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40B1 - 약제 수납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수납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40B1
KR101337040B1 KR1020097000064A KR20097000064A KR101337040B1 KR 101337040 B1 KR101337040 B1 KR 101337040B1 KR 1020097000064 A KR1020097000064 A KR 1020097000064A KR 20097000064 A KR20097000064 A KR 20097000064A KR 101337040 B1 KR101337040 B1 KR 10133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ing
vial bottle
medicin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778A (ko
Inventor
쇼오지 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2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60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rotatable
    • B65B43/62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rotatable about an axis located at the filling position, e.g. the axis of the container or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용기에 대해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대략 균등하게 충전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 공간을 약제의 충전을 위해 최대한 유효 이용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아암(72, 73)을 갖고, 이들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에 정제를 충전할 수 있다. 아암(72)에는, 모터의 작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구동 롤러(110)가 설치되어 있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에 정제를 충전할 때에 구동 롤러(110)를 회전시킴으로써, 바이얼 병(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 정제 공급 수단, 정제 카세트, 아암, 바이얼 병

Description

약제 수납 취출 장치{MEDICINE STOCKING/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 공급 수단에 수용한 약제를 바이얼 병 등의 용기에 불출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제 카세트라 칭해지는 약제 공급 수단에 수용한 약제를 바이얼 병 등의 용기에 충전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바이얼 병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약제가 수용된 정제 카세트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송 로봇을 구비하고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반송 로봇에 의해 바이얼 병을 경사지게 한 상태로 하여 바이얼 병을 정제 카세트의 불출구에 면하게 하고, 정제 카세트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바이얼 병에 충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에서는, 정제 카세트로부터 불출된 약제가 바이얼 병을 다음 공정으로 전달할 때에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제에 충전되어 있는 약제가 바이얼 병의 용량의 65 % 이상으로 도달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바이얼 병의 경사를 5도 정도 변화시키는 요동 운동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11540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바이얼 병에 충전된 약제가 바이얼 병의 전달시에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동 운동이라 불리는 동작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바이얼 병의 용량에 대해 65 % 정도까지 약제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에서는, 바이얼 병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 있어서, 이것을 측방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바이얼 병의 개구 부분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경계선(L)보다도 상방의 공간에 약제를 충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에서는, 바이얼 병의 일부에 데드 스페이스(D1)가 발생하고, 바이얼 병의 내부 공간을 약제의 충전을 위해 최대한 유효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이얼 병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대략 수직으로 배치한 경우에 대해서도, 도9의 (b)나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카세트로부터 불출되는 약제가 바이얼 병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일부에 집중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즉, 도9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얼 병의 대략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부터 정제를 낙하시켜 충전하는 경우는, 도9의 (b)에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얼 병의 대략 중앙 부분에 정제가 집중하고, 그 옆의 영역이 데드 스페이스(D2)로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9의 (c)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얼 병의 측면 근방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정제를 낙하시켜 충전하는 경우는, 정제의 낙하 위치 근방에 정제가 집중되어 버려, 그 측방에 데드 스페이스(D3)가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 대해서도, 바이얼 병에 약제를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대략 균등하게 충전하고, 충전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요동 운동을 행하여 바이얼 병을 흔들거나, 어떠한 평탄한 부재를 바이얼 병 내에 충전된 약제에 압박하여 표면을 고르게 하는 등 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견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은,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바이얼 병 등의 용기에 대해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대략 균등하게 충전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 공간을 약제의 충전을 위해 최대한 유효 이용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약제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불출 가능한 약제 공급 수단과, 당해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충전하기 위한 용기를 보유 지지 가능한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이, 보유 지지부와 용기 회전 수단을 갖고,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보유 지지부에 의해 용기를 보유 지지하면서, 용기 회전 수단에 의해 용기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다.
본 발명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보유 지지부에 의해 용기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약제를 용기에 충전할 때에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된 약제가 용기의 일부에 편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기 내에 약제를 대략 균등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에 따르면, 용기의 용적의 대부분을 약제의 충전용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용기가 소정의 축선 방향으로 연신한 바닥이 있는 통체이고, 용기 보유 지지 수단에 의해, 용기의 축선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용기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청구항 2).
또한,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용기가 소정의 축선 방향으로 연신한 바닥이 있는 통체이고, 용기 보유 지지 수단에 의해, 용기의 축선 방향이 연직인 상태로부터 연직선에 대해 60도의 범위 내에서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용기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청구항 3).
상기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보유 지지부가, 근접 이반 가능한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을 근접시킴으로써 용기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용기를 놓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의 한쪽 또는 양쪽에, 액추에이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보유 지지부에 의해 용기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에 상기 롤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청구항 4).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아암에 의해 약제 충전용의 용기를 보유 지지하면서,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는, 약제 공급 수단이 다수 나열하여 설치된 약제 카세트와, 당해 약제 카세트에 대해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근접 이반 가능하도록 지지한 용기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약제 공급 수단이 나열되는 방향으로 약제 카세트와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청구항 5).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약제 공급 랙과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약제 공급 수단이 나열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동시에,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약제 공급 수단에 대해 근접 이반시킴으로써, 소정의 약제 공급 수단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를 용기의 용량(용적)을 최대한 유효 이용한 상태에서 충전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바이얼 병 등의 용기에 대해 부위에 의존하지 않고 대략 균등하게 충전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 공간을 약제의 충전을 위해 최대한 유효 이용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의 (a)는 정제 카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의 (b)는 정제 카세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3은 용기 반송 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4는 용기 반송 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는 용기 반송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의 (a)는 아암 및 아암 동작 기구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6의 (b)는 도6의 (a)에 도시한 아암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6의 (c)는 도6의 (a)에 도시한 아암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7의 (a)는 용기 반송 수단의 동작의 일 단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7의 (b)는 도7의 (a)의 측면도이다.
도8의 (a)는 용기 반송 수단의 동작의 일 단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7의 (b)는 도7의 (a)의 측면도이다.
도9의 (a) 내지 도9의 (c)는 각각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바이얼 병으로의 정제의 충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약제 수납 취출 장치
30 : 정제 공급 수단(약제 공급 수단)
35 : 정제 카세트
50 : 용기 반송 수단
55 : 용기 보유 지지 수단
72, 73 : 아암(보유 지지부)
100 : 용기 회전 기구(용기 회전 수단)
101 : 구동 롤러
102 내지 104 : 프리 롤러
B : 바이얼 병(용기)
H : 축선
V : 연직선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본체(10)의 내부에 용기 공급 수단(20)과, 정제 공급 수단(30)(약제 공급 수단)과, 용기 밀봉 수단(40)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용기 반송 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제어 장치(15)를 구비하고 있고, 이에 의해 용기 공급 수단(20)이나 정제 공급 수단(30), 용기 밀봉 수단(40), 용기 반송 수단(50) 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용기 공급 수단(20)은, 본체(10)를 정면에서 봤을 때에 우측 방향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이 있고 상단부측에 개구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바이얼 병(B)(용기)을 다수 수용하고 있다. 용기 공급 수단(20)은, 제어 장치(15)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기초로 하여, 바이얼 병(B)을 하나씩 불출할 수 있다.
정제 공급 수단(3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본체 드럼(31)에 대해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정제 카세트(35)(약제 카세트)를 필요에 따라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제 카세트(35)는, 소정의 정제(약제)를 수용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하나씩 배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제 카세트(3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36)와, 정제 불출용의 배출구(37)와, 수용부(36)로부터 배출구(37)를 향해 정제를 불출하기 위한 불출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제 카세트(35)는 배출구(37)에 덮개 부재(38)가 장착되어 있다. 정제 카세트(35)와 덮개 부재(38) 사이에는 스프링(38a)이 장착되어 있고, 상시는 스프링(38a)에 의해 압박되고, 덮개 부재(38)가 배출구(37)를 폐색하고 있으나, 덮개 부재(38)의 상단부(38b)를 압박하면 배출구(37)가 개방되어, 정제를 불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정제 카세트(35)는,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에 불출 기구를 구성하는 동력 전달 기구에 연결되는 접속부(39)와, 위치 결정 구멍(34)을 갖는다. 정제 카세트(35)는, 접속부(39)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동력 전달 기구를 작동시켜, 수용부(36)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배출구(37)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위치 결정 구멍(34)은, 접속부(39)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용기 반송 수단(50)의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가 구비하는 위치 결정축(76)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정제 공급 수단(30)을 구성하는 본체 드럼(31)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접속되어 있고, 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정제 공급 수단(30)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 드럼(31)의 둘레 방향으로 다수 나열하여 설치된 정제 카세트(35)에 대해,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용기 반송 수단(5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 밀봉 수단(40)은, 정제 공급 수단(30)에서 정제가 충전된 바이얼 병(B)의 개구에 캡을 장착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용기 밀봉 수단(40)에 의해 밀봉된 바이얼 병(B)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수단에 의해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의 사용자가 취출 가능한 위치까지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상기한 용기 공급 수단(20)이나 정제 공급 수단(30), 용기 밀봉 수단(40) 사이에서 바이얼 병(B)을 반송 가능한 용기 반송 수단(50)을 갖고 있다. 용기 반송 수단(50)은, 도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공급 수단(30)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 기둥(51)에 대해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 기둥(51)은, 도1이나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긴 기둥 형상체이고, 상단부 및 하단부가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의 본체(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 기둥(51)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2개의 가이드 로드(52, 5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기둥(51)에는 가이드 로드(52, 52)를 따라 기어 벨트(53)가 장착되어 있다. 기어 벨트(53)는, 지지 기둥(51)의 상단부측에 장착된 구동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하단부측에 장착된 프리 기어(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도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벨트(53)는, 상기한 구동 기어에 연결된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동력을 받아 상하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은, 대략 역ㄷ자형의 프레임(60)과, 당해 프레임(6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갖는다. 프레임(6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긴 형상의 가이드부(61, 61)와, 당해 가이드부(61, 61)의 일단부측에 있어서 양자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장착된 단부재(62)를 갖는다. 가이드부(61, 61)는, 각각 후술하는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프레임(60)은, 도4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 기둥(51)에 설치된 가이드 로드(52, 52) 및 기어 벨트(53)를 단부재(62)에 장착함으로써 지지 기둥(5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부재(62)에는, 가이드 로드(52, 52)를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62a, 62a)과, 벨트 장착부(62b)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관통 구멍(62a, 62a)에 가이드 로드(52, 52)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단부재(62)의 벨트 장착부(62b)에는, 지지 기둥(51)에 설치된 기어 벨트(53)가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프레임(60)은 기어 벨트(53)를 작동시키면, 단부재(62)에 삽입 통과된 가이드 로드(52, 52)에 안내되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하 방 향(도5의 화살표 U, D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프레임(60)을 구성하는 가이드부(61, 61)의 한쪽[도4에 도시한 예에서는 도면 중 하방측의 가이드부(61)]에는, 프레임(60)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모터 장착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장착부(63)에는 모터(65)가 회전축을 하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모터(65)의 회전축에는 피니언(66)이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66)은, 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에 설치된 랙(77)과 맞물리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는 구동 기구부(71)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고, 이것에 아암(72, 73)(보유 지지부)이나, 정제 카세트 작동축(75), 위치 결정축(76), 랙(77), 센서(78) 등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구동 기구부(71)는,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한 경사 기구부(80)와, 아암(72, 73)을 동작시키기 위한 아암 동작 기구(90)와,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된 바이얼 병(B)을 회전시키기 위한 용기 회전 기구(100)(용기 회전 수단)와,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1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경사 기구부(8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경사 기구 본체(81)와, 이것을 횡단하도록 고정된 축(82)과, 구동원(83)을 갖는다. 축(82)의 일단부측은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82)의 타단부측은 경사 기구 본체(81)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기어(84)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원(83)은 모터(85)와, 이 회전축에 장착된 웜 기어(8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원(83)은 경사 기구 본체(81)와는 별개 부재로 되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원(83)에 설치된 웜 기어(86)는 경사 기구 본체(81)측의 기어(84)와 맞물리고, 소위 웜 앤드 휠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모터(85)를 작동시키면, 웜 기어(86) 및 기어(84)가 회전하고, 경사 기구 본체(81)의 경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아암 동작 기구(90)는, 경사 기구 본체(81)의 상방에 고정된 아암 동작 기구 본체(91) 내에 수용되어 있는 기어 기구와, 아암 동작 기구 본체(91)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95)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동작 기구 본체(91)의 내측에는, 기어(92, 93, 94)에 의해 구성되는 기어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기어(92, 93)는, 각각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아암(72, 73)의 일단부측(기단부측)의 위치에 축(92a, 93a)을 중심으로 하여 아암(72, 73)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서로 맞물려 있다. 즉, 기어(92)가 축(9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아암(72)이 회전하고, 기어(93)가 축(9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아암(73)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어(94)는 아암 동작 기구 본체(91)의 천장면에 장착된 모터(9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고, 모터(95)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어(94)는 아암(72)에 장착된 기어(92)와 맞물려 있다. 그로 인해, 도6의 (b)에 화살표 R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95)의 회전축을 소정의 방향(이하, 필요에 따라서 정방향이라 칭함)으로 회전시키면, 기어(92) 및 아암(72)이 축(92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기어(93) 및 아암(73)이 축(93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좌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아암(72, 73)의 선단부측의 간격이 축소하고, 아암(72, 73)에 의해 바이얼 병(B)을 끼움 지지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도6의 (c)에 화살표 R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95)의 회전축을 앞과는 역방향(이하, 필요에 따라서 단순히 역방향이라 칭함)으로 회전시키면, 기어(92) 및 아암(72)이 축(92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93) 및 아암(73)이 축(93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아암(72, 73)의 선단부측의 간격을 확대시켜, 아암(72, 73)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었던 바이얼 병(B)을 놓을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아암(72, 73)의 선단부 부분에는 각각 좌측 보유 지지 부재(96) 및 우측 보유 지지 부재(97)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보유 지지 부재(96) 및 우측 보유 지지 부재(97)는,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 보유 지지 부재(96) 및 우측 보유 지지 부재(97)의 만곡 형상은, 각각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얼 병(B)을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끼움 지지)했을 때에 바이얼 병(B)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 보유 지지 부재(96)에는, 후술하는 용기 회전 기구(100)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101)와 프리 롤러(10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우측 보유 지지 부재(97)에는 프리 롤러(103, 104)가 장착되어 있다.
용기 회전 기구(10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아암(72, 73)에 장착된 구동 롤러(101) 및 프리 롤러(102 내지 104)에 부가하여, 구동 롤러(101)의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105)나 구동 롤러(101)에 모터(105)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106), 풀리(106)와 구동 롤러(101)에 현가된 벨트(107)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터(105)는, 상기한 아암(72)의 중도에 장착된 모터 지지편(108)에 회전축을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풀리(106)는 모터(10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모터(105)를 작동시키면, 모터(105)에 있어서 발생한 회전 동력이 벨트(107)를 통해 구동 롤러(101)에 전달되고, 구동 롤러(101)가 회전한다.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는, 도4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부(71)의 측방에 긴 사이드 프레임(70a, 70b)을 갖는다. 사이드 프레임(70a, 70b)은, 각각 상기한 프레임(60)의 가이드부(61, 61)에 대해, 가이드부(61, 61)의 길이 방향을 향해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사이드 프레임(70a)의 측면에는 랙(77)이 장착되어 있다. 랙(77)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60)의 모터 장착부(63)에 설치된 모터(65)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66)과 맞물리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도4나 도5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용기 반송 수단(50)은 모터(65)를 작동시켜 피니언(66)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부(61, 61)의 길이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이 동시킬 수 있다.
도4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는 사이드 프레임(70b)측의 위치에 정제 카세트 작동축(75)과 위치 결정축(76)을 갖는다.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은 가이드부(61, 61)를 따라 연장하고 있다.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은 일단부(기단부)측이 모터(110)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선단부)측에 접속 부재(111)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속 부재(111)는, 상기한 정제 카세트(35)에 대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근접시켰을 때에, 정제 카세트(35)에 설치된 접속부(39)와 결합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정제 카세트(35)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바이얼 병(B)에 불출시키기 위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정제 카세트(35)에 근접시킴으로써, 접속 부재(111)와 접속부(39)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111)와 접속부(39)가 접속된 상태에서 모터(110)를 작동시킴으로써, 정제 카세트(35)측에 설치된 불출 기구를 작동시켜, 정제 카세트(3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배출구(37)를 통해 불출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축(76)은, 상기한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을 따라 연장하는 축체이다. 위치 결정축(76)은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와 정제 카세트(35)의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즉, 정제 카세트(35)에 대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근접시켰을 때에,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와 정제 카세트(35)의 위치 관계가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에 정제 카세트(35)로부터 정제를 불출 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위치 결정축(76)이 위치 결정 구 멍(34)에 삽입되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와 정제 카세트(35)가 위치 맞춤된 상태로 된다.
상기한 경사 기구 본체(81)의 상방에는 센서(78, 78)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78, 78) 중, 한쪽에는 발광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수광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78, 78)는, 각각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소정의 정제 카세트(35)에 근접시키고, 압박편(79)에 의해 정제 카세트(35)의 배출구(37)에 설치된 덮개 부재(38)를 개방했을 때에 배출구(37)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대면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센서(78, 78)는, 압박편(79)에 의해 덮개 부재(38)를 개방했을 때에, 덮개 부재(38)에 설치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한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면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정제 카세트(35)에 근접시켜 배출구(37)를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배출구(37)를 통과하여 바이얼 병(B)측에 불출되는 정제의 수량을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센서(78, 78) 사이에는 압박편(79)이 설치되어 있다. 압박편(79)은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소정의 정제 카세트(35)에 근접시켰을 때에, 정제 카세트(35)에 설치된 덮개 부재(38)의 상단부 근방을 압박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소정의 정제 카세트(35)에 근접시킴으로써, 덮개 부재(38)를 압박하고, 배출구(37)를 개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바이얼 병(B)에 약제를 충전하는 충전 작업을 실시할 때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용기 반송 수단(50)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에 의해 바이얼 병(B)에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 우선 제어 장치(15)는 용기 공급 수단(20)을 작동시켜 바이얼 병(B)을 불출한다. 한편, 제어 수단(15)은 용기 공급 수단(20)에 의한 바이얼 병(B)의 불출 위치까지 용기 반송 수단(50)을 이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15)은 용기 반송 수단(50)의 지지 기둥(51)에 설치된 기어 벨트(53) 작동용의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바이얼 병(B)의 불출 위치의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높이의 조정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15)은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프레임(60)에 설치된 모터(65)를 작동시켜, 피니언(66)을 회전시킴으로써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슬라이드시켜, 바이얼 병(B)측을 향해 돌출시킨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용기 반송 수단(50)의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의 위치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제어 수단(15)은 아암 동작 기구(90)를 작동시켜, 바이얼 병(B)의 동체 부분을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 가능한 상태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제어 수단(15)은 모터(95)를 작동시켜, 도6의 (c)에 화살표 R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94)를 반시계 방향(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기어(94)에 맞물려 있는 기어(92), 및 이것에 맞물려 있는 기어(93)에 대해서도 축(92a, 93a)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72, 73)의 선단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아암(72, 73)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용기 반송 수단(50)의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가 바이얼 병(B)의 불출 위치에 도래하면,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72, 73) 사이에 바이얼 병(B)이 존재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 수단(15)은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94)를 상기한 것과는 역방향, 즉 시계 방향(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기어(92, 93, 94)가 각각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암(72, 73)의 선단부측이 폐쇄되어 간다. 이에 의해,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얼 병(B)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의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태가 된다.
아암(72, 73)에 의해 바이얼 병(B)을 보유 지지한 상태가 되면, 제어 수단(15)은 정제 공급 수단(3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작동시켜 본체 드럼(31)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용기 반송 수단(50)을 작동시켜, 도7의 (a),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얼 병(B)에 충전(처방)해야 할 정제가 수용되어 있는 소정의 정제 카세트(35)[이하, 필요에 따라서 정제 카세트(35a)라 칭함]와 용기 반송 수단(50)이 대향하도록 위치 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15)은 본체 드럼(31)을 회전시키고, 상기한 정제 카세트(35)가 용기 반송 수단(50)의 지지 기둥(51)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한편, 제어 수단(15)은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모터(65)를 작동시켜 피니언(66)을 회전시키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지지 기둥(51)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 후, 제어 수단(15)은 기어 벨트(53) 작동용의 모터 (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바이얼 병(B)으로의 충전 대상으로 되는 정제가 수용되어 있는 정제 카세트(35a)가 세트되어 있는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과 정제 카세트(35a)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높이 조정을 할 때까지의 동안, 혹은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높이 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제어 수단(15)은 경사 기구부(80)를 작동시켜,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을 경사진 상태로 한다. 즉, 제어 수단(15)은 경사 기구부(80)에 설치된 모터(85)를 작동시켜, 웜 기어(86)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경사 기구 본체(81)에 장착된 기어(84)가 회전하고, 경사 기구부 본체(81) 및 이것에 기단부가 수용되어 있는 아암(72, 73)의 경사가 변화되고, 전방 기울기 자세, 즉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에 대향하고 있는 정제 카세트(35a)측에 바이얼 병(B)의 개구가 향한 상태가 된다. 바이얼 병(B)의 축선(H)이 연직선(V)에 대해 45도 정도 경사진 상태가 되면, 제어 수단(15)은 모터(85)를 정지시킨다.
바이얼 병(B)의 경사의 조정 및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높이 조정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15)은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에 설치된 모터(65)를 작동시켜 피니언(66)을 회전시키고,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를 지지 기둥(51)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 즉 정제 카세트(35a)측에 근접하는 방향[도7의 (a), 도7의 (b)에 있어서 화살표 G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도8의 (b)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에 설치된 압박편(79)에 의해 정제 카세트(35a)의 덮개 부재(38)가 압박되고, 배출구(37)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가 정제 카세트(35a)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도래하면,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의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의 개구 부분이 정제 카세트(35a)의 배출구(37)에 인접한 상태로 된다. 또한,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에 설치된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이 정제 카세트(35a)의 접속부(39)에 접속되는 동시에, 위치 결정축(76)이 정제 카세트(35a)의 위치 결정 구멍(34)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용기 반송 수단(50)의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과 정제 카세트(35a)와의 위치 맞춤이 완료되고,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바이얼 병(B)에 정제를 불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과 정제 카세트(35a)의 위치 맞춤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15)은 모터(110)를 작동시켜 정제 카세트 작동축(75)을 회전시키고,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소정량의 정제를 불출시킨다.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불출된 정제는, 배출구(37)에 대해 경사 하방에 있어서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에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바이얼 병(B)으로의 정제의 충전이 개시되면, 제어 수단(15)은 용기 회전 기구(100)를 작동시켜, 바이얼 병(B)의 축선(H)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제어 수단(15)은 모터(105)를 작동시켜, 풀리(106) 및 이것에 현가된 벨트(107)를 통해 구동 롤러(101)를 회전시킨 다.
여기서,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의 아암(72, 73)에 의해 바이얼 병(B)을 사이에 끼운 상태에 있어서, 좌측 보유 지지 부재(96)나 우측 보유 지지 부재(97)에 설치된 구동 롤러(101)나 프리 롤러(102, 103, 104)가 각각 바이얼 병(B)의 동체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그로 인해, 모터(105)의 작동에 수반하여 구동 롤러(101)가 회전을 개시하면, 도8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얼 병(B)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바이얼 병(B)에 대한 정제의 불출이 개시된 후, 소정량의 정제가 불출된 시점에서, 제어 수단(15)은 모터(110)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정제의 불출을 중지하는 동시에, 모터(105)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바이얼 병(B)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후, 제어 수단(15)은 상기한 것과는 반대의 순서로 용기 반송 수단(50)을 이동시킨다. 즉, 제어 수단(15)은 보유 지지 수단 본체(70)의 이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모터(65)를 작동시켜,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이반하는 방향(도7, 도8의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 수단(15)은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지지 기둥(51)측으로 이반시키는 동안, 혹은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지지 기둥(51)측으로 이반한 시점에서 경사 기구부(80)를 작동시켜,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을 수평 상태, 즉 바이얼 병(B)의 상단부측의 개구가 대략 연직 상방을 향한 자세로 복귀한다. 즉, 제어 수단(15)은 경사 기구부(80)에 설치된 모터(85)를 작동시켜 웜 기어(86)를 회전시킴으로써, 경사 기구 본체(81)에 설 치된 기어(84)를 회전시키고, 경사 기구부 본체(81) 및 아암(72, 73)을 대략 수평으로 한다.
바이얼 병(B)이 대략 수평한 자세로 복귀되면, 제어 수단(15)은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바이얼 병(B)에 다른 정제 카세트(35)[이하, 필요에 따라서 정제 카세트(35b)라 칭함]로부터 정제를 불출하여 충전해야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바이얼 병(B)에 정제 카세트(35b)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는, 정제 카세트(35a)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충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용기 반송 수단(50)을 작동시켜, 정제 카세트(35b)로부터 정제를 불출시키는 동시에 이것을 바이얼 병(B)에 충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정제 카세트(35a)나 다른 정제 카세트(35b) 등으로부터 바이얼 병(B)으로의 정제의 충전이 완료되면, 바이얼 병(B)을 아암(72, 73)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용기 반송 수단(50)을 이동시켜, 바이얼 병(B)을 용기 밀봉 수단(40)에 전달한다. 즉, 제어 수단(15)은 지지 기둥(51)에 설치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통전하여 기어 벨트(53)를 작동시키거나, 모터(65)에 통전하여 랙(77)과 피니언(66)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구(랙 피니언 기구)를 작동시키는 등 하여, 바이얼 병(B)을 아암(72, 73)에 의해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용기 밀봉 수단(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바이얼 병(B)이 용기 밀봉 수단(40)에 도달하면, 제어 수단(15)은 아암 동작 기구(90)의 모터(95)에 통전하고, 아암(72, 73)을 개방한 상태로 하고, 바이얼 병(B)을 용기 밀봉 수단(40)에 전달한다.
용기 반송 수단(50)으로부터 용기 밀봉 수단(40)으로의 바이얼 병(B)의 전달 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15)은 용기 밀봉 수단(40)을 작동시켜, 바이얼 병(B)의 개구 부분을 도시하지 않은 덮개 등으로 밀봉시킨다. 개구가 밀봉된 바이얼 병(B)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수단에 의해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의 사용자가 취출 가능한 위치까지 반송된다. 이에 의해, 바이얼 병(B)에 대한 일련의 충전 작업이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이, 아암(72, 73)에 의해 바이얼 병(B)을 보유 지지하고, 바이얼 병(B) 내에 정제를 충전 가능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바이얼 병(B)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정제 카세트(35)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바이얼 병(B)에 충전할 때에 정제가 바이얼 병(B)의 일부에 편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이얼 병(B) 내에 정제를 대략 균등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에 따르면, 바이얼 병(B)의 내부 공간의 대부분을 정제의 충전용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경사 기구부(80)를 갖고, 바이얼 병(B)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정제 카세트(35)로부터 불출된 정제를 바이얼 병(B)에 충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정제 카세트(35)의 하방에 바이얼 병(B)을 세트하기 위해 잉여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정제 카세트(35)를 상하 방향으로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바이얼 병(B)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정제를 바이얼 병(B)에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얼 병(B)을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정제 카세트(35)로부터 정제를 불출하고, 바이얼 병(B)측으로 낙하시키는 경우에 비해 정제의 낙하 거리가 짧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에서는, 정제의 충전시에 정제가 낙하에 수반하는 충격으로 빠지거나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바이얼 병(B)의 축선(H)이 연직선(V)에 대해 정제 카세트(35)측으로 45도 정도 경사진 상태로 되도록 바이얼 병(B)을 경사지게 하고, 약제를 바이얼 병(B)에 충전하는 구성을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이얼 병(B)에 대한 정제의 충전 효율이나 용기 반송 수단(50)의 작동 영역의 크기, 정제 카세트(35)의 배치 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바이얼 병(B)의 경사각을 조정해도 좋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직선(V)에 대한 축선(H)의 경사(경사각)가 0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 즉 바이얼 병(B)의 개구가 대략 수직 상방을 향한 자세로부터 정제 카세트(35)측으로 60도 정도 경사진 상태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이 적절하게 조정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본체 드럼(31)의 외주에, 본체 드럼(31)의 높이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다수의 정제 카세트(35)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본체 드럼(31)의 외측에 용기 반송 수단(50)을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본체 드럼(31)을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정제 카세트(35)와 용기 반송 수단(50)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 한 구성을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제 공급 수단(30)의 외주를 용기 반송 수단(50)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용기 반송 수단(50) 및 정제 공급 수단(30)의 양쪽 혹은 한쪽을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반송 수단(50)을 정제 공급 수단(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와 같이, 본체 드럼(31)의 내주면에 정제 카세트(35)를 장착하는 동시에, 본체 드럼(31)의 내측에 용기 반송 수단(50)에 상당하는 것을 배치하고, 용기 반송 수단(50)을 본체 드럼(31)의 내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정제 공급 수단(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의 본체 드럼(31)에 다수의 정제 카세트(35)를 장착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소정의 평면 상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정제 카세트(35)를 나열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한 경우,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정제 공급 수단(30)에 대해 용기 보유 지지 수단(55)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정제 카세트(35)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바이얼 병(B)을 이동시키고, 이것에 정제를 충전 가능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수납 취출 장치(1)는, 바이얼 병(B)의 동체 부분에 구동 롤러(101)나 프리 롤러(102, 103, 104)를 접촉시켜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로 인해, 바이얼 병(B)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바이얼 병(B)의 외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바이얼 병(B)으로서, 외형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의 통 형상체 등 적절한 형상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랙(77) 및 피니언(66)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이동 기구나, 경사 기구부(80), 아암(72, 73)을 동작시키기 위한 아암 동작 기구(90), 용기 회전 기구(100)의 구성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에 지나지 않고, 다른 동작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같은 동작을 실시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Claims (5)

  1. 약제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약제를 불출 가능한 약제 공급 수단과, 당해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충전하기 위한 용기를 보유 지지 가능한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한 약제 수납 취출 장치이며, 상기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이, 보유 지지부와 용기 회전 수단을 갖고,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보유 지지부에 의해 용기를 보유 지지하면서, 용기 회전 수단에 의해 용기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보유 지지부가, 근접 이반 가능한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을 근접시킴으로써 용기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용기를 놓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의 한쪽 또는 양쪽에, 액추에이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보유 지지부에 의해 용기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용기의 외주면에 상기 롤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가 소정의 축선 방향으로 연신한 바닥이 있는 통체이고, 용기 보유 지지 수단에 의해, 용기의 축선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용기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가 소정의 축선 방향으로 연신한 바닥이 있는 통체이고, 용기 보유 지지 수단에 의해, 용기의 축선 방향이 연직인 상태로부터 연직선에 대해 60도의 범위 내에서 경사진 자세로 되도록 용기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약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용기 내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 공급 수단이 다수 나열하여 설치된 약제 카세트와, 당해 약제 카세트에 대해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근접 이반 가능하도록 지지한 용기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약제 공급 수단이 나열되는 방향으로 약제 카세트와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납 취출 장치.
KR1020097000064A 2006-07-06 2007-07-02 약제 수납 취출 장치 KR101337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6319 2006-07-06
JP2006186319A JP4877586B2 (ja) 2006-07-06 2006-07-06 薬剤収納取出装置
PCT/JP2007/063216 WO2008004511A1 (fr) 2006-07-06 2007-07-02 Appareil de stockage/de délivrance de médica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778A KR20090024778A (ko) 2009-03-09
KR101337040B1 true KR101337040B1 (ko) 2013-12-05

Family

ID=3889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064A KR101337040B1 (ko) 2006-07-06 2007-07-02 약제 수납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5144B2 (ko)
JP (1) JP4877586B2 (ko)
KR (1) KR101337040B1 (ko)
CA (1) CA2664909C (ko)
WO (1) WO2008004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2170B2 (ja) * 2007-06-21 2011-09-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5564868B2 (ja) * 2008-09-19 2014-08-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5421310B2 (ja) * 2011-03-04 2014-02-19 中洲電機株式会社 薬剤仕分け装置
US20140108028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ITRE20130046A1 (it) * 2013-06-20 2014-12-21 Reservice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articoli
US10179664B2 (en) * 2014-11-05 2019-01-15 Mts Medication Technologies, Inc. Dispensing canisters for packaging oral solid pharmaceuticals via robotic technology according to patient prescription data
US10351285B2 (en) 2014-11-04 2019-07-16 Mts Medic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verifying packaging of solid pharmaceuticals via robotic technology according to patient prescription data
JP7329741B2 (ja) 2017-07-20 2023-08-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販売方法
DE102018132635A1 (de) * 2018-12-18 2020-06-18 Krones Ag Behälterhalterung für einen Freistrahlfüller
CN110367667B (zh) * 2019-08-16 2024-03-12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药片暂存功能的配药装置
CN111332505B (zh) * 2020-03-29 2021-06-04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配药设备
CN112190106B (zh) * 2020-09-10 2022-04-08 武汉轻工大学 一种片状物存取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802A (ja) * 1986-01-17 1987-07-25 東和製薬株式会社 顆粒又は粉末の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9536A (en) * 1930-04-28 1934-03-06 Jl Ferguson Co Packaging device
US2325816A (en) * 1940-07-16 1943-08-03 Lawrence W Waters Container filling machine
US3105526A (en) * 1961-01-13 1963-10-01 Fmc Corp Can track
US3267971A (en) * 1963-07-22 1966-08-23 Seymour C Graham Packaging apparatus and process
US3421555A (en) * 1966-04-15 1969-01-14 Chemetron Corp Rotary filling machine
US3461646A (en) * 1967-07-06 1969-08-19 Borden Inc Pickle packing machine
US4103720A (en) * 1976-10-21 1978-08-01 Solber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JPS5426193A (en) * 1977-07-29 1979-02-27 Suzuki Motor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and charging powder
JPS563242A (en) 1979-06-20 1981-01-14 Nippon Steel Corp Vertical-type steel band storing apparatus
US4349053A (en) * 1980-03-05 1982-09-14 Solber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DE19533462A1 (de) * 1995-09-09 1997-03-13 Ruediger Haaga Gmbh Vorrichtung zum Füllen von Behältern mit einer zu Schaumbildung neigenden Flüssigkeit
JP4444414B2 (ja) * 1999-11-01 2010-03-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6648025B2 (en) * 2002-04-16 2003-11-18 Coors Worldwide Inc. Beverage dispense
AU2004237615B2 (en) * 2003-05-01 2007-06-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isually distinctive multiple liquid phase compositions
JP4429752B2 (ja) 2004-01-30 2010-03-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収納取出装置
CA2533230C (en) * 2005-01-27 2013-07-23 Sanyo Electric Co., Ltd. Medicine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802A (ja) * 1986-01-17 1987-07-25 東和製薬株式会社 顆粒又は粉末の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4909C (en) 2014-01-07
CA2664909A1 (en) 2008-01-10
KR20090024778A (ko) 2009-03-09
JP4877586B2 (ja) 2012-02-15
WO2008004511A1 (fr) 2008-01-10
US20090289079A1 (en) 2009-11-26
US7845144B2 (en) 2010-12-07
JP2008013216A (ja)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040B1 (ko) 약제 수납 취출 장치
JP4821130B2 (ja) 錠剤充填装置
CN100493996C (zh) 药片填充装置
JP6167907B2 (ja) 薬剤カセット
JP2007302299A (ja) バイアル瓶供給装置
JP2007302300A (ja) キャップ供給装置
JP2011011049A (ja) カプセルに製薬製品を充填する機械
JP4964199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JP5383640B2 (ja) 薬品払出装置
JP2010052788A (ja) 薬液供給装置
JP5153506B2 (ja)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WO2015011764A1 (ja) 薬剤充填装置
JP5985242B2 (ja) シート状物品の自動装填装置並びにシート状物品の供給装置
KR100553359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 공급장치
CN112237352B (zh) 基于大数据可流动中医药智能药房系统
JP7107561B2 (ja) カセットおよび物品供給装置
JP2008029584A (ja) 薬剤選択供給装置
JP3891916B2 (ja) ポート付きバッグの移載装置と該移載及び貯留装置
JPWO2017002911A1 (ja) 薬剤包装装置
KR20240055774A (ko) 개별 약제로 피더 유닛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 스테이션 및 방법
JPH04367402A (ja) 液充填装置
KR20200066856A (ko) 더블 로터리 방식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 장치, 상기 더블 로터리 방식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스파우트 파우치 공급 유닛 및 스파우트 파우치 캡핑 유닛
JP2005018111A (ja) 供給装置
JPH0323403B2 (ko)
KR20160065376A (ko) 약제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