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88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885B1
KR101345885B1 KR1020107006436A KR20107006436A KR101345885B1 KR 101345885 B1 KR101345885 B1 KR 101345885B1 KR 1020107006436 A KR1020107006436 A KR 1020107006436A KR 20107006436 A KR20107006436 A KR 20107006436A KR 101345885 B1 KR101345885 B1 KR 101345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main rope
slip
ca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109A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은 쉬브의 일측에서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균형추는 쉬브 외측에서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회전검출기는 쉬브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슬립검사부는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거리만큼 왕복 운전시키고, 상승시의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 하강시의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의 차이에 근거하여, 쉬브와 메인로프와의 사이의 슬립을 검사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과 균형추가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트랙션(traction)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쉬브의 외주면에 설치된 쉬브홈의 바닥부에 쉬브홈보다도 폭이 작은 언더컷(undercut)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메인로프에 대해서 필요한 마찰력이 확보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시에는 엘리베이터칸 측과 균형추 측의 메인로프의 장력차에 의해 메인로프와 쉬브 사이에 미소한 슬립, 즉 크리프(creep)가 발생하여 쉬브홈이 마모된다. 이와 같은 마모가 진행되면, 메인로프와 쉬브와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쉬브홈의 마모가 더욱 진행된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쉬브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 외에, 메인로프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를 설치하고, 2개의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쉬브에 대한 메인로프의 슬립을 판정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일본국특개소62-205973호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립검출방법에서는 메인로프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기를 추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치 스페이스의 문제로 인해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쉬브에 대한 메인로프의 슬립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검사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로프, 쉬브의 일측에서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칸, 쉬브 외측에서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균형추, 쉬브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 및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거리만큼 왕복 운전시키고, 상승시의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 하강시의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의 차이에 근거하여, 쉬브와 메인로프와의 사이의 슬립을 검사하는 슬립검사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쉬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쉬브홈의 마모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할 때에 쉬브를 통과하는 메인로프의 장력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이 하강할 때에 쉬브를 통과하는 메인로프의 장력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6)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6) 내에는 기계대(7)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7)에는 권상기(8) 및 디플렉션 쉬브(9)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8)는 권상기 본체(10)와 쉬브(11)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10)에는 쉬브(11)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쉬브(11)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가 포함되어 있다.
쉬브(11) 및 디플렉션 쉬브(9)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메인로프(12)가 감겨져 있다. 메인로프(12)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칸(4)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로프(12)의 타단부는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메인로프(12)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권상기(8)에 의해 승강된다.
권상기(8)에는 쉬브(11)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속도검출기)(13)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검출기(13)로서는, 예를 들면, 쉬브(11)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가 이용되고 있다.
회전검출기(13)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칸(4)의 주행, 즉 권상기(8)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는 회전검출기(13)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4)의 속도나 이동거리를 연산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에는 쉬브(11)에 대한 메인로프(12)의 슬립의 유무를 검사하는 슬립검사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는 기억부, 연산처리부 및 신호입출력부를 가지는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슬립검사부(15)의 기능은,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쉬브(11)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쉬브(11)의 외주면에는 메인로프(12)가 삽입된 복수의 쉬브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쉬브홈(11a)의 바닥부에는 쉬브홈(11a)보다 폭이 작은 언더컷 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쉬브홈(11a)은 메인로프(12)와의 접촉에 의해 여러 해에 걸쳐서 마모된다. 도 3은 도 2의 쉬브홈(11a)의 마모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슬립검사부(15)에 의한 슬립검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쉬브(11)를 통과하는 메인로프(12)의 장력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엘리베이터칸(4)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 도 5는 엘리베이터칸(4)이 하강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4) 측의 장력을 T1, 균형추(5) 측의 장력을 T2, 메인로프(12)의 쉬브(11)에의 접촉각도를 θ, 메인로프(12)로 쉬브(11)와의 사이의 마찰계수를 μ, 쉬브홈(11a)의 형상 계수를 k로 하면,
T1 > T2일 때, T1/T2 > eμkθ,
T1 < T2일 때, T2/T1 > eμkθ
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트랙션이 작용하는 쉬브(11)에서는 메인로프(12)와 쉬브(11)와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운전되는데 필요한 한계각도 θ1 중에서 장력은 T2로부터 T1으로, 혹은 T1으로부터 T2로 지수함수적으로 변화한다. 또, 실제의 접촉각도 θ와, 트랙션이 작용하여 장력이 변화하는 θ1과의 차이, 즉 θ - θ1의 구간에서는 장력이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이 변화하지 않는 영역은 장력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감아올려지는 측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4)을 상승시키는 경우, 각도 θ1 사이에 메인로프(12)의 장력이 T1으로부터 T2로 변화하기 때문에, 메인로프(12)의 출구 측(균형추(5) 측)에서 쉬브(11)의 이동거리를 적산(積算)하면, 메인로프(12)의 장력 차분(差分, 차이)에 의한 신장랑 δ에 의해 메인로프(12)가 균형추(5) 측으로 어긋나(늘어나), 그만큼 쉬브(11)의 이동거리가 적게 된다.
반대로, 엘리베이터칸(4)을 같은 거리만큼 하강시키는 경우, 즉 균형추(5)를 상승시키는 경우, 같은 위치에서 쉬브(11)의 이동거리를 적산하면, 감아올려지는 측(균형추(5) 측)에서는 메인로프(12)의 장력은 대부분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쉬브(11)에 대한 메인로프(12)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메인로프(12)의 장력 차분에 의한 신장량 δ은, 쉬브(11)를 이동하는 메인로프(12)의 길이를 L, 메인로프(12)의 탄성계수를 E, 메인로프(12)의 단면적을 A로 하면, δ = (T2 - T1) × L / (E × A)가 된다.
또, 엘리베이터칸(4)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메인로프(12)의 입구 측(엘리베이터칸(4) 측)에서 쉬브(11)의 이동거리를 적산하면, 입구 측에서는 메인로프(12)의 장력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사이에 위치의 어긋남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4)을 같은 거리만큼 하강시키는 경우, 각도 θ1의 사이에 메인로프(12)의 장력이 T2로부터 T1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메인로프(12)의 장력 차분에 의한 수축량 δ에 의해 메인로프(12)가 균형추(5) 측으로 어긋나게 된다.
즉, 어느 쪽에서 봐도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만큼 메인로프(12)와 쉬브(11)와는 어긋나게 되어, 1회 왕복한 경우의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어긋남량은 메인로프(12)의 장력 차분에 의한 신장량 δ이 된다. 이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4)을 같은 거리만큼 상하운전할 때에 쉬브(11)의 누적회전수를 측정해 두고, 측정값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사이의 어긋남 즉 크리프를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쉬브홈(11a)의 마모가 진행되고 있지 않고, 충분한 트랙션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은, 크리프에 의한 어긋남밖에 발생하지 않지만, 쉬브홈(11a)의 마모가 진행되어 트랙션 능력이 저하하여,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면,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사이의 어긋남이 커진다.
이와 같이 슬립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4) 내에 부하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4)을 상승시켰을 때, 메인로프(12)의 출구 측에서 고려하면, 메인로프(12)의 이동거리에 대한 쉬브(11)의 이동거리는 더욱 작아진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4)을 하강시킬 때에는 슬립량만큼 쉬브(11)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소정의 위치에 엘리베이터칸(4)을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승시의 쉬브(11)의 회전펄스 적산값에 비해, 하강시의 쉬브(11)의 회전 펄스 적산값은 더욱 커진다.
또, 트랙션 능력은 돌연 크게 저하하는 것은 거의 없고, 여러 해에 걸쳐 사용에 의해 쉬브홈(11a)이 마모되거나 메인로프(12)가 마모·열화하거나 함으로써 서서히 저하한다. 이 때문에, 트랙션 능력의 확인, 즉 슬립의 유무의 확인은 상시 행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예를 들면 야간)를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행하면 된다.
트랙션 능력의 확인을 행하는 경우, 우선, 엘리베이터칸(4) 내에 승객이나 짐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무부하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엘리베이터칸(4)을 왕복시키고, 상승시 및 하강시의 엔코더 펄스값의 적산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승시의 적산값과 하강시의 적산값과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슬립 허용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슬립 허용값을 넘는 슬립이 검출되면, 원격의 엘리베이터 감시반에 슬립검출신호를 송신하고, 쉬브(11)나 메인로프(12)의 점검이 필요한 것을 알린다. 또, 슬립이 더욱 커서,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레벨이라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휴지시킨다.
또, 슬립의 검사를 행할 때의 엘리베이터칸(4)의 주행거리가 커지면, 슬립이 발생하고 있어도, 장력차이에 의한 크리프양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져 버린다. 이 때문에, 슬립의 검사를 행할 때의 엘리베이터칸(4)의 주행거리는 소정의 속도까지 가속하여 감속정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립검사부(15)는 슬립의 검사를 행할 때, 가감속도시간보다 일정속도의 주행시간이 충분히 짧은 속도패턴으로 엘리베이터칸(4)을 주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정속도의 주행시간을 최소, 즉 제로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슬립의 검출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슬립검사부(15)에 의해, 엘리베이터칸(4)을 소정의 거리만큼 왕복 운전시키고, 상승시의 회전검출기(13)로부터의 신호와 하강시의 회전검출기(13)로부터의 신호와의 차이에 근거하여, 쉬브(11)와 메인로프(12)와의 사이의 슬립을 검사하므로, 펄스적산을 위한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는 필요하지만, 새롭게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다른 회전검출기를 설치하지 않고, 슬립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검사할 수 있다.
또, 슬립검사부(15)는 엘리베이터칸(4) 내가 무부하 상태인 것을 확인한 후에, 슬립의 검사를 행하므로, 안정된 조건에서 슬립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슬립검사부(15)는 슬립의 검사를 행할 때, 가감속도시간보다 일정속도의 주행시간이 짧은 속도패턴으로 엘리베이터칸(4)을 주행시키므로, 슬립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에 슬립검사부(15)를 마련했지만, 슬립검사부(15)는, 예를 들면 안전감시장치 등의 다른 장치에 마련해도 되며, 독립한 장치로 해도 된다.
또, 메인로프(12)는 단면 원형의 로프라도 되며, 벨트라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1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상기 쉬브에 감겨져 있는 메인로프,
    상기 쉬브의 일측에서 상기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쉬브 외측에서 상기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균형추,
    상기 쉬브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거리만큼 왕복 운전시키고, 상승시의 상기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 하강시의 상기 회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와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쉬브와 상기 메인로프와의 사이의 슬립을 검사하는 슬립검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슬립검사부는 슬립의 검사를 행할 때, 가감속도시간보다 일정속도의 주행시간이 짧은 속도패턴으로서, 소정 속도까지 가속하고 일정속도의 주행시간을 제로로 하고 감속정지시키는 속도패턴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검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가 무부하 상태인 것을 확인한 후에, 슬립의 검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KR1020107006436A 2008-02-08 2008-02-08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45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2101 WO2009098772A1 (ja) 2008-02-08 2008-02-08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109A KR20100051109A (ko) 2010-05-14
KR101345885B1 true KR101345885B1 (ko) 2013-12-30

Family

ID=4095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436A KR101345885B1 (ko) 2008-02-08 2008-02-0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13606B1 (ko)
JP (1) JP5334868B2 (ko)
KR (1) KR101345885B1 (ko)
CN (1) CN101896415A (ko)
WO (1) WO2009098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480A (ja) * 2009-08-24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5947094B2 (ja) * 2012-04-25 2016-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BR112017014164A2 (pt) 2015-02-18 2018-03-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vo de diagnóstico de elevador.
WO2017203561A1 (ja) * 2016-05-23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522056B (zh) * 2017-09-27 2020-05-05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一种监测电梯系统曳引能力的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547A (ja) * 2005-12-06 2007-06-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滑り量検出方法及び滑り量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233B2 (ja) 1986-03-05 1994-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DE8904375U1 (de) * 1989-04-07 1989-07-27 TÜV Bayern e.V.,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physikalischen Kenngrößen eines Aufzugs
JPH038681A (ja) * 1989-06-02 199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主索滑り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547A (ja) * 2005-12-06 2007-06-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滑り量検出方法及び滑り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3606A1 (en) 2010-08-04
JP5334868B2 (ja) 2013-11-06
JPWO2009098772A1 (ja) 2011-05-26
EP2213606A4 (en) 2014-05-14
CN101896415A (zh) 2010-11-24
EP2213606B1 (en) 2018-04-25
WO2009098772A1 (ja) 2009-08-13
KR20100051109A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19623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nintended vertical speed and acceleration of an elevator
EP2526041B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movement of a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system
KR10134588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743225B1 (en) Elevator system
EP1927567A1 (en) Elevator device
CN105923477B (zh) 电梯
JP6058160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554933B2 (en) Elevator
CN107207198B (zh) 电梯的诊断装置
JP5345210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KR20180018743A (ko) 파단 검출 장치
US20220119222A1 (en) Measurement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rotation speed of a component of an elevator, escalator, moving walkway or moving ramp
JP50793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90007877A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EP1958911B1 (en) Elevator device
JP420916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078145B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22190205A1 (ja) エレベーターの滑車と滑車の点検方法
CN109956381B (zh) 安全电梯系统
CN114104911A (zh) 电梯系统
CN111847154A (zh) 用于操作电梯的解决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08

Effective date: 201311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