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54B1 -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54B1
KR102251854B1 KR1020200096669A KR20200096669A KR102251854B1 KR 102251854 B1 KR102251854 B1 KR 102251854B1 KR 1020200096669 A KR1020200096669 A KR 1020200096669A KR 20200096669 A KR20200096669 A KR 20200096669A KR 102251854 B1 KR102251854 B1 KR 10225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otion
cosmetic composition
cream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남
Original Assignee
최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귀남 filed Critical 최귀남
Priority to KR102020009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보호하며, 엘라스타아제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anti-wrinkle comprising Chamaecyparis obtusa leaf mix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들을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내외적 요인에 의해서 노화가 발생하며, 크게 유전적 원인에 의한 내인성 노화와 환경적 원인에 의한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이 중, 광노화는 자외선(ultraviolet; UV)에 의한 노화를 의미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는 자외선의 양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광노화 된 피부에서는 거칠어짐, 탄력 손실, 주름 발생 및 불규칙한 색소 침착 등과 같은 외관상의 특징이 관찰되며, 이 중 광노화의 주된 연구 분야는 피부 주름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상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형성에 관해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합성, 분해 및 수분 함유량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이 증가되고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체계가 붕괴되어 콜라겐의 분해 증가 및 생합성을 감소시켜 진피층 내의 콜라겐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상기 콜라겐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 분해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로, 이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한다. 상기 효소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이 증가되며 이를 억제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두께 증가 및 주름 형성이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광노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MMPs를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Hinoki Cypress)은 일본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제주도 밑 남부지방에서 기르는 상록침엽교목으로서,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성분을 공기 중에 발산하다고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해충이나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만들어 내는 살균성 물질을 총칭한다. 피톤치드의 주요성분은 테르펜(terpene)류 화합물로서 이들은 독특한 방향성을 가지며, 심폐기능 강화, 혈관기능 강화, 호흡기 강화 및 피부살균 작용 등 여러가지 산림욕 효과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2617호에는 미네랄 성분 및 퀴노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668421호에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현저하며, UV 조사에 의해 감소된 히알루론산 함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백잎, 딸기잎, 가지잎 및 명아주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보호하며, 엘라스타아제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히알루론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백잎, 딸기잎, 가지잎 및 명아주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편백잎, 딸기잎, 가지잎 및 명아주잎의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편백잎 68~72 중량%, 딸기잎 8~12 중량%, 가지잎 8~12 중량% 및 명아주잎 8~12 중량%의 혼합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며, 특히, 상기 혼합 추출물에 함유된 단독의 식물잎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주름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백잎 혼합 추출물 제조
건조한 편백잎 분말 70 g, 건조한 딸기잎 분말 10 g, 건조한 가지잎 분말 10 g 및 건조한 명아주잎 분말 10 g을 혼합한 편백잎 혼합 분말에 70%(v/v) 에탄올 1 L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편백잎 추출물 제조
건조한 편백잎 분말 100 g에 70%(v/v) 에탄올 1 L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딸기잎 추출물 제조
건조한 딸기잎 분말 100 g에 70%(v/v) 에탄올 1 L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딸기잎 추출물을 제졸하였다.
비교예 3. 가지잎 추출물 제조
건조한 가지잎 분말 100 g에 70%(v/v) 에탄올 1 L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가지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명아주잎 추출물 제조
건조한 명아주잎 분말 100 g에 70%(v/v) 에탄올 1 L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다음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명아주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스트
실시예 1의 편백잎 혼합 추출물 1 중량%와 부재료(베타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토코페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에칠헥실글리세린, 디소듐이디티에이)와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미스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분석
세포 생존율 분석은 HaCaT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HaCaT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Gibco)에 10%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FBS, Gibco)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PS, Gibco)이 함유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들의 추출물을 농도별(100, 200 ㎍/㎖)로 희석하여, 배양한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49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세포 생존률(%)
구분 추출물의 농도
100 ㎍/㎖ 200 ㎍/㎖
무처리 100
실시예 1 101 103
비교예 1 111 109
비교예 2 98 97
비교예 3 110 110
비교예 4 95 93
그 결과,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의 상대적 세포 생존률(%)이 다소 증가하였거나 유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 확인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VP)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세포 생존률(%)
구분 추출물의 농도
100 ㎍/㎖ 200 ㎍/㎖
무처리 100a
UV 처리 49g
실시예 1 82c 99a
비교예 1 75d 94b
비교예 2 68e 76d
비교예 3 62f 71e
비교예 4 70e 92b
그 결과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UVB 조사에 의해 세포생존률(%)이 49%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UV 조사 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세포보호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험예 3.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본 발명의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트리스 완충 용액(02M Tris buffer, pH 80) 140 ㎕와 1 mg/㎖의 각각의 시료 20 ㎕ 및 5mM N-Succinyl-Ala-Ala-p-nitroanilide (Sigma S4760) 20 ㎕씩 기질 용액을 첨가한 후, 10 ㎍/㎖의 엘라스타아제(Sigma, E7885) 20 ㎕를 잘 혼합하여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410 nm에서 생성된 p-nitroanline의 양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구분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아스코르브산 64±0.8a
실시예 1 51±1.2b
비교예 1 45±3.1c
비교예 2 17±2.0e
비교예 3 21±0.5d
비교예 4 42±2.4c
그 결과, 표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뿐만 아니라, 단독의 추출물 모두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p<0.05).
실험예 4. 히알루론산의 발현량 분석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VP)을 30분간 조사한 후, 각 실험군의 상층액을 모아 히알루론산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발현된 히알루론산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반응물은 흡광 어세이를 수행하여 히알루론산의 발현량을 45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측정한 후 정량하였다.
히알루론산 함량(ng/ml)
구분 히알루론산 함량(ng/ml)
Control 31±1.28c
UVB 8±0.2e
실시예 1 43±2.2a
비교예 1 39±1.1b
비교예 2 13±1.3d
비교예 3 11±2.2d
비교예 4 35±1.2c
그 결과, 표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히알루론산 함량이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모두 히알루론산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독의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의 히알루론산 함량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Claims (5)

  1. 편백잎 68~72 중량%, 딸기잎 8~12 중량%, 가지잎 8~12 중량% 및 명아주잎 8~12 중량%의 혼합 분말에 7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엘라스타아제 발현 저해 및 히알루론산 함량을 증진시키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6669A 2020-08-03 2020-08-03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69A KR102251854B1 (ko) 2020-08-03 2020-08-03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669A KR102251854B1 (ko) 2020-08-03 2020-08-03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854B1 true KR102251854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69A KR102251854B1 (ko) 2020-08-03 2020-08-03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8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800A (ko) * 2021-06-30 2023-01-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수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15793A (ko) * 2021-07-23 2023-01-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냄새 제거를 위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3177046A1 (ko) * 2022-03-16 2023-09-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0588A (ja) * 2004-11-18 2008-06-19 ビオファーマコペ デジン アンテルナショナル インク. 植物抽出物およびその皮膚科使用法
KR20110008396A (ko) * 2009-07-20 2011-01-27 (주)아모레퍼시픽 편백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1083A (ko) * 2017-09-15 2019-03-25 스타스킨 뷰티 그룹 아게 항노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0588A (ja) * 2004-11-18 2008-06-19 ビオファーマコペ デジン アンテルナショナル インク. 植物抽出物およびその皮膚科使用法
KR20110008396A (ko) * 2009-07-20 2011-01-27 (주)아모레퍼시픽 편백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1083A (ko) * 2017-09-15 2019-03-25 스타스킨 뷰티 그룹 아게 항노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7권 제3호(2018)(2018.03.31.)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800A (ko) * 2021-06-30 2023-01-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수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42555B1 (ko) 2021-06-30 2024-02-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수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15793A (ko) * 2021-07-23 2023-01-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냄새 제거를 위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47395B1 (ko) 2021-07-23 2024-03-13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씨 노인냄새 제거를 위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3177046A1 (ko) * 2022-03-16 2023-09-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854B1 (ko) 편백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8732A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81631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57B1 (ko) 황칠나무 수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2614B1 (ko)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한 배지에 흰목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4698B1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