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743B1 -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743B1
KR101531743B1 KR1020127009666A KR20127009666A KR101531743B1 KR 101531743 B1 KR101531743 B1 KR 101531743B1 KR 1020127009666 A KR1020127009666 A KR 1020127009666A KR 20127009666 A KR20127009666 A KR 20127009666A KR 101531743 B1 KR101531743 B1 KR 10153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s
cartridge
mounting
row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421A (ko
Inventor
노보루 아사우치
슈이치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7704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317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재 카트리지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 중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PRINTER, PRINTING MATERIAL CARTRIDGE,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DAPTER AND CIRCUIT BOARD}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10년 9월 3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2010-197316의 일본 특허 출원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모두가 참조에 의해서 본원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인쇄 장치, 인쇄 장치에 이용하는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용의 어뎁터, 및 그들을 위한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인쇄재에 관한 정보(예컨대, 잉크 잔량)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를 탑재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의 검출을 행하는 기술도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4438호 공보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에 설치된 잉크 잔량 센서에, 잉크 잔량 검출용의 신호와는 다른 신호를 공급하여,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 중의 하나 또는 2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장착 상태의 검출이 행하여지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도, 장착 검출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다른 단자에 관해서는, 인쇄 장치의 단자와의 접촉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특히, 기억 장치용의 단자의 접촉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기억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시나 기억 장치로의 데이터의 기입 시에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런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행하는 기술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862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159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문헌에서는,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접지함과 아울러,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저항을 거쳐서 전원 전위로 풀업(pull up)하고 있다.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와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가 정확하게 접촉하면,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가 접지 전위로 되고, 접촉하지 않고 있으면 전원 전위로 된다. 따라서,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는 반대로,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전원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저항을 거쳐서 접지 전위로 풀다운하더라도, 카트리지의 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제 1 일정 전위에 접속하고,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저항을 거쳐서 제 2 일정 전위에 접속하도록 하면, 카트리지의 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일정한 전위로 유지하도록 하면,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접지한 구성에서는,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가 어떠한 원인으로 접지 전위로 되어 버린 경우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장착 검출의 신뢰성이 약간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측의 장착 검출 단자를 접지한 구성에서는, 높은 전압(예컨대, 인쇄 헤드 구동용의 전압)이 장착 검출 단자에 잘못하여 인가되어 버리면, 장착 검출 단자에 큰 전류가 흘러 카트리지나 인쇄 장치의 회로에 파손을 발생하게 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에 있어서, 단자나 접촉부의 수가 증가하면, 그들의 하나 이상이 접촉 불량으로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그래서, 종래부터, 가능하다면 단자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각종 문제는, 잉크 카트리지에 한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인쇄재(예컨대, 토너)가 수용된 인쇄재 카트리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인쇄재 이외의 다른 종류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그를 위한 액체 수용 용기(액체 수용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쇄 카트리지나 액체 수용 용기에 사용되는 회로 기판의 단자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의 접속 상태의 검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용의 회로 기판의 장착 상태를 적절하게 확인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용의 단자 또는 회로 기판의 기억 장치용의 단자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의 접촉 상태가 충분한지 여부를 적절하게 확인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용의 회로 기판의 장착 검출 단자를 일정 전위로 유지하는 일없이 장착 검출을 행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의 목적을 전부 달성하는 구성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이들의 목적 중의 하나, 또는, 후술하는 다른 효과의 하나를 달성하는 구성을 갖도록 실현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이 회로 기판은,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 중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4개의 접촉부가 제 1 열과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의 접속 상태 또는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2)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더라도 된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열에 상당하는 제 1 저변이 짧고, 상기 제 2 열에 상당하는 제 2 저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4개의 제 2 접촉부가, 사다리꼴 형상의 제 2 영역의 제 1 저변의 양단와 제 2 저변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영역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에 비해, 정상인 상태로부터 회로 기판이 경사져 있을 때에 복수의 제 1 접촉부에서의 접속 상태가 양호함에도 제 2 접촉부에서의 접속이 불량으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도 된다.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전기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하더라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를, 접촉 검출과, 전기 디바이스로의 신호 교환의 양쪽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제 2 접촉부는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이들이 접지되어 있는 경우에, 인쇄 장치측의 단자가 어떠한 원인으로 접지 전위로 되어 버렸을 때에, 회로 기판의 단자의 접촉이 불량이더라도 정확하게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높은 전압(예컨대, 인쇄 헤드 구동용의 전압)이 접속 검출용의 접촉부에 잘못하여 인가될 때에, 그 접촉부에 큰 전류가 흘러 회로 기판이나 인쇄 장치의 회로에 파손을 생기게 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중앙에는, 상기 기억 장치용의 접지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접촉부가 오염물 등의 이물질에 의해서 잘못하여 접지 단자와 접속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용의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전원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전원 전압 이하에서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양단의 2개의 접촉부에는,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접속 상태의 검출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전압으로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배선의 충전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다 단시간에서 검출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 2 양단의 2개의 접촉부에는,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보다도 높은 전압으로 접속 상태의 검출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보다 낮은 전압으로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6)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고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가 제 1 쌍으로서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되고,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가 제 2 쌍으로서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4개의 접촉부 이외가 여분인 접촉부를 설치하는 일없이 장착 검출(접촉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로 기판상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7)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더라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를, 접속 상태의 검출과, 과전압의 검출의 양쪽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상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이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검출(접촉 검출) 시에 잘못하여 과전압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회로 기판 내에 설치된 저항 소자이더라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열의 양단의 접촉부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회로 기판이 적절히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정밀도 좋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9)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2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가 제 1 쌍으로서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되고,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가 제 2 쌍으로서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4개의 접촉부 이외가 여분인 접촉부를 설치하는 일없이 장착 검출(접촉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로 기판상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제 1 쌍과 제 2 쌍에 관한 장착 검출(접촉 검출)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장착 검사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어느 쪽의 쌍에 장착 불량(접촉 불량)이 존재하는지를 항상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상승 타이밍은,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타이밍과 상이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장착 검사 신호의 상승 타이밍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접촉부의 제 1 쌍과 제 2 쌍 중 어느 하나에 장착 불량(접촉 불량)이 존재하는지를 항상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양단의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를, 접속 상태의 검출과, 과전압의 검출의 양쪽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상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이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검출(접촉 검출) 시에 잘못하여 과전압이라고 판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내의 인쇄재의 잔량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열의 양측의 2개의 접촉부를, 접속 상태의 검출과, 인쇄재의 잔량의 검출의 양쪽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상의 접촉부의 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와 상이한 전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리셋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셋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열에는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 2 열에는 3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 장치용의 개개의 단자의 접촉부에서의 접속 상태의 양부(良否)를, 그 주위의 4개의 접촉부에 의해서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14)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 중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열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접촉부 중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것으로 해도 된다.
(15)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인쇄 헤드와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1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인쇄재 카트리지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 중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단자의 4개의 접촉부가 제 1 열과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17)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인쇄재 수용체가 장착되어,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제공된다. 이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 중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단자의 4개의 접촉부가 제 1 열과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18)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인쇄 장치는, 인쇄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인쇄재 카트리지와,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장착 검출 회로와,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 중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인쇄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단자의 4개의 접촉부가 제 1 열과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19)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인쇄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양단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거쳐서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배열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배선 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배선 경로의 양단이 상기 장착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된다.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마다 상기 장착 검출 회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더라도 된다. 상기 장착 검출 회로는, (i) 상기 배선 경로의 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가 전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ii)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를 이용하는 제 1 장착 검출 처리와, 제 2 열의 양단의 2개의 접촉부를 이용하는 제 2 장착 검출 처리를 각각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2 종류의 장착 검출 처리에 있어서 정확한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 각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용의 단자도 정확한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적용예로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1]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된 4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인쇄재 카트리지.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양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의 전부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정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2]
적용예1에 기재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열과 제 2 열의 각각 양단에, 장착 검출용의 제 2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적용예3]
적용예2에 기재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배선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를, 장착 검출과, 전기 디바이스로의 신호 교환의 양쪽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적용예4]
적용예3에 기재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 내의 인쇄재의 잔량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인 인쇄재 카트리지.
[적용예5]
적용예3에 기재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저항 소자인 인쇄재 카트리지.
[적용예6]
적용예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쇄재 카트리지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인쇄재를 토출하기 위한 인쇄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전원 전압과 동일한 전압, 또는, 상기 제 1 전원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2 전원 전압과 동일한 전압, 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 장치 구동용의 제 1 전원 전압과 인쇄 헤드 구동용의 제 2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검출용에 특별한 전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적용예7]
인쇄재 수용체가 장착되어,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된 4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양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의 전부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정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8]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회로 기판으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된 4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 장착부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회로 기판과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양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의 전부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정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용예9]
인쇄 장치로서,
인쇄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인쇄재 카트리지와,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장착 검출 회로와,
장치측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된 4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양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단자의 전부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정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인쇄재 카트리지, 복수 종류의 인쇄재 카트리지로 구성된 인쇄재 카트리지 세트, 카트리지 어뎁터,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 어뎁터로 구성된 카트리지 어뎁터 세트, 회로 기판, 인쇄 장치, 액체 분사 장치, 인쇄 장치와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인쇄재 공급 시스템, 액체 분사 장치와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 카트리지나 회로 기판의 장착 상태의 검출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b는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c는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기판과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과 장착 검출 회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기판과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 관련 처리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부 및 액량 검출부와, 카트리지의 센서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되는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3a는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의 전형적인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3b는 접촉 불량이 있는 경우의 전형적인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4a는 과전압 검출 단자와 센서 단자가 누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전형적인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4b는 과전압 검출 단자와 센서 단자가 누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전형적인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5a는 기판과 접촉 검출부와 검지 펄스 발생부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와의 접속 상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b는 기판과 접촉 검출부와 검지 펄스 발생부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와의 접속 상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c는 기판과 접촉 검출부와 검지 펄스 발생부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와의 접속 상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비접촉 상태 검출부 내에 설치되는 누출 판정부의 구성예를 게시하는 블록도.
도 16b는 비접촉 상태 검출부 내에 설치되는 누출 판정부의 구성예를 게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4개의 카트리지에 대한 장착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8은 액량 검출 처리의 타이밍 차트.
도 19a는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다른 예를 게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9b는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다른 예를 게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2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검출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a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b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c는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d는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검출 처리의 전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6a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b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 기구의 사시도.
도 30은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1a는 카트리지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가 기판의 단자에 접촉해 가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b는 카트리지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가 기판의 단자에 접촉해 가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c는 카트리지의 장착 시에 장치측 단자가 기판의 단자에 접촉해 가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a는 카트리지의 전단면을 먼저 계합시킨 후에 후단면을 계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2b는 카트리지의 전단면을 먼저 계합시킨 후에 후단면을 계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3a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c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d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e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f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g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a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c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a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5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c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a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b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c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단자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8a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공통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8b는 비교예에 따른 공통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a는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b는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와 호환성이 있는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c는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용의 공통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도 39a의 카트리지에 적합한 인쇄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카트리지 검출 회로와 공통 기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2b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5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6은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용의 회로의 변형예를 게시하는 도면.
A.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인쇄 장치(1000)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와, 개폐 자유로운 커버(1200)와, 조작부(1300)를 갖는다. 인쇄 장치(1000)는, 포스터 등의 대형 크기의 용지(A2-AO 크기 등)에 인쇄를 행하는 대형의 잉크젯 프린터(Large Format Ink Jet Printer)이다. 카트리지 장착부(1100)를 「카트리지 홀더」 또는 간단히 「홀더」라고도 부른다. 도 l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가 독립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예컨대, 흑색, 황색, 마젠타, 시안의 4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는, 이것 이외의 임의의 복수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YZ 축이 도시되어 있다. +X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삽입되는 방향(이하, 「삽입 방향」 또는 「장착 방향」이라고 부름)이다.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는, 커버(1200)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1200)는 생략 가능하다. 조작부(1300)는, 사용자가 각종 지시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며, 또한, 사용자에 각종 통지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인쇄 장치(1000)는, 인쇄 헤드나, 인쇄 헤드의 주사를 행하기 위한 주주사(main scanning) 이송 기구 및 부주사(sub-scanning) 이송 기구, 인쇄 헤드를 구동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헤드 구동 기구 등을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 인쇄 장치(1000)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교환되는 카트리지가, 인쇄 헤드의 캐리지 이외의 장소에 설치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 장치의 타입을,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고 부른다.
도 2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XYZ 축은, 도 1의 XYZ 축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를 간단히 「카트리지」라고도 부른다. 이 카트리지(100)는, 평탄한 대략 직방체의 외관 형상을 갖고 있고, 3 방향의 치수 L1, L2, L3 중에서, 길이 L1(삽입 방향의 크기)이 가장 크고, 폭 L2가 가장 작으며, 높이 L3은 길이 L1과 폭 L2의 중간이다. 단, 인쇄 장치의 타입에 따라서는, 길이 L1이 높이 L3보다도 작은 카트리지도 존재한다.
카트리지(100)는, 선단면(제 1 면) Sf와, 후단면(제 2 면) Sr과, 천장면(제 3 면) St와, 바닥면(제 4 면) Sb와, 2개의 측면(제 5 및 제 6 면) Sc, Sd를 구비한다. 선단면 Sf는, 삽입 방향 X의 선두에 위치하는 면이다. 선단면 Sf와 후단면 Sr은, 6개의 면 중에 가장 작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선단면 Sf와 후단면 Sr의 각각은, 천장면 St과 바닥면 Sb와 2개의 측면 Sc, Sd와 교차하고 있다.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천장면 St가 수직 방향의 상단에 위치하고, 바닥면 Sb가 수직 방향의 하단에 위치한다. 2개의 측면 Sc, Sd는, 6개의 면 중에서 가장 큰 면이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카트리지(100)의 내부에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잉크 수용실(120)(「잉크 수용 백」이라고도 부름)이 설치되어 있다. 잉크 수용실(120)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가 소비되어 감에 따라서 점차로 수축하여, 주로 두께(Y 방향의 폭)가 작게 되어 간다.
선단면 Sf는, 2개의 위치 결정 홀(131, 132)과, 잉크 공급구(110)를 갖고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홀(131, 132)은, 카트리지 장착부(1100) 내에서의 카트리지의 수용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잉크 공급구(110)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잉크 공급관과 접속되어, 카트리지(100) 내의 잉크를 인쇄 장치(1000)에 공급한다. 천장면 St에는, 회로 기판(2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회로 기판(200)은, 천장면 St의 선단(삽입 방향 X의 가장 내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단, 회로 기판(200)은, 천장면 St의 선단 근방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되고, 또한, 천장면 St 이외의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된다. 회로 기판(200)에는, 잉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불휘발성의 기억 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200)을 간단히 「기판」이라고도 부른다. 바닥면 Sb는, 카트리지(100)를 수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정 그루브(140)를 갖고 있다. 제 1 측면 Sc과 제 2 측면 Sd는 서로 대향하고 있고, 또한, 선단면 S천, 천장면 St, 후단면 Sr, 및, 바닥면 Sb와 직교한다. 제 2 측면 Sd와 선단면 Sf가 교차하는 위치에는, 요철 장합부(1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요철 장합부(134)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요철 장합부와 함께, 카트리지의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카트리지(100)는,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이며, 개인용의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 비해, 카트리지 치수가 크고, 또한,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도 많다. 예컨대, 카트리지의 길이 L1은,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100mm 이상인데 대하여,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70mm 이하이다. 또한, 미사용 시의 잉크량은,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17ml 이상(전형적으로는 100ml 이상)인데 대하여,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15ml 이하이다. 또한, 많은 경우에,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는, 선단면(삽입 방향의 선두의 면)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데 대하여,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바닥면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이러한 치수, 중량, 또는, 카트리지 장착부와의 연결 위치에 관한 특징점에 기인하여,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 비해 회로 기판(200)의 단자에 있어서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또한 후술한다.
그런데, 종래는,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 중의 하나 또는 2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장착 상태의 검출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통상이었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도, 장착 검출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다른 단자에 관해서는, 인쇄 장치의 단자와의 접촉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특히, 기억 장치용의 단자의 접촉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기억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시나 기억 장치로의 데이터의 기입 시에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단자의 접촉 불량의 문제는, 포스터 등의 대형 포맷의 용지(A2-AO 크기 등)에 인쇄를 행하는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즉, 대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치수가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 비해 크고, 또한, 카트리지에 수용하고 있는 잉크 중량도 많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치수 및 중량의 차이로부터, 대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 비해 잉크 카트리지가 기울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홀더(「카트리지 장착부」라고도 부름)와의 연결 위치가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한편,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바닥면에 연결 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연결 위치의 상위점으로부터도, 대형 잉크젯 프린터는,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 비해 잉크 카트리지가 기울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대형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여러 가지의 구성에 기인하여,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 비해 잉크 카트리지가 기울기 쉽고, 이 결과, 기판의 단자에 있어서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특히 대형 잉크젯 프린터에 관하여, 기억 장치용의 단자의 접촉 상태가 양호한 것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하고자 하는 요망을 가진 것에 이른 것이다
도 3a는, 기판(200)의 표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200)의 표면은, 카트리지(100)에 기판(200)이 장착되었을 때에 외측에 노출하고 있는 면이다. 도 3b는, 기판(200)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200)의 상단부에는, 보스 그루브(boss groove)(201)가 형성되고, 기판(200)의 하단부에는, 보스 홀(20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서의 화살표 SD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로의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장착 방향 SD는, 도 2에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X 방향)과 일치한다. 기판(200)은, 이면에 기억 장치(203)를 갖고 있고, 표면에는 9개의 단자(210-290)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210-290)는, 기판(200)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며, 기판(200)상에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기억 장치(203)는, 카트리지(100)의 잉크에 관한 정보(예컨대, 잉크 잔량)를 저장한다. 단자(210-29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 방향 SD와 대략 수직한 열을 2열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열중, 장착 방향 SD의 앞측의 열(도 3a에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열)을 상측열 R1(제 1 열)이라고 부르고, 장착 방향 SD의 내측의 열(도 3A에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열)을 하측열 R2(제 2 열)라고 부른다. 또한, 이들 열 R1,R2은,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 cp에 의해서 형성되는 열이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인쇄 장치측의 단자군(후술)은, 이들의 접촉부 cp에서 기판(200) 상의 단자(210-290)와 접촉한다. 접촉부 cp는 개개의 단자의 면적보다도 충분히 작고, 거의 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카트리지(100)가 인쇄 장치에 장착될 때에는, 인쇄 장치측의 단자군의 접촉부가, 기판(200) 위를 도 3a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동하면서 진행하고, 장착 완료 시에, 카트리지측의 단자 각각과 대응하는 모든 인쇄 장치측의 단자 각각이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상측열 R1을 형성하는 단자(210-240)와, 하측열 R2을 형성하는 단자(250-290)는, 각각 이하의 기능(용도)을 갖는다.
<상측열 R1>
(1) 장착 검출 단자(210)
(2) 리셋 단자(220)
(3) 클록 단자(230)
(4) 장착 검출 단자(240)
<하측열 R2>
(5) 장착 검출 단자(250)
(6) 전원 단자(260)
(7) 접지 단자(270)
(8) 데이터 단자(280)
(9) 장착 검출 단자(290)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전기 접촉의 양부를 검출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고, 「접촉 검출 단자」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착 검출 처리를 「접촉 검출 처리」라고 부르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5개의 단자(220, 230, 260, 270, 280)는, 기억 장치(203)용의 단자이며, 「메모리 단자」라고도 부른다.
복수의 단자(210-290)의 각각은, 그 중앙부에,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의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cp를 포함하고 있다. 상측열 R1을 형성하는 단자(210-240)의 각 접촉부 cp와, 하측열 R2을 형성하는 단자(250-290)의 각 접촉부 cp는, 번갈아서 배치되어, 소위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측열 R1을 형성하는 단자(210-240)와, 하측열 R2을 형성하는 단자(250-290)도, 서로의 단자 중심이 장착 방향 SD에 정렬되지 않도록, 번갈아서 배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측열 R1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각 접촉부는, 상측열 R1의 양 단부, 즉, 상측열 R1의 가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열 R2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각 접촉부는, 하측열 R2의 양 단부, 즉, 하측열 R2의 가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접촉부는, 복수의 단자(210-290)의 전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의 대략 중앙에 집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는,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집합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9개의 단자(210-290)의 접촉부(210cp 내지 290cp)를 나타내고 있다. 9개의 접촉부(210cp 내지 290cp)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대략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억 장치용의 복수의 접촉부(220cp, 230cp, 260cp, 270cp, 280cp)는, 접촉부(210cp 내지 290cp) 전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의 중앙의 영역(제 1 영역(810))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는, 제 1 영역(810)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는, 제 1 영역(810)을 포함하는 4각형의 제 2 영역(820)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영역(810)의 형상은,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를 포함하는 가장 면적의 작은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영역(810)의 형상을,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에 외접하는 사각형으로 해도 된다. 제 2 영역(820)의 형상은, 접촉부(210cp 내지 290cp)의 전부를 포함하는 가장 면적의 작은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의 수직하 방향(-Z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기억 장치용의 복수의 접촉부(220cp, 230cp, 260cp, 270cp, 280cp)를 포함하는 제 1 영역(810)의 중심은,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도 2)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영역(820)은 사다리꼴이다. 제 2 영역(820)의 형상으로서는, 상측 바닥(제 1 저변)이 하측 바닥(제 2 저변)보다도 작은 등각 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완료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 2 영역(820)의 상측 바닥의 양단 근방과 하측 바닥의 양단 근방(즉, 도 3a의 상측열 R1의 양단와 하측열 R2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다. 카트리지(100)가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도 2b 참조)가 인쇄 장치의 잉크 공급관(후술)에 접속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00)가, 잉크 공급구(110)를 중심으로 하여, 정확한 장착 위치로부터 ±Y 방향으로 기울면, 잉크 공급구(110)로부터 가장 먼 단자의 접촉부가 가장 큰 어긋남량으로 단자 중앙으로부터 어긋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열 R1에 있는 단자(210-240) 중, 잉크 공급구(110)로부터 가장 먼 단자는, 상측열 R1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이다. 또한, 하측열 R2에 있는 단자(250-290) 중, 잉크 공급구(110)로부터 가장 먼 단자는, 하측열 R2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이다. 가령, 2열의 단자군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지 않고서 직사각형 형상(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면, 기판(200)상의 접촉부 cp를 포함하는 제 2 영역(820)도 직사각형이 된다. 이 경우에는, 상측열 R1에 존재하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쪽이, 하측열 R2에 존재하는 장착 검출 단자(250, 290)보다도 잉크 공급구(110)로부터 보다 먼 위치로 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로부터 보다 크게 어긋나 버린다. 이 때, 가령 다른 단자(220, 230, 250∼290)가 정확한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상측열 R1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 상태가 불충분하며, 장착 불량이라고 판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판정의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해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210cp, 240cp, 250cp, 290cp)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 2 영역(820)의 상측 바닥의 양단과 하측 바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200)상의 접촉부의 전부를 포함하는 제 2 영역(820)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는 이점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를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4b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내부를, 그 정면(카트리지를 삽입하는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c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내부를 단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일부의 벽 부재 등을 생략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XYZ 축은 도 1, 도 2의 XYZ 축에 상당한다. 카트리지 장착부(1100)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수용 슬롯 SL1 내지 SL4를 구비하고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내부에는, 1 슬롯마다, 잉크 공급관(1180)과, 한 쌍의 위치 결정 핀(1110, 1120)과, 요철 장합부(1140)와, 접점 기구(14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공급관(1180)과, 한 쌍의 위치 결정 핀(1110, 1120)과, 요철 장합부(1140)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후벽 부재(1160)에 고정되어 있다. 잉크 공급관(1180)과, 위치 결정 핀(1110, 1120)과, 요철 장합부(1140)는, 슬라이더 부재(1150)에 설치된 관통 홀(1181, 1111, 1121, 1141)에 삽입되고,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4a는, 후벽 부재(1160)를 제거하여, 슬라이더 부재(1150)를 후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a에서는, 위치 결정 핀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부재(1150)의 후측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 핀(1110, 1120)에 대응한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이 설치되어 있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은, 슬라이더 부재(1150)와 후벽 부재(1160)에 고정하여 배치되어 있다.
잉크 공급관(1180)은,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도 2a)에 삽입되고, 잉크를 인쇄 장치(1000) 내부의 인쇄 헤드에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위치 결정 핀(1110, 1120)은,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위치 결정 홀(131, 132)에 삽입되어, 카트리지(100)의 수용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요철 장합부(1140)는, 카트리지(100)의 요철 장합부(1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수용 슬롯 SL1 내지 SL4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수용 슬롯 SL1 내지 SL4에는, 미리 결정된 1 종류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만이 수용 가능해져, 다른 색의 카트리지는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각 수용 슬롯 후벽면에 배치된 슬라이더 부재(1150)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X 방향) 및 배출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수용 슬롯에 설치된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도 4a)은, 슬라이더 부재(1150)를 배출 방향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카트리지(100)는, 수용 슬롯에 삽입될 때에, 슬라이더 부재(1150)와 함께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을 장착 방향으로 눌러,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면서 삽입한다. 따라서,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에 의해서 배출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이 수용 상태에서는, 각 수용 슬롯 SL1 내지 SL4의 바닥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1130)(도 4b)가, 카트리지(100)의 바닥면 Sb에 설치된 고정 그루브(140)(도 2a)에 계합한다. 이 고정 부재(1130)와 고정 그루브(140)의 계합에 의해서,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로부터 배출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카트리지(100)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카트리지(100)가 일단 장착 방향으로 삽입하면, 이에 따라 고정 부재(1130)와 고정 그루브(140)의 사이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 결과, 카트리지(100)는,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배출 방향(-X 방향)으로 푸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1100)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접점 기구(1400)(도 4b)는,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삽입된 경우에, 회로 기판(200)의 단자(210-290)(도 3a)와 접촉하여 도통하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다. 인쇄 장치(1000)의 제어 회로는, 이 접점 기구(1400)를 거쳐서, 회로 기판(200)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5a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 내에 카트리지(100)가 적정히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00)는 기울어져 있지 않고, 그 상면이나 바닥면이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상단 부재나 하단 부재와 평행한 상태에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잉크 공급관(1180)은,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에 연결되고,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위치 결정 핀(1110, 1120)은, 카트리지(100)의 위치 결정 홀(131, 132)에 삽입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바닥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1130)는, 카트리지(100)의 바닥면에 설치된 고정 그루브(140)에 계합한다. 그리고, 카트리지의 선단면 Sf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한 쌍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에 의해서 배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카트리지(100)가 적정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접점 기구(1400)와, 카트리지(100)의 기판(200)의 단자(210-290)(도 3a)가 서로 양호한 접촉 상태에서 접촉한다.
그런데, 카트리지 장착부(1100)는, 카트리지(100)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다소의 허용치가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00)는, 도 5a에 나타내는 기울어져 있지 않은 직립하는 적정한 상태에서 수납된다는 것에 한하지 않고, 카트리지의 폭 방향(Y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우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후단이 약간 내려간 상태로 경사지거나, 반대로,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후단이 약간 올려진 상태로 경사지거나 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잉크가 소비되고, 잉크 계면 LL이 저하되면, 수용되어 있는 잉크 중량의 변화에 따른 중심의 변화나, 바이어스 스프링(1112, 1122)에 의한 바이어스 힘과 잉크 중량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중량과의 밸런스가 변화한다. 그리고, 이 중량 밸런스의 변화에 따라 카트리지가 기울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카트리지가 기울면, 카트리지의 기판(200)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중의 몇 개의 단자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도 5b, 도 5c의 상태에서는, 기판(200)(도 3a)의 상측열 R1의 단자군(210-240)과, 하측열 R2의 단자군(250-290) 중의 한쪽의 하나 이상의 단자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가 기우는 때에는, 도 5b, 도 5c는 수직 방향의 경사(장착 방향 X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한 경사)도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판(200)도, 그 장착 방향 SD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기울고, 기판(200)의 좌측에 있는 단자군(210, 220, 250, 260)과, 우측에 있는 단자군(230, 240, 280, 290) 중의 한쪽의 하나 이상의 단자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와 인쇄 장치(1000)의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을 정상으로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불량이 생긴다. 또한, 잉크 먼지나 잉크 방울 등의 이물질이 기판(200)의 단자 부근에 부착하면, 단자들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종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의 검출 처리에서는, 이러한 카트리지의 경사에 기인하는 접촉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에 기인하는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나 누출을 검출하거나 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그런데, 대형의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는, 개인용의 소형의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와 비교하여, 이하와 같은 특징점을 갖고 있다.
(1) 카트리지 치수가 크다(길이 L1이 100mm 이상).
(2)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이 많다(17ml 이상이며, 전형적으로는 100ml 이상임).
(3) 선단면(장착 방향의 선두의 면)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4) 잉크 수용실 내의 공간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단일의 잉크 수용실(잉크 수용 백)을 구성하고 있다.
대형 잉크젯 프린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들의 특징점 (1) 내지 (4) 중의 몇 개를 갖지 않는 카트리지도 이용되지만, 이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갖는 것이 통상이다.
대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이러한 치수, 중량, 카트리지 장착부와의 연결 위치, 또는 잉크실 구성의 특징점을 갖기 위해서, 소형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 비해 카트리지가 기울기 쉽고, 이 결과, 기판(200)의 단자에 있어서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특히 대형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카트리지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자의 접촉 불량, 의도하지 않는 단락, 누출 등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의의가 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기판(200)과 인쇄 장치(10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인쇄 장치(1000)는, 표시 패널(430)과, 전원 회로(440)와, 주제어 회로(400)와, 부제어 회로(50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430)은, 사용자에 인쇄 장치(1000)의 동작 상태나,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 등의 각종 통지를 행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표시 패널(430)은, 예컨대, 도 1의 조작부(1300)에 설치된다. 전원 회로(440)는, 제 1 전원 전압 VDD를 생성하는 제 1 전원(441)과, 제 2 전원 전압 VHV를 생성하는 제 2 전원(442)을 갖고 있다. 제 1 전원 전압 VDD는, 논리 회로에 사용되는 통상의 전원 전압(정격 3.3V)이다. 제 2 전원 전압 VHV는, 인쇄 헤드를 구동하여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높은 전압(예컨대, 정격 42V)이다. 이들의 전압 VDD, VHV는, 부제어 회로(500)에 공급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회로에도 공급된다. 주제어 회로(400)는, CPU(410)와, 메모리(420)를 갖고 있다. 부제어 회로(500)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장착 검출 회로(600)를 갖고 있다. 또한, 주제어 회로(400)와, 부제어 회로(500)를 포함하는 회로를, 「제어 회로」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카트리지의 기판(200)(도 3a)에 설치된 9개의 단자 중, 리셋 단자(220)와, 클록 단자(230)와, 전원 단자(260)와, 접지 단자(270)와, 데이터 단자(280)는, 기억 장치(2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03)는, 어드레스 단자를 가지지 않고, 클록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 SCK의 펄스 수와, 데이터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 셀이 결정되고, 클록 신호 SCK에 동기하여, 데이터 단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 단자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클록 단자(230)는, 부제어 회로(500)로부터 기억 장치(203)에 클록 신호 SCK를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원 단자(260)와 접지 단자(270)에는, 인쇄 장치(1000)로부터 기억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예컨대, 정격 3.3V)과 접지 전압(OV)이 각각 공급되어 있다. 이 기억 장치(203)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은,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직접 주어지는 전압이나,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생성되는 것으로 제 1 전원 전압 VDD보다도 낮은 전압이라도 된다. 데이터 단자(280)는, 부제어 회로(500)와 기억 장치(203)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 SDA를 주고 받기 위해서 사용된다. 리셋 단자(220)는, 부제어 회로(500)로부터 기억 장치(203)에 리셋 신호 RST를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카트리지(100)의 기판(200)(도 3a) 내에서 배선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부 접지되어 있다. 예컨대,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접지 단자(270)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접지된다. 단, 접지 단자(270) 이외의 경로에서 접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설명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메모리 단자 중의 일부(또는 기억 장치(203))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되지만, 접지 단자 이외의 메모리 단자나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착 검출 단자가 메모리 단자나 기억 장치에 완전히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장착 검사 신호 이외의 신호나 전압이 장착 검출 단자에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장착 검출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예로서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만,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의 일부를 저항으로 변경해 놓더라도 된다. 또한, 2개의 단자가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단락 접속」 또는 「도선 접속」이라고도 부른다. 배선에 의한 단락 접속은, 의도하지 않는 단락과는 상이한 상태이다.
도 6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510-590)와, 기판(200)의 단자(210-290)에 의해, 부제어 회로(500)와 기판(200)을 접속하는 배선 경로에는, 배선명 SCK, VDD, SDA, RST, OVl, OV2, DTl, DT2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의 배선명 중, 기억 장치용의 배선 경로의 것은, 신호명과 동일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장치측 단자(510-590)는,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낸 접점 기구(1400)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기판(200)과 장착 검출 회로(600)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200)의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10, 540, 550, 590)를 거쳐서 장착 검출 회로(60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판(200)의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는 접지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510, 540, 550, 590)와 장착 검출 회로(600)를 접속하는 배선은, 풀업 저항을 거쳐서 부제어 회로(500) 내의 전원 VDD(정격 3.3V)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기판(200)의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중의 3개의 단자(210, 240, 25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10, 540, 550)와 양호한 접속 상태에 있다. 한편, 4번째의 장착 검출 단자(29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90)와 접촉 불량의 상태에 있다. 접속 상태가 양호한 3개의 장치측 단자(510, 540, 550)의 배선의 전압은 L 레벨(접지 전압 레벨)로 되고, 한편, 접속 상태가 불량인 장치측 단자(590)의 배선의 전압은 H 레벨(전원 전압 VDD 레벨)로 된다. 따라서, 장착 검출 회로(600)는, 이들의 각 배선의 전압 레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각각에 대해, 접촉 상태의 양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200)의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각 접촉부 cp는, 기억 장치용의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접촉부 cp의 집합 영역(810)의 주위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 상태가 전부 양호한 경우에는, 카트리지에 큰 경사가 없고, 기억 장치용의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접촉 상태도 양호하다. 한편,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중의 하나 이상의 단자의 접촉 상태가 불량인 경우에는, 카트리지에 큰 경사가 있고, 기억 장치용의 단자(220, 230, 260, 270, 280) 중의 하나 이상의 단자의 접촉 상태도 불량일 가능성이 있다. 장착 검출 회로(600)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중의 하나 이상의 접촉 상태가 불량인 경우에는, 표시 패널(430)에 그 미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문자나 화상)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억 장치용의 단자의 접촉부 cp의 집합 영역(810)의 주위의 4 코너 전부에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 cp를 설치한 이유는,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도, 카트리지(100)가 어느 정도 기우는 자유도가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00)의 기판(200)과,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접점 기구(1400)(도 5a)가 서로 기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카트리지(100)의 후단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고, 기판(200)의 상측열 R1의 단자군(210-240)(그 접촉부군)이 하측열 R2의 단자군(250-290)(그 접촉부군)보다도 접점 기구(1400)로부터 분리되면, 상측열 R1의 단자군(210-240)의 접촉이 불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카트리지(100)의 후단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울고, 기판(200)의 하측열 R2의 단자군(250-290)이 상측열 R1의 단자군(210-240)보다도 접점 기구(1400)로부터 분리되면, 기판(200)의 하측열 R2의 5개의 단자(250-290)의 접촉이 불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가, 도 5b, 도 5c와는 달리, X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고, 도 7에 있어서의 기판(200)의 좌단이 우단보다도 접점 기구(1400)로부터 분리되면, 기판(200)의 좌측에 있는 단자(210, 220, 250, 260, 270)의 접촉이 불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기판(200)의 우단이 좌단보다도 접점 기구(1400)로부터 분리되면, 기판(200)의 우측에 있는 단자(230, 240, 270, 280, 290)의 접촉이 불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접촉 불량이 생기면, 기억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억 장치(203)로의 데이터의 기입 시에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접촉부 cp의 집합 영역(810)의 주위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 cp의 접촉 상태가 전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면, 이러한 경사에 기인하는 접촉 불량 및 기억 장치의 액세스 에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l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의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의 집합 영역의 주위의 4 코너에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이들 장착 검출 단자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가 양호한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용 단자에 관해서도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대형의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서 카트리지가 기울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된 영역의 주위의 영역(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된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4 코너에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이들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 상태가 전부 양호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의 필요성과 의의는, 대형의 잉크젯 프린터용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특히 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는,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가,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2개의 전원 단자(접지 단자, 전원 단자)와 3개의 신호 단자(리셋 단자, 클록 단자, 데이터 단자)이다.
B. 제 2 실시 형태: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자(210-290)의 배열은, 도 3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단, 각 단자의 기능(용도)은 이하와 같으며, 제 1 실시 형태와 약간 상이하다.
<상측열 R1>
(1) 과전압 검출 단자(210)(누출 검출/장착 검출겸용)
(2) 리셋 단자(220)
(3) 클록 단자(230)
(4) 과전압 검출 단자(240)(누출 검출/장착 검출겸용)
<하측열 R2>
(5) 센서 단자(250)(장착 검출겸용)
(6) 전원 단자(260)
(7) 접지 단자(270)
(8) 데이터 단자(280)
(9) 센서 단자(290)(장착 검출겸용)
상측열 R1의 양단에 있는 단자(210, 240)와 그 접촉부는, 과전압의 검출(후술)과, 단자 사이의 누출 검출(후술)과,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된다. 또한, 하측열 R2의 단자(250, 290)와 그 접촉부는,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센서를 사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과, 장착 검출(접촉 검출)의 양쪽에 사용된다. 또한, 이 단자군(210-290)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영역의 4 코너에 있는 단자(210, 240, 250, 290)의 4개의 접촉부가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되는 점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측열 R1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자(210, 240)의 접촉부에는, 기억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전원 전압 VDD와 동일한 전압, 또는,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되고, 하측열 R2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자(250, 290)의 접촉부에는,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2 전원 전압 VHV와 동일한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 VHV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생성된 전압」으로서는, 제 1 전원 전압 VDD(통상은 3.3V)보다도 낮고 접지 전위보다도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과전압 검출부에 의해서 과전압이 검출될 때에 단자(210 또는 240)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인 「과전압의 판정 임계값」보다도 낮은 전압이다. 또한, 「제 2 전원 전압 VHV로부터 생성된 전압」으로서는, 제 1 전원 전압 VDD보다도 높고, 제 2 전원 전압 VHV보다도 낮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기판(200a)에서도, 도 3a의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 cp는, 사다리꼴 형상 영역의 상측 바닥의 양단 근방과 하측 바닥의 양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가 직사각형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장착에 관한 오판정의 가능성이 낮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나 접촉 검출의 일 형태로서, 카트리지의 단자들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 생기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조사하는 단락 검출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다. 단락 검출에서는, 예컨대, 통상의 전원 전압(3.3V)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용 단자에 인접한 위치에 단락 검출용 단자를 설치하고, 이 단락 검출용 단자에 과도한 전압이 발생하는지 여부가 조사된다. 그리고, 단락 검출용 단자에 과도한 전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고전압용 단자로의 고전압의 인가가 정지된다. 그러나, 단락 검출용 단자에 과도한 전압이 발생했을 때에 즉시 고전압의 인가를 정지했다고 해도, 그 정지 전에 발생하고 있었던 과도한 전압에 기인하여, 카트리지나 인쇄 장치에 어떠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 형태나 제 3 실시 형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도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기판(200a)과 인쇄 장치(10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판(200a)은, 기억 장치(203)와, 9개의 단자(210-290) 이외에, 잉크 잔량의 검출에 사용되는 센서(208)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208)로서는, 예컨대, 피에조 소자를 사용한 주지의 잉크 잔량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소자는, 전기적으로는 용량 소자로서 기능한다.
주제어 회로(400)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CPU(410)와, 메모리(420)를 갖고 있다. 부제어 회로(500a)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를 갖고 있다.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의 검출과, 센서(208)를 이용한 잉크 잔량의 검출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는,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의 검출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를 「장착 검출 회로」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는, 카트리지의 센서(208)에, 기억 장치(203)에 인가 또는 공급되는 전원 전압 VDD에 비해 높은 전압을 인가 또는 공급하는 고전압 회로이다. 또한, 센서(208)에 인가하는 높은 전압으로서는, 인쇄 헤드의 구동에 이용하는 전원 전압 VHV(정격 42V) 그 자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인쇄 헤드의 구동에 이용하는 전원 전압 VHV로부터 생성한 약간 낮은 전압(예컨대, 36V)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4개의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각 카트리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참조부호 IC1 내지 IC4가 사용되고 있다.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는,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와, 과전압 검출부(620)와,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센서 처리부(660)를 갖고 있다. 센서 처리부(660)는, 접촉 검출부(662)와, 액량 검출부(664)를 포함하고 있다. 접촉 검출부(662)는, 카트리지의 센서(208)를 이용하여 센서 단자(250, 290)의 접촉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액량 검출부(664)는, 카트리지의 센서(208)를 이용하여 잉크 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전체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비장착 상태의 검출 처리)과, 단자(210/250) 사이, 및 단자(240/290) 사이의 누출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과전압 검출부(620)는,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에 과대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과전압 검출을 「단락 검출」이라고도 부르고, 과전압 검출부(620)를 「단락 검출부(620)」라고도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각 카트리지 내에서, 제 1 및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는 배선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는 배선에 의해 단락 접속되어 있지만, 그 접속 배선의 일부를 저항으로 해도 된다. 1번째의 카트리지 IC1의 제 l 과전압 검출 단자(21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10)를 거쳐서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 내의 배선(651)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배선(651)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 접속되어 있다. n번째 (n=1-3)의 카트리지의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와, n+1번째의 카트리지의 제 1 과전압 검출 단자(21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40, 510)를 거쳐서 서로 접속된다. 또한, 4번째의 카트리지 IC4의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40)를 거쳐서 검지 펄스 발생부(650)에 접속된다. 모든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으면, 각 카트리지의 과전압 검출 단자(240, 21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가 서로 접속된다. 한편, 1개라도 미장착의 카트리지가 있는 경우나 장착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장치측 단자(510, 540) 또는 카트리지 ICl 내지 IC4의 단자(210, 240)의 어느 하나에 미접촉이나 접촉 불량이 생겨,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가 비접속 상태로 된다. 따라서,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검지 펄스 발생부(650)로부터 전송되는 검사 신호 DPins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 DPres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어느 하나에 미접촉이나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각 카트리지의 과전압 검출 단자(240, 210)가 순차적으로 직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접속 상태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어느 하나에 미접촉이나 접촉 불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미접촉이나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경우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미장착의 경우이다. 따라서,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검사 신호 DPins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 DPres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미장착인지 여부를 즉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사 신호 DPins는,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바탕으로 생성하면 바람직하다.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제 1 과전압 검출 단자(21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10)를 거쳐서, 다이오드(641-644)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4개의 카트리지 IC1-IC4의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40)를 거쳐서, 다이오드(642-645)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다이오드(642)의 애노드 단자는, 제 l 카트리지 IC1의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와, 제 2 카트리지 IC2의 제 1 과전압 검출 단자(210)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다이오드(643, 644)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카트리지의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와 인접하는 카트리지의 제 1 과전압 검출 단자(210)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들 다이오드(641-645)의 캐소드 단자는, 과전압 검출부(62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다이오드(641-645)는,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에 비정상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비정상의 전압치(「과전압」이라고 부름)는, 각 카트리지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어느 하나와, 센서 단자(250, 290)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예컨대, 잉크 먼지나 오염물 등의 이물질이 기판(200)(도 3a)의 표면에 부착하면, 제 1 과전압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단자(250)의 사이, 또는,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40)와 제 2 센서 단자(290)의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 발생하면, 다이오드(641-645) 중 어느 하나를 거쳐서 과전압 검출부(620)에, 과전압 검출 단자에 소정치 이상의 전압(과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과전압 검출부(620)는, 과전압의 발생의 유무, 및 의도하지 않는 단락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의도하지 않는 단락의 원인으로 되는 이물질은, 기판(20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또한,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진입하기 쉽다. 따라서,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부가 기판(200)의 상측열 R1 상에 배치되는 접촉부의 양단(도 3a)의 접촉부로 되도록 배치해 두면,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가, 센서 단자(250, 290)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센서 단자(250, 290)에 인가되는 고전압이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에 인가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접촉 검출부(662) 및 액량 검출부(664)와, 카트리지의 센서(208)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센서(208)는, 전환 스위치(666)를 거쳐서, 접촉 검출부(662)와 액량 검출부(664)의 한쪽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센서(208)가 접촉 검출부(662)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촉 검출부(662)가, 센서 단자(250, 290)와 이들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50, 590)가 양호한 접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한편, 센서(208)가 액량 검출부(664)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액량 검출부(664)가, 카트리지 내의 잉크 잔량이 소정량 이상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접촉 검출부(662)는, 비교적 낮은 전원 전압 VDD(예컨대, 3.3V)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한편, 액량 검출부(664)는, 비교적 높은 전원 전압 HV(예컨대, 36V)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또한, 접촉 검출부(662)와 액량 검출부(664)는, 개개의 카트리지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더라도 되고, 또는, 복수의 카트리지에 공통으로, 하나의 접촉 검출부(662)와 하나의 액량 검출부(664)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개개의 카트리지의 센서 단자(250, 290)와, 접촉 검출부(662) 및 액량 검출부(664)의 접속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접촉 검출 처리」라고도 부름)에 사용되는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에는, 제 1 장착 검출 신호 DPins, DPres와, 제 2 장착 검출 신호 SPins, SPres가 사용된다. 또한, 신호명의 말미에 「ins」가 부여된 신호 DPins, SPins는,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로부터 카트리지의 기판(200)에 출력되는 신호이며, 「장착 검사 신호」이라고 부른다. 또한, 신호명의 말미에 「res」가 부여된 신호 DPres, SPres는, 카트리지의 기판(200)으로부터 센서 관련 처리 회로(503)에 입력되는 신호이며, 「장착 응답 신호」라고 부른다.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3 종류의 장착 상태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1) 제 1 장착 검출 처리: 제 1 장착 검출 신호 DPins, DPres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의 비장착 상태의 검출(전체 카트리지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 상태의 검출)
(2) 제 2 장착 검출 처리: 제 2 장착 검출 신호 SPins, SPres를 이용한 개개의 카트리지의 센서 단자(250, 290)의 접촉 상태의 검출
(3) 누출 검출 처리: 제 1 장착 검출 신호 DPins, DPres를 이용한 단자(210/250) 사이, 및, 단자(240/290) 사이의 누출 상태의 검출
제 1 및 제 2 장착 검출 처리에서는 단자의 접촉 상태가 검출되기 때문에, 이들의 처리를 「접촉 검출 처리」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장착 검출 신호를 「제 1 접촉 검출 신호 DPins, DPres」,「제 2 접촉 검출 신호 SPins, SPres」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장착 검출 신호 SPins, SPres는, 접촉 검출부(662)가, 개개의 카트리지의 센서 단자(250, 290)의 접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는, 접촉 검출부(662)로부터 한쪽의 센서 단자(290)에 공급되는 신호이며,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는, 다른쪽의 센서 단자(250)로부터 접촉 검출부(662)로 되돌아가는 신호이다. 제 2 접촉 검사 신호 SPins는, 도 12의 제 1 기간 P21에 하이 레벨 H2로 되고, 그 후의 제 2 기간 P22에 로우 레벨로 되는 신호이다. 또한,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1의 전압은, 예컨대, 3.OV로 설정되어 있다. 단자(250, 290)의 양쪽이 정상인 접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와 동일한 레벨 변화를 나타낸다.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펄스 발생부(650)로부터 제 4 카트리지 IC4의 과전압 검출 단자(240)에 공급되는 신호이며,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제 1 카트리지 IC1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로부터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 입력되는 신호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는, 7개의 기간 P11 내지 P17로 구분된다. 즉,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는, 기간 P11에서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기간 P12, P14, P16에서는 하이 레벨 H1으로 되며, 다른 기간 P13, P15, P17에서는 로우 레벨로 된다.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의 전압은, 2.7V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2(3.OV)와 상이한 전압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제 1 및 제 2 기간 P11, P12은,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제 1 기간 P21의 일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제 4-제 7 기간 P14-P17은,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제 2 기간 P22의 일부에 상당한다. 전체 카트리지의 단자(210, 240)가 정상인 접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제 1 기간 P11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제 2 기간 P12 이후에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와 동일한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로 된다. 또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제 1 기간 P11에서 로우 레벨로 되는 이유는, 제 1 기간 P11 직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즉,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로의 입력 배선(651)이) 로우 레벨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의 전압은, 과전압 검출부(620)에 의해서 검출되는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로의 과전압치(과전압의 판정 임계값)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이용한 장착 검출 시에, 과전압이 발생한 것으로 오판정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검출되는 과전압치로서는, 예컨대, 3.OV가 사용된다. 도 10의 회로에서는, 예컨대, 제 1 카트리지 IC1의 단자(210)에 걸리는 과전압은, 다이오드(641)를 거쳐서 과전압 검출부(620)에 입력된다. 따라서, 과전압 검출부(620) 내에서의 판정에 사용되는 임계값은, 검출해야 할 과전압치(예컨대, 3.OV)로부터 다이오드(641)의 전압 강하(예컨대, 0.7V)를 뺀 값(예컨대, 2.3V)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과전압의 판정 임계값」이라고 하는 용어는, 과전압 검출부(620)에 의해서 단자(210 또는 240)에 과전압이 발생했다고 판정될 때에, 단자(210 또는 240)에 걸려 있는 전압을 의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3a는, 단자(250, 290)의 적어도 한쪽의 접촉이 불량인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는, 기간 P21, P22을 통하여 로우 레벨로 된다. 접촉 검출부(662)는, 기간 P21 내의 미리 정해진 타이밍 t21에서 장착 응답 신호 SPres의 레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단자(250, 290)의 접촉의 양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단자(250, 290)에 접촉 불량이 있는 카트리지가 검출된 경우에는, 주제어 회로(400)가, 표시 패널(430)에, 그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가 불량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문자나 화상)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b는, 전체 카트리지의 단자(210, 240)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접촉 불량에 있는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기간 P11-P17을 통하여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하이 레벨로 되는 기간 P12, P14, P16의 미리 설정된 타이밍 t12, t14, t15에 있어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레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정상으로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판정은, 3개의 타이밍 t12, t14, t15의 적어도 1개소에서 행하면 충분하다.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정상으로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주제어 회로(400)가, 표시 패널(430)에 장착 상태가 불량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문자나 화상)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비장착 상태의 검출 처리(제 1 장착 검출 처리)의 목적뿐이면,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와 유사한 단순한 펄스 신호로 해도 된다.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도 12와 같은 복잡한 파형 형상을 갖고 있는 이유는, 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누출 상태의 검출(제 3 장착 상태 검출 처리)을 위해서이다.
도 14a는, 과전압 검출 단자(240)와 센서 단자(290)의 사이가 누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누출 상태」라고 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라고 할 수 있는 정도의 극저저항 상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이하의 저항치(예컨대, 10kΩ 이하의 저항치)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특유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즉,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제 1 기간 P11에서 로우 레벨로부터 제 2 하이 레벨 H2로 상승하고, 제 2 기간 P11에서 제 1 하이 레벨 H1로 저하한다. 제 2 하이 레벨 H2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2와 거의 동일한 전압이다. 이러한 파형은, 이하에 설명하는 등가 회로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 15a는, 기판(200a)과, 접촉 검출부(662)와,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인접하는 단자 사이에 누출이 없는 상태이다. 도 15b는, 단자(240, 290)의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단자(240, 290) 사이의 누출 상태가, 저항 RL에서 모의되고 있다. 센서(208)는, 용량 소자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도 15b의 센서(208)의 용량과, 단자(240, 290) 사이의 저항 RL을 포함하는 회로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에 대하여 로우 패스 필터 회로(적분 회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 입력되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2(약 3V)에까지 서서히 상승하는 신호로 된다.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기간 P11 내의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타이밍 tl1에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단자(240, 29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제 1 및 제 2 기간 P11, P12에 있어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하이 레벨 H1, H2의 전압의 차이로부터, 단자(240/290) 사이가 누출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4a의 제 1 기간 P21에 있어서의 제 l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변화는, 기간 P21에 있어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레벨을, 제 2 하이 레벨 H2보다도 낮은 레벨로 설정했을 때에도 얻어진다. 따라서, 예컨대,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기간 P11에서 로우 레벨로 유지하도록 하더라도, 단자(240, 290) 사이의 누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기간 P11-P13에 걸쳐 로우 레벨로 유지하도록 하더라도 된다.
단자(240, 29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가 특유의 변화를 나타낸다. 즉,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는, 기간 P14, P16에 있어서,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는 것에 따라서 상승한다. 따라서, 이들의 기간 P14, P16의 소정의 타이밍 t14, t15에서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b는, 다른 과전압 검출 단자(210)와 센서 단자(250)가 누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특유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즉,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제 1 기간 P11에서, 로우 레벨로부터 급격히 상승한 후에 약간 서서히 저하된다. 이 때의 피크의 전압 레벨은,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보다도 높고,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2에 가까운 레벨에까지 도달한다.
도 15c는,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단자(210, 250) 사이의 누출 상태가, 저항 RL에서 모의되고 있다. 센서(208)의 용량과, 단자(210, 250) 사이의 저항 RL을 포함하는 회로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에 대한 하이 패스 필터 회로(미분 회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간 P11에서 피크 형상을 나타내는 신호로 된다. 단, 제 2 기간 P12 이후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변화와 마찬가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기간 P11 내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밍 tl1에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자(240, 29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도 14a)와,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도 14b)에서는, 제 1 기간 P11의 중앙으로부터 종단까지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과, 제 2 기간 P12에 있어서의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의 관계가 역전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2개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단자(240, 290) 사이와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지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b와 같은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변화는, 기간 P11에서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출력 단자(즉, 검지 펄스 발생부(650)의 출력 단자)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얻어진다. 따라서, 예컨대,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기간 P11에서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하면, 기간 P12, P13에서 로우 레벨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단자(210, 250) 사이의 누출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에도,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가 특유의 변화를 나타낸다. 즉,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는, 기간 P14, P16에 있어서,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는 것에 따라서 상승한다. 따라서, 이들의 기간 P14, P16의 소정의 타이밍 t14, t15에서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의 변화는, 단자(240, 29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도 14a)와, 단자(210, 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경우(도 14b)에서 그 정도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타이밍 t14, t15에 있어서의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의 검사에서는, 2 세트의 단자의 어느 하나에 누출이 발생하고 있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식별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의 검사로도 충분하다.
상술한 도 12-도 14b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장착 응답 신호 SPres, DPres 중의 적어도 한쪽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끼리가 누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a, 도 16b는, 도 15b, 도 15c에 나타내는 누출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누출 판정부의 구성예를 게시하는 블록도이다. 누출 판정부는,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6a의 누출 판정부(672)는, 복수의 다이오드의 직렬 접속으로 구성된 전압 장벽부(674)와, 전류 검출부(675)를 갖고 있다. 전압 장벽부(674)의 임계값 전압 Vth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하이 레벨 H2보다도 낮고,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이 제 1 하이 레벨 H1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전압 장벽부(674)로부터 전류 검출부(675)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전류 검출부(675)는, 도 14a, 도 14b의 기간 P11에서 전압 장벽부(674)로부터 전류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단자(240/290) 사이와, 단자(210/250) 사이의 적어도 한쪽에서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단, 이 회로에서는, 단자(240/290) 사이와, 단자(210/250)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6b의 누출 판정부(672)는, AD 변환부(676)와 파형 분석부(677)를 갖고 있다. 이 회로에서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변화가, AD 변환부(676)로부터 디지탈화되어 파형 분석부(677)에 공급된다. 파형 분석부(677)는, 파형의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누출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a, 도 14b의 기간 P11에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한 신호(서서히 상승하는 위로 볼록의 신호)인 경우에는, 단자(240/29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하이 패스 필터를 통과한 신호(예리한 피크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에는, 단자(210/250) 사이에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AD 변환부(676)의 동작 클록 주파수는, 이러한 파형 분석을 위해 충분히 높은 주파수로 설정된다. 파형 분석부(677)는, 또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변화의 시정수를 구하고, 누출 상태에 있어서의 등가 회로의 저항치 및 용량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5b, 도 15c의 등가 회로에서는, 누출하고 있는 단자 사이의 저항 RL만이 미지이며, 다른 저항의 저항치나 용량 소자(208)의 용량치는 기지이다. 따라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변화의 시정수로부터, 누출하고 있는 단자 사이의 저항 RL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누출 판정부의 구성으로서는, 이들 이외의 여러 가지의 회로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이상의 도 12-도 16b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i)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여부(도 14a, 도 14b의 DPres), 및, (ii)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가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여부(도 14a, 도 14b의 SPres) 중의 적어도 한쪽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단자(250/290) 사이 또는 단자(210/240)에 누출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장착 검사 신호 SPins, DPins로서는, 전압 레벨이 일정한 신호(예컨대, 항상 로우 레벨 또는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신호)는 아니고, 전압 레벨이 각각 변화하는 상이한 신호 파형을 갖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도 14b의 신호 파형은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2개의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 중의 적어도 한쪽에서 누출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누출 발생 개소를 인쇄 장치 내의 도시하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해 두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인쇄 장치의 유지 보수 시에, 누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자 위치를 조사하여, 인쇄 장치 내의 접점 기구(1400)(도 4b)의 단자의 접점이나 스프링 볼록의 조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누출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은,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에 대한 장착 검출 처리의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서는, 개개의 카트리지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_1-SPins_4와, 전체 카트리지의 단자(240, 210)의 직렬 접속에 대하여 공급되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카트리지에 관한 장착 검사가 1 카트리지마다 순차적으로 실시되고, 또한, 개개의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가 동일한 기간에 공급되어 상술한 3 종류의 장착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이들의 검사에 있어서, 장착 불량(접촉 불량)이나 누출이 검출된 경우에는, 표시 패널(430)에 그 취지를 표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재장착을 사용자에게 권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장착 검사의 결과, 장착 불량이나 누출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후에, 각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의 검출이나, 기억 장치(203)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등이 행하여진다.
도 18은, 액량 검출 처리의 타이밍 차트이다. 액량 검출 처리에서는, 액량 검사 신호 DS가 한쪽의 센서 단자(290)에 공급된다. 이 액량 검사 신호 DS는, 센서(208)를 구성하는 압전 소자의 한쪽의 전극에 공급된다. 액량 검사 신호 DS는, 액량 검출부(664)(도 10)에 의해서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이 액량 검사 신호 DS의 최대 전압은, 예컨대, 약 36V이며, 최소 전압은 약 4V이다. 센서(208)의 압전 소자는 카트리지(100) 내의 잉크의 잔량에 따라 진동하고, 진동에 의해서 발생한 역기전압이 액량 응답 신호 RS로서 압전 소자로부터 다른쪽의 센서 단자(250)를 거쳐서 액량 검출부(664)에 송신된다. 액량 응답 신호 RS는, 압전 소자의 진동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진동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액량 검출부(664)는, 액량 응답 신호 RS의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이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잉크 잔량 검출 처리는, 상술한 누출 검사(누출 검출 처리)에서 사용된 제 l 장착 검사 신호 DPins나, 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된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보다도 높은 전압 레벨을 갖는 고전압 신호 DS를, 단자(250, 290)를 거쳐서 센서(208)에 공급하는 고전압 처리이다.
이와 같이, 잉크 잔량의 검출 시에는, 고전압의 액량 검사 신호 DS가 센서 단자(250, 290)에 인가된다. 가령, 센서 단자(250, 290)와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의 사이의 절연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단자(210, 240)에 비정상의 고전압(「과전압」)이 생긴다. 이 경우에는, 다이오드(641-645)(도 10)를 거쳐서 과전압 검출부(620)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과전압 검출부(620)는, 과전압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과전압이 검출되면, 과전압 검출부(620)로부터 액량 검출부(664)에 과전압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액량 검출부(664)가 액량 검사 신호 DS의 출력을 즉시 정지한다. 이것은, 과전압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카트리지나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센서 단자(250)(또는 290)와 과전압 검출 단자(210)(또는 240)의 사이의 절연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센서 단자와 기억 장치용 단자의 사이의 절연도 불충분하게 되어 있을 우려가 있다. 이 때,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에 과전압이 발생하면, 기억 장치용 단자에도 그 과전압이 인가되고, 그 기억 장치용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나 인쇄 장치의 회로에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과전압이 검출되었을 때에 액량 검사 신호 DS의 출력을 즉시 정지하면, 과전압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카트리지나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의 검출에 앞서, 복수 종류의 장착 상태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이 안의 누출 상태 검출 처리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240/290) 사이, 또는, 단자(210/250) 사이에 저저항인 누출 상태가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즉, 이들의 누출 상태의 검출 처리에서는, 비교적 낮은 전압 레벨(약 3V)의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를 이용하여, 단자(240/290) 사이, 또는, 단자(210/250) 사이가, 임의의 저항치(예컨대, 10kΩ) 이하의 저저항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자 사이에 누출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자(240/290) 사이, 또는, 단자(210/250) 사이의 저항치는, 상기의 저항치(약 10kΩ) 이상인 것이 보증된다. 따라서, 이 누출 상태의 검출 처리의 후에, 보다 높은 전압 레벨(약 36V)의 신호를 이용하여 잉크 잔량의 검출 처리를 실행하더라도,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에 대한 과전압이 매우 큰 값으로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 레벨의 신호를 이용하여 단자(240/290) 사이, 또는, 단자(210/250) 사이의 누출 상태를 검사하고, 그 결과, 누출이 없는 경우에만,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 레벨의 신호를 단자(250, 290)에 인가하고 있다. 따라서, 누출 상태의 검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인쇄 장치나 카트리지에 생길 수 있는 과전압의 레벨을 보다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a는, 제 2 실시 형태의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제 1 변형예를 게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와의 차이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의 값이,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점이며, 그 외에는 도 12의 신호와 동일하다. 이들 신호를 사용하더라도, 도 13a 내지 도 16b에서 설명한 각종 장착 상태 검출 처리를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도 14a의 제 2 기간 P12에 있어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레벨은, 제 1 기간 P11에 있어서의 레벨 H2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기간 P11, P12에 있어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레벨의 차이로부터, 단자(240/290) 사이가 누출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간 P11에 있어서의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레벨 변화로부터, 단자(240/290) 사이와, 단자(210/250) 사이 중 어느 하나가 누출하고 있는지를 구별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
도 19b는, 제 2 실시 형태의 장착 검출 처리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제 2 변형예를 게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와의 차이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제 2 기간 P12과 제 4 기간 P14에서 로우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점과, 이에 따라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기간 P11-P15을 통하여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점이며, 그 이외에는 도 12의 신호와 동일하다. 이들 신호를 사용하더라도, 도 13a 내지 도 16b에서 설명한 각종 장착 검출을 거의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 13b의 타이밍 t12, t14에 있어서의 판정을 행할 수 없게 되지만, 도 13a, 도 13b와 도 14a, 도 14b에서 설명한 다른 타이밍에서의 판정은 여전히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9a, 도 19b의 각종 신호의 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검출 신호(접촉 검출 신호)의 전압 레벨이나 파형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단, 단자(240/290) 사이 및 단자(210/250) 사이의 누출 상태의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 2 장착 검출 신호 SPins가 하이 레벨로 될 때에, 제 1 장착 검출 신호 DPins(또는 그 신호선)을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로우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200a)(도 8)의 상측열 R1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및 그들의 접촉부(210cp, 240cp))가 제 1 쌍을 구성하고, 또한, 하측열 R2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50, 290)(및 그들의 접촉부(250cp, 290cp))가 제 2 쌍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쌍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한쪽의 단자에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로부터 입력되고,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에 출력된다. 또한, 제 2 쌍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한쪽의 단자에는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가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로부터 입력되고,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가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장착 검출 단자로서 2개의 단자 쌍(접촉부 쌍)를 설치하며, 각 단자 쌍(접촉부 쌍)에 있어서, 그 한쪽으로부터 장착 검사 신호를 인쇄 장치로부터 수취함과 아울러, 다른쪽으로부터 장착 응답 신호를 인쇄 장치에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00)의 장착 검출을 행하기 위해서, 이들 2 세트의 단자 쌍(접촉부 쌍) 이외의 단자(및 접촉부)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의 단자 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단자 쌍(210, 240)은 과전압 검출(단락 검출)용의 단자로서도 사용되고 있고, 또한, 제 2 단자 쌍(250, 290)은 센서용의 단자로서도 사용되고 있다(도 8). 따라서, 단자 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검출용의 제 1 단자 쌍(210, 240)에 사용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와, 제 2 단자 쌍(250, 290)에 사용되는 장착 검사 신호 SPins가, 서로 다른 타이밍의 펄스 신호이다. 여기서, 「펄스 신호」란, 소정의 하이 레벨과 소정의 로우 레벨과의 사이에서 변경하는 2치 신호를 의미한다. 단, 펄스 신호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전압은, 펄스 신호의 종류마다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 12의 예에서는,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와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는,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상승하고,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하강하는 펄스 신호이다. 2 세트의 단자 쌍에 이용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로서, 서로 다른 타이밍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도록 하면, 장착 불량의 상태에 있어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으면 오판단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예컨대, 카트리지(100)가 충분히 장착되어 있지 않은 반장착 상태에 있어서, 도 8의 좌단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50)가 하나의 장치측 단자에 의해서 접속되고, 또한, 우단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40, 290)가 다른 하나의 장치측 단자에 의해서 접속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가령, 2 세트의 단자 쌍에 이용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로서, 동일한 타이밍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면, 장착 응답 신호 DPres, SPres가 정확한 타이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2 세트의 단자 쌍에 이용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로서, 서로 다른 타이밍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도록 하면, 이러한 오판정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 세트의 단자 쌍에 이용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로서, 서로 다른 타이밍의 펄스 신호 대신에, 상이한 전압 레벨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도록 해도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2 세트의 단자 쌍에 이용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 SPins로서는, 타이밍(특히, 상승 타이밍)과 전압 레벨의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판의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의 주위의 4 코너,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의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가 배치된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그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영역의 4 코너에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이들 장착 검출 단자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가 양호한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용 단자에 관해서도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의 한 쌍의 단자(250, 290)에 관한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와, 다른 한 쌍의 단자(210, 240)에 관한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적어도 한쪽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전체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의 장착 검출 처리와, 단자 사이에 누출이 있는지 여부의 누출 상태 검출 처리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250, 29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약 36V)을 인가하는 고전압 처리에 앞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약 3V)을 이용하여 상기 누출 상태의 검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과전압이 단자(250, 290)로부터 누출하여 카트리지나 인쇄 장치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및 그들의 접촉부 cp가, 접지 전위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되어, 장착 검출의 신뢰성이 저하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오염물에 의해서 접지 단자(270)와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가 단락하고 있으면,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지 단자(270)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즉, 하측열 R2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열 R1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쌍에 관해서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단자(210, 240)의 한쪽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다. 또한, 제 2 열 R2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쌍에 관해서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 SPins를 단자(250, 290)의 한쪽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장착 응답 신호 SPres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각 장착 검출 단자 쌍에 관한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장착의 양부를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장착의 오판정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및 그 접촉부)는, 기억 장치(203)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기억 장치(203)의 동작에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를 거친 신호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 가령, 기억 장치(203)와 같은 논리 회로의 동작에 사용되는 단자를 이용하여 장착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논리 회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더라도 장착 불량으로 오판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검출 단자가 기억 장치(203)의 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단자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판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 제 3 실시 형태:
도 20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자(210-290)의 배열은, 도 3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단, 각 단자의 기능(용도)은 이하의 같으며, 제 1, 제 2 실시 형태와 약간 상이하다.
<상측열 R1>
(1) 과전압 검출 단자(210)(장착 검출겸용)
(2) 리셋 단자(220)
(3) 클록 단자(230)
(4) 과전압 검출 단자(240)(장착 검출겸용)
<하측열 R2>
(5) 장착 검출 단자(250)
(6) 전원 단자(260)
(7) 접지 단자(270)
(8) 데이터 단자(280)
(9) 장착 검출 단자(290)
상측열 R1의 단자(210-240)의 기능 및 용도는, 제 2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하측열 R2의 단자(250, 290)는,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저항 소자를 사용한 장착 검출에 사용되는 점에서 제 2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이 단자군(210-290)의 접촉부의 4 코너에 있는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가 장착 검출(접촉 검출)에 사용되는 점은,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측열 R1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자(210, 240)의 접촉부에는, 기억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전원 전압 VDD와 동일한 전압, 또는,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되고, 하측열 R2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자(250, 290)의 접촉부에는,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2 전원 전압 VHV와 동일한 전압, 또는, 제 2 전원 전압 VHV로부터 생성된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제 1 전원 전압 VDD로부터 생성된 전압」으로서는, 제 1 전원 전압 VDD(통상은 3.3V)보다도 낮고, 접지 전위보다도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과전압 검출부에 의해서 과전압이 검출될 때에 단자(210 또는 240)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인 「과전압의 판정 임계값」보다도 낮은 전압이다. 또한, 「제 2 전원 전압 VHV로부터 생성된 전압」으로서는, 제 1 전원 전압 VDD보다도 높고, 제 2 전원 전압 VHV보다도 낮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의 기판(200b)에서도, 도 3a의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 cp는, 사다리꼴 형상의 영역의 상측 바닥의 양단 근방과 하측 바닥의 양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가 직사각형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장착에 관한 오판정의 가능성이 낮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21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기판(200b)와 인쇄 장치(10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판(200b)은, 기억 장치(203)와, 9개의 단자(210-290) 이외에, 개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에 사용되는 저항 소자(204)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 회로(400)는, 제 1,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CPU(410)와, 메모리(420)를 갖고 있다. 부제어 회로(500b)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를 「장착 검출 회로」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와 카트리지의 저항 소자(204)는, 기억 장치(203)에 비해 높은 전압(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격 42V)에서 동작하는 고전압 회로이다. 저항 소자(204)는,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로부터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디바이스이다.
도 22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4개의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각 카트리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참조부호 IC1 내지 IC4가 사용되고 있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는, 검출 전압 제어부(610)와, 과전압 검출부(620)와,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와,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를 갖고 있다. 이들 회로 중, 과전압 검출부(620)와, 검지 펄스 발생부(650)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는, 도 10에 나타낸 이들 회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고 있다. 검출 전압 제어부(610)는, 카트리지의 단자(250)에 공급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검출 펄스 발생부(650)로부터 출력되는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파형으로서는, 도 12나 도 19a, 도 19b에 나타낸 것 이외의 임의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의 전압(예컨대, 2.7V)은, 과전압 검출부(620)에 의해서 검출되는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로의 과전압치(과전압의 판정 임계값, 예컨대, 3V)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이용한 장착 검출 시에, 과전압이 발생한 것으로 오판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에는, 장착 검출용이 높은 전원 전압 VHV가 공급되어 있다. 이 고전원 전압 VHV는, 인쇄 헤드 구동용의 전압이며, 제 2 전원(442)(도 21)으로부터 검출 전압 제어부(610)에 공급되어 있다. 검출 전압 제어부(610)의 출력 단자는, 각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장착 위치에 설치된 4개의 장치측 단자(55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고전원 전압 VHV를, 「고전압 VHV」이라고 부른다. 검출 전압 제어부(610)의 출력 단자의 전압치 VHO는,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에도 공급되어 있다. 이 전압치 VHO는, 전원 전압 VHV에 거의 동등하다. 각 장치측 단자(550)는, 대응하는 카트리지의 제 1 장착 검출 단자(250)에 접속된다. 각 카트리지 내에서는, 제 1 및 제 2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사이에, 저항 소자(20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는, 동일한 값 R로 설정되어 있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 내에는, 각 카트리지의 저항 소자(204)와 각각 직렬 접속되는 저항 소자(631-63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카트리지 내에서, 제 1 및 제 2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는 배선에 의해 단락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과전압 검출 단자(210, 240)는, 장치측 단자(510, 540)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 내에 설치된 다이오드(641-645)를 거쳐서, 과전압 검출부(62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단자(210, 240, 510, 540) 및 다이오드(641-645)와, 과전압 검출부(620)와의 접속 관계 및 기능은, 제 2 실시 형태(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23a, 도 23b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a에서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전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는, 동일한 값 R로 설정되어 있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 내에는, 각 카트리지의 저항 소자(204)와 각각 직렬 접속되는 저항 소자(631-63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 소자(631-634)의 저항치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저항 소자(631-634) 중, n번째(n=1∼4)의 카트리지 ICn에 대응지어진 저항 소자(63n)의 저항치는, (2n-1)R (R은 일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n번째의 카트리지 내의 저항 소자(204)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 내의 저항 소자(63n)와의 직렬 접속에 의해서, 2nR의 저항치를 갖는 저항이 형성된다. n번째(n=1∼N)의 카트리지에 대한 2nR의 저항은,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에 대하여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직렬 접속 저항(701-704)을, 「장착 검출용 저항」 또는 간단히 「저항」이라고도 부른다.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에서 검출되는 검출 전류 IDET는, 이들 4개의 저항(701-704)의 합성 저항치 Rc로 전압 VHV를 제산한 값 VHV/Rc이다. 여기서, 카트리지의 개수를 N으로 했을 때, N개의 카트리지가 전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 전류 IDET는 이하의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1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2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미장착이면, 이에 따라 합성 저항치 Rc가 상승하고, 검출 전류 IDET는 저하된다.
도 23b는, 카트리지 IC1 내지 IC4의 장착 상태와, 검출 전류 lDET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횡축은, 16 종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이들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전류 IDET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16 종류의 장착 상태는,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로부터 임의로 1∼4개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지는 16개의 조합이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개개의 조합을 「서브세트」라고도 부른다. 검출 전류 IDET는, 이들 16 종류의 장착 상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전류치로 된다. 환언하면, 4개의 카트리지 IC1∼IC4에 대응지어진 4개의 저항(701-704)의 개개의 저항치는, 4개의 카트리지가 취할 수 있는 16 종류의 장착 상태가, 서로 다른 합성 저항치 Rc를 인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4개의 카트리지 IC1∼IC4가 전부 장착 상태에 있으면, 검출 전류 IDET는 그 최대치 Imax로 된다. 한편, 가장 저항치의 큰 저항(704)에 대응지어진 카트리지 IC4만이 미장착인 상태에서는, 검출 전류 IDET는 최대치 Imax의 0,93배로 된다. 따라서, 검출 전류 IDET가, 이들 2개의 전류치 사이의 값으로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전류 Ithmax 이상인지 여부를 조사하면, 4개의 카트리지 IC1∼IC4가 전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별 장착 검출을 위해, 통상의 논리 회로의 전원 전압(약 3.3V)보다도 높은 전압 VHV를 사용하는 이유는, 검출 전류 IDET의 동적 범위를 넓게 취하는 것에 의해,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또한, 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 사용되는 전압 VHV(예컨대, 42V)는, 비장착 검출 처리에 사용되는 전압 H1(예컨대, 2.7V)이나 기억 장치용의 전원 전압 VDD(예컨대, 3.3V)보다도 훨씬 높다. 가령, 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 있어서도, 비장착 검출 처리에 사용되는 전압 H1이나 기억 장치용의 전원 전압 VDD와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면, 소위 노이즈 마진이 작고, 작은 노이즈에 의해서 검출 정밀도가 대폭 저하된다. 기판상의 단자와 장치측 단자의 사이의 접촉이, 접촉부 cp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콘택트인 경우에는, 기판상의 단자와 장치측 단자의 사이에 오염물이 퇴적하여, 이 오염물이 노이즈로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오염물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고려하면, 장착 검출 처리에 사용되는 전압은 되도록이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c는, 참고예에 있어서의 장착 검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장착 검출 회로는, 전류 대신에 전압 VDET을 검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 전압 VDET은, 합성 저항 Rc과, 다른 저항 R에서 전원 전압 VHV를 분압한 값이다. 또한, 후자의 저항 R의 값은, 카트리지의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로 설정하더라도 되고, 또한, 다른 임의의 저항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3d는, 이 참고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IC1∼IC4의 장착 상태와, 검출 전압 VD[T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검출 전압 VD [T는, 카트리지의 16 종류의 장착 상태에 따라 각각 상이한 값을 취하며, 이 점에서는 도 23a에 나타낸 장착 검출 회로와 유사하다. 또한, 도 23b 및 도 23d의 횡축에서는, 우측에 있는 장착 상태만큼 합성 저항치 Rc가 보다 작게 되도록, 16 종류의 장착 상태가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다.
도 23b에 나타낸 검출 전류 IDET의 그래프는, 16 종류의 장착 상태에 대하여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도 23b의 우단으로 감에 따라서(합성 저항치 Rc가 작게 됨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한편, 도 23d에 나타내는 검출 전압 VDET의 그래프에서는, 상에 볼록의 곡선 형상에 따라서 전압치가 증가하고 있고, 도 23d의 우단에 감에 따라서(합성 저항치 Rc가 작게 됨에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 VDET의 차이가 작게 된다. 이 참고예와 같이, 합성 저항치 Rc에 따른 검출 전압 VDET를 이용하여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 23d의 우단의 2개의 장착 상태에서의 전압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2개의 장착 상태를 반드시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장착 상태를 항상 정확하게 판별하고자 하면, 보다 고정밀도의(제조 오차가 작음) 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낸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고전압 전원 VHV와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 합성 저항치 Rc에 따른 검출 전류 IDET를 이용하여 장착 상태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 23b의 전체에 걸쳐,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전류 IDET의 차이가 항상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상태의 판별이 참고예에 비해 용이하고, 또한, 보다 낮은 정밀도의 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비교로부터, 합성 저항치 Rc에 따른 검출 전류 IDET을 이용하여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이, 합성 저항치 Rc에 따른 검출 전압 VDET을 이용하여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보다도 바람직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는, 검출 전류 IDET를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로 변환하여, CPU(410)(도 21)에 그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를 송신한다. CPU(410)는, 이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의 값으로부터, 16 종류의 장착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가 미장착이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410)는, 표시 패널(430)에 그 미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문자나 화상)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술한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 처리는, N개의 카트리지에 관한 2n 종류의 장착 상태에 따라 합성 저항치 Rc가 고유하게 결정하고, 이에 따라 검출 전류 IDET가 고유하게 결정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저항(701-704)의 저항치의 허용 오차를 ε라 가정한다. 또한, 전체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장착된 상태의 제 1 합성 저항치를 Rc1로 하고, 4번째의 카트리지 IC4만이 비장착인 상태의 제 2 합성 저항치를 Rc2로 하면, Rc1<Rc2가 성립한다(도 23b). 이 관계 Rc1<Rc2는, 각 저항(701-704)의 저항치가 허용 오차 ±ε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경우에도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최악 조건은, 허용 오차 ±ε를 고려한 경우에, 제 1 합성 저항치 Rcl이 그 최대치 Rclmax를 취하고, 제 2 합성 저항치 Rc2가 그 최소치 Rc2min을 취하는 경우이다. 이들의 합성 저항치 Rclmax, Rc2min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Rclmax<Rc2min이라고 하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으면 된다. 이 조건 Rclmax<Rc2min로부터, 이하의 식이 유도된다.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3
즉, 허용 오차 ±ε가 (3)식을 만족하면, 항상 N개의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에 따라 합성 저항치 Rc가 고유하게 결정하고, 이에 따라 검출 전류 lDET가 고유하게 결정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단, 실제의 설계상의 저항치의 허용 오차는, (3)식의 우변의 값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검토를 행하지 않고서, 저항(701-704)의 저항치의 허용 오차를 충분히 작은 값(예컨대, 1%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4는,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는, 전류-전압 변환부(710)와, 전압 비교부(720)와, 비교 결과 기억부(730)와, 전압 보정부(740)를 갖고 있다.
전류-전압 변환부(710)는, 연산 증폭기(712)와 귀환 저항 R11로 구성되는 반전 증폭 회로이다. 연산 증폭기(712)의 출력 전압 VDET은, 이하의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4
여기서, VHO는 검출 전압 제어부(610)(도 22)의 출력 전압, Rc은 4개의 저항(701-704)(도 23a)의 합성 저항이다. 이 출력 전압 VDET은, 검출 전류 ID[T를 나타내는 전압치를 갖는다.
또한, (4)식에서 주어지는 전압 VDET는, 검출 전류 IDET에 의한 전압(lDET·Rll)을 반전한 값을 나타낸다. 그래서, 전류-전압 변환부(710)에 반전 증폭기를 추가하고, 이 추가의 반전 증폭기로 전압 VDET을 반전한 전압을, 전류-전압 변환부(710)의 출력 전압으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추가의 반전 증폭기의 증폭율의 절대치는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비교부(720)는,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와 비교기(724)(연산 증폭기)와 전환 제어부(726)를 갖고 있다.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는, 참조 전압 Vref를 복수의 저항 R1∼Rm으로 분압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의 하나를, 전환 스위치(723)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들의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는, 도 23b에 나타낸 16 종류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검출 전류 IDET의 값을 식별하는 임계값에 상당한다. 비교기(724)는, 전류-전압 변환부(710)의 출력 전압 VDET와,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로부터 출력되는 임계값 전압 Vth(j)을 비교하여, 2치의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이 2치의 비교 결과는, 개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압 비교부(720)는, 개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그 비교 결과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전압 비교부(720)는, 우선, 가장 큰 저항(701)(도 23a)에 대응지어진 제 1 카트리지 ICl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그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트 값을 출력한다. 그 후, 제 2∼제 4 카트리지 IC2 내지 IC4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조사하여, 그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트 값을 출력한다. 전환 제어부(726)는, 각 카트리지에 대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다음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위해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로부터 출력해야 할 전압치 Vth(j)를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다.
비교 결과 기억부(730)는, 전압 비교부(720)로부터 출력되는 2치의 비교 결과를, 전환 스위치(732)로 전환하여 비트 레지스터(734) 내의 적절한 비트 위치에 저장한다. 이 전환 스위치(732)의 전환 타이밍은, 전환 제어부(726)로부터 지정된다. 비트 레지스터(734)는, 인쇄 장치에 장착 가능한 개개의 카트리지의 장착의 유무를 나타내는 N개(여기서는 N-4)의 카트리지 검출 비트와, 비정상의 전류치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이상 플래그 비트를 갖고 있다. 이상 플래그 비트는, 모든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전류치 Imax(도 23b)에 비해 현저하게 큰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H 레벨로 된다. 단, 이상 플래그 비트는 생략 가능하다. 비트 레지스터(734)에 저장된 복수의 비트 값은,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검출 전류 신호)로서 주제어 회로(400)의 CPU(410)(도 21)에 송신된다. CPU(410)는, 이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의 비트 값으로부터, 개개의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의 4개의 비트 값은, 개개의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CPU(410)는,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의 개개의 비트 값으로부터, 개개의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즉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압 비교부(720)와 비교 결과 기억부(730)의 양자는, 소위 A-D 변환부를 구성하고 있다. A-D 변환부로서는, 도 24에 나타낸 전압 비교부(720)와 비교 결과 기억부(730) 대신에, 주지의 다른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압 보정부(740)는,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를, 장착 검출용의 고전압 VHV(도 22)의 변동에 추종하여 보정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압 보정부(740)는, 연산 증폭기(742)와 2개의 저항 R21, R22로 구성된 반전 증폭 회로로서 구성되어 있다. 연산 증폭기(742)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입력 저항 R22을 거쳐서 도 22의 검출 전압 제어부(610)의 출력 단자 전압 VHO가 입력되어 있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참조 전압 Vref가 입력되어 있다. 이 때, 연산 증폭기(742)의 출력 전압 AGND는 이하의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5
이 전압 AGND는,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의 저전압측의 기준 전압 AGND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Vref=2.4V, VH0=42V, R2l=20kΩ, R22=400kΩ으로 하면, AGND=0.42V로 된다. 상술한 (4)식과, (5)식을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의 저전압측의 기준 전압 AGND는, 검출 전압치 VDET와 마찬가지로, 검출 전압 제어부(610)의 출력 전압 VHO(즉, 장착 검출용의 고전압 전원 VHV)의 값에 따라 변화한다. 이들 2개의 전압 AGND, VDET의 차이는 저항비 R21/R22, Rl1/Rc의 차이로부터 생기고 있다. 이러한 전압 보정부(740)를 사용하면, 장착 검출용의 전원 전압 VHV가 어떠한 원인으로 변동하더라도, 임계값 전압 생성부(722)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가, 전원 전압 VHV의 변동에 추종하여 변화한다. 이 결과, 검출 전압치 VDET와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의 양쪽이, 전원 전압 VHV의 변동에 추종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전압 비교부(720)에 있어서 정확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저항비 R21/R22와 저항비 Rl1/Rc1(Rc1은 전체 카트리지 장착 시의 합성 저항치)의 값을 동등하게 설정하면, 검출 전압치 VDET와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를, 전원 전압 VHV의 변동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변화 폭으로 변화하도록 정확하게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 전압 보정부(7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5는,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에 의해서 행해지는 장착 검출 처리의 전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장착 검출 처리는, 카트리지 장착부(1100)의 커버(1200)(도 1)가 열리면 개시된다. 이 처리에서는, 각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는 비통전 상태(전원 전압 VDD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스텝 Sl1O에 있어서는,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도 22)가, 모든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1100)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이 처리를 간단히 「비장착 검출 처리」라고도 부름). 다음에, 스텝 S120에 있어서, 개별 장착 전류 검출부(630)(도 23a)를 포함하는 회로가, 카트리지의 개별 장착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서는, CPU(410)(도 21)가, 개별 장착 전류 검출부(630)(도 23a)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검출 신호 SIDET의 값과, 1번째의 임계값을 비교한다. 이 1번째의 임계값은, 전체 카트리지가 비장착의 경우의 검출 전류치 IDET와, 가장 저항치가 큰 저항(704)에 대응지어진 카트리지 IC4만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의 검출 전류치 IDET 사이의 전류치에 상당하는 미리 설정된 값이다. 검출 전류치 IDET가 1번째의 임계값 이하이면, 전체 카트리지가 비장착이기 때문에, 개별 장착 검출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N개의 카트리지에 이를 때까지, 각각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검출 전류치 IDET를 비교함으로써, 도 23b의 하부에 나타낸 2N개의 장착 상태(장착 패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N=4이기 때문에, 15개의 임계값이 사용된다. 단, N으로서는 2 이상의 임의의 정수를 채용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N으로서 3, 4, 또는 6이 채용된다.
이렇게 해서 개별 장착 검출 처리가 종료하면, 도 25의 스텝 S130에 있어서, 스텝 Sl1O의 비장착 검출 처리와 스텝 S120의 개별 장착 검출 처리의 양쪽 모두에 OK(합격)인지 여부(전체 비장착 상태가 없는지, 또한, 개별 비장착 상태가 없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양쪽 모두에 OK인 경우에는, 정상 종료한다. 한편, 스텝 Sl10, S120가 모두 NG(비장착 상태가 있는지, 또한, 개별 미장착 상태가 있는지의 여부)인 경우에는, 스텝 S140로부터 스텝 S150에 도달하여, 비장착 카트리지 정보와 함께,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트리지가 있는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여기서, 「비장착 카트리지 정보」라고 하는 것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트리지의 정보(카트리지의 색이나, 카트리지 장착부 내의 카트리지의 위치 등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스텝 Sl10, S120의 한쪽만이 NG(비장착 상태와 개별 미장착 상태의 한쪽만 있음)인 경우에는, 스텝 S140으로부터 스텝 S160에 도달하여,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정확하게 카트리지를 다시 장착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 때, 비장착 카트리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 의해서 비장착 카트리지가 특정된 경우)에는, 그 비장착 카트리지 정보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텝 Sl1O의 비장착 검출 처리가 NG(불합격)이며, 스텝 S120의 개별 장착 검출 처리가 OK(합격)인 경우에는, 개개의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에 대하여 메모리 제어 회로(501)(도 21)에 의한 메모리 액세스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메모리 액세스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를 정상으로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카트리지의 장착이 불충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그 카트리지의 재장착을 재촉하는 통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든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를 정상으로 행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모든 카트리지의 장착이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하여 전체 카트리지의 재장착을 재촉하는 통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 검출 신호 DPins를 이용한 비장착 검출 처리는, 인쇄 장치가 전원 온으로 되어 있는 동안은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별 장착 검출 처리도, 인쇄 장치가 전원 온으로 되어 있는 동안은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로의 메모리 액세스가 실시되어 있는 기간은, 개별 장착 검출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개별 장착 검출 처리는, 메모리용의 전원 전압 VDD보다도 높은 전압 VHV를 이용하여 행하기 때문에, 개별 장착 검출 처리에 사용하는 전압 VHV에 의해서, 기억 장치(203)가 손상되게 될 가능성을 가능한 한 저하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판의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의 주위의 4 코너,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의 복수의 기억 장치용 단자가 배치된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그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영역의 4 코너에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이들 장착 검출 단자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가 양호한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억 장치용 단자에 관해서도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의 교환의 한창인 떼에 개개의 카트리지의 미장착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표시를 보면서 카트리지 교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에, 그 카트리지가 미장착으로부터 장착로 변경한 것이 표시 패널(430)에 표시되기 때문에, 카트리지 교환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안심하여 다음 조작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203)가 비통전의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위 기억 장치의 핫 스와핑(hot swapping)(인쇄 장치의 메모리 제어 회로가,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가 인쇄 장치의 장치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카트리지의 기억 장치에 액세스하여, 그 액세스 중에, 카트리지가 장착되거나, 카트리지가 제외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비트 에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및 그들의 접촉부 cp가, 접지 전위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되어, 장착 검출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오염물에 의해서 접지 단자(270)와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가 단락하고 있으면,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지 단자(270)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즉. 하측열 R2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열 R1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쌍에 관해서는 펄스 신호로서의 장착 검사 신호 DPins를 단자(210, 240)의 한쪽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장착 응답 신호 DPres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장착 검출 단자 쌍에 관한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인쇄 장치측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장착의 양부를 검출하는 경우에 비해, 장착의 오판정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열 R2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쌍에 관해서는 기억 장치용의 전원 전압 VDD보다도 높은 전압 VHV를 이용하여 장착 검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전압 VDD를 이용하여 장착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노이즈 마진이 크고, 장착의 오판정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열 R1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에 사용되는 펄스 신호로서의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은, 전원 전압 VDD(예컨대, 3.3V)보다도 낮은 전압(예컨대, 2.7V)으로 설정되어 있다(도 12 참조). 펄스 신호를 이용한 장착 검출에서는, 인쇄 장치측의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서 수취하는 장착 응답 신호 DPres의 전압 레벨이 하이인지 로우인지에 따라 장착 상태를 판정한다. 가령, 펄스 신호에 높은 전압(예컨대, 42V)을 사용하면, 배선의 충전이나 방전에 장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장착 상태의 판정에도 장시간이 필요하다. 이 의미에서는, 펄스 신호를 이용한 장착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펄스 신호의 하이 레벨을 전원 전압 VDD 이하의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장착 검사 신호 DPins의 하이 레벨 H1은, 과전압 검출부(620)(도 22)에 의해서 검출되는 단자(210, 240)에서의 과전압치(예컨대, 3V)보다도 낮은 전압(예컨대, 2.7V)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단자(250, 290)와 단자(210, 240) 사이가 오염물 등으로 단락하고 있는 경우에도, 장착 검출 처리에 있어서 단자(210, 240)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및 그 접촉부)는, 기억 장치(203)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기억 장치(203)의 동작에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를 거쳐서 신호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 가령, 기억 장치(203)와 같은 논리 회로의 동작에 사용되는 단자를 이용하여 장착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논리 회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더라도 장착 불량으로 오판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검출 단자가 기억 장치(203)의 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단자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판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 제 4 실시 형태:
도 26a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별 장착 검출부(63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개별 장착 검출부(630b)는, 도 24에 나타낸 제 3 실시 형태의 개별 장착 검출부(630)에, 입력 전환 스위치(750)를 추가한 것이다. 이 입력 전환 스위치(750)는, 복수의 입력 단자(751-754)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전류 IDET1 내지 IDET4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류-전압 변환부(710)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입력 단자(751)에는, 도 23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저항(701-704)의 병렬 접속을 흐르는 검출 전류 IDETl이 입력된다. 다른 입력 단자(752-754)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4개 이하의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저항의 병렬 접속을 흐르는 검출 전류 IDET2∼lDET4가 각각 입력된다. 또한, 다른 회로 요소(710-740)는 도 24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26a에서는 그들의 내부 구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전환 스위치(750)를 설치하도록 하면, 다수의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개개의 카트리지의 장착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전환 가능한 입력 단자를 갖는 입력 전환 스위치(750)를 개별 장착 검출부(630b)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별 장착 검출부(630b)의 구성으로서, 입력 전환 스위치(750)의 개개의 입력 단자에,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기판(200)을 접속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개별 장착 검출부(630b)가, 최대로 m×n개의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개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26a의 회로에서는, m=n=4이기 때문에, 최대 16개까지의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개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개별 장착 검출부(630b)를 갖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그 카트리지 장착부가, m개 이하(입력 전환 스위치(750)의 입력 단자의 수 이하)의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것인 경우에는, 입력 전환 스위치(750)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하나의 기판(200)만을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술한 전류치를 이용한 개별 장착 검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져, 입력 전환 스위치(750)의 입력 단자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그 입력 단자에 기판(200)이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a의 회로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4개의 카트리지만이 장착 가능한 경우에는, 4개의 입력 단자(751-754)의 각각에 1개의 카트리지의 기판(200)이 접속된다.
도 26b는, 제 4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의 개별 장착 검출부(63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개별 장착 검출부(630c)는, 도 26a에 나타낸 제 4 실시 형태의 개별 장착 검출부(630b)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각 회로(710, 720, 730, 740)의 내부 구성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하고 있다. 단, 입력 전환 스위치(750)의 제 1 입력 단자(751)에는, 3개의 잉크 카트리지 IC1 내지 IC3을 위한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병렬 접속을 흐르는 검출 전류 IDETl이 입력된다. 다른 입력 단자(752-754)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3개의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병렬 접속을 흐르는 검출 전류 IDET2∼lDET4가 각각 입력된다. 즉, 도 26b의 회로에서는, 4개의 입력 단자(751-754)의 각각에 최대 3개의 잉크 카트리지용의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을 병렬로 접속할 수 있어, 최대 12개의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개별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b에서, 각 카트리지 내의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는 62kΩ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쇄 장치측의 저항 소자(631-633)의 저항치는, 20kΩ2, 100kΩ, 270kΩ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카트리지 IC1-IC3을 위한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저항치는, 82kΩ, 162kΩ, 332kΩ으로 된다. 이들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저항치(82kΩ, 162kΩ, 332kΩ)는, R=41kΩ으로 했을 때의 2R, 4R, 8R에 거의 가까운 값으로 된다. 즉, 이들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저항치는, 도 23a 및 도 26a에 나타낸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의 저항치 2R, 4R, 8R와 거의 동일하다. 엄밀히 말하면, R=41kΩ으로 했을 때, 82kΩ=2R, 162kΩ=4R×(1-0.012), 332kΩ=8R×(1+0.012)로 된다. 그러나, 이 정도의 설계치의 차이(±1.2%)는, 저항치의 제조 오차나 온도 의존성을 고려하더라도, 카트리지의 개별 검출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도 26b에서,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을 구성하는 저항 소자(204, 631-633)의 저항치는 이하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l) 각 저항 소자의 저항치는, 20kΩ 이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착 검출 회로에서 이용되는 가장 높은 전압 VHV가 20kΩ의 저항 소자에 인가되었다고 가정하더라도, 이하의 계산과 같이, 그 저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약 2.1mA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Figure 112012029717564-pct00006
여기서는, 44.1V는, 전압 VHV의 정격치를 42V로 하여 그 허용 범위를 ±5%로 했을 때의 전압 VHV의 최대치(절대 최대 전압=42V+5%)이다. 또한, 2.4V는, 전류-전압 변환부(710)에서 사용되는 참조 전압 Vref의 값이다. 또한, (44.1V-2.4V)=41.7V는, 저항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최대치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각 저항 소자의 저항치는, 20kΩ 이상이라고 하면, 전류를 약 2.1mA 이하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검출 회로를 실현하는 ASIC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잉크 카트리지에 탑재하는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를, 장착 검출 회로 내의 저항 소자(631-633) 중의 가장 작은 저항치보다도 크게 한다.
이렇게 하면, 만일, 잉크 카트리지에 탑재된 저항 소자(204)가 어떠한 원인으로 단락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그 이상을 검출하기 쉽게 된다. 또한, 저항 소자(204)는, 전형적으로는 기판(200)(도 20)의 이면측에 외부 부착된다. 외부 부착되는 저항 소자(204)의 단자 사이의 거리는 약 1mm로 작기 때문에, 기판(200)의 제조 시 등에 어떠한 원인으로 저항 소자(204)의 단자 사이가 단락하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이상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검출 전류 IDET의 최소치는 100μA 이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외란(노이즈)의 영향이 있는 경우에도, 검출 전류 IDET로부터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26b의 회로 구성에서는, 3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3가 전부 장착되고, 또한, 저항치의 제조 오차가 ±1% 있고, 저항치의 온도 의존성에 의한 오차가 0.7% 있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도, 검출 전류 IDET의 최소치는 약 117μA로 되기 때문에, 이 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건 (1) 내지 (3)은 바람직한 조건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들을 만족할 필요는 없고, 다른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6b에서, 장착 검출용 저항(701-703)을, 카트리지측에만, 또는, 인쇄 장치측에만 설치하지 않고, 카트리지측의 저항과 인쇄 장치측의 저항의 합성 저항으로 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인쇄 장치측에만 저항 소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저항 소자의 단자 사이에 의도하지 않는 단락이 발생하면, 의도하지 않는 높은 전압이 개별 장착 검출부에 인가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카트리지측에만 저항 소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저항치가 상이한 다양한 회로 기판(200)을 준비해야 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26b에서, 개별 장착 검출부(630c)의 저항 Rl1, R21, R22의 저항치는, 2kΩ, 25kΩ, 500kΩ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 저항치는, 도 24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항비 R21/R22와 저항비 R11/Rc1(Rc1은 전체 카트리지 장착시의 합성 저항치)의 값을 거의 동등하게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6b의 회로에서도, 검출 전압치 VDET와 복수의 임계값 전압 Vth(j)를, 전원 전압 VHV의 변동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변화 폭으로 변화되도록 정확하게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b의 회로에서, 전류-전압 변환부(710)에 있어서의 참조 전압 Vref를 2.4V라 가정한다. 그런데, 3개의 카트리지 IC1-IC3에 있어서, 저항(204)의 양측의 단자(250, 290)(도 22) 중의 한쪽의 단자(250)에는, 기억 장치(203)용의 전원 전압 VDD보다도 높은 전압 VHO(=VHV=약 42V)이 인가된다. 이 때, 다른쪽의 단자(29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제 1 카트리지 IC1에서는 약 10V, 제 2 카트리지 IC2에서는 약 24V, 제 3 카트리지 IC3에서는 약 32V이다. 이와 같이, 각 카트리지에 있어서, 저항(204)의 양측의 단자(250, 290)에는, 어느 것도 전원 단자(260)로부터 기억 장치(203)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 VDD(통상은 3.3V)보다도 충분히 높은 전압이 걸린다. 따라서, 이들 단자(250, 290)에 가장 가까운 단자(210, 240)에 있어서, 과전압의 발생을 검출함으로써 과전압의 발생(단락의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기억 장치(203)나 인쇄 장치측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6a에 나타낸 제 4 실시 형태나 도 26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중의 일부의 복수의 카트리지에 의해서 1 세트의 카트리지 세트가 구성되어 있고, 그 카트리지 세트의 장착 상태가 장착 검출 회로에 의해서 검출된다. 예컨대, 도 26a의 회로에서는,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로 1 세트의 카트리지 세트가 구성되어 있고, 카트리지 장착부로서는, 최대로 16개의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6b의 회로에서는, 3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3로 1 세트의 카트리지 세트가 구성되어 있고, 카트리지 장착부로서는, 최대로 12개의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기재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검출 회로로서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세트의 각각에 대해, 그 2n개가 상이한 장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트리지 세트」라고 하는 용어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모든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세트에 한하지 않고, 그 일부의 복수의 카트리지만으로 구성되는 세트도 포함하는 용어이다.
E. 다른 실시 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에는, 도시의 편의상, 직교하는 XYZ 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인쇄 장치(2000)는, 주로 개인용의 A4 크기나 A3 크기의 인쇄 매체로의 인쇄에 대응한 소형 잉크젯 프린터이며, 부주사 이송 기구와, 주주사 이송 기구와, 헤드 구동 기구를 갖고 있다. 부주사 이송 기구는, 도시하지 않는 용지 이송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용지 이송 롤러(2010)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 P를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한다. 주주사 이송 기구는, 캐리지 모터(2020)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벨트(2060)에 접속된 캐리지(2030)를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헤드 구동 기구는, 캐리지(2030)에 구비된 인쇄 헤드(2050)를 구동하여 잉크의 토출 및 도트 형성을 실행한다. 인쇄 장치(2000)는, 또한, 상술한 각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204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2040)는, 캐리지(2030)와 가요성 케이블(207)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2040)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제어 회로(400)와 부제어 회로(500)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캐리지(2030)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와, 인쇄 헤드(2050)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2100)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인쇄 헤드(20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2100)를 「홀더」라고도 부른다. 도 2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는, 4개의 카트리지가 독립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예컨대, 흑색, 황색, 마젠타, 시안의 4 종류의 카트리지가 하나씩 장착된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은, -Z 방향(수직 하향 방향)이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2100)로서는, 이외의 임의의 복수 종류의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는, 커버(2200)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2200)는 생략 가능하다. 인쇄 헤드(205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2050)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관(208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인쇄 장치(2000)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교환되는 카트리지가, 인쇄 헤드의 캐리지상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 장치의 타입을, 「온 캐리지 타입」이라고 부른다.
도 28은, 인쇄 장치(2000)를 위한 카트리지(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의 XYZ 축은, 도 27의 XYZ 축에 대응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100a)는, 잉크를 수용하는 케이스(101a)와, 기판(200)(「회로 기판」이라고도 부름)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00)으로서는, 상술한 도 3a, 도 8, 도 20에 나타내어진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케이스(101a)의 내부에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12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1a)는, 전체로서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101a)의 제 1 측면(102a)에는, 레버(16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160a)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카트리지(100a)를 착탈할 때에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레버(160a)를 누르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100a)와 카트리지 장착부(2100)를 기계적으로 계합시키거나, 그 계합을 해제하거나 할 수 있다. 레버(160a)에는, 계합 돌기(162a)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1a)의 바닥면(104a)에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되었을 때에, 인쇄 장치의 잉크 공급관(2080)과 접속되는 잉크 공급구(110a)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잉크 공급구(110a)의 개구는 필름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더라도 된다. 제 1 측면(102a)과 바닥면(104a)이 교차하는 위치(즉, 케이스(101a)의 하단의 코너부)에는, 사면 형상의 기판 설치부(10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 설치부(105a)에 기판(2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 설치부(105a)는, 제 1 측면(102a)의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측면(102a)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03a)에는, 계합 돌기(15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a)와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는, 카트리지(100a) 내의 잉크 잔량을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 기구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 1 면(102a)은 인쇄 장치(2000)(도 27)에 장착할 때에, 앞측(-Y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따라서, 제 l 측면(102a)을 「전단면」 또는「전면」이라고도 부른다. 제 2 측면(103a)을 「후단면」 또는 「배면」이라고도 부른다.
이 카트리지(100a)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잉크 공급구(101a)의 개구면(Y축과 평행한 면)에 수직 방향이 Z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된다. 여기서, 사면에 설치된 회로 기판(200)에 대하여, 회로 기판(200)의 면과 평행하고 잉크 공급구(101a)를 향하는 방향을 사면 방향 SD로 한다. 회로 기판(200)에 관하여, 측면(102a)측으로부터, 회로 기판(200)과 잉크 공급구(101a)를 보면, 회로 기판(200)의 -Z축 방향으로 잉크 공급구(101a)가 배치되어 있다. 즉, 회로 기판(200)에 관하여, 사면 방향 SD가, 도 3a에 나타낸 기판의 장착 방향 SD와 동일한 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a에서 장착 방향 SD를 기준으로 한 기판의 상측열 단자군 및 상측열 단자 접촉부군과 하측열 단자군 및 하측열 접촉부군의 구분은, 도 28의 잉크 카트리지(100a)의 기판(200)에도 이해를 위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면 방향 SD의 내측열, 즉, 회로 기판(200)의 잉크 공급구(101a)에 의해 가까운 열이 하측열 단자군(250-290) 및 하측열 단자 접촉부군이다. 사면 방향 SD의 앞측의 열, 즉, 회로 기판(200)의 잉크 공급구(101a)로부터 떨어저 있는 열이 상측열 단자군(210-240) 및 상측열 단자 접촉부군이다.
도 29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 기구(2400)의 사시도이다. 접점 기구(2400)에는, 복수의 전기 접촉 부재(510-59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복수의 전기 접촉 부재(510-590)는, 기판(200)의 단자(210-290)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에 상당한다. 장치측 단자(510-590)의 각각은,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200)을 상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또한, 하단열의 중앙의 단자(570)는, 다른 단자보다도 상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크다. 따라서, 카트리지(100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 내에 장착되는 때에는, 이 단자(570)가 다른 장치측 단자보다도 먼저 기판의 단자에 접촉한다. 환언하면, 기판(200)의 단자(210-290)(도 3a) 중에, 접지 단자(270)가 다른 단자보다도 먼저 장치측 단자에 접촉한다.
도 30은, 카트리지 장착부(2100) 내에 카트리지(100a)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점 기구(2400)의 장치측 단자(510-590)(도 29)가, 카트리지(100a)의 기판(200)에 의해서 하방으로 푸시되어 있고, 장치측 단자(510-590) 전체가 카트리지(100a)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a)의 제 2 측면(103a)에 설치된 계합 돌기(150a)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홀(2150)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a)의 제 1 측면(102a)에 설치된 레버(160a)의 계합 돌기(162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부재(2160)의 하면에 계합하고 있다. 한편, 레버(160a)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 30의 우측을 향하여 레버(160a)를 되돌리는 것과 같은 굽힘 응력(bending stress)이 생기고 있다. 이 계합 돌기(162a)와 계합 부재(2160)와의 계합에 의해, 카트리지(100a)가 상방으로 푸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통상의 삽입 시에는, 우선, 카트리지(100a)의 제 l 면(102a)에 설치된 계합 돌기(150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홀(2150)에 삽입된다. 그 후, 이 계합 돌기(150a)를 지점으로 하여 카트리지(100a)의 전단측(전단면(102a)의 측)이 하방으로 푸시되면, 카트리지(100a)의 전단면(102a)에 설치된 레버(160a)의 계합 돌기(162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부재(2160)의 하면에 계합하여, 삽입이 종료한다.
또한, 인쇄 장치측의 단자(510-590)는, 기판(200)상의 접촉부 cp(도 3a)에 있어서 기판(200) 상의 단자(210-290)와 접촉한다. 접촉부 cp는 개개의 단자의 면적보다도 충분히 작고, 거의 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되는 때에는, 인쇄 장치측의 단자(510-590)의 접촉부가, SD 방향을 따라, 기판(200)의 단자(210-290) 상을 단자의 하단 근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동하면서 진행하고, 장착 완료 시에 카트리지측의 단자 각각과 대응하는 모든 인쇄 장치측의 단자 각각이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29의 접점 기구(2400)를 이용한 인쇄 장치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비해 접촉부 cp의 슬라이딩 거리는 작다. 그러나, 접촉부 cp가 슬라이딩함으로써 단자상의 산화막이나 오염물 등을 배제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충분한 슬라이딩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100a)가 적정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점 기구(2400)의 장치측 단자(510-590)(도 29)와, 카트리지(100a)의 기판(200)의 단자(210-290)가 서로 양호한 접촉 상태에서 접촉한다. 또한, 카트리지(100a)의 잉크 공급구(110a)는, 인쇄 헤드(2050)의 잉크 공급관(2080)에 연결된다. 단, 카트리지(100a)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장착부(2100) 내에는 다소의 허용치가 있어, 카트리지(100a)는 다소 기운 상태에서 삽입되는 경우도 많다. 카트리지가 기울면, 몇 개의 단자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카트리지(100a)의 장착 시에 접점 기구(2400)의 장치측 단자(510-590)가 기판(200)의 단자에 접촉해 가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31a 내지 도 31c보다도 이전의 시점에서, 카트리지(100a)의 후단면(도면 중의 좌단)에 설치된 계합 돌기(150a)(도 30)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홀(2150)에 삽입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1a는, 장치측 단자(510-590) 중의 하나의 단자(570)만이 기판(200)의 접지 단자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측 단자(570)는, 다른 단자(510-560, 580, 590)에 비해 돌출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 장치측 단자(570)만이 기판(200)의 단자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다른 장치측 단자는 기판(200)의 단자와 접촉하지 않고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카트리지(100a)를 또한 하방으로 푸시하면,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장치측 단자(510-560, 580, 590)도 기판(200)의 단자와 접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트리지(100a)를 더 하방으로 푸시하면,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100a)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로 된다. 이 때, 레버(160a)의 계합 돌기(162a)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부재(2160)의 하면과 계합하여, 카트리지(100a)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런데, 도 31a로부터 도 31b에 이르기까지의 상태에서는, 9개의 장치측 단자(510-590) 중에, 카트리지(100a)에 상향의 힘을 미치게 하는 것은, 하나의 단자(570)뿐이다. 이 장치측 단자(570)는, 기판(200)의 중앙의 단자(270)(도 3a)에 접촉하는 것여, 기판(200)의 폭(사면 방향 SD와 수직 방향의 치수)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서 접촉한다. 그러나, 카트리지의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홀더(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 사이에는 다소가 허용차가 있기 때문에, 중앙에 있는 장치측 단자(570)가, 기판(200)의 폭의 중앙에 정확하게 접촉하는 것은 매우 드물며, 통상은, 기판(200)의 폭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접촉한다. 장치측 단자(570)가, 기판(200)의 폭의 중앙으로부터 다소라도 좌우로 어긋난 경우에는, 도 31a로부터 도 31b에 이르기까지의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570)에 의한 상방으로의 바이어스 힘이, 기판(200) 및 카트리지(100a)의 폭 방향(도 28의 사면 방향 SD와는 수직 방향으로, 단자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 결과, 카트리지(100a)나 기판(200)이, 그 폭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또한, 도 31b로부터 도 31c에 이르기까지의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570)의 변위가 다른 장치측 단자의 변위보다도 크기 때문에, 장치측 단자(510-590) 모두에 동일한 스프링 정수의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장치측 단자(570)는 다른 장치측 단자보다도 큰 바이어스 힘을 카트리지(100a)에 인가한다. 이 결과, 상술한 것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카트리지(100a)나 기판(200)이, 그 폭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7, 도 28에 나타낸 인쇄 장치(2000) 및 카트리지(100a)에서도, 카트리지(100a) 및 기판(200)이 기울기 쉽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단자의 접촉 불량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의의가 큰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2는, 카트리지의 전단면을 먼저 계합시킨 후에 후단면을 계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a에서는, 우선, 카트리지(100a)의 전단(도면 중의 우측)이 하방으로 푸시되고, 전단면(102a)에 설치된 레버(160a)의 계합 돌기(162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부재(2160)의 하면에 계합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카트리지(100a)의 후단이 하방으로 푸시되고,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면(103a)에 설치된 계합 돌기(150a)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계합 홀(2150)에 삽입된다. 카트리지(100a) 및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구성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도 31과는 카트리지의 전단과 후단이 반대의 순서로 삽입되어 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31의 장착 순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치측 단자(510-590)로부터 카트리지(100a)의 기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힘이 균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100a) 및 기판(200)이 기울기 쉽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단자의 접촉 불량의 검출 처리를 행하는 의의가 크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d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기판(200c 내지 200e, 200i)은, 도 3a에 나타낸 기판(200)과 단자(210-290)의 표면 형상이 상이하다. 도 33a, 도 33b의 기판(200c, 200d)은, 개개의 단자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아니라,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3c의 기판(200e)에서는, 9개의 단자(210-290)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1번째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제 2,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단자)가 그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2번째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는, 장착 검출 단자(250, 290)와, 메모리 단자(260, 28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200c 내지 200e)에서도, 각 단자(210-290)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부 cp의 배치는, 도 3a의 기판(200)과 동일하다. 도 33e의 기판(200i)은, 도 3a에서의 2개의 단자(210, 240)가 기판(200i)의 표면상에서 하나의 단자(215)에 합체하고 있지만, 다른 단자 형상은 도 3a와 동일하다. 도 3a의 기판(200)에 있어서도 2개 단자(210, 240)는 단락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단자(210, 240)를 하나의 단자(215)에 합체하더라도, 그 기능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개개의 단자의 표면 형상으로서는, 접촉부 cp의 배치가 동일한 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210-290)의 역할(기능)로서는, 도 3a(제 1 실시 형태)의 것에 한하지 않고, 도 8(제 2 실시 형태)이나 도 20(제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여러 가지의 기판에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3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기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3a 내지 도 33d의 기판(200c 내지 200e, 200i)에서도, 도 3a의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 cp는, 사다리꼴 형상의 영역의 상측 바닥의 양단와 하측 바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가 직사각형의 영역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장착에 관한 오판정의 가능성이 낮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33e 내지 도 33g는, 2개의 단자(210, 240)의 접속의 변형예를 게시하고 있다. 또한, 도 33e 내지 도 33g에서는, 참고를 위해, 메모리용의 단자(220, 230, 260-280)와 기억 장치(203)의 접속 관계와, 단자(250, 290)와 고전압 디바이스와의 접속 관계도 도시되어 있다. 도 33e에서는, 단자(210, 240)의 사이에 저항(211)이 접속되어 있다. 도 33f에서는, 도 33e의 구성에 부가하여, 저항(211)과 단자(210) 사이의 배선이, 콘덴서(212)을 거쳐서 접지되어 있다. 도 33g에서는, 저항(211)이나 콘덴서(212) 대신에, 처리 회로(논리 회로)(213)가 단자(210, 240)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도 33e 내지 도 33g의 회로에서도, 단자(210, 240)의 한쪽에 장착 검사 신호 DPins가 입력되면, 다른쪽의 단자로부터 정확한 레벨의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출력되도록 회로 구성이 선택된다. 따라서, 도 33e 내지 도 33g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갖는 기판에 있어서도, 단자(210, 240)를 이용하여 제 2 실시 형태(도 10)나 제 3 실시 형태(도 22)에서 설명한 비장착 검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자(210, 240)는, 서로 단락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어떠한 회로나 회로 요소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더라도 된다. 단, 2개의 단자(210, 240)의 적어도 한쪽이 직접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비장착 검출 처리를 정확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2개의 단자(210, 240)의 적어도 한쪽이 접지 전위 이외의 일정 전위(예컨대, VDD)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장착 검출 처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단자(210, 240)가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단자(210, 240)가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자(210, 240)가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단자(210, 240)가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표현은, 장착 검사 신호 DPins, DPres를 사용한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접속 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접속 관계는, 예컨대 도 10의 회로에서, 검지 펄스 발생부(650)로부터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 DPins에 따라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서 수신되는 제 1 장착 응답 신호 DPres가, 장착 상태와 비장착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신호 파형(예컨대, 하이와 로우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신호 파형)을 갖는 접속이다.
도 33e, 도 33f의 구성에서는,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 및 그들의 접촉부 cp가, 접지 전위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오판정하게 되고, 장착 검출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3e, 도 33f의 구성에서는, 오염물에 의해서 접지 단자(270)와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가 단락하고 있으면, 장착 검출을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지 단자(270)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즉, 하측열 R2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기판(200f)은, 9개의 단자(210-290)와의 그들의 접촉부 cp의 배치는 도 3a의 기판(200)과 동일하지만, 9개의 단자(210-290)의 그 외에 2개의 예비 단자(310, 32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도 3a의 기판(200)과 상이하다. 2개의 예비 단자(310, 320)는, 접촉부 cp를 갖는 하단열의 단자(250-290)의 양단의 단자(250, 290)의 외측에 각각 더 배치되어 있다. 도 34b, 도 34c는, 이 기판(200f)을 제 2 실시 형태 또는 제 3 실시 형태에 적용한 경우의 접속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34b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접촉부 cp를 갖는 메모리 단자(예컨대, 단자(260, 280)에 접속되어 있다. 도 34c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기억 장치(20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예비 단자(310, 320)는, 장치측 단자와의 접촉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쇄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특히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예비 단자(310, 320)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또는 기판(200f)의 단일 형태의 상태)에 있어서, 기판(200f)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비 단자(310, 320)를, 기능이 없는 더미 단자로서 설치하여 놓더라도 된다. 이러한 예비 단자의 기능에 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기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5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기판(200g)도, 9개의 단자(210-290)와 그들의 접촉부 cp의 배치는 도 3a의 기판(200)과 동일하며, 9개의 단자(210-290) 이외에 2개의 예비 단자(310, 32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도 3a의 기판(200)과 상이하다. 2개의 예비 단자(310, 320)는, 접촉부 cp를 갖는 상단열의 단자(210-240)의 양단의 단자(210, 240)의 외측에 각각 더 배치되어 있다. 도 35b, 도 35c는, 이 기판(200g)을 제 2 실시 형태 또는 제 3 실시 형태에 적용한 경우의 접속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35b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접촉부 cp를 갖는 메모리 단자(예컨대, 단자(260, 280))에 접속되어 있다. 도 35c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기억 장치(20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도 36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기판(200h)도, 9개의 단자(210-290와 그들의 접촉부 cp의 배치는 도 3a의 기판(200)과 동일하며, 9개의 단자(210-290) 이외에 2개의 예비 단자(310, 320)가 추가되어 있는 점이 도 3a의 기판(200)과 상이하다. 2개의 예비 단자(310, 320)는, 접촉부 cp를 갖는 상단열의 단자(210-240)보다도 더 상측(장착 방향 SD 또는 사면 방향 SD의 앞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6b, 도 36c는, 이 기판(200h)을 제 2 실시 형태 또는 제 3 실시 형태에 적용한 경우의 접속예를 게시하고 있다. 도 36b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접촉부 cp를 갖는 메모리 단자(예컨대, 단자(260, 280))에 접속되어 있다. 도 36c에서는, 예비 단자(310, 320)가, 기억 장치(20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도 37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기판(200j)은, 예비 단자는 갖지 않고, 접촉부 cp를 갖는 9개의 단자(210-290)만을 갖고 있다. 단, 9개의 단자(210-290)는, 3열로 분리되어 배열되어 있는 점이 도 3a의 기판(200)과 상이하다. 즉, 가장 상측(장착 방향 SD 또는 사면 방향 SD의 가장 앞측)의 열에는, 3개의 단자(210, 220, 240)가 배치되어 있고, 중앙의 열에는 3개의 단자(230, 260, 270)가 배치되어 있고, 가장 하측의 열에는, 3개의 단자(250, 280, 29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9개의 단자가 3×3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다른 배열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a에 나타낸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기억 장치용의 복수의 접촉부 cp는, 9개의 접촉부 cp 전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의 제 1 영역(810)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는, 제 1 영역(810)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는, 제 1 영역(810)을 포함하는 4각형의 제 2 영역(820)의 4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영역(810)의 형상은,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장 면적이 작은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영역(810)의 형상을, 4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에 외접하는 4각형으로 해도 된다. 제 2 영역(820)의 형상은, 모든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장 면적이 작은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33a 내지 도 37에 나타낸 각종 기판에 관해서도, 상측열 R1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각 접촉부는, 상측열 R1의 양 단부, 즉, 상측열 R1의 가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하측열 R2의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의 각 접촉부는, 하측열 R2의 양 단부, 즉, 하측열의 가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각종 기판에 제 1 내지 제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접촉 불량, 의도하지 않는 단락, 누출 등의 검출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a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공통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공통 기판(200n)은, 4개분의 카트리지에 대응한 4개의 소형 기판부(301-304)를, 연결 기판부(300)로 연결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사이에는 갭 G가 존재한다. 이 갭 G의 크기는, 전형적으로는 약 3mm 이상이다. 또한, 개개의 소형 기판부 내에서는, 9개의 단자(210-290)의 각각과, 가장 가까운 다른 단자의 사이의 갭은 1mm 미만이다. 또한, 개개의 소형 기판 내의 9개의 단자(210-290)의 접촉부 cp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개개의 소형 기판부 내의 9개의 단자(210-290)는, 거의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공통 기판(200n)을, 도 27에 나타낸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함으로써 공통 기판(200n)의 4 세트의 단자군과, 카트리지 장착부(2100) 내의 4 카트리지만큼의 장치측 단자군을 동시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잉크 수용체(잉크 수용 용기)를, 공통 기판(200n)과는 별개로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 이외의 위치에 복수의 잉크 수용체를 설치하고, 이들 잉크 수용체로부터 튜브를 거쳐서 캐리지(2030)의 인쇄 헤드(2050)에 잉크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잉크 수용체의 내부가 복수의 잉크색을 수용하는 복수의 잉크 수용실에 분할되어 있는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에, 공통 기판(200n)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공통 기판(200n)의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각각은, 도 3a의 기판(200)과 동일한 복수의 단자(210-290)를 갖고 있다. 이들 단자(210-290) 및 그들의 접촉부의 배치는, 도 3a, 도 8, 또는 도 20의 기판(200)과 동일하다. 또한, 공통 기판(200n)의 복수 세트의 단자(210-290)와, 기억 장치나 고전압 디바이스와의 접속 관계에서는, 여러 가지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N 세트(N은 2 이상의 정수)의 단자(210-290) 중의 N 세트의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를, 하나의 기억 장치에 공통으로 접속할 수도 있거나, 또는, N개의 기억 장치에 개별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공통 기판(200n)을 제 2 실시 형태나 제 3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N 세트의 단자(250, 290)를, 하나의 고전압 디바이스(204 또는 208)에 공통으로 접속할 수도 있고, 또는, N개의 고전압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전압 디바이스로서는, 저항 소자나 센서 이외의 여러 가지의 디바이스(소자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전 용량, 코일, 및, 이들을 조합시킨 회로 등의 여러 가지의 디바이스를 고전압 디바이스로서 이용 가능하다. 이것은 다른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210-290)의 접촉부의 집합 영역(820)의 4 코너에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의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각각에 관해서, 장착 검출 단자(210, 240, 250, 290)로 둘러싸인 복수의 메모리 단자가 확실하게 접촉하고 있는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b는, 비교예로서의 공통 기판(200p)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비교예의 공통 기판(200p)에서는, 장착 검출 단자로서는,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각각에 있어서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210)만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교예의 공통 기판(200p)에서는, 하나의 소형 기판부에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소형 기판부 내의 복수의 메모리 단자가 확실하게 접촉하고 있는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사이에는 갭 G가 존재하기 때문에,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에 있어서의 단자의 접촉 상태는, 소형 기판부마다 상이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하나의 소형 기판부에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개의 소형 기판부 내의 복수의 메모리 단자가 확실하게 접촉하고 있는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하나의 소형 기판부에 2개의 장착 검출 단자를 설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통 기판(200n)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개개의 소형 기판부에 설치된 단자군의 접촉부의 사각형의 집합 영역의 4 코너에 장착 검출 단자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개의 소형 기판부 내의 복수의 메모리 단자가 확실하게 접촉하는 것과 같은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히 「기판」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있어서의 1개의 카트리지 장착 위치(1개의 수용 슬롯)에 대응하는 기판 부재를 의미하고 있다. 즉, 도 38a의 경우에는, 복수의 소형 기판부(301-304)의 각각이 「기판」에 해당한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와, 이들과 호환성이 있는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 및 공통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9a 내지 도 39c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카트리지나 회로 기판의 구조가 간략화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39a의 카트리지(100q)는, 각 색마다 독립된 카트리지이며, 회로 기판(200)이 개개의 카트리지(100q)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카트리지(100q)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독립적으로 장착 가능하다.
도 39b는, 하나의 잉크 수용체의 내부가 복수의 잉크색을 수용하는 복수의 잉크 수용실에 분할되어 있는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와, 이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용의 공통 기판(200r)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는, 4개의 독립형 카트리지(100q)와 호환성을 갖고 있고, 4개의 독립형 카트리지(100q)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홀더)에 장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공통 기판(200r)은,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혹은, 공통 기판(200r)와,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를, 개별적으로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예컨대, 최초에 공통 기판(200r)을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고, 그 후에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한다.
도 39c는, 공통 기판(200r)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공통 기판(200r)은, 도 38a의 공통 기판(200n)과 마찬가지로, 4개분의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100q)에 대응한 4개의 소형 기판부(301-304)를, 연결 기판부(300)로 연결한 형상을 갖고 있다. 개개의 소형 기판(301-304)에는, 카트리지의 고전압 디바이스에 접속된 1 세트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점은, 도 38a의 공통 기판(200n)과 동일하다. 도 38a의 공통 기판(200n)과 도 39c의 공통 기판(200r)의 상위점은 이하와 같다.
<상위점 1> 도 38a의 공통 기판(200n)에서는, 다른 1 세트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도 개개의 소형 기판(301-304)에 각각 설치하고 있었던 데 대하여, 도 39c의 공통 기판(200r)에서는,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210)가 일단부측의 소형 기판(301)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240)가 타단의 소형 기판(304)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가 배선 SCL에 의해서 단락 접속되어 있다.
<상위점 2> 도 38a의 공통 기판(200n)에서는, 복수의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가 개개의 소형 기판(301-304)에 각각 설치하고 있었던 데 대하여, 도 39c의 공통 기판(200r)에서는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가 공통 기판(200r) 전체에서 1 세트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9c의 예에서는, 상측열 R1의 메모리 단자(220, 230)는 제 3 소형 기판(303)에 설치되어 있고, 하측열 R2의 메모리 단자(260, 270, 280)는 제 1 소형 기판(3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의 기능은, 도 3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개개의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는, 소형 기판(301-304)의 어느 하나에 설치하더라도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독립형 카트리지(100q)의 회로 기판(200)의 기억 장치가, 인쇄 장치의 제어 회로에 버스 접속되는 경우에 채용 가능하다.
도 40은, 도 39a의 카트리지에 적합한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도 39a에 나타낸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100q)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개개의 카트리지(100q)의 기억 장치(203)는, 복수의 배선 LRl, LDl, ICl, ICV, ICS에 의해서 부제어 회로(500)에 버스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개개의 카트리지(100q)의 저항 소자(204)는, 신호선 LDSN, LDSP에 의해서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개개의 카트리지(100q)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도, 신호선 ICON, ICOP에 의해서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장착 검출용의 4개의 단자(210, 240, 250, 290)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와의 접속 관계는, 예컨대 도 2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도 40의 회로 구성에서는, 복수의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100q)의 기억 장치(203)가 버스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각 색 독립형 카트리지(100q) 대신에, 도 39b에 나타낸 복수색 일체형 카트리지(100r) 및 공통 기판(200r)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억 장치를 공통 기판(200r)에 설치하면 된다. 그래서, 도 39c에 나타낸 공통 기판(200r)에서는,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가 공통 기판(200r) 전체에서 1 세트만 설치되어 있다.
도 41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와 도 39c의 공통 기판(200r)과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의 회로 구성은, 도 22와 동일하며, 도 22에 있어서의 4개의 카트리지 IC1 내지 IC4 대신에 공통 기판(220r)을 적용한 경우의 도면에 상당한다. 개개의 소형 기판(301-304)에 설치된 저항 소자(204)에 접속된 1 세트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는,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550, 590)와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이 공통 기판(200r)가 장착된 상태에서 개별 장착 전류치 검출부(630)에 의한 개별 장착 검출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는, 모든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통 기판(200r)에서는,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210)가 일단부측의 소형 기판(301)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장착 검출 단자(240)가 타단의 소형 기판(304)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장착 검출 단자(210, 240)가 배선 SCL에 의해서 단락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 펄스 발생부(650) 및 비장착 상태 검출부(670)에 의한 비장착 검출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도,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한, 도 22와 도 41을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1의 회로에서는, 도 22의 회로에서 순차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던 복수 세트의 단자(240, 210) 중의 양단의 단자(240, 210)만을 공통 기판(200r) 상에 설치하고, 이들을 배선 SCL에 의해서 단락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공통 기판(200r)을 사용한 경우에도,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측에서 정확한 장착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기 때문에, 그 후의 인쇄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 가능해진다. 또한, 공통 기판(200r)에 사용하는 고전압 디바이스로서는, 저항 소자(204) 이외의 고전압 디바이스(예컨대, 센서) 등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도 39c의 공통 기판(200r)에는, 하나 이상의 기억 장치(203)를 설치하면 되고, 각 잉크색마다 하나의 기억 장치(203)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메모리 단자(220, 230, 260, 270, 280)는, 기억 장치(203)의 개수에 따라 1 세트 이상 설치하면 된다.
도 39c의 공통 기판(200r)에서도, 도 3a의 회로 기판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 cp는, 상측열 R1(제 1 열)과 하측열 R2(제 2 열)로 분할되어 있다. 즉, 상측열 R1에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부 cp와, 2개의 메모리 단자(220, 230)의 접촉부 cp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열 R2에는, 복수 세트의 장착 검출 단자(250, 290)와, 3개의 메모리 단자(260, 270, 280)가 배치되어 있다. 상측열 R1의 양단과, 하측열 R2의 양단에는, 각각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 cp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동안에 있는 메모리 단자의 접촉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측열 R1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 cp 중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부 cp 사이의 거리는, 하측열 R2에 존재하는 메모리 단자(260-280)의 접촉부 cp 중의 양단에 있는 2개의 접촉부 cp 사이의 거리보다도 길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장착 검출 단자의 접촉부 cp(상측열 R1의 양단에 있는 장착 검출 단자(210, 240)의 접촉부 cp의 2개와, 하측열 R2의 양단에 있는 소형 기판(301)의 장착 검출 단자(250) 및 소형 기판(304)의 장착 검출 단자(290)의 접촉부 cp의 2개)가, 메모리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그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카트리지가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쇄 장치측에서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2a, 도 42b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100b)도, 온 캐리지 타입의 소형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것이며, 잉크를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의 케이스(101b)와, 기판(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100b) 및 기판(200)의 장착 방향 SD(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방향)는, 수직 아래쪽이다. 케이스(101b)의 내부에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12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1b)의 바닥면에는, 잉크 공급구(110b)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잉크 공급구(110b)의 개구는 필름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100b)는, 도 28의 카트리지(100a)와는 형상이 상이하다. 특히, 기판(200)이 케이스(101b)의 수직인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점에서 도 28의 카트리지(100a)와 크게 상이하다. 이러한 카트리지(100b) 및 그 기판(200)에 대해서도, 상술한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를 적용 가능하다.
도 4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100c)는, 잉크 수용부(100Bc)와, 어뎁터(100Ac)로 분리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100c)는, 도 28의 카트리지(100a)와 호환성을 갖는 것이다. 잉크 수용부(100Bc)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120Bc)과, 잉크 공급구(110c)를 갖고 있다. 잉크 공급구(110c)는, 케이스(101Bc)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잉크실(120Bc)에 연통해서 있다.
어뎁터(100Ac)는, 그 상부에 개구(106c)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잉크 수용부(100Bc)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28의 카트리지(100a)의 외형과 상이할 뿐이며, 다른 점에서는 도 28의 카트리지(100a)와 거의 동일한 외형을 갖고 있다. 즉, 어뎁터(100Ac)는, 전체로서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외면은, 직교하는 6면 중의 천장면(상단면)을 제외한 5개의 면과, 하단의 코너부에 설치된 사면 형상의 기판 설치부(105c)로 구성되어 있다. 어뎁터(100Ac)의 제 1 측면(전단면)(102c)에는, 레버(160c)가 설치되어 있고, 레버(160c)에는 계합 돌기(162c)가 설치되어 있다. 어뎁터(100Ac)의 바닥면(104c)에는,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되었을 때에,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잉크 공급관(2080)을 통과시키는 개구(108c)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수용부(100Bc)가 어뎁터(100Ac) 중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잉크 수용부(100Bc)의 잉크 공급구(110c)가, 카트리지 장착부(2100)의 잉크 공급관(2080)에 접속된다. 어뎁터(100Ac)의 제 1 측면(102c)의 하단 근방에는, 사면 형상의 기판 설치부(105c)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 설치부(105c)에 기판(200)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측면(102c)에 대향하는 제 2 측면(후단면)(103c)에는, 계합 돌기(150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100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 수용부(100Bc)를 어뎁터(100Ac)와 조합한 상태에서, 양자를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동시에 장착한다. 혹은, 우선 어뎁터(100Ac)를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하고, 그 후에, 잉크 수용부(100Bc)를 어뎁터(100Ac) 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어뎁터(100Ac)를 카트리지 장착부(2100)에 장착한 채로, 잉크 수용부(100Bc)만의 탈착이 가능하다.
도 4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100d)도, 잉크 수용부(100d)와 어뎁터(100Ad)로 분리되어 있다. 이 어뎁터(100Ad)는, 제 1 측면(102d)과, 바닥면(104d)과, 제 1 측면(102d)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03d)과, 제 1 측면(102d)의 하단 근방에 설치된 사면 형상의 기판 설치부(105d)로 구성되어 있다. 도 43에 나타낸 카트리지와의 주요한 차이는, 도 44의 어뎁터(100Ad)에서는, 제 1 및 제 2 측면(102d, 103d)과 바닥면(104d)과 교차하는 2개의 측면(가장 큰 측면)을 구성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점이다. 제 1 측면(102d)에는, 레버(160d)가 설치되어 있고, 레버(160d)에는 계합 돌기(162d)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측면(103d)에도 계합 돌기(150d)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수용부(100d)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12bd)과, 잉크 공급구(110d)를 갖고 있다. 이 카트리지(100d)도, 도 43의 카트리지(100c)와 거의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45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카트리지(100e)도, 잉크 수용부(101Be)와 어뎁터(100Ae)로 분리되어 있다. 이 어뎁터(100Ae)는, 제 1 측면(102e)과, 제 1 측면(102e)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03e)과, 제 1 및 제 2 측면(102e, 103e)의 사이에 설치된 제 3 측면(107e)과, 제 1 측면(102d)의 하단 근방에 설치된 사면 형상의 기판 설치부(105d)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 수용부(100Be)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12be)와, 잉크 공급구(110e)를 갖고 있다. 잉크 수용부(100Be)의 바닥면(104e)은, 도 28에 나타낸 카트리지(100a)의 바닥면(104a)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카트리지(100e)도, 도 43 및 도 44의 카트리지(100c, 100d)와 거의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도 43 내지 도 45의 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잉크 수용부(「인쇄재 수용체」라고도 부름)와, 어뎁터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회로 기판은, 어뎁터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잉크 수용부와 어뎁터로 분리된 카트리지 구성은, 도 2a, 도 2b에 나타낸 카트리지(10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8의 카트리지(100a)와 호환성이 있는 어뎁터는, 계합 구조를 갖는 레버가 설치된 제 1 측면(102c)(또는 102d, 102e)과,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103c)(또는 103d, 103e)과, 제 1 및 제 2 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다른 면(바닥면(104c, 104d), 또는, 제 3 측면(107e))과, 제 1 측면의 하단 근방에 설치된 기판 설치부(105c)(또는 105d, 105e)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카트리지와 호환성을 갖는 어뎁터에서는, 센서는, 어뎁터 또는 잉크 수용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센서는, 어뎁터에 설치된 기판의 단자에 접속 가능하다.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서는, 기판상의 단자가 기판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판상의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의 접촉이, 접촉부 cp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콘택트라는 점에서 공통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콘택트에 의해, 기판상의 단자와 장치측 단자 사이에 오염물이 쌓이기 쉽다고 하는 과제에 있어서도 공통하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오염물에 기인하는 노이즈에 대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장착 검출용의 전압으로서는, 되도록이면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나 다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형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변형예1: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의 단자나 접촉부의 배열은,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의 기판에서는, 복수의 단자나 그들의 접촉부가,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수직 방향에 따른 서로 평행한 2개의 열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3열 이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더라도 된다.
또한, 장착 검출용의 단자의 수는 임의이며, 5개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기억 장치용의 복수의 단자의 종류나 배열도,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리셋 단자는 생략 가능하다. 단, 기억 장치용의 복수의 접촉부는, 다른 단자(장착 검출용의 단자)의 접촉부가, 기억 장치용 단자의 접촉부들 사이에 들어가지 않는 것과 같은 집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2: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에 탑재되는 전기 디바이스로서, 기억 장치(203) 이외에, 센서(208)(도 9)나 저항 소자(204)(도 21)가 사용되고 있지만, 카트리지에 탑재되는 복수의 전기 디바이스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임의의 종류의 전기 디바이스를 카트리지에 탑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잉크량 검출을 위한 센서로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센서 대신에, 광학적인 센서를 카트리지에 설치하더라도 된다. 또한, 3.3V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 디바이스로서도, 센서(208)(도 9)나 저항 소자(204)(도 21) 이외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장치(203)와 저항 소자(204)의 양쪽이 기판(200)에 설치되어 있지만, 카트리지의 전기 디바이스는, 다른 임의의 부재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기억 장치(203)는, 카트리지의 케이스나, 어뎁터, 또는, 카트리지와는 별체의 다른 구조체 상에 배치되더라도 된다. 이 점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변형예3: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n번째의 카트리지 내의 저항 소자(204)와,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 내의 대응하는 저항 소자(63n)(n=1-4)로 4개의 장착 검출용 저항(701-704)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장착 검출용 저항의 저항치는, 1개의 저항 소자만으로 실현할 수도 있고, 또한, 3개 이상의 저항 소자로 실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2개의 저항 소자(204, 631)로 구성되는 장착 검출용 저항(701)을, 단일의 저항 소자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다른 장착 검출용 저항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저항 소자로 하나의 장착 검출용 저항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저항 소자의 저항치의 배분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들 단일의 저항 소자 또는 복수의 저항 소자는,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 본체 또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한쪽에만 설치하더라도 된다. 예컨대, 장착 검출용 저항을 전부 카트리지 상에 설치하도록 하면, 인쇄 장치 본체 또는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장착 검출용 저항을 구성하는 저항 소자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 46은, 개별 장착 검출용의 회로 구성의 변형예를 게시하는 회로도이다. 이 회로는, 도 23의 회로에서, 카트리지 검출 회로(502)의 저항 소자(631-634)를 생략하고, 또한,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를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른 상이한 값으로 한 것있다. 즉, n번째(n=1-4)의 카트리지 ICn의 저항 소자(204)의 저항치는, 2nR(R은 일정치)로 설정되어 있다. 도 46의 회로에서도 도 23과 마찬가지로, N개의 카트리지의 2N 종류의 장착 상태에 따라 검출 전류 IDET가 고유하게 결정되는 특성이 얻어진다.
·변형예4: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되어 있는 각종 구성요소 중, 특정한 목적·작용·효과에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종 처리 중, 임의의 일부의 처리, 및 그 처리에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5: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다른 인쇄재, 예컨대, 토너가 수용된 인쇄재 수용체(인쇄재 수용 용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에 한하지 않고, 잉크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 수용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하와 같은 각종 액체 분사 장치 및 그 액체 수용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컬러 필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색재 분사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전극재 분사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5) 정밀 피펫(pipette)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
(6) 윤활유의 분사 장치
(7) 수지액의 분사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9) 광 통신 소자 등에 사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액체 분사 장치
또한, 「액적(droplet)」이란,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의 상태를 말하며, 입자 형상, 눈물 방울 형상, 실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란, 액체 분사 장치가 분사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재료이면 된다. 예컨대,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의 그 상태의 재료이면 되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체 상태의 재료, 및, 졸, 겔물, 그 밖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용융 금속) 같은 액체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란,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겔 잉크, 가열 용융 잉크 등의 각종 액체 상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변형예5:
카트리지나 어뎁터에는, 상술한 각종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기재한 것 이외의 여러 가지의 외관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단자를 가지는 외관 형상의 카트리지나 어뎁터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9)

  1.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회로 기판으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열에 상당하는 짧은 제 1 저변과, 상기 제 2 열에 상당하는 긴 제 2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회로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전기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한 회로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중앙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전원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회로 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고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출력되는 회로 기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전기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회로 기판 내에 마련된 저항 소자인 회로 기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의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2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회로 기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의 타이밍과 상이한 타이밍에 있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를 갖는 회로 기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전기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내의 인쇄재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인 회로 기판.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와 상이한 전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리셋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셋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열에는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에는 3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 중 단부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회로 기판.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인쇄 헤드와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회로 기판.
  16.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printing material) 카트리지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열에 상당하는 짧은 제 1 저변과, 상기 제 2 열에 상당하는 긴 제 2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인쇄재 카트리지.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중앙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전원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고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저항 소자인 인쇄재 카트리지.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2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인쇄재 카트리지.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의 타이밍과 상이한 타이밍에 있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를 갖는 인쇄재 카트리지.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27.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 내의 인쇄재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인 인쇄재 카트리지.
  2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와 상이한 전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리셋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셋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열에는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에는 3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인쇄재 카트리지.
  2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 중 단부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인쇄재 카트리지.
  3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는, 인쇄 헤드와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인쇄재 카트리지.
  31. 인쇄재 수용체가 장착되어, 인쇄 장치의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로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열에 상당하는 짧은 제 1 저변과, 상기 제 2 열에 상당하는 긴 제 2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중앙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5.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전원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고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8.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저항 소자인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2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의 타이밍과 상이한 타이밍에 있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를 갖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2.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또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인쇄재 수용체 내의 인쇄재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인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와 상이한 전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리셋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셋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열에는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에는 3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4.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 중 단부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5.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는, 인쇄 헤드와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46. 인쇄 장치로서,
    인쇄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인쇄재 카트리지와,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장착 검출 회로와,
    장치측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는,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과 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 2 단자
    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인쇄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제 2 영역의 4 코너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열에 상당하는 짧은 제 1 저변과, 상기 제 2 열에 상당하는 긴 제 2 저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인쇄 장치.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접촉부의 상기 4개의 접촉부 중,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서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어느 것도 일정 전위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 인쇄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중앙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인쇄 장치.
  50.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전원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인쇄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이하이며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고 상기 기억 장치용의 상기 제 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되는
    인쇄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
  53.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저항 소자인 인쇄 장치.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서의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때에,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1 펄스 신호로서의 제 1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1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한쪽에는, 제 2 펄스 신호로서의 제 2 장착 검사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2개의 접촉부의 다른쪽으로부터는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에 따른 제 2 장착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인쇄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 검사 신호는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의 상승 에지의 타이밍과 상이한 타이밍에 있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상승 에지를 갖는 인쇄 장치.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는, 상기 2개의 접촉부에 과전압이 인가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상기 제 1 장착 검사 신호의 하이 레벨은, 상기 과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
  57.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에 설치된 전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인쇄재 카트리지 내의 인쇄재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인 인쇄 장치.
  5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접지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접지 전위와 상이한 전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클록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리셋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리셋 단자와,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상기 기억 장치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열에는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열에는 3개의 상기 제 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인쇄 장치.
  59.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 중 단부에 있는 2개의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긴 인쇄 장치.
  60.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인쇄 헤드를 갖는, 인쇄 장치.
  61.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인쇄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고,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거쳐서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배열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배선 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배선 경로의 단부가 상기 장착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접촉부는,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마다 상기 장착 검출 회로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장착 검출 회로는,
    (i) 상기 배선 경로의 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상기 N개의 인쇄재 카트리지가 전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ii)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접촉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개개의 인쇄재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정하는 인쇄 장치.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KR1020127009666A 2010-09-03 2011-08-31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 KR101531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7316 2010-09-03
JP2010197316 2010-09-03
PCT/JP2011/004882 WO2012029311A1 (ja) 2010-09-03 2011-08-31 印刷装置、印刷材カートリッジ、印刷材収容体アダプター、及び、回路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421A KR20120052421A (ko) 2012-05-23
KR101531743B1 true KR101531743B1 (ko) 2015-06-25

Family

ID=4577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666A KR101531743B1 (ko) 2010-09-03 2011-08-31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8764172B2 (ko)
EP (1) EP2463104B1 (ko)
JP (2) JP5861630B2 (ko)
KR (1) KR101531743B1 (ko)
CN (3) CN202573284U (ko)
AR (2) AR082822A1 (ko)
AU (1) AU2011285475B2 (ko)
BR (1) BR112012012605A2 (ko)
CA (1) CA2768790C (ko)
CL (1) CL2012001316A1 (ko)
CO (1) CO6551712A2 (ko)
DE (1) DE112011102921T5 (ko)
ES (1) ES2526575T3 (ko)
GB (1) GB2485736B (ko)
HK (1) HK1176911A1 (ko)
IL (1) IL219329A (ko)
IN (1) IN2012DN01542A (ko)
MA (1) MA33567B1 (ko)
MX (1) MX336674B (ko)
NZ (1) NZ598090A (ko)
PE (1) PE20131485A1 (ko)
SG (1) SG178903A1 (ko)
TW (1) TWI508868B (ko)
UA (1) UA104915C2 (ko)
WO (1) WO2012029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2106A (zh) * 2010-08-30 2012-03-21 黄振华 苯胺取代的喹唑啉衍生物
US8764172B2 (en) * 2010-09-03 2014-07-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aterial cartridge, adaptor for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circuit board
US8544994B2 (en) 2010-12-28 2013-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5810643B2 (ja) * 2011-06-06 2015-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WO2013105145A1 (en) * 2012-01-12 2013-07-18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JP6149526B2 (ja) * 2012-08-08 2017-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6115041B2 (ja) 2012-08-24 2017-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収容装置及び印刷流体供給装置
US8708470B1 (en) * 2012-11-29 2014-04-29 Videojet Technologies Inc. Ink system
JP2014219436A (ja) * 2013-04-30 2014-11-20 株式会社リコー 読み出し装置及び同装置を供える画像形成装置
CN104175721B (zh) * 2013-05-22 2016-09-28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墨盒芯片短路检测方法、芯片、墨盒和记录设备
CN107933100B (zh) * 2013-09-18 2020-04-10 佳能株式会社 墨盒和喷墨打印机
JP5941888B2 (ja) * 2013-09-27 2016-06-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3802483B (zh) * 2013-12-26 2016-08-31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墨盒、墨盒芯片及芯片短路检测方法
US10179459B2 (en) * 2014-03-14 2019-01-1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consuming apparatus and electrical connector
EP2990209B1 (en) 2014-08-29 2018-10-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EP2990208B1 (en) * 2014-08-29 2018-10-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onsuming apparatus
EP2990210B1 (en) 2014-08-29 2018-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US9484657B2 (en) * 2014-11-19 2016-11-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arness connector having a power and signal cartridges
KR102385332B1 (ko) 2014-11-28 2022-04-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트리지
EP4258060A3 (en) 2015-02-27 2024-03-20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EP3112167B1 (en) * 2015-07-01 2019-10-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ystem in which consumable cartridge is mountable to mounting portion
DE102015010677A1 (de) * 2015-08-12 2017-02-16 Kmp Printtechnik Ag Druckmaterialpatrone sowie Drucker mit einer solchen Druckmaterialpatrone
EP3187338A1 (de) * 2015-10-19 2017-07-05 Peco Print GmbH Druckmaterialbehälter und platine
US10372073B2 (en) * 2015-12-22 2019-08-06 Hangzhou Chipjet Technology Co., Ltd. Repair method and repair chip for regenerative ink cartridge, and regenerative ink cartridge
JP6582972B2 (ja) 2015-12-25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05549361A (zh) * 2015-12-31 2016-05-0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存储元件、使用该存储元件的显影盒及图像形成设备
WO2018080423A1 (en) * 2016-10-24 2018-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w voltage bias of nozzle sensors
WO2018080426A1 (en) * 2016-10-24 2018-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rrent leakage test of a fluid ejection die
JP7000688B2 (ja) 2017-02-28 2022-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EP3444118A1 (de) * 2017-08-14 2019-02-20 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 Platine für eine druckerpatrone; druckerpatrone und drucksystem
CN115246270B (zh) * 2017-10-12 2024-03-12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芯片及墨盒
US11198298B2 (en) 2017-11-20 2021-12-14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10307783B1 (en) * 2018-05-15 2019-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cartridge and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198301B2 (en) 2018-08-01 2021-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fluid supplies with displays
JP6652178B2 (ja) * 2018-10-31 2020-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7041324B2 (ja) 2018-12-03 2022-03-23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論理回路
CA3121110A1 (en) 2018-12-03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package
EP3695334A1 (en) 2018-12-03 2020-08-1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CA3121418A1 (en) 2018-12-03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US11338586B2 (en) 2018-12-03 2022-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ES2902154T3 (es) 2018-12-03 2022-03-2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ircuitos lógicos
CN113168443A (zh) 2018-12-03 2021-07-2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逻辑电路系统
WO2020117776A1 (en) 2018-12-03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package
BR112021010044A2 (pt) 2018-12-03 2021-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ircuitos lógicos
US10894423B2 (en) 2018-12-03 2021-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US11260657B2 (en) 2019-02-06 2022-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ulldown devices
FR3094147B1 (fr) * 2019-03-20 2023-01-06 Citel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surtensions
JP7352819B2 (ja) 2019-08-09 2023-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407229B2 (en) 2019-10-25 2022-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gic circuitry package
JP2022149554A (ja) * 2021-03-25 2022-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11686696B2 (en) * 2021-09-13 2023-06-27 Funai Electric Co., Ltd. Fluid sense circuit with variable sensitivity
US11535038B1 (en) 2021-12-28 2022-12-27 Seiko Epson Corporation Board, liquid accommodation container, and printing system
CN220731517U (zh) * 2022-08-22 2024-04-05 珠海益之印科技有限公司 芯片、芯片组件和成像材料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2878A1 (en) * 2000-12-26 2002-08-22 Taku Ishizawa Terminals for circuit board
US20090085939A1 (en) * 2007-10-01 2009-04-02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Je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2454B2 (ja)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H03284953A (ja) 1990-03-31 1991-12-1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155758A (ja) 1992-11-25 1994-06-03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262771A (ja) 1993-03-16 1994-09-2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578500B1 (ko) 2000-11-20 2006-05-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인쇄기록재용기의 식별
JP4120174B2 (ja) 2001-03-19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状態の検出
JP3912501B2 (ja) 2002-04-10 2007-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装着状態検出装置、該インクカートリッジ装着状態検出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5119228A (ja) 2003-10-20 2005-05-12 Canon Inc 記録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識別システム
JP2005326779A (ja) 2004-05-17 2005-11-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CN100373163C (zh) * 2004-08-11 2008-03-05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墨水匣检测系统及其方法
NZ553008A (en) 2004-09-01 2009-08-28 Seiko Epson Corp Printing material container
JP3948470B2 (ja) 2004-09-01 2007-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の端子
CN1993226B (zh) * 2004-09-01 2010-06-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装置
JP4352019B2 (ja) 2005-04-22 2009-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該ヘッド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880926B2 (ja) * 2005-06-30 201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687387B2 (ja) 2005-10-26 2011-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作像カートリッジ
JP2007168078A (ja) 2005-12-19 2007-07-05 Seiko Epson Corp 印刷記録材収容体
UA108344C2 (uk) * 2005-12-26 2015-04-27 Контейнер з матеріалом для друкування і плата, яка встановлюється на контейнері з матеріалом для друкування
JP4144637B2 (ja) 2005-12-26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CN101486272B (zh) 2008-01-15 2013-01-30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打印头芯片保护器及其墨盒与控制方法
JP5206506B2 (ja) 2008-03-13 2013-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装置、基板、液体情報を変更する方法
JP5387107B2 (ja) 2008-04-17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5589180B2 (ja) 2009-02-27 2014-09-17 秋田県 高周波材料定数測定システム
US8540347B2 (en) 2009-05-15 2013-09-24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material delivery system for recording material-consuming apparatus; circuit board; structural body; and ink cartridge
US8764172B2 (en) * 2010-09-03 2014-07-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aterial cartridge, adaptor for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circuit board
JP5853436B2 (ja) * 2011-06-23 2016-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2878A1 (en) * 2000-12-26 2002-08-22 Taku Ishizawa Terminals for circuit board
US20090085939A1 (en) * 2007-10-01 2009-04-02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Je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421A (ko) 2012-05-23
EP2463104A4 (en) 2013-03-27
MX336674B (es) 2016-01-26
EP2463104B1 (en) 2014-09-24
AR101357A2 (es) 2016-12-14
HK1176911A1 (en) 2013-08-09
TW201221368A (en) 2012-06-01
CN102700256B (zh) 2015-06-24
NZ598090A (en) 2015-02-27
JP6137297B2 (ja) 2017-05-31
IN2012DN01542A (ko) 2015-06-05
CL2012001316A1 (es) 2013-06-07
AR082822A1 (es) 2013-01-09
ES2526575T3 (es) 2015-01-13
UA104915C2 (uk) 2014-03-25
US20120056954A1 (en) 2012-03-08
US8764172B2 (en) 2014-07-01
US20140307031A1 (en) 2014-10-16
BR112012012605A2 (pt) 2017-12-12
CN202573284U (zh) 2012-12-05
MA33567B1 (fr) 2012-09-01
TWI508868B (zh) 2015-11-21
GB2485736A (en) 2012-05-23
PE20131485A1 (es) 2014-02-01
CN104985934B (zh) 2017-06-09
IL219329A0 (en) 2012-06-28
JPWO2012029311A1 (ja) 2013-10-28
AU2011285475B2 (en) 2014-01-09
IL219329A (en) 2015-07-30
CO6551712A2 (es) 2012-10-31
CA2768790A1 (en) 2012-03-03
GB201204268D0 (en) 2012-04-25
JP2016074228A (ja) 2016-05-12
MX2012006386A (es) 2012-06-19
EP2463104A1 (en) 2012-06-13
GB2485736B (en) 2016-11-02
AU2011285475A1 (en) 2012-03-22
CA2768790C (en) 2014-12-09
US9370934B2 (en) 2016-06-21
CN104985934A (zh) 2015-10-21
SG178903A1 (en) 2012-04-27
CN102700256A (zh) 2012-10-03
WO2012029311A1 (ja) 2012-03-08
JP5861630B2 (ja) 2016-02-16
DE112011102921T5 (de)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743B1 (ko) 인쇄 장치, 인쇄재 카트리지, 인쇄재 수용체 어뎁터, 및 회로 기판
JP5630157B2 (ja) 印刷装置
JP5541030B2 (ja) 印刷装置、印刷材カートリッジ、回路基板およびアダプター
JP5817445B2 (ja) 回路基板
JP4942161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690280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aterial cartridge,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dapter, cartridge set, and adapter set
JP5541029B2 (ja) 印刷装置、印刷材カートリッジ、回路基板およびアダプター
JP2012125958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材カートリッジ
JP5776385B2 (ja) 印刷装置
JP6031848B2 (ja) 液体消費装置、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RU2523982C1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артридж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адаптер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и схемная плата
JP2012071615A (ja) 回路基板
JP2012086573A (ja) 回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