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011A -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011A
KR20060008011A KR1020040057650A KR20040057650A KR20060008011A KR 20060008011 A KR20060008011 A KR 20060008011A KR 1020040057650 A KR1020040057650 A KR 1020040057650A KR 20040057650 A KR20040057650 A KR 20040057650A KR 20060008011 A KR20060008011 A KR 20060008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tage cylinder
closing devi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행돈
Original Assignee
차행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행돈 filed Critical 차행돈
Priority to KR102004005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011A/ko
Publication of KR2006000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의 수동개방과 자동폐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식의 3단 실린더를 설치하고, 와인더 바디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수단과 그 배출수단을 형성시키며, 1단 및 2단 실린더를 스프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2단 실린더의 후단부에 와인더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와이어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매우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개폐장치의 설치부피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도어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의 손상과 파손 및 이로 인한 개폐장치의 고장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며, 도어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어의 폐쇄시에는 3단 실린더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수축되도록 하여 도어의 용이한 개방과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 스파이럴 스프링, 텔레스코픽 실린더

Description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f slide type door}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장치 11 : 와인더 바디 12 : 케이싱
13 : 보빈 14 : 지지축 15 : 스파이럴 스프링
16 : 와이어 17 : 공기흡입부 17a : 흡입공
18 : 반구형마개 19 : 배기밸브 20 : 3단 실린더
21 : 1단 실린더 22 : 커버 22a : 도어연결구
23 : 스프링 24,27 : 플랜저 25 : 부시
26 : 2단 실린더 26',28' : 스토퍼 27a : 유동구멍
28 : 커버실린더 29 : 쿠션링 30 : 고정핀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도어의 수동개방과 자동폐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식의 3단 실린더를 설치하고, 와인더 바디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수단과 그 배출수단을 형성시키며, 1단 및 2단 실린더를 스프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2단 실린더의 후단부에 와인더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와이어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매우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개폐장치의 설치부피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도어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의 손상과 파손 및 이로 인한 개폐장치의 고장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며, 도어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어의 폐쇄시에는 3단 실린더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수축되도록 하여 도어의 용이한 개방과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출입문이나 진열장 또는 쇼케이스 등에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도어는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일측 방향으로 도어를 밀게 되면, 출입문이나 진열장 또는 쇼케이스 등의 벽체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을 따라 해당 도어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개방되고,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놓게 됨과 동시에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도어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되어 폐쇄되는 구 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위하여 도어나 도어프레임상에는 롤러와 같은 각종 슬라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식 도어의 수동개방과 자동폐쇄를 위한 개폐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2a)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도어(2)가 도어프레임(미도시)과 함께 벽체(1)상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 벽체(1)에는 도어스토퍼(7)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벽체(1)의 내,외부에는 피스톤로드(6)에 의하여 도어(2)와 연결되고 그 후방측에 공기통로(5a)가 형성된 실린더(5)와, 그 내부에 감겨진 와이어(4)에 의하여 도어(2)와 연결되며 도어(2)의 폐쇄방향으로 와이어(4)를 자동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도록 한 오토-와인더(3)(Auto-winder)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슬라이드 도어(2)의 손잡이(2a)를 잡고 도어(2)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오토-와인더(3)로부터는 그 내부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4)가 일정한 복원력을 가지면서 풀려나오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5)로부터는 공기통로(5a)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해당 피스톤로드(6)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도어(2)를 인력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2)를 개방시킨 후에 사용자가 손잡이(2a)를 놓게 되면, 오토-와인더(3)로부터 풀려나온 와이어(4)가 오토-와인더(3)로부터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그 내부로 다시 감겨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4)와 연결된 상태로 개방되어 있던 도어(2)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데, 이 과정에서 실린더(5)의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좁은 공기통로(5a)측으로 빠져나감에 따라 피스톤로드(6)의 복귀속도가 공기저항에 의하여 지연되고, 이로 인하여 오토-와인더(3)에 의한 도어(2)의 폐쇄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조절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문틈에 끼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어(2)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오토-와인더(3)와 도어(2)의 폐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5)가 분할되어 설치됨으로서 그 전체적인 설치부피가 다소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소형 진열장이나 쇼케이스 등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도어에는 종래의 개폐장치를 적용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설치작업시에도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오토-와인더(3)와 실린더(5)를 벽체(1)의 다른 위치에 각각 고정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오토-와인더(3)의 와이어(4) 및 실린더(5)의 피스톤로드(6)를 도어(2)와 개별적으로 연결하여야 함으로서 개폐장치의 설치작업 또한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2)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오토-와인더(3)의 와이어(4)가 도어(2)의 개방작동시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도어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이나 그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외부 이물질이 와이어(4)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우려가 높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마찰이나 부식 등에 의한 와이어(4) 자체의 손상 및 파손이 쉽게 발생하게 됨으로서 오토-와인더(3)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개폐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단축되 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토-와인더(3)에 의한 도어(2)의 복원력, 다시 말해서 도어(2)의 개방시 와이어(4)를 통하여 도어(2)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도어(2)를 용이하게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피스톤로드(6)가 실린더(5)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린더(5)의 공기통로(5a)를 비교적 크게 형성시켜야 하는 데, 실린더(5)의 공기통로(5a)를 크게 형성시키게 되면 도어(2)의 폐쇄속도를 실린더(5)가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문틈에 끼어 상해를 당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고, 실린더(5)의 공기통로(5a)를 단순히 작게 형성시키는 것은 도어(2)의 개방시 많은 힘이 소요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서, 종래의 개폐장치로는 도어(2)의 용이한 개방과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와이어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식의 3단 실린더를 설치하고, 와인더 바디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수단과 그 배출수단을 형성시키며, 1단 및 2단 실린더를 스프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2단 실린더의 후단부에 와인더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와이어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매우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개폐장치의 설치부피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도어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의 손상과 파손 및 이로 인한 개폐장치의 고장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며, 도어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어의 폐쇄시에는 3단 실린더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수축되도록 하여 도어의 용이한 개방과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벽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의 수동식 개방과 자동식 폐쇄기능을 구비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축과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의 보빈이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인더 바디와, 상기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서 와인더 바디와 일체로 연결되는 텔레스코프식 3단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는 케이싱을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공이 반구형 마개가 삽입되는 공기흡입부를 거쳐 3단 실린더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와인더 바디의 하측에는 내부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3단 실린더는 와인더 바디와 일체로 연결되는 커버실린더의 내부에 2단 실린더와 1단 실린더가 그 후단 플랜저의 외주면상에 부시를 개재시킨 상태로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2단 실린더의 플랜저는 공기의 유동구멍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태에서, 그 몸체의 후방측에는 보빈에 감겨진 와이어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그 몸체의 전방측은 1단 실린더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도어연결구를 구비하는 1단 실린더의 선단 커버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중 미설명된 부호 13a는 고정핀, 16a는 와이어공, 22b 및 27b는 스프링 고정나사, 25a는 부시고정링, 27c는 오일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종 건물의 출입문이나 진열장 또는 쇼케이스 등의 벽체(1)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2)의 수동개방과 자동폐쇄 기능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도어스토퍼(7)가 설치되는 일측 벽체(1)상에 브라켓(8)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 밴드 형상의 고정수단(9)이나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0)를 벽체(1) 및 브라켓(8)과 일체로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장치(10)의 선단부를 도어(2)와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도 2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0)를 벽체(1)의 전방측, 다시 말해서 실외측에 설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개폐장치(10)의 설치위치는 슬라이드 도어(2)의 위치에 따라 실내측 벽체(1)가 될 수도 있고, 개폐장치(10) 자체가 벽체(1)의 내부로 삽입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프레임상에 개폐장치(10)가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0)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와이어(16)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11)와, 상기 와인더 바디(11)의 전방측에서 와인더 바디(11)와 일체로 연결되고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식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3단 실린더(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와인더 바디(11)는 그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2)의 내부 중앙에 지지축(14)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4)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16)가 감겨지는 보빈(13)(Bobbin)이 삽입 설치됨으로서, 상기 보빈(13)이 케이싱(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14)과 보빈(13)의 사이에는 그 일단이 지지축(14)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고정핀(13a)에 의하여 보빈(13)상에 고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15)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5)은 보빈(13)에 감겨진 와이어(16)가 풀려 나감에 따라 보빈(13)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보빈(13)의 지지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스파이럴 스프링(15)이 나선형으로 압축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2)의 자동폐쇄를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5)이 지지축(14)을 선회하여 보빈(13)측으로 감겨지는 방향 및 와이어(16)가 풀려나감에 따라 보빈(13)이 회전하는 방향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3단 실린더(20)가 일체로 연결되는 와인더 바디(11)의 전방측에는 케이싱(12)을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공(17a)이 반구형 마개(18)가 삽입되는 공기흡입부(17)를 거쳐 3단 실린더(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데, 상기 공기흡입부(17)는 반구형의 마개(18)보다 다소 크게 되는 구형의 홈으로 형성됨으로서 반구형 마개(18)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흡입공(17a)이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반구형 마개(18)의 경우는 공기흡입부(17)를 통한 마개(18)의 삽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인더 바디(11)의 하부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2)에는 3단 실린더(20) 및 케이싱(12)의 내부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밸브(19)가 설치되는 데, 상기 배기밸브(19)는 케이싱(12)의 내부공간을 외부공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공기통로상에 스프링이 개재된 밸브수단을 삽입시킴으로서, 케이싱(12)의 내부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밸브수단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밀려나게 됨과 동시에 케이싱(12)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외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배기밸브를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단 실린더(20)는 와인더 바디(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커버실린더(28)의 내부에 2단 실린더(26)와 1단 실린더(21)가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단 실린더(21)와 2단 실린더(26)는 그 몸체의 후단부에 플랜저(24)(27)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 플랜저(24)(27)의 외주면상에는 실린더(21)(26)의 가이드기능 및 실린더(21)(26)(28) 사이의 밀봉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부시(25), 바람직하게는 카본합금부시(25)가 부시고정링(25a)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1단 실린더(21)의 선단부에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10)를 슬라이드 도어(2)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도어연결구(22a)를 구비하는 커버(22)가 일체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2단 실린더(26) 및 커버실린더(28)의 선단부에는 제 1, 제 2실린더(21)(26)의 텔레스코픽 작동 즉, 신축작동시 실린더(21)(26)의 이탈을 방지하고 각각의 실린더(21)(26)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26')(28')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토퍼(26')(28')와 상기 커버(22)의 사이에는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링(29)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에는 공기흡입부(17)를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가 3단 실린더(20)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구멍(27a)이 그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저(27)의 몸체 후방측에는 고정핀(30)이 설치되어 보빈(13)에 감겨진 와이어(16)가 케이싱(12)에 형성된 와이어공(16a)을 통하여 상기 고정핀(30)과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 전방측과 상기 1단 실린더(21)의 커버(22) 후방측에는 스프링 고정나사(22b)(27b)가 일체로 체결 설치된 상태에서, 1단 실린더(21)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23)의 양단부가 해당 스프링 고정나사(22b)(27b)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와 해당 부시(25)의 사이에는 오일링(27c)이 개재되어 실린더(21)(26)의 원활한 신축작동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10)에 대한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2)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11)와 도어(2)의 개폐작동시 텔레스코프 형태로 신축되는 3단 실린더(20)가 하나의 일체화 된 제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설치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2)가 설치되는 벽체(1)의 해당 위치에 하나의 브라켓(8)만을 사용하여 개폐장치(10)를 고정시킨 다음, 개폐장치(10)의 선단 도어연결구(22a)를 도어(2)와 연결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개폐장치(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10)를 벽체(1)에 설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2)의 손잡이(2a)를 잡고 도어(2)를 개방시키게 되면, 개폐장치(10)의 선단 커버(22)가 도어연결구(22a)에 의하여 도어(2)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버(22)는 3단 실린더(20)를 이루는 1단 실린더(2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어(2)의 개방과 동시에 1단 및 2단 실린더(21)(26)가 커버실린더(28)로부터 텔레스코프식으로 순차적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15)에 의하여 와이어(16)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2단 실린더(26)와 1단 실린더(21)를 연결하는 스프링(23)의 인장력보다 크게 되면, 1단 실린더(21)의 일부가 먼저 빠져 나온 후 2단 실린더(26)가 빠져 나오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2단 실린더(26)의 일부가 먼저 빠져 나온 후 1단 실린더(21)가 빠져 나오게 되며, 각각의 인장력이 서로 유사할 경우에는 1단 실린더(21)와 2단 실린더(26)가 동시에 조금씩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1단 및 2단 실린더(21)(26)가 텔레스코프식으로 빠져 나옴으로서 3단 실린더(20)가 신장되면, 3단 실린더(20)의 내부 전체공간이 일시적으로 저압상태가 되는 데, 이 경우 와인더 바디(11)의 공기흡입부(17)에 삽입된 반구형 마개(18)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흡입공(17a)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흡입공(17a)과 공기흡입부(17) 및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에 형성된 유동구멍(27a)을 거쳐 3단 실린더(2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서, 3단 실린더(20)의 텔레스코픽 신장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2)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2)의 개방작동 과정에서 1단 실린더(21)가 2단 실린더(26)를 따라 전방으로 빠져 나가게 됨과 동시에 각각의 실린더(21)(26)를 연결하는 스프링(23)이 인장되어 도어(2)의 자동폐쇄를 위한 1차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2단 실린더(26)가 커버실린더(28)를 따라 전방으로 빠져나가게 됨과 동시에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와 연결된 와이어(16)가 보빈(13)으로부터 풀려나감으로서 보빈(13)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빈(13)과 지지축(14) 사이에 개재된 스파이럴 스프링(15)이 나선형으로 압축됨으로서 도어(2)의 자동폐쇄를 위한 2차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2)의 개방작동이 완료되어 도어(2)의 손잡이(2a)를 놓게 되면, 1단 실린더(21)와 2단 실린더(26)를 연결하는 스프링(23)이 최초의 길이대로 다시 수축됨과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보빈(13)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됨으로서 풀려나온 와이어(16)가 보빈(13)을 통하여 다시 감겨져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1단 및 2단 실린더 (21)(26)가 커버실린더(28)의 내부를 따라 수축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커버(22)에 의하여 1단 실린더(21)와 연결된 도어(2) 또한 최초의 위치로 슬라이딩 복원됨으로서 도어(2)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2)의 폐쇄작동시 1단 실린더(21)와 2단 실린더(26)의 수축작용에 따라 각 실린더(21)(26)(28) 내부공간의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공기압에 의하여 공기흡입부(17)의 반구형 마개(18)가 흡입공(17a)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와인더 바디(11)의 전방측에 형성된 좁은 와이어공(16a)을 통하여 상승된 공기압이 매우 느린 속도로 케이싱(12)의 내부공간으로 1차 배출되고, 이와 같이 케이싱(12)의 내부로 1차 배출된 공기압이 배기밸브(19)를 통하여 외부공간으로 최종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2)의 폐쇄작동 과정에서 3단 실린더(20)의 수축에 따라 상승된 공기압이 2번의 저항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3단 실린더(20)의 수축속도 즉, 도어(2)의 폐쇄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2)가 갑작스럽게 닫힘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문틈에 끼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도어(2)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와이어(16)가 3단 실린더(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마찰이나 부식 등에 의한 와이어(16)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개폐장치(10)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외부공기의 유입수단과 그 배출수단이 와인더 바디(11) 상에 별도로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도어(2)의 개방시에는 많은 량의 공기가 빠 른 속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공(17a)과 공기흡입부(17)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서 도어(2)의 용이한 개방작동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고, 도어(2)의 폐쇄시에는 3단 실린더(20)의 내부에서 상승된 공기압이 와이어공(16a)과 배기밸브(19)를 통하여 최대한 느린 속도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도어(2)의 용이한 개방 뿐만 아니라 도어(2)의 폐쇄속도 조절을 통한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는 와이어의 자동감김(Auto-winding) 수단을 구비하는 와인더 바디의 전방측에 텔레스코프(Telescope) 형식의 3단 실린더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서,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를 매우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개폐장치의 설치부피를 최소화시키고 그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종 출입문 뿐만 아니라 소형 진열장이나 쇼케이스 등에도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를 매우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1단 및 2단 실린더를 스프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2단 실린더의 후단부에 와인더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와이어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자동폐쇄 기능을 담당하는 와이어 및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와 스프링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개폐장치의 고장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킴과 동시에 그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어의 폐쇄작동 과정에서 상승된 공기압이 2번의 저항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3단 실린더의 수축속도 즉, 도어의 폐쇄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문틈에 끼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의 유입수단과 배출수단이 와인더 바디상에 별도로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에는 많은 량의 공기가 빠른 속도로 유입되도록 하고, 도어의 폐쇄시에는 상승된 공기압이 최대한 느린 속도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용이한 개방과 사용자의 상해 예방을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 벽체(1)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2)의 수동식 개방과 자동식 폐쇄기능을 구비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0)는 케이싱(12)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축(14)과 스파이럴 스프링(15)으로 연결되는 와이어(16)의 보빈(13)이 케이싱(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인더 바디(11)와, 상기 와인더 바디(11)의 전방측에서 와인더 바디(11)와 일체로 연결되는 텔레스코프식 3단 실린더(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인더 바디(11)의 전방측에는 케이싱(12)을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공(17a)이 반구형 마개(18)가 삽입되는 공기흡입부(17)를 거쳐 3단 실린더(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와인더 바디(11)의 하측에는 내부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19)가 설치되며,
    상기 3단 실린더(20)는 와인더 바디(11)와 일체로 연결되는 커버실린더(28)의 내부에 2단 실린더(26)와 1단 실린더(21)가 그 후단 플랜저(24)(27)의 외주면상에 부시(25)를 개재시킨 상태로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2단 실린더(26)의 플랜저(27)는 공기의 유동구멍(27a)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태에서, 그 몸체의 후방측에는 보빈(13)에 감겨진 와이어(16)가 케이싱(12)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그 몸체의 전방측은 1단 실린더(21)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23)에 의하여 도어연결구(22a)를 구비하는 1단 실린더(21)의 선단 커버(22)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KR1020040057650A 2004-07-23 2004-07-23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KR20060008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50A KR20060008011A (ko) 2004-07-23 2004-07-23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650A KR20060008011A (ko) 2004-07-23 2004-07-23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307U Division KR200368517Y1 (ko) 2004-07-26 2004-07-26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011A true KR20060008011A (ko) 2006-01-26

Family

ID=3711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650A KR20060008011A (ko) 2004-07-23 2004-07-23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0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19B1 (ko) * 2002-10-16 2005-02-07 화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신주 까치집축조 방지장치에 있어서 축조방지바의 구조
KR101415494B1 (ko) * 2006-11-30 2014-07-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19B1 (ko) * 2002-10-16 2005-02-07 화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신주 까치집축조 방지장치에 있어서 축조방지바의 구조
KR101415494B1 (ko) * 2006-11-30 2014-07-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동체의 자주왕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42B1 (ko) 실린더 장치
CA2422996A1 (en) Valve closing device
EP0953097A1 (en) Pressure equalizing safety valve for subterranean wells
JP2020510765A (ja) スライドドアまたはシャッターの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368517Y1 (ko)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KR20060008011A (ko)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장치
EP1134450B1 (en) Air damper used in glove box of automobile
US8393056B2 (en) Control motion hinge
KR101137414B1 (ko) 도어자동닫힘장치
JP3184087B2 (ja) 空圧式回動制御装置
US20210381294A1 (en) Device for a system for opening / closing a door or sliding shutter
US11097803B2 (en) Shock absorbing and height adjusting structure
KR200246965Y1 (ko) 유압 도어 클로저
CA2299929A1 (en) Engine shutdown valves
CA317145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flapper check valve
KR101281816B1 (ko)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줄이는 피스톤 체크 밸브
KR200395009Y1 (ko) 가스스프링의 작동장치
KR920003622Y1 (ko) 경첩
IT201800002339A1 (it) Attuatore lineare smorzato pneumaticamente per un sistema di apertura / chiusura di una porta o anta scorrevole
KR970070402A (ko) 여닫이문용 힌지장치
US3416182A (en) Door check
KR970015065A (ko)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960704197A (ko) 감압하에서 방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장치(automatic device for supplying air to a room under reduced pressure)
KR20070113829A (ko) 차량용 가스 리프터
IT201900011661A1 (it) Cerniera durevole di accoppiamento ammortizzato per vaso sanita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