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93B1 -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93B1
KR101416993B1 KR1020070060177A KR20070060177A KR101416993B1 KR 101416993 B1 KR101416993 B1 KR 101416993B1 KR 1020070060177 A KR1020070060177 A KR 1020070060177A KR 20070060177 A KR20070060177 A KR 20070060177A KR 101416993 B1 KR101416993 B1 KR 10141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xanthorrhizol
collagenase
extract
curcu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90A (ko
Inventor
황재관
심재석
이해지
조유미
권송희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바이오케어
Priority to KR102007006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93B1/ko
Priority to PCT/KR2008/003522 priority patent/WO2008156330A1/en
Priority to JP2010513123A priority patent/JP2010530412A/ja
Publication of KR2008011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화장료에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잔토리졸(xanthorrhizol)을 함유시킴으로서 광노화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억제능력과 신생 콜라겐(type-1 procollagen) 합성 능력을 가지는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1
커큐마 잔토리자, 잔토리졸, 주름개선, 콜라겐 분해효소, 콜라겐

Description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잔토리졸(xanthorrhizol)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잔토리졸(xanthorrhizol)에 의한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 및 잔토리졸(xanthorrhizol)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2
통상적으로 주름은 오랜 기간 동안 반복되는 근육운동으로 인해 형성되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의 하나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 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노화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조절이 어려우나 외적 노화는 환경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외적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성 광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 방지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Gilchre st B.A., J. Am. Acad. Dermatol., 1989:21:610-613).
외인성 피부노화인 광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가 거칠고 탄력성이 없어지며,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되고, 깊은 주름살이 증가되는 것이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안면, 두부 등의 주름 형성에는 광노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항주름 화장품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을 이용한 광노화와 주름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노화와 주름 형성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합성, 분해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를 검토한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Lavker R.M., Blackwell science Inc.,1995:123-135).
피부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인자들은 바람, 온도, 습도, 담배연기, 공해, 자외선 등에 의해서 노화가 일어나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는 높은 농도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가 생성되고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를 붕괴시킨다. 이로 인해 피부조직의 주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이 현저히 감소되고 이때 콜라겐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콜라겐 분해 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이다. 콜라겐 분해 효소-1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내의 콜라겐 분해효소-1 활성이 증가되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콜라겐 분해효소-1들이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영향을 미쳐 주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Sim G.S., Kim J.H et al., Kor. J. Biotechnol. Bioeng., 2005:20(1):40-45).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피부 주름개선 유효성분들은 일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매우 불안정하며,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특별한 안정화 시스템과 전달체계가 필요하며,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가시적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최근 레티노이드(retinoid)를 함유한 피부보호제로 관심이 점차 집중되고 있으며, 현재 레티노이드는 일광으로 축적된 결과인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처짐, 탄력 감소 등의 광노화 현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는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 자외선, 수분, 열, 산소에 민감하여 쉽게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을 찾고자 장기간 탐색한 결과,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된 잔토리졸(xanthorrhizol)이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된 잔토리졸의 주름개선 효과와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3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로부터 분리·정제된 잔토리졸(xanthorrhizol)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커큐마 잔토리자는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로서 일반적으로 temu lawak 또는 Javanese turmeric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전통 약용식물로 주성분으로 artumenone, α-curcumene, β-curcumene, curzerenone, germacrone, β-sesquiphellandrene, α-turmerone, β-turmerone, xanthorrhizol 등의 terpenoid 계열 화합물과 7-30%의 essential oil, 30-40%의 carbohydrate, 그리고 0.02-2.0%의 방향성 색소인 curcuminoid 등을 포함하고 있다(Lin S. C. et al., Am. J. Chin. Med., 1995:23:243-254).
잔토리졸은 커큐마 잔토리자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구성성분으로서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의 일종이다. 잔토리졸은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Hwang, J. K. et al., Fitoterapia, 2000:71:321-323; Hwang, J. K. et al., Planta Medica, 2000:66:196-197), 항암제로 유발되는 독성의 억제활성(Kim, S. H.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004:196:346-355; Kim, S. H. et al.,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005:43:117-122), 암전이억제작용(Choi, M. A.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5:326:210-217)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잔토리졸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전혀 보고된 바 없다.
커큐마 잔토리자의 추출방법으로는 대한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0342호 및 PCT특허 제 WO88/053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기용매추출법, 초임계유체 추출법,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로부터 잔토리졸을 분리·정제 하는 과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7329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체 피부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서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콜라겐(type-1 pro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주름개선에 관련되는 모든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5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주름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10중량% 이상으로 배합하면 사용량에 비하여 주름개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조성물의 안정성 면에서 비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1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와 콜라겐을 합성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의 제조는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포증식효과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검정하는 세포증식효과를 보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MTT 시험법[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s)를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의 각 웰에 2× 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10%가 함유된 디엠이엠(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1차 배양한다. 상기 1차 배양단계 이후에 본 발명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럼(serum)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48시간 동안 2차 배양한다. 상기 2차 배양단계이후 MTT 용액 100 ㎕씩을 배지에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배지를 제거한다. 각 웰당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용액 100 ㎕씩을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의 세포증식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과 잔토리졸의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MTT 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으로 설정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추출물(green tea extract)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3-gallate, EGCG)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증식효과(%)
농도(㎍/ml)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 잔토리졸 녹차 추출물 EGCG
0 100 100 100 100
0.001 101 101 102 101
0.01 101 105 102 106
0.1 108 110 104 108
1 119 125 117 121
10 127 127 120 123
50 132 135 127 128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과 잔토리졸은 비교군보다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섬유아세포 자외선 조사에 따른 콜라겐 분해효소-1 및 콜라겐 생합성
측정
섬유아세포를 2× 105 cells/ml의 농도로 60 mm 디쉬(dish)에 배양하고 약 85% 수준에 도달할 때 까지 배양한다. 자외선(UV) 조사 전에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여 배지 내 시럼 성분을 제거한 후 20 mJ/cm2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시료를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 및 콜라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1과 콜라겐 생합성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western blot)법을 이용하였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배지 내의 총 단백질 양은 브래드포드(Bradfor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전기영동 시킨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세포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겔의 단백질을 전이시켰다. 멤브레인이 더 이상 다른 미지의 단백질에 의해 오염이 되지 않도록 5% 탈지분유(5% skim milk)을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차단하고, 콜라겐 분해효소-1(MMP-1)와 콜라겐(type-1 procollagen)의 1차 항체를 blocking solution에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2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1차 항체 반응 후 10분씩 3회에 걸쳐 TBST(Tris-buffer Saline Tween 20)로 흔들어주며 세척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1(MMP-1)과 콜라겐(type-1 procollagen)의 1차 항체를 인지하는 2차 항체를 5% 탈지분유에 1:1000이 되도록 희석하여 1시 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1차 항체 때와 마찬가지로 10분씩 3회에 걸쳐 TBST(tris-buffer saline Tween 20)로 흔들어주며 세척한 다음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ce)으로 현상하였다.
<실험예 2>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 및
콜라겐 발현양 측정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과 콜라겐 합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콜라겐 분해효소-1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고 콜라겐 합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0.01 ㎍/ml에서 16%, 0.1 ㎍/ml에서 28%, 0.5 ㎍/ml에서 78%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0.01 ㎍/ml에서 24%, 0.1 ㎍/ml에서 127%, 0.5 ㎍/ml에서 196%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3> 커큐마 잔토리자 헥산 추출물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 및
콜라겐 발현양 측정
커큐마 잔토리자 헥산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과 콜라겐 합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실험예 2에서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 콜라겐 분해효소-1은 0.5 ㎍/ml에서 75% 억제되었고, 콜라겐 합성은 동일 농도에서 191% 증가되는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4> 잔토리졸 처리 시 콜라겐 분해효소-1 및 콜라겐 발현양 측정
잔토리졸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과 콜라겐 합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의 웨스턴 블랏법을 이용하여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잔토리졸을 처리했을 때 콜라겐 분해효소-1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고 콜라겐 합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과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토리졸을 처리했을 때 0.001 μM에서 18%, 0.01 μM에서 68%, 0.1 μM에서 92%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활성을 나타냈고, 이때 동일 농도인 0.1 μM에서 비교하였을 때 비교군인 EGCG는 72%의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잔토리졸 처리에 의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토리졸을 처리했을 때 0.01 μM에서 57%, 0.1 μM에서 86%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냈고, 이때 동일 농도인 0.1 μM에서 비교하였을 때 비교군인 EGCG는 65%의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어 잔토리졸 처리에 의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잔토리졸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EGCG보다 활성이 높은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실시예 3-6>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6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10.0, 1.0, 0.1, 0.01중량%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에탄올 일정량에 녹인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조추출물 10.0% 조추출물 1.0% 조추출물 0.1% 조추출물 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다음 에탄올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켰다.
<실시예 7-10>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7-10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표시된 ①-⑤물질은 75-80℃에서 녹이고, ⑥-⑨물질을 같은 온도에서 녹인다. ⑥-⑨물질을 ①-⑤물질에 유화시킨 다음 조추출물을 10.0, 1.0, 0.1, 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춘다.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조추출물 10.0% 조추출물 1.0% 조추출물 0.1% 조추출물 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실시예 11-14> 잔토리졸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잔토리졸을 이용하여 실시예 11-14의 조성을 지니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잔토리졸을 5.0, 0.1, 0.01, 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량에 녹인 다음 인산 수용액과 혼합한다. 에탄올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섞어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향료, 보존료를 추가하여 물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킨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잔토리졸 5.0% 잔토리졸 0.1% 잔토리졸 0.01% 잔토리졸 0.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 칼륨 0.1%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인산2나트륨 0.0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에탄올(96%) 20%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실시예 15-18> 잔토리졸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잔토리졸을 이용하여 실시예 15-18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표시된 ①-⑤물질은 75-80℃에서 녹이고, ⑥-⑨물질을 같은 온도에서 녹인다. ⑥-⑨물질을 ①-⑤물질에 유화시킨 다음 잔토리졸을 5.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고 정제수로 정량을 맞춘다.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잔토리졸 5.0% 잔토리졸 0.1% 잔토리졸 0.01% 잔토리졸 0.001%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염화 라우릴 설파이드 8.0%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스테아린 5.4%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미네랄 오일 4.5%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향료 0.02%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세틸 알코올 6.5%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정제수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보존료 잔부
<실험예 5>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량 측정
( In vivo )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4주간 매일 1회 (UV 20 mJ/cm2) 조사한 후 상기 실시예 3-10의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각각 4주간 매일 100 ml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겐 양의 측정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증가율(%)
무처리 0
화장수 실시예 3 34.8
화장수 실시예 4 21.2
화장수 실시예 5 8.4
화장수 실시예 6 3.5
크림 실시예 7 35.7
크림 실시예 8 23.1
크림 실시예 9 10.2
크림 실시예 10 4.1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큐마 잔토리자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 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되었고, 화장수보다 크림의 경우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수 보다 크림의 잔존력이 더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6> 잔토리졸 함유 조성물의 콜라겐 합성량 측정( In vivo )
털없는 쥐(hairless mouse)에 자외선을 4주간 매일 1회 (UV 20 mJ/cm2) 조사한 후 상기 실시예 11-18의 잔토리졸 함유 조성물을 각각 4주간 매일 100 ml씩 등부위에 도포한 후 생검하여 조직학적으로 콜라겐의 형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새로이 생성되는 콜라겐 양의 측정은 면역 염색한 후 이를 화상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증가율(%)
무처리 0
화장수 실시예 11 75.4
화장수 실시예 12 32.7
화장수 실시예 13 18.3
화장수 실시예 14 8.9
크림 실시예 15 77.6
크림 실시예 16 38.1
크림 실시예 17 20.8
크림 실시예 18 9.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토리졸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되었고, 화장수보다 크림의 경우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화장수 보다 크림의 잔존력이 더 높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 추출물, 잔토리졸(xanthorrhizol)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형성과 관련된 중요 요소인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콜라겐(type-1 procollagen)의 생성을 촉진시켜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큐마 잔토리자 추출물과 잔토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광노화에 의한 주름 개선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xanthorrhizo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제(matrix metalloproteinase-1 inhibitor).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4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xanthorrhizo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콜라겐 생합성제(collagen synthesizing agent).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5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잔토리졸(xanthorrhiz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4421219-pat00006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잔토리졸은 커큐마 잔토리자(Curcuma xanthorrhiza)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잔토리졸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3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60177A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7A KR101416993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08/003522 WO2008156330A1 (en) 2007-06-20 2008-06-20 Use of xanthorrhizol for anti-wrinkle treatment
JP2010513123A JP2010530412A (ja) 2007-06-20 2008-06-20 皮膚皺改善用キサントリゾールの使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77A KR101416993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90A KR20080111790A (ko) 2008-12-24
KR101416993B1 true KR101416993B1 (ko) 2014-07-08

Family

ID=4015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77A KR101416993B1 (ko) 2007-06-20 2007-06-20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530412A (ko)
KR (1) KR101416993B1 (ko)
WO (1) WO2008156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335B1 (ko) * 2010-06-30 2013-09-16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조절용 조성물
JP5927047B2 (ja) * 2011-06-09 2016-05-25 花王株式会社 Trpv3活性化剤
FR3005830B1 (fr) * 2013-05-24 2015-08-28 Distrib Et De Prestation De Services Sdp Soc D Composition comportant au moins une substance active issue du veget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2267A (ja) * 2002-03-28 2004-01-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JP2004075632A (ja) * 2002-08-21 2004-03-11 Noevir Co Ltd 真皮線維芽細胞賦活剤
US20060134059A1 (en) * 2004-12-22 2006-06-22 Laurence Dry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ppearance of sk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6404B1 (en) * 1999-05-08 2004-02-24 Lg Household & Healthcare Antibacterial composition having xanthorrizol
CN1604741A (zh) * 2001-12-18 2005-04-06 汉高两合股份公司 霉菌的粘着抑制
KR20030069391A (ko) * 2002-02-20 2003-08-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항균제를 함유한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US20050191267A1 (en) * 2004-02-04 2005-09-01 Omboon Luanratana Anti-photoaging cosmeceutica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2267A (ja) * 2002-03-28 2004-01-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JP2004075632A (ja) * 2002-08-21 2004-03-11 Noevir Co Ltd 真皮線維芽細胞賦活剤
US20060134059A1 (en) * 2004-12-22 2006-06-22 Laurence Dry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ppearance of ski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snah M. Sirat et al.,"Chemistry of xanthorrhizol: synthesis of several bisabolane sesquiterpenoids from xanthorrhizol.", Tetrahedron Letters, vol. 48, 2007(2007. 1. 15), pp 457-460 *
Hasnah M. Sirat et al.,"Chemistry of xanthorrhizol: synthesis of several bisabolane sesquiterpenoids from xanthorrhizol.", Tetrahedron Letters, vol. 48, 2007(2007. 1. 15), pp 457-4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56330A1 (en) 2008-12-24
KR20080111790A (ko) 2008-12-24
JP2010530412A (ja)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398B1 (ko)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US20100055210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ainst uv light and wrinkle improvem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magnolia sieboldii flower extracts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1854B1 (ko)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16993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4282321A (ja) 化粧料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KR20180078869A (ko) Dhpv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9093A (ko) 대황, 오배자 및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8392B1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8138525A (ja) ビタミンcトランスポーター産生促進剤及びビタミンc吸収促進用組成物
JPH04282320A (ja) 化粧料
KR20100040107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8177702A (ja) ノリウツ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090052096A (ko) 이끼 추출물 또는 그 유효 성분인 뎁시돈 또는 뎁시돈유도체를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69577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