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38B1 -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38B1
KR101337038B1 KR1020060097482A KR20060097482A KR101337038B1 KR 101337038 B1 KR101337038 B1 KR 101337038B1 KR 1020060097482 A KR1020060097482 A KR 1020060097482A KR 20060097482 A KR20060097482 A KR 20060097482A KR 101337038 B1 KR101337038 B1 KR 10133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eat
sheet
cushion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464A (ko
Inventor
노리꼬 니시모또
슈시 호소야
마사하루 이노우에
모모에 가메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아에 대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된 시트 본체를,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4)로 덮은 시트(3)에 적용되고, 시트 커버(4)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부가하는 쿠션(5)에 있어서, 시트 본체 및 시트 커버(4)의 모두에 대해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된 적어도 1개의 패드형 부품(10, 30, 50)을 쿠션에 설치한다. 그 패드(10, 30, 50)를 그것들의 제조 후에 시트(3)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한다.
베이비 카, 시트 커버, 시트, 쿠션, 패드, 빠짐 구멍

Description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 구조 {POSTURE KEEPING CUSHION FOR CHILD AND CHILD SUPPORT STRUCTURE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쿠션이 적용되는 베이비 카의 사시도.
도2는 베이비 카의 시트의 쿠션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쿠션이 적용된 베이비 카의 시트 본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5는 도4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6은 도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비 카
3 : 시트
4 : 시트 커버
4a, 4b, 4c : 빠짐 구멍
5 : 쿠션
9 : 시트 본체
9A : 등판
9B : 시트판
10 : 머리부 패드
30 : 허리부 패드
50 : 엉덩이부 패드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1699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본 발명은 베이비 카, 베이비 랙(baby rack), 차일드 시트 등의 유아 제품의 시트에 대해 유아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쿠션 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 혹은 베이비 베드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 평판형의 베이스를 그 전체 주위에 걸쳐 돌출부 혹은 벽부로 둘러싼 형상의 쿠션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1699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종래의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은 베이비 베드 등의 시트에 대해 그 전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시트에 대해 쿠션이 적절히 배치되지 않거나, 혹은 시트에 대해 쿠션이 어긋나서 쿠션을 이용한 자세 유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아에 대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쿠션 및 그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된 시트 본체(9)를,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4)로 덮은 시트(3)에 적용되고, 상기 시트 커버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부가하는 쿠션(5)이며, 상기 시트 본체 및 상기 시트 커버의 모두에 대해서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된 적어도 1개의 패드형 부품(10, 30, 50)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형 부품이 그 제조 후에 상기 시트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된 쿠션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쿠션에 따르면, 쿠션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패드형 부품을 시트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시트에 대해 패드형 부품을 최적의 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시트에 대한 패드형 부품의 위치 어긋남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으로 유아를 최적의 위치에서 지지하고, 그 패드형 부품에 의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쿠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패드형 부품이 상기 시트 커버의 표면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다. 시트 커버의 표면에 패드형 부품을 고정하는 구성에 따르면, 시트의 표면에 패드형 부품이 노출되기 때문에 패드형 부품 에 의한 유아의 지지 위치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상에 있어서의 패드형 부품의 고정 위치를 시트 커버의 교환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패드형 부품은 상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시트 본체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을 모방하여 시트 커버가 변형하여 시트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이 출현한다. 시트 본체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을 시트 본체에 남긴 상태로 시트 커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트 커버를 세탁하는 경우에 그 패드형 부품을 시트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쿠션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패드형 부품으로서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엉덩이부 패드(50)를 포함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가 상기 시트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다. 유아의 엉덩이부의 지지에 적합한 위치는 유아의 체격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시트에 대해 엉덩이부 패드를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해도, 그것에 의해 시트에 적합한 체격 범위가 과도하게 좁혀질 우려가 없다. 그리고, 유아를 시트에 적재할 때에는 엉덩이부 패드를 기준으로서 유아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가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시트의 등부를 일으켰을 때에, 시트 상에 고정된 엉덩이부 패드가 유아의 엉덩이부를 받침으로써 엉덩이부 앞으로 어긋남이 방지된다.
엉덩이부 패드를 고정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와는 별개로, 유아의 머리부 및 허리부를 각각 지지하는 머리부 패드(10) 및 허리부 패드(30)가 상기 시트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유아의 체격이 작은 단계에서는, 그 머리부 및 허리부를 머리부 패드 및 허리부 패드로 지지함으로써 머리부가 횡방향으로 쓰러지고, 허리부의 옆으로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을 가누거나, 혹은 상반신이 안정되는 시기 이후는 엉덩이부의 지지에 비해 머리부 및 허리부의 지지는 그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작다. 엉덩이부 패드를 고정하는 한편, 머리부 패드 및 허리부 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에 따르면, 유아가 작은 단계에서는 엉덩이부 패드를 기준으로 하여 머리부 패드 및 허리부 패드를 각각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여 머리부 및 허리부를 지지하고, 유아의 성장과 함께 머리부 패드 및 허리부 패드를 제거하여 엉덩이부 패드만으로 유아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쿠션의 사용 형태를 상술한 머리부, 허리부 및 엉덩이부의 지지의 필요성의 고저에 맞추어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쿠션이 적합한 체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아 지지 구조는,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된 시트 본체(9)를,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4)로 덮은 시트(3)와, 상기 시트 커버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부가하는 쿠션(5)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시트 본체 및 상기 시트 커버의 모두에 대해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그 제조 후에 상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된 패드형 부품(10, 30, 5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커버에는 상기 시트 본체에 고정된 상기 패드형 부품과 위치를 맞추어 빠짐 구멍이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유아 지지 구조에 따르면, 시트 본체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이 시 트 커버의 빠짐 구멍을 거쳐서 시트 커버의 표면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시트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이 부여된다. 패드형 부품이 시트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트에 대해 패드형 부품을 최적의 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시트에 대한 패드형 부품의 위치 어긋남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으로 유아를 최적의 위치에서 지지하고, 그 패드형 부품에 의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시트 본체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을 시트 본체에 남긴 상태로 시트 커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트 커버를 세탁하는 경우에 그 패드형 부품을 시트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커버에 쿠션재 등의 내장재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내장재에 영향받지 않고 패드형 부품이 시트 표면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패드형 부품에 의한 유아의 자세 유지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 기입으로 부기하였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아라는 용어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유아의 단계로부터 학령기에 도달하기까지의 넓은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유아 자세 유지용 쿠션을 설명한다. 도1은 제1 형태의 쿠션이 적용되는 베이비 카의 일례를 나타낸다. 베이비 카(1)는, 파이프재를 적절하게 조합한 프레임 구조의 베이비 카 본체(2)와, 그 베이비 카 본체(2)에 설치되는 시트(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비 카 본체(2)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시트(3)는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첩 기구 및 리클라이닝 기구는 공지의 베이비 카와 마찬가지라도 좋다.
도2는 시트(3)의 평면도이다. 시트(3)는 시트 본체[도시하지 않음, 단 도4의 시트 본체(9)와 마찬가지임]를 시트 커버(4)로 덮은 구조를 갖고 있다. 시트 본체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그것에 의해, 시트 본체에는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시트 본체는 시트(3) 그것 자체에 다른 지지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시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을 부여하는 코어재로서 기능한다. 시트(3)는 굽힘선(L1)을 따라 절곡 가능하다. 시트 커버(4)는 시트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시트 커버(4)에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쿠션(5)이 설치되어 있다. 쿠션(5)은, 패드형 부품으로서 시트(3)의 머리부 지지 영역(A1)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10)와, 시트(3)의 허리부 지지 영역(A2)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허리부 패드(30)와, 시트(3)의 엉덩이부 지지 영역(A3)에 배치되는 엉덩이부 패드(5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패드(10, 30, 50)의 각각은 서로 독립한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10, 30, 50)의 각각은 시트(3)의 시트 본체 및 시트 커버(4)의 모두에 대해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되어 있다.
머리부 패드(10)는 베이스 시트(11)와, 그 베이스 시트(11)의 외주를 따라 마련된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11)는 라운딩을 띤 외주 형상을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목 지지부(13)와, 머리부 패드(1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목 지지부(13)는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옆머리 지지부(14)는 유아의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목 지지부(13)와 옆머리 지지부(14)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머리부 패드(10)에는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로서 설치해도 좋다. 내장재로서는 솜, 우레탄, 저반발 우레탄, 겔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재는 돌출부(12)에만 설치되어도 좋고, 베이스 시트(11) 및 돌출부(12)의 양방에 내장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각 허리부 패드(30)는, 그 정점(30a)으로부터 전체 방향을 향해 그 높이가 서서히 감소하는 돌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허리부 패드(30)는 유아의 허리부에 양측으로부터 대어 유아의 허리부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허리부 패드(30)의 외주 형상은 원형, 타원형, 긴 원형, 가마니형, 계란형의 각종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허리부 패드(30)에 대해서도,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로서 이용해도 좋다. 내장재로서는 솜, 우레탄, 저반발 우레탄, 겔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허리부 패드(30)를 머리부 패드(10)의 베이스 시트(11)와 같은 베이스 시트에 의해 서로 연결해도 좋다.
엉덩이부 패드(50)는 베이스 시트(51)와, 그 베이스 시트(51)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51)는 머리부 패 드(10) 및 허리부 패드(30)의 베이스 시트(11, 31)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는 엉덩이 지지부(53)와, 그 엉덩이 지지부(53)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릎 지지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엉덩이 지지부(53)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무릎 지지부(54)는 유아의 무릎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지지부(53)와 무릎 지지부(54)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엉덩이부 패드(50)에 대해서도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로서 설치해도 좋다. 내장재로서는 솜, 우레탄, 저반발 우레탄, 겔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재는 돌출부(52)에만 설치되어도 좋고, 베이스 시트(51) 및 돌출부(52)의 양방에 내장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패드(10, 30, 50)는 시트 커버(4)의 표면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패드(10, 30, 50)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열 프레스, 즉 열에 의한 수지 등의 용융을 이용한 고정 방법, 봉제, 접착, 그 외에 각종 고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드(10, 30, 50)를 시트 커버(4)의 표면에 고정하면, 패드(10, 30, 50)를 시트 커버(4) 상의 최적의 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시트 커버(4)에 대한 패드(10, 30, 5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여 패드(10, 30, 50)에 의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면서 적절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4)에 패드(10, 30, 50)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시트(3)의 표면에 패드(10, 30, 50)가 노출되고, 이들의 패드(10, 30, 50)에 의한 유아의 지지 위치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트(3) 상에 있어서의 패 드(10, 30, 50)의 고정 위치를 시트 커버(4)의 교환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 체격 범위가 다른 복수의 시트 커버(4)를 준비하고, 그것들의 시트 커버(4)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시트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1개의 시트 본체를 광범위한 체격의 유아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패드(10, 30, 50)의 전부를 시트 커버(4)에 고정하였지만, 일부의 패드를 시트 커버(4)에 고정하고, 다른 패드를 시트 커버(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를 시트 커버(4)에 대해 시트(3) 상하 방향(도2 및 도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설치하는 한편, 허리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시트 커버(4)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해도 좋다. 본 예에 따르면, 엉덩이부 패드(50)를 기준으로 하여 유아를 시트 커버(4) 상에 적재하고,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도면 중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시트(3)로 받침 가능한 유아의 체격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유아의 엉덩이부의 지지에 적합한 위치는 유아의 체격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시트 커버(4)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드형 부품으로서 엉덩이부 패드(50)는 가장 적합하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50)를 시트 커버(4)에 고정한 경우에는, 시트 커버(4) 상에 엉덩이부 패드(50)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시트(3)의 등부를 일으켰을 때, 엉덩이부 패드(50)로 엉덩이부 앞으로 어긋남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머리부 패드(10)에 부가하여, 허리부 패드(30)에 대해서도 시트 커버(4)에 대해 착 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또한, 허리부 패드(30)를 시트 커버(4)에 대해 시트(3)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제2 형태]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쿠션이 적용된 시트의 시트 본체를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시트에 고정되는 패드형 부품으로서, 머리부 패드(10), 한 쌍의 허리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가 설치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 형태와 공통된다. 또한, 패드(10, 30, 50)의 구성은 제1 형태와 공통이다. 그러나, 제2 형태에서는, 패드(10, 30, 50)가 시트 본체(9)의 표면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제1 형태와 다르다. 시트 본체(9)는 등판(9A)과 시트판(9B)을 굽힘선(L1)을 따라 절곡 가능하게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머리부 패드(10) 및 허리부 패드(30)는 등판(9A)에 고정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시트판(9B)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 본체(9)의 표면에는 제1 형태의 쿠션(5)이 제거된 구성의 시트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형태에 따르면, 시트 본체(9) 상에 시트 커버(4)를 덮음으로써, 시트 커버(4)가 패드(10, 30, 50)의 요철 형상을 모방하여 변형하고, 그것에 의해 시트(3)의 표면에 유아 지지용 요철 형상이 부가된다. 패드(10, 30, 50)를 시트 본체(9)에 고정한 경우에는, 시트 커버(4)를 시트 본체(9)로부터 제거할 때에 그것들의 패드(10, 30, 50)를 시트 본체(9) 상에 남긴 상태라도 좋다. 따라서, 시트 커버(4)를 세탁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트 커버(4)로부터 쿠션(5)을 제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있어서도, 패드(10, 30, 50) 중 일부의 패드를 시트 본체(9)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한편, 다른 패드를 시트 본체(9)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시트 본체(9)에 대해 착탈 가능한 패드에 대해서는 시트(3)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이유에 의해, 시트 본체(9)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드형 부품으로서는 엉덩이부 패드(50)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커버(4)에는 패드(10, 30, 50)의 설치 위치에 맞추어 빠짐 구멍(4a, 4b, 4c)을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빠짐 구멍(4a 내지 4c)을 마련한 유아 지지 구조에 따르면, 시트 커버(4)를 시트 본체(9)에 대해 착탈할 때에 쿠션(5)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또한 시트(3)의 표면에는 패드(10, 30, 50)의 볼록부가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패드(10, 30, 50)의 자세 유지 효과를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다. 시트 커버(4)에 쿠션재 등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패드(10, 30, 50)에 의한 자세 유지 효과가 시트 커버(4)의 내장재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머리부 패드(10)는 목 지지부(13)와 옆머리 지지부(14)가 분리된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쿠션은 머리부 패드, 허리부 패드 및 엉덩이부 패드를 구비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패드가 생략되거나, 혹은 다른 패드형 부품이 부가되어도 좋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아 제품은 베이비 카로 한정되지 않고, 베이비 랙, 차일드 시트의 쿠션이 필요하게 되는 각종 유아 제품을 그 적용 대상으 로 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 및 유아 지지 구조에 따르면, 쿠션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패드형 부품을 시트에 고정함으로써, 시트에 대해 패드형 부품을 최적의 위치로 유지하고, 또한 시트에 대한 패드형 부품의 위치 어긋남도 생기지 않으므로, 시트에 고정된 패드형 부품으로 유아를 최적의 위치에서 지지하고, 그 패드형 부품에 의한 자세 유지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된 시트 본체를,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로 덮은 시트에 적용되고, 상기 시트 커버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부가하는 쿠션이며, 상기 시트 본체 및 상기 시트 커버의 모두에 대해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된 1개 이상의 패드형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형 부품 중 1개 이상이 패드형 고정 부품이고,
    상기 패드형 고정 부품은, 그 제조 후에 상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형 부품으로서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는 엉덩이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가 상기 패드형 고정 부품이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가 상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대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형 부품으로서, 상기 엉덩이부 패드와는 별개로, 유아의 머리부 및 허리부를 각각 지지하는 머리부 패드 및 허리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 패드 및 상기 허리부 패드가 상기 시트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4. 시트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강성이 부여된 시트 본체를,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시트 커버로 덮은 시트와, 상기 시트 커버의 표면에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 형상을 부가하는 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시트 본체 및 상기 시트 커버의 모두에 대해 다른 공정에서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그 제조 후에 상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된 패드형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커버에는 상기 시트 본체에 고정된 상기 패드형 부품과 위치를 맞추어 빠짐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지지 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060097482A 2005-10-07 2006-10-04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KR101337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5016 2005-10-07
JP2005295016A JP4939789B2 (ja) 2005-10-07 2005-10-07 幼児用姿勢保持クッション及び該クッションを用いた幼児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464A KR20070039464A (ko) 2007-04-12
KR101337038B1 true KR101337038B1 (ko) 2013-12-05

Family

ID=3802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482A KR101337038B1 (ko) 2005-10-07 2006-10-04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39789B2 (ko)
KR (1) KR101337038B1 (ko)
CN (1) CN1944148B (ko)
HK (1) HK1102298A1 (ko)
TW (1) TWI412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7555B2 (ja) * 2007-07-03 2013-03-21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および座席付き育児器具
JP5459827B2 (ja) 2009-03-13 2014-04-02 株式会社Lttバイオファーマ 慢性閉塞性肺疾患改善剤
JP5514655B2 (ja) * 2010-07-07 2014-06-0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JP5707143B2 (ja) * 2011-01-17 2015-04-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幼児支持パッド構造
FR2981018B1 (fr) * 2011-10-07 2013-11-15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a assise reglable en hauteur
JP6009221B2 (ja) * 2012-05-22 2016-10-19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CN104013249A (zh) * 2014-05-21 2014-09-03 苏州标图高级座椅有限公司 一种儿童座椅
JP7094573B2 (ja) * 2020-02-20 2022-07-04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サポート及び育児器具
KR102522652B1 (ko) * 2021-04-30 2023-04-18 황란희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6477U (ja) * 1982-10-27 1984-05-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座席付育児器具
JPH06234365A (ja) * 1992-12-15 1994-08-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椅子状ベッド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389B2 (ja) * 1982-10-08 1990-09-11 Daihatsu Motor Co Ltd Jidoshabodeeyoshiiringuzainokokaho
US4631766A (en) * 1985-02-25 1986-12-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Neonatal infant seat
JPH04154477A (ja) * 1990-10-16 1992-05-27 Konbi Kk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JPH08382A (ja) * 1994-06-21 1996-01-09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座席
JPH1111192A (ja) * 1997-06-26 1999-01-19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GB9826622D0 (en) * 1998-12-04 1999-01-27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JP2001114001A (ja) * 1999-10-18 2001-04-24 Tagashira:Kk チャイルドシート
TW593012B (en) * 2002-08-20 2004-06-21 Wonderland Nursery Goods Integrally formed shock-absorbing body of baby safety chair for vehicle
JP4299095B2 (ja) * 2003-10-03 2009-07-22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乳児用姿勢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6477U (ja) * 1982-10-27 1984-05-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座席付育児器具
JPH06234365A (ja) * 1992-12-15 1994-08-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椅子状ベッド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2325A (en) 2007-06-16
TWI412465B (zh) 2013-10-21
CN1944148B (zh) 2010-09-08
CN1944148A (zh) 2007-04-11
JP4939789B2 (ja) 2012-05-30
HK1102298A1 (en) 2007-11-16
KR20070039464A (ko) 2007-04-12
JP2007099201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038B1 (ko) 유아용 자세 유지 쿠션 및 상기 쿠션을 이용한 유아 지지구조
JP4823592B2 (ja)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8699B2 (ja)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US9028004B2 (en) Vehicle seat
EP2412566B1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WO2012086546A1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EP2658766B1 (en) Head support for a pushchair
KR101274892B1 (ko) 차일드 시트용 쿠션
JP6582646B2 (ja) 乗物用シート
JP6531575B2 (ja) 乗物用シート
JP5936500B2 (ja) ベビーカー用シート
WO2011019004A1 (ja) 子守帯
JP2006102385A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マット
JP5079308B2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へのカバーの取付構造
JP2005237519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JP2006205995A (ja) フットレスト
JP2010247822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3156383U (ja) 折畳みベッド
KR200426703Y1 (ko) 차량용 안전 베개
JP5503690B2 (ja) 椅子
KR200258881Y1 (ko) 유모차용 왕골 시트
JP452199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JP2024055738A (ja) 着座補助具
JP2008119098A (ja) 自動車シート用背当て
JP2004291874A (ja) 乗り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