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31B1 -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 Google Patents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31B1
KR101405431B1 KR1020130152162A KR20130152162A KR101405431B1 KR 101405431 B1 KR101405431 B1 KR 101405431B1 KR 1020130152162 A KR1020130152162 A KR 1020130152162A KR 20130152162 A KR20130152162 A KR 20130152162A KR 101405431 B1 KR101405431 B1 KR 10140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anion
oxide
calcium
alkaline earth
eart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Original Assignee
최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호 filed Critical 최태호
Priority to KR102013015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431B1/ko
Priority to CN201480047256.6A priority patent/CN105472996A/zh
Priority to PCT/KR2014/005067 priority patent/WO2015088114A1/ko
Priority to JP2016535013A priority patent/JP643999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변성되지 않아 보존이 용이하므로, 각종 음료 또는 각종 식자재에 첨가되어 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과일, 채소, 어류 및 육류와 같은 식자재에 첨가되어 이들의 산화를 방지하여 높은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산화된 피부와 외상을 입은 피부를 환원 작용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METHOD OF PREPARING HYDRIDE INCLUSIONS AND HYDRIDE INCLUSIONS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이온의 항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온 발생기, 수돗물의 석회 냄새를 제거하고, 미네랄화 할 수 있는 음이온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순히 생활 환경의 개선 수준에 머물러 있던 음이온은 이제 식용 제품으로도 개발되고 있고, 시중에 먹는 음이온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음이온 제품들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열악하여 체내에서 원활한 항산화 작용을 도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판되는 음이온 제품들은 장시간 보존이 용이하지 못하고, 음이온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밀가루 등으로 인하여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섭취 가능한 음이온 제품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유기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소성하여 제 1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1 소성단계; 상기 제 1 소성체를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소성하여 제 2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2 소성단계; 및 상기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300 내지 1000℃에서 2 시간 이상 소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은 베릴륨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바륨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단계에서 베릴륨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바륨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칼슘 산화물 100 몰에 대하여 1 내지 60몰의 베릴륨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바륨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300 내지 1000℃에서 2 시간 이상 소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체는 제 2 소성체에 포함된 칼슘이온 100몰에 대하여 0.5 내지 10몰의 유기산과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물에 용해 직후 pH가 6 내지 12이거나; 물에 용해 직후 -0.1mV 내지 -900mV의 산화환원전위를 가지거나; 또는 1 내지 150 시간의 환원력 지속시간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유기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소성하여 제 1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1 소성단계; 상기 제 1 소성체를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소성하여 제 2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2 소성단계; 및 상기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탄산칼슘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유기물로, 광물과 같은 무기물에서 채취하는 탄산칼슘과는 구별된다. 유기탄산칼슘은 광물과 같은 무기물에서 채취하는 탄산칼슘 대비 매우 미량의 중금속을 포함하거나 또는 중금속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유기탄산칼슘은 광물과 같은 무기물에서 채취하는 탄산칼슘에 비하여 풍부한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탄산칼슘은 식용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상기 유기탄산칼슘으로는, 예를 들면, 난각칼슘, 진주칼슘, 패각칼슘 및 해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각칼슘은 계란 껍질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패각칼슘은 굴, 조개, 전복 또는 어류의 뼈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해조칼슘은 불가사리 또는 산호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들 중 입수 용이성 면에서 난각칼슘, 패각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유기탄산칼슘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로 유기탄산칼슘과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물리적으로 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제 2 실시 형태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로 유기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은 유기탄산칼슘 외에 베릴륨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바륨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슘 외의 다른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들은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환원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화합물을 채용하여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환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은 유기탄산칼슘 외에 마그네슘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은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환원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칼슘과 상호작용을 통해 나트륨의 체외 배출을 돕고, 산화질소 생성을 촉진하여 혈류의 증가를 도울 수 있으며,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감소시켜 숙취 및 피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의 종류는 제 1 소성단계를 거쳐 마그네슘 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마그네슘 화합물로는 마그네슘(Mg), 염화마그네슘(MgCl2), 스테아린산마그네슘(Mg(C18H35O2)2), 탄산마그네슘(MgCO3), 황산마그네슘(MgSO4), 수산화마그네슘(Mg(OH)2), 제3인산마그네슘(Mg3(PO4)2), 제2인산마그네슘(MgHPO4), 규산마그네슘(MgSiO3), 글루콘산마그네슘(C12H22MgO14), L-젖산 마그네슘(Mg(C3H5O3)2·2H2O), 산화마그네슘(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목적하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환원력, 환원력의 지속시간 및/또는 수소 음이온의 농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합물은 유기탄산칼슘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칼슘 100 몰에 대하여 1 내지 60 몰, 1.6 내지 57몰, 1.6 내지 50몰, 1.6 내지 40몰, 1.6 내지 30몰, 5 내지 20몰 또는 5 내지 15몰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환원력이 너무 약하거나 또는 환원력 지속시간이 너무 짧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복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너무 큰 환원력을 가지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이 얻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체내의 대사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마그네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탄산칼슘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칼슘 80 내지 99.5 중량부에 대하여 마그네슘 화합물을 0.5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효과를 나타내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약 300 내지 1000℃, 약 400 내지 900℃, 약 500 내지 800℃, 약 600 내지 800℃, 약 650 내지 800℃, 약 600 내지 750℃ 또는 약 650 내지 750℃에서 소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의 소성은 약 2 시간 이상, 약 3 시간 이상 또는 약 4 시간 이상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소성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시간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소성이 상기 범위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범위 미만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산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소성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상기 범위 이상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막대한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성단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대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제 1 소성단계 이후에 제 1 소성체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소성체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자연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자연 냉각은 가열된 용기에 담긴 제 1 소성체의 온도가 상온 또는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방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온은 가온 또는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를 의미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제 1 소성단계를 거치면 제 1 소성체는 유기탄산칼슘으로부터 얻어진 칼슘 산화물(CaO)과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얻어진 베릴륨 산화물(BeO), 마그네슘 산화물(MgO), 바륨 산화물(Ba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마그네슘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 제 1 소성체는 칼슘 산화물과 마그네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 2 실시 형태에 따라 제 1 소성단계를 거치면 제 1 소성체는 유기탄산칼슘으로부터 얻어진 칼슘 산화물(CaO)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 제조된 제 1 소성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 2 소성단계에서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은 베릴륨 산화물(BeO), 마그네슘 산화물(MgO), 바륨 산화물(Ba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은 마그네슘 산화물일 수 있다. 즉,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소성체와 마그네슘 산화물을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든 제 2 실시형태이든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칼슘 산화물 100 몰에 대하여 1 내지 60 몰, 1.6 내지 57몰, 1.6 내지 50몰, 1.6 내지 40몰, 1.6 내지 30몰, 5 내지 20몰 또는 5 내지 15몰의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절한 환원력을 가지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의 제 1 소성체는 상술한 성분들 외에 유기탄산칼슘으로부터 유래하는 각종 미네랄을 포함한다. 그 결과, 최종 생성물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도 유기탄산칼슘으로부터 유래하는 각종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약 300 내지 1000℃, 약 300 내지 900℃, 약 400 내지 900℃, 약 400 내지 800℃, 약 500 내지 800℃, 약 500 내지 700℃ 또는 약 600 내지 700℃에서 소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소성은 약 2 시간 이상, 약 3 시간 이상 또는 약 4 시간 이상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소성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시간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소성이 상기 범위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범위 미만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이 목적하는 만큼 환원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소성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상기 범위 이상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막대한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단계는 수소 분위기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소성이 진행되는 동안 수소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소 가스는 단독으로 주입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운반 가스와 함께 주입될 수도 있다. 상기 운반 가스로는 상기 소성온도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스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운반 가스로는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제 2 소성단계 이후에도 제 2 소성체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소성체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소성체를 냉각시킨 방법과 같이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은 제 2 소성단계 이후에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소성체는 칼슘 수소화물(CaH2) 및 칼슘을 제외한 알칼리 토금속의 수소화물(MH2, M은 Be, Mg 또는 Ba이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2 소성체」와 그리고 「유기산과 배합된 제 2 소성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는 제 2 소성체로 호칭하고, 후자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이라고 호칭한다.
이러한 제 2 소성체에 유기산을 배합하는 것은 제 2 소성체를 담은 용기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면, 개미산(formic acid), 초산(ace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유기산으로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사용되어 분말 형태의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젖산, 주석산, 호박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을 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2 소성체는 제 2 소성체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이온 100 몰에 대하여 0.5 내지 10몰, 0.88 내지 10몰, 1 내지 9몰, 2 내지 8몰, 3 내지 8몰, 3 내지 7몰 또는 3 내지 6몰의 유기산과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체내에서 적절한 항산화 작용을 일으키는 적절한 환원력 및 적절한 환원력 지속시간을 가진다. 상기에서 환원력의 지속시간은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용해시킨 수용액이 음의 값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를 나타내는 동안의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유기산을 포함하여 체내에 적합한 pH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소성체 400 mg을 물 300 mL에 넣어 측정된 pH가 대략 10 내지 12 정도일 경우라면, 이러한 제 2 소성체에 유기산을 상기 범위로 배합하여 pH를 대략 6 내지 11 정도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체내에 무리를 주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물에 용해 직후 pH가 6 내지 12, 7 내지 12, 8 내지 12, 8 내지 11 또는 9 내지 1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물에 용해 직후-0.1mV 내지 -900mV, -0.1mV 내지 -800mV, -0.1mV 내지 -700mV, -0.1mV 내지 -600mV -0.1mV 내지 -500mV, -10mV 내지 -450mV, -100mV 내지 -400mV, -150mV 내지 -300mV, -180mV 내지 -250mV, -190mV 내지 -230mV 의 산화환원전위를 나타내 적절한 환원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원력의 지속 시간은 1 내지 150시간, 5 내지 120시간, 10 내지 100시간, 30 내지 100시간, 50 내지 100시간 또는 70 내지 100시간일 수 있다. 상기 물성들은 물 300 mL에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400 mg 첨가하여 측정한 것들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물에 용해 직후 pH가 9 내지 1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물에 용해 직후 산화환원전위가 -190mV 내지 -230mV일 수 있다. 그리고 환원력의 지속 시간은 50 내지 100 시간 정도 일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을 가지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체내에 무리가 없이 섭취가 가능하며,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에서 원활하게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물성을 가지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적절한 함량의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또는 산화물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주위 환경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항산화 작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예를 들면, 과일, 채소, 어류 및 육류의 산화 작용을 방지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산화된 피부와 외상을 입은 피부를 환원 작용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그 외에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미용재료, 건강식품 및 숙취해소음료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주변 환경, 예를 들면,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변성되지 않아 보존이 용이하므로, 각종 음료 또는 각종 식자재에 첨가되어 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과일, 채소, 어류 및 육류와 같은 식자재에 첨가되어 이들의 산화를 방지하여 높은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은 산화된 피부와 외상을 입은 피부를 환원 작용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용해시킨 수용액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실시예 1
세척한 굴 껍질 100g을 대기 분위기 하에서 700℃의 온도로 4 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 1 소성체를 얻었다. 상기 제 1 소성체에는 칼슘 산화물이 56.08g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어서, 상기 제 1 소성체가 담긴 반응용기에 4.45g의 마그네슘 산화물(CaO : MgO = 92.6 중량% : 7.4 중량% = 100 mol : 11 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제 1 소성체와 마그네슘 산화물을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650℃의 온도로 4 시간 이상 소성하여 제 2 소성체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제 2 소성체에 전체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대하여 17.5 중량%의 비율로 구연산을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마그네슘 산화물의 함량을 0.66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마그네슘 산화물의 함량을 9.53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마그네슘 산화물의 함량을 22.95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소성체에 배합되는 구연산의 함량을 전체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대하여 12.5 중량%의 비율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하기 표 1과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소성체에 배합되는 구연산의 함량을 전체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 대하여 25.0 중량%의 비율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제조하였다.
CaO:MgO(1) CaH2:MgH2 (2) 제2소성체:유기산(3) 칼슘이온:유기산(4)
실시예 1 92.6wt% : 7.4wt%
100 mol : 11 mol
93.54wt% : 6.46wt% 82.5wt% : 17.5wt% 100 mol:5 mol
실시예 2 98.84wt% : 1.16wt%
100 mol : 1.64 mol
98.99wt% : 1.01wt% 82.5wt% : 17.5wt% 100 mol:4.7 mol
실시예 3 85.48wt% : 14.52wt%
100 mol : 23.64 mol
87.12wt% : 12.88wt% 82.5wt% : 17.5wt% 100 mol:5.3 mol
실시예 4 70.96wt% : 29.04wt%
100 mol : 59.94 mol
73.74wt% : 26.26wt% 82.5wt% : 17.5wt% 100 mol:6.3 mol
실시예 5 92.6wt% : 7.4wt%
100 mol : 11 mol
93.54wt% : 6.46wt% 87.5wt% : 12.5wt% 100 mol:3.35 mol
실시예 6 92.6wt% : 7.4wt%
100 mol : 11 mol
93.54wt% : 6.46wt% 75.0wt% : 25.0wt% 100 mol:7.8 mol
(1)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에서 칼슘 산화물과 마그네슘 산화물의 비율
(2) 제 2 소성체에서 칼슘 수소화물과 마그네슘 수소화물의 비율
(3) 수소 음이온 함유물에서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의 비율
(4) 제 2 소성체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이온에 대한 유기산의 비율
[ 실험예 :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산화환원전위(ORP) 변화, pH 변화 및 환원력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수소 음이온 함유물이 용해된 수용액의 탁도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의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물성을 수돗물(비교예 1) 및 제 1 소성체(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 1 소성체 사용)의 물성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ORP(단위: mV) 및 pH의 변화(1) 환원력
지속시간(2)
수용액의
탁도(3)
경과(시간) 초기값 4 20 40 60 80 100
비교예 1 ORP 523 187 161 150 147 184 194 - -
pH 8.1 8.2 8.4 8.5 8.4 8.5 8.6
비교예 2 ORP 267 66 48 80 98 107 120 - 혼탁
pH 9.5 9.5 9.4 9.2 9.0 8.8 8.6
실시예 1 ORP -219 -197 -149 -86 -34 12 59 74 시간 맑음
pH 8.1 9.9 10.0 10.1 10.0 10.1 9.8
실시예 2 ORP -16 -1 54 101 157 165 179 4시간 맑음
pH 8.9 10.7 11.0 11.3 11.2 11.3 11.0
실시예 3 ORP -403 -427 -364 -270 -202 -142 -60 110 시간 맑음
pH 8.3 10.1 10.3 10.3 10.1 10.2 9.9
실시예 4 ORP -737 -823 -663 -423 -222 -10 239 82 시간 맑음
pH 7.8 9.6 10.1 10.6 10.5 10.5 10.2
실시예 5 ORP -216 -186 -162 -120 -64 19 85 75 시간 맑음
pH 8.8 9.4 10.3 10.4 10.2 10.1 10.0
실시예 6 ORP -204 -154 -154 -139 -80 50 139 71 시간 맑음
pH 6.3 7.1 8.6 9.6 9.7 9.5 9.5
(1) ORP(단위: mV) 및 pH의 변화: 8개의 비이커에 수돗물 300mL 각각 투입하고, 하나의 비이커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비교예 1), 다른 하나의 비이커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 1 소성체 400mg을 용해시키고(비교예 2), 나머지 6개의 비이커에 각각 실시예 1 내지 6의 수소 음이온 함유물 400mg을 용해시켰다(실시예 1 내지 6).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수돗물과 상기에서 제조한 각 수용액에 대하여, 제 1 소성체 또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용해한 시각(초기값), 이 시각으로부터 4시간, 20시간, 40시간, 60시간, 80시간, 100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ORP 및 pH를 측정하였다.
(2) 환원력의 지속시간: 상기에서 제조한 수용액들이 음의 값의 산화환원전위를 유지하는 동안의 시간을 환원력의 지속시간으로 규정하고, 제 1 소성체 또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용해한 시각으로부터 산화환원전위가 0의 값이 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3) 수용액의 탁도: 제 1 소성체 또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뿌옇게 관찰되면 '혼탁'으로 표기하고, 투명하게 관찰되면 '맑음'으로 표기하였다. 대표적으로, 실시예 1의 수용액 사진은 도 1에 개시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난각칼슘, 진주칼슘, 패각칼슘 및 해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소성하여 제 1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1 소성단계;
    상기 제 1 소성체를 포함하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소성하여 제 2 소성체를 제조하는 제 2 소성단계; 및
    상기 제 2 소성체와 유기산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300 내지 1000℃에서 2 시간 내지 10 시간 소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은 베릴륨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바륨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성단계에서 베릴륨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바륨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칼슘 산화물 100 몰에 대하여 1 내지 60몰의 베릴륨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바륨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성단계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300 내지 1000℃에서 2 시간 내지 10 시간 소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성체는 제 2 소성체에 포함된 칼슘이온 100몰에 대하여 0.5 내지 10몰의 유기산과 배합되는 것인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음이온 함유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물에 용해 직후 pH가 6 내지 12이거나; 물에 용해 직후 -0.1mV 내지 -900mV의 산화환원전위를 가지거나; 또는 1 내지 150 시간의 환원력 지속시간을 가지는 수소 음이온 함유물.
KR1020130152162A 2013-12-09 2013-12-09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KR10140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2A KR101405431B1 (ko) 2013-12-09 2013-12-09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CN201480047256.6A CN105472996A (zh) 2013-12-09 2014-06-10 氢负离子内含物的制备方法及利用其来制备的氢负离子内含物
PCT/KR2014/005067 WO2015088114A1 (ko) 2013-12-09 2014-06-10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JP2016535013A JP6439994B2 (ja) 2013-12-09 2014-06-10 水素陰イオン含有物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2A KR101405431B1 (ko) 2013-12-09 2013-12-09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431B1 true KR101405431B1 (ko) 2014-06-11

Family

ID=5113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162A KR101405431B1 (ko) 2013-12-09 2013-12-09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39994B2 (ko)
KR (1) KR101405431B1 (ko)
CN (1) CN105472996A (ko)
WO (1) WO201508811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58A (ko) * 2016-10-07 2018-04-17 보비씨엔이(주) 항균성 및 항산화성을 갖는 조성물
KR101910334B1 (ko) 2016-10-07 2018-12-28 보비씨엔이(주) 항균성 섬유의 제조방법
KR20190017114A (ko) 2017-08-10 2019-02-20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WO2020059940A1 (ko) * 2018-09-18 2020-03-26 보비씨엔이(주)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WO2020080573A1 (ko) * 2018-10-18 2020-04-23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KR20210014978A (ko) * 2019-07-31 2021-02-10 보비씨엔이(주) 골다공증 치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KR20210121388A (ko) * 2020-03-30 2021-10-08 보비씨엔이(주) 수소음이온을 갖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682A1 (ko) * 2017-01-24 2018-08-02 (주)비피텍스 칼슘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원단의 제조방법
JP6244051B1 (ja) * 2017-05-09 2017-12-06 株式会社アッチェ 水素担持粉末の製造方法
JP6337192B1 (ja) * 2017-10-23 2018-06-06 株式会社アッチェ 水素担持粉末、並びに該水素担持粉末を含む食品及び肥料
CN108542794B (zh) * 2018-05-24 2021-02-02 河北云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氢原料及护肤富氢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787B2 (ko) * 1984-12-25 1992-11-19 Shimizu Construction Co Ltd
JPH1143365A (ja) * 1997-07-23 1999-02-16 Tohoku Bankin Toso Kogyo Kk 還元水用粒状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787B2 (ja) * 2003-08-05 2008-04-09 有限会社光ベルコム 酸性還元水生成錠剤
JP4404657B2 (ja) * 2004-03-03 2010-01-27 株式会社創造的生物工学研究所 食べるマイナス水素イオンの製造方法
JP2006246706A (ja) * 2005-03-08 2006-09-21 Masataka Sato 卵殻イオンパウダ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7351A (ja) * 2006-02-17 2007-08-30 Amimoto Giken Kk 抗酸化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医薬品・化粧品
JP2007236851A (ja) * 2006-03-13 2007-09-20 Gotoo Corporation:Kk 還元焼成水素化金属類からなる消臭剤、その製造方法、脱臭・消臭作用を有する装身具類、及びアルカリイオン水の簡易製造方法
JP4472022B1 (ja) * 2009-12-11 2010-06-02 株式会社Enagegate 水素ガス含有炭酸カルシ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787B2 (ko) * 1984-12-25 1992-11-19 Shimizu Construction Co Ltd
JPH1143365A (ja) * 1997-07-23 1999-02-16 Tohoku Bankin Toso Kogyo Kk 還元水用粒状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58A (ko) * 2016-10-07 2018-04-17 보비씨엔이(주) 항균성 및 항산화성을 갖는 조성물
KR101881316B1 (ko) * 2016-10-07 2018-07-26 보비씨엔이(주) 항균성 및 항산화성을 갖는 조성물
KR101910334B1 (ko) 2016-10-07 2018-12-28 보비씨엔이(주) 항균성 섬유의 제조방법
KR20190017114A (ko) 2017-08-10 2019-02-20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KR102039347B1 (ko) * 2017-08-10 2019-11-01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WO2020059940A1 (ko) * 2018-09-18 2020-03-26 보비씨엔이(주)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기능을 갖는 숙취해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WO2020080573A1 (ko) * 2018-10-18 2020-04-23 보비씨엔이(주)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KR20210014978A (ko) * 2019-07-31 2021-02-10 보비씨엔이(주) 골다공증 치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KR102230498B1 (ko) 2019-07-31 2021-03-22 보비씨엔이(주) 골다공증 치료용 수소흡장 칼슘 함유 조성물
KR20210121388A (ko) * 2020-03-30 2021-10-08 보비씨엔이(주) 수소음이온을 갖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2403488B1 (ko) * 2020-03-30 2022-05-30 보비씨엔이(주) 수소음이온을 갖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8714A (ja) 2017-03-30
WO2015088114A1 (ko) 2015-06-18
JP6439994B2 (ja) 2018-12-19
CN105472996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431B1 (ko) 수소 음이온 함유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음이온 함유물
KR20160112370A (ko) 소성이온화칼슘 미립자분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균억재제 첨가제용 소성이온화칼슘 미립자분말
CN109266018A (zh) 一种蛋清蛋白可食用保鲜膜及制备方法
KR102000139B1 (ko) 키토산-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858609A (zh) 一种多用途的天然海洋生物钙制剂
KR102039347B1 (ko) 수소 음이온을 갖는 항염증제 조성물
CN103238643B (zh) 一种面粉专用生物钙营养补充剂
KR101658352B1 (ko) 미네랄수 제조방법
KR101401194B1 (ko) 저콜레스테롤 고칼슘 계란 및 그 생산방법
EP0839459B1 (en) Composition containing readily absorbable calc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5124714B (zh) 一种低温预冷延长生鲜面常温货架期的保鲜技术
CN101019607B (zh) 一种可促进动物生长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45280A (ko) 산호 및 모려를 이용한 이온칼슘 제조방법
KR20070093932A (ko) 숙취해소능이 있는 심층수-키토산동치미음료의 제조법
CN105746688A (zh) 水果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101851994B1 (ko) 생광석 미네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0013000A (zh) 一种紫菜生鲜面制备方法
KR101551056B1 (ko) 기능성 천연광물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1342B1 (ko) 코발트 이온이 함유된 초상자성 메조다공성 하이드록시에퍼타이트 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1207502B1 (ko) 황토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JPS5978669A (ja) 食品添加剤
KR830002028B1 (ko) 생리적 흡수성이 큰 무기질식물(無機質食物)의 제조방법
JPH05170611A (ja) 活性カルシウム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21425A (ko) 생광석 미네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