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94B1 - 침송 재봉기 - Google Patents

침송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894B1
KR101360894B1 KR1020070129814A KR20070129814A KR101360894B1 KR 101360894 B1 KR101360894 B1 KR 101360894B1 KR 1020070129814 A KR1020070129814 A KR 1020070129814A KR 20070129814 A KR20070129814 A KR 20070129814A KR 101360894 B1 KR101360894 B1 KR 10136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eed
sewing
horizontal
upp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693A (ko
Inventor
신지로 카도와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0Work-feeding means constituted by sewing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8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05B57/143Vertical axi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실의 끌어올림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톱니(51)는, 수평 북집(43)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인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따기부(53)를 구비한다. 모따기부(53)는, 적어도 바늘구멍(52)의 중심(P)을 지나며 이송방향을 따르는 선(L)보다 수평 북집(43)과 반대쪽에 경사가 개시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는,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곡선형상 또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톱니에 모따기부(5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송톱니(51)의 수평 북집(43)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대하여 윗실(T)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령 윗실(T)이 개구부(14)로부터 바늘판(13) 상으로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이송톱니(51)에 윗실(T)이 걸리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침송 재봉기{NEEDLE FEED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늘이 이송톱니와 협동하여 피봉제물을 이송시키는 침송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송(針送) 재봉기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바늘(121)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천 이송방향을 따라 요동함으로써 피봉제물인 천을 이송시키는 침송기구와, 재봉바늘(121)의 상승개시시에 바늘판(113)의 아래에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획하여 밑실과 얽어 봉제를 수행하는 수평 북집(143)과, 재봉바늘(121)을 통과시키는 바늘구멍(152)을 가지며 바늘판(113)에 형성된 개구부(114)로부터 출몰하는 이송톱니(151)에 의해 재봉바늘(121)에 동조하여 천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하(下)이송기구를 구비한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재봉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침송기구와 하(下)이송기구를 동조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재봉바늘(121)이 천을 하방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이송톱니(151)와 협동하여 이송방향 하류측을 향해 천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7-136363호
그런데, 이송톱니(151)는 바늘판(113)의 하방에서 타원궤도형상으로 이송동작하며, 그 타원궤도의 상사점 부근에서 바늘판(113)의 개구부(114)로부터 상방으로 출몰함으로써 천에 대해 반송력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바늘판(113)의 개구부(114)와 이송톱니(151)의 사이에는 틈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봉제속도가 고속이 됨에 따라 수평 북집(143)에 포획되고 그 수평 북집(143)을 빠져나온 윗실(T)이 관성력에 의해 상기 틈으로부터 바늘판(113)의 상측으로 방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방출된 윗실(T)은, 재봉바늘(121)의 상승에 동기하여 실채기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틈으로부터 다시 바늘판(113) 아래로 이끌려 복귀된 후, 이송톱니(151)의 하방으로부터 바늘구멍(152)을 통해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재봉기에서는, 이송톱니(151)와 바늘판(113)의 개구부(114)간의 틈으로부터 상방으로 방출된 윗실 루프가, 이송톱니(151)의 이송방향 하류측의 모서리부에 걸려 포획되는 경우가 있어(도 9 참조), 실채기에 의해 윗실(T)을 끌어올리는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윗실(T)이 절단되거나 엉키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적정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윗실의 끌어올림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요동과 상하이동을 수행하는 재봉바늘(21)에 의해, 바늘판(13) 상에 재치(載置)된 피봉제물을 찌른 상태로 이송시키는 침송(針送)기구(20)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승개시시에 바늘판 아래에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획하여 밑실과 얽어 봉제를 수행하는 수평 북집(43)과, 상기 재봉바늘을 통과시키는 바늘구멍(52)을 가지며 상기 바늘판에 형성된 개구부(14)로부터 출몰하는 이송톱니(51)에 의해 상기 재봉바늘에 동조하여 상기 피봉제물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하(下)이송기구(50)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톱니는, 적어도 상기 수평 북집쪽의 가장자리부와 이송방향 하류측의 가장자리부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따기부(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송 재봉기이다.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바늘구멍의 중심을 지나며 이송방향을 따르는 선(L)보다 상기 수평 북집과 반대쪽에서 모따기가 개시되어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곡선형상 또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이송톱니의 단부와 그 내각(內角)이 둔각을 이루는 직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침송기구에 의해 피봉제물은 재봉바늘이 꽂힌 상태로 이송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침송기구와 동조하는 하(下)이송기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피봉제물에 대해 반송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재봉바늘과 수평 북집에 의해 윗실과 밑실을 얽어 바늘땀이 형성된다. 이 때, 이송톱니가 수평 북집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인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송톱니의 수평 북집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의 단부에 대하여 윗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설령 상기 이송톱니에서의 수평 북집쪽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인 모따기부로 윗실이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윗실이 이송톱니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기 때문에 이송톱니에 윗실이 걸리는 일이 없다.
이로써, 수평 북집에 의해 밑실과 얽힌 윗실 루프가 상기 수평 북집으로부터 벗어난 후, 관성력에 의해 이송톱니와 개구부 사이의 틈을 통해 바늘판 상으로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그 후에 재봉바늘의 상승에 따라 윗실이 끌어 올려질 때에는, 이송톱니에서의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대해 윗실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바늘구멍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윗실을 원활히 끌어올릴 수가 있다. 따라서, 윗실의 끌어올림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모따기부가, 적어도 바늘구멍의 중심을 지나며 이송방향을 따르는 선보다 수평 북집과 반대쪽에서 모따기가 개시됨에 따라, 이송톱니에서의 수평 북집쪽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대하여 윗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외에, 특히 모따기부가, 외측으로 팽창된 곡선형상 또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톱니에서의 수평 북집쪽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대하여 윗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윗실을 끌어올리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외에, 특히 모따기부가, 이송톱니의 단부와 그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직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이송톱니에서의 수평 북집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예각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상기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 대하여 윗실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 한정이 부여되어 있으나,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실시형태 및 도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도면에 나타낸 XYZ축을 기준으로 하여 재봉기(1)의 각 부의 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한다. 재봉기(1)를 수평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Z축 방향은 연직방향이 되는 상하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아암부(11)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X축 방향은 수평이면서 Y축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나타낸다.
(전체구성)
본 실시형태의 침송 재봉기(이하, 단순히 '재봉기(1)'라 한다)는, 재봉바늘(21)에 의해 두꺼운 피봉제물을 찌른 채로 요동시킴으로써 가령, 겹쳐박기를 할 때, 상하의 천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下)이송톱니(51)와 협동하여 천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며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이다.
이러한 재봉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테이블(도시생략)의 상면에 배치된 재봉기 프레임(10)과, 상기 재봉기 프레임(10) 내에 설치되며 요동과 상하이동을 수행하는 재봉바늘(21)에 의해 바늘판(13)상에 재치(載置)된 피봉제물인 천을 찔러 이송시키는 침송(針送)기구(20)와, 재봉바늘(21)의 상승시에 윗실(T)을 끌어올려 바늘땀을 체결하는 실채기 기구(30)와, 재봉바늘(21)의 상승개시시에 바늘판(13) 아래에 형성되는 윗실(T)의 루프를 포획하여, 밑실과 얽어 봉제를 수행하는 수평 북집(43)을 구비한 북집기구(40)와, 재봉바늘(21)을 통과시키는 바늘구멍(52)을 가지며 바늘판(13)에 형성된 개구부(14)로부터 출몰하는 이송톱니(51)에 의해 재봉바늘(21)에 동조하여 천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하(下)이송기구(5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각 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재봉기 프레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프레임(10)은, 상기 재봉기 프레임(10)의 하부를 이루며 재봉기 테이블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이어 존재하는 베드부(12)와, 상기 베드부(12)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치된 세로몸체부(도시생략)와, 세로몸체부의 상부로부터 베드부(1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나와 상기 재봉기 프레임(10)의 상부를 이루는 아암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형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コ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아암부(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모터에 연결된 상축(주축 ; 2)이 상기 아암부(11) 내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축(2)은, 도시되지 않은 풀리와 세로몸체부 내에 설치된 벨트를 통해, 베드부(12) 내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축(3, 도 4 참조)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드부(12)의 선단(타단)에는, 개구부(14)를 갖는 바늘판(13)이 상기 베드부(12)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4)는, 긴 변이 천 이송방향(X축 방향)을 따르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후술하는 이송톱니(51)에 의해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이송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바늘판(13)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북집기구(40)의 내측 북집(45)에 설치된 내측 북집 돌기부(45a)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내측 북집(45)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부(13a)가, 천 이송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소정의 틈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침송기구)
침송기구(20)는, 재봉바늘(21)을 지지하는 바늘대(22)에 왕복 상하이동을 부여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바늘대(22)에 요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재봉바늘(21)의 하단을 천 이송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바늘 요동기구를 구비한다.
바늘 상하이동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축(2)의 선단에 고정된 회전추(23)와, 회전추(23)의 편심부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크랭크 로드(24)를 구비한다. 크랭크 로드(24)의 하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바늘대 홀더를 통해 바늘대(2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바늘대(22)의 하단에는 재봉바늘(21)이 지지되어 있으며, 재봉바늘(21)의 하단부에는 바늘구멍(21a,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늘구멍(21a)에는, 도시되지 않은 윗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윗실(T)이 삽입 통과되어있다. 그리고, 재봉기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축(2)이 회전하면, 그 회전이 회전추(23) 및 크랭크 로드(24)를 통해 상하이동으로 변환되어 바늘대(22)에 전달됨으로써, 바늘대(22) 및 재봉바늘(21)이 왕복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바늘 요동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11) 내에서 상축(2)과 평행하게 설치된 바늘대 요동축(25)을 구비한다. 상기 바늘대 요동축(25)에는, 베드부(12) 내에 설치되며 하축(3) 및 상축을 통해 재봉기모터와 연동하는 수평이송축(56)(도 4 참조)으로부터, 세로몸체부 내에 설치된 연결로드(도시생략)를 통해 회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침송기구(20)는 이들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바늘 요동기구를 동조시킴으로써, 재봉바늘(21)을 천에 찌른 채로 이송방향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침송동작을 수행한다.
(실채기 기구)
실채기 기구(30)는, 상술한 바늘 상하이동기구에 병설(倂設)되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요동하여 윗실(T)을 끌어올리는 실채기(31)와, 상축(2)의 회전구동을 왕복요동동작으로 변환시켜 실채기(31)에 전달하는 실채기 크랭크(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실채기 기구(30)는 상축(2)으로부터 실채기(31)로 상하요동의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실채기(31)를 재봉바늘(21)의 상하이동과 동기시킨다. 또한, 상기 실채기(31)의 상사점은, 재봉바늘(21)의 상사점보다 약간 위상이 늦어지도록(가령, 60 내지 70°)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축(2)의 회전에 따라 재봉바늘(21)이 상하로 구동되면, 상기 실채기(31)에 의해 윗실(T)이 끌어 올려져 바늘땀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북집기구)
북집기구(4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부(12) 내의 선단측에 설치된 북집축대(hook shaft base ; 41)와, 북집축대(41)의 내부에서 Z축 방향(상하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북집축(42)과, 상기 북집축(42)에 축지지됨으로써 수평면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수평 북집(43)을 구비한다.
수평 북집(43)은 북집축(42)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외측 북집(44)과, 상기 외측 북집(44)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밑실 공급용 보빈이 장비되는 내측 북집(45)을 구비한다.
외측 북집(44)은 평면에서 볼 때 시계방향(도 2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외측 북집(44)의 외주에는, 외측을 향해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회전방향(화살표 A 방향)의 전방을 향해 끝이 날카롭게 형성된 칼끝(44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기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축(2) 및 하축(3)이 회전하면, 북집축 기어(46)를 통해 북집축(42)이 회전하여 외측 북집(44)이 회전한다. 이로써, 상기 수평 북집(43)과 재봉바늘(21)의 협동에 의한 바늘땀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외측 북집(44)은 상축(2) 및 하축(3)에 대하여 2배의 속도로 회 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下)이송기구)
하(下)이송기구(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접하여 반송력을 부여하는 이송톱니(51)와, 이송톱니(51)를 지지하는 이송토대(55)와, 이송톱니(51)에 수평방향의 이송동작을 부여하기 위한 수평 이송축(56)과, 이송톱니(51)에 상하방향의 요동동작을 부여하기 위한 편심 캠(57)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톱니(5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북집(43)에 대하여 천 이송방향 측방, 상세하게는 수평 북집(43)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천 이송방향과의 직교선 상에 후술하는 바늘구멍(52)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송토대(55)는, 하부의 일단(도 4의 좌측단부)이 대략 コ형상인 캠 끼움결합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캠 끼움결합부에는 하축(3)에 고정된 편심 캠(57)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축(3)의 회전에 따라 편심 캠(57)이 회전하면, 이송톱니(51)에 상하방향의 요동이 부여된다. 한편, 이송토대(55)의 타단(도 4의 우측단부)은, 상기 캠 끼움결합부와 반대쪽의 수평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수평 이송축(56)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이송아암(56a)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수평이송축(56)은 베드부(12) 내에서 하축(3)과 평행하면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평이송축(56)의 타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요동아암에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로드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로드의 타단에는 하축(3)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편심 캠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축(3)의 회전에 따라 편심 캠이 회전하면, 이송로드 및 요동아암을 통해 수평이송축(56)에 회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수평이송축(56)이 회동하면, 수평이송아암(56a)으로부터 이송토대(55)를 통해 이송톱니(51)에 수평방향의 이송동작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下)이송기구(50)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량 조절기구에 의해 한 바늘당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바늘땀 길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하(下)이송기구(50)는 도시되지 않은 역 이송 레버를 통한 전환조작에 의해, 정방향(화살표 B방향)과 역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51)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톱니(51)는, 평면에서 볼 때 천 이송방향을 따라 긴 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며, 수평 북집(43)에서 먼 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거의 수직으로 구부러진 측벽의 하부가 이송토대(55)의 상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이송톱니(51)의 상면에는,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Y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톱니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톱니(51)의 거의 중앙부에는 재봉바늘(21)을 상하로 관통시키는 바늘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바늘구멍(52)은 이송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구멍으로서, 침송동작에 수반하는 재봉바늘(21)의 기울기의 변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51)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늘구멍(52)의 천 이송방향 전후에 위치하는 전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수평 북집(43)쪽의 측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서, 각 단 가장자리부의 모서리부를 각각 원호형상으로 절단한 모따기부(53)를 갖는다. 상기 모따기부(53)는, 바늘구멍(52)의 중심, 즉 재봉바늘(21)이 수직으로 낙하할 때의 바늘낙하중심(P)을 지나며 이송방향을 따르는 선(L, 도 5(b) 참조)보다 수평 북집(43)과 반대쪽에서 모따기가 개시된다. 상기 모따기 개시부분(경사부)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곡선형상 또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경사부」란, 경사면의 집합으로서 직선형상부분 및 곡선형상부분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모따기부(53)는, 상기 바늘낙하중심(P)을 지나는 선(L)보다 수평 북집(42)과 반대쪽(가령, 선(L1) 위)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송톱니(51)는 수평 북집(43)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및 상류측의 단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이송톱니(51)로부터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도록 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동작설명)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침송 재봉기(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축(2)이 회전하면, 침송기구(20)와 하(下)이송기구(50)의 협동에 의해, 재봉바늘(21)이 천을 하방으로 관통한 채로 이송방향의 하류측(화살표 B방향)으로 요동하여 천이 반송된다. 이때, 수평 북집(43)의 외측 북집(44)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재봉바늘(21)의 상승개시시에 바늘판(13)의 하방에서 형성되는 윗실 루프가 외측 북집(44)의 칼끝(44a) 에 의해 포획된다. 더욱이 외측 북집(44)이 회전함에 따라, 외측 북집(44)에 의해 포획된 윗실(T)이 상기 외측 북집(44)을 한 바퀴 돌고 빠져나와, 이송방향 하류측에서 칼끝(44a)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도 3 참조). 그 후, 실채기(31)가 상사점을 향해 상승함에 따라 윗실(T)이 끌어 올려져 바늘땀이 체결된다.
여기서, 외측 북집(44)의 칼끝(44a)으로부터 벗어난 윗실(T)은, 관성력에 의해 개구부(14)로부터 바늘판(13)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재봉기(1)의 회전수가 고속(가령, 2000 내지 3000[rpm])이 됨에 따라 그 빈도는 높아진다. 또한, 이송톱니(51)는 상사점을 향해 상승할 때, 이송방향에 대해 하류측의 단부가 선단(전단)이 되어 바늘판(13)의 개구부(14)로부터 상승한다. 이 때문에, 상기 바늘판(13) 상으로 방출된 윗실(T)이 이송톱니(51)에서의 하류측의 단부에 접하여 닳게 되는데,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51)에 따르면, 이송방향 하류측의 단부인 모따기부(53)에는 모서리부가 없으면서 매끄러운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판(13)의 상방으로 방출된 윗실(T)이 걸리는 일이 없이 바늘판(13) 아래로 원활하게 이끌려 복귀되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실채기(31)의 끌어올림 동작에 수반하여 개구부(14)와 이송톱니(51)간의 틈으로부터 윗실(T)이 바늘판(13) 아래로 이끌려 복귀된 후, 바늘구멍(52)을 통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윗실(T)이 끌어 올려지게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에 따르면, 이송톱니(51)의 모서리부에 윗실(T)이 걸리는 일이 없어 원활한 봉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즉, 이송톱니(51) 에, 수평 북집(43)쪽의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 및 상류측의 각 단부인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따기부(53)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이송톱니(51)의 단부에 대하여 윗실(T)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설령 상기 이송톱니(51)의 모따기부(53)에 윗실(T)이 접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윗실(T)이 이송톱니(51)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므로, 상기 이송톱니(51)에 윗실(T)이 걸리는 일이 없으며, 실채기(31)에 의한 윗실(T)의 끌어올림 불량을 방지하여 원활한 봉제동작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톱니(51)에서의 수평 북집(43)쪽 가장자리부에서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단부 모두에 모따기부(53)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환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송방향을 역전시켰을 경우에도 상기 이송톱니(51)에 윗실(T)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기타)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침송기구(20)와 하(下)이송기구(50)에 의해 이송을 수행하는 침송 재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재봉바늘(21)을 천에 찌른 채로 이송톱니(51)와의 협동에 의해 하류측으로 이송시키는 재봉기라면, 그 밖의 재봉기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즉, 가령, 재봉바늘(21)의 상하이동과 요동에 의한 침송, 바늘판(13)의 하방측에서 타원궤도형상으로 이송운동하는 하(下)이송톱니(51)에 의한 하(下)이송, 그리고 바늘판(13)의 상방측에서 타원궤도형상으로 이송운동하는 상(上)이송 풋(foot)에 의한 상(上)이송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천을 이송시키는 총합송(總合送) 재봉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모따기부(53)는 본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송톱니(51)에서 의 수평 북집(43)쪽 가장자리부이자 이송방향 하류측의 단부를, 바늘구멍(52)의 중심(P)에 대하여 수평 북집(43)과 반대쪽(도 5(b)의 좌측)에 곡선부분의 개시점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령, 바늘구멍(52)의 중심(P)보다 수평 북집(43)쪽에, 모따기부(53)가 되는 원호형상의 곡선의 중심점을 갖도록 구성(즉, 곡선부분의 개시점을 갖는 구성)하여도 소정의 효과는 얻을 수가 있다. 이 경우, 바늘구멍(52)에서의 수평 북집(43)쪽의 단부, 즉, 도 5(b)에서의 바늘구멍(52)의 우측단부(상기 도면에서 1점쇄선(L2) 참조)보다 수평 북집(43)과 반대쪽(그 좌측)에 곡선부분의 개시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따기부(53)는 가령,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의 일부(53a)여도 무방하고, 도 8(b)와 같이 타원의 일부(53b)여도 무방하다.
또, 모따기부(53)는 이송톱니(51)의 단부와 그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직선을 따른 경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가령,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경사부(53c)여도 되고, 도 8(d)와 같이 삼각형의 경사부(53d)여도 된다.
또한, 모따기부(5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 이송방향의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의 단부에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가령, 주로 천 이송방향의 하류측이 되는 단부에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가령, 도 8(e) 내지 도 8(i)에 나타낸 모따기부(53e 내지 53i) 참조).
또, 모따기부(53)는, 이송톱니(51)의 구성상, 상기 이송톱니(51)에서의 수평 북집(43)쪽의 단부에 대해서만 윗실(T)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면 충분하 다. 즉, 이송톱니(51)에서의 수평 북집(43)과 반대쪽의 단부에는, 상기 이송톱니(51)를 지지하는 측벽이 있기 때문에, 상기 단부에 윗실(T)이 걸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이송톱니(51)에서의 수평 북집(43)과 반대쪽의 단부에는 모따기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가령, 바늘구멍(52)을 끼고 좌우의 반송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선(L)을 끼고 좌우로 모따기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바늘판(13)은 그 개구부(14)의 형상을 이송톱니(51)에 형성된 모따기부(53)의 형상에 맞출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이송톱니(51)와 바늘판(13)의 틈을 최소화할 수가 있어, 상기 개구부(14)로부터 하방(베드부(12) 내부)으로 천이 떨어지거나 천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침송 재봉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침송 재봉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와 수평 북집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와 그 주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이송톱니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수평 북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수평 북집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수평 북집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침송 재봉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그 밖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침송 재봉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기(침송 재봉기) 2 : 상축
3 : 하축 10 : 재봉기 프레임
11 : 아암부 12 : 베드부
13 : 바늘판 13a : 돌기부
14 : 개구부 20 : 침송(針送)기구
21 : 재봉바늘 21a : 바늘구멍
22 : 바늘대 23 : 회전추
24 : 크랭크 로드 30 : 실채기 기구
31 : 실채기 40 : 북집기구
41 : 북집축대(hook shaft base) 42 : 북집축(hook shaft)
43 : 수평 북집 44 : 외측 북집
44a : 칼끝 45 : 내측 북집
46 : 북집축 기어 50 : 하(下)이송기구
51 : 이송톱니 52 : 바늘구멍
53 : 모따기부 55 : 이송토대
56 : 수평이송축 57 : 편심 캠
T : 윗실 P : 바늘낙하중심(바늘구멍중심)

Claims (4)

  1. 요동과 상하이동을 수행하는 재봉바늘에 의해, 바늘판(13) 상에 재치(載置)된 피봉제물을 찌른 상태에서 이송시키는 침송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승개시시에 바늘판 아래에 형성되는 윗실 루프를 포획하여 밑실과 얽어 봉제를 수행하는 수평 북집과, 상기 재봉바늘을 통과시키는 바늘구멍을 가지며 상기 바늘판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출몰하는 이송톱니와, 상기 이송톱니를 상기 재봉바늘에 동조시켜 상기 피봉제물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반송력(搬送力)을 부여하는 하(下)이송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톱니는, 적어도 상기 수평 북집쪽의 가장자리부와 이송방향 하류측의 가장자리부가 교차하는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송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곡선형상 또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송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이송톱니의 단부와 그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직선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송 재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바늘구멍의 중심을 지나며 이송방향을 따르는 선보다 상기 수평 북집과 반대쪽에 있는 상기 이송톱니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송 재봉기.
KR1020070129814A 2006-12-14 2007-12-13 침송 재봉기 KR101360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6734A JP4913575B2 (ja) 2006-12-14 2006-12-14 針送りミシン
JPJP-P-2006-00336734 2006-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93A KR20080055693A (ko) 2008-06-19
KR101360894B1 true KR101360894B1 (ko) 2014-02-11

Family

ID=3946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814A KR101360894B1 (ko) 2006-12-14 2007-12-13 침송 재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3575B2 (ko)
KR (1) KR101360894B1 (ko)
CN (1) CN101205661B (ko)
CZ (1) CZ2007877A3 (ko)
DE (1) DE102007061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92035A (ja) 2021-12-21 2023-07-03 Juki株式会社 ミシン
KR102516458B1 (ko) * 2022-10-14 2023-04-04 이윤창 포대 재봉용 이송톱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078A (ja) * 1991-12-20 1993-07-20 Aisin Seiki Co Ltd 糸切りミシン用水平釜
JPH07136363A (ja) * 1993-09-27 1995-05-30 Juki Corp ミシンの送り機構
JP2002346269A (ja) 2001-05-23 2002-12-03 Juki Corp 環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894A (en) * 1967-05-05 1970-02-24 Ring Sidney B Hybrid kneader-feeder-cutter
DE19603294C1 (de) * 1996-01-30 1997-09-25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mit Obertransport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078A (ja) * 1991-12-20 1993-07-20 Aisin Seiki Co Ltd 糸切りミシン用水平釜
JPH07136363A (ja) * 1993-09-27 1995-05-30 Juki Corp ミシンの送り機構
JP2002346269A (ja) 2001-05-23 2002-12-03 Juki Corp 環縫いミシンの空環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5661B (zh) 2012-09-05
JP2008148733A (ja) 2008-07-03
DE102007061401A1 (de) 2008-07-03
CZ2007877A3 (cs) 2008-07-23
CN101205661A (zh) 2008-06-25
JP4913575B2 (ja) 2012-04-11
KR20080055693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933A (en) Cover thread assist member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JP2007282747A (ja) ミシン
JP2010075543A (ja) 偏平縫いミシン
KR101360894B1 (ko) 침송 재봉기
EP2615199B1 (en) Buttonholing machine
KR20080100638A (ko) 모터 직결식 재봉기의 이송 구조
JP4020692B2 (ja) 針送りミシン
JP2008178455A (ja) ミシンの糸切断装置
US4924788A (en) Hook timing arrangement for zig zag sewing machines
JP4782526B2 (ja) ミシン
KR101235243B1 (ko) 재봉기의 오프너장치
US5870960A (en) Looptaker driv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zig-zag sewing machines
JP2001187290A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糸案内装置
JP2009011595A (ja) ミシン
JP2009045460A (ja) ミシンの作動の間に生地を送るフィーダー
CN102162180B (zh) 用于操作缝纫机的方法和缝纫机
US2446150A (en) Loop-taker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5982124B2 (ja) ミシン
JP3673601B2 (ja) 縫い目およびその形成装置
JP5314980B2 (ja) 単環縫いミシンのルーパー装置
EP4202100A1 (en) Sewing machine
US2063995A (en) Ornamented loop-stitch sewing machine
JP2007029151A (ja) 環縫いミシン
JP2006346135A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におけるスパンコール縫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