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93B1 -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93B1
KR100823993B1 KR1020070105797A KR20070105797A KR100823993B1 KR 100823993 B1 KR100823993 B1 KR 100823993B1 KR 1020070105797 A KR1020070105797 A KR 1020070105797A KR 20070105797 A KR20070105797 A KR 20070105797A KR 100823993 B1 KR100823993 B1 KR 10082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resin molding
coil
coupled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덕
Original Assignee
이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덕 filed Critical 이환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2Superstructures characterized by combining metal and plastics, i.e. hybr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코일과 그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의 차체 외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차체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윈드 노이즈(wind noise)를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은, 몰딩의 형상으로 가공되는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은 스테인레스 코일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접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몰딩, 차량, 사출, 보스, 립, 수지성형물

Description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Trim molding for vehicl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코일과 그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의 차체 외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차체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윈드 노이즈(wind noise)를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외장 몰딩은 자동차의 차체 외부에 결합되는 외장품의 일종으로서, 대표적으로 자동차 도어 상부 차체 프레임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서라운드 몰딩(surrounding molding),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자동차 도어에 결합되는 사이드몰딩(side molding) 및 자동차 범퍼에 결합되는 범퍼 몰딩(bumper molding) 등이 있다. 자동차 외장 몰딩은 기본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윈드 노이즈(wind noise)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외에도 외부 에서 그 형상이 인식되므로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 자동차를 고급화할 수 있는 부품이다.
한편, 서라운드 몰딩(surrounding molding), 사이드 몰딩(side molding) 및 범퍼 몰딩(bumper molding)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의 구성이 거의 유사하므로 이들 각각에 대하여 모두 다 설명을 하면 설명이 중복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차용 외장 몰딩을 서라운드 몰딩(surrounding molding)에 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에서의 설명이 사이드 몰딩(side molding) 및 범퍼 몰딩(bumper molding)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서라운드 몰딩(surrounding molding)은 구체적으로 차체 프레임과 도어간의 틈새를 보완하기 위하여 차체의 사이드 패널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서라운드 몰딩은 드립 레일 몰딩(Drip rail molding)과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Rear piece drip rail molding)의 두 구성품이 별도로 제작된 후 하나의 몰딩으로 조립되어 차량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라운드 몰딩은 드립 레일 몰딩과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을 일체로하여 제작하거나, 스테인레스 코일과 몰딩의 수지성형물을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방법도 있다.
종래의 상기 드립 레일 몰딩은 27가지의 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되는데, 개략적인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PVC와의 접착을 위해 스테인레스 코일의 한쪽면에 접착제 본딩 → 건조 → 12 단계를 거쳐 스테인레스 코일을 몰딩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 성형 → PVC를 롤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 몰딩 표면에 압출 → 냉각 → 일정 길이의 몰딩으로 절단 →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차체의 측면 프레임 형상으로 스트래치 벤딩 → 프레스 작업(전면 끝단 절단 → 끝단의 각도 절단 → 노칭 → 후면 끝단 절단) →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과 조립되는 끝단부 고속 톱날 커팅 → 차량의 전부쪽 끝부분을 마무리하기 위한 사출부 접착제 본딩 → 끝부분 사출부에 PVC의 인서트 사출 → 드립 레일 몰딩의 안쪽면에 차체와 조립하기 위한 클립의 조립 (클립은 사출 성형한 다음 가공하여 별도 제조 후 드립 레일 몰딩에 조립)의 순서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드립 레일 몰딩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드립 레일을 제작한 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스포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되, 종래의 드립 레일몰딩이 롤 포밍과 압출공정으로 제조되므로 드립 레일은 드립 레일 몰딩의 조립을 위하여 필요하며 차체 제조공정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은 약 21가지의 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되는데, 개략적인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스테인레스 코일을 몰딩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 → 스테인레스 코일 몰딩 표면에 보호형 테이프 부착(이동 중 표면의 긁힘등을 방지) → 보호용 테이프 제거 후 몰딩 표면의 초음파 세척 → 건조 → PVC를 사출할 때 스테인레스 코일과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몰딩 표면에 접착제 본딩 → 건조 → 접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2차 본딩 → 건조 → 접착제를 예열하기 위해 고주파 예열기로 고주파 예열 → 몰딩 표면에 PVC의 사출성형 → 불필요한 사출 게이트 제거 및 마무리 → 보 호형 테이프 부착 → 조립전용 지그를 사용한 클립의 조립 → 드립 레일 몰딩과 일자로 조립하기 위한 조인트부 스포트 용접의 순서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의 안쪽면에 부착된 클립이 차체 프레임에 미리 형성된 조립용 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상기 리어 피이스 드립 레일 몰딩을 장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라운드 몰딩 제조방법은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그 구성 또한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몰딩을 차량의 차체에 체결하는 클립의 형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 클립의 형상에 맞도록 몰딩을 별도 제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외장 몰딩의 구조 및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킴으로써, 차량용 몰딩의 생산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몰딩을 차량의 차체에 체결하는 모든 다양한 클립에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보스가 몰딩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차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고속운행에도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는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은,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양측에 결합부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로 구성되되, 상기 수지성형물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은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에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수지성형물로 구성되되, 상기 수지성형물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은 자동차에 부착하는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 일부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에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양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성형물은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지성형물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스테인레스 코일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스테인레스 코일의 양측이 절곡된 결합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수단은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지성형물에는 다수 개의 보스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스는 수지성형물과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스는 수지성형물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스는 수지성형물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성형물에는 보스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체결공에는 상기 보스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성형물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에는 접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에는 완충재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하여 스테인레스 코일을 성형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와; 상기 프레스 블랭킹하여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에 굴곡부와 결합부를 성형하는 프레스 포밍단계와; 합성수지로 수지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수지성형물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립을 형성하는 립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하여 스테인레스 코일을 성형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와; 상기 프레스 블랭킹하여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에 굴곡부를 성형하는 프레스 포밍단계와; 합성수지로 수지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립을 형성하는 립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지성형물의 상부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가 설치하는 접착테이프 설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스 포밍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일의 일측에 고정부를 절곡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는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 일부에 결합되어, 다수 개의 보스가 돌출 형성된 수지성형물과,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지성형물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에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몰딩의 수지성형물에 보스체결공을 형성하고 여러 형태로 별도 성형된 보스 중 차량의 차체와 체결되는 클립과 이에 맞는 보스를 선택하여 상기 수지성형물의 보스체결공에 나사결합하여 몰딩을 차체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든 다양한 형태의 클립을 본 발명의 몰딩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보스가 몰딩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차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고속운행에도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이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이하 '몰딩'이라 함)(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1) 외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차체(1)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윈드 노이즈(wind noise)를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2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지성형물(20)은 합성수지를 몰딩(100)의 형상으로 사출하여서 성형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 가공하여 몰딩(100)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를 실시하고, 상기 프레스 블랭킹 단계를 통해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을 몰딩(100)의 형상이 갖는 곡률로 가공하는 프레스 포밍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 포밍 단계에서는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결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수지성형물(20)을 스테인레스 코일(3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3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결합편(31a)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결합돌기(31b)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딩(100)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성형물(20)을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부에 삽입하고,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톱니 형상의 돌출편(31a)을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된 돌출편(31a)이 상기 수지성형물(20)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몰딩(100)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수지성형물(20)을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결합돌기(31b)가 상기 수지성형물(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부에는 결합편(31a)을 형성시키고, 나머지 부분에는 결합돌기(31b)를 형성시켜 수지성형물(20)을 고정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지성형물(20)과 스테인레스 코일(30)은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는데, 그것은 접착수단(60)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에 접착수단(60)을 도포한 후 수지성형물(2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60)으로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성형물(20)과 스테인레스 코일(3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31)를 이용한 결합시에도 상기 수지성형물(20)을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접착수단(60)을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부에만 결합될 수도 있는데, 몰딩(100)의 폭이 변화하는 가변 몰딩의 경우 폭이 좁아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수지성형물(20)을 결합시키기가 어렵고, 수지성형물(20)이 없어도 차체(1)와 몰딩(100)의 결합력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31)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60)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 즉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몰딩(100)을 차체(1)에 삽입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32)가 절곡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부(3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 모두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 즉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양면 접착테이프(70)를 부가 설치하여 몰딩(100)이 차체(1)에 보다 단단히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재(90)가 부가 설치되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차체(1)의 진동에 의해 몰딩(100)이 차체(1)와 부딪히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이 결합된 수지성형물(20) 또는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 측면에는 립(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립(40)은 차체(1)와 몰딩(100) 사이의 틈으로 먼지나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고, 몰딩(100)과 차체(1)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체(1)의 내부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사출에 의해 성형되거나, 접착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립(40)은 도 4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 측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 측면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자동차의 차체(1)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다수 개의 보스(50)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5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보스(50)는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성형물(20)과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스(50)가 상기 수지성형물(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몰딩(100) 제조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스(50)는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지성형물(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스(50)가 설치되어야 할 수지성형물(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보스(50)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몰딩(100)의 폭이 변하는 가변 몰딩의 경우 폭이 좁은 부분에서 보스(50)의 설치가 어려울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스(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성형물(20)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지성형물(20)에 보스(50)를 체결하기 위한 보스결합공(21)을 형성시키되, 상기 보스결합공(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2) 이 형성되어 상기 보스(50)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스(50)는 별도로 제작되며, 보스(50)의 하단부, 즉 상기 수지성형물(20)의 보스결합공(21)에 결합되는 체결부(51)에는 상기 나사산(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보스(50)를 수지성형물(20)에 착탈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보스(50)와 수지성형물(20) 사이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보스(50)가 몰딩(1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몰딩(100)과 자동차의 차체(1)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클립(80)이 부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클립(80)은 상기 보스(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접착수단 또는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수지성형물(2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클립(8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스(50)에 끼워 자동차의 차체(1)에 삽입함으로써 몰딩(100)이 차체(1)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립(80)의 하단 외주연에는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85)가 부가 설치되어 고속주행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80)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 몰딩(1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전술한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서와 마찬가지로 양면 접착테이프(70)를 부가 설치하여 몰딩(100)이 차체(1)에 보다 단단히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행시 차체(1)의 진동에 의해 몰딩(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 가공하여 몰딩(100)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를 실시하고, 상기 프레스 블랭킹 단계를 통해 형성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을 몰딩(100)의 형상이 갖는 곡률로 가공하는 프레스 포밍 단계(도 8의 (b))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프레스 포밍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부(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프레스 포밍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에 스테인레스 코일(30)을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32)를 절곡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크 단계(도 8의 (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고정부(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는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합성수지를 몰딩(100)의 형상으로 사출성형하여서 수지성형물(20)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5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스(50)가 수지성형물(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사출성형된 수지성형물(20)을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 일(30)에 삽입시킨 후,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31)를 절곡시켜 수지성형물(20)과 스테인레스 코일(30)을 고정 결합시킨다(도 8의 (e)). 이때, 상기 수지성형물(20)과 스테인레스 코일(30)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의 사이에 접착제,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60)을 부가할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이 결합된 수지성형물(20)을 금형에 안치시킨 후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의 결합부 일측 또는 양측에 립(40)을 형성시키는 인서트 사출단계를 실시하는데, 이때 상기 립(40)은 도 8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을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사출하여 수지성형물(20)과 스테인레스 코일(30) 사이의 결합력 및 립(40)과 스테인레스 코일(30) 및 수지성형물(2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립(40)은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미도시)을 통해 스테인레스 코일(30) 또는 수지성형물(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 도 8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에 클립(80)을 부가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클립(80)은 몰딩(100)을 자동차의 차체(1)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스(50)를 클립(80)에 끼워서 사용하거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수지성형물(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몰딩(100)은 보스(50)에 의해서만 차체(1)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의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립(80)의 하단 외주연에 고무 재질의 패드(85)를 부가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패드(85)는 자동차의 주행시 차체(1)의 진동에 의해 상기 클립(80)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클립(80)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접착수단(미도시)을 통해 클립(80)에 고정 설치된다.
그 후, 상기 몰딩(100)이 차체(1)와 보다 강력하게 결합되고, 차체(1)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의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에 양면 접착테이프(70)를 부가 설치할 수도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부에만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경우에는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 양면 접착테이프(70)와 같은 접착수단을 설치하여 몰딩(100)과 차체(1)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거나, 완충재(90)를 부가 설치하여 주행시 몰딩(100)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테인레스 코일을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코일(30)을 제조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합성수지를 몰딩(100)의 형상으로 사출성형하여서 수지성형물(20)을 제조하는 사출단계를 실시하는데, 이때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보스(50)를 체결하는 보스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스체결공(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고, 별도로 사출성형되는 보스(50) 의 하단 외주연, 즉 보스(50)가 상기 수지성형물(20)과 결합되는 체결부(51)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50)가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성형물(20)과 보스(50)가 별도로 형성되어 운반시 보스(50)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지성형물(20)과 보스(50)가 나사결합되므로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지성형물(20)을 스테인레스 코일(30)에 삽입시킨 후,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편(31a)을 절곡시켜 수지성형물(20)이 스테인레스 코일(3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결합된 수지성형물(20)에 립(40)을 부가 설치하고, 클립(80), 패드(85), 양면 접착테이프(70) 등을 설치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체결공(21)에 보스(50)를 결합시킬 때 접착제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결합돌기(31b)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포밍한 후,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을 벌려 수지성형물(20)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31b)에 의해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이 고정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나머지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측면에 결합부(31)를 형성시키는 대신, 수지성형물(20)과 결합되는 면에 접착제, 양면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수단(60)을 설치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이 접착수단(60)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공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그 구성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차체(1)와 몰딩(100) 사이의 결합력,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 사이의 결합력, 수지성형물(20)과 보스(5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몰딩(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가 고속 주행시에도 진동에 의한 몰딩(100)의 파손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몰딩의 폭이 변하는 가변 몰딩의 경우 폭이 좁은 부분에서는 보스를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키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는 스테인레스 코일과 그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동차의 차체 외부에 결합되어 자동차 차체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윈드 노이즈(wind noise)를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이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장 몰딩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조공정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0 : 수지성형물
21 : 보스체결공 22 : 나사산
30 : 스테인레스 코일 31 : 결합부
31a : 결합편 31b : 결합돌기
32 : 고정부 40 : 립
50 : 보스 51 : 체결부
60 : 접착수단 70 : 양면 접착테이프
80 : 클립 85 : 패드
90 : 완충재 100 : 몰딩

Claims (26)

  1.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양측에 결합부(31)가 형성된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결합부(31)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지성형물(20)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7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2.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에 접착수단(60)에 의해 결합되는 수지성형물(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지성형물(20)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7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3.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 일부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고정부(32)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는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성형물(20)은 상기 결합부(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은 접착수단(60)에 의해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립(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는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편(3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는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양측이 절곡된 결합돌기(3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0.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60)은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다수 개의 보스(5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50)는 수지성형물(20)과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50)는 수지성형물(2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50)는 수지성형물(2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에는 보스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체결공(21)에는 상기 보스(5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6. 제 3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의 상부에는 양면 접착테이프(7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접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완충재(90)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19.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하여 스테인레스 코일(30)을 성형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와;
    상기 프레스 블랭킹하여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30)에 굴곡부와 결합부를 성형하는 프레스 포밍단계와;
    합성수지로 수지성형물(20)을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수지성형물(20)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립(40)을 형성하는 립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20.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블랭킹하여 스테인레스 코일(30)을 성형하는 프레스 블랭킹 단계와;
    상기 프레스 블랭킹하여 성형된 스테인레스 코일(30)에 굴곡부를 성형하는 프레스 포밍단계와;
    합성수지로 수지성형물(20)을 사출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수지성형물(20)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립(40)을 형성하는 립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21. 삭제
  22.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지성형물(20)의 상부에 양면 접착테이프(70)를 부가 설치하는 접착테이프 설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23.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포밍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스 포밍된 스테인레스 코일(30)의 일측에 고정부(32)를 절곡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 접착테이프(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25. 자동차에 부착되는 차량용 외장 몰딩에 있어서,
    몰딩 형상으로 가공된 스테인레스 코일(30)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30)의 내측 일부에 결합되어, 다수 개의 보스(50)가 돌출 형성된 수지성형물(20)과,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성형물(20)이 결합된 타측의 스테인레스 코일(30)에는 고정부(32)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 몰딩.
KR1020070105797A 2007-07-17 2007-10-19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1411 2007-07-17
KR1020070071411 2007-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993B1 true KR100823993B1 (ko) 2008-04-23

Family

ID=3957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797A KR100823993B1 (ko) 2007-07-17 2007-10-19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624A (ko) * 2004-01-20 2004-02-14 이환덕 자동차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자동차용 외장 몰딩
KR20040104306A (ko) * 2003-12-10 2004-12-10 이환길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0571599B1 (ko) * 2003-12-10 2006-04-24 이환길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 제조방법
JP2008003008A (ja) * 2006-06-23 2008-01-10 Yokogawa Electric Corp 光パルス試験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306A (ko) * 2003-12-10 2004-12-10 이환길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0571599B1 (ko) * 2003-12-10 2006-04-24 이환길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 제조방법
KR20040014624A (ko) * 2004-01-20 2004-02-14 이환덕 자동차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자동차용 외장 몰딩
JP2008003008A (ja) * 2006-06-23 2008-01-10 Yokogawa Electric Corp 光パルス試験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84836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4-0014624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4-0104306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571599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4859B (zh) 机动车辆的后扰流板
EP1456074B1 (en) Front end assembly with component integration panel
US20080217958A1 (en) Support apparatus for a shell piece of an automobile vehicle, system comprising the support apparatus, and fixation method of the support apparatus
CN108725339B (zh) 集成天线的饰件
KR20090064213A (ko) 차량의 도어프레임 가니쉬 장착구조
KR100613708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디프로스터 덕트
JP4206878B2 (ja) 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JP4029716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取付構造
KR100823993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501B1 (ko) 장착 구조가 개선된 suv용 쿼터 글라스
KR100521201B1 (ko) 차량용 끼움 조립식 리어 범퍼
KR100946382B1 (ko)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KR101547479B1 (ko) 윈도우 글래스에 근접하게 차량 동체 표면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장치
KR100826680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941504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943075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JP3610800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ー内遮音材取付構造
KR100943082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KR100323914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트림 장착구조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20070066280A (ko) 자동차의 범퍼
KR10225978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구조
JP2004161125A (ja) 車両用ドアパネル
JP2006035997A (ja) 自動車用成形天井
KR101198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쿼드런트 커버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