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988B1 -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988B1
KR101349988B1 KR1020117005392A KR20117005392A KR101349988B1 KR 101349988 B1 KR101349988 B1 KR 101349988B1 KR 1020117005392 A KR1020117005392 A KR 1020117005392A KR 20117005392 A KR20117005392 A KR 20117005392A KR 101349988 B1 KR101349988 B1 KR 10134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supply
ge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255A (ko
Inventor
도시아끼 나가시마
가쯔야 무라까미
아야또모 오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5709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99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며, 적어도 설치 위치를 향한 회전(B)을 포함하는 설치 작업(A, B)에 의해 현상제 수용 장치(10)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a)와, 상기 수납부(1a)로부터 현상제를 토출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토출 부재(14)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제공된 구동 기어(12)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상기 토출 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전달 수단(5, 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수용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현상제 수용 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또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화상 형성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미세 분말 형태의 토너가 전자 사진 복사기,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화상 형성을 위한 현상제로서 사용된다. 토너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의 토너의 소비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것도 보편적이다.
토너가 매우 미세한 분말이므로, 토너는 토너 공급 작업 시에 적절하지 않게 취급되면, 주위로 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토너 공급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설치하여 유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토너는 소형 개방부를 통해 점진적으로 토출된다.
그러한 보편적인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토출 개방부가 위로 향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장착되고,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토출 개방부가 측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08-185034호는 토너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가 대략 90°로 회전되어, 토너 공급 용기를 설치하는 것을 개시한다. 설치 작업의 결과로서,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화상 형성 장치 측의 토너 공급 개방부와 정렬되어, 토너 공급을 가능케 한다.
그러한 구조에서, 작업자가 사용된 토너 공급 용기를 새로운 용기로 교체하기 위해 제거할 때,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잔류하는 토너의 비산이 방지된다.
그러나, 그러한 보편적인 구조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시의 회전 방향은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제공된 교반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교반기는 측방향으로 향한 토너 토출 개방부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해야 하고, 토너 공급 성능 및 토너 토출 특성은 열화되기 쉽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 내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감소하고, 불충분한 화상 밀도가 발생하고, 그리고/또는 토너 공급 용기 내의 미사용 잔류 토너의 양이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의 토출 특성이 높고 현상제 비산이 억제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을 억제하면서 현상제 토출 특성이 개선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비산을 억제하면서 현상제 토출 특성이 개선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며, 설치 위치를 향한 적어도 1 회전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가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현상제를 토출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토출 부재와, 구동 기어로부터 토출 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제공된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며 설치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설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탈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현상제를 토출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토출 부재와, 상기 토출 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구동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회전력은 상기 토출 부재가 상기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지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현상제의 토출 특성이 높고 현상제 비산이 억제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현상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4는 토너 공급 용기 내의 공급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토너 수용 장치를 도시하며, (a)는 토너 수용 개방부의 밀봉 시의 그의 사시도이고, (b)는 토너 수용 개방부의 개봉 시의 그의 사시도이다.
도6은 비원통형 형상을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단면도이다.
도7은 제2 기어(6)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를 위한 지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8은 현상 장치 셔터의 로킹 구조물을 도시하며, (a)는 로킹 상태에서의 그의 사시도이고, (b)는 해제 상태에서의 그의 사시도이다.
도9는 현상 장치 셔터를 위한 로킹 부재와 교환 커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 - (d)는 그의 측단면도이다.
도11은 설치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 - (d)는 그의 측단면도이다.
도12는 공급 위치에 있을 때의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 - (d)는 그의 측단면도이다.
도13은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델을 도시한다.
도14는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15는 토너 수용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16은 토너 수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7은 토너 공급 용기의 스냅 결합부를 도시하며, (a)는 스냅 결합부가 비결합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b)는 스냅 결합부가 결합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18은 비원통형 형상을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그의 단면도이다.
도19는 장착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a) - (c))이다.
도20은 설치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a) - (c))이다.
도21은 공급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의 측단면도((a) - (c))이다.
도22는 이중 원통형 구조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내측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23은 이중 원통형 타입의 토너 공급 용기의, (a) 장착 위치에 위치된 단면도, (b) 설치 위치에 위치된 단면도, 및 (c) 공급 위치에 위치된 단면도이다.
도24는 단차형 기어를 갖는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며, (a)는 그의 사시도이고, (b)는 단차형 기어의 사시도이다.
도25는 구동 전달 벨트를 구비한 토너 공급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6은 구동 전달 기어들의 크기가 다른, 토너 공급 용기의 (a) 사시도 및 (b) 단면도이다.
도27은 4개의 구동 전달 기어를 구비한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8은 마찰 휠을 구비한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9는 구동 전달 기어들의 크기가 다르고 위치가 다른, 토너 공급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30은 제2 기어(6)를 위한 지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31은 구동 전달 기어의 대부분이 파지 부재로 덮인,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2는 토너 공급 용기의 기어들의 회전 방향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3은 비교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4는 토너 수용 장치에 장착된 후의, 비교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력 전달 수단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
실시예 1의 토너 공급 용기(소위, 토너 카트리지)는 실시예에서 전자 사진 타입의 복사기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수용 장치 내로 장입된다.
도1은 그러한 복사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전자 사진 복사기의 주 조립체가 100으로 표시된다. 원본 지지 플래튼 유리(102) 상에 위치된 원본이 101로 표시된다.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광 화상이 광학부(103)의 거울(M) 및 렌즈(Ln)를 통해 전자 사진 감광 드럼(104) 형태의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투사된다. 시트 카세트가 도면 부호 105 - 108로 표시된다. 적절한 시트가 원본(101)의 시트 크기 또는 작동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카세트(105 - 108)의 시트 크기 정보로부터 선택되고, 적절한 시트가 카세트(105 - 108)들 중 하나로부터 픽업된다. 기록 재료는 시트로 제한되지 않고, OHP 시트 등일 수 있다.
공급 및 분리 장치(105A - 108A)에 의해 픽업되어 공급된 하나의 시트(S)가 공급부(109)를 통해 정합 롤러(110)로 공급되고, 광학부(103)의 스캐닝 작동 및 감광 드럼(104)의 회전의 시점과 동기하여 공급된다. 전사 토출기 및 분리 토출기가 111 및 112로 표시된다.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토너의 화상은 전사 토출기(111)에 의해 시트(S) 상으로 전사된다. 분리 토출기(112)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갖는 시트(S)를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기능한다.
그 후에, 공급부(113)에 의해 공급된 시트(S)는 정착부(114)에서 열 및 압력을 받고, 이에 의해 토너 화상이 시트 상에 정착된다. 단순 복사(단면 복사)의 경우에, 시트(S)는 토출/역전부(115)를 통해 토출 롤러(116)에 의해 토출 트레이(117) 상으로 토출된다. 중첩식 복사 모드의 경우에, 시트(S)는 토출/역전부(115)의 플랩퍼(118)를 제어함으로써 재공급 공급부(119)에 의해 정합 롤러(110)로 다시 공급되고, 그 다음 시트는 단면 복사의 경우에 시트가 공급되는 경로를 통해 토출 트레이(117)로 토출된다.
양면 복사의 경우에, 시트(S)는 일단 토출/역전부(115)를 통해 토출 롤러(116)에 의해 부분적으로 토출된다. 그 다음, 시트(S)의 말단부가 플랩퍼(118)에 의해 통과된 후에, 그리고 시트(S)가 여전히 토출 롤러(116)에 의해 물려 있을 때, 플랩퍼(118)가 제어되고, 동시에 토출 롤러(116)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S)를 다시 장치 내로 공급한다. 그 후에, 시트(S)는 재공급 공급부(119, 120)에 의해 정합 롤러(110)로 공급되고, 그 다음 시트(S)는 단면 복사에서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토출 트레이(117)로 토출된다.
장치(100)의 주 조립체 내에서, 감광 드럼(104) 둘레에, 현상 장치(201: 현상 수단), 세척부(202: 세척 수단), 1차 대전기(203: 대전 수단) 등을 포함하는 처리 수단이 제공된다. 세척부(202)는 감광 드럼(104)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1차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 상에서의 정전 화상 형성의 준비를 위해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전기적으로 대전시키도록 기능한다.
(현상 장치)
도2는 현상 장치(201) 및 감광 드럼(104)을 도시한다.
현상 장치(201)는 원본(101)의 정보에 대응하여 광학부(103)를 통해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도록 기능한다. 현상 장치(201) 내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토너 공급 용기(1)가 제공된다.
현상 장치(201)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토너 수용 장치(10)와, 현상 장치(201a)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201a)는 현상 롤러(201b) 및 공급 부재(201c)를 포함한다.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공급 부재(201c)에 의해 현상 롤러(201b)로 공급되고, 현상 롤러(201b)에 의해 감광 드럼(104) 상으로 공급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01b) 상의 토너 코팅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인 현상 블레이드(201d)와, 현상 장치(201a)와 현상 롤러(201b) 사이의 갭을 통한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롤러에 접촉하는 토너 송출 방지 시트(201e: 토너 누출 방지 부재)가 제공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의 교환을 위해, 외측 케이싱의 일부인 커버(15)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치(100)의 주 조립체에 장착할 때 또는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1)를 장치(100)의 주 조립체로부터 탈착할 때, 커버(15)는 도1의 화살표(W)의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다.
(토너 공급 용기)
도3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1)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3에서, (a) 토너 공급 용기가 사시도로 도시되고, (b)는 토너 공급 용기의 충전 포트의 외부에서 본 도면이다.
토너를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용기 본체(1a: 수납부)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용기 본체(1a)의 주연 표면 내에서, 토너 토출 개방부(1b)가 용기(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수평 방향으로 지향되고, 즉 토너 공급 용기의 토너 공급 위치로의 회전이 완료될 때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고, 여기서 토너 공급이 가능해진다.
용기 본체(1a)는 운반 중의 내부의 토너 보호 및 토너의 누출 방지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요구되고, 그러므로 이는 폴리스티렌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을 통해 성형된다.
용기 본체(1a)의 외측 표면은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토너 수용기 내로의 사용자(작업자)의 공급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 파지 부재)를 구비한다. 손잡이(2)는 동일한 관점에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요구되고, 그러므로 용기 본체(1a)와 동일한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을 통해 성형된다.
손잡이(2)는 그가 공급 작업 시에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도가 보장되면, 기계식 결합, 나사 결합, 접착 결합, 용접,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에 의해 용기 본체(1a)에 고정될 수 있다. 용기 본체(1a) 및 손잡이(2)의 일체식 성형은 강도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기어(5)가 제공된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용기 본체(1a)의 단부에서, 토너 충전 개방부(1c)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 내로의 토너 충전 후에 캡(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제1 기어(5)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용기 본체(1a)의 하나의 단부 표면은 토너 수용 장치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조절 돌출부(100: 조절되는 부재)를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수용 장치는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조절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조절 리세스(10f: 조절 부재)를 구비한다. 리세스는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수용 장치 내에 적절하게 장착되는 시점에서 그가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토너 공급 용기 내의 공급 부재)
도4를 참조하여, 공급 부재(4)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4는 토너 공급 용기 내부의 측면도이다.
용기 본체(1a) 내에서, 공급 부재(4: 토출 부재)는 용기 본체(1a)에 대한 회전에 의해 용기 내의 토너를 교반하면서, 토너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토너 토출 개방부(1b)를 향해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부재(4)는 주로 교반 샤프트(4a) 및 교반 블레이드(4b)를 포함한다. 교반 샤프트(4a)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는 그가 교반 샤프트(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용기 본체(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교반 샤프트(4a)의 다른 종방향 단부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제1 기어(5)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들은 제1 기어(5)의 샤프트 부분을 용기 본체 내의 교반 샤프트(4a)의 타 단부와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샤프트 부분 둘레에, 제1 기어(5)의 샤프트 부분 둘레에서 토너의 용기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제1 기어(5) 및 교반 샤프트(4a)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이들은 다른 부재 또는 다른 부재들을 통해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교반 샤프트(4a)는 토너가 응집되었을 때 토너를 입자화하고, 이를 공급 및 토출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요구되고,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세탈 재료로 만들어진다.
교반 블레이드(4b)는 교반 샤프트(4a) 상에 고정되고, 교반 샤프트(4a)의 회전에 의해, 용기 내의 토너는 입자화되고, 교반되어, 토너 토출 개방부(1b)를 향해 공급된다.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반 블레이드(4b)는 용기의 내측 표면 상에서 활주한다. 바꾸어 말하면, 교반 샤프트로부터의 교반 블레이드의 연장 길이는 용기의 내경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블레이드는 토너를 용기의 종방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사부(X)를 구비한 L-형 부분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경사부는 용기의 단부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토너를 종방향 중심부 내에 배치된 토너 토출 개방부(1b)를 향해 공급하는데 효과적이다. 교반 블레이드는 폴리에스터 시트로 만들어진다.
공급 부재(4)의 구조 및 재료는 전술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토너가 그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고 공급될 수 있으면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 블레이드의 재료 및/또는 구성이 변형될 수 있거나, 다른 공급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의 셔터)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토출 개방부(1b)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용기 셔터(3)는 그가 토너 공급 용기(1)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곡률을 갖는다. 용기 셔터(3)는 토너 토출 개방부(1b)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에 제공된 2개의 안내부(1d)와 결합된다. 안내부(1d)는 토너 토출 개방부(1a)가 개방 및 폐쇄되어야 할 때, 용기의 외측 표면을 따른 용기 셔터의 활주 이동을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안내부(1d)는 용기 셔터(3)의 폐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 부분(1d')을 구비한다.
용기 셔터는 개봉 회전 방향에 대한 선단부를 갖고, 선단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시에 토너 수용 장치 내에 제공된 스토퍼 부분과 맞닿아서, 토너 공급 용기 및 용기 셔터의 추가의 일체식 회전을 방지한다. 스토퍼와 맞닿은 후에,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방출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정지된 용기 셔터에 대해 회전하여, 토너 공급 용기를 개봉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 시에, 폐쇄 방향에 대한 용기 셔터의 선단부가 토너 수용 장치의 스토퍼 부분과 맞닿고, 이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 및 용기 셔터의 추가의 일체식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정지된 용기 셔터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에 의해, 토너 토출 개방부는 그가 용기 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따라서, 토너 토출 개방부는 재밀봉된다.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토출 개방부(1b)에 대향한 용기 셔터(3)의 표면 상에 밀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거나, 또는 용기 본체(1a)의 토너 토출 개방부(1b)의 모서리의 부근이 밀봉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밀봉 부재는 용기 셔터(3) 및 용기 본체(1a)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밀봉 부재는 용기 셔터와 용기 본체의 외측 표면 사이에서 소정의 정도로 압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토출 개방부(1b)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용기 셔터(3)를 채용한 구조가 사용된다. 용기 셔터(3)는 필수적이지는 않고, 대안적인 구조에서, 수지 재료의 밀봉 필름이 예를 들어 개방부를 기밀식으로 밀봉하기 위해 토너 토출 개방부의 모서리 둘레의 용기 본체 부분 상에 용접될 수 있고, 토너 공급 시에, 밀봉 필름은 박리된다.
그러한 대안적인 구조에서,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용기가 토너 공급의 종료 후에 교환될 때 재밀봉될 수 없고, 그러므로 토너 비산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용기 셔터(3)의 제공이 바람직하고, 토너 토출 개방부는 재밀봉될 수 있다.
토너가 용기의 토출 개방부의 구성 및/또는 용기 내에 수납된 양에 따라 토너 공급 작업 전의 운반 중에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밀봉 필름 및 용기 셔터 모두가 밀봉 성능을 더욱 보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밀봉 필름의 일부가 용기 셔터 상에 부착되고, 밀봉 필름이 용기 셔터의 개방 이동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공급 용기의 현상 장치 셔터 연동 메커니즘)
용기 본체(1a)의 주연 표면 상에,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작동에 의해 현상 장치 셔터(11: 도5)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개방 돌출부(1e: 연동부(결합부)) 및 밀봉 돌출부(1f: 연동부(결합부))가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 작업 시에, 개방 돌출부(1e)는 토너 수용 개방부(10b: 도5)를 개봉 또는 개방하기 위해 현상 장치 셔터(11)를 하강시킨다. 이하에서 설명될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 시에, 밀봉 돌출부(1f)는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재밀봉 또는 폐쇄하기 위해 현상 장치 셔터(11)를 상승시킨다. 개방 돌출부(1e) 및 밀봉 돌출부(1f)가 맞닿는 현상 장치 셔터(11)의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을 현상 장치 셔터의 개방 및 폐쇄 이동 작동과 연동시키도록 기능한다.
개방 돌출부(1e)는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수용 장치(10: 도5)에 장착될 때,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봉 이동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배치되고, 밀봉 돌출부(1f)는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배치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달 수단)
도3을 참조하여, 토너 수용 장치(10) 내에 제공된 구동 기어(12: 구동 부재(도5))와의 구동 연결 및 구동 기어(12)로부터 공급 부재(4)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달 수단의 구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수단은 나란히 배치된 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열을 포함하고, 기어들의 회전 샤프트는 토너 공급 용기의 단부 표면 상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1)가 사용자 작업에 의해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장착될 때 (장착 위치, 도10의 (c)), 구동 전달 수단은 구동 기어(12)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고, 그러므로 구동 기어(12)와 구동 연결되지 않고, 더욱 구체적으로 그와 결합되지 않는다. 장착 위치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에서, 구동 기어(12)와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달 수단(이하에서 설명될 제2 기어(6)) 사이의 맞닿음이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시에 회피될 수 있고, 그러므로 맞닿음으로 인한 열화 또는 손상이 회피될 수 있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는 소정의 각도를 통해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도11의 (c))로 수동으로 회전된다. 설치 위치에서, 구동 전달 수단 및 구동 기어(12)는 서로 구동 연결 또는 결합된다 (결합 상태).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는 구동 전달 수단을 사용하여, 설치 위치로부터 토너 공급이 가능해지는 공급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예의 구동 전달 수단은 용기 본체(1a)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에 의해 구성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5: 역전 부재)의 회전 샤프트는 용기 본체의 단부 표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공급 부재(4)와 동축으로 결합된다. 제1 기어(5)의 회전 중심은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작업 중에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손잡이(2)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통해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를 향해 회전되는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 구동 전달 부재, 구동력 수신 부재)는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편심 위치)에서 용기 본체의 단부 표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샤프트를 갖고, 제1 기어(5)와 맞물림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기어(6)의 회전 중심은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이다.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는 그들이 토너 수용 장치(10)로부터의 구동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을 통해 폴리아세탈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기어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기어(5)는 40 mm의 직경을 갖고, 그의 치형부의 개수는 40개이고, 제2 기어는 20 mm의 직경을 갖고, 치형부의 개수는 20개이다. 구동 기어(12)는 17 mm의 직경을 갖고, 치형부의 개수는 17개이다. 기어들의 직경, 모듈, 및 치형부의 개수는 구동 전달이 적절하게 달성되도록 선택되고, 이러한 값들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용기 본체(1a)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용기 본체(1a)의 그러한 샤프트 부분 둘레에, 오일 시일(밀봉 부재)이 장착되어, 용기 본체(1a)의 내부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기어(6)가 용기 본체(1a)의 외측 케이싱 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그러한 오일 시일이 제공되지 않는다.
제2 기어(6)가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되므로, 이는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원주 방향으로 구동 기어(12)로부터 이격된다.
제2 기어(6)는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에 의해 토너 수용 장치(10) 내에 제공된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된다. 바꾸어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1)가 사용자 작업에 의해 설치 위치로 회전될 때, 제2 기어(6)와 구동 기어(12) 사이의 맞물림 결합 또는 구동 연결이 시작된다 (도11의 (c)).
이러한 예에서, 이는 회전 방향으로의 용기 본체(1a) 상에서 제2 기어(6)의 결정된 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로부터 회전력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제2 기어(6)와 구동 연결 관계에 있는 제1 기어(5)가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공급 부재(4)는 토너 수용 장치 내에 실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용기 본체(1a)에 대해 회전하여, 토너를 토출한다. 토너 공급 작업 중에, 제2 기어(6)는 도12의 방향(C)으로 회전하는 구동 기어(12)에 의해, 설치 작업 중의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회전 방향(B: 도12)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예에서, 용기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성을 갖고, 공급 부재의 회전 중심은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러므로 공급 부재(4)와 직접 연결된 제1 기어(5)의 회전 중심 또한 용기 본체(1a)의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기어(6)는 제1 기어(5)와 다른 회전 중심을 가져서,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에 의해 용기 본체(1a)의 회전 중심에 대해 순환 또는 회전하여,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부(12)와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기어(6)는 토너 공급 단계에서 구동 기어(12)로부터 수신된 구동력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해 회전되고,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의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한다. 또한, 제2 기어(6)는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단계에서, 구동 기어(12)로부터 수신된 구동력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축에 대해 토너 공급 용기와 함께 회전된다.
공급 부재의 회전 중심은 용기의 회전 중심과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부재의 회전 중심은 토너 토출 개방부 변위를 향해 변위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1 기어(5)는 공급 부재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과 다른 위치에서 지지되고, 상기 예와 유사하게, 용기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는 용기 본체(1a)의 회전 중심에 대해 순환 또는 회전하여,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와 결합된다.
공급 부재의 회전 중심이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과 다를 때, 제1 기어(5)는 생략될 수 있고, 즉 구동 전달 수단은 제2 기어(6)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기어(6)는 공급 부재(4)와 동축으로 제공되고, 제2 기어(6)의 샤프트 부분과 공급 부재(4)의 샤프트 부분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한 구조의 경우에, 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은 상기 예에서와 반대이고, 토너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측방향으로 배향된 토너 토출 개방부를 향해,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대략 3시 방향으로 공급된다. 즉, 토너 토출 성능이 열화된다.
그 다음, 이러한 경우의 공급 부재는 양호하게는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공급 부재는 회전에 의해 용기 내의 토너를 상승시키는데 효과적인 높은 경도를 갖는 수지 재료 플레이트와, 수지 재료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상의 복수의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고, 안내 돌출부는 상승된 토너를 하부 토너 토출 개방부를 향해 안내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한 구조에서, 회전 샤프트가 수지 재료 플레이트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 각각에 제공되고, 회전 샤프트의 일 단부는 제2 기어(6)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다.
수지 재료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그러한 공급 부재의 경우에, 용기 내의 잔류 토너량(토너 용기의 수명의 종료 시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은 비교적 많이 잔류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를 사용하는 구조가 양호하다.
바꾸어 말하면,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공급 부재의 회전 방향은 토너 공급 및 토출 성능을 고려하여 도10의 방향(B)과 반대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달 수단을 사용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제2 기어(6)의 회전 방향은 도10의 B이고, 구동 기어(12)의 회전 방향은 방향(B)과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중 기능(토너 공급 및 토출 성능과,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만족시키기 위해, 구동 전달 수단은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 (2개의 기어)에 의해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기어(5)는 제2 기어(6)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을 공급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 변환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한다.
회전 방향 변환 메커니즘(역전 메커니즘)은 제1 기어(5)로 제한되지 않고,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기어(5) 대신에, 구동 전달 벨트 및 공급 부재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풀리(지지 부재: 회전 중심이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과 정렬됨)의 조합이 사용된다. 풀리는 공급 부재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다. 제2 기어(6)의 회전 샤프트는 (도10의 (c)의 지면의 전방으로) 용기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회전 샤프트의 부분과 풀리 사이에서, 구동 전달 벨트가 "8"의 형태로 이들 둘레에 감긴다.
이러한 예에서, 용기의 구성은 원통형이고, 용기의 구성은 그러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책상 또는 바닥 상에 위치되었을 때 토너 공급 용기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셔터의 회전 중심인 토너 토출 개방부에 인접한 굴절 중심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셔터 등은 용기가 회전될 때 높은 정확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의 샤프트 부분(6a)은 용기 본체(1a)의 단부 표면 상에 제공된 돌출부(1a')와 결합된다. 제2 기어(6)는 컵의 형태이고, 그 안에서 회전 저항 인가 수단으로서 실리콘 고무의 링 부재(64: 활주 부재,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소정의 정도로 압축된다. 더욱 상세하게, 실리콘 고무의 링 부재(64)는 가압 부재(63)와 제2 기어(6)의 컵 부분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스프링(압박 부재)에 의해 압축된다. 가압 부재(63)는 돌출부(1a') 상에 고정된다. 캡형 부재(61: 압박 부재)가 돌출부(1a')에 고정되어, 스프링(62)이 가압 부재(63)와 캡형 부재(61)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기어(6)는 링 부재(64)와 면 접촉하여, 제2 기어(6)는 용기 본체(1a)에 대해 쉽게 회전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용기 본체(1a)에 대한 제2 기어(6)의 회전 저항은 충분히 크게 설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기어(5)는 그러한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그러므로 제1 기어(5)만이 취해질 때, 용기 본체(1a)에 대한 회전 저항은 충분히 작다.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는 공급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기능하고, 그러므로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의 제공으로 인해 용기 본체(1a)에 대해 쉽게 회전되지 않는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달성하도록 사용된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은 전술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가 실리콘 고무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고무 대신에, 탄성중합체 수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은 회전에 대항하여 용기의 내측 표면에 대한 충분한 활주 저항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며 긴 교반 블레이드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기어(5)에 대해 제공된 오일 시일과 같은 밀봉 부재의 밀봉 특성도 회전 저항 인가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향상될 수 있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이 제공되는 위치는 제2 기어(6)가 아닐 수 있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은 구동 전달 수단이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한 그의 회전을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데 효과적이면, 제1 기어(5)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은 교반 샤프트(4a)의 충전 포트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용기의 부분(베어링)에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의 구체적인 구조 또는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될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이 달성되면, 위에서 설명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에 의해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에 인가되는 회전 저항이 너무 크면, 토너를 공급 부재를 통해 공급 및 토출하기 위해 구동 모터에 대해 요구되는 토크가 너무 크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것이 고려되고, 회전 저항 인가 수단에 의해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에 인가되는 회전 저항은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달성하도록 결정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조립 방법)
토너 공급 용기(1)는 다음의 단계를 통해 조립된다.
먼저, 용기 본체(1a)가 준비된다. 그 다음, 공급 부재(4)가 용기 본체(1a) 내에 고정된다. 그 후에, 제1 기어(5)가 용기 본체(1a)의 하나의 단부 표면에 장착되고, 그 다음 제2 기어(6)가 장착된다. 또한, 용기 셔터(3) 및 손잡이(2)가 용기 본체 상에 조립된다.
그 다음, 토너가 충전 포트(1c)를 통해 충전되고, 마지막으로 충전 포트가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토너 충전, 제2 기어(6)의 장착, 용기 셔터(3) 및 손잡이(2)의 조립의 순서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1a)는 60 mm의 외경 및 320 mm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용기이다. 용기의 내부 체적은 대략 600 cc이고, 그 안에 300 g의 토너가 충전된다.
(토너 수용 장치)
도5를 참조하여, 토너 수용 장치(10)가 설명될 것이다. 토너 수용 장치(10)는 토너 공급 용기(1)를 탈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0a)와,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토출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포함한다. 토너 수용 개방부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현상 장치 내로 공급되어, 화상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토너 수용 장치(10)는 장착부(10a)의 주연 표면 구성 및 토너 공급 용기(1)와 포개지는 관계인 실질적으로 반원통형 표면을 갖는 현상 장치 셔터(11)를 더 구비한다. 현상 장치 셔터는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원주부를 따라 활주 이동을 하도록, 장착부(10a)의 하부 모서리에 제공된 안내부(10c)와 결합된다.
또한, 토너 수용 장치(10)는 단부 위치에서,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방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0e: 도11의 (a))를 구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장치 셔터(11)가 개방될 때, 토너 수용 개방부(10b)의 하단부와 현상 장치 셔터(11)의 상단부가 높은 정확성으로 정렬되어, 토너 수용 개방부(10)를 완전히 개방한다. 스토퍼(10e)는 또한 토너 토출 개방부(1b)가 토너 수용 개방부(10b)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용기 본체(1a)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바꾸어 말하면, 개방 돌출부(연동부)를 통해 현상 장치 셔터(11)와 결합된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은 스토퍼(10e)에 의한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봉 이동의 정지에 의해 정지된다.
(현상 장치 셔터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현상 장치 셔터(11)는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부(10a)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밀봉하기 위한 위치에 로킹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 장치 셔터(11)의 일 단부는 토너 수용 장치(10)의 스토퍼(10d)에 맞닿고, 타 단부는 로킹 부재(13: 로킹 수단)에 맞닿아서, 그의 이동은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밀봉하는 위치에서 차단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장치(201) 내로의 먼지 또는 이물질의 가능한 도입 및 현상 장치(201)로부터 장착부(10a)로의 토너의 가능한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로킹 부재(13)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3a)에서 현상 장치 셔터(11)의 일부에 맞닿아서, 개봉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 셔터(11)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로킹 부재(13)는 방향(A: 도9)으로 활주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 셔터(11)는 교환 커버(15)가 폐쇄될 때에만 해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교환 커버(15)의 폐쇄 작업에서, 교환 커버(15) 상에 제공된 해제 부재(15a: 해제 수단)가 로킹 부재(13)의 수용부(13b)와 결합되어, 로킹 부재(13)를 종방향(도8의 화살표(A))으로 활주시킨다. 그 다음, 로킹부(13a)는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그가 현상 장치 셔터(11)와 간섭하지 않는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4: 압박 부재)가 로킹 부재(13)의 종방향에 대해 후방 측에 제공된다. 로킹 부재(13)는 평시에 스프링 부재(14)에 의해 (도9의 방향(A)과 반대인) 종방향으로의 전방 측을 향해 압박된다. 바꾸어 말하면, 로킹 부재는 해제 부재(15a)의 후퇴에 의해 로킹 위치로 복원되도록 압박된다.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a)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 내에 배치된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기어(12: 구동 부재)가 제공된다. 구동 기어(12)는 토너 수용 장치 내에서 고정되고, 즉 구동 기어(12)가 토너 공급 용기의 제2 기어(6)의 치형부의 단부와 간섭되더라도 이동 불가능하고, 그러므로 이들은 구동 기어(12)가 제2 기어(6)에 의한 맞닿음에 의해 후퇴 가능한 공지된 구조와 대조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되지 않는다.
구동 기어(12)는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설치 작업 중에 토너 공급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토너 공급 용기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 기어(12)의 회전 방향은 (설치 작업 중의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도12의 C로 표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예에서, 구동 기어(12)는 도2에 도시된 감광 드럼(104)과, 현상 장치의 현상 롤러(201b) 및 공급 부재(201c)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열과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이 설명될 것이다.
도10은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1은 그가 설치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2는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 내지 도12에서, (a)는 토너 공급 용기 및 토너 수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b)는 토너 토출 개방부(1b), 토너 수용 개방부(10b), 및 현상 장치 셔터(11)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c)는 구동력 전달 수단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d)는 현상 장치 셔터(11)와 용기 본체의 연동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 단계와, 토너 수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단계를 포함한다.
수동 단계는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 위치(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및 탈착이 허용되는 위치)로 장착하는 장착 작업과, 사용자가 토너 공급 용기를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제2 기어(6)가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을 포함한다. 설치 위치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개방 돌출부는 현상 장치 셔터와 결합된다. 사용자가 용기를 소정의 각도(대략, 2 - 3°)를 통해 회전시킬 때, 연동부(개방 돌출부)는 토너 수용 장치에 의해 정지되고, 이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는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 또는 공급 위치에 있을 때,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이 방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토너 공급이 가능한 위치)로의 회전은 자동 단계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이러한 회전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도10의 화살표(B))이다.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에도, 토너 공급 용기는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장착 위치와 설치 위치 사이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각은 대략 60°이고, 설치 위치와 공급 위치 사이에서의 그의 회전각은 대략 12°이다.
(설치 작업을 위한 장착 단계)
먼저,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개방하고, 토너 공급 용기(1)를 도10의 (a)의 화살표(A)의 방향(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삽입한다.
이 때, 회전 방향으로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장착 자세가 조절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의 피조절 돌출부(100: 도3)를 토너 수용 장치의 조절 리세스(10f: 도5)와 정렬시키면서,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수용 장치 내로 삽입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는 그의 토너 토출 개방부가 위로 (12시 방향으로) 향한 채로 장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 취출될 때,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 내에 잔류하는 토너는 용기 본체의 주연 표면과 용기 셔터 사이에서 누출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한 이러한 장착 작업 중의 토너 토출 개방부의 배향은 엄격히 상방으로 제한되지 않고, 대체로 상방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토출 개방부의 배향은 양호하게는 수직선으로부터 ±30°의 범위(11시 방향과 1시 방향 사이) 내이다. 토너 토출 개방부의 방향은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으로의 토너 토출 개방부의 중심과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방향이다. 그러한 선과 수직선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양호하게는 ±30°의 범위 내이다.
도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0) 측의 구동 기어(12) 및 토너 공급 용기(1) 측의 제2 기어(6)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더욱 구체적으로 이들은 용기(1)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설치 작업을 위한 수동 회전 단계)
그 다음, 사용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B), 즉 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너 수용 장치(10) 내에서 장착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1)를 회전시키도록 손잡이(2)를 조작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는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를 향해,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중심(공급 부재(4)의 회전 중심)에 대해 회전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1)가 설치 위치로 회전될 때, 토너 공급 용기는 추가의 회전이 방지되어, 정지한다 (도11).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개방 돌출부(1e)는 로킹 부재(13)에 의해 이동이 방지되는 현상 장치 셔터(11)와 맞닿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의 광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 돌출부(1e)는 토너 공급 용기의 수동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기능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는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12)와 결합된다. 그 후에, 구동 기어(12)로부터 제2 기어(6)로의 구동 전달이 가능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는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개봉되지 않는다. 즉,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는 용기 셔터 및 현상 장치 셔터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설치 작업의 자동 회전 단계)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폐쇄한다. 이와 연동하여, 현상 장치 셔터(11)는 로킹 부재(13)로부터 해제된다. 교환 커버(15)의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구동 기어(12)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 기어(1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는 구동 기어(12)와 결합된 제2 기어(6)에 의해 방향(D)으로 회전력(당기는 힘)을 수신하여, 토너 공급 용기는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기계적 원리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토너 공급 용기(1)가 공급 위치에 도달하면, 토너 공급 용기의 추가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는 현상 장치 셔터(11)가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봉 이동의 단부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10e: 도12의 (b))와 맞닿기 때문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추가의 회전은 현상 장치 셔터(11)에 대해 맞닿은 개방 돌출부(1e)를 통해 방지된다. 즉, 개방 돌출부(1e)는 또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기능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회전과 연동하여,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가 개봉되고,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는 서로 완전히 정렬된다. 즉,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도달되는 시점에서,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 수용 장치로의 토너 공급이 가능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회전과 연동하여, 용기 셔터(3)는 토너 수용 장치(10)의 스토퍼 부분과 맞닿아서, 추가의 회전이 방지되고, 토너 공급 용기는 점진적으로 개방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로 회전되면,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완전히 개방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회전(용기 셔터의 개방 또는 개봉 작동)과 연동하여, 현상 장치 셔터(11)는 토너 공급 용기(1)의 개방 돌출부(1e)로 하강되어, 토너 수용 개방부(10b)가 점진적으로 개방된다. 현상 장치 셔터(11)가 그의 개방 이동의 단부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10e)에 의해 정지되므로 (도12의 (b)), 토너 수용 개방부(10b)의 하단부와 현상 장치 셔터(11)의 상단부가 바르게 정렬된다. 따라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로 회전하면, 토너 수용 개방부(10b)는 완전히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로 회전되면, 토너 토출 개방부와 토너 수용 개방부가 서로 정렬되어 개방된다.
그 후에, 구동 기어(12)가 회전될 때, 회전력이 제1 기어(5)를 통해 제2 기어(6)로부터 공급 부재(4)로 전달되고, 토너 공급이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토너 수용 장치로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에 대한 토너 토출 개방부(1b), 개방 돌출부(1e), 제2 기어(6) 등의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는 전술한 작업들이 적절하게 연동되어 올바른 시점에서 수행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실시예는 토너 공급 단계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공급 위치, 즉 토너 공급 용기의 최종 회전 위치로의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그러한 회전을 위한 다른 구동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서, 달성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성이 토너 공급 용기의 간단한 구조에서 개선된다.
즉, 공급 부재 구동을 위한 제2 기어(6)는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으로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보장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위해 이용되고, 최종 위치는 이후의 토너 공급 단계에서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위해, 토너 공급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기어(6)를 이용하는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시의 구동 기어(12)와의 치형부 맞닿음으로 인한 제2 기어(6)의 열화, 손상 등이 회피될 수 있다.
동일한 내용이 치형부 맞닿음으로 인한 구동 기어(12)의 열화, 손상 등이 회피될 수 있는 점에서,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12)에 적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구조를 사용하여,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12)의 열화, 손상 등의 억제에 대한 기여가 달성된다.
그러므로, 이후의 토너 공급 작업은 원활하게 수행되고, 불균일한 화상 밀도, 불충분한 화상 밀도 등과 같은 화상 결함의 발생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기어(12)는 또한 토너 공급 단계에서 회전되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는 제2 기어(6)를 통해 방향(B)으로의 회전력(X: 내측으로 미는 힘)을 수신한다. 토너 공급 단계에서, 토너 공급 용기는 그의 내측 표면에서, 공급 부재와 토너 공급 용기 사이의 활주 마찰에 의해 방향(B)과 반대인 회전 방향(Y)으로 회전력을 수신하고, 내측으로 미는 힘(B)은 회전력(Y)보다 충분히 더 크게 선택된다.
이러한 이유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이 자동 회전 단계에서 공급 위치 직전(1 - 2°)에 정지되더라도, 위치 오차(불충분한 회전)가 자동으로 교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단계의 시작과 함께, 토너 공급 용기는 올바른 공급 위치로 점진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장치 셔터(11)의 불충분한 개방이 자동으로 교정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원리)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원리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3은 제2 기어(6)와 맞물림 결합된 구동 기어(12)의 회전에 의한, 제2 기어(6)를 통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원리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리콘 고무의 링 부재는 제2 기어(6)와 용기 본체(1a)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의 정도로 압축되고, 이에 의해 용기 본체(1a)에 대한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의 회전이 지연되거나 방해받으며,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는 공급 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부하가 용기 본체(1a)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제2 기어(6)에 인가되고, 제2 기어(6)는 부하 상태로 유지된다.
구동 기어(12)가 회전할 때, 회전력(f)은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된 제2 기어(6)에, 그의 축(P)에 대해 인가된다. 그러므로, 회전력(f)이 용기 본체(1a)에 인가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을 때,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부로부터 회전 방지력(F), 즉 토너 수용 장치와 토너 공급 용기의 외측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회전 방지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예에서, 현상 장치 셔터(11)가 토너 공급 용기의 개방 돌출부를 통해 활주되므로, 회전 방지력(F)은 또한 토너 수용 장치에 대한 현상 장치 셔터(11)의 활주 이동 저항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2)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되는 회전력(f)은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되는 회전 방지력(F)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그러므로, 설치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는 최종 공급 위치로의 구동 기어(12)의 회전에 의해 공급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자동 회전은 힘(f, F)들 사이의 관계(F < f)에 의해 달성된다. 토너 공급 용기 내에서의 F > f의 순간적인 발생이,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최종적으로 도달하면, 허용될 수 있다.
회전력(f)은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제2 기어(6)와 맞물림 결합된 구동 기어(12)는 도13에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 기어(12)의 회전 토크는 이 때 자동 토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측정 샤프트가 구동 기어(12)의 회전 샤프트에 동축으로 고정되고, 토크 컨버터 및 구동 모터(스테핑 모터)가 측정 샤프트에 직렬로 연결된다. 구동 모터에 대한 전원은 측정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30 rpm으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측정 샤프트의 회전 속도는 토너 공급 용기의 실제 자동 회전 단계 및 실제 토너 공급 단계 중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 실제 단계들에서의 회전 속도가 다르면, 측정 시의 회전 속도는 대응하여 변화된다. 이러한 예에서, 구동 기어(12)의 회전 토크는 0.29 N·m이다.
구동 기어(12)의 회전 토크는 이하에서 설명될 A에 대응하고, 회전력(f)은 이하에서 설명될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토크 컨버터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복수의 그러한 데이터는 A를 결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평균화된다.
측정을 위해, 교와 덴교 가부시끼 가이샤(Kyowa Dengyo Kabushiki Kaisha)로부터 구입 가능한 토크 컨버터(PP-2-KCE)가 사용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회전 방지력(F)이 유사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 장치 셔터와 결합된 토너 공급 용기는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대한 회전 토크는 자동 토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훨씬 더 구체적으로, 구동 기어(12)가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측정 샤프트가 회전 중심에서 토너 공급 용기에 동축으로 고정되고, 자동 토크 측정 장치가 상기 측정과 유사하게 측정 샤프트에 연결된다. 구동 모터에 대한 전원은 측정 샤프트의 회전 속도를 6.4 rpm으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측정 샤프트의 회전 빈도 또는 속도는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 단계 중에 구동 기어(12)의 30 rpm 회전에 대응한다. 자동 회전 단계에서의 회전 속도가 이러한 값과 다를 때, 측정 샤프트의 회전 속도는 대응하여 변화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대한 회전 토크는 0.58 N·m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대한 회전 토크는 이하에서 설명될 D에 대응하고, 회전 방지력(F)은 이하에서 설명될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토크 컨버터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복수의 그러한 데이터는 D를 결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평균화된다.
도13을 사용하여, 원리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구동 기어(12), 제2 기어(6), 및 제1 기어(5)의 피치 원들의 반경은 a, b, c이고, 각각의 축에 대한 이러한 기어들의 토크는 A, B, C이다. 기어들의 중심 또한 A, B, C로 표시된다. 여기서, 구동 기어(12)의 회전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되는 회전력(내측으로 미는 힘)은 E이고, 회전 중심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지력은 D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위해, f > F가 요구된다.
회전 방지력: F = D/(b+c)
회전력: f = {(c+2b)/(c+b)}×E
= {(c+2b)/(c+b)}×(A/a)
= {(c+2b)/(c+b)}×(C/c+B/b)
그러므로,
(c+2b)/(c+b)×(C/c+B/b) > D/(b+c)
(C/c+B/b) > D/(c+2b)
이로부터, 내측으로 미는 힘에 의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을 위해, 공식이 만족된다. 예를 들어, 반경(C 또는 B) 또는 이들 모두는 더 커지고, 그리고/또는 D는 더 작아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급 부재 및/또는 제2 기어(6)와 직접 연결된 제1 기어(5)의 회전 토크 또는 토크들은 더 커지고, 토너 수용 장치(10)의 장착부(10a)에 대한 마찰로 인한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한 회전 방지력은 더 작아지고, 이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이 달성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지력은 장착부(10a)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의 활주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저 활주 저항 부재 또는 재료를 토너 공급 용기의 외측 표면에 제공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너 수용 장치의 수용부(10a)의 내측 표면은 롤러 또는 롤러들(저 활주 저항 부재 또는 회전 저항 억제 부재)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효과적인 인자로서, 제2 기어(6)가 구동 기어(12)로부터 회전력을 수신하는 힘의 방향(E)이 있다.
제2 기어(6)의 샤프트 부분(P)에 대한 회전력(f)은 제2 기어(6)가 구동 기어(12)로부터 수신하는 힘(E)의 성분력이다.
도13의 모델에서, 기준 선이 (도시된 모델 내의 제1 기어(5)의 회전 중심인)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C)과 제2 기어(6)의 회전 중심(B)을 연결함으로써 그어진다. 기준 선과, 지점(B) 및 구동 기어(12)의 회전 중심(A)을 연결하는 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θ: 각도는 기준 선(0°)으로부터의 시계 방향으로 양임)는 양호하게는 90°보다 더 크고 270°보다 더 작다. 제2 기어(6)와 구동 기어(12) 사이의 결합에 의한 힘(E)의 f 방향으로의 성분(제2 기어(6)와 구동 기어(12) 사이의 결합부에서의 용기 본체의 접선의 방향으로의 성분력)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각도(θ)는 양호하게는 120° 초과 240° 미만이다. 성분력의 추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각도(θ)는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약 180°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어들의 위치 및 구조는 상기 내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실제 구조에서, 기어들 사이의 구동 전달 시에 손실 등이 있지만, 이는 모델 내에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구조는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 시에 적절한 내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손실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 부재의 회전에 의한 토너 공급 작업 중에, 제2 기어(6)는 항상 (방향(D)과 반대로) 내측으로 미는 힘을 수신한다. 공급 부재의 회전에 의한 토너 공급 작업 중에, 토너 공급 용기 또한 공급 부재(4)와 토너 공급 용기의 내측 표면 사이의 활주 접촉에 의해 역방향(방향(D: 도13))으로 힘을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한 내측으로 미는 힘이 역방향으로의 힘보다 더 크게 선택되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를 향한 회전은 토너 공급 단계 작동 중에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공급 단계 작동 중에,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는 각각의 적절한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작동 중에, 도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2)는 방향(C)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6)는 방향(B)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5)는 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 때, 토너 공급 용기는 내측 방향으로의 힘(E: 도12의 (c))을 수신하고, 그러므로 토너 토출 개방부(1b) 및 토너 수용 개방부(10b)는 서로 정렬 유지되어, 토너 공급은 안정적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몇몇 이유로 인한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의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개방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10의 화살표(B)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를 회전시키도록 손잡이(2)를 조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급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는 사용자 작업에 의해 설치 위치를 통해 장착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이 때, 현상 장치 셔터(11)는 토너 공급 용기(1)의 밀봉 돌출부(1f)에 의해 폐쇄(상승)되어, 토너 수용 개방부(10b)를 폐쇄한다. 동시에,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그가 용기 셔터(3)에 의해 폐쇄되는 위치로 다시 회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용기 셔터는 토너 수용 장치의 스토퍼 부분에 대해 맞닿아서 정지되고, 이러한 상태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토출 개방부가 용기 셔터에 의해 폐쇄 또는 재밀봉되도록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재밀봉 회전은 용기 셔터(3)와 맞닿은 용기 셔터(3)의 안내부(1d) 내에 제공된 스토퍼 부분에 의해 정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그러한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는 도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구동 기어(12)로부터 해제되고, 구동 기어(12)와 결합되지 않는다.
그 다음, 장착 위치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1)는 사용자에 의해 토너 수용 장치(10)로부터 취출된다.
이는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의 마지막이다. 그 후에, 사용자는 준비된 새로운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부에 장착한다. 전술한 수동 회전 단계는 설치 위치까지만이고, 그 다음 교환 커버(15)가 폐쇄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역회전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 구동 기어(12)는 설치 작업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대향력이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는 현상 장치 셔터가 토너 수용 개방부를 폐쇄하는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이 때, 토너 토출 개방부는 용기 셔터에 의해 재밀봉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내측으로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되는 힘은 용기 본체(1a)의 회전 방지력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와 공급 위치 사이에서의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자동이 되면, 사용성은 더욱 개선된다.
공급 테스트가 이러한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에서 수행되었고, 결과는 만족스러웠으며, 화상 형성 작업은 장기간 동안 적절했다.
부재들의 재료, 성형 방법, 구성 등은 위에서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 장치는 토너 수용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고정되는 고정식 화상 형성 유닛일 수 있거나, 토너 수용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장착 가능한 탈착식 화상 형성 유닛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유닛의 예는 감광 부재, 대전기, 현상 장치 등과 같은 단위 화상 형성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2]
도14를 참조하여, 실시예 2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실시예 1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연동부는 개방 돌출부 및 밀봉 돌출부를 사용한다. 실시예 2에서, 스냅 결합식 결합이 사용된다. 실시예 1에서, 토너 공급 용기는 실질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 토너 공급 용기는 실질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토너 수용 장치에 장착된다.
이는 토너 공급 용기의 실시예 1과의 주요 차이점이다. 도면에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도14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의 주연 표면은 현상 장치 셔터(11)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동부(결합부)로서 기능하는 스냅 결합부(1e)를 구비한다. 스냅 결합부(1e)는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 수동으로 회전될 때, 현상 장치 셔터(11)에 대한 중첩 작동에 의해 현상 장치 셔터(11)와 후크 결합된다. 이 때, 현상 장치 셔터(11)는 로킹 부재(13)에 의해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수동 회전에 의해, 스냅 결합부(1e)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클로(claw) 부분이 현상 장치 셔터와 맞닿고, 이에 의해 클로 부분이 변형되고, 그 다음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그들 사이에 후크 결합을 확립한다 (도17의 (a) 및 (b)).
스냅 결합부(1e)의 변형 및 복원을 간단하게 달성하기 위해, 스냅 결합부(1e)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다.
설치 작업 시의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에 의해, 스냅 결합부(1e)와 일체식으로 결합된 현상 장치 셔터(11)는 하강되고, 토너 수용 개방부가 개방된다.
탈착 작업 중의 토너 공급 용기의 수동 회전에 의해, 현상 장치 셔터(11)는 스냅 결합부(1e)에 의해 상승되고, 토너 수용 개방부는 다시 폐쇄된다.
스냅 결합부(1e)는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방 작동 및 폐쇄 작동을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과 연동시키도록 기능한다.
스냅 결합부(1e)의 자유 단부 클로와 후크 결합된 현상 장치 셔터(11)의 부분은 스냅 결합 수용부(11a)이고, 자유 단부 클로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들은 현상 장치 셔터(11)가 상승될 때, 서로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현상 장치 셔터(11)가 재폐쇄 또는 재밀봉된 후에, 스냅 결합부(1e) 및 현상 장치 셔터(11)가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에 의해 서로로부터 쉽게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스냅 결합부(1e)는 이러한 2가지 기능을 달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는 기어(5, 6)를 갖는 표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대향한 용기 본체(1a)의 단부 표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종방향을 따라 토너 수용 장치 내로의 그의 용이한 삽입을 위한 손잡이(2)를 구비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를 교환하기 위한 교환 커버(15)가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방 측면 내에서 개방 및 폐쇄된다. 토너 공급 용기(1)는 기어(5, 6) 측이 선단 측에 있는 채로, 손잡이(2)를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종방향(공급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의 토너 수용 장치(10)로 삽입된다.
삽입 방향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선단측 단부는 위치 설정 안내 돌출부(1g: 조절 부재)를 구비하고, 토너 수용 장치는 위치 설정 안내 돌출부(1g)에 대응하는 리세스의 형태인 안내부(10g)를 구비한다. 구조는 회전 방향으로의 토너 공급 용기(1)의 장착 자세(장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토너 공급 용기(1)의 회전 방향으로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는 그러한 안내 돌출부(1g)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셔터(3)의 설명된 안내부(1d) 또는 스냅 결합부(1e)가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부의 입구의 단면 구성은 스냅 결합부(1e) 또는 용기 셔터(3)의 안내부(1d)의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토너 수용 장치(10)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와 결합되는 현상 장치 셔터(11)의 부분(스냅 결합부(1e))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형상은 일부가 절결된 원통형일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및 탈착 작업이 스냅 결합부(1e)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도19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 작업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의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토너 공급 용기(1)의 설치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회전은 토너 수용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도19는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0은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21은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9 - 도21은 이러한 도면의 (a)에서, 용기 셔터(3), 현상 장치 셔터(11), 토너 토출 개방부(1b), 및 토너 수용 개방부(1b)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19 - 도21은 이러한 도면의 (b)에서, 제2 기어(6)와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10 - 12는 이러한 도면의 (c)에서, 스냅 결합부(1e)와 스냅 결합 수용부(11a)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설치 작업의 장착 단계)
먼저,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개방한다. 사용자는 위치 설정 안내 돌출부(1g)를 안내부(10g)와 정렬시키면서, 토너 공급 용기(1)를 토너 수용 장치의 장착부를 향해 삽입한다.
이 때, 도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용기 셔터(3)에 의해 폐쇄되고, 토너 수용 개방부(10b)는 현상 장치 셔터(11)에 의해 폐쇄된다. 현상 장치 셔터(11)는 로킹 부재(13)에 의해 로킹되어, 그의 개방 이동이 방지된다. 도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와 토너 공급 용기(1)의 제2 기어(6)는 이격되어, 구동 연결이 불활성화되어 있다. 도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의 스냅 결합부(1e)는 현상 장치 셔터의 스냅 결합 수용부(11a)로부터 이격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이 불활성화되어 있다.
(설치 작업의 수동 회전 단계)
장착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1)는 도19의 화살표(R)로 표시된 방향(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 설치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수동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된다. 이 때,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결합하기 시작하여, 구동 기어(12)로부터 제2 기어(6)로의 구동 전달이 가능해진다. 도20은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를 사용한 회전의 마지막을 도시하고, 이러한 도면의 (b)에서,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되고, 그러므로 구동 전달이 가능해진다.
토너 공급 용기(1)의 수동 회전에 의해, 도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결합부(1e)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스냅 결합 수용부(11a) 내로 결합되어, 후크 결합을 확립한다 (도17의 (b)).
사용자 작업에 의해, 스냅 결합부(1e)는 현상 장치 셔터(11)를 계속 밀어낸다 (도17의 (b)의 C). 그러나, 이 때, 현상 장치 셔터(11)는 로킹 부재(13)에 의해 로킹되어 있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의 임의의 추가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는 사용자 작업의 마지막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셔터(11)가 로킹되므로, 스냅 결합부(1e)는 스냅 결합부(1e)가 스냅 결합 수용부(11a) 내로 결합되기 전에, 현상 장치 셔터(11)를 하강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와 현상 장치 셔터 사이의 연동 결함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토너 토출 개방부(1b) 및 토너 수용 개방부(10b)는 여전히 폐쇄되어 있다 (도20의 (a)).
그 다음,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폐쇄한다. 다른 한편으로, 교환 커버(15)는 돌출부 형태의 해제 부재(15a: 조절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현상 장치 셔터는 커버의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해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15)를 폐쇄할 때, 커버 부재(15)의 해제 부재(15a)는 현상 장치 셔터(11)의 로킹 부재(13)의 수용부(13b)를 종방향으로 후방 측을 향해 밀어낸다. 이 때, 로킹 부재(13)는 스프링 부재(14)에 의해 압박되지만, 해제 부재(15a)는 로킹 부재(13)를 압박력에 대항하여 밀어내고, 그러므로 현상 장치 셔터는 로킹으로부터 해제된다. 그 후에, 개봉 또는 개방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 셔터(11)의 이동이 허용된다.
(설치 작업의 자동 회전 단계)
구동 기어(12)는 사용자의 교환 커버(15) 폐쇄 작업과 연동하여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 다음, 설치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는 제2 기어(6)를 통해 내측으로 미는 힘(E: 도21의 (b))을 수신하고, 토너 공급 용기는 공급 위치를 향한 자동 회전을 시작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 셔터(11)의 이동이 스냅 결합부(1e)에 의해 시작된다.
마지막으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도달하면,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현상 장치 셔터(11)에 의해 완전히 노출되고, 토너 수용 개방부(10b)는 용기 셔터에 의해 완전히 노출되고, 개방부들의 위치가 서로 정렬된다 (도21의 (a)).
토너 공급 용기(1)의 자동 회전은 스토퍼(10e)에 대해 맞닿은 현상 장치 셔터에 의해 정지된다 (도21의 (a)).
그 후에, 구동 기어(12)의 추가의 회전에 의해, 공급 부재(4)는 이렇게 정지된 토너 공급 용기에 대해 회전되고, 이에 의해 토너가 공급 및 토출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
몇몇 이유로 인한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의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개방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21의 화살표(R)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를 회전시키도록 손잡이(2)를 조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급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는 사용자 작업에 의해 설치 위치를 통해 장착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이 때, 현상 장치 셔터(11)는 토너 공급 용기(1)의 스냅 결합부(1e)에 의해 상승되고, 토너 수용 개방부(10b)가 폐쇄된다. 동시에, 토너 토출 개방부(1b)는 그가 용기 셔터(3)에 의해 폐쇄되는 위치로 다시 회전한다 (도20의 (a)). 더욱 구체적으로, 용기 셔터는 토너 수용 장치의 스토퍼 부분과 맞닿아서 정지되고, 토너 공급 용기는 이러한 상태로부터 회전되고, 이에 의해 토너 토출 개방부는 용기 셔터에 의해 재폐쇄 또는 재밀봉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회전될 때, 스냅 결합부(1e)는 현상 장치 셔터(11)로부터 해제되고, 그 후에 토너 공급 용기는 현상 장치 셔터에 대해 회전된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6)가 회전되어 구동 기어(12)를 해제하고, 구동 기어(12)와 결합되지 않는다 (도19의 (b)).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의 회전은 용기 셔터(3)와 맞닿은 용기 셔터(3)의 안내부(1d) 상에 제공된 스토퍼 부분에 의해 정지된다.
그 다음, 장착 위치에서의 토너 공급 용기(1)는 사용자에 의해 토너 수용 장치(10)로부터 취출된다.
이는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의 마지막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공급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역회전은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 구동 기어(12)는 설치 작업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대향력이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공급 용기는 현상 장치 셔터가 토너 수용 개방부를 폐쇄하는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이 때, 토너 토출 개방부는 용기 셔터에 의해 재밀봉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내측으로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에 인가되는 힘은 용기 본체(1a)의 회전 방지력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위치와 공급 위치 사이에서의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자동이 되면, 사용성은 더욱 개선된다.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는 토너 공급 용기와 현상 장치 셔터 사이의 연동 메커니즘 및 토너 공급 공급 용기의 장착 방향이 다를 때에도 제공된다.
[실시예 3]
도22 및 도23을 참조하여, 실시예 3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공통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도22에서, (a)는 토너 공급 용기 전체의 사시도이고, (b)는 내측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23에서, (a)는 외측 실린더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외측 실린더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c)는 외측 실린더가 공급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실시예 1 및 2에서, 토너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1a)가 회전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토너 수용부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이 회전된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를 수납하는 내측 실린더(800)와, 내측 실린더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외측 실린더(300)를 포함한다 (이중 원통 구조).
내측 실린더는 토너의 토출을 허용하기 위한 토너 토출 개방부(900)를 구비하고, 외측 실린더는 토너의 토출을 허용하기 위한 토너 토출 개방부(400)를 구비한다. 내측 실린더는 그의 회전을 실질적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수용 장치와 로킹 결합하기 위한 로킹부를 구비한다.
내측 실린더 및 외측 실린더 내에 제공된 토너 토출 개방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이전에 적어도 위치적으로 서로 정렬되지 않고, 그러므로 개방부들은 서로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예에서, 외측 실린더는 위에서 설명된 용기 셔터(3)로서 기능한다.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900)는 토너 토출 개방부(900) 둘레에서 내측 실린더의 외측 표면에 용접된 밀봉 필름(600)에 의해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밀봉 필름(600)은 토너 공급 용기가 (토너 공급 용기가 회전되기 전의)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해 박리된다.
내측 실린더와 외측 실린더 사이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밀봉 부재가 (밀봉 필름의 용접부의 내부에서)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900) 둘레에 제공되고, 탄성 밀봉 부재는 내측 실린더 및 외측 실린더에 의해 소정의 정도로 압축된다.
기어(5, 6: 구동 전달 수단) 및 스냅 결합부(1e)가 폐쇄된 바닥을 갖는 외측 실린더 상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어(5, 6)는 외측 실린더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원통부의 바닥 표면) 상에 제공되고, 스냅 결합부(1e)는 외측 실린더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용기는 내측 실린더 상에 제공된 돌출부(500: 안내되는 부재 또는 피안내 부재)와 외측 실린더 상에 제공된 리세스(신장된 구멍)(700: 안내 부재) 사이의 결합에 의해 조립된다. 이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으로 내측 실린더에 대한 외측 실린더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리세스 및 돌출부의 관계는 안내 부재 및 피안내 부재로 전환될 수 있다.
도23을 참조하여,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및 탈착 작업이 설명될 것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먼저, 사용자는 교환 커버(15)를 개방하고,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장치 내로 삽입한다.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위치에 있는 시점에서,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토너 수용 개방부에 대향한 위치에 있으며, 현상 장치 셔터가 이들 사이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토너 수용 개방부에 대향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위로 향한다. 제2 기어(6)는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게, 구동 기어(12)와 결합되지 않고, 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도23의 (a)).
그 다음, 밀봉 필름이 사용자에 의해 용기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에, 외측 실린더는 (내측 실린더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토너 수용 장치와 로킹된 내측 실린더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설치 위치로 회전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토너 공급 용기의 스냅 결합부는 현상 장치 셔터와 후크 결합된다. 현상 장치 셔터가 로킹되므로, 토너 수용 개방부는 폐쇄된다. 이 때,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도23의 (b)).
그 후에, 교환 커버(15)가 사용자에 의해 폐쇄된다.
교환 커버(15)의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구동 기어(12)는 회전을 시작하고, 그 다음 외측 실린더(토너 토출 개방부)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와 유사한 원리에 의해 토너 수용 장치에 로킹된 내측 실린더에 대해 공급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회전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에 의해, 현상 장치 셔터는 스냅 결합부에 의해 하강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에 도달하면, 토너 수용 개방부는 개방 또는 개봉되고,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와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가 모두 위치 정렬되어, 토너 공급을 가능케 한다 (도23의 (c)).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에 대해, 사용자는 공급 위치에 위치된 외측 실린더를 설치 작업 중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장착 위치를 향해 회전되도록 유도하고, 이에 의해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회전한다. 이 때,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에 대한 재밀봉 작업이 연동하여 수행된다.
이 때,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이동할 때,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400)는 개방 유지되지만,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900)는 외측 실린더에 의해 재밀봉된다. 그리고,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400)는 위로 향하고, 토너 비산량은 있더라도 매우 작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의 구조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위에서, 외측 실린더가 내측 실린더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 대안적으로, 폐쇄 단부를 갖는 내측 실린더가 토너 수용 장치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로킹된 외측 실린더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냅 결합부(1e)가 내측 실린더의 주연 표면 상에 제공되고,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가 내측 실린더의 단부 표면(원통부의 바닥 표면) 상에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 외측 실린더는 스냅 결합부(1e)를 관통하면서 스냅 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구멍을 구비한다. 그러한 구조에서, 토너 공급 용기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토너 수용 개방부와 정렬되고,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위로 향한다. 그 후에,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내측 실린더)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 구동 기어(12)의 회전에 의한 토너 공급 용기(내측 실린더)의 자동 회전이 수행되고, 내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는 외측 실린더의 토너 토출 개방부 및 토너 수용 개방부와 정렬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취출될 때,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토너 공급 용기를 공급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가 취출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24를 참조하여, 실시예 4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는 실시예 1 및 2와 다르게 단차형 기어이다. 제2 기어(6)는 하부 위치에서도 기어(6')를 갖는다. 기어(6')는 제2 기어(6)와 일체로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기어(6')는 제1 기어(5)와 맞물림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급 부재의 회전 속도는 공급 부재와 직접 결합된 제1 기어(5)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더 크게 되므로 (치형부의 개수도 많음), 구동 기어(12)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기어(6)의 직경은 설치 작업 중에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의 양을 고려하여 더 작게 되지 않거나, 또는 치형부의 개수도 더 적게 되지 않고, 제2 기어(6)는 실시예 1 및 2에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기어(6)는 단차형 기어 구조를 갖고, 기어(6')는 제2 기어(6)로부터 제1 기어(5)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제1 기어(5)는 31 mm의 직경 및 62개의 치형부의 개수를 갖고, 제2 기어(6)는 23 mm의 직경 및 23개의 치형부의 개수를 갖고, 기어(6')는 11 mm의 직경 및 22개의 치형부의 개수를 갖는다. 구동 기어(12)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다.
실시예 1 및 2에서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25를 참조하여, 실시예 5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공통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2)와 결합하기 위한 토너 공급 용기의 구동 전달 수단은 기어(제2 기어(6))이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2)와 결합하기 위한 구동 전달 수단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벨트(1000)이다. 구동 전달 벨트와 맞물림 결합된 기어(5)는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공급 부재(4)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구동 전달 벨트(1000)는 그의 외측 표면 상에 구동 기어(12)의 치형부와 결합하기 위한 외측 치형부를 구비한다. 구동 전달 벨트(1000)는 소정의 장력으로 2개의 풀리(1100, 1200: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 둘레에 감긴다. 풀리들의 샤프트 부분은 토너 공급 용기의 단부 표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 단계 중에 구동 전달 벨트와 각각의 풀리 사이의 활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전달 벨트의 내측 표면 및 각각의 풀리의 외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마찰을 위해 처리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벨트의 내측 표면 및 풀리의 외측 표면이 표면 조질화 처리를 받는다. 구동 전달 벨트와 각각의 풀리 사이의 활주를 방지하기 위해, 구동 전달 벨트 및 풀리는 높은 마찰 처리가 필요치 않은 고마찰 특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전달 벨트의 내측 표면은 치형부를 구비할 수 있고, 대응하여, 각각의 풀리의 외측 표면은 치형부를 구비할 수 있어서, 그들 사이의 슬립을 높은 신뢰성으로 방지한다.
구동 전달 벨트(1000)를 지지하는 외부 풀리(1200)의 회전 중심이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이므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이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게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어(5)는 공급 부재의 토너 공급 및 토출 특성을 고려하여 구동 전달 벨트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키도록 제공되지만, 생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풀리(1200)의 위치(회전 중심)는 변화되지 않고, 풀리(1100)의 위치(회전 중심)는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과 정렬된다. 풀리(1100)는 공급 부재(4)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아울러 구동 전달 벨트(1000)는 "8"의 형태로 풀리들 상에 감긴다.
구동 전달 벨트(1000)의 그러한 감긴 배열에서, 토너 공급 및 토출 특성은 다른 기어(5: 역전 메커니즘)를 제공할 필요가 없이 만족스러워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은 토너 공급 및 토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서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제2 기어(6) 대신에 구동 전달 벨트(1000)를 채용하지만, 구동 전달 벨트(1000)는 예를 들어 제1 기어(5)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2 기어(6)는 실시예 1 및 2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26을 참조하여, 실시예 6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는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를 갖고, 이들의 직경 사이의 관계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와 반대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기어(5)는 20 mm의 직경을 갖고, 제2 기어(6)는 40 mm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1a)에 대한 제2 기어(6)의 원주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는 실시예 1 및 2에서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너 공급 용기(1)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되지 않고, 토너 공급 용기(1)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구동 기어(12)로부터 제공된 제2 기어(6)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기어(5)의 회전 속도는 기어비 때문에 실시예 1의 2배이다. 따라서, 공급 부재의 회전 속도는 더 크게 될 수 있고,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의 토출의 토너 토출 속도는 더 크게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를 교반하여 공급하기 위해 요구되는 토크가 더 클 가능성이 있고, 그러므로 2개의 기어들 사이의 기어비는 수납된 토너의 종류(토너가 자성인지 또는 비자성인지의 여부에 따른 비중 차이), 수납된 토너의 양, 구동 모터의 출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토너 토출 속도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 제1 기어(5)의 직경은 훨씬 더 작게 되고, 제2 기어는 더 크게 된다.
토크 요건이 중요하면,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이, 제1 기어(5)의 직경은 크게 되고, 제2 기어의 직경은 작게 된다.
[실시예 7]
도27을 참조하여, 실시예 7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기어(구동 전달 수단)의 개수가 실시예 1 및 2에서보다 더 많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2에서, 구동력은 2개의 기어(5, 6)에 의해 공급 부재(4)로 전달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은 4개의 기어(5, 6a, 6b, 6c)에 의해 공급 부재(4)로 전달된다.
기어 개수가 더 많은 경우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기어(6a, 6b, 6c)는 용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5)에 구동을 전달하는 기어의 개수는 홀수이고, 구동 기어(12)로부터 회전 구동을 직접 수신하기 위한 기어(6a: 구동 전달 부재, 구동력 수신 부재)의 회전 방향은 제1 기어(5)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그러므로, 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은 도12에서 반시계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공급 부재(4)의 일 측면에 배치된 토너 토출 개방부를 향한 토너의 상방 공급을 허용하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및 토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용기가 구동 기어(12)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신할 때, 기어(6a - 6c)들 중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6a)의 회전 방향은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 방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게,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시에 자동 회전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가 3개 이상의 구동 전달 기어를 구비할 때, 기어의 개수는 토너 공급 및 토출 특성, 즉 공급 부재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 상에 제공된 구동 전달 기어의 개수는 짝수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구성 요소들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실시예 1 및 2는 하나의 기어만이 제1 기어(5)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사용되므로, 양호하다.
[실시예 8]
도28을 참조하여, 실시예 8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실시예 1 및 2는 구동 전달 수단으로서 기어를 사용한다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달 수단은 구동 전달을 위해 서로 결합 또는 접촉 가능한 결합 또는 접촉 표면을 갖는 제1 마찰 휠(5') 및 제2 마찰 휠(6')을 포함하고, 표면은 높은 마찰 저항을 나타내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12)는 실시예와 유사하다.
높은 마찰 저항을 나타내는 재료의 예는 고무, 샌드 페이퍼, 접착 테이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높은 마찰 저항을 갖는 고무 재료의 탄성 부재가 사용된다. 구동력을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해, 소정 정도의 압력이 마찰 휠들 사이에 부가된다. 마찰 휠들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부가되는 압력은 마찰 저항 재료의 저항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제2 마찰 휠(6')의 고무 표면이 구동 기어(12)와 결합되고, 그러므로 구동 기어(12)의 치형부는 고무 표면 내로 파고 들어서, 결합은 기어들 사이의 맞물림 결합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이러한 구조에서, 토너 수용 장치로부터 토너 공급 용기로의 회전 구동력이 적절하게 전달된다.
구동 전달 수단으로서 마찰 휠을 사용하는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게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시에 자동 회전을 달성한다.
내측으로 미는 힘이 효율적으로 생성되는 점에서, 기어들의 사용은 양호하다.
[실시예 9]
도29를 참조하여, 실시예 9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실시예 1 및 2에서 (도3), 제2 기어(6)는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용기 본체(1a)의 외측 주연부를 넘는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는 토너 공급 용기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토너 공급 용기의 외측 주연부를 넘지 않는다. 제1 기어(5) 및 제2 기어의 크기는 다르다.
구동 기어(12)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용기 본체(1a)의 외측 주연부를 넘어 용기 본체(1a)의 내부를 향해 더욱 내부에 있다.
제2 기어(6)의 회전 중심은 반경 방향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그의 샤프트 부분이 편심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이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하게 달성된다.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가 용기 본체(1a)의 외측 주연부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는 토너 공급 용기(1)의 포장 특성이 양호하고, 그러므로 운반 또는 공급 작업 중의 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는 관점에서 양호하다.
[실시예 10]
도30을 참조하여, 실시예 10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실시예 1 및 2에서, 제2 기어(6)의 회전 샤프트가 용기 본체(1a)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의 구멍부가 용기 본체(1a) 상에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기어(6)는 회전 중심에서 베어링부(베어링 구멍)를 구비하고, 캡형 부재(61)가 용기 본체(1a) 내로 결합되어 베어링부를 관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6)를 위한 베어링부는 결합 샤프트 부재(65)에 의해 용기 본체(1a)의 단부 표면 내에 형성된 구멍부 내에 로킹되어 고정된다. 제2 기어(6)는 컵의 형태이고, 그 안에서 회전 저항 인가 수단으로서 실리콘 고무의 링 부재(64: 활주 부재,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소정의 정도로 압축된다. 실리콘 고무의 링 부재(64)는 스프링(62: 압박 부재)과 제2 기어(6)의 컵 부분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가압 부재(63: 압박 부재)를 통해 압축된다. 가압 부재(63)는 결합 샤프트 부재(65) 상에 고정된다. 캡형 부재(61: 압박 부재)가 결합 샤프트 부재(65)에 고정되어, 스프링(62)이 캡형 부재(61)와 가압 부재(63)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a)에 대한 제2 기어(6)의 회전 저항은 충분히 크게 설정된다.
그러한 구조에서, 링 부재(64)와 제2 기어(6) 사이의 활주에 대항하는 저항이 향상되어, 제2 기어(6)는 용기 본체(1a)에 대해 쉽게 회전되지 않는다.
결합 샤프트 부재(65)가 삽입되는 용기 본체(1a)의 구멍부는 용기 본체(1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기어(6)의 회전 중심은 용기 본체(1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으로 배치되고, 결합 샤프트 부재(65)를 통해 용기 본체(1a) 상에 지지된다. 제1 기어(5)는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회전 저항 인가 수단의 구조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그러한 구조에서,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2]
도31을 참조하여, 실시예 12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11)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전술한 실시예 2에서, 토너 공급 용기(1)는 기어(5, 6)가 선단 측에 있는 채로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삽입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용기(1)는 기어(5, 6)가 후연 측에 있는 채로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삽입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어(5, 6)는 삽입 방향에 대한 토너 공급 용기(1)의 후연 모서리 상에 제공되고, 작동 손잡이(2)는 기어(6)와 구동 기어(12) 사이의 연결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러한 구조에서, 구동 전달 수단(기어(5, 6))은 손잡이(2)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그러므로 이러한 점에서 유리하다.
토너 수용 장치 측의 구조는 토너 공급 용기에 대응하여 다르고, 예를 들어, 구동 기어(12) 등이 전방에 제공된다.
[실시예 12]
도32를 참조하여, 실시예 12가 설명될 것이다.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면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된다.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회전은 사용자 작업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의 회전은 공급 부재 구동 기어열을 이용하여, 토너 수용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의 설치 위치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대형 기어(L: 구동 전달 부재)가 제공된다. 도32는 치형부의 일부만이 도시되고 나머지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 결합된 기어들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대형 기어(L)는 구동 기어(12)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그의 외측 주연부 상의 외측 치형부와, 제2 기어(6)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그의 내측 표면 상의 내측 치형부(Lb)를 포함하고, 대형 기어(L)는 용기 본체(1a)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기어(5) 및 제2 기어(6)가 장착된 후에, 대형 기어(L)가 용기 본체(1a)의 하나의 단부 표면 상에 장착된다. 도32에서, 대형 기어(L)의 내부는 구동 전달 경로를 도시하기 위해 도시되었고, 기어들의 회전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이해될 바와 같이, 제2 기어(6)는 구동 기어(12)와 직접 결합되지 않지만, 대형 기어(L)를 통해 구동 기어(12)로부터 회전력을 수신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공급 용기(1)가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시점에서, 구동 연결이 토너 공급 용기(1)의 구동 전달 수단과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 사이에서 확립된다.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기어(L)는 구동 기어(1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내측 치형부와 결합된 제2 기어(6)도 대형 기어(L)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6)의 회전 방향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한 교환 커버(15)의 폐쇄 작업과 연동하여, 구동 기어(12)가 회전하고, 장착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회전한다. 이 때, 현상 장치 셔터(11)의 개봉 이동은 토너 공급 용기의 자동 회전에 의해 수행되고, 이에 의해 토너 수용 개방부는 개방 또는 개봉되고, 토너 토출 개방부는 노출되어 개방된다. 토너 공급 용기가 공급 위치에 도달하면, 토너 토출 개방부와 토너 수용 개방부는 서로 정렬되어, 토너 공급을 가능케 한다.
다른 한편으로, 토너 공급 용기의 탈착 작업 시에,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는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 중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다음, 토너 공급 용기는 설치 작업 중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수신하고, 그러므로 토너 공급 용기는 공급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한다. 토너 공급 용기의 반대 방향으로의 자동 회전에 의해, 현상 장치 셔터의 재밀봉 및 용기 셔터의 재밀봉이 연동하여 수행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것은 단순히 토너 공급 용기를 토너 수용 장치 내로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이 설명될 것이다. 토너 공급 용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와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공급 위치)로의 회전 작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현상 장치 셔터의 전술한 로킹 메커니즘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한 구조에서, 토너의 토출 특성은 토너 공급 중에, 공급 위치에 위치된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위치를 향한 역회전을 방지하면서, 개선된다.
실시예 1 - 13에 대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 2의 토너 공급 용기는 그가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토너 수용 장치의 상부 측으로부터 장착되도록 될 수 있다. 실시예 3의 토너 공급 용기의 외측 실린더 상에 제공된 구동 전달 수단은 실시예 4의 토너 공급 용기를 위한 구동 전달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1의 토너 공급 용기(1)가 실시예 1의 (기어(6)가 없이) 기어(5)만을 갖는 비교예(도32)의 토너 공급 용기와 비교될 것이다.
실시예 1과 대조적으로, 도32에 도시된 비교예의 토너 공급 용기(1)의 기어(5)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는 시점에서, 토너 수용 장치(10)의 구동 기어(12)와 결합된다. 토너 공급 용기의 설치 작업에 대해 요구되는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B)로 표시되어 있고, 기어(5) (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A)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의 경우에, 기어들 중 하나의 치형부는 토너 공급 용기의 장착 작업 중에 다른 기어의 치형부와 맞닿을 수 있고, 토너 공급 용기의 기어(5) 및 토너 수용 장치의 구동 기어의 열화 또는 손상의 결과를 갖는다.
비교예의 구조의 경우에,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B)과 기어(5) (공급 부재(4))의 회전 방향(A)은 서로 반대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한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각이 불충분하면, 불충분성은 실시예1에서와 같이 처리될 수 없다.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이 적절하게 수행되더라도, 토너 공급 용기는 토너 공급 단계 중에, 공급 부재(4)의 회전에 의해 제공되는 부하로 인해 설치 작업 중의 토너 공급 용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면, 토너 공급량은 부족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토너의 유동이 낮을 때, 고온, 고습 환경 등과 같은 환경 조건 또는 토너의 특성에 따라, 토너 공급량의 감소가 현저하다. 이유가 다음과 같이 고려된다.
비교예의 구조의 경우에, 토너 공급 단계 중에 (도33의 회전 방향(A)으로의 기어(5)에 대한 회전 구동력의 전달 중에), 공급 부재(4) 및 용기 본체(1a)는 교반 샤프트(4a)와 그를 위한 용기 본체(1a)의 베어링 사이의 마찰을 통해 그리고 교반 블레이드(4b)와 용기 본체(1a)의 내측 표면 사이의 마찰을 통해, 구동 기어(12)로부터 수신되는 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부가받는다 (도33의 화살표(C)).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향(A)으로의 용기 본체(1a)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되고, 비용 증가의 결과를 갖는다.
비교예의 경우에, 구동 전달은 토너 토출 개방부(1b) 및 토너 수용 개방부(10b)가 개봉되지 않았거나, 서로 정렬되지 않았을 때에도 가능하다. 구동 전달이 이러한 상태에서 발생하면, 토너는 토너 수용 장치(10) 내로 공급되지 않는다. 토너 토출 개방부(1b)가 용기 셔터(3)에 의해 밀봉되므로, 토너는 이동할 수 없고, 그 결과 용기 내의 토너는 공급 부재(4)와 불필요하게 마찰되고, 토너의 조입자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의 토출 특성이 높고 현상제 비산이 억제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을 억제하면서 현상제 토출 특성이 개선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상제 비산을 억제하면서 현상제 토출 특성이 개선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설명된 세부 사항으로 구속되지 않고,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들 수 있는 한 변형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82)

  1.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측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로서,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면하는 방향으로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이 변경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주연부에 제공되는, 상기 개구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유지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인가부는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부하를 인가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7.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가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시스템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장착부와,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측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로서,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면하는 방향으로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이 변경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주연부에 제공되는, 상기 개구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상기 설치 방향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유지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용기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용기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장치 내로의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인가부는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에 부하를 인가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33.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측 공간과, 주연부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용기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시스템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여,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는 연동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5.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가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시스템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장착부와,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측 공간과, 주연부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용기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3.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4.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5.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시스템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연동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57.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주연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를 갖는 내측 본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 가능한 외측 개구를 갖는 외측 본체와,
    상기 내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외측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외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외측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와,
    상기 외측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개구를 향해 상기 내측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외측 본체를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내측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외측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5.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6.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외측 본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7.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외측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시스템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여,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는 연동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9.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현상제가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시스템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시스템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장착부와,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주연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를 갖는 내측 본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 가능한 외측 개구를 갖는 외측 본체와,
    상기 내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외측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외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외측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와,
    상기 외측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개구를 향해 상기 내측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외측 본체를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하며,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내측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인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와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고 상기 현상제 급송 디바이스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의 회전 중심은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 중심과 정렬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단차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상기 단차형 기어와 결합 가능한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마찰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연결 디바이스는 상기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마찰 휠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5.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한 무단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겨진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6.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외측 개구가 수직 방향에 대해 ±18°배향되도록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7.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구동 시스템과 상기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8.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외측 본체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용기를 상기 장치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79.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수용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설치 방향으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해 상기 외측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시스템에 부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8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상제 수용 개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장치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장치 셔터와 결합 가능하여, 상기 설치 작업시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을 상기 장치 셔터의 개방 이동과 연동시키는 연동부로서 기능하는 현상제 공급 시스템.
  81.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측 공간과, 주연부에 제공되며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에 제공되며, 상기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용기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력 수용 기어와,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82.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 장치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현상제 수용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위치를 향한, 설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포함하는 설치 작업에 의해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에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주연부에 형성된 내측 개구를 갖는 내측 본체와,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며,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 가능한 외측 개구를 갖는 외측 본체와,
    상기 외측 본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내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외측 개구가 상방으로 배향되도록 상기 현상제 수용 장치 내로의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자세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외측 개구가 측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내측 개구와 연통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까지 상기 외측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설치 방향으로의 상기 외측 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정지부와,
    상기 외측 본체가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내측 본체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측 개구를 향해 상기 내측 본체 내의 상기 현상제를 급송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현상제 공급 위치에 위치된 상기 외측 본체가 상기 설치 방향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력 수용 기어와,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가 상기 설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현상제 급송 블레이드의 주연방향 이동이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상기 내측 개구에 인접하게 상방으로 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는 구동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392A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1349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0317 2005-03-04
JPJP-P-2005-060317 2005-03-04
JPJP-P-2005-345485 2005-11-30
JP2005345485 2005-11-30
PCT/JP2006/304820 WO2006093362A1 (en) 2005-03-04 2006-03-06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15A Division KR101340816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174A Division KR101368151B1 (ko) 2005-03-04 2006-03-06 토너 공급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255A KR20110031255A (ko) 2011-03-24
KR101349988B1 true KR101349988B1 (ko) 2014-01-13

Family

ID=36570989

Famil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13A KR101340834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37019684A KR101472240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382A KR101341724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299A KR101281900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57005880A KR20150038616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27032174A KR101368151B1 (ko) 2005-03-04 2006-03-06 토너 공급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시스템
KR1020157010600A KR20150052352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17005298A KR10134073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392A KR101349988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17005362A KR10128543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97017339A KR20190071843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47017397A KR101582433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077020115A KR101340816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47014126A KR10155687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67030821A KR20160130865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37022795A KR101582016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13A KR101340834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37019684A KR101472240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382A KR101341724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17005299A KR101281900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57005880A KR20150038616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27032174A KR101368151B1 (ko) 2005-03-04 2006-03-06 토너 공급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시스템
KR1020157010600A KR20150052352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17005298A KR10134073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362A KR10128543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97017339A KR20190071843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47017397A KR101582433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077020115A KR101340816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47014126A KR101556871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67030821A KR20160130865A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KR1020137022795A KR101582016B1 (ko) 2005-03-04 2006-03-06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1) US7848685B2 (ko)
EP (9) EP2428851B1 (ko)
JP (2) JP4388132B2 (ko)
KR (16) KR101340834B1 (ko)
CN (5) CN101770198B (ko)
BR (10) BR122018006692B1 (ko)
DK (3) DK3081991T3 (ko)
ES (8) ES2582152T3 (ko)
HK (8) HK1163264A1 (ko)
HU (2) HUE030025T2 (ko)
LT (1) LT3081991T (ko)
PL (3) PL3081991T3 (ko)
PT (3) PT1859323E (ko)
RU (7) RU2414734C2 (ko)
SI (3) SI1859323T1 (ko)
TW (5) TWI353305B (ko)
WO (2) WO2006093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07049C2 (ru)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US8190068B2 (en) * 2005-03-04 2012-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mounting attitude regulation and drive receiving member rotation suppression features
KR101340834B1 (ko) 2005-03-04 2013-1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US8180259B2 (en) * 2006-05-23 2012-05-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KR100899350B1 (ko) 2008-02-2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토너공급방법
JP5078847B2 (ja) * 2008-11-13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370540B1 (ja) * 2009-03-11 2009-1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形成剤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像形成剤収容容器の装着方法、及び像形成剤収容容器の取り外し方法
MX2012002508A (es) 2009-09-04 2012-04-10 Ricoh Co Ltd Contenedor de toner y dispositivo formador de imagen.
EP2367068A2 (en) * 2010-03-03 2011-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TWI432340B (zh) 2010-05-27 2014-04-0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碳粉匣轉換裝置及應用其之雷射印表機
JP5177178B2 (ja) 2010-06-03 2013-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77179B2 (ja) 2010-06-03 2013-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407272B (zh) * 2010-06-23 2013-09-01 Gen Plastic Ind Co Ltd Toner Cartridge
TWI553431B (zh) 2010-12-03 2016-10-11 理光股份有限公司 粉末容器
JP5017475B1 (ja) * 2011-04-15 2012-09-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コンテナ
JP6083954B2 (ja) *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KR101833375B1 (ko) * 2011-07-21 2018-02-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A2812067C (en) * 2011-07-27 2014-07-15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202267824U (zh) * 2011-09-30 2012-06-0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
RU2640104C1 (ru) 2011-11-25 2017-12-26 Рикох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US9031451B2 (en) *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JP5377686B2 (ja) * 2012-01-31 2013-1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6128754B2 (ja) 2012-05-21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MX362932B (es) 2012-06-03 2019-02-27 Ricoh Co Ltd Contenedor de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es.
US9465317B2 (en)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67125B1 (ko) 2013-03-15 2019-04-0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6025631B2 (ja) * 2013-03-22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192389B2 (ja) * 2013-07-04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50063872A1 (en) * 2013-09-02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48628B2 (ja) * 2014-02-07 2017-06-1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SG11201510290UA (en) * 2014-03-17 2016-10-28 Ricoh Co Ltd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94351B2 (ja) * 2014-03-17 2018-09-26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S2907765T3 (es) 2014-08-01 2022-04-26 Canon Kk Cartucho de tóner, mecanismo de suministro de tóner y obturador
JP6361972B2 (ja) * 2014-08-08 2018-07-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75879A (ja) * 2014-10-09 2016-05-12 株式会社リコー 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684687B (zh) * 2014-11-28 2024-04-19 佳能株式会社 盒、构成盒的构件和成像设备
BR122018074174B1 (pt) 2014-11-28 2023-12-19 Canon Kabushiki Kaisha Cartucho montável a um conjunto principal de aparelho de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m
JP6645015B2 (ja) * 2015-03-06 2020-0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の収容容器
JP6365391B2 (ja) * 2015-04-27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304116B2 (ja) * 2015-04-27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337827B2 (ja) * 2015-04-27 2018-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304117B2 (ja) * 2015-04-27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JP6566787B2 (ja) 2015-08-27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JP6682284B2 (ja) * 2016-01-29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トナー供給機構
JP6917009B2 (ja) * 2016-03-31 2021-08-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682962B2 (ja) * 2016-03-31 2020-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206530B2 (ja) * 2016-03-31 2017-10-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210121B2 (ja) 2016-03-31 2017-10-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536506B2 (ja) * 2016-07-14 2019-07-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MX2019003127A (es) * 2016-09-30 2019-06-06 Canon Kk Cartucho de toner y mecanismo de suministro de toner.
KR102316346B1 (ko) * 2016-09-30 2021-10-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기구
AU2017272313B2 (en) * 2016-12-09 2019-01-17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Toner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75502B2 (ja) 2016-12-22 2019-09-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P3333634B1 (en) 2016-12-09 2019-05-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Toner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38640B2 (ja) * 2016-12-22 2020-0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693402B2 (ja) * 2016-12-09 2020-05-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7209231B2 (ja) * 2017-09-05 2023-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7005250B2 (ja) *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39226B2 (ja) *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2B2 (ja) *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KR20190072863A (ko) 2017-12-18 2019-06-26 김춘식 확장형 토너 카트리지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200025336A (ko)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CN109269833B (zh) * 2018-10-09 2021-02-05 福建省十里香农业发展有限公司 集混匀扦样一体化的除杂质粮食扦样设备
JP7255163B2 (ja) * 2018-12-18 2023-04-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収納容器の取付構造、画像形成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JP2021060462A (ja) * 2019-10-03 2021-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1063850A (ja) 2019-10-10 2021-04-2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トナー及び現像剤を別個に供給可能なトナー/現像剤供給装置
WO2021194476A1 (en) * 2020-03-24 2021-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aterial container
JP2021173778A (ja) * 2020-04-20 2021-11-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27843B2 (ja) 2020-05-22 2024-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KR20220040553A (ko) 2020-09-23 2022-03-3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공급부의 공급구 셔터를 씰링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CN112180703B (zh) * 2020-11-13 2022-12-23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补给容器
CN114083899B (zh) * 2021-11-10 2023-05-23 厦门炫龙包装有限公司 绿色环保印刷工艺及印刷工艺用防堆积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892A (ja) * 1997-09-30 2003-04-09 Canon Inc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70747A (ja) * 2002-11-21 2004-06-17 Canon Finetech Inc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6040A (en) 1976-10-08 1978-04-25 Canon Inc Developer cartridge
SE459724B (sv) 1987-12-08 1989-07-31 Larson Prod Ab Ove Saett och anordning foer att framstaella ett latent elektriskt laddningsmoenster
JP2991301B2 (ja) 1990-04-06 1999-12-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印刷装置のトナー貯蔵容器
JPH0670530A (ja) 1991-08-22 1994-03-11 Hitachi Ltd 回転型アクチュエータ
JPH0635321A (ja) * 1992-07-17 1994-02-10 Ricoh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2887046B2 (ja) 1993-06-25 1999-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7168435A (ja) * 1993-10-04 1995-07-04 Seiko Epson Corp トナー補給装置
ES2143534T3 (es) 1993-12-28 2000-05-16 Canon Kk Cartucho revelador y metodo de rehabilitacion del mismo.
DE69517073T2 (de) * 1994-03-03 2001-03-08 Kyocera Corp., Kyoto Tonercontainer
US5614996A (en)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US5816720A (en) 1994-03-15 1998-10-06 Interbold Printer mechanis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JP3384914B2 (ja) 1994-10-04 2003-03-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5832343A (en) 1995-04-03 1998-11-03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method, toner accommodation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802432A (en) * 1996-12-20 1998-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housing and pin construction
US5797073A (en) * 1997-03-13 1998-08-18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with biased closure
JP3408166B2 (ja) *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66574A (en) * 1997-12-24 1999-10-12 Konica Corporation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JPH11282250A (ja) * 1998-03-30 1999-10-1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TW377664U (en) 1998-05-18 1999-12-21 Ming-Yue Wanglai Supplying apparatus for developer container
JP3628539B2 (ja) * 1999-01-25 2005-03-1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JP3450741B2 (ja) * 1999-03-29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445202B2 (ja) * 1999-03-29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US6470163B1 (en) 1999-10-27 2002-10-2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irring member, assembly method and recycling method for the same
JP3403132B2 (ja) * 1999-10-29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撹拌翼及びトナー補給容器
US6256469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apparatus in image forming system
US7518652B2 (en) 2000-05-03 2009-04-14 Aperi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ocus in a linear array based slide scanner
US6603939B1 (en) * 2000-06-09 2003-08-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connecting method between developing frame and developer frame, and flexible seal
JP3927767B2 (ja) * 2000-07-12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US6704533B2 (en) 2000-12-08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stirring rotation member
EP1233310B1 (en) * 2001-02-19 2009-12-23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supply system
JP4672893B2 (ja) * 2001-03-30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854893B2 (ja) * 2002-04-25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785497B1 (en) * 2003-03-24 2004-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 device
JP2004317995A (ja) * 2003-04-21 2004-11-11 Canon Inc トナーシール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08645B2 (ja) * 2003-06-03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343625B2 (ja) 2003-08-29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693393B2 (ja) * 2003-11-19 2011-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4652783B2 (ja) * 2003-12-10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
JP4683886B2 (ja) * 2004-09-13 2011-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チオフェン誘導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450890B2 (en) * 2004-11-12 2008-11-1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a shutter cleaning feature
RU2407049C2 (ru)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4232747B2 (ja) 2005-02-28 2009-03-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340834B1 (ko) 2005-03-04 2013-12-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US8190068B2 (en) * 2005-03-04 2012-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mounting attitude regulation and drive receiving member rotation suppression features
JP4804067B2 (ja) 2005-08-10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7331B2 (ja) * 2005-11-08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892A (ja) * 1997-09-30 2003-04-09 Canon Inc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70747A (ja) * 2002-11-21 2004-06-17 Canon Finetech Inc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843A (ko) 2019-06-24
CN101776857A (zh) 2010-07-14
PL3081991T3 (pl) 2019-02-28
KR101582433B1 (ko) 2016-01-11
KR20150052352A (ko) 2015-05-13
RU2017114902A (ru) 2018-10-29
EP2428849A2 (en) 2012-03-14
US7848685B2 (en) 2010-12-07
KR101472240B1 (ko) 2014-12-11
KR20110028670A (ko) 2011-03-21
KR20140084288A (ko) 2014-07-04
HK1110953A1 (en) 2008-07-25
US20120134717A1 (en) 2012-05-31
ES2436352T3 (es) 2013-12-30
ES2554461T3 (es) 2015-12-21
JP2009175759A (ja) 2009-08-06
BR122018006701B1 (pt) 2019-08-20
KR20110028667A (ko) 2011-03-21
US8463164B2 (en) 2013-06-11
RU2472200C2 (ru) 2013-01-10
TW200902325A (en) 2009-01-16
TW200918321A (en) 2009-05-01
DK3081991T3 (en) 2018-12-03
EP3422113A2 (en) 2019-01-02
EP2428851A3 (en) 2012-08-01
EP2428850B1 (en) 2013-09-25
KR20150038616A (ko) 2015-04-08
PT3081991T (pt) 2018-10-18
JP2009175760A (ja) 2009-08-06
EP1859322B1 (en) 2013-09-11
CN101706644B (zh) 2012-08-22
BRPI0609034A2 (pt) 2010-11-16
KR101582016B1 (ko) 2015-12-31
LT3081991T (lt) 2018-09-25
CN101770198B (zh) 2012-06-06
RU2014112313A (ru) 2015-10-10
EP1859322A1 (en) 2007-11-28
US20120134720A1 (en) 2012-05-31
HUE040616T2 (hu) 2019-03-28
EP2645177A1 (en) 2013-10-02
HK1110952A1 (en) 2008-07-25
CN101776857B (zh) 2013-08-07
BR122018006745B8 (pt) 2019-11-05
TWI353305B (en) 2011-12-01
DK1859323T3 (da) 2014-06-30
US8509658B2 (en) 2013-08-13
JP4388133B2 (ja) 2009-12-24
CN101794099A (zh) 2010-08-04
HUE030025T2 (en) 2017-04-28
KR20130001742A (ko) 2013-01-04
SI1859323T1 (sl) 2014-09-30
KR20130095847A (ko) 2013-08-28
RU2019121431A (ru) 2021-01-11
KR101340834B1 (ko) 2013-12-11
CN101788778A (zh) 2010-07-28
EP2428850A2 (en) 2012-03-14
US20170299983A1 (en) 2017-10-19
BR122018006736B1 (pt) 2019-04-24
CN101706644A (zh) 2010-05-12
ES2686571T3 (es) 2018-10-18
RU2010147677A (ru) 2012-05-27
BR122018006745B1 (pt) 2019-04-24
KR20110031255A (ko) 2011-03-24
KR20140097456A (ko) 2014-08-06
US8369753B2 (en) 2013-02-05
CN101770198A (zh) 2010-07-07
CN101788778B (zh) 2013-11-13
HK1163265A1 (en) 2012-09-07
ES2474197T3 (es) 2014-07-08
ES2436097T3 (es) 2013-12-27
KR20070108220A (ko) 2007-11-08
WO2006093362A1 (en) 2006-09-08
TW200702184A (en) 2007-01-16
HK1163263A1 (en) 2012-09-07
RU2007136799A (ru) 2009-04-10
RU2623811C2 (ru) 2017-06-29
RU2398257C2 (ru) 2010-08-27
KR20110028669A (ko) 2011-03-21
EP3081991A1 (en) 2016-10-19
US20120134719A1 (en) 2012-05-31
EP2428850A3 (en) 2012-08-01
PL2796936T3 (pl) 2016-11-30
TWI335867B (en) 2011-01-11
US8693926B2 (en) 2014-04-08
PT2796936T (pt) 2016-07-14
KR101341724B1 (ko) 2013-12-16
US20090129813A1 (en) 2009-05-21
KR101340816B1 (ko) 2013-12-11
BRPI0608720B1 (pt) 2018-07-17
RU2695270C2 (ru) 2019-07-22
US8320801B2 (en) 2012-11-27
KR101556871B1 (ko) 2015-10-01
KR20160130865A (ko) 2016-11-14
KR20110031254A (ko) 2011-03-24
ES2582152T3 (es) 2016-09-09
TW200900249A (en) 2009-01-01
TWI380907B (zh) 2013-01-01
WO2006093361A1 (en) 2006-09-08
US20220082961A1 (en) 2022-03-17
RU2012143627A (ru) 2014-04-20
EP1859323A1 (en) 2007-11-28
CN101794099B (zh) 2013-08-07
EP2796936A1 (en) 2014-10-29
EP3422113A3 (en) 2019-05-15
BRPI0608720A2 (pt) 2010-12-07
US8472848B2 (en) 2013-06-25
KR101285431B1 (ko) 2013-07-12
EP3081991B1 (en) 2018-08-29
US20120134718A1 (en) 2012-05-31
HK1184550A1 (en) 2014-01-24
HK1198453A1 (zh) 2015-04-24
HK1163264A1 (en) 2012-09-07
TW201111177A (en) 2011-04-01
US20140169838A1 (en) 2014-06-19
EP2428851A2 (en) 2012-03-14
EP2428849A3 (en) 2012-08-01
SI3081991T1 (sl) 2018-11-30
BRPI0609034B1 (pt) 2018-07-31
EP2428851B1 (en) 2014-10-08
KR20130106445A (ko) 2013-09-27
RU2007136793A (ru) 2009-04-10
BR122018006695B1 (pt) 2019-08-20
RU2019121431A3 (ko) 2021-01-11
KR20070106749A (ko) 2007-11-05
SI2796936T1 (sl) 2016-09-30
ES2524710T3 (es) 2014-12-11
BR122018006715B1 (pt) 2019-04-24
TWI339619B (en) 2011-04-01
US20130336680A1 (en) 2013-12-19
RU2519783C2 (ru) 2014-06-20
PT1859323E (pt) 2014-07-16
US20130136505A1 (en) 2013-05-30
KR101368151B1 (ko) 2014-02-28
US11188010B2 (en) 2021-11-30
BR122018006700B1 (pt) 2019-08-20
RU2017114902A3 (ko) 2018-10-29
EP2796936B1 (en) 2016-05-18
BR122018006692B1 (pt) 2019-08-20
US20100278564A1 (en) 2010-11-04
HK1259377A1 (zh) 2019-11-29
TWI315263B (en) 2009-10-01
EP1859323B1 (en) 2014-05-21
RU2414734C2 (ru) 2011-03-20
DK2796936T3 (en) 2016-08-22
KR101340731B1 (ko) 2013-12-12
PL1859323T3 (pl) 2014-10-31
ES2435670T3 (es) 2013-12-20
KR101281900B1 (ko) 2013-07-03
EP2645177B1 (en) 2015-11-18
EP2428849B1 (en) 2013-09-18
BR122018006712B1 (pt) 2019-08-20
JP4388132B2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988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