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375B1 -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 - Google Patents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375B1
KR101442375B1 KR1020127027734A KR20127027734A KR101442375B1 KR 101442375 B1 KR101442375 B1 KR 101442375B1 KR 1020127027734 A KR1020127027734 A KR 1020127027734A KR 20127027734 A KR20127027734 A KR 20127027734A KR 101442375 B1 KR101442375 B1 KR 10144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facility
presen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882A (ko
Inventor
니우 다카야
로쿠시마 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살리면서, 내용제성을 개선시킨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10~50:50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MOLDED MATERIAL FOR WET AREA HOUSE EQUIPMENT AND WET AREA HOUSE EQUIPMENT USING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 관련 주택 설비 중,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등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 등이 알려져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면에서도 우수하지만, 한편으로, 물성에 있어서 장점과 단점을 겸비하므로, 상기에 예시한 바와 같은 물 관련 주택 설비에 이용되는 경우는 적으며,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용도도 한정되어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우수하지만, 표면 경도가 낮으므로, 물 관련 주택 설비 중 주로 개호용(介護用) 화장실(변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내약품성, 내용제성이 우수하지만, 표면 경도나 내수 내구성이 낮으므로, 물 관련 주택 설비 중 주로 수세 볼 등에 이용되고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해 표면 경도가 우수하므로, 이들의 점에서 상기와 같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내용제성이 낮으므로, 물 관련 주택 설비 중 주로 가정용 변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1에는, 물 관련 등에도 이용되는 핸드레일 부품용 성형 재료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각종의 첨가 성분을 배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성형 재료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점이나, 각종의 첨가 성분과의 조합도 고려하면, 상기에 예시한 것과 같은 물 관련 주택 설비에 대한 사용에는 물성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2003-231797호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이 우수하므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에는 없는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내용제성이 낮고, 예를 들면, 잔류 변형이 큰 개소에 용제가 작용하면 케미컬 스트레스 현상을 일으켜, 이른바 케미컬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살리면서, 내용제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살리면서, 내용제성을 개선시킨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10~50:50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주택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주택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로서, 물에 젖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용도에 적용되는 설비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세면 소품, 욕실 내 선반, 욕조, 또는 욕실 소품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인 것도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는, 상기 제1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는, 주택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주택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로서, 물에 젖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용도에 적용되는 설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물 관련 주택 설비는,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세면 소품, 욕실 내 선반, 욕조, 또는 욕실 소품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명에 의하면,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이 유지됨과 더불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병용에 의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내용제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발명에 의하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병용에 의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내용제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변기 장치에 있어서의 변기 본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10~50:50의 질량비로 함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로서 주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함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상기의 특정 질량비로 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이 유지됨과 더불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병용에 의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내용제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물 관련 주택 설비는, 상기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물 관련 주택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주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의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병용에 의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내용제성을 얻을 수 있다.
물 관련 주택 설비에는, 주택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주택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로서, 물에 젖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용도에 적용되는 설비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주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표면 경도, 내수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을 유지함과 더불어, 내용제성을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함유한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이용하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혹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2-에틸헥실기, 도데실기, 스테아릴기 등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8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며, 예를 들면,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2-에틸헥실기, 도데실기, 스테아릴기 등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성형 가공 시의 유동성, 내약품성, 성형품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것으로 되지만, 예를 들면,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폴리스티렌을 표준 시료로 하여 측정한 값으로 70000~170000의 범위 내이다. GPC는, 예를 들면 다음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장치 : 도소(주)제 HLC-8120GPC
용리액 : 클로로포름
검출기 : 시차 굴절계
온도 : 4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공지의 라디칼 중합법, 예를 들면 괴상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는, 산 성분에 주로 테레프탈산을 이용하고, 글리콜 성분에 주로 트리메틸렌글리콜을 이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되는 글리콜에스테르가, 또한 중축합함으로써,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생성한다.
테레프탈산 이외의 다른 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디페닐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본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본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본산, 디페닐케톤디카르본산, 디페닐설폰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숙신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본산, ε-옥시카프론산, 히드록시 안식향산, 히드록시에톡시 안식향산 등의 옥시디카르본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테레프탈산은, 산 성분의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메틸렌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1-프로판디올, 2,2-프로판디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안정성의 점에서는 1,3-프로판디올이 바람직하며, 1,3-프로판디올이 글리콜 성분의 8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리메틸렌글리콜로서 식물 유래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식물 유래의 트리메틸렌글리콜을 원료로서 이용함으로써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른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리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하이드로퀴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는, 분기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분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카르바릴산, 트리메신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3관능 또는 4관능의 에스테르 형성능을 갖는 산,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트 등의 3관능 또는 4관능의 에스테르 형성능을 갖는 알코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 경우, 분기 성분의 양은, 디카르본산 성분의 전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몰% 이하이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동일한 방법, 예를 들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으로 5000~100000의 범위이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예를 들면, 디메틸에스테르, 모노메틸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와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촉매의 존재 하에서, 적절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 반응시킨다. 또한 얻어진 테레프탈산의 글리콜에스테르를, 촉매의 존재 하에서, 적절한 온도와 시간으로 원하는 중합도까지 중축합 반응시킴으로써,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10~50:50의 질량비로 함유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질량비가 90을 초과하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내용제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질량비가 10 미만이면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표면 경도나 내수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질량비는 90:10 혹은 이것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비율이 작은데, 또한 이 질량비가 75:25 혹은 이것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질량비는 50:50 혹은 이것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비율이 큰데, 또한 이 질량비가 65:35 혹은 이것보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비율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질량비가 75:25~65:3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고무 강화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옥시드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배합량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용도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점 등을 고려하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전량에 대해 2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첨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이형제, 윤활제, 내후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예시한 첨가 성분의 배합량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용도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점 등을 고려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전량에 대해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에 예시한 첨가 성분 이외에, 입상 또는 섬유상의 무기 충전재,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재의 배합량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용도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점 등을 고려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전량에 대해 3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착색제의 배합량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용도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점 등을 고려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전량에 대해 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의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 성분을 배합하여, 2축 니더 등을 이용해 용융 상태로 가열 혼합하고, 냉각, 절단함으로써, 펠릿 등의 형태로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하여, 물 관련 주택 설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는, 주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표면 경도나 내수성, 그 외 내후성 등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의 장점이 유지됨과 더불어, 내용제성, 특히 내케미컬 크랙성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는, 개호용 화장실이나 가정용 등의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칫솔꽂이 등의 세면 소품, 욕실 내 선반, 욕조, 비눗갑 등의 욕실 소품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물 관련 주택 설비의, 구체적인 양태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1은 변기 장치(1)를 나타낸다. 이 변기 장치(1)는, 변기 본체(2), 변좌(22), 뚜껑(23) 등을 구비한다. 도 2는 변기 본체(2)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변기 본체(2)는, 스커트부(3), 림부(5), 및 볼부(4)를 구비한다. 스커트부(3)는 변기 본체(2)의 측면을 덮는 부재이다. 림부(5)는 스커트부(3)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고리형상의 부재이며, 림부(5)의 내측에 있어서 변기 본체(2)에는 위쪽으로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부(4)는 위쪽으로 개구되는 용기형상의 부재이다. 이 볼부(4)는 변기 본체(2)의 개구부 내에 고정되며, 이 개구부에 있어서 볼부(4)가 노출되어 있다. 볼부(4)의 저부에는 이 볼부(4)로부터 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볼부(4)의 상부에는, 이 볼부(4)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변기 장치(1)의 통상의 사용 방법에 의하면, 볼부(4)에는 상시 물이 고여 있으며, 변기 장치(1)의 사용자가 용무를 본 후에는 볼부(4) 내에 급수구(42)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됨과 더불어, 볼부(4) 내의 물 및 오물이 배출구(41)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변기 장치(1)에 있어서, 특히 볼부(4)가 본 실시 형태의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시 물에 접촉하는 볼부(4)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볼부(4)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볼부(4)의 내용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세제 등을 이용하여 볼부(4)를 세정하는 경우여도 볼부(4)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변기 본체(2)를 구성하는 부재 중, 림부(5) 및 스커트부(3)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다음의 것을 이용하였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미츠비시레이온(주)제 「아크릴페트 VH」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
미츠이·듀폰 케미컬(주)제 「듀폰 바이오맥스 PTT1100」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윈텍 폴리머(주)제 「두라넥스 2002」
(시험편 제작 방법)
실시예 1~3, 비교예 4에서는, 2축 니더를 이용해,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각각의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혼합하여 스트랜드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후 절단하여 성형용 펠릿으로 하였다. 이 성형용 펠릿을 성형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3에서는, 메이커 출하 펠릿을 그대로 성형 재료로서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해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들 시험편을 이용하여 다음의 평가를 행하였다.
[연필 경도]
JIS K5600에 준거하여 시험편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오염 시험]
JIS A1718의 오염 시험항에 준거하여, 바셀린/카본블랙을 시험편에 부착·제거하여, 목시(目視)에 의해 잔존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내상성(耐傷性)이 떨어지면 바셀린/카본블랙 부착 시에 발생하는 시험편의 상처에 카본이 남아 오염이 잔존하게 된다.
[내용제성(내케미컬 크랙성)]
볼록 곡면을 형성한 지그를 이용하여, 두께 3mm, 폭 15mm의 시험편을 볼록 곡면을 따르게 하여 구부린 상태로 지그 상에 배치하고, 시험편의 양측 단부를 고정구로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지그의 볼록 곡면 상에 시험편을 구부린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시험편의 표면에 0.15%, 0.30%, 0.45%, 0.60%(신장률)의 4종류의 변형을 가하였다.
여기에서 지그로서, 시험편의 상면이 0.15~0.60%의 범위에서 신장되도록 볼록 곡면의 곡률을 설정한 4종류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이 4종류의 변형을 가하도록 하였다.
다음에, 상하가 개구된 내경 5mm의 통체를 시험편의 중앙부 상면에 실리콘 그리스로 고정하고, 통체 내에 에틸알코올을 충전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에틸알코올을 접촉시킨 부분에 있어서 시험편에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하였을 때의 변형을 임계 변형치로 하였다.
[아이조드 충격 강도]
JIS K7110에 준거하여, 노치 없음 시험편으로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편으로서, 미처리품과, 70℃의 온수에 60일간 침지한 후, 건조시킨 내수성 평가용 온수 침지 처리품의 2종류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2086732058-pct00001
열가소성 수지로서 PMMA 및 PTT를 90:10~50:50의 질량비로 배합한 실시예 1~3과, PBT 또는 PTT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2,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시험편은 표면 경도가 높고 오염 제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아이조드 충격 강도의 온수 침지 처리품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시험편은 내수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3과 PMMA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시험편은, 표면 경도가 PMMA 단독의 비교예 1보다 약간 저하하였지만 오염 제거성은 물 관련 주택 설비로서 충분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이조드 충격 강도의 온수 침지 처리품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시험편은, 내수성, 즉 온수 침지 처리 후의 강도는 PMMA 단독의 비교예 1과 동등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내용제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3의 시험편은, PMMA 단독의 비교예 1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3과, PBT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2, PMMA 및 PBT를 50:50의 질량비로 배합한 비교예 4의 결과로부터, PBT를 이용하면 PTT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표면 경도가 저하하고, 또한 아이조드 충격 강도, 즉 내충격성도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관련 주택 설비를 위한 PMMA의 개질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PTT가 특히 적합한 것이 명확해졌다.

Claims (6)

  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90:10~50:50의 질량비로 함유하며,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의 배합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전량에 대해 8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택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주택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로서, 물에 젖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용도에 적용되는 설비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세면 소품, 욕실 내 선반, 욕조, 또는 욕실 소품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
  4. 청구항 1에 기재된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주택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주택 내에서 사용되는 설비로서, 물에 젖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용도에 적용되는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
  6. 청구항 4에 있어서,
    변기, 수세 볼, 세면 볼, 세면 소품, 욕실 내 선반, 욕조, 또는 욕실 소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관련 주택 설비.
KR1020127027734A 2010-03-25 2011-03-17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 KR101442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0945A JP5612344B2 (ja) 2010-03-25 2010-03-25 水廻り住宅設備用成形材料とそれを用いた水廻り住宅設備
JPJP-P-2010-070945 2010-03-25
PCT/JP2011/056370 WO2011118494A1 (ja) 2010-03-25 2011-03-17 水廻り住宅設備用成形材料とそれを用いた水廻り住宅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882A KR20130025882A (ko) 2013-03-12
KR101442375B1 true KR101442375B1 (ko) 2014-09-17

Family

ID=4467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734A KR101442375B1 (ko) 2010-03-25 2011-03-17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30007953A1 (ko)
EP (1) EP2537894B1 (ko)
JP (1) JP5612344B2 (ko)
KR (1) KR101442375B1 (ko)
CN (1) CN102822268B (ko)
WO (1) WO2011118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2419B2 (ja) * 2011-11-21 2016-0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成形材料とそれを用いた水廻り住宅設備
US10711442B2 (en) 2016-04-26 2020-07-14 Kohler Co. Composite faucet body and internal waterway
JP6831102B2 (ja) * 2017-01-30 2021-02-17 竹本 直文 水洗便器用タンク、管体、および管体敷設方法
BR102018010327B1 (pt) 2017-05-22 2023-12-12 Kohler Co Montagem de vaso sanitário e acessório de encanamento
US11118338B2 (en) 2017-05-22 2021-09-14 Kohler Co. Plumbing fixtures with insert-molded components
IT201800009703A1 (it) * 2018-10-23 2020-04-23 Ceram Cielo Spa Wc con sistema di lavaggio perfeziona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038A (ja) 2005-08-30 2007-04-12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8150598A (ja) * 2006-11-24 2008-07-03 Toray Ind Inc 樹脂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00B2 (ja) * 1988-03-16 1995-03-0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A2152876C (en) * 1995-06-28 2002-01-01 Thierry Leverrier Moulding material composition specially intended for sanitary appliances
US5877246A (en) * 1995-07-06 1999-03-02 Societe Civile Neurone Moulding material composition
JP4350258B2 (ja) * 2000-03-14 2009-10-21 株式会社クラレ 染色性に優れた軽量繊維
JP3862996B2 (ja) * 2001-10-31 2006-12-27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ラメン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31797A (ja) 2001-12-06 2003-08-19 Asahi Kasei Corp 熱可塑性樹脂製手摺り部品
EP1787807A4 (en) * 2004-06-25 2010-07-07 Kureha Corp MULTILAYER SURFACE OF POLYGLYCOLIC ACID RESIN
JP2006290951A (ja) * 2005-04-07 2006-10-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成形体
US7825179B2 (en) * 2005-10-05 2010-11-02 Unitika Ltd.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roduct molded or formed therefrom
JP2007154079A (ja) * 2005-12-07 2007-06-21 Asahi Kasei Chemicals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7260927A (ja) * 2006-03-27 2007-10-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高外観強化樹脂製成形品作成法
JP2007260923A (ja) * 2006-03-27 2007-10-11 Asahi Kasei Chemicals Corp 表面研磨された高外観強化樹脂製成形品
JP2008088204A (ja) * 2006-09-29 2008-04-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良外観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117509A2 (en) * 2008-03-18 2009-09-24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ethods for increasing toughness of immiscible polymer ble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038A (ja) 2005-08-30 2007-04-12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8150598A (ja) * 2006-11-24 2008-07-03 Toray Ind Inc 樹脂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7894A1 (en) 2012-12-26
JP5612344B2 (ja) 2014-10-22
KR20130025882A (ko) 2013-03-12
CN102822268B (zh) 2015-04-15
EP2537894A4 (en) 2013-09-25
JP2011202027A (ja) 2011-10-13
WO2011118494A1 (ja) 2011-09-29
US20170183495A1 (en) 2017-06-29
EP2537894B1 (en) 2014-12-31
US10053576B2 (en) 2018-08-21
CN102822268A (zh) 2012-12-12
US20130007953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375B1 (ko) 물 관련 주택 설비용 성형 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물 관련 주택 설비
KR101922246B1 (ko)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EP1640406A1 (en)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molded article and foamed article comprising the resin composition
JP2013531115A (ja) 熱可塑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より製造された物品
JP6667253B2 (ja) センターフェイシア用耐薬品性高分子樹脂組成物
JP6781539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用耐薬品性高分子樹脂組成物
EP3009476A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KR20150013579A (ko)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100554187B1 (ko) 열가소성수지성형품
JP6348580B2 (ja) 自動車、電気電子機器、家電機器、事務機器または生活用品用の部品に適した成形品
KR20150002261A (ko)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내열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960011891B1 (ko)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JP5297912B2 (ja) セルロース繊維強化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2046493B1 (ko)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가전기기, 사무기기 또는 생활용품용 부품
JP2010150484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S58253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852419B2 (ja) 成形材料とそれを用いた水廻り住宅設備
JP2009126906A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JP2004083656A (ja) 成形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JP200814409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7262128A (ja) 耐傷付特性に優れた高外観強化樹脂製成形品
JPH0623300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2543A (ja) 樹脂組成物
JP200814409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3213103A (ja) 非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