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468B1 - 캡 리어 마운팅장치 - Google Patents

캡 리어 마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468B1
KR101459468B1 KR1020130065502A KR20130065502A KR101459468B1 KR 101459468 B1 KR101459468 B1 KR 101459468B1 KR 1020130065502 A KR1020130065502 A KR 1020130065502A KR 20130065502 A KR20130065502 A KR 20130065502A KR 101459468 B1 KR101459468 B1 KR 10145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p
mounting
post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현
김병배
이동근
김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468B1/ko
Priority to US14/073,690 priority patent/US8998304B2/en
Priority to CN201310597538.0A priority patent/CN10422898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62D33/0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characterised by the device for locking the cab in the tilted or in the driving position
    • B62D33/071Locking devices for cabins in driving position;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캡 리어 마운팅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1쌍의 포스트, 상기 1쌍의 포스트에 각각 장착된 스트라이커, 캡에 장착되고, 상기 각 스트라이커에 결합되어 록킹되면서 상기 캡을 차체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되어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캡을 상기 차체로부터 해방시키는 1쌍의 록킹장치, 및 상기 각 포스트에 장착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장치를 포함하여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 리어 마운팅장치{Cab rea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트럭과 같은 상용차량의 캡의 후방을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캡 리어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 등의 대형 트럭에 장착되는 캡은 차량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로 틸팅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캡의 하부에 설치된 엔진이나 트랜스밋션 등과 같은 장치의 정비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캡 마운팅장치는, 상기 캡의 전방을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방 힌지장치와, 상기 캡의 후방을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리어 마운팅장치 등을 포함하여, 상기 리어 마운팅장치를 통해 캡의 후방을 차체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상기 전방 힌지장치를 통해 캡을 차량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로 틸팅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캡 마운팅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고르지 못한 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캡으로 가능한 한 전달되지 않도록 중간에서 적절히 흡수하여, 캡에 탑승한 운전자나 탑승자의 운전 피로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캡 마운팅장치 중에 리어 마운팅장치는 리지드 러브를 사용하는 타입이나, 쿠션 오일 러버를 사용하는 타입,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버를 사용하는 타입 혹은 에어 스프링과 쇽 업소버를 사용하는 타입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캡의 후방을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종래의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는 그 형상 및 구조가 복잡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장착된 러버를 사용함에 따라 장착 작업성 및 승차감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도 증가시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차량의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장착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승차감도 개선할 수 있는 캡 리어 마운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리어 마운팅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1쌍의 포스트, 상기 1쌍의 포스트에 각각 장착된 스트라이커, 캡에 장착되고, 상기 각 스트라이커에 결합되어 록킹되면서 상기 캡을 차체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되어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캡을 상기 차체로부터 해방시키는 1쌍의 록킹장치, 및 상기 각 포스트에 장착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체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차체 프레임에 상기 각 포스트가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록킹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1쌍의 록킹장치를 동시에 록킹시키거나 혹은 록킹을 해제시키는 조작바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바아의 선단부에는 조작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핸들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 키이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포스트에는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걸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세이프티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의 후방 하부에는 마운팅 브래킷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세이프티 후크와 상기 록킹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1쌍의 포스트 각각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배치되어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1쌍의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포스트 각각은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대체로 브래킷 형상을 한 포스트 바디, 상기 포스트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형성된 1쌍의 연장부, 상기 1쌍의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1쌍의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장착부에 상기 1쌍의 부시가 각각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포스트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와 연결된 쇽 업소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의 외주에는 1쌍의 연결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마운팅 플랜지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를 관통해서 장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장착 볼트를 매개로 상기 쇽 업소버의 하부가 장착되고, 상기 1쌍의 연결부에는 V자 형상을 이루는 링크 브래킷이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상부는 링크 브래킷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캡의 상기 마운팅 브래킷(12)에 장착된 래치 하우징, 상기 래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래치, 상기 제1래치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바아와 연동되게 연결된 제2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리어 마운팅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1쌍의 부시에 의해 장착 강성을 줄여서 승차감 및 튜닝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쇽 업소버의 탈착이 가능하여 리어 마운팅장치의 단가 및 승차감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캡의 후방 하부의 형상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캡의 후방을 차체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록킹장치의 장착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금형 작업의 축소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배치된 분리형 포스트를 사용함에 따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차량의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캡의 후방을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록킹 장력의 균일화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리어 마운팅장치가 캡의 후방 하부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리어 마운팅장치가 장착되는 캡의 후방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를 포함하는 록킹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리어 마운팅장치는, 운전자 등이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탑승 공간을 구비한 캡(10)의 후방을 차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차체를 구성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1쌍의 차체 프레임(20)에 상기 캡(1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캡 리어 마운팅장치는, 상기 1쌍의 차체 프레임(20)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고정되게 장착됨과 더불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1쌍의 분리형 포스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쌍의 분리형 포스트를 사용하면, 리어 마운팅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또한 중량 및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캡(10)에는 상기 1쌍의 포스트(30)에 체결되어 상기 캡(10)을 상기 1쌍의 차체 프레임(20)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상기 1쌍의 포스트(3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캡(10)을 상기 차체 프레임(20)으로부터 탈거시키는 1쌍의 록킹장치(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록킹장치(40)와 연결되어, 상기 1쌍의 록킹장치(40)를 동시에 록킹시키거나 혹은 록킹을 해제시키는 조작바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바아(50)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한쪽 선단부는 한쪽 록킹장치(40)에 연결되는 반면에 그 다른쪽 선단부에는 조작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손잡이(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포스트(30)에는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대체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걸고리(60)가 구비되고, 상기 캡(10)의 후방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세이프티 후크(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후방 하부에는 마운팅 브래킷(12)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12)에는 다수개의 체결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21)에 상기 세이프티 후크(70)가 힌지핀(72)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캡(10)의 후방 하부는 상기 록킹장치(40)의 장착을 위한 상기 마운팅 브래킷(12)만을 단순히 장착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그 형상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금형 작업 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1쌍의 포스트(30)는 각각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대체로 브래킷 형상을 한 포스트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바디(3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1쌍의 연장부(32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1쌍의 연장부(321)에는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1쌍의 장착부(3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장착부(322)에는 각각 고무 재질로 된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1쌍의 부시(34)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1쌍의 부시(34)는 댐퍼장치를 구성하고, 그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된 스트라이커(3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장착부(322)에 삽입된 1쌍의 부시(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1쌍의 장착부(322)에는 스톱퍼 플레이트(3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36)의 외주에는 1쌍의 연결부(361)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연결부(361)는 상기 스트라이커(36)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바디(32)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마운팅 플랜지(323)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랜지(323)를 관통해서 장착 볼트(324)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포스트(30)에는 1쌍의 장착부(322)에 의해 1쌍의 부시(34)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1쌍의 부시(34)는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의 3축 방향으로 작동이 명확하고, 그 강성 조절이 용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를 도시한 것인 바, 상기 장착 볼트(324)에는 쇽 업소버(80)의 하부가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쇽 업소버(80)의 상부는 대체로 V자 형상을 이루는 링크 브래킷(82)을 통해 상기 1쌍의 연결부(361)와 연결된다.
즉 상기 링크 브래킷(82)의 하부에는 상기 쇽 업소버(80)의 상단이 관통해서 체결되고, 상기 링크 브래킷(82)의 양측 상부는 상기 1쌍의 연결부(36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쇽 업소버(80)는 상기 1쌍의 부시(34)와 함께 댐퍼장치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쇽 업소버(80)을 포스트(30)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쇽 업소버(80)가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해서 저감시키게 되므로, 승차감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쇽 업소버(80)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30)에 선택적 사양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캡 리어 마운팅장치의 가격을 이원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캡(10)의 마운팅 브래킷(12)에다수개의 체결홀(121)을 통해 체결되어 장착되는 래치 하우징(42)과, 상기 래치 하우징(4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36)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래치(44), 상기 제1래치(44)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 하우징(4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바아(50)와 연동되게 연결된 제2래치(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래치(44)와 재2래치(46)는 각각 상기 래치 하우징(42)에 핀(48)으로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캡(10)이 차체 쪽으로 하강하면, 캡(10)에 장착된 상기 록킹장치(40)의제1래치(44)가 차체 프레임(20)에 설치된 포스트(30)의 스트라이커(36)에 결합되어 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바아(50)를 조작하여 상기 제2래치(46)가 상기 제1래치(44)와 결합하도록 하면, 상기 캡(10)이 록킹장치(40)를 통해 포스트(30)를 매개로 차체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록킹장치(40)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캡 마운팅 부위의 구조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록킹 장력의 균일화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바아(50)의 한쪽 선단부에는 조작핸들(54)을 연결하고, 상기 조작핸들(54)과 인접한 부위에 키이 세트(56)를 설치하여, 차량의 시동 키이를 소지한 사람만이 상기 조작핸들(54)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의 틸팅 조작의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캡
20: 차체 프레임
30: 포스트
40: 록킹장치
50: 조작바아
60: 걸고리
70: 세이프티 후크
80: 쇽 업소버

Claims (11)

  1.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1쌍의 포스트;
    상기 1쌍의 포스트에 각각 장착된 스트라이커;
    캡에 장착되고, 상기 각 스트라이커에 결합되어 록킹되면서 상기 캡을 차체에 고정시키거나 혹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되어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캡을 상기 차체로부터 해방시키는 1쌍의 록킹장치;
    상기 각 포스트에 장착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장치; 및
    상기 1쌍의 록킹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1쌍의 록킹장치를 동시에 록킹시키거나 혹은 록킹을 해제시키는 조작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바아의 선단부에는 조작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핸들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조작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 키이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세트가 설치된 캡 리어 마운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차체 프레임에 상기 각 포스트가 고정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리어 마운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포스트에는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ㄷ자 형상을 이루는 걸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캡에는 상기 걸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세이프티 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후방 하부에는 마운팅 브래킷이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세이프티 후크와 상기 록킹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1쌍의 포스트 각각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배치되어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1쌍의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포스트 각각은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대체로 브래킷 형상을 한 포스트 바디;
    상기 포스트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형성된 1쌍의 연장부;
    상기 1쌍의 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1쌍의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장착부에 상기 1쌍의 부시가 각각 삽입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포스트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와 연결된 쇽 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리어 마운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외주에는 1쌍의 연결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 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마운팅 플랜지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를 관통해서 장착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장착 볼트를 매개로 상기 쇽 업소버의 하부가 장착되고;
    상기 1쌍의 연결부에는 V자 형상을 이루는 링크 브래킷이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쇽 업소버의 상부는 링크 브래킷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리어 마운팅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캡의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장착된 래치 하우징;
    상기 래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래치;
    상기 제1래치와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바아와 연동되게 연결된 제2래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리어 마운팅장치.
KR1020130065502A 2013-06-07 2013-06-07 캡 리어 마운팅장치 KR10145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502A KR101459468B1 (ko) 2013-06-07 2013-06-07 캡 리어 마운팅장치
US14/073,690 US8998304B2 (en) 2013-06-07 2013-11-06 Cab rear mounting device
CN201310597538.0A CN104228980B (zh) 2013-06-07 2013-11-22 驾驶室后方安装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502A KR101459468B1 (ko) 2013-06-07 2013-06-07 캡 리어 마운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468B1 true KR101459468B1 (ko) 2014-11-07

Family

ID=5200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502A KR101459468B1 (ko) 2013-06-07 2013-06-07 캡 리어 마운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98304B2 (ko)
KR (1) KR101459468B1 (ko)
CN (1) CN104228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7774B2 (en) * 2014-10-06 2016-05-03 Caterpillar Inc. Mount apparatus for rollover protection system
CN104859729A (zh) * 2015-05-05 2015-08-26 芜湖福马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防车身翻转的安装支架
TR201509379A2 (tr) * 2015-07-29 2017-02-21 Ford Otomotiv Sanayi As Bi̇r kabi̇n ki̇li̇t mekani̇zmasi
US9889893B2 (en) 2016-02-26 2018-02-13 Cnh Industrial America Llc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and related sensor assembly
US10611416B1 (en) * 2017-04-28 2020-04-07 Oshkosh Defense, Llc Cabin assembly
US10286964B2 (en) 2017-09-07 2019-05-14 Caterpillar Inc. Lock mechanism for a tiltable operator cab
KR20190029016A (ko) * 2017-09-11 201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캡 록킹 장치
CN108327807A (zh) * 2018-03-15 2018-07-27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分体式驾驶室锁止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948Y2 (ja) * 1991-03-12 1997-11-1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キャブチルトロック装置
JP2002129799A (ja) * 2000-10-19 2002-05-09 Isuzu Motors Ltd メカニカル式キャブチルトロック装置
JP2009012509A (ja) * 2007-07-02 2009-01-22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キャブマウント構造
JP2012180028A (ja) * 2011-03-02 2012-09-20 Hino Motors Ltd キャブロック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2943A (en) * 1964-04-17 1967-11-29 British Leyland Motor Corp Vehicle cab
US3847492A (en) * 1972-08-08 1974-11-12 Caterpillar Tractor Co Tractor cab mounting apparatus
US3857602A (en) * 1973-01-29 1974-12-31 Diamond Reo Trucks Inc Mounting for tilt cab vehicles
JP2544899Y2 (ja) 1991-09-09 1997-08-20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のキャブロック装置
US5562390A (en) * 1995-01-24 1996-10-08 Mcneilus Truck And Manufacturing, Inc. Detachable truck body and handling mechanism
US5890556A (en) * 1996-05-01 1999-04-06 Paccar Inc Vehicle hood mounting system
CN2424277Y (zh) * 2000-06-13 2001-03-21 沈阳市汽车开关厂 汽车驾驶室翻转控制机构保险锁
KR20070021443A (ko) 2005-08-18 2007-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캡 리어 마운팅장치
US7607721B2 (en) * 2006-11-08 2009-10-27 Caterpillar Inc. Operator cab til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948Y2 (ja) * 1991-03-12 1997-11-1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キャブチルトロック装置
JP2002129799A (ja) * 2000-10-19 2002-05-09 Isuzu Motors Ltd メカニカル式キャブチルトロック装置
JP2009012509A (ja) * 2007-07-02 2009-01-22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キャブマウント構造
JP2012180028A (ja) * 2011-03-02 2012-09-20 Hino Motors Ltd キャブロックの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8980B (zh) 2018-04-27
US20140361566A1 (en) 2014-12-11
CN104228980A (zh) 2014-12-24
US8998304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468B1 (ko) 캡 리어 마운팅장치
JP4358813B2 (ja) 建設機械用運転室保護構造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20100045800A (ko)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CN201604704U (zh) 一种汽车全浮后悬置装置
JP2006335344A (ja) 建設機械運転室の荷重支持装置
US3618692A (en) Vehicle cab suspension
JP2017109681A (ja) 鞍乗り型車両のライセンスプレート支持構造
JP2017178037A (ja) 鞍乗型車両
CN111016952A (zh) 牵引装置及具有其的轨道车辆
JP2007112233A (ja) 作業車両
CN104015633B (zh) 叉车座椅安装座
JP2012224275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KR101855750B1 (ko) 차체 보강 유닛
ES2296540B1 (es) Sistema amortiguado de sujecion de copiloto de motocicleta.
CN215921838U (zh) 全地形车
CN216110204U (zh) 全地形车
JP5712091B2 (ja) 自動二輪車
JP4379991B2 (ja) 車両用駆動伝達装置
JP2014058187A (ja) 自動二輪車
CN207790592U (zh) 一种汽车前保险杠
JP5541077B2 (ja) 自動二輪車のウインドスクリーン装置
KR100969008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구조
KR101021403B1 (ko)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JPH10157655A (ja) キャブオーバ型トラックのキャブの振動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