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32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32B1
KR101435332B1 KR1020130054275A KR20130054275A KR101435332B1 KR 101435332 B1 KR101435332 B1 KR 101435332B1 KR 1020130054275 A KR1020130054275 A KR 1020130054275A KR 20130054275 A KR20130054275 A KR 20130054275A KR 101435332 B1 KR101435332 B1 KR 10143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mp
vibrating
housing
vib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070A (ko
Inventor
나오키 다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3013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진동 장치를 고정하여 발음시키는 장치에서, 그 진동 장치와 그 제어부와의 접속 구조를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의 차량용 등기구(10)는, 램프 보디(12)와, 램프 보디(12)와의 사이에 등실(18)을 구획하는 외측 렌즈(13)와, 외측 렌즈(13)에 고정되고,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하는 것에 의해 외측 렌즈(13)를 발음시키는 진동 장치(14)를 구비한다. 진동 장치(14)는, 외측 렌즈(13)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안에 마련되는 전기 회로와,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외부의 커넥터(74)가 접속되는 커넥터(80)를 포함하고, 커넥터(80)가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 등의 모터를 주행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은, 저속시에서의 주행음이 정숙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그 접근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이러한 차량의 존재를 통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자차(自車)의 접근을 나타내는 통지음을 발생시키는 진동 장치를 헤드라이트 커버의 내측에 마련한 장치가 고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헤드라이트 커버가 진동하여, 차량 외부에 마련된 스피커와 같이 기능하기 때문에, 그 통지음이 자차 주위에 전해지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380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는, 진동 장치를 헤드라이트 커버의 내측에 고정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그 진동 장치와 그 발음 제어부와의 배선 구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 점에 대해, 일반적으로는 진동 장치와 발음 제어부 각각으로부터 커넥터를 갖는 하네스를 인출하여, 이들을 헤드라이트 커버의 내측에서 접속하는 구성이 고려되지만, 접속 구조에서의 부품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진동 장치를 헤드라이트 커버의 내측에 고정하는 구성에서는, 헤드라이트 커버의 등기구 보디에의 장착에 앞서 진동 장치를 헤드라이트 커버에 고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등기구의 조립시에 진동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의 취급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 중 하나는, 차량용 등기구에 진동 장치를 고정하여 발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그 진동 장치와 그 제어부와의 접속 구조를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진동 장치와 그 제어부를 접속할 때의 취급을 간이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차량용 등기구는, 램프 보디와, 램프 보디와의 사이에 등실(燈室)을 구획하는 외측 렌즈와, 이 등기구를 구성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고,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하는 것에 의해 등기구 구성 부품을 발음시키는 진동 장치를 구비한다. 진동 장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안에 마련되는 전기 회로와,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장치 커넥터가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진동 장치의 하우징에 장치 커넥터가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진동 장치로부터 하네스를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져, 이 하네스를 생략할 수 있는 만큼,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장치로부터 하네스를 연장시키지 않기 때문에 외부 커넥터에 이어지는 제어부와 진동 장치를 접속할 때의 취급이 간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장치가 등실 안의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어도 좋다. 그리고, 램프 보디에 마련되어, 외부 커넥터를 등실에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와, 외부 커넥터에 이어지는 하네스를 지지하면서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등실에 인입하여 진동 장치에 접속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와 외부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 커넥터가 장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커버가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 커넥터를 장치 커넥터에 접속하는 작업이 커버로 개구부를 밀봉하는 작업으로도 되어,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커버와 외부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고, 진동 장치가 등기구 구성 부품으로서의 외측 렌즈에 고정되며, 외측 렌즈가 램프 보디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장치 커넥터와 외부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측 렌즈와 램프 보디의 장착 작업이 양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작업으로도 되어,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또한, 차량용 등기구이다. 이 차량용 등기구는, 램프 보디와, 램프 보디와의 사이에 등실을 구획하는 외측 렌즈와, 이 등기구를 구성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고,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하는 것에 의해 등기구 구성 부품을 발음시키는 진동 장치를 구비한다. 진동 장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안에 마련되는 전기 회로와,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하네스를 포함하고, 하네스가 전기 신호의 출력원이 되는 외부 제어 장치와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진동 장치와 외부 제어 장치와의 접속에 커넥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등기구에 진동 장치를 고정하여 발음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이 진동 장치와 그 제어부의 접속 구조를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장치와 그 제어부를 접속할 때의 취급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진동 장치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차량용 등기구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접속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거나 하여 적절하게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차량용 등기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주로 헤드 램프를 예로 설명하지만, 백 램프나 스톱 램프 등을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또는 그 외의 램프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동 도면은 등기구의 광축 X를 포함하는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의 차폭 방향의 좌우에 한 등씩 배치되는 배광 가변식 전조등이다.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 전방 및 후방에 개구부를 갖는 램프 보디(12)와, 이 램프 보디(12)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투명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의 후방 개구부를 덮는 캡(16)으로 형성되는 등실(18)을 갖는다. 등실(18)에는, 광을 차량 전방에 조사하는 등기구 유닛(20)이 수납되어 있다. 외측 렌즈(13)는, 광 투과성의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등기구 유닛(20)은, 그 요동 중심이 되는 피봇 기구(22)를 통해 보디 브래킷(24)에 연결되어 있다. 보디 브래킷(24)은, 램프 보디(12)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등기구 유닛(20)이 등실(18) 안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고, 피봇 기구(22)를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전방으로 기운 자세 또는 후방으로 기운 자세 등으로 자세 변화가 가능해진다.
등기구 유닛(20)의 하면은, 회전축(26)을 통해 스위블 액추에이터(28)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블 액추에이터(28)는, 등기구 유닛(20)을 차량의 커브 주행시 등에 진행 방향을 비추는 곡선 도로용 배광 가변 전조등으로서 기능시킨다. 즉, 스위블 액추에이터(28)는, 차량측에서 제공되는 조종량의 데이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주행 도로의 형상 데이터, 전방 차와 자차의 상대 위치의 관계 등에 기초하여 등기구 유닛(20)을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진행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것에 의해, 등기구 유닛(20)의 조사 영역이 차량의 정면이 아니라 곡선 도로의 커브의 끝을 향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를 향상시킨다.
스위블 액추에이터(28)는, 유닛 브래킷(30)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브래킷(30)에는, 램프 보디(12)의 외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레벨링 액추에이터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벨링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등기구 유닛(20)이 후방으로 기운 자세가 되면 광축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등기구 유닛(20)이 전방으로 기운 자세가 되면 광축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등의 레벨링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차량 자세에 따른 광축 조정에 의해, 차량용 등기구(10)에 의한 전방 조사의 도달 거리를 최적의 거리로 조정할 수 있다.
등기구 유닛(20)은, 프로젝터형의 램프 유닛이며, 용기형의 등기구 하우징(32), 등기구 하우징(32)의 후반부의 내벽면에 마련된 리플렉터(34), 등기구 하우징(32)의 후단에 지지된 광원(36), 등기구 하우징(32)의 전단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투영 렌즈(38), 등기구 하우징(32)의 전반부에 마련되고, 리플렉터(34)에 의해 반사된 광의 조사 방향을 규제하는 셰이드(40)를 포함한다.
광원(36)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전등 벌브가 사용되지만, 백열 벌브나 할로겐 벌브, LED 등도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플렉터(34)는, 광원(36)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반사한다. 광원(36)으로부터 출사된 광 및 리플렉터(34)로 반사된 광은, 투영 렌즈(38)에 유도된다.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 사이에는, 차량용 등기구(10)의 내부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관상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익스텐션(42)(유사 리플렉터)이 배치되어 있다. 투영 렌즈(38)는, 이 익스텐션(42)의 소정 지점에 마련된 구멍부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외측 렌즈(13)의 하부에는 진동 장치(14)가 고정되어 있다. 진동 장치(14)는, 익스텐션(42)의 아래쪽에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진동 장치(14)는,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따라 외측 렌즈(13)를 진동시켜, 통지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진동 장치(14)를 다른 부품에 고정함으로써, 진동 장치(14)의 진동을 증폭하여, 진동 장치(14) 단독으로 발생시키는 소리보다 큰 통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지음을 발하는 장치를 차량 본체측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차량 본체의 공간 절약화에 기여한다. 통상, 등기구는 차량의 네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통지음을 발하는 장치를 등기구에 마련하는 것은 광범위하게 통지음을 발하는 데 적합하다.
등기구 유닛(20)의 아래쪽 위치에는, 등기구 제어 유닛(50)이 배치되어 있다. 등기구 제어 유닛(50)은, 광의 조사 제어를 실행하는 조사 제어부를 포함한다. 조사 제어부는, 등기구 유닛(20)의 점소등 제어, 스위블 액추에이터(28) 및 레벨링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측의 차량 제어부가 발음 제어부로서도 기능하여, 진동 장치(14)의 진동에 의한 통지음의 출력 제어를 실행한다.
램프 보디(12)에는, 차량 제어부로부터 연장되는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60)가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60)의 일부의 단자에는, 등기구 제어 유닛(50)에 이어지는 하네스(62)가 접속되고, 다른 단자에는 진동 장치(14)를 향해 연장되는 하네스(6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60)는, 차량 제어부에 이어지는 커넥터(68)에 접속된다. 커넥터(68)의 단자에는, 차량 제어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70)가 접속되어 있다. 등기구 제어 유닛(50)은, 또한 하네스(72)를 통해 등기구 유닛(20)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 보디(12)의 바닥부에는, 하네스(64)의 타단에 접속된 커넥터(74)(「외부 커넥터」로서 기능함)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76)가 마련된다. 개구부(76)는, 수지제의 커버(78)에 의해 밀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네스(64)가 도시하지 않는 시일 부재를 통해 커버(78)를 관통하고, 하네스(64)의 선단이 커넥터(74)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에서는, 커버(78)를 시일 부재로서도 기능하는 고무 등에 의해 구성하고, 하네스(64)를 액밀(液密)하게 삽입 관통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진동 장치(14)에는 커넥터(80)(「장치 커넥터」로서 기능함)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커넥터(74)는, 등실(18) 안에서 커넥터(80)와 접속된다.
도 2는, 진동 장치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진동 장치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도 2의 (b)는 진동 장치의 종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 장치(14)는, 원통 용기형의 보디(82)의 단부에 커넥터(80)가 일체로 마련되고, 커넥터(74)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제어부로부터 커넥터(60)를 통해 입력된 전기 신호는, 하네스(64), 커넥터(74, 80)를 통해 진동 장치(14) 안의 전기 회로에 공급된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 장치(14)는, 전자식(電磁式)의 진동자이며, 보디(82)의 내부에 진동체로서의 마그넷(84)(영구 자석)을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디(82)는, 제1 하우징(86)과 제2 하우징(88)을 링형의 방진재(90)를 사이에 두고 접합하여 구성된다. 제1 하우징(86)에는 통형의 코어(91)가 세워져 마련되고, 그 코어(91)에 구동 코일(92)이 권취되어 있다. 마그넷(84)은 원기둥형을 이루고, 제1 하우징(86)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는 진동판에 고정되며, 코어(91)의 통 안, 즉 구동 코일(92)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88)은 바닥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마그넷(84)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제2 하우징(88)의 상면에는, 커넥터(8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구동 코일(92)은, 하네스(94)를 통해 커넥터(80)의 단자(96)에 접속되어 있다. 진동 장치(14)는, 하네스(94)를 통해 그 구동 코일(92)에 교류 전류가 인가된다. 이 때, 구동 코일(92)에 의해 생기는 교번자계와 마그넷(84)의 자계에 의해 마그넷(84)이 코어(91)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때, 마그넷(84)의 진동은, 차량용 등기구(10)를 구성하는 외측 렌즈(13)에 전달되고, 이 외측 렌즈(13)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3은, 차량용 등기구(10)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100)측의 차량 제어부(102)와 연계하여 그 조사 제어 및 발음 제어를 실행한다. 차량 제어부(102)와 등기구 제어 유닛(50)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등기구 제어 유닛(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의 조사 제어를 실행하는 조사 제어부(52)를 포함한다. 차량 제어부(102)는, 통지음의 출력 제어를 실행하는 발음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조사 제어부(52)는, 운전자에 의한 라이트 스위치(104)의 조작에 기인하여 차량 제어부(102)로부터 점등 지령이 출력되면, 광원(36)의 점등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조사 제어부(52)는, 스티어링 센서(106), 차속 센서(108), 내비게이션 시스템(110) 등에 의한 검출 정보에 기인하여 차량 제어부(102)로부터 지령이 출력되면, 스위블 액추에이터(28)를 제어하여 등기구 유닛(20)의 광축을 차폭 방향에 대해서 조정한다. 예컨대 곡선 도로 주행이나 우/좌회전 주행 등의 선회시에 등기구 유닛(20)의 광축을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조사 제어부(52)는, 레벨링 액추에이터(29)를 구동하여, 등기구 유닛(20)의 광축을 차량 상하 방향에 대해서 조정한다. 예컨대 가감속시에서의 차량 자세가 전방으로 기울여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여지는 것에 따라 등기구 유닛(20)의 자세를 조정하여 전방 조사의 도달 거리를 최적의 거리로 조정한다.
차량용 등기구(10)는,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 등 저속시에서의 주행음이 정숙한 차량에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즉, 차량 제어부(102)는, 차량이 저속 주행 등을 하고 있을 때에, 진동 장치(14)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이 진동 장치(14)를 진동시켜 외측 렌즈(13)에서 증폭된 통지음을 출력시킨다. 이 외측 렌즈(13)에 의한 통지음에 의해 주위 사람에게 자차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속 센서(108)에 의해 검출된 차속이 일정 속도(예컨대 20 km/h) 이하가 되면, 차량 제어부(102)가 진동 장치(14)를 향해 자차의 접근 통지를 행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진동 장치(14)를 소정 진동수로 진동시켜 통지음을 발음시키는 통지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동 장치(14)의 보디(82)[제2 하우징(88)]에 커넥터(80)가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진동 장치(14)로부터 외부에 연장되는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그 만큼,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시스템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장치(14)로부터 하네스를 연장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정된 커넥터(80)에 대하여 외부의 커넥터(74)를 접속하면 좋고, 취급이 간이해진다. 또한, 진동 장치(14)가 외측 렌즈(13)의 내벽에 고정될 때, 진동 장치(14)로부터 하네스를 연장시키지 않으므로,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를 장착할 때에 하네스가 끼일 걱정도 없기 때문에, 장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86)과 제2 하우징(88)의 사이에 방진재(90)를 개재했기 때문에, 마그넷(84)의 진동이 커넥터(80)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커넥터(80)와 커넥터(74)의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210)에서는, 램프 보디(12)의 개구부(76)를 밀봉하는 커버와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네스(64)의 선단에 마련되는 커넥터(274)의 후단부에 커버부(278)가 마련되고, 커넥터(274)가 커넥터(80)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커버부(278)가 개구부(76)를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274)의 접속 작업이 간략화되어, 장착성이 향상된다.
[제3 실시형태]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접속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310)에서는, 램프 보디(12)의 개구부(76)를 밀봉하는 커버와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네스(64)의 선단에 마련되는 커넥터(374)가 커버를 겸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 렌즈(13)가 램프 보디(12)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진동 장치(14)에 마련된 커넥터(380)와 외부 커넥터(37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보디(12)의 내벽에 한 쌍의 배선(390)이 실장되고, 각 배선(390)의 선단에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형의 접점(392)이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374)의 한 쌍의 단자(376)는, 배선(390)의 접점(392)과의 반대측 단부에 접속된다. 한편, 커넥터(380)에도 상기 한 쌍의 단자에 각각 이어지는 한 쌍의 접점(382)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접점(382)은 한 쌍의 접점(392)에 각각 대향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렌즈(13)가 램프 보디(12)에 장착되면, 진동 장치(14)측의 접점(382)과 배선(390)측의 접점(392)이 탄성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진동 장치(14)측의 커넥터(380)와 외부의 커넥터(37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의 장착 작업이 양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작업으로도 되어,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램프 보디(12)에 배선(390)(도통로)을 미리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커넥터(374)와 커넥터(380)를 잇는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장착성이 향상된다.
[제4 실시형태]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410)에서는, 진동 장치(14)에의 급전(給電) 방식으로서 와이어리스 급전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네스(64)의 선단에 전기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 장치(474)를 마련하고, 진동 장치(14)에 수신 장치(480)를 일체로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리스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급전 그 자체는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
도 8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510)에서는, 등기구 제어 유닛(550)에 조사 제어부(52) 외, 발음 제어부(554)가 마련되어 있다. 발음 제어부(554)는, 차량 제어부(102)로부터 통지 지령을 수취하면, 그 통지 지령에 기초하여 진동 장치(14)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그 진동 장치(14)를 진동시킨다. 또한, 진동 장치(14)는, 외측 렌즈(13)의 하단부에 고정되지만, 등실(18)의 외부에 배치된다.
발음 제어부(554)는, 하네스(564)를 통해 커넥터(80)에 접속된다. 하네스(564)는, 등실(18) 안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커버(78)를 관통하고, 그 선단에 커넥터(74)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를 장착한 후에, 커넥터(74)와 커넥터(80)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를 장착한 후에, 진동 장치(14)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외측 렌즈(13)와 램프 보디(12)의 장착시에 하네스(564)가 끼일 걱정은 없다. 이 때문에 장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음 제어부(554)를 등실(18) 안에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등실(18) 밖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진동 장치(14)와 발음 제어부(554) 양쪽 모두를 등실(18) 밖에 마련함으로써 커버(78)가 불필요해져, 진동 장치(14)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반대로, 진동 장치(14)와 발음 제어부(554) 양쪽 모두를 등실(18) 안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등실 안에 마련된 진동 장치가, 등실 안에 배치되어 있는 발음 제어부에 외부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커버(78)가 불필요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것이나 치환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실시형태에서의 조합이나 처리의 순서를 적절하게 재조합하는 것이나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실시형태에 대하여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변형예 1)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장치(14)의 보디(82)의 단부면에 커넥터(80)를 마련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82)의 측면에 커넥터(80)를 일체로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진동 장치의 고정에 확보되는 스페이스에 따라 커넥터(80)의 배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진동 장치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보디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수지재로 구성하고, 별도 시일 부재를 통해 하네스를 관통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커버를 고무로 형성하는 등, 커버 자체에 시일 성능을 갖게 하여도 좋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장치의 하우징과 장치 커넥터를 일체 성형한 예를 나타냈지만, 진동 장치와 장치 커넥터를 다른 공정에서 제조하고, 이들을 일체로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진동 장치의 하우징과 장치 커넥터 사이에 시일 부재나 방진 부재를 개재시켜도 좋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술하지 않았지만, 발음 제어부와 진동 장치를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하네스만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차량 제어부와 진동 장치를 커넥터를 통하지 않고 하네스만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장치를 헤드 램프의 외측 렌즈(13)에 고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컨대 램프 보디(12) 또는 그 외의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또는 그 외의 램프의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하여도 좋다.
10: 차량용 등기구 12: 램프 보디
13: 외측 렌즈 14: 진동 장치
18: 등실 20: 등기구 유닛
36: 광원 50: 등기구 제어 유닛
52: 조사 제어부 60: 커넥터
62, 64: 하네스 68: 커넥터
70, 72: 하네스 74: 커넥터
76: 개구부 78: 커버
80: 커넥터 82: 보디
84: 마그넷 86: 제1 하우징
88: 제2 하우징 90: 방진재
92: 구동 코일 94: 하네스
96: 단자 102: 차량 제어부
210: 차량용 등기구 274: 커넥터
278: 커버부 310: 차량용 등기구
374: 커넥터 376: 단자
380: 커넥터 382: 접점
390: 배선 392: 접점
410, 510: 차량용 등기구 550: 등기구 제어 유닛
554: 발음 제어부 564: 하네스

Claims (5)

  1. 램프 보디와,
    상기 램프 보디와의 사이에 등실을 구획하는 외측 렌즈, 그리고
    등기구를 구성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고,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기구 구성 부품을 발음시키는 진동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등기구 구성 부품에 대하여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에 마련되는 전기 회로와,
    상기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 그리고
    상기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외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치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등실 안의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고,
    상기 램프 보디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 커넥터를 상기 등실에 유도하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외부 커넥터에 이어지는 하네스를 지지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외부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커넥터가 상기 장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외부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등기구 구성 부품으로서의 상기 외측 렌즈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 렌즈가 상기 램프 보디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장치 커넥터와 상기 외부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램프 보디와,
    상기 램프 보디와의 사이에 등실을 구획하는 외측 렌즈, 그리고
    등기구를 구성하는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고,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등기구 구성 부품을 발음시키는 진동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등기구 구성 부품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에 마련되는 전기 회로와,
    상기 전기 회로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 그리고
    상기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회로와,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원이 되는 외부 제어 장치는, 상기 하네스만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30054275A 2012-05-30 2013-05-14 차량용 등기구 KR101435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2739A JP2013248900A (ja) 2012-05-30 2012-05-30 車両用灯具
JPJP-P-2012-122739 2012-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70A KR20130135070A (ko) 2013-12-10
KR101435332B1 true KR101435332B1 (ko) 2014-08-27

Family

ID=4967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75A KR101435332B1 (ko) 2012-05-30 2013-05-14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96164B2 (ko)
JP (1) JP2013248900A (ko)
KR (1) KR101435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579B1 (fr) * 2015-09-24 2017-10-13 Vignal Systems Feu arriere de vehicule et systeme de commande d’un accessoire d’un vehicule
DE102019007127A1 (de) * 2019-10-14 2021-04-15 Daimler Ag Leuchte für ein Kraftfahrzeug
WO2023120166A1 (ja) * 2021-12-24 2023-06-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車両用リアラン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467U (ko) * 1980-04-23 1981-11-21
KR20040015431A (ko) * 2002-08-12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빔 레벨링 기능을 갖는 차량의 헤드램프 조립체
JP2004314863A (ja) 2003-04-18 2004-11-11 Takehara:Kk 無線警告装置
JP2007283809A (ja) 2006-04-13 2007-11-01 Anden 車両周辺に対して警報を発する警報音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7747A (en) * 1990-07-25 1991-09-10 Designtech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 back-up light and sound emitting device for trucks and other automotive vehicles
JPH0544685U (ja) * 1991-11-19 1993-06-15 新電元工業株式会社 発音源付電子式方向指示装置
JPH1064616A (ja) * 1996-08-20 1998-03-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0261301A (ja) * 1997-01-16 1998-09-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前照灯
JPH11310076A (ja) * 1998-04-30 1999-11-09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JP2000308323A (ja) * 1999-04-19 2000-11-02 Star Micronics Co Ltd 振動体
JP2003154315A (ja) * 2001-11-22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4236178B2 (ja) * 2004-02-06 2009-03-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09214812A (ja) * 2008-03-12 2009-09-2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060758B1 (ko) * 2008-11-19 2011-08-3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의 발광소자 패키지의 냉각장치 및 진동발생장치의 헤드램프
JP2010178419A (ja) * 2009-01-27 2010-08-12 Sanyo Electric Co Ltd 振動発生器
JP2011213228A (ja) * 2010-03-31 2011-10-27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動自動車の警報音発生装置
JP2012081818A (ja) * 2010-10-08 2012-04-26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6467U (ko) * 1980-04-23 1981-11-21
KR20040015431A (ko) * 2002-08-12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빔 레벨링 기능을 갖는 차량의 헤드램프 조립체
JP2004314863A (ja) 2003-04-18 2004-11-11 Takehara:Kk 無線警告装置
JP2007283809A (ja) 2006-04-13 2007-11-01 Anden 車両周辺に対して警報を発する警報音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070A (ko) 2013-12-10
US20130322106A1 (en) 2013-12-05
US9096164B2 (en) 2015-08-04
JP2013248900A (ja)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575B2 (ja) 車両用ランプ
JP4433789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1505283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1435332B1 (ko) 차량용 등기구
JP2004237780A (ja) ランプ付きアウターミラーおよびランプ付きサイドミラー
JP2013241156A (ja) 車両用灯具
US8730026B2 (en) Vehicular lamp
US9121560B2 (en) Motor vehicle
JP6037733B2 (ja) 車両用灯具
JP2006240421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308659B2 (ja) 車両用灯具
JP4395328B2 (ja) 車両用灯具
JP5099051B2 (ja) 車両存在報知装置
JP2023146706A (ja) 灯具
JP2015115169A (ja) 車両用ランプ
CN215513430U (zh) 一种自适应前照灯模组
WO2022149587A1 (ja) 音発生構造
WO2023189152A1 (ja) 音発生ユニット
JP2024043355A (ja) 音発生ダクト構造
WO2023120166A1 (ja) 車両用灯具、車両用リアランプ
WO2023113030A1 (ja) 給電構造
CN115817329A (zh) 适路性照明头灯
KR102508814B1 (ko) 차량의 변속 레버용 노브
JP2023147748A (ja) 灯具
JP2001035214A (ja) 自動車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