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398B1 -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398B1
KR101404398B1 KR1020070060178A KR20070060178A KR101404398B1 KR 101404398 B1 KR101404398 B1 KR 101404398B1 KR 1020070060178 A KR1020070060178 A KR 1020070060178A KR 20070060178 A KR20070060178 A KR 20070060178A KR 101404398 B1 KR101404398 B1 KR 10140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oxyphenoxy
allyl
methoxyphenyl
hydroxy
nutm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91A (ko
Inventor
황재관
이해지
이재영
심재석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뉴트리
(주)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6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39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뉴트리, (주)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뉴트리
Priority to JP2010513127A priority patent/JP2010530413A/ja
Priority to EP08766506.3A priority patent/EP2170255B1/en
Priority to CN2013101584941A priority patent/CN103340761A/zh
Priority to CN2008801030774A priority patent/CN101815498B/zh
Priority to US12/665,206 priority patent/US8435957B2/en
Priority to PCT/KR2008/003547 priority patent/WO2008156345A2/en
Publication of KR2008011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398B1/ko
Priority to JP2014144061A priority patent/JP2014221804A/ja
Priority to JP2016063382A priority patent/JP6196346B2/ja
Priority to JP2017115630A priority patent/JP201722265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광노화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에서 분리된 화학식 1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과 화학식 2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은 주름개선 효과에서 중요한 요인인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1) 억제 능력과 신생 콜라겐(collagen) 합성 능력을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2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 광노화, 주름개선, 콜라겐

Description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도 1은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로부터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을 분리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1H-1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1H-13C HMBC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FAB/Mass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1H-1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1H-13C HMBC 스펙트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FAB/Mass 스펙트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의 75%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하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3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4
통상적으로 주름은 오랜 기간 동안 반복되는 근육운동으로 인해 형성되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의 하나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 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노화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조절이 어려우나 외적 노화는 환경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외적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성 광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Gilchre st B.A., J. Am. Acad. Dermatol., 1989:21:610-613).
외인성 피부노화인 광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가 거칠고 탄력성이 없어지며,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되고, 깊은 주름살이 증가되는 것이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안면, 두부 등의 주름 형성에는 광노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항주름 화장품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을 이용한 광노화와 주름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노화와 주름 형성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합성, 분해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를 검토한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Lavker R.M., Blackwell science Inc.,1995:123-135).
피부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인자들은 바람, 온도, 습도, 담배연기, 공해, 자외선 등이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는 높은 농도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가 생성되고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를 붕괴시킨다. 이로 인해 피부조직의 주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이 현저히 감소되며 이때 콜라겐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콜라겐 분해 효소(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1)이다. 콜라겐 분해 효소(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1)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내의 콜라겐 분해효소-1 활성이 증가되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콜라겐 분해효소-1들이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영향을 미쳐 주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Sim G.S., Kim J.H et al., Kor. J. Biotechnol. Bioeng., 2005:20(1):40-45).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피부 주름개선 유효성분들은 세포 독성 때문에 일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매우 불안정하여 특별한 안정화시스템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높은 분자량으로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특별한 전달체계가 필요하며,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가시적이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레티노이드(retinoid)를 함유한 피부보호제로 관심이 점차 집중되고 있으며, 현재 레티노이드는 일광으로 축적된 결과인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처짐, 탄력 감소 등의 광노화 현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는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 자외선, 수분, 열, 산소에 민감하여 쉽게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을 찾고자 장기간 탐색한 결과,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이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의 주름개선 효과와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6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로부터 분리·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육두구(nutmeg)는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식물인 미리스티카 프라그란스(Myristica fragrans)의 열매로서 오래전부터 향신료로 이용되어 왔다. 육두구의 가종피(aril of nutmeg)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성장 억제 활성(In Vivo., 17;541-4, 2003), 간의 해독 작용 기작의 활성화(Food Chem. Toxicol., 31;517-21, 1993), 피부 사마귀의 화학적 예방작용(Cancer Lett., 56;59-63, 1991), 항염활성(Jpn. J. Pharmacol., 49;155-63, 1999)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육두구 가종피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상기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75%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는 통상의 추출 및 분리방법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는데, 먼저, 건조시킨 육두구 가종피를 4배 내지 10배의 추출 용매와 함께 추출장치에 넣고 이틀 동안 방치하여 추출하고 이를 농축기로 농축 및 건조하여 75%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 분리를 위한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C1-C6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75% 메탄올 추출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물을 얻고 분리된 특정 분획물을 다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법을 통하여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은 인체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종류의 천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주름개선에 유효한 활성 물질을 찾고자 탐색한 결과,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이 주름개선에 효과를 가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상기 화학식 1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화학식 2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주름개선에 관련되는 모든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5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주름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0중량% 이상으로 배합하면 사용량에 비하여 주름개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조성물의 안정성 면에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은 인체 피부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1)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육두구 가종피로부터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분리 정제 및 구조결정
<1-1>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분리 및 정제
건조 분쇄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100 g에 75% 메탄올 400 ㎖을 가하여 상온에서 이틀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여과하고 진공 농축하여 육두구 가종피의 메탄올 75% 메탄올 추출물(13.26g)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75% 메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로 분획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29 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를 9:1(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용출시켜 분획물Ⅴ(0.52)과 분획물 Ⅵ(0.19 g)를 얻었다. 분획물Ⅴ를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와 아세톤 24:0.3:1(v/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 Ⅴ-C(0.05 g)을 얻었다. 이후, 분획물 Ⅴ-C를 리싸이클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100% 메탄올로 용출시켜 단일물질 분획인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Ⅴ-C-2(0.03 g)을 얻었다. 또한 분획물 Ⅵ를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와 아세톤 30:1:2(v/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획물 Ⅵ-B(0.52 g)을 얻었다. 이후, 분획물 Ⅵ-B를 Rp-18 리싸이클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100% 메탄올로 용출시켜 단일물질 분획인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 Ⅵ-B-5(0.011 g)을 얻었다. 이와 같은 분리 공정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1-2> 단일물질 Ⅴ-C-2의 구조분석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 Ⅴ-C-2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600 MHz 와 150 MHz(용매: CDCl3)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1H-NMR과 13C-NMR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Position 13C-NMR 1H-NMR
1 134.5
2 112.4 6.77 (1H, d)
3 146.3 3.82 (3H, s, 3-OMe)
4 144.0 5.48 (1H, s, -OH)
5 114.1 6.82 (1H, d)
6 122.3 6.70 (1H, dd)
α 43.0 2.72 (1H, dd)
3.12 (1H, dd)
β 79.8 4.33 (1H, dd)
γ 19.6 1.20 (3H, d)
1' 135.6
2' 153.8 3.80 (6H, s)
3' 105.7 6.40 (2H, d',5'-H)
4' 131.2
5' 105.7 6.40 (2H, 3',5'-H)
6' 153.8 3.80 (6H, s, 2'-OMe, 6'-OMe)
α 40.5 3.34 (2H, d)
β 137.4 5.92-6.02 (1H, m)
γ 115.8 5.07-5.15 (2H, m)
-OMe 56.0
56.2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1H-13C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1H-1H COSY 스펙트럼과 1H-13C HMBC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 분석을 위해 측정한 FAB/MS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본 화합물은 FAB/MS에서 [M]+m/z 358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358로 판명되었고, 분자식은 C21H26O5이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1H-1H COSY, 1H-13C HMBC 및 FAB/MS 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기재된 참고문헌(M. Hattori et al., Chem. Pharm. Bull., 35, 2, 668, 1987)을 통해, 분리된 단일 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7
<1-3> 단일물질 Ⅵ-B-5의 구조분석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 Ⅵ-B-5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600 MHz 와 150 MHz(용매: CDCl3)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도 8에 각각 나타내었다. 1H-NMR과 13C-NMR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Position 13C-NMR 1H-NMR
1 137.4
2 108.9 6.92 (1H,d)
3 148.1
4 147.1
5 106.7 6.78 (1H, d)
6 119.8 6.82 (1H, dd)
α 85.9 4.61 (1H, d)
β 43.7 2.39-2.43 (2H, m)
γ 12.0 1.00 (3H, d)
1' 132.7
2' 119.0 6.91 (1H, d)
3' 114.2
4' 144.5 5.54 (1H, s, -OH)
5' 146.5 6.88 (1H, d)
6' 108.2 6.77 (1H, dd)
α' 85.0 5.42 (1H, d)
β' 47.9 2.39-2.43 (2H, m)
γ' 9.6 0.61 (3H, d)
-OMe 56.2 3.89 (3H, s)
-OCH2O- 101.1 5.94 (1H, d)
5.95 (1H, d)
13C-NMR 스펙트럼과 1H-NMR 스펙트럼의 결과를 토대로 1H-1H의 상관관계와 1H-13C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1H-1H COSY 스펙트럼과 1H-13C HMBC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 분석을 위해 측정한 FAB/MS의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본 화합물은 FAB/MS에서 [M]+m/z 342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342로 판명되었고, 분자식은 C20H22O5이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1H-1H COSY, 1H-13C HMBC 및 FAB/MS 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기재된 참고문헌(ST. Murphy et al., Aust. J. Chem., 28, 81, 1975)을 통해, 분리된 단일 물질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8
<실시예 2>
세포증식효과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검정하는 세포증식효과를 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MTT 시험법[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s)를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의 각 웰에 2× 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10%가 함유된 디엠이엠(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1차 배양한다. 상기 1차 배양단계 이후에 본 발명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럼(serum)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48시간 동안 2차 배양한다. 상기 2차 배양단계이후 MTT 용액 100 ㎕씩을 배지에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배지를 제거한다. 각 웰당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용액 100 ㎕씩을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과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세포증식효과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75% 메탄올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의 세포증식 효과를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MTT 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으로 설정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증식효과(%) 증식효과(%) 증식효과(%)
농도(㎍/ml) 육두구 가종피 75% 메탄올 추출물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
3 103 101 104
5 102 104 105
10 106 108 110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과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은 비교군보다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섬유아세포 자외선 조사 및 시료 처리와 그에 따른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 측정
섬유아세포를 2× 105 cells/ml의 농도로 60 mm 디쉬(dish)에 배양하고 약 85% 수준에 도달할 때 까지 배양한다. 자외선(UV) 조사 전에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여 배지 내 시럼 성분을 제거한 후 20 J/cm2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배양배지는 시럼을 첨가하지 않은 디엠이엠 배지에 시료를 혼합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western blot)법을 이용하였다.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시료를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배지 내의 총 단백질 양은 브래드포드(bradfor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전기영동 시킨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세포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겔의 단백질을 전이시켰다. 멤브레인이 더 이상 다른 미지의 단백질에 의해 오염이 되지 않도록 5% 탈지분유을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콜라겐 분해효소-1(MMP-1)의 1차 항체를 5% 탈지분유에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2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1차 항체 반응 후 10분씩 3회에 걸쳐 TBST(Tris-buffer Saline Tween 20)로 흔들어주며 세척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1(MMP-1)의 1차 항체를 인지하는 2차 항체를 5% 탈지분유에 1:1000이 되도록 희석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1차 항체 때와 마찬가지로 10분씩 3회에 걸쳐 TBST(tris-buffer saline Tween 20)로 흔들어주며 세척한 다음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ce)으로 현상하였다.
<실험예 2>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양 측정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75% 메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조사한 결과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을 농도별(3, 5 및 10 ㎍/ml)로 함께 처리한 실험군과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 처리한 음성대조군 및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와 UV 20 J/cm2을 조사한 양성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은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양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 p < 0.01; *, p < 0.05)를 보였다. 예를 들어 10 ㎍/ml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비교화합물인 비타민 씨의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20%의 억제 활성을 보였고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에 의해 나타난 활성은 60%로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천연물질인 육두구 가종피의 추출물이 항노화제의 지표물질인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항노화물질인 비타민 씨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어 효율적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양 측정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콜라겐 분해효소-1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발현 양을 조사한 결과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농도별(3, 5 및 10 μM)로 함께 처리한 실험군과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 처리한 음성대조군 및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와 UV 20 J/cm2을 조사한 양성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은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 p < 0.01; *, p < 0.05)를 보였다. 예를 들어 10 μM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비교화합물인 비타민 씨의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20%의 억제활성을 보였고,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에 의한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6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천연물질인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이 항노화제의 지표물질인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항노화물질인 비타민 씨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어 효율적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양 측정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의 콜라겐 분해효소-1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발현 양을 조사한 결과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농도별(3, 5 및 10 μM)로 함께 처리한 실험군과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 처리한 음성대조군 및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0.01%와 UV 20 J/cm2을 조사한 양성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은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 p < 0.01; *, p < 0.05)를 보였다. 예를 들어 10 μM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비교화합물인 비타민 씨의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20%의 억제활성을 보였고,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에 의한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 6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천연물질인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이 항노화제의 지표물질인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 억제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항노화물질인 비타민 씨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어 효율적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육두구 가종피의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 측정
건조 분쇄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100g에 에탄올 400 ㎖을 가하여 상온에서 이틀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여과하고 진공 농축하여 육두구 가종피의 에탄올 추출물(13.98 g)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을 검정한 결과, 음성 대조구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10 ㎍/㎖ 처리한 군에서 음성 대조구에 비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이 65% 감소하였다.
<실시예 5>
육두구 가종피의 헥산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 측정
건조 분쇄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100 g에 헥산 400 ㎖을 가하여 상온에서 이틀 동안 방치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여과하고 진공 농축하여 육두구 가종피의 헥산 추출물(16.73 g)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와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 억제 활성을 검정한 결과, 음성 대조구에 비하여 추출물을 10 ㎍/㎖ 처리한 군에서 콜라겐 분해효소-1의 발현이 55% 감소하였다.
<실시예 6~9>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9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10.0, 1.0, 0.1, 0.01중량%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에탄올 일정량에 녹인 다음 에탄올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켰다.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조75% 메탄올 추출물(%) 10.0 1.0 0.1 0.01
글리세린(%)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인산 칼륨(%) 0.1 0.1 0.1 0.1
인산2나트륨(%) 0.05 0.05 0.05 0.05
향료(%) 0.02 0.02 0.02 0.02
에탄올(96%)(%) 20 20 20 2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시예 10~13>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0-13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2~6 물질은 75-80℃에서 녹이고, 7~10 물질을 같은 온도에서 녹인다. 7~10을 2~6에 유화시킨 다음 조추출물을 10.0, 1.0, 0.1, 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춘다.
성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1.조75% 메탄올 추출물(%) 10.0 1.0 0.1 0.01
2.글리세린 2.0 2.0 2.0 2.0
3.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4.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8.0 8.0 8.0
5.스테아린 5.4 5.4 5.4 5.4
6.미네랄 오일 4.5 4.5 4.5 4.5
7.향료 0.02 0.02 0.02 0.02
8.세틸 알코올 6.5 6.5 6.5 6.5
9.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0.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시예 14~17>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이용하여 실시예 14-17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5.0, 0.1, 0.01, 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량에 녹인 다음 인산 수용액과 혼합한다. 에탄올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섞어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향료, 보존료를 추가하여 물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킨다.
성분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 5.0 0.1 0.01 0.001
글리세린(%)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인산 칼륨(%) 0.1 0.1 0.1 0.1
인산2나트륨(%) 0.05 0.05 0.05 0.05
향료(%) 0.02 0.02 0.02 0.02
에탄올(96%)(%) 20 20 20 2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시예 18~21>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이용하여 실시예 18-21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2~6 물질은 75-80℃에서 녹이고, 7~10 물질을 같은 온도에서 녹인다. 7~10을 2~6에 유화시킨 다음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을 5.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춘다.
성분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1 실시예 21
1.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5.0 0.1 0.01 0.001
2.글리세린 2.0 2.0 2.0 2.0
3.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4.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8.0 8.0 8.0
5.스테아린 5.4 5.4 5.4 5.4
6.미네랄 오일 4.5 4.5 4.5 4.5
7.향료 0.02 0.02 0.02 0.02
8.세틸 알코올 6.5 6.5 6.5 6.5
9.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0.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시예 22~25>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을 이용하여 실시예 22-25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5.0, 0.1, 0.01, 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량에 녹인 다음 인산 수용액과 혼합한다. 에탄올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섞어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향료, 보존료를 추가하여 물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킨다.
성분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 5.0 0.1 0.01 0.001
글리세린(%)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인산 칼륨(%) 0.1 0.1 0.1 0.1
인산2나트륨(%) 0.05 0.05 0.05 0.05
향료(%) 0.02 0.02 0.02 0.02
에탄올(96%)(%) 20 20 20 2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시예 26~29>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을 이용하여 실시예 26-29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2~6 물질은 75-80℃에서 녹이고, 7~10 물질을 같은 온도에서 녹인다. 7~10을 2~6에 유화시킨 다음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을 5.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춘다.
성분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1.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 5.0 0.1 0.01 0.001
2.글리세린 2.0 2.0 2.0 2.0
3.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4.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8.0 8.0 8.0
5.스테아린 5.4 5.4 5.4 5.4
6.미네랄 오일 4.5 4.5 4.5 4.5
7.향료 0.02 0.02 0.02 0.02
8.세틸 알코올 6.5 6.5 6.5 6.5
9.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10.보존료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실험예 4>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량 측정( In vivo )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4주간 매일 1회 (UV 20 J/cm2) 조사한 후 실시예 6-13의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 함유 조성물을 각각 4주간 매일 100 ml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겐 양의 측정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결과 콜라겐 증가율(%)
무처리 0
화장수 실시예 6 34.8
화장수 실시예 7 21.2
화장수 실시예 8 8.4
화장수 실시예 9 3.5
무처리 0
크림 실시예 10 35.7
크림 실시예 11 23.1
크림 실시예 12 10.2
크림 실시예 13 4.1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되었고, 화장수보다 크림의 경우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수 보다 크림의 잔존력이 더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함유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량 측정( In vivo )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4주간 매일 1회 (UV 20 J/cm2) 조사한 후 실시예 14-21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이 함유된 조성물을 각각 4주간 매일 100 ml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겐 양의 측정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결과 콜라겐 증가율(%)
무처리 0
화장수 실시예 14 75.4
화장수 실시예 15 32.7
화장수 실시예 16 18.3
화장수 실시예 17 8.9
무처리 0
크림 실시예 18 77.6
크림 실시예 19 38.1
크림 실시예 20 20.8
크림 실시예 21 9.0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되었고, 화장수보다 크림의 경우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수 보다 크림의 잔존력이 더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6>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 함유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량 측정( In vivo )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4주간 매일 1회 (UV 20 J/cm2) 조사한 후 실시예 22-29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이 함유된 조성물을 각각 4주간 매일 100 ml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겐 양의 측정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결과 콜라겐 증가율(%)
무처리 0
화장수 실시예 22 68.7
화장수 실시예 23 30.4
화장수 실시예 24 16.1
화장수 실시예 25 7.9
무처리 0
크림 실시예 26 70.1
크림 실시예 27 36.3
크림 실시예 28 18.8
크림 실시예 29 8.5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되었고, 화장수보다 크림의 경우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수 보다 크림의 잔존력이 더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의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은 UV에 의해 유도된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므로 항노화 및 광노화에 의한 주름개선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과 화학식 2의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400-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07044421400-pat000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은 육두구 가종피(aril of nutmeg)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및 아우스토바이리그난 세븐(austobailignan 7)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60178A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40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8A KR101404398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EP08766506.3A EP2170255B1 (en) 2007-06-20 2008-06-20 Use of lignan compound for anti-wrinkle treatment
CN2013101584941A CN103340761A (zh) 2007-06-20 2008-06-20 木酚素化合物用于抗皱治疗的用途
CN2008801030774A CN101815498B (zh) 2007-06-20 2008-06-20 木酚素化合物用于抗皱治疗的用途
JP2010513127A JP2010530413A (ja) 2007-06-20 2008-06-20 リグナン系化合物の皺改善用途
US12/665,206 US8435957B2 (en) 2007-06-20 2008-06-20 Use of lignan compound for anti-wrinkle treatment
PCT/KR2008/003547 WO2008156345A2 (en) 2007-06-20 2008-06-20 Use of lignan compound for anti-wrinkle treatment
JP2014144061A JP2014221804A (ja) 2007-06-20 2014-07-14 リグナン系化合物の皺改善用途
JP2016063382A JP6196346B2 (ja) 2007-06-20 2016-03-28 リグナン系化合物の皺改善用途
JP2017115630A JP2017222653A (ja) 2007-06-20 2017-06-13 リグナン系化合物の皺改善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8A KR101404398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91A KR20080111791A (ko) 2008-12-24
KR101404398B1 true KR101404398B1 (ko) 2014-06-09

Family

ID=4015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78A KR101404398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5957B2 (ko)
EP (1) EP2170255B1 (ko)
JP (4) JP2010530413A (ko)
KR (1) KR101404398B1 (ko)
CN (2) CN101815498B (ko)
WO (1) WO20081563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98B1 (ko) * 2007-06-20 2014-06-09 (주)뉴트리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US8969408B2 (en) 2007-10-17 2015-03-03 Biocare Co., Ltd. Use of lignan-type compounds or extract of nutmeg or aril of nutmeg comprising the same
EP2555745B1 (en) 2010-04-08 2016-12-21 Symrise AG Use of dihydrodehydrodiisoeugenol and preparations comprising dihydrodehydrodiisoeugenol
MX340997B (es) 2010-08-18 2016-08-03 Samumed Llc Dicetonas e hidroxicetonas como activadores de la trayectoria de señalizacion de catenina.
CN102349886B (zh) * 2011-07-05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苯代萘型木脂素类化合物在制备抗辐射药物中的应用
WO2013080830A1 (ja) * 2011-11-28 2013-06-06 花王株式会社 冷感剤及びtrpm8活性化剤
PE20151721A1 (es) 2013-02-22 2015-12-07 Samumed Llc Y-dicetonas como activadores de la ruta de senalizacion de wnt/b-catenina
KR102165385B1 (ko) 2014-08-20 2020-10-15 사뮤메드, 엘엘씨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감마-디케톤
KR102649863B1 (ko) * 2016-09-30 2024-03-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13666A (zh) * 2018-10-26 2021-11-05 延世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肉豆蔻提取物或肉豆蔻木酚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缓解由环境污染因素引起的皮肤刺激及保护皮肤的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51A (ja) * 1993-07-27 1995-02-03 Lion Corp コラーゲン生合成促進剤
JP2004250445A (ja) * 2003-01-31 2004-09-09 Yakult Honsha Co Ltd グリケーション阻害剤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7526A (ja) * 1984-11-14 1986-11-27 インタ−ナシヨナル フレイバ−ス アンド フレグランシス インコ−ポレイテツド 人間のストレスに対する生理的及び、又は主観的反応性を減少させる医薬
JP3536111B2 (ja) * 1992-06-29 2004-06-0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および化粧料
JP4209483B2 (ja) * 1997-09-05 2009-01-14 株式会社太田胃散 血管平滑筋収縮抑制剤
JP2000169381A (ja) * 1998-12-03 2000-06-20 Sumitomo Forestry Co Ltd 血圧降下剤
JP4143223B2 (ja) * 1999-07-30 2008-09-0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GB9918023D0 (en) * 1999-07-30 1999-09-29 Unilever Plc Skin care composition
JP2004002268A (ja) * 2002-03-28 2004-01-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US7157413B2 (en) * 2002-07-08 2007-01-02 L'oreal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ionic surfactant, an amphoteric, cationic, and/or nonionic surfactant, and a polysacchardie, and use thereof
FR2841776B1 (fr) * 2002-07-08 2005-12-2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contenant un tensioactif anionique, un tensioactif amphotere ou non ionique et un polysaccharide et utilisation
KR100567431B1 (ko) * 2004-01-08 2006-04-04 황재관 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8022051B2 (en) * 2004-10-20 2011-09-20 Doosan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kin, or reinforcing skin barrier function comprising phosphatidylserine
JP2006298824A (ja) * 2005-04-21 2006-11-02 Kao Corp 口腔内のスカトール産生抑制剤
WO2007001150A2 (en) * 2005-06-27 2007-01-04 Jae-Kwan Hwang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onditions mediated by ppar using macelignan
JP5192380B2 (ja) * 2005-09-08 2013-05-08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EP2009007A4 (en) * 2006-03-02 2010-02-10 Univ Nihon VEGETABLE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A MALIGNANT TUMOR
JP5004153B2 (ja) * 2006-03-28 2012-08-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KR101404398B1 (ko) * 2007-06-20 2014-06-09 (주)뉴트리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51A (ja) * 1993-07-27 1995-02-03 Lion Corp コラーゲン生合成促進剤
JP2004250445A (ja) * 2003-01-31 2004-09-09 Yakult Honsha Co Ltd グリケーション阻害剤及びそ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0413A (ja) 2010-09-09
WO2008156345A2 (en) 2008-12-24
EP2170255A2 (en) 2010-04-07
CN101815498A (zh) 2010-08-25
EP2170255A4 (en) 2013-12-04
CN101815498B (zh) 2013-09-11
JP6196346B2 (ja) 2017-09-13
KR20080111791A (ko) 2008-12-24
US8435957B2 (en) 2013-05-07
JP2014221804A (ja) 2014-11-27
JP2017222653A (ja) 2017-12-21
US20120288579A1 (en) 2012-11-15
EP2170255B1 (en) 2019-11-27
WO2008156345A3 (en) 2009-03-12
JP2016155842A (ja) 2016-09-01
CN103340761A (zh)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98B1 (ko)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879558B1 (ko)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010098707A (ko) 화장품 조성물
JP2011105666A (ja) ドーパオキシダーゼ活性抑制剤及び美白剤
FR2970416A1 (fr) Nouveaux derives monoterpeniques de chalcone ou dihydrochalcone et leur utilisation comme depigmentants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H10236940A (ja) 化粧料
KR101416993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4282321A (ja) 化粧料
JPWO2010030000A1 (ja) 美白剤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
KR100967617B1 (ko) 털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JP2013166732A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の製造方法及びナガサルオガセ抽出物の製造方法
KR101784331B1 (ko) 아쿠아포린-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6,7-디메톡시-2,2-디메틸-2h-크로멘 및 이의 용도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129475B2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組成物
JPH04282320A (ja) 化粧料
KR20180099563A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6616B1 (ko) 쑥 발효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쑥 발효물의 유효성분 함량을 향상시키는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과 항노화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발효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KR10076957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9579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2096A (ko) 이끼 추출물 또는 그 유효 성분인 뎁시돈 또는 뎁시돈유도체를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WO2006118079A1 (ja) 皮膚の老化防止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