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200B1 - 브러시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200B1
KR101472200B1 KR1020130006630A KR20130006630A KR101472200B1 KR 101472200 B1 KR101472200 B1 KR 101472200B1 KR 1020130006630 A KR1020130006630 A KR 1020130006630A KR 20130006630 A KR20130006630 A KR 20130006630A KR 101472200 B1 KR101472200 B1 KR 10147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ermanent magnet
back yoke
hol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176A (ko
Inventor
요시히코 혼다
요이치 가와키타
가즈미치 하나이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1080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999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55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6711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8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02K1/30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using intermediate parts, e.g. sp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과제) 로터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간단하게 일체화한다.
(해결 수단) 로터 (22) 는, 샤프트 (24) 와, 샤프트 (24) 에 고정된 백 요크 (62, ‥) 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 (64a∼64d) 을 가지고 있다. 백 요크 및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양 단에는, 각각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는 제 1 수지부 (68a) 및 제 2 수지부 (68b) 의 일방이 형성되어 있다. 백 요크 내, 및/또는 샤프트와 백 요크 사이에는,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 (66)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통공 (66) 내에 제 1 수지부 및 제 2 수지부를 연결하는 제 3 수지부 (68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와 제 3 수지부 (68c) 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로터와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은, 브러시리스 모터를 개시한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로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측에 배치된 백 요크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하고 있다. 영구 자석과 백 요크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양 단에는 수지부가 형성되고, 또 백 요크의 내주면 전체에도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영구 자석과 백 요크는, 이들 수지부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백 요크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지부에는 베어링이 형성되고, 이 베어링에 샤프트가 걸어맞춰져 있다. 이로써,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이 일체화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개시한다. 이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로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측에 배치된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의 외주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구비한다. 영구 자석의 축 방향의 양 단에는, 영구 자석의 축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외직경을 갖는 소직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추가로 영구 자석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소직경부의 축 방향의 단면에 맞닿는 맞닿음면부와, 소직경부의 외주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갖는다. 끼워맞춤부는, 복수의 후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의 내직경은, 소직경부의 외직경보다 작다. 소직경부가 끼워맞춤부에 압입됨으로써, 탄성 부재는, 소직경부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는, 영구 자석을 로터 코어측에 탄성 지지함으로써, 영구 자석을 지지한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483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05572호
특허문헌 1 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백 요크의 내주면에 수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각 부에 형성되는 수지부가 접속되고, 이들 수지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간단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그러나, 백 요크의 내주면 전체에 수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샤프트가 걸어맞춰지는 베어링을 수지부에 형성해야 한다. 이 때문에, 로터 회전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수지부에 형성된 베어링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수지부에 형성된 베어링에 비교적 큰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게 되어, 로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 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끼워맞춤부의 내직경은 소직경부의 외직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탄성 부재가 소직경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끼워맞춤부의 후크는, 로터의 외측을 향하여 넓어진다. 따라서, 특허문헌 2 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끼워맞춤부의 내직경과 소직경부의 외직경의 치수 차를 고려하여, 끼워맞춤부의 후크가 로터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우에도, 끼워맞춤부의 후크가 스테이터에 접촉하지 않도록, 영구 자석과 스테이터의 간극을 크게 하거나, 소직경부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모터 효율이 저하된다.
본 명세서의 일 목적은, 로터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샤프트와 백 요크의 유지력을 확보하면서,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간단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영구 자석을 적절히 지지하면서, 모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목적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는,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를 가지고 있다. 로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된 백 요크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과, 백 요크 및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어,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는 제 1 수지부와, 백 요크 및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타단에 형성되고,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는 제 2 수지부를 가지고 있다. 백 요크 내, 및/또는 샤프트와 백 요크 사이에는,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통공 내에 제 1 수지부 및 제 2 수지부에 접속된 제 3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지부와 제 2 수지부와 제 3 수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는,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개시한다. 로터는,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과 마그넷 홀더를 구비한다. 백 요크는 샤프트에 고정된다. 영구 자석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마그넷 홀더는,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끼워맞춘다. 마그넷 홀더는, 기부 (基部) 와 복수 개의 주벽부 (周壁部) 를 구비한다. 기부는, 영구 자석의 단면에 대향한다. 복수 개의 주벽부의 각각은, 영구 자석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되고 있고, 영구 자석의 단부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맞닿는다. 또, 기부는, 복수 개의 외주 부분과 내주 부분과 들보 부분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은, 복수 개의 주벽부에 연결되어 있다. 내주 부분은, 복수 개의 외주부보다 샤프트측에 위치하여, 샤프트를 일순 (一巡) 한다. 들보 부분은, 복수 개의 외주 부분과 내주 부분을 연결하고 있고, 외주 부분이 내주 부분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샤프트가 백 요크에 고정되기 때문에, 수지부에 원심력에 대한 유지력 (백 요크를 샤프트에 유지하기 위한 힘) 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수지부에 필요하게 되는 기계적 강도를 낮출 수 있어, 로터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백 요크 내, 및/또는 샤프트와 백 요크 사이에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공 내에 형성되는 제 3 수지부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수지부 및 제 2 수지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샤프트와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간단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마그넷 홀더의 주벽부가 영구 자석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영구 자석이 백 요크로부터 이간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마그넷 홀더에 의해, 영구 자석이 적절히 지지된다. 마그넷 홀더에서는, 들보 부분이 변형되어, 외주 부분이 내주 부분으로부터 이간됨으로써, 복수 개의 주벽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마그넷 홀더를 영구 자석에 끼워맞출 때, 주벽부가 로터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가 경사지는 것을 고려하여, 영구 자석과 스테이터와 간극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을 적절히 지지하면서, 모터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로터의 변형예에 관련된 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5 는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VI-VI 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로터의 변형예에 관련된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로터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9 는 도 5 에 나타내는 로터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10 은 실시예 2 에 관련된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 2 의 변형예에 관련된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실시예 3 에 관련된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선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의 XIV-XIV 선 단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예 3 의 변형예에 관련된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16 은 실시예 4 에 관련된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XVII-XVII 선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XVIII-XVIII 선 단면도이다.
도 19 는 실시예 4 의 변형예에 관련된 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단면에 상당).
도 20 은 실시예 5 에 관련된 로터의 정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XXII-XXII 선 단면도이다 (단, 수지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3 은 도 21 의 XXIII-XXIII 선 단면도이다.
도 24 는 도 21 의 XXIV-XXIV 선 단면도이다 (단, 백 요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5 는 실시예 5 의 변형예에 관련된 규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4 에 상당하는 도면).
도 26 은 실시예 5 의 변형예에 관련된 로터의 정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에 나타내는 로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XXVIII-XXVIII 선 단면도이다.
도 29 는 실시예 6 의 연료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30 은 로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 은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2 는 가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3 는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의 VI-VI 선 단면도이다.
도 35 는 연결 부분의 각도 θ 와 주벽부의 변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6 은 변형예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7 은 변형예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8 은 변형예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9 는 변형예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0 은 변형예의 로터의 VI-VI 선 단면도이다.
도 41 은 변형예의 연료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42 는 실시예 7 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3 는 실시예 7 의 가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4 은 실시예 8 의 마그넷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5 은 실시예 8 의 가압 부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열거하여 기재해 둔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된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징 1)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영구 자석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제 4 수지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고, 제 1∼제 4 수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보다 확실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특징 2)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영구 자석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영역은, 교대로 상이한 방향으로 자화 (磁化) 되어 있어도 된다.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는, 연통공의 적어도 일부가, 각 영역의 둘레 방향의 중앙과 샤프트 축선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의 분할된 각 영역으로부터 백 요크를 통과하여 인접하는 영역으로 흐르는 자속이 연통공에 의해 잘 분단되지 않게 되어, 자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특징 3)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백 요크는, 그 중심에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샤프트는, 백 요크의 관통공에 압입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샤프트를 백 요크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징 4)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백 요크는, 그 중심에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샤프트의 외형상은 원형상이 되는 한편 백 요크의 관통공은 다각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은, 샤프트의 관통공과 백 요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 요크의 관통공을 다각형상으로 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연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특징 5)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영구 자석은,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상이 되는 복수의 부분 영구 자석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백 요크에는,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 범위 내의 적어도 1 지점에 있어서, 부분 영구 자석의 둘레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둘레 방향 위치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분 영구 자석을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징 6)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로터는,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어 있고, 영구 자석이 샤프트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마그넷 홀더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을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징 7)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고, 백 요크와 마그넷 홀더를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맞닿게 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수지부를 일체 성형할 때에, 가압 부재에 의해 수지가 영구 자석의 외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의 외직경은, 영구 자석의 외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지의 버 커트 가압 부재의 외주면에서 실시할 수 있어, 수지가 가압 부재의 외주면을 넘어 영구 자석의 외주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는, 로터의 웨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특징 8) 샤프트 축선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 주벽부가 맞닿아 있는 영구 자석의 외주면은, 영구 자석의 그 밖의 외주면보다 샤프트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벽부가 영구 자석의 외주면으로부터 로터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주벽부가 영구 자석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영구 자석과 스테이터의 간극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특징 9) 복수 개의 주벽부의 각각은, 영구 자석의 외주면을 따라 신장되는 연결 부분에서 외주 부분과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샤프트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연결 부분의 일방의 단과 샤프트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연결 부분의 타방의 단과 샤프트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는, 40°이상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에 의해, 영구 자석이 로터의 외측을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로터 회전시의 영구 자석의 변위를 고려하여, 로터와 스테이터의 간극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특징 10)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들보 부분에 의해, 내주 부분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 홀더는, 1 개의 외주부에 대해 1 개의 들보부가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안정적으로 영구 자석을 지지할 수 있다.
(특징 11) 로터는, 기부의 영구 자석과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 있고, 기부의 영구 자석과 반대측으로부터 영구 자석을 향하여 기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 홀더의 기부가,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마그넷 홀더는, 안정적으로 영구 자석을 지지할 수 있다.
(특징 12) 샤프트 축선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 가압 부재의 외직경은, 영구 자석의 외직경 및 마그넷 홀더의 외직경보다 커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로터의 회전을 안정시키기 위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특징 13) 로터는, 들보 부분의 변형을 규제하는 수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시에 들보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마그넷 홀더는, 안정적으로 영구 자석을 지지할 수 있다.
(특징 14) 기부는,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에 대해, 당해 외주 부분에 연결되는 들보 부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부재는,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은,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수지 부재에 대해, 내주측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맞닿음부가 수지 부재의 내주측에 맞닿음으로써, 외주 부분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로터의 회전시에 들보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 에 관련된 브러시리스 모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동차용의 연료 펌프 (10) 에 사용된다. 연료 펌프 (10) 는,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한다. 먼저, 연료 펌프 (1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 (10) 는, 모터부 (20) 와 펌프부 (40) 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부 (20) 와 펌프부 (40) 가 하우징 (14) 내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14) 은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4) 의 상측에는 모터부 (20) 가 배치되고, 하우징 (14) 의 하측에는 펌프부 (40) 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14) 의 상단에는, 모터 커버 (16) 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 커버 (16) 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토출 포트 (18) 와,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 (50) 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부 (20) 는, 로터 (22) 와, 로터 (22) 의 외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 (32) 를 가지고 있다. 로터 (22) 는, 다음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 (24) 와, 백 요크 (62) (도 2 에 도시) 와, 영구 자석 (64a∼64d) (도 2 에 도시)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 (24) 는, 하우징 (14) 에 대해, 베어링 (26, 28)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터 (32) 는, 하우징 (14)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 (32) 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요크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슬롯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슬롯의 선단면은, 로터 (22) 의 외주면과 약간의 갭 (단, 도 1 에서는 갭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각 슬롯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 각 코일에는, 커넥터 단자 (50) 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부 (40) 는, 대략 원판상의 임펠러 (44) 와, 임펠러 (44) 를 수용하는 펌프 케이싱 (38, 42) 을 구비하고 있다. 임펠러 (44) 의 상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부군 (44a) 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 (44) 의 하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부군 (44b) 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 (44) 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공에는 샤프트 (24) 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이 때문에, 샤프트 (20) 가 회전하면 임펠러 (36) 도 회전한다.
펌프 케이싱 (38, 42) 은, 그 내부에 임펠러 (44) 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우징 (14) 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 (38, 42) 은, 토출측 케이싱 (38) 과 흡입측 케이싱 (42) 으로 구성된다. 토출측 케이싱 (38) 에는, 임펠러 (44) 의 상면의 오목부군 (44a) 에 대향하는 영역에 홈 (38a) 이 형성되어 있다. 홈 (38a) 은, 임펠러 (44) 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까지 신장되는 대략 C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케이싱 (38) 에는, 홈 (38a) 의 하류단으로부터 토출측 케이싱 (38) 의 상면에 이르는 토출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는, 펌프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 (모터부 (20) 의 내부 공간) 를 연통시키고 있다.
흡입측 케이싱 (42) 에는, 임펠러 (44) 의 하면의 오목부군 (44b) 에 대향하는 영역에 홈 (42a) 이 형성되어 있다. 홈 (42a) 도 홈 (38a) 과 마찬가지로, 임펠러 (44) 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까지 신장되는 대략 C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케이싱 (42) 에는, 흡입측 케이싱 (42) 의 하면으로부터 홈 (42a) 의 상류단에 이르는 흡입구 (46)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46) 는, 펌프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 (연료 펌프의 외부) 를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서술한 연료 펌프 (10) 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 (50) 를 개재하여 스테이터 (32) 의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 (22) 가 회전한다. 로터 (22) 의 회전에 수반하여 임펠러 (44) 가 회전하면, 흡입측 케이싱 (42) 의 흡입구 (46) 로부터 펌프 케이싱 내에 연료가 흡입된다. 펌프 케이싱 (38, 42) 내에 흡입된 연료는, 펌프 유로 (42a, 44b, 44a, 38a) 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승압되면서 흐른다. 펌프 유로에서 승압된 연료는, 토출구를 통과하여 모터부 (20) 의 하우징 (14) 내로 내보내진다. 하우징 (14) 내로 내보내진 연료는, 하우징 (14) 내를 상방을 향하여 흘러 모터 커버 (16) 의 토출 포트 (18) 로부터 토출된다.
다음으로, 로터 (22) 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22) 는, 샤프트 (24) 와, 샤프트 (24) 에 고정된 백 요크 (62, ‥) 와,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배치된 영구 자석 (64a∼64d) 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 (24) 는, 백 요크 (62, ‥) 를 관통하여 신장되고 있고, 그 하단에 임펠러 (44) 의 관통공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24a) 에서는, 샤프트 축선 A 에 직교하는 단면 (이하, 간단히 직교 단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형상이 대략 D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 (24) 의 걸어맞춤부 (24a) 가 임펠러 (44) 의 관통공에 걸어맞춰지면, 양자는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24a) 이외의 부위에서는, 샤프트 (24) 의 직교 단면의 외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3 참조).
백 요크 (62, ‥) 는, 축선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 (6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2) 는, 자성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어 플레이트 (62) 의 중앙에는 관통공 (6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2) 에 형성된 관통공 (66) 에 의해, 백 요크 (62, ‥) 에는, 축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관통공 (66, ‥)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백 요크 (62, ‥) 의 관통공 (66, ‥) 에는, 샤프트 (24) 가 압입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66) 의 직교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상이 되는 한편, 샤프트 (24) 의 직교 단면의 형상이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요크 (62, ‥) 의 관통공 (66, ‥) 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면, 샤프트 (24) 의 외주면과 각 코어 플레이트 (62) 의 관통공 (66) 의 내주면 사이의 4 지점에 연통공 (66a) 이 형성된다. 각 연통공 (66a) 은, 샤프트 축선과 평행하게 신장되고 있고, 백 요크 (62, ‥) 를 관통하고 있다.
영구 자석 (64a∼64d) 은,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 (64a∼64d) 은, 백 요크 (62, ‥) 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신장됨과 함께, 직교 단면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도 3 참조). 이 때문에,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영구 자석 (64a∼64d) 이 배치되면, 각 영구 자석 (64a∼64d) 은, 인접하는 영구 자석과 맞닿아, 원통상의 영구 자석부가 형성된다. 영구 자석 (64a∼64d) 은, 교대로 상이한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구 자석 (64a, 64c) 은, 그 외주면측이 N 극이 되고, 그 내주면측이 S 극이 되도록 자화되고, 또 영구 자석 (64b, 64d) 은, 그 외주면측이 S 극이 되고, 그 내주면측이 N 극이 되도록 자화되어 있다. 도 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 축선 A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는, 각 영구 자석 (64a∼64d) 의 둘레 방향의 중앙과 샤프트 축선 A 를 연결한 선분 B 상에 각 연통공 (66a) 이 위치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요크 (62, ‥) 의 상면과 영구 자석 (64a∼64d) 의 상면에는, 제 1 수지부 (68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백 요크 (62, ‥) 의 하면과 영구 자석 (64a∼64d) 의 하면에는, 제 2 수지부 (68b)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가, 백 요크 (62, ‥) 와 영구 자석 (64a∼64d) 의 양자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백 요크 (62, ‥) 에 영구 자석 (64a∼64d) 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샤프트 (24) 와 백 요크 (62, ‥) 사이에 형성된 각 연통공 (66a) 에는, 제 3 수지부 (68c) 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 (66a) 이 백 요크 (62, ‥) 를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기 때문에, 제 3 수지부 (68c) 의 상단은 제 1 수지부 (68a) 에 접속되고, 제 3 수지부 (68c) 의 하단은 제 2 수지부 (68b) 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3 수지부 (68c) 는,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 펌프 (10) 에서는, 로터 (22) 에 연통공 (66a)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와 제 3 수지부 (68c) 를 1 회의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것을, 로터 (22) 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로터 (22)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 요크 (62, ‥) 의 관통공 (66, ‥) 에 샤프트 (24) 를 압입한다. 이어서,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영구 자석 (64a∼64d) 을 배치한 상태에서, 샤프트 (24) 와 백 요크 (62, ‥) 와 영구 자석 (64a∼64d) 을 금형 내에 배치한다. 금형에는, 금형 내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백 요크 (62, ‥) 의 상면측 또는 하면측에 게이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금형 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각 수지부 (68a, 68b, 68c) 를 성형한다. 예를 들어, 백 요크 (62, ‥) 의 하면측에 게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형 내에 사출된 수지는, 먼저, 제 1 수지부 (68a)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에 유입된다. 제 1 수지부 (68a)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에 유입된 수지는, 그 공간을 수지로 충전함과 함께, 연통공 (66a) 을 통과하여 제 2 수지부 (68b)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흘러, 이 공간을 수지로 충전한다. 이로써,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와 제 3 수지부 (68c) 가 1 회의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서술한 연료 펌프 (10) 에서는, 샤프트 (24) 가 백 요크 (62, ‥) 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 (22) 의 회전시에 백 요크 (62, ‥) 및 영구 자석 (64a∼64d) 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샤프트 (24) 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제 3 수지부 (68c) 에서 받을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연통공 (66a) 은, 제 1 수지부 (68a) 와 제 2 수지부 (68b) 를 성형할 때의 수지 유입로로서의 기능을 갖기만 하면 된다. 그 결과, 제 3 수지부 (68c) 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로터 (22) 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24) 와 백 요크 (62, ‥) 가 압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부에서 유지하는 것보다 양자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펌프 (10) 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연료 펌프 (10) 에서는, 제 1 수지부 (68a) 및 제 2 수지부 (68b) 를 성형할 때에 연통공 (66a) 내에 수지를 흘리면 되기 때문에, 영구 자석 (64a∼64d) 의 외측에 수지 유로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 결과, 영구 자석 (64a∼64d) 의 외주면에 수지부가 형성되지 않아, 영구 자석 (64a∼64d) 과 스테이터 (32) 의 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영구 자석 사이에 수지를 흘릴 필요도 없기 때문에, 인접하는 영구 자석끼리를 맞닿게 할 수 있어, 영구 자석 (64a∼64d) 을 광각 (廣角) 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료 펌프 (10) 의 펌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통공 (66a) 은, 샤프트 축선 A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 영구 자석 (64a∼64d) 의 둘레 방향의 중앙과 샤프트 축선 A 를 연결한 직선 B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참조). 즉, 인접하는 영구 자석 (즉, 64a 와 64b, 64b 와 64c, 64c 와 64d, 64d 와 64a) 의 경계선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연통공 (66a)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요크 (62, ‥) 를 개재하여 인접하는 영구 자석 사이에 흐르는 자속이 통과하는 자속 면적이 연통공 (66a) 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연통공 (66a) 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자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어, 모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에서는, 복수의 영구 자석 (64∼64d) 을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배치하고 있지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원통상의 영구 자석 (70) 을 백 요크 (62, ‥) 의 외주면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 영구 자석 (70) 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 (70a∼70d) 에 자기적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 (70a∼70d) 이 교대로 상이한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에서는, 백 요크 (62, ‥) 와 샤프트 (24) 사이에 연통공 (66a) 을 형성했지만, 도 5,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요크 (72, ‥) 에 연통공 (74) 을 형성해도 된다. 즉, 백 요크 (72, ‥) 를 구성하는 각 코어 플레이트 (72) 에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 연통공을 형성하고, 각 코어 플레이트 (72) 의 부분 연통공에 의해 연통공 (74) 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연통공 (74) 내에 형성되는 제 3 수지부 (78c) 에 의해 제 1 수지부 (78a) 와 제 2 수지부 (78b) 가 접속되기 때문에, 이들 수지부 (78a, 78b, 78c) 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도 5, 6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연통공 (74) 은, 샤프트 축선 A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각 영구 자석 (76a∼76d) 의 둘레 방향의 중앙과 샤프트 축선 A 를 연결한 직선 B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참조). 따라서, 백 요크 (72, ‥) 안을 흐르는 자속이 통과하는 자속 면적이 연통공 (74) 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각 코어 플레이트 (72) 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각 코어 플레이트 (72) 에 부분 연통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24) 가 압입되는 백 요크 (72, ‥) 의 관통공은, 직교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 되어, 그 전체 둘레에서 샤프트 (24) 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이 때문에, 샤프트 (24) 를 백 요크 (72, ‥) 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백 요크 (72, ‥) 의 외주면에 4 개의 영구 자석을 배치했지만,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요크 (72, ‥) 의 외주면에 1 개의 원통상의 영구 자석 (80) 을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의 로터 (22) 를 변형시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로터에서는, 백 요크 (82, ‥) 의 외주면에 볼록부 (88a) 가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86a∼86d) 의 경계부에는 오목부 (88b) 가 형성되어 있다. 백 요크 (82, ‥) 의 외주면에 영구 자석 (86a∼86d) 이 배치되면, 백 요크 (82, ‥) 의 볼록부 (88a) 가 영구 자석 (86a∼86d) 의 오목부 (88b) 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 요크 (82, ‥) 에 대해 영구 자석 (86a∼86d) 이 샤프트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백 요크 (82, ‥) 에 대해 영구 자석 (86a∼86d) 을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로터에서도, 도 8 에 나타내는 로터와 같이, 영구 자석 (94a∼94d) 이 백 요크 (82, ‥) 에 대해 샤프트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로터에서는, 백 요크 (92, ‥) 의 외주면에 복수의 모따기부 (92a∼92d) 를 형성하고, 각 영구 자석 (86a∼86d) 의 양 단부 (96a∼96d) 를 모따기부 (92a∼92d) 를 따른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백 요크 (92, ‥) 에 대해 영구 자석 (94a∼94d) 이 샤프트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모따기부 (92a∼94d) 는 회전 방향에 대해 어느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의 로터에서는, 영구 자석 (64a∼64d) 의 외주면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영구 자석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제 4 수지부를 추가로 갖고, 제 1∼제 4 수지부를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 또, 백 요크를 구성하는 코어 플레이트끼리를 위치 결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 플레이트의 상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한편, 코어 플레이트의 하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코어 플레이트를 적층할 때에, 코어 플레이트 상면의 볼록부가 코어 플레이트 하면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도록 적층한다. 이로써, 코어 플레이트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어, 코어 플레이트 취급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연료 펌프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의 로터 (22) 를 변형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와의 상위점인 로터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로터 (22) 에서는, 백 요크 (62, ‥) 및 영구 자석 (64a∼64d) 의 상단과 하단에, 규제 플레이트 (100, 102) 가 각각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규제 플레이트 (100, 102) 의 중앙에는, 코어 플레이트 (62) 의 관통공 (66) 과 동일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규제 플레이트 (100, 102) 의 관통공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면, 샤프트 (24) 와 규제 플레이트 (100, 102) 사이에도 연통공이 형성된다. 이로써, 규제 플레이트 (100, 102) 가 샤프트 (24) 에 고정됨과 함께, 제 1 수지부 (103a) 와 제 2 수지부 (103b) 와 제 3 수지부 (103c) 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규제 플레이트 (100, 102)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걸림편 (100a, 102a) 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 (100a, 102a) 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편 (100a, 102a) 은, 영구 자석 (64a∼64d) 의 각각에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영구 자석 (64a∼64d) 이 백 요크 (62, ‥) 에 대해 회전 및 샤프트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수지부 (103a, 103b, 103c) 를 성형할 때의 수지압에 의해, 백 요크 (62, ‥) 에 대해 영구 자석 (64a∼64d) 이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의 로터 (22) 에서는, 규제 플레이트 (100, 102) 에 걸림편 (100a, 102a) 을 형성했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로터 (22) 에서는, 마그넷 (65a∼65d) 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에 걸림편 (67a, 67b) 을 형성하고, 이들 걸림편 (67a, 67b) 을 규제 플레이트 (106, 104) 에 걸어맞추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백 요크 (62, ‥) 에 대한 영구 자석 (65a∼65d) 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규제 플레이트 (100, 102, 104, 106) 의 각각은, 청구항의 마그넷 홀더의 일례이다.
상기 서술한 도 10, 1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림편 (100a, 102a 또는 67a, 67b) 을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형성했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편을 규제 플레이트 또는 영구 자석의 전체 둘레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백 요크에 대한 영구 자석의 위치 어긋남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의 연료 펌프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의 로터 (22) 를 변형시킨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와의 상위점인 로터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의 로터 (22) 에서는, 백 요크 (114, ‥) 및 영구 자석 (116, ‥) 의 상단과 하단에 규제 플레이트 (110)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요크 (114, ‥) 의 외주면에는 4 개의 영구 자석 (116) 이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영구 자석 (116, ‥) 의 경계에는 오목부 (116a) 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116a) 에 백 요크 (114, ‥) 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 (114a) 가 걸어맞춰져 있다. 볼록부 (114a) 는, 청구항의 둘레 방향 위치 규제부의 일례이다. 이로써, 백 요크 (114, ‥) 에 대한 영구 자석 (116, ‥) 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백 요크 (114, ‥) 의 중앙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직교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3 의 로터 (22) 에서도, 샤프트 (24) 와 백 요크 (114, ‥) 사이에 샤프트축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10) 의 중앙에는, 백 요크 (114, ‥) 와 동일한 관통공 (11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공 (117) 의 샤프트 축에 직교하는 단면의 외형상은 사각형상이 되어 있고, 이 관통공 (117) 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어 있다. 또, 규제 플레이트 (110) 와 샤프트 (24) 사이에는, 백 요크 (114, ‥) 와 샤프트 (24)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관통공 (117) 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기 때문에, 샤프트 (24) 에 대해 규제 플레이트 (110) 가 위치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백 요크 (114, ‥) 및 규제 플레이트 (110) 에 샤프트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점에서, 샤프트 (24) 의 양 단에 형성되는 수지부 (111a, 11b) 와 연통공 내에 형성되는 수지부 (단, 도 12 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 수지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고, 도 13, 14 에서는 이 수지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10)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4 개의 걸림편 (112) 이 형성되어 있다. 4 개의 걸림편 (112) 은,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걸림편 (112) 은, 영구 자석 (116) 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영구 자석 (116) 이 백 요크 (114, ‥) 에 대해 샤프트 축 둘레로 회전 및 샤프트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수지부 (111a, 111b) 를 성형할 때의 수지압에 의해, 백 요크 (114, ‥) 에 대해 영구 자석 (116, ‥) 이 위치 어긋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 요크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하는 규제 플레이트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 에 나타내는 규제 플레이트 (118) 를 사용해도 된다. 도 15 에 나타내는 규제 플레이트 (118) 에서는, 그 외주 가장자리 모두에 걸림벽 (118a) 이 형성되어, 이 걸림벽 (118a) 이 영구 자석에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규제 플레이트 (110, 118) 의 각각은, 청구항의 마그넷 홀더의 일례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 의 연료 펌프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의 로터 (22) 를 변형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와의 상위점인 로터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6∼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 의 로터 (22) 도, 실시예 3 의 로터 (22) 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단, 실시예 4 의 로터 (22) 에서는, 규제 플레이트 (120) 의 구성이 실시예 3 과 상이하다. 즉, 규제 플레이트 (120) 는, 백 요크 (124, ‥) 및 영구 자석 (126) (126a∼126d) 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 형성되어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20) 의 중앙에는 샤프트 축에 직교하는 단면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이 되는 관통공 (121) 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 (121) 에는 샤프트 (24) 가 압입되어 있다. 또, 규제 플레이트 (120)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4 개의 걸림편 (130) 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편 (130) 은, 인접하는 영구 자석의 경계 (즉, 126a 와 126b 의 경계, 126b 와 126c 의 경계, 126c 와 126d 의 경계, 및, 126d 와 126a 의 경계) 에 있어서, 영구 자석에 걸어맞춰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의 경계 (126a 와 126b 의 경계, 126b 와 126c 의 경계, 126c 와 126d 의 경계, 및, 126d 와 126a 의 경계) 에는, 그 외주측에 오목부 (127) 가 형성된다. 각 걸림편 (130) 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오목부 (127) 에 있어서 영구 자석 (126a∼126d) 의 측면에 맞닿아 있다.
실시예 4 에 있어서도, 백 요크 (124, ‥) 및 영구 자석 (126) 의 상단과 하단에 규제 플레이트 (120) 를 배치하고, 규제 플레이트 (120) 에 의해 영구 자석 (126) 의 백 요크 (124, ‥) 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규제한다. 이로써, 백 요크 (124, ‥) 에 대해 영구 자석 (126) 을 적절한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수지부를 성형할 수 있다. 또, 규제 플레이트 (120) 의 걸림편 (130) 이 영구 자석 (126) 과 맞닿는 위치는, 영구 자석 (126a∼126d) 의 경계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 (126a∼126d) 이 발생시키는 자계에 걸림편 (130) 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 효율의 저하가 억제되고, 펌프 효율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에 나타내는 로터 (22) 에 있어서는, 도 19 에 나타내는 영구 자석 (132) 을 사용해도 된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 (132) 의 일단에는 규제 플레이트 (120) 의 걸림편 (130) 이 맞닿는 맞닿음부 (132a) 가 형성된다. 한편, 영구 자석 (132) 의 타단에는, 인접하는 영구 자석 (132) 의 맞닿음부 (132a) 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부 (132b) 가 형성된다. 도 19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림편 (130) 이 영구 자석 (132) 의 일단에만 맞닿아, 걸림편 (130) 과 영구 자석 (132) 의 맞닿음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 (132) 의 일단을 규제 플레이트 (120) 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영구 자석 (132) 의 타단은, 인접하는 영구 자석의 일단과 걸어맞춰져, 이들을 걸림편 (130) 에서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터가 회전했을 때에, 영구 자석 (132) 이 탈락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규제 플레이트 (120) 는, 청구항의 마그넷 홀더의 일례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 의 연료 펌프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의 로터 (22) 를 변형시킨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 의 연료 펌프 (10) 와의 상위점인 로터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0,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의 로터 (22) 에서는, 백 요크 (141, ‥) 와 영구 자석 (140) 의 상단과 하단에, 규제 플레이트 (142) 및 가압 부재 (144b, 146b) 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 (144b) 의 하면과 가압 부재 (146b) 의 상면에는, 수지부 (144a, 146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0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42), 가압 부재 (144b, 146b) 및 수지부 (144a, 146a) 의 외직경은, 스테이터 (32) 의 내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터 (22) 는, 스테이터 (32)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42) 는, 둘레 방향의 일부 (148d) 가 개구되는 판재이고, 그 탄성력에 의해 영구 자석 (140) 을 백 요크 (141, ‥) 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지부 (144a, 146a) 의 성형 전에 있어서도, 백 요크 (141, ‥) 와 영구 자석 (140) 을 일체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24) 는 백 요크 (141, ‥) 의 관통공에 압입되고, 샤프트 (24) 와 백 요크 (141, ‥) 사이에는 연통공 (141a) 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 (141a) 내에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같이, 수지부 (144a, 146b) 를 연결하는 수지부 (도시 생략) 가 성형되어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42) 는, 영구 자석 (140) 의 외주면에 맞닿는 링상부 (148c) 와, 링상부 (148c) 에 일단이 접속된 복수의 돌편 (突片) (148a) 을 구비하고 있다. 링상부 (148c) 는, 둘레 방향의 일부 (148d) 가 개구되어 있고, 그 탄성력에 의해 확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 (140) 의 두께가 불규칙해도, 그에 따라 링상부 (148c) 를 추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돌편 (148a) 은, 링상부 (148c) 에 대해 절곡됨과 함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편 (148a) 의 선단에는, 관통공 (148b) 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144b, 146b) 는, 규제 플레이트 (142) 를 영구 자석 (140) 측을 향하여 가압함과 함께, 로터 (22) 의 웨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가압 부재 (144b, 146b) 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 (144b) 와 가압 부재 (146b) 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가압 부재 (146b)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146b) 는, 그 중심에 샤프트 (24) 가 압입되는 관통공 (152) 과, 그 외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관통공 (150) 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 (152) 은, 백 요크 (141, ‥) 의 관통공 (도 23 참조) 과 동일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 (146b) 와 샤프트 (24) 사이에도, 백 요크 (141, ‥) 와 샤프트 (24)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 (141a) 과 연통하는 연통공 (15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5 에 있어서도, 수지부 (144a) 와 수지부 (146a) 를 1 회의 수지 성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통공 (150) 은, 규제 플레이트 (142) 의 돌편 (148a) 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 (148b) 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부 (144a, 146a) 를 성형할 때에는, 가압 부재 (144b, 146b) 의 관통공 (150) 및 규제 플레이트 (142) 의 관통공 (148b) 의 내부에도 수지가 흘러, 이들 내부에 수지가 충전된다. 그 결과, 가압 부재 (144b, 146b), 규제 플레이트 (142), 영구 자석 (140), 백 요크 (141) 모두가 수지 성형 후에 고정됨과 함께, 로터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영구 자석 (140) 이 백 요크 (141) 로부터 빠지려고 하는 힘에 대해 규제 플레이트 (142) 의 개구부 (148d) 가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영구 자석 (140) 이 백 요크 (141) 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5 의 로터 (22) 에 있어서도, 샤프트 (24) 가 백 요크 (141, ‥) 및 가압 부재 (144b, 146b) 에 압입되기 때문에, 수지부에 원심력에 대한 유지력이 필요하게 되지 않아, 수지부에 큰 기계적 강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그 결과, 로터 (22) 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백 요크 (141, ‥) 및 가압 부재 (144b, 146b) 를 관통하는 연통공 (141a, 152a) 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지부 (144a, 146a) 를 1 회의 수지 성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 의 로터 (22) 에서는, 영구 자석 (140) 의 상하 양 단에 규제 플레이트 (142) 및 가압 부재 (144b, 146b)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요크 (141, ‥) 에 대한 영구 자석 (140) 의 위치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고, 수지부를 성형할 때에도 양자를 적정한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로터 (22) 를 양호한 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 (144b, 146b) 에 의해 수지가 규제 플레이트 (142) 의 개구부나 영구 자석 (140) 간의 간극에 비집고 들어가지 않도록 수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 수지 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 (140) 의 단부에 배치되는 규제 플레이트에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규제 플레이트 (154) 를 사용해도 된다.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54) 는, 영구 자석 (140) 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맞닿는 링상의 플레이트부 (155) 를 가지고 있다. 이 플레이트부 (155) 의 내주 가장자리에, 관통공 (158) 이 형성된 돌편 (156)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레이트부 (155) 에 의해 규제 플레이트 (154) 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영구 자석 (140) 을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혹은, 도 26∼28 에 나타내는 규제 플레이트 (160) 를 사용해도 된다. 도 26,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 (160) 는, 백 요크 (141, ‥) 의 단면에 맞닿는 제 1 평면부 (160a) 와, 영구 자석 (140) 의 외주면에 맞닿는 제 2 평면부 (160b)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평면부 (160a) 의 중앙에는 관통공 (164)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64) 은, 가압 부재 (144b, 146b) 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152) 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제 2 평면부 (160b) 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슬릿 (16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 참조). 제 2 평면부 (160b) 에 슬릿 (162) 을 형성함으로써, 제 2 평면부 (160b) 는 영구 자석 (140) 의 두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규제 플레이트 (142, 154, 160) 의 각각은, 청구항의 마그넷 홀더의 일례이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 관련된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동차용의 연료 펌프 (100) 에 사용된다. 연료 펌프 (100) 는,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한다. 먼저, 연료 펌프 (10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 (100) 는, 모터부 (즉 브러시리스 모터) (200) 와 펌프부 (400) 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부 (200) 와 펌프부 (400) 가 하우징 (14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140) 은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40) 의 상측에는 모터부 (200) 가 배치되고, 하우징 (140) 의 하측에는 펌프부 (400) 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 (140) 의 상단에는, 모터 커버 (160) 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 커버 (160) 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토출 포트 (180) 와,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 (480) 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부 (200) 는, 로터 (500) 와, 로터 (500) 의 외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 (320) 를 가지고 있다.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로터 (500) 는, 샤프트 (520) 를 구비한다. 샤프트 (520) 는, 하우징 (140) 에 대해, 베어링 (260, 280)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터 (320) 는, 하우징 (140)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 (320) 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요크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슬롯은, 스테이터 (320) 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슬롯의 선단면은, 로터 (500) 의 외주면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각 슬롯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 각 코일에는, 커넥터 단자 (480) 가 접속되어 있다.
펌프부 (400) 는, 대략 원판상의 임펠러 (440) 와, 임펠러 (440) 를 수용하는 펌프 케이싱 (380, 420) 을 구비하고 있다. 임펠러 (440) 의 상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부군 (440a) 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 (440) 의 하면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부군 (440b) 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 (440) 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공에는 샤프트 (520) 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이 때문에, 샤프트 (520) 가 회전하면 임펠러 (360) 도 회전한다.
펌프 케이싱 (380, 420) 은, 그 내부에 임펠러 (440) 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우징 (140) 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 (380, 420) 은, 토출측 케이싱 (380) 과 흡입측 케이싱 (420) 으로 구성된다. 토출측 케이싱 (380) 에는, 임펠러 (440) 의 상면의 오목부군 (440a) 에 대향하는 영역에 홈 (380a) 이 형성되어 있다. 홈 (380a) 은, 임펠러 (440) 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까지 신장되는 대략 C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케이싱 (380) 에는, 홈 (380a) 의 하류단으로부터 토출측 케이싱 (380) 의 상면에 이르는 토출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는, 펌프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 (모터부 (200) 의 내부 공간) 를 연통시키고 있다.
흡입측 케이싱 (420) 에는, 임펠러 (440) 하면의 오목부군 (440b) 에 대향하는 영역에 홈 (420a) 이 형성되어 있다. 홈 (420a) 도 홈 (380a) 과 마찬가지로, 임펠러 (440) 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까지 신장되는 대략 C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케이싱 (420) 에는, 흡입측 케이싱 (420) 의 하면으로부터 홈 (420a) 의 상류단에 이르는 흡입구 (460)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460) 는, 펌프 케이싱 (380, 420) 의 내부와 외부 (연료 펌프 (100) 의 외부0) 를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서술한 연료 펌프 (100) 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 (480) 를 통하여 스테이터 (320) 의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 (500) 가 회전한다. 로터 (500) 의 회전에 수반하여 임펠러 (440) 가 회전하면, 흡입측 케이싱 (420) 의 흡입구 (460) 로부터 펌프 케이싱 내에 연료가 흡입된다. 펌프 케이싱 (380, 420) 내에 흡입된 연료는, 펌프 유로 (420a, 440b, 440a, 3800a) 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승압되면서 흐른다. 펌프 유로에서 승압된 연료는, 토출구를 통과하여 모터부 (200) 의 하우징 (140) 내에 내보내진다. 하우징 (140) 내에 내보내진 연료는, 하우징 (140) 내를 상방을 향하여 흘러 모터 커버 (160) 의 토출 포트 (180) 로부터 토출된다.
다음으로, 로터 (500) 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500) 는, 샤프트 (520) 와,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영구 자석 (600) 과, 2 개의 마그넷 홀더 (580, 620) 와, 2 개의 가압 부재 (560, 640) 와, 수지층 (540) 과, 백 요크 (660) (도 34 참조) 를 구비한다.
샤프트 (520) 는, 백 요크 (660) 를 관통하여 신장되고 있고, 그 하단에 임펠러 (440) 의 관통공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 (520a)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520a) 에서는, 샤프트 축선 X 에 직교하는 단면 (이하, 간단히 직교 단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형상이 대략 D 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 (520) 의 걸어맞춤부 (520a) 가 임펠러 (440) 의 관통공에 걸어맞춰지면, 양자는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520a) 이외의 부위에서는, 샤프트 (520) 의 직교 단면의 외형상은 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30 참조).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요크 (660) 는, 축선 X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 (660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60a) 는, 자성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60a) 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코어 플레이트 (660a) 에 형성된 관통공에 의해, 백 요크 (660) 에는, 축선 X 방향으로 신장되는 관통공 (660b) 이 형성되어 있다. 백 요크 (660) 의 관통공 (660b) 에는, 샤프트 (520) 가 압입되어 있다. 관통공 (660b) 은, 축선 X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후술하는 관통공 (940) 과 동일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백 요크 (660) 의 관통공 (660b) 에 샤프트 (520) 가 압입되면, 샤프트 (520) 의 외주면과 각 코어 플레이트 관통공 (660b) 의 내주면 사이의 4 지점에 연통공 (700) 이 형성된다. 각 연통공 (700) 은, 축선 X 와 평행하게 신장되고 있고, 백 요크 (660) 를 관통하고 있다.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은, 백 요크 (660)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 (600) 은, 백 요크 (660) 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신장된다. 각 영구 자석 (600) 은, 백 요크 (660) 의 외주 형상을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고, 직교 단면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도 30 참조). 영구 자석 (600) 이 백 요크 (660) 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면, 각 영구 자석 (600) 은, 인접하는 영구 자석과 맞닿아, 원통상의 영구 자석부가 형성된다. 영구 자석 (600) 은, 교대로 상이한 방향으로 자화 (磁化) 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개의 영구 자석 (600) 은, 그 외주면측이 N 극이 되고, 그 내주면측이 S 극이 되도록 자화되고, 당해 영구 자석 (600) 의 양 단에 인접하는 2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각각은, 그 외주면측이 S 극이 되고, 그 내주면측이 N 극이 되도록 자화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 (600) 의 상단부에는, 직교 단면에 있어서, 영구 자석 (600) 의 중간부의 외주면 (600b) 보다,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까운 외주면 (600a) 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영구 자석 (600) 의 하단부에는, 직교 단면에 있어서, 영구 자석 (600) 의 중간부의 외주면 (600b) 보다,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까운 외주면 (600c) 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 (600a, 600c) 은, 외주면 (600b) 과 비교하여, 후술하는 마그넷 홀더 (580, 620) 의 판두께분만큼,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깝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 개의 외주면 (600a) 및 복수 개의 외주면 (600c)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은, 복수 개의 외주면 (600b)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작다.
백 요크 (660) 의 상면과 영구 자석 (600) 의 상면에는, 마그넷 홀더 (580) 가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 홀더 (580) 는, 비자성 재료로 제조되고 있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580) 는, 기부 (800) 와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벽부 (820) 를 구비한다. 기부 (800) 는,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갖는다. 기부 (800) 는, 백 요크 (660) 의 상면과 영구 자석 (600) 의 상면에 대향한다. 기부 (800) 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약간 작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 (800) 는, 내주 부분 (900) 과,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연 (周緣) 부분 (810) 을 구비한다.
내주 부분 (900) 은, 중심부에 관통공 (940) 을 갖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다. 관통공 (940) 의 구멍 직경은, 샤프트 (520)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940) 에는, 기부 (800) 의 반경 방향 (이하에서는 「제 1 반경 방향」이라고 부른다) 으로 신장되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사각형상의 연통공 (960)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 (960) 은, 기부 (800) 의 둘레 방향 (이하에서는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관통공 (940) 에는, 샤프트 (520) 가 압입된다. 이 결과, 각 연통공 (960) 은, 샤프트 (520) 와 백 요크 (660) 에 의해 형성되는 각 연통공 (700) 에 연통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연통공 (700) 은, 축선 X 와 평행하게 신장되고 있고, 백 요크 (660) 및 마그넷 홀더 (580) 를 관통하고 있다.
복수 개의 주연 부분 (810) 은, 내주 부분 (900) 의 외연 (外緣) 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주연 부분 (810) 의 사이에는, 노치 (920)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 (920) 는, 제 1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1 부분 (920b) 의 제 1 반경 방향 내측의 단 (端) 에,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부분 (920a) 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분 (920b) 은, 인접하는 영구 자석 (600) 의 경계 위치에 일치한다.
각 주연 부분 (810) 은, 부분 원고리 형상을 갖는다. 각 주연 부분 (81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내주 부분 (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810)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주벽부 (820)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 (810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0 참조). 각 주연 부분 (810) 의 내연 (內緣) 측에는, 둘레 방향의 양 단에, 들보 부분 (860)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주연 부분 (810) 은, 2 개의 들보 부분 (860) 을 구비한다. 각 들보 부분 (860) 은, 기부 (800) 중에서, 판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860) 은, 기부 (800) 중에서, 가장 강성이 낮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860) 은,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되고 있고, 그 일방의 단에, 내주 부분 (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들보 부분 (860) 의 타방의 단에는, 외주 부분 (840) 이 연결되어 있다. 즉, 내주 부분 (900) 과 외주 부분 (840) 은, 2 개의 들보 부분 (86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 개의 들보 부분 (860) 의 각각은, 외주 부분 (84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외주 부분 (840) 과 내주 부분 (900) 사이에는, 관통공 (88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880) 은, 제 2 부분 (920a) 보다 제 1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있다. 각 들보 부분 (860) 은, 관통공 (880) 과 노치 (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들보 부분 (860) 을 제 1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따라갔을 때에, 들보 부분 (860) 은, 관통공 (880) 과 제 2 부분 (920a)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이어서, 관통공 (880) 과 제 1 부분 (920b) 사이에서 제 1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고 있다.
노치 (920) 의 제 1 부분 (920b) 이 2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경계에 위치하는 점에서, 각 외주 부분 (840) 은, 각 영구 자석 (600) 의 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외주 부분 (840) 의 제 1 반경 방향 외측의 단에는, 주벽부 (820) 가 연결되어 있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부 (820) 는, 기부 (800) 로부터 영구 자석 (600) 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벽부 (820) 와 외주 부분 (840) 의 제 1 반경 방향 외측의 단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동등하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 개의 주벽부 (820) 에 의해, 원통 형상이 구성된다. 주벽부 (820) 는, 둘레 방향의 전체 길이에서 외주 부분 (840) 에 연결되어 있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분 (810a) 에서는, 축선 X 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800) 의 중심 (O0) (즉 샤프트 (520) 의 축심) 을 연결하는 직선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800) 의 중심 (O0) 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 θ 는 86°이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는 경우, 관통공 (940) 에 샤프트 (520) 가 압입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주벽부 (820) 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에 영구 자석 (600) 이 끼워맞춰진다. 이로써,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은, 마그넷 홀더 (580) 의 주벽부 (820) 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 (즉 자연 상태) 에서는, 복수 개의 주벽부 (820) 로 구성되는 원통의 내직경은,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약간 작다. 이 때문에, 복수 개의 주벽부 (820) 로 구성되는 원통에 영구 자석 (600) 이 끼워맞춰질 때, 기부 (800) 중, 가장 강성이 낮은 들보 부분 (860) 이 변형되어, 외주 부분 (840) 이 내주 부분 (900) 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위된다. 이 때, 기부 (800) 로부터 영구 자석 (600) 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주벽부 (820) 의 기부 (800) 에 대한 각도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즉,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는 경우, 주벽부 (820) 는, 로터 (500) 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들보 부분 (860) 은,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에서, 주벽부 (820) 가 로터 (500) 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 (800) 는, 백 요크 (660) 의 상면에 맞닿아 있는 한편, 영구 자석 (600) 의 상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갖는다.
백 요크 (660) 의 하면과 영구 자석 (600) 의 하면에는, 마그넷 홀더 (620) 가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 홀더 (620) 는, 마그넷 홀더 (58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마그넷 홀더 (620) 는, 마그넷 홀더 (620) 의 관통공에 샤프트 (520) 가 압입되어, 복수 개의 주벽부로 구성되는 원통에 영구 자석 (600) 이 끼워맞춰져,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다. 이 결과, 각 연통공 (700) 은, 백 요크 (660), 마그넷 홀더 (580) 에 더하여, 마그넷 홀더 (620) 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마그넷 홀더 (620) 의 기부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c)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약간 작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620) 는,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될 때,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변형된다.
마그넷 홀더 (58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에는, 가압 부재 (56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560) 는, 가압부 (1020) 와 외주부 (1000) 를 구비한다. 가압부 (1020) 는, 원판 형상을 갖는다. 가압부 (1020) 는,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의 기부 (800) 와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가압부 (1020) 는, 기부 (800) 에 맞닿은 상태에서 샤프트 (520) 에 장착된다. 가압부 (1020) 의 중심부에는, 관통공 (106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060) 의 구멍 직경은, 샤프트 (520)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060) 에는, 마그넷 홀더 (580) 의 연통공 (960) 이 중복되는 위치에, 관통공 (960) 과 동일 형상의 복수 개의 사각형상의 연통공 (108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060) 에는, 샤프트 (520) 가 압입된다. 관통공 (1060) 에 샤프트 (520) 가 압입되면, 샤프트 (520) 의 외주면과 각 관통공 (1080) 에 의해, 샤프트 (520) 와 백 요크 (660) 와 마그넷 홀더 (580, 620) 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공 (700) 으로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연통공 (700) 은, 백 요크 (660), 마그넷 홀더 (580, 620) 및 가압 부재 (560) 를 관통하고 있다.
가압부 (1020) 의 외연에는, 외주부 (1000) 가 배치되어 있다. 외주부 (1000) 는, 가압부 (1020) 에 대해, 마그넷 홀더 (580) 와 반대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주부 (1000) 는, 가압부 (1020) 의 외연을 따라, 가압부 (1020) 를 일순하고 있다. 외주부 (1000) 의 외직경은,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직경보다 크다.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6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에는, 가압 부재 (640) 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 (640) 는, 가압 부재 (56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압 부재 (640) 는, 가압 부재 (640) 의 관통공에 샤프트 (520) 가 압입되고, 마그넷 홀더 (620) 의 기부와 가압 부재 (640) 의 가압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샤프트 (520) 에 장착된다. 이 결과, 각 연통공 (700) 은, 백 요크 (660), 마그넷 홀더 (580, 620) 및 가압 부재 (560) 에 추가하여, 가압 부재 (640) 를 관통한다.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560, 640) 의 영구 자석 (600) 의 반대측에는, 수지층 (540) 이 배치되어 있다. 수지층 (540) 은, 가압부 (10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으로부터 가압 부재 (640) 의 가압부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까지 관통공 (700) 을 통과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지층 (540) 은, 가압 부재 (560) 의 관통공 (1040) 내와 마그넷 홀더 (580) 의 관통공 (880) 내에도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로터 (500) 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백 요크 (660) 의 관통공 (660b) 에 샤프트 (520) 를 압입한다. 이어서, 마그넷 홀더 (580, 620) 의 관통공 (940) 에 샤프트 (520) 를 압입하고, 마그넷 홀더 (580) 에 영구 자석 (600) 을 끼워맞춘다. 이 때, 마그넷 홀더 (580) 에 외력을 부하 (負荷0) 하여, 들보 부분 (860) 을 변형시킴으로써, 외주 부분 (840) 을 내주 부분 (900) 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써, 복수 개의 주벽부 (820) 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의 내직경이 커진다. 복수 개의 주벽부 (820) 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에 영구 자석 (600) 이 삽입되면, 마그넷 홀더 (580) 에 부하되어 있는 외력을 해방한다. 이로써, 들보 부분 (860) 의 탄성 변형이 원래로 되돌아간다. 이 결과, 주벽부 (820) 는, 영구 자석 (600) 을 영구 자석 (600) 의 반경 방향으로 가압한다. 마그넷 홀더 (620) 도 동일하다. 또한,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기부 (800) 의 둘레 방향과 영구 자석 (600) 의 둘레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가압 부재 (560, 640) 의 관통공 (1060) 에 샤프트 (520) 를 압입하고, 가압 부재 (560, 640) 의 각각을, 마그넷 홀더 (580, 620) 의 각각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각 부 (520, 560, 580, 600, 620, 640, 660) 를 금형 내에 배치한다. 그리고, 금형 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수지층 (540) 을 성형한다. 이 결과, 수지층 (540) 에 의해, 가압 부재 (560) 의 가압부 (102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기부 (800) 를, 백 요크 (660) 를 향하여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수지층 (540) 에 의해, 가압 부재 (640) 의 가압부는, 마그넷 홀더 (620) 의 기부를, 백 요크 (660) 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 결과, 마그넷 홀더 (580, 620) 의 기부 (800) 가, 축선 X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 자석 (600) 은, 마그넷 홀더 (580, 620) 에 의해, 백 요크 (660) 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다. 이 결과, 영구 자석 (600) 이, 로터 (500) 의 회전에 의해, 로터 (500) 의 반경 방향 (이하에서는 「제 2 반경 방향」이라고 부른다) 외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 (600) 의 제 2 반경 방향 외측에 대한 변위를 고려하여,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크게 넓히지 않아도 되어, 모터부 (200) 의 모터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아도 된다.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기 전에는, 주벽부 (820) 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의 내직경은,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작다. 이 결과,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마그넷 홀더 (580) 는, 제 2 반경 방향 내측 방향의 힘을 영구 자석 (600) 에 부하한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 (600) 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마그넷 홀더 (620) 도 동일하다.
또,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될 때에, 기부 (800) 의 들보 부분 (860) 이 변형됨으로써, 복수 개의 주벽부 (820) 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의 내직경이 확대된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될 때, 주벽부 (820) 가 로터 (500) 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 (820) 의 경사를 고려하여,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모터부 (200) 의 모터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아도 된다. 마그넷 홀더 (620) 도 동일하다.
들보 부분 (860) 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외주 부분 (840) 의 양 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주 부분 (840) 에 대해, 1 개의 들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외주 부분 (840) 을 안정적으로 내주 부분 (900) 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580) 는, 영구 자석 (600) 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들보 부분 (860) 이 변형되어 외주 부분 (840) 이 변위할 때에, 1 개의 외주 부분 (840) 에 연결되어 있는 2 개의 들보 부분 (860) 이 밸런스되어, 외주 부분 (840) 을 제 2 반경 방향 (즉 제 1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적절히 변위시킬 수 있다. 마그넷 홀더 (620) 도 동일하다.
주벽부 (820) 가 맞닿는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은, 직교 단면에 있어서,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b) 과 비교하여, 마그넷 홀더 (580) 의 판두께분만큼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깝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벽부 (820) 는,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과 동일면 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주벽부 (820) 의 판 두께를 고려하여,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크게 넓히지 않아도 된다. 마그넷 홀더 (620) 와 외주면 (600c) 의 관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 주벽부 (820) 의 경사를 고려하여, 외주면 (600a) 을 축선 X 에 근접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구 자석 (600) 중, 마그넷 홀더 (580, 620) 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과 스테이터 (320) 의 간격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결과, 영구 자석 (600) 중, 마그넷 홀더 (580, 620) 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도, 영구 자석 (600) 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로터 (500) 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모터부 (200) 의 모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로터 (500) 의 회전시에, 영구 자석 (600) 에,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되면, 마그넷 홀더 (580) 의 주벽부 (820) 는, 영구 자석 (600) 으로부터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된다. 수지층 (540) 은, 가압 부재 (560) 의 관통공 (1040) 과 마그넷 홀더 (580) 의 관통공 (880) 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580) 의 들보 부분 (860) 은, 수지층 (540) 에 의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가압 부재 (640) 와 마그넷 홀더 (620) 의 관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가압 부재 (56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주 부분 (840) 에 형성된 관통공 또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는, 로터 (500) 의 회전 중에,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주 부분 (840) 이 내주 부분 (900) 과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반경 방향 외측에 대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로터 (500) 는, 로터 (500) 의 회전 중에,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주 부분 (840) 이, 내주 부분 (900) 과 이간되는 방향 (축선 X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가압 부재 (560) 의 외주부 (1000) 의 외직경은,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직경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주부 (1000) 의 외형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로터 (500) 의 중량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외주부 (1000) 에 의하면, 수지층 (540) 의 성형시에, 수지가 영구 자석 (600) 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지 성형시의 수지의 압력이 영구 자석 (600) 에 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지 성형시에 영구 자석 (600) 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 (600) 의 외주에 수지가 피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자석 (600) 과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주벽부 (820) 와 주연 부분 (810) (즉 외주 부분 (840)0) 의 연결 부분 (810a) 에서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800) 의 중심 (O0) 을 연결하는 직선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800) 의 중심 (O0) 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 θ 는 86°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 (500) 의 회전시에, 영구 자석 (600) 으로부터 주벽부 (820) 에 부하되는 제 2 반경 방향 (즉 제 1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에 의해, 주벽부 (820) 가, 로터 (500) 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도 35 에는, 각도를 변화시켜, 주벽부 (820) 의 제 2 반경 방향 (즉 제 1 반경 방향) 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단이, 로터 (500) 의 회전에 의해 변위되는 변위량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로터 (500) 의 회전수는, 통상적인 연료 펌프의 모터의 회전 수로서 채용되는 12000 rpm 이다. 도 35 의 세로축은 변위량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각도 θ 를 나타낸다. 이 결과, 각도 θ 가 40°이상인 경우에는, 주벽부 (820) 가, 로터 (500) 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또, 각도 θ 가 40°미만인 범위에서는, 각도 θ 의 변화량에 대한 주벽부 (820) 의 외주단의 변위량의 변화량이, 각도 θ 가 40°이상인 범위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다. 따라서, 만일, 각도 θ 가 40°미만으로 설계된 경우, 실제의 치수가 1°작아지면, 주벽부 (820) 의 외주단의 변위량은, 설계시에 상정한 변위량보다 상당히 커져 버린다. 한편, 각도 θ 가 40°이상으로 설계된 경우, 실제의 치수가 1°작아진 경우에도, 주벽부 (820) 의 외주단의 변위량은, 설계시에 상정한 변위량과 그다지 변함없다. 이 때문에, 각도 θ 가 40°이상인 경우, 치수 정밀도를 고려하여,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백 요크를 형성했지만,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형상의 백 요크를 사용해도 된다.
또, 마그넷 홀더는, 마그넷 홀더 (580 620) 이외의 형상을 갖는 마그넷 홀더여도 된다. 예를 들어, 마그넷 홀더 (1580, 2580, 3580, 4580) 여도 된다.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1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와 비교하여, 노치 (1920) 와 들보 부분 (1860) 의 형상이, 노치 (920) 와 들보 부분 (860) 의 형상과 상이해도 된다. 그 이외에서는, 마그넷 홀더 (1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각 구성 (810 (840, 880), 820, 900, 940) 과 동일한 각 구성 (1810 (1840, 1880), 1820, 1900, 1940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노치 (1920) 는, 제 1 반경 방향이 신장되는 제 1 부분 (1920b) 의 중간 위치 (상세하게는, 관통공 (1880) 보다 제 1 반경 방향 외측) 에,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부분 (1920a) 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들보 부분 (1860) 은, 관통공 (1880) 과 노치 (1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들보 부분 (1860) 을 제 1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따라갔을 때에, 들보 부분 (1860) 은, 관통공 (1880) 과 제 1 부분 (1920b) 사이에서, 제 1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고, 이어서, 관통공 (1880) 과 제 2 부분 (1920a)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있어도 된다.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2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와 비교하여, 노치 (2920) 와 관통공 (2880) 과 들보 부분 (2860) 의 형상이, 노치 (920) 와 관통공 (880) 과 들보 부분 (860) 의 형상과 상이해도 된다. 그 이외에서는, 마그넷 홀더 (2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각 구성 (810 (840), 820, 900, 940) 과 동일한 각 구성 (2810 (2840), 2820, 2900, 2940) 을 구비해도 된다. 노치 (2920) 는, 제 1 반경 방향이 신장되는 제 1 부분 (2920b) 의 제 1 반경 방향 내측의 단에, 대략 삼각형의 제 2 부분 (2920a) 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공 (2880) 은, 제 2 부분 (2920a) 보다 제 1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있어도 된다. 관통공 (2880) 의 양 단부의 주연은, 제 2 부분 (2920a) 의 형상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들보 부분 (2860) 은, 관통공 (2880) 과 노치 (2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들보 부분 (2860) 은, 관통공 (2880) 과 제 2 부분 (2920a) 사이에, 제 1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직선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3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와 비교하여, 노치 (3920) 와 들보 부분 (3860) 의 형상이, 노치 (920) 와 들보 부분 (860) 의 형상과 상이해도 된다. 그 이외에서는, 마그넷 홀더 (3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각 구성 (810 (840, 880), 820, 900, 940) 과 동일한 각 구성 (3810 (3840, 3880), 3820, 3900, 394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노치 (3920) 는, 제 1 반경 방향이 신장되는 제 1 부분 (3920b) 의 제 1 반경 방향 내측의 단 (상세하게는, 관통공 (3880) 보다 제 1 반경 방향 내측) 에,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2 부분 (3920a) 이 연결되어 있고, 제 1 부분 (3920b) 의 중간 위치 (상세하게는, 관통공 (3880) 보다 제 1 반경 방향 외측) 에,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 3 부분 (3920c) 이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들보 부분 (3860) 은, 관통공 (3880) 과 노치 (3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들보 부분 (3860) 을 제 1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따라갔을 때에, 들보 부분 (3860) 은, 관통공 (3880) 과 제 2 부분 (3920a)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이어서, 관통공 (3880) 과 제 1 부분 (3920b) 사이에서, 제 1 반경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관통공 (3880) 과 제 3 부분 (3920c)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고 있어도 된다.
도 3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4580) 에서는, 관통공 (4880, 4890) 과 들보 부분 (4860, 4870) 의 구성이, 마그넷 홀더 (580) 의 관통공 (880) 과 들보 부분 (860) 의 구성과 상이해도 된다. 그 이외에서는, 마그넷 홀더 (4580) 는, 마그넷 홀더 (580) 의 각 구성 (810 (840), 820, 900, 920, 940) 과 동일한 각 구성 (4810 (4840), 4820, 4900, 4920, 494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관통공 (4880) 은, 노치 (4920) 의 제 2 부분 (4920a) 보다 제 1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 개의 주연 부분 (4810) 에, 2 개의 관통공 (4880)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 개의 주연 부분 (4810) 에 형성되어 있는 2 개의 관통공 (4880) 사이에는, 2 개의 관통공 (4880) 과 간격을 두고, 관통공 (4890)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공 (4890) 은,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들보 부분 (4870) 은, 각 관통공 (4880) 과 관통공 (4890)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마그넷 홀더 (4580) 에서는, 내주 부분 (4900) 과 1 개의 외주 부분 (4840) 이, 2 개의 들보 부분 (4860) 과 2 개의 들보 부분 (4870) 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주 부분과 외주 부분은, 5 개 이상의 들보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직교 단면에 있어서, 주벽부 (820) 가 맞닿는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은,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b) 과 비교하여, 마그넷 홀더 (580) 의 판두께분만큼,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깝다. 그러나,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교 단면에 있어서,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b) 은, 상단에서 하단까지, 축선 X 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해도 된다. 혹은, 외주면 (600a) 은, 직교 단면에 있어서, 외주면 (600b) 과 비교하여, 마그넷 홀더 (580) 의 판두께분 이하의 길이만큼, 축선 X 와의 거리가 가까워도 된다.
또, 가압 부재 (560) 의 외직경은, 마그넷 홀더 (580) 의 외직경과 동일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은 일정하다. 그러나,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 중, 영구 자석 (600) 과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은, 로터 (500) 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마그넷 홀더 (580)0) 과 스테이터 (320) 의 간극보다 작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 (500) 와 스테이터 (320) 의 간극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 홀더 (580) 는, 4 개의 주벽부 (820) 를 구비한다. 그러나, 마그넷 홀더 (580) 는, 5 개 이상의 주벽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 개 이하의 주벽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주벽부와 외주 부분의 연결 부분의 양 단을 연결하는 각도 θ 가 40°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1 개의 주벽부 (820) 는, 1 개의 외주 부분 (840) 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1 개의 주벽부 (820) 는, 2 개 이상의 외주 부분 (840) 과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2 개 이상의 주벽부 (820) 가, 1 개의 외주 부분 (840) 과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즉, 주벽부 (820) 의 개수와 외주 부분 (840) 의 개수는 상이해도 된다.
또, 마그넷 홀더 (580, 620) 는, 영구 자석 (600) 의 축선 X 방향의 양 단에 끼워맞춰져 있지만, 마그넷 홀더 (580, 620) 는, 영구 자석 (600) 의 축선 X 방향의 일방의 단에만 끼워맞춰져 있어도 된다. 또, 인접하는 영구 자석 (600) 의 경계의 위치와 노치 (920) 의 위치는, 영구 자석 (60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영구 자석 (600) 의 경계의 위치와 노치 (920) 의 위치는, 영구 자석 (600) 의 둘레 방향으로 45°어긋나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수지층 (540) 은, 가압 부재 (560, 640) 의 영구 자석 (600) 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수지층 (540) 은, 가압 부재 (560) 와 마그넷 홀더 (58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수지층 (540) 은, 가압 부재 (640) 와 마그넷 홀더 (6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7]
실시예 6 과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7 에서는, 마그넷 홀더 (5580) 의 형상이 마그넷 홀더 (580, 620) 의 형상과 상이하고, 가압 부재 (5560) 의 형상이 가압 부재 (560, 640) 와 상이하다. 또, 수지층 (5540) 의 형상이 수지층 (540) 의 형상과 상이하다. 또한, 도 42, 43 에서는, 수지층 (5540) 의 단면과 샤프트 (5520) 의 단면이 기재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6 의 연료 펌프 (100) (즉 모터부 (200)) 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연료 펌프 (100)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마그넷 홀더 (5580) 는, 백 요크 (660) 및 영구 자석 (600) 의 상면과 하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 홀더 (5580) 는, 비자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5580) 는, 기부 (5800) 와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벽부 (5820) 를 구비한다. 주벽부 (5820) 는, 주벽부 (820) 와 동일하다.
기부 (5800) 는,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갖는다. 일방의 마그넷 홀더 (5680) 의 기부 (5800) 는, 백 요크 (660) 의 상면과 영구 자석 (600) 의 상면에 대향한다. 타방의 마그넷 홀더 (5680) 의 기부 (5800) 는, 백 요크 (660) 의 하면과 영구 자석 (600) 의 하면에 대향한다. 기부 (5800) 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약간 작다. 기부 (5800) 는, 내주 부분 (5900) 과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연 부분 (5810) 을 구비한다.
내주 부분 (5900) 은, 중심부에 관통공 (940) 과 동일한 관통공 (5940) 을 갖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다. 관통공 (5940) 에는, 샤프트 (5520) 가 압입된다. 관통공 (5940) 의 각 연통공은, 샤프트 (5520) 와 백 요크 (660) 에 의해 형성되는 각 연통공 (700) 에 연통한다.
복수 개의 주연 부분 (5810) 은, 내주 부분 (5900) 의 외연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주연 부분 (5810) 의 사이에는, 노치 (920) 와 동일한 노치 (5920)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5810) 은, 부분 원고리 형상을 갖는다. 각 주연 부분 (581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내주 부분 (5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5810)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주벽부 (5820)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5810) 의 내연측에는, 둘레 방향의 양 단에, 들보 부분 (5860)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주연 부분 (5810) 은, 2 개의 들보 부분 (5860) 을 구비한다. 각 들보 부분 (5860) 은, 기부 (5800) 중에서 판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5860) 은, 기부 (5800) 중에서 가장 강성이 낮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5860) 은, 둘레 방향에 대해 제 1 반경 방향 (즉 기부 (5800) 의 반경 방향) 으로 경사져 신장되고 있고, 그 일방의 단에 내주 부분 (5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들보 부분 (5860) 의 타방의 단에는 외주 부분 (5840) 이 연결되어 있다. 즉, 내주 부분 (5900) 과 외주 부분 (5840) 은, 2 개의 들보 부분 (586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 개의 들보 부분 (5860) 의 각각은, 외주 부분 (584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 개의 외주 부분 (5840) 의 각각과 내주 부분 (5900) 사이에는, 관통공 (588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880) 은, 기부 (5800) 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샤프트 (5520) 의 축선 방향의 양 단) 을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 (5880) 은, 내주 부분 (5900) 과 외주 부분 (58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880) 은, 들보 부분 (5860) 의 외주 부분 (5840) 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들보 부분 (5860) 은, 관통공 (5880) 과 노치 (5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880) 은, 일방의 들보 부분 (5860) 의 외주 부분 (5840) 측의 단으로부터, 타방의 들보 부분 (5860) 의 외주 부분 (5840) 측의 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 부분 (5840) 은, 맞닿음부 (5870) 를 구비한다. 맞닿음부 (5870) 는, 외주 부분 (5840) 의 내주 부분 (5900) 측의 가장자리가, 내주 부분 (5900) 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 (5870) 는, 관통공 (5880) 의 중앙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맞닿음면 (5870a) 을 구비한다.
기부 (5800) 와 주벽부 (5820) 의 연결 부분에서는, 연결 부분 (810a) 과 마찬가지로, 축선 X 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5800) 의 중심 (O0) (즉 샤프트 (5520) 의 축심) 을 연결하는 직선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5800) 의 중심 (O0) 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 θ 는 86°이다.
마그넷 홀더 (5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는 경우, 복수 개의 주벽부 (5820) 로 구성되는 원통에 영구 자석 (600) 이 끼워맞춰진다. 이 때, 마그넷 홀더 (5580) 와 마찬가지로, 기부 (5800) 중, 가장 강성이 낮은 들보 부분 (5860) 이 변형되어, 외주 부분 (5840) 이 내주 부분 (5900) 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위된다. 이 결과, 주벽부 (5820) 의 기부 (5800) 에 대한 각도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마그넷 홀더 (558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에는, 가압 부재 (556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5560) 는, 가압부 (5020) 와 외주부 (5000) 를 구비한다. 외주부 (5000) 는, 외주부 (10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압부 (5020) 는, 원판 형상을 갖는다. 가압부 (5020) 는,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의 기부 (5800) 와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가압부 (5020) 는, 기부 (5800) 에 맞닿은 상태에서 샤프트 (5520) 에 장착된다. 가압부 (5020) 의 중심부에는, 관통공 (1060) 과 동일한 관통공 (506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060) 에는, 샤프트 (5520) 가 압입된다. 이로써, 관통공 (1060) 에는, 연통공 (700) 에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가압부 (5020) 는, 관통공 (5880) 의 상방에 위치하는 관통공 (5040) 을 구비한다. 관통공 (5040) 은, 관통공 (5880) 의 외형을 따른 외형을 갖는다. 가압부 (5020) 는, 맞닿음부 (587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는 접촉부 (5100) 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맞닿음부 (5870) 가,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압 부재 (5560) 의 영구 자석 (600) 의 반대측에는, 수지층 (5540) 이 배치되어 있다. 수지층 (5540) 은, 로터 (500) 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5560) 의 가압부 (50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으로부터, 로터 (500) 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5560) 의 가압부 (50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까지, 관통공 (700) 을 통과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지층 (5540) 은, 가압 부재 (5560) 의 관통공 (5040) 내와 마그넷 홀더 (5580) 의 관통공 (588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수지층 (5540) 은, 관통공 (5880) 을 관통한다. 맞닿음부 (5870) 의 맞닿음면 (5870a) 은, 맞닿음면 (5870a) 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는 수지층 (5540) 에 대해, 내주측 (샤프트 (5520)측) 으로부터 맞닿는다. 로터 (500) 의 회전시에, 영구 자석 (600) 에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되면, 마그넷 홀더 (5580) 의 주벽부 (5820) 는, 영구 자석 (600) 으로부터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된다. 수지층 (5540) 은, 가압 부재 (5560) 의 관통공 (5040) 과 마그넷 홀더 (5580) 의 관통공 (5880) 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5580) 의 들보 부분 (5860) 은, 수지층 (5540) 에 맞닿음으로써,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 (5870) 의 맞닿음면 (5870a) 은, 그 전체면에서 수지층 (5540) 에 내주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 때문에, 외주 부분 (5840) 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강고하게 규제된다. 이 결과, 들보 부분 (5860) 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7 에 있어서도, 실시예 6 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7 과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8 에서는, 마그넷 홀더 (6580) 의 형상이 마그넷 홀더 (5580) 의 형상과 상이하고, 가압 부재 (6560) 의 형상이 가압 부재 (5560) 와 상이하다. 또, 수지층 (6540) 의 형상이 수지층 (5540) 의 형상과 상이하다. 또한, 도 44, 45 에서는, 수지층 (6540) 의 단면과 샤프트 (6520) 의 단면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 홀더 (6580), 가압 부재 (6560) 및 수지층 (6540) 의 배치는, 마그넷 홀더 (5580), 가압 부재 (5560) 및 수지층 (5540) 과 동일하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7 의 연료 펌프 (100) (즉 모터부 (200)) 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연료 펌프 (100)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 (6580) 는, 기부 (6800) 와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벽부 (6820) 를 구비한다. 주벽부 (6820) 는, 주벽부 (5820) 와 동일하다.
기부 (6800) 는,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갖는다. 기부 (6800) 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 (600) 의 외주면 (600a) 으로 구성되는 원통의 외직경보다 약간 작다. 기부 (6800) 는, 내주 부분 (6900) 과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주연 부분 (6810) 을 구비한다.
내주 부분 (6900) 은, 중심부에 관통공 (5940) 과 동일한 관통공 (6940) 을 갖는 고리형 형상을 갖는다. 관통공 (6940) 에는, 샤프트 (6520) 가 압입된다. 관통공 (6940) 의 각 연통공은, 샤프트 (6520) 와 백 요크 (660) 에 의해 형성되는 각 연통공 (700) 에 연통한다.
복수 개의 주연 부분 (6810) 은, 내주 부분 (6900) 의 외연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주연 부분 (6810) 의 사이에는, 노치 (5920) 와 동일한 노치 (6920)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6810) 은, 부분 원고리 형상을 갖는다. 각 주연 부분 (681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내주 부분 (6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6810)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주벽부 (6820)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각 주연 부분 (6810) 의 내연측에는, 둘레 방향의 양 단에 들보 부분 (6860)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주연 부분 (6810) 은, 2 개의 들보 부분 (6860) 을 구비한다. 각 들보 부분 (6860) 은, 기부 (6800) 중에서 판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6860) 은, 기부 (6800) 중에서 가장 강성이 낮은 부분이다. 각 들보 부분 (6860) 은, 둘레 방향에 대해 제 1 반경 방향 (즉 기부 (6800) 의 반경 방향) 으로 경사져 신장되고 있고, 그 일방의 단에 내주 부분 (6900) 이 연결되어 있다. 각 들보 부분 (6860) 의 타방의 단에는 외주 부분 (6840) 이 연결되어 있다. 즉, 내주 부분 (6900) 과 외주 부분 (6840) 은, 2 개의 들보 부분 (686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 개의 들보 부분 (6860) 의 각각은, 외주 부분 (684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 개의 외주 부분 (6840) 의 각각과 내주 부분 (6900) 사이에는, 관통공 (688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880) 은, 기부 (6800) 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샤프트 (6520) 의 축선 방향) 까지 관통하고 있다. 관통공 (6880) 은, 내주 부분 (6900) 과 외주 부분 (68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880) 은, 들보 부분 (6860) 의 외주 부분 (6840) 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들보 부분 (6860) 은, 관통공 (6880) 과 노치 (69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880) 은, 일방의 들보 부분 (6860) 의 외주 부분 (6840) 측의 단으로부터, 타방의 들보 부분 (6860) 의 외주 부분 (6840) 측의 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 부분 (6840) 은, 기부 (6800) 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샤프트 (6520) 의 축선 방향) 까지 관통하는 관통공 (6890) 을 구비한다. 관통공 (6890) 은, 삼각형상을 갖는다. 또한, 관통공 (6890) 의 형상은, 삼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4 각형 형상, 원형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관통공 (6890) 은, 관통공 (6880) 보다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 부분 (6840) 은, 추가로 맞닿음부 (6870) 를 구비한다. 맞닿음부 (6870) 는, 관통공 (6890) 의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 (6870) 는, 관통공 (6880) 과 관통공 (689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 (6870) 는, 관통공 (6890) 의 내주측의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기부 (6800) 와 주벽부 (6820) 의 연결 부분에서는, 상기의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선 X 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6800) 의 중심 (O0) (즉 샤프트 (6520) 의 축심) 을 연결하는 직선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단으로부터 기부 (6800) 의 중심 (O0) 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 θ 는 86°이다.
마그넷 홀더 (6580) 가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되는 경우, 복수 개의 주벽부 (6820) 로 구성되는 원통에 영구 자석 (600) 이 끼워맞춰진다. 이 때, 마그넷 홀더 (6580) 와 마찬가지로, 기부 (6800) 중, 가장 강성이 낮은 들보 부분 (6860) 이 변형되어, 외주 부분 (6840) 이 내주 부분 (6900) 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위된다. 이 결과, 주벽부 (6820) 의 기부 (6800) 에 대한 각도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마그넷 홀더 (658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에는, 가압 부재 (656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6560) 는, 가압부 (6020) 와 외주부 (6000) 를 구비한다. 외주부 (6000) 는, 외주부 (50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압부 (6020) 는, 원판 형상을 갖는다. 가압부 (6020) 는, 영구 자석 (600) 에 장착된 상태의 기부 (6800) 와 거의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가압부 (6020) 는, 기부 (6800) 에 맞닿은 상태에서 샤프트 (6520) 에 장착된다. 가압부 (6020) 의 중심부에는, 관통공 (5060) 과 동일한 관통공 (6060)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060) 에는, 샤프트 (6520) 가 압입된다. 이로써, 관통공 (6060) 에는, 연통공 (700) 에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가압부 (6020) 는, 관통공 (6880) 의 상방에 위치하는 관통공 (6040) 을 구비한다. 관통공 (6040) 은, 관통공 (6880) 의 외형을 따른 외형을 갖는다. 가압부 (6020) 는, 추가로 관통공 (6890) 의 상방에 위치하는 관통공 (6100) 을 구비한다. 관통공 (6100) 은, 관통공 (6890) 의 외형을 따른 외형을 갖는다.
가압 부재 (6560) 의 영구 자석 (600) 의 반대측에는, 수지층 (6540) 이 배치되어 있다. 수지층 (6540) 은, 로터 (500) 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6560) 의 가압부 (60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으로부터, 로터 (500) 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6560) 의 가압부 (6020) 의 영구 자석 (600) 과 반대측까지, 관통공 (700) 을 통과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지층 (6540) 은, 가압 부재 (6560) 의 관통공 (6040) 내와 마그넷 홀더 (6580) 의 관통공 (6880) 내에 배치됨과 함께, 관통공 (6100) 내와 관통공 (6890) 내에 배치된다. 즉, 수지층 (6540) 은, 관통공 (6880, 6890) 을 관통한다. 맞닿음부 (6870) 는, 관통공 (6890) 내의 수지층 (6540) 에 대해, 내주측 (샤프트 (6520) 측) 으로부터 맞닿는다. 로터 (500) 의 회전시에, 영구 자석 (600) 에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되면, 마그넷 홀더 (6580) 의 주벽부 (6820) 는, 영구 자석 (600) 으로부터 제 2 반경 방향 외측 방향의 힘이 부하된다. 수지층 (6540) 은, 가압 부재 (6560) 의 관통공 (6040) 과 마그넷 홀더 (6580) 의 관통공 (6880) 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그넷 홀더 (6580) 의 들보 부분 (6860) 은, 수지층 (6540) 에 맞닿음으로써,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 (6870) 는, 맞닿음부 (6870) 의 관통공 (6890) 측의 면 전체에서 수지층 (6540) 에 내주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 때문에, 외주 부분 (6840) 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강고하게 규제된다. 이 결과, 들보 부분 (6860) 이 제 2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8 에 있어서도, 실시예 6 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외주 부분 (5810, 6810) 에는, 수지층 (5540, 6540) 이 배치되는 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주 부분 (6810) 에는, 관통공 (6890) 보다 외주측에, 수지층 (6540) 이 배치되는 1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압 부재 (6560) 에는, 외주 부분 (6810) 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중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 (6540) 은, 외주 부분 (6810) 의 관통공과 가압 부재 (6560) 의 관통공의 양방을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 (5540, 6540) 은, 관통공 이외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주 부분 (5810, 6810) 에 형성되는 노치, 예를 들어, 노치 (5920, 6920) 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는 노치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주 부분 (5810, 6810) 에 형성되는 노치의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 100:연료 펌프
18:토출 포트
14:하우징
20, 200:모터부
22:로터
26, 28:베어링
40:펌프부
44:임펠러
62:코어 플레이트
64a, 64b, 64c, 64d:영구 자석
68a, 68b, 68c:수지부
320:스테이터
400:펌프부
500:로터
520:샤프트
540:수지층
560, 640:가압 부재
580, 620:마그넷 홀더
600:영구 자석
600a, 600b, 600c:외주면
660:백 요크
800:기부
810:주연 부분
820:주벽부
840:외주 부분
860:들보 부분
900:내주 부분

Claims (18)

  1.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를 가지고 있고,
    로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된 백 요크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된 영구 자석과,
    백 요크 및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일단에 형성되고,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는 제 1 수지부와,
    백 요크 및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타단에 형성되고, 백 요크와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는 제 2 수지부를 가지고 있고,
    백 요크 내, 및/또는 샤프트와 백 요크 사이에는,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통공 내에 제 1 수지부 및 제 2 수지부에 접속된 제 3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수지부와 제 2 수지부와 제 3 수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로터는,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배치되어 있고, 영구 자석이 샤프트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마그넷 홀더를 추가로 가지고 있고,
    상기 마그넷 홀더는 둘레 방향의 탄성력을 갖고,
    상기 마그넷 홀더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제 4 수지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고, 제 1∼제 4 수지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영역은, 교대로 상이한 방향으로 자화 (磁化) 되어 있고,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연통공의 적어도 일부는, 각 영역의 둘레 방향의 중앙과 샤프트 축선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백 요크는, 그 중심에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는, 백 요크의 관통공에 압입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백 요크는, 그 중심에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샤프트의 외형상은 원형상이 되는 한편 백 요크의 관통공은 다각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연통공은, 샤프트의 관통공과 백 요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샤프트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호상이 되는 복수의 부분 영구 자석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백 요크에는,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전체 길이 범위 내의 적어도 1 지점에 있어서, 부분 영구 자석의 둘레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둘레 방향 위치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고, 백 요크와 마그넷 홀더를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맞닿게 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의 외직경이 영구 자석의 외직경보다 큰 브러시리스 모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로터의 웨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1. 제 1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로서,
    로터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고정되는 백 요크와,
    백 요크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부와,
    영구 자석의 샤프트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끼워맞추는 마그넷 홀더를 구비하고,
    마그넷 홀더는,
    영구 자석의 단면에 대향하는 기부 (基部) 와,
    각각이 영구 자석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되고 있고, 영구 자석의 단부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맞닿는 복수 개의 주벽부 (周壁部) 를 구비하고,
    기부는,
    복수 개의 주벽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주 부분과,
    복수 개의 외주부보다 샤프트측에 위치하고, 샤프트를 일순 (一巡) 하는 내주 부분과,
    복수 개의 외주 부분과 내주 부분을 연결하고 있고, 외주 부분이 내주 부분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변형 가능한 들보 부분을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샤프트 축선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 주벽부가 맞닿아 있는 영구 자석의 외주면은, 영구 자석의 그 밖의 외주면보다 샤프트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주벽부의 각각은, 영구 자석의 외주면을 따라 신장되는 연결 부분에서 외주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연결 부분의 일방의 단과 샤프트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연결 부분의 타방의 단과 샤프트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는 40°이상인 브러시리스 모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들보 부분에 의해, 내주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브러시리스 모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로터는, 기부의 영구 자석과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 있고, 기부의 영구 자석과 반대측으로부터 영구 자석을 향하여 기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샤프트 축선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 가압 부재의 외직경은, 영구 자석의 외직경 및 마그넷 홀더의 외직경보다 큰 브러시리스 모터.
  17. 제 11 항에 있어서,
    로터는, 들보 부분의 변형을 규제하는 수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기부는,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에 대해, 당해 외주 부분에 연결되는 들보 부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샤프트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수지 부재는,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외주 부분의 각각은,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수지 부재에 대해, 내주측으로부터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1020130006630A 2012-01-23 2013-01-21 브러시리스 모터 KR10147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0803 2012-01-23
JP2012010803A JP5999905B2 (ja) 2012-01-23 2012-01-23 ブラシレスモータ
JPJP-P-2012-110523 2012-05-14
JP2012110523 2012-05-14
JP2012165535A JP5946711B2 (ja) 2012-05-14 2012-07-26 ブラシレスモータ
JPJP-P-2012-165535 2012-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76A KR20130086176A (ko) 2013-07-31
KR101472200B1 true KR101472200B1 (ko) 2014-12-12

Family

ID=4874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630A KR101472200B1 (ko) 2012-01-23 2013-01-21 브러시리스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46365B2 (ko)
KR (1) KR101472200B1 (ko)
CN (1) CN103219813B (ko)
DE (1) DE102013001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7312B (zh) * 2014-03-12 2018-05-0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线圈骨架、转子、马达以及机器人
US10291090B2 (en) * 2014-06-05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1703891B1 (ko) * 2014-06-13 2017-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JP6398843B2 (ja) * 2014-09-17 2018-10-0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CN105429327B (zh) * 2014-09-17 2018-05-29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DE102015212418A1 (de) 2014-09-17 2016-03-17 Nidec Corporation Motor
KR101668660B1 (ko) * 2015-01-15 2016-10-24 하남전기주식회사 모터의 로터
JP6428484B2 (ja) * 2015-05-20 2018-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アクチュエータ
DE102016014526A1 (de) * 2016-12-07 2018-06-07 Wilo Se Permanentmagnetro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JP6935342B2 (ja) * 2018-01-31 2021-09-1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ロータ、モータおよびロータの製造方法
US11757327B2 (en) 2018-01-31 2023-09-12 Minebea Mitsumi Inc. Rotor,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or
DE102019005666B3 (de) * 2019-08-13 2020-10-01 SEW-EURODRlVE GmbH & Co. KG Elektromotor mit einem auf eine Welle, insbesondere Rotorwelle, aufgestecktem Aktivteil
CN110649731A (zh) * 2019-10-26 2020-01-03 山东华盛农业药械有限责任公司 柱式无铁芯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647A (ko) * 2007-04-25 2008-10-29 주식회사 캐프스 자동차 연료펌프용 bldc 모터의 회전자 구조
JP2009296811A (ja) * 2008-06-06 2009-12-17 Jtekt Corp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41993A (ja) * 2008-12-10 2010-06-24 Mitsuba Corp 回転電機用マグネット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4074A (ja) 1986-11-13 1988-05-27 Minolta Camera Co Ltd 現像器
GB2217924B (en) * 1988-04-25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ermanent magnet rotor
US4973872A (en) * 1988-10-07 1990-11-27 Emerson Electric Co. Dynamoelectric machine rotor assembly with improved magnet retention stucture
JP2526135Y2 (ja) 1989-05-25 1997-02-19 松下電工株式会社 永久磁石回転子
JP2847393B2 (ja) 1989-08-10 1999-01-20 アイチ―エマソン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型回転子
JP2526144Y2 (ja) 1989-09-26 1997-02-19 松下電工株式会社 永久磁石回転子
JPH03143238A (ja) * 1989-10-25 1991-06-18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回転子
EP0459355A1 (en) * 1990-06-01 1991-12-04 Hitachi, Ltd. Permanent magnet type rotor
JPH0648382A (ja) 1992-08-01 1994-02-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水上航走体
JPH06205572A (ja) 1992-12-28 1994-07-22 Ricoh Co Ltd インナ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
DE4331803A1 (de) 1993-09-18 1995-03-23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 kommutierter Elektromotor
JPH07312852A (ja) 1994-05-13 1995-11-28 Yaskawa Electric Corp 永久磁石形回転子の製造方法
JPH09182334A (ja) 1995-12-28 1997-07-11 Daikin Ind Ltd ブラシレスdcモータ
JPH09289747A (ja) 1996-04-22 1997-11-04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圧縮機用電動機の回転子
JPH10201152A (ja) 1997-01-17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回転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79097B2 (ja) 1999-07-23 2006-05-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電動機の回転子
DE19942029B4 (de) * 1999-09-03 2005-12-01 Temic Automotive Electric Motors Gmbh Permanentmagnetrotor für einen bürstenlosen Elektromotor
JP2002010545A (ja) 2000-06-23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永久磁石回転子
JP2004104928A (ja) 2002-09-11 2004-04-02 Kokusan Denki Co Ltd 電動機
JP4160812B2 (ja) * 2002-10-23 2008-10-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永久磁石式同期電動機
JP4081366B2 (ja) 2002-12-06 2008-04-23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電磁比例弁とその組立方法
JP4171914B2 (ja) 2003-11-27 2008-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機、これに用いられる弾性部材、および電動機の製造装置
KR100683595B1 (ko) 2005-06-21 2007-02-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모터의 회전자 구조
JP5142463B2 (ja) 2005-10-31 2013-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
JP4893991B2 (ja) 2005-09-06 2012-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
JP2007159342A (ja) 2005-12-08 2007-06-21 Fanuc Ltd 電動機のロータの作製に使用される型
JP4850528B2 (ja) 2006-02-08 2012-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ータの製造方法
JP2009112158A (ja) 2007-10-31 2009-05-21 Aisan Ind Co Ltd ロータ及びポンプ
JP5493675B2 (ja) 2009-02-09 2014-05-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モータおよびロータ
JP5501660B2 (ja) * 2009-06-04 2014-05-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電動モータ及びそのロータ
JP5359859B2 (ja) 2009-12-25 2013-12-04 日本精工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用ロ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並びにブラシレスモータ用ロー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647A (ko) * 2007-04-25 2008-10-29 주식회사 캐프스 자동차 연료펌프용 bldc 모터의 회전자 구조
JP2009296811A (ja) * 2008-06-06 2009-12-17 Jtekt Corp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141993A (ja) * 2008-12-10 2010-06-24 Mitsuba Corp 回転電機用マグネット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6365B2 (en) 2016-01-26
CN103219813B (zh) 2016-01-20
DE102013001049A1 (de) 2013-07-25
KR20130086176A (ko) 2013-07-31
US20130187487A1 (en) 2013-07-25
CN103219813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200B1 (ko) 브러시리스 모터
CN102410231B (zh) 泵装置
KR102349836B1 (ko) 브러시레스 모터 및 이를 위한 고정자
US20100098565A1 (en) Electric pump rotor and electric pump
WO2018180924A1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WO2016174894A1 (ja) モータ
JP599990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11258321B2 (en) Motor having rotor frame with magnet fixing jig holes
US20150369248A1 (en) Rotor structure and electric fluid pump
JP2013024217A (ja) ポンプ装置
JP651712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09958636B (zh) 离心风扇
CN110168879B (zh) 传感器磁铁组件和马达
US20130154406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JP5946711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711511B1 (ko) 자동차 연료펌프용 dc 모터
EP2770214A2 (en) Electric fluid pump
WO2019003801A1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JP2016208730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WO2018047603A1 (ja) ポンプ用モータ
JP2024051755A (ja) ポンプ装置
KR20130011667A (ko) 트랙션 모터
CN110797998B (zh) 转子和马达
JP202009646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とブラシレスモータ用のロータ
KR102072179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