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215B1 -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215B1
KR101359215B1 KR1020060061865A KR20060061865A KR101359215B1 KR 101359215 B1 KR101359215 B1 KR 101359215B1 KR 1020060061865 A KR1020060061865 A KR 1020060061865A KR 20060061865 A KR20060061865 A KR 20060061865A KR 101359215 B1 KR101359215 B1 KR 10135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adhesive tape
light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41A (ko
Inventor
준지 요코야마
히로노리 다마이
요시카즈 소에다
고이치 이케다
히로시 와다
요이치로 고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성을 갖더라도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투과율이 0.3% 이하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갖고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차광성층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휴대전화」 등에서는, 표시 화면에 대한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반사성이나 차광성을 갖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4-5972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350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35061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16195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18444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3173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3173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15601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444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4974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5375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3663호 공보 참조).
종래의 차광성을 갖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는, 차광성을 발휘시키는 차광성층으로서, 흑색으로 착색된 흑색층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기재나 점착제층이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차광성층으로서의 흑색층은 통상적으로 저렴한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흑색계 안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흑색층은 통상적으로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로는 도전성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흑색층을 갖는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뾰족한 선단 부분(예컨대, 땜납부의 선단 부분 등)을 갖는 부재가 접합되는 경우, 부재의 뾰족한 선단 부분이 점착제층을 찔러 들어가 흑색층에 도달하여 접촉하여 도전(導電)시키고 말아, 상기 부재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더구나, 도전에 의해,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사용되는 장치 또는 부품에도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광성을 갖고 있더라도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차광성층으로서 특정한 표면 저항률을 갖고 있는 층을 이용하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따라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투과율이 0.3% 이하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 로 되어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갖고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차광성층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성층은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양면이 기재에 끼인 형태로 갖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광성층은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층일 수 있다. 이러한 흑색층은, 시안(cyan)계 색재, 마젠타(magenta)계 색재 및 옐로(yellow)계 색재가 혼합된 혼합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이더라도 좋고, 이 때, 한쪽 면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기 위한 반사성층이 차광성층에 대하여 기재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성층으로서는 백색을 나타내는 백색층,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은색층이 적합하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고정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정 표시 모듈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갖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상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투과율이 0.3% 이하이며, 또한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또는 Ω/sq.) 이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과율이 0.3% 이하이기 때문에 우수한 차광성을 갖고 있고, 더구나 반사율이 60% 미만인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로서는, 0.3% 이하[0 내지 0.3%]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며, 그 중에서도 0.03% 이하[특히 0.01%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은, 히타치제작소제의 분광광도계(장치명 「U4100형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이 550 nm인 빛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에서 조사하여 다른 쪽 면측에 투과한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한다.
또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은, 10l2(1×1012)Ω/□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1012Ω/□ 이상[더 바람직하게는 1013(1×1013)Ω/□ 이상]이다. 상기 저항률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관점에서 저항률은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의 저항률(Ω/□)은, 히오키전기주식회사제의 절연저항시험기(형식번호 「3154」, 측정용 프로브: 「9185 측정 프로브」)를 이용하여, 실온(20 내지 25℃) 및 50% RH의 분위기하, 전압: 100(V), 전극간 거리: 100mm의 조건으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면에 전극의 선단을 닿도록 눌러 그대로 60초간 정치한 후, 측정치(저항치)를 읽어내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이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전극의 선단이 점착제층을 관통하여,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층(예컨대, 차광성층으로서의 인쇄층이나 기재 등)에 닿는 정도의 힘으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면에 전극의 선단을 닿도록 눌러, 전극의 선단이,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층에 적어도 접촉하는 상태로 측정한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이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전극의 선단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측정한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이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전극은, 선단이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층에 적어도 접촉하여, 측면이 점착제층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되는 저항률은 전극이 접촉하고 있는 층 중 저항률이 작은 층의 표면 저항률(즉,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는 층의 표면 저항률)로 된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이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측정되는 저항률은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측정면측의 표면의 표면 저항률이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의 저항률(Ω/□)은 기본적으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의 표면 저항률(Ω/□)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구성으로서는,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또한 투과율이 0.3% 이하이며,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고, 또한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구성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 구성(1) 또는 구성(2)이 적합하다.
(1)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갖고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차광성층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구성
(2)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양면이 기재에 끼인 형태로 갖고 있는 구성
(차광성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과율이 0.3%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갖고 있다. 차광성층으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한 투과율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차광성층의 투과율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과 같이, 0.3% 이하[0 내지 0.3%]인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며, 그 중에서도 0.03% 이하[특히 0.01%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한편, 차광성층의 투과율은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에 상당(또는 일치)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부터 차광성층을 분리시켜 취출하지 않더라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차광성층의 투과율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성층으로서는, 차광성을 발휘하는 층이면 되고, 예컨대, 점착제층, 기재, 잉크층(인쇄층 등) 등 중의 어느 층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차광성층으로서는, 인쇄층(특히,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이나, 기재와 기재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광성층으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상기 구성(1)을 갖고 있는 경우,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이 바람직하고, 한편, 상기 구성(2)을 갖고 있는 경우, 기재와 기재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적어도 어느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저항률은 최외층 또는 최외층으로서의 점착제층과 접하고 있는 층에 대한 표면 저항률이기 때문에, 차광성층이 예컨대 최외층으로서의 형태나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예컨대, 최외층으로서 형성된 점착제층, 기재 또는 인쇄층인 경우나,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인 경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중 어느 한쪽 면측의 저항률은, 차광성층의 표면 저항률에 상당(또는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차광성층으로서는 최외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즉,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상기 구성(1)을 갖고 있는 경우],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바람직하게는 5×1012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13Ω/□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차광성층은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광성층으로서는, 양면이 기재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즉, 기재/차광성층/기재의 층 구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예컨대, 기재와 기재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인 경우), 차광성층은 기재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차광성층을 갖고 있더라도 우수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광성층으로서는 양면이 기재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즉,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상기 구성(2)을 갖고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차광성층의 표면 저항률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 저항률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012Ω/□ 이상이더라도 좋고, 1012Ω/□ 미만이더라도 좋다.
따라서, 차광성층으로서는, 인쇄층(차광성 인쇄층)인 경우, 차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는 인쇄층[즉,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의 인쇄층]인 경우,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는 잉크 조성물(「비도전형 잉크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 조성물이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차광성층으로서는,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층이 적합하다. 흑색층에 있어서, 흑색이란, 기본적으로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가 35 이하(0 내지 35)[바람직하게는 30 이하(0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0 내지 25)] 로 되는 흑색계 색인 것을 뜻하고 있다. 한편,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나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나 b*로서는, 예컨대 양쪽 모두 -1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 또는 거의 0(-2 내지 2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는 색채색차계(상품명 「CR-200」 미놀타사 제품;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한다. 한편, L*a*b* 표색계는 국제조명위원회(CIE)가 1976년에 권장한 색 공간이며, CIE 1976(L*a*b*) 표색계로 일컬어지는 색 공간인 것을 뜻하고 있다. 또한, L*a*b* 표색계는 일본공업규격으로서는 JIS Z 8729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광성층으로서의 흑색층은,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 예컨대,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로서, 색재로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흑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흑색계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고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로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색재(청록(靑綠)계 색재),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색재(적자(赤紫)계 색재), 및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색재(황계 색재)가 혼합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혼합 잉크 조성물(「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흑색층으로서는,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특성을 갖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경우, 도전성을 고려하지 않고 각종 색재로부터 적절히 선택된 잉크 조성물(흑색계 잉크 조성물이나, 시안계 색재, 마젠타계 색재 및 옐로계 색재가 혼합된 혼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들 각 색재로서는, 안료, 염료 등의 어느 색재(착색제)이더라도 좋지만, 안료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흑색층은,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 및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의 다층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흑색층은,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특성을 갖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경우는, 색재 또는 잉크 조성물의 도전성에 관계 없이, 시안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시안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 마젠타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마젠타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 및 옐로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옐로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층의 다층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색재(비도전형 시안계 색재)에 있어서, 안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안료)로서는, 예컨대, C. I. 피그먼트 블루 1, C. I. 피그먼트 블루 2, C. I. 피그먼트 블루 3, C. I. 피그먼트 블루 15, C. I. 피그먼트 블루 15:1, C. I. 피그먼트 블루 15:2, C. I. 피그먼트 블루 15:3, C. I. 피그먼트 블루 15:4, C. I. 피그먼트 블루 15:5, C. I. 피그먼트 블루 15:6, C. I. 피그먼트 블루 16, C. I. 피그먼트 블루 17, C. I. 피그먼트 블루 17:1, C. I. 피그먼트 블루 18, C. I. 피그먼트 블루 22, C. I. 피그먼트 블루 25, C. I. 피그먼트 블루 56, C. I. 피그먼트 블루 60, C. I. 피그먼트 블루 63, C. I. 피그먼트 블루 65, C. I. 피그먼트 블루 66, C. I. 배트 블루 4, C. I. 배트 블루 60, C. I. 피그먼트 그린 7 등의 시안계 안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도전형 시안계 색재에 있어서, 염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시안계 염료)로서는, 예컨대, C. I. 솔벤트 블루 25, C. I. 솔벤트 블루 36, C. I. 솔벤트 블루 60, C. I. 솔벤트 블루 70, C. I. 솔벤트 블루 93, C. I. 솔벤트 블루 95, C. I. 애시드 블루 6, C. I. 애시드 블루 45 등의 시안계 염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색재(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에 있어서, 안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안료)로서는, 예컨대, C. I. 피그먼트 레드 1, C. I. 피그먼트 레드 2, C. I. 피그먼트 레드 3, C. I. 피그먼트 레드 4, C. I. 피그먼트 레드 5, C. I. 피그먼트 레드 6, C. I. 피그먼트 레드 7, C. I. 피그먼트 레드 8, C. I. 피그먼트 레드 9, C.I 피그먼트 레드 10, C. I. 피그먼트 레드 11, C. I. 피그먼트 레드 12, C. I. 피그먼트 레드 13, C. I. 피그먼트 레드 14, C. I. 피그먼트 레드 15, C. I. 피그먼트 레드 16, C. I. 피그먼트 레 드 17, C.I 피그먼트 레드 18, C. I. 피그먼트 레드 19, C. I. 피그먼트 레드 21, C. I. 피그먼트 레드 22, C. I. 피그먼트 레드 23, C. I. 피그먼트 레드 30, C. I. 피그먼트 레드 31, C. I. 피그먼트 레드 32, C.I 피그먼트 레드 37, C. I. 피그먼트 레드 38, C. I. 피그먼트 레드 39, C. I. 피그먼트 레드 40, C. I. 피그먼트 레드 41, C. I. 피그먼트 레드 42, C. I. 피그먼트 레드 48:1, C. I. 피그먼트 레드 48:2, C. I. 피그먼트 레드 48:3, C. I. 피그먼트 레드 48:4, C. I. 피그먼트 레드 49, C. I. 피그먼트 레드 49:1, C. I. 피그먼트 레드 50, C. I. 피그먼트 레드 51, C. I. 피그먼트 레드 52, C. I. 피그먼트 레드 52:2, C. I. 피그먼트 레드 53:1, C. I. 피그먼트 레드 54, C. I. 피그먼트 레드 55, C. I. 피그먼트 레드 56, C. I. 피그먼트 레드 57:1, C. I. 피그먼트 레드 58, C. I. 피그먼트 레드 60, C. I. 피그먼트 레드 60:1, C. I. 피그먼트 레드 63, C. I. 피그먼트 레드 63:1, C. I. 피그먼트 레드 63:2, C. I. 피그먼트 레드 64, C. I. 피그먼트 레드 64:1, C. I. 피그먼트 레드 67, C. I. 피그먼트 레드 68, C. I. 피그먼트 레드 81, C. I. 피그먼트 레드 83, C. I. 피그먼트 레드 87, C. I. 피그먼트 레드 88, C. I. 피그먼트 레드 89, C. I. 피그먼트 레드 90, C. I. 피그먼트 레드 92, C. I. 피그먼트 레드 101, C. I. 피그먼트 레드 104, C. I. 피그먼트 레드 105, C. I. 피그먼트 레드 106, C. I. 피그먼트 레드 108, C. I. 피그먼트 레드 112, C. I. 피그먼트 레드 114, C. I. 피그먼트 레드 122, C. I. 피그먼트 레드 123, C. I. 피그먼트 레드 139, C. I. 피그먼트 레드 144, C. I. 피그먼트 레드 146, C. I. 피그먼트 레드 147, C. I. 피그먼트 레드 149, C. I. 피그먼트 레드 150, C. I. 피그먼트 레드 151, C. I. 피그먼트 레드 163, C. I. 피그먼트 레드 166, C. I. 피그먼트 레드 168, C. I. 피그먼트 레드 170, C. I. 피그먼트 레드 171, C. I. 피그먼트 레드 172, C. I. 피그먼트 레드 175, C. I. 피그먼트 레드 176, C. I. 피그먼트 레드 177, C. I. 피그먼트 레드 178, C. I. 피그먼트 레드 179, C. I. 피그먼트 레드 184, C. I. 피그먼트 레드 185, C. I. 피그먼트 레드 187, C. I. 피그먼트 레드 190, C. I. 피그먼트 레드 193, C. I. 피그먼트 레드 202, C. I. 피그먼트 레드 206, C. I. 피그먼트 레드 207, C. I. 피그먼트 레드 209, C. I. 피그먼트 레드 219, C. I. 피그먼트 레드 222, C. I. 피그먼트 레드 224, C. I. 피그먼트 레드 238, C. I. 피그먼트 레드 245,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9,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1,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2,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3,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6,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38,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43,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50, C. I. 배트 레드 1, C. I. 배트 레드 2, C. I. 배트 레드 10, C. I. 배트 레드 13, C. I. 배트 레드 15, C. I. 배트 레드 23, C. I. 배트 레드 29, C. I. 배트 레드 35 등의 마젠타계 안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에 있어서, 염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마젠타계 염료)로서는, 예컨대, C. I. 솔벤트 레드 1, C. I. 솔벤트 레드 3, C. I. 솔벤트 레드 8, C. I. 솔벤트 레드 23, C. I. 솔벤트 레드 24, C. I. 솔벤트 레드 25, C. I. 솔벤트 레드 27, C. I. 솔벤트 레드 30, C. I. 솔벤트 레드 49, C. I. 솔벤트 레드 52, C. I. 솔벤트 레드 58, C. I. 솔벤트 레드 63, C. I. 솔벤트 레드 81, C. I. 솔벤트 레드 82, C. I. 솔벤트 레드 83, C. I. 솔벤트 레드 84, C. I. 솔벤트 레드 100, C. I. 솔벤트 레드 109, C.I 솔벤트 레드 111, C. I. 솔벤트 레드 121, C. I. 솔벤트 레드 122, C. I. 디스퍼스 레드 9, C. I. 솔벤트 바이올렛 8, C.I 솔벤트 바이올렛 13, C. I. 솔벤트 바이올렛 14, C. I. 솔벤트 바이올렛 21, C. I. 솔벤트 바이올렛 27, C. I. 디스퍼스 바이올렛 1, C. I. 베이직 레드 1, C. I. 베이직 레드 2, C. I. 베이직 레드 9, C. I. 베이직 레드 12, C. I. 베이직 레드 13, C. I. 베이직 레드 14, C. I. 베이직 레드 15, C. I. 베이직 레드 17, C. I. 베이직 레드 18, C. I. 베이직 레드 22, C. I. 베이직 레드 23, C. I. 베이직 레드 24, C. I. 베이직 레드 27, C. I. 베이직 레드 29, C. I. 베이직 레드 32, C. I. 베이직 레드 34, C. I. 베이직 레드 35, C. I. 베이직 레드 36, C. I. 베이직 레드 37, C. I. 베이직 레드 38, C. I. 베이직 레드 39, C. I. 베이직 레드 40, C. I. 베이직 바이올렛 1, C. I. 베이직 바이올렛 3, C. I. 베이직 바이올렛 7, C. I. 베이직 바이올렛 10, C. I. 베이직 바이올렛 14, C. I. 베이직 바이올렛 15, C. I. 베이직 바이올렛 21, C. I. 베이직 바이올렛 25, C. I. 베이직 바이올렛 26, C. I. 베이직 바이올렛 27, C. I. 베이직 바이올렛 28 등의 마젠타계 염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색재(비도전형 옐로계 색재)에 있어서, 안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안료)로서는, 예컨대, C. I. 피그먼트 오렌지 31, C. I. 피그먼트 오렌지 43, C. I. 피그먼트 옐로 1, C. I. 피그먼트 옐 로 2, C. I. 피그먼트 옐로 3, C. I. 피그먼트 옐로 4, C. I. 피그먼트 옐로 5, C. I. 피그먼트 옐로 6, C. I. 피그먼트 옐로 7, C. I. 피그먼트 옐로 10, C. I. 피그먼트 옐로 11, C. I. 피그먼트 옐로 12, C. I. 피그먼트 옐로 13, C. I. 피그먼트 옐로 14, C. I. 피그먼트 옐로 15, C. I. 피그먼트 옐로 16, C. I. 피그먼트 옐로 17, C. I. 피그먼트 옐로 23, C. I. 피그먼트 옐로 24, C. I. 피그먼트 옐로 34, C. I. 피그먼트 옐로 35, C. I. 피그먼트 옐로 37, C. I. 피그먼트 옐로 42, C. I. 피그먼트 옐로 53, C. I. 피그먼트 옐로 55, C. I. 피그먼트 옐로 65, C. I. 피그먼트 옐로 73, C. I. 피그먼트 옐로 74, C. I. 피그먼트 옐로 75, C. I. 피그먼트 옐로 81, C. I. 피그먼트 옐로 83, C. I. 피그먼트 옐로 93, C. I. 피그먼트 옐로 94, C. I. 피그먼트 옐로 95, C. I. 피그먼트 옐로 97, C. I. 피그먼트 옐로 98, C. I. 피그먼트 옐로 100, C. I. 피그먼트 옐로 101, C. I. 피그먼트 옐로 104, C. I. 피그먼트 옐로 108, C. I. 피그먼트 옐로 109, C. I. 피그먼트 옐로 110, C. I. 피그먼트 옐로 113, C. I. 피그먼트 옐로 114, C. I. 피그먼트 옐로 116, C. I. 피그먼트 옐로 117, C. I. 피그먼트 옐로 120, C. I. 피그먼트 옐로 128, C. I. 피그먼트 옐로 129, C. I. 피그먼트 옐로 133, C. I. 피그먼트 옐로 138, C. I. 피그먼트 옐로 139, C. I. 피그먼트 옐로 147, C. I. 피그먼트 옐로 150, C. I. 피그먼트 옐로 151, C. I. 피그먼트 옐로 153, C. I. 피그먼트 옐로 154, C. I. 피그먼트 옐로 155, C. I. 피그먼트 옐로 156, C. I. 피그먼트 옐로 167, C. I. 피그먼트 옐로 172, C. I. 피그먼트 옐로 173, C. I. 피그먼트 옐로 180, C. I. 피그먼트 옐로 185, C. I. 피그먼트 옐로 195, C. I. 배트 옐로 1, C. I. 배트 옐로 3, C. I. 배 트 옐로 20 등의 옐로계 안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도전형 옐로계 색재에 있어서, 염료(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옐로계 염료)로서는, 예컨대, C. I. 솔벤트 옐로 19, C. I. 솔벤트 옐로 44, C. I. 솔벤트 옐로 77, C. I. 솔벤트 옐로 79, C. I. 솔벤트 옐로 81, C. I. 솔벤트 옐로 82, C. I. 솔벤트 옐로 93, C. I. 솔벤트 옐로 98, C. I. 솔벤트 옐로 103, C. I. 솔벤트 옐로 104, C. I. 솔벤트 옐로 112, C. I. 솔벤트 옐로 162 등의 옐로계 염료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비도전형 시안계 색재, 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 비도전형 옐로계 색재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 중의 비도전형 시안계 색재, 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 및 비도전형 옐로계 색재의 혼합 비율(또는 배합 비율)로서는, 흑색계 색(예컨대,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나 b*가 상기 범위로 되는 흑색계 색)을 나타낼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색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 중에서 비도전형 시안계 색재, 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 및 비도전형 옐로계 색재의 각 색재의 함유 비율은 예컨대 색재의 총량에 대하여 비도전형 시안계 색재/비도전형 마젠타계 색재/비도전형 옐로계 색재=10 내지 50(중량%)/10 내지 50(중량%)/10 내지 50(중량%)[바람직하게는 20 내 지 40(중량%)/20 내지 40(중량%)/20 내지 40(중량%)]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시안계 색재, 마젠타계 색재나 옐로계 색재를 도전성에 관계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에 구체적으로 예시한 시안계 색재(시안계 안료, 시안계 염료), 마젠타계 색재(마젠타계 안료, 마젠타계 염료)나 옐로계 색재(옐로계 안료, 옐로계 염료) 중에서 도전성에 관계없이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흑계 색재로서는, 흑계 색재를 도전성에 관계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예컨대 카본 블랙(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써멀 블랙, 램프 블랙 등), 흑연,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티타늄 블랙, 사이아닌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비자성 페라이트, 자성 페라이트 등),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덴, 크롬 착체, 복합 산화물계 흑색 색소, 안트라퀴논계 유기 흑색 색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흑계 색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흑계 색재로서는, 예컨대 상기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는 흑계 색재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그 밖의 공지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흑계 색재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색재를 함유하는 잉크 조성물(예컨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흑색계 잉크 조성물이나, 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 등의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 등)은 색재 이외에 필요에 따라 바인더, 분산제나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바인더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요소멜라민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페녹시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티렌 수지 등),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스류(아세트산 셀룰로스 수지, 에틸셀룰로스 수지 등), 폴리아세탈 등의 공지된 수지(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나 광경화성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광성층은 단층, 다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지만, 다층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다층 구조의 차광성층(특히, 다층 구조의 흑색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광성층을 다층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한층 더 차광성층의 차광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차광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차광성층의 층의 수로서는 2 이상이면 되고, 예컨대, 2 내지 10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특히 4)이다.
한편, 차광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이 0.3% 이하가 되도록, 각 층의 차광성층의 투과율이 아닌, 다층 형태의 차광성층 전체에서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광성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차광성층이 인쇄층(차광성 인쇄층)인 경우, 차광성 인쇄층의 두께(차광성 인쇄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는 차광성 인쇄층 전체의 두께)로서는, 0.5 내지 20μm(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μm,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μm)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차광성층이 기재나 점착제층인 경우는, 차광성층의 두께로서는, 하기에 예시하는 기재의 두께나 점착제층의 두께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광성층은 기재(즉, 차광성 기재)나 점착제층(즉, 차광성 점착제층)일 수 있지만, 특히 기재 상에 설치된 층[특히,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설치된 인쇄층(차광성 인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광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다층 형태의 차광성층에 포함되는 층으로서, 차광성 기재나 차광성 점착제층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차광성층의 층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 인쇄층에 의한 층 구성, 차광성 기재, 및 상기 차광성 기재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 인쇄층에 의한 층 구성,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 인쇄층, 및 상기 차광성 인쇄층 상에 형성된 차광성 점착제층에 의한 층 구성, 차광성 기재, 상기 차광성 기재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 인쇄층, 및 상기 차광성 인쇄층 상에 형성된 차광성 점착제층에 의한 층 구성, 차광성 기재, 상기 차광성 기재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 인쇄층, 및 상기 차광성 인쇄층 상에 형성된 차광성 기재에 의한 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차광성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차광성층의 종류나 층 구성 등에 따라, 공지된 차광성층의 형성 방법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광성층이 예컨대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비도전형 혼합 잉크 조성물 등)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설치된 차광성 인쇄층인 경우, 차광성 인쇄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차광성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을 소정의 면 상에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 등을 하는 방법이나, 각종 인쇄법(그라비어 인쇄법, 프렉소 인쇄법, 오프셋법, 철판(凸版)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반사성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는, 한쪽 면의 반사율은 60% 이상[예컨대,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한쪽 면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기 위한 반사성층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반사성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 반사성층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대한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성층으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반사율을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반사성층의 반사율로서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반사율과 같이, 60% 이상[60 내지 100%]인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 소정의 면의 반사율(확산 반사율)(%)은 시마즈제작소제의 분광광도계(장치명 「MPS-2000」)를 이용하여 파장이 550 nm인 광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소정의 면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상기 광을 조사한 면에서 반사한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한다.
이러한 반사성층으로서는, 반사성을 발휘하는 층이면 되고, 예컨대, 점착제층, 기재, 잉크층(인쇄층 등) 등의 임의의 층일 수 있다. 한편, 반사성층은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에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이 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컨대,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에 노출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으며, 투명성을 갖고 있는 층(예컨대, 투명한 점착제층이나, 투명한 기재 등)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떻든, 반사성층은 차광성층에 대하여 기재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반사성층으로서는, 인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성층으로서의 인쇄층(반사성 인쇄층)은 반사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성층으로서는, 예컨대, 백색을 나타내는 백색층이나, 은색을 나타내는 은색층 등을 들 수 있지만,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관점 등에서, 백색을 나타내는 백색층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백색층에 있어서, 백색이란, 기본적으로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가 87 이상(87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90 이상(9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92 이상(92 내지 100)]이 되는 백색계 색인 것을 뜻하고 있다. 한편,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나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나 b*로서는, 예컨대 양쪽 모두 -1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 또는 거의 0(-2 내지 2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은색이란, 기본적으로는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가 70 내지 90(바람직하게는 72 내지 88, 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이 되는 은색계 색인 것을 뜻하고 있다. 한편,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a*나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나 b*로서는, 예컨대 양쪽 모두 -1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 또는 거의 0(-2 내지 2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백색층 등의 반사성층으로서는, 예컨대, 색재로서 백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백색계 잉크 조성물이나, 색재로서 은계 색재를 주로 포함하는 은색계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백계 색재나 은계 색재로서는, 안료, 염료 등의 어느 색재(착색제)이더라도 좋지만, 안료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계 색재로서는 예컨대 산화티타늄(루틸형 이산화티타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 등의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등),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 네슘, 규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산화아연, 황화아연, 활석(talc), 실리카, 알루미나, 점토(clay), 카올린, 인산티타늄, 운모(mica), 석고,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lithopone),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카본 할로이사이트 등의 무기질 백계 색재나, 아크릴계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우레탄계 수지 입자, 아마이드계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요소-포르말린계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질 백계 색재 등을 들 수 있다. 백계 색재로서 형광증백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형광증백제로서는 공지된 형광증백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백계 색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백계 색재로서는, 반사성층이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반사성층인 경우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백계 색재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백계 색재로서는, 상기 예시한 백계 색재 중에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산화티타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은계 색재로서는, 예컨대, 은,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은계 색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반사성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조성물(백색계 잉크 조성물 등)은 색재 이외에 필요에 따라 바인더, 분산제나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상기 차광성층의 항에서 비도전형 잉크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바인더로서 예시한 바인더 등을 들 수 있다.
반사성층은 단층, 다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지만, 반사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 다층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다층 구조의 반사성층(특히, 다층 구조의 백색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반사성층의 층의 수로서는 2 이상이면 되고, 예컨대, 2 내지 10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특히 2)이다.
한편, 반사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반사율이 60% 이상이 되도록, 각 층의 반사성층의 반사율이 아닌, 다층 형태의 반사성층 전체에서의 반사율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성층의 두께(반사성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는, 다층 구조의 반사성층 전체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5 내지 150μm(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성층은 기재(즉, 반사성 기재)나 점착제층(즉, 반사성 점착제층)일 수 있지만, 특히 기재 상에 설치된 층[특히, 기재와 차광성층 사이에 설치된 인쇄층(반사성 인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성층이 다층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다층 형태의 반사성층에 포함되는 층으로서, 반사성 기재나 반사성 점착제층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성층의 층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 인쇄층에 의한 층구성, 반사성 기재, 및 상기 반사성 기재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 인쇄층에 의한 층 구성,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 인쇄층, 및 상기 반사성 인쇄층 상에 형성된 반사 성 점착제층에 의한 층 구성, 반사성 기재, 상기 반사성 기재 상에 형성된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 인쇄층, 및 상기 반사성 인쇄층 상에 형성된 반사성 점착제층에 의한 층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반사성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반사성층의 종류나 층 구성 등에 따라 공지된 반사성층의 형성 방법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사성층이 예컨대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기재 상에 설치된 반사성 인쇄층인 경우, 반사성 인쇄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반사성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 등을 하는 방법이나, 각종 인쇄법(그라비어 인쇄법, 프렉소 인쇄법, 오프셋법, 철판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성층이 플라스틱재에 의해 형성된 반사성 기재인 경우, 반사성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inflation) 성형, 캘린더(calender) 성형 등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시이트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반사성층이, 반사성 기재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반사성층인 경우, 상기 방법을 조합한 방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다층 구조의 반사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반사성층에서, 은색층은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은색계 색을 나타낼 수 있는 금속 성분에 의한 증착법을 이용하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 증착법으로서는, 감압 증착법(진공 증착법), 물리 스퍼터링법, 화학 스퍼터링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추가로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예컨대 차광성층으로서의 흑색층 및 반사성층으로서의 백색층을 갖고 있는 경우, 예컨대, 흑색층과 백색층 사이에 흑색 및 백색 이외의 색을 나타내는 층(특히,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각각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 쪽 측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조정시킬 수 있는 반사 차광 조정층)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다른 층으로서, 차광성층과 반사성층 사이에 반사 차광 조정층을 설치하는 것(즉, 반사성층, 반사 차광 조정층, 차광성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차광성에 관해서는 차광성층 측으로부터 반사성층 측에 걸쳐서, 반사성에 관해서는 반사성층 측으로부터 차광성층 측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흑색 및 백색 이외의 색을 나타내는 층에 있어서, 흑색 및 백색 이외의 색으로서는, 흑색 및 백색 이외의 색이면 어느 색이더라도 좋으며, 예컨대, 적색, 청색, 황색, 녹색, 황록색, 오렌지색, 보라색, 회색, 금색, 은색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반사 차광 조정층으로서는, 은색을 나타내는 은색층이나 회색을 나타내는 회색층이 바람직하다.
(기재)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의 기재로서는, 플라스틱계 기재, 금속계 기재, 섬유계 기재 등 중의 어느 기재이더라도 좋지만,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이나 얇기 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계 기재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계 기재의 재질 또는 소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 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류,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재는 단층, 다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한편, 기재는 차광성층(차광성 기재)으로서의 흑색층이나, 반사성층(반사성 기재)으로서의 백색층인 경우, 나타내는 색에 따른 색재(흑계 색재나, 백계 색재 등)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기재는 차광성층(차광성 기재)으로서의 흑색층이나, 반사성층(반사성 기재)으로서의 백색층이 아닌 경우, 투명성을 갖는 기재(「투명 기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중에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연화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기재로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기재(비도전형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 첨가제로서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첨가제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 내지 200μm(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30μ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기재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기재가 플라스틱계 기재인 경우 플라스틱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시이트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폴리아마이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점착제는 어느 형태를 갖고 있는 점착제이더라도 좋으며, 예컨대 에멀젼형 점착제, 용제형 점착제, 열용융형 점착제(가열용융형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 또는 베이스 중합체로서 포함하고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주(主) 구성 단량체 성분(단량체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아밀, (메트)아크릴산 네오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를 단량체 주성분이라고 하면,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와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사용되더라도 좋다. 한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이면, 아크릴계 중합체로서의 특성(점착성 등)이 발현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은,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도입시키기 위해서나,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도입시키기 위해서, 작용기 함유 단량체 성분(특히, 아크릴계 중합체에 열가교하는 가교점을 도입시키기 위한 열가교성 작용기 함유 단량체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기 함유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와 공중합이 가능하고, 또한 가교점이 되는 작용기를 갖고 있는 단량체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산무수물(무수 말레산, 무수 이코탄산 등);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알킬 이외에,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부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프로판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라이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사이아노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폴린, N-비닐카프로락탐, N-(메트)아크릴로일모폴린 등의 질소 원자 함유환을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작용기 함유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산무수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서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터계 단량체; 스티렌, 치환 스티렌(α-메틸스티렌 등), 비닐톨루엔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에스터[(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펜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나, (메트)아크릴산 보닐, (메트)아크릴산 아이소보닐 등의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터[(메트)아크릴산 페닐 등], (메트)아크릴산 아릴옥시알킬 에스터[(메트)아크릴산 페녹시에틸 등]이나, (메트)아크릴산 아릴알킬에스터[(메트)아크릴산 벤질에스터] 등의 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렌, 부타다이엔, 아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메틸 비닐 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단량체 외에, 1,6-헥산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 리세린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다이비닐벤젠, 부틸 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스티렌-아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다이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다이엔 고무, 폴리부타다이엔,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 등의 고무 성분을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점착제 중에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가교제, 교차결합제, 점착부여 수지,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연화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 등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점착제층으로서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점착제층(비도전형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 첨가제로서는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의 첨가제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착제층은 단층, 다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한편, 점착제층은, 차광성층(차광성 점착제층)으로서의 흑색층이나, 반사성층(반사성 점착제층)으로서의 백색층인 경우, 나타내는 색에 따른 색재(흑계 색재나, 백계 색재 등)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점착제층은, 차광성층(차광성 점착제층)으로서의 흑색층이나, 반사성 층(반사성 점착제층)으로서의 백색층이 아닌 경우, 투명성을 갖는 점착제층(「투명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2 내지 100μm(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μ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소정의 면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 내지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 내지 경화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을 소정의 면 상에 접합하여 전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점착제의 도포에 있어서는, 관용의 코팅기(예컨대,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또한 투과율이 0.3% 이하이며, 필요에 따라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인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하기의 층 구성 (A1) 내지 (A7), (B1) 내지 (B8), (C1) 내지 (C5), (D1) 내지 (D9)를 갖고, 또한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층 구성(A1):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구성
층 구성(A2): 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A3):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A4): 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A5):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A6): 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A7): 층 구성 (A1) 내지 (A4)에 있어서의 기재(투명 기재 또는 차광성 기재)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 또는 층 구성 (A5) 내지 (A6)에 있어서의 차광성층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에 투명 점착제층 또는 차광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층 구성
층 구성(B1):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2): 반사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1층 또는 2층 이상 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3): 반사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4):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5):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6):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반사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B7): 층 구성(B1) 내지 (B3)에 있어서의 기재(투명 기재 또는 반사성 기재)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 또는 층 구성(B4) 내지 (B6)에 있어서의 반사성층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에 투명 점착제층 또는 반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층 구성
층 구성(B8): 층 구성(B1) 내지 (B6)에 있어서의 투명 점착제층, 또는 층 구성(B7)에 있어서의 차광성층 상에 형성된 측의 투명 점착제층이 차광성 점착제층으로 되어 있는 층 구성
층 구성(C1):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C2): 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C3): 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C4): 차광성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차광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C5): 층 구성(C1) 내지 (C4)에 있어서의 기재(투명 기재 또는 차광성 기재)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에 투명 점착제층 또는 차광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층 구성
층 구성(D1):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2):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3): 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차광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4): 층 구성(D1) 내지 (D3)에 있어서의 반사성층 상에 형성된 측의 투명 기재가 반사성 기재로 되어 있는 층 구성
층 구성(D5):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6):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7): 1층 또는 2층 이상의 반사성층/투명 기재/1층 또는 2층 이상의 차광성층/차광성 기재/차광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
층 구성(D8): 층 구성(D5) 내지 (D6)에 있어서의 반사성층과 차광성층 사이에 형성된 측의 투명 기재가 반사성 기재로 되어 있는 층 구성
층 구성(D9): 층 구성(D1) 내지 (D4)에 있어서의 기재(투명 기재 또는 반사성 기재)의 표면(노출된 측의 표면)에 투명 점착제층 또는 반사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층 구성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기재의 한 면에만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더라도 좋고,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시이트상의 것이 적층된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고, 롤 형상으로 권회(卷回)된 형태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한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점착제층(투명 점착제층, 차광성 점착제층, 반사성 점착제층 등)의 표면은 공지된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기재의 한 면에만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는 경우, 예컨대, 기재의 표면(배면)에 공지된 박리처리제(실리콘계 박리처리제 등)에 의한 박리처리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리처리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롤 형상으로 권회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투과율이 0.3% 이하이기 때문에, 차광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투과율이 0.3% 이하이며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인 경우, 반사성 및 차광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반사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는 이른바 「휴대전화」나, 이른바 「PDA」 등에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LCD)(특히, 소형 액정 표시 장치) 등에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 고정에 사용되는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특별히,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반사 차광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모듈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갖고 있고,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상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즉,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투과율이 0.3% 이하이며,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의해 고정된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가,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이고, 다른 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인 경우,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측의 면이 액정 표시 모듈 유닛 측에 위치하고, 반사율이 60% 이상으로 되어 있는 측의 면이 백라이트 유닛 측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측의 면이 백라이트 유닛 측에 위치하고, 반사율이 60% 이상으로 되어 있는 측의 면이 액정 표시 모듈 유닛 측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률(Ω), 투과율(%), 반사율(%), 및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는 각각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했다.
(저항률의 측정 방법)
히오키전기주식회사제의 절연저항시험기(형식번호 「3154」, 측정용 프로브: 「9185 측정 프로브」)를 이용하여, 실온(20 내지 25℃)의 조건하, 전압: 100V, 전극간 거리: 100mm의 조건으로, 전극의 선단이 흑색층(4층의 흑색층)측의 점착제층을 관통하여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흑색층 또는 기재에 닿는 정도의 힘으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의 흑색층 또는 기재측의 점착제층의 면에 전극의 선단을 닿도록 눌러, 전극의 선단을 흑색층 또는 기재에 적어도 접촉시키고, 그대로 60초간 정치한 후 측정치(저항치)를 읽어내어 저항률(Ω/□)을 구한다.
(투과율의 측정 방법)
히타치제작소제의 분광광도계(장치명 「U4100형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이 550nm인 광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한쪽 면측에서 조사하여, 다른 쪽 면측에 투과한 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투과율(%)을 구한다.
(반사율의 측정 방법)
시마즈제작소제의 분광광도계(장치명 「MPS-2000」)를 이용하여, 파장이 550nm인 광을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서의 백색 기재(실시예 1 내지 2나 비교예 2)측의 면에 조사하여, 상기 광을 조사한 면에서 반사한 빛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반사율(%)을 구한다.
(L*, a*, b*의 측정 방법)
미놀타사 제품의 색채색차계(장치명 「CR-200」)를 이용하여,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측정한다.
(실시예 1)
기재로서 상품명 「백(白) PET #38 ZE 타입」(나카모토 팩스 주식회사제)을 이용했다. 상기 상품명 「백 PET #38 ZE 타입」(나카모토 팩스 주식회사제)은, 두께가 38μm인 백색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백색 색재로서 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백색계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1회 인쇄를 하는(단층 코팅하는) 것에 의해, 단층 형태를 갖고 있는 백색층(두께: 2μm)이 형성되고, 상기 백색층 상에 시안계 색재, 마젠타계 색재 및 옐로계 색재를 포함하는 혼합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4회 인쇄를 하는(4층 코팅하는) 것에 의해, 4층의 형태를 갖고 있는 흑색층(흑색층 전체의 두께: 7μm)이 형성된 구성(즉, 백색 기재/백색층/4층의 흑색층의 층 구성)을 갖고 있다.
상품명 「백 PET #38 ZE 타입」(나카모토 팩스 주식회사제)의 흑색층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20μm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 상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에 의해 박리처리가 실시된 구성을 갖고 있는 세퍼레이터를 중첩시키고, 또한 백색 기재의 노출된 면 상에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20μm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 상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에 의해 박리처리가 실시된 구성을 갖고 있는 세퍼레이터를 중첩시켜, 투명 점착제층/백색 기재/백색층/4층의 흑색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수득했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흑색층 측의 면측의 표면 저항률을 상기(표면 저항률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 5×1012Ω/□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상기(투과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 0.03%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흑색층 측의 면에 대하여, 상기(L*, a*, b*의 측정 방법)에 의해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측정한 바, L*는 24이고, a*는 0.23이며, b*는 0.80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흑색층 측의 면(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표면 저항률)은 1×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어, 흑색층 측의 면 또는 흑색층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백색 기재측의 면의 반사율을 상기(반사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바, 85%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백색 기재측의 면에 대하여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 바, L*는 92.7이고, a*는 -0.6이며, b*는 -0.9였다.
한편, 실시예 1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백색 기재측의 면(반사율이 60% 이상으로 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표면 저항률)도 1×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어, 백색 기재측의 면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상품명 「백 PET #38 ZE 타입」(나카모토 팩스 주식회사제)의 흑색층 상에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시켜 백색 기재/백색층/4층의 흑색층/투명 기재의 층 구성을 갖고 있는 기재를 제작하고,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실시예 1과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20μm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 상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에 의해 박리처리가 실시된 구성을 갖고 있는 세퍼레이터를 중첩시키고, 또한 백색 기재의 노출된 면 상에 상기와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두께가 20μm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제층 상에 한쪽 면이 실리콘계 박리처리제에 의해 박리처리가 실시된 구성을 갖고 있는 세퍼레이터를 중첩하여, 투명 점착제층/백색 기재/백색층/4층의 흑색층/투명 기재/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수득했다
실시예 2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대하여, 흑색층 측의 면측의 표면 저항률을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5×1013Ω/□이며, 투과율을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0.03%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흑색층 측의 면에 대하여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L*는 24이고, a*는 0.23이며, b*는 0.80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흑색층 측의 면(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표면 저항률)은 1×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어, 흑색층 측의 면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백색 기재측의 면의 반사율을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85%이며,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백색 기재측의 면에 대하여,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한 바, L*는 92.7이고, a*는 -0.6이며, b*는 -0.9였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백색 기재 측의 면(반사율이 60% 이상으로 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표면 저항률)도 1×1012Ω/□ 이상으로 되어 있어, 백색 기재측의 면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고 있 다.
(비교예 1)
두께가 38μm인 백색 기재(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백색 색재로서 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백색계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1회 인쇄를 하는(단층 코팅하는) 것에 의해, 단층 형태를 갖고 있는 백색층(두께: 2μm)이 형성되고, 상기 백색층 상에 흑색 색재로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흑색계 잉크 조성물(상품명 「NB-300」 다이이치세이카공업사 제품)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법을 이용하여 4회 인쇄를 하는(4층 코팅하는) 것에 의해, 4층 형태를 갖고 있는 흑색층(흑색층 전체의 두께: 7μm)이 형성된 구성(즉, 백색 기재/백색층/4층 흑색층의 층 구성)을 갖고 있는 기재(「카본 블랙층 함유 기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제작했다.
상품명 「백 PET #38 ZE 타입」(나카모토 팩스 주식회사제) 대신에, 상기 카본 블랙층 함유 기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투명 점착제층/백색 기재/백색층/4층의 흑색층/투명 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를 수득했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흑색층 측의 면측의 표면 저항률을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5×107Ω/□이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0.03%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흑색층 측의 면에 대하여 L*a*b* 표색계에서 규정되는 L*, a*, b*를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바, L*는 28.7이고, a*는 0.55이며, b*는 1.77이었다.
따라서, 비교예 1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있어서, 흑색층은, 흑계 색재로서 카본블랙이 사용되는 흑색계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흑색층 측의 면(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표면 저항률)은 5×107Ω/□[1×1012Ω/□ 미만]으로 되어 있어, 흑색층 측의 면 또는 흑색층은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갖지 않고, 도전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의하면, 상기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차광성을 갖고 있더라도 비도전성 또는 저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8)

  1.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투과율이 0.3% 이하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로서, 상기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적어도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한쪽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갖고 있고, 반사율이 60% 미만으로 되어 있는 면 중, 적어도 최외층으로서 또는 점착제층과 접하는 형태로 차광성층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의 저항률이 1012Ω/□ 이상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의 투과율을 0.3% 이하로 하기 위한 차광성층을 양면이 기재에 끼인 형태로 갖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차광성층이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차광성층이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층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차광성층이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층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차광성층이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층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8. 제 5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시안(cyan)계 색재, 마젠타(magenta)계 색재 및 옐로(yellow)계 색재가 혼합된 혼합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9. 제 6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시안계 색재, 마젠타계 색재 및 옐로계 색재가 혼합된 혼합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시안계 색재, 마젠타계 색재 및 옐로계 색재가 혼합된 혼합 잉크 조성물 에 의해 형성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1. 제 5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3. 제 7 항에 있어서,
    흑색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면의 반사율이 60% 이상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한쪽 면의 반사율을 60% 이상으로 하기 위한 반사성층이, 차광성층에 대하여 기재측의 면에 형성된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반사성층이 백색을 나타내는 백색층,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은색층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7.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18. 액정 표시 모듈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갖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이 제 1 항에 따른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61865A 2005-07-04 2006-07-03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KR101359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5066 2005-07-04
JP2005195066A JP4854225B2 (ja) 2005-07-04 2005-07-04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41A KR20070004441A (ko) 2007-01-09
KR101359215B1 true KR101359215B1 (ko) 2014-02-05

Family

ID=376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865A KR101359215B1 (ko) 2005-07-04 2006-07-03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4225B2 (ko)
KR (1) KR101359215B1 (ko)
CN (1) CN1896168B (ko)
TW (1) TWI428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41939A1 (ja) * 2006-06-06 2009-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遮光用粘着テープ
JP5425376B2 (ja) 2006-08-11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長尺帯状物の巻回体
JP2008177034A (ja) 2007-01-18 2008-07-31 Yazaki Corp 圧着機
JP5101179B2 (ja) 2007-06-13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装飾用両面粘着シート
JP2009057537A (ja) * 2007-08-03 2009-03-19 Sekisui Chem Co Ltd 表示装置組み立て用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WO2009020043A1 (ja) * 2007-08-03 2009-02-12 Sekisui Chemical Co., Ltd. 表示装置組み立て用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5483808B2 (ja) * 2007-08-14 2014-05-07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
JP4571199B2 (ja) * 2008-03-07 2010-10-27 有限会社トップエージェント 貼付シート
JP5416361B2 (ja) 2008-04-21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硬化型粘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CN103254809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CN103254808A (zh) * 2012-02-15 2013-08-21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片
KR101452181B1 (ko) * 2013-12-02 2014-10-23 대상에스티 주식회사 전도성 차광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6672606B2 (ja) * 2015-04-02 2020-03-25 Dic株式会社 遮光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DE102019130343A1 (de) * 2018-12-21 2020-06-25 Rogers Corporation Einseitiges drucksensibles Klebeband
CN114410049A (zh) * 2022-01-26 2022-04-29 北京宇阳泽丽防水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高耐候合成高分子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741A (ja) 2001-02-23 2002-09-06 Sony Chem Corp 両面テープ
JP2003013008A (ja) 2001-06-27 2003-01-15 Dainippon Ink & Chem Inc 表示デバイス用水性遮光塗料組成物および絶縁性遮光膜
JP2004156015A (ja) 2002-08-12 2004-06-03 Dainippon Ink & Chem Inc 光反射性と遮光性を併有するlcdモジュール用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391B2 (ja) * 1990-11-26 1996-11-13 出光興産株式会社 遮光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520A (ja) * 1994-06-21 1996-01-09 Sekisui Chem Co Ltd 遮光性粘着シート
JPH09302265A (ja) * 1996-05-16 1997-11-25 Toppan Printing Co Ltd 遮光膜形成用着色樹脂組成物、アレイ基板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DE10000127A1 (de) * 1999-01-13 2000-07-20 Samsung Sdi Co Zusammensetzung zur Bildung eines leitfähigen Films,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Displayvorrichtung mit einem leitfähigen Film, der mit der Zusammensetzung hergestellt ist
JP3067391U (ja) * 1999-09-14 2000-03-31 株式会社山三商会 遮光テ―プ
JP2002302625A (ja) * 2001-04-04 2002-10-18 Tokai Carbon Co Ltd 導電性黒色塗料用カーボンブラック顔料および該カーボンブラック顔料を配合した導電性黒色塗料
SG115510A1 (en) * 2001-12-20 2005-10-28 Nitto Denko Corp Cover tape for the electronic part conveya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electronic part conveying member
JP4247655B2 (ja) * 2002-03-29 2009-04-02 Dic株式会社 着色粘着テープ
JP3886121B2 (ja) * 2002-07-29 2007-0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JP4269099B2 (ja) * 2002-11-29 2009-05-27 Dic株式会社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4231736A (ja) * 2003-01-29 2004-08-19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5060435A (ja) * 2003-08-14 2005-03-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両面粘着シート
JP2005103853A (ja) * 2003-09-29 2005-04-21 Soken Chem & Eng Co Ltd 薄型遮光性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26624A (ja) * 2003-10-27 2005-05-19 Lintec Corp 遮光用両面粘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9741A (ja) 2001-02-23 2002-09-06 Sony Chem Corp 両面テープ
JP2003013008A (ja) 2001-06-27 2003-01-15 Dainippon Ink & Chem Inc 表示デバイス用水性遮光塗料組成物および絶縁性遮光膜
JP2004156015A (ja) 2002-08-12 2004-06-03 Dainippon Ink & Chem Inc 光反射性と遮光性を併有するlcdモジュール用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6630A (en) 2007-02-16
CN1896168B (zh) 2013-02-27
CN1896168A (zh) 2007-01-17
TWI428416B (zh) 2014-03-01
JP4854225B2 (ja) 2012-01-18
KR20070004441A (ko) 2007-01-09
JP2007009137A (ja)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215B1 (ko)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JP5322373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基材、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386263B1 (ko) 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KR101153542B1 (ko)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JP5101179B2 (ja) 装飾用両面粘着シート
KR101296943B1 (ko)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JP5373296B2 (ja) 反射及び遮光機能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501468B2 (ja) 粘着シート
JP4749085B2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4749058B2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62297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349751B2 (ja) 遮光性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57554A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419172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01264B2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