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283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283B1
KR101505283B1 KR1020130054273A KR20130054273A KR101505283B1 KR 101505283 B1 KR101505283 B1 KR 101505283B1 KR 1020130054273 A KR1020130054273 A KR 1020130054273A KR 20130054273 A KR20130054273 A KR 20130054273A KR 101505283 B1 KR101505283 B1 KR 10150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vibrator
buffer member
out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273A (ko
Inventor
나오키 다타라
도루 다카하시
나오키 다키이
유지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3013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측에의 진동의 전달을 억지하면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자차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10)는, 진동자(20)와 완충 부재(34)를 구비한다. 진동자(20)는 램프 보디(12)에 부착된다. 진동자(20)의 진동에 따라 램프 보디(12)가 진동하여, 통지음이 발생한다. 완충 부재(34)는, 부착부(30)에 마련된다. 이 완충 부재(34)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부착부(30)를 통해 차체(50)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타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하여 통지음을 발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와 같이 모터를 주행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은, 가솔린차에 비해 주행음이 정숙하다. 특히 저속 주행시의 주행음은 매우 정숙하다. 이 때문에,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후방 등 시야 밖에서 접근하는 상기 차량을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음과는 별도의 유사 엔진음을 발생시켜 차량의 접근을 통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진동자를 헤드라이트 커버의 내측에 마련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380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헤드라이트 커버가 진동하여, 차량 외부에 마련한 스피커와 같이 기능하기 때문에, 그 통지음이 주위에 전해지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헤드라이트 커버의 진동이, 차량용 등기구의 다른 구성 부품을 통해 차량측에 전해져, 차실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측에의 진동의 전달을 억지하면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자차(自車)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차량용 등기구는, 등기구의 구성 부품과, 구성 부품에 부착되고, 이 구성 부품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자와, 구성 부품으로부터의 진동이 차체측에 전해지는 것을 억지하는 진동 전달 억제 기구를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진동자가 부착된 구성 부품으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가로, 이 구성 부품의 진동이 차체측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 요소나 표현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측에의 진동의 전달을 억지하면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자차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진동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용 등기구의 등기구 제어 유닛과 차량측의 차량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부착부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익스텐션 부재와 외측 렌즈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익스텐션 부재와 외측 렌즈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램프 보디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외측 렌즈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외측 렌즈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외측 렌즈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외측 렌즈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램프 보디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차량용 등기구가 차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각 도면에 도시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및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하게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하게 확대, 축소하여 도시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차량용 등기구는, 주로 헤드 램프를 예로 설명하지만, 백 램프나 스톱 램프 등을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또는 그 외 램프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본 차량용 등기구는 진동자를 구비한다. 진동자는, 등기구의 구성 부품에 부착되고, 구성 부품을 진동시켜 통지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차량용 등기구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다. 완충 부재는 본 차량용 등기구를 차체에 접합하는 부착부에 마련된다. 이 완충 부재에 의해, 진동자로부터의 진동이 차체측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 전방측에 개구부를 갖는 램프 보디(12)와, 이 개구부를 덮는 외측 렌즈(14)를 갖는다. 외측 렌즈(14)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나 유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 보디(12)와 외측 렌즈(14)에 의해 등실(燈室)(16)이 형성되어 있다. 등실(16)에는, 광을 차량 전방에 조사하는 등기구 유닛(18)이 수납되어 있다.
등기구 유닛(18)의 아래쪽에는, 등기구 제어 유닛(22)이 배치되어 있다. 등기구 제어 유닛(22)은, 등기구 유닛(18)의 점소등 제어 등을 실행하는 조사 제어부(24)와, 진동자(20)를 제어하여 통지음을 발생시키는 발음 제어부(26)를 갖는다. 한편, 등기구 제어 유닛(22)은 차량용 등기구(10) 밖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등실(16) 안에는, 익스텐션 부재(28)가 마련되어 있다. 익스텐션 부재(28)는 등기구 유닛(18)의 존재 영역에 개구부(28a)를 갖는다. 익스텐션 부재(28)는 외측 렌즈(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익스텐션 부재(28)는 램프 보디(12)에 고정되어도 좋다.
램프 보디(12)에는 진동자(20)가 고정되어 있다. 진동자(20)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에 따라 진동한다. 진동자(20)의 진동에 따라 램프 보디(12)도 진동하여, 통지음이 발생한다. 진동자(20)를 램프 보디(12)에 고정함으로써, 진동자(20)의 진동을 증폭하여, 진동자(20) 단독으로 발생시키는 것보다 큰 통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지음을 발하는 장치를 차량 본체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차량 본체의 공간 절약화에 기여한다. 또한 통상, 차량용 등기구는 차량의 네 코너에 배치되기 때문에, 통지음을 발하는 장치[진동자(20)]를 등기구에 마련하는 것은 광범위하게 통지음을 발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나 익스텐션 부재(28) 등 다른 구성 부품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진동자(20)는 램프 보디(12)의 등실(16)측에 고정되어도 좋다.
도 2의 (a) 및 (b)는, 진동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진동자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진동자의 종단면도이다. 진동자(20)는 전자(電磁)식의 진동체이며, 그 원통 용기형 보디(131)의 내부에 통형의 코어(131a)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131a) 주위에는 구동 코일(132)이 감겨 있다. 또한 보디(131)의 개구부에는, 링형의 스프링판(133)의 외주연부가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판(133)의 내주연부에는, 진동판(134)이 부착되어 있다. 진동판(134)의 내면에는, 코어(131a)의 통 안, 즉 구동 코일(132)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배치된 원기둥형의 마그넷(영구 자석)(135)이 고정되어 있다.
보디(131)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2지점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탭 부재(tab piece)(136)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탭 부재(136)에는, 나사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136a)이 형성되어 있다. 하네스(H1)는, 구동 코일(132)에 접속되어 있고, 보디(131)를 관통하여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이 하네스(H1)를 통해 구동 코일(132)에 교류 전류가 인가된다. 그리고, 구동 코일(132)에 의해 생기는 교번자계와 마그넷(135)의 자계에 의해 마그넷(135)이 코어(131a)의 통부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때, 마그넷(135)과 일체인 진동판(134)도, 스프링판(133)을 휘게 하면서 판두께 방향으로 왕복 이동, 즉 진동한다. 마그넷(135) 및 진동판(134)의 진동은, 차량용 등기구(10)를 구성하는 램프 보디(12)에 전달되어, 이 램프 보디(12)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램프 보디(12)에는 차량용 등기구(10)를 차체(50)에 접합하는 부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30)에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에 볼트(32)를 삽입하고 차체측에 마련된 나사 구멍(50a)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차량용 등기구(10)가 차체(50)에 부착된다.
부착부(30)와 차체(50) 사이에는 완충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34)는, 예컨대 고무나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완충 부재(34)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34a)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직사각형 판형 등의 원판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이 완충 부재(34)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차체(50)에 전달되는 것이 억지된다.
도 3은, 차량용 등기구(10)의 등기구 제어 유닛(22)과 차체(50)측의 차량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차량용 등기구(10)는, 차체(50)측의 차량 제어부(52)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조사 제어 및 발음 제어를 실행한다. 차량 제어부(52)와 등기구 제어 유닛(22)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등기구 제어 유닛(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 제어부(24)와 발음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조사 제어부(24)는, 운전자에 의한 라이트 스위치(54)의 조작에 기초하는 점소등 지령을 차량 제어부(52)로부터 수취하면, 등기구 유닛(18)의 점소등 제어를 실행한다. 발음 제어부(26)는, 차량 제어부(52)로부터 통지 지령을 수취하면, 이 통지 지령에 기초하여 진동자(20)의 발음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자(20)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진동자(20)를 진동시킨다. 여기서는, 차속이 일정 속도(예컨대, 20 km/h) 이하가 되면, 차량 제어부(52)로부터 등기구 제어 유닛(22)에 통지 지령이 송신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에 의하면, 진동자(20)에 의해 자차의 접근을 통지하는 통지음이 발생된다. 추가로, 완충 부재(34)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차체(50)측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차체(50)가 진동하는 것에 의한 차실내 소음이 억제된다.
(변형예 1-1)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3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부착부(30)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이 형성된 부분에, 차체(50)측에 돌출된 환형 돌출부(30b)를 갖는다. 여기서는, 환형 돌출부(30b)의 내경(D2)은,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의 직경(D1)과 동일한 크기이다. 물론, 내경(D2)과 직경(D1)은 상이한 크기여도 좋다. 완충 부재(34)는, 환형 돌출부(30b)의 외주면(30c)을 덮도록 마련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부착부(30)와 차체(50) 사이에 완충 부재(34)를 마련하면서도, 부착부(30)의 일부가 차체(50)에 접한 상태로 차량용 등기구(10)가 고정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 의하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을 억지하면서, 차체(50)에 대하여 차량용 등기구(10)의 부착 위치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변형예 1-2)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3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볼트(32)의 머리 부분(32a)과 부착부(30) 사이에도 완충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36)는, 완충 부재(34)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고무나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완충 부재(36)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36a)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완충 부재(34)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 등의 원판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한편, 완충 부재(36)와 완충 부재(34)는, 각각 상이한 재질 및 형상이어도 좋다. 예컨대, 완충 부재(36)를 원판형의 고무 부재로 하고, 완충 부재(34)를 직사각형 판형의 수지 부재로 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진동이 차체(50)측에 전해지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3)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3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완충 부재(38)는, 양단에 플랜지부(38a, 38b)가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완충 부재(38)는, 플랜지부(38a, 38b)의 사이에 있는 소직경부(38c)가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에 끼워지도록 부착부(30)에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6과 같이, 부착부(30)와 차체(50)는 강체를 통해 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진동이 차체(50)에 전해지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부재(38)와 같이 양단에 플랜지부(38a, 38b)가 마련된 부재를, 도 6과 같이 부착부(30)에 고정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부착부(30)의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부착부(30)에는 그 측면으로부터 볼트 삽입 관통 구멍(30a)에 연통하는 슬릿부(30d)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부(30d)로부터 완충 부재(38)를 밀어 넣어, 부착부(30)에 고정할 수 있다.
(변형예 1-4)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3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완충 부재(38) 안에, 그 외경(D3)이 완충 부재(38)의 내경(D4)과 대략 같은 금속통(40)이 마련되어 있다. 금속통(40)은, 예컨대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도 7과 같이 부착부(30)에 슬릿부(30d)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변형예 1-3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볼트를 체결했을 때의 완충 부재(38)의 눌림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금속통(40)을 마련함으로써, 완충 부재(38)는 금속통(40)의 축방향의 길이(L1) 이하로는 눌리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차체(50)에 대한 차량용 등기구(10)의 부착 위치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변형예 1-5)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부착부(3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변형예 1-4와 마찬가지로, 완충 부재(38) 안에 금속통(42)이 마련되어 있다. 금속통(42)은, 완충 부재(38) 안에 삽입된 후에, 그 상단 및 하단이 눌려 플랜지부(42a, 42b)가 형성되고, 완충 부재(38)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도, 도 7과 같이 부착부(30)에 슬릿부(30d)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변형예 1-4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완충 부재(38) 및 금속통(40)이 부착부(30)에 고정되기 때문에, 차체(50)에 차량용 등기구(10)를 부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변형예 1-6)
제1 실시형태에서는, 부착부(30)와 차체(50) 사이에 완충 부재(34)를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완충 부재는, 차량용 등기구의 다른 구성 부품과 차체(50) 사이에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외측 렌즈(14)와 차체(50)(차체 패널) 사이에 마련하여도 좋다. 통상, 외측 렌즈와 차체(50)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양자는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차체측의 조립 정밀도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양자가 일시적 또는 계속적으로 접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외측 렌즈(14)를 통해 차체(50)에 전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외측 렌즈(14)와 차체(50) 사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차체(50)에 진동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7)
제1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보디(12)에 직접 진동자(20)가 고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진동자(20)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이 유지부를 램프 보디(12) 등의 등기구 구성 부품에 형성된 리브에 용착함으로써, 진동자(20)를 고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리브를 복수 형성하고, 이들 복수의 리브에 유지부를 용착함으로써, 진동자(20)로부터 생기는 진동을 등기구 구성 부품에 전해지기 쉽게 할 수 있지만, 그 반면, 등기구 구성 부품으로부터 큰 이음(異音)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원 기재의 완충 부재는, 상기 이음을 억제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의 주된 차이는,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부재는 차량용 등기구(210)의 구성 부품끼리가 접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여기서는, 익스텐션 부재와 외측 렌즈가 접하는 부분에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의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과 같이,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부분에 완충 부재(44)가 마련된다. 완충 부재(44)의 재질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 부재(34)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에 의하면, 완충 부재(44)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50)측에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차체(50)가 진동하는 것에 의한 차실내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부분에서 양자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진동자(20)가 외측 렌즈(14)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측 렌즈(14)가 큰 진폭으로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한다. 이 때, 외측 렌즈(14)에 고정되어 있는 익스텐션 부재(28)에 전달하는 진동도 커지지만, 완충 부재(44)에 의해 마찬가지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변형예 2-1)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익스텐션 부재(28) 중 외측 렌즈(14)와 접하는 부분(28c)이 익스텐션 부재(28)의 본체부(28d)에 비해 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변형예의 익스텐션 부재(28)는, 완충 부재가 일체로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변형예 2-2)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부분에 완충 부재를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별도의 완충 부재는 마련하지 않고, 익스텐션 부재(28) 자체를 완충 부재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익스텐션 부재(28)의 일부에 주위보다 두툼한 부분을 마련한다. 즉, 익스텐션 부재(28)의 두께를 여기 저기 불균일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감쇠한다. 즉, 익스텐션 부재(28) 자체가 완충 부재로서 기능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변형예 2-3)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익스텐션 부재(28)와 외측 렌즈(14)가 접하는 예, 즉 익스텐션 부재(28)가 외측 렌즈(14)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익스텐션 부재(28)를 외측 렌즈(14)에 비해 부드러운 수지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램프 보디(12)에 고정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310)의 주된 차이는,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310)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대응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보디(12)는, 그 차량 후방측에 탈착 커버(12a)를 갖는다. 이 탈착 커버(12a)와 램프 보디(12)가 접하는 부분에 완충 부재(46)가 마련되어 있다. 즉 진동자(20)가 마련된 구성 부품과 다른 구성 부품 사이에 완충 부재(46)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46)의 재질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 부재(34)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310)에 의하면, 진동자(20)가 마련된 탈착 커버(12a)와 램프 보디(12) 사이에 완충 부재(46)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자(20)의 진동이 램프 보디(12), 더 나아가서는 차체(50)나 다른 구성 부품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진동자(20)는, 탈착 커버(12a)의 등실(16)측에 고정되어도 좋다.
[제4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410)의 주된 차이는, 부착부(30)의 구조와 완충 부재(34)의 유무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410)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과 같이, 차량용 등기구(410)는 완충 부재를 갖지 않는다. 대신에, 부착부(30)에 개구부(30e)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감쇠되는 것이 기대된다. 한편, 개구부(30e)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수는 실험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410)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510)의 주된 차이는 부착부(30)의 구조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510)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와 같이, 부착부(30)에는, 주위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30f)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를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감쇠된다. 물론, 주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는 박육부(30f) 및 후육부 양자 모두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박육부(30f) 및 후육부의 위치, 크기, 형상 및 수는 실험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410)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610)의 주된 차이는, 부착부(30)의 구조이다.
도 15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610)의 부착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부착부(30)는, 그 차체(50)측의 면에 복수의 볼록부(30g)를 갖는다. 즉, 이 복수의 볼록부(30g)가 차체(50)와 접한다. 이와 같이, 차체(50)와의 접지 면적을 적게 함으로써, 차체(50)측에 전해지는 진동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7 실시형태]
도 16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710)를 램프 보디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710)는, 백 램프 및 스톱 램프의 기능을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이다.
종래에는 방수를 목적으로, 도 16에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부분과 같이, 벌브 삽입구(712b)를 덮도록 고무 시트를 차체(50)와의 사이에 마련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램프 보디(712) 전체를 덮도록 고무 시트(48)를 차체(50)와의 사이에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차체(50)측에 진동이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8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의 주된 차이는, 진동자의 고정 위치 및 고정 방법과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의 외측 렌즈(14)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0)에 의해 램프 보디(12)에 압착되고, 램프 보디(12)를 외측 렌즈(14)에 압착시킨다. 다시 말하면, 볼트(60)를, 진동자(20)의 삽입 관통 구멍(136a)과 램프 보디(12)에 형성된 구멍(12b)을 통과시켜 외측 렌즈(14)의 나사 구멍(14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진동자(20)와 램프 보디(12)가 외측 렌즈(14)에 대하여 함께 체결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20)는 램프 보디(12) 및 볼트(60)를 통해 외측 렌즈(14)를 진동시킬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810) 전방을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자(20)의 부착과, 램프 보디(12)와 외측 렌즈(14)의 고정을 하나의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렌즈(14)와 램프 보디(12)와 진동자(20)를 하나의 볼트(60)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진동자(20)는, 대략 컵형의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착탈 가능한 커버(7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진동자(20)에 접속된 하네스(H1)는, 이 커버(70)를 관통하여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하네스(H1)는 진동자(20)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자(20)의 진동이 하네스(H1)에 전해질 수 있다.
하네스(H1)에는, 완충 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80)는, 예컨대 고무에 의해 형성된 시트이며, 하네스(H1)에 감긴다. 또한, 커버(70)에는, 하네스(H1)가 커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완충 부재(82)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82)는, 예컨대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완충 부재(80) 및 완충 부재(82) 중 어느 하나만 마련되어도 좋다.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에 의하면, 진동자(20)에 의해 자차의 접근을 통지하는 통지음이 발생된다. 추가로,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에 의하면, 하네스(H1)에 완충 부재(8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네스(H1)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하네스(H1)와 커버(7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네스(H1)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하네스(H1)로부터 커버(70)에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70)가 진동하는 것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에 의하면, 하네스(H1)와 커버(70) 사이에 완충 부재(8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네스(H1)의 진동이 커버(70)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하네스(H1)와 커버(70)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910)의 주된 차이는, 진동자의 고정 방법과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18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910)의 외측 렌즈(14)의 하부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b)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0)에 의해 외측 렌즈(14)의 후방측에 압착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를 진동시킬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910) 전방을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램프 보디(12)에는 착탈 가능한 커버(72)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72)는 진동자(20)의 후방으로서, 진동자(20)와 수평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진동자(20)에 접속된 하네스(H1)는, 이 커버(72)를 관통하여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하네스(H1)는 진동자(20)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자(20)의 진동이 하네스(H1)에 전해질 수 있다.
제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네스(H1)에는, 완충 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램프 보디(12)에는, 하네스(H1)가 램프 보디(12)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완충 부재(84)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부재(84)는 완충 부재(82)에 대응한다. 물론, 완충 부재(80) 및 완충 부재(84) 중 어느 하나만 마련되어도 좋다.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910)에 의하면,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와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10)의 주된 차이는, 진동자의 고정 위치 및 고정 방법과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19는,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10)의 외측 렌즈(14)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c)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0)에 의해 외측 렌즈(14)의 전방측에 압착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를 진동시킬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1010) 전방을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진동자(20)는 커버(7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진동자(20)에 접속된 하네스(H1)는, 이 커버(70)를 관통하여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또한, 제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네스(H1)에는 완충 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70)에는 완충 부재(82)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완충 부재(80) 및 완충 부재(82) 중 어느 하나만 마련되어도 좋다.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10)에 의하면,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810)와 같은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제1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10)의 주된 차이는, 진동자의 고정 위치 및 고정 방법과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20은,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10)의 외측 렌즈(14)의 하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진동자(20)는, 외측 렌즈(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d)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0)에 의해 익스텐션 부재(28)에 압착되고, 익스텐션 부재(28)를 외측 렌즈(14)에 압착시킨다. 다시 말하면, 볼트(60)를, 진동자(20)의 삽입 관통 구멍(136a)과 익스텐션 부재(28)에 형성된 구멍(28e)을 통과시켜 외측 렌즈(14)의 나사 구멍(14d)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진동자(20)와 익스텐션 부재(28)가 외측 렌즈(14)에 대하여 함께 체결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20)는, 익스텐션 부재(28) 및 볼트(60)를 통해 외측 렌즈(14)를 진동시킬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1110) 전방을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자(20)의 부착과,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의 고정을 하나의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와 진동자(20)를 하나의 볼트(60)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익스텐션 부재(28)에는, 완충 부재(86)가 마련된다. 한편, 미관을 확보하기 위해, 완충 부재(86)는, 차량용 등기구(1110)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완충 부재(86)는, 익스텐션 부재(28)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10)에 의하면, 진동자(20)에 의해 자차의 접근을 통지하는 통지음이 발생된다. 추가로,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10)에 의하면, 익스텐션 부재(28)에 완충 부재(86)가 마련되기 때문에, 익스텐션 부재(28)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익스텐션 부재(28)와 차량용 등기구(1110)의 다른 구성 부품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실시형태]
도 21은,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210)를 램프 보디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2는, 차량용 등기구(1210)가 차체(50)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차량용 등기구(1210)의 단면은, 도 2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에 대응한다. 한편, 도 22에서, 차량용 등기구(1210) 내부에 마련되는 각 구성 부품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210)는, 백 램프나 스톱 램프 등의 기능을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이다.
램프 보디(1212)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패킹(1292)이 부착되어 있다. 패킹(1292)은, 예컨대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패킹(1292)과, 램프 보디(1212)와, 차체(50)의 차체 패널(50b)에 의해, 방수가 확보된 영역(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 대응하는 램프 보디(1212)의 이면에 진동자(20)가 마련된다. 즉, 진동자(20)는, 방수가 확보된 영역으로서, 차량용 등기구(1210)가 차체에 부착된 경우에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210)에 의하면, 진동자(20)에 의해 차체(50)의 후방을 향해 자차의 접근을 통지하는 통지음이 발생된다. 추가로,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210)에 의하면, 패킹(1292)에 의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차체(50)측에 전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즉, 패킹(1292)이 완충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210)에 의하면, 진동자(20)는, 램프 보디(1212)의 이면측에 마련된다. 즉, 차량용 등기구(1210)의 외면으로서, 차량용 등기구(1210)가 차체(50)에 부착된 경우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등기구(1210)의 미관이 확보된다. 또한, 램프 보디(1212)의 이면 중, 패킹(1292)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진동자(20)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등기구(1210)의 외면에 부착된 진동자(20)의 방수를,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또는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1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310)의 주된 차이는, 진동자의 고정 위치와 완충 부재가 마련되는 위치이다.
도 23은,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31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대응한다.
진동자(20)는, 익스텐션 부재(28)에 마련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개구부(28a)보다 아래쪽의 외측 렌즈(14)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진동자(20)는 차량용 등기구(1310)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익스텐션 부재(28)는, 개구부(28a)보다 아래쪽에서, 스크류(29)에 의해 외측 렌즈(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진동자(20)는, 익스텐션 부재(28) 및 스크류(29)를 통해 외측 렌즈(14)를 진동시킬 수 있어, 차량용 등기구(1310)의 전방을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는, 개구부(28a)의 위쪽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자는 서로 충돌할 수 있다. 그래서, 개구부(28a)보다 위쪽에서,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 사이에 완충 부재(88)가 마련되어 있다.
등기구 유닛(18)과 등기구 제어 유닛(22)은 하네스(H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네스(H2)에는, 외측 렌즈(14) 및 램프 보디(12)를 통해 진동자(20)로부터의 진동이 전해질 수 있다. 이 하네스(H2)에는, 완충 부재(9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서 도시를 생략한 다른 하네스에, 완충 부재(90)가 마련되어도 좋다.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310)에 의하면, 진동자(20)에 의해 자차의 접근을 통지하는 통지음이 발생된다. 추가로,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310)에 의하면, 개구부(28a)의 위쪽에서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 사이에 완충 부재(8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네스(H2)에 완충 부재(9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네스(H2)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하네스(H2)와 차량용 등기구(1310)의 다른 구성 부품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충돌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3-1)
제13 실시형태에서는, 익스텐션 부재(28)의 외측 렌즈(14)측의 면에 진동자(20)가 마련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익스텐션 부재(28)의 하면[외측 렌즈(14)와는 반대측의 면], 즉 차량용 등기구(1310)의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익스텐션 부재(28)의 하면측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그 돌출부에 진동자(20)를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익스텐션 부재(28)를 외측 렌즈(14)에 고정하는 경우는, 외측 렌즈(14)와 익스텐션 부재(28)와 진동자(20)를 하나의 볼트로 함께 체결하여도 좋다. 익스텐션 부재(28)를 램프 보디(12)에 고정하는 경우는, 램프 보디(12)와 익스텐션 부재(28)와 진동자(20)를 하나의 볼트로 함께 체결하여도 좋다. 한편, 이 때, 익스텐션 부재(28), 등기구 유닛(18)이나 램프 보디(12) 등의 구성 부품 그 자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형태의 각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이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과,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 이해되는 것이다.
청구항에 기재된 각 구성 요건이 담당해야 하는 기능은,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나타내어진 각 구성 요소의 단체(單體), 또는 이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것도 당업자에는 이해되는 것이다.
10: 차량용 등기구 12: 램프 보디
14: 외측 렌즈 18: 등기구 유닛
20: 진동자 22: 등기구 제어 유닛
24: 조사 제어부 26: 발음 제어부
28: 익스텐션 부재 30: 부착부
34, 36: 완충 부재

Claims (8)

  1. 등기구의 구성 부품과,
    상기 구성 부품에 부착되고, 이 구성 부품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그리고
    상기 구성 부품으로부터의 진동이 차체측에 전해지는 것을 억지하는 진동 전달 억제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상기 구성 부품과 상기 진동자, 또는 구성 부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하네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본 차량용 등기구를 차체에 접합하는 부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등기구의 구성 부품끼리가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램프 보디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부품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상기 제1 부품 중, 상기 램프 보디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부품에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억제 기구는, 주위와 두께가 상이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30054273A 2012-05-24 2013-05-14 차량용 등기구 KR101505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8923 2012-05-24
JP2012118923 2012-05-24
JPJP-P-2013-019734 2013-02-04
JP2013019734A JP2014003006A (ja) 2012-05-24 2013-02-04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73A KR20130132273A (ko) 2013-12-04
KR101505283B1 true KR101505283B1 (ko) 2015-03-23

Family

ID=4962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73A KR101505283B1 (ko) 2012-05-24 2013-05-14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2623B2 (ko)
JP (1) JP2014003006A (ko)
KR (1) KR101505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2645A (ja) * 2014-04-15 2015-11-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EP3346576B1 (de) * 2014-12-02 2019-05-15 WEIDPLAS GmbH Stromerzeugende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7051478B2 (ja) * 2018-02-15 2022-04-11 株式会社ティーネットジャパン 照明装置
WO2019234830A1 (ja) * 2018-06-05 2019-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記録システム
CN109218881B (zh) * 2018-08-10 2020-08-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受话器模组
DE102019200202A1 (de) * 2019-01-10 2020-07-16 Osram Gmbh Signalgebermodul für ein kraftfahrzeug, signalgeberanord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ignalgeberanordung
DE102019007127A1 (de) * 2019-10-14 2021-04-15 Daimler Ag 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44A (ko) * 2001-11-13 2003-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방진장치
JP2007283809A (ja) 2006-04-13 2007-11-01 Anden 車両周辺に対して警報を発する警報音発生装置
US20090168447A1 (en) 2007-12-28 2009-07-02 Chian-Yin Tseng Rotatable vehicular lamp assembly having a vibration-limit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678Y2 (ko) * 1976-12-29 1982-06-23
JPH0377309U (ko) * 1989-11-29 1991-08-02
JPH0636114U (ja) * 1992-10-13 1994-05-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
JP2010102860A (ja) * 2008-10-21 2010-05-06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イト
WO2012053043A1 (ja) * 2010-10-18 2012-04-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出力装置及び車両想起音発生方法
JP2012094255A (ja) * 2010-10-25 2012-05-1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及びそ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44A (ko) * 2001-11-13 2003-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방진장치
JP2007283809A (ja) 2006-04-13 2007-11-01 Anden 車両周辺に対して警報を発する警報音発生装置
US20090168447A1 (en) 2007-12-28 2009-07-02 Chian-Yin Tseng Rotatable vehicular lamp assembly having a vibration-limi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12656A1 (en) 2013-11-28
KR20130132273A (ko) 2013-12-04
US9022623B2 (en) 2015-05-05
JP2014003006A (ja)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283B1 (ko) 차량용 등기구
US9120418B2 (en) Vehicle lamp with vibrator
JP2013241156A (ja) 車両用灯具
US1044450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429810B1 (ko) 차량용 램프
WO2014126257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225304B1 (ko)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JP2018136362A (ja) 画像表示装置
US20210051385A1 (en) Speaker System and Vehicle Door Therewith
JP2017100570A (ja) 車両用音響装置
KR101435332B1 (ko) 차량용 등기구
JP6037733B2 (ja) 車両用灯具
US9121560B2 (en) Motor vehicle
JP2019008265A (ja) 画像表示装置
JP6738240B2 (ja) 車載用スピーカシステム
JP5620793B2 (ja) 車両用灯具
WO2023189152A1 (ja) 音発生ユニット
WO2022149587A1 (ja) 音発生構造
JP7346935B2 (ja) 車載用スピーカ、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14028597A (ja) 車両用灯具
JP2024043355A (ja) 音発生ダクト構造
JP2014148279A (ja) 車両用警告システム
JP2015020631A (ja) 車両用灯具とその製造方法
KR20170114675A (ko) 차량의 변속 레버용 노브
JP2022179957A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