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542B1 -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542B1
KR101153542B1 KR1020070017012A KR20070017012A KR101153542B1 KR 101153542 B1 KR101153542 B1 KR 101153542B1 KR 1020070017012 A KR1020070017012 A KR 1020070017012A KR 20070017012 A KR20070017012 A KR 20070017012A KR 101153542 B1 KR101153542 B1 KR 10115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layer
molecular weight
low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420A (ko
Inventor
준지 요꼬야마
요시까즈 소에다
유따까 도사끼
고이찌 이께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02F1/133557Half-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57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or natural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물질; 및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감압성 접착제 층(여기에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은 아크릴 중합체(a), 및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포함하는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감압성 접착제 층이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4 내지 25℃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며,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그것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 및/또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인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광반사성, 차광성, 감압성 접착 테이프, 시트,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최대 손실 탄젠트

Description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Having Light-Reflective Property and/or Light-Shielding Propert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도 1a 및 1b는 실시예들의 내반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내반발성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여기에서 도 1a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판 및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FPC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개략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내반발성을 측정하기 위해 FPC가 루프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3a 및 3b는 실시예들의 내변위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내변위성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도 3a는 샘플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을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에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시험 샘플을 도시하는 평면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내변위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 3에서의 시험 샘플을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FPC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3. 폴리카르보네이트 판
4.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
5. 폴리카르보네이트 판
6. 금속 판
7.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
8. 유리 판
9.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0.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중지 판)
11. 대리석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소위 "휴대폰" 등에서, 이미지 표시용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그와 같은 목적을 위해 반사성 또는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사용된다(특허 참고문헌 1 내지 13 참고).
특허 참고문헌 1: JP-A-2004-59723
특허 참고문헌 2: JP-A-2002-235053
특허 참고문헌 3: JP-A-2002-350612
특허 참고문헌 4: JP-A-2004-161955
특허 참고문헌 5: JP-A-2004-184443
특허 참고문헌 6: JP-A-2004-231736
특허 참고문헌 7: JP-A-2004-231737
특허 참고문헌 8: JP-A-2004-156015
특허 참고문헌 9: JP-A-2004-244499
특허 참고문헌 10: JP-A-2002-249741
특허 참고문헌 11: JP-A-2004-53759
특허 참고문헌 12: JP-A-2002-23663
특허 참고문헌 13: JP-A-2006-10931
발명의 개요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한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지고, 반사층 및/또는 차광층을 가지는 구조의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그러한 테이프 또는 시트는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라고도 불림)가 통상 이용된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통상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백라이트 유니트에 접착될 때, 정상적으로 백라이트 유니트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의 표면에 접착된다.
또한, 액정 표시 모듈은 휘어진 상태에서, 소위 휴대폰 등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가요성 인쇄판(FPC)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 모듈 또는 백라이트 유니트는 FPC의 휘어짐에 의해 반발력을 받게 되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박리되기 쉽다. 그러므로, 다소 다량의 가교제를 함유하고 높은 가교 밀도를 가지는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지는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반발력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백라이트 유니트 내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되어 있어 흡수 수분을 함유하고, (특히, 고온 하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는 흡수된 수분, 또는 남아있는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또한 이는 버블 형성을 유발한다(배기). 그러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 상에 접착될 때,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서 발생되는 버블(발포)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사이의 계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분리 또는 박리가 일어난다. 그러한 분리 또는 박리가 일어날 때,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휘어진 FPC에 의한 반발력이 또한 발휘됨에 따라 궁극적으로 백라이트 유니트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각 케이싱 내에 액정 표시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경우, 양 유니트와 케이싱 사이의 틈이 단지 약 0.3 mm이고, 예를 들어 우연히 휴대폰을 떨어뜨릴 때, 액정 표시 모듈이 변위될 수 있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유연성인 경우 케이싱과 접촉하게 될 수 있어, 이에 따라 액정 표시의 유리 기판이 충격에 의해 균열되는 유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내낙하충격성 및 내반발성 모두가 만족스러운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서, -40 내지 -15℃의 온도 범위 내에서 최대 손실 탄젠트를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 및 15 내지 45%의 겔 분율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JP-A-2006-10931). 그러나, 그와 같은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 및 겔 분율은 감압성 접착제 층이 충분한 응집력을 가지지 않는다는 결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내반발성에 있어, 감압성 접착제가 신장되어, 분리 또는 박리를 유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낙하시키는 경우에 큰 변위량이 초래된다. 특히, 낙하시키는 경우의 변위량은 실제 사용 시, 예를 들어 휴대폰 등을 우연히 떨어뜨릴 때, 액정 표시 모듈을 구성하는 유기 기판("액정 표시 유리"로도 불림)이 쉽게 균열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도 열화된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상기 결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요망되어 왔다.
상기 것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반발성을 유리할 수 있고,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될 때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낙하시키는 경우에 액정 표시 유리에서 균열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 및 그와 같은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심의 연구한 결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되게 되는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서 특정화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또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특정화된 겔 분율 및 손실 탄젠트의 최대 온도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우수한 내반발성을 유지하며,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된 경우에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거나 방지하고; 액정 표시 유리에 부착된 경우에 낙하시킬 때 액정 표시 유리에서 균열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행해졌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5)에 관한 것이다.
(1) 기재 물질; 및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감압성 접착제 층(여기에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은 아크릴 중합체(a), 및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 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포함하는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4 내지 25℃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며,
상기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그것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 및/또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인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것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2) (1)에 있어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이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5 중량부의 분율로 존재하는 것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3) (1)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층을 가지고, 상기 반사층은 백색인 백색 층 또는 은색인 은색 층이며, 반사층은 기재 물질,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기재 물질 및 감압성 접착제 층 이외의 임의적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4) (1)에 있어서, 0.3% 이하의 투과율을 제공하기 위한 차광층을 가지고, 상기 차광층은 흑색인 흑색 층이고, 차광층은 기재 물질,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기재 물질 및 감압성 접착제 층 이외의 임의적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5)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은 바람직하게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5 중량부의 분율로 존재한다.
또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층으로서, 백색인 백색 층 또는 은색인 은색 층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고, 0.3% 이하의 투과율을 제공하기 위한 차광층으로서, 흑색을 갖는 흑색 층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액정 표시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기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하기 (6) 내지 (7)에 관한 것이다.
(6)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 표시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6)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니트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을 가지고,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그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니트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을 포 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되도록 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우수한 내반발성을 유지할 수 있고,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될 때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낙하 시에 액정 표시 유리에서 균열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표면이 60% 이상의 반사율 및/또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며;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아크릴 중합체(a), 및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감압성 접착제 층은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4 내지 25℃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아크릴 중합체(a)와 함께,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고,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4 내지 25℃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는 감압성 접착제 층(그러한 감압성 접착제 층은 또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칭해짐)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될 때, 테이프 또는 시트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대한 향상된 접착으로 인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분리 또는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내반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높은 응집력을 가지고, 액정 표시 유리에 부착될 때 낙하시키는 경우에도 그것의 액정 유리를 강하게 고정하여 그것의 변위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낙하 시에 액정 표시 유리에서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그것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 6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표면의 반사율은, 그것이 60% 이상(예를 들어 60 내지 100%)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높을수록 더욱 바람직하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6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표면의 반사율은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양 표면에서 60%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 표면의 반사율이 상호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소정의 표면의 반사율(확산 반사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소정의 표면측)에 55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마즈 코포레이션(Shimadzu Corp.) 제조의 분광광도계 MPS-2000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0.3% 이하의 투과율을 갖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반사율은 그것이 0.3%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3%)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낮을수록 더욱 바람직하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투과율은 0.1%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0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투과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에 55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다른 표면에 투과된 광의 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히다치사(Hitachi Ltd.) 제조의 분광광도계 U4100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기재 물질의 하나 이상의 표면(한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 물질의 단지 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지는 경우, 기재 물질의 한 표면에 형성된 상기와 같은 감압성 접착제 층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 물질의 양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지는 경우(즉,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경우), 기재 물질의 한 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서 형성되고, 한편 기재 물질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이외의 감압성 접착제 층(그러한 감압성 접착제 층은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도 칭해짐)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기재 물질의 양 표면 상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양층 모두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같은 각 감압성 접착제 층이 투명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광반사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광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일 수 있다. 각 감압성 접착제 층이 차광층으로서의 흑색 층(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 반사층으로서의 백색 층 또는 은색 층(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인 경우, 그것은 표시되는 색에 상응하여 착색제(예를 들어, 흑색 착색제, 백색 착색제, 또는 은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차광성을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 로도 불림) 또는 차광성을 갖는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차광성의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도 불림))은 흑색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흑색 착색제는 차광층에 대한 예로서 기재된 흑색 착색제들 중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광반사성을 갖는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광반사성의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도 불림) 또는 광반사성을 갖는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광반사성의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도 불림))은 백색 착색제 또는 은색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고, 그러한 백색 착색제 또는 은색 착색제는 반사층에 대한 예로서 기재된 백색 착색제들 또는 은색 착색제들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같은 각 감압성 접착제 층이 차광층으로서의 흑색 층(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도 아니고, 광반사층으로서의 백색 층 또는 은색 층(광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도 아닌 경우, 투명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투명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도 칭해짐)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소위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 장비에서 액정 표시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이용되기 때문에,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같은 각 감압성 접착제 층은, 전자 장비에 대한 전기적 손상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다. 이 이 유로 인해, 감압성 접착제 층에 함유되는 착색제는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다.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착색제로서, 비전도성 착색제는 이하 기재되는 반사층들 및 차광층들에 대한 예로서 기재된 각종 착색제들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도성 및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 층은 카본블랙과 같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흑색 착색제를 이용하지 않고, 시안 착색제, 마젠타 착색제 및 황색 착색제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흑색 착색제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아크릴 중합체(a), 및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유화액형 감압성 접착제, 용매형 감압성 접착제 또는 고온 용융형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형태의 감압성 접착제일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아크릴 중합체(a)는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메트)아크 릴산 에스테르형 중합체일 수 있다. 그러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에는 이하에 나와 있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뿐만 아니라,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에서, (메트)아크릴 알킬산 에스테르가 주요 단량체 성분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 중합체(a)로서,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형 중합체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는 바람직하게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이용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그러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예에는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에서,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특히,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중요하게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분율을 가진다. 또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분율의 상한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이하(바람직하게 98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7중량% 이하)이다.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50 중량% 미만인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특히,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분율은 아크릴 중합체의 특성(예컨대,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 산 에스테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 성분(공중합가능한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가교 부위를 아크릴 중합체(a)에 도입하거나, 아크릴 중합체(a)의 응집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중합가능한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가교 부위를 아크릴 중합체(a)에 도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능기-함유 단량체 성분(특히, 가교 부위를 아크릴 중합체(a)에 도입하기 위한 열 가교 관능기-함유 단량체 성분)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관능기-함유 단량체 성분은, 특별한 제한없이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할 수 있고, 가교 부위를 제공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임의의 단량체 성 분일 수 있고, 그것의 예에는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소크로톤산 및 그것의 무수물(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비닐 알코올 및 알릴 알코올; 아미드형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티롤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티롤프로판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시아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질소 함유 고리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르폴린, N-비닐카프로락톤 및 N-(메트)아크릴로모르폴린이 포함된다. 관능기-함유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또는 그것의 산 무수물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아크릴 중합체(a)의 응집력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른 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또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의 예에는 비닐 에스테르형 단량체, 예컨대 비닐 아세 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렌형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치환 스티렌(예컨대, α-메틸 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 비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시클로펜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예컨대,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아릴로일알킬 에스테르(예컨대,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 아릴알킬 에스테르(예컨대,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핀계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및 이소부틸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알콕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에테르형 단량체, 예컨대 메틸 비닐 에테르 및 에틸 비닐 에테르; 및 다관능성 단량체, 예컨대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 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가능한 다른 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C1 -3 공중합가능한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C13 -20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이코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예컨대,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아릴옥시알킬 에스테르(예컨대,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산 아릴알킬 에스테르(예컨대,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에서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a)는 통상적이거나 일반적인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 다. 아크릴 중합체(a)에 대한 중합 방법의 예에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블록 중합, 및 자외선 조사 하에서의 중합이 포함된다. 아크릴 중합체(a)의 중합 시에, 각 중합 방법에 부합하는 적당한 성분, 예컨대 중합개시제, 사슬이동제, 유화제 및 용매가 통상적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0 내지 l,500,000(바람직하게는 550,000 내지 1,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00 내지 1,000,000)의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500,000 미만의 아크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만족스러운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낼 수 없고, 1,500,000을 초과하는 상기 분자량은 코팅성에 곤란성을 유발할 수 있어, 그 중 어느 경우도 바람직하지 않다.
아크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개시제 및 사슬이동제의 유형 및 양, 중합 온도 및 시간, 및 단량체의 농도 및 첨가 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기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다:
사용 장치: 도소 코포레이션(Tosoh Corp.) 제조의 HLC-8120GPC
칼럼: 도소 코포레이션 제조의 TSK 겔 슈퍼 HZM-H/HZ4000/HZ3000/HZ2000
유입구 압력: 7.2 MPa
칼럼 크기: 각기 6.0 mmφ×15 cm, 총 60 cm
칼럼 온도: 40℃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속: 유속도 6.0 mL/분
샘플 농도: 0.1 중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20 μL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표준 샘플: 폴리스티렌(PS)
데이터 처리 장치: 도소 코포레이션 제조의 GPC-8020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은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소위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도 칭해짐)를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그러한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동종중합체를 형성할 때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Tg 측정 방법"에서 수득되는 값이다.
( Tg 측정 방법)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반응기에서, 100 중량부의 단량체 성분(즉,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0.2 중량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 용매로서의 200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충전하고, 질소 기체 도입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한 후, 혼합물을 63℃로 가열하고, 1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어서, 그것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33 중량%의 고체 농도의 동종중합체 용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동종중합체 용액을 이형 라이너 상에 주형 코팅하고, 건조시켜, 약 2 mm의 두께의 시험 샘플(시트-모양의 동종중합체)을 수득한다. 이어서, 시험 샘플을 7.9 mm의 직경의 원반 모양으로 펀칭한 후, 평행 판들 사이에 삽입하고, 전단 방식으로, 1 Hz의 전단 응력 하에 점탄성 테스터(레오메트릭스 인코포레이티드(Rheometrics Inc.) 제조의 ARES)에서 점탄성을 측정하고, 이 때 -70 내지 1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5℃/분의 온도 상승 속도로 하여,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구하고, 그러한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로 취한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서,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으나,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Tg를 나타내고,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임의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일 수 있다.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그러한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내의 고리는 방향족 고리 및 비방향족 고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비방향족 고리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고리의 예에는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예컨대, 나프탈렌 내에서와 같은 축합 탄소 고리 및 벤젠 고리), 및 각종 방향족 복소고리가 포함된다. 또한, 비방향족 고리의 예에는 비방향족 지환족 고리(예를 들어 시클로알칸 고리, 예컨대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및 시클로옥탄 고리; 또는 시클로알켄 고리, 예컨대 시클로헥센 고리), 비방향족 가교 고리(예를 들어 가교 탄화수소 고리, 예컨대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및 노르보르넨에서와 같은 이환 탄화수소 고리; 아다만탄에서와 같은 삼환 탄화수소 고리, 및 사환 탄화수소 고리)이 포함된다.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그러한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이상(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3 내지 180℃)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것들 중에 적당히 선택될 수 있고, 그것의 예에는 비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고리-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아릴옥시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 아릴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이 포함된다. 따라서, 60℃ 이상(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3 내지 18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동종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고리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비방향족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서,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중요하게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분율을 가진다.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분율이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50 중량% 미만인 경우, 내반발성 및 응집력이 열화된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서, 60 내지 190℃의 Tg를 갖는 고리-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 성분(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필요한 경우,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분율은 단량체 성분들의 유형에 따라서 모든 단량체 성분들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으나, 만족스러운 감압성 접착성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b)에서 60℃ 이상(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80℃)의 유리 전이 온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양이다. 60℃ 미만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b)의 유리 전이 온도는 내반발성 및 응집력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b)에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a)에서 예로서 기재된 각종 단량체 성분들로부터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구체예에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탄 소수 1 내지 20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및 그것의 산 무수물;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드형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시아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질소-함유 고리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 에스테르형 단량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올레핀성 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및 이소부틸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알콕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에테르형 단량체, 예컨대 메틸 비닐 에테르 및 에틸 비닐 에테르; 및 다관능성 단량체, 예컨대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헥 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서의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은 아크릴 중합체(a)와 같이, 통상적이거나 일반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 대한 중합 방법의 예에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블록 중합 및 자외선 조사 하에서의 중합이 포함된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중합 시에, 각 중합 방법에 부합하는 적당한 성분, 예컨대 중합개시제, 사슬이동제, 유화제 및 용매가 통상적으로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요하게 3,000 이상 내지 20,000, 바람직하게는 3,050 내지 1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0 내지 9,900이다. 3,000 미만의 아크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내반발성 및 응집력을 감소시키고, 20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주요 단량체 성분으로서의 아크릴 중합체(a)와의 상호 가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내반발성 및 응집력을 열화시킨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개시제 및 사슬이동제의 유형 및 양, 중합 온도 및 시간, 및 단량체의 농도 및 첨가 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아크릴 중합체(a)에 대한 조건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하기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다:
사용 장치: 도소 코포레이션 제조의 HLC-8120GPC
칼럼: 도소 코포레이션 제조의 TSK 겔 슈퍼 HZM-H/HZ4000/HZ3000/HZ2000
유입구 압력: 7.2 MPa
칼럼 크기: 각기 6.0 mmφ×15 cm, 총 60 cm
칼럼 온도: 40℃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속: 유속도 6.0 mL/분
샘플 농도: 0.1 중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20 μL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표준 샘플: 폴리스티렌(PS)
데이터 처리 장치: 도소 코포레이션 제조의 GPC-8020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5 중량부(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미만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분율은 내반발성 및 응집력을 감소시키고,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은 과도하게 높은 응집력을 초래하고, 이에 감압성 접착력이 감소되고, 그 중 어느 경우도 바람직하지 않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에 부가하여,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접착제는 가교제, 가교결합제, 감압성 접착성 제공 수지,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유연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와 같은 통상적 첨가제들로부터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가교제는 내반발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가교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에서 요망되는 가교 밀도, 가교제의 유형, 아크릴 중합체(a)의 유형(조성 및 중량 평균 분자량)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고,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우수한 내반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양인 것이 중요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교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 가교제들로부터 적당히 선택될 수 있고, 그것의 예에는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 멜라민형 가교제, 에폭시형 가교제, 퍼옥시드형 가교제, 우레아형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형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금속염형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형 가교제, 옥사졸린형 가교제, 아지리딘형 가교제 및 아민형 가교제가 포함되고, 유리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 또는 에폭시형 가교제가 이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의 예에는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수소첨가된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 생성물(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제조의 코로네이트(Coronate) L(상표명)),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 생성물(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코로네이트 HL(상표명))이 또한 사용가능하다.
에폭시형 가교제의 예에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아디프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트 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레소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가 포함된다.
이들은 겔 분율을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측면에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한 예는 에폭시형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의 혼합계이고, 여기에서 에폭시형 가교제는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0.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고,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는 0.5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가교제의 사용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전자 빔 또는 자외선광의 조사를 이용하여 가교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교 공정은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겔 분율을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겔 분율은 하기 "겔 분율 측정 방법"에 의해 계산되는 값을 의미한다.
(겔 분율 측정 방법)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 라이너에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시켜,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킨다. 약 0.1 g의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을 0.2 ㎛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니토 덴코 코포레이션(Nitto Denko Corporation) 제조의 NTF1122(상표명)로 싸고, 줄(string)로 묶었으며, 랩(wrap)의 중량을 침액 전 중량으로서 측정한다. 침액 전 중량은 감압성 접착제 층,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및 줄의 총 중량이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및 줄의 중량을 또한 래핑의 중량으로서 측정한다.
이어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씌우고 줄로 묶은 감압성 접착제 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충전된 50-ml 용기 내에 침액시키고, 실온에서 1주(7일) 동안 방치한다. 그 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를 용기에서 꺼내어, 건조기 내에 2시간 동안 130℃에서 건조시켜 아세트산에틸을 제거하고, 샘플을 중량을 침액 후 중량으로서 측정한다. 이어서, 겔 분율을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한다:
겔 분율(중량%) = (A - B)/(C - B)×100 (1)
(여기에서, A는 침액 후 중량을 가리키고, B는 래핑의 중량을 가리키며, C는 침액 전 중량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겔 분율은, 그것이 51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72 중량%(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중량%)의 범위 내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겔 분율이 5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응집력을 달성하기 어렵고, 내반발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겔 분율이 75 중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응집력은 달성될 수 있으나, 감압성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로써 내반발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14 내지 25℃ 범위 내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는 하기 "최대 손실 탄젠트의 측정 방법"에 의 해 수득되는 값을 의미한다.
(최대 손실 탄젠트의 측정 방법)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35 ㎛가 되도록 이형 라이너 상에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시켜,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킨다. 감압성 접착제 층을 약 2 mm의 두께로 적층하여, 시험 샘플을 수득한다. 시험 샘플을 7.9 mm의 평행 판 사이에 삽입하고, -70 내지 1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또한 5℃/분의 온도 상승 속도로, 1 Hz의 전단 변형율 하에 전단 방식으로,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ARES)에서 점탄성을 측정하여,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구한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에서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는, 그것이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2℃(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의 범위 내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에서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가 -14℃ 미만인 경우, 원하는 응집력을 수득하기 어렵고, 내반발성이 저하된다. 한편, 온도가 25℃를 초과하면, 충분한 응집력은 수득될 수 있으나, 감압성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로써 내반발성이 불충분해진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에서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는 아크릴 중합체(a)의 단량체 조성,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단량체 조성,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배합 분율, 및 각종 첨가제(예컨대, 감압성 접착성 제공 수지 및 가소제)의 유형 및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의 형태 를 가질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두께(건조 또는 경화 후의 두께)는 예를 들어 4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그 형성 방법에 있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정의 표면에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를 코팅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 또는 경화하는 방법, 또는 세퍼레이터(이형 라이너) 상에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를 코팅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 또는 경화하여,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수득하고, 그러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소정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기 위해, 통상의 코팅 장비(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 역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스프레이 코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 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또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기재 물질의 표면에 형성될 때,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이외의 감압성 접착제 층)이 기재 물질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예를 들어,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를 함유하지 않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일 수 있다. 그러한 저분자량 중합 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예에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뿐만 아니라, 고무형 감압성 접착제, 우레탄형 감압성 접착제, 실리콘형 감압성 접착제, 폴리에스테르형 감압성 접착제, 폴리아미드형 감압성 접착제, 에폭시형 감압성 접착제, 비닐 알킬 에테르형 감압성 접착제, 및 불소화 감압성 접착제가 포함되고,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의 형태의 감압성 접착제, 예컨대 유화액형 감압성 접착제, 용매형 감압성 접착제 또는 고온 융용형 감압성 접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이 제거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제형과 유사한(또는 동일한) 제형을 갖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따라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및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의 존재/부재를 제외하고는 유사한(또는 동일한) 제형의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지 않으나 아크릴 중합체(a)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 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아크릴 중합체(a)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아크릴 중합체(a)와 같은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는 저분자량 성분(예컨대, 저분자량의 중합체), 또는 미반응 잔류 물질의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층(예를 들어,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은 함유하지 않으나 아크릴 중합체(a)는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층)인 경우,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기재 중합체로서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 시에, 저반응 물질의 저분자량 성분(예컨대, 저분자량의 중합 성분)의 발생, 또는 잔류 미반응 저분자량 성분으로부터 비롯되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예컨대, 아크릴 올리고머)을 함유할 수 있다. 낮은 반응 수준 또는 반응의 결핍으로부터 비롯되는 그와 같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은,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에서 발생되거나 남아 있는 저분자량 성분이고, 그러므로 예를 들어 함량 또는 제형에 의해,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내에 의도적으로 함유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과 구분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과 같이,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예컨대, 가교제, 가교결합제, 감압성 접착성 제공 수지,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유연자,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내반발성을 고려하건대 바람직하게 가교제가 함유된다. 가교제의 유형 및 양은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에서의 그것들과 유사하다.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두께(건조 또는 경화 후의 두께)는 예를 들어 4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그 형성 방법에 있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정의 표면에 감압성 조성물을 코팅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 또는 경화하는 방법, 또는 세퍼레이터(이형 라이너) 상에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 또는 경화하여 감압성 접착제 층을 수득하고, 그러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소정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기 위해, 통상의 코팅 장비(예컨대, 그라비어 롤 코터, 역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스프레이 코터)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 물질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같은 감압성 접착제 층(들)이 직접적으로 또는 또 다른 층(예컨대, 반사층 또는 차광층)을 통해,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기재 물질은 가소성 기재 물질, 금속 기재 물질 또는 섬유성 기재 물질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으나, 정확도, 강도 및 박막성을 고려할 때 가소성 기재 물질이 유리하게 이용된다. 기재 물질을 위한 재료의 예에는 폴리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 불소화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 수지(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테르술폰이 포함된다. 이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재 물질은 단층 구조 및 다층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재 물질은, 차광층(차광성 기재 물질)으로서 작용하는 흑색 층, 또는 반사층(반사성 기재 물질)으로서 작용하는 백색 또는 은색 층을 구성할 때, 표시된 색에 상응하는 착색제(예컨대, 흑색 착색제, 백색 착색제, 또는 은색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기재 물질이 차광층(차광성 기재 물질)으로서 작용하는 흑색 층도 아니고, 반사층(반사성 기재 물질)으로서 작용하는 백색 또는 은색 층도 아닌 경우, 투명성을 갖는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로도 칭해짐)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재 물질은 필요에 따라,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유연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통상적 첨가제들 을 함유할 수 있다.
기재 물질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5 ㎛)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기재 물질은 그 형성 방법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또는 칼렌더 성형과 같은 성형 방법에 의해 시트로 기재 물질을 구성시키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그것의 한 표면 이상에서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때,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한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실현하기 위한 반사층이 제공된다. 반사층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소정의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율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반사층의 반사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반사율과 같이, 중요하게는 60% 이상(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80% 이상이다.
그러한 반사층은 반사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층일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 층, 수지 층(예컨대, 필름 층) 및 잉크 층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반사층이 수지 층(특히, 필름 층)인 경우, 반사층으로서 작용하는 그러한 수지 층(특히, 필름 층)이 또한 기재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반사층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실현하기 위한 형태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한 표면에 광 조사를 반사하기 위해 제공되고,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한 표면에 노출하기 위한 형태, 또는 투명성을 갖는 층(예컨대, 투명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투명 기재 물질) 내에 위치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이하 기재되는 차광층을 가지는 경우, 반사층이 바람직하게 차광층에 대해, 기재 물질 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반사층은 바람직하게 수지 층(예컨대, 필름 층)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 층이다. 반사층은 반사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각종 물질들, 예컨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반사층의 예에는 백색을 갖는 백색 층, 및 은색을 갖는 은색 층이 포함되나, 백색을 갖는 백색 층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백색은 기본적으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가 87 이상(87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이상(90 내지 100)인 백색 계열(whitish)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a* 및 b*는 각기 L*의 값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a* 및 b*는 바람직하게 -l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또는 약 0(-2 내지 2의 범위 내)이다.
은색은 기본적으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이 70 내지 90(바람직하게는 72 내지 88,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인 은과 같은 색을 의미한다. 이 와 관련하여,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a* 및 b*는 각기 L*의 값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a* 및 b*는 바람직하게 -l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또는 약 0(-2 내지 2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는 미놀타사(Minolta Ltd.)에 의해 제조된 색차계 CR-200(상표명)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L*a*b* 색공간은 1976년 국제조명위원회(CIE)에 의해 권장되는 색공간이고, CIE1976(L*a*b*) 색공간으로 불리는 색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L*a*b* 색공간은 JIS Z8729에 일본 산업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백색 층 또는 은색 층과 같은 반사층은 표시된 색에 상응하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층이 예를 들어 백색 층인 경우, 착색제로서 백색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이 예를 들어 은색 층인 경우, 착색제로서 은색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반사층이 백색을 나타내는 잉크 층(백색 잉크 층, 특히 백색을 나타내는 인쇄 층(백색 인쇄 층))일 경우, 백색 잉크 층은 예를 들어 주로 백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백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층이 은색을 나타내는 잉크 층(은색 잉크 층, 특히 은색을 나타내는 인쇄 층(은색 인쇄 층))일 경우, 은색 잉크 층은 예를 들어 주로 은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은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이 백색을 나타내는 수지 층(백색 수지 층, 특히 백색을 나타내는 필름 층(백색 필름 층))일 경우, 백색 수지 층은 예를 들어 백색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백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 다. 한편, 반사층이 은색을 나타내는 수지 층(은색 수지 층, 특히 은색을 나타내는 필름 층(은색 필름 층))일 경우, 은색 수지 층은 예를 들어 은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백색 착색제 및 은색 착색제는 각기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임의의 착색제(착색 제제)일 수 있으나, 안료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백색 착색제의 구체예에는 무기 백색 착색제, 예컨대 산화티탄(금홍석형 이산화티탄 또는 예추석형 이산화티탄과 같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예컨대, 경 탄산칼슘 또는 중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산화아연, 황화아연, 활석, 실리카, 알루미나, 점토, 카올린, 인산티탄, 운모, 석고, 화이트카본, 구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및 수화 할로사이트 및 유기 백색 착색제, 예컨대 아크릴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형 수지 입자, 폴리우레탄형 수지 입자, 아미드형 수지 입자, 폴리카르보네이트형 수지 입자, 실리콘형 수지 입자, 우레아-포르말린형 수지 입자, 및 멜라민형 수지 입자가 포함된다. 백색 착색제로서, 이미 공지된 것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는 형광 백화제가 또한 이용가능하다. 백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은색 착색제의 예에는 은 및 알루미늄이 포함된다. 은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조성물(예컨대, 백색 잉크 조성물 또는 은색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에 부가하여, 착색제, 결합제, 분산제, 용매 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한다. 결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것의 예에는 통상적 수지(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광경화성 수지),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성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페녹시 수지,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알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수지(예컨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셀룰로스(예컨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에틸 셀룰로스 수지), 및 폴리아세탈이 포함된다. 결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백색 수지 층(특히, 백색 필름 층) 또는 은색 수지 층(특히, 은색 필름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에서, 수지(백색 수지 또는 투명 수지와 같은 다른 색의 수지)의 예에는 폴리에스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스, 불소화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성 수지(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테르술폰이 포함된다. 백색 착색제 또는 은색 착색제를 이용하는 경우, 투명 수지가 수지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백색 수지 층 또는 은색 수지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충전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유연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통상적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반사층 중에서, 알루미늄의 은 등의 은과 같은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은색 층이 금속 성분의 증발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증발법으로서, 감압 증발(진공 증발) 공정, 물리적 스퍼터링 공정 또는 화학적 스퍼터링 공정이 이용가능하다.
반사층은 단층 구조 및 다층 구조 중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다층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바람직하게 다층 구조의 반사층(특히, 다층 구조의 백색 층)을 가진다. 반사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반사층의 층 수는 2개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 내지 1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반사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도록 하는 식으로, 각 반사층의 반사율이 아 니라, 다층 구조의 전체 반사층의 반사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층의 두께(다층 구조의 반사층의 경우, 다층 구조의 전체 반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으로서 증발법에 의해 형성된 은색 층의 경우,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3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5 ㎛)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층이 기재 물질(즉, 반사성 기재 물질), 또는 감압성 접착제 층(즉, 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기재 물질 상에 제공된 층(특히, 기재 물질과 차광층 사이에 제공된 인쇄 층(반사성 인쇄 층))이다. 반사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반사성 기재 물질 및 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이 다층 구조의 반사층에 속하는 층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층의 층 구조의 예에는 하나 이상의 반사성 인쇄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반사성 기재 물질 및 그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반사성 인쇄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하나 이상의 반사성 인쇄 층 및 그 위에 형성된 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및 반사성 기재 물질, 그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반사성 인쇄 층, 및 그 위에 형성된 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가 포함된다.
반사층은 또한 백색 층 및 흑색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층이 백색 층 및 흑색 층을 포함하는 경우, 백색 층 및 흑색 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사성 기재 물질 또는 반사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일 수 있다.
반사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반사층의 유형 및 층 구조에 따라 반사층의 통상적 형성 방법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층이 예를 들어 기재 물질 상에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반사성 인쇄 층인 경우, 그러한 반사성 인쇄 층은 예를 들어, 기재 물질 상에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성 인쇄 층을 형성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하는 방법, 또는 각종 인쇄 공정(예컨대,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레터프레스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이 은색 층인 경우, 반사층으로서의 그러한 은색 층이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이 가소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반사성 기재 물질인 경우, 그것은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또는 칼렌더 성형과 같은 성형법에 의해 반사성 기재 물질을 구성하는 가소성 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이 반사성 기재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반사층인 경우, 그러한 반사층은 상기 방법들을 조합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경우, 0.3% 이하의 투과율을 실현하기 위한 차광층이 제공된다. 차광층이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0.3% 이하의 투과율을 실현할 수 있는 그러한 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차광층의 투과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투과율과 같이, 중요하게는 0.3% 이하(0 내지 0.3%),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특히, 0.01% 이하)이다.
차광층의 투과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투과율에 상응(또는 일치)함에 따라, 차광층의 투과율은,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부터 차광층을 추출하지 않고도,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차광층의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차광층은 차광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층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 층, 수지 층(예컨대, 필름 층) 및 잉크 층(인쇄 층)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광층은 바람직하게 잉크 층, 특히 인쇄 층(차광성 인쇄 층)이다. 차광층은 차광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각종 물질(예컨대,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광층은 바람직하게 흑색을 나타내는 흑색 층이다. 흑색 층에서, 흑색은 기본적으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가 35 이하(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30 이하(0 내지 30)인 흑색 계열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a* 및 b*는 각기 L*의 값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a* 및 b*는 바람직하게 -l0 내지 10(특히, -5 내지 5)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또는 약 0(-2 내지 2의 범위 내)이다.
흑색 층과 같은 반사층은 표시된 색에 상응하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중 요하다. 차광층이 흑색 층인 경우, 예를 들어 흑색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차광층이 흑색을 나타내는 잉크 층(흑색 잉크 층), 특히 흑색을 나타내는 인쇄 층(흑색 인쇄 층)일 경우, 흑색 잉크 층(특히, 흑색 인쇄 층)은 예를 들어 주로 흑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흑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이 흑색을 나타내는 수지 층(흑색 수지 층, 특히 흑색을 나타내는 필름 층(흑색 필름 층))일 수 있다. 차광층이 흑색 수지 층(흑색을 갖는 수지 층)인 경우, 흑색 수지 층은 예를 들어 주로 흑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흑색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흑색 착색제는 각기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임의의 착색제(착색 제제)일 수 있으나, 안료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흑색 착색제의 구체예에는 카본블랙(예컨대, 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써멀 블랙, 또는 램프 블랙), 흑연,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티탄 블랙, 시아닌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예컨대, 비자성 페라이트 또는 자성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산화몰리브덴, 크롬 착체, 복합 산화물형 블랙 염료, 및 안트라퀴논형 유기 블랙 염료가 포함된다. 흑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흑색 착색제로서, 시안색 착색제(청색-녹색 착색제), 마젠타 착색제(적색-자주색 착색제), 및 황색의 착색제(황색 착색제)가 혼합된 착색제 혼합물이 이용가능하다. 또한, 흑색을 나타내는 필름 층이 주로 시안 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시안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필름 층, 마젠타색 착색제를 주로 함유하는 마젠타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필름 층, 및 황색의 착색제를 주로 함유하는 황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 다층 필름 층일 수 있다.
시안 착색제들 중, 안료(시안색 안료)의 예에는 C.I. 피그먼트(Pigment) 레드 1, 2, 3, 15, 15:1, 15:2, 15:3, 15:4, 15:5, 15:6, 16, 17, 17:1, 18, 22, 25, 56, 60, 63, 65, 66; C.I. 배트(Vat) 블루 4, 60; 및 C.I. 피그먼트 그린 7이 포함된다. 시안 착색제들 중, 염료(시안색 염료)의 예에는 C.I. 솔벤트(Solvent) 블루 25, 36, 60, 70, 93, 95; C.I. 산 블루 6 및 45가 포함된다.
마젠타 착색제들 중, 안료(마젠타색 안료)의 예에는 C.I. 피그먼트 레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1, 22, 23, 30, 31, 32, 37, 38, 39, 40, 41, 42, 48:1, 48:2, 48:3, 48:4, 49, 49:1, 5O, 51, 52, 52:2, 53:1, 54, 55, 56, 57:1, 58, 60, 60:1, 63, 63:1, 63:2, 64, 64:1, 67, 68, 81, 83, 87, 88, 89, 90, 92, 101, 104, 105, 106, 108, 112, 114, 122, 123, 139, 144, 146, 147, 149, 150, 151, 163, 166, 168, 170, 171, 172, 175, 176, 177, 178, 179, 184, 185, 187, 190, 193, 202, 206, 207, 209, 219, 222, 224, 238, 245;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3, 9, 19, 23, 31, 32, 33, 36, 38, 43, 50; C.I. 배트 레드 1, 2, 1O, 13, 15, 23, 29 및 35가 포함된다.
마젠타 착색제들 중, 염료(마젠타색 염료)의 예에는 C.I. 솔벤트 레드 1, 3, 8, 23, 24, 25, 27, 30, 49, 52, 58, 63, 81, 82, 83, 84, 100, 109, 111, 121, 122; C.I. 디스퍼스(Disperse) 레드 9; C.I. 솔벤트 바이올렛 8, 13, 14, 21, 27; C.I. 디스퍼스 바이올렛 1; C.I. 베이직(Basic) 레드 1, 2, 9, 12, 13, 14, 15, 17, 18, 22, 23, 24, 27, 29, 32, 34, 35, 36, 37, 38, 39, 40; C.I. 베이직 바이올렛 1, 3, 7, 10, 14, 15, 21, 25, 26, 27 및 28이 포함된다.
황색 착색제들 중, 안료(황색 안료)의 예에는 C.I. 피그먼트 오렌지 31, 43; C.I. 피그먼트 옐로우 1, 2, 3, 4, 5, 6, 7, 10, 11, 12, 13, 14, 15, 16, 17, 23, 24, 34, 35, 37, 42, 53, 55, 65, 73, 74, 75, 81, 83, 93, 94, 95, 97, 98, 100, 101, 104, 108, 109, 110, 113, 114, 116, 117, 120, 128, 129, 133, 138, 139, 147, 150, 151, 153, 154, 155, 156, 167, 172, 173, 180, 185, 195; C.I. 배트 옐로우 1, 3, 및 20이 포함된다. 황색 착색제들 중에서, 염료(황색 염료)의 예에는 C.I. 솔벤트 황색 19, 44, 77, 79, 81, 82, 93, 98, 103, 104, 112 및 162가 포함된다.
흑색 착색제가 시안 착색제, 마젠타색 착색제 및 황색 착색제를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착색제 혼합물인 경우, 각각의 시안 착색제, 마젠타색 착색제 및 황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 혼합물 내의 시안 착색제, 마젠타색 착색제 및 황색 착색제의 혼합비(배합비)는 흑색과 같은 색상이 나타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각 착색제의 유형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착색제 혼합물 내의 시안 착색제, 마젠타색 착색제 및 황색 착색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착색제들의 총량에 대해, 시안 착색제/마젠타색 착색제/황색 착색제 = 10 내지 50 중량%/10 내지 50 중량%(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20 내지 40 중량%/20 내지 4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차광층이 인쇄 층과 같은 잉크 층인 경우, 이용된 그러한 잉크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 조성물은 주로 착색제로서 흑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흑색 잉크 조성물이다. 흑색 잉크 조성물은 흑색 착색제에 부가하여, 필요에 따라 결합제, 분산제, 용매 등을 함유한다. 결합제의 예는, 반사층을 위한 잉크 조성물(예컨대, 백색 잉크 조성물 또는 은색 잉크 조성물)에 대한 예로서 상기 기재된 것들이다.
또한, 흑색 수지 층(특히, 흑색 필름 층)에 이용되는 수지는, 백색 수지 층(특히, 백색 필름 층) 또는 은색 수지 층(특히, 은색 필름 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된 수지들로부터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광층은 단층 구조 및 다층 구조 중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바람직하게 다층 구조의 차광층(특히, 다층 구조의 흑색 층)을 가진다. 차광층의 그러한 다층 구조는 차광층의 차광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차광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차광층의 층 수는 2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특히 바람직하게는 4)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차광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광차광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하는 식으로, 각 차광층의 투과율이 아니라, 다층 구조의 전체 차광층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광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차광층이 예를 들어 인쇄 층(차광성 인쇄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차광성 인쇄 층의 두께(다층 구조의 차광성 인쇄 층의 경우, 전체 차광성 인쇄 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이 수지 층 또는 감압성 접착제 층인 경우, 차광층의 두께는, 기재 물질 및 감압성 접착제 층의 예로서 기재된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광층이 기재 물질(즉, 차광성 기재 물질), 또는 감압성 접착제 층(즉,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기재 물질 상에 제공된 층(특히, 기재 물질과 차광층 사이에 제공된 인쇄 층(차광성 인쇄 층))이다. 차광층이 다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차광성 기재 물질 및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이 다층 구조의 차광층에 속하는 층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광층의 층 구조의 예에는 하나 이상의 차광성 인쇄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차광성 기재 물질 및 그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차광성 인쇄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하나 이상의 차광성 인쇄 층 및 그 위에 형성된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 및 차광성 기재 물질, 그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차광성 인쇄 층, 및 그 위에 형성된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제 층에 의해 형성된 층 구조가 포함된다.
차광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차광층의 유형 및 층 구조에 따라 차광층의 통상적 형성 방법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광층이 예를 들어 잉크 조성물(예를 들어, 흑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차광성 인쇄 층이고, 기재 물질과 감압성 접착제 층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 그것은 예를 들어, 기재 물질 상에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여 차광성 인쇄 층을 형성한 후, 임의적으로 건조하는 방법, 또는 각종 인쇄 공정(예컨대,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레터프레스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이 수지 층인 경우, 그것은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또는 칼렌더 성형과 같은 성형법에 의해 가소성 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고, 그러한 시트 모양의 수지 층을 소정의 표면(예를 들어, 기재 물질)에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이 잉크 층, 수지 층 및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다층 차광층인 경우, 그러한 차광층은 층들(예컨대, 잉크 층, 수지 층 및 감압성 접착제 층)의 통상적 형성 방법들을 조합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층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다른 층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차광층으로서 흑색 층을 가지고, 반사층으로서 백색 또는 은색 층을 가질 때, 흑색 층과 백색 또는 은색 층 사이에, 흑색 이외, 또한 백색 또는 은색 이외의 색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한 층(특히, 한 측에서 다른 한 측으로의 차광성 및 반사성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광반사성/차광성 제어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과 차광층 사이에 다른 한 층으로서 반사성/차광성 제어 층을 형성함으로써(즉, 반사층, 반사성/차광성 제어 층 및 차광층을 이 순서로 형성함으로써),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차광층의 측에서 반사층의 측으로 단계별로 변화하는 차광성, 및 반사층의 측에서 차광층의 측으로 단계별로 변화하는 반사 성을 나타낼 수 있다.
흑색, 백색 또는 은색 이외의 색을 나타내는 층에서, 흑색, 백색 또는 은색 이외의 색은 흑색, 백색 또는 은색이 아닌 임의의 색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색, 청색, 황색, 녹색, 황녹색, 오렌지색, 자주색, 회색 또는 금색일 수 있다. 흑색 또는 백색 이외의 색은 은색 또는 회색일 수 있고, 흑색 또는 은색 이외의 색은 백색일 수 있다.
상기 기재된 기재 물질을 포함한,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기재 함유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형태를 가진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기재 물질, 및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한 표면 또는 양 표면) 상에 형성된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표면이 60% 이상의 반사율 및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예를 들어 하기 층 구조(A1) 내지 (A8), (B1) 내지 (B8), (C1) 내지 (C8), (D1) 내지 (D9) 중 하나를 가진다:
층 구조(A1): 차광성 기재 물질/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A2): 투명 기재 물질/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A3): 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A4): 차광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A5): 층 구조(A1) 및 (A3) 내지 (A4) 내의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대체된 구조
층 구조(A6): 층 구조(A1) 내지 (A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차광층을 경유하여 제공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A7): 층 구조(A1) 내지 (A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차광층을 경유하여 제공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A8): 층 구조(A1) 내지 (A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하나 이상의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B1): 반사성 기재 물질/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B2): 투명 기재 물질/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B3): 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B4): 반사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B5): 층 구조(B1) 및 (B3) 내지 (B4) 내의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대체된 구조
층 구조(B6): 층 구조(B1) 내지 (B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반사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반사층을 경유하여 제공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B7): 층 구조(B1) 내지 (B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반사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반사층을 경유하여 제공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B8): 층 구조(B1) 내지 (B5)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반사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하나 이상의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C1): 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C2): 반사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C3): 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C4): 하나 이상의 반사층/반사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C5): 하나 이상의 반사층/차광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C6): 층 구조(C1) 내지 (C5) 내의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대체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C7): 층 구조(C1) 내지 (C2)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또는 층 구조(C3) 내지 (C5) 내의 하나 이상의 반사층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C8): 층 구조(C1) 내지 (C2)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또는 층 구조(C3) 내지 (C5) 내의 하나 이상의 반사층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D1): 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D2): 차광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차광층/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D3): 하나 이상의 차광층/투명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D4): 하나 이상의 차광층/차광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D5): 하나 이상의 차광층/반사성 기재 물질/하나 이상의 반사층/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
층 구조(D6): 층 구조(D1) 내지 (D5) 내의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대체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D7): 층 구조(D1) 내지 (D2)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반사성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D8): 층 구조(D1) 내지 (D2) 내의 기재 물질(투명 기재 물질 또는 차광성 기재 물질)의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차광성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층 구조(D9): 하나 이상의 차광층/하나 이상의 반사층/반사성 기재 물질/투 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차광층의 한 표면(노출 표면)에, 투명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이러한 식으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한 표면에만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구조, 또는 양 표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시트의 적층 형태, 또는 롤에 권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층 구조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A6), (A7), (B6), (B7), (C7), (C8), (D7), (D8) 및 (D9), 특히 바람직하게는 (B7) 및 (C8)를 포함한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감압성 접착제 층(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또는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표면은 통상적 세퍼레이터(이형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 물질의 한 표면에만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갖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의 표면은 예를 들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을 가지지 않는 기재 물질의 표면(후면)에 통상적 이형 처리제(예컨대,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에 의해 이형가능하게 처리된 층을 형성하고, 이형가능하게 처리된 층 및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상호 접촉되도록 하는 형태로 테이프 또는 시트를 권취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그것의 한 표 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경우, 그것은 반사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반사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경우, 그것은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그것의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 및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경우, 그것은 반사성 및 차광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양 표면에 감압성 접착 표면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일 수 있거나, 한 표면에만 감압성 접착 표면을 갖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예를 들어 소위 "휴대폰" 또는 소위 "PDA"에서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LCD)(특히, 컴팩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광반사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또는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포함하고,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가 상기 광반사성/차광 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즉,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표면이 60% 이상의 반사율 및/또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는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또는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한 표면에 60% 미만의 반사율을 가지고, 다른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경우, 60% 미만의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이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의 측에 배치될 수 있고,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은 백라이트 유니트의 측에 배치될 수 있거나, 60% 미만의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측에 배치될 수 있고, 60%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는 표면은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특히, 소위 "휴대폰" 또는 소위 "PDA"에서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니트는 통상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백라이트 유니트 상에 접착시킬 때,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되도록 하는 형태로 광반사성/차광성의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투과율(%), 반사율(%), 및 L*a*b* 색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는 하기 측정 방법들에 의해 결정되었다.
투과율의 측정 방법
550 nm의 파장의 광을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한 표면에 조사하고, 다른 한 표면에 투과된 광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히다치사(Hitachi Ltd.)에 의해 제조된 분광광도계 U4100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구하였다.
반사율의 측정 방법
550 nm의 파장의 광을,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상이한 색을 갖는 적층 기재 물질의 백색 필름 층 측의 표면에 조사하고, 조사된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마즈 코포레이션(Shimadzu Corp.)에 의해 제조된 분광광도계 MPS-2000를 이용하여, 반사율(%)을 구하였다.
L*, a* 및 b*의 측정 방법
미놀타사에 의해 제조된 색차계 CR-200(상표명)을 이용하여,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를 측정하였다.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
87 중량부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의 아크릴산, 0.2 중량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 용매로서의 233.8 중량부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분리형 플라스크에 채우고, 질소 기체 도입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한 후, 혼합물을 63℃로 가열하고,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고 용액 내 30 중량%의 고체 농도를 갖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 내 아크릴 중합체는 6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졌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의 제조예 1
92 중량부의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62℃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동종중합체(폴리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부의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부의 아크릴산, 1.5 중량부의 2-머캅토에탄올, 0.2 중량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 용매로서의 100 중량부의 톨루엔을 분리형 플라스크에 채우고, 질소 기체 도입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한 후,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75℃에서 2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고 50 중량%의 고체 농도를 갖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 내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은 7,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졌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의 제조예 2
90 중량부의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18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동종중합체(폴리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6 중량부의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부의 아크릴산, 1.5 중량부의 2-머캅토에탄올, 0.2 중량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 용매로서의 100 중량부의 톨루엔을 분리형 플라스크에 채우고, 질소 기체 도입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한 후,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75℃에서 2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고 50 중량%의 고체 농도를 갖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 내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은 6,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졌다.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의 제조예 3
96 중량부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54℃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동종중합체(폴리-n-부틸 아크릴레이트)), 4 중량부의 아크릴산, 1.5 중량부의 2-머캅토에탄올, 0.2 중량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중합 용매로서의 100 중량부의 톨루엔을 분리형 플라스크에 채우고, 질소 기체 도입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계 내의 산소를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한 후,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75℃에서 2시간 동안 더욱 반응시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고 50 중량%의 고체 농도를 갖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 내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은 8,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25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1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Mitsubishi Gas Chemical Co.)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Tetrad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64 중량%의 겔 분율, 및 -11℃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0.1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73 중량%의 겔 분율, 및 -28℃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3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30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08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C)"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C)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52 중량%의 겔 분율, 및 -12℃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4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25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13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D)"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D)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0℃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5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30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12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E)"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E)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60 중량%의 겔 분율, 및 6℃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6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8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01 중량 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1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F)"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F)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33 중량%의 겔 분율, 및 -22℃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7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25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05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1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G)"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G)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40 중량%의 겔 분율, 및 -11℃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8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100 중량부의 아크릴 중합체에, 저분자량 중합체의 제조예 3에서 수득된 25 중량부의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 0.1 중량부의 4관능성 에폭시형 가교제(미츠비시 가스 케미칼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테트라드 X), 및 2 중량부의 3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제(니폰 폴리우레탄 인더스트 리 컴퍼니 제조의 상표명 코로네이트 HL)를 첨가하여,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아크릴 감압성 접착제(H)"로도 불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H)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58 중량%의 겔 분율, 및 -29℃의 최대 손실 탄젠트에서의 온도를 가졌다.
실시예 1
두께 38 ㎛의 투명 기재 물질(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흑색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흑색 계열의 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법에 의해 4회 인쇄(4층 코팅)하여, 4층 구조를 갖는 흑색 층(흑색 층의 총 두께는 7 ㎛임)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흑색 층 상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 상에 적층하였다. 또한, 투명 기재 물질의 노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 상에 적층함으로써,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투명 기재 물질/4-층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의 층 구조를 갖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상기 투과율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상기 L*, a* 및 b* 의 측정 방법에 따라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의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6.0의 L*, 0.43의 a*, 및 0.78의 b*를 가졌다.
실시예 2
두께 12 ㎛의 백색 기재 물질(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백색 착색제로서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백색 계열의 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법에 의해 1회 인쇄(1층 코팅)하여, 단층 구조를 갖는 백색 층(두께: 2 ㎛)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백색 층 상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 상에 적층하였다. 또한, 백색 기재 물질의 노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 상에 적층함으로써,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의 층 구조를 갖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상기 반사율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 시에, 백색 층 측에서의 한 표면에 85%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 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층의 측에 92.6의 L*, -0.5의 a*, 및 -0.9의 b*를 가졌다.
실시예 3
두께 12 ㎛의 백색 기재 물질(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백색 착색제로서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백색 계열의 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법에 의해 1회 인쇄(1층 코팅)하여, 단층 구조를 갖는 백색 층(두께: 2 ㎛)을 수득한 후, 흑색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흑색 계열의 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법에 의해 4회 인쇄(4층 코팅)하여, 4층 구조를 갖는 흑색 층(흑색 층의 총 두께는 7 ㎛임)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흑색 층 상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 상에 적층하였다. 또한, 백색 기재 물질의 노출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코팅하고, 건조 또는 경화하여, 두께 30 ㎛의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을 수득하였고, 실리콘형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 상에 적층함으로써,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의 층 구조를 갖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 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8.9의 L*, 0.48의 a*, 및 1.08의 b*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서의 표면에 86%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층의 측에 92.1의 L*, -0.3의 a*, 및 -0.8의 b*를 가졌다.
실시예 4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4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7.5의 L*, 0.45의 a*, 및 0.88의 b*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서의 표면에 85%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 92.3의 L*, -0.4의 a*, 및 -0.8의 b*를 가졌다.
실시예 5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3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C)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C)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C)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실시예 5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8.3의 L*, 0.43의 a*, 및 0.80의 b*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서의 표면에 85%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 또 는 2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 92.4의 L*, -0.4의 a*, 및 -0.8의 b*를 가졌다.
실시예 6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4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D)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6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D)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D)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실시예 6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8.6의 L*, 0.45의 a*, 및 0.85의 b*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서의 표면에 85%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 92.2의 L*, -0.4의 a*, 및 -0.7의 b*를 가졌다.
실시예 7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5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E)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7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E)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E)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실시예 7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0.01%의 투과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흑색 층의 측에 27.3의 L*, 0.43의 a*, 및 0.83의 b*를 가졌다.
또한, 실시예 7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 시에 백색 층의 측면에서의 표면에 83%의 반사율을 가졌다. 또한, L*a*b* 색 공간에서 정의되는 L*, a* 및 b*에 대한 실시예 1 또는 2에서와 같은 측정에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표면은 백색 기재 물질의 측에 92.1의 L*, -0.3의 a*, 및 -0.5의 b*를 가졌다.
비교예 1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1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투명 기재 물질/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비교예 2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2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비교예 3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2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3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B)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비교예 4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6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F)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4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F)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F)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비교예 5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7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G)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5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G)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G)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비교예 6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1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A)를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8에서 수득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H)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수득하였다. 따라서, 비교예 6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H) 층/백색 기재 물질/백색 층/4개 흑색 층/투명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H) 층의 층 구조를 가졌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 는 시트를 하기 내반발성의 평가 방법에 의해 내반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7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각기 내반발성이 우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휨 상태의 FPC가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에 부착될 때, 실시예 1 내지 7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박리되지 않았고, 만족스럽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내반발성이 우수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7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 내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됨으로써,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이 우수한 접촉으로 접착되고,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서 결과적으로 발생된 버블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포획되지 않음으로써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의 분리 또는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6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 내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됨으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서 결과적으로 발생된 버블이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포획되고, 이로써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과 폴리카르보네이 트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의 분리 또는 박리가 유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하기 내변위성의 평가 방법에 의해 낙하 시의 내변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7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각기 내변위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내변위성의 평가에서, 비교예 1 내지 6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각기 1 m의 높이에서 낙하 시에 0.3 mm 이상의 변위 거리를 나타냈으며, 그 변위 거리는 실시예에서보다 더 크다.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킬 때 0.3 mm 이상의 변위 거리를 나타내는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소위 "휴대폰"에서 액정 표시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이용될 때, 휴대폰을 우연히 떨어뜨릴 때 액정 표시 유리에 균열을 일으키기 쉽다.
이 평가 결과들은 표 1 및 2에 나와 있다.
내반발성의 평가 방법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0 mm의 폭 및 100 mm의 길이의 크기로 절단된 FPC(가요성 인쇄 회로판, 두께: 약 110 ㎛)의 한 말단부 상에, 자외선 경화성 코팅(실리콘 오일 함량이 0.2 중량%인 아크릴 자외선 경화성 도료를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폭: 100 mm, 길이: 10 mm, 두께: 약 110 ㎛)로 폴리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시켰다. FPC의 다른 말단부 상에,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로 폴리카르보네이트 판(폭: 10 mm, 길이: 35 mm, 두께: 2 mm)을 접착시켰다.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폭: 10 mm, 길이: 3 mm)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자외선 경화성 코팅 표면의 한 말단부에 접착시키고, 23℃에서 24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이 백색/흑색 기재 물질을 가지는 경우, 흑색 면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자외선 경화성 코팅 표면에 접착시킨다.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한 표면에만 코팅되는 경우,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상부 측에 위치하고,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하부 측에 위치한다(자외선 경화성 코팅 표면에 부착됨).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를 루프로 휘어지게 하고,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을, 그 말단이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의 말단에서 20 mm 지점에 위치하도록 부착시켰다. 이어서, 상온에서 24시간 후에, 또한 추가로 80℃에서 24시간 후에, FPC의 간격 거리(즉,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의 감압성 접착 표면과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의 표면 사이의 최대 거리)를 디지털 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FPC의 상기 간격 거리에 의해 내반발성을 평가하였다.
도 1 및 2는 실시예들의 내반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내반발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판과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FPC에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FPC가 내반발성을 측정하기 위한 루프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1a, 1b 및 2에서는, FPC(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2), 폴리카르보네이트 판(3), 및 양면 감 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4)이 도시되어 있다.
내변위성의 평가 방법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을 30 mm×40 mm 및 폭 2 mm의 외치수를 갖는 프레임 모양으로 펀칭하였다.
이어서,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45 mm, 길이 55 mm, 및 두께 0.4 mm의 유리 판(마쓰나미 글라스 컴퍼니(Matsunami Glass Co.) 제조의 보로실리케이트 유리)에, 자외선 경화성 코팅(실리콘 오일 함량이 0.2 중량%인 아크릴 자외선 경화성 도료로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표면)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폭: 45 mm, 길이: 55 mm, 두께: 약 110 ㎛)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시켰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중심에,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펀칭된 샘플을 접착시켰다.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펀칭된 샘플에서, 저분자량 중합체-비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이 한 표면에만 코팅된 경우,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상부 측에 위치하고(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부착됨), 저분자량 중합체-함유 감압성 접착제 층은 하부 측에 위치한다.
한편, 100 g의 금속 판에 후면이 접착된 폴리카르보네이트 판(폭: 60 mm, 길이: 80 mm, 두께: 2 mm)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중지 판(폭: 60 mm, 길이: 20 mm, 두께: 2 mm)를 고정하여, 강한 접착성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니토 덴코 코포레이션(Nitto Denko Corp.) 제조의 HJ-3160W)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에 배열되도록 하였다. (낙하시키는 경우에, 중지 판이 하부 측에 위치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갖는 유리 판에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을 접착시켰다. 이 경우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중지 판과 300 ㎛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도록 하였다. 300 ㎛의 두께의 알루미늄판을 둔 후, 유리 판을 고정하고, 알루미늄 판을 추출함으로써, 300 ㎛의 간격을 형성시켰다.
그러한 상태의 샘플(이후, 시험 샘플이라 칭해짐)을 24시간 동안 23℃에서 방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에서 1 m의 높이에서 대리석 판에 수직으로 낙하시켰다. 유리 판을 고정하는데 사용된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이 약한 내변위성을 가지고, 유리 판이 낙하 충격에 의해 300 ㎛ 이상만큼 변위한 경우, 유리 판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중지 판과 충돌하여 부서지게 된다.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내변위성은, 유리 판이 낙하시킨 후에 부서지거나 부서지지 않은 경우에 각기 만족스러운(+) 또는 약한(-)로 결정되었다.
도 3a, 3b, 및 4는 실시예들의 내변위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내변위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샘플의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을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에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시험 샘플을 도시하는 평면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내변위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 3a 및 3b에서의 시험 샘플을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a, 3b, 및 4에, 폴리카르보네이트 판(5), 금속 판(6),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샘플(7), 유리 판(8),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9), 폴리카르보네이트 판(중지 판)(10), 및 대리석(11)이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1 2 3 4 5 6 7
내반발성
실온에서24시간 후의 간격 거리(mm) 0.14 0.11 0.12 0.12 0.14 0.11 0.11
추가 80℃에서 24시간 후의 간격 거리(mm) 0.17 0.13 0.15 0.16 0.18 00.12 0.13
평가 + + + + + + +
변위 거리 + + + + + + +
실시예
1 2 3 4 5 6
내반발성
실온에서24시간 후의 간격 거리(mm) 0.40 0.35 0.37 0.52 0.45 박리
추가 80℃에서 24시간 후의 간격 거리(mm) 박리 박리 박리 박리 박리 박리
평가 - - - - - -
변위 거리 - - - - - -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양태들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 범주 내에서 각종 변화 및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원은 본원에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2006년 2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043759호, 및 2006년 12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33194호에 기초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모든 문헌들은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되는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로서 특정화된 저분자량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또한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특정화된 겔 분율 및 손실 탄젠트의 최대 온도를 가지고, 우수한 내반발성을 유지하며,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에 부착될 때 분리 또는 박리를 억제하거나 방지하고; 액정 표시 유리에 부착될 때 낙하시킬 때 액정 표시 유리에서 균열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기재 물질; 및
    기재 물질의 적어도 한 표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감압성 접착제 층(여기에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은 아크릴 중합체(a), 및 동종중합체로 형성될 때 60 내지 19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고 그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50 중량% 이상 함유하고, 3,000 이상 및 2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됨)을 포함하는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시트로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51 내지 75 중량%의 겔 분율, 및 -14 내지 25℃의 최대 손실 탄젠트(tan δ)에서의 온도를 가지며,
    상기 감압성 접착 시트가 그것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 및/또는 0.3%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이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5 중량부의 분율로 존재하는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백색인 백색 층 또는 은색인 은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0.3% 이하의 투과율을 제공하기 위한 차광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흑색인 흑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감압성 접착 시트.
  6.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 표시 모듈 유니트 및 백라이트 유니트를 고정하는, 제1항에 따른 감압성 접착 시트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니트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을 가지고,
    감압성 접착 시트가 아크릴 중합체(a) 및 저분자량 중합체 성분(b)을 함유하는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폴리카르보네이트 기판과 접촉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재 물질이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층이고, 상기 반사층은 백색인 백색 층 또는 은색인 은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층이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적어도 한 표면에 60% 이상의 반사율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층이고, 상기 반사층은 백색인 백색 층 또는 은색인 은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기재 물질이 0.3% 이하의 투과율을 제공하기 위한 차광층이고, 상기 차광층은 흑색인 흑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 층이 0.3% 이하의 투과율을 제공하기 위한 차광층이고, 상기 차광층은 흑색인 흑색 층인 것인 감압성 접착 시트.
KR1020070017012A 2006-02-21 2007-02-20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15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3759 2006-02-21
JP2006043759 2006-02-21
JP2006333194A JP5219359B2 (ja) 2006-02-21 2006-12-11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JP-P-2006-00333194 2006-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420A KR20070083420A (ko) 2007-08-24
KR101153542B1 true KR101153542B1 (ko) 2012-06-11

Family

ID=3801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012A KR101153542B1 (ko) 2006-02-21 2007-02-20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73443B2 (ko)
EP (1) EP1820835A1 (ko)
JP (1) JP5219359B2 (ko)
KR (1) KR101153542B1 (ko)
CN (1) CN101024756B (ko)
TW (1) TWI3985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2373B2 (ja) * 2006-04-1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基材、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228026B2 (ja) * 2007-02-28 2009-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粘着剤付光学シート
JP5101179B2 (ja) * 2007-06-13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装飾用両面粘着シート
JP5787463B2 (ja) * 2007-08-24 2015-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部品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351420B2 (ja) * 2008-01-23 2013-11-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263593A (ja) * 2008-04-30 2009-11-12 Nitto Denko Corp スピーカー化粧用シート固定用両面接着テープ及びスピーカー化粧用シートの筐体への貼付方法
JP5867921B2 (ja) * 2008-05-14 2016-02-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半導体ウェーハ裏面研削方法
US9752022B2 (en) 2008-07-10 2017-09-05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mposition, film and related methods
KR101599064B1 (ko) * 2008-09-18 2016-03-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가스켓 및 상기 가스켓을 이용하는 표시장치
SG174366A1 (en) * 2009-03-16 2011-11-28 Denki Kagaku Kogyo Kk Adhesive and adhesive sheet
JP5347810B2 (ja) * 2009-07-31 2013-11-20 藤倉化成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US20120231688A1 (en) * 2009-10-29 2012-09-13 Nitto Shinko Corporation Adhesive tape, tying material using same, and tied part
CN102083271B (zh) * 2009-11-26 2015-06-03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印刷电路板用覆盖膜
CN102118916B (zh) * 2009-12-30 2013-10-09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导热覆盖膜
MX344924B (es) 2010-03-04 2017-01-11 Avery Dennison Corp Película distinta de pvc y laminado de película distinta de pvc.
JP2011202012A (ja) * 2010-03-25 2011-10-13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
KR101552741B1 (ko) * 2010-04-05 2015-09-11 (주)엘지하우시스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 패널
JP5540847B2 (ja) * 2010-04-08 2014-07-02 藤倉化成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KR101634817B1 (ko) * 2010-12-10 2016-06-29 (주)엘지하우시스 백라이트 유닛용 점착제 조성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 장치
EP2520624B1 (en) * 2011-03-16 2014-04-16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et and image printing method
JP5841536B2 (ja) * 2011-06-17 2016-01-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粘着テープ、金属薄膜付フィルム積層体、カバーパネル−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カバーパネ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031075B (zh) * 2011-09-30 2014-07-30 达迈科技股份有限公司 聚合物膜及其在发光装置中的应用
JP5912045B2 (ja) * 2012-01-18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半透明遮光テープ
JP6086298B2 (ja) * 2012-10-31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6046500B2 (ja) * 2013-01-17 2016-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薬液処理用保護シート
KR20140104268A (ko) * 2013-02-20 2014-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바인더,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KR101739298B1 (ko) 2013-02-20 2017-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바인더,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KR102187253B1 (ko) 2013-11-28 2020-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485162B2 (en) 2013-12-30 2022-11-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lyurethane protective film
CN104804660B (zh) * 2014-01-23 2017-03-15 台虹科技股份有限公司 具耐高温性及高反射率的印刷电路板用覆盖保护胶片
EP2899578A1 (en) * 2014-01-27 2015-07-29 Barco NV Display for special environments
JP2017511836A (ja) * 2014-03-05 2017-04-27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Henkel AG & Co. KGaA 接着剤被覆感熱性ポリマー基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EP2916628A1 (en) * 2014-03-07 2015-09-09 Taiflex Scientific Co., Ltd. Cover layer with high thermal resistance and high reflectivity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101993799B1 (ko) * 2015-07-23 2019-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WO2017109883A1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寺岡製作所 両面粘着テープ
CN107022313A (zh) * 2016-01-29 2017-08-08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粘合片及其用途
DE102016207374A1 (de) * 2016-04-29 2017-11-02 Tesa Se Haftklebemassen für die Verklebung von flexiblen Druckplatten
CN109749656A (zh) * 2017-11-06 2019-05-14 德莎欧洲股份公司 胶带及其应用、以及使用该胶带的结构物
JP7110593B2 (ja) * 2017-12-26 2022-08-02 東亞合成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利用
GB2580211B (en) * 2018-12-21 2022-11-30 Rogers Corp Sing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2232275B1 (ko) * 2020-03-06 2021-03-24 주식회사 애니원 내반발성이 향상된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7096417B1 (ja) 2021-12-06 2022-07-05 ニチバン株式会社 粘着テープ
WO2023208999A1 (en) * 2022-04-27 2023-11-02 Synthomer Deutschland Gmbh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static peel resis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723A (ja) * 2002-07-29 2004-02-26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JP2005255877A (ja) * 2004-03-12 2005-09-22 Nitto Denko Corp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207A (en) 1990-04-24 1993-07-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 composite having repositionable adhesive by which it can become permanently bonded to a plasticized substrate
AU630795B2 (en) * 1990-04-24 1992-1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 composite having repositionable adhesive by which it can become permanently bonded to a plasticized substrate
WO1996001845A1 (en) 1994-07-08 1996-01-2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11
JP2001072951A (ja) * 1999-09-02 2001-03-21 Dainippon Ink & Chem Inc 耐衝撃性に優れる両面粘着テープ及び固定方法
JP3952668B2 (ja) 2000-07-10 2007-08-01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879899B2 (ja) 2001-02-09 2007-02-1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遮光性粘着シート
JP3690298B2 (ja) 2001-02-23 2005-08-3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2350612A (ja) 2001-05-25 2002-12-04 Dainippon Ink & Chem Inc 遮光性フィルム、遮光性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表示パネル
JP2003099749A (ja) * 2001-09-26 2003-04-04 Sekisui Chem Co Ltd 光硬化型粘接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接触型icカードの製造方法
JP2004053759A (ja) 2002-07-17 2004-02-19 Cosmo Tec:Kk Tft液晶表示装置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直下型バックライト方式tft液晶表示装置
KR100987679B1 (ko) * 2002-08-12 2010-10-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반사성과 차광성을 겸비한 lcd 모듈용 점착 테이프
JP3902162B2 (ja) 2002-08-12 2007-04-0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光反射性と遮光性を併有するlcdモジュール用粘着テープ
JP4517572B2 (ja) 2002-11-15 2010-08-04 Dic株式会社 反射・遮光粘着テープ
JP4269099B2 (ja) * 2002-11-29 2009-05-27 Dic株式会社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4231736A (ja) 2003-01-29 2004-08-19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JP2004231737A (ja) 2003-01-29 2004-08-19 Dainippon Ink & Chem Inc 反射性粘着テープ
JP2004244499A (ja) 2003-02-13 2004-09-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両面粘着シート
JP3907611B2 (ja) 2003-06-23 2007-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製品
JP4458515B2 (ja) * 2003-09-11 201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JP4883745B2 (ja) 2004-01-27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3765497B2 (ja) * 2004-03-17 2006-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4645074B2 (ja) * 2004-06-24 2011-03-09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5085145B2 (ja) * 2006-03-15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723A (ja) * 2002-07-29 2004-02-26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JP2005255877A (ja) * 2004-03-12 2005-09-22 Nitto Denko Corp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0835A1 (en) 2007-08-22
CN101024756B (zh) 2011-10-26
CN101024756A (zh) 2007-08-29
TW200734426A (en) 2007-09-16
TWI398500B (zh) 2013-06-11
KR20070083420A (ko) 2007-08-24
US8673443B2 (en) 2014-03-18
JP2007254711A (ja) 2007-10-04
JP5219359B2 (ja) 2013-06-26
US20070196647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542B1 (ko) 광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가지는 감압성 접착 테이프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96943B1 (ko) 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액정 표시 장치
EP200317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5373296B2 (ja) 反射及び遮光機能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749085B2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101359215B1 (ko)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US20120015114A1 (en) Base material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having light-reflective property or light-shielding propert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4449443B (zh) 粘合片
KR101386263B1 (ko) 반사성 및/또는 차광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 또는 시이트
JP4919730B2 (ja)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749058B2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30043589A (ko) 양면 접착 테이프
JP2011157554A (ja) 反射性及び/又は遮光性を有する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349751B2 (ja) 遮光性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562297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200115258A (ko) 점착 시트
JP5419172B2 (ja)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200115257A (ko)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