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877A -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877A
KR20190007877A KR1020170089481A KR20170089481A KR20190007877A KR 20190007877 A KR20190007877 A KR 20190007877A KR 1020170089481 A KR1020170089481 A KR 1020170089481A KR 20170089481 A KR20170089481 A KR 20170089481A KR 20190007877 A KR20190007877 A KR 2019000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piston
elevator
coupled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775B1 (ko
Inventor
배영철
황윤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삼성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삼성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도달한 후에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와, 다수의 고정브라켓과, 잠금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고정브라켓은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된다. 잠금부는 고정브라켓을 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멈추면, 피스톤이 삽입공에 삽입되게 피스톤을 전진시켜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잠금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An safety elevator equipped with anti-skid device}
본 발명은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도달한 후에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나르는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카를 견인하는 와이어로프가 권상기(winch)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층에 가까워지면, 권상기의 회전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권상기에 내장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높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권상기에 감긴 와이어로프는 일단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고, 타단이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로 움직이며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무게 균형을 맞춰주는 균형추에 연결되는데, 균형추(counter weight)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자중에 엘리베이터 카 적재중량의 50% 내외의 중량을 더한 중량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 사이에는 중량 불균형이 항상 존재하는데, 종래의 권상기에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는 일본 특개 제2000-28995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레이크 슈(26)가 회전부(19)의 내측에 형성된 제동면(191) 측으로 확장되어 제동면(191)과 마찰되는 방식, 즉 드럼 브레이크 방식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켰고, 제동면(191)의 충분한 마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권상기는 사용연한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가 마모되고 노후될 수밖에 없었고, 사용연한이 상대적으로 오래된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중량 불균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된 이후에 상하로 조금씩 밀리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 바닥면이 서로 맞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의 130%를 초과하면 와이어로프를 조여 엘리베이터 카를 즉시 정지시키는 과속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밀림 현상에 대한 안전장치는 부재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제2000-289954호(2000.10.17.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엘리베이터용 윈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 사이의 중량 불균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밀림 정도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110);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121)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120); 상기 고정브라켓(120)을 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실린더(131)와, 상기 실린더(131)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132)으로 이루어진 잠금부(13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목적층에 멈추면, 상기 피스톤(132)이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게 상기 피스톤(132)을 전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삽입공(121)은,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력부재(150); 상기 자력부재(15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32)의 단부면에 결합되는 자기센서(160); 및 상기 피스톤(132)과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상호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밀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32)의 단부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기센서(1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하중 감지센서(1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1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32)과 교차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132)이 통과하는 통과홀(181)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32)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어야 하는 엘리베이터 카(210);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220); 상기 걸림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3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20) 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회동바(231)와, 상기 걸림돌기(220)가 상기 관통홀(231a)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바(231)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32)로 이루어진 잠금부(230); 상기 엘리베이터 카(100)가 목적층에 멈추면, 상기 회동바(231)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31)의 관통홀(231a)은,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걸림돌기(220)의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자력부재(250); 상기 자력부재(25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바(2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자기센서(260); 및 상기 회동바(231)와 상기 걸림돌기(220)의 상호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밀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23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2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자기센서(2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하중 감지센서(2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2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31)와 교차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231)와 중첩되는 영역에 수평홀(281)이 형성되어 상기 상기 회동바(231)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를 임시적으로 고정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이나 화물이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가 급상승 또는 급하강되지 않게 강제적으로 잡고 있음으로써, 그 외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에 밀림 현상이 발생했음을 관리자가 인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밀림 정도를 구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관리자가 출동하는 등의 유지보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포함된 잠금부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의 요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포함된 잠금부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100)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목적층에 도달한 후에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110)와, 다수의 고정브라켓(120)과, 잠금부(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110)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레일(10)은 승강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10)를 안내하는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의 벽면에 고정되는 장대플레이트(10a)와, 장대플레이트(10a)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편(10b)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T'자 형상을 이룬다.
다수의 고정브라켓(120)은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121)이 형성된다. 삽입공(121)은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위치 오차 및 탑승객 출입에 의한 상하진동 등을 원할하게 수용하기 위함이다.
고정브라켓(120)을 엘리베이터 카(11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후술되는 잠금부(130)의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브라켓(120)은 엘리베이터 카(110)의 진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슈(미도시)가 지나지 않는 가이드편(10b)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부(130)는 고정브라켓(120)을 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실린더(131)와, 실린더(131)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132)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잠금부(130)는 랙-피니언 기구,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이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다양한 기구들로 치환될 수 있다.
피스톤(132)이 고정브라켓(120)에 닿으면서 휘어지지 않도록, 피스톤(132)이 통과하는 통과홀(181)이 형성된 지지블록(180)이 피스톤(132)과 교차되게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어 피스톤(13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10)가 목적층에 멈추면, 피스톤(132)이 삽입공(121)에 삽입되게 피스톤(132)을 전진시켜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110)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피스톤(132)을 후퇴시켜 피스톤(132)이 삽입공(121)에서 빠지도록 잠금부(1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지하면 엘리베이터 카(110)가 고정되도록 잠그고,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권상기 브레이크 마모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110)가 각 층의 예상 정지위치에서 상하로 밀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된다.
이렇게 되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바닥면과 승강장 바닥면 간의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사람이나 화물이 출입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110)의 처짐 현상이 탑승객의 출입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면, 탑승객의 발 헛디딤, 추락, 끼임 등에 의해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일정위치에 정차한 후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잠금부(1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10)를 임시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오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10)가 급작스럽게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잡고 있음으로써, 그 외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110)의 밀림 현상을 단순히 억제하는데 그치기보다는 엘리베이터 카(110)에 밀림 현상이 발생했음을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전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부재(150), 자기센서(160) 및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170)가 더 포함된다.
자력부재(150)는 고정브라켓(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주변의 일정범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자기센서(160)는 자력부재(15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피스톤(132)의 단부면에 결합된다. 자기센서(160)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자기장의 영향으로 여러 가지 물질의 성질 등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하며, 대표적으로 홀소자 또는 MR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하중 감지센서(170)는 피스톤(132)과 고정브라켓(120)의 상호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110)가 밀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피스톤(132)의 단부 상하측에 각각 결합된다.
제어부(140)는 자기센서(1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하중 감지센서(1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1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만, 탑승객 출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110)의 출렁거림 등에 의해 상기 점검신호가 수시로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부(140)는 하중 감지센서(170)에서 기준 미만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탑승객 출입으로 인해 상하로 밀린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110)를 정상운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200)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의 요부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의 요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동작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200)는 잠금부를 회전구동 방식으로 변형한 예로서, 엘리베이터 카(210)와, 다수의 걸림돌기(220)와, 잠금부(230)와,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다수의 걸림돌기(220)는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도록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잠금부(230)는 걸림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를 이루는 관통홀(231a)이 형성되고 걸림돌기(220) 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회동바(231)와, 걸림돌기(220)가 관통홀(231a)에 삽입되도록 회동바(231)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32)로 구성된다.
제어부(240)는 엘리베이터 카(100)가 목적층에 멈추면, 회동바(231)를 회전시켜 엘리베이터 카(10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잠금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에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 형태로 자력부재(250), 자기센서(260) 및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27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자기센서(2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하중 감지센서(2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2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키고, 하중 감지센서(270)에서 기준 미만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탑승객 출입으로 인해 상하로 밀린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210)를 정상운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를 임시적으로 고정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이나 화물이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가 급상승 또는 급하강되지 않게 강제적으로 잡고 있음으로써, 그 외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에 밀림 현상이 발생했음을 관리자가 인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밀림 정도를 구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관리자가 출동하는 등의 유지보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110 : 엘리베이터 카
120 : 고정브라켓
130 : 잠금부
140 : 제어부

Claims (6)

  1.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110);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121)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120);
    상기 고정브라켓(120)을 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실린더(131)와, 상기 실린더(131)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132)으로 이루어진 잠금부(13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목적층에 멈추면, 상기 피스톤(132)이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게 상기 피스톤(132)을 전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삽입공(121)은,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자력부재(150);
    상기 자력부재(15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32)의 단부면에 결합되는 자기센서(160); 및
    상기 피스톤(132)과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상호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밀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132)의 단부 상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기센서(1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하중 감지센서(1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1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32)과 교차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132)이 통과하는 통과홀(181)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32)을 지지하는 지지블록(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4.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각 층마다 미리 정해진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어야 하는 엘리베이터 카(210);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예상 정지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220);
    상기 걸림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3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20) 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회동바(231)와, 상기 걸림돌기(220)가 상기 관통홀(231a)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바(231)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32)로 이루어진 잠금부(230);
    상기 엘리베이터 카(100)가 목적층에 멈추면, 상기 회동바(231)를 회전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100)가 상하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31)의 관통홀(231a)은, 상하로 연장된 장홀 형태를 이루고,
    상기 걸림돌기(220)의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자력부재(250);
    상기 자력부재(25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바(2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자기센서(260); 및
    상기 회동바(231)와 상기 걸림돌기(220)의 상호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밀리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23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하중 감지센서(2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자기센서(260)에서 자력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하중 감지센서(270)에서 기준 이상의 압력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 정지되지 않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가 예상 정지위치에서 벗어나 상하로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여, 와이어로프(11)에 더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로프(11)를 권취하는 권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카 도어(2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점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31)와 교차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231)와 중첩되는 영역에 수평홀(281)이 형성되어 상기 상기 회동바(231)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 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20170089481A 2017-07-14 2017-07-14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197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81A KR101975775B1 (ko) 2017-07-14 2017-07-14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81A KR101975775B1 (ko) 2017-07-14 2017-07-14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877A true KR20190007877A (ko) 2019-01-23
KR101975775B1 KR101975775B1 (ko) 2019-05-08

Family

ID=6532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481A KR101975775B1 (ko) 2017-07-14 2017-07-14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516B1 (ko) * 2019-01-29 2019-10-30 (주)세명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 처짐방지장치
KR102270800B1 (ko) * 2021-05-07 2021-06-29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KR20230161737A (ko) 2022-05-19 2023-11-28 이영돈 엘리베이터용 바닥 처짐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526B1 (ko) 2023-03-06 2023-07-07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96055B1 (ko) 2023-03-08 2023-11-01 윤진근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66204B1 (ko) 2023-04-12 2023-08-10 윤진근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954A (ja)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11256032A (ja) * 2010-06-11 2011-12-22 Nippon Kiki Kogyo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954A (ja)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11256032A (ja) * 2010-06-11 2011-12-22 Nippon Kiki Kogyo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516B1 (ko) * 2019-01-29 2019-10-30 (주)세명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 처짐방지장치
KR102270800B1 (ko) * 2021-05-07 2021-06-29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KR20230161737A (ko) 2022-05-19 2023-11-28 이영돈 엘리베이터용 바닥 처짐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75B1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75B1 (ko) 밀림 방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CA2727014C (en) Elevator system with bottom tensioning means
CN111099469B (zh) 电梯系统
KR20180031032A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1286132B2 (en) Enhancing the transport capacity of an elevator system
JP200922090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8004117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42314A (ko) 엘리베이터 조절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방법
CN112079222A (zh) 电梯
WO2007077828A1 (ja) エレベータ
JP51376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1874779A (zh) 用于检测电梯轿厢的位置的方法和设备
JP5573300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WO20051056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JP352884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12897271B (zh) 一种电梯对重安全保护装置及该装置的控制方法
US20230294960A1 (en) Elevator
JP3614154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09956381B (zh) 安全电梯系统
JP7078145B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1348505B (zh) 电梯及电梯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