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678B1 - 전자부품 실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678B1
KR101543678B1 KR1020140003383A KR20140003383A KR101543678B1 KR 101543678 B1 KR101543678 B1 KR 101543678B1 KR 1020140003383 A KR1020140003383 A KR 1020140003383A KR 20140003383 A KR20140003383 A KR 20140003383A KR 101543678 B1 KR101543678 B1 KR 10154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ubstrate
mov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486A (ko
Inventor
키요타카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반입하는 반입부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반입부에 의해 반입된 인쇄회로기판을 Y 방향에서 이동시키는 제 1 기판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제 1 기판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인쇄회로기판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기판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부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Y 방향에서 상면에 전자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제 2 기판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제 2 기판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인쇄회로기판을 X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출하는 반출부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방향에서 사이즈가 작은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위에 실장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부품 실장장치(이하 간단히 실장장치라 지칭함)는 인쇄회로기판을 수평방향으로 제공하는 반송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 반입부, 실장 시에 그 상면에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는 기판 지지부, 인쇄회로기판 반출부는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이러한 유형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높은 생산성을 얻기 위해서 일본특허 제4278903호(이하 간단히 문헌 1이라 지칭함) 또는 일본특개 제2003-163498호(이하 간단히 문헌 2라 지칭함)에 나타난 형태를 채용한다.
문헌 1은 복수의 실장장치가 반송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형성된 실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문헌 1에 개시된 실장장치는 두 개의 반송장치를 포함한다. 이들 반송장치는 하류 측 실장장치에 인쇄회로기판을 보내기 위하여 복수의 실장장치 중의 한 실장장치를 우회시키게 되며 이것이 실장의 지연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송장치는 반송방향에 수직인 한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배분 컨베이어는 인쇄회로기판이 반송되는 반송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들 반송장치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문헌 2는 복수의 실장장치가 반송방향에 수직인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형성된 실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문헌 2에 기재된 각각의 실장장치를 위한 반송장치는 반입 컨베이어와 반출 컨베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반출 컨베이어는 인쇄회로기판을 모든 반송장치의 상류측 단부로 보낼 수 있다. 반출 컨베이어는 모든 반송장치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반입부, 기판 고정부와 인쇄회로기판 반출부가 인쇄회로기판 반송 장치의 반송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통상적인 일반 실장장치는 반송방향에서 그 치수를 줄이는데 제한이 있다.
문헌 1에 기재된 실장장치에서는, 배분 컨베이어가 복수의 실장장치 사이에 구비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반송방향에서 그 크기가 증가 된다.
문헌 2에 기재된 실장장치에서는, 반입 컨베이어와 반출 컨베이어가 상류 및 하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반송방향에서 그 크기가 증가 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서 사이즈가 작은(compact)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반입하기 위하여 제 1 수평방향 상에 인쇄회로기판을 이동시키는 반입부; 상기 반입부에 의해 반입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수평방향에 수직인 제 2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기판 이동부; 상기 제 1 기판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기판 고정부; 상기 기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부; 상면에 상기 전자 부품을 실장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제 2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기판 이동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반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판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실장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실장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기판 반송부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기판 반송부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기판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1 기판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기판 이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1 기판 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벨트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는 제 1 기판 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벨트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은 실장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장 스테이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장 스테이지의 실장판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XIX-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2 기판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기판 이동부를 위한 지지판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2 기판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XXⅢ-XX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 2 기판 이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제 2 기판 이동부를 위한 지지판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첫 번째 실시예)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부품 실장장치(1)는 한 개의 기대(2) 위에 후술하는 다양한 장치를 배치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자세한 사항은 이후 기재되지만, 다양한 장치는 인쇄회로기판(3)을 반송하는 기판 반송부(4)를 구성하는 장치와 전자부품(미도시)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부(5)를 구성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기판 반송부(4)는 기대(2) 상의 인쇄회로기판(3)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가 직교인 제 1 및 제 2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 1 수평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이며 제 2 수평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맨 아래에서 맨 위로의 방향이다. 이하, 제 1 수평방향은 X 방향이라 하며 제 2 수평방향은 Y 방향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왼쪽 측면은 도 1 및 도 2에서 X 방향에서의 상류 측면이라 하며, 오른쪽 측면은 도 1 및 도 2에서 X 방향에서의 하류 측면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 하부 측면은 도 1 및 도 2에서 Y 방향에서의 상류 측면이라 하며, 상부 측면은 도 1 및 도 2에서 Y 방향에서의 하류 측면이라 한다. 각각의 X 방향과 Y 방향의 상류 측면에서 하류 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역방향이라 한다.
기판 반송부(4)는 기대(2) 상에서 Y 방향으로 정렬된 반입부(11), 기판 고정부(12), 반출부(13)와 각 반입부(11), 기판 고정부(12), 반출부(13)사이에서 Y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키는 제 1 기판 이동부(14)와 제 2 기판 이동부(15)를 포함한다.
반입부(11)는 인쇄회로기판(3)을 반입하기 위한 컨베이어(16)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6)는 기대(2) 상에서 Y 방향으로의 상류 단부(도 1 및 도 2에서 하부 단부)에 배치되며 X 방향으로 기대(2)를 횡단한다. 인쇄회로기판(3)은 이전의 단계에서의 장치로부터 컨베이어(16) 위의 X 방향에서의 상류 단부로 이동되며 컨베이어(16)에 의해 기대(2) 위로 이동된다. 컨베이어(16)는 정해진 기판 이동면 위에서 X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킨다.
기판 고정부(12)는 X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17)와 컨베이어(17) 내부에 위치한 실장 스테이지(18)를 포함한다. 실장 스테이지(18)는 정해진 기판 지지면 위의 인쇄회로기판(3)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반입부(11)에 의해 반입된 인쇄회로기판(3)은 후술하는 제 1 기판 이동부(14)를 구성하는 장치에 의하여 기판 고정부(12) 위로 이동한다.
제 1 기판 이동부(14)는 인쇄회로기판(3)을 그 상면에 재치한 상태로 Y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 위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3)은 반입부(11)에서 기판 고정부(12)로 이동한다. 이동 부재로서 예를 들어,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기판 이동부(14)는 Y 방향으로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 부재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기능도 있다. 이동 부재는 반입부(11)의 기판 이동면과 기판 고정부(12)의 기판 지지면보다 높은 기판이송 위치와 기판 이동면과 기판 지지면 보다 낮은 대기 위치 사이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기판이송 위치는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제 1 위치"에 상응하며 대기 위치는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제 2 위치"에 상응한다.
반출부(13)는 기대(2) 위에서 Y 방향에서의 하류 단부(도 1 및 도 2에서 상부 단부)로부터 X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을 반출하는 컨베이어(19)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9)는 X 방향으로 기대(2)를 횡단한다. 인쇄회로기판(3)은 상면에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기판 고정부(12)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된 후에 후술하는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기판 고정부(12)에서 반출부(13)로 이동한다.
제 2 기판 이동부(15)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와 이동 기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동 기구는 부재(컨베이어 17)와, 기판 고정부(12)에 의해 상면에 인쇄회로기판(3)이 위치한 실장 스테이지(18)를 인쇄회로기판(3)과 함께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컨베이어(17)와 실장 스테이지(18)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기구에 의해 구동이 되면 실장 위치와 반출부(13)에서의 반출 위치(미도시) 사이를 움직인다. 기판 고정부(12)의 컨베이어(17)는 반출부(13)의 컨베이어(19)에 연결되도록 반출부(13) 안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3)은 반출부(13)의 컨베이어(19)로 이동될 수 있다.
부품 실장부(5)는 위에서 언급된 실장 스테이지(18)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3)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한다. 부품 실장부(5)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방향에서 기대(2)의 상류 및 하류 단부에 위치한 부품 공급장치(21)와 부품 공급장치(21)에서 인쇄회로기판(3)으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부품 이동장치(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품 공급장치(21)는 다수의 테이프 피더(21a)에 의해 구성된다. 아래로부터 전자부품의 화상촬영을 위한 카메라(23)는 부품 공급장치(21)와 기판 반송부(4)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부품 이동장치(22)는 기대(2) 위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Y 빔(24)과 Y 빔(24) 사이를 연결하는 X 빔(25)을 포함한다. Y 방향 구동장치(26)에 의해 구동이 되면 X 빔(25)은 Y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X 빔(25)은 X 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헤드부(27)가 구비되어 있다. 헤드부(27)는 복수의 흡입 헤드(27a)를 가지며 X 방향 구동 장치(28)에 의해 구동이 되면 X 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흡입 헤드(27a)는 하부 단부에 흡입 노즐(미도시)을 가지며 수직 축에 대하여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헤드부(27) 위에 지지된다. 헤드부(27)가 X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흡입 헤드(27a)는 두 개의 부품 공급장치(21)와 기판 고정부(12)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3) 사이를 이동한다. 따라서,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전자부품이 부품 실장부(5)에 의해 실장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 실장장치(1)와 관련하여, 반입부(11)에 의해 반입된 인쇄회로기판(3)은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Y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판 고정부(12)로 이동하며 기판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3)이 기판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된 후에는, 전자부품은 부품 공급장치(21)에서 꺼내져 부품 실장부(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 위에 실장된다. 전자부품의 실장이 끝나면 인쇄회로기판(3)은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반출부(13)로 이동하며 반출부(13)에 의하여 X 방향으로 반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와 반출부(13) 사이에서 Y 방향으로 이동하고 위치하므로, X 방향에서의 사이즈가 작은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반입부(11), 제 1 기판 이동부(14), 기판 고정부(12), 제 2 기판 이동부(15)와 반출부(13)는 Y 방향에서 일렬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X 방향에서 좀 더 작은 사이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이러한 실시예를 채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상면에 인쇄회로기판(3)이 위치하는 부재(컨베이어(17))를 인쇄회로기판(3)과 함께 Y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이 배치와 관련하여, 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은 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큰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반출부(13)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실장된 부품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3)이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자부품은 진동이나 충격 때문에 실장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고품질의 부품실장이 가능한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판 이동부(14)는 인쇄회로기판을 반입부(11)에서 기판 고정부(12)로 이동시키기 위해 Y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사용한다. 이동 부재는 반입부(11)의 기판 이동면과 기판 고정부(12)의 기판 지지면보다 높은 기판이송 위치와 기판 이동면과 기판 지지면보다 낮은 대기 위치 사이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이러한 배치와 관련하여,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 안에 위치하는 동안, 이동 부재는 대기 위치로부터 기판이송 위치로 상승하고 반입부(11)와 기판 고정부(12) 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인쇄회로기판(3)을 기판 고정부(12)로 한 번에 보내기 위하여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에서 기판 고정부(12)로 빠르게 보내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구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전자부품이 부품 실장부(5)에 의하여 실장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위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은 또한 기판 고정부(12)와 반출부(13) 사이의 부품 실장부(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의 변형)
이러한 변형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도 3에 나타난 실장 시스템을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장 시스템(29)은 복수(셋)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를 X 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은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의 부품 실장부(5)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전자부품 실장장치(1)의 반입부(11)는 X 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자부품 실장장치(1)의 반출부(13) 역시 X 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장 시스템(29)과 관련하여, 인쇄회로기판(3)은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의 반입부(11)를 이용하여 모든 전자부품 실장장치(1)로 보내질 수 있다. 또한, 실장 시스템(29)과 관련하여, 인쇄회로기판(3)은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의 반출부(13)를 이용하여 모든 전자부품 실장장치(1)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은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에서 반입부(11)로부터 Y 방향으로 이동하며 기판 고정부(12)로 보내진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에 따르면, 상술한 문헌 1 또는 문헌 2에서와 같이, 배분 컨베이어를 요구하지 않아도 인쇄회로기판(3)이 복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로 보내질 수 있기 때문에, X 방향에서 작은 사이즈의 실장 시스템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변형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3)의 반입, 전자부품의 실장과 인쇄회로기판(3)의 반출은 다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들(1)의 실장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 따르면, X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실장 효율을 갖는 실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
도 4-6을 참조하여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에 기재된 것과 같은 참조 번호는 도 4-6에서 동일 또는 유사 부재들을 나타내며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난 전자부품 실장장치(31)의 기판 반송부(4)는 인쇄회로기판(3)을 기판 고정부(12)에서 X 방향의 하류 및 상류 측면으로 보낼 수 있다. 즉, 기판 반송부(4)는 반입부(11)에 의해 형성된 제 1 반송 레인(반송 경로) L1, 기판 고정부(12)에 의해 형성된 제 2 반송 레인 L2, 반출부(13)에 의해 형성된 제 3 반송 레인 L3를 포함하며 이러한 순서로 Y 방향에서 정렬되어 있다.
제 2 반송 레인 L2 (기판 고정부(12))는 X 방향에서 기대(2)의 중심에 위치한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 컨베이어(17),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각 측면에 구비된 실장 스테이지(18)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제 1 컨베이어"는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는 X 방향에 평행하게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하여 X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벨트 한 쌍을 회전시킨다. 인쇄회로기판(3)은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제 1 반송 레인(반송 경로) L1에서 제 2 반송 레인 L2로 보내지며, 그 후 이동 방향 변경 컨베이어(32)에 의하여 X 방향에서 하류 측면(도 4 및 도 5에서 오른쪽 측면) 또는 X 방향에서 상류 측면(도 4 및 도 5에서 왼쪽 측면)으로 보내진다. 즉,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는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보내진 인쇄회로기판(3)의 반송 방향을 X 방향 또는 X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꾼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실장 스테이지(18)는 첫 번째 실시예에서 도시된 그것과 같으며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에 의해 보내진 인쇄회로기판(3)과 제 2 반송 레인 L2 위의 컨베이어(17)는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이동 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각 측면에 구비되며 Y 방향으로 실장 스테이지(18)를 보낸다.
즉, 실장 스테이지(18)는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제 2 반송 레인 L2와 제 3 반송 레인 L3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반출부(13)는 한 개의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제 3 반송 레인 L3로 보내진 인쇄회로기판(3)과 다른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제 3 반송 레인 L3로 보내진 인쇄회로기판(3)을 X 방향으로 보내는 배치를 채택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부(5)는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헤드부(27)를 포함한다. 헤드부(27)는 X 빔(25)에 의해 지지되어 X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다. 각각의 헤드부의 X 빔(25)은 Y 빔(24)에 의해 지지되어 Y 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4는 두 개의 X 빔(25)의 인접한 단부를 지지하는 Y 빔은 나타내고 있지 않다. 각각의 헤드부(27)가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범위는 도 4에서 2점 쇄선(A)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기판 이동부(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31)에서, 인쇄회로기판(3)은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제 1 반송 레인(반송 경로) L1(반입부(11))에서 제 2 반송 레인 L2로 이동된다. 인쇄회로기판(3)은 제 2 반송 레인 L2 위의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에 의해 한 개의 실장 스테이지(18) 또는 다른 실장 스테이지(18)로 보내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실장 스테이지(18)가 인쇄회로기판(3)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므로, 더 높은 실장 효율을 갖는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 실장장치(31)가 인쇄회로기판(3)을 두 실장 스테이지(18)로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를 이용하여 배분하기 때문에, 복수의 실장 스테이지(18)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한 개의 제 1 기판 이동부(14)만 사용되어야 한다. 이로써 각 실장 스테이지(18)마다 제 1 기판 이동부(14)가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변형)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31)는 도 6에 나타난 실장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장 시스템(33)은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셋) 전자부품 실장장치들(31)을 X방향에서 정렬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6은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31)의 부품 실장부(5)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전자부품 실장장치(31)의 반입부(11)는 X 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자부품 실장장치(31)의 반출부(13)는 X 방향에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채택이 될 때, 상술한 문헌 1 또는 문헌 2에서와 같이 배분 컨베이어를 요구하지 않고도 인쇄회로기판(3)이 복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31)로 보내질 수 있기 때문에, X 방향에서 작은 사이즈의 실장 시스템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쇄회로기판(3)의 반입, 전자부품의 실장과 인쇄회로기판(3)의 반출은 다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들(31)의 실장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각각의 전자부품 실장장치(31)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 따르면, X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실장 효율을 갖는 실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
두 개의 실장 스테이지가 구비되었을 때 두 개의 제 2 기판 이동부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 기재된 것과 같은 참조 번호는 도 7 및 도 8에서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지칭하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부품 실장장치(41)의 두 개의 제 2 기판 이동부(15)는 두 개의 실장 스테이지(18)와 관련하여 기대(2)의 외측부인 제 2 반송 레인 L2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실장 스테이지(18)는 X 방향이나 Y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기대(2)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기판 이동부(15)에서, 실장 스테이지(18)는 컨베이어(42)를 포함하며 인쇄회로기판(3)이 상기 컨베이어(42)의 내부에 위치한 컨베이어(17)로부터 컨베이어(42)로 보내진다.실장 스테이지(18)에 의해 전자부품이 상면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은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17)와 컨베이어(42)에 의해 제 2 기판 이동부(15) 안으로 이동된다.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는 위에서 언급된 이동 기구에 의해 제 2 반송 레인 L2와 제 3 반송 레인 L3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위에서 언급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와 다르며 실장 스테이지(18) 대신 컨베이어(42)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기구의 하중이 감소하므로, 이동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저출력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41)는 실장 시스템(미도시)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장 시스템은 X 방향에서 복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41)를 정렬하고 인쇄회로기판(3)을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상세 구조의 설명)
이하, 도 9-25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41)의 주요 부분의 상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41)의 기판 반송부(4)는 플렉서블(flexible)한 막(film)과 같은 인쇄회로기판(3)을 반송할 수 있다 (도 9 참조). 인쇄회로기판(3)은 평면상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반송부(4)의 반입부(11)와 반출부(13)는 컨베이어(16, 19)에 의해 실행된다. 반입부(11)와 반출부(13)의 컨베이어(16, 19)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인쇄회로기판(3)의 장변인 두 측면 부분을 지지하고 X 방향에서 기대(2)의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었다.
컨베이어(16, 19)의 한 쌍의 벨트(51)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된다. 벨트 프레임(52)은 상향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기대(2)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 기대(2)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기판 이동부(14)는 기대(2)의 길이 방향에서 반입부(11)의 중심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판 고정부(12)의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와 실장 스테이지(18), 그리고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는 제 2 반송 레인 L2를 형성하도록 반입부(11)와 반출부(13) 사이에 구비된다.
제 1 기판 이동부(14)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압력 수용 부재(53)를 포함한다.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이 Y 방향으로 보내질 때 압력 수용 부재(53)는 인쇄회로기판(3)의 상향 변위를 규제한다.
압력 수용 부재(53)는 인쇄회로기판(3)의 각각의 장변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압력 수용 부재(53)는 반입부(11)의 벨트(51) 보다 높이 위치하며 반입부(11)의 벨트 프레임(52) 그리고 후술하는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벨트 프레임(54)(도 11 및 도 12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압력 수용 부재(53)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55)와 함께 구비되어 있다.
컨베이어(56)는 도 12, 14,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압력 수용 부재(53) 아래에 구비되어 있다. 컨베이어(5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입부(11)에서 후술하는 기판 고정부(12)의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기 위해 Y 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킨다.
컨베이어(56)는 한 쌍의 벨트(57)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서 벨트의 상부 부분이 Y 방향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벨트(57)는 청구항 5의 발명의 "이동 부재"에 상응한다.
컨베이어(56)의 벨트(57)는 한 개의 구동 모터(58)에 의해 구동된다 (도 11 및 도 12 참조). 벨트(57)의 상부 부분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반입부(11)의 벨트(51)를 아래쪽으로 우회하며, Y 방향의 상류측으로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제 1 벨트(59)의 하향으로 가이드된다.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는 제 1 벨트(59), Y 방향에서 제 1 벨트(59)의 상류 측에 위치한 제 2 벨트(60)를 포함한다. 제 2 벨트(60)는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두 벨트(57)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기판 이동부(14)의 컨베이어(56)에서 벨트(57)의 적어도 상부 부분을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pulley)(61)는 도 13-15에서 참조 번호 62로 지칭된 승강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기구(62)는 평행 연결 기구(63)와 평행 연결 기구(63)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64)에 의해 실행된다. 평행 연결 기구(63)의 상부 링크(63a)는 풀리(61)를 지지하는 지지판(65)에 연결되어 있다 (도 11-13 참조). 지지판(65)은 제 1 기판 이동부(14)의 프레임 부재(14a)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65)이 이동하는 방향은 가이드 부재(66)에 의해 수직으로만 규제된다 (도 11 및 도 12 참조). 프레임 부재(14a)는 복수의 설치 브래킷(14b)에 의해 기대(2)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참조).
에어 실린더(64)는 수직으로 회전가능(swing)하게 지지된 일 단부를 가지며 지지 축(64b)을 통하여 지지 브래킷(64a)에 의해 지지된 타 단부를 가진다. 지지 브래킷(64a)은 기대(2)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축(64b)은 X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에어 실린더(64)의 후단부 즉, 피스톤 로드(64c)의 반대 단부를 관통한다.
풀리(61)를 지지하는 지지판(65)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64)의 피스톤 로드(64c)가 이완되면 상부 링크(63a)와 함께 상승한다. 이때, 에어 실린더(64)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피스톤 로드(64c)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지지 축(64b)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두 벨트(57)는 반입부(11)의 기판 이동면(벨트(51)의 상부면)과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기판 지지면(제 1 벨트 및 제 2 벨트(59, 60)의 상부면)보다 높은 기판 이송 위치로 상승한다.
또한, 풀리(61)를 지지하는 지지판(65)은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64c)가 수축하면 상부 링크(63a)와 함께 하강한다. 이때, 에어 실린더(64)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피스톤 로드(64c)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지지축(64b)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벨트(57)는 반입부(11)의 기판 이동면과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기판 지지면보다 낮은 대기 위치로 하강한다.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의 벨트(51)에 의해 X 방향으로 보내지면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는 대기 위치로 하강한다.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의 벨트(51)에 의해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상응하는 위치로 보내지는 동안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는 기판 이송 위치로 상승한다. 이러한 배치와 관련하여, 벨트(57)가 기판 이송 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벨트(57)와 함께 인쇄회로기판(3)도 반입부(11)에서 제 1 기판 이동부(14)로 이동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3)의 단변 부분은 벨트(57)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승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3)의 상부 면은 인쇄회로기판(3)의 추가적인 상향 변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압력 수용 부재(53)의 롤러(55)에 의해서 아래로부터 압축된다. 인쇄회로기판이 벨트(57)와 롤러(55)에 의해 고정된 동안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가 회전을 하면 인쇄회로기판(3)이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 위의 위치로 Y 방향에서 이동된다.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는 인쇄회로기판(3)이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 위의 위치로 이동 후에 대기 위치로 하강한다. 이러한 배치와 관련하여, 벨트(57)가 하강하면 인쇄회로기판(3)은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제 1 및 제 2 벨트(59, 60)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제 1 및 제 2 벨트(59, 60)는 인쇄회로기판(3)의 장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벨트(59, 60)는 한 개의 구동 모터(67)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1 및 도 12 참조). 즉, 제 1 및 제 2 벨트(59, 60) 위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은 X 방향에서 하류 측면 또는 상류 측면으로 보내진다.
컨베이어(17)와 실장 스테이지(18)는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실장 스테이지(18)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베이어(17) 안에 삽입된 실장판(71)을 포함한다. 컨베이어(17)는 제 2 반송 레인 L2를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을 보내 X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벨트(72)를 포함한다. 벨트(72)는 인쇄회로기판(3)의 장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배치되며 한 개의 구동 모터(73)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컨베이어(17)는 수직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실장 스테이지(18)의 저판(74)(도 17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저판(74)은 기대(2)에 고정되어있다. 저판(74)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컨베이어(17)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75)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 기구(75)는 컨베이어(17)에 배치된 롤러(76)(도 17 및 도 19 참조)를 캠(77)을 이용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77)은 롤러(76)가 그 상면에서 회전하는 경사면(77a)을 포함하며 컨베이어(17)의 양 측부에 배치된다. 캠(77)은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78)(도 18 참조)의 양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판(78)은 가이드 레일(79)과 슬라이더(80)를 사이에 두고 저판(74)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 되어있다 (도 19 참조). 지지판(78)이 이동하는 방향은 X 방향에 평행하다. 지지판(78)은 에어 실린더(81)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81)에 의해 구동이 되면 X 방향에서 하류 또는 상류 측면으로 이동한다. 지지판(78)과 캠(77)이 X 방향에서 상류 또는 하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컨베이어(17)의 롤러(76)는 경사면(77a) 위에서 회전하며 컨베이어(17)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컨베이어(17)가 상승하는 상태에서, 벨트(72)의 상부면(기판 고정부(12)의 기판 지지면)은 이동방향 변경 컨베이어(32)의 제 1 및 제 2 벨트(59, 60)의 상부 면의 위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하지만, 컨베이어(17)가 하강하는 상태에서는, 컨베이어(17)의 벨트(72)의 상부면은 실장판(71)의 상부 면의 위치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실장판(71)은 인쇄회로기판(3)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할때, 인쇄회로기판(3)을 위치시키며, 평평하게 형성된 상부 면을 가지고 있고, 레그 부재(82)를 통하여 저판(74)에 고정되어 있다 (도 16 참조). 승강 기구(75)는 실장판(71)과 저판(74) 사이에 위치한다.
공기 흡입을 위한 다수의 작은 구멍(83)(도 17 참조)은 (71)에 형성되어 있다. 작은 구멍(83)은 판(71) 안에서 흡입 공기 통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흡입 공기 통로는 공기 흡입 장치(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공기가 작은 구멍(83)에서의 흡착에 의해 판(71)으로 유입되어 판(71) 위의 인쇄회로기판(3)을 흡착하고 고정하면 인쇄회로기판(3)은 판(7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3)이 이러한 방식으로 판(71) 위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3) 위에 실장된다.
전자부품이 그 위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반출부(13)로 보내는 제 2 기판 이동부(15)는 도 20-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42)와 컨베이어(4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91)를 포함한다.
반출부(13)의 하류 또는 상류 단부를 이루는 컨베이어(92)(도 20 참조)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와 함께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 기구(91)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 반출부(13)의 컨베이어(92)는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개의 지지판(93)에 의해 지지되며 후술하는 이동기구(91)에 지지판(9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컨베이어(42, 92)는 X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벨트(94, 95)를 포함한다. 벨트(94, 95)는 인쇄회로기판(3)의 장변 부분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한 개의 구동모터(96)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제 2 기판 이동부(15)의 벨트(94)는 인쇄회로기판(3)이 실장 스테이지 측면 위의 컨베이어(17)로부터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실장 스테이지 측면 위의 컨베이어(17)가 상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벨트(72)의 상부 면은 거의 제 2 기판 이동부(15)의 벨트(94)의 위치와 같은 높이에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는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제 2 컨베이어"에 상응한다.
인쇄회로기판(3)을 실장 스테이지(18)의 측면에서 제 2 기판 이동부(15)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실장 스테이지(18)의 측면 위의 컨베이어(17)는 인쇄회로기판(3)을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측면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판 이동부(15)는 기판 고정부(12)의 일부분(컨베이어(17))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동기구(91)는 Y 방향에 평행하게 지지판(93)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91)는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1)과 가이드 레일(101) 사이에 삽입된 볼나사기구(102)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01)은 제 2 반송 레인 L2에서 제 3 반송 레인 L3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101)은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가이드 부재"에 상응한다.
슬라이더(103)는 도 23-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1)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판(93)은 슬라이더(103) 상에 고정되어 있다.
볼나사기구(102)는 모터(104)에 의해 회전하는 볼나사 축(105)과 볼 나사 축(105)과 맞물리는 볼나사너트(106)를 포함한다. 모터(104)와 볼나사 축(105)은 이동기구(91)의 지지대(107)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93)은 볼나사너트(106)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104) 구동에 의해 볼나사 축(105)이 회전하면 지지판(93)과 두 개의 컨베이어(42, 92)는 Y 방향의 상류 단부 위치와 Y 방향의 하류 단부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지지판(93)이 Y 방향의 상류 단부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는 실장 스테이지(18)의 측면 위의 컨베이어(17)의 위치와 Y 방향에서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며 반출부(13)의 양 단부에 있는 컨베이어(92)는 반출부(13)의 다른 컨베이어(19)의 위치와 Y 방향에서의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지지판(93)이 Y 방향의 하류 단부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2 기판 이동부(15)의 컨베이어(4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출부(13)의 다른 컨베이어(19)의 위치와 Y 방향에서의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지지판(93) 위에 구비된 반출부(13)의 양 단부에 있는 컨베이어(92)는 반출부(13)의 다른 컨베이어(19)의 외부로 이동한다 (제 2 반송 레인 L2의 반대 측면).
위에서 언급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를 채택하는 데 있어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이들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판(93) 위에 실장 스테이지(18)가 위치하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9-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된 기판 반송부(4)와 관련하여, 반입부(11)의 인쇄회로기판(3)은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 위에 위치하게 되며 반입부(11)에서 기판 고정부(12)로 보내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판 이동부(14)가 스테이지 이동 유형인 경우와 비교하여 Y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테이지 이동 유형의 제 1 기판 이동부가 이동 스테이지와 기판 고정부(12)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섭 회피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3)이 반입부(11)에서 기판 고정부(12)로 보내질 때, 인쇄회로기판은 제 1 기판 이동부(14)의 벨트(57)와 롤러(55)에 의해 고정되며 정확하게 벨트(57)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3)이 기판 고정부(12)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인쇄회로기판(3)의 장변 부분을 지지하는 컨베이어(17, 42)를 이용하여 기판 고정부(12)로부터 인쇄회로기판(3)을 받고, 인쇄회로기판(3)을 반출부(13)로 보내기 위해 컨베이어(4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배치와 관련하여, 막과 같은 인쇄회로기판(3)은 기판 고정부(12)에서 반출부(13)로 굴곡 없이 보내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품질의 부품 실장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 위에 실장된 전자부품은 실장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입부에 의해 반입된 인쇄회로기판은 제 1 기판 이동부에 의해 제 2 수평방향에서 이동하며 기판 고정부로 이동된다. 전자부품이 기판 고정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이 된 후에는 전자부품은 제 2 기판 이동부에 의해 반출부로 이동되며 반출부에 의하여 제 1 수평방향에서 반출된다. 이러한 배치와 관련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하여 제 2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 1 수평방향의 사이즈가 작은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6)

  1. 인쇄회로기판(3)을 반입하기 위하여 제 1 수평방향 상에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키는 반입부(11),
    상기 반입부(11)에 의해 반입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상기 제 1 수평방향에 수직인 제 2 수평방향의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기판 이동부(14),
    상기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기판 고정부(12),
    상기 기판 고정부(12)에 의해 고정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부(5),
    상면에 상기 전자부품을 실장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상기 제 2 수평방향의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기판 이동부(15),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반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판 이동부(15)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출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반입부(11)와 상기 반출부(13)는 상기 제 1 수평방향의 정방향과 역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키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부(12)는,
    상기 제 1 기판 이동부(14)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 1 수평방향의 정방향과 상기 제 1 수평방향의 역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바꾸는 제 1 컨베이어,
    상기 제 1 컨베이어(32)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실장 스테이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11), 상기 제 1 기판 이동부(14), 상기 기판 고정부(12), 상기 제 2 기판 이동부(15)와 상기 반출부(13)가 상기 제 2 수평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상기 기판 고정부(12)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42);
    상기 제 2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수평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2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01);
    상기 제 2 컨베이어(42)를 상기 인쇄회로기판(3)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이동부(1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이 상기 반입부(11)를 따라 움직이는 기판 이동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이 상기 기판 고정부(12)를 따라 고정되어 있는 기판 지지면보다 높은 제 1 위치와, 상기 기판 이동면과 상기 기판 지지면보다 낮은 제 2 위치 사이를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상기 반입부(11)에서 상기 기판 고정부(12)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 2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이동부(15)는 전자부품이 상기 부품 실장부(5)에 의해 실장되는 범위 내에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20140003383A 2013-01-11 2014-01-10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1543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3284 2013-01-11
JP2013003284A JP6166903B2 (ja) 2013-01-11 2013-01-11 電子部品実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86A KR20140091486A (ko) 2014-07-21
KR101543678B1 true KR101543678B1 (ko) 2015-08-11

Family

ID=4998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83A KR101543678B1 (ko) 2013-01-11 2014-01-10 전자부품 실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6735B2 (ko)
EP (1) EP2755462B1 (ko)
JP (1) JP6166903B2 (ko)
KR (1) KR101543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6121B2 (en) 2017-01-06 2021-09-0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unting target working device
JP7142203B2 (ja) * 2017-12-06 2022-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部品装着装置ならびに基板搬送方法
CN110773984A (zh) * 2019-11-08 2020-02-11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一种电动车控制器输送装置及电动车控制器卡簧压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8287A (ja) * 2001-09-05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機の基板搬送方法及びその基板搬送装置
JP2010157767A (ja) 1999-05-21 2010-07-1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JP2010232691A (ja) * 2010-07-12 2010-10-14 Sony Corp 実装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673B2 (ja) * 1991-07-10 1996-10-09 株式会社テンリュウテクニックス トレイおよび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3391039B2 (ja) * 1993-02-23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実装基板生産システム
CN1204801C (zh) * 1999-11-05 2005-06-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元器件安装装置及方法
JP4762480B2 (ja) * 2000-08-22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及び方法
WO2002049409A1 (en) * 2000-12-12 2002-06-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azine, tray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US7082680B2 (en) * 2001-11-21 2006-08-01 Mirae Corporation Mount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s
JP2003163498A (ja) 2001-11-27 2003-06-06 Alps Electric Co Ltd チップ部品の実装方法
JP4278903B2 (ja) * 2002-01-08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4813056B2 (ja) * 2004-07-29 2011-1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用実装ヘッド、及び該実装ヘッドを備える部品実装装置
CN101480118B (zh) 2006-06-29 2011-01-19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表面安装机
JP4582181B2 (ja) * 2008-04-0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実装品の製造方法
JP5551625B2 (ja) * 2011-01-13 2014-07-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5721469B2 (ja) * 2011-02-28 2015-05-2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7767A (ja) 1999-05-21 2010-07-15 Panasonic Corp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JP2003078287A (ja) * 2001-09-05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機の基板搬送方法及びその基板搬送装置
JP2010232691A (ja) * 2010-07-12 2010-10-14 Sony Corp 実装基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35416A (ja) 2014-07-24
EP2755462A3 (en) 2016-03-30
JP6166903B2 (ja) 2017-07-19
EP2755462B1 (en) 2019-06-19
CN103929941A (zh) 2014-07-16
KR20140091486A (ko) 2014-07-21
EP2755462A2 (en) 2014-07-16
US20140196279A1 (en) 2014-07-17
US9386735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501B1 (ko) 전자 부품 장착 장치
KR20080061788A (ko)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JP2009054619A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20090130038A (ko) 기판 반송장치
KR101543678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JP4694983B2 (ja) 表面実装機
JP2007184648A (ja) 実装方法
KR101133124B1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WO2014136426A1 (ja) 基板搬送機構および部品実装用装置
US10165716B2 (en) Substrate conveyance mechanism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6045376B2 (ja) 基板搬送装置、基板の搬送方法
KR101356217B1 (ko) 기판 트리밍 장치 및 방법
JP4938599B2 (ja) 表面実装機
JP4361832B2 (ja) 表面実装機
JP7133041B2 (ja) 搬送装置
JP3957157B2 (ja) 実装機
CN103929941B (zh) 电子元件安装装置
JP2007214429A (ja) 表面実装機
JP2001267794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JP2013236022A (ja) 基板支持装置
KR20150039065A (ko) 기판 반송 장치, 기판 검사 장치 및 전자 부품 실장 장치
JP2007214428A (ja) 表面実装機
JP2005340491A (ja) 表面実装機
JP2013236023A (ja) 基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