시 고정 후, 이 파지편 (18a, 18b) 을 잡고 잡아당김으로써, 분단된 박리 시트 (16) 를 지지체 (12) 상의 점착제층 (14) 으로부터 떼어내면서 피부 (S) 에 점착제층 (14) 을 첩착시킬 수 있다.
파지편 (18a, 18b) 의 자유단은 점착제층 (14) 의 노출 부분에 가까운 곳에 있고, 박리 시트 (16) 와 파지편 (18a, 18b) 으로 2 중이 되어 있는 부분이 어느 정도의 두께와 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촉감에 의해 첩부제 (10) 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파지편 (18a, 18b) 을 잡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이 점착제층 (14) 의 노출 부분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첩부제 (10) 의 위치를 미조정하는 것도 용이해져, 사용자에게 있어 편리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상기 특허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피부에 임시 고정되면, 박리 시트가 지지체와 피부 사이에 놓여져 박리 시트를 떼어내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파지편 (18a, 18b)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잡고 당김으로서 용이하게 박리 시트 (16) 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점착제층 (14) 에 손가락끝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좌우의 파지편 (18a, 18b) 중 어디쪽으로도 잡을 수 있는 데다가, 좌우의 파지편 (18a, 18b) 의 양방을 동시에 잡고 잡아당길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 첩부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파지편 (18a, 18b) 을 잡고 잡아당길 때, 분단시와 동일하게, 박리 시트 (16) 와 파지편 (18a, 18b) 의 접합 부분 (22) 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인장력은 접합 부분 (22) 전체로 분산되어 대략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박리 시트 (16) 를 점착제층 (14) 으로부터 박리시켜 가면, 박리 시트 (16) 와 점착제층 (14) 사이의 괴리선 (박리 시트 (16) 와 점착제층 (16) 의 부착 부분의, 외부와의 경계선) 에 있어서도 힘은 대략 균등하게 작용한다. 그 결과, 지지체 (12) 에 주름이 지거나, 점착제층 (14) 끼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을 더럽히지 않고 또 주름이 지지도 않고, 깨끗하게 첩부제 (10) 를 피부에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10) 는, 상기 방법 이외의 사용법도 있다. 예를 들어,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파지편 (18a, 18b) 이 되는 부분을 잡고 잡아당겨, 박리 시트 (16) 와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분단하고, 그 후, 일방의 파지편 (18a, 18b) 을 잡아, 그 측의 박리 시트 (16) 를 박리시켜 지지체 (12) 상의 점착제층 (14) 의 절반을 노출시키고, 그 후에 피부에 첩부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지편 (18a, 18b) 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잡기 쉬운 쪽의 파지편 (18a, 18b) 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상기 작용 효과를 바람직하게 발휘하는 본 발명의 양태의 하나로서 파프제를 들 수 있다. 파프제는, 지지체 (12) 를 부직포로 하고, 점착제층 (14) 을 수성 겔로 하고 있다. 점착제층 (14) 을 수성 겔로 한 경우, 충분한 두께와 무게를 갖기 때문에, 적당한 박리 강도를 가져 박리 시트 (16) 가 너무 간단하게 박리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창상 붕대와 같은 박리 억제 수단을 굳이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조도 용이하고 비용도 낮다.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제조 방법 및 첩부제 제조 장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 첩부제 (10) 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도 7 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실시된다. 즉, 먼저 지지체 (12) 를 준비하고, 그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 (14) 을 형성한다. 또, 박리 시트 (16) 에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접합시키고, 이 후, 미싱눈 등의 약화부 (20) 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갖는 박리 시트 (16) 를 지지체 (12) 상의 점착제층 (14) 에 첩부하는 것이다. 접합 방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열융착법에 의한 방법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방법은 첩부제를 1 장씩 제조하는 배치식이지만, 연속적으로 첩부제 (10) 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즉, 연속적인 첩부제 제조 방법은, 지지체 (12) 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를 제 1 원반으로부터 조출하고, 그 제 1 연속 시트 상에 점착제층 (14) 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 (16) 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를 제 2 원반으로부터 조출함과 함께,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를 제 3 원반으로부터 조출하여, 제 2 연속 시트 상에 제 3 연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 및 제 3 연속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제 3 연속 시트가 접합된 제 2 연속 시트를,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제 1 연속 시트 상의 점착제층 (14) 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첩부제 (10) 를 형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8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도시한 장치 (100) 는, 지지체 (12) 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 (12A) 상에 점착제를 전착시켜 점착제층 (14) 을 형성하는 전착부 (110) 와, 박리 시트 (16) 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 (16A) 상에,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 (18A) 를 접합시키는 접합부 (120) 와, 접합부 (120) 를 통과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에 약화부 (20) 를 형성하는 약화부 형성부 (140) 와, 약화부 형성부 (140) 를 통과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를, 전착부 (110) 를 통과한 제 1 연속 시트 (12A) 의 점착제층 (14) 상에 부착시켜 적층체 (24) 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부 (150) 와, 적층체 형성부 (150) 를 통과한 제 1 ∼ 제 3 연속 시트 (12A, 16A, 18A) 의 적층체 (24) 를 재단하여 최종 제품으로서의 첩부제 (10) 로 하는 재단부 (160)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속 시트 (12A) 는, 전착부 (110) 의 상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롤상의 제 1 원반 (12B) 으로부터 조출되어 전착부 (110) 에 공급된다. 전착부 (110) 는, 종래부터 알려진 구성으로, 제 1 연속 시트 (12A) 의 상면에 점착제를 전착시켜 점착제층 (14) 을 형성한다.
한편, 제 2 연속 시트 (16A) 및 제 3 연속 시트 (18A) 는, 각각 접합부 (120) 의 상류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롤상의 제 2 원반 (16B) 및 롤상의 제 3 원반 (18B) 으로부터 조출되고, 양 연속 시트 (16A, 18A) 는 중첩된 상태에서 접합부 (120) 에 이송된다.
접합부 (120) 에서의 양 연속 시트 (16A, 18A)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설비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열융착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 열융착 장치로는, 1 쌍의 가열 시일 롤러를 갖는 롤러식인 것이 있지만, 확실한 열융착을 위해서는 프레스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는, 프레스식 융착 장치 (122) 를 갖는 접합부 (12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열융착 장치 (122) 는, 고정 시일 바 (124) 와, 이 고정 시일 바 (124) 의 상방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시일 바 (126) 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시일 바 (126) 를 하강시키면, 고정 시일 바 (124) 와 가동 시일 바 (126) 는 접한다. 또, 고정 시일 바 (124) 와 가동 시일 바 (126) 의 양방 또는 일방은 열융착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되기 때문에, 가열 상태에서 고정 시일 바 (124) 와 가동 시일 바 (126) 사이에 제 2 와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를 이송하고, 이들 시일 바 (124, 126) 사이에 양 연속 시트 (16A, 18A) 를 프레스하면, 양 연속 시트 (16A, 18A) 는 시일 바 (124, 126) 가 맞닿은 부분에서 열융착된다. 이 열융착에 의한 접합 부분 (22) 의 접합 강도는, 프레스 시간, 프레스 압력, 가열 온도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속 시트 (16A) 에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프레스식의 열융착 장치 (122) 를 사용하면 충분한 프레스 시간, 프레스 압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연속 시트 (16A) 와 제 3 연속 시트 (18A) 의 열융착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 시일 바 (124) 대신에 평판, 이른바 앤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연속 시트 (16A, 18A) 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2 쌍의 고정·가동 시일 바 (124, 126) 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2 개의 접합 부분 (22) 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열융착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 열융착 장치 (122) 의 부분에서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이송을 각 시일 바 (124, 126) 에 대해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이송을 간헐적으로 실시한 경우, 제 1 연속 시트 (12A) 는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있기 때문에, 적층체 형성부 (150) 에 있어서의 제 1 연속 시트 (12A) 와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중첩이 곤란해져, 제 1 연속 시트 (12A) 의 이송도 간헐적인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도 9 에 나타내는 접합부 (120) 에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를 축적 내지는 체류시킬 수 있는 제 1 축적 장치 (128) 및 제 2 축적 장치 (130) 가, 각각 열융착 장치 (122) 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형성되어,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이송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도모하고 있다.
축적 장치 (128, 130) 로는 여러 가지 형태가 생각되는데,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기구는, 일정한 지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안내 롤러 (132) 와, 이웃하는 안내 롤러 (132) 사이에 배치된 가동 롤러 (134) 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롤러 (134) 는 안내 롤러 (132) 에 대해 접근·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 롤러 (134) 는, 스프링 등에 의해,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내 롤러 (132) 로부터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구에 있어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안내 롤러 (132) 와 가동 롤러 (134) 에 교대로 감아진 상태가 되어, 소정값을 상회하는 장력이 연속 시트 (16A, 18A) 에 작용하면, 가동 롤러 (134) 가 안내 롤러 (132) 에 접근하고, 반대로 장력이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가동 롤러 (134) 가 안내 롤러 (132) 로부터 멀어져 간다.
이와 같은 기구에 의한 축적 장치 (128, 130) 가 열융착 장치 (122) 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열융착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소정의 장력을 갖고, 안내 롤러 (132) 와 가동 롤러 (134) 에 의해 안내되어 연속적으로 나아간다.
열융착 장치 (122) 에 의해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열융착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원반 (16B, 18B) 으로부터 접합부 (120) 에 이송되어 가지만, 상류측의 제 1 축적 장치 (128) 에서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장력이 내려가기 때문에, 가동 롤러 (134) 가 안내 롤러 (132) 로부터 멀어지고, 그 제 1 축적 장치 (128) 에 있어서의 시트 경로 길이가 연신되어 간다. 이 연신된만큼,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제 1 축적 장치 (128) 에 축적되기 때문에, 원반 (16B, 18B) 으로부터의 연속 시트 (16A, 18A) 의 조출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한편, 열융착시, 열융착 장치 (122) 의 하류측에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를 그대로 적층체 형성부 (150) 에 이송해 가면, 하류측의 제 2 축적 장치 (130) 에서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장력이 오르기 때문에, 가동 롤러 (134) 가 안내 롤러 (132) 에 가까워진다. 그 결과, 제 2 축적 장치 (130) 에 있어서 축적되어 있던만큼의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가 송출된다.
따라서, 열융착 장치 (122) 에 의해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이송이 간헐적인 것이 되어도, 축적 장치 (128, 130) 에 존재에 의해 접합부 (120) 로의 이송 및 접합부 (120) 로부터의 송출에 관해서는 연속적으로 실시되고, 따라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와 제 1 연속 시트 (12A) 의 중첩도 정체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접합부 (120) 에서 2 중이 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약화부 형성부 (140) 에 이송되어 약화부 (20) 가 형성된다. 약화부 형성부 (140) 로는, 종래부터 주지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싱눈이나 홈 등을 형성하기 위한 칼날을 가진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해 미싱눈, 홈, 취약부를 형성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약화부 (20) 는, 앞서 형성된 2 개의 접합 부분 (22)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다.
약화부 형성부 (140) 에서 미싱눈 등의 약화부 (20) 가 형성된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는, 그 후, 적층체 형성부 (150) 에서 제 1 연속 시트 (12A) 의 점착제층 (14) 상에 중첩되어 적층체 (24) 가 되고, 재단부 (160) 에 이송된다. 재단부 (160) 에 있어서, 적층체 (24) 는 소정의 치수, 타이밍으로 재단되어 원하는 첩부제 (10) 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100) 에서는,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되는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에 대해서는, 절곡 가공은 불필요하고,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접합, 및 약화부 (20) 의 형성을 시트 이송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제조를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접합을 프레스식의 열융착 장치 (122) 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경우, 제 2 연속 시트 (16A) 에 엠보싱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확실하게 제 3 연속 시트 (18A) 와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스식의 열융착 장치 (122) 를 사용한 경우의 간헐 이송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축적 장치 (128, 130) 에 의해 대응하고 있어, 제 1 연속 시트 (12A) 와 제 2 및 제 3 연속 시트 (16A, 18A) 의 중첩과 최종적인 재단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변형 실시형태 등]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 (12) 는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첩부제 (10) 를 좌우로 잡아당겨 박리 시트 (16) 를 분단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지지체 (12) 의 신축성은 불필요하다.
또,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접합 부분 (22) 은 약화부 (20) 로부터 이격되어 있지만, 약화부 (20) 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분단 후에 파지편 박리 시트 (18) 의 내측 부분 (파지편 (18a, 18b) 과는 반대측의 부분) 을 잡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접합 부분 (22) 을 약화부 (20) 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 예를 들어 15 ∼ 25 ㎜ 정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는 양태도 생각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약화부 (20) 를 따라 분단한 후에는, 외측 부분 (18a, 18b) 뿐만 아니라, 내측 부분 (18c, 18d) 도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여러 가지 사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에 대해서는 내측의 파지편 (18c) 을 잡고, 우측에 대해서는 외측의 파지편 (18b) 을 잡아 박리 시트 (16) 를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접합 부분 (22) 의 형상은, 도 2 와 같은 직선상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만곡된 선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비직선상의 접합 부분 (22) 의 경우, 특히 열융착법에 의한 접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2 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한 경우, 약화부 (20) 를 따라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절단한 후, 파지편 (18a, 18b) 을 좌우로 잡아당기면, 첩부제 (10) 의 점착제층 (14) 의 노출면 (약제면) 이 떠오르도록 입체적으로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용하는 신체면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첩부제 (10) 를 용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 2 개의 접합 부분 (22) 의 간격이 첩부제 (10) 의 중앙부에서 좁아지기 때문에, 파지편 (18a, 18b) 을 좌우로 잡아당겼을 때, 장력이 첩부제 (10) 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약화부 (20) 에 집중되어, 박리 시트 (16) 및 파지편 형성 시트 (18) 의 분단이 용이해진다. 또한, 2 개의 접합 부분 (22) 의 간격은 첩부제 (10) 의 장변측에서 넓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잡아 도 11 과 같은 사용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 3 의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외측 부분 (18a, 18b) 을 작게 하거나, 또는 전혀 없는 상태로 하여 내측 부분 (18c, 18d) 만을 파지편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접합 부분 (22) 은 좌우의 2 지점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의 1 지점에서 박리 시트 (16) 와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접합시키고, 그 1 개 의 접합 부분 (22) 상에 약화부 (20) 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스식 열융착 장치 (122) 에 있어서의 고정 시일 바 (124) 와 가동 시일 바 (126) 는 1 쌍만이 된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편 형성 시트 (18) 를 박리 시트 (16) 의 중앙부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접합시켜도 된다.
또한, 약화부 (20) 도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형이나 톱니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합 부분 (22) 의 형상은, 약화부 (20) 의 형상에 맞추어 파형이나 톱니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파지편 형성 시트 (18) 는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어 도 15 의 (a) ∼ (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5 의 (a) ∼ (c) 와 같이,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첩부제 (10) 전체를 횡단하지 않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 에서는, 접합 부분은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변형 양태에 관련된 여러 가지 첩부제에도 본 발명의 첩부제 제조 방법 및 장치가 적용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5 의 (a) ∼ (c) 와 같은 파지편 형성 시트 (18) 가 첩부제 (10) 전체를 횡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첩부제 제조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접합부의 열융착 장치에 들어가기 직전의 제 2 연속 시트 상에, 적당한 타이밍으로 파지편 형성 시트를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물론, 도 15 의 (a) ∼ (c) 의 첩부제를 제조할 수 있다.
10…첩부제, 12…지지체, 12A…지지체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 14…점착제층, 16…박리 시트, 16A…박리 시트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 18…파지편 형성 시트, 18a, 18b, 18c, 18d…파지편, 18A…파지편 형성 시트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 20…약화부, 22…접합 부분, 24…적층체, 100…첩부제 제조 장치, 110…전착부, 120…접합부, 122…열융착 장치, 124…고정 시일 바, 126…가동 시일 바, 128…제 1 축적 장치, 130…제 2 축적 장치, 132…안내 롤러, 134…가동 롤러, 140…약화부 형성부, 150…적층체 형성부, 160…재단부.

Claims (13)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와, 상기 박리 시트에 형성된,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를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박리 시트 상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상기 약화부를 덮도록 하여 접합되고, 당해 접합 부분 이외의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부분이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약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 상에 파지편 형성 시트를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박리 시트 및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가 접합된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지지체 상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접합 부분이, 상기 약화부의 좌우에 그 약화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의 접합이 프레스식 열융착 장치에 의한 열융착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와, 상기 박리 시트에 형성된,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를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박리 시트 상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상기 약화부를 덮도록 하여 접합되고, 당해 접합 부분 이외의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부분이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약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박리 시트 상에 파지편 형성 시트를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박리 시트 및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가 접합된 상기 박리 시트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지지체 상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박리 시트와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접합 부분이, 상기 약화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의 접합이 프레스식 열융착 장치에 의한 열융착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와, 상기 박리 시트에 형성된,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를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박리 시트 상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상기 약화부를 덮도록 하여 접합되고, 당해 접합 부분 이외의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부분이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약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를 제 1 원반 (原反) 으로부터 조출하고, 그 제 1 연속 시트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박리 시트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를 제 2 원반으로부터 조출함과 함께,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를 제 3 원반으로부터 조출하여, 상기 제 2 연속 시트 상에 상기 제 3 연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접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접합된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제 3 연속 시트가 접합된 상기 제 2 연속 시트를,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제 1 연속 시트 상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상기 첩부제를 형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얻어지는 상기 제 2 연속 시트와 상기 제 3 연속 시트의 접합 부분이, 상기 약화부의 좌우에, 그 약화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의 접합이 프레스식 열융착 장치에 의한 열융착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박리 시트와, 상기 박리 시트에 형성된,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를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박리 시트 상에는 파지편 형성 시트가 상기 약화부를 덮도록 하여 접합되고, 당해 접합 부분 이외의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의 부분이 파지편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에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약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박리 시트의 분단을 용이화시키는 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지지체가 되는 제 1 연속 시트 상에 점착제를 전착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전착부와,
    제 2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박리 시트가 되는 제 2 연속 시트와 제 3 원반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파지편 형성 시트가 되는 제 3 연속 시트를 중첩시키고, 접합시키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에 약화부를 형성하는 약화부 형성부와,
    상기 약화부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제 3 연속 시트가 접합된 상기 제 2 연속 시트를, 상기 전착부를 통과한 상기 제 1 연속 시트 상의 상기 점착제층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부와,
    상기 적층체 형성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재단하여 상기 첩부제를 형성하는 재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가 열융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융착 장치가 프레스식이고,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를 축적할 수 있는 제 1 축적 장치 및 제 2 축적 장치가, 각각 상기 열융착 장치의 상류측, 및 상기 열융착 장치와 상기 적층체 형성부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융착 장치에 의한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의 접합 중, 상기 제 2 원반 및 상기 제 3 원반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를 상기 제 1 축적 장치에 의해 일시적으로 축적함과 함께, 상기 제 2 축적 장치에 의해 축적되어 있던 상기 제 2 연속 시트 및 상기 제 3 연속 시트를 하류측에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제 2 연속 시트와 상기 제 3 연속 시트의 접합 부분이, 상기 약화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약화부의 좌우에 그 약화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접합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제 2 연속 시트와 상기 제 3 연속 시트의 접합 부분이, 상기 약화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약화부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접합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27009847A 2009-10-14 2010-09-30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54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7571 2009-10-14
JP2009237571 2009-10-14
JPJP-P-2009-261314 2009-11-16
JP2009261314 2009-11-16
JP2010134407 2010-06-11
JPJP-P-2010-134407 2010-06-11
PCT/JP2010/067129 WO2011046023A1 (ja) 2009-10-14 2010-09-30 貼付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293A KR20120086293A (ko) 2012-08-02
KR101554383B1 true KR101554383B1 (ko) 2015-09-18

Family

ID=43876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846A KR101511414B1 (ko) 2009-10-14 2010-09-30 첩부제
KR1020127009847A KR101554383B1 (ko) 2009-10-14 2010-09-30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846A KR101511414B1 (ko) 2009-10-14 2010-09-30 첩부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314378B2 (ko)
EP (2) EP2489340B1 (ko)
JP (3) JP5460726B2 (ko)
KR (2) KR101511414B1 (ko)
CN (2) CN102573723B (ko)
AU (2) AU2010307798A1 (ko)
BR (2) BR112012008892B8 (ko)
CA (2) CA2777517C (ko)
ES (1) ES2523727T3 (ko)
HK (2) HK1171936A1 (ko)
HU (1) HUE027594T2 (ko)
IN (1) IN2012DN03451A (ko)
MY (2) MY164418A (ko)
PL (1) PL2489340T3 (ko)
PT (1) PT2489340T (ko)
RU (2) RU2552241C2 (ko)
TW (2) TW201129346A (ko)
WO (2) WO2011046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347B2 (en) * 2008-07-21 2011-09-20 Tyco Healthcare Group Lp Thin film wound dressing
US20100324516A1 (en) 2009-06-18 2010-12-23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for Vacuum Bridging and/or Exudate Collection
WO2012029127A1 (ja) * 2010-08-31 2012-03-08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CA2853225C (en) * 2011-10-24 2017-03-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ckage
USD757950S1 (en) * 2013-01-30 2016-05-31 Mölnlycke Health Care Ab Wound pad
DE102013008727A1 (de) 2013-05-23 2014-11-27 Amw Gmbh Pflaster mit gekerbter Abziehfolie
DE102013008726A1 (de) 2013-05-23 2014-11-27 Amw Gmbh Plaster mit Abziehhilfe
CN103263318B (zh) * 2013-05-27 2015-01-21 施敬东 一种睾丸冷敷贴及其制备方法
KR200477166Y1 (ko) * 2013-07-11 2015-05-18 강유빈 일회용 의료 밴드
CN105287440A (zh) * 2014-06-18 2016-02-03 杨宁正 渗透式药用薄膜贴片
JP5767417B1 (ja) * 2015-02-05 2015-08-19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D774201S1 (en) * 2015-03-16 2016-12-13 Covidien Lp Sacral wound dressing
USD773059S1 (en) * 2015-03-16 2016-11-29 Covidien Lp Sacral wound dressing
USD774200S1 (en) * 2015-03-16 2016-12-13 Covidien Lp Sacral wound dressing
JP6872308B2 (ja) 2015-04-14 2021-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USD791331S1 (en) * 2015-05-19 2017-07-04 Brian Shawn Freshwater Wound dressing
USD791957S1 (en) * 2015-05-19 2017-07-11 Brian Shawn Freshwater Wound dressing
USD804677S1 (en) * 2015-09-30 2017-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gical drape with a retraction member
USD804678S1 (en) * 2015-09-30 2017-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val surgical drape with a retraction member
EP3167855A1 (en) * 2015-11-13 2017-05-17 Mölnlycke Health Care AB Medical dressing
USD773060S1 (en) * 2015-12-21 2016-11-29 Covidien Lp Sacral wound dressing
CN105476752A (zh) * 2015-12-30 2016-04-13 孙硕 一种耐久性创可贴
USD790715S1 (en) * 2016-12-16 2017-06-27 Jason Camper Nutritional adhesive
JP7114271B2 (ja) * 2018-02-26 2022-08-0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貼付用補助具
JP6706398B2 (ja) * 2018-03-23 2020-06-03 株式会社共和 皮膚貼付用シート
USD890231S1 (en) * 2018-05-04 2020-07-14 Irobot Corporation Debris container
CN108670498A (zh) * 2018-05-25 2018-10-19 海口市人民医院(中南大学湘雅医学院附属海口医院) 一种血管内用支架及其使用方法
US11666680B2 (en) 2018-08-28 2023-06-06 Aatru Medical, LLC Dressing
US11007083B2 (en) * 2018-08-28 2021-05-18 Aatru Medical, LLC Dressing
US20200100539A1 (en) * 2018-10-01 2020-04-02 Jim MENDOZA Smokable shell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N110051825B (zh) * 2019-05-29 2022-09-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带状疱疹治疗贴
WO2021106214A1 (ja) * 2019-11-29 2021-06-03 小林製薬株式会社 貼付剤
CN115666571A (zh) * 2020-05-20 2023-01-31 美德阿利克斯株式会社 含有阿扑吗啡的经皮吸收型制剂
EP4356884A1 (en) * 2022-10-17 2024-04-24 Mölnlycke Health Care AB A dressing comprising a patterned release liner
EP4356885A1 (en) * 2022-10-17 2024-04-24 Mölnlycke Health Care AB A dressing comprising a skin and/or wound beneficial coa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1221A (ja) 1998-12-09 2002-09-24 メールンリユーケ ヘルス ケアー アーベー グリップタブを含む接着性表面保護シートを作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3209A (en) 1939-10-24 1941-02-25 Duke Lab Inc Surgical dressing
US2280506A (en) 1941-03-10 1942-04-21 Richard T Betts Surgical dressing
US2992644A (en) 1959-01-02 1961-07-18 Johnson & Johnson Dressing
US3156242A (en) 1962-03-29 1964-11-10 Johnson & Johnson Flexible absorbent sheet
US3260260A (en) 1964-09-16 1966-07-12 Morgan Adhesives Co Surgical drape or laminate
US3367329A (en) 1965-08-27 1968-02-06 Gen Electric Surgical bandag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3416524A (en) 1966-12-16 1968-12-17 Parke Davis & Co Surgical dressing
NO134790C (no) 1968-07-09 1984-03-22 Smith & Nephew Klebende,; trykkfoelsomt, vanndamp-permeabelt produkt for bruk paa hud hos mennesker.
US3811438A (en) 1972-03-30 1974-05-21 G Economou Adhesive tapes and bandages
US3885559A (en) 1972-07-24 1975-05-27 George J Economou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pain in the removal of adhesive tapes and bandages
JPS5331719B2 (ko) 1974-04-09 1978-09-04
JPS50133797U (ko) 1974-04-18 1975-11-04
US3989040A (en) 1975-03-17 1976-11-02 Kimberly-Clark Corporation Patient extremity surgical drape
US4265234A (en) 1979-11-14 1981-05-05 The Kendall Company Dressing composite
US4374520A (en) 1980-09-11 1983-02-22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andaging a patient
US4649909A (en) 1981-12-11 1987-03-17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Composite surgical dressing
NZ206837A (en) 1983-01-27 1986-08-08 Johnson & Johnson Prod Inc Thin film adhesive dressing:backing material in three sections
US4513739A (en) 1983-02-15 1985-04-30 Howmedica, Inc. Wound dressing
US4600001A (en) 1984-08-15 1986-07-15 The Kendall Company Combined wound dressing and delivery means composite
US4685455A (en) 1984-10-16 1987-08-11 Akzo Nv Watervapor-permeable, pressure sensitive, antiseptic wound covering material
US4780168A (en) 1984-10-22 1988-10-25 Genetic Laboratories, Inc. Wound closure strips
US4950282A (en) 1984-10-22 1990-08-21 Genetic Laboratories, Inc. Wound closure strips
USRE33353E (en) 1985-01-24 1990-09-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in film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US5153040A (en) 1985-03-11 1992-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Wound dressing
US4664106A (en) 1985-12-20 1987-05-12 Labeltape Meditect Inc. Wound dressing
US4744355A (en) 1986-05-23 1988-05-17 Faasse Jr Adrian L Hinged end wound dressing
US5147698A (en) 1986-09-30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article having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US5009224A (en) 1986-09-30 1991-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attaching a pressure-sensitive film article having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US4743232A (en) 1986-10-06 1988-05-10 The Clinipad Corporation Package assembly for plastic film bandage
US4915228A (en) 1987-12-23 1990-04-10 Smith & Nephew United, Inc. One step dressing delivery system
US4915227A (en) 1987-12-23 1990-04-10 Smith & Nephew United, Inc. One step dressing delivery system
US4781293A (en) 1987-12-23 1988-11-01 Pfizer Hospital Products Group, Inc. One step dressing delivery system
US5042466A (en) 1988-02-09 1991-08-27 The Kendall Company Wound dressing with treated release sheet
US4832008A (en) 1988-02-09 1989-05-23 The Kendall Company Wound dressing with release sheets strip
US5088483A (en) 1988-11-04 1992-0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dhesive frame bandage
US5074293A (en) * 1988-11-30 1991-12-24 Sherwood Medical Company Wound dressing having peeling-force varying release liners
US4917928A (en) 1988-12-02 1990-04-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olded adhesive film dressing
US4917929A (en) 1989-01-18 1990-04-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ne piece adhesive bandage and package unit
US5052381A (en) * 1990-03-19 1991-10-01 The B. F. Goodrich Company Adhesive wound dressing and perforated shield
US5160315A (en) 1991-04-05 1992-11-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bined adhesive strip and transparent dressing delivery system
JPH07500751A (ja) 1991-11-06 1995-01-26 ビオダーム・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密封包帯材及びアプリケーター
US5360393A (en) 1992-10-19 1994-11-01 California Medical Products, Inc. Dual adhesive strap for head immobilization
EP0746293B1 (en) 1993-05-04 2003-02-05 GENG, Lisa Fernandez Wound dressing
GB9310185D0 (en) 1993-05-18 1993-06-30 Giltech Ltd Wound dressing
US5683354A (en) 1993-07-06 1997-11-04 Levy; Raymond H. Adhesive bandage for a digit of a human hand or foot
CA2127173A1 (en) 1993-07-20 1995-01-21 Frank S. Castellana Medical dressing with semi-peripheral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5527271A (en) 1994-03-30 1996-06-18 Bristol-Myers Squibb Co. Thermoplastic hydrogel impregnated composite material
AU123466S (en) 1994-04-05 1995-05-16 Astra Ab Topical dressing containing active substance
US5653699A (en) 1994-09-13 1997-08-05 Polymedica Industries, Inc. Spyrosorbent wound dressings for exudate management
JP3192333B2 (ja) * 1994-10-14 2001-07-2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5840052A (en) 1995-01-27 1998-11-24 Bertek, Inc. Adhesive dressing applicator
NL1001019C2 (nl) * 1995-08-22 1997-02-25 Lamers Beheer Bv Pleisterlaminaat.
USD385038S (en) 1995-11-02 1997-10-14 Tecnol Medical Products, Inc. Wound closure dressing
US5820578A (en) 1996-02-05 1998-10-13 Johansen; Christen Bandage
JP3754744B2 (ja) * 1996-03-01 2006-03-15 株式会社共和 粘着フィルム
EP0910303B1 (en) 1996-05-16 2002-03-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rgical incise drape
EP0921775B1 (en) 1996-07-02 2001-12-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dical adhesive composite and package
USD410087S (en) 1996-07-02 1999-05-18 Dunshee Wayne K Adhesive bandage
US5733251A (en) 1996-08-20 1998-03-31 Medical Device Designs, Inc. Pop top dressing applicator
US5823977A (en) 1997-03-13 1998-10-20 Dalyea; Lorraine Waterproof protective covering for medical uses
EP2193754B1 (en) 1997-05-16 2013-07-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rgical incise drape
USD409754S (en) 1998-04-13 1999-05-11 Dunshee Wayne K Bandage
USD408541S (en) 1998-04-13 1999-04-20 Dunshee Wayne K Bandage and bandage with carrier
US6120792A (en) * 1998-04-29 2000-09-19 Juni; Jack E. Medicated skin patch and method for its use
US6607799B1 (en) 1998-10-15 2003-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159497A (en) 1998-10-30 2000-12-12 Noven Pharmaceuticals, Inc. Patch applicator
JP3135535B2 (ja) 1998-11-20 2001-02-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その駆動装置
USD433140S (en) 1998-12-03 2000-10-31 Coloplast A/S Wound care dressing
CA2352046A1 (en) 1998-12-07 2000-06-15 Novozymes A/S Glucoamylases with n-terminal extensions
JP2000219622A (ja) 1999-01-29 2000-08-08 Toko Yakuhin Kogyo Kk パップ剤の構造
USD430674S (en) 2000-01-07 2000-09-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bandage
JP2001198160A (ja) 2000-01-21 2001-07-24 Uni Charm Corp 水解性の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07942A1 (de) * 2000-02-22 2001-09-06 Lohmann Therapie Syst Lts Verpackung für wirkstoffhaltige Pflaster
USD458687S1 (en) 2000-09-29 2002-06-11 Cynthia Mary Dale Dressing
US6706940B2 (en) 2001-02-22 2004-03-16 George Medical, L.L.C. Transparent film dressing and a method for applying and making the same
USD473947S1 (en) 2001-03-12 2003-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tched medical dressing
USD474842S1 (en) 2001-05-22 2003-05-20 Coloplast A/S Wound dressing
USD484602S1 (en) 2002-02-27 2003-12-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Wound dressing
USD484601S1 (en) 2002-02-27 2003-12-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Wound dressing
USD480144S1 (en) 2002-06-28 2003-09-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Wound dressing
EP1565137B1 (en) 2002-11-26 2015-02-25 Coloplast A/S A dressing
USD493230S1 (en) 2003-02-19 2004-07-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ound dressing
USD503982S1 (en) 2003-02-19 2005-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ound dressing for heel
AU154236S (en) 2003-04-10 2004-01-06 Convatec Technologies Inc Wound dressing
AU154237S (en) 2003-04-10 2004-01-06 Convatec Technologies Inc Wound dressing
NL1023144C2 (nl) 2003-04-10 2004-10-13 Goyarts B V Wasbare onderlegg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onderlegger.
US20050034731A1 (en) * 2003-08-13 2005-02-17 Rousseau Robert A. Surgical wound closure device
USD495419S1 (en) 2003-08-15 2004-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US6920737B2 (en) * 2003-08-21 2005-07-26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zipper registration in packaging equipment
TWI412570B (zh) * 2004-04-27 2013-10-21 Showa Denko Kk Adhesive for patc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D557424S1 (en) 2005-04-20 2007-12-11 Ethicon, Inc. Wound dressing
US7812212B2 (en) 2005-08-23 2010-10-12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Window dressing
USD572824S1 (en) 2005-08-23 2008-07-08 Tri-State Hospital Supply Corporation Window dressing
JP5010829B2 (ja) * 2005-12-28 2012-08-29 帝國製薬株式会社 貼付剤
US7442849B2 (en) 2005-12-30 2008-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in film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D578651S1 (en) 2006-06-12 2008-10-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USD573260S1 (en) 2006-06-12 2008-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USD604423S1 (en) 2006-06-12 2009-11-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USD611156S1 (en) 2006-06-12 2010-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USD605299S1 (en) 2007-02-08 2009-12-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transdermal patch
JP5036385B2 (ja) * 2007-04-19 2012-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AU318414S (en) 2007-06-06 2008-03-12 Convatec Technologies Inc Wound dressing
JP3135535U (ja) * 2007-07-06 2007-09-20 共立薬品工業株式会社 創傷保護剤
JP5235384B2 (ja) 2007-11-08 2013-07-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貼付シート
JP2009131583A (ja) * 2007-11-30 2009-06-18 Hideya Nishimura 貼付剤用剥離シート(ライナー)
EP2347741B1 (en) * 2008-10-15 2016-09-28 Nitto Denko Corporation Film dressing
US8110718B2 (en) 2008-10-27 2012-0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in film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D625018S1 (en) 2008-11-05 2010-10-05 Smith & Nephew Plc Medical dressing
SE533536C2 (sv) * 2008-12-22 2010-10-19 Moelnlycke Health Care Ab Anordning för att underlätta applicering av en plastfilm på hud
US8212101B2 (en) 2009-02-03 2012-07-03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Window dressing having integral anchor
USD604424S1 (en) 2009-02-11 2009-11-1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Dressing
CA134186S (en) 2009-12-28 2010-11-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Medical patch
USD670395S1 (en) 2010-08-11 2012-11-0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dical transdermal patch
USD672464S1 (en) 2012-05-24 2012-1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ound dres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1221A (ja) 1998-12-09 2002-09-24 メールンリユーケ ヘルス ケアー アーベー グリップタブを含む接着性表面保護シートを作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62767B (ko) 2016-12-21
JPWO2011046024A1 (ja) 2013-03-07
US20120253255A1 (en) 2012-10-04
EP2489340B1 (en) 2016-06-01
BR112012008775A2 (pt) 2020-05-12
AU2010307797B2 (en) 2015-04-09
MY165470A (en) 2018-03-23
TWI561221B (ko) 2016-12-11
RU2552241C2 (ru) 2015-06-10
WO2011046023A1 (ja) 2011-04-21
CN102573723B (zh) 2014-12-03
BR112012008892A2 (pt) 2020-05-12
CA2777517C (en) 2015-06-23
BR112012008775B1 (pt) 2021-01-05
RU2012119543A (ru) 2013-11-20
KR20120093222A (ko) 2012-08-22
CA2777517A1 (en) 2011-04-21
KR20120086293A (ko) 2012-08-02
KR101511414B1 (ko) 2015-04-10
EP2489339A1 (en) 2012-08-22
CN102573723A (zh) 2012-07-11
CA2777676C (en) 2015-06-23
MY164418A (en) 2017-12-15
BR112012008892B8 (pt) 2021-06-22
AU2010307798A1 (en) 2012-05-17
JP5352677B2 (ja) 2013-11-27
JPWO2011046023A1 (ja) 2013-03-07
ES2523727T3 (es) 2014-12-01
EP2489339A4 (en) 2013-09-11
CA2777676A1 (en) 2011-04-21
HK1171936A1 (en) 2013-04-12
US20120234484A1 (en) 2012-09-20
RU2539555C2 (ru) 2015-01-20
JP5624175B2 (ja) 2014-11-12
WO2011046024A1 (ja) 2011-04-21
TW201130467A (en) 2011-09-16
CN102573722A (zh) 2012-07-11
BR112012008892B1 (pt) 2021-01-12
US9314378B2 (en) 2016-04-19
PT2489340T (pt) 2016-07-12
RU2012119568A (ru) 2013-11-20
HUE027594T2 (en) 2016-10-28
EP2489339B1 (en) 2014-11-05
CN102573722B (zh) 2014-07-16
TW201129346A (en) 2011-09-01
JP2013213035A (ja) 2013-10-17
EP2489340A4 (en) 2013-08-21
JP5460726B2 (ja) 2014-04-02
AU2010307797A1 (en) 2012-05-17
EP2489340A1 (en) 2012-08-22
PL2489340T3 (pl) 2016-12-30
IN2012DN03451A (ko) 2015-10-23
HK1173640A1 (en) 2013-05-24
BR112012008775B8 (pt)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383B1 (ko) 첩부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377498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ckage
EP238053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ackage
WO2007077640A1 (ja)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21726B1 (ko) 점착 테이프 포장백
AU2015203737B2 (en) Adhesive p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