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858B1 - 내장지방 감소제 - Google Patents

내장지방 감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858B1
KR101438858B1 KR1020097019634A KR20097019634A KR101438858B1 KR 101438858 B1 KR101438858 B1 KR 101438858B1 KR 1020097019634 A KR1020097019634 A KR 1020097019634A KR 20097019634 A KR20097019634 A KR 20097019634A KR 101438858 B1 KR101438858 B1 KR 10143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culture
lactic acid
visceral fa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454A (ko
Inventor
히로시 가와카미
야스히코 시이노키
유키오 가도오카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2Making cheese curd
    • A23C19/05Treating milk before coagulation; Separating whey from curd
    • A23C19/054Treating milk before coagulation; Separating whey from curd using additives other than acidifying agents, NaCl, CaCl2, dairy products, proteins, fats,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8Milk in dried and compressed or semi-solid for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7Lact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특히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의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고지혈증, 내당능 장애 등의 리스크 인자가 축적된 상태인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병태나 내장지방의 축적을 감소하기 위한 내장지방 감소제, 그것을 포함하는 음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내장지방 감소제{Agent for reducing visceral fat}
본 발명은 유산균, 특히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장지방 감소제를 배합함으로써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부여한 신규한 음식품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내장지방의 축적은 혈전증, 인슐린 저항성, 당대사 이상, 고혈압 등, 장래적인 순환기계 질환의 발증에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원인이 되고 있어,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는, 섭취함으로써 축적된 내장지방을 감소할 수 있어,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유효하다.
최근, 생활습관의 서구화에 수반하여, 생활습관병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이라는 병태를 나타내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혈관 질환과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사인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그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 대책은 국민적인 과제로 되어 있다. 이들 동맥경화성 질환은 고혈압, 고지혈증, 내당능 장애 등의 리스크 인자의 집적에 의해서 발증의 위험도가 현저하게 상승한다. 이 리스크 인자가 축적된 상태는 대사증후군으로 불려, 널리 인식되어 오고 있다.
일본의 기업노동자 12만명의 조사에서는, 경증이라도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트리글리세리드(중성지방)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인자를 1개 갖는 사람은 심장병의 발증 리스크가 5배, 2개 갖는 사람은 10배, 3~4개 함께 갖는 사람의 경우는 31배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후생노동성의 조사에서는, 고혈압 환자수는 3,900만명, 고지혈증은 2,200만명, 당뇨병(예비군을 포함하여)은 1,620만명, 비만증은 468만명으로 보고되어 있고, 이들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대사증후군이란, 「내장지방의 축적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대사 이상, 지질대사 이상, 고혈압을 복수 합병하는 멀티플 리스크 팩터 증후군(multiple risk factor syndrome)으로 동맥경화가 되기 쉬운 병태」로, 내장지방의 축적은 틀림없이 그 근본적인 요인이다. 생체 최대의 분비조직인 지방조직은 각종 내분비인자를 생산하여, 생체에 있어서의 항상성의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그러나, 내장지방의 과잉 축적은 내분비인자의 분비 균형을 무너뜨려, 각종 병태를 일으키는 것이 판명되어 왔다. 특히,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 인히비터(PAI-1), 종양괴사인자(TNF-α), 렙틴(leptin) 등의 내분비인자는 내장지방의 축적에 수반하여 분비량이 증가하고, 혈전증, 인슐린 저항성, 당대사 이상, 고혈압 등을 일으킨다.
한편, 지방조직이 특이적으로 분비하는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통상 혈중에 고농도로 존재하는데, 내장지방의 축적에 수반하여,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디포넥틴은 항당뇨병, 항동맥경화, 항염증작용, 항고혈압 등 다양 한 생리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고, 혈중에서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를 촉진하는 것, 또는 아디포넥틴 농도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은,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종래, 대사증후군의 개개의 병태로의 대책으로서는 약물요법도 행해지고 있으나, 처방이 필요한 것이나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병태에 대한 치료를 행해도 그 밖의 병태가 계기가 되어 심각한 병태로 발전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이들 상태의 상류에 존재하는 지방세포 유래의 내분비 인자의 분비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내장지방의 축적에 기인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는, 약물요법보다도 운동요법이나 식사요법 등 매일의 생활을 재점검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게 여기어지고 있다. 이에,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장기에 걸쳐서 섭취해도 안전성이 높은, 내장지방의 축적에 기인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유효한 약제나 음식품 또는 사료가 요망되고 있다.
인체로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산균의 적용에 대해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아밀로보러스(Lactobacillus amylovor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및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로 분류되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컴플렉스(Lactobacillus acidophilus complex)에 속하고, 아시알로 GM1에 친화성이 있는 유산균 및 그의 추출물이 아시알로 GM1에 친화성이 있 는 병원체의 감염 예방에 유효한 것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균체 또는 그의 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및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치료제로서 유효한 것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있어서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 및 그의 배양물과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속하는 유산균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합병증 예방·개선·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균체 및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는, 상기 외에 특허문헌 4에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흡수 억제제가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고, 골흡수 억제작용을 갖는 음식품 또는 사료가 개시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 단독이 아닌, 오트밀 등의 벼과 곡립(穀粒) 및 그의 가공물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을 조합하여 면역증강을 의도한 면역증강제 및 면역증강용 음식품이 특허문헌 6에 개시되고, 각각 단독인 것보다도 대식세포(macrophage)가 활성화되어, 사이토카인 생산량이 상승적(相乘的)으로 높아져 면역증강효과를 증대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배양물, 또는 그의 균체 자체가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예부터 대표적인 낙농유제품용 유산균 스타터로서 사용되고 있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는, 강한 단백분해활성을 가지고, 특히 높은 활성을 갖는 균체외 프로테이나제는 젖의 발효성에 대해 중요한 작용을 한다. 즉, 균체외 프로테이나제는 유단백질(乳蛋白質)을 분해하여, 각종 펩티드 단편을 생성한다. 생성된 펩티드는 펩티다아제군의 작용을 받아, 더욱 저분자의 펩티드가 된다. 단백질분해효소군의 작용에 의해 배지 중에 생성된 펩티드의 일부는, 유산균의 균체 내로 흡수되어, 질소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배지 중에 생성된 펩티드에는, 혈압상승작용의 원인물질인 앤지오텐신 변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이하 ACE라 칭한다)에 대해 저해활성을 갖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비특허문헌 1에 보고되어 있다. ACE의 효소활성을 저해하고,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펩티드에 대해서는 이미 유단백질, 대두단백질 또는 어육단백질 분해물 등으로부터 많은 유효 펩티드가 보고되고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한 발효유 중의 ACE 저해활성을 갖는 펩티드는 Val-Pro-Pro와 Ile-Pro-Pro인 것, 또한 이들 락토트리펩티드는 강한 혈압강하작용을 갖는 것이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SHR)를 사용한 실험으로 확인되어 있는 것이 비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에 의해 발효시킨 산유(酸乳)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이, 혈압강하활성에 더하여, 스트레스 완화작용을 갖는 것이 특허문헌 7 및 8에 시사되어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나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서브스피시즈 불가리쿠스(L.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서브스피시즈 락티스(L.delbrueckii subsp. lactis) 등의 유산균에는 면역 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특허문헌 9에 나타내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유산균의 균체 자체 또는 그의 배양물이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및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에 대해서는, 유제품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산균이나, 생리기능에 관한 지견(知見)은 적어,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으로 우유, 두유, 채소 절임 등을 발효시킨 경우에, γ아미노부티르산(GABA) 등이 생산되어, 혈압의 조절작용 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내장지방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8-2688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9596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5277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30643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315477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69993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평10-45610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공개 평11-98978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76961호 공보
비특허문헌 1: J. Dairy Sci., 78:777-783(1995)
비특허문헌 2: J. Dairy Sci., 78:1253-1257(1995)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또한 섭취함으로써 내장지방을 감소시켜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유효한 내장지방 감소제 및 이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유성분(乳成分) 중에서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내장지방을 저하시키는 성분의 탐색을 예의 진행하여 왔는데, 그 결과, 유산균, 특히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에 매우 높은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의 유산균은 발효유, 치즈, 채소 절임 등의 각종 발효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낙농유산균이나 인간 소화관의 장내 균총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정장작용 뿐 아니라, 면역조절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감염 예방작용 등 많은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 및 그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이다.
상기 내장지방 감소제의 사용태양으로서는 정제, 산제, 캡슐제 등이 있다.
또한, 그 사용용도 지정은 발효유, 건강식품 또는 치즈류 등의 음식품 또는 사료 등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명이다.
(1)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
(2) 락토바실러스속 및/또는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내장지방 감소제.
(3)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중 어느 1종 이상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내장지방 감소제.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용 정제, 산제, 캡슐제, 음식품 또는 사료.
(5) 상기 음식품이 발효유, 건강식품 또는 치즈류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음식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유산균의 균체 및/또는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 및 이 내장지방 감소제를 함유하는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는, 내장지방의 축적에 의해 발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 및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배양물, 또는 그의 균체 자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하게 대량 공급이 가능하고, 또한 매우 안전성이 높다는 효과를 갖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산균으로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에 속하는 유산균을 들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주, 및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ATCC19992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SBT2055주는 기탁수령번호 FERM ABP-10953으로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이바라키 쯔쿠바시 히가시 1-1-1 츄오 제6, 수령일; 2008년 2월 26일)에 기탁되어 있다.
또한, JCM1131주는 독립행정법인 이화학연구소의 공개 균주, ATCC19992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공개 균주이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주,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386주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ATCC10797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SBT2171주는 기탁번호 FERM BP-5445로서,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이바라키 쯔쿠바시 히가시 1-1-1 츄오 제6, 수탁일; 1996년 3월 6일)에 기탁되어 있다. 또한, ATCC10386주 및 ATCC10797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공개 균주이다.
또한,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JCM1107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JCM1107주는 독립행정법인 이화학연구소의 공개 균주이다.
또한,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에 속하는 유산균 중,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ATCC11602주,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ATCC14365주,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ATCC19257주를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ATCC11602주, ATCC14365주 및 ATCC19257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공개 균주이다.
또한, 유산균의 선정에 있어서, 위산 내성이 높고, 저pH 조건하에서의 생육이 양호하여, 인간 장관으로 높은 정착성, 인간 장관세포 친화성을 나타내고, 담즙산 내성이 있어, 장관내에 정착하여, 식품에 적용했을 때 생잔성이 높고, 향미, 물성도 우수한 균주의 선정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유산균을 선정할 수 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주(FERM ABP-10953)는 인간 장관세포에 높은 친화성을 가져, 경구로 투여했을 때, 생존하여 장관내에 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장관내에 상재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관내 생육함으로써 숙주에 작용하여, 내장지방 감소효과를 갖는 활성이 높다. 체외로부터 투여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 속하는 유산균이 장내에 정착하여, 이러한 생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 등에 의해서 처음으로 명확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균주에 한정되지 않고 인간이나 발효유로부터 분리되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여도, 생균체 뿐 아니라 사균체여도, 상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의 변화주로, 상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이외의 유산균이어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와 동일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그룹으로 불리고 있는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고온성이고 호모형인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서브스피시즈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등의 유가공용 유산균, 중온성이고 호모형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등에도 동일한 내장지방 감소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를 배양하는 배지에는, 유배지(乳培地) 또는 유성분(乳成分)을 포함하는 배지,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반합성 배지 등 각종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지로서는 탈지유를 환원하여 가열 살균한 환원 탈지유 배지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배양법은 정치(靜置)배양 또는 pH를 일정하게 조절한 중화배양으로 행하지만, 균이 양호하게 생육하는 조건이면 특별히 배양법에 제한은 없다. 균체는 유산균 배양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원심분리 등의 집균수단으로 분리된 것을 그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균체로서 순수하게 분리된 균체 뿐 아니라, 배양물, 현탁물, 기타 균체 함유물이나, 균체를 효소나 물리적 수단을 사용하여 처리한 세포질이나 세포벽 분획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균체 뿐 아니라 사균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의 배양물 및/또는 그의 균체 자체를 유효성분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제화시에는 제제상 허가되어 있는 부형제, 안정제, 교미제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농축, 동결건조하는 것 외에, 가열건조하여 사균체로 해도 된다. 이들의 건조물, 농축물, 페이스트상물도 포함된다. 또한, 균체나 배양물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교취제, 현탁제, 코팅제, 기타 임의의 약제를 혼합하여 제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형으로서는 정제, 환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분제, 시럽제 등이 가능하고, 이들을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배양물, 또는 그의 균체 자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의 기능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이다.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부여한 음식품 또는 사료로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배양물, 또는 그의 균체 자체여도 되고, 균체나 배양물 자체를 배합한 음식품으로 해도 된다. 배양물의 형태로서, 요구르트나 치즈 등의 발효식품이 적합하다.
균체나 배양물은 어떠한 음식품에 배합해도 되고, 음식품의 제조공정 중에 원료에 첨가해도 된다. 음식품의 예로서, 유음료, 발효유, 과즙음료, 젤리, 캔디, 유제품, 마요네즈 등의 계란가공품, 버터케이크 등의 과자·빵류 등의 식품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 분유 외에, 유아(乳兒), 유아(幼兒) 및 저출생체중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조성물에 배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생균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균체 자체, 및 상기 유산균의 균체를 발효하여 얻어진 발효유나 치즈를 소재로 사용하여, 내장지방 감소용 빵이나 스낵과자, 케이크, 푸딩 등으로 해도 된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갖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예방·치료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배양물, 또는 그의 균체 자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의 기능을 부여한 사료이다. 가축용 사료로서, 상기 음식품과 마찬가지로, 균체나 배양물은 어떠한 사료에 배합해도 되고, 음식품의 제조공정 중에 원료에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성인의 경우,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sp.) 유산균, 그 중에서도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또는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의 배양물을 10~200 g, 또는 그의 균체 자체를 1일당 0.1~5,000 ㎎ 섭취할 수 있도록 배합량 등을 조정하면 된다. 유산균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조의 용이성이나 바람직한 1일 투여량 등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형이 액체인 경우에는 유산균체 농도를 1×105 cells/㎖~1×1010 cell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체인 경우에는 1×105 cells/g~1×1010 cells/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균으로서 투여하는 경우는, 성인 1인당 108~1012 cfu/일 투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섭취함으로써 장관내에 정착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의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지방 축적 억제작용을 부여한 음식품(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239290호)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 있는데, 내장지방 그 자체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내장지방이 축적된 후의 감소작용을 발견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사증후군의 개개의 병태를 보다 신속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특징을 가질 뿐 아니라, 락토코커스속에 속하는 유산균의 균체 및 그의 배양물에도 유효성분을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장지방 감소제, 또는 내장지방 감소용 음식품, 사료는, 내장지방 감소효과를 갖기 때문에, 전술한 내장지방의 축적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병태의 예방, 치료, 개선에 매우 유익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체는 예부터 발효유나 치즈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어,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 또는 내장지방 감소용 음식품, 사료는 안전성에 문제는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은 단순히 예시할 뿐으로,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배양물 분말의 조제 1)
환원 탈지유 배지(13 중량% 탈지분유, 0.5 중량% 효모 추출물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를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의 배양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배양물 분말의 조제 2)
환원 탈지유 배지(13 중량% 탈지분유, 0.5 중량% 효모 추출물 함유)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을 접종하여, 37℃에서 16시간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을 동결건조하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JCM1131의 배양물 분말을 얻었다. 이것은 그대로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정제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의 액체 배양물을 4℃, 7,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멸균수에 의한 세정과 원심분리를 3회 반복해서 행하여, 세정 균체를 얻었다. 이 세정 균체를 동결건조처리하여 균체 분말을 얻었다. 이 균체 분말 1부에 탈지분유 4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분말을 타정기로 1 g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타정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의 균체 200 ㎎을 포함하는 정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4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를 MRS 액체배지(상품명 Lactobacilli MRS Broth, Difco사 제품)에서 배양하였다. 대수증식기에 있는 각 배양액을, 0.3 중량%의 효모 추출물을 첨가한 10 중량% 환원 탈지유(115℃, 20분 멸균 완료)에 1 중량% 접종하여, 모배양액(mother culture)을 제작하였다. 여기에 10 중량%의 환원 탈지유를 첨가하고,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요구르트 믹스에 2.5 중량%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37℃에서 발효를 행하고, 유산 산도 0.85에 도달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발효를 종료시켜,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발효유를 얻었다.
실시예 5
(산제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를 MRS 액체배지(상품명 Lactobacilli MRS Broth, Difco사) 5 L에 접종한 후, 37℃, 18시간 정치배양을 행하였다. 배양 종료 후, 7,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를 행하여, 배양액의 1/50량의 농축 균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농축 균체를 탈지분유 10 중량%, 글루타민산 소다 1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매와 동량 혼합하여, pH 7로 조정한 후, 동결건조를 행하였다. 얻어진 동결건조물을 60 메시의 체로 정립화(整粒化)하여, 동결건조 균말(菌末)을 제조하였다. 제13 개정 일본약국방 해설서 제제 총칙 「산제」의 규정에 준거하여, 이 동결건조 균말 1 g에 락토오스(일본 약국방) 400 g, 감자전분(일본 약국방) 600 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산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스틱형상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의 배양물 분말 30 g에, 비타민 C와 구연산의 등량 혼합물 40 g, 그래뉴당 100 g, 콘스타치와 젖당의 등량 혼합물 60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스틱형상 봉지에 채워,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스틱형상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자연치즈의 제조)
지방율을 조정한 원료유를 75℃에서 15초간의 플레이트 가열 살균을 행한 후, 30℃까지 냉각하고, 0.01 중량% 염화칼슘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원료유에 시판의 유산균 스타터(크리스찬 한센사제) 0.7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FERM ABP-10953) 1 중량%를 첨가하고, 레닛(rennet) 0.003 중량%를 첨가하여 젖을 응고시킨 후, 커팅하고 pH가 6.2~6.1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유청을 배출하고, 커드입자를 얻었다. 또한, 이 커드입자를 틀에 채워서 압착하고, 추가적으로 가염하여,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자연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캡슐제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조립(造粒)한 후, 캡슐에 충전하여,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57743492-pct00001
실시예 9
(음료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 살균하여,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57743492-pct00002
실시예 10
(저지방 경질 자연치즈의 제조)
치즈 중의 지방율이 12~30 중량%가 되도록 조제한 원료유를 사용하여, 수 종류의 저지방 경질 자연치즈를 제조하였다. 즉, 지방율을 조정한 원료유를 75℃에서 15초간의 플레이트 가열 살균을 행한 후, 30℃까지 냉각하고, 0.01 중량% 염화칼슘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원료유에 유산균 스타터(크리스찬 한센사제) 0.7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 1 중량%를 첨가하고, 레닛 0.003 중량%를 첨가하여 젖을 응고시킨 후, 커팅하고 pH가 6.2~6.1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유청을 배출하고, 커드입자를 얻었다. 또한, 이 커드입자를 틀에 채워서 압착하고, 추가적으로 가염하여,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고우다 치즈 타입 저지방 경질 자연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을 사용하여 발효유의 제조를 행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을, 탈지유 100 g을 사용하여 37℃, 12시간 배양한 것을 새로운 동 배지 3 ㎏에 접종하고, 37℃,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된 젖 전량을 스타터로서 사용하여, 탈지유 100 ㎏을 32℃, 20시간 발효시켜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발효유를 얻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의 발효유 중의 생균수는 8.2×108 cells/g이었다.
실시예 12
(드링크 요구르트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발효유 43 ㎏에 그래뉴당 4 ㎏, 물 3 ㎏, 펙틴 0.15 ㎏을 첨가한 후에 균질화하여, 드링크 요구르트 50 ㎏을 얻었다. 이 드링크 요구르트는 마일드한 바람직한 풍미를 갖고, pH 3.6이며,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의 드링크 요구르트 중의 생균수는 4.6×108 cells/g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발효물 5 ㎏에 동량의 물을 첨가한 후, 연속원심분리기로 3,500×G, 20분간의 원심분리를 행하여, 균체만을 분리 회수하였다. 침전물 중에 포함되는 비균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1 ㎏ 첨가한 후, 재원심분리를 행하고, 이것을 3회 반복하였다.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SBT2171(FERM BP-5445)의 균체 20 g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14
표 3에 나타낸 배합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본 발명의 내장지방 감소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57743492-pct00003
[시험예 1]
(내장지방 감소작용의 확인)
각종 유산균을 사용하여, 내장지방 감소작용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지방세포 3T3-L1주를 10% 소 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변법 이글 배지 중에서 컨플루언트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한 후, 트립신처리로 플라스틱 벽면으로부터 세포를 벗겨, 원심분리관에 회수하였다. 원심분리(1,000×G, 10분간)에 의해 세포를 회수한 후, 0.9 중량% 식염을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PBS, pH 7.2)으로 2×107개/㎖의 농도로 분산하였다. Balb/c계 3주령의 누드 마우스 56마리의 장간막 지방조직 내에 1×107개(0.5 ㎖)씩 3T3-L1 세포를 이식하였다. 일반 표준사료 CE2로 4주간 사육한 후, 실험동물용 마이크로 CT 장치로 내장지방량을 1주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내장지방이 충분히 축적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종 유산균을 0.1% 함량으로 배합한 CE2 사료로 4주간 사육한 후, 해부하여 내장지방량을 계량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동물실험은 1군 4마리로 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유산균을 섭취하지 않은 마우스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균을 섭취하고 있던 마우스에 있어서의 내장지방량에 대해, 락토바실러스 유산균 및 락토코커스 유산균을 배합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있어서의 내장지방의 양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해졌다.
Figure 112009057743492-pct00004

Claims (6)

  1.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로서,
    상기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이,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또는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또는 락토바실러스속 및 락토코커스속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중 어느 1종 이상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제.
  2. 제1항의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용 정제.
  3. 제1항의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용 산제.
  4. 제1항의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용 캡슐제.
  5. 제1항의 유산균의 균체, 그의 배양물, 또는 균체 및 그의 배양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 감소용 음식품 또는 사료.
  6. 제5항에 있어서,
    음식품이 발효유, 건강식품 또는 치즈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KR1020097019634A 2007-03-02 2008-02-29 내장지방 감소제 KR101438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53179 2007-03-02
JP2007053179A JP2008214253A (ja) 2007-03-02 2007-03-02 内臓脂肪減少剤
PCT/JP2008/053665 WO2008108298A1 (ja) 2007-03-02 2008-02-29 内臓脂肪減少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454A KR20090122454A (ko) 2009-11-30
KR101438858B1 true KR101438858B1 (ko) 2014-09-05

Family

ID=3973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634A KR101438858B1 (ko) 2007-03-02 2008-02-29 내장지방 감소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40179B2 (ko)
EP (1) EP2127660B1 (ko)
JP (1) JP2008214253A (ko)
KR (1) KR101438858B1 (ko)
CN (1) CN101616680B (ko)
AU (1) AU2008222007B2 (ko)
BR (1) BRPI0808207A8 (ko)
CA (1) CA2677030C (ko)
ES (1) ES2640526T3 (ko)
WO (1) WO2008108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46B1 (ko) * 2022-08-02 2023-02-14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5652B2 (ja) * 2007-10-29 2013-07-03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JP5569710B2 (ja) 2009-02-27 2014-08-13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肥満予防又は改善剤
JP5665196B2 (ja) * 2009-03-10 2015-02-04 ジニス バイオファーマサティカルズ カンパニーJinis Biopharmaceuticals Co. 微生物を利用した肥満及び肥満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た代謝性疾患の予防と治療
EP2311473A1 (en) * 2009-10-09 2011-04-20 AB-Biotics Producciones Industriales De Microbiotas, S.L.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as probiotics
JP5735746B2 (ja) * 2010-01-19 2015-06-17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炎症性腸疾患及び/又は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JP5804542B2 (ja) * 2010-03-25 2015-11-04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脂肪肝予防及び/又は抑制剤
JPWO2011132692A1 (ja) * 2010-04-22 2013-07-1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内臓脂肪蓄積抑制剤
US9468657B2 (en) 2010-06-08 2016-10-18 Asahi Group Holdings, Ltd. Lactic acid bacterium agent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JP2012012321A (ja) * 2010-06-30 2012-01-19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血中可溶性細胞間接着因子濃度上昇抑制剤
JP5923238B2 (ja) * 2010-07-07 2016-05-2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迷走神経活性化剤
CN103314099B (zh) * 2010-07-30 2014-12-03 株式会社明治 具有代谢综合症改善效果的乳酸菌
CN103458904B (zh) * 2010-12-16 2016-09-28 株式会社明治 格氏乳杆菌的菌体级分在制造用于减轻迟发型变态反应的组合物中的用途
WO2012102277A1 (ja) * 2011-01-25 2012-08-02 株式会社明治 ガストリン産生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2013049642A (ja) * 2011-08-30 2013-03-14 Takanashi Milk Products Co Ltd 体脂肪蓄積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140322172A1 (en) * 2011-12-07 2014-10-30 Calpis Co., Ltd. Lipid metabolism and/or sugar metabolism improver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um or treatment product thereof
JP6453534B2 (ja) * 2012-09-28 2019-01-16 小林製薬株式会社 脂質代謝促進剤
JP6381869B2 (ja) * 2012-12-12 2018-08-29 島根県 肝臓中性脂肪低減作用を有する津田かぶ由来の乳酸菌
JP6325829B2 (ja) * 2014-02-04 2018-05-16 小林 孝 微粒子化した乳酸菌(ラクトコッカス・ラクティス・サブスピーシーズクレモリスh−61株)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降圧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高血圧症の改善用薬剤及び高血圧症の改善用食品
US10507222B2 (en) * 2014-05-29 2019-12-17 Nit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Lactic acid bacterium and composition including said lactic acid bacterium
KR102125548B1 (ko) 2015-02-10 2020-06-24 주식회사 지니스 비만 억제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JP6807160B2 (ja) * 2016-03-15 2021-01-06 雪印種苗株式会社 サイレージ調製用乳酸菌及びサイレージ調製用添加剤
JP6704990B2 (ja) * 2016-04-04 2020-06-03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ロンλ産生促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I645854B (zh) * 2017-03-20 2019-01-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胚芽乳酸桿菌tci378及其於減脂及改善腸胃功能之應用
WO2019178325A1 (en) * 2018-03-14 2019-09-19 Emory University Lactococcus bacteria and uses thereof
TWI739078B (zh) 2018-04-25 2021-09-11 日商曾根農場股份有限公司 脂肪累積抑制用組成物
JP7219026B2 (ja) * 2018-07-11 2023-02-07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食後血糖値上昇抑制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208114B (zh) * 2020-07-14 2022-12-20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嗜热链球菌mn002在脂代谢调节中的用途及膳食补充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240A (ko) * 2004-09-02 2006-03-07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식품
JP2006182654A (ja) 2004-12-24 2006-07-13 Toyo Shinyaku:Kk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940A (en) * 1968-04-01 1974-08-06 Hayashibara Co Preparation of alpha-1,6-glucosidase
JPH0799986A (ja) * 1993-09-30 1995-04-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ラクトバチリン酸高濃度含有菌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04890B2 (ja) 1995-03-28 2000-01-31 雪印乳業株式会社 病原体感染防御剤
JP4065038B2 (ja) 1996-08-07 2008-03-19 カルピス株式会社 計算作業負荷ストレス緩和剤
JP3028411B2 (ja) 1997-09-26 2000-04-04 カルピス株式会社 トリペプチド高生産性ラクトバチルス・ヘルベチカス乳酸菌
JP4565750B2 (ja) * 1999-04-27 2010-10-2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共役リノール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4157674B2 (ja) * 2000-08-14 2008-10-01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共役脂肪酸含有発酵食品及びその製造法
SE0004124D0 (sv) * 2000-11-10 2000-11-10 Probi Ab New use
JP4853986B2 (ja) 2001-09-20 2012-01-11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炎症性腸疾患及び過敏性腸症候群の予防・治療剤
JP2003306436A (ja) 2002-02-15 2003-10-2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血清コレステロール上昇抑制剤
JP4280016B2 (ja) * 2002-02-28 2009-06-17 雪印乳業株式会社 糖尿病合併症予防・改善・治療剤
JP2004099539A (ja) * 2002-09-10 2004-04-02 Wakamoto Pharmaceut Co Ltd 内臓脂肪蓄積防止組成物又は食品
JP2004315477A (ja) * 2003-04-18 2004-11-11 Tokyoto Koreisha Kenkyu Fukushi Shinko Zaidan 骨吸収抑制剤
DE602005020908D1 (de) * 2004-02-24 2010-06-10 Chr Hansen As Kultur
JP5095912B2 (ja) 2004-09-06 2012-12-12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免疫増強剤
JP4688457B2 (ja) 2004-09-10 2011-05-25 四国乳業株式会社 免疫増強組成物
DK1853284T3 (da) * 2005-02-11 2014-07-14 Biolactis Inc Anvendelse af Lactobacillus kefiranofaciens som probiotikum og synbiotikum
JP2006304792A (ja) * 2005-03-31 2006-11-09 Saga Univ 内臓脂肪蓄積抑制食品
JP5036020B2 (ja) * 2005-11-30 2012-09-26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腎周囲脂肪蓄積抑制剤
NZ575469A (en) * 2006-09-04 2012-05-25 Megmilk Snow Brand Co Ltd Agent comprising lactobacillus for accelerating the increase in and/or preventing the decrease in blood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inhibi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240A (ko) * 2004-09-02 2006-03-07 씨제이 주식회사 체지방 저하 기능성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와 이를 함유한식품
JP2006182654A (ja) 2004-12-24 2006-07-13 Toyo Shinyaku:Kk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46B1 (ko) * 2022-08-02 2023-02-14 (주)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14253A (ja) 2008-09-18
KR20090122454A (ko) 2009-11-30
AU2008222007B2 (en) 2014-07-24
AU2008222007A1 (en) 2008-09-12
EP2127660A4 (en) 2010-11-03
US20100021445A1 (en) 2010-01-28
CA2677030A1 (en) 2008-09-12
CN101616680A (zh) 2009-12-30
BRPI0808207A2 (pt) 2014-07-15
ES2640526T3 (es) 2017-11-03
CA2677030C (en) 2015-11-10
US8440179B2 (en) 2013-05-14
WO2008108298A1 (ja) 2008-09-12
CN101616680B (zh) 2013-06-19
BRPI0808207A8 (pt) 2017-10-10
EP2127660A1 (en) 2009-12-02
EP2127660B1 (en)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858B1 (ko) 내장지방 감소제
AU2008333718B2 (en) Probiotic bacteria and regulation of fat storage
KR101492650B1 (ko)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JP6039638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JP5229977B2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濃度増加促進及び/又は減少抑制剤
JP6491422B2 (ja) 免疫疾患予防剤
JP6894096B2 (ja) 軟骨再生促進用組成物
JPWO2018174125A1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JP2012012321A (ja) 血中可溶性細胞間接着因子濃度上昇抑制剤
AU2015200625B2 (en) Agents for promoting secretion and/or suppressing decrease of adiponectin
WO2011025019A1 (ja) チオレドキシン誘導活性を有する乳酸菌ならびにチオレドキシンを介する生体傷害の予防および/または改善用の飲食品および医薬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