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94B1 -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5494B1 KR101415494B1 KR1020097012414A KR20097012414A KR101415494B1 KR 101415494 B1 KR101415494 B1 KR 101415494B1 KR 1020097012414 A KR1020097012414 A KR 1020097012414A KR 20097012414 A KR20097012414 A KR 20097012414A KR 101415494 B1 KR101415494 B1 KR 101415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cher
- runner
- movable body
- rail
- strik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4—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sliding wings ope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Toy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하부에 스트라이커(51)를 구비한 러너(5)와, 기준위치(R)에서 가동체(1)측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스트라이커(51)에 대한 캐처(6)와, 캐처(6)가 기준위치(R)에 있을 때 부세력을 비축하는 부세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체(1)의 자주개시위치(SA)에서 레일(2)측에 걸어맞춰져 정지한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를 기준위치(R)에 있는 캐처(6)가 포착하는 동시에, 이 포착을 계기로 캐처(6)와 가동체(1)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와 동시에 정지위치(SP)로부터의 가동체(1)의 복동에 의해 캐처(6)가 다시 기준위치(R)에 위치되는 동시에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를 릴리스하여, 이후 러너(5)와 레일(2)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 러너, 스트라이커, 캐처, 부세수단, 걸어맞춤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에 상부(上部)를 매달아 지지되는 가동체(可動體)를, 이 가동체가 자주개시(自走開始)위치까지 왕동(往動)되어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自走往動)시키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행거도어 등의 레일에 상부를 매달아 지지되는 가동체에서는, 통상, 그 왕동 전방에 위치되는 단면(端面)(전단(前端))이 도어 버팀쇠나 쌍을 이루는 행거도어 등의 단면 등에 맞닿는 정지위치까지 수동으로 왕동된다. 여기서, 이 수동 왕동의 힘이 강하면 왕동되어온 가동체는 정지위치로부터 되돌아오는 상태로 복동(復動)해 버린다. 한편, 이 수동 왕동의 힘이 약하면 가동체는 정지위치에 이르기 전에 정지해 버린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행거도어 등의 가동체를, 도중(途中)까지 수동 왕동되어온 후는 거기서부터 자주왕동시켜 그 정지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점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서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를, 이하의 (1)~(6)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레일에 상부가 지지되는 가동체를, 이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어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시키는 기구로서,
(2) 주행가능하게 레일에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자주개시위치에서 레일측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하부(下部)에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러너(runner)와,
(3) 가동체의 상부에 있어서 이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기준위치에 있어서 가동체측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캐처(catcher)와,
(4) 캐처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부세력(付勢力)을 비축하도록 구성된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5) 가동체의 자주개시위치에서 레일측에 걸어맞춰져 정지한 러너의 스트라이커를 기준위치에 있는 캐처가 포착하는 동시에, 이 포착을 계기로 캐처와 가동체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부세수단의 부세력이 개방되고,
(6) 또한 정지위치로부터 자주개시위치로의 가동체의 복동에 의해 캐처가 다시 기준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러너의 스트라이커를 릴리스(release)하여, 이후 러너와 레일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캐처는 기준위치에서 가동체측에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면 러너가 레일측에 걸어맞춰져 러너가 정지되는 동시에, 러너의 스트라이커를 캐처가 포착하고 캐처는 정지된 러너에 일체화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캐처와 가동체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걸어맞춤의 해제에 의해 부세수단의 축세력(蓄勢力)의 개방이 허용되므로, 가동체를 정지위치까지 자주(自走)시킬 수 있다.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된 가동체를 자주개시위치까지 복동시키면, 부세수단에 축세시키면서 캐처는 기준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다시 가동체측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스트라이커를 릴리스하고, 이후 러너와 레일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러너와 캐처는 분리되고, 또한 가동체의 이동에 따라 러너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로의 복귀가 도모된다.
이러한 기구를, 이하(1)~(11)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 구성시킨 것도 있다.
(1) 매달기 바퀴에 의해 레일에 매달려 지지되는 가동체를, 이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어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시키는 기구로서,
(2) 주행가능하게 레일에 조합되는 러너와,
(3) 가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오목부위 내에 이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캐처와,
(4) 캐처의 부세수단을 갖고,
(5) 러너는, 러너 주체(主體)와, 러너 주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오목부위 내에 들어가서 캐처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트라이커를 갖고,
(6) 러너 주체는, 러너 주체의 측부(側部)로부터 외단(外端)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 외단과 레일의 내면(內面)과의 사이에 항시 간극을 남기도록 구비되는 러너 스톱퍼(runner stopper)와, 가동체가 왕동하는 앞쪽으로 향해진 러너 주체의 전부(前部)로부터 외단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릴리스부와, 릴리스부를 돌출위치에 부세위치하게 하는 부세체(付勢體)를 갖고,
(7) 러너 스톱퍼는 릴리스부에 대하여, 부세체의 부세에 저항하여 릴리스부가 끌어들여 이동되었을 때, 끌어들여 이동되도록 연계되어 있고,
(8) 캐처는, 캐처 주체의 측부로부터 외단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킨 캐처 스톱퍼와, 캐처 주체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비포지(非抱持)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의 포지체(抱持體)와, 이들의 부세체를 갖고,
(9) 이 부세체에 의해, 캐처 스톱퍼가 그 외단을 돌출시킬 때에는 포지체는 전진위치에 있어 비포지상태에 있고, 또한, 포지체가 후퇴위치에 있어 포지상태에 있을 때에는 캐처 스톱퍼는 그 외단을 끌어들이도록 되고,
(10) 오목부위에는, 캐처 스톱퍼의 외단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에 캐처 스톱퍼를 걸어맞춰지게 한 캐처의 기준위치에서 부세수단으로의 축세가 이루어지도록 되며,
(11) 레일에는, 가동체가 복동하는 쪽으로 위치되는 동시에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부세에 의해 돌출된 제1부분과, 가동체가 왕동하는 쪽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양(兩) 부분간에 러너 스톱퍼의 외단을 수용하여 이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기준위치에 있는 캐처의 포지체 내에 스트라이커를 진입시킨 러너의 러너 스톱퍼가,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이동되어 왔을 때,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주왕동기구를 구성시킨 경우, 특히, 러너 스톱퍼의 외단은 상기 간극에 의해 레일 내면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가동체의 상기 자주개시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왕동에 따른, 또한, 이 자주개시위치로부터의 가동체의 복동에 따른 러너의 주행에 러너 스톱퍼는 저항으로 되지 않고, 이 주행에 있어 이음(異音)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어 오면, 이 가동체의 오목부위에 수납되어 있는 캐처의 포지체에 밀려 함께 왕동되어온 러너의 러너 스톱퍼를 제1부분에 맞닿게 할 수 있고, 이 맞닿음에 의해 제1부분을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끌어들여, 이 제1부분을 러너 스톱퍼가 넘은 위치에서 부세에 의해 다시 제1부분을 돌출시켜, 러너 스톱퍼를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걸어맞춰지게 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러너는 레일측에 걸어맞춰져 정지된다. 러너가 정지되면 스트라이커에 밀려 포지체는 상기 부세체의 부세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포지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포지체는 포지상태에 위치되고, 캐처는 정지된 러너에 일체화된다. 또한, 동시에, 이 포지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캐처 스톱퍼는 오목부위의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가동체는 정지위치까지 자주된다.
또한,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된 가동체를 자주개시위치까지 복동시키면, 정지되어 있는 러너와 일체화되어 있는 캐처는 부세수단에 축세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에 이른 단계에서 오목부위의 걸어맞춤부에 다시 부세체의 부세에 의해 캐처 스톱퍼가 걸어맞춰진다. 그와 동시에 포지체의 부세체의 부세에 의한 전진이 허용되어 포지체는 비포지상태로 복귀되고 캐처와 스트라이커는 분리된다. 이후, 정지한 러너에서의 릴리스부에 가동체의 일부를 전방에서 맞닿게 하여 릴리스부를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릴리스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러너 스톱퍼를 끌어들여 레일의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가동체의 복동과 함께 러너를 복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체의 전단과 오목부위 사이에 매달기 바퀴가 구비되어 있고,
정지위치에 있는 가동체를 복동시켰을 때 이 매달기 바퀴가 릴리스부의 외단에 맞닿아 이 릴리스부가 끌어들여 이동되도록 해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된 가동체를 자주개시위치까지 복동시키면, 이와 같이 정지한 러너에서의 릴리스부에 매달기 바퀴를 전방에서 맞닿게 하여 릴리스부를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후방에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릴리스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러너 스톱퍼를 끌어들여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가동체의 복동과 함께 러너를 복동시킬 수 있다.
상기 러너의 측부에, 레일의 하부 내면 위를 주행하는 차륜(車輪)을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가동체의 상기 자주개시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왕동에 따라, 또한, 이 자주개시위치로부터의 가동체의 복동에 따라, 러너를 원활하게 레일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러너에,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이 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친 개구부(開口部)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이 레일의 하부 외면 아래에 위치되는 자세유지부를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이러한 자세유지부에 의해, 이 러너의 주행에서 러너에 그 전측(前側)을 경사 아래로 하는 경사 또는 그 후측(後側)을 경사 아래로 하는 경사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 주행을 한층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에 왕동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캐처의 포지체에 경사 없이 스트라이커를 진입시켜 이것에 확실하게 포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를, 러너 주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가동체의 지지위치 등에 경시적(經時的)으로 이상 등이 일어난 경우라도, 가동체의 왕동에 따른 포지체로의 맞닿음을 통해 포지체에 수용되도록 스트라이커의 위치를 교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에, 가동체의 이동방향에 걸쳐 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의 포지체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포지체로의 스트라이커의 들어감이 깊을 때라도, 또한, 얕을 때라도 어느 하나의 걸어맞춤 홈부에 포지체를 걸어맞추게 하여 스트라이커와 캐처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자주왕동기구에 의하면,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어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시켜, 그 정지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자주왕동기구의 요부(要部) 파단(破斷)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파단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파단 정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9는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 10은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파단 정면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3은 레일로의 러너의 들어감을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캐처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15는 캐처의 분리 단면 구성도
도 16은 러너의 정면도
도 17은 러너의 저면도
도 18은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9는 자주왕동기구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9에 의거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도 3은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를 향하여 수동 왕동되어 있을 때의 양상을, 도 4 및 도 5는 가동체(1)가 이 수동 왕동에 의해 자주개시위치(SA)에 도달했을 때의 양상을, 도 6~도 8은 이에 이어서 가동체(1)가 완전히 자주왕동되었을 때의 양상을, 도 9는 완전히 자주왕동되어 정지위치(SP)에 있는 가동체(1)를 자주개시위치(SA)까지 수동 복동시켰을 때의 양상을, 도 10~도 12는 이에 이어서 더 가동체(1)를 수동 복동시켰을 때의 양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은, 자주왕동기구의 러너(5)의 레일(2)에 대한 들어감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레일(2)을 폭방향에서 단면으로 하여, 양자만을 표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는, 자주왕동기구의 캐처(6)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시킨 상태로 하여,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자주왕동기구의 러너(5)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은, 가동체(1)가 정지위치(SP)에 있을 때 그 전단(11)과 도어 버팀쇠 등의 단면(3)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 19는, 도 18의 예에서 캐처(6)가 스트라이커(51)를 포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조작(誤操作)에 의해 캐처(6)가 부세수단(7)의 부세에 의해 후퇴해 버렸을 경우에 가 동체(1)를 정지위치(SP)까지 왕동시켜 이와 같이 후퇴된 캐처(6)에 스트라이커(51)를 걸어맞춰지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자주왕동기구는 레일(2)에 상부가 지지되는 가동체(1)를, 이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까지 왕동되어온 후는 정지위치(SP)까지 자주왕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가동체(1)로서는, 전형적으로는, 매달기 바퀴(10)에 의해 레일(2)에 매달려 지지되는 행거도어(1')나 폴딩 도어 등이 예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구는, 레일(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 레일(2)에 지지된 행거도어(1') 등을 상기 자주개시위치(SA)까지 수동으로 왕동 주행시켜온 후는, 상기 정지위치(SP)까지, 즉, 전형적으로는, 행거도어(1')에서의 왕동 전방에 위치되는 단면(전단(11))이 도어 버팀쇠나 쌍을 이루는 행거도어의 단면(3) 등에 맞닿는 위치까지, 자주왕동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기구는, (1) 러너(5)와, (2) 캐처(6)와, (3) 캐처(6)의 부세수단(7)을 갖고 있다.
러너(5)는, 주행가능하게 레일(2)에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자주개시위치(SA)에서 레일(2)측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하부에 스트라이커(51)를 구비하고 있다.
캐처(6)는, 가동체(1)의 상부에서 스트라이커(51)의 후방에 있어 이 가동체(1)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기준위치(R)에서 가동체(1)측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세수단(7)은, 캐처(6)가 기준위치(R)에 있을 때 부세력을 비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체(1)의 자주개시위치에서 레일(2)측에 걸어맞춰져 정지한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를 기준위치(R)에 있는 캐처(6)가 포착하는 동시에, 이 포착을 계기로 캐처(6)와 가동체(1)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부세수단(7)의 부세력이 개방되고,
또한, 정지위치로부터 자주개시위치로의 가동체(1)의 복동에 의해 캐처(6)가 다시 기준위치(R)에 위치되는 동시에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를 릴리스하여, 이후 러너(5)와 레일(2)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캐처(6)는 기준위치에 있고 가동체(1)측에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까지 왕동되면 러너(5)가 레일(2)측에 걸어맞춰져 러너(5)가 정지되는 동시에,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를 캐처(6)가 포착하여 캐처(6)는 정지된 러너(5)에 일체화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캐처(6)와 가동체(1)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걸어맞춤의 해제에 의해 부세수단(7)의 축세력의 개방이 허용되기 때문에, 가동체(1)를 정지위치(SP)까지 자주시킬 수 있다. 정지위치(SP)까지 자주왕동된 가동체(1)를 자주개시위치(SA)까지 복동시키면, 부세수단(7)에 축세시키면서 캐처(6)는 기준위치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재차 가동체(1)측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스트라이커(51)를 릴리스하여, 이후 러너(5)와 레일(2)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러너(5)와 캐처(6)는 분리되고, 또한 가동체(1)의 이동에 따라 러너(5)도 레일(2)을 따라 주행하는,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로의 복귀가 도모된다.
러너(5)는, 주행가능하게 레일(2)에 조합되어 있다. 이러한 러너(5)는, 레일(2) 내에 대체로 수용되는 러너 주체(50)와, 러너 주체(50)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오목부위(12) 내에 들어가서, 이 오목부(12) 내에 있는 캐처(6)의 전방(캐처(6)와 가동체(1)의 전단(11) 사이)에 위치되는 스트라이커(51)를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러너 주체(50)에는, 이 러너 주체(50)의 측부로부터 외단(521)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 외단(521)과 레일(2)의 내면(202) 사이에 항시 간극(S)을 남기도록 구비되는 러너 스톱퍼(52)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圖示)한 예에서는, 이러한 러너 스톱퍼(52)는, 러너 주체(5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부세에 의해 상단을 러너 주체(50)의 상부로부터 끌어들여 가능하게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러너 스톱퍼(52)의 외단(521)은 상기 간극(S)에 의해 레일(2)의 내면(202)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가동체(1)의 상기 자주개시위치(SA)에 이르기까지의 왕동에 따른, 또한, 이 자주개시위치(SA)로부터의 가동체(1)의 복동에 따른 러너(5)의 주행에 러너 스톱퍼(52)는 저항으로 되지 않고, 이 주행에 있어 이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러너 스톱퍼(52)의 돌출의 방향은 후술하는 레일(2)의 걸어맞춤부(24)의 형성위치와의 관계로 결정되는 것이며, 도시한 예와는 달리, 러너 스톱퍼(52)를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러너 주체(50)에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레일(2)은, 상판부(上板部)(20)와 좌우 판부(21, 21)와 이 좌우 판부(21, 21)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굴곡판부(2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3) 그리고, 이러한 레일(2)은, 천정(4)에 형성된 홈(40)에 상판부(20)를 위로 하여 끼워 넣어져 천정(4)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러너 주체(50)는, 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동시에, 그 전후에서 그 좌우 측부의 외측에 각각 수평으로 배치된 차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차륜(501)을 갖고 있다. 그리고, 러너 주체(50)는, 그 좌측의 차륜(501)을 레일(2)의 좌판부(21)의 굴곡판부(22)의 내면 위에서, 우측의 차륜(501)을 레일(2)의 우판부(21)의 굴곡판부(22)의 내면 위에서, 각각 주행시키도록 하여 레일(2)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러너 주체(50)에서는, 레일(2)의 하부에 형성된 이 레일(2)의 길이방향에 걸치는 개구부(23)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이 레일(2)의 하부 외면 아래에 위치되는 자세유지부(502)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러너 주체(50)의 전후의 하부에 각각 상기 개구부(23)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0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돌출부(50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조각형상을 이루는 자세유지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세유지부(502)의 상면과 차륜(501)의 하단 사이의 피치(pitch)가 굴곡판부(22)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도 13)
이에 의해, 이 예에서는, 가동체(1)의 상기 자주개시위치(SA)에 이르기까지의 왕동에 따라, 또한, 이 자주개시위치(SA)로부터의 가동체(1)의 복동에 따라, 러너(5)를 원활하게 레일(2)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세유지부(502)에 의해, 이 러너(5)의 주행에서 러너(5)에 그 전측을 경사 아래로 하는 경사 또는 그 후측을 경사 아래로 하는 경사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 주행을 한층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왕동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캐처(6)의 포지체(62)에 경사 없이 스트라이커(51)를 진입시켜 이것에 확실하게 포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러너 주체(50)의 하부의 2개소의 돌출부(503) 사이에 스트라이커(51)가 구비되어 있다. 스트라이커(51)는, 그 전단부(512)에 형성된 축 구멍(512a)에 러너 주체(50)의 저부에 형성시킨 축 돌출부(50a)를 끼워 넣어 이 축 돌출부(50a)를 중심으로 하여 이 러너 주체(5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스트라이커 베이스(511)의 후단부(513)로부터 하방(下方)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스트라이커(51)는, 가동체(1)의 이동방향에 걸쳐 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의 포지체(62)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스트라이커(51)는 그 좌우 양측에 각각 2조(條)의 종(縱)방향으로 뻗는 걸어맞춤 홈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의해 이러한 스트라이커(51)는, 그 수평단면에서, 후방측(가동체(1)가 복동하는 쪽)에서 그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하는 제1 걸어맞춤 톱니부(514)와, 이 제1 걸어맞춤 톱니부(514) 사이에 간격을 두고 그 전방측에 설치되는 제2 걸어맞춤 톱니부(515)를 구비하고 있고, 후술하는 캐처(6)의 포지체(62)의 포지편(抱持片)(623)의 장출부(張出部)(623a)에, 이 포지체(62)로의 스트라이커(51)의 들어감이 깊을 때는 제2 걸어맞춤 톱니부(515)로, 또한, 이 포지체(62)로의 스트라이커(51)의 들어감이 얕을 때는 제1 걸어맞춤 톱니부(514)로,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체(1)가 정지위치(SP)에 있을 때, 그 전단(11)과 도어 버팀쇠 등의 단면(3)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후술하는 댐퍼장치(15)의 실린더(151) 내에 피스톤 로드(152)가 완전히 들어가지 않고, 캐처(6)의 후단과 실린더(151)의 전단 사이에 간극(x)을 형성시켜 부세수단(7)의 부세력이 이 정지위치(SP)에서 가동체(1)에 작용되도록 해 두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이 가동체(1)가 정지위치(SP)에 있을 때 스트라이커(51)의 제2 걸어맞춤 톱니부(515)에 캐처(6)의 포지체(62)의 포지편(623)의 장출부(623a)가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스트라이커(51)의 상기 제1 걸어맞춤 톱니부(514)와 제2 걸어맞춤 톱니부(515) 사이의 피치를 간극(x)의 치수와 대략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 18의 예에서는,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이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캐처(6)의 포지체(62)를 잘못 눌러 넣어 버림으로써 캐처 스톱퍼(61)가 오목부(146)로부터 빠져나가 부세수단(7)의 부세에 의해 캐처(6)를 후퇴시켜 버린 경우에는, 이러한 가동체(1)를 정지위치(SP)까지 왕동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51)의 제1 걸어맞춤 톱니부(514)에 캐처(6)의 포지체(62)의 포지편(623)의 장출부(623a)를 걸어맞추게 하고, (도 19)이후에 가동체(1)를 복동시킴으로써 재차 소기(所期)의 상태, 즉, 정지위치(SP)에서 캐처(6)의 후단과 실린더(151)의 전단 사이에 간극(x)을 형성시켜 부세수단(7)의 부세력이 이 정지위치(SP)에서 가동체(1)에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의 예에서는, 캐처(6)가 완전히 후퇴한 위치에서 그 포지체(62)의 포지편(623)의 외측에 위치되는 케이스(14)의 좌우 측벽(側壁)의 일부(14a)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오조작시(誤操作時)에 가동체(1)를 정지위치(SP)까지 왕동시켰을 때, 스트라이커(51)를 수용하는 포지편(623)의 탄성 변형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51)의 좌우 위치는 러너 주체(50)와 스트라이커 베이스(511)의 상기 조립에 의해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가동체(1)의 지지위치 등에 경시적으로 이상 등이 일어난 경우라도, 가동체(1)의 왕동에 따른 포지체(62)로의 맞닿음을 통해 포지체(62)에 수용되도록 스트라이커(51)의 위치를 교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러너 주체(50)의 전단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러너 주체(50)를 관통하는 종방향 동작구멍(5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러너 주체(50)에는, 그 전단에 구멍입구를 만들어 후단측을 향해 이어지고, 종방향 동작구멍(504)에 교차상태로 연통(連通)하는 횡방향 동작구멍(505)이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동작구멍(505)의 안쪽부에는 방출용 공극(空隙)(506)에 연통한 통과구멍(5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러너(5)의 러너 주체(50)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부세에 의해 항시 전방으로 되는 왕동하는 쪽을 향해 전단을 돌출시켜, 또한, 이 부세에 저항한 압입에 의해, 러너 스톱퍼(52)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릴리스부(53)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러너 스톱퍼(52)는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한 핀 통과구멍(522)을 구비한 축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방향 동작구멍(504)의 상측의 구멍입구로부터 그 외단으로 되는 상단을 출몰(出沒)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릴리스부(53)는, 상하로 개방된 사각형 틀부(531)와, 이 사각형 틀 부(53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축부(532)를 갖고 있다. 이 사각형 틀부(531)의 좌우 틀판에는 각각, 홈 하단을 전방에, 홈 상단을 후방에 위치시키고, 또한, 위쪽으로 경사진 전방(前方)을 만곡(灣曲) 외측으로 하도록 형성된 만곡가이드홈(5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러너 주체(50)에서의 횡방향 동작구멍(505)과 종방향 동작구멍(504)이 교차하는 개소의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연직(鉛直)가이드홈(50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횡방향 동작구멍(505)에 축부(532)를 앞으로 하여 릴리스부(53)를 들어가게 하는 동시에, 종방향 동작구멍(504)으로부터 릴리스부(53)의 사각형 틀부(531) 내에 러너 스톱퍼(52)를 들어가게 하고, 이 상태에서 각 연직가이드홈(508, 508)과 각 만곡가이드홈(533, 533)과 핀 통과구멍(522)에 핀(509)을 통하여 러너 주체(50)에 러너 스톱퍼(52)와 릴리스부(53)를 조립하게 하고 있다. 또한, 릴리스부(53)의 축부(532)에는 부세체로서의 압축코일스프링(534)이 권취 장착되어 있고, 이 압축코일스프링(534)은 스프링 후단을 횡방향 동작구멍(505)의 안쪽부에 항시 밀착되고, 또한, 스프링 전단을 사각형 틀부(531)의 후단에 항시 눌려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 압축코일스프링(534)에 의해, 릴리스부(53)는 전방으로 항시 부세되고, 이와 같이 부세되는 릴리스부(53)를 통하여 러너 스톱퍼(52)는 위쪽으로 항시 부세되어 있다.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릴리스부(53)는 전방으로 가장 돌출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핀(509)은 연직가이드홈(508)의 홈 상단과 만곡가이드홈(533)의 홈 상단에 위치되며, 러너 스톱퍼(52)는 그 외단을 러너 주체의 측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후술하는 레일(2)의 걸어맞춤부(24)와, 레일(2)의 상판부(20)에 형성된, 가동체(1)가 복동하는 앞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부세에 의해 돌출된 제1부분(242)과, 왕동하는 앞쪽에 위치되는 제2부분(243)을 구비하고, 양 부분(242, 243) 사이에 러너 스톱퍼(52)의 외단(521)을 수용하여 이것에 걸어맞추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분(242)의 후방으로 향해진 측에는 전방(가동체(1)가 왕동하는 쪽)으로 향해감에 따라 점차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경사면(542c)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까지 왕동되어 오면, 이 가동체(1)의 후술하는 오목부위(12)에 수납되어 있는 캐처(6)의 포지체(62)에 밀려 함께 왕동되어온 러너(5)의 러너 스톱퍼(52)가 제1부분(242)의 경사면(242c)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이 맞닿음에 의해 제1부분(242)은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끌어들여져, 이 제1부분(242)을 러너 스톱퍼(52)가 넘은 위치에서 이 부세에 의해 다시 제1부분(242)은 돌출하고, 러너 스톱퍼(52)는 제1부분(242)과 제2부분(243) 사이에 걸어맞춰져 유지된다.(도 5) 이에 의해, 러너(5)는 정지된다. 또한, 정지위치(SP)까지 자주왕동된 가동체(1)를 자주개시위치(SA)까지 복동시키면,(도 6 내지 도 9)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정지한 러너(5)에서의 릴리스부(53)에 매달기 바퀴(10)가 전방으로부터 밀려 닿아서 릴리스 부(53)가 상기 부세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릴리스부(53)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축부(532)를 상기 통과구멍(507)을 통하여 방출용 공극(506)에 들어가 게 하는 것이 허용된다. 릴리스부(53)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만곡가이드홈(533)의 홈 하단에 핀(509)이 안내(案內)되기 때문에, 이 릴리스부(53)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러너 스톱퍼(52)는 아래쪽으로 끌어들여져 걸어맞춤부(241)로부터 빠져나가 가동체(1)의 복동과 함께 러너(5)도 복동되게 된다.(도 10)
한편, 캐처(6)는, 가동체(1)의 상부에 형성된 가동체(1)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오목부위(12) 내에 이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1)로서의 행거도어(1')의 전단(11)측의 상부에 매달기 바퀴(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매달기 바퀴(10)와의 사이에 약간 간격을 두고, 행거도어(1')의 상부에, 위쪽으로 개방되고 이 행거도어(1')의 이동방향에 길게 이어지는 케이스(14)의 조립 오목부위(1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면을 개방시킨 가늘고 긴 케이스(14)를 이 조립 오목부위(13)에 들어가게 하는 동시에, 이 케이스(14)에 캐처(6)를 이 케이스(1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납하여 행거도어(1')측에 캐처(6)를 구비시키고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케이스(14) 안이 상기 오목부위(1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4)는,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형성된 칸막이체(141)에 의해, 대체로 상하로 구분되어 있다. 케이스(14)의 전단측으로부터 그 중앙부까지의 사이의 칸막이체(141)에는, 그 폭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슬롯(slot)(142)이 형성되어 있고, 캐처(6)의 후술하는 캐처 주체(60)의 후단에 형성된 후크(hook)부(601)가 이 슬롯(142)을 통하여 케이스(14)의 하부실(下部室)(143)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 다. 이러한 하부실(143) 내에는, 스프링 전단을 캐처 주체(60)의 상기 후크부(601)에 지착(止着)시키고, 또한, 스프링 후단을 케이스(14)의 후단에 형성된 후크부(144)에 지착시킨 부세수단(7)으로서의 인장코일스프링(145)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슬롯(142)의 전단과 케이스(14)의 전단 사이에 있는 칸막이체(141)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오목부(146)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캐처 스톱퍼(61)가 이 오목부(146)에 들어간 캐처(6)의 기준위치(R)에서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145)이 가장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오목부(146)가 캐처 스톱퍼(61)의 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부와 케이스(14)의 전단 사이에서는 케이스(14)의 좌우 측벽이 절결(切缺)되어 있고, 기준위치(R)에 있는 캐처(6)의 후술하는 포지체(62)의 포지편(623)은 이 절결부(147)에 들어가 비포지상태로 되어 있다.(도 3)
이러한 캐처(6)는, 캐처 주체(60)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캐처 스톱퍼(61)와,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비포지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51)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51)의 포지체(62)와, 이들의 부세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부세체에 의해, 캐처 스톱퍼(61)가 그 하단을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있을 때에는 포지체(62)는 전진위치에서 비포지상태에 있고, 또한, 포지체(62)가 후퇴위치에서 포지상태에 있을 때에는 캐처 스톱퍼(61)는 그 하단을 위쪽으로 끌어들이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캐처 주체(60)는, 가동체(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또한, 케이스(14)의 상부실(上部室)(148)의 폭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 처 주체(60)의 후단측의 하부에 상기 후크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처 주체(60)의 전단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종방향 동작구멍(6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처 주체(60)에는, 그 전단에 구멍입구를 형성하여 캐처 주체(60)의 후단측으로 향하여 이어지며, 종방향 동작구멍(602)에 교차형태로 연통하는 횡방향 동작구멍(603)이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동작구멍(603)의 안쪽부와 캐처 주체(60)의 후단 사이에는 방출용 공극(60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횡방향 동작구멍(603)의 안쪽부에는 방출용 공극(604)에 연통한 통과구멍(60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캐처 스톱퍼(61)는 하단에 롤러(611)를 갖고,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한 핀 통과구멍(612)을 구비한 축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종방향 동작구멍(602)의 하측의 구멍입구로부터 그 하단을 출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캐처 스톱퍼(61)의 돌출 방향은 오목부위(12)의 걸어맞춤부(오목부(146))의 형성위치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며, 도시한 예와는 달리, 캐처 스톱퍼(61)를 수평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캐처 주체(60)에 구비시켜 두는 경우도 있다.
한편, 포지체(62)는, 상하로 개방된 사각형 틀부(621)와, 이 사각형 틀부(62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축부(622)와, 이 사각형 틀부(621)의 전단에 구비된 한쌍의 포지편(623, 623)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포지편(623, 623)은, 그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내향(內向)되게 돌출하는 장출부(623a)를 갖고 있다. 또한, 한쌍의 포지편(623, 623)은 각각 탄성변형 가능한 수지 힌지부(623b) 를 통하여 사각형 틀부(621)에 일체화되어 있고, 이 수지 힌지부(623b)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출부(623a)의 꼭대기부(頂部) 사이의 간격을 러너(5)의 스트라이커(51)의 폭보다도 크게 한 비포지상태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사각형 틀부(621)의 좌우 틀판에는 각각, 홈 상단을 전방으로, 홈 하단을 후방으로 위치시키고, 또한, 아래쪽으로 경사진 전방을 만곡 외측으로 하도록 형성된 만곡가이드홈(6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처 주체(60)에서의 횡방향 동작구멍(603)과 종방향 동작구멍(602)이 교차하는 개소의 좌우 양측부에는 각각, 연직가이드홈(60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횡방향 동작구멍(603)에 축부(622)를 앞으로 하여 포지체(62)를 들어가게 하는 동시에, 종방향 동작구멍(602)으로부터 포지체(62)의 사각형 틀부(621) 내에 캐처 스톱퍼(61)를 들어가게 하고, 이 상태에서, 각 연직가이드홈(606, 606)과 각 만곡가이드홈(624, 624)과 핀 통과구멍(612)에 핀(607)을 통하여 캐처 주체(60)에 캐처 스톱퍼(61)와 포지체(62)를 조립하게 하고 있다. 또한, 포지체(62)의 축부(622)에는 압축코일스프링(625)이 권취 장착되어 있고, 이 압축코일스프링(625)은 스프링 후단을 횡방향 동작구멍(603)의 안쪽부에 항시 밀착되고, 또한, 스프링 전단을 사각형 틀부(621)의 후단에 항시 눌려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 압축코일스프링(625)에 의해, 포지체(62)는 전방으로 항시 부세되고, 이와 같이 부세된 포지체(62)를 통하여 캐처 스톱퍼(61)는 아래쪽으로 항시 부세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압축코일스프링(625)이 부세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왕동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포지체(62)는 전방으로 가장 돌출하고, 이에 의해, 상기 핀(607)은 연직가이드홈(606)의 홈 하단과 만곡가이드홈(624)의 홈 하단에 위치되며, 캐처 스톱퍼(61)는 걸어맞춤부에 그 하단을 들어가게 하고 있다.(도 1, 캐처(6)의 기준위치(R))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를 향하여 왕동되고 있을 때 러너(5)의 스트라이커(51)는 비포지상태에 있는 포지체(62)의 한쌍의 포지편(623, 623) 사이에 사각형 틀부(621)의 전단에 맞닿는 위치까지 진입해 있다. 그리고, 러너(5)의 러너 스톱퍼(52)가 레일(2)의 걸어맞춤부(24)에 걸어맞춰져 러너(5)가 정지되면 스트라이커(51)에 밀려 포지체(62)는 상기 부세체의 부세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도 5 내지 도 7) 이 포지체(62)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축부(622)를 상기 통과구멍(605)을 통하여 방출용 공극(604)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허용된다. 포지체(62)가 후방에 이동되면 케이스(14)의 절결부(148)로부터 포지편(623)이 빠져나가 케이스(14)의 좌우 측벽에 의해 수지 힌지부(623b)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한쌍의 포지편(623, 623)은 상기 장출부(623a)의 꼭대기부 사이의 간격을 러너(5)의 스트라이커(51)의 폭보다도 작게 한 포지상태에 위치된다.(도 8) 이에 의해, 캐처(6)는 정지된 러너(5)에 일체화된다. 또한, 동시에, 이 포지체(62)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만곡가이드홈(624)의 홈 상단에 핀(607)이 안내되기 때문에, 캐처 스톱퍼(61)는 위쪽으로 이동되어 케이스(14)에 설치시킨 걸어맞춤부로서의 오목부(146)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캐처 스톱퍼(61)와 케이스(14)의 걸어맞춤부(오목부(146))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인장코일스프링(145)의 줄어드는 방향의 탄성복귀가 허용되므로, 가동체(1)는 이 탄 성복귀에 의해 정지위치(SP)까지 자주된다.(도 6) 이 자주시, 캐처 스톱퍼(61)의 롤러(611)는 전진되는 케이스(14)의 칸막이체(141)의 상면에 접하여 회전되고, 자주왕동이 종료하면 캐처(6)는 케이스(14)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까지 상대적으로 후퇴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1)의 전단(11)과 오목부위(12) 사이에 매달기 바퀴(10)가 구비되어 있어, 정지위치(SP)에 있는 가동체(1)를 복동시켰을 때 이 매달기 바퀴(10)가 릴리스부(53)에 맞닿아 상기 눌러 넣어짐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지위치(SP)로부터의 가동체(1)의 복동에 의해 레일(2) 내에서 매달기 바퀴(10)의 본체(101)가 정지되어 있는 러너(5)에 전방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지위치(SP)에 있는 가동체(1)를 자주개시위치(SA)까지 복동시킴으로써, 러너 스톱퍼(52)와 레일(2)의 걸어맞춤부(2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가동체(1)와 함께 러너(5)를 레일(2)을 따라 적당한 위치까지 복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지위치(SP)로부터의 가동체(1)의 복동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러너(5)와 일체화되어 있는 캐처(6)는 부세수단(7)으로 축세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가동체(1)가 자주개시위치(SA)에 이르른 단계에서 케이스(14)의 걸어맞춤부(오목부(146))에 다시 부세체의 부세의 의해 캐처 스톱퍼(61)를 들어가게 하여 걸어맞춰지게 한다.(도 9) 그와 동시에 포지체(62)의 부세체의 부세의 의한 전진이 허용되고 포지체(62)는 비포지상태로 복귀되어 캐처(6)와 스트라이 커(51)는 분리된다.(도 11, 도 12) 이에 의해,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목부위(12) 내에, 캐처(6)의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작용시키는 댐퍼장치(15)가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4)의 상부실(148)에 실린더(151)와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을 구비하고, 실린더(151) 내로의 피스톤의 진입시에 이 진입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댐퍼장치(15)가 수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14)의 후단에 실린더(151)의 후단이 지착되고, 또한, 캐처(6)의 후단에 피스톤 로드(152)의 전단이 지착되어 있어, 캐처(6)의 기준위치(R)에서 피스톤 로드(152)가 실린더(151) 내로부터 가장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151) 내에 피스톤 로드(152)가 최대한 들어간 위치가 캐처(6)의 상대적인 후퇴이동의 한계위치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주개시위치(SA)로부터 앞선 가동체(1)의 자주왕동에 의한 캐처(6)의 상대적인 이동의 힘을 적당히 완화시켜 가동체(1)의 자주에 고급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그 정지시의 충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레일(2)의 걸어맞춤부(24)는, 장착베이스(241)와, 이 장착베이스(241)에 후단(242b)측을 회동가능하게 조립시키는 동시에 이 장착베이스(241)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전단(242a)측을 경사지게 돌출시키고 또한 이 후단(242b)측과 전단(242a)측 사이와, 장착베이스(241)의 천부(天部) 사이에 개재된 압축코일스프링(244)에 의해 아래쪽으로 부세된 제1부분(242)과, 이 제1부분(242)의 전단 사이로 전후로 간극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장착베이스(24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2부분(243)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레일(2)의 상판부(20)의 외면에, 이 상판부(20)에 개설된 장착구멍(201)으로부터 제1부분(242)과 제2부분(243)을 레일(2) 내에 돌출시키도록 하여 장착베이스(241)를 장착함으로써, 레일(2)에 걸어맞춤부(24)를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2006년 11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323409호 및 2007년 4월 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101630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全)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되는 것이다.
Claims (7)
- 레일에 상부(上部)가 지지되는 가동체(可動體)를, 이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自走開始位置)까지 왕동(往動)되어 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自走往動) 시키는 기구로서,주행가능하게 레일에 조합되는 동시에 상기 자주개시위치에서 레일측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하부(下部)에 스트라이커(striker)를 구비한 러너(runner)와,가동체의 상부에서 이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기준위치에서 가동체측에 걸어 맞춰지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캐처(catcher)와,캐처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부세력(付勢力)을 비축하도록 구성된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가동체의 자주개시위치에서 레일측에 걸어 맞춰져서 정지한 러너의 스트라이커를 기준위치에 있는 캐처가 포착하는 동시에, 이 포착을 계기로 캐처와 가동체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부세수단의 부세력이 개방되어 가동체의 상기 자주왕동이 이루어지며,또한 정지위치로부터 자주개시위치로의 가동체의 복동(復動)에 의해 캐처가 다시 기준위치에 위치되는 동시에 러너의 스트라이커를 릴리스(release)하여, 이후 러너와 레일측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매달기 바퀴에 의해 레일에 매달려 지지되는 가동체를, 이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왕동되어 온 후는 정지위치까지 자주왕동 시키는 기구로서,주행가능하게 레일에 조합되는 러너와,가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오목부위 내에 이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캐처와,캐처의 부세수단을 갖고 있고,러너는, 러너 주체(主體)와, 러너 주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오목부위 내에 들어가서 캐처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트라이커를 갖고 있으며,러너 주체는, 러너 주체의 측부(側部)로부터 외단(外端)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 외단과 레일의 내면(內面) 사이에 항시 간극을 남기도록 구비되는 러너 스톱퍼(runner stopper)와, 가동체가 왕동하는 쪽으로 향해진 러너 주체의 전부(前部)로부터 외단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릴리스부와, 릴리스부를 돌출위치에 부세위치하게 하는 부세체(付勢體)를 갖고 있고,러너 스톱퍼는 릴리스부에 대해, 부세체의 부세에 저항하여 릴리스부가 끌어들여 이동되었을 때 끌어들여 이동되도록 연계되어 있고,캐처는, 캐처 주체의 측부로부터 외단을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돌출시키는 캐처 스톱퍼와, 캐처 주체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비포지(非抱持)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의 포지체(抱持體)와, 이들의 부세체를 갖고 있으며,이 부세체에 의해, 캐처 스톱퍼가 그 외단을 돌출시키고 있을 때에는 포지체는 전진위치에 있어 비포지 상태에 있고, 또한, 포지체가 후퇴위치에 있어 포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캐처 스톱퍼는 그 외단을 끌어들이도록 되어 있고,오목부위에는, 캐처 스톱퍼의 외단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에 캐처 스톱퍼를 걸어 맞춰지게 한 캐처의 기준위치에서 부세수단으로의 축세(蓄勢)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레일에는, 가동체가 복동(復動)하는 쪽에 위치되는 동시에 끌어들여 이동가능하게 부세에 의해 돌출된 제1부분과, 가동체가 왕동하는 쪽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양(兩) 부분 사이에 러너 스톱퍼의 외단을 수용하여 이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기준위치에 있는 캐처의 포지체 내에 스트라이커를 진입시킨 러너의 러너 스톱퍼가, 가동체가 자주개시위치까지 이동되어 왔을 때 이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지고, 캐처 스톱퍼와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부세수단에 의해 가동체의 자주왕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제2항에 있어서,가동체의 전단(前端)과 오목부위 사이에 매달기 바퀴가 구비되어 있고,정지위치에 있는 가동체를 복동시켰을 때 이 매달기 바퀴가 릴리스부의 외단에 닿아 이 릴리스부가 끌어들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러너의 측부에, 레일의 하부 내면 위를 주행하는 차륜(車輪)이 구비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러너에,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 이 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친 개구부(開口部)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이 레일의 하부 외면 아래에 위치되는 자세유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스트라이커가, 러너 주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스트라이커 베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스트라이커가, 가동체의 이동방향에 걸쳐 간격을 두고, 2개소 이상의 포지체에 대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323409 | 2006-11-30 | ||
JPJP-P-2006-323409 | 2006-11-30 | ||
JP2007101630A JP4970117B2 (ja) | 2006-11-30 | 2007-04-09 |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 |
JPJP-P-2007-101630 | 2007-04-09 | ||
PCT/JP2007/072678 WO2008065971A1 (en) | 2006-11-30 | 2007-11-22 | Mechanism for causing movable body to self-propel forw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4280A KR20090094280A (ko) | 2009-09-04 |
KR101415494B1 true KR101415494B1 (ko) | 2014-07-28 |
Family
ID=3946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2414A KR101415494B1 (ko) | 2006-11-30 | 2007-11-22 |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886403B2 (ko) |
EP (1) | EP2101022A4 (ko) |
JP (1) | JP4970117B2 (ko) |
KR (1) | KR101415494B1 (ko) |
CN (1) | CN101542066B (ko) |
TW (1) | TWI408276B (ko) |
WO (1) | WO200806597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61731A1 (de) * | 2008-12-12 | 2010-06-17 | Dorma Gmbh + Co. Kg | Schiebetür |
KR101156640B1 (ko) * | 2009-10-08 | 2012-06-14 | (주)삼우 | 도어 개폐구조 |
KR101030879B1 (ko) * | 2009-12-11 | 2011-04-25 | 신정철 |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
JP5433466B2 (ja) * | 2010-03-17 | 2014-03-05 | 株式会社ニフコ | 摺動補助装置 |
JP2011196015A (ja) * | 2010-03-17 | 2011-10-06 | Nifco Inc | 摺動補助装置 |
JP2011247053A (ja) * | 2010-05-31 | 2011-12-08 | Nifco Inc | 移動補助装置 |
JP5553780B2 (ja) * | 2011-01-11 | 2014-07-16 | 株式会社シブタニ | 可動体の自走機構 |
JP5743563B2 (ja) * | 2011-01-17 | 2015-07-01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往動機構 |
JP5746885B2 (ja) * | 2011-03-14 | 2015-07-08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
JP5764375B2 (ja) * | 2011-04-19 | 2015-08-19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可動装置 |
US20130160240A1 (en) * | 2011-12-23 | 2013-06-27 | Cavity Sliders Limited | Damping Assembly and Damping Mechanism Therefor |
JP5990392B2 (ja) * | 2012-03-30 | 2016-09-14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
CA2799761C (en) * | 2012-12-20 | 2019-06-11 | Fleurco Products Inc. | Sliding door stopper system |
EP2792832B1 (en) * | 2013-04-16 | 2016-04-13 | Elfa International AB | Sliding door |
DK2792833T3 (en) * | 2013-04-16 | 2017-09-11 | Elfa Int Ab | sliding device |
CA2861977A1 (en) * | 2013-09-06 | 2015-03-06 | Mark A. Johnson | Shower door bumper |
DE102014101908A1 (de) * | 2014-02-14 | 2015-08-20 | Hettich-Heinze Gmbh & Co. Kg | Beschlag für eine Schiebetür |
US9388622B1 (en) * | 2015-02-05 | 2016-07-12 | K.N. Crowder Mfg. Inc.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sliding door |
SG11201606344QA (en) * | 2015-03-11 | 2016-10-28 |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 Pocket door |
DE102015003428B4 (de) * | 2015-03-17 | 2016-10-20 | Günther Zimmer | Oberer Türbeschlag einer Schiebetür |
US20160298369A1 (en) * | 2015-04-08 | 2016-10-13 | John Evans' Sons, Inc. | Brake Shoe and Stop that Interlock to Prevent Window Sash Drift During Use |
US9995071B2 (en) * | 2015-04-08 | 2018-06-12 | John Evans' Sons,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hibiting window sash drift |
US11351277B2 (en) | 2017-06-27 | 2022-06-07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Self-adjusting damper based linear alignment system |
DE102019008572B4 (de) * | 2019-12-10 | 2021-09-16 | Günther Zimmer | Schiebetürsystem |
US11891847B2 (en) * | 2020-04-30 | 2024-02-06 |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 Compact sliding door system with soft-close and locking functionalit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3664A (ko) * | 2003-03-24 | 2004-10-06 | 최윤묵 | 무전원 자동 미닫이 |
KR20060008011A (ko) * | 2004-07-23 | 2006-01-26 | 차행돈 |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
JP2007077580A (ja) * | 2005-09-12 | 2007-03-29 | Nobuyuki Tsuboi | 自閉式引き戸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4023A (ja) * | 2002-01-22 | 2003-07-30 | Enomoto Co Ltd | アウトセット型の引戸 |
JP4077421B2 (ja) * | 2004-03-31 | 2008-04-16 |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 部材保持装置 |
JP4446824B2 (ja) * | 2004-07-21 | 2010-04-07 | 株式会社ニフコ | スライド補助装置 |
JP2006063767A (ja) * | 2004-08-30 | 2006-03-09 | Shimodaira:Kk | 引戸の戸閉装置。 |
JP4751607B2 (ja) * | 2004-12-20 | 2011-08-17 | 株式会社ニフコ |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
JP4313763B2 (ja) * | 2005-01-24 | 2009-08-12 | トステム株式会社 | 引戸の引き込み装置 |
JP4726203B2 (ja) * | 2005-05-31 | 2011-07-20 |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 開閉部材閉止装置 |
DE102006011903A1 (de) | 2006-03-09 | 2007-09-13 | Aesculap Ag & Co. Kg | Flächiges Implantat, insbesondere Herniennetz |
US8272166B2 (en) * | 2006-04-20 | 2012-09-25 | Nifco Inc. | Self-propelled forward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and sliding door |
JP4482544B2 (ja) | 2006-07-18 | 2010-06-16 | コニカミノルタプラネタリウム株式会社 | プラネタリウム装置,プラネタリウム,および星野投映原板 |
-
2007
- 2007-04-09 JP JP2007101630A patent/JP4970117B2/ja active Active
- 2007-11-14 TW TW096142979A patent/TWI40827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11-22 KR KR1020097012414A patent/KR1014154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11-22 CN CN200780044032XA patent/CN10154206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11-22 EP EP07832406.8A patent/EP210102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7-11-22 WO PCT/JP2007/072678 patent/WO200806597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11-22 US US12/312,854 patent/US78864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3664A (ko) * | 2003-03-24 | 2004-10-06 | 최윤묵 | 무전원 자동 미닫이 |
KR20060008011A (ko) * | 2004-07-23 | 2006-01-26 | 차행돈 |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
JP2007077580A (ja) * | 2005-09-12 | 2007-03-29 | Nobuyuki Tsuboi | 自閉式引き戸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4280A (ko) | 2009-09-04 |
CN101542066B (zh) | 2012-07-18 |
CN101542066A (zh) | 2009-09-23 |
JP4970117B2 (ja) | 2012-07-04 |
EP2101022A1 (en) | 2009-09-16 |
JP2008157010A (ja) | 2008-07-10 |
US7886403B2 (en) | 2011-02-15 |
WO2008065971A1 (en) | 2008-06-05 |
TW200900572A (en) | 2009-01-01 |
TWI408276B (zh) | 2013-09-11 |
EP2101022A4 (en) | 2013-09-04 |
US20100043172A1 (en) | 2010-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5494B1 (ko) |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 |
JP4394327B2 (ja) | 自動閉止スライド及び自動閉止スライド用機構 | |
US8496306B2 (en) | Opening mechanism of slide assembly | |
WO2007122831A1 (ja) |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引き戸、およびスペーサ具 | |
JP2020041298A (ja) | 引戸装置 | |
EP2532272A1 (en) | Opening mechanism of slide assembly | |
TWM474400U (zh) | 滑軌復歸結構 | |
JP2004236973A (ja) | 引き込み機能付スライドレール | |
JP4690846B2 (ja) |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 | |
JP3925887B2 (ja) | 抽斗の閉止装置 | |
JP5074214B2 (ja) | 引込機構 | |
JP2007023554A (ja) |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 |
JP2018127776A (ja) | 引き戸用クローザ | |
TWI417068B (zh) | 用於滑軌總成之開啟裝置 | |
CN111839042A (zh) | 反弹滑轨解锁结构 | |
JP3598160B2 (ja) |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のオートロック装置 | |
JP3693773B2 (ja) | スライド扉用ロック装置 | |
JP3041307B2 (ja) |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これに用いるオ―トロック装置及びデッドボルト | |
JP2541824Y2 (ja) | 引き出し装置 | |
JP3062931U (ja) | 開閉用のハンドル装置 | |
KR101028272B1 (ko) | 래치장치 | |
KR101028283B1 (ko) | 래치장치 | |
JP2024055746A (ja) |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 |
JPH11229693A (ja) | 地震時ロック機能を有する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に用いる地震時ロック装置 | |
JP4756713B2 (ja) | 携帯灰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