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715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15B1
KR101384715B1 KR1020070066938A KR20070066938A KR101384715B1 KR 101384715 B1 KR101384715 B1 KR 101384715B1 KR 1020070066938 A KR1020070066938 A KR 1020070066938A KR 20070066938 A KR20070066938 A KR 20070066938A KR 101384715 B1 KR101384715 B1 KR 10138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rotation
drive
shaft
l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88A (ko
Inventor
타카시 닛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가마(또는 루퍼)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가마(또는 루퍼)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재봉기(1)는 재봉바늘(40)을 유지하는 바늘대(39)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축(33)과, 재봉바늘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실 포착수단(23)을 구동시키는 하부축(22)과, 상부축 또는 하부축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원(31)과, 상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축 회전부(35)와, 하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하부축 회전부(28)와, 상부축 회전부와 하부축 회전부에 환형으로 걸쳐지는 동시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한쪽의 회전부의 회전구동을 다른쪽의 회전부에 전달하는 구동전달부(36)를 구비하고, 구동전달부는 외력의 부여에 의해 상부축 회전부와 하부축 회전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윗실과 밑실의 결절(結節)에 의해 피봉제물에 본봉(本縫) 바늘땀을 실시하는 본봉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 본봉 재봉기는 재봉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상부축이 재봉기 프레임의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축에는 링크를 통해 바늘대가 연결되어 있다. 재봉기 프레임의 아암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베드부에는 하부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축은 벨트 및 풀리를 통해 상부축의 회전이 하부축에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부축에는 밑실을 감은 보빈을 수용하는 가마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바늘대가 상하로 이동되는 동시에 가마가 회전된다.
재봉바늘이 상승할 때에 재봉바늘에 이어지는 윗실이 천의 저항에 의해 천 밑에 남기 때문에 루프가 형성되고, 가마의 회전시에 상기 윗실의 루프를 가마의 뾰족한 끝부분이 포착함으로써 윗실과 밑실이 휘감겨 본봉 바늘땀이 형성된다.
윗실과 밑실을 휘감아 바늘땀을 확실히 형성하기 위해서는 윗실에 의해 형성 되는 윗실 루프의 크기가 적절할 때에 가마의 뾰족한 끝부분이 상기 윗실 루프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봉제조건에 맞추어 봉제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재봉바늘의 바늘낙하 타이밍과 가마에 의한 윗실 루프의 포착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 가마의 하부축에 대한 부착 각도를 조정하였다. 또한, 가마 대신에 루퍼를 이용하는 환봉 재봉기도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봉제되는 천이 두꺼울 경우에는 천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재봉바늘이 상승할 때에 천 밑에 남는 윗실량이 많아져 윗실 루프가 커진다. 이 때문에, 가마 또는 루퍼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 반대로, 피봉제물이 얇아지면 윗실 루프가 작아지기 때문에, 가마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늦출 필요가 있다.
또한, 피봉제물의 두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봉제속도도 윗실 루프의 형성에 영향이 있다. 즉, 봉제속도가 빨라지면 윗실 루프는 작아지기 때문에, 가마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늦출 필요가 있다. 반대로, 봉제속도가 늦어지면 윗실 루프는 커지기 때문에, 가마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
또한, 예컨대 상부축에 재봉기 모터가 직결되어 있을 경우(특허문헌 2 참조), 하부축은 상부축으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기 때문에, 상부축에 대하여 회전지연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봉제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하부축의 회전지연도 커지기 때문에, 가마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하부축에 설치되어 있는 가마의 부착위치를 조절해야만 하여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308784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H11(1999)-34727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가마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가마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을 없애 봉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에 있어서,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축(33, 68)과, 상기 재봉바늘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실 포착수단(23)과, 상기 실 포착수단을 구동시키는 하부축(22, 62)과, 상기 상부축 또는 상기 하부축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원(31, 61)과, 상기 상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축 회전부(35, 66)와, 상기 하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하부축 회전부(28, 65)와, 상기 상부축 회전부와 상기 하부축 회전부에 환형으로 걸쳐지는 동시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한쪽의 회전부의 회전구동을 다른쪽의 회전부에 전달하는 구동전달부(36, 67)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달부는, 외력의 부여에 의해 상기 상부축 회전부와 상기 하부축 회전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걸침부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원에 의해 상부축 또는 하부축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면, 상부축 회전부 또는 하부축 회전부가 회전하여, 구동전달부 를 통해 양쪽의 회전부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부축 및 하부축은 모두 회전하고, 바늘대는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실 포착수단은 구동하여 재봉바늘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휘감게 할 수 있다.
이때, 구동전달부는 외력의 부여에 의해 상부축 회전부와 하부축 회전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걸침부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걸침부의 길이의 비를 바꿈으로써,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한쪽의 회전부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다른쪽의 회전부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 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걸침부를 편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걸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쪽의 걸침부의 내측면을 외측을 향해 누르는 길이 비 가변기구(4, 6, 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길이 비 가변기구는 걸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쪽의 걸침부의 내측면을 외측을 향해 누름으로써, 2개의 걸침부 중, 한쪽의 걸침부는 길어지고 다른쪽의 걸침부는 짧아진다. 이는 구동전달부가 상부축 회전부 및 하부축 회전부에 환형으로 걸쳐져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의 길이 비를 바꿀 수 있으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한쪽의 회전부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다른쪽의 회전부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길이 비 가변기구는, 상기 2개의 걸침부를 편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맞닿음부와, 상기 2개의 맞닿음부를 유지하는 유지부(43, 103, 123)와, 상기 유지부를 상기 걸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44, 104, 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에 의해 유지부를 걸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지부에 유지된 2개의 맞닿음부도 유지부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2개의 맞닿음부는 2개의 걸침부를 가압하는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의 내측면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는 맞닿음부에 접촉하면서 맞닿음부를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2개의 걸침부 중, 한쪽의 걸침부는 맞닿음부에 눌려 길어지고, 다른쪽의 걸침부는 짧아진다. 이는 구동전달부가 상부축 회전부 및 하부축 회전부에 환형으로 걸쳐져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한쪽의 회전부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다른쪽의 회전부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제어수단은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한쪽의 회전부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다른쪽의 회전부의 회전 타이밍을 봉 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피봉제물의 두께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부여되는 상기 상부축 또는 상기 하부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구동제어수단은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부축 또는 하부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한쪽의 회전부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다른쪽의 회전부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피봉제물의 봉제속도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실 포착수단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 포착수단이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봉제물의 두께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봉제물의 봉제속도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실 포착수단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재봉기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재봉기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는 봉제의 대상이 되는 피봉제물이 놓여지는 베드부(11)와, 상기 베드부(11) 위에 설치된 몸체부(12)와, 몸체부(12)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베드부(11) 상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아암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내부에 재봉기로서 기능하기 위한 구동원이나 각 전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베드부(11)에는 축받이(21)를 통해 하부축(22)이 축선 둘레에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그 축선이 베드부(11) 상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축(22)의 일단에는 밑실이 감겨진 보빈(도시생략)을 수납하고, 재봉바늘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실 포착수단으로서의 가마(23)가 하부축(22)의 축선 둘레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축(22)의 타단에는 하부축(22)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하부축 기어(24)가 하부축(22)의 축선 둘레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축 기어(24)에는 기어 비가 다른 전달기어(25)가 맞물려 있다.
전달기어(25)는 베드부(11)에 설치된 축받이(2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달축(26)에 지지되어 있다. 전달축(26)의 일단에는 전달축(26)의 회전에 의해 하부축(22)에 구동을 전달하는 하부축 회전부로서의 하측 풀리(pulley)(28)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12)에는 그 상방에 재봉기의 구동원이 되는 재봉기 모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재봉기 모터(31)의 출력축(31a)에는 연결부재(32)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재(32)에는 출력축(31a)과 동일축선상에 상부축(33)이 연결되어 있다. 상부축(33)은 몸체부(12)로부터 아암부(13)로 연장되도록 하부축(2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부축(33) 중, 연결부재(32)에 연결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는 상부축(33)과 함께 회전하고, 상부축(33)의 회전에 의해 하부축(22)에 구동을 전달하는 상부축 회전부로서의 상측 풀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는 양쪽 풀리의 외주에 무단(無端) 벨트(36)가 환형으로 걸쳐져 있다. 벨트(36)는 재봉기 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부축(3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측 풀리(35)의 구동을 하측 풀리(28)에 전달하는 것이다.
재봉기 모터(31)의 하방에서,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끼워지는 위치에는, 벨트(36)에서의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를 연결하는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꾸는 길이 비 가변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비 가변기구(4)는 2개의 걸침부(37, 38)를 가압하는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37, 38)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맞닿음부(41, 42)와, 2개의 맞닿음부(41, 42)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유지판(43)과, 유지부(43)를 걸침부(37, 38)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의 스텝핑 모터(44)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 모터(31)의 하방에는 스텝핑 모터(44)가 설치되어 있다. 스텝핑 모터(44)의 출력축(44a)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의 표면에 나선형상의 홈(45a)이 형성된 캠(45)이 설치되어 있다.
유지판(43)은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재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유지판(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 멍(43a)에는 몸체부(12)에 고정된 핀(P)이 삽입되어 있으며, 유지판(43)은 길이가 긴 구멍(43a)이 연장되는 방향, 즉 유지판(4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판(43)은 그 길이방향이 상측 풀리(35)의 회전중심과 하측 풀리(28)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41, 42)는 유지판(43)의 캠(45)에 대향하는 면측의 이면측에서의 긴 구멍(43a)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41, 42)는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걸쳐진 벨트(36)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위치에 설치되며, 벨트(36)가 걸쳐짐으로써 벨트(36)가 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36)를 편 상태로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걸치기 때문에, 벨트(36)는 4개의 안내롤러(46)에 의해 유지판(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쳐지도록 안내되어 있다.
유지판(43)의 캠(45)에 대향하는 면측에서의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의 사이에는, 캠(45)의 캠 홈(45a)에 끼워넣는 돌기(43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3b)는 캠 홈(45a)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45)이 스텝핑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 돌기(43b)가 회전하는 캠(45)의 캠 홈(45a)으로 안내되어 움직여, 유지판(43)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아암부(13)에는 상술한 상부축(33)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축(33)은 그 축선이 하부축(22)의 축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양단 근방은 축받이(34)에 의해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축(33)에서의 연결부재(32)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에는 균형추(47)가 연결되고, 상기 균형추(47)에는 상부축(33)의 회전축선 상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크랭크 로드(48)가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 로드(48)에는 바늘대(39)가 재봉기의 상하방향, 다시 말하면 길이방향이 상부축(33)의 축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바늘대(39)의 하단에는 재봉바늘(40)이 설치되어 있다. 바늘대(39)에 설치된 재봉바늘(40)은 가마(2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판(43)의 슬라이딩 이동량은, 스텝핑 모터(44)에 의한 캠(45)의 회전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캠(45)의 회전량은 구동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5)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5)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CPU(51)와, 처리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RAM(52)과,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봉제 데이터(53d)를 기억하는 ROM(5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봉제 데이터(53d)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시의 상부축(22)의 회전속도 등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장치(5)에는 재봉기 모터(31), 스텝핑 모터(44)가 접속되고, 각 모터(31, 44)는 제어장치(5)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제어장치(5)에는 재봉기 페달의 밟기량을 검출하는 밟기센서(54)가 접속되어 있으며, 재봉기 페달의 밟기량에 따른 검출신호(출력)를 밟기센서(54)가 제어장치(5)에 송신한다.
<길이 비 가변기구의 동작>
길이 비 가변기구(4)에 의한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바꾸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봉제시에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변경할 때에는, CPU(51)는 봉제 데이터(5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CPU(51)는 봉제 데이터(53d)로부터 판독된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4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44)를 회전시킨다.
또, 봉제 데이터(5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 대신에, 페달의 밟기량을 밟기센서(54)로 검출하고, 이 검출출력에 따라 CPU(51)가 스텝핑 모터(4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44)를 회전시켜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44)를 구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그 출력축(44a)에 부착된 캠(45)도 출력축(44a)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캠(45)의 회전에 따라, 캠(45)에 형성된 캠 홈(45a)도 회전하기 때문에, 캠 홈(45a)에 끼워넣은 돌기(43b)도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45a)을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때, 돌기(43b)는 유지판(43)에 형성된 긴 구멍(43a)에 의해 유지판(43)의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이 저지되고, 돌기(43b)가 형성된 유지판(43)은 그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유지판(43)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지판(43)에 형성된 2개의 맞닿음부(41, 42)도 유지판(43)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예컨대, 맞닿음부(42)가 벨트(36)의 걸침부(38)를 외측으로 눌러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하면, 걸침부(38)의 길이가 증가하고, 걸침부(37)의 길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36)가 이동하면, 하측 풀리(28)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하측 풀리(28)를 유지하는 전달축(26)도 A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축(26)의 회전에 의해 하부축 기어(24), 하부축(22)에 구동이 전달되어 가마(23)도 회전하기 때문에, 가마(23)가 재봉바늘(40)에 통과된 윗실에 의해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작용효과>
실시형태의 재봉기(1)에 따르면,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상부축(33)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면, 상측 풀리(35)가 회전하고, 벨트(36)를 통해 하측 풀리(28)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부축(33) 및 하부축(22)은 모두 회전하고, 바늘대(39)는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가마(23)는 구동하여 재봉바늘(40)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휘감게 할 수 있다.
이때, 벨트(36)는 유지판(43)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꿈으로써,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텝핑 모터(44)에 의해 유지판(43)을 걸침부(37, 38)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지판(43)에 유지된 2개의 맞닿음 부(41, 42)도 유지판(43)과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2개의 맞닿음부(41, 42)는 2개의 걸침부(37, 38)를 편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37, 38)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41, 42)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37, 38)는 맞닿음부(41, 42)에 접촉하면서 맞닿음부(41, 42)를 따르도록 이동한다. 이때, 2개의 걸침부(37, 38) 중, 한쪽의 걸침부(38)는 맞닿음부(42)에 눌려져 길어지고, 다른쪽의 걸침부(37)는 짧아진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어,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가마(23)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37, 38)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 만으로 가마(23)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텝핑 모터(44)의 정회전, 역회전을 전환함으로써, 유지판(43)의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마(23)가 윗실을 붙잡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도 있고 늦출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4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 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치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5)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부축(33)의 회전속도에 따라 스텝핑 모터(4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재봉기의 구성>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0)는 윗실에 밑실을 얽는 가마 대신에 루퍼를 설치한 것이다. 재봉기(10)는 베드부(15)와, 상기 베드부(15)의 안쪽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몸체부(16)와, 몸체부(16)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베드부(15)에는 재봉기 모터(61)가 설치되고, 상기 재봉기 모터(61)의 출력축에는 하부축(62)이 연결되어 있다. 하부축(62)에는 실을 바싹 옆으로 대는 스프레더 구동 캠(63)이나 루퍼를 구동시키는 루퍼 구동 캠(64)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축(62)의 일단부 근방에서는 하부축(62)이 축받이(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하부축(62)의 일단부에는 하측 풀리(65)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더 구동 캠(63)에는, 스프레더 구동레버(80)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 록 설치되어 있다. 스프레더 구동레버(80)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서 핀(82)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프레더 구동레버(80)의 선단에는 스프레더(도시생략)를 지지하는 스프레더 구동축(83)이 설치되어 있다.
루퍼 구동 캠(64)에는 루퍼 구동레버(81)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루퍼 구동 캠(64)은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서 핀(84) 등에 의해 회동(回動)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퍼 구동레버(81)의 선단에는 루퍼(도시생략)를 지지하는 루퍼 구동축(85)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17)에서의 하측 풀리(65)의 상방에는 상측 풀리(66)가 설치되고, 하측 풀리(65)와 상측 풀리(66)에는 벨트(67)가 걸쳐져 있다. 이에 따라,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축(62) 및 하측 풀리(65)의 구동을 상측 풀리(66)에 전달할 수 있다. 상측 풀리(66)는 상부축(68)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축(68)의 타단에는 상부축(68)의 회전을 바늘대(70)에 전달하는 전달기어(71)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축(68)은 그 양단이 축받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축(68)은 그 축선이 하부축(62)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달기어(71)에는 복수의 캠이나 기어가 맞물려 있으며, 그 선단에는 바늘대(7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대 구동레버(72)가 연결되어 있다. 바늘대 구동레버(72)에는 바늘대(70)가 재봉기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재봉기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70)가 상하로 이동한다. 바늘대(70)의 하단에는 재봉바늘(73)이 유지되어 있다. 바늘대(70)에 설치된 재봉바늘(73)은 루퍼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67)가 걸쳐져 있는 하측 풀리(65)와 상측 풀리(66)의 사이에는, 하측 풀리(65)와 상측 풀리(66)를 연결하는 걸침부(91, 92)의 길이의 비를 바꾸는 길이 비 가변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비 가변기구(6)는 2개의 걸침부(91, 92)를 펼친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맞닿음부(101, 102)와, 2개의 맞닿음부(101, 102)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유지판(103)과, 유지판(103)을 걸침부(91, 9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의 스텝핑 모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재봉기 모터(61)의 상방에는 스텝핑 모터(104)가 설치되어 있다. 스텝핑 모터(104)의 출력축(104a)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의 표면에 나선형상의 홈(105a)이 형성된 캠(105)이 설치되어 있다.
유지판(103)은 한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재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유지판(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10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03a)에는 몸체부(16)에 고정된 핀(P2)이 삽입되어 있으며, 유지판(103)은 긴 구멍(103a)이 연장되는 방향, 즉 유지판(10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판(103)은 그 길이방향이 상측 풀리(66)의 회전중심과 하측 풀리(65)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101, 102)는 유지판(103)의 캠(105)에 대향하는 면측의 이면측에서의 긴 구멍(103a)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101, 102)는 상측 풀리(66)와 하측 풀리(65)에 걸쳐진 벨트(67)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위치에 설치되며, 벨트(67)가 걸쳐짐으로써 벨트(67)가 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67)를 편 상태에서 상측 풀리(66)와 하측 풀리(65)에 걸치기 위해, 벨트(67)는 4개의 안내롤러(106)에 의해 유지판(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쳐지도록 안내되어 있다.
유지판(103)의 캠(105)에 대향하는 면측에서의 상측 풀리(66)와 하측 풀리(65)의 사이에는, 캠(105)의 캠 홈(105a)에 끼워 넣는 돌기(103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03b)는 캠 홈(105a)의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캠(105)이 스텝핑 모터(10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 돌기(103b)가 회전하는 캠(105)의 캠 홈(105a)으로 안내되어 움직여, 유지판(103)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유지판(103)의 슬라이딩 이동량은 스텝핑 모터(104)에 의한 캠(105)의 회전량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캠(105)의 회전량은 제어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7)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CPU(111)와, 처리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RAM(112)과,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봉제 데이터(113d)를 기억하는 ROM(1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봉제 데이터(113d)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시의 상부축(68)의 회전속도 등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장치(7)에는 재봉기 모터(61), 스텝핑 모터(104)가 접속되고, 각 모터(61, 104)는 제어장치(7)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제어장치(7)에는 재봉기 페달의 밟기량을 검출하는 밟기센서(114)가 접속되어 있고, 재봉기 페달의 밟기량에 따른 검출신호(출력)를 밟기센서(114)가 제어장치(7)에 송신한다.
<길이 비 가변기구의 동작>
길이 비 가변기구(6)에 의한 2개의 걸침부(91, 92)의 길이 비를 바꾸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제시에 2개의 걸침부(91, 92)의 길이 비를 변경할 때에는, CPU(111)는 봉제 데이터(11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CPU(111)는 봉제 데이터(113d)로부터 판독된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10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104)를 회전시킨다.
봉제 데이터(11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 대신에, 페달의 밟기량을 밟기센서(114)로 검출하고, 이 검출출력에 따라 CPU(111)가 스텝핑 모터(10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104)를 회전시켜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104)를 구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그 출력축(104a)에 부착된 캠(105)도 출력축(104a)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캠(105)의 회전에 따라, 캠(105)에 형성된 캠 홈(105a)도 회전하기 때문에, 캠 홈(105a)에 끼워 넣은 돌기(103b)도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105a)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돌기(103b)는 유지판(103)에 형성된 긴 구멍(103a)에 의해 유지판(103)의 길이방향 이외의 이동이 저지되고, 돌기(103b)가 형성된 유지판(103)은 그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유지판(103)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지판(103)에 형성된 2개의 맞닿음부(101, 102)도 유지판(103)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예컨대 맞닿음부(102)가 벨트(67)의 걸침부(92)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하면, 걸침부(92)의 길이가 증가하고, 걸침부(91)의 길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91, 92)의 길이 비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67)가 이동하면, 하측 풀리(65)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하측 풀리(65)를 유지하는 하부축(62)도 B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축(62)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더 구동 캠(63)이나 루퍼 구동 캠(64)이 구동하며, 스프레더나 루퍼를 구동시키기 위해, 루퍼가 재봉바늘(73)에 통과된 윗실에 의해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작용효과>
실시형태의 재봉기(10)에 따르면,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하부축(62)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면, 하측 풀리(65)가 회전하고, 벨트(67)를 통해 상측 풀리(66)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부축(68) 및 하부축(62)은 모두 회전하고, 바늘대(70)는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루퍼는 구동하여 재봉바늘(73)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휘감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벨트(67)는 유지판(103)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91, 92)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침부(91, 92)의 길이의 비를 바꿈으로써,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65)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 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텝핑 모터(104)에 의해 유지판(103)을 걸침부(91, 9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지판(103)에 유지된 2개의 맞닿음부(101, 102)도 유지부(103)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2개의 맞닿음부(101, 102)는 2개의 걸침부(91, 92)를 편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91, 92)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101, 102)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91, 92)는 맞닿음부(101, 102)에 접촉하면서 맞닿음부(101, 102)를 따르도록 이동한다. 이때, 2개의 걸침부(91, 92) 중, 한쪽의 걸침부(92)는 맞닿음부(102)에 눌려 길어지고, 다른쪽의 걸침부(91)는 짧아진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91, 92)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으며,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6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상측 풀리(66)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루퍼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루퍼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91, 92)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 만으로 루퍼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루퍼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텝핑 모터(104)의 정회전, 역회전을 전환함으로써, 유지판(103)의 이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루퍼가 윗실을 붙잡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도 있고 늦출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7)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10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6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상측 풀리(66)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7)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부축(68)의 회전속도에 따라 스텝핑 모터(10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6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6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상측 풀리(66)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루퍼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서의 재봉기(20)는, 실시형태 1에서의 재봉기(1)의 길이 비 가변기구(4)를 길이 비 가변기구(8)로 바꾼 것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3에서는 기구가 다른 길이 비 가변기구(8)에 대해 설명하고, 기타 공통되는 기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재봉기의 구성>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20)에 설치된 길이 비 가변기구(8)는, 재봉기 모터(31)의 하방에서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끼워지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를 연결하는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이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비 가변기구(8)는 2개의 걸침부(37, 38)를 가압하는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37, 38)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맞닿음부(121, 122)와, 2개의 맞닿음부(121, 122)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유지판(123)과, 유지판(123)을 걸침부(37, 38)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의 스텝핑 모터(124)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판(123)은 대략 T자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스텝핑 모터(124)의 출력축(124a)에 연결되어 있다.
유지판(123)의 다른 2개의 단부에는 긴 구멍(123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123a)은 스텝핑 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유지판(123)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이동궤적을 따르도록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123a)에는 몸체부(12)에 고정된 핀(P3)이 삽입되어 있으며, 유지판(123)은 긴 구멍(123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121, 122)는, 유지판(123)의 이면측에서의 긴 구멍(123a)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맞닿음부(121, 122)는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걸쳐진 벨트(36)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위치에 형성되며, 벨트(36)가 걸쳐짐으로써 벨트(36)가 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36)를 편 상태로 상측 풀리(35)와 하측 풀리(28)에 걸치기 위해, 벨트(36)는 4개의 안내롤러(126)에 의해 유지판(123)의 다른 2개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따른 유지판(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쳐지도록 안내되어 있다.
<길이 비 가변기구의 동작>
길이 비 가변기구(8)에 의한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바꾸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제시에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변경할 때에는, CPU(51)는 봉제 데이터(5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CPU(51)는 봉제 데이터(53d)로부터 판독된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12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124)를 회전시킨다.
봉제 데이터(53d)에 기억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관한 데이터 대신에, 페달의 밟기량을 밟기센서(54)로 검출하고, 이 검출출력에 따라 CPU(51)가 스텝핑 모터(124)의 회전각도를 구하여, 구해진 각도만큼 스텝핑 모터(124)를 회전시켜도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핑 모터(124)를 구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그 출력축(124a)에 부착된 유지판(123)도 출력축(124a)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유지판(123)의 회전에 따라, 유지판(123)에 형성된 2개의 맞닿음부(121, 122)도 유지판(123)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예컨대, 맞닿음부(122)가 벨트(36)의 걸침부(38)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하면, 걸침부(38)의 길이가 증가하고, 걸침부(37)의 길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 비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36)가 이동하면, 하측 풀리(28)는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하측 풀리(28)를 유지하는 전달축(26)도 C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축(26) 의 회전에 따라 하부축 기어(24), 하부축(22)에 구동이 전달되어 가마(23)도 회전하므로, 가마(23)가 재봉바늘(40)에 통과된 윗실에 의해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작용효과>
실시형태 3에서의 재봉기(20)에 따르면,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상부축(33)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면, 상측 풀리(35)가 회전하고, 벨트(36)를 통해 하측 풀리(28)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부축(33) 및 하부축(22)은 모두 회전하고, 바늘대(39)는 상하로 이동하는 동시에 가마(23)는 구동하여 재봉바늘(40)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휘감게 할 수 있다.
이때, 벨트(36)는 유지판(123)의 회전에 따라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꿈으로써,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텝핑 모터(124)에 의해 유지판(123)을 걸침부(37, 38)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지판(123)에 유지된 2개의 맞닿음부(121, 122)도 유지판(123)과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2개의 맞닿음부(121, 122)는 2개의 걸침부(37, 38)를 가압하는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37, 38)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121, 122)의 이동에 의해 2개의 걸침부(37, 38)는, 맞닿음부(121, 122)에 접촉하면서 맞닿음부(121, 122)를 따르도록 이동한다. 이때, 2개의 걸침부(37, 38) 중, 한쪽의 걸침부(38)는 맞닿음부(122)에 눌려 길어지고, 다른쪽의 걸침부(37)는 짧아진다.
이에 따라, 2개의 걸침부(37, 38)의 길이의 비를 바꿀 수 있으며,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에는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 가마(23)의 회전지연에 의해 생기는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였으나, 2개의 걸침부(37, 38)에 외력을 부여하여 길이의 비를 바꾸는 것만으로 가마(23)가 윗실 루프를 포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윗실과 밑실을 얽는 타이밍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애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텝핑 모터(124)의 정회전, 역회전을 전환함으로써, 유지판(123)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마(23)가 윗실을 붙잡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도 있고 늦출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스텝핑 모터(12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부축(33)의 회전 속도에 따라 스텝핑 모터(124)의 구동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재봉기 모터(31)에 의해 구동하는 상측 풀리(35)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하측 풀리(28)의 회전 타이밍을 봉제중에 적 절히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피봉제물의 두께나 봉제속도가 바뀔 때마다 일부러 재봉기를 멈추고 가마(23)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져 봉제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기타>
또,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피봉제물의 천 두께를 ROM에 기억된 봉제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천 두께 센서를 설치하여 천 두께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페달의 밟기에 따라 봉제속도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봉제속도를 ROM에 기억된 봉제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재봉기 모터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봉제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한, 재봉기의 상부축에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의 신호에 따라 봉제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한, 피봉제물의 천 두께 또는 봉제속도에 따라 스텝핑 모터의 회전량을 결정하고 있지만, 피봉제물의 천 두께와 봉제속도를 모두 고려하여 스텝핑 모터의 회전량을 결정해도 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재봉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재봉기의 내부구조를 몸체부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길이 비 가변기구에 의해 걸침부의 길이 비를 바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서의 재봉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서의 재봉기의 내부구조를 몸체부측으로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서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서의 길이 비 가변기구에 의해 걸침부의 길이 비를 바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서의 재봉기의 내부구조를 몸체부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서의 길이 비 가변기구에 의해 걸침부의 길이 비를 바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기 4 : 길이 비 가변기구
5 : 제어장치(구동제어수단) 6 : 길이 비 가변기구
7 : 제어장치(구동제어수단) 8 : 길이 비 가변기구
10 : 재봉기 20 : 재봉기
23 : 가마(실 포착수단) 28 : 하측 풀리(하부축 회전부)
31 : 재봉기 모터(구동원) 33 : 상부축
35 : 상측 풀리(상부축 회전부) 36 : 벨트(구동전달부)
37 : 걸침부 38 : 걸침부
39 : 바늘대 40 : 재봉바늘
41 : 맞닿음부 42 : 맞닿음부
43 : 유지판(유지부) 44 : 스텝핑 모터(구동부)
61 : 재봉기 모터(구동원) 65 : 하측 풀리(하부축 회전부)
66 : 상측 풀리(상부축 회전부) 67 : 벨트(구동전달부)
68 : 상부축 70 : 바늘대
73 : 재봉바늘 91 : 걸침부
92 : 걸침부 101 : 맞닿음부
102 : 맞닿음부 103 : 유지판(유지부)
104 : 스텝핑 모터(구동부) 121 : 맞닿음부
122 : 맞닿음부 123 : 유지판(유지부)
124 : 스텝핑 모터(구동부)

Claims (5)

  1.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부축과,
    상기 재봉바늘에 통과된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실 포착수단과,
    상기 실 포착수단을 구동시키는 하부축과,
    상기 상부축 또는 상기 하부축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원과,
    상기 상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부축 회전부와,
    상기 하부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하부축 회전부와,
    상기 상부축 회전부와 상기 하부축 회전부에 환형으로 걸쳐지며, 상기 상부축 회전부와 상기 하부축 회전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걸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일방의 회전부의 회전구동을 타방의 회전부에 전달하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구동전달부와,
    상기 2개의 걸침부를 편 상태에서 상기 2개의 걸침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2개의 맞닿음부와,
    상기 걸침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맞닿음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벨트의 외측면에 걸림결합하며, 상기 벨트를 상기 유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걸쳐지도록 안내하는 4개의 안내롤러와,
    상기 유지부를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안내롤러는, 상기 유지부를 끼우고 상기 2개의 걸침부의 각각에 2개씩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2개의 걸침부를 끼우고 상기 2개의 맞닿음부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며,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2개의 걸침부의 길이의 비를 가변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재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재봉기 몸체부에 고정된 핀이 삽입된 긴 구멍이 형성되고, 긴 구멍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피봉제물의 봉제시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부여되는 상기 상부축 또는 상기 하부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70066938A 2006-07-05 2007-07-04 재봉기 KR101384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85694 2006-07-05
JP2006185694A JP5084190B2 (ja) 2006-07-05 2006-07-05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88A KR20080004388A (ko) 2008-01-09
KR101384715B1 true KR101384715B1 (ko) 2014-04-14

Family

ID=3895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938A KR101384715B1 (ko) 2006-07-05 2007-07-04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84190B2 (ko)
KR (1) KR101384715B1 (ko)
CN (1) CN101100793B (ko)
DE (1) DE10200703107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143A (ja) * 2008-03-25 2009-10-08 Juki Corp ミシン
JP2010115359A (ja) * 2008-11-13 2010-05-27 Brother Ind Ltd ミシンの釜駆動機構
JP5759180B2 (ja) * 2011-01-04 2015-08-05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2251356B (zh) * 2011-07-28 2013-04-03 中屹机械工业有限公司 缝纫机刺布勾线装置
JP6001424B2 (ja) * 2011-12-26 2016-10-05 Juki株式会社 ミシン
DE102012206208A1 (de) * 2012-04-16 2013-10-17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6392551B2 (ja) * 2014-06-06 2018-09-1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6557026B2 (ja) * 2015-02-26 2019-08-07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US10099313B2 (en) 2015-08-07 2018-10-16 Apci, Llc Linear friction welding system with phase change assembly
TWI706063B (zh) * 2015-09-18 2020-10-01 日商重機股份有限公司 縫紉機
CN105442204A (zh) * 2015-12-16 2016-03-30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
CN106012348A (zh) * 2016-07-29 2016-10-12 成都卡美多鞋业有限公司 鞋面缝制机
JP2022071261A (ja) * 2020-10-28 2022-05-16 株式会社ジャノメ ミシ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991A (ja) * 1982-10-06 1984-04-17 ジャガー株式会社 ミシン
JPH08318071A (ja) * 1995-05-25 1996-12-03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158B2 (ja) * 1998-06-04 2008-10-08 Juki株式会社 上軸直接駆動ミシン
JP2000308784A (ja) * 1999-04-28 2000-11-07 Juki Corp サイクルミシン
JP2000317170A (ja) 1999-05-07 2000-11-21 Juki Corp ミシン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991A (ja) * 1982-10-06 1984-04-17 ジャガー株式会社 ミシン
JPH08318071A (ja) * 1995-05-25 1996-12-03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0793B (zh) 2012-08-29
JP2008012050A (ja) 2008-01-24
KR20080004388A (ko) 2008-01-09
DE102007031072B4 (de) 2022-02-24
CN101100793A (zh) 2008-01-09
JP5084190B2 (ja) 2012-11-28
DE102007031072A1 (de)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15B1 (ko) 재봉기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JPH02198586A (ja) ミシンにおける布端の振れ修正装置
JP6502699B2 (ja) ミシン
JP5940307B2 (ja) 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JP2009219780A (ja) 二本針ミシン
JP2006116290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6045392B2 (ja) ミシン
CN109371586A (zh) 针对缝料薄厚自动调整收线的缝纫机及其调整收线方法
EP2615199B1 (en) Buttonholing machine
JP4395445B2 (ja) ミシン
JP605991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
JPH05295648A (ja) 飾り付けミシン
US3844234A (en) Work clamp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H03227439A (ja) 編機のプランジャ針制御装置
JP2010104780A (ja) ミシン
KR101235243B1 (ko) 재봉기의 오프너장치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JPH1043455A (ja) 鎖縫ミシン用縫合糸制御装置
JP3210647U (ja) 4本針6本糸ミシンにおける前後送り歯の自動ピッチ調整装置
KR101360894B1 (ko) 침송 재봉기
JPS6060895A (ja) ボビンに下糸を巻取る方法
JP2016202723A (ja) ミシン
US6205939B1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JP3693139B2 (ja) ミシンの半回転釜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