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479B1 -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479B1
KR101547479B1 KR1020107001089A KR20107001089A KR101547479B1 KR 101547479 B1 KR101547479 B1 KR 101547479B1 KR 1020107001089 A KR1020107001089 A KR 1020107001089A KR 20107001089 A KR20107001089 A KR 20107001089A KR 101547479 B1 KR101547479 B1 KR 10154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edge
liner
headliner
transver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338A (ko
Inventor
칼 쿠튀리에
필립프 게를랭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3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25Roof or head liners self supporting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윈도우 글래스(3)를 접착되게 접합하기 위한 전방 은촉 이음(2)을 형성하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1)에 전방 헤드라이너(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헤드라이너(5)에는 그 전방 영역에 윈도우 글래스(3)를 향하여 상승하는 전방 가장자리(22)에서 끝나는 영역이 제공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3)와 전방 가장자리(22) 사이에 간극(B)이 형성되고, 전방 가장자리(22)에 근접하여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이 제공된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이 제공되며 제 2 위치 선정 표면은 전방 횡단 부재(1)의 전방 은촉 이음(2)에 대하여 지탱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3)와의 간극(B)이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Arrangement for fastening a motor vehicle body surface liner in the vicinity of a window glass}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하여 은촉 이음(rebate)을 형성하는 횡단 부재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윈드실드(windshield)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하여 은촉 이음을 포함하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에 근접하게 전방 헤드라이너(headliner)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 6,367,872 를 통하여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전방 루프 횡단 부재(1)는 2 개의 금속 두께로 이루어지는 전방의 은촉 이음(rebate, 2)을 포함하는 외피를 형성하고, 전방의 은촉 이음은 접합 및 감쇠를 위하여 매스틱(mastic, 9)의 층을 통해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 3)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횡단 부재(1)는 하부 벽(4)을 포함하는데, 하부벽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을 통하여 인서트(6)로 이루어진 헤드라이너(5)를 장착시킬 수 있게 하여 라이너 및 직물 덮개(7)의 형상을 제공한다. 라이너(5)의 전방 가장자리(8)는 윈도우 글래스(3)의 아래로 상승하여 전방 횡단 부재를 감춘다. 가장자리는 윈도우 글래스(3)와 라이너(5)의 가장자리 사이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3)로부터 정해진 거리를 두고 정지한다. 이러한 접촉은 소음을 발생시키고, 윈도우 글래스(3)의 상부는 종종 외부로부터 라이너(5)의 가장자리(8)를 감추도록 라커(lacquer) 층(10)에 의해 내측 표면이 덮히므로 소음 현상은 더 많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라커 층(10)의 저부와 윈도우 글래스상의 가장자리(8)의 수직 부분 사이에 대략 5 mm 의 거리(A)가 제공된다. 가장자리(8)와 라커 표면(10)의 접촉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회피되어야 한다. 이러한 소음의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간극(B)은 충분히 커야하고, 전체적으로 5 mm 정도이어야 하며, 따라서 헤드라이너의 치수 변화를 고려하고 루프 횡단 부재에 기준 위치 변화를 고려할지라도, 윈도우 글래스의 내측 표면과 헤드라이너의 가장자리 사이에 그 어떤 접촉도 없다.
윈도우 글래스의 내측에서 외부면으로부터 라커층을 제거하거나, 그것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은촉 이음의 내부층으로 이전하거나, 또는 루프 라이너의 직물 덮개를 전방 가장자리 위로 접음으로써, 간극이 5 mm 보다 작을 때 접촉에 의해서 음향학적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커의 위치를 반드시 변화시키지 않거나 또는 라이너가 접혀질 필요 없이 윈도우 글래스의 내부면과 라이너의 전방 가장자리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는 수단에 의해 달성되는데, 윈도우 글래스의 일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한 은촉 이음(rebate)을 형성하는 횡단 부재를 포함하고, 라이너는 횡단 부재에 근접하여 횡단 부재에 고정된 구조부에 고정되고, 라이너는 윈도우 글래스의 표면과 상기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에 접근하는 가장자리에서 끝나는 영역을 포함하고, 라이너는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위치 선정 표면을 포함하고, 위치 선정 표면은 횡단 부재의 은촉 이음의 단부에 대하여 지탱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와의 간극이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위치 선정 표면들이 은촉 이음의 단부에 대한 정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정지 돌출부는 상기 라이너를 단단하게 하고 상기 라이너가 은촉 이음에 대하여 텐션(tension)하에 가압될 수 있도록 라이너에 형성된 리브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이 쿼터라이트(quaterlight) 또는 후방 윈도우와 같은, 고정 윈도우 글래스의 다양한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을지라도, 대부분은 전방 루프 횡단 부재에 근접한 헤드라이너의 고정에 대부분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은 전방 헤드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한 전방의 은촉 이음을 형성하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를 포함하고, 헤드라이너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 아래에서 전방 루프 횡단 부재에 고정된 구조부에 고정되고, 윈도우 글래스의 내측 표면과 헤드라이너의 전방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향해 상승되는 전방 가장자리에서 끝나는 영역을 전방에 포함하고, 헤드라이너는 전방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전방 횡단 부재 전방의 은촉 이음의 단부에 대하여 지탱되는 위치 선정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와의 간극이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예시적인 구현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라커 표면에 의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고 윈도우 글래스의 내부면과 라이너의 전방 가장자리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루프 횡단 부재에 대하여 윈도우 글래스 및 헤드라이너의 전방 부분에 대한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헤드라이너의 전방 부분에 대한 사시 평면 및 3/4 분면을 도시하며, 이들 2 개의 부분들의 영역에서 루프 횡단 부재 및 2 개의 특정한 수직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3 은 종래 기술의 구현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 의 발명의 유사한 것이다.
도 1 은 전방 루프 횡단 부재(1)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데, 이것은 전방에서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를 접착될 수 있게 접합시키기 위하여 은촉 이음(2)을 가지는 것으로서, 은촉 이음(rebate)는 하부의 절반 외피의 가장자리(2a) 및 상부의 절반 외피의 가장자리(2b)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윈도우 글래스(3)는 상부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매스틱 시일(mastic seal, 9)에 의해 은촉 이음(2)에 접합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의 상부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그 영역에서 은촉 이음(2)에 평행하다. 횡단 부재(1)의 하부면(4)상에 헤드라이너(5)의 표면이 적용되는데, 이것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횡단 부재(1)에 고정되거나, 또는 횡단 부재(1)에 고정된 구조에 고정된다. 횡단 부재(1)에 대하여 라이너(5)의 기준을 정하는 통상적인 수단도 도시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햇빛 차단판(sun visor)의 갈고리(hook)이거나 또는 사출 성형된 쐐기부(wedge)일 수 있다.
헤드 라이너(5)는 전방에서 홈통(gutter)의 형태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전방 경사면(20)을 통해서 윈도우 글래스를 향해 상승되고, 전방 경사면은 더욱 경사지는 가장자리 영역에 의해 끝나서, 실질적으로 직각의 방식으로 윈도우 글래스(3)를 만나는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을 형성한다. 라이너(5)는 그 전방에 가장자리(22)를 가지는데, 상기 가장자리는 윈도우 글래스(3)의 하부 표면에 대하여 값(B)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라이너(5)는 라이너(5)의 단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의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을 통해서 은촉 이음(2)의 단부(이 경우에는 단일의 상부 시트(2b)의 단부)에 대하여 (라이너를 장착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가해지는) 텐션(tension)을 받으면서 지탱된다. 이러한 지지 작용 때문에, 윈도우 글래스(3)에 접선상으로의 방향(T)에 대하여 라이너(5)의 전방 가장자리(22)를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정확하다.
더욱이, 라이너(5)의 홈통 부분에 성형된 수직 리브(23)들은 상부 부분에서 가장자리(22)로부터 짧은 거리를 두고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 2 위치 선정 표면은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에 근접한 정지 돌출부를 형성하여, 라이너(5)가 상기 은촉 이음(2)에 대하여 지탱될 때 은촉 이음(2)의 배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지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윈도우 글래스에 수직인 방향(N)에서의 간극(B)은 직접적으로 은촉 이음(2)을 기준으로 하여 매우 정확하게 조절된다.
이러한 배치를 이용하여, 간극(B)은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값보다 작은, 매우 정밀한 값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 mm 의 간극을 달성할 수 있다.
리브(23)들은 지지를 위한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라이너(5)의 전방에서 홈통 형상 부분을 단단하게 하도록 이용되어, 그 부분이 보다 견고하고 유연성있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하여 은촉 이음(2)에 대하여 헤드라이너(5)의 전방 가장자리에 텐션(tension)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리브(23)들의 개수 및 형상들은 라이너를 구성하는 재료에 직접적으로 달려있다.
라이너의 위치 선정 표면들은 반드시 리브들과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가장자리(22)에 근접한 라이너의 다른 표면에 의해 위치 선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리브들은 단지 단단함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1. 전방 루프 횡단 부재 2. 은촉 이음(rebate)
3. 윈도우 글래스 4. 하부면
5. 헤드라이너 21. 제 1 위치 선정 표면
22. 전방 가장자리 23. 수직 리브(vertical ribs)

Claims (4)

  1.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5)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윈도우 글래스(3)의 일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한 은촉 이음(rebate, 2)을 형성하는 횡단 부재(1)를 포함하고, 라이너(5)는 횡단 부재(1)에 근접하여 횡단 부재(1)에 고정된 구조부에 고정되고, 라이너(5)는 윈도우 글래스(3)의 표면과 가장자리(22) 사이에 간극(B)을 형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3)에 접근하는 가장자리(22)에서 끝나는 영역을 포함하고,
    라이너(5)는 가장자리(22)에 인접하여 횡단 부재(1)의 은촉 이음(2)의 단부에 대하여 지탱되는 제 1 위치 선정 표면(21) 및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은 윈도우 글래스(3)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라이너(5)의 가장자리(22)가 윈도우 글래스(3)의 표면에 대한 접선 방향(T)으로 위치됨으로써, 은촉 이음(2)의 단부가 상기 제 1 위치 선정 표면(21)에 대하여 상기 접선 방향(T)으로 접촉하고,
    상기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이 윈도우 글래스(3)의 표면에 대한 직각 방향(N)으로 상기 은촉 이음(2)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가장자리(22)와 상기 윈도우 글래스(3) 사이의 간극(B)이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은 라이너(5)에 형성된 리브(23)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전방 헤드라이너(5)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윈도우 글래스(3)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윈도우 글래스(3)를 접착되게 접합시키기 위한 전방의 은촉 이음(2)을 형성하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1)를 포함하고, 헤드라이너(5)는, 전방 루프 횡단 부재(1) 아래에서 전방 루프 횡단 부재(1)에 고정된 구조부에 고정되고, 윈도우 글래스(3)의 내측 표면과 헤드라이너(5)의 전방 가장자리(22) 사이에 간극(B)을 형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3)를 향해 상승되는 전방 가장자리(22)에서 끝나는 영역을 전방에 포함하고,
    헤드라이너(5)는 전방 가장자리(22)에 근접하여 전방 횡단 부재(1)의 전방의 은촉 이음(2)의 단부에 대하여 지탱되는 제 1 위치 선정 표면(21) 및 제 2 위치 선정 표면(24)을 포함함으로써, 윈도우 글래스(3)와의 간극(B)이 정확하게 정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헤드라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107001089A 2007-07-19 2008-07-18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KR101547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5228 2007-07-19
FR0705228A FR2918955B1 (fr) 2007-07-19 2007-07-19 Agencement de fixation d'une garniture d'une surface de carrosserie automobile au voisinage d'un vitrage
PCT/FR2008/051360 WO2009016305A2 (fr) 2007-07-19 2008-07-18 Agencement de fixation d'une garniture d'une surface de carrosserie automobile au voisinage d'un vit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338A KR20100039338A (ko) 2010-04-15
KR101547479B1 true KR101547479B1 (ko) 2015-08-26

Family

ID=3897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89A KR101547479B1 (ko) 2007-07-19 2008-07-18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167349B1 (ko)
JP (1) JP5437239B2 (ko)
KR (1) KR101547479B1 (ko)
AT (1) ATE508013T1 (ko)
DE (1) DE602008006726D1 (ko)
FR (1) FR2918955B1 (ko)
WO (1) WO20090163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6086B2 (ja) * 2012-09-24 2016-11-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装飾部品の合わせ部構造
JP6090627B2 (ja) 2013-06-24 2017-03-08 スズキ株式会社 ルーフフロントクロスメンバ部の構造
WO2018182540A1 (en) * 2017-03-28 2018-10-04 Asian Honda Motor Co., Ltd. Roof structure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301A (ja) * 1997-03-06 2001-09-25 メリトーア・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用ルーフ及びこの車両用ルーフをボデーに取り付け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1716A (en) * 1968-05-28 1969-06-24 Gen Motors Corp Retainer assembly for vehicle bodies
DE2845708A1 (de) * 1978-10-20 1980-04-24 Audi Nsu Auto Unio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sow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kraftfahrzeugkarosserie
FR2529844A1 (fr) * 1982-07-07 1984-01-13 Renault Panneau de voute de pavillon,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3720960A1 (de) * 1987-06-25 1989-01-12 Daimler Benz Ag Vorderwandsaeule eines kraftfahrzeuges
DE3936372A1 (de) * 1989-11-02 1991-05-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JPH0636999U (ja) * 1992-10-22 1994-05-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3206792B2 (ja) * 1994-12-22 2001-09-10 スズキ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US5593182A (en) * 1995-09-01 1997-01-14 Davidson Textron Inc. Energy absorbent interior trim for vehicle
JPH09328047A (ja) * 1996-04-10 1997-12-2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上部の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GB2314049B (en) * 1996-04-26 1998-08-19 Nissan Motor Interior material for automotive vehicle
JP4360003B2 (ja) * 2000-04-12 2009-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ピラー部構造
DE10024237A1 (de) * 2000-05-17 2001-11-22 Volkswagen Ag Kederlose Befestigungsanordnung eines Formhimmels an der Dachöffnung eines Fahrzeugs
FR2863567B1 (fr) * 2003-12-15 2006-02-17 Renault Sas Vehicule automobile a ouverture anti-gout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301A (ja) * 1997-03-06 2001-09-25 メリトーア・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用ルーフ及びこの車両用ルーフをボデーに取り付け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3619A (ja) 2010-10-28
EP2167349A2 (fr) 2010-03-31
EP2167349B1 (fr) 2011-05-04
JP5437239B2 (ja) 2014-03-12
FR2918955B1 (fr) 2010-01-01
WO2009016305A2 (fr) 2009-02-05
FR2918955A1 (fr) 2009-01-23
WO2009016305A3 (fr) 2009-04-09
DE602008006726D1 (de) 2011-06-16
KR20100039338A (ko) 2010-04-15
ATE508013T1 (de) 201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3907B1 (en) Visor for an automobile
JP2002002535A (ja) ルーフモジュールを備えた車両ルーフ並びにこのルーフモジュールの製作方法
JP2017535474A (ja) 取り外しのできる下面を有する自動車のスポイラー
KR101547479B1 (ko)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JP4651788B2 (ja) カウルパネル・フロントバルクヘッド構造
US20070259556A1 (en) Rigidity of vehicle body panels
JP4029716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取付構造
JPH1129065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JPS5917710Y2 (ja) ル−フフイニツシヤの取付構造
JP2019172187A (ja) 部品接合方法、車両外装品およびルーフスポイラのサイド部とその製造方法
JP5016660B2 (ja) 車両用スポイラの取付構造
JP3213804B2 (ja) オーバフェンダ部材へのモールディング装着構造
JPH0314427Y2 (ko)
JP4231566B2 (ja) 自動車トリム
CN110962761A (zh) 一种窗下框装饰件及车辆
JPH0356203B2 (ko)
JPH0146324B2 (ko)
JP7351146B2 (ja) 車両用ガラスモール構造および車両製造方法
KR100823993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JP2002114041A (ja) 樹脂製サンルーフパネル
JP2006035997A (ja) 自動車用成形天井
KR200149124Y1 (ko) 자동차의리어글래스장착구조
KR0126230Y1 (ko) 차체의 록커패널용 몰딩 체결구조
JP4085238B2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
JPH0625371Y2 (ja) 車輌のフロント硝子用モールディングの隙間閉塞条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