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09B1 -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 Google Patents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09B1
KR101510809B1 KR1020127017601A KR20127017601A KR101510809B1 KR 101510809 B1 KR101510809 B1 KR 101510809B1 KR 1020127017601 A KR1020127017601 A KR 1020127017601A KR 20127017601 A KR20127017601 A KR 20127017601A KR 101510809 B1 KR101510809 B1 KR 10151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electromagnetic brake
braking force
braking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526A (ko
Inventor
히데키 아라이
야스노부 우치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10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가 개시되고, 이는 정량적 판단에 의해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 스프링(13)의 복원력들을 검출하는 로드셀(19)들은 브레이크 휠(8) 측을 향해 브레이크 슈(9)들이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암(10)들을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스프링(13)들과 압축 변형 상태로 브레이크 스프링(13)들을 유지하는 스프링 시트(17)들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판단부(5c)는 전자기 브레이크(4)의 제동력이 로드셀(19)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 밖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자기 브레이크(4)의 제동력이 정상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판단부(5c)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센터(23)로 신호를 보낸다.

Description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DETECTOR FOR ELECTROMAGNETIC BRAK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제 10-279216호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hoist)에 배치된 전자기 브레이크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조립체는 호이스트의 모터에 연결된 브레이크 풀리(brake pulley), 브레이크 풀리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레버(brake lever), 브레이크 레버의 라이닝부(lining portion)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풀리와 직접 접촉하는 전기 접촉 부재(electrical contact member), 및 전기 접촉 부재와 브레이크 풀리 간의 접촉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호이스트의 모터가 켜지는 경우, 시스템이 브레이크 레버의 라이닝부가 브레이크 풀리와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브레이크 레버의 라이닝부가 이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브레이크 풀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모터로 OFF 신호가 출력된다.
브레이크 레버는 브레이크 스프링의 압축 변형에 기초한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풀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동(energize)되지만, 브레이크 레버의 라이닝부가 마모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작동 시 브레이크 스프링의 압축 변형량이 대응하여(correspondingly) 감소하고,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이 감소하여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감소한다.
앞선 참조에서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브레이크 레버의 라이닝부가 브레이크 풀리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한지의 정량적 판단(quantitative judgment)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한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안전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전자기 브레이크의 이상(abnormality) 검출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앞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기초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제동하는 부재 상의 제동부(brake piece)를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는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이며, 상기 제동부는 솔레노이드의 여기(excitation)에 의해 야기된 전자기 인력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제동 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되어, 제동력이 해제(release)된다. 검출기는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load sensor), 및 제동력 하한 또는 제동력 상한 중 적어도 하나와 하중 센서의 출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판단 디바이스(judgment device)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 수단은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에 기초하여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한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한지는 하중 센서로 검출된 복원력에 기초하여 정량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다 초기에 브레이크와의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내의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자기 브레이크의 주요 부분들의 분해 조립도;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판단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소위 트랙션 시스템(traction system)의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트 내의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호이스트(1)는 주 로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맞물리는 주 트랙션 시브(main traction sheave: 2), 주 시브(2)를 구동하는 모터(3), 및 주 시브(2)를 제동하는 전자기 브레이크(4)를 갖는다. 제어기(5)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모터(3)가 주 시브(2)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차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상승하도록 회전시킨다.
일 예시로서, 전자기 브레이크(4)는 다음 부분들: 즉, 호이스트(1)를 지지하는 기계 테이블(6) 상에 배치된 프레임(7), 주 시브(2)와 함께 모터(3)의 구동 샤프트(driving shaft)(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주 시브(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동 부재로서 브레이크 휠(8), 반경방향으로 브레이크 휠(8)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동부들로서 브레이크 슈(9)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암(brake arm: 10), 2 개의 브레이크 암(10)의 상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유닛(11), 2 개의 브레이크 암(10) 각각과 솔레노이드 유닛(11)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레버(12), 및 브레이크 휠(8) 측을 향해 2 개의 브레이크 암(10)을 각각 작동시키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전자기 브레이크들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전자기 브레이크(4)의 주 부분을 예시하는 분해 조립도이다. 도 2에서, 2 개의 브레이크 암(10)의 전형적인 예시로서 도 1의 왼쪽 브레이크 암(10)만이 도시된다. 도 1의 오른쪽 브레이크 암(10)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된다.
도 1에 추가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브레이크 암(10)들의 하단부들은 핀들(14)을 가지며, 프레임(7)에 연결된다. 이들은 브레이크 휠(8)을 향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흔들릴(rock) 수 있다. 반면에, 두 브레이크 암(10)들의 상단부 상에는 솔레노이드 유닛(11)의 반대 측을 향하여 개방된 컵(cup)-형 스프링 수용부(spring receptacle portion: 10a)들이 형성된다. 두 브레이크 암(10)들의 스프링 수용부(10a)들에서,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한 측 단부들이 각각 삽입된다.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은 소위 압축 코일 스프링들이다. 프레임(7)에 연결된 왼쪽 및 오른쪽 로드들(15)은 각각의 브레이크 스프링(13)들의 내주변측을 통해 삽입된다.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들은 2 개의 로드(15)들의 끝부분(tip)에서 너트(16)들에 의해 각각 맞물린 스프링 유지 부재들로서의 스프링 시트(17)들에 의해 압축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작동력들은 2 개의 브레이크 암(10)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2 개의 브레이크 암(10)의 위/아래 방향의 중간부에, 라이닝(9a)들이 부착된 브레이크 슈(9)들이 각각 설치된다. 2 개의 브레이크 슈(9)의 라이닝(9a)들이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압축 변형으로 인한 복원력들로 브레이크 휠(8)의 외주변 표면을 눌러서 브레이크 휠(8)이 제동된다.
반면에,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기는 솔레노이드 유닛(11)을 여기시키도록 제어된다. 결과로서, 2 개의 브레이크 슈(9)가 브레이크 휠(8)로부터 떨어지도록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작동력들에 저항하여 구동된다. 더 명확하게는, 2 개의 브레이크 레버(12)들 각각의 일 단부가 조정 스크류(18)를 통해 2 개의 브레이크 암(10)들 각각의 상단부와 접촉하고, 솔레노이드 유닛(11)의 여기로 인한 전자기 인력에 의해 솔레노이드 유닛(11) 측을 향하여 브레이크 레버(12)들 각각의 다른 단부가 끌려 2 개의 브레이크 암(10)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제동력이 해제된다.
또한, 압축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센서로서 로드셀(load cell: 19)들이 각각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과 2 개의 스프링 시트(17) 사이에 배치된다. 2 개의 로드셀(19)은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복원력들의 정량적 검출을 위한 것이고, 2 개의 로드셀(19)의 출력들이 증폭기(20)를 통해 제어기(5)로 보내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로드셀(19)은 각각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과 2 개의 스프링 시트(17)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 개의 로드셀(19)이 각각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과 2 개의 브레이크 암(10)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5)는 모터(3) 및 솔레노이드 유닛(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5a), 및 2 개의 로드셀(19)의 출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휠(8)에 적용된 브레이크 슈(9)들의 가압력(F)을 연산하는 가압력 연산부(5b)를 갖는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5)는 판단 디바이스, 즉 가압력 연산부(5b)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기 브레이크(4)의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5c), 및 가압력 연산부(5b)를 이용하여 연산된 가압력을 저장하는 가압력 저장부(5d)를 갖는다.
판단부(5c)는 전자기 브레이크(4)의 제동력에 대응하는 가압력(F)에 기초하여 전자기 브레이크(4)의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판단 결과의 신호가 통신 디바이스(21) 및 통신 라인(22)을 통해 멀리 떨어진 구역의 모니터링 센터(23)로 보내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기 브레이크(4) 문제의 예/아니오에 대한 판단이 제어기(5)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기 브레이크(4)의 판단 디바이스는 제어기(5)와 별도일 수 있으며, 독립형 디바이스이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도 3은 이상 판단부(5c)의 처리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처리를 위해, 매일 미리 정해진 점검 시작 시간에 점검이 실행되고, 점검 시작 시간은 엘리베이터의 위치 및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의 사용 빈도가 상당히 낮은 시간 주기에 설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작동 중단 명령 신호가 이상 판단부(5c)로부터 작동 제어부(5a)로 출력되고, 모터(3)가 정지하면 솔레노이드 유닛(11)이 꺼지게 되어 전자기 브레이크(4)가 켜진다(단계 S1). 이 상태에서, 가압력(F)에 대해, 가압력 연산부(5b)로부터 가압력의 현재 값(Fi)이 판독되고(단계 S2), 가압력의 현재 값(Fi)이 가압력 저장부(5d)에 기록된다(단계 S3).
그 후, 이상 판단부(5c)는 가압력의 현재 값(Fi)이 미리 정해진 정상 판단 하한(Fmin)보다 높고, 정상 판단 상한(Fmax)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단계 S4).
단계 S4의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이상 판단부(5c)는 가압력 저장부(5d)에 앞서 기록된 가압력의 지난번 값(last round value: Fi -1)을 판독하고, 가압력의 지난번 값(Fi -1)으로부터 가압력의 현재 값(Fi)을 감산함으로써 얻어진 가압력의 감소량(ΔF)이 미리 정해진 허용가능한 감소량(ΔFmax)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단계 S5).
여기서, 2 개의 라이닝(9a)들은 사용 시 마모된다. 2 개의 라이닝(9a)들이 마모되는 경우, 마모량에 대응하여 브레이크 작동 시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들의 압축 변형량이 감소하고, 2 개의 브레이크 스프링(13)의 복원력들이 감소한다. 그 결과, 단계 S5에서 시간에 따른 감소량(ΔF)과 허용가능한 감소량(ΔFmax)을 비교함으로써, 2 개의 라이닝(9a)들의 초과 마모가 판단된다.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이상 판단부(5c)는 통신 디바이스(21)를 통해 전자기 브레이크(4)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모니터링 센터(23)로 출력하며(단계 S6), 작동 재시작 명령 신호를 작동 제어부(5a)로 출력하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재시작되며(단계 S7),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반면에, 단계 S4 또는 S5에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이상 판단부(5c)는 가압력의 현재 값(Fi)이 정상 판단 하한(Fmin)보다 작은 값으로 미리 설정된 작동 중단 설정값(Fstop)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이상 판단부(5c)는 통신 디바이스(21)를 통해 제 1 이상 검출 신호로서 전자기 브레이크(4)의 점검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모니터링 센터(23)로 보내고(단계 S9), 이는 그 후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재시작되도록 작동 제어부(5a)로 작동 재시작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0). 그 후, 작동이 종료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력의 현재 값(Fi)은 정상 판단 하한(Fmin)과 정상 판단 상한(Fmax) 사이의 정상 범위 밖에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안전하게 지속될 수 없을 정도로 이상이 결정적(critical)이진 않다. 그 결과, 정비공은 전자기 브레이크(4)를 점검하고, 엘리베이터의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시간에 다음번 서비스의 적절한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브레이크(4)를 점검하기 위해 정비공이 지니고 있는 서비스 휴대 단말 디바이스(24)가 제어기(5)에 연결될 수 있고, 가압력 저장부(5d)에 저장된 가압력의 값이 서비스 휴대 단말 디바이스(24)(도 1 참조)를 통해 점검될 수 있다.
반면에, 단계 S8에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전자기 브레이크(4)의 이상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작동 중단의 상태 신호가 이상 판단부(5c)로부터 통신 라인(22)을 통해 모니터링 센터(23)로 제 2 이상 검출 신호로서 출력되고(단계 S11), 엘리베이터의 재시작 작동 없이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즉, 이 경우 가압력의 현재 값(Fi)이 매우 작으며,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안전하게 지속될 수 없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작동이 정지하고, 이 상태의 신호가 모니터링 센터(23)로 출력되어, 모니터링 센터(23)가 신속히 정비공을 엘리베이터로 파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견된 정비공은 엘리베이터를 수리하기 위해 전자기 브레이크(4)의 부품 교환 및 조정과 같은 적절한 조치들을 취한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는, 로드셀(19)들에 의해 검출된 복원력에 기초하여 전자기 브레이크(4)의 제동력이 적절한지가 정량적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은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점검 작동이 정비공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점검 작동이 보다 짧은 시간에 높은 효율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브레이크(4)의 이상이 정비공의 기량에 상관없이 확실히 검출될 수 있다.
전자기 브레이크(4)의 이상이 결정적이지 않고,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경우, 엘리베이터를 즉시 정지시키는 대신에, 엘리베이터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시간에 전자기 브레이크(4)에 대한 서비스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로서, 엘리베이터 사용자들의 불만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에, 전자기 브레이크(4)의 이상이 비교적 심각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지되고 전자기 브레이크(4)를 수리하여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조치들이 취해진다.
또한, 시간에 따른 가압력의 감소량(ΔF)에 기초하여 라이닝(9a)들의 초과 마모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기 브레이크(4)의 이상이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결과로서, 엘리베이터의 안정성을 더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이점이다.
4 전자기 브레이크
5c 이상 판단부(이상 판단 수단)
8 브레이크 휠(제동 부재)
9 브레이크 슈(제동부)
10 브레이크 암
11 솔레노이드 유닛
13 브레이크 스프링
17 스프링 시트(스프링 유지 부재)
19 로드셀(하중계)
23 모니터링 센터

Claims (12)

  1.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에 있어서,
    브레이크 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기초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제동 부재 상의 제동부(brake piece)를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제동부는 솔레노이드의 여기(excitation)에 의해 야기된 전자기 인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동 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동되어, 상기 제동력이 해제(release)되며, 상기 검출기는: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복원력을 정량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중 센서(load sensor), 및
    상기 하중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수단(judgment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하중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미리 정해진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거나 미리 정해진 정상 판단 상한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며,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미리 정해진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거나 미리 정해진 정상 판단 상한보다 높다고 확인되는 경우, 검출 신호가 모니터링 센터로 출력되고,
    상기 검출 신호는: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고 상기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게 미리 설정된 작동 중단 값보다 높은 경우이거나,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허용가능한 상기 상한보다 높은 경우 모니터링 센터로 보내지는 제 1 검출 신호 -그동안 엘리베이터 작동은 지속됨- , 및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작동 중단 값보다 더 낮은 상태라고 상기 모니터링 센터로 보내지는 제 2 검출 신호 -상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제 2 검출 신호는 상기 검출 신호로서 상기 모니터링 센터로 출력되는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작동이 중단됨-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단 수단은 시간에 따른 상기 제동력의 감소가 미리 정해진 허용가능한 감소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암(brake arm)이 상기 제동부에 장착되고, 이는 상기 솔레노이드가 켜짐/꺼짐의 경우 상기 제동 부재를 향해/상기 제동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상기 브레이크 암으로부터 떨어진 공간에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을 유지하는 스프링 유지 부재(spring holding member)가 존재하고,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 또는 상기 브레이크 암과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 사이에는 압축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load cell)이 배치될 수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3. 삭제
  4. 삭제
  5.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의 복원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센서 -상기 센서는 하중 센서임- ,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된 판단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디바이스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정상 판단 하한 및 정상 판단 상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모니터링 센터로 발생시키고,
    상기 판단 디바이스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고 상기 정상 판단 하한보다 낮게 미리 설정된 작동 중단 값보다 높은 경우이거나,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허용가능한 상기 상한보다 높은 경우 모니터링 센터로 보내지는 제 1 검출 신호 -그동안 엘리베이터 작동은 지속됨- , 및
    상기 전자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작동 중단 값보다 더 낮은 상태라고 상기 모니터링 센터로 보내지는 제 2 검출 신호 -상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제 2 검출 신호는 상기 검출 신호로서 상기 모니터링 센터로 출력되는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작동이 중단됨-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단 디바이스는 시간에 따른 상기 제동력의 감소가 미리 정해진 허용가능한 감소량보다 큰 경우를 판단하는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전자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부재에 맞물리는 제동부;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에 대해 상기 제동부를 추진하는 브레이크 스프링;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동부를 추진하는 솔레노이드; 및
    제 5 항에 따른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를 포함하는 전자기 브레이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7017601A 2009-12-09 2010-02-18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KR10151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9077 2009-12-09
JP2009279077A JP2011121669A (ja) 2009-12-09 2009-12-09 エレベータにおける電磁ブレーキの異常検出装置
PCT/IB2010/000307 WO2011098850A1 (en) 2009-12-09 2010-02-18 Detector for electromagnetic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526A KR20120101526A (ko) 2012-09-13
KR101510809B1 true KR101510809B1 (ko) 2015-04-10

Family

ID=4428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601A KR101510809B1 (ko) 2009-12-09 2010-02-18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59178B2 (ko)
JP (1) JP2011121669A (ko)
KR (1) KR101510809B1 (ko)
CN (1) CN102639422B (ko)
GB (1) GB2488504B (ko)
MY (1) MY160830A (ko)
WO (1) WO2011098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669A (ja) 2009-12-09 2011-06-23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における電磁ブレーキの異常検出装置
CN102417129B (zh) * 2011-09-21 2013-08-07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 制动器动态安全监测装置及其方法
JP6243683B2 (ja) * 2013-09-25 2017-12-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ドラムブレーキの点検装置
US9677959B2 (en) 2015-02-10 2017-06-13 Crrc Qingdao Sifang Rolling Stock Research Institute Co., Ltd. Test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force of a magnetic track brake
CN104655344B (zh) * 2015-02-10 2015-08-26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磁轨制动器电磁吸力测试装置
CN205229350U (zh) * 2015-12-18 2016-05-11 海安县申菱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制动器智能检测系统
CN106197987A (zh) * 2016-08-27 2016-12-07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制动器疲劳试验装置
JP6570496B2 (ja) * 2016-09-15 2019-09-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ブレーキ動作検出装置、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及びブレーキ動作検出方法
JP6742516B2 (ja) * 2017-05-25 2020-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DE102017121396A1 (de) * 2017-09-14 2019-03-14 Thyssenkrupp Ag Bremseinheit und Antriebseinheit für eine Personenbeförderungsvorrichtung und Personenbeförderungsvorrichtung
CN107443283B (zh) * 2017-09-29 2023-04-07 聊城市特力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检校鼓式制动器弹簧的松闸扳手
WO2019119430A1 (zh) * 2017-12-22 2019-06-27 深圳市特种设备安全检验研究院 一种电梯制动器动作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944661B1 (ko) * 2018-02-07 2019-01-3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솔레노이드의 스트로크 설정 방법, 설정 장치 및 전자 브레이크
CN109058333B (zh) * 2018-09-27 2020-09-04 中国矿业大学 一种实时监测碟簧力的盘式制动器及监测方法
CN110530621A (zh) * 2019-08-27 2019-12-03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扶梯附加制动器扭矩试验台
CN114000985B (zh) * 2020-07-28 2023-09-01 北京金风慧能技术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偏航制动装置的监测装置
CN115901204B (zh) * 2022-11-01 2023-08-18 齐齐哈尔大学 一种电梯制动器本体检测治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73U (ko) * 1989-06-23 1991-02-08
JPH07285750A (ja) * 1994-04-18 1995-10-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電磁制動装置
JP2005001823A (ja) 2003-06-12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診断装置
JP2010018359A (ja) 2008-07-08 2010-01-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点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909A (en) * 1983-12-19 1986-02-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emote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H05213567A (ja) * 1992-02-06 1993-08-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US5339069A (en) * 1992-07-01 1994-08-16 Tripen Enterprises Ltd. Brake monitoring system
JP3035091B2 (ja) * 1992-09-28 2000-04-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電磁ブレーキの検査装置
US5337878A (en) * 1993-12-28 1994-08-16 Otis Elevator Company Assembly and method for adjusting brake force for passenger conveyor emergency brake
GB9411477D0 (en) * 1994-06-08 1994-07-27 Lucas Ind Plc Brake lining wear sensing system
JPH09257067A (ja) * 1996-03-19 1997-09-30 Komatsu Ltd 車両用ブレーキの磨耗検出装置
JPH11222371A (ja) * 1998-02-06 1999-08-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20000050895A (ko) * 1999-01-15 2000-08-0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이상 검출 장치
DE19945701A1 (de) * 1999-09-23 2001-04-19 Knorr Bremse Systeme Bremsaktuator
JP2001355659A (ja) * 2000-04-27 2001-12-26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駆動装置用ディスクブレーキ
US6478124B2 (en) * 2000-05-19 2002-11-12 Inventio Ag Brake device for a drive machine of an elevator
FR2814901B1 (fr) * 2000-10-04 2003-01-31 Jean Patrick Azpitarte Systeme pour la gestion a distance de la maitenance d'un ensemble d 'equipements
DE20103158U1 (de) * 2001-02-22 2001-09-27 Mueller Wolfgang T Mehrstufiger, positionsgesteuerter, reaktionsschnell und präzise auslösender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Aufzüge
JP4273677B2 (ja) 2001-04-20 2009-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TWI251578B (en) * 2001-12-11 2006-03-21 Hitachi Building Sys Co Ltd Magnetic brake system and elevator trouble detection system
JP2004123270A (ja) * 2002-09-30 2004-04-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電磁ブレーキの異常診断装置
US6847869B2 (en) * 2003-01-09 2005-01-25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Software based brake shoe wear determination
JP2005194056A (ja) * 2004-01-08 2005-07-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GB0500304D0 (en) * 2005-01-08 2005-02-16 Dunlop Aerospace Ltd Electrically actuated aircraft brakes
JP4574636B2 (ja) 2007-03-14 201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201059327Y (zh) * 2007-07-17 2008-05-14 平顶山煤业(集团)有限责任公司 制动状态下监测制动正压力的盘式制动器
US8104589B2 (en) * 2008-07-18 2012-01-31 Whittaker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brake actuator for vehicle brake
CN201288041Y (zh) * 2008-10-10 2009-08-12 中国矿业大学 用于盘式制动器监测制动正压力的碟簧座传感器
JP2011121669A (ja) 2009-12-09 2011-06-23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における電磁ブレーキの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73U (ko) * 1989-06-23 1991-02-08
JPH07285750A (ja) * 1994-04-18 1995-10-3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電磁制動装置
JP2005001823A (ja) 2003-06-12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のブレーキ診断装置
JP2010018359A (ja) 2008-07-08 2010-01-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点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1669A (ja) 2011-06-23
GB2488504A (en) 2012-08-29
GB2488504B (en) 2014-06-04
WO2011098850A8 (en) 2011-12-08
MY160830A (en) 2017-03-31
CN102639422B (zh) 2016-11-09
CN102639422A (zh) 2012-08-15
GB201211405D0 (en) 2012-08-08
US9359178B2 (en) 2016-06-07
US20120217102A1 (en) 2012-08-30
KR20120101526A (ko) 2012-09-13
WO2011098850A1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09B1 (ko) 전자기 브레이크용 검출기
JP457463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667489B2 (ja)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点検システム
JP2011116485A (ja) エレベーター
EP2399858A1 (en) Brake device for elevator
JP4937095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ブレーキの制動力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RU2007122905A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тормозного механизма подъемной установки, способ пуска подъемной устано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твления пуска
US2013029928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newing the braking force of a brake of a hoisting machine
WO202116614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32753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3260542B (zh) 获知机电制动器的气隙的方法及相关的制动器和控制器
JP4298418B2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591985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制動装置
JP2010159155A (ja) 昇降機制動システム
JP64788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62379B2 (ja) ブレーキの試験方法
JP567631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1214683A (ja) ブレーキシュー及び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H11222371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5189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3281696B2 (ja) 電磁ブレーキ動作判定装置
CN112739639B (zh) 液压制动器以及电梯
JP2007084174A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2013234696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CN112292341B (zh) 电梯的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