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825B1 -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825B1
KR101377825B1 KR1020120084309A KR20120084309A KR101377825B1 KR 101377825 B1 KR101377825 B1 KR 101377825B1 KR 1020120084309 A KR1020120084309 A KR 1020120084309A KR 20120084309 A KR20120084309 A KR 20120084309A KR 101377825 B1 KR101377825 B1 KR 10137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elastic beam
shaped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138A (ko
Inventor
요이치 하시모토
타카오 야마우치
유마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사용 내구성을 높임과 아울러, 먼지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를 포함하는 양쪽 콘택트(12, 13)의 적어도 일방에 크랭크부(12a3)를 설치함과 아울러, 쌍방의 콘택트(12, 13)에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스팬 길이를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절결부(12d, 13d)와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절연 하우징(11)의 사이의 간극 S1, S2를 설치하여 콘택트(12, 13)의 탄성을 높이면서 가요성을 확보하고 콘택트(12, 13)의 영구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로 침입한 먼지를 크랭크부(12a3)를 따라 이동시켜 전기적인 도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SWITCH ATTACHED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가 감합됨으로써 이간 상태로 되는 한 쌍의 콘택트를 구비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등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예를 들면, 기기 내에 설치된 고주파 회로 등의 각종 전자 회로의 상태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소형회로 검사 스위치 등으로서 이용되는 것이지만, 하기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등에 개시된 회로 검사 스위치는, 기기 본체의 전자 회로를 분단하도록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당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삽입 구멍을 통해, 상대 커넥터로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의 프로브(probe)(검사바늘)가 상방측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절연 하우징의 외방측에, 그라운드(ground) 접속용의 도전성 쉘이 장착되어 있고, 이 도전성 쉘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기판 접속부가,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에 땜납 접합됨으로써 실장이 이루어져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는, 신호 전송용의 가동 콘택트와 고정 콘택트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가동 콘택트 및 고정 콘택트가, 기기 본체에 설치된 전자 회로(도시 생략)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의 프로브(검사바늘)의 선단 부분이, 대략 수평면 내에서 요동하는 상기 가동 콘택트의 자유단 부분을 밀어 열도록 압접하고, 이에 따라 가동 콘택트가 요동하여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간되어 본래의 전자 회로가 분단된다. 또, 이와 동시에 가동 콘택트(1)가 프로브의 하단 부분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기기 본체의 다른 전자 회로에 프로브가 도통 상태로 되어, 당해 프로브를 통해, 전자 회로로부터의 전기 신호가 외부로 취출됨으로써, 예를 들면 적당한 검사가 실행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의 프로브(검사바늘)가 반복 삽입되는 등에 의해, 콘택트에 영구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사용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사용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콘택트의 스팬을 길게 하여 탄성을 높이는 수단도 생각되고 있지만, 단지 콘택트를 길게 한 것만으로는 커넥터 전체가 대형화해 버려 근년의 소형화나 저배화(低背化)의 요청에 반하게 된다. 또, 사용 분위기 중에 존재하는 미소 티끌이나 절연물 등의 먼지가,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의 프로브(검사바늘)의 삽입 구멍을 통해 내부로 침입하여 전기적인 접속 불량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1997-24590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35903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사용 내구성을 높임과 아울러, 내부로 침입한 먼지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과의 고정부로부터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나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콘택트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된 상대 커넥터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콘택트 중의 일방의 콘택트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의 콘택트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의 쌍방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고정 상태로 보지된 지지 기판과, 그 지지 기판으로부터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가는 가요성의 탄성 빔(beam) 형상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중의 적어도 일방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 기판의 일단연부로서 상기 타방의 콘택트와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U자 모양으로 반전하여 뻗어 나가도록 절곡 형성된 되접어 꺾음부와, 그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상기 타방의 콘택트를 향해 평탄면 모양을 이루어 뻗어 나가는 수평 뻗음부와, 당해 수평 뻗음부에 있어서 뻗어 나가는 방향의 단연부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절곡된 크랭크부와, 그 크랭크부로부터 상기 타방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뻗어 나가는 메인 빔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쌍방의 콘택트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경계 부분에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스팬(span) 길이를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쌍방의 콘택트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사이에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간극이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적어도 일방의 콘택트에 설치된 크랭크부, 및 쌍방의 콘택트에 설치된 절결부에 의해, 상대 커넥터의 압압력에 대한 콘택트의 탄성이 높여짐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된 간극에 의해 쌍방의 콘택트의 가요성이 확보되게 되어,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콘택트의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또, 상대 커넥터가 감합되어 있지 않을 때에 개방되어 있는 상대 삽입 구멍을 통해 내부로 침입한 먼지가 콘택트 상에 낙하해도, 콘택트의 크랭크부가 가지는 경사면을 따라 먼지가 이동하여 콘택트 상에 축적되는 일이 없어져 상대 커넥터와 콘택트의 전기적인 도통성, 및 콘택트끼리의 전기적인 도통성이 먼지에 의해 방해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콘택트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어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계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쌍방의 콘택트에 설치된 고정부가, 콘택트 대향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한 콘택트의 지지성이 향상되고, 전기 접촉부에 있어서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고, 콘택트의 흔들림 안정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상대 커넥터 및 콘택트끼리의 압압력에 대해서, 각 콘택트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연결 부분에 홈(groove)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절결부를 구성하는 홈 길이에 걸쳐서,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실질적인 스팬 길이가 확대되기 때문에, 탄성 빔 형상 부재의 탄성이 용이하게 높여짐과 아울러, 탄성 빔 형상 부재의 휨 지점이, 고정부의 길이 방향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어, 고정부에 의한 탄성 빔 형상 부재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크랭크부는,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뻗어 나감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뻗어 나간 후,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측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당해 크랭크부로부터 뻗어 나가는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선단 부분이, 상기 타방의 콘택트에 대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일방의 콘택트의 선단 부분이, 타방의 콘택트에 대해서 들어올리도록 접촉하고,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및 이탈시에 쌍방의 콘택트의 접점부끼리가 미끄러지도록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양쪽 콘택트끼리의, 이른바 와이핑(wiping) 작용에 의해 접점부에 있어서의 청정성이 향상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의 콘택트의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에는, 상대방 커넥터가 접촉하는 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일방의 콘택트 상에 낙하한 티끌 등의 먼지가, 관통 구멍을 통해 외방으로 배출됨과 아울러, 상대 커넥터에 대해서 관통 구멍의 내주연부(內周緣部)가, 당해 관통 구멍의 대각선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되어 상대 커넥터와 콘택트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 내에서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가는 쌍방의 콘택트를 탄성 빔 형상 부재로 형성하고, 적어도 일방의 콘택트에 크랭크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쌍방의 콘택트에,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스팬 길이를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절결부와 탄성 빔 형상 부재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절연 하우징의 사이의 간극을 설치한 것에 의해, 콘택트의 탄성을 높이면서 가요성을 확보하고, 콘택트의 영구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로 침입한 먼지를 크랭크부를 따라 이동시켜, 전기적인 도통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사용 내구성을 높임과 아울러, 먼지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 불량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가 있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신뢰성을 염가로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회로 검사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전체 구조를 정면 하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일방의 콘택트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타방의 콘택트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쌍방의 콘택트끼리의 배치 관계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3 중의 A-A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상당하는 도로서 상대 커넥터(검사용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상대 커넥터(검사용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타방의 콘택트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타방의 콘택트를 횡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0 중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일방의 콘택트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나 있는 일방의 콘택트를 횡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2 중의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나 있는 일방의 콘택트의 설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회로 검사 스위치로서 채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로 검사 스위치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우선, 도 1~도 6 및 도 10~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는,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것으로서, 당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에 대해서, 상대 커넥터로서의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도 11 및 도 12 참조)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또는 상방측을 향해 발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의 상방측에 배치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가,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되면서 하방측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를 향해 적당한 힘으로 밀어넣어지고, 이에 따라 양쪽 커넥터끼리가 감합된 장착 상태로 된다. 또, 그 양쪽 커넥터의 장착 상태로부터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를 파지하여 상방측으로 적당한 힘으로 인상되면, 당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가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여 발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는 작업자의 손으로 삽입 및 발탈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입 및 발탈되어도 좋다. 이하, 이 검사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방향 및 발출 방향을 각각 "하방향"과 "상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회로 검사 스위치의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전자 회로 기판(도시 생략) 상에 납땜에 의해 실장되어 사용되고, 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전자 회로를, 예를 들면 기기 본체측과 안테나측을 분단 또는 접속하도록 배치된다.
[절연 하우징의 구성에 대해서]
도 10~도 12에도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의 본체부를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은,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몰드 성형된 것으로서,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틀부(11a)와, 이 베이스 틀부(11a)의 상면 중앙 부분에 배치된 삽입 가이드부(11b)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삽입 가이드부(11b)는, 상술한 베이스 틀부(11a)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대략 원통형을 이루어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가이드부(11b)의 내주측 표면은 대략 절구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삽입 가이드부(11b)의 상단 연부분(緣部分)에 형성된 링 모양 외연부로부터, 중심부분에 상대 삽입 구멍으로서 설치된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상면측 개구부를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뻗어 있는 경사 가이드면(1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가이드면(11d)은 전술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에 설치된 프로브(20a)를 프로브 삽입 구멍(11c)을 향해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가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경사 가이드면(11d)의 경사면 상에 프로브의 선단부가 맞닿으면, 프로브(20a)의 선단부가 경사 가이드면(11d)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이동되어 프로브 삽입 구멍(11c)까지 원활하게 안내되게 되어 있다.
상대 삽입 구멍으로서 설치된 프로브 삽입 구멍(11c)은, 상술한 것처럼 삽입 가이드부(11b)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베이스 틀부(11a)의 중심축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정면과 배면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콘택트 삽입 통로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브 삽입 구멍(11c)은 후술하는 일방의 콘택트(12)의 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내경을 가지는 크기의 평면 대략 원형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당해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상면측 개구부의 주위에는 상술한 삽입 가이드부(11b)가 대략 동심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의 구성에 대해서]
한편, 도 7~도 10에도 나타나 있듯이, 절연 하우징(11)의 베이스 틀부(11a)에 설치된 콘택트 삽입 통로의 내부에는, 신호 전송용의 제1 콘택트(일방의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타방의 콘택트)(13)가 상술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삽입 및 발거의 방향(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하, 이들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끼리가 대향하는 방향을, 단지 「콘택트 대향 방향」이라고 부르고, 또, 각 콘택트(12, 13)가 서로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이들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는 이른바 콘택트 쌍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절연 하우징(11)의 정면 및 배면의 양쪽 단면측으로부터 콘택트 삽입 통로의 내부에 대면하도록 삽입되고, 이들 양쪽 콘택트(12, 13)끼리가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되도록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의 양쪽 콘택트(12, 13)끼리의 접촉 상태는 후술하듯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감합에 의해 해제되어 이간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는 모두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양쪽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는 후술하듯이 거의 고정 상태로 보유된 지지 기판(12b, 13b)로부터 콘택트 대향 방향인 전방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있다. 이들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단락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기판(12b, 13b)은, 특히 도 7 및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지지 기판(12b, 13b)의 양측 연부(緣部), 즉 콘택트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판폭(板幅) 방향의 양단부로부터는, 절연 하우징(11)에 대한 고정부로서의 고정편(12c, 13c)이 양측 외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다. 이들 고정편(12c, 13c)은 절연 하우징(11)의 벽면에 홈 모양을 이루도록 오목하게 설치된 고정 홈부에 대해서 압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에 대한 당해 고정편(12c, 13c)의 계합력에 의해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의 전체의 보유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고정편(12c, 13c)이 상기 지지 기판(12b, 13b)과 연결되어 있는 양쪽 부재끼리의 연결 경계 부분에는 콘택트 대향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절결부(12d, 13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절결부(12d, 13d)는 상술한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근본 부분을 전방측 및 후방측의 쌍방으로부터 후방측 및 전방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잘라 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중의 고정편(13c)측에 설치된 절결부(13d)는 전방측 및 후방측의 쌍방이 가는 폭의 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편(12c)측에 설치된 절결부(12d)는 전후에서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에 배치된 절결부(12d)가 가는 폭의 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전방측에 배치된 절결부(12d)는 상기 지지 기판(12b)의 전단 부분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서 대략 U자 모양으로 크게 후방측으로 움푹 파이듯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절결부(12d, 13d)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고정편(12c, 13c)과 지지 기판(12b, 13b)의 연결 부분이 가는 폭으로 되고, 이와 같이 가는 폭으로 된 분(分), 즉 절결부(12d, 13d)가 구비되어 있는 길이 분에 걸쳐서, 후술하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스팬 길이가 실질적으로 확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가, 지지 기판(12b)의 후방측의 단연부로부터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되접어 꺾음부(12a1)를 개재하여 상대측의 제2 콘택트(13)측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실질적인 스팬 길이는, 특히 후방측의 절결부(12d)가 설치됨으로써 확대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2의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에 대해서는 지지 기판(13b)의 전단연부로부터 상대측의 제1 콘택트(12)를 향해 직접적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전방측의 절결부(13d)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실질적인 스팬 길이가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제1 콘택트(12)가 지지 기판(12b)의 전단연부로부터 상대측의 제2 콘택트(13)를 향해 직접적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방측의 절결부(12d)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지지 기판(12b, 13b)에 있어서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가 돌출되어 있는 단연부와, 반대측의 단연 부분, 즉 제1 콘택트(12)의 지지 기판(12b)에서는 전단연(前端緣) 부분, 또 제2 콘택트(13)의 지지 기판(13b)에서는 후단연(後端緣) 부분의 각각이 하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대략 직각 하방 절곡 부분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기판 접속부(12e, 13e)가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다. 제1 콘택트(12)측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2e)는 커넥터 대향 방향과 반대측의 후방측을 향해 뻗어 있음과 아울러, 제2 콘택트(13)측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3e)는 커넥터 대향 방향인 전방측을 향해 뻗어 있다. 그리고, 이들 기판 접속부(12e, 13e)의 하면이 상술한 배선 기판 상에 설치된 신호 전송용의 도전로에 땜납 접합됨으로써 실장을 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 및 제2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는 서로 근접하도록 돌출하는 편지(片持) 형상의 띠모양 스프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중의 제2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는 상술한 지지 기판(13b)의 전단연부로부터 상대측의 제1 콘택트(12)를 향해 직접적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는 지지 기판(12b)의 후방측의 단연부로부터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되접어 꺾음부(12a1)를 개재하여 상대측의 제2 콘택트(13)측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는 상술한 되접어 꺾음부(12a1)로부터 뻗어 나가는 수평 뻗음부(12a2)가 지지 기판(12b)의 상방 위치를 커넥터 대향 방향인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고, 이 수평 뻗음부(12a2)의 전방측에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해 절곡된 크랭크부(12a3)가 일체적으로 연접되고, 또한 이 크랭크부(12a3)를 통해 메인 빔부(beam part)(12a4)가 커넥터 대향 방향인 전방측을 향해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전체는 되접어 꺾음부(12a1) 또는 그 근방을 지점(支點)으로 한 탄성적인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수평 뻗음부(12a2)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콘택트 삽입 통로의 상벽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수평 뻗음부(12a2)와 절연 하우징(11)의 삽입 통로의 상벽면의 사이에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간극 S1이 설치되어 있다.
또, 탄성 빔 형상 부재(12a)에 설치된 크랭크부(12a3)는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뻗어 나감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전술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20)의 삽입 방향인 하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뻗어 있고, 이 비스듬한 하방의 뻗어 나감단(端)인 하단부로부터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크랭크부(12a3)에 의해 탄성 빔 형상 부재(12a)의 도중 부분에 하강 단차가 형성되어 탄성 빔 형상 부재(12a) 전체의 탄성이 높여져 있다.
또한, 이 제1 콘택트(12)에 설치된 크랭크부(12a3)의 하단부로부터는 커넥터 대향 방향인 전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상술한 메인 빔부(12a4)가 대략 직선 모양으로 뻗어 있다. 그 메인 빔부(12a4)의 뻗어 나감측의 선단 부분에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제 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에 설치된 접점부가 후술하는 제2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에 설치된 접점부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이들 양쪽 접점부는 양쪽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탄성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탄성적인 접촉을 한다.
또,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 빔부(12a4)는 전술한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직하 위치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당해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하단 개구부가 메인 빔부(12a4)의 도중 부분에 상방측으로부터 임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고, 당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가 프로브 삽입 구멍(11c)을 통해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면, 프로브 삽입 구멍(11c)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프로브(20a)가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 빔부(12a3)의 도중 부분에 상방측으로부터 맞닿는다. 또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면,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에 설치된 접점부가 프로브(20a)의 압압력에 의해 제2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에 설치된 접점부에서 하방으로 이간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 빔부(12a4)의 도중 위치, 즉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가 맞닿는 위치에는, 당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가 상방측으로부터 접촉하는 관통 구멍(12a5)이 슬릿(slit)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2a5)은 메인 빔부(12a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프로브 삽입 구멍(11c)의 직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 빔부(12a4)에 관통 구멍(12a5)을 설치해 두면,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가 감합되어 있지 않을 때에 개방 상태에 있는 프로브 삽입 구멍(상대 삽입 구멍)(11c)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는 티끌 등의 먼지가, 특히 메인 빔부(12a4)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어 가고 관통 구멍(12a5)을 통해 배출된다. 그 결과, 제1 콘택트(12)나 제2 콘택트(13) 상에 먼지가 축적되는 일이 없어져 제1 콘택트(12)와 제2 콘택트(13)의 전기적인 도통성이 먼지에 의해 방해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 상술한 관통 구멍(12a5)의 개구 연부(緣部)에는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에 접촉하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당해 관통 구멍(12a5)의 개구 연부가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프로브(20a)의 선단측 부분에 형성된 만곡면에 대해서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접촉하여, 당해 관통 구멍(12a5)의 대각선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프로브(20a)와 다점적으로 맞닿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두면, 검사용 커넥터(20)의 프로브(20a)와 제1 콘택트(12)의 전기적인 접속이 양호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관통 구멍(12a5)을 통해 배출되는 먼지가 관통 구멍(12a5)의 경사면에 의해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 검사용 커넥터(20)의 프로브(20a)가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에 접촉했을 때의 응력이 제1 콘택트(12)의 고정편(12c)의 일부에 집중하는 일 없이 분산되게 되어 제1 콘택트(12)의 사용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2 콘택트(13)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는, 도 8,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전술한 것처럼 지지 기판(13b)의 전단연부로부터 상대측의 제1 콘택트(12)를 향해 직접적으로 뻗어 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커넥터 대향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은 후에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전체는 지지 기판(13b)과의 연결부 또는 그 근방을 지점으로 한 탄성적인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수평 뻗음부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콘택트 삽입 통로의 상벽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수평 뻗음부와 절연 하우징(11)의 삽입 통로의 상벽면의 사이에는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간극 S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콘택트(13)에 있어서의 탄성 빔 형상 부재(13a)의 전단부분은 상술한 것처럼 비스듬하게 하방 절곡되어 뻗어 있지만, 이 비스듬한 하방의 뻗어 나감측의 선단 부분에 설치된 접점부가 전술한 것처럼 제1 콘택트(12)의 탄성 빔 형상 부재(12a)에 설치된 접점부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이 때의 양쪽 접점부는 양쪽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탄성적인 접촉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에 의하면, 제1 콘택트(12)에 설치된 크랭크부(12a3), 및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쌍방에 설치된 절결부(12d, 13d)에 의해, 상대 커넥터인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압압력에 대한 탄성이 높여짐과 아울러, 절연 하우징(11)과의 사이에 설치된 간극 S1, S2에 의해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쌍방에 가요성이 확보되게 되어,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를 한 경우라도 콘택트(12, 13)의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편(12c, 13c)에 설치된 절결부(12d, 13d)의 길이에 걸쳐서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를 구성하고 있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실질적인 스팬 길이가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탄성이 보다 높여져 있다. 또, 이들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휨 지점이 고정편(12c, 13c)의 길이 방향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편(12c, 13c)에 의한 탄성 빔 형상 부재(12a, 13a)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쌍방에 설치된 고정편(12c, 13c)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절연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에 설치된 프로브(20a)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지지성이 향상되어 있고, 전기적 접촉부에 있어서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되고, 양쪽 콘택트(12, 13)의 흔들림 안정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 및 양쪽 콘택트(12, 13)끼리의 압압력에 대해서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의 콘택트(12)를 구성하고 있는 탄성 빔 형상 부재(12a)가 제2의 콘택트(13)을 구성하고 있는 탄성 빔 형상 부재(13a)에 대해서 들어올리도록 접촉하고,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삽입 및 이탈시에 제1 및 제2의 콘택트(12, 13)의 쌍방에 설치된 접점부끼리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양쪽 콘택트(12, 13)끼리의 이른바 와이핑(wipeing) 작용에 의해 접점부에 있어서의 청정성이 향상된다.
[도전성 쉘에 대해서]
한편, 도 1~도 6에도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측 표면에는 박판 형상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14)이 상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14)은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측으로부터 삽입 가이드부(11b)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이 도전성 쉘(14)가 절연 하우징(11)의 상면측 표면을 덮고 있는 상면 기판(14a)이 평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상면 기판(14a)의 중앙 부분에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삽입 가이드부(11b)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그라운드 단자부(14b)가 대략 중공 원통형을 이루도록 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그라운드 단자부(14b)의 외주 표면에는 링 모양을 이루는 고정 계지홈(14c)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 계지홈(14c)에 대해서 전술한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 돌출부(20b)가 끼워넣어지고, 이에 따라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에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20)가 적당한 감합력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도전성 쉘(14)의 상면 기판(14a)에 있어서의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네 귀퉁이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처지듯이 뻗어 있는 기판 접속부(14d)가 각각 연속설치되어 있다. 이들 4체의 기판 접속부(14d) 중에서 전술한 제1 콘택트(12)와 제2 콘택트(13)의 대향 방향에 인접하는 2체의 기판 접속부(14d, 14d)끼리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일체로 연결된 일방측의 기판 접속부(14d, 14d)와, 타방측의 기판 접속부(14d, 14d)가 제1 콘택트(12)와 제2 콘택트(13)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을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기판 접속부(14d)의 선단 부분을 형성하는 땜납 접합편(14f)이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 상의 그라운드용 도전로에 땜납 접합됨으로써 그라운드 접속을 함과 아울러,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의 전체의 보유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 이들 각 기판 접속부(14d)는 상술한 상면 기판(14a)의 단연(端緣)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있고, 2체의 기판 접속부(14d, 14d)끼리의 연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S자 또는 대략 Z자 모양을 이루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14)에 설치된 기판 접속부(14d)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당해 기판 접속부(14d)는 상술한 상면 기판(14a)의 단연으로부터 커넥터 내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움푹 파이듯이 뻗어 나가는 역테이퍼(reverse taper) 형상의 경사 벽면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경사 벽면의 하단부로부터 다시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수평 벽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기판 접속부(14a)에 설치된 역테이퍼 형상의 경사 벽면과 수평 벽면에 의해 전술한 제2 콘택트(13) 및 제1 콘택트(12)측을 향해 움푹 파인 오목부(14e)가 획성되어 있고, 당해 오목부(14e)가 기판 접속부(14d)에 움푹 파이듯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기판 접속부(14a)의 수평 벽면에 의해 배선 기판 상에 땜납 접합되는 땜납 접합편(14f)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판 접속부(14a)에 오목부(14e)를 움푹 파이듯이 하여 설치해 두면, 도전성 쉘(14)의 기판 접속부(14a)에 대해서 사용한 땜납재의 잉여분이나 플럭스가 기판 접속부(14a)나 도전성 쉘(14)의 다른 벽면을 따라 기어 오르려고 해도, 이 기어 오르려고 하는 땜납재의 잉여분이나 플럭스가 오목부(14e)의 내부에 축적된다. 또, 그 오목부(14e)의 벽면을 구성하는 역테이퍼 형상의 경사 벽면에 의해 땜납재나 플럭스의 기어 오름 작용력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당해 오목부(14e)의 벽면이 만곡 형상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땜납재 및 플럭스의 기어 오름 길이가 연장되게 되어, 이른바 땜납 기어 오름이 양호하게 방지되어 전기적인 도통 상태에의 영향이 큰 폭으로 저감된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도전성 쉘(14)의 기판 접속부(14a)에는 전술한 것처럼 오목부(14e)로부터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뻗어 나가는 땜납 접합편(14f)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판 접속부(14a)의 땜납 접합편(14f)에 대한 땜납재의 접합 상태가 작업자에 의해 즉시 목시되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이 때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땜납 접합편(14f)의 선단부는 상술한 도전성 쉘(14)의 최대 외형인 상면 기판(14a)의 폭 방향 치수와 동일하든지, 약간 커넥터 내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당해 땜납 접합편(14f)에 대한 납땜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 없이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크랭크부를 제1 콘택트에만 설치하고 있지만 쌍방의 콘택트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콘택트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있지만 전체의 배치 관계에 따라 제2 콘택트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회로 검사 스위치 이외의 용도에 이용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전기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베이스 틀부 11b 삽입 가이드부
11c 프로브 삽입 구멍(상대 삽입 구멍) 11d 경사 가이드면
12 제1 콘택트
12a 탄성 빔 형상 부재
12a1 되접어 꺾음부 12a2 수평 뻗음부
12a3 크랭크부 12a4 메인 빔부
12a5 관통 구멍
12b 지지 기판 12c 고정편
12d 절결부 12e 기판 접속부
S1 간극
13 제2 콘택트
13a 탄성 빔 형상 부재 13b 지지 기판
13c 고정편 13d 절결부
13e 기판 접속부
S2 간극
14 도전성 쉘
14a 상면 기판 14b 그라운드 단자부
14c 고정 계지홈 14d 기판 접속부
14e 오목부 14f 땜납 접합편
20 검사용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
20a 프로브(probe) 20b 계합 돌출부

Claims (5)

  1. 절연 하우징과의 고정부로부터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콘택트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된 상대 커넥터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콘택트 중의 일방의 콘택트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방의 콘택트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의 쌍방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고정 상태로 보지된 지지 기판과, 그 지지 기판으로부터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가는 가요성의 탄성 빔 형상 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중의 적어도 일방의 콘택트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가, 상기 지지 기판의 일단연부로서 상기 타방의 콘택트와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U자 모양으로 반전하여 뻗어 나가도록 절곡 형성된 되접어 꺾음부와, 그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상기 타방의 콘택트를 향해 평탄면 모양을 이루어 뻗어 나가는 수평 뻗음부와, 당해 수평 뻗음부에 있어서 뻗어 나가는 방향의 단연부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절곡된 크랭크부와, 그 크랭크부로부터 상기 타방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뻗어 나가는 메인 빔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쌍방의 콘택트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경계 부분에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스팬 길이를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쌍방의 콘택트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사이에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가요성을 확보하는 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콘택트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어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계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연결 부분에 홈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부는,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뻗어 나감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뻗어 나간 후,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측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당해 크랭크부로부터 뻗어 나가는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의 선단 부분이, 상기 타방의 콘택트에 대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콘택트의 상기 탄성 빔 형상 부재에는, 상대방 커넥터가 접촉하는 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0120084309A 2011-10-21 2012-08-01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37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1222 2011-10-21
JP2011231222A JP5532041B2 (ja) 2011-10-21 2011-10-21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38A KR20130044138A (ko) 2013-05-02
KR101377825B1 true KR101377825B1 (ko) 2014-03-25

Family

ID=4694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09A KR101377825B1 (ko) 2011-10-21 2012-08-01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7130B2 (ko)
EP (1) EP2584658B1 (ko)
JP (1) JP5532041B2 (ko)
KR (1) KR101377825B1 (ko)
CN (1) CN103066418B (ko)
TW (1) TWI4834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9407B2 (ja) * 2012-02-23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TWM455285U (zh) * 2013-01-21 2013-06-11 Insert Entpr Co Ltd 超小型同軸微開關連接器
US9312621B2 (en) 2013-05-15 2016-04-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axial connector having a static terminal and a movable terminal
CN104183939A (zh) * 2013-05-27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JP5772900B2 (ja) * 2013-08-08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N103915703B (zh) * 2014-03-05 2019-09-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射频连接器
JP6331635B2 (ja) * 2014-04-17 2018-05-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CN104901074A (zh) * 2015-05-05 2015-09-09 天津市中环富士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机械式停车设备中的ev充电自引导连接器
JP2016213073A (ja) * 2015-05-11 2016-12-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292921B2 (ja) * 2019-03-29 2023-06-19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多ピン構造プローブ体及びプローブカード
CN109950757B (zh) * 2019-04-28 2024-03-15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0350355A (zh) * 2019-07-12 2019-10-18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一种同轴开关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1956058B (zh) * 2020-08-27 2021-06-01 乐清市通达有线电厂 压力锅锅盖保护开关
CN213484020U (zh) * 2020-10-27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226A (ja) * 1999-06-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軸コネクタスイッチ
KR20020008777A (ko) * 2000-07-21 2002-01-31 무라타 야스타카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200283189Y1 (ko) * 2002-05-01 2002-07-26 케이. 에이. 이 (주)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JP2002359039A (ja) * 2001-03-27 2002-12-1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142192U (ja) * 2008-02-14 2008-06-05 詮欣股▲分▼有限公司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4948B2 (ja) * 1996-02-29 2004-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H113637A (ja) 1997-06-10 1999-01-06 Hirose Electric Co Ltd 高周波切換スイッチ
JP3551770B2 (ja) * 1998-01-13 2004-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KR20040015375A (ko) * 2001-12-28 2004-02-1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KR100593823B1 (ko) * 2004-07-14 2006-06-2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TWM316555U (en) * 2006-12-20 2007-08-01 Suyin Corp Terminal structure of coaxial connector
ATE472189T1 (de) * 2008-03-10 2010-07-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axialverbinder
JP4541431B2 (ja) * 2008-06-18 2010-09-08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5147563B2 (ja) * 2008-06-24 2013-02-2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TWI431875B (zh) * 2009-03-09 201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及其端子
EP2256874B1 (en) * 2009-05-29 2012-01-04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Miniature switch connector
JP5008716B2 (ja) * 2009-12-22 2012-08-22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202076457U (zh) * 2010-12-20 2011-12-14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改进的高频信号连接器
JP5720408B2 (ja) *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226A (ja) * 1999-06-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軸コネクタスイッチ
KR20020008777A (ko) * 2000-07-21 2002-01-31 무라타 야스타카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JP2002359039A (ja) * 2001-03-27 2002-12-1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KR200283189Y1 (ko) * 2002-05-01 2002-07-26 케이. 에이. 이 (주)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JP3142192U (ja) * 2008-02-14 2008-06-05 詮欣股▲分▼有限公司 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38A (ko) 2013-05-02
CN103066418A (zh) 2013-04-24
US20130102173A1 (en) 2013-04-25
TW201324983A (zh) 2013-06-16
JP5532041B2 (ja) 2014-06-25
EP2584658A1 (en) 2013-04-24
TWI483491B (zh) 2015-05-01
US9077130B2 (en) 2015-07-07
CN103066418B (zh) 2015-02-11
EP2584658B1 (en) 2016-12-07
JP2013089540A (ja)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825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421878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324446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5720409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2015095405A (ja) 電気コネクタ
JP6540674B2 (ja) 電気コネクタ
JP6144235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5929232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3192828U (ja) 電気コネクタ
JP6379254B2 (ja) 電気コネクタ
JP6078991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6613129B2 (ja) 金属端子
JP6281418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928166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991644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31635B2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WO2021145208A1 (ja) スイッチコネクタ
JP2016213073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2017143023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