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155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155B1
KR101360155B1 KR1020120129892A KR20120129892A KR101360155B1 KR 101360155 B1 KR101360155 B1 KR 101360155B1 KR 1020120129892 A KR1020120129892 A KR 1020120129892A KR 20120129892 A KR20120129892 A KR 20120129892A KR 101360155 B1 KR101360155 B1 KR 10136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locking
bracket
h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중진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방 시트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메인 헤드레스트;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후면에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및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체결되며,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 전방으로 돌출된 불사용 상태 또는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사용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HEAD 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에 착좌시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해주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장착되고 있다. 헤드레스트는 쿠션 등을 통해 탑성자의 두부나 목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승차감 증대 및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목 손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차량의 후방 시트의 경우,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후방 시야 확보 또한 헤드레스트의 설치에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후방 시야 확보가 용이한 투구형 헤드레스트의 후방 시트 장착이 고려되고 있으나, 일부 국가의 경우 후방 시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의 설치 규정상 투구형 헤드레스트의 장착이 불가하며, 일반형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시야 확보 등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후방 시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의 경우 사용 상태와 불사용 상태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인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사용시에는 충분한 높이로 전개되어 탑승자에게 편안한 탑승감을 주는 한편, 불사용시에는 운전자의 충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헤드레스트의 사용 상태와 불사용 상태를 명확히 인지시키는 한편, 작동 및 조작이 간편한 구조의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방 시트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메인 헤드레스트;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후면에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및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체결되며,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 전방으로 돌출된 불사용 상태 또는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사용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불사용시 보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헤드레스트의 사용 및 불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메인 헤드레스트를 하방으로 밀거나, 보조 헤드레스트를 전방을 당기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 또는 불사용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조작 및 작동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차량용 헤드레스트(100)의 내부를 일부 투시하여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차량의 후방 시트(10) 상부에 장착되는 스테이(110), 스테이(110)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메인 헤드레스트(120), 메인 헤드레스트(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30), 보조 헤드레스트(1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링크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 및 보조 헤드레스트(130)를 후방 시트(10)에 장착 및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절곡 성형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 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후방 시트(10)에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스테이(110)는 후방 시트(10) 내측으로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후방 시트(10)에 장착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링크부(140)가 장착되는 지지바(111)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바(111)는 스테이(110)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링크부(140)가 장착되어 링크부(14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11)는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회동 동작되는 회동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하단부가 지지바(111)를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보조 헤드레스트(130)와 관련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헤드레스트(120)는 스테이(110)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헤드레스트(120)는 후방 시트(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게 된다. 메인 헤드레스트(120)는 스테이(110)에 고정되어 스테이(110)와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스테이(110)가 후방 시트(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되면, 이에 따라, 메인 헤드레스트(12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함께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한다.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단을 제외하고는 둘레가 메인 헤드레스트(12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의 하부측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분리되어 소정정도 회동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하부측이 스테이(110)에 마련된 지지바(11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지지바(111)를 회동축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는 구조이면 무방하며, 필요에 따라, 보조 헤드레스트(130) 하단부 등이 메인 헤드레스트(120)에 힌지 결합되는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100)의 높이 또는 사용상태에 따라 전방으로 소정정도 돌출될 수 있다. 즉,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필요에 따라 지지바(111)를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어 메인 헤드레스트(12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후면에 경사면(131)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131)은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131)은 차량용 헤드레스트(100)의 하강시 후방 시트(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회동 및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링크부(140)는 스테이(110)의 지지바(111)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보조 헤드레스트(1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부(140)는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회동 및 돌출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한편,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링크부(140)는 로워브라켓(141), 어퍼브라켓(143) 및 록킹브라켓(145)을 구비할 수 있다.
로워브라켓(141)은 대략 'L'자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이(110)의 지지바(111)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로워브라켓(141)의 측면에는 록킹브라켓(145)의 걸림 결합을 위한 록킹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홀(142)에는 후술할 록킹브라켓(145)의 록킹핀(146)이 걸림 결합되어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록킹홀(142)은 로워브라켓(141)의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측에는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홈(142a)은 록킹홀(142)의 최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제 2 걸림홈(142b)은 제 1 걸림홈(142a)의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돌출 또는 회동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 3 걸림홈(142c)은 제 2 걸림홈(142b)의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 또는 회동된 상태에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을 통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 고정은 후술할 록킹핀(146)이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되어 이뤄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140)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3 걸림홈(142c)의 전방에는 록킹핀(146)을 구속 해제시키기 위한 제 1 경사면(142e)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경사면(142e)은 제 1 걸림홈(142a)의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경사면(142e)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록킹핀(146)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록킹핀(146)이 구속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록킹홀(142)의 상부측에는 록킹핀(146)을 다시 록킹 위치로 밀어내리기 위한 제 2 경사면(142d)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경사면(142d)은 록킹홀(142) 상부면에 하방을 향해 소정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록킹홀(142)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록킹홀(142) 상부측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록킹핀(146)을 하측으로 밀어내리게 된다. 상기 제 1, 2 경사면(142e, 142d)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6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어퍼브라켓(143)은 로워브라켓(14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어퍼브라켓(143)은 하부측이 로워브라켓(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제 1 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로워브라켓(14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브라켓(143)은 보조 헤드레스트(130)와 체결되어 보조 헤드레스트(130)와 함께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어퍼브라켓(143)은 보조 헤드레스트(130) 내에 내설되어 보조 헤드레스트(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지지바(11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어퍼브라켓(143) 또한 제 1 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되게 된다.
어퍼브라켓(143)의 일측 측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된 어퍼홀(143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참고). 어퍼홀(143b)은 전술한 로워브라켓(141)의 록킹홀(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홀(143b)로는 후술할 록킹핀(146)이 관통되며, 록킹핀(146)을 어퍼홀(143b)을 통해 록킹홀(142)로 접근되어 록킹홀(142)에 마련된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되게 된다. 이때, 록킹핀(146)은 어퍼홀(143b) 하단에 위치하였을 때,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될 수 있으며, 어퍼홀(143b)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서 이탈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록킹핀(146)이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어퍼홀(143b) 하단의 위치를 '록킹 위치'로 지칭하고, 록킹핀(146)이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서 이탈 가능한 어퍼홀(143b) 상단의 위치를 '록킹 해제 위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어퍼홀(143b)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140)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어퍼브라켓(143)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탄성부재(144)가 체결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44)는 어퍼브라켓(143)이 제 1 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시 어퍼브라켓(143)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며, 제 1 힌지축(143a)에 체결된 토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록킹브라켓(145)은 어퍼브라켓(143)의 측면부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브라켓(145)은 어퍼홀(143b)이 형성된 어퍼브라켓(143)의 일측 측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 2 힌지축(145a)을 중심으로 어퍼브라켓(143)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록킹브라켓(145)은 록킹핀(146)을 구비할 수 있다. 록킹핀(146)을 어퍼브라켓(143)의 측면부에 형성된 어퍼홀(143b)을 관통하여 로워브라켓(141)에 형성된 록킹홀(142)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록킹핀(146)은 록킹홀(142)에 마련된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되어 어퍼브라켓(143) 및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140)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록킹브라켓(145)에는 록킹핀(146)이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록킹브라켓(145)을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147)가 장착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147)는 록킹핀(146)이 록킹홀(142) 하부측에 밀착되도록 록킹브라켓(145)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제 2 힌지축(145a)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의 (f)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에서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a)는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소정정도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7 참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의 (f)와 같은 상태를 '사용 상태'로 지칭하며, 도 6의 (a)와 같은 상태를 '불사용 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의 (f)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110)가 후방 시트(10) 내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보조 헤드레스트(130)의 경사면(131)에 의해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지지바(11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소정정도 회동하게 된다 (도 7 참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회동되면, 보조 헤드레스트(130)에 고정되어 있는 어퍼브라켓(143)이 함께 회동된다. 즉, 도 6의 (f)와 같은 상태에서, 어퍼브라켓(143)이 제 1 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회동된다.
이때, 록킹핀(146)은 제 2 탄성부재(147)에 의해 어퍼홀(143b) 및 록킹홀(142)의 하부측을 향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바, 어퍼브라켓(143)이 상기와 같이 회동되면, 록킹홀(142) 하부측을 따라 제 1 걸림홈(142a)에서 제 3 걸림홈(142c)으로 이동되게 된다.
어퍼브라켓(143)의 회동 및 록킹핀(146)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6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제 1 탄성부재(144)에 의한 복원력(즉, 어퍼브라켓(143)을 다시 도 6의 (f)와 같은 상태로 복귀시키려는 탄성력)은 록킹핀(146)이 제 3 걸림홈(142c)에 걸림 결합됨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어퍼브라켓(143) 및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전방으로 소정정도 회동 또는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차량용 헤드레스트(100)가 사용 상태에서 불사용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의 (a)와 같은 불사용 상태에서, 다시 도 6의 (f)와 같은 사용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링크부(140)는 도 6의 (b) 내지 (e)에 도시된 과정을 거쳐 도 6의 (f)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돌출된 보조 헤드레스트(130)를 전방으로 소정정도 당기게 되면 (도 7 참고), 보조 헤드레스트(130)에 결합된 어퍼브라켓(143)이 도 6의 (b)와 같은 상태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제 1 걸림홈(142a)에 걸림 결합되어 있던 록킹핀(146)은 제 1 걸림홈(142a) 전방으로 제 1 경사면(142e)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 1 경사면(142e)에 의해 어퍼홀(143b) 상단의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핀(146) 제 1 걸림홈(142a)에서 이탈되고 어퍼홀(143b) 상단의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제 1 탄성부재(144)의 복원력에 대한 록킹핀(146)의 구속이 사라지게 된다.
도 6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 헤드레스트(130)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록킹핀(146)의 구속이 해제되었는 바, 제 1 탄성부재(144)에 의해 어퍼브라켓(143)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6의 (c)를 참조하면, 어퍼브라켓(143)은 제 1 탄성부재(14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한편, 어퍼브라켓(143)이 회동되는 과정에서, 록킹핀(146)은 록킹홀(142) 상부측에 마련된 제 2 경사면(142d)에 의해 접촉되어 하방으로 다시 이동되게 된다. 즉, 도 6의 (d)를 참고하면, 록킹핀(146)은 어퍼브라켓(143)이 제 1 탄성부재(144)에 의해 복귀하는 동안, 록킹홀(142) 상부측을 따라 이동되게 되며, 어퍼브라켓(143)이 소정정도 회동되면 제 2 경사면(142d)에 접촉되게 된다. 록킹핀(146)이 제 2 경사면(142d)에 접촉되게 되면, 록킹핀(146)은 제 2 경사면(142d)의 경사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어퍼홀(143b) 하단의 록킹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록킹핀(146)의 이동은 록킹브라켓(145)에 체결된 제 2 탄성부재(147)에 의하여도 보조되게 된다.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46)은 제 2 경사면(142d) 및 제 2 탄성부재(147)에 의해 어퍼홀(143b) 하단으로 점차 이동되며, 어퍼브라켓(143)이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도 6의 (f)와 같이 제 1 걸림홈(142a)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록킹핀(146)이 제 1 걸림홈(142a)에 안착되게 되면, 어퍼브라켓(143)은 다시 초기 위치로 완전히 회동되며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참고). 즉,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불사용 상태에서 다시 사용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소정정도 돌출된 상태 및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메인 헤드레스트(120)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도 7의 (a)와 같은 사용 상태일 경우,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메인 헤드레스트(120) 내측으로 들어가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f)와 같은 상태로 보조 헤드레스트(13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불사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이때,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후면에 형성된 경사면(131)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 및 돌출되게 되며, 전술한 도 6에서와 같은 링크부(140)의 작동을 통해, 도 7의 (b)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도 7의 (b)와 같이 돌출된 보조 헤드레스트(130)는 사용자에게 차량용 헤드레스트(100)의 불사용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차량용 헤드레스트(100)가 불사용 상태에 있을시,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승객이 앉을 수 없는 위치임을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북미 등 일부 국가의 경우, 탑승자가 헤드레스트의 사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인체 더미 측정시 헤드레스트의 사용 위치와 불사용 위치 간, 인체 더미의 시트 백 각도가 소정각도 이상 차이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불사용 상태에서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돌출되어, 사용 상태에서의 시트 백 각도(θ1)와 불사용 상태에서의 시트 백 각도(θ2)가 소정각도 이상 차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설계나 제작시 보조 헤드레스트(130)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조절하여, 사용 상태에서의 시트 백 각도(θ1)와 불사용 상태에서의 시트 백 각도(θ2)가 소정각도(예를 들면, 10도) 이상 차이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북미 등 일부 국가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헤드레스트 110: 스테이
120: 메인 헤드레스트 130: 보조 헤드레스트
140: 링크부

Claims (10)

  1. 후방 시트(1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테이(110);
    상기 스테이(110)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되는 메인 헤드레스트(120);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후면에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31)을 구비하는 보조 헤드레스트(130); 및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30)와 체결되며,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30)를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120) 전방으로 돌출된 불사용 상태 또는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120)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사용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링크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140)는,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 지지되며, 측면부에 록킹홀(142)을 구비하는 로워브라켓(141);
    상기 로워브라켓(1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30)와 함께 회동되고, 측면부에 상기 록킹홀(142)과 대응되는 어퍼홀(143b)을 구비하는 어퍼브라켓(143); 및
    상기 어퍼브라켓(143)의 측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어퍼홀(143b)을 관통하여 상기 록킹홀(142)에 걸림 결합되는 록킹핀(146)을 구비하는 록킹브라켓(145);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142)은,
    상기 로워브라켓(141)의 측면부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되되,
    하부측에는 상기 록킹핀(146)이 걸림 결합되기 위한 제 1 내지 3 걸림홈(142a, 142b, 142c)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142)은,
    상기 로워브라켓(141)의 측면부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되되,
    하부측 최전방에는, 상기 록킹핀(146)을 상측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 1 경사면(142e)을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142)은,
    상기 로워브라켓(141)의 측면부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되되,
    상부측에, 상기 록킹핀(146)을 하측으로 밀어내릴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 2 경사면(142d)을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홀(143b)은, 상기 어퍼브라켓(143)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공 형태로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146)은,
    상기 어퍼홀(143b)의 하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록킹홀(142)의 하부측에 접촉되어 상기 록킹홀(142)에 걸림 결합되며,
    상기 어퍼홀(143b)의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록킹홀(142)의 하부측과 이격되어 상기 록킹홀(142)에서 구속 해제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40)는,
    상기 어퍼브라켓(143)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브라켓(143)이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어퍼브라켓(14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144)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140)는,
    상기 록킹브라켓(145)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핀(146)이 상기 록킹홀(142) 하부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록킹브라켓(145)을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147)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헤드레스트(130)는,
    상기 메인 헤드레스트(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상기 사용 상태에서의 인체 더미 시트 백 각도(θ1)와, 상기 불사용 상태에서의 인체 더미 시트 백 각도(θ2)가 기 설정된 소정각도 이상 차이나도록 설계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120129892A 2012-11-16 2012-11-16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6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92A KR101360155B1 (ko) 2012-11-16 2012-11-16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92A KR101360155B1 (ko) 2012-11-16 2012-11-16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155B1 true KR101360155B1 (ko) 2014-02-12

Family

ID=5027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892A KR101360155B1 (ko) 2012-11-16 2012-11-16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70B1 (ko) 2013-07-03 2014-06-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190118340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68B1 (ko) * 1995-06-30 1998-04-07 김태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장치
KR19980052625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WO2005065992A1 (de) * 2004-01-08 2005-07-21 Volkswagen Kopfstütze
JP2008043523A (ja) 2006-08-16 2008-02-28 T S Tec Kk 後方視野の拡張容易な自動車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068B1 (ko) * 1995-06-30 1998-04-07 김태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장치
KR19980052625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WO2005065992A1 (de) * 2004-01-08 2005-07-21 Volkswagen Kopfstütze
JP2008043523A (ja) 2006-08-16 2008-02-28 T S Tec Kk 後方視野の拡張容易な自動車用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70B1 (ko) 2013-07-03 2014-06-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190118340A (ko) *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2043549B1 (ko) * 2018-04-10 2019-12-02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2824A1 (ja) 車両用シート
KR20060117991A (ko) 머리받침 장치
JP2019081517A (ja) シートスライド機構
WO2014200062A1 (ja) 車両用シート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136015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19077223A (ja) 乗物用シート
JP6236233B2 (ja) 車両用シート
JP6262451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60067346A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2018062341A (ja) 車両用シート
JP6088963B2 (ja) 前倒式ヘッドレスト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400055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を取り付け可能な車両用シート
JP5446739B2 (ja)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562617B1 (ko) 가변 지지구를 갖는 카시트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2013001177A (ja) 車両用シート
JP3372922B2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2006346342A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の抜け止め機構
JP6522729B2 (ja) ヘッドレスト
JP507107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2012006501A (ja) 車両用シート
JP686420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2214100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