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675B1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675B1
KR101543675B1 KR1020107018617A KR20107018617A KR101543675B1 KR 101543675 B1 KR101543675 B1 KR 101543675B1 KR 1020107018617 A KR1020107018617 A KR 1020107018617A KR 20107018617 A KR20107018617 A KR 20107018617A KR 101543675 B1 KR101543675 B1 KR 101543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layer
cros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314A (ko
Inventor
타카유키 우토
슌이치 오사다
?이치 오사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07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45Extrusion nozzle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ly arranged ports, for simultaneously extruding multiple strands, e.g. for pellet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1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made from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4Geodesic lenses or integrated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3PGA, i.e. polyglycolic acid or poly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이고, 또한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저코스트로 광학 특성이 우수한 라이트 가이드, 확산 필름, 집광 필름, 시야각 제어 필름, 광도파로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조명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어도 갖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인 것을 본지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LAMINATED FILM}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트 가이드, 확산 필름, 집광 필름, 시야각 제어 필름, 광도파로 필름 등에 바람직한 필름이고, 이것을 사용한 조명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으로부터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어 액정층의 하면측에 백라이트 유닛이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는 광원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램프와 적층된 복수매의 광학 시트를 장비하고 있다. 이 광학 시트는 각각 굴절, 확산 등의 특정한 광학적 성질을 갖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램프에 단부가 걸치도록 배치되는 사각형 판 형상의 도광판, 도광판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광 확산 시트, 광 확산 시트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 등의 집광 시트 등이 해당된다. 또한, 램프가 표시 장치의 비표시면측에 배치되고, 램프와 표시 장치의 사이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직하형 방식 등도 있다.
최근, 광 확산 시트와 집광 시트의 기능을 겸비하는 법선 방향의 출광량을 저감시키지 않고 변각 기능을 크게 할 수 있는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시트를 사용하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상승하거나,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시트의 매수를 삭감시키거나, 램프와 표시 장치의 거리를 단축시켜 디스플레이를 박형화하는 효과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시트는 2종의 합성 수지를 믹서에 의해 폭 방향으로 다층화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방식에서는 대면적이며 균일한 성능을 갖는 것을 얻을 수는 없었다. 이것은 매우 많은 층수이고, 또한 미세한 폭의 층을 믹서 방식에 의해 얻고자 하면, 믹서에서의 반복 변형이나 다이에서의 변형에 의해 유동 혼란이 현저해지므로 층의 소실ㆍ합일 등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믹서를 사용한 폭 방향으로 다층화하는 방식은 특허문헌 2 등에도 개시되어 있다. 층수가 적은 경우에서도 특허문헌 2의 도 1 및 도 2와 같이 층의 변형을 회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다수의 슬릿을 갖는 복합 장치를 이용하여 광 배선을 얻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이 방법으로는 믹서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높은 정밀도의 폭 방향 적층 필름이 얻어지지만 일렬로 배열되는 실질적인 층수의 상한은 301층이고, 다이의 구조상 코어층의 형태나 위치, 단면적이 안정하기 어려워 대면적의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은 곤란했다.
일본 특허 공개 2001-917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51-331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22114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면적이고, 또한 광학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저코스트로 광학 특성이 우수한 라이트 가이드, 확산 필름, 집광 필름, 시야각 제어 필름, 광도파로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조명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어도 갖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대면적이고, 또한 광학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이 된다. 또한, 대면적의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저코스트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의 말단의 일부가 분기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조명 장치와의 접속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노즐부(6)의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과는 다른 형태의 다이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고,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다이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고, 도 7의 X-X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고, 도 9, 도 10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공판(26)을 흐름 방향 상류측에서 본 장치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어도 갖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 아니면 안된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은 대면적이고, 또한 균일한 광학 특성의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하 특별하게 설명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는 A층, B층의 형상에 관하여 설명할 때에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A층 및 B층의 형상에 대해서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되는 수지에 제한은 없지만, 특히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게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열 인프린트 가공 등의 표면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저코스트로 소망하는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지환족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아라미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4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염화에틸렌 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 수지 등의 불소 수지, PMMA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글리콜산 수지, 폴리유산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로서는 1종류의 반복 단위밖에 포함하지 않는 수지이어도 좋고, 공중합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결정핵제, 무기 입자, 유기 입자, 감점제, 열 안정제, 활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굴절률 조정을 위한 도프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높은 강도ㆍ내열성ㆍ투명성을 나타내어 시트 중을 광이 도광할 때의 광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탈로센이나 치글러나타 촉매로 공중합한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및 수소화에 의해 얻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불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손실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폴리머 중의 수소가 중수소화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수지 A 및/또는 수지 B에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 등의 광 확산성을 갖는 입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지 A 및/또는 수지 B에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 등의 광 확산성을 갖는 입자를 함유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함유하는 입자에 의한 광의 산란에 의해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입자로서는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탈크, 글라스비드, 규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바륨, 산화티탄, 실리카 등이 열거된다. 또한, 수지 A 및/또는 수지 B에 수지를 주로 구성하는 수지와는 다른 수지를 분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피분산 수지와는 굴절율이 다른 수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수지끼리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광의 굴절ㆍ반사를 이용하여 광을 산란시킬 수 있고,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분산된 수지는 상기의 입자와 동일한 작용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렇게 분산된 수지도 입자의 개념, 의미에 포함된다고 간주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B층에만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A층과 B층 모두에 입자를 함유하고, 또한 B층에 함유하는 입자의 면적분율(단면상에 있어서 층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상기 입자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함)이 A층에 함유하는 입자의 면적분율보다 큰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 중을 투과하는 광의 확산의 정도보다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 중을 투과하는 광의 확산의 정도가 커지고, 이 광 확산성의 차이로부터 예를 들면 본 적층 필름을 백라이트의 휘도 편차의 억제에 사용하는 경우, 램프 상에 B층을 램프 사이에 A층을 배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램프 유래의 휘도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A층과 B층이 모두 입자를 함유하고, 또한 B층에 함유된 입자의 입자 지름이 A층에 함유된 입자 지름보다 작은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입자 지름이란, 무기 입자나 유기 입자에서 입자 지름을, 수지의 경우에는 분산 지름을 가리키는 것이고, 입자 지름이나 분산 지름에 편차가 있을 경우에는 그 평균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 중을 투과하는 광의 확산의 정도보다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 중을 투과하는 광의 확산의 정도가 커지고, 이 광 확산성의 차이로부터 예를 들면 본 적층 필름을 백라이트의 휘도 편차의 억제에 사용하는 경우, 램프 상에 B층을, 램프 사이에 A층을 배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램프 유래의 휘도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서는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어도 갖는 필름이 아니면 안되지만, 여기에서 수지 A와 수지 B는 다른 수지이지만, 함유된 첨가제의 종류나 양이 다른 것이 아니면 안된다. 또한,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필름 내의 일부에 적어도 A층과 B층이 교대로 폭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A층 및/또는 B층의 폭 방향의 길이나 두께 방향의 길이는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A층 및/또는 B층은 종 방향(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방향으로는 광학 특성이 변화되지 않는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때의 광학 특성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속되어서 제조된 필름을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광학 특성의 편차가 없는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저코스트로 광학 시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교대로 적층된 A층과 B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 반사를 이용하여 광 확산성, 집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 A의 굴절률(na)과 수지 B의 굴절률(nb)의 굴절률의 차(|nb-na|)가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지 A, 수지 B의 굴절률이란 A층 및 B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이고, 복수의 수지의 혼합물이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혼합물로서의 굴절률이 수지 A, 수지 B의 굴절률이다라고 간주한다. 수지 A와 수지 B의 굴절률 차가 0.001 이상인 것에 의해, 계면에서의 광의 굴절ㆍ반사가 발생하게 되고, 광 확산성, 집광성을 발현하게 된다. 수지 A와 수지 B의 굴절률 차의 정도는 A층과 B층의 적층 구조나 소망하는 광 확산성, 집광성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 이상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이다. 수지 A와 수지 B의 굴절률 차가 커짐으로써, 예를 들면 계면에서 전반사가 발생하는 입사 각도나 광의 굴절각이 커지는 등의 광학 시트를 설계함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적층 필름에 부여할 수 있는 광학 특성의 베리에이션을 증폭시킬 수 있다. 수지 A와 수지 B의 굴절률의 차(|nb-na|)가 0.001 이상인 바람직한 수지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기재의 수지 등으로부터 임의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 아니면 안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단면 폭이란, 적층 필름의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각 B층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를 말한다. B층의 단면 폭이 0.1㎛ 미만일 경우에는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광학 시트에서는 표시에 사용되는 광의 파장보다 단면 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계면에서의 광의 굴절, 반사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목적으로 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B층의 단면 폭이 10000㎛보다 클 경우에는 B층이 극단적으로 편평한 형상이 되고,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경우에 화면 상에서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하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B층의 단면 폭이 10㎛ 이상이고,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B층의 단면 폭이 1600㎛ 이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경우, 각 화소 사이에서의 휘도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단면 폭이 표시 장치의 각 화소 사이즈에 조화된 형상인 것이 중요하고, B층의 단면 폭이 10㎛ 이상 1600㎛ 이하이면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표시 장치로부터 100V형 등의 대형 표시 장치까지의 화소 사이즈에 적합한 광학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필름 폭은 400mm 미만이면, 주력이고, 또한 고품질의 광학 시트가 요구되는 32V형 이상의 사이즈의 표시 장치에는 1매의 필름으로 화면 전체를 피복할 수 없게 되어 실장을 위해서는 복수매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상승이나 화면상의 휘도 편차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폭이 600mm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폭이 1200mm 이상이다. 필름의 폭이 600mm 이상인 경우에 47V형의 표시 장치에, 1200mm 이상이면 90V형과 같은 대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B층의 수는 광학 시트의 광 확산성이나 집광성의 발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고, B층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보다 미세한 광학 설계가 가능해지며, 표시 장치에 실장할 때에 화면 상에서 보다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B층의 수가 10 미만일 경우, 광 확산성이나 집광성이라고 하는 광학 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에 실장시킨 경우에도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면, A층과 B층의 광 확산성의 차이를 사용한 광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B층의 수가 500개 이상이면 A층과 B층의 계면에서의 굴절ㆍ반사를 이용한 광 확산성ㆍ집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면 폭이 1㎛ 이상 1600㎛ 이하인 B층의 수가 500개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과반수의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반수란, 적층 필름 중의 B층의 개수 중 반수를 초과하는 수를 말한다. B층의 단면 폭이 장소에 따라 다른 것에 의해,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배치에 따라서는 광 확산성ㆍ집광성이라고 하는 광학 특성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과반수의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화면 상에서의 휘도 분포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의 범위 내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이고, 이 경우 표시 장치에 실장할 때에도 화면 상의 휘도 편차가 없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장하는 표시 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B층의 단면 폭이 소정의 주기성을 가지고 변동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광원의 경우에는 램프의 간격에 맞춰 소정의 주기성을 가지고 B층의 단면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램프의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 집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면,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이나 이웃하는 B층의 사이의 A층의 단면 폭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장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배치나 다른 광학 시트의 특성 등의 주변 부재의 설계와의 관계에서 필요로 하는 광학 특성이 정해진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각 화소 사이즈를 고려하면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은 1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각 화소간에서의 광학 특성의 편차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란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B층의 중심간의 거리이고, 각 B층의 중심이란 JPCA-PE02-05-02S(2007)에 기재된 대로 정해지는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B층의 면적 무게중심(인 것으로 하고, 이웃하는 B층 사이의 A층의 단면 폭이란, B층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의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A층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이란,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인 것으로 한다.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의 편차는 광학 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지만, 이 경우 고정밀도로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실장할 때의 화면 상에서의 휘도 분포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B층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5배 이상 1.05배 이하이고, 이 경우 화면 상의 어떠한 장소에 있어서도 휘도의 차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추가로,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에 의해 대면적화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1매의 필름으로 32V형의 표시 장치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복수매의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조 코스트나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서의 휘도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장하는 표시 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이웃하는 B층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주기성을 가지고 변화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광원의 경우에는 램프의 간격에 맞춰 소정의 주기성을 가지고 B층의 단면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램프의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 집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의 두께가 1㎛ 이상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B층의 단면 두께란, 적층 필름의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B층의 두께 방향의 최대 길이를 말한다. B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광학 시트에 입사된 광이 굴절, 반사하는 계면적이 작고, 거의 광 확산성ㆍ집광성을 발현하지 않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B층의 두께가 10000㎛보다 클 경우, 시트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핸들링성의 저하나, 시트, 표시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증대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표시 장치에 실장시킨 경우에도 장치가 대형화되는 등의 폐해가 생겨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B층의 두께가 1㎛ 이상 10000㎛ 이하이면, 핸들링성을 유지하면서 적층 필름에 광 확산성, 집광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표시 장치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B층의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0㎛ 이하이다. 이 경우, 표시 장치에 실장시켰을 때에 화면 상의 휘도 분포를 충분하게 균일화할 수 있는 광학 특성을 적층 필름에 부여할 수 있고, 또한 플렉시블성도 있으며,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한 광학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의 두께가 B층의 폭의 0.01배 이상 0.5배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백라이트의 휘도 편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단면 폭을 갖고, 또한 필름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층의 두께가 B층의 폭의 0.1배 이상 0.25배 이하인 것이다. 이 경우, 모든 램프로부터 조사된 광을 효과적으로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B층이 수지(예를 들면, 수지 A)로 피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다는 것은 필름 단부에서 B층을 노출시키는 처리를 행한 경우의 상기 노출 부분을 제외하고 B층 측면이 노출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수지로 피복된 B층은 B층의 전체 수에 대하여 과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다른 수지 계면에서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제조, 사용시에서의 굽힘이나 인장, 충격에 의해서도 광 확산성ㆍ집광성이라고 하는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필름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고, 제조, 사용시에서의 굽힘이나 인장, 충격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를 거의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 중에서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을 피복하는 수지의 두께는 5㎛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B층을 피복하는 수지의 두께란, 각 B층의 계면으로부터 필름 표면간의 두께 방향의 거리의 최소값이고, B층을 피복하는 수지의 두께가 5㎛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조, 사용시에의 굽힘이나 인장, 충격에 의한 영향을 피복되어 있는 수지로 완화시킬 수 있지만, 특히 B층을 피복하는 수지의 두께가 5㎛ 이상인 것에 의해 그 효과는 보다 현저하게 된다. 또한, B층을 피복하는 수지의 두께가 1000㎛보다 클 경우에는 필름의 플렉시블성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지만, 100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굴곡성을 나타내면서 굽힘이나 인장, 충격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광 확산성, 집광성이라고 하는 광학 특성에 실제로 관여하는 A층과 B층의 계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필름 두께란, 필름 폭 방향의 필름 두께의 평균값인 것으로 한다. 필름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이면, 필름으로서 충분한 플렉시블성을 갖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평면 상 뿐만 아니라 굴곡된 개소에 설치 가능하게 되므로 그 사용 방법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 따라서는 필름 두께가 1000㎛ 이상 1000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고, 이 경우 소망하는 광 확산성, 집광성이라고 하는 광학 특성에 추가하여 종래의 확산판과 동일하게 표시 장치에 실장되는 그 밖의 광학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기판으로서의 기능을 적층 필름에 부여하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표시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표시 장치의 박형화, 경량화나 제조 코스트를 억제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B층의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타원형, 반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이 가능하다. 후술의 방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다양한 B층의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각형의 각은 엄밀한 각일 필요는 없고, 둥근 각이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의 형상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 방향의 중심축이란, B층 단면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정점과 등거리에 위치하고, 또한 필름면에 평행한 직선으로 한다. B층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경우, 적층 필름에 입사된 광은 층 내에서 균등하게 광 확산성ㆍ집광성을 발현하는 것에 대해서, B층의 형상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경우에는 각 층에 입사된 광의 광로 길이나 계면으로의 입사 각도가 광의 입사된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각 층 내의 광 확산성ㆍ집광성의 정도에 차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균일한 광학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삼각형이나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반원형이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A층과 B층의 계면이 필름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입사된 위치에 의해 광로 길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표면으로부터 입사된 광 중 A층과 B층의 계면에서 굴절ㆍ반사되어서 진행 방향이 변화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하거나, 광로 중에서의 입자에 의한 광의 확산의 정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현저한 광 확산성, 집광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의 중심축으로 2분되는 B층의 단면적 S1, S2(S1<S2)에 대해서 S1이 S2의 0.8배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S1이 S2의 0.8배보다 큰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등의 형상의 경우와 비교해서, 반원상이나 삼각형 등의 중심축에 대한 비대칭성이 현저한 형상이 됨에 따라서 B층의 계면의 경사도의 증가나 B층에 입사된 광의 광로 길이에 차이를 형성하기 쉬워져 보다 광 확산성, 집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인프린트 등의 복사법이나 포토리소그래피 등에서는 작성할 수 없는 복잡한 형상도 작성할 수 있는 것은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표면이 평탄한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표면에 광이 입사될 때에 어느 장소로부터 입사되어도 동일한 입사 각도이면 공기-필름 계면에서도 동일한 광의 굴절이 발생하고, 필름 중에 특정한 각도를 가지고 입사된다. 한편, 필름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동일한 입사 각도로 필름 표면에 광이 입사되어도 필름 상의 장소에 따라 필름의 면의 경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굴절각을 거쳐서 필름에 입사된다. 입사면과 마찬가지로, 출사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필름의 부위에 따라 필름의 면의 경사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광이 출사된다. 이 때문에, 요철의 필름에 입사된 광은 입사 각도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출사되게 되어 높은 광 확산성을 나타내고, 확산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요철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렌즈와 동일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적층 필름에 높은 집광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철 형상의 부여 방법으로서는 적층 필름의 엠보싱 가공이나 에징 처리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는 수지 A 또는 수지 B 어느 한 쪽이 용해 가능한 용매에 대하여 다른 한 쪽의 수지는 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 단부를 특정한 용매에 침지시킴으로써 A층과 B층을 분리하거나, A층 또는 B층을 노출시키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확산 필름이나 집광 필름이라고 하는 광학 시트로서 사용할 경우, 용매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확산 성능이나 집광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 용매에 대하여 용해 가능이란, 수지를 용매 중에서 용해 처리를 행하는 온도에서 1일간 침지한 후 용매로부터 꺼내어 건조시킨 고체 수지가 용매에 침지하기 전의 수지의 중량의 50% 이하가 되는 상태를 말한다. 용매에 높은 용해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는 수지의 예로서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스티렌 등이 열거되고, 이러한 수지를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용해성이 뒤떨어지는 수지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용매를 사용한 분리 가공이나 표면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이 연속 프로세스로 제조되는 것일 때, 필름 롤의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다. 필름 롤로 제공할 수 있으면, 필름 표면에의 각종 가공을 롤 투 롤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저코스트로 표면 처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롤은 폭 방향의 권취 경도 편차가 0.0001 이상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의 경도 편차란, 필름 롤 폭 400mm 내에서 폭 방향으로 5점, 롤의 경도를 측정했을 때의 경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폭 방향 다층 적층 구조에 유래한 표면 요철이 발생하기 쉽고, 이와 같은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으로 하면 이 표면 요철에 기인해서 평면성 불량의 적층 필름이 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러나, 롤 폭 방향의 권취 경도 편차가 0.0001 이상 6 이하이면 평면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롤 폭 방향의 권취 경도 편차를 0.0001 이상 6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면서 권취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적층 필름은 표시 장치 등에 바람직한 확산 필름, 집광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은 이러한 용도 이외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한 것이고, 이하에 그 상세에 대해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시야각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하는데에도 바람직한 필름이다. 수지 A로서 투광성이 우수한 수지를 사용하고, 수지 B에 광 차폐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된 광은 투과하지만,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작아짐으로써 입사광이 B층에 흡수되어 투과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 등의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야각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형태를 상술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수지 A 및/또는 수지 B는 가격, 내열성, 투명도, 강도라고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적어도 한 쪽의 층에 광 차폐성을 갖는 입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쪽의 층에 광 차폐성을 부여할 수 있고, 특정한 각도 이상으로 필름에 입사하는 광의 투과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입자로서, 카본 블랙이나 철흑(사삼산화철), 흑색 티탄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ㆍ염료 등이 열거되지만, 특히 카본 블랙은 수지에의 분산성이 높고, 또한 은폐성도 높은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 B층의 차광성을 이용해서 시야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 A의 굴절률(na)과 수지 B의 굴절률(nb)의 굴절률의 차(|nb-na|)가 0.00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A와 수지 B의 굴절률 차가 0.002 이상인 것에 의해 계면에서의 광의 굴절ㆍ반사가 발생하게 되어, 각도에 따라서는 필름을 통해 본 형상이 비뚤어져 보이는 경우가 있다. 굴절률의 차(|nb-na|)가 0.002 미만이 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수지 B를 수지 A와 반복 단위로서 거의 동일한 수지로 해서 그것에 광 차폐성을 갖는 입자를 첨가하는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 아니면 안되지만,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B층의 단면 폭이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단면 폭이 1㎛ 미만이면, 수지 B의 차광성에 의해서는 B층에 입사된 광이 완전하게는 흡수되지 않고, 충분한 시야각 제어능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B층의 단면 폭이 100㎛보다 큰 경우에는 정면에서 화면을 봤을 경우에도 B층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어 표시 장치에 실장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B층의 단면 폭이 1㎛ 이상 100㎛ 이하이면, 정면으로부터의 양호한 화면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충분한 시야각 제어능을 나타낼 수 있다. 필름 폭은 400mm 미만이면, 시야각 제어 필름이 주로 사용되는 32V형 이상의 사이즈의 표시 장치에서는 1매의 필름으로 화면 전체를 피복할 수 없게 되고, 실장을 위해서는 복수매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의 상승이나 시야각 제어능의 편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특히 B층의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입사된 광이 B층에서 흡수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제어할 수 있는 시야각이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B층의 두께가 1000㎛보다 클 경우, 시트가 두꺼워지므로 판 형상으로 밖에 취급할 수 없는 등 핸들링성의 저하나, 시트, 실장된 표시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증대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경우에도 장치가 대형화되는 등의 폐해도 있다. B층의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이면, 핸들링성을 유지하면서 시야각 제어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이고, 이 경우 표시 장치에 실장했을 때에 플렉시블성도 있어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또한 표시 장치의 박형화ㆍ경량화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B층의 간격은 B층의 단면 폭과 B층의 두께, 소망하는 시야각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시야각 제어능과 정면에서 본 투과 형상의 시인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B층의 두께와 B층의 단면 폭의 비율이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으로부터의 화면 시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B층의 간격이 넓고, 또한 B층의 단면 폭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는 B층의 두께가 큼으로써 B층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것도 높은 시야각 제어능을 부여할 수 있다. B층의 두께와 B층의 단면 폭의 비율이 1 이상이면, 정면으로부터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시야각 제어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B층의 두께와 B층의 단면 폭의 비가 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B층의 형상은 두께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필름 두께란, 필름 폭 방향의 필름 두께 분포의 평균값으로 한다. 필름 두께가 1㎛ 이상 1000㎛ 이하이면, 필름으로서 충분한 플렉시블성을 갖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평면 상 뿐만 아니라 굴곡된 개소에 설치 가능하므로 그 사용 방법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등의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필름 정면으로부터의 광은 양호하게 투과되기 쉽고, 한편 소정 각도를 가지고 입사하는 광에의 차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시야각 제어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에 요철이 있을 경우, 필름에 입사하는 광의 굴절각이나 반사각이 변화되어 표시 장치에 실장할 때에 표시를 보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필름 표면이 평활하면 관찰자의 장소나 각도에 의존하지 않고 표시를 양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광도파로 필름으로서 사용하는데에도 바람직한 필름이다. 수지 B로서 수지 A보다 굴절률이 높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으로부터 B층에 입사된 광은 A층과 B층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함으로써 도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광 모듈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광 모듈이란, 일반적으로 광과 전기를 상호 변환하는 전자 부품이다. 예를 들면, 광을 송신하는 측인 면 발광형 반도체 레이저(VCSEL)-폴리머 광도파로인 광도파로 필름-광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의 기본 구성을 갖는 시스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구성이 광ㆍ자기 카드, 장치간 접속의 광 백플레인, 메모리-CPU간, 스위치 LSI의 패키지에 탑재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라이트 가이드나 조명 장치나 조명 장치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 바람직한 것이다. 높은 광도파성 때문에 장거리의 광 전송에 있어서도 거의 감쇠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코어와 프레넬 렌즈를 접합시켜 태양광을 채취하여 태양 전지 셀까지 광을 인도함으로써 태양 전지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파시키는 광원의 색을 적, 청, 황, 녹색으로 함으로써 의장 용도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 램프, LED, 태양광 등의 광을 채광하여 목적의 위치까지 필름으로 도파시켜서 조사함으로써 조명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명 부재는 LCD 백라이트나, 자동차나 비행기, 선박 등의 이동 기계, 주거나 공장, 오피스 등의 건재용의 조명 부재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고, 휘도의 향상이나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장치간 통신이나 장치내 통신 등의 단~중ㆍ장거리용의 광도파로나 통신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첨부 라이트 가이드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커넥터 규격으로서는 플라스틱의 멀티코어 타입의 범용성의 관점에서 MT 커넥터, MPO 커넥터, MPX 커넥터, PMT 커넥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도파로 필름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상술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 기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높은 강도ㆍ내열성ㆍ투명성을 나타내며 시트 중을 광이 도광할 때의 광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탈로센이나 치글러나타 촉매로 공중합한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및 수소화에 의해 얻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불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손실을 저하하기 위해서 폴리머 중의 수소가 중수소화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수지 B의 굴절률(nb)이 수지 A의 굴절률(na)보다 높고, 그 굴절률의 차(nb-na)가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의 굴절률이 수지 A의 굴절률보다 높아지는 것에 의해 광을 수지 B 중에서 도광시킬 수 있게 되고, 굴절률의 차(nb-na)가 0.001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 A와 수지 B의 계면에서의 반사가 약해지고, 충분한 도광성을 부여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통신 용도로 사용하는 광도파로 필름에 있어서는 굴절률의 차(nb-na)는 대응하는 광의 파장, 커넥터, 모드수 등에 의해 임의 선택해야 할 것이다. 조명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0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이고, 굴절률의 차가 커짐에 따라서 도광성이 향상되어 거의 광의 강도가 감쇠되지 않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또한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 아니면 안된다. 특히, 광도파로 필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B층의 단면 폭이 10㎛ 이상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충분한 도광성을 유지하고, 또한 커넥터 등의 주변 기기와의 접속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조명 부재로서 광도파로 필름을 이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폭은 400mm 이상이고, 또한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인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개 이상인 것이다. 이 경우, 통신 용도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대용량 다채널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1매의 필름으로부터 필요한 폭만 절취하여 사용하는 등의 편리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과반수의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단면 폭이 장소에 따라 다르므로, 각 B층의 광도파능에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과반수의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이므로 광도파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이고, 이 경우 필름 상의 거의 모든 B층의 광도파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B층의 단면 폭이 발광 강도와 관계되지만, B층의 단면 폭이 평균 단면 폭±10㎛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함으로써 필름의 폭 방향에서의 발광 강도를 균일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은 1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이 작아짐에 따라서 소면적으로 다채널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도파로 필름은 광의 입출력을 위한 커넥터와 접속해서 사용되므로, 광의 도파에 사용되는 B층간의 간격이 일정할 필요가 있고,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의 편차가 커지면 커넥터와 접속할 수 없게 되거나, 입출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임으로써 B층간의 간격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커넥터에의 접속이 용이하게 되어 정상 접속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5배 이상 1.05배 이하이고, 거의 문제 없이 커넥터와의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추가로,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함으로써 대면적화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이 불균일함에 의해 조사된 광의 조도에 편차가 생겨버리지만,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함으로써 필름의 폭 방향에서의 조도를 균일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특히 B층의 두께가 1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B층에의 광의 도입이나 커넥터 등으로의 접속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B층의 두께가 2000㎛보다 클 경우, 필름이 두꺼워지므로 판 형상으로 밖에 취급할 수 없는 등의 핸들링성이 저하되어 용도가 한정될 가능성도 있다. B층의 두께가 10㎛ 이상 2000㎛ 이하이면, 핸들링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광도파능과 양호한 커넥터 등에의 접속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일한 이유로, 필름 두께에 관해서도 1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B층의 단면적(단면적 A)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B층의 단면적(단면적 A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가 되도록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단면적은 광도파능에 영향을 주지만, 단면적 A가 단면적 A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것으로 B층의 광도파능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적 A가 단면적 Ac에 대하여 0.95배 이상 1.05배 이하이고, 각 B층의 광도파능이 거의 균일하게 되어, 다채널 광도파로로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추가로, 단면적 A가 단면적 A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300mm 이상 존재함으로써 거의 모든 채널에 있어서 균일한 성능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통신 부재로는 코어 형상에 의존한 모드 분산이나 광 손실이 발생하는 관점에서 가능한 한 코어 중심 위치에 대하여 대칭성이 좋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원형이다. 바람직한 대칭성으로는 선 대칭, 점 대칭 등이 있다. 또한, 조명 용도로는 발광 면적을 확대하고, 또한 면상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관점에서, 폭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형상은 폭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B층은 과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다른 수지 계면에서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추가로 광의 도파에 사용하는 B층의 표면에 상처가 나며, 광이 B층 외부로 누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도파능을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필름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고, 광도파능이 저하되는 것을 거의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명 부재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필름의 한 쪽의 면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지 않은 구조도 또한 바람직하다. 한 쪽의 면이 피복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피복되어 있지 않은 면에서 광이 누설되어, 면 형상 조명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추가로 필요로 하는 각종 가공을 B층에 직접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가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필름의 말단의 일부가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말단이 분기되어 있다는 것은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 쪽의 단부가 다수로 분기되는 상태를 말한다. 분기하는 방법으로서는 마이크로슬릿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기하는 방법이나, 용매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수지 A의 일부를 용해하고, B층의 일부를 노출시켜 분기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필름 단부의 일부가 분기되어 있으면, LED 광원 등 점재해서 배치되어 있는 개개의 광원에의 접속이나, 분기된 필름 단부를 번들 형상으로 정리한 점광원에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광도파로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오목면으로부터 광이 누설될 수 있고, 면상 광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요철이 B층까지 도달하고 있는 것이고, 이 경우 B층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광을 누설시킬 수 있으며, 휘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2종류의 수지 A 및 수지 B를 펠렛 등의 형태로 준비하지만, 반드시 펠렛일 필요는 없다. 또한, 수지 A 또는 수지 B로서 복수의 수지나 첨가물을 블렌딩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전에 2축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에 컴파운딩한 펠렛을 사용함으로써 수지나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된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펠렛은 필요에 따라 사전 건조를 열풍 중 또는 진공 상태에서 행한 후 압출기에 공급된다. 압출기 내에 있어서, 가열 용융된 수지는 기어 펌프 등에서 수지의 압출량을 균일화하고, 필터 등을 통해 이물이나 변성된 수지 등을 제거한다.
이러한 2대 이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로로부터 송출된 수지는 다음 다이에 보내어진다. 여기에서, 사용된 압출기로서는 1축 압출기이어도 2축 압출기이어도 문제 없다. 특히, 수지 A 또는 수지 B로서 복수의 수지나 첨가물을 블렌딩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 2축 압출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지나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크류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알로이화를 행할 때에는 단축 스크류로는 Dulmadge 타입, Muddox 타입이 바람직하고, 2축 스크류로는 패들의 조합에 의해 반죽을 강하게 하는 스크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대의 압출기로부터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경우에는 혼련이 지나치게 강하면 광 손실의 원인이 되는 이물이 발생하므로, 풀플라이트 스크류를 사용한 단축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그 스크류의 L/D는 2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다. 또한, 스크류의 압축비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또한, 광 손실의 원인이 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진공 벤트 압출이나 여과 필터 등의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진공 벤트의 압력은 차압으로 1~300mmHg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 필터로서는 용융 압출 중에 FSS(Fiber Sintered Stereo) 리프 디스크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여과할 수 있다. 이물의 크기나 양 등의 발생 상태, 및 수지 점도에 의한 여압에 의존하는 필터의 여과 정밀도를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25㎛ 이하의 여과 정밀도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한, 그 때의 압출기 선단의 수지압은 수지 누설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20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이의 일례를 도 3, 도 4, 도 5에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인 다이를 각 엘리먼트로 분해하여 그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엘리먼트(6)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이의 단면도이고, 각 엘리먼트(3~9)를 일체화한 다이(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회색 부분이 수지 A의 유로이고, 흑색 부분이 수지 B의 유로가 된다. 이와 같은 다이를 사용함으로써, 대면적이고, 또한 광학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어서, 다이의 각 부품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의 구성은 수지 유입부이고,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켜 각 수지는 폭 방향으로 확폭된다. 도 3에서는 상하의 구멍이 수지 A의 유입구이고, 중앙의 구멍이 수지 B의 유입구이다. 또한, 수지 유입부는 매니폴드의 일부를 형성한다. 4의 구성은 매니폴드부이다. 5의 구성은 제 1 슬릿부이다. 여기에서, 유로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수지 A 및 수지 B의 폭 방향의 유량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6의 구성은 노즐부이다. 노즐부는 수지 B를 각 B층에 분획하는 플레이트부와 노즐(11)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 4의 플레이트로부터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된 곧은 관이 노즐(11)이다. 수지 B는 노즐 내를 통과해서 합류부(8)에 도입된다. 한편, 수지 A는 노즐의 상하에 배치된 슬릿부를 흐른다. 7은 제 2 매니폴드부이다. 제 2 매니폴드부에서 2개로 나뉘어 흐르던 수지 A가 합류한다. 8은 합류부이다. 합류부는 관통 구멍(14)을 갖고, 노즐부(6)로부터의 노즐이 관통 구멍(14) 내로 연장되며, 또한 관통 구멍(14)의 크기는 노즐부 외형보다 크게 함으로써 관통 구멍(14)과 노즐부 외벽 사이를 수지 A가 흘러 관통 구멍 내에서 노즐부로부터 토출되는 수지 B를 피복하거나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통 구멍(14) 내의 노즐(11)의 위치 맞춤을 위해서 노즐 외벽으로부터 관통 구멍 내벽을 향해서 러너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노즐(11)은 합류부(8)의 약 반정도까지 삽입되어 있다. 9는 제 2 슬릿부이다. 여기에서, 각 관통 구멍(14)에서 합류된 수지 A와 수지 B를 합해서 시트 형상으로 한다. 제 2 슬릿부는 2개의 부품 또는 4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 간극의 근소한 편차가 대면적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광학 편차의 원인이 되므로, 제 2 슬릿부를 형성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특히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목적으로 하는 B층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다이로부터 토출 후의 신장 변형을 고려한 노즐(11)의 구멍의 단면 형상의 설계가 필요하다. 광폭의 필름의 신장 변형은 대부분은 면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의 압축을 고려한 설계로 하면 좋다. 즉, 노즐(11)의 구멍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다이로부터 적층류가 토출된 후에 면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얻어진 필름의 B층의 형상은 폭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 형상이 된다. B층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이 토출 후의 형상 변형을 고려해서 노즐(11)의 구멍의 단면 형상을 두께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으로 하면 좋다. 물론, B층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머무르지 않고, 어떠한 형상에 있어서도 동일한 일을 할 수 있다.
노즐(11)의 구멍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반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막에 사용하는 다이에 있어서는 노즐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 방향의 중심축이란, 각 노즐의 두께 방향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정점과 등거리에 위치하고, 또한 관통 구멍(14)이 배열된 방향과 평행한 직선으로 한다. 이와 같은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B층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변의 길이가 매우 긴 직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둥근형이나 사각형의 노즐을 인접시켜서 합류부에서 수지 B끼리 합류시킴으로써도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를 사용하는 경우, B층의 수는 노즐의 개수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B층의 단면 폭은 노즐의 형상이나 토출량으로 조정 가능하다.
노즐(11)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소망하는 적층 필름의 B층의 수 이상 노즐부(6)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B층에 대하여 하나씩의 노즐을 할당함으로써, 단면 형상이 고정밀도로 제어된 B층을 노즐의 수만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대면적으로 특성이 균일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이 폭 방향으로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다.
또한, 노즐은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 이외에, 필름 두께 방향으로도 복수열 존재하는 것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도 두께 방향으로 복수열의 B층을 적층할 수 있고, 다양한 광학 설계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광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면적이며,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각 노즐(11)로부터 유출되는 수지 B의 유량을 균일화할 필요가 있다. 각 노즐(11)로부터 유출되는 수지 B의 유량은 노즐 지름과 노즐 길이에 의해 발생하는 노즐(11) 내에서의 유체의 압력 손실에 비례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이에 있어서는 단면적이나 형상의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모든 노즐(11)의 지름이나 길이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 속도에 의한 점도 변화가 클 경우 전단 속도가 다른 유로와 비교해서 높아지는 노즐 내에서의 압력 손실과 제 2 슬릿부나 그 밖의 유로에 가해지는 압력 손실의 차가 작아져 폭 방향의 단부에서는 노즐로부터의 수지 B의 유량이 감소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는 노즐 지름을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노즐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각 노즐로부터의 수지 B의 유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B층으로부터의 유량을 균일화함으로써,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도 B층의 단면적이나 형상이 균일한 것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슬릿부에서 폭 방향의 유량을 균일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 1 슬릿부에서 폭 방향의 수지 B의 유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배열된 노즐에의 수지 B의 유량도 보다 균일화되고,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도 B층의 단면 폭이 균일한 필름을 얻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이에 있어서는 제 1 슬릿부의 상류측에 매니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으로 배열된 노즐(11)의 각각은 관통 구멍(14) 내에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각의 관통 구멍 내에서 수지 B를 둘러싸도록 수지 A를 도입할 수 있고, 또한 노즐수의 적층류를 합류부에서 적층함으로써 높은 적층 정밀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대면적이고, 또한 특성이 균일한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노즐(11)의 합류부(8)측의 선단이 관통 구멍(14)의 합류부(8)의 출구보다 상류측까지밖에 연장되어 있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 노즐(11)로부터 유출된 수지 B가 관통 구멍(14) 내에서 수지 A와 적층되고, 그 후 관통 구멍(14) 내에서 유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노즐(11)로부터 유출되는 수지 B의 단면 형상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14)에 둘러싸인 노즐(11)을 이용함으로써 B층은 A층에 피복된 형태로 합류부로 유동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층 수의 B층을 용이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단일의 다이에 있어서도 다양한 단면 형상의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변의 길이가 매우 긴 직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얻기 위해서 복수의 노즐을 이용할 경우에는 복수의 노즐을 하나의 세공 관통 구멍(14) 중에 도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노즐로부터 유출된 수지 B를 관통 구멍(14) 내에서 합류시켜서 하나의 층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소망하는 형상을 제작하기 쉬워진다.
B층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통 구멍(14)으로부터 유출되는 수지 A의 유량도 폭 방향에서 균일한 것이 중요하다. 노즐(11)로부터 유출된 B층은 관통 구멍(14) 중의 수지 A의 유동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관통 구멍(14)에 관해서도 노즐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14)의 지름이나 길이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고, 지름이나 길이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 구멍(14)의 단면 형상도 각종 형상이 가능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형상은 사각형이다. 이 경우, 노즐로부터 합류부에 합류할 때에 유체의 유동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노즐 형상과 동일한 B층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관통 구멍(14)의 형상이 노즐 형상과 상사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 노즐로부터 유출된 수지 B가 관통 구멍(14) 내에서 수지 A와 적층될 때의 수지 B의 단면 형상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통 구멍(14)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 방향의 중심축이란, 각 관통 구멍의 두께 방향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정점과 등거리에 위치하고, 또한 관통 구멍(14)이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인 직선으로 한다. 이와 같은 관통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노즐로부터 토출된 수지를 관통 구멍 내에서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고, B층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면적이고,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합류부(8)로부터 제 2 슬릿부(9)에 있어서 확폭ㆍ압축을 최대한 행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합류부 이후의 유로에 있어서 확폭ㆍ압축을 행함으로써 유로의 변형에 따르는 유속 분포의 변화가 발생하고, 합류부에 있어서 설계대로 적층된 적층류의 형상이 변형된다. 그 결과,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도 설계한 단면 형상과는 다른 형상이 되므로, 소망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거나, 폭 방향에서 특성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만약에, 확폭ㆍ압축을 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사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상사적이란, 변형에 있어서 동일한 폭 방향 길이와 두께 방향 길이의 비율을 유지시킨 채 변형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사적으로 변형시켰을 경우, 유로 내의 유속은 변화되지만, 유로 내에서 균등한 비율로 유속이 변화되므로, 합류부에서 적층된 적층류의 형상이 변화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합류부(8)로부터 제 2 슬릿부(9)의 출구까지의 유로 길이는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류부 이후의 유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합류부에서 적층한 적층류의 적층 구조가 흐트러지기 쉬워져, 소망하는 단면 형상의 적층 필름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소망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거나 폭 방향에서 특성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합류부(8)에서의 A층과 B층의 적층 정밀도를 향상시켜, 보다 적층 가능한 형상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해지는 방법으로서, 제 2 슬릿부(9)의 두께 방향 양쪽 벽면에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유로 C)를 별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로를 갖는 다이의 일례를 도 6~도 8에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와는 다른 형태의 다이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의 단면도이고, 도 6과는 다른 형태의 다이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이 내의 단면도이고, 도 7의 X-X 단면도이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다이에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다이의 합류부(8)를 대신하여 유로 C가 설치된 합류부(12)가 설치되어져 있다. 유로 C를 설치함으로써, 노즐 및 관통 구멍(14)으로부터 합류부에 공급되는 적층류의 유동을 유로 C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의 유동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설계 가능한 적층 필름의 베리에이션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보다 높은 특성을 가지는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유로 C에 공급되는 수지는 수지 A이어도 수지 B이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지 A와도 수지 B와도 다른 수지이어도 좋다. 수지 A 또는 수지 B를 사용할 경우에는 관통 구멍(14) 또는 노즐까지의 유로로부터 분기시켜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노즐 및 관통 구멍(14)과는 압출기로부터 공급시키는 것이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슬릿부의 측면에 유로 C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설치된다. 이 경우, 유로 C로부터의 유량은 노즐 및 관통 구멍(14)으로부터의 유동과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조 제어가 용이해진다. 상세하게는 수지 B를 둘러싸는 수지의 두께를 유로 C로부터의 유량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유로 C로부터의 유량에 의해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의 형상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유로 C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유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유로인 것에 의해 폭 방향으로 유량의 편차 없이 수지를 공급할 수 있고, 고정밀도로 적층된 적층류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대면적이고, 또한 특성이 균일한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슬릿 형상의 유로의 유로 간격이 폭 방향에서 다른 간격으로 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유로 간격이란, 유로의 흐름 방향의 벽면 사이의 길이를 말한다. 본 다이에 있어서는 합류부에서 각각의 노즐 및 관통 구멍(14)으로부터 유출된 적층류를 더 적층해서 폭 방향으로 다수의 층이 적층된 적층류를 얻는 것이지만, 수지의 유동 특성이나 유량의 비율에 따라 노즐의 중앙이 합류부에 연통되는 개소와 노즐간에 위치하는 개소에서 유속의 차가 있고, 결과적으로 합류부에서의 적층류의 적층 구조의 변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노즐의 폭 방향 중앙에 상당하는 개소의 슬릿 형상의 유로의 유로 간격을 좁게 노즐간에 상당하는 개소의 슬릿 형상의 유로의 유로 간격을 넓게 취함으로써, 합류부에서의 유속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정밀도로 적층된 적층류를 제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면적으로 광학 특성이 균일한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을 얻을 수 있는 다이의 다른 일례를 도 9~도 12에 나타낸다. 도 9, 도 10은 다이 내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도 10에 있어서 A-A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다이(21)에는 수지 B를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22)와 수지 A를 공급하기 위한 도입구(23)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22)는 유로(24)를 거쳐서 매니폴드(25)에 연통되어 있고, 매니폴드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는 다수의 구멍(27)으로 이루어지는 다공판(2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다공판(26)을 흐름 방향 상류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한편, 도입구(23)는 유로(28)를 거쳐서 매니폴드(29)에 연통되어 있다. 다공판(26)과 매니폴드(29)는 각각 합류부(30)에 연통되어 있고, 다이 외부로 수지를 토출하기 위한 립(31)에 연결된다. 합류부(30)에서는 매니폴드(29)를 거쳐서 합류부(30)에 공급된 수지 A 중에 다공판(26) 중의 구멍(27)을 거쳐서 합류부(30)에 공급된 수지 B가 토출됨에 따라서 수지 A 중에 구멍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분산체를 형성한 복합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공판(26)의 구멍의 형상, 개수, 간격 등은 소망하는 수지 필름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되는 것이지만, 구멍(27)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둥근형, 타원형이나 원형 형상이나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 각종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막에 사용하는 다이에 있어서는 구멍(27)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 방향의 중심축이란, 각 구멍의 두께 방향의 상면측 및 하면측의 정점과 등거리에 위치하고, 또한 폭 방향에 평행한 직선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B층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변의 길이가 매우 긴 직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둥근형이나 사각형의 구멍을 인접시켜서 합류부에서 수지 B끼리 합류시킴으로써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를 사용하는 경우, B층의 수는 구멍의 개수로 조정 가능하다. 구멍의 수로서는 10개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개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개 이상이다. 또한, B층의 단면 폭은 노즐의 형상이나 토출량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다이 내에서 형성된 적층류는 다이로부터 토출되어, 캐스팅 드럼이나 캘린더 링 롤 등에서 냉각 고화된다. 다이로부터의 토출될 때, 넥 다운 현상에 의해 B층의 간격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다이 립 단부에 에지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지 가이드란, 다이로부터 토출된 수지 필름의 단부를 구속하기 위해 다이 립과 냉각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고, 에지 가이드와 수지가 간신히 접촉됨으로써 표면 장력에서 넥 다운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따라, 다이로부터 토출된 적층 필름은 토출량과 인수 속도의 관계에 의해서 두께 방향으로 박막화되지만, 폭 방향 치수는 변화되지 않으므로 각 층의 폭 방향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냉각 고화할 때에 와이어 형상, 테이프 형상, 바늘 형상 또는 나이프 형상 등의 전극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에 의해 캐스팅 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키는 방법이나, 슬릿 형상, 스폿 형상, 면 형상의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출해서 캐스팅 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키는 방법, 롤로 냉각체에 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적층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연신 등을 행하여 와인더에 의해 권취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미연신 필름 또는 1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연신 필름이고, 다이에서 고정밀도로 적층된 적층류의 형상을 거의 유지하고 있으며, 대면적으로 특성이 균일한 폭 방향 다층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권취할 때에는 오실레이션을 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오실레이션을 실행하면, 필름 롤로 할 때 B층이 사행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오실레이션을 실행하지 않으면, 필름의 두께 편차에 기인하여 필름 롤의 권취 모습이 악화하고, 평면성이 나쁜 필름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권취할 때에는 널링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필름 등을 접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이와 공지의 다이와의 차이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믹서를 사용해서 폭 방향으로 다층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수층의 적층류를 분할, 재적층해서 층수를 증가시키지만, 분할, 재적층의 과정에서의 유속이나 유동 방향의 변화에 의해 적층 구조가 변화되어 각 층의 간격, 단면적, 형상의 편차가 심해진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다수의 슬릿을 갖는 복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층수를 슬릿에 의해 균일한 형상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고, 믹서를 사용해서 폭 방향으로 다층화하는 방법보다 각별한 적층 정밀도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도 한계가 있다.
슬릿은 그 강도와 가공 정밀도의 문제로부터 슬릿의 간격이나 이웃하는 슬릿의 격벽의 폭을 어느 정도 넓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적층 후의 유동을 소망하는 폭까지 압축할 필요가 생긴다. 이 때문에, 폭 방향으로의 유로의 압축 과정에 있어서 폭 방향의 각각의 부위에 있어서 층의 형상에 약간의 편차가 생기고, 특히 광 확산, 집광 등 형상에 의한 특성에의 영향이 큰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층 정밀도가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폭 방향으로의 압축에 의한 영향 이외에도 슬릿에서 적층류가 제작된 후에 다이로부터 토출될 때까지의 유동 길이가 길기 때문에 유동 중에 슬릿에서 적층된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층수를 늘리려고 하는 경우,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므로 조립ㆍ핸들링성이 모자라 매우 많은 층수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이에 있어서는 노즐이나 구멍의 지름을 작게 함으로써, 슬릿보다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층 후에 폭 방향으로의 유로의 압축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다이 내에서 적층하기 위해서 유동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적층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이 일체형이고, 또한 노즐이나 구멍을 조밀하게 배열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핸들링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층수를 적층할 때에도 유리한 것이다.
또한, 다수의 슬릿을 갖는 복합 장치에 있어서는 슬릿의 가공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와이어 방전 가공 등의 시간, 기술을 요하는 가공을 행하고 있어 제조 코스트가 높은 것이었다. 이 때문에, 층수를 늘리는 것에 의한 제조 코스트에의 영향이 크고, 층수를 늘리는 것만으로 필름 폭을 넓히는 것은 어려운 것이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이에 있어서는 동일한 지름의 파이프를 절단함으로써 다이의 제작에 필요한 노즐을 간편하게 조달할 수 있고, 저코스트이며 고정밀도로 적층할 수 있는 다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층수의 증가나 필름의 광폭화를 실시하는데 유리하다. 추가로, 동일한 지름의 파이프를 절단해서 제작함으로써 각 노즐의 지름을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폭 방향에서의 B층의 유량을 균일화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적층 정밀도를 실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과 비교해서 본 발명의 다이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넓은 폭의 적층 필름을 고밀도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슬릿을 갖는 복합 장치에 있어서는 그 적층 방법 때문에 사각형의 단면 형상밖에 제작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다이에 있어서는 노즐이나 관통 구멍, 구멍의 형상에 따라 다종 다양한 B층의 단면 형상을 제작할 수 있고, 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수의 슬릿을 갖는 복합 장치에 있어서는 모든 층이 장치 내의 유동에 있어서 벽면에 접하면서 유동하기 때문에 적층되는 수지의 점도의 차나 유량의 차에 의하여 층의 형상이 변형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B는 관통 구멍(14)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A나 유로 C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에 의해 항상 피복되어서 벽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유동하기 때문에 유동 중의 층의 형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보다 적층 정밀도가 높은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한 물성값의 평가법을 기재한다.
(물성값의 평가법)
(1) B층의 단면 폭, 평균 단면 폭, 층수, 형상
우선, 연마기에 의해 관찰하는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의 평활화 처리를 행했다. 커터 나이프를 이용하여 필름 단면을 절단하고, 이 필름의 양 표면을 두께 2mm의 아크릴판에 끼워 지그에 고정했다. 이어서, 연마기(NAP-240 NISSHIN KASEI CO., LTD. 제품)를 사용하여 연마판에 #6000번수(番手)의 연마 필름(연마 입자 산화알루미늄)을 첩부하고, 연마액에 순수를 사용하여 연마판의 회전수 240rpm으로 10분간 연마함으로써 평활한 단면으로 했다. 이 처리를 필름 전체 폭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행했다. 이어서, 비접촉 3차원 측정기(NEXIV VMR-H3030TZ Nikon Corporation 제품)를 이용하여 B층의 단면 폭, 층수, 형상을 계측했다.
비접촉 3차원 측정기의 시료대 중앙부에 평활하게 한 단면이 보이도록 시료를 두고, B층의 단면 폭이 약 800㎛ 정도인 경우에는 배율 3배로 촬영하고, B층의 단면 폭이 약 100㎛ 정도인 경우에는 배율 10배로 촬영하며, B층의 단면 폭이 약 10㎛ 정도인 경우에는 배율 100배로 촬영했다. 그리고,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B층의 단면 형상을 판단했다. 또한, 1회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촬영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샘플을 어긋나게 해서 세팅하고, 계속해서 계측을 행했다. 촬영된 화상은 화상 처리 소프트 Image-Pro Plus ver.4(판매원 Planetron Co., Ltd.)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필요하면 화상 처리를 행했다. 화상 처리는 층의 형상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소프트 부속의 2값화 및 로우 패스 필터 처리 등을 행했다. 해석은 화상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B층의 단면 폭, 무게중심 위치, 단면적, 좌표 정보를 필름 전체 폭에 대해서 계측했다.
얻어진 단면 폭에 대해서, 모든 단면 폭의 평균값을 평균 단면 폭으로 하고, 단면 폭 정밀도로서 평균 단면 폭±10㎛를 만족시키는 B층의 층수가 반수 이상을 초과하는 것을 B, 평균 단면 폭±10㎛를 만족시키는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을 A, 평균 단면 폭±10㎛를 만족시키는 B층의 층수가 반수 미만인 것을 C, 또한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D를 붙였다. 또한, 얻어진 무게중심 위치로부터 이웃하는 B층의 간격을 모든 이웃하는 B층에 대해서 산출하고, 이웃하는 B층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B층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을 A, 300mm 미만인 것을 C, 또한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D를 붙였다. 또한, 단면적에 대해서 B층의 단면적 A가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B층의 단면적 Ac의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을 A, 300mm 미만인 것을 C라고 했다. 또한, 각 B층에 대해서 두께 방향의 양단의 좌표의 중점을 통과하여 필름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중심선을 작성하고, 중심선에 의해 분단되는 단면적을 검출했다. 각 층에 대해서 S1, S2로부터 S1/S2을 산출하고, 그 평균값이 0.8 이하인 것을 A, 0.8보다 큰 것을 C라고 했다. (표 참조)
(2) 투과율 편차
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품 탁도계 NDH5000을 이용하여 JIS K7736-1(1996)에 의거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한, 필름 전체 폭에 대해서 같은 간격으로 10점의 전광선 투과율을 각각 계측하여 그 10점의 전광선 투과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투과율 편차로 했다.
(3) 평균 손실, 손실 편차
25℃, 65%RH의 환경 하에서 JIS C6823(1999) 커트백법(IEC60793-C1A)에 준하여 행했다. 샘플은 시험 길이 10cm, 9cm, 8cm, 7cm로 준비하고, 각 샘플의 삽입 손실을 측정했다. 광원으로는 파장 850nm의 LED(Anritsu Corporation 제품 0901A)를 사용하고, 모드 스크램블러를 통하여 샘플에 광 입력을 행했다. 광 파이버는 입력측 Φ50㎛의 멀티 모드 파이버형 GI(NA 0.21), 검출측 코어 지름 0.2mm의 SI 타입(NA 0.22)을 사용했다. 또한, 광의 입출력에는 조심기를 이용하여 광축 맞춤을 행했다. 또한, 검출기로는 광 파워 센서(Anritsu Corporation 제품 MA9421A)를 사용했다. 전파 손실은 길이에 대한 삽입 손실을 플로팅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해 결정했다. 즉, 얻어진 1차식의 경사를 손실로 했다. 또한, 최소 제곱시 기여율 R2가 0.99 이상일 때에만 전파 손실로서 채용했다. 0.99 이하인 경우에는 재조심, 재 샘플 조정 등의 재측정을 반복함으로써 0.99 이상의 값을 얻었다. 또한, 필름 전체 폭에 대해서 동일한 간격으로 10점의 손실을 각각 계측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손실로 했다. 또한, 10점의 손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손실 편차로 했다.
(4) 권취 경도 편차
KOBUNSHI KEIKI CO., LTD. 제품 ASKER A형 고무 경도계에서 JIS K7215(1986)에 준거하여 권취 길이 500m의 필름 롤 표층에 대해서 폭 방향에서 10점 권취 경도를 측정했다. 그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권취 경도 편차로 했다.
(실시예 1)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프로필렌(PP)
Sumitomo Chemical 제품 폴리프로필렌 Noblen WF836DG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PC)
Idemitsu Kosan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LC1700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8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7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직사각형의 노즐이 600개 있고, 수지 B가 노즐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8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닙 캐스팅했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05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800㎛±8㎛의 수지 B가 6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바람직했다. 한편,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한 광은 약하지만 필름 표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출사하는 성능을 갖고 있었지만, 이 필름은 집광 필름이나 이방 확산 필름으로서도 사용 가능한 것이었다.
(실시예 2)
폭이 1900mm이고, 노즐의 개수가 1800개인 다이를 사용하여 토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09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800㎛±9㎛의 수지 B가 18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바람직했다.
(실시예 3)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카보네이트(PC)
Idemitsu Kosan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LC1700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PC)+카본 블랙(CB) 2wt%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9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7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두께 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노즐이 3000개 있고, 수지 B가 노즐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8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닙 캐스팅했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00㎛±1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100㎛±2㎛의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광은 거의 투과시키지만, 필름 표면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15° 이상 경사진 각도에서는 광은 거의 투과되지 않았다. 이 필름은 시야각 제어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4)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invista 제품 P100
수지 B: 공중합 폴리에스테르(PCT/I)
Eastman 제품 Z6006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9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7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제 2 슬릿 표면에 대하여 45° 경사진 직사각형의 노즐이 3000개 있고, 수지 B가 노즐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4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서 와이어 형상의 전극으로 고전압을 인가해서 밀착시켰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00㎛±15㎛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평행사변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100㎛±2㎛의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된 광을 필름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출사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 필름은 집광 필름이나 이방 확산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카보네이트(PC)
Idemitsu Kosan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LC1700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메틸펜텐(PMP) 25wt%
Mitsui Chemicals 제품 DX820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8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7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두께 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노즐이 3000개 있고, 수지 B가 노즐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8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닙 캐스팅했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00㎛±1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100㎛±2㎛의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길이 방향으로만 광을 강하게 확산시켰다. 이 필름은 이방 확산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6)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Sumitomo Chemical 제품 MGSS
수지 B: 폴리스티렌(PS)
Japan Polystyrene Inc. 제품 G120K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3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7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직사각형의 노즐이 600개 있고, 수지 B가 노즐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8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닙 캐스팅했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10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800㎛±8㎛의 수지 B가 6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바람직했다.
또한, 얻어진 필름을 폭 방향 단면을 50℃의 아세트산에 1일 침지하여 피복되어 있었던 PMMA를 용해하고, 필름 단부가 다수의 폴리스티렌사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은 폴리스티렌사를 번들화한 바, LED의 점광원과의 개별 접속이 용이했다.
(실시예 7)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과 보호 필름을 접합하지 않고 필름 롤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게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2m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폭 방향 중심이 이웃하는 B층의 간격의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은 최대이어도 0.05mm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며, 단면 폭 800㎛m±8㎛의 수지 B가 6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평면성이 약간 나쁜 것이었지만,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바람직했다.
(실시예 8)
다이 폭이나 노즐 개수 등의 다이 형상과 토출량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두께는 165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고, 필름 폭은 600mm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8mm±0.1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1600㎛±9㎛의 수지 B가 5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바람직했다.
(실시예 9)
수지의 토출량의 비율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고, 필름 폭은 600mm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00㎛±2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9㎛±0.1㎛의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광은 거의 투과시키지만, 필름 표면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45° 이상 경사진 각도에서는 광은 거의 투과되지 않았다. 이 필름은 시야각 제어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10)
다이를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로 C를 갖는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여기에서, 유로 C에는 수지 A가 공급되고, 관통 구멍(14)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A와 유로 C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A의 총 유량은 실시예 1과 변경되지 않도록 공급하는 유량을 조정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03mm 간격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800㎛±3㎛의 수지 B가 6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에 나타내는 필름과 비교해서 보다 진원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갖고,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특히 실시예 1에 나타내는 필름보다 광도파로나 라이트 가이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때의 접속이 용이해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비하여 두께 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노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고, 필름 폭은 600mm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8mm±0.1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1600㎛±9㎛의 수지 B가 5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필름에 피치 100㎛, 깊이 100㎛의 홈이 폭 방향으로 새겨진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엠보싱 처리를 행하여 표면에 요철 처리를 행했다. 얻어진 필름은 일부 수지 A의 피복이 없는 장소가 생겼으며, 필름 단면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에 엠보싱 가공에 의해 제작한 요철면에서 광을 발광하여 면상 조명으로서 매우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12)
다이의 폭이 1000mm인 다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 엠보싱 가공을 행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고, 필름 폭은 900mm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8mm±0.1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2700㎛±14㎛의 수지 B가 5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평균 단면 폭±10㎛를 만족시키는 B층은 70% 정도였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일부 수지 A의 피복이 없는 장소가 생겼으며, 필름 단면으로부터 광을 입사했을 때에 엠보싱 가공에 의해 제작한 요철면에서 광을 발광하여 면상 조명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지만, 실시예 14와 비교하면 휘도는 약간 약한 것이었다.
(실시예 13)
주기적으로 B층의 단면 폭과 이웃하는 B층의 간격이 25mm 주기로 변동하도록 설치된 노즐을 포함하는 다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50~250㎛의 사이로 간격이 25mm 주기로 변동하고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75~125㎛의 사이에서 25mm 주기를 갖고 변동하고 있는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길이 방향으로만 광을 강하게 확산시키는 것이며, 특히 25mm 간격으로 램프가 배치된 표시 장치에 실장한 바 램프의 휘도 편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4)
수지로서 이하의 수지를 사용하고, 수지의 토출량의 비율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수지 A: 폴리카보네이트(PC)
Idemitsu Kosan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LC1700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메틸펜텐(PMP) 25wt%
Mitsui Chemicals 제품 DX820
얻어진 필름 두께는 5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고, 필름 폭은 600mm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00㎛±18㎛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높이(두께 방향의 길이)가 약 450㎛, 단면 폭 20㎛±1㎛의 수지 B가 3000개 존재하고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길이 방향으로만 광을 강하게 확산시켰지만 약간의 광학 편차가 확인되었다. 이 필름은 이방 확산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수지의 토출량의 비율과 캐스팅 드럼의 속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2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1mm±0.05mm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상이고, 단면 폭 100㎛ ±12㎛ 의 수지 B가 600개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약간 장소에 따라 단면적의 편차가 현저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저손실로 광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서 특히 통신 용도에 바람직했다.
(실시예 16)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펜텐(PMP) 1wt%
수지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펜텐(PMP) 40wt%
상기 PET 수지는 이하에 기재되는 방법으로 중합한 것이다. 우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중량부의 혼합물에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로서 아세트산 칼슘을 첨가하고, 가열 승온하여 메탄올을 증류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에 중합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열 안정제로서 인산을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조에 이행했다. 이어서, 가열 승온하면서 반응계를 서서히 감압하고, 290℃ 감압 하에서 내부를 교반하여 메탄올을 증류시키면서 중합하여 PET 수지를 얻었다.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8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도 9~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폭 500mm의 다이에 수지 A와 수지 B를 유입시켰다. 다이에는 반원 형상의 구멍이 13개 있고, 수지 B가 구멍 내를 흘렀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정전 인가에 의해 25℃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급랭 고화시켰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500㎛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5000㎛±100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반원 형상이고, 단면 폭 10000㎛±500㎛, 두께 500㎛±20㎛의 수지 B가 13개 존재하고 있었다. 수지 A 중 및 수지 B 중에 분산되어 있는 PMP의 입자 지름은 10㎛이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에 있어서 광을 강하게 확산할 수 있는 것이고, 램프 간격 25mm의 백라이트에 대하여 B층이 램프 상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램프의 휘도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7)
수지로서 이하의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수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펜텐(PMP) 1wt
수지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산화티탄 입자(Ti) 4wt%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500㎛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25000㎛±100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반원 형상이고, 단면 폭 10000㎛±500㎛, 두께 500㎛±20㎛의 수지 B가 13개 존재하고 있었다. 수지 A 중에 분산되어 있는 PMP의 입자 지름은 10㎛, 수지 B 중에 분산되어 있는 Ti 입자의 입자 지름은 0.25㎛이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에 있어서 광을 강하게 확산할 수 있는 것이고, 램프 간격 25mm의 백라이트에 대하여 B층이 램프 상부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램프의 휘도 편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8)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펜텐(PMP) 1wt%
수지 B: 공중합 폴리에스테르(PCT/I)
+폴리메틸펜텐(PMP) 40wt%
또한, 다이로서 반원 형상의 구멍이 1200개 포함된 다이를 사용했다. 이러한 수지, 다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250㎛이었다.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고, 폭 방향으로는 300㎛±10㎛ 간격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지 B를 수지 A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수지 B의 단면 형상은 거의 반원 형상이고, 단면 폭 200㎛±7㎛, 두께 120㎛±2㎛의 수지 B가 1200개 존재하고 있었다. 수지 A 중 및 수지 B 중에 분산되어 있는 PMP의 입자 지름은 10㎛이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강한 이방 확산성이 있고, 백라이트의 램프의 휘도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었다.
(비교예 1)
이하의 수지 A, 수지 B를 준비했다.
수지 A: 폴리프로필렌(PP)
Sumitomo Chemical 제품 폴리프로필렌 Noblen WF836DG
수지 B: 폴리카보네이트(PC)
Idemitsu Kosan 제품 폴리카보네이트 LC1700
이어서, 압출기 1에 수지 A를, 압출기 2에 수지 B를 공급하고, 각각의 압출기에 의해 280℃의 용융 상태로 하여 기어 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공지의 스퀘어 믹서로 수지 A와 수지 B가 교대로 폭 방향으로 계 1200층 적층하고, 폭 700mm의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해서 토출시켰다. 다이로부터 토출된 시트는 에지 가이드에 의해 단부를 구속하면서 80℃의 온도로 유지된 드럼에 의해 닙 캐스팅했다. 그 후, 와인더에 의해 오실레이션하지 않고, 양측 단부 45mm를 잘라 버리고 권취했다. 이어서, 슬리터에 의해 널링 가공하면서 보호 필름(PANAC Corporation 제품 내열 보호 필름 HP25)을 한쪽 면에 접합하면서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 두께는 1000㎛(보호 필름을 제외함)이었다. 그러나, 수지 B는 길이 방향으로는 연속이지만, 폭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서 있지 않고, 또한 층의 형상도 매우 흐트러져서 거의 모든 층은 인접하는 층과 결합된 형상이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는 300개 이하가 되어 있었다. 표 1에 얻어진 적층 필름의 구조와 성능을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광을 거의 전송할 수 없었다.
Figure 112010053898110-pct00001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라이트 가이드, 확산 필름, 집광 필름, 시야각 제어 필름, 광도파로 필름 등에 바람직하고, 광 모듈, 조명 장치, 통신 장치,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수지 A 2: 수지 B
3: 수지 유입부 4: 매니폴드부
5: 제 1 슬릿부 6: 노즐부
7: 제 2 매니폴드부 8: 합류부
9: 제 2 슬릿부 10: 다이
11: 노즐 12: 합류부
13: 다이 14: 관통 구멍
21: 다이 22: 도입구
23: 도입구 24: 유로
25: 매니폴드 26: 다공판
27: 구멍 28: 유로
29: 매니폴드 30: 합류부
31: 립

Claims (24)

  1.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폭 방향으로 적층한 구조를 적어도 갖는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의 폭이 400mm 이상이고,
    단면 폭이 0.1㎛ 이상 10000㎛ 이하인 B층의 수가 10개 이상이고,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P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가 되는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B층간의 간격은 주기성을 갖고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B층의 단면적(A)이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B층의 단면적(Ac)에 대하여 0.90배 이상 1.10배 이하인 B층이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300mm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 방향-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B층의 형상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중심축으로 2분되는 B층의 단면적 S1, S2(S1<S2)에 대해서 S1이 S2의 0.8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B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과반수의 B층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 또는 수지 B 중 어느 한 쪽이 용해 가능한 용매에 대하여 다른 한 쪽의 수지는 불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말단의 일부가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0.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반량의 B층의 단면 폭은 평균 단면 폭±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롤.
  12. 제 11 항에 있어서,
    롤 폭 방향의 권취 경도 편차가 0.0001 이상 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롤.
  13.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모듈.
  14.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가이드.
  18.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
  19.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 필름.
  20.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각 제어 필름.
  21.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로 필름.
  22. 2종류 이상의 수지를 폭 방향으로 적층시켜 제1항의 적층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로서:
    폭 방향으로 배열해서 이루어지는 노즐을 10개 이상 갖고;
    상기 노즐의 각각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관통 구멍(14)을 10개 이상 가지며;
    배열한 상기 노즐 및 상기 관통 구멍(14)과 연통하는 합류부를 갖고;
    상기 노즐 및 상기 관통 구멍(14)과는 다른 경로로 합류부에 연통하는 유로를 1개 이상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14) 및 노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24. 2종류 이상의 수지를 폭 방향으로 적층시켜 제1항의 적층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로서:
    폭 방향으로 배열해서 이루어지는 구멍을 10개 이상 갖고;
    배열한 구멍과 연통하는 합류부를 가지며;
    상기 구멍과는 다른 경로로 합류부와 연통하는 유로를 1개 이상 갖고;
    상기 구멍이 구멍의 두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KR1020107018617A 2008-03-14 2009-03-03 적층 필름 KR101543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5317 2008-03-14
JPJP-P-2008-065317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314A KR20100126314A (ko) 2010-12-01
KR101543675B1 true KR101543675B1 (ko) 2015-08-11

Family

ID=4106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617A KR101543675B1 (ko) 2008-03-14 2009-03-03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199403B2 (ko)
EP (1) EP2253465B1 (ko)
JP (1) JP5407859B2 (ko)
KR (1) KR101543675B1 (ko)
CN (2) CN103587098B (ko)
TW (1) TWI485066B (ko)
WO (1) WO2009113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2709B (zh) * 2011-06-07 2014-09-11 Nexpower Technology Corp 封裝薄膜結構
WO2016019434A1 (en) * 2014-08-05 2016-02-11 Laing O'rourke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for fabricating an object
CN106164009A (zh) * 2014-09-30 2016-11-2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卷状体、夹层玻璃、夹层玻璃用中间膜的制造方法、以及卷状体的制造方法
JP6605795B2 (ja) * 2014-10-06 2019-1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ドアケーブル
EP3634758B1 (en) * 2017-06-09 2023-08-09 Signify Holding B.V. Luminaire comprising an optical component for generating light effect
US11009662B2 (en) * 2017-09-05 2021-05-18 Facebook Technologies, Llc Manufacturing a graded index profile for waveguide display applications
WO2020090673A1 (ja) * 2018-10-30 2020-05-07 東洋紡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US10926446B1 (en) * 2018-12-11 2021-02-23 Facebook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fabricating layered electroactive materials
CN111739428B (zh) * 2020-07-23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和显示装置
IT202100027194A1 (it) * 2021-10-22 2023-04-22 Diego GALLI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un prodotto composito multistrato
CN114379162B (zh) * 2021-12-29 2023-08-18 和盛包装科技(海宁)股份有限公司 一种微孔结构的防水透气复合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145A (ja) 2005-01-17 2006-08-24 Toray Ind Inc 樹脂フィルムおよび光配線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4646A (en) 1963-05-13 1966-09-27 Rowlaud Products Inc Apparatus for making extruded sheet material
JPS5828113B2 (ja) 1974-09-14 1983-06-14 東レ株式会社 セキソウ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217794A (en) 1991-01-22 1993-06-08 The Dow Chemical Company Lamellar polymeric body
JPH0753383B2 (ja) 1991-01-29 1995-06-07 三共化成株式会社 成形方法
JPH05133177A (ja) 1991-11-12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インド装置
CN2134275Y (zh) * 1992-09-04 1993-05-26 石家庄市第三橡胶厂 一种改进的半体装配式旋转模头
US5825543A (en) * 1996-02-29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ffusely reflecting polarizing element including a first birefringent phase and a second phase
JPH09300425A (ja) * 1996-05-20 1997-11-25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2312805Y (zh) * 1996-08-09 1999-04-07 中国航天工业总公司8511研究所 涂布高阻隔层塑料软管连续成型机
JPH11179855A (ja) * 1997-12-24 1999-07-06 Mitsubishi Rayon Co Ltd 光制御機能を有する樹脂シート
JP2000246832A (ja) * 1999-02-26 2000-09-12 Toyo Kohan Co Ltd 高鮮映化粧板積層用印刷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樹脂フィルムを積層した高鮮映化粧板
JP3434465B2 (ja) * 1999-04-22 2003-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JP2001091708A (ja) * 1999-09-27 2001-04-06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386622A (zh) * 2001-05-22 2002-12-25 上海华王工业有限公司 一种可双色注塑的模头结构
TWI269709B (en) * 2001-12-06 2007-01-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US6876146B2 (en) * 2002-03-26 2005-04-05 Tdk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ce phosphor multilayer thin film and electroluminescence element
TWI274662B (en) * 2002-03-29 2007-03-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filter for display and display
JP4211669B2 (ja) * 2004-04-26 2009-0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電子機器
CN2887571Y (zh) * 2006-03-17 2007-04-11 宁波海天集团股份有限公司 夹层混色共用注塑模头
JP5133177B2 (ja) 2008-03-31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CN201329668Y (zh) * 2008-11-17 2009-10-21 刘新华 双工位全自动塑料中空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1145A (ja) 2005-01-17 2006-08-24 Toray Ind Inc 樹脂フィルムおよび光配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3465A4 (en) 2014-12-03
CN103587098B (zh) 2015-07-01
EP2253465A1 (en) 2010-11-24
US20110014452A1 (en) 2011-01-20
JP5407859B2 (ja) 2014-02-05
CN101970226A (zh) 2011-02-09
KR20100126314A (ko) 2010-12-01
TWI485066B (zh) 2015-05-21
CN103587098A (zh) 2014-02-19
US9327439B2 (en) 2016-05-03
CN101970226B (zh) 2014-07-02
WO2009113422A1 (ja) 2009-09-17
EP2253465B1 (en) 2019-09-04
US9199403B2 (en) 2015-12-01
TW200946338A (en) 2009-11-16
US20150086671A1 (en) 2015-03-26
JPWO2009113422A1 (ja)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675B1 (ko) 적층 필름
KR101536782B1 (ko) 광도파로 필름
US8279370B2 (en) Optical laminate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TW201207454A (en) Light-guide apparatus with micro-structure, and a backlight module and an LCD device having the same
TW201727324A (zh) 上用光擴散片和背光單元
KR20130036205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002628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53622A (ja) 光拡散板、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表示装置
US11966117B2 (en)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evice
JP2009163123A (ja) 拡散部材、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3007917A1 (ja) 光学シート積層体、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JP5787493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TWI459042B (zh) 光擴散薄膜積層體
JP2009192790A (ja) 光導波路フィルム
JP2012073608A (ja) 光拡散フィルム積層体
JP2010204608A (ja) 光制御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078799A (ja) 光拡散フィルム積層体
JP2009069404A (ja) 光学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139870A (ja) 光学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09275093A (ja) 樹脂フィルムならびに樹脂フィルムを用いた照明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2073607A (ja) 光拡散フィルム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