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891B1 -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891B1
KR960011891B1 KR1019920025115A KR920025115A KR960011891B1 KR 960011891 B1 KR960011891 B1 KR 960011891B1 KR 1019920025115 A KR1019920025115 A KR 1019920025115A KR 920025115 A KR920025115 A KR 920025115A KR 960011891 B1 KR960011891 B1 KR 96001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cid
polyacetal resin
resin composition
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962A (ko
Inventor
도루 가츠마따
노부유끼 마츠나까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가히 다꾸죠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36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56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표면광택이 저하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에 결합된 특정 폴리에스테르, 및 특정 이소시안산염, 이소티오시안산염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되어 표면광택이 현저히 저하되는 반면에 폴리아세탈과 그 성형품의 고유의 기계적 특성 및 성형성을 유지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아세탈 수지는 기계적, 전기적 성질과 같은 물리적특성이나 내약품성 및 내열성등의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엔지니어링(engineering) 수지로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폴리아세탈 수지의 사용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어느정도로는 수지의 특성이 더 특정화되는 것이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요구중의 하나로는 성형품의 표면광택의 저하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 부속품 광학기구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저광택성, 즉 낮은 광반사성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는 광반사로 인한 육안의 자극을 방지하고 고급의 외관을 달성하며 광반사로 인한 장치의 비기능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어느정도 요구되고 있다.
더우기, 일반적인 전기제품과 건축재료의 분야에 있어서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물질과 결합된 폴리아세탈 수지의 사용기회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세탈 수지는 표면광택에 있어서 다른 일반적인 수지 물질보다 우수하므로 다양한 물질과 결합시 다른 물질과 부조화적이다. 그러므로 폴리아세탈 수지의 용도는 표면외관에 기인하는 분야에 적지않게 제한되었다.
상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폴리아세탈 수지에 탄산칼슘, 활석 또는 규산칼슘등의 무기충전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광택저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다량의 활석이나 다른 물질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래된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 특히 신장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성형품을 전처리(post-working)하고 조립하는 동안 인가된 압력이나 성형품을 취급하는 동안 낙하로 인한 충격에 의해 쉽게 파괴되었다.
표면광택을 저하시키는 목적으로 성형품의 표면에 그레인(grain)의 이동에 의해 수반된 성형품의 표면의 그레이닝(graining)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런, 폴리아세탈 수지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광택이 높고 성형품에 그레인의 이동성이 폴리아세탈 수지의 높은 결정성으로 인하여 대개는 빈약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만족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
그러므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저 표면광택을 가지며 우수한 성형성을 지닌 아세탈 수지 물질의 개발이 당해분야에서 기대되어 왔다.
본 발명가들은 충분히 저하된 표면광택을 지닌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해왔다. 그 결과, 특정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콜리머와 특정 이소시안산연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 (B) 용융유동온도가 210℃이하인 폴리알킬렌 테리프탈레이트 코폴리머 1 내지 50 중량부, 및 (C) 이소시안산염 또는 이소티오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0.1 내지 10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과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이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A)로서 사용되는 폴리아세탈 수지는 옥시메틸렌기(-CH2O-)를 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머 화합물이며, 폴리옥시메틸렌 호모폴리머, 옥시메틸렌기 이외에 다른 구성단위를 소량 함유하는 코폴리머, 터폴리머 및 블록 코폴리머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분자가 선형구조뿐만아니라 분지 또는 가교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그 중합도에 관하여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성분(B)로서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는 테레프탈산 100 내지 50몰% 및 6개이상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지방족이나 지방족고리 디카르복실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0 내지 50몰%로 구성되는 산성분과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알킬렌디올 성분과 혼성축합하여 제조되고 용융 유동 온도가 210℃이하인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테레프탈산과 다른 산성분의 예는 이제 설명될 것이다.
첫번째로, 6개 이상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도데칸디카르복실산, 헥사데칸디카르복실산 및 다이머(dimer)산등이 있다. 6개 이상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지방족고리 디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등이 있다. 테레프탈산과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및 디페닐설폰디카르복실산등이 있다. 또한, 다른 2기능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헥사하이드로 테르프탈산 및 헥사하이드로 이소프탈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P-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 하디드록시 카프로산과 같은 하이드록시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들은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메틸 에스테르와 같은 저급알콜 에스테르 형성유도체 형태로 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성분은 둘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성분들 중에, 아디핀산, 세바신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데칸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수를 갖는 알킬렌디올로서는 1,4-부탄디올,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1-시클로헥산디메틸올, 디에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2,2-비스(4-β-하이드록시에톡시시페닐)프로판 및 비스(4-β-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설폰등이 있다. 이들 알킬렌디올은 둘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 1,4-부탄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1,4-부탄디올, 에틸렌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경우), 디에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으로 일부 치환된 알킬렌디올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성분(B)로서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는 상기 산성분과 상기 디올성분을 중축합하여 제조되고 용융 유동온도가 210℃이하, 바람직하게는 190℃이하인 코폴리에스테르이다.
용융 유동온도가 210℃이상일때는 혼련시키기가 어려우며 결과적인 조성물은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용융 유동 온도가 210℃이하인 조건하에서는 어떠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본 발명의 성분(B)로서 사용가능하다.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아디핀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의해 일부 치환된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는 산성분과, 1,4-부탄디올, 에틸렌 글리콜으로 구성되는 디올 성분 또는 에틸렌 글리콜(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경우), 디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의해 일부 치환된 디올성분으로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로는 테레프탈산 60 내지 90%몰과 이소프탈산 10 내지 40%몰로 구성되는 산성분과, 1,4-부탄디올 및/또는 에틸렌 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디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이다.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Ⅳ)에 관하여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를 얻기 위하여서는 용융 혼련온도에서 코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도가 가능한 폴리아세탈의 용융점도에 가까운 그러한 방식으로 고유점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고유점도는 바람직하게 0.3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 0.4 내지 0.8이다. 본 발명에 특정된 바와 같이 고유점도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40℃에서 용매로서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물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성분(B)로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의 배합량은 성분(A)로서 폴리아세탈 수지의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부이다. 성분(B)의 양이 너무 적으면 만족스러운 저표면광택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성분(B)의 양을 고대하게 첨가하며는 기계적 성질과 열안정성에 좋지못한 영향이 생기고 조성물의 압출성을 불량하게 만든다.
성분(A)로서 폴리아세탈 수지에 성분(B)로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를 결합하며는 결과적인 성형품의 표면광택을 저하시키기는 하지만 압출성이 불량하고 성형품의 표면이 이성분으로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성분(C)로서 이소시아산염 또는 이소티오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가 성분(A)와 성분(B)에 첨가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합은 압출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동시에 균일하게 저하된 표면광택을 지닌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고 폴리아세탈 수지의 균형잡힌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C)로서 사용되는 이소시안산염 또는 이소티오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일반 구조식 O=C+N-R-N=C=O 또는 S=C=N-R-N=C=S(여기서 R : 이가기)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이다.
효과적인 성분의 예로서는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안산염), 2,4-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2,6-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크실렌 디이소시안산염,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론(isophorone) 디이소시안산염,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안산염, 상응하는 디이소티오시안산염들, 그것의 다이머 및 트리머, 및 어떤 수단에 의해 보호된 이소시안산염기(-NCO)를 갖는 화합물등이 있다. 그러나, 용융처리시 변색정도와 같은 다양한 성질과 취급시 안정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론 디이소시안산염,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안산염,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2,4-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2,6-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및 다이머와 트리머등의 그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혼련시 성분(C)로서 이소시안산염이나 이소티오시안산염의 존재는 매끄럽게 균일한 표면상태와 저광택을 갖도록 하며 동시에 세기와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점도를 증가시키는 관점으로 부터, 이러한 효과는 성분(A)와 (B)사이의 친화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성분(A)와 (B)가 서로 양립하는 용융처리시 성분(A)로서 폴리아세탈 수지 및/또는 성분(B)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성분(C)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경계면에 접착을 개선시킨다고 여겨진다.
성분(C)로서 이소시안산염 또는 이소티오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의 배합량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 0.3 내지 5중량부이다. 성분(C)의 양이 너무 적으면 압출성, 광택의 균일성 등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한편, 성분(C)의 양을 과대하게 첨가하며는 혼련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형품의 표면광택은 실용적인 관점으로부터 이후 설명될 방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광택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20%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15%미만이다. 최근에 자동차의 내부속품이 정교함에 따라 또는 감촉(touch)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내부 부품은 가죽 그레이닝 또는 오염 그레이닝으로 불리우는 그레이닝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경면 가공된(mirror-finished)표면에 광택을 저하시키고 그레인된 표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아세탈 수지의 표면의 변경은 경면 가옥된 표면의 광택을 충분히 저하시키며, 동시에 그레인된 표면에 이동성을 충분히 개선시키는데 기여함으로서 그레인된 표면에 광택이 더 저하된다.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여러가지 공지의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공지의 산화방지제, 질소화합물, 알칼리(alkali) 또는 알칼리(alkaline) 토금속 화합물 또는 이들중 단일의 다른 화합물이나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각종 카본블랙 또는 각종 염료 및 안료를 첨가하여 임의의 색으로 착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 목적에 응하여 소망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활제, 핵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내후 안정제, 성분(B)와는 다른 유기 폴리머 물질 및 무기 유기 충전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조성물의 제조법과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즉, 필요한 성분을 혼합하고, 혼련하여 성형용 펠레트를 얻기 위하여 1축 또는 2축의 압출기로 압출한다. 또한, 조성물의 제조를 성형기에서 성형과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성분의 분산 및 혼합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지 조성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쇄 혼합하고 용융압출하여 펠레트를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일부(예를 들면, 성분(A)와 (C)의 일부)는 임으로 용융혼련처리(마스터 배치(master batch)를 행하게 되고 용융혼련된 물질은 원하는 성분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나머지 성분과 함께 더 혼련된다.
안정제 및 첨가제와 같은 상기 화합물 성분은 임의의 단게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마지막 성형품의 제조전에 첨가함에 가장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압출, 사출성형, 압축성형, 진공성형, 블로우(blow)성형 및 포움(foam)성형방법중 어떤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나 성형품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우수한 성질을 가질지라도 조성물이나 성형품 제조후 80℃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는 성질을 더 부여하고 안정화 시키기 위해 유용한 것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에 결합된 특정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및 특정 이소시안산염 화합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압출성과 성형성이 우수하고 매끄럽게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성형품의 표면광택을 현저히 저하시키며, 폴리아세탈의 균형잡힌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는 충분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저광택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은 고급외관이 요구되고 광반사가 바람직하지 않은 자동차의 내부 부속품(예를 들면, 조정핸들, 내부 클립(clip) 및 통풍기 손잡이), 광학기구, 건축재료 및 가정용품과 같은 분야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하여 제한받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표면상태와 기계적 특성은 다음 방법에 의하여 평가된다.
(1) 압출성
압출성은 다음 1-3 등급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숫자가 작을 수록 압출성이 좋다.
1 : 압출은 종래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 압출을 행하는 것이 어렵고 스트랜드(strand)는 파괴되기 쉽다.
3 : 압출을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표면상태 및 성형품 외관
표면상태는 다음 1-4등급에 따라서 광택없앰 상태 및 표면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숫자가 작을수록 균일성 및 광택없앰 상태가 좋다.
1 : 표면은 균일하고 광택상태는 양호하다.
2 : 표면 광택이 저하되었지만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불균일하고 거칠어져 있다.
3 : 표면 불균일하게 얼룩덜룩하게 되었다. 즉 광택없앰부분과 광택부분을 가졌다.
4 : 표면 광택은 거의 저하되지 않았거나 또는 표면은 대부분 얼룩덜룩하게 되었고 광택이 저하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았다.
(3) 표면 광택도
경면을 갖는 금형에서 하기 조건하에 성형한 시험편(70mm×40mm×3mm두께)을 사용하여 JIS K7105의 광택도 측정방법에 따라서 디지탈 변각광택계(수가 테스트 인스트루먼트(주)제 UGV-40)로서 45°-45°반사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성형기 : 도시바(주)제 IS80
성형조건 :
노즐 C1 C2 C3
실린더 온도(℃) 200 190 180 160
사출압력 650(kg/cm2)
사출속도 1.0(in/min)
금형온도 80(℃)
(4) 인장시험 및 굽힘시험
인장강도 및 신장도 및 굽힘강도를 ASTM D638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5) 용융 유동온도
펠렛은 1mm 직경을 갖는 노즐로 구비된 유동 시험기(시마드즈(Shimadzu)(주)제)에 넣었다.
온도는 유동이 시작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500kg하중으로 상승시켰다.
[실시예 1-13]
각종 폴리에스테르 및 각종 이소시안산염 화합물은 표 1에 표시한대로 성분(a)로서 폴리아세탈 수지와 배합하여, 헨셀믹서(Henschel mixer)로 혼합하고 30mm로 용융혼련시켜,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펠렛은 상기 성형조건하에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시험편으로 성형하였다. 시험편으로 광택 및 기타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11]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성분(A)로서 폴리아세탈 수지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조성물 및,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에 첨가된 성분(B)로서 폴리에스테르 혹은 성분(C)로서 이소시안산염 화합물 중 어느 1종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
표 2
: 압출불가능
주 1 : 폴리에스테르
B-1 :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이소프탈산 12.5%몰로 공중합한 변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 유동온도 : 205℃, Ⅳ : 0.7
B-2 :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이소프탈산 30%몰로 공중합한 변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렌이트 용융 유동온도 : 160℃, Ⅳ : 0.5
B-3 :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이소프탈산 30%몰로 공중합한 변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 유동온도 : 155℃, Ⅳ : 0.6
B-4 :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시클로 헥산디메탄올 10%몰 및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이소프탈산 20%몰로 공중합한 변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 유동온도 : 150℃, Ⅳ : 0.7
B-5 : 전체 산성분을 기준으로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30%몰로 공중합한 변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 유동온도 : 190℃, Ⅳ : 0.6
주 2
C-1 : 이소포론 디이소시안산염(트리머)
C-2 :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안산염)

Claims (8)

  1. (A)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 (B)용융 유동온도가 210℃이하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 1 내지 50중량부, 및 (C) 이소시안산염 또는 이소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0.1 내지 10중량부로 구성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를 구성하는 산성분이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의 부분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아디핀산중 최소한 1종으로 치환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를 구성하는 디올성분이 1,4-부탄디올, 에틸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이나 에틸렌 글리콜의 부분이 에틸렌 글리콜(1,4-부타디올사용시), 디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중 최소한 1종으로 치환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로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가 테레프탈산 60 내지 90몰% 및 이소프탈산 10 내지 40몰%로 구성되는 산성분과, 1,4-부탄디올 및/또는 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로 더 구성되는 디올성분을 혼성중합하여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로서 이소시안산염 또는 이소티오시안산염, 또는 그 유도체가 디이소시안산염 또는 디이소티오시안산염 화합물, 또는 그 다이머 또는 트리머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성분(C)로서 이소시안산염 또는 그 유도체가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안산염), 이소포론 디이소시안산염,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안산염,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2,4-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2,6-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및 그 다이머와 트리머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저광택의 폴리아세탈 수지 성형품.
  8. 제 7 항에 있어서,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20%의 표면광택을 갖는 폴리아세탈 수지 성형품.
KR1019920025115A 1991-12-27 1992-12-22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KR960011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346780A JP3137395B2 (ja) 1991-12-27 1991-12-27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91-346780 1991-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962A KR930012962A (ko) 1993-07-21
KR960011891B1 true KR960011891B1 (ko) 1996-09-04

Family

ID=1838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115A KR960011891B1 (ko) 1991-12-27 1992-12-22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78748A (ko)
EP (1) EP0549338B1 (ko)
JP (1) JP3137395B2 (ko)
KR (1) KR960011891B1 (ko)
AT (1) ATE156149T1 (ko)
BR (1) BR9205149A (ko)
CA (1) CA2086195A1 (ko)
DE (1) DE69221278T2 (ko)
ES (1) ES2104860T3 (ko)
MX (1) MX9207593A (ko)
TW (1) TW2740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434A (ja) * 1994-05-18 1995-11-28 Polyplastics Co 補強材配設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施工法
US20040091651A1 (en) * 2002-11-01 2004-05-13 Mark Rule Pet copolymer composition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tch ratio, articles made therewith, and methods
AU2004249691B2 (en) * 2003-06-18 2009-10-08 The Coca-Cola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 for hot fill applications, containers made therewith, and methods
US20050221036A1 (en) * 2004-04-01 2005-10-06 The Coca-Cola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 with enhanced gas barrier, articles made therewith, and methods
US7572493B2 (en) 2005-05-11 2009-08-11 The Coca-Cola Company Low IV pet based copolymer preform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cycle time, container made therewith and methods
US7820257B2 (en) * 2005-05-11 2010-10-26 The Coca-Cola Company Preforms for preparing lightweight stretch blow molded PET copolymer containe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WO2007035371A1 (en) * 2005-09-16 2007-03-29 Ticona Llc Low fuel-permeable thermoplastic vessels based on polyoxymethylene
JP5468187B2 (ja) * 2006-09-26 2014-04-0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5281240B2 (ja) * 2006-12-25 2013-09-0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4157A (en) * 1964-06-30 1968-01-16 Celanese Corp Diisocyanate coupling of oxymethylene polymer and dissimilar organic polymer
DE1694204A1 (de) * 1967-10-11 1971-04-08 Hoechst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s Polyestern
US3697624A (en) * 1970-10-14 1972-10-10 Celanese Corp Diisocyanate coupling of oxymethylene polymer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DE2449343B2 (de) * 1974-10-17 1978-06-08 Hoechst Ag, 6000 Frankfurt Formmasse auf der Basis von Oxymethylenpolymeren
DE3303761A1 (de) * 1983-02-04 1984-08-09 Hoechst Ag, 6230 Frankfurt Schlagzaeh modifiziertes polyoxymethylen und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JPS61148221A (ja) * 1984-12-21 1986-07-0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アセタ−ル樹脂組成物
US5043398A (en) * 1989-05-12 1991-08-27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Grafting of functional compounds onto functional oxymethylene polymer backbones, with diisocyanate coupling agents, and the graft polymer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207593A (es) 1994-06-30
TW274094B (ko) 1996-04-11
ES2104860T3 (es) 1997-10-16
DE69221278D1 (de) 1997-09-04
KR930012962A (ko) 1993-07-21
BR9205149A (pt) 1993-06-29
JPH05179103A (ja) 1993-07-20
DE69221278T2 (de) 1998-01-22
CA2086195A1 (en) 1993-06-28
JP3137395B2 (ja) 2001-02-19
EP0549338A1 (en) 1993-06-30
EP0549338B1 (en) 1997-07-30
ATE156149T1 (de) 1997-08-15
US5378748A (en)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80348A (en) Filler reinforced moulding compositions
KR950011545A (ko) 변형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섬유-보강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US4912177A (en) Thermoplastic polyblends of aromatic polycarbonates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US5420212A (en) Polyester/polycarbonate/polycaprolactone blends
US3903042A (en) Stabilized polyalk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KR960011891B1 (ko)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US5410000A (en) Poly(alkylene cyclohexane-dicarboxylate)-(alkylene terephatlate) copolyesters
US6498212B1 (en) Polyester composition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18504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429093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4184997A (en) Copolyether-esters as additives for fiber-reinforc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EP0528462A1 (en) Solvent-resistant polycarbonate-polyester blends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CA2202573A1 (en) Molding material
JPH05302022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EP0551685B1 (en) Poly(alkylene cyclohexane dicarboxylate)-(alkylene terephthalate)copolyesters and compositions thereof
US4271063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GB1569229A (en) Block copolyester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KR0120106B1 (ko) 폴리아세탈 수지조성물
EP0428178A2 (en) Moldable Polyblends
JP2002294023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958490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組成物
JP2881620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組成物
JP297645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58489B2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組成物
JP329032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