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56B1 -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556B1
KR101349556B1 KR1020077025750A KR20077025750A KR101349556B1 KR 101349556 B1 KR101349556 B1 KR 101349556B1 KR 1020077025750 A KR1020077025750 A KR 1020077025750A KR 20077025750 A KR20077025750 A KR 20077025750A KR 101349556 B1 KR101349556 B1 KR 10134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line
laser light
region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547A (ko
Inventor
테츠야 오사지마
류지 스기우라
가즈히로 아츠미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by usin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73Shaping the laser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50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 B23K26/53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for modifying or reforming the material inside the workpiece, e.g. for producing break initiation c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0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Dic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이 레이저 가공 방법에서는, 집광점 P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L의 단면형상을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질 영역(7)의 형상은 레이저 광 L의 입사 방향으로부터 보면,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개질 영역(7)이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형성되면, 개질 영역(7)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절단했을 때에 절단면에 트위스트 해클(twist hackle)이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을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이런 종류의 레이저 가공 방법으로서,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集光点)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절단의 기점(起点)이 되는 개질(改質) 영역을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7930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이저 가공 방법을 사용융,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하면, 절단면에 트위스트 해클(twist hackle)이 나타나, 절단면에 물결이나 요철이 발생하는 등, 절단면의 평탄도(平坦度)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은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절단의 기점이 되는 개질 영역을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으로서,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단면 형상을 집광점으로 가지는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레이저 가공 방법에서는 집광점에 있어서의 소정의 레이저 광의 단면 형상(광축에 수직 단면 형상)을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으로 한다. 그 때문에,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개질 영역의 형상은 레이저 광의 입사 방향에서 보면,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소정의 개질 영역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되면,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했을 때에 절단면에 트위스트 해클이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단의 기점이 되는 개질 영역은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다광자 흡수 그 외의 광 흡수를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서 생기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는,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절단 예정 라인에 따른 갈라짐을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부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에 생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개질 영역의 형상은 레이저 광의 입사 방향에서 보면,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인 것에서부터,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부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에 생기게 한 갈라짐에 있어서는, 트위스트 해클의 출현이 억제된다. 따라서, 갈라짐이 사행(蛇行)하거나 크랭크 상태로 진행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갈라짐을 거의 직진시킬 수 있고,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공 대상물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는 절단 예정 라인에 따른 갈라짐이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부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에 생기고 있으면,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확실히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는 개질 영역을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한 후에,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가공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을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정밀도 좋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는, 가공 대상물은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고, 개질 영역은 용융 처리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의한 레이저 가공 중의 가공 대상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따른 레이저 가공 후의 가공 대상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의해 절단된 가공 대상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의 전계(電界) 강도와 크랙 스폿의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의 제1 공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의 제2 공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의 제3 공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의 제4 공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의해 절단된 실리콘 웨이퍼의 일부에 있어서의 단면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의 파장과 실리콘 기판의 내부의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XV-XV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이면에 확장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집광점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a)는 집광점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의 단면 형상, (b)는 집광점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의 강도 분포이다.
도 19는 도 14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이면에 부착된 확장 테이프를 확장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1개의 절단 예정 라인에 대해서 5열의 개질 영역이 형성된 가공 대상물의 부분 단면도로서, (a)는 가공 대상물의 이면으로부터 1열째 및 2열째의 개질 영역을 정형(整形)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 (b)는 가공 대상물의 이면으로부터 2 열째의 개질 영역을 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 (c)는 가공 대상물의 이면으로부터 1열째의 개질 영역을 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이다.
<부호의 설명>
1 … 가공 대상물, 3 … 표면(레이저 광 입사면), 5 … 절단 예정 라인, 7 … 개질 영역, 11 … 실리콘 웨이퍼(반도체기판), 13 … 용융 처리 영역, 24 … 갈라짐 50 … 레이저 가공 장치, 52 … 레이저 헤드(레이저 광원), 55 … 나이프 에지(가변 수단), 56 … 대물 렌즈(집광용 렌즈), L … 레이저 광, P … 집광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가공 방법에서는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개질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광자 흡수라고 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그래서, 최초로 다광자 흡수에 의해 개질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재료의 흡수의 밴드 갭 EG보다 광자의 에너지 hν가 작으면 광학적으로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재료에 흡수가 생기는 조건은 hν > EG이다. 그러나, 광학적으로 투명하여도, 레이저 광의 강도를 아주 크게 하면 nhν > EG의 조건(n = 2, 3, 4, …)에서 재료에 흡수가 생긴다. 이 현상을 다광자 흡수라고 한다. 펄스파의 경우, 레이저 광의 강도는 레이저 광의 집광점의 피크 파워 밀도(W/cm2)에서 결정되고, 예를 들면 피크 파워 밀도가 1 × 108(W/cm2) 이상의 조건에서 다광자 흡수가 생긴다. 피크 파워 밀도는 (집광점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의 1펄스 당의 에너지) ÷ (레이저 광의 빔 스폿 단면 × 펄스 폭)에 의해 구해진다. 또, 연속파인 경우, 레이저 광의 강도는 레이저 광의 집광점의 전계 강도(W/cm2)로 정해진다.
이와 같은 다광자 흡수를 이용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의 원리에 대해서,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퍼 모양(평판 모양)의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는 가공 대상물(1)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 예정 라인(5)이 있다. 절단 예정 라인(5)은 직선 모양으로 연장한 가상선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광자 흡수가 생기는 조건에서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집광점 P를 맞추어 레이저 광 L을 조사하여 개질 영역(7)을 형성한다. 또한, 집광점 P는 레이저 광 L이 집광하는 개소이다. 또, 절단 예정 라인(5)은 직선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고 곡선 모양으로 하여도 좋으며, 가상선으로 한정하지 않고 가공 대상물(1)에 실제로 그은 선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레이저 광 L을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라서(즉,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점 P를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질 영역(7)이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라서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 개질 영역(7)이 절단 기점 영역(8)이 된다. 여기서, 절단 기점 영역(8)이란, 가공 대상물(1)이 절단될 때에 절단(갈라짐)의 기점이 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절단 기점 영역(8)은 개질 영역(7)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개질 영역(7)이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은 가공 대상물(1)이 레이저 광 L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1)을 발열시켜 개질 영역(7)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공 대상물(1)에 레이저 광 L을 투과시키고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다광자 흡수를 발생시켜 개질 영역(7)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서는 레이저 광 L이 거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이 용융하지 않는다.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절단 기점 영역(8)을 형성하면, 이 절단 기점 영역(8)을 기점으로 하여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가공 대상물(1)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불필요한 갈라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가공 대상물(1)을 고정밀도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절단 기점 영역(8)을 기점으로 한 가공 대상물(1)의 절단에는 다음의 2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나는, 절단 기점 영역(8) 형성 후, 가공 대상물(1)에 인위적인 힘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절단 기점 영역(8)을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이 갈라져, 가공 대상물(1)이 절단되는 경우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가공 대상물(1)의 두께가 큰 경우의 절단이다. 인위적인 힘이 인가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가공 대상물(1)의 절단 기점 영역(8)에 따라서 가공 대상물(1)에 굽힘 응력이나 전단 응력을 더하거나, 가공 대상물(1)에 온도차를 주는 것에 의해 열 응력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절단 기점 영역(8)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절단 기점 영역(8)을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의 단면 방향(두께 방향)을 향하여 자연히 갈라져, 결과적으로 가공 대상물(1)이 절단되는 경우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가공 대상물(1)의 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1열의 개질 영역(7)에 의해 절단 기점 영역(8)이 형성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되고, 가공 대상물(1)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두께 방향에 복수 열 형성된 개질 영역(7)에 의해 절단 기점 영역(8)이 형성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자연히 갈라지는 경우도, 절단하는 개소에 있어서, 절단 기점 영역(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3) 위에까지 갈라짐이 앞지르지 않고, 절단 기점 영역(8)을 형성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할단할 수 있으므로, 할단을 잘 제어할 수 있다. 최근, 실리콘 웨이퍼등의 가공 대상물(1)의 두께는 얇아지는 경향에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어성이 좋은 할단 방법은 몹시 유효하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 다광자 흡수에 의 해 형성되는 개질 영역으로서는, 다음의 (1) ~ (3)의 경우가 있다.
(1) 개질 영역이 1개 또는 복수의 크랙을 포함하는 크랙 영역인 경우
가공 대상물(예를 들면 유리나 LiTaO3로 이루어지는 압전재료)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고, 집광점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1 × 108(W/cm2) 이상인 한편 펄스 폭이 1㎲이하의 조건에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이 펄스 폭의 크기는 다광자 흡수를 생기게 하면서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불필요한 데미지를 주지 않고,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만 크랙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이다. 이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는 다광자 흡수에 의한 광학적 손상이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광학적 손상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열변형이 야기되고, 이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크랙 영역이 형성된다. 전계 강도의 상한값로서는, 예를 들면 1 × 1012(W/cm2)이다. 펄스 폭은 예를 들면 1ns ~ 200ns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광자 흡수에 의한 크랙 영역의 형성은, 예를 들면, 제45회 레이저 열 가공 연구회 논문집(1998년.12월)의 제23 페이지 ~ 제28 페이지의 「고체 레이저-고주파에 의한 유리 기판의 내부 마킹」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전계 강도와 크랙의 크기와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구했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가공 대상물 : 파이렉스(Pyrex)(등록상표) 유리(두께 700㎛)
(B) 레이저
광원 : 반도체 레이저 여기(勵起) Nd : YAG 레이저
파장 : 1064nm
레이저 광 스폿 단면 : 3.14 × 10-8cm2
발진(發振) 형태 : Q 스위치 펄스
반복 주파수 : 100kHz
펄스 폭 : 30ns
출력 : 출력 < 1mJ/펄스
레이저 광 품질 : TEM00
편광 특성 : 직선 편광
(C) 집광용 렌즈
레이저 광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 : 60퍼센트
(D) 가공 대상물이 실어놓이는 재치대(載置臺)의 이동속도 : 100mm/초
또한, 레이저 광 품질이 TEM00란 집광성이 높고 레이저 광의 파장 정도까지 집광이능을 의미한다.
도 7은 상기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피크 파워 밀도이고, 레이저 광이 펄스 레이저 광이므로 전계 강도는 피크 파워 밀도로 나타낸다. 세로축은 1펄스의 레이저 광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된 크랙 부분(크랙 스폿)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크랙 스폿이 모여 크랙 영역이 된다. 크랙 스폿의 크기는 크랙 스폿의 형상 중 최대 길이가 되는 부분의 크기이다. 그래프 중의 검은점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는 집광용 렌즈(C)의 배율이 100배, 개구수(NA)가 0.80인 경우이다. 한편, 그래프 중의 흰점으로 나타내는 데이터는 집광용 렌즈(C)의 배율이 50배, 개구수(NA)가 0.55인 경우이다. 피크 파워 밀도가 1011(W/cm2) 정도로부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크랙 스폿이 발생해, 피크 파워 밀도가 커짐에 따라 크랙 스폿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크랙 영역 형성에 의한 가공 대상물의 절단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도 8 ~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광자 흡수가 생기는 조건에서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집광점 P를 맞추어 레이저 광 L을 조사하여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내부에 크랙 영역(9)을 형성한다. 크랙 영역(9)은 1개 또는 복수의 크랙을 포함한 영역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크랙 영역(9)이 절단 기점 영역이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랙 영역(9)을 기점으로 하여(즉, 절단 기점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크랙이 더욱 성장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랙이 가공 대상물(1)의 표면(3)과 이면(21)에 도달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대상물(1)이 갈라지는 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1)이 절단된다. 가공 대상물(1)의 표면(3)과 이면(21)에 도달하는 크랙은 자연히 성장하는 경우도 있고, 가공 대상물(1)에 힘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성장하는 경우도 있다.
(2) 개질 영역이 용융 처리 영역인 경우
가공 대상물(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재료)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고, 집광점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1 × 108(W/cm2) 이상인 한편 펄스 폭이 1㎲이하의 조건에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는 다광자 흡수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가열된다. 이 가열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용융 처리 영역이 형성된다. 용융 처리 영역이란 일단 용융 후 재고화한 영역이나, 확실히 용융 상태의 영역이나, 용융 상태로부터 재고화하는 상태의 영역이며, 상변화한 영역이나 결정구조가 변화한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 용융 처리 영역이란 단결정 구조, 비정질 구조, 다결정 구조에 있어서, 어느 구조가 다른 구조로 변화한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단결정 구조로부터 비정질 구조로 변화한 영역, 단결정 구조로부터 다결정 구조로 변화한 영역, 단결정 구조로부터 비정질 구조 및 다결정 구조를 포함한 구조로 변화한 영역을 의미한다. 가공 대상물이 실리콘 단결정 구조인 경우, 용융 처리 영역은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콘 구조이다. 전계 강도의 상한값로서는, 예를 들면 1 × 1012(W/cm2)이다. 펄스 폭은 예를 들면 1ns ~ 200ns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실리콘 웨이퍼의 내부에서 용융 처리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A) 가공 대상물 : 실리콘 웨이퍼(두께 350㎛, 외경 4인치)
(B) 레이저
광원 : 반도체레이저 여기 Nd : YAG 레이저
파장 : 1064nm
레이저 광 스폿 단면 : 3.14 × 10-8cm2
발진 형태 : Q 스위치 펄스
반복 주파수 : 100kHz
펄스 폭 : 30ns
출력 : 20uJ/펄스
레이저 광 품질 : TEM00
편광 특성 : 직선 편광
(C) 집광용 렌즈
배율 : 50배
N.A. : 0.55
레이저 광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 : 60퍼센트
(D) 가공 대상물이 실어놓이는 재치대의 이동속도 : 100mm/초
도 12는 상기 조건에서의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절단된 실리콘 웨이퍼의 일부에 있어서의 단면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 용융 처리 영역(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 의해 형성된 용융 처리 영역(13)의 두께 방향의 크기는 100㎛정도이다.
용융 처리 영역(13)이 다광자 흡수에 의해 형성된 것을 설명한다. 도 13은 레이저 광의 파장과 실리콘 기판의 내부의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만, 실리콘 기판의 표면 측과 이면 측 각각의 반사 성분을 제거하고, 내부만의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다. 실리콘 기판의 두께 t가 50㎛, 100㎛, 200㎛, 500㎛, 1000㎛의 각각에 대해 상기 관계를 나타냈다.
예를 들면, Nd : YAG 레이저의 파장인 1064nm에 있어서, 실리콘 기판의 두께가 500㎛ 이하인 경우, 실리콘 기판의 내부에서는 레이저 광이 80%이상 투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실리콘 웨이퍼(11)의 두께는 350㎛이므로, 다광자 흡수에 의한 용융 처리 영역(13)은 실리콘 웨이퍼(11)의 중심 부근, 즉 표면으로부터 175㎛의 부분에 형성된다. 이 경우의 투과율은, 두께 200㎛의 실리콘 웨이퍼를 참고로 하면, 90%이상이므로, 레이저 광이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것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투과한다. 이것은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서 레이저 광이 흡수되어, 용융 처리 영역(13)이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 형성(즉 레이저 광에 의한 통상의 가열로 용융 처리 영역이 형성)된 것이 아니고, 용융 처리 영역(13)이 다광자 흡수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다광자 흡수에 의한 용융 처리 영역의 형성은, 예를 들면, 용접 학회 전국 대회 강연 개요 제66집(2000년 4월)의 제72 페이지 ~ 제73 페이지의 「피코초 펄스 레이저에 의한 실리콘의 가공 특성 평가」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실리콘 웨이퍼는 용융 처리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단 기점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단면 방향으로 향하여 갈라짐을 발생시키고, 그 갈라짐이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과 이면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절단된다.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과 이면에 도달하는 이 갈라짐은 자연히 성장하는 경우도 있고, 실리콘 웨이퍼에 힘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성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절단 기점 영역으로부터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과 이면에 갈라짐이 자연히 성장하는 경우에는,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는 용융 처리 영역이 용융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갈라짐이 성장하는 경우와,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는 용융 처리 영역이 용융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재고화할 때에 갈라짐이 성장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이다. 다만, 어느 쪽의 경우도 용융 처리 영역은 실리콘 웨이퍼의 내부에만 형성되고, 절단 후의 절단면에는, 도 12와 같이 내부에만 용융 처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용융 처리 영역에 의해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면, 할단시, 절단 기점 영역 라인으로부터 어긋난 불필요한 갈라짐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할단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3) 개질 영역이 굴절율 변화 영역의 경우
가공 대상물(예를 들면 유리)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고, 집광점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1 × 108(W/cm2) 이상인 한편 펄스 폭이 1ns이하인 조건에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펄스 폭을 지극히 짧게 하여, 다광자 흡수를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일으키게 하면, 다광자 흡수에 의한 에너지가 열에너지에 전화(轉化)하지 않고,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는 이온가수 변화, 단결정화 또는 분극 배향 등의 영속적인 구조 변화가 야기되어 굴절율 변화 영역이 형성된다. 전계 강도의 상한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1 × 1012(W/cm2)이다. 펄스 폭은 예를 들면 1ns 이하가 바람직하고, 1ps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광자 흡수에 의한 굴절율 변화 영역의 형성은, 예를 들면, 제42회 레이저 열 가공 연구회 논문집(1997년.11월)의 제105페이지 ~ 제111페이지의 「펨토초 레이저-조사에 의한 유리 내부에의 광 야기 구조 형성」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 다광자 흡수에 의해 형성되는 개질 영역으로서 (1) ~ (3)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웨이퍼 모양의 가공 대상물의 결정 구조나 그 벽개성(劈開性) 등을 고려하여 절단 기점 영역을 다음과 같이 형성하면, 그 절단 기점 영역을 기점으로 하여 보다 한층 작은 힘으로, 게다가 정밀도 좋게 가공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실리콘 등의 다이아몬드 구조의 단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경우는 (111)면(제1 벽개면)이나 (110)면(제2 벽개면)에 따른 방향으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GaAs 등의 섬(閃)아연광형 구조의 Ⅲ-V족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경우는, (110)면에 따른 방향으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파이어(Al2O3) 등의 육방정계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기판의 경우는, (0001)면(C면)을 주면으로 하여 (1120)면(A면) 혹은 (1100)면(M면)에 따른 방향으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해야 하는 방향(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 있어서의 (111)면에 따른 방향), 혹은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해야 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기판에 오리엔테이션 평면을 형성하면, 그 오리엔테이션 평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절단 기점 영역을 형성해야 하는 방향에 따른 절단 기점 영역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기판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가공 방법에 있어서의 가공 대상물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가공 대상물의 XV-XV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대상물(1)은 두께 50㎛의 실리콘 웨이퍼(반도체 기판)(11)과 복수의 기능소자(15)를 포함하고 실리콘 웨이퍼(11)의 표면(11a)에 형성된 기능소자층(16)을 구비하고 있다. 기능소자(15)는, 예를 들면, 단결정 성장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 동작층,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 혹은 회로로서 형성된 회로요소 등이며, 실리콘 웨이퍼(11)의 오리엔테이션 평면(6)에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에 매트릭스 모양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가공 대상물(1)을 이하와 같이 하여 기능 소자(15)마다 절단한다. 우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에 확장 테이프(23)를 부착한다. 이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소자층(16)을 위쪽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레이저 가공 장치(50)의 재치대(51) 위에 고정한다. 그리고,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을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 하여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 집광점 P를 맞추어 레이저 광 L을 다광자 흡수가 생기는 조건에서 조사하고, 재치대의 이동에 의해서, 서로 인접한 기능소자(15, 15) 사이를 통과하도록 격자 모양으로 설정된 절단 예정 라인(5)(도 14의 파선 참조)의 각각 따라 집광점 P를 스캔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절단 예정 라인(5)에 대해서,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1열의 개질 영역(7)을 형성함과 동시에,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갈라짐(24)을 개질 영역(7)으로부터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생기게 한다. 또한, 개질 영역(7)은 용융 처리 영역이지만, 크랙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 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가공 장치(50)는 레이저 광 L을 출사하는 레이저 헤드(레이저 광원)(52)와 출사된 레이저 광 L의 빔 지름을 확장하는 레이저 정형(整形) 광학계(53)와, 확장된 레이저 광 L의 광축 위에 위치하는 한편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슬릿(54)을 형성하는 결합의 나이프 에지(가변 수단)(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 장치(50)는 슬릿(54)을 통과한 레이저 광 L을 집광하는 대물 렌즈(집광용 렌즈)(56)와,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으로부터의 깊이가 일정한 위치에 집광점을 맞추기 위해서 대물 렌즈(56)를 상하 이동시키는 피에조 소자(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레이저 정형 광학계(53)에 의해 확장된 레이저 광 L의 빔 지름은 5mm이고, 슬릿(54)의 폭은 1mm이며, 대물 렌즈(56)의 입사동(瞳)의 동경(瞳徑)은 2.7mm이다.
이것에 의해, 집광점 P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L의 단면형상(광축에 수직한 단면형상)은,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이 된다. 또, 집광점 P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L의 강도 분포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정규 분포(Gaussian distribution)의 양측의 아랫부분이 절단된 분포가 된다. 또한, 나이프 에지(55)는 레이저 광 L의 광축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슬 릿(54)의 폭을 바꾸는 것으로,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를 바꿀 수 있다.
개질 영역(7)을 형성함과 동시에 갈라짐(24)을 일으키게 한 후,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테이프(23)를 확장시켜, 개질 영역(7)을 기점으로 하여 갈라짐(24)을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에도 도달시키고, 실리콘 웨이퍼(11) 및 기능소자층(16)을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라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되어 얻을 수 있던 각 반도체칩(25)을 서로 이간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가공 방법에서는 집광점 P에 있어서의 레이저 광 L의 단면형상을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실리콘 웨이퍼(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질 영역(7)의 형상은, 레이저 광 L의 입사 방향에서 보면,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개질 영역(7)이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형성되면, 개질 영역(7)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절단했을 때에 절단면에 트위스트 해클이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개질 영역(7)의 형상은 레이저 광 L의 입사 방향에서 보면,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이기 때문에, 개질 영역(7)으로부터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생기게 한 갈라짐(24)에 있어서는 트위스트 해클의 출현이 억제 된다. 따라서, 갈라짐(24)이 사행하거나 크랭크 상태로 진행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갈라짐(24)을 대략 직진시킬 수 있으며, 이것도 개질 영역(7)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의 평탄도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 가공 대상물(1)의 두께가 50㎛와 같이 비교적 얇은 경우에는,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갈라짐(24)을 개질 영역(7)으로부터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생기게 하는 것으로, 개질 영역(7)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확실히(즉, 갈라짐이 남지 않고) 반도체칩(25)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광 L은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있어서도,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기능소자(15)가 열에 약한 것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서로 인접하는 기능소자(15, 15)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 1매의 가공 대상물(1)로부터 보다 많은 반도체칩(25)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절단 예정 라인(5)에 대해서 가공 대상물(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개질 영역(7)의 열수는 가공 대상물(1)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1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갈라짐(24)을 개질 영역(7)으로부터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에 생기게 하지 않도록, 개질 영역(7)을 형성해도 좋다.
1개의 절단 예정 라인(5)에 대해서 복수 열의 개질 영역(7)을 형성하는 경우 에는 절단 예정 라인(5)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이하, 「수직 방향 길이」라고 한다)가 절단 예정 라인(5)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이하, 「평행 방향 길이」라고 한다)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집광점 P에서 가지는 레이저 광 L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모든 개질 영역(7)을 형성해도 좋다. 다만, 가공 대상물(1)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깊은 위치에 형성되는 개질 영역(7)은 얕은 위치에 형성되는 개질 영역(7)에 비해, 가공 대상물(1) 내에서의 레이저 광 L의 집광율의 영향에 의해 레이저 광 L의 에너지가 저하하기 때문에, 적정한 분단 동작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가공 대상물(1)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얕은 위치에 개질 영역(7)을 형성할 때, 수직 방향 길이가 평행 방향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이저 광 L을 조사해, 가공 대상물(1)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깊은 위치에 개질 영역(7)을 형성할 때, 얕은 위치에 개질 영역(7)을 형성할 때에 비해, 수직 방향 길이가 긴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이저 광 L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개의 절단 예정 라인(5)에 대해서 복수 열의 개질 영역(7)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직 방향 길이가 평행 방향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이저 광(이하, 「정형 레이저 광」라고 한다)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가공 대상물(1)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1열째 및 2열째의 개질 영역(7) 중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고, 수직 방향 길이와 평행 방향 길이가 대충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이저 광(이하, 「비정형 레이저 광」라고 한다)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나머지 개질 영역(7)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가공 대상물(1)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1열째 및 2열째의 개질 영역(7) 중 적어도 한쪽을 정형 레이저 광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개질 영역(7)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1)을 절단했을 때에 레이저 광 입사면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형 레이저 광과 비정형 레이저 광의 전환은 상술한 레이저 가공 장치(50)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레이저 광 L의 광축에 대해서 나이프 에지(55)를 전진시켜, 슬릿(54)의 폭을 좁게 하는 것으로, 정형 레이저 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레이저 광 L의 광축에 대해서 나이프 에지(55)를 후퇴시켜, 슬릿(54)의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비정형 레이저 광을 얻을 수 있다.
도 20은, 1개의 절단 예정 라인(5)에 대해서 5열의 개질 영역(71 ~ 75)이 형성된 가공 대상물(1)의 부분 단면도로서, (a)는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에서 1열째 및 2열째의 개질 영역(74, 75)을 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71 ~ 73)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 (b)는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에서 2열째의 개질 영역(74)을 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71 ~ 73, 75)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 (c)는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에서 1열째의 개질 영역(75)을 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하고, 나머지 개질 영역(71 ~ 74)을 비정형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한 경우이다. 또한, 도 20(a)의 경우는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깊은 갈라짐을 이면(21)에 생기게 하는데 유효하고, 도 20(b)의 경우는 절단 예정 라인(5)에 따른 얕은 갈라짐을 이면(21)에 생기게 하는데 유효하지만, 반드시 갈라짐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 형태는 가공 대상물(1)의 표면(3)을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 하 는 경우였지만, 가공 대상물(1)의 이면(21)을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절단 예정 라인(5) 위에 기능소자층(16)이 존재하는 경우였지만, 절단 예정 라인(5) 위에 기능소자층(16)이 존재하지 않고, 실리콘 웨이퍼(11)의 표면(11a)이 노출하고 있는 상태로, 실리콘 웨이퍼(11)의 표면(11a)을 레이저 광 입사면이라고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가공 대상물을 절단했을 때의 절단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集光点)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절단의 기점(起点)이 되는 개질(改質) 영역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집광점으로 가지는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며,
    1개의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대해서 복수 열의 상기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얕은 위치에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상기 집광점으로 가지는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깊은 위치에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할 때에는, 얕은 위치에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할 때에 비해,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긴 단면형상을 상기 집광점으로 가지는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따른 갈라짐을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은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개질 영역은 용융 처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광점에서의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의 강도 분포는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정규 분포(Gaussian distribution)의 양측의 아랫부분이 절단된 분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영역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한 후에, 상기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6.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集光点)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절단의 기점(起点)이 되는 개질(改質) 영역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으로서,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집광점으로 가지는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며,
    1개의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대해서 복수 열의 상기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이저 광 입사면으로부터 1열째 및 2열째의 상기 개질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같은 단면형상을 상기 집광점으로 가지는 상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 이외의 상기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따른 갈라짐을 상기 소정의 개질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공 대상물의 레이저 광 입사면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은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개질 영역은 용융 처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집광점에서의 상기 소정의 레이저 광의 강도 분포는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정규 분포(Gaussian distribution)의 양측의 아랫부분이 절단된 분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10.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영역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한 후에, 상기 개질 영역을 절단의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방법.
  11.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점을 맞추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의 절단 예정 라인에 따라서, 절단의 기점이 되는 개질 영역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형성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로서,
    상기 레이저 광을 출사(出射)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집광하는 집광용 렌즈와,
    상기 집광점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저 광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를 가변하는 가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공대상물의 레이저 광의 입사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광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단면형상을 상기 집광점으로 가지는 상기 레이저 광과,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수직한 방향의 최대 길이와 상기 절단 예정 라인에 평행한 방향의 최대 길이가 같은 단면형상을 상기 집광점으로 가지는 상기 레이저 광으로, 상기 가변수단에 의해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KR1020077025750A 2005-09-16 2006-09-13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KR101349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0817 2005-09-16
JP2005270817A JP4762653B2 (ja) 2005-09-16 2005-09-16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PCT/JP2006/318163 WO2007032392A1 (ja) 2005-09-16 2006-09-13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547A KR20080050547A (ko) 2008-06-09
KR101349556B1 true KR101349556B1 (ko) 2014-01-10

Family

ID=3786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750A KR101349556B1 (ko) 2005-09-16 2006-09-13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13567B2 (ko)
EP (1) EP1944118B1 (ko)
JP (1) JP4762653B2 (ko)
KR (1) KR101349556B1 (ko)
CN (2) CN102172799B (ko)
TW (1) TWI463550B (ko)
WO (1) WO2007032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300B2 (ja) 2000-09-13 2011-03-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TWI326626B (en) 2002-03-12 2010-07-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EP1635390B1 (en) 2002-03-12 2011-07-27 Hamamatsu Photonics K. K. Substrate dividing method
EP2272618B1 (en) 2002-03-12 2015-10-07 Hamamatsu Photonics K.K. Method of cutting object to be processed
TWI520269B (zh) 2002-12-03 2016-02-01 Hamamatsu Photonics Kk Cutting method of semiconductor substrate
FR2852250B1 (fr) 2003-03-11 2009-07-24 Jean Luc Jouvin Fourreau de protection pour canule, un ensemble d'injection comportant un tel fourreau et aiguille equipee d'un tel fourreau
US8685838B2 (en) 2003-03-12 2014-04-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CN1826207B (zh) * 2003-07-18 2010-06-16 浜松光子学株式会社 激光加工方法、激光加工装置以及加工产品
JP4563097B2 (ja) 2003-09-10 2010-10-1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基板の切断方法
JP4598407B2 (ja) * 2004-01-09 2010-12-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601965B2 (ja) * 2004-01-09 2010-12-2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509578B2 (ja) 2004-01-09 2010-07-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CN100527360C (zh) 2004-03-30 2009-08-12 浜松光子学株式会社 激光加工方法及半导体芯片
EP1775059B1 (en) * 2004-08-06 2015-01-07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US9138913B2 (en) * 2005-09-08 2015-09-22 Imra America, Inc. Transparent material processing with an ultrashort pulse laser
US7626138B2 (en) 2005-09-08 2009-12-01 Imra America, Inc. Transparent material processing with an ultrashort pulse laser
JP4907965B2 (ja) * 2005-11-25 2012-04-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804911B2 (ja) * 2005-12-22 2011-11-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4907984B2 (ja) * 2005-12-27 2012-04-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
US7897487B2 (en) 2006-07-03 2011-03-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chip
JP5183892B2 (ja) 2006-07-03 2013-04-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KR101428823B1 (ko) * 2006-09-19 2014-08-1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JP4954653B2 (ja) 2006-09-19 2012-06-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5101073B2 (ja) * 2006-10-02 2012-12-1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5132911B2 (ja) * 2006-10-03 2013-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964554B2 (ja) * 2006-10-03 2012-07-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EP2070636B1 (en) * 2006-10-04 2015-08-0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JP5336054B2 (ja) 2007-07-18 2013-11-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情報供給装置を備える加工情報供給システム
JP5188764B2 (ja) * 2007-08-29 2013-04-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JP5449665B2 (ja) * 2007-10-30 2014-03-1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5134928B2 (ja) * 2007-11-30 2013-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研削方法
JP5054496B2 (ja) * 2007-11-30 2012-10-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切断方法
JP2009220142A (ja) * 2008-03-17 2009-10-01 Sony Corp レーザー加工装置及びレーザー加工方法
JP5692969B2 (ja) 2008-09-01 2015-04-0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収差補正方法、この収差補正方法を用いたレーザ加工方法、この収差補正方法を用いたレーザ照射方法、収差補正装置、及び、収差補正プログラム
JP5254761B2 (ja) 2008-11-28 2013-08-0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5241525B2 (ja) 2009-01-09 2013-07-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5241527B2 (ja) 2009-01-09 2013-07-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US8728914B2 (en) 2009-02-09 2014-05-20 Hamamatsu Photonics K.K. Workpiece cutting method
JP5639997B2 (ja) 2009-04-07 2014-12-1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5491761B2 (ja) 2009-04-20 2014-05-1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5476063B2 (ja) 2009-07-28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切断方法
DE102010009015A1 (de) * 2010-02-24 2011-08-2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9305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hrzahl von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chips
KR100984726B1 (ko) * 2010-04-28 2010-10-01 유병소 레이저를 이용한 대상물 가공 방법, 대상물 가공 장치, 및 대상물 가공 시스템
KR100984727B1 (ko) 2010-04-30 2010-10-01 유병소 대상물 가공 방법 및 대상물 가공 장치
JP5552373B2 (ja) 2010-06-02 2014-07-1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KR101211104B1 (ko) * 2010-08-18 2012-12-18 유병소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US8722516B2 (en) 2010-09-28 2014-05-13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JP2013031880A (ja) * 2012-09-12 2013-02-14 Hamamatsu Photonics Kk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JP6325279B2 (ja) * 2014-02-21 2018-05-16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16058429A (ja) * 2014-09-05 2016-04-21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US10518358B1 (en) 2016-01-28 2019-12-31 AdlOptica Optical Systems GmbH Multi-focus optics
US10589445B1 (en) * 2018-10-29 2020-03-17 Semivation, LLC Method of cleaving a single crystal substrate parallel to its active planar surface and method of using the cleaved daughter substrate
US11024501B2 (en) 2018-12-29 2021-06-01 Cree, Inc. Carrier-assisted method for parting crystalline material along laser damage region
US10576585B1 (en) 2018-12-29 2020-03-03 Cree, Inc. Laser-assisted method for parting crystalline material
US10562130B1 (en) 2018-12-29 2020-02-18 Cree, Inc. Laser-assisted method for parting crystalline material
US10611052B1 (en) 2019-05-17 2020-04-07 Cree, Inc. Silicon carbide wafers with relaxed positive bow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811B2 (ja) * 1991-03-25 2000-05-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修正装置
JP2005186100A (ja) * 2003-12-25 2005-07-14 V Technology Co Ltd レーザ加工装置
US20050173387A1 (en) * 2000-09-13 2005-08-1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029B2 (ja) * 1989-10-18 1997-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レーザー装置
EP0459394B1 (en) * 1990-05-30 1995-12-13 Hitachi, Ltd. Laser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DE4305107C2 (de) * 1993-02-19 1995-02-23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iden eines spröden Körpers mit Laserstrahlung
JPH081363A (ja) * 1994-06-17 1996-01-09 Sony Corp Ic解析用のパターンカッティング装置
US5776220A (en) * 1994-09-19 1998-07-0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brittle materials
JPH09150286A (ja) * 1995-06-26 1997-06-10 Corning Inc 脆弱性材料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H10258385A (ja) * 1997-03-14 1998-09-29 Komatsu Ltd レーザ加工機、レーザ加工機の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機用マスク
US6211488B1 (en) * 1998-12-01 2001-04-03 Accudyne Display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on-metallic substrates utilizing a laser initiated scribe
JP2000263257A (ja) * 1999-03-15 2000-09-26 Hitachi Cable Ltd 非金属材料のレーザによる割断方法及びその装置
US8217304B2 (en) * 2001-03-29 2012-07-10 Gsi Group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al-based laser processing a multi-material device
JP4286488B2 (ja) 2001-02-21 2009-07-01 キヤノンマシナリー株式会社 基板切断方法
EP2272618B1 (en) * 2002-03-12 2015-10-07 Hamamatsu Photonics K.K. Method of cutting object to be processed
JP4050534B2 (ja) * 2002-03-12 2008-02-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EP1635390B1 (en) * 2002-03-12 2011-07-27 Hamamatsu Photonics K. K. Substrate dividing method
TWI326626B (en) * 2002-03-12 2010-07-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JP2004179302A (ja) 2002-11-26 2004-06-24 Disco Abrasive Syst Ltd 半導体ウエーハの分割方法
TWI520269B (zh) * 2002-12-03 2016-02-01 Hamamatsu Photonics Kk Cutting method of semiconductor substrate
ATE550129T1 (de) * 2002-12-05 2012-04-1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bearbeitungsvorrichtungen
JP2004188422A (ja) * 2002-12-06 2004-07-08 Hamamatsu Photonics Kk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FR2852250B1 (fr) * 2003-03-11 2009-07-24 Jean Luc Jouvin Fourreau de protection pour canule, un ensemble d'injection comportant un tel fourreau et aiguille equipee d'un tel fourreau
US8685838B2 (en) * 2003-03-12 2014-04-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beam machining method
CN1826207B (zh) * 2003-07-18 2010-06-16 浜松光子学株式会社 激光加工方法、激光加工装置以及加工产品
JP4563097B2 (ja) * 2003-09-10 2010-10-1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基板の切断方法
JP2005086175A (ja) * 2003-09-11 2005-03-31 Hamamatsu Photonics Kk 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半導体薄膜、半導体薄膜チップ、電子管、及び光検出素子
JP2005116844A (ja) 2003-10-09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05067113A1 (ja) * 2004-01-07 2005-07-21 Hamamatsu Photonics K.K.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9578B2 (ja) * 2004-01-09 2010-07-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601965B2 (ja) * 2004-01-09 2010-12-2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598407B2 (ja) * 2004-01-09 2010-12-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4086796B2 (ja) * 2004-02-19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基板割断方法
CN100527360C (zh) * 2004-03-30 2009-08-12 浜松光子学株式会社 激光加工方法及半导体芯片
JP4536407B2 (ja) * 2004-03-30 2010-09-0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加工対象物
CN1938827B (zh) * 2004-03-30 2010-05-26 浜松光子学株式会社 激光加工方法及半导体芯片
WO2005102638A1 (ja) 2004-04-27 2005-11-03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基板の垂直クラック形成方法および垂直クラック形成装置
JP4634089B2 (ja) * 2004-07-30 2011-02-1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EP1775059B1 (en) * 2004-08-06 2015-01-07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JP4754801B2 (ja) * 2004-10-13 2011-08-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917257B2 (ja) * 2004-11-12 2012-04-1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781661B2 (ja) * 2004-11-12 2011-09-2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198123B2 (ja) * 2005-03-22 2008-12-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776994B2 (ja) * 2005-07-04 2011-09-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切断方法
JP4749799B2 (ja) * 2005-08-12 2011-08-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237745B2 (ja) * 2005-11-18 2009-03-1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907965B2 (ja) * 2005-11-25 2012-04-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4804911B2 (ja) * 2005-12-22 2011-11-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4907984B2 (ja) * 2005-12-27 2012-04-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
JP5183892B2 (ja) * 2006-07-03 2013-04-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US7897487B2 (en) * 2006-07-03 2011-03-0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chip
KR101428823B1 (ko) * 2006-09-19 2014-08-11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JP4954653B2 (ja) * 2006-09-19 2012-06-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5101073B2 (ja) * 2006-10-02 2012-12-1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JP4964554B2 (ja) * 2006-10-03 2012-07-0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5132911B2 (ja) * 2006-10-03 2013-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EP2070636B1 (en) * 2006-10-04 2015-08-05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JP5336054B2 (ja) * 2007-07-18 2013-11-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情報供給装置を備える加工情報供給システム
JP4402708B2 (ja) * 2007-08-03 2010-01-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レーザ加工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5639B2 (ja) * 2007-09-06 2013-07-0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の製造方法
JP5342772B2 (ja) * 2007-10-12 2013-11-1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切断方法
JP5449665B2 (ja) * 2007-10-30 2014-03-1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
JP5134928B2 (ja) * 2007-11-30 2013-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研削方法
JP5054496B2 (ja) * 2007-11-30 2012-10-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加工対象物切断方法
JP5241525B2 (ja) * 2009-01-09 2013-07-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811B2 (ja) * 1991-03-25 2000-05-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修正装置
US20050173387A1 (en) * 2000-09-13 2005-08-11 Hamamatsu Photonics K.K. Laser processing method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2005186100A (ja) * 2003-12-25 2005-07-14 V Technology Co Ltd レーザ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4118B1 (en) 2015-11-04
CN102172799A (zh) 2011-09-07
US20090261083A1 (en) 2009-10-22
EP1944118A1 (en) 2008-07-16
KR20080050547A (ko) 2008-06-09
JP2007075886A (ja) 2007-03-29
JP4762653B2 (ja) 2011-08-31
CN102172799B (zh) 2013-11-06
US8513567B2 (en) 2013-08-20
CN101227999A (zh) 2008-07-23
WO2007032392A1 (ja) 2007-03-22
EP1944118A4 (en) 2009-09-16
TWI463550B (zh) 2014-12-01
CN101227999B (zh) 2011-03-30
TW200721286A (en) 200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556B1 (ko)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KR101109860B1 (ko) 레이저 가공 방법, 가공 대상물 절단 방법 및 반도체 장치
KR101455408B1 (ko) 레이저 가공방법
KR101320821B1 (ko) 레이저 가공 방법
KR101428823B1 (ko) 레이저 가공 방법 및 레이저 가공 장치
KR101283228B1 (ko) 레이저 가공 방법 및 가공 대상물
KR101348496B1 (ko) 레이저 가공방법
JP5702761B2 (ja) レーザ加工装置
KR101369567B1 (ko) 레이저 가공방법 및 반도체 칩
JP5322418B2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WO2005098916A1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
JP5269356B2 (ja) レーザ加工方法
JP5122161B2 (ja) 加工対象物切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