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332B1 -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 Google Patents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332B1
KR101505332B1 KR1020137002091A KR20137002091A KR101505332B1 KR 101505332 B1 KR101505332 B1 KR 101505332B1 KR 1020137002091 A KR1020137002091 A KR 1020137002091A KR 20137002091 A KR20137002091 A KR 20137002091A KR 101505332 B1 KR101505332 B1 KR 10150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allet
cable
pawl member
charg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557A (ko
Inventor
가즈야 오가사와라
세이이치 노다
도시야 미야모토
마사아키 사이쇼
히로야스 후지카와
가즈히로 스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우 메카토로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04H6/22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rking palette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동 차량을 주차시켜 소정의 주차 위치로 반송하고, 또한 그 전동 차량의 주차 중에, 그 전동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가 형성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 충전 장치 (16B) 는 일단이 팔레트 (15B) 측에 접속되고, 타단에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 커넥터 (35) 가 형성된,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으로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드는 충전 케이블 (26) 과, 팔레트 (15B) 에 형성되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상태의 충전 케이블 (26) 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 (51) 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PALLET FOR MULTISTORY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ND MULTISTORY MECHANICAL PARKING FACILITY WITH SAME}
본 발명은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 차량의 주차시에, 그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 보전의 동향이 높아지고 있어, 환경 오염의 정도가 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 (이하, 전동 차량이라고 호칭한다) 가 놀랄만큼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차량은 대용량의 차재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고, 이 차재 배터리에 축전된 전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한다. 그리고,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은 전동 차량의 차체 외면에 형성된 충전 접속부와 가정용 전원 등의 전원 콘센트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입체 주차장 시설 등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있어서도,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전 장치의 장비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있어서는 전동 차량이 팔레트 상에 실린 상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장 내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라도 전동 차량에 대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은 차량이 재치되는 팔레트의 일측부의 전방 또는 후방 가까이에 충전용 스탠드가 수직 형성되고, 이 충전용 스탠드로부터 충전 케이블이 연장되며, 전동 차량은 그 차체에 형성된 충전 접속부가 충전용 스탠드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팔레트 상에 주차되어, 충전용 스탠드로부터 연장된 충전 케이블이 차체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어 차재 배터리가 충전되게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은 팔레트의 측가장자리부에 수직 형성된 연석 (緣石) 상의 차륜 유도벽의 상면에 콘센트상의 전원 공급부가 설치되고, 이 전원 공급부와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 사이가 충전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차재 배터리가 충전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12027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6-028124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서는 충전용 스탠드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충전 케이블을 충전용 스탠드에 걸어두거나, 또는 충전 케이블을 릴 등의 귄취 수단에 의해 감거나 하여, 충전 케이블이 팔레트로부터 늘어지거나, 주차 차량에 대해 방해가 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충전 케이블은 직경이 15 ㎜ 전후의 굵은 전선일 뿐만 아니라, 그 길이가 최저 1 m 이상은 필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굵고 긴 충전 케이블을 충전용 스탠드에 걸어두어도 큰 호를 그리도록 걸려있어 방해가 되고, 릴 등의 권취 수단에 의해 권취하려면 직경이 큰 릴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컴팩트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팔레트에 수직 형성된 충전용 스탠드에 전동 차량 또는 다른 차량이 잘못하여 접촉할 가능성도 있어, 그 경우에는 차체측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서는 팔레트의 측부 가장자리부에 콘센트상의 전원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사용자는 전동 차량에 차재되어 있는 충전 케이블을 취출하여, 팔레트측의 전원 공급부와 전동 차량측의 충전 접속부 양방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어, 충전 케이블의 취출 및 그 양단을 접속시킨다는 번거로움을 수반하고 있었다. 게다가, 팔레트측의 전원 공급부의 위치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방으로 웅크려 접속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예를 들어 스커트를 착용한 여성에게 있어서는 스커트가 팔레트에 접해 더러워질 가능성이 높아, 작업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충전 케이블이 팔레트의 플로어면에 접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이 더러워지기 쉽고, 사용자는 그것을 맨손으로 잡기 때문에, 손이나 의복 등이 오염된다는 꺼리낌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2 중 어느 경우도, 충전 케이블의 길이에 여유가 주어져 있기 때문에, 전동 차량의 충전 중에 하방으로 느슨해진 충전 케이블이 팔레트로부터 불거져 나오는 경우가 있어,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있어서는 차량이 재치된 상태에서 팔레트가 상하 좌우 전후로 몇번이나 급격하게 반송되기 때문에, 팔레트로부터 불거져 나온 충전 케이블이 흔들렸을 때에, 충전 케이블이 팔레트의 주위에 있는 다른 구조물에 간섭하여 손상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소하고 염가이며, 또한 컴팩트하여 외관성이 양호한 구조에 의해 전동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을 팔레트측에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게다가 충전 케이블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충전 케이블의 느슨함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량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는 전동 차량을 주차시켜 소정의 주차 위치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전동 차량의 주차 중에, 그 전동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가 형성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일단이 상기 팔레트측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 커넥터가 형성된,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으로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드는 충전 케이블과,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상태의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를 갖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충전 케이블은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최소한의 체적이 되기 때문에, 이 충전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서 팔레트측에 형성하는 케이블 수용부도 소용량인 것이면 되고, 이로써 팔레트를 간소하고 염가이며, 또한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충전 케이블이 코일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충전 케이블을 감거나 걸어두거나 하여 수용할 필요가 없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수용부에 수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의 수납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오목부와, 그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뚜껑 부재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으로 한 경우, 일반적으로 팔레트의 가장자리부는 타이어가 탈륜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연석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잉여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잉여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블 수용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수용부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이로써 팔레트를 컴팩트한 구조로 함과 함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충전 케이블이 코일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충전 케이블을 감거나 걸어두거나 하여 수용할 필요가 없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수용부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의 수납성이 양호하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에 직립하는 폴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폴 부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충전 케이블이, 직립한 상태에 있는 상기 폴 부재의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폴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팔레트보다 높은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폴 부재를, 예를 들어 「ㄷ」자형 단면의 봉재 (채널재) 로 형성하고, 그 내측의 스페이스를 그대로 케이블 수용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간소하며, 또한 저렴하고 외관성이 양호한 구성에 의해 충전 케이블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충전 케이블의 선단부에 있는 충전 커넥터가 폴 부재에 유지되어 팔레트보다 높은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방으로 웅크리지 않아도 충전 커넥터를 손에 들고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킬 수 있어, 접속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꺼내진 충전 케이블은 폴 부재의 기부로부터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까지 직접 연장되어 접속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 또한 최단 거리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충전 케이블을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까지 확실히 닿게 함과 함께, 충전 케이블이 느슨해지는 것에 의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충전 케이블을 팔레트의 플로어면에 접하지 않게 하여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이 오손 (汚損)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는, 상기 폴 부재가,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 상면보다 하방으로 몰입되도록 절첩된 도복 위치와, 상기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한 직립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충전 케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충전 케이블을 폴 부재의 내부에 수용하여, 폴 부재를 도복 위치로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과 폴 부재를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전동 차량 또는 다른 차량이 폴 부재에 접촉될 염려를 배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는, 상기 폴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폴 부재를 상기 도복 위치로 절첩 가능하게 하는 절첩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충전 케이블의 사용시에 폴 부재가 사용자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는, 상기 폴 부재의 적어도 표면이 주차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주차 차량이 만일 폴 부재에 접촉되어도, 차량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는, 상기 폴 부재가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주차 차량이 만일 폴 부재에 충돌해도, 폴 부재가 휨으로써 차량이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동시에 폴 부재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은 상기 기재된 각 팔레트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기재된 각 팔레트가 갖는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의하면, 간소하고 염가이며, 또한 컴팩트하여 외관성이 양호한 구조에 의해 전동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을 팔레트측에 효율적으로 수납하고, 게다가 충전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 케이블의 느슨함을 방지하며, 아울러 차량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팔레트를 적용 가능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충전 장치를 구비한 팔레트 및 전동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수용부의 뚜껑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충전 케이블이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충전 케이블이 꺼내지고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충전 장치를 구비한 팔레트 및 전동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를 나타내고, (a) 는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b) 는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a) 의 IX-IX 선을 따른 충전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a), (b) 는 각각 충전 커넥터 유지부의 형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충전 장치의 폴 부재가 도복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폴 부재가 직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폴 부재로부터 충전 케이블이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케이블 수용부로부터 충전 케이블이 꺼내지고 폴 부재가 도복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폴 부재에 로크 기구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레트를 사용한 차량 탑재 기능을 갖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는 엘리베이터식의 입체 주차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팔레트를 적용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 (1) 은 복수의 차량을 수용 가능한 엘리베이터식의 입체 주차장 시설로, 지상부에 차량 (2) 의 입출고구 (3) 가 개구되는 주차탑 (4) 을 구비하고 있다. 주차탑 (4) 의 지상층의 플로어면에는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 (5) 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 (5) 은 지상층의 플로어면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피트 (6) 내에 선회판 (7) 과 선회 구동부 (8) 가 형성된 구성이다.
주차탑 (4) 의 중심부에는 수직인 승강 통로 (1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에 엘리베이터상의 반송대 (12) 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반송대 (12) 는, 예를 들어 주차탑 (4) 의 상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윈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 (13) 에 네 귀퉁이가 매달려 지지되고, 상기 윈치가 기동됨으로써 승강 통로 (11) 내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승강 통로 (11) 의 양측에는 차량 격납 선반 (1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량 격납 선반 (14) 은 승강 통로 (11) 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하에 다계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차량 격납 선반 (14) 에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 (15) 가 1 장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차량 격납 선반 (14) 의 지주 등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반송대 (12) 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플로어면에는 양자 (12, 14) 의 플로어면의 높이가 일치되었을 때에, 공하 (空荷) 의 팔레트 (15), 또는 차량 (2) 이 적재된 팔레트 (15) 를, 반송대 (12) 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 또는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부터 반송대 (12) 로, 순조롭게 주고 받을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주고 받는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 (1) 에 차량 (2) 이 입고되는 경우에는, 미리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팔레트 (15) 가 반송대 (12) 에 의해 턴테이블 (5) 의 선회판 (7) 상에 설치된다. 차량 (2) 은 입출고구 (3) 로부터 턴테이블 (5) 에 설치된 팔레트 (15) 상에 정차하고, 그 후, 턴테이블 (5) 이 선회하여 차량 (2) 의 방향이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방향을 따르도록 방향 전환된다. 방향 전환된 팔레트 (15) 는 반송대 (12) 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높이로 위치 맞춤되어, 반송대 (12) 의 플로어면으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14) 의 플로어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로써, 차량 (2) 이 팔레트 (15) 째 차량 격납 선반 (14) 에 격납된다.
출고시에는 출고되는 차량 (2) 이 격납된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높이에 맞추어 반송대 (12) 가 정지하고, 차량 격납 선반 (14) 에 격납되어 있는 차량 (2) 이 팔레트 (15) 째 반송대 (12) 로 교체 이동되고, 반송대 (12) 가 턴테이블 (5) 까지 강하하여 팔레트 (15) 와 차량 (2) 을 탑재하고, 차량 (2) 은 턴테이블 (5) 에 의해 입출고구 (3) 의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전환된 후, 출고가 된다.
팔레트 (15) 에는 내연 기관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일반 차량 (2) 이외에, 전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차량을 주차시킬 수도 있고, 전동 차량을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 반송한 후, 이 전동 차량의 주차 중에 차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팔레트 (15) 및 충전 장치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팔레트 및 충전 장치의 부호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에서는 15A, 16A, 제 2 실시형태에서는 15B, 16B, 제 3 실시형태에서는 15C, 16C 로서 구별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 ∼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 는 팔레트 (15A) 및 충전 장치 (16A) 그리고 전동 차량 (EV) 의 정면도이다. 팔레트 (15A) 의 본체는 일반적인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적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 일반적인 W 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고, 그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센터 가이드 볼록부 (21) 와, 양측의 측가장자리부에 수직 형성된 좌우 1 쌍의 가장자리부 (22) 사이에, 전동 차량 (EV) 및 일반 차량의 차륜 (23) 을 팔레트 (15A) 의 길이 방향에 따르게 하여 유도하는 2 개의 차륜 유도 홈 (24) 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장치 (16A) 는 팔레트 (15A) 의 가장자리부 (22) 에 형성되어 있는데,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 (도시하지 않음) 의 위치에 맞추어, 좌우의 가장자리부 (22) 의 일방에 형성해도 되고 양방에 형성해도 되며, 또 가장자리부 (22) 의 전부, 후부, 중간부의 어디에 형성해도 된다. 충전 장치 (16A) 를 상이한 위치에 복수 지점 형성함으로써, 전동 차량 (EV) 의 종류 및 주차 방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 장치 (16A) 는 충전 케이블 (26) 과 이 충전 케이블 (26) 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 (27)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수용부 (27) 는 팔레트 (15A) 의 가장자리부 (22) 에 내장되어 있고, 가장자리부 (22) 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오목부 (28) 와, 이 수용 오목부 (28) 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뚜껑 부재 (29)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28) 는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의 일부를 장방 형상으로 잘라, 그 개구부의 하방으로부터 별체의 수용 상자 (30) 를 용접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시킨 구조인데,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수용 오목부 (28) 를 가장자리부 (22) 에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수용 오목부 (28) 의 내부 스페이스는 가장자리부 (22)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긴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뚜껑 부재 (29) 는 복수의 힌지 부재 (31) 를 사용하여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에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수 (引手) 공 (32) 이 천설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슬라이드 개폐시키는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충전 장치 (16A)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가장자리부 (22) 의 폭이 반대측 가장자리부 (22) 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는데, 좌우 양방의 가장자리부 (22) 를 동일한 폭으로 해도 된다.
한편, 충전 케이블 (26) 은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이고,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들고, 이 줄어든 상태에서 연장되면, 길이가 2 배 이상으로 연장되는 전선 케이블이다. 충전 케이블 (26) 의 일단 (기단부) 은 수용 오목부 (28) 의 길이 방향의 일단 (예를 들어 후단) 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팔레트 (15A) 의 하면 등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용 오목부 (28) 의 바닥부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 (26) 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고무의 그로멧 (33) (도 4 참조) 이 끼움 장착되어, 충전 케이블 (26) 의 기단부의 고정 및 보호와 절연이 도모되고 있다. 또, 충전 케이블 (26) 의 타단 (자유단) 에는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 커넥터 (3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수용부 (27) (수용 오목부 (28)) 의 크기는 코일상으로 줄어든 상태의 충전 케이블 (26) 과 충전 커넥터 (35) 를, 여유를 가지고 수납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케이블 수용부 (27) 에 충전 케이블 (26) 과 충전 커넥터 (35) 가 수용되고 뚜껑 부재 (29) 가 닫히면, 뚜껑 부재 (29) 에 의해 충전 케이블 (26) 이나 충전 커넥터 (35) 가 압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뚜껑 부재 (29) 의 강도는 만일, 차량이 가장자리부 (22) 위로 올라가도, 그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뚜껑 부재 (29) 의 단부에는 충전 케이블 (26) 을 피하기 위해서 U 자상의 절결부 (37)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 (26) 을 꺼낸 상태에서 뚜껑 부재 (29) 를 닫을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수용부 (27) 의 바닥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물기 제거 구멍이 천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팔레트 (15A) 에 전동 차량 (EV) 을 주차시켜 충전 장치 (16A) 에 의해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동 차량 (EV) 의 차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충전 접속부가 충전 장치 (16A)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동 차량 (EV) 을 팔레트 (15A) 상에 정차시키고, 다음으로 충전 장치 (16A) 의 뚜껑 부재 (29) 를 열고 케이블 수용부 (27) 에 수용된 충전 케이블 (26) 과 충전 커넥터 (35) 를 꺼내어, 충전 커넥터 (35) 를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키고, 충전을 실시한다. 이 때,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있던 충전 케이블 (26) 이 연장되는데, 그 수축성에 의해 충전 케이블 (26) 은 케이블 수용부 (27) 로부터 충전 접속부까지 곧게 최단 거리로 걸쳐져, 팔레트 (15A) 의 플로어면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충전시에 있어서 뚜껑 부재 (29) 는 연 채로 두어도 상관없지만, 닫는 것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전동 차량 (EV) 의 출고시에는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로부터 충전 커넥터 (35) 를 뽑아, 충전 장치 (16A) 의 뚜껑 부재 (29) 를 열고 충전 케이블 (26) 과 충전 커넥터 (35) 를 케이블 수용부 (27) 에 수용한다. 충전 커넥터 (35) 를 뽑으면, 충전 케이블 (26) 이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최소한의 체적이 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을 충전 커넥터 (35) 와 함께 케이블 수용부 (27) (수용 오목부 (28)) 에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 후, 케이블 수용부 (27) 의 뚜껑 부재 (29) 를 닫는다.
이 팔레트 (15A) 및 충전 장치 (16A) 에 의하면, 충전 케이블 (26) 이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이고,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최소한의 체적이 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 (27) 도 소용량인 것이면 되고, 이로써 팔레트 (15A) 를 간소하고 염가이며, 또한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게다가, 충전 케이블 (26) 이 코일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충전 케이블 (26) 을 감거나 걸어두거나 하여 수용할 필요가 없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충전 케이블 (26) 을 케이블 수용부 (27) 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다. 수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의 수납성이 좋다. 또, 충전시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 (26) 은 그 신축성에 의해 줄어들려고 하여 팔레트 (15A) 의 플로어면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이 오손되기 어렵고, 취급성이 양호한 데다가, 충전 케이블 (26)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수용부 (27) 가, 팔레트 (15A) 의 가장자리부 (22) 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오목부 (28) 와, 이 수용 오목부 (28) 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뚜껑 부재 (29) 를 갖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부터 차량의 타이어가 탈륜되지 않도록 팔레트 (15A) 에 형성된 가장자리부 (22) 의 내부의 잉여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블 수용부 (27) 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수용부 (27) 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고, 이로써 팔레트 (15A) 를 컴팩트한 구조로 함과 함께 그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팔레트 (15A) 에 충전 장치 (16A) 로서 충전 케이블 (26) 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차에 탑재되어 있는 충전 케이블을 꺼내어 팔레트 (15A) 측에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차체로부터 충전 케이블을 꺼내는 번거로움과, 이 충전 케이블의 양단을 차량측과 팔레트 (15A) 측의 양방에 접속시킨다는 수고가 없다.
[제 2 실시형태]
도 6 ∼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6 은 팔레트 (15B) 및 충전 장치 (16B) 그리고 전동 차량 (EV) 의 정면도이다. 팔레트 (15B) 의 기본 구성은 충전 장치 (16B) 부분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팔레트 (15A) 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각 부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충전 장치 (16B) 는 팔레트 (15B) 의 가장자리부 (22) 에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좌우의 가장자리부 (22) 의 일방에 형성해도 되고 양방에 형성해도 되며, 또 가장자리부 (22) 의 전부, 후부, 중간부의 어딘가에 몇군데 형성해도 된다.
충전 장치 (16B) 는 팔레트 (15B) 의 가장자리부 (22) 에 직립되는 폴 부재 (41) 와, 이 폴 부재 (41) 에 부설된 충전 케이블 (26)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충전 케이블 (26) 은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동일하게, 그 일단이 팔레트 (15B) 측에 접속되고, 타단에 충전 커넥터 (35) 가 형성된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이고,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폴 부재 (41) 는, 예를 들어 「ㄷ」자형 단면을 갖는 봉재 (채널재) 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평판상의 고정 플레이트 (42) 가 용접 등에 의해 직각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 가장자리부 (22) 의 내측에는 각기둥상의 베이스 부재 (43) 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고, 이 베이스 부재 (43) 의 상면과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 부재 (41) 의 「ㄷ」자형 단면에 있어서의 단부 (41a) 는 충전 케이블 (26) 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폴 부재 (41) 의 고정 플레이트 (42) 는 복수 개의 볼트 (44) 로 베이스 부재 (43) 의 상면에 체결 고정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 (42) 는 폴 부재 (41) 에 대해 팔레트 (15B) 의 중심측으로 오프셋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 (42) 가 베이스 부재 (43) 에 고정되면 폴 부재 (41) 가 대략 가장자리부 (22) 의 상방으로 기립한다. 베이스 부재 (43) 는 그 전후 양단부에 경사면부 (43a) 가 형성되어, 차량의 차륜이 닿았을 때에는 차륜을 팔레트 (15B) 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 보내는 트러스트력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차량이 과도하게 폴 부재 (41) 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장자리부 (22) 를 종래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고, 여기에 폴 부재 (41) 를 직접 고정시켜, 베이스 부재 (43) 를 생략해도 된다. 또, 폴 부재 (41) 를 충분히 가늘게 형성할 수 있으면, 종래와 같은 폭이 좁은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에 폴 부재 (41) 를 직접 고정시켜도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 (42) 의, 폴 부재 (41) 에 둘러싸인 범위에는 관통공 (46) 이 천설되고, 이 관통공 (46) 은 도 9(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도 관통하는 통과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 케이블 (26) 의 일단 (기단부) 이 관통공 (46) 을 통과하여, 팔레트 (15B) 의 하면 등에 배치 형성된 전원 공급선 (47) 에 전원 커넥터 (48)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관통공 (46) 에는, 예를 들어 고무의 그로멧 (49) 이 끼움 장착되어, 충전 케이블 (26) 의 기단부의 고정 및 보호와 절연이 도모되고 있다.
폴 부재 (41) 의 내부 공간은 케이블 수용부 (51) 가 되어, 도 6, 도 7(a), 도 9(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상으로 줄어든 충전 케이블 (26) 이 수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부터 충전 케이블 (26) 을 꺼내면,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 (26) 을 폴 부재 (41) 의 하단부로부터 팔레트 (15B) 의 상면측에 걸쳐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폴 부재 (41) 의 상단부 후면측에는 충전 케이블 (26) 의 중간부를 유지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절결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폴 부재 (41) 의 중간부 후면측에는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를 팔레트 (15B) 의 플로어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유지부 (53) 의 형상으로는 도 8 및 도 9(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생각되지만, 특별히 한정은 없다. 그러나, 커넥터 유지부 (53) 에 유지된 충전 커넥터 (35) 가 팔레트 (15B) 의 중앙부측이나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충전 커넥터 (35) 가 팔레트 (15B) 의 전후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유지되도록 커넥터 유지부 (53)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커넥터 유지부 (53) 를 전동 차량측의 충전 접속부와 동일한 더미 형상의 커플러로 해도 된다. 폴 부재 (41) 및 커넥터 유지부 (53) 의 높이는 커넥터 유지부 (53) 에 유지된 충전 커넥터 (35) 를, 사용자가 웅크리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손에 쥘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팔레트 (15B) 에 전동 차량 (EV) 을 주차시켜 충전 장치 (16B) 에 의해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동 차량 (EV) 의 차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충전 접속부가 충전 장치 (16B) (폴 부재 (41))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동 차량 (EV) 을 팔레트 (15B) 상에 정차시키고, 다음으로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를 커넥터 유지부 (53) 로부터 분리하여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켜 충전을 실시한다. 이 때,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있던 충전 케이블 (26) 이 연장되어, 폴 부재 (41) 의 하단부와 충전 접속부 사이를 곧게 최단 거리로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은 팔레트 (15B) 의 플로어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전동 차량 (EV) 의 출고시에는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로부터 충전 커넥터 (35) 를 빼면, 충전 케이블 (26) 은 장력을 잃어 코일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폴 부재 (41) 내부의 케이블 수용부 (51) 에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케이블 (26) 의 선단부 부근을 폴 부재 (41) 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 (52) 에 걸고, 충전 커넥터 (35) 를 커넥터 유지부 (53) 에 유지시킨다.
이 충전 장치 (16B) 에서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폴 부재 (41) 의 내부의 스페이스가, 그대로 충전 케이블 (26) 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 (5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간소하며, 또한 저렴하고 외관성이 양호한 구성에 의해 충전 케이블 (26) 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가 폴 부재 (41) 에 형성된 커넥터 유지부 (53) 에 유지되고, 팔레트 (15B) 의 플로어면보다 높은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방으로 웅크리지 않아도 충전 커넥터 (35) 를 손에 쥐고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킬 수 있어, 접속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게다가, 폴 부재 (41) (케이블 수용부 (51)) 로부터 꺼낸 충전 케이블 (26) 은 폴 부재 (41) 의 기부로부터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접속되고, 접속 후에는 그 신축성에 의해 줄어들려고 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 또한 최단 거리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충전 케이블 (26) 을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까지 확실히 닿게 함과 함께, 충전 케이블 (26) 이 느슨해지는 것에 의한 각종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 (26) 을 팔레트 (15B) 의 플로어면에 닿게 하지 않고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폴 부재 (41) 를 경질 고무나 우레탄 수지 등의, 주차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그 표면을 연질 수지나 연질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덮거나 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시에 만일 차량이 폴 부재 (41) 에 접촉된 경우에, 차량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폴 부재 (41) 를 가요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경질 고무 등) 로 형성하여, 폴 부재 (41) 에 가요성을 부여함으로써, 주차 차량이 만일 폴 부재 (41) 에 충돌하더라도, 폴 부재 (41) 가 휨으로써 차량의 손상이 방지되고, 동시에 폴 부재 (41) 의 파손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케이블 (26) 이 폴 부재 (41) 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되어 있지만, 충전 케이블 (26) 을 폴 부재 (41) 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0 ∼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팔레트 (15C) 및 충전 장치 (16C) 를 나타내고 있다. 팔레트 (15C) 의 기본 구성은 충전 장치 (16C) 의 부분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팔레트 (15A, 15B) 와 동일하다. 여기에 있어서의 충전 장치 (16C) 도 팔레트 (15C) 의 좌우 가장자리부 (22) 의 일방에 형성해도 되고 양방에 형성해도 되며, 또 가장자리부 (22) 의 전부, 후부, 중강부의 어딘가에 몇군데 형성해도 된다.
이 충전 장치 (16C)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 장치 (16B) 의 폴 부재 (41) 를 가도식 (可倒式) 으로 한 것이다. 즉, 팔레트 (15C) 의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의 일부가 장방 형상으로 잘려 개구부 (61) 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61) 의 일단측 (예를 들어 전단측) 에 근접하는 가장자리부 (22) 의 내측면에 피벗축 (62) 이 직각 또한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피벗축 (62) 에 폴 부재 (63) 의 기단부가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폴 부재 (63)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몰입되도록 절첩된 도복 위치 (63a) 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한 직립 위치 (63b)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폴 부재 (63) 가 도복 위치 (63a) 에 놓여졌을 때에는 폴 부재 (63) 가 가장자리부 (22) 의 상면에 대해 면일해진다.
폴 부재 (63)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 부재 (41) 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ㄷ」자형 단면을 갖는 봉재 (채널재) 로 형성되어 있다. 도복 위치 (63a) 에 놓여진 폴 부재 (63) 의 상면이 되는 면에는 자유단측에 인수공 (65) 이 천설되고, 기단측에는 U 자상의 절결부 (66) (절첩 수단)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팔레트 (15C) 의 가장자리부 (22) 의 내측면에는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67) 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1 참조).
폴 부재 (63) 의 내부 공간은 케이블 수용부 (69) 가 되고, 폴 부재 (63) 의 기단부측에는 케이블 수용부 (69) 와 피벗축 (62) 의 사이를 가로막는 칸막이판 (70) (도 11 참조) 이 고착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 (70) 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이 천설되고, 이 관통공에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충전 케이블 (26) 이 삽입 통과되며,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상으로 줄어든 충전 케이블 (26) 이 케이블 수용부 (69) 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폴 부재 (63) 는 이와 같이 케이블 수용부 (69) 에 충전 케이블 (26) 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복 위치 (63a) 로 절첩할 수 있다. 폴 부재 (63) 의 케이블 수용부 (69) 에 충전 케이블 (26) 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가 폴 부재의 자유단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폴 부재 (63) 가 직립 위치 (63b) 에 기립하면, 케이블 수용부 (69) 에 수용된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가 폴 부재에 유지되고, 팔레트 (15C) 의 플로어면보다 높은 장소에 위치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 부재 (63) 를 직립 위치 (63b) 에 기립시키고, 케이블 수용부 (69) 로부터 충전 케이블 (26) 을 꺼내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 (26) 을 폴 부재 (63) 의 하단부로부터 팔레트 (15C) 의 상면측에 걸쳐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충전 케이블 (26) 이 폴 부재 (63) 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상태라도,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 절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폴 부재 (63) 의 기단측에 형성된 U 자상의 절결부 (66) 에 충전 케이블 (26) 을 통과함으로써, 충전 케이블 (26) 을 전단하지 않고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 절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팔레트 (15C) 에 전동 차량 (EV) 을 주차시켜 충전 장치 (16C) 에 의해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동 차량 (EV) 의 차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충전 접속부가 충전 장치 (16C) (폴 부재 (63))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동 차량 (EV) 을 팔레트 (15C) 상에 정차시키고, 다음으로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부터 직립 위치 (63b) 로 기립시키고, 다음으로 폴 부재 (63) 의 내부의 케이블 수용부 (69) 에 수용된 충전 케이블 (26) 과 충전 커넥터 (35) 를 꺼내, 충전 커넥터 (35) 를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킨다. 코일상으로 줄어들어 있던 충전 케이블 (26) 은 연장되어 폴 부재 (63) 의 하단부와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 사이를 곧게 최단 거리로 접속하고, 그 신축성에 의해 줄어들려고 하기 때문에, 팔레트 (15C) 의 플로어면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 복귀시켜 도 13 의 상태로 한다.
이 충전 장치 (16C) 에 있어서도,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폴 부재 (63) 의 내부 스페이스가 그대로 충전 케이블 (26) 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 (69)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간소하며, 또한 저렴하고 외관성이 양호한 구성에 의해 충전 케이블 (26) 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 부재 (63) 가 직립 위치 (63b) 에 기립하면, 케이블 수용부 (69) 에 수용된 충전 케이블 (26) 의 충전 커넥터 (35) 가 팔레트 (15C) 보다 높은 장소로 상승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방으로 웅크리지 않아도 충전 커넥터 (35) 를 손에 쥐고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시킬 수 있어, 접속 작업성이 좋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 (16B) 와 마찬가지로, 이 충전 장치 (16C) 에 있어서도, 폴 부재 (63) (케이블 수용부 (69)) 로부터 꺼내진 충전 케이블 (26) 이, 폴 부재 (63) 의 기부로부터 전동 차량 (EV) 의 충전 접속부까지 직접 연장되어 접속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을 느슨해지지 않게 하고, 또한 최단 거리로 접속시킬 수 있어, 충전 케이블 (26) 이 느슨해지는 것에 의한 문제나, 충전 케이블 (26) 이 오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 (26) 의 미사용시에는 충전 케이블 (26) 을 폴 부재 (63) 의 내부에 수용하여,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 (26) 과 폴 부재 (63) 를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외관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전동 차량 (EV) 또는 다른 차량이 폴 부재 (63) 에 접촉될 염려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 (26) 의 사용시, 즉 충전 케이블 (26) 이 폴 부재 (63) 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도, 절결부 (66) 에 충전 케이블 (26) 을 통과시킴으로써 폴 부재 (63) 를 도복 위치 (63a) 로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폴 부재 (63) 가 사용자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 부재 (63) 에 로크 기구 (72) 를 형성하고, 폴 부재 (63) 를 직립 위치 (63b) 에 있어서 로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로크 기구 (72) 로는 폴 부재 (63) 의 중간부와, 개구부 (61) 의 내주부에 형성된 브래킷 (73) 사이를, 2 개로 절첩 가능한 링크 부재 (74) 로 연결한 구성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크 기구 (72) 를 형성함으로써, 폴 부재 (63) 를 확실하게 직립 위치 (63b) 에 기립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이 충전 장치 (16C) 에 있어서도, 폴 부재 (63) 를 경질 고무나 우레탄 수지 등의, 주차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그 표면을 연질 수지나 연질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덮거나 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시에 폴 부재 (63) 가 직립 위치 (63b) 에 놓여진 채로 되어 있어, 만일 이 폴 부재 (63) 에 차량이 접촉되어도 차량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요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경질 고무 등) 로 폴 부재 (63) 를 형성해 폴 부재 (63) 에 가요성을 부여함으로써, 주차 차량이 만일 폴 부재 (63) 에 충돌해도, 폴 부재 (63) 가 휨으로서 차량의 수상이 방지되고, 동시에 폴 부재 (63) 의 파손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양태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문 서두에 서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를 사용한 차량 탑재 기능을 갖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면, 다른 형식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1 개의 팔레트에, 예를 들어 제 1 ∼ 제 3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 (16A ∼ 16C) 를 혼재시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1 … 기계식 입체 주차장
4 … 주차탑
5 … 턴테이블
11 … 승강 통로
12 … 반송대
14 … 차량 격납 선반
15A, 15B, 15C … 팔레트
16A, 16B, 16C … 충전 장치
22 … 가장자리부
26 … 충전 케이블
27, 51, 69 … 케이블 수용부
28 … 수용 오목부
29 … 뚜껑 부재
35 … 충전 커넥터
41, 63 … 폴 부재
43 … 베이스 부재
53 … 커넥터 유지부
63a … 도복 위치
63b … 직립 위치
66 … 절결부 (절첩 수단)
EV … 전동 차량

Claims (8)

  1. 전동 차량을 주차시켜 소정의 주차 위치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전동 차량의 주차 중에, 그 전동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가 형성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일단이 상기 팔레트측에 접속되고, 타단에 상기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 커넥터가 형성된, 신축 가능한 컬코드상으로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코일상으로 줄어드는 충전 케이블과,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고, 코일상으로 줄어든 상태의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를 갖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전동 차량의 충전 접속부에 접속되었을 때, 그 코일상으로 줄어들려고 하는 인장력에 의해, 그 충전 케이블의 기부와 상기 충전 접속부 사이를 느슨해지지 않고 최단 거리로 접속하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오목부와, 그 수용 오목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뚜껑 부재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에 직립하는 폴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폴 부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충전 케이블이 직립한 상태에 있는 상기 폴 부재의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폴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팔레트보다 높은 장소에 위치하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의 가장자리부 상면보다 하방으로 몰입되도록 절첩된 도복 위치와, 상기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한 직립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폴 부재를 상기 도복 위치로 절첩 가능하게 하는 절첩 수단을 갖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는 적어도 그 표면이 주차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인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부재가 가요성을 갖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팔레트를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KR1020137002091A 2010-09-30 2011-09-06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KR101505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2507 2010-09-30
JP2010222507A JP5465644B2 (ja) 2010-09-30 2010-09-30 機械式立体駐車場のパレ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PCT/JP2011/070217 WO2012043163A1 (ja) 2010-09-30 2011-09-06 機械式立体駐車場のパレ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557A KR20130042557A (ko) 2013-04-26
KR101505332B1 true KR101505332B1 (ko) 2015-03-23

Family

ID=4589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091A KR101505332B1 (ko) 2010-09-30 2011-09-06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65644B2 (ko)
KR (1) KR101505332B1 (ko)
CN (1) CN103098331B (ko)
SG (1) SG187151A1 (ko)
WO (1) WO20120431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5621A (zh) * 2014-11-28 2015-04-01 国家电网公司 软管组件及具有该软管组件的充电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6797B2 (ja) * 2012-05-14 2016-09-0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道路標識柱
JP6024049B2 (ja) * 2012-10-01 2016-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充電システム用ケーブル
CN105656090B (zh) * 2014-11-10 2017-12-19 青岛特锐德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场电动汽车充电系统
CN104555613A (zh) * 2014-12-25 2015-04-29 重庆威斯特电梯有限公司 便于电线折叠的电梯
EP3261097A4 (en) * 2015-02-20 2018-10-2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Highly elastic wir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ame
FR3033953B1 (fr) * 2015-03-17 2018-07-27 Renault S.A.S. Rangement pour cable electrique
CN104842812A (zh) * 2015-06-03 2015-08-19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码头水平运输设备车载自动充电装置
JP2017073839A (ja) * 2015-10-05 2017-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可搬型給電装置
CH711964B1 (it) * 2015-12-23 2019-12-13 Sotefin Patents Sa Parcheggio automatizzato con dispositivo di ricarica di veicoli elettrici o ibridi e metodo associato.
CN106560581A (zh) * 2016-04-15 2017-04-12 中兴新能源汽车有限责任公司 载车板及立体车库
CN107425502B (zh) * 2017-06-21 2023-03-24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横移载车板的电缆走线装置
CN108032762A (zh) * 2017-12-27 2018-05-15 天津市中环富士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利用挡风玻璃的接点式电动汽车充电连接装置及方法
JP6995677B2 (ja) * 2018-03-28 2022-01-14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GB2572752A (en) * 2018-04-03 2019-10-16 Teobi Engineering Associates Ltd Charging arrangements for electric vehicles
JP7250506B2 (ja) * 2018-12-19 2023-04-03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急速充電装置
DE102018222470B4 (de) * 2018-12-20 2021-07-22 Audi Ag Schutzvorrichtung
EP3947024A1 (en) * 2019-04-05 2022-02-09 Kempower OY A cable management arrangement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110001442A (zh) * 2019-04-15 2019-07-12 柏涛涛 一种高效节能新能源汽车充电桩装置
DE102020102244A1 (de) * 2020-01-30 2021-08-05 Wöhr Autoparksysteme GmbH Parkanlage für Kraftfahrzeuge
WO2021199435A1 (ja) * 2020-04-03 2021-10-07 富士変速機株式会社 駐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397A (ja) * 2004-01-06 2005-07-21 Yamaha Motor Co Ltd 充電器ユニット、管理ユニット及び貸出システム
JP2010196338A (ja) * 2009-02-25 2010-09-09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940B2 (ja) * 1992-08-03 1999-06-23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充電装置を具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4615572B2 (ja) * 2008-02-19 2011-01-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JP2010101082A (ja) * 2008-10-24 2010-05-06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装置
JP2010110053A (ja)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397A (ja) * 2004-01-06 2005-07-21 Yamaha Motor Co Ltd 充電器ユニット、管理ユニット及び貸出システム
JP2010196338A (ja) * 2009-02-25 2010-09-09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5621A (zh) * 2014-11-28 2015-04-01 国家电网公司 软管组件及具有该软管组件的充电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5644B2 (ja) 2014-04-09
KR20130042557A (ko) 2013-04-26
SG187151A1 (en) 2013-02-28
JP2012077495A (ja) 2012-04-19
WO2012043163A1 (ja) 2012-04-05
CN103098331A (zh) 2013-05-08
CN103098331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332B1 (ko)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팔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JP5400092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JP2010196338A (ja)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331604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2010101082A (ja)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装置
JP2011080265A (ja) 立体駐車装置
JP6161401B2 (ja) 充電ケーブル収納機器と駐車空間とパレット
US5449067A (en) Extension cord caddy
JP2010084491A (ja) 充電機能を備えた立体駐車設備
JP5638280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パレ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JP2011144565A (ja) 駐車装置用パレット
JP5256100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452109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433380B2 (ja) 駐車装置用パレット
JP5481433B2 (ja) 電気自動車用電源線収納具およびこの収納部を保管できる機能門柱
JP2013017339A (ja) 駐車装置用パレット
KR20220040868A (ko) 차량용 모빌리티 캐리어 장치
JP5466132B2 (ja) 駐車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パレット
JP5657951B2 (ja) 機械式駐車場装置
JP2003073099A (ja) 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JPH11199189A (ja) バッテリ車
JP6995677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2014969A (ja) 自動車充電装置
CN220076407U (zh) 一种折叠式搬运车
JP2019203361A (ja) 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