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54B1 - 반도체 기판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54B1
KR101464854B1 KR1020130003983A KR20130003983A KR101464854B1 KR 101464854 B1 KR101464854 B1 KR 101464854B1 KR 1020130003983 A KR1020130003983 A KR 1020130003983A KR 20130003983 A KR20130003983 A KR 20130003983A KR 101464854 B1 KR101464854 B1 KR 10146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itride semiconductor
region
mask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924A (ko
Inventor
이계진
이호준
최영재
음정현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3000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54B1/ko
Priority to US14/760,989 priority patent/US9583575B2/en
Priority to PCT/KR2014/000021 priority patent/WO2014109506A1/ko
Priority to JP2015552569A priority patent/JP6203287B2/ja
Priority to EP14737890.5A priority patent/EP2945186B1/en
Publication of KR2014009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54B1/ko
Priority to US15/397,668 priority patent/US990565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3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in the bulk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94Structure
    • H01L21/02496Layer structure
    • H01L21/02505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more than two layers
    • H01L21/02507Alternating layers, e.g. superlatt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 H01L29/20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wo or more compounds, e.g. alloys in different semiconductor regions, e.g. heterojunctions

Abstract

반도체 기판은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과,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과,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과,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한다.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한다. 다수의 스텝 영역은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이형 영역은 스텝 영역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판{Semiconductor substrate}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에 관한 것이다.
화합물 반도체 재질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전자 소자로는 태양 전지, 광 검출기 또는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소자는 반도체 기판을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과 그 위에 성장되는 화합물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도체 기판에서, 성장 기판과 화합물 반도체층 사이에 격자 상수, 열 팽창 계수 또는 응력(strain) 차이로 인해 다양한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과 화합물 반도체층 간의 격자 상수 차이로 인해 전위(dislocation)이 발생되어 결정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성장 기판과 화합물 반도체층 간의 격자 상수 차이 및 열 팽창 계수 차이는 응력을 야기한다. 즉, 화합물 반도체들의 성장시의 수축형 응력(compressive strain)과 성장 후 상온으로의 냉각시의 인장형 응력(tensile strain)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어 결국 화합물 반도체층에 크랙(cracks)이 발생되거나 성장 기판이 깨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기판은 화합물 반도체층에 크랙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 소자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하는 반도체층를 양질로 두껍게 성장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술한 문제를 가진 화합물 반도체의 대표로 질화물 반도체가 있으며, 국내 공개번호 10-2012-0032329 건과 국내 공개번호 10-2005-0064527건은 질화물 반도체에 대한 전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판과 반도체 층에 격자 상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실시예는 전위를 제어하여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응력을 제어하여 전자 소자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하는 반도체층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영역은 상기 스텝 영역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결정성 제어층; 상기 결정성 제어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제어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스크 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상기 시드층과 인접하는 제1 스텝 영역 및 제2 스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시드층과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Al을 포함하며, 상기 시드층과 상기 제1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는 30% 내지 60%이다.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Al 함량을 갖는 다수의 스텝 영역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구비하고, 시드층과 접하는 버퍼층의 최하 영역의 스텝 영역의 Al 함량을 시드층의 Al 함량보다 적어도 30% 작도록 하여 주어, 수축형 응력을 극대화시켜 크랙 없고 두꺼운 도전형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버퍼층의 다수의 스텝 영역 사이에 이형 영역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이형 영역 위의 반도체층의 상면을 평면으로 만들어 주어 결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실시예는 이형 영역이 버퍼층에서 발생되는 전위(dislocation)을 차단시켜 주고, 이로 인해 이형 영역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층에 전위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주어 결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이형 영역이 버퍼층의 스텝 영역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이형 영역과 스텝 영역에 의해 응력이 제어되므로, 버퍼층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층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장 기판 깨지지 않게 된다.
실시예는 버퍼층의 전위를 마스크 층의 마스크 패턴으로 1차적으로 차단하고, 마스크 패턴 사이로 수직 방향으로 진행된 전위를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여 주어 더 이상 수직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층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에는 전위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전위에 의한 결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는 다수의 마스크 층과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결정성 제어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수축형 응력을 증가시켜 주어 후공정에 의한 냉각시에 발생되는 인장형 응력을 상쇄시켜 주어 결정성 제어층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층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장 기판도 깨지지 않게 하여 줄 수 있다.
실시예는 결정성이 좋은 질화물 반도체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준 반도체 기판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 광 검출기 또는 발광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전자 소자 또는 다른 분야의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퍼층의 Al 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시드층과 제1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에 따른 응력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제2 스텝 영역과 제3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에 따른 응력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스텝 영역 개수에 따른 응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스텝 영역 개수에 따른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텝 영역의 두께에 따른 응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스텝 영역의 두께에 따른 반도체 기판의 표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버퍼층의 Al 함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TEM 사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버퍼층의 Al 함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마스크 층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7은 도 14의 반도체 기판의 결정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반도체 기판의 결함 밀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결정성 제어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예 및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의 결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1), 시드층(3), 버퍼층(2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전자 소자, 즉 태양 전지, 광 검출기 또는 발광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시드층(3), 상기 버퍼층(20),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상기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II-VI족 및/또는III-V족 화합물 반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성장 기판(1)은 사파이어(Al2O3), SiC, Si, GaAs, GaN, ZnO, GaP, InP 및 G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장 기판(1)은 Si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시드층(3)은 상기 성장 기판(1) 상에 형성되는 에피층, 즉 버퍼층(2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주기 위한 시드(seed)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시드층(3)은 Alx1Ga(1-x1)N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X1은 0.7 내지 1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시드층(3)은 고온, 예컨대 1050℃ 내지 1100℃에서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즉, 시드층(3)은 저온, 예컨대 900℃에서 성장될 수도 있다. 저온에서 성장되면 시드층(3)의 막질이 비정질에 근접하게 되어 상기 성장 기판(1)의 결정 구조에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상기 성장 기판(1)과 상기 시드층(3) 사이의 격자 부정합(lattice mismatch)에 의한 결정 결함이 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1)과 상기 에피층 사이에는 격자 상수로 인한 전위(dislocation) 또는 격자 상수와 열 팽창 계수로 인한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응력은 직간접적으로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 크랙이 발생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예컨대 시드층(3)과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 사이에 버퍼층(20)이 성장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에 의해 상기 성장 기판(1)과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 사이의 격자 상수 차이를 완화시켜 주어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 발생되는 전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은 예컨대 1050℃ 내지 1100℃에서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퍼층(20)은 1070℃로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버퍼층(20) 상에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GaN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성장 기판(1)과의 격자 상수 및 열 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상기 시드층(3)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장형 응력(tensile strain)을 수축형 응력(compressive strain)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이 성장된 이후, 상온으로의 냉각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냉각 공정에 의해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인장형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성장 기판(1) 상에 에피층을 성장할 때 미리 수축형 응력을 증가시켜 놓아야, 수축형 응력이 상온으로의 냉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인장형 응력을 상쇄시켜 궁극적으로 응력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성장 기판(1)이 깨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언도프트(undoped) 반도체층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일 수도 있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상에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나중에 상온으로의 냉각시 응력의 평형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상에 의해 야기된 수축형 응력을 더욱 더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저온, 예컨대 850℃ 내지 950 ℃로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고온, 예컨대 1050℃ 내지 1100℃에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AlN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AlN을 포함하는 응력 제어층(40)의 격자 상수는 GaN을 포함하는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의 격자 상수보다 더 작으므로, 수축형 응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AlGaN/AlN/AlGaN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AlN층의 Al 농도는 AlGaN층의 Al 농도보다 크며, AlGaN의 Al 함량은 선형적으로 또는 계단식으로 가변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AlGaN/AlN/AlGaN을 포함하는 한 주기가 반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응력 제어층(40)은 AlGaN과 AlN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상기 응력 제어층(40) 상에 성장되고, n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n형 도펀트로는 Si, Ge, Sn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p형 도펀트로는 Mg, Zn, Ca, Sr, Ba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 도전형(undoped 또는 non-conductive) 반도체층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소자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사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 상에 다수의 도전형 반도체층이나 다수의 비 도전형 반도체층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이 태양 전지, 광 검출기 또는 발광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 상에 또 다른 도전형 반도체층이 성장되어, 광 검출기나 태양 전지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 상에 활성층이 성장되고, 상기 활성층 상에 또 다른 도전형 반도체층이 성장되어, 발광 소자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과 상기 또 다른 도전형 반도체층은 서로 반대 타입의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이 n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또 다른 도전형 반도체층은 p형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에 따르면, 수축형 응력을 최대한 증가시켜 크랙이 없고 두께가 두꺼운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이 성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버퍼층(20)은 Al 함량이 서로 상이한 다수의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층(20)은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시드층(3)의 상면에 접하는 상기 버퍼층(20)의 최하 영역이 제1 스텝 영역(5)이고,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의 배면에 접하는 상기 버퍼층(20)의 최상 영역이 제7 스텝 영역(17)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은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은 AlxGa(1-x)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는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텝 영역(5)은 Alx2Ga(1-x2)N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텝 영역(7)은 Alx3Ga(1-x3)N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텝 영역(9)은 Alx4Ga(1-x4)N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스텝 영역(11)은 Alx5Ga(1-x5)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스텝 영역(13)은 Alx6Ga(1-x6)N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스텝 영역(15)은 Alx7Ga(1-x7)N을 포함하며, 상기 제7 스텝 영역(17)은 Alx8Ga(1-x9)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텝 영역(5)의 x2은 상기 시드층(3)의 x1보다 0.3 내지 0.6만큼 작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x1이 1인 경우, 즉 상기 시드층(3)이 AlN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텝 영역(5)의 x2는 0.4 내지 0.7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험 데이터는 표 1과 같다.
시드층(x1) 제1 스텝 영역(x2) ΔV1 응력(Curvature)
비교예 1 1 0.9 0.1 -78.3
실시예 1 1 0.7 0.3 -92.8
실시예 2 1 0.5 0.5 -97.5
비교예 1에서는 시드층과 제1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가 0.1이고, 실시예 1에서는 시드층(3)과 제1 스텝 영역(5) 사이의 Al 함량 차이(x2-x1)가 0.3이며, 실시예 2에서는 시드층(3)과 제1 스텝 영역(5) 사이의 Al 함량 차이(x2-x1)가 0.5이다.
표 1과 도 3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서는 수축형 응력이 78.3을 보인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에서는 수축형 응력이 92.8이고, 실시예 3에서는 수축형 응력이 97.5을 보인다.
이로부터, 시드층(3)과 제1 스텝 영역(5) 사이의 Al 함량 차이는 0.3 내지 0.6에서 최대의 수축형 응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스텝 영역(7)의 x3은 상기 제1스텝 영역(5)의 x2보다 0.2 내지 0.4만큼 작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실험 데이터는 표 2와 같다.
제1 스텝 영역(x2) 제2 스텝 영역(x3) ΔV2 응력(Curvature)
비교예 2 0.5 0.425 0.075 -64.0
실시예 3 0.7 0.425 0.275 -81.8
비교예 2에서는 제1 스텝 영역과 제2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x3-x2)가 0.075이고, 실시예 3에서는 제1 스텝 영역(5)과 제2 스텝 영역(7) 사이의 Al 함량 차이(x3-x2)가 0.275이다.
표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 2에서는 수축형 응력이 -64인데 반해, 실시예 3에서는 수축형 응력이 -81.8을 보인다.
이로부터, 제1 스텝 영역(5)과 제2 스텝 영역(7) 사이의 Al 함량 차이(x3-x2)는 0.2 내지 0.4에서 수축형 응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7 스텝 영역(9, 11, 13, 15, 17)의 Al 함량은 선형적으로 또는 비선형적으로 작아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3 내지 제7 스텝 영역(9, 11, 13, 15, 17)의 Al 함량은 각각 0.5, 0.4, 0.3, 0.3 및 0.1로서, 인접하는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ΔV3, ΔV4, ΔV5, ΔV6, ΔV7)가 0.1로 균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내지 제7 스텝 영역(9, 11, 13, 15, 17)의 Al 함량은 각각 0.5, 0.3, 0.2, 0. 1 및 0.05 로서, 인접하는 스텝 영역 상의 Al 함량 차이(ΔV3, ΔV4, ΔV5, ΔV6, ΔV7)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및 제4 스텝 영역(9, 11) 사이의 Al 함량 차이(ΔV4)는 0.2인데 반해, 제4 및 제5 스텝 영역(11, 13) 사이의 Al 함량 차이(ΔV5)는 0.1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서로 상이한 Al 함량을 갖는 다수의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을 포함하는 버퍼층(20)을 구비하고, 시드층(3)과 접하는 버퍼층(20)의 최하 영역의 스텝 영역(5)의 Al 함량을 시드층(3)의 Al 함량보다 적어도 30% 작도록 하여 주어, 수축형 응력을 극대화시켜 크랙 없고 두꺼운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에 포함된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에서, 비교예 3은 스텝 영역의 개수가 3개인 경우이고, 비교예 4는 스텝 영역의 개수가 5개인 경우이며, 실시예 4는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개수가 7개인 경우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3보다는 비교에 4의 수축형 응력이 더 크고, 비교예 4보다는 실시예 4의 수축형 응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도 6a는 도 5의 비교예 3에서의 반도체 기판의 상태, 즉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5의 비교예 4에서의 도전형 반도체층의 표면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도 5의 실시예 4에서의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영역의 개수가 3개인 경우(비교예 3)에는 크랙이 심하였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영역의 개수가 5개인 경우(비교예 4)에는 크랙이 줄어들었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개수가 7개인 경우(실시예4)에는 크랙이 대분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수축형 응력이 증가되고, 이러한 수축형 응력의 증가로 인해 반도체 기판의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 크랙이 줄어들거나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상기 버퍼층(20)의 스텝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일 때, 크랙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스텝 영역의 개수가 10개 이상인 경우, 크랙은 제거되는데 반해 버퍼층(20)의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버퍼층(20)에 포함된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각 두께는 서로 상이하거나 서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버퍼층(20)에 포함된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각 두께는 100nm 내지 150nm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퍼층(20)에 포함된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각 두께는 130nm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에서, 비교예 5는 각 스텝 영역의 두께가 91nm인 경우이고, 비교예 6는 각 스텝 영역의 두께가 149.5nm인 경우이다. 실시예 5는 각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두께가 130nm인 경우이다.
도 8a는 도 7의 비교예 5에서의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실시예 5에서의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5보다 각 스텝 영역의 두께가 작으면(비교예 5),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형 반도체층에 크랙이 많이 발생하였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서는 크랙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 5보다 각 스텝 영역의 두께가 커지면(비교예 6),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의 성장 기판이 깨졌다. 이는 도 7의 비교예 6에서, 수축형 응력이 너무 커지는 바람에, 상온으로의 냉각 공정시 평형 상태(응력=0)가 되기 위해 수축형 응력이 인장형 응력을 점점 더 받다가 어느 순간, 즉 평형 상태가 되기 전에 성장 기판이 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깨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버퍼층(20)의 각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두께는 100nm 내지 150nm일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다수의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과 하나의 이형 영역(62)을 포함하는 버퍼층(20)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1), 시드층(3), 버퍼층(2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은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과 이형 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영역(62)은 상기 제1 및 제2 스텝 영역(5, 7) 사이, 상기 제2 및 제3 스텝 영역(7, 9) 사이, 상기 제3 및 제4 스텝 영역(9, 11) 사이, 상기 제4 및 제5 스텝 영역(11, 13) 사이, 상기 제5 및 제6 스텝 영역(13, 15) 사이, 상기 제6 및 제7 스텝 영역(15, 17) 사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에서는 상기 이형 영역(62)이 상기 제6 및 제7 스텝 영역(15, 17) 사이에 배치되고 있지만, 제2 실시예에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이형 영역(62)은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은 AlxGa(1-x)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는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텝 영역(5)의 Al 함량(x2)은 상기 시드층(3)의 Al 함량(x2)보다 0.3 내지 0.6만큼 작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이형 영역(62)은 AlxInyGa(1-x-y)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0이고(x=0), y는 0이거나 0보다 크고 1이거나 1보다 작을 수 있지만(0≤y≤1),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이형 영역(62)은 InN, InGaN 및 GaN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이형 영역(62)은 도펀트를 포함하지 않는 비 도전형 반도체층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Al 함량(x2 내지 x8)은 서로 상이하다. 이에 반해, 상기 이형 영역(62)의 Al 함량(x)은 0이 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는 서로 상이한 장비의 SEM 사진이다. 도 11(a)는 전위 여부를 보여주고 있고, 도 11(b)는 표면 거칠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영역(62) 아래에서는 상당히 많은 전위가 발생되지만, 이형 영역(62) 위에서는 전위가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영역(62) 아래에서는 표면 거칠기가 크게 발생하고 있지만, 이형 영역(62) 위에서는 표면 거칠기가 매우 작아지고, 이는 제7 스텝 영역(17)의 표면을 평면으로 만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7 스텝 영역(17) 위의 제1 및 제2 질화물(30, 50) 각각의 상면도 평면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30, 50)의 결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의 다수의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 사이 중 하나의 사이에 이형 영역(62)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이형 영역(62) 위에 형성되는 제7 스텝 영역(17)의 표면이 거의 평면(flat surfac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이형 영역(62)이 상기 이형 영역(62)의 아래에 형성된 제1 내지 제6 스텝 영역(5, 7, 9, 11, 13, 15)에 기인하여 발생된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완화하여 줌으로써, 상기 이형 영역(62) 위에 형성된 제7 스텝 영역(17)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이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어떤 층의 표면 거칠기가 크게 되면, 이러한 표면 거칠기로 인해 피트(pit)와 같은 결함이 발생되고 이러한 결함은 전자 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제2 실시예는 버퍼층(20)의 다수의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 사이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이형 영역(62)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이형 영역(62) 위의 반도체층의 상면을 평면으로 만들어 주어 결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형 영역(62)이 상기 시드층(3)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6 스텝 영역(5, 7, 9, 11, 13, 15)을 통해 진행되는 전위(dislocation)을 차단시켜 주고, 이로 인해 상기 이형 영역(62)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 반도체층(30, 50)에 전위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주어 결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형 영역(62)이 예컨대 상기 제6및 제7 스텝 영역(15, 17)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형 영역(62)과 상기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에 의해 응력이 제어되므로,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성장 기판(1)이 깨지지 않게 된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다수의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이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 사이에 배치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은 간략하게 상술되고,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제1 및 제2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1), 시드층(3), 버퍼층(2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0)은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과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 사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6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이형 영역(62a)은 상기 제1 및 제2 스텝 영역(5, 7)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이형 영역(62b)은 상기 제2 및 제3 스텝 영역(7, 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형 영역(62c)은 상기 제3 및 제4 스텝 영역(9, 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이형 영역(62d)은 상기 제4 및 제5 스텝 영역(11, 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이형 영역(62e)은 상기 제5 및 제6 스텝 영역(13, 15)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6 이형 영역(62f)은 상기 제6 및 제7 스텝 영역(15, 1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 사이의 모두에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스텝 영역(5, 7) 사이에 이형 영역(62a)이 형성되지 않고, 제2 내지 제7 스텝 영역(7, 9, 11, 13, 15, 17) 사이에는 모두 이형 영역(62b, 62c, 62d, 62e, 62e)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은 AlxGa(1-x)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는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6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은 AlxInyGa(1-x-y)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0이고(x=0), y는 0이거나 0보다 크고 1이거나 1보다 작을 수 있지만(0≤y≤1),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내지 제6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의 In 함량(y)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의 Al 함량(x2 내지 x8)은 감소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의 Al 함량(x)은 0이 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서와 같이, 제1 내지 제7 스텝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7 스텝 영역(5, 7, 9, 11, 13, 15, 17)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6 이형 영역(62a, 62b, 62c, 62d, 62e, 62f)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결정성이 향상되고 크랙과 같은 결함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버퍼층(20)과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사이에 형성된 마스크 층(70)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고 있지만, 상기 마스크 층(70)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1), 시드층(3), 버퍼층(20), 마스크 층(7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층(70)은 상기 버퍼층(20), 구체적으로 상기 제7 스텝 영역(1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스크 층(70)은 상기 제7 스텝 영역(17)의 상면과 접할 수도 있고, 또한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안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마스크 층(70)은 버퍼층(20)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마스크 층(70)은 실리콘 질화물(SiNx)이나 붕소 질화물(BN)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Si2H6 가스와 NH3 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상기 버퍼층(20) 상에 분사시켜 주어, 상기 버퍼층(20) 상에 실리콘 질화물(SiNx)를 포함하는 마스크 층(70)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층(70)은 다수의 마스크 패턴(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71)은 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패턴(71)은 상부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마스크 패턴(71)은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마스크 패턴(71)은 상기 버퍼층(20), 구체적으로 상기 제7 스텝 영역(17)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마스크 패턴(71)에 의해 상기 버퍼층(20)에 발생된 전위가 차단되므로, 상기 마스크 패턴(71)에 의해 차단된 전위는 더 이상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으로 진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의 전위 개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결함 밀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마스트 패턴(71) 사이에 상기 버퍼층(20)의 제7 스텝 영역(17)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마스크 층(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버퍼층(20)의 제7 스텝 영역(17)과 상기 마스크 층(70)의 마스크 패턴(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버퍼층(20)의 제7 스텝 영역(17)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접하고, 상기 마스크 층(70)의 마스크 패턴(71)의 상면 또는 경사면에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상기 마스크 패턴(71)의 경사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3차원으로 성장될 수 있다. 인접한 마스크 패턴(7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성장된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은 머지(merge)된 후 수평 방향으로 2차원으로 성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패턴(71) 위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성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이 3차원으로 성장되고 이어서 2차원으로 성장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 패턴(71)에 의해 차단되지 못해 상기 마스크 패턴(71) 사이로 진행된 전위가 상기 버퍼층(20)의 제7 스텝 영역(17)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수직 방향보다는 수평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마스크 패턴(71) 사이로 진행된 전위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이 3차원으로 성장될 때 수직 방향으로 진행되다가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이 2차원으로 성장될 때 수평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층(70) 위에 형성된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에 전위가 거의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의 결정성이 향상되어 전자 소자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우수한 막질을 가지며 결함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적어도 3.2㎛ 이상이 성장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4의 반도체 기판의 결정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a)는 반도체 기판의 전 영역에 대한 결정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b)는 반도체 기판의 전 영역에 대한 결정성을 히스토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의 전 영역에서 305arcsec 내지 330arcsec의 결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의 면적에 단지 4개의 전위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단위로 환산화면, 결함 밀도가 대략 1E8/cm2로서 매우 우수한 결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는 상기 버퍼층(20)의 전위를 마스크 층(70)의 마스크 패턴(71)으로 1차적으로 차단하고, 마스크 패턴(71) 사이로 수직 방향으로 진행된 전위를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여 주어 더 이상 수직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의 상부 영역이나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위에 형성된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에는 전위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전위에 의한 결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5 실시예는 다수의 마스크 층(70a, 70b, 70c)과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을 포함하는 결정성 제어층(80)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누락된 내용은 제1 실시예나 제4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고 있지만, 상기 마스크 층(70a, 70b, 70c)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은 성장 기판(1), 시드층(3), 버퍼층(20), 결정성 제어층(80),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 응력 제어층(40)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제어층(80)은 다수의 마스크 층(70a, 70b, 70c)과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마스크 층(70a, 70b, 70c)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이 서로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퍼층(20), 구체적으로 상기 제7 스텝 영역(17) 상에 제1 마스크 층(7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스크 층(70a) 상에 제1 질화물 반도체층(7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72a) 상에 제2 마스크 층(7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스크 층(70b) 상에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b) 상에 제3 마스크 층(70c)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마스크 층(70c) 상에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은 AlxGa(1-x)N (0<x<1)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 각각은 다수의 마스크 패턴(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72a)은 상기 제1 마스크 층(70a)의 마스크 패턴(71)의 상면 또는 경사면에 접하고 상기 버퍼층(20)의 제7 스텝 영역(17)의 상면에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b)은 상기 제2 마스크 층(70b)의 마스크 패턴(71)의 상면 또는 경사면에 접하고 상기 제1 질화물 반도체층(72a)의 상면에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c)은 상기 제3 마스크 층(70c)의 마스크 패턴(71)의 상면 또는 경사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b)의 상면에 접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의 두께는 대략 30nm로 성장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는 마스크 층(70a)과 질화물 반도체층(72a)을 한 쌍으로 할 때, 대략 최대 10 쌍으로 형성되고, 10쌍의 최대 두께는 대략 300nm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5 실시예와 차별화를 위해, 제5 실시예에서는 결정성 제어층(80)은 최소 2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층(70a)와 질화물 반도체층(72a)를 한 쌍으로 할 때, 결정성 제어층(80)은 2쌍 내지 10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 각각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의 마스크 패턴(7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 층(70a, 70b)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 층(70a, 70b) 각각의 마스크 패턴(71)은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질화물 반도체층(72b) 상에 상기 제2 마스크 층(70b)의 상기 돌출된 마스크 패턴(71)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마스크 층(70c)의 마스크 패턴(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c)의 두께는 상기 제3 마스크 층(70c)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c)은 상기 제2 마스크 층(70b)의 상기 돌출된 마스크 패턴(71)의 상부와 상기 제3 마스크 층(70c)의 마스크 패턴(71)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의 두께보다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은 상기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의 마스크 패턴(71)을 시드로 이용하여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은 3차원으로 성장되고 이어서 2차원으로 성장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는 대략 500arcsec의 결정성을 가지고, 제4 실시예는 대략 450arcsec의 결정성을 가지며, 제5 실시예는 대략 380arcsec의 결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는 어떠한 마스크 층도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고, 제4 실시예는 하나의 마스크 층(70)이 형성된 경우이며, 제5 실시예는 다수의 마스크 층(70a, 70b, 70c)이 형성된 경우이다.
비교예보다는 제4 실시예가 결정성이 우수하고, 제4 실시예보다는 제5 실시예가 결정성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5 실시예는 다수의 마스크 층(70a, 70b, 70c)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버퍼층(20)에서 발생된 전위가 상기 버퍼층(20) 위의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할 확률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제5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마스크 층(70a, 70b, 70c) 상에 3차원적으로 이어서 2차원적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진행된 전위를 수평 방향으로 유도시켜 줌으로써, 전위가 상기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활 확률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의 결정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을 기반으로 제조된 전자 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제5 실시예는 다수의 마스크 층(70a, 70b, 70c)과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72a, 72b, 72c)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수축형 응력을 증가시켜 주어 후공정에 의한 냉각시에 발생되는 인장형 응력을 상쇄시켜 주어 제1 및 제2 질화물 반도체층(30, 50)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장 기판도 깨지지 않게 하여 줄 수 있다.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성장 기판 (1)의 직경은 100mm 이상이고 두께는 650㎛이며, 버퍼층(20)의 두께는 대략 1㎛이고, 제1 질화물 반도체층(30)의 두께는 1.0㎛ 이상이고, 제2 질화물 반도체층(50)은 2.0㎛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되지 않았지만, 제1 내지 제5 실시예는 서로 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마땅히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 성장 기판
3: 시드층(seed layer)
5, 7, 9, 11, 13, 15, 17: 스텝 영역(step portion)
20: 버퍼층
30, 50, 72a, 72b, 72c: 질화물 반도체층
40: 응력 제어층(strain control layer)
62, 62a, 62b, 62c, 62d, 62e, 62f: 이형 영역(hetero-type portion)
70, 70a, 70b, 70c: 마스크 층(mask layer)
71: 마스크 패턴
80: 결정성 제어층

Claims (2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며 서로 상이한 Al 함량을 갖는 다수의 스텝 영역으로 구성된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하며,
    상기 시드층에 인접하는 스텝 영역의 Al 함량은 상기 시드층의 Al 함량보다 30% 내지 60% 작은 반도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층은,
    AlN층; 및
    상기 AlN 층 위 및 아래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AlGaN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어층의 AlN층에서의 Al 농도는 상기 AlGaN 층에서의 Al 농도보다 큰 반도체 기판.
  4.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서로 상이한 Al 함량을 가지며,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인 AlxGa(1-x)N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영역은 상기 스텝 영역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인 AlxInyGa(1-x-y)N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서로 동일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 영역은 상기 스텝 영역과 상이한 질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이형 영역은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에 인접한 2개의 스텝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기판.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상기 시드층과 접하는 제1 스텝 영역, 상기 제1 스텝 영역과 인접하는 제2 스텝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스텝 영역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층과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Al을 포함하고,
    상기 시드층과 상기 제1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는 30% 내지 60%인 반도체 기판.
  10. 제1항 내지 6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중 최하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배치된 결정성 제어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제어층은 다수의 마스크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 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제어층은,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마스크 층; 및
    상기 마스크 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층과 상기 질화물 반도체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반도체 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층은 서로 이격된 다수의 마스크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각각의 두께는 상기 다수의 마스크 층 각각의 두께보다 큰 반도체 기판.
  15. 제1항 내지 6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중 최상층은 도전형 반도체층인 반도체 기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는 2.0㎛ 이상인 반도체 기판.
  1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시드층;
    상기 시드층 상에 배치된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결정성 제어층;
    상기 결정성 제어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응력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제어층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스크 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다수의 스텝 영역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상기 시드층과 인접하는 제1 스텝 영역 및 제2 스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시드층과 상기 다수의 스텝 영역은 Al을 포함하며,
    상기 시드층과 상기 제1 스텝 영역 사이의 Al 함량 차이는 30% 내지 60%인 반도체 기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제어층은 상기 둘 이상의 마스크 층 상에 배치된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텝 영역의 Al 함량은 상기 시드층의 Al 함량보다 작은 반도체 기판.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 영역의 Al 함량은 상기 제1 스텝 영역의 Al 함량보다20% 내지 40% 작은 반도체 기판.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영역 각각의 Al 함량은 상이하고,
    상기 이형 영역의 Al 함량은 0인 반도체 기판.
  23. 제17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질화물 반도체층 중 최상층은 도전형 반도체층이고,
    상기 도전형 반도체층의 두께는 2.0㎛ 이상인 반도체 기판.
KR1020130003983A 2013-01-14 2013-01-14 반도체 기판 KR10146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3A KR101464854B1 (ko) 2013-01-14 2013-01-14 반도체 기판
US14/760,989 US9583575B2 (en) 2013-01-14 2014-01-03 Semiconductor substrate
PCT/KR2014/000021 WO2014109506A1 (ko) 2013-01-14 2014-01-03 반도체 기판
JP2015552569A JP6203287B2 (ja) 2013-01-14 2014-01-03 半導体基板
EP14737890.5A EP2945186B1 (en) 2013-01-14 2014-01-03 Semiconductor substrate
US15/397,668 US9905656B2 (en) 2013-01-14 2017-01-03 Semiconductor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3A KR101464854B1 (ko) 2013-01-14 2013-01-14 반도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24A KR20140091924A (ko) 2014-07-23
KR101464854B1 true KR101464854B1 (ko) 2014-11-25

Family

ID=5116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83A KR101464854B1 (ko) 2013-01-14 2013-01-14 반도체 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583575B2 (ko)
EP (1) EP2945186B1 (ko)
JP (1) JP6203287B2 (ko)
KR (1) KR101464854B1 (ko)
WO (1) WO2014109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2957B2 (ja) * 2014-09-29 2018-12-2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テン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20180053662A1 (en) * 2016-08-17 2018-02-22 Globalfoundries Inc. Texturing of silicon surface with direct-self assembly patterning
JP7462544B2 (ja) * 2020-12-11 2024-04-05 株式会社東芝 窒化物半導体、ウェーハ、半導体装置及び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039A (ja) * 1998-03-20 1999-10-29 Ind Technol Res Inst GaN層および緩衝層の成長法およびその構造
JP2005191519A (ja) * 2003-12-24 2005-07-14 Samsung Electro Mech Co Ltd GaN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54068A (ja) * 2010-05-07 2011-12-15 Sumitomo Chemical Co Ltd 半導体基板
JP2012243886A (ja) * 2011-05-18 2012-12-10 Sharp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765B2 (ja) * 2000-03-24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10144B2 (en) * 2000-07-21 2003-08-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to reduce the dislocation density in group III-nitride films
US6649287B2 (en) * 2000-12-14 2003-11-18 Nitronex Corporation Gallium nitride materials and methods
JP3866540B2 (ja) * 2001-07-06 2007-01-10 株式会社東芝 窒化物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561526B (en) * 2001-12-21 2003-11-11 Aixtron Ag Method for depositing III-V semiconductor layers on a non-III-V substrate
US6841001B2 (en) * 2002-07-19 2005-01-11 Cree, Inc. Strain compensated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train compensated semiconductor structures
US7176115B2 (en) * 2003-03-20 2007-0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Group III nitride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JP4525894B2 (ja) 2003-11-21 2010-08-1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素子形成用板状基体及び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使用した半導体素子
SG145706A1 (en) * 2005-02-02 2008-09-29 Agency Science Tech & Res Method and structure for fabricating iii-v nitride layers on silicon substrates
US7365374B2 (en) * 2005-05-03 2008-04-29 Nitronex Corporation Gallium nitride material structures including substrate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the same
JP4462249B2 (ja) * 2005-09-22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集積型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窒化物系iii−v族化合物半導体の成長方法
US7547925B2 (en) * 2005-11-14 2009-06-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uperlattice strain relief layer for semiconductor devices
US7528681B2 (en) * 2005-12-20 2009-05-05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coustic devices using an AlGaN piezoelectric region
EP1978550A4 (en) * 2005-12-28 2009-07-22 Nec Corp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ULTILAYER EPITAXIAL FILM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US7825432B2 (en) 2007-03-09 2010-11-02 Cree, Inc. Nitride semiconductor structures with interlayer structures
US8362503B2 (en) 2007-03-09 2013-01-29 Cree, Inc. Thick nitride semiconductor structures with interlayer structures
DE102009047881B4 (de) 2009-09-30 2022-03-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pitaktisch hergestellten Schichtstruktur
US8575660B2 (en) * 2009-10-14 2013-11-0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Group III-V semiconductor device with strain-relieving interlayers
CN102822397A (zh) 2010-03-31 2012-12-12 日本碍子株式会社 外延基板以及外延基板的制造方法
JP2011216548A (ja) * 2010-03-31 2011-10-27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GaN系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基板の製造方法
EP2581929A4 (en) * 2010-06-08 2014-04-02 Ngk Insulators Ltd EPITACTIC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PITACTIC SUBSTRATE
KR20120032329A (ko) 2010-09-28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JP5672926B2 (ja) 2010-10-08 2015-02-18 富士通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56409A1 (de) * 2010-12-26 2012-06-28 Azzurro Semiconductors Ag Gruppe-III-Nitrid basierte Schichtenfolge, Halbleiterbauelement, umfassend eine Gruppe-III-Nitrid basierte Schichtenfol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20120078343A (ko) 2010-12-31 2012-07-10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KR20140030918A (ko) * 2012-09-04 2014-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JP5425284B1 (ja) * 2012-09-21 2014-02-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ウェーハ、半導体素子及び窒化物半導体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039A (ja) * 1998-03-20 1999-10-29 Ind Technol Res Inst GaN層および緩衝層の成長法およびその構造
JP2005191519A (ja) * 2003-12-24 2005-07-14 Samsung Electro Mech Co Ltd GaN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54068A (ja) * 2010-05-07 2011-12-15 Sumitomo Chemical Co Ltd 半導体基板
JP2012243886A (ja) * 2011-05-18 2012-12-10 Sharp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186A1 (en) 2015-11-18
EP2945186B1 (en) 2023-10-04
US9905656B2 (en) 2018-02-27
US9583575B2 (en) 2017-02-28
JP2016506085A (ja) 2016-02-25
JP6203287B2 (ja) 2017-09-27
WO2014109506A1 (ko) 2014-07-17
EP2945186A4 (en) 2017-01-18
US20170141195A1 (en) 2017-05-18
US20150357418A1 (en) 2015-12-10
KR20140091924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344B2 (ja) Iii族窒化物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101636032B1 (ko) 고전위 밀도의 중간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102549778A (zh) 倾斜基底上的高质量非极性/半极性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20090078605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0587A (ko) 도핑된 버퍼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2554719A1 (en) Epitaxial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pitaxial substrate
US2010024845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KR101464854B1 (ko) 반도체 기판
KR100616543B1 (ko) 실리콘기판 상에 질화물 단결정성장방법, 이를 이용한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9444A (ko) Led 프리커서
CN101728244A (zh) 阻断半导体差排缺陷的方法
KR20210045835A (ko) 반도체 박막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1405693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8697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EP2704184B1 (en) Semiconductor buffer 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2989B1 (ko) 질화갈륨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발광소자
KR20220054363A (ko) 변형 완화 구조를 통합한 led 전구체
JP6649693B2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50537B1 (ko) 반도체 소자
KR20130108935A (ko)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JP712033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40088929A (ko) 반도체 기판
KR101401228B1 (ko) 반도체 기판
KR101820539B1 (ko) 반도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1425B1 (ko) 양자섬을 삽입한 고품질 반도체 소자용 기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