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92B1 - 차일드 시트용 쿠션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92B1
KR101274892B1 KR1020060105981A KR20060105981A KR101274892B1 KR 101274892 B1 KR101274892 B1 KR 101274892B1 KR 1020060105981 A KR1020060105981 A KR 1020060105981A KR 20060105981 A KR20060105981 A KR 20060105981A KR 101274892 B1 KR101274892 B1 KR 10127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ip
support surface
head
chil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213A (ko
Inventor
슈우시 호소야
료오이찌 유모또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1Upholstery, padded or cushioned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착석 상태에 있어서 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일드 시트(2) 상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구비하는 쿠션(1)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10)에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하는 목 지지부(12)와,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면(14)을 마련한다. 등부 패드(30)에는, 등부 패드(3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면(32)을 마련한다. 엉덩이부 패드(50)에는,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엉덩이 지지면(51)과, 엉덩이부 패드(5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무릎 지지면(52)을 마련한다.
쿠션, 차일드 시트,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엉덩이부 패드

Description

차일드 시트용 쿠션 {CUSHION FOR CHILD CAR SEAT}
도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쿠션이 배치된 차일드 시트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쿠션의 사시도.
도3은 쿠션의 평면도.
도4는 도4의 Ⅳ-Ⅳ선을 따른 쿠션의 단면도.
도5는 머리부 패드의 평면도.
도6은 머리부 패드를 하부 모서리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화살표 Ⅶ 방향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머리부 패드의 사시도.
도8은 도5의 화살표 Ⅷ 방향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머리부 패드의 측면도.
도9는 도4의 Ⅳ-Ⅳ선을 따른 머리부 패드의 단면도.
도10은 등부 패드의 사시도.
도11은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2는 도4의 XⅡ-XⅡ선을 따른 등부 패드의 단면도.
도13은 도4의 화살표 XⅧ 방향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엉덩이부 패드의 측면도.
도14는 엉덩이부 패드를 하부 모서리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엉덩이부 패드의 평면도.
도16은 도4의 XVI-XVI선을 따른 엉덩이부 패드의 단면도.
도17은 머리부 패드가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등부 패드가 유아의 등으로부터 몸통부를 지지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엉덩이부 패드가 유아의 엉덩이부 및 무릎을 지지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머리부 패드를 차일드 시트의 백부에 설치하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도20에 있어서의 머리부 패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머리부 패드를 차일드 시트의 백부에 설치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은 도22에 있어서의 머리부 패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4a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면 패스너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4b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4c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 는 도면.
도24d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버튼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4e는 도24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5a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후크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5b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면 패스너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5c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를 버튼에 의해 연결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6a는 머리부 패드와 등부 패드와의 연결부를 덮는 커버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6b는 등부 패드와 엉덩이부 패드와의 연결부를 덮는 커버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쿠션을 차일드 시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8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쿠션을 차일드 시트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차일드 시트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9는 제2 형태의 쿠션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
도30은 제2 형태의 쿠션으로 사용되는 내장재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1은 도30의 화살표XXXI 방향으로부터 본 내장재의 측면도.
도32는 도30의 XXXⅡ-XXXⅡ선을 따른 내장재의 단면도.
도33은 도31의 화살표 XXXⅢ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34는 도31의 XXXⅣ-XXXⅣ선을 따른 내장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쿠션
2 : 차일드 시트
3 : 베이스
10 : 머리부 패드
12 : 목 지지부
12a : 목 지지부의 능선
14 : 옆머리 지지면
15 : 함몰부
30 : 등부 패드
31 : 등 지지면
32 : 겨드랑이 지지면
33 : 경사면
50 : 엉덩이부 패드
51 : 엉덩이 지지면
52 : 무릎 지지면
53 : 다리 지지면
100 : 유아
101 : 머리부
102 : 몸통부
103 : 엉덩이부
104 : 무릎
105 : 하지
201 : 쿠션
210 : 머리부 패드
212 : 목 지지부
212a : 목 지지부의 능선
214 : 옆머리 지지면
215 : 함몰부
220 : 복합형 패드
221 : 내장재
222 : 등부 코어
222b : 등 지지면 형성부
223 : 엉덩이부 코어
223c : 엉덩이 지지면 형성부
223d : 다리 지지면 형성부
230 : 등부 패드
231 : 등 지지면
232 : 겨드랑이 지지면
250 : 엉덩이부 패드
251 : 엉덩이 지지면
252 : 무릎 지지면
253 : 다리 지지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사용되는 자세 보유 지지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차일드 시트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 평판형의 베이스를 그 전체 주위에 걸쳐 돌출부 혹은 벽부로 둘러싼 쿠션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96734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쿠션은, 시트백을 대략 수평으로 쓰러뜨려 평탄한 베드 상태를 선택하였을 때의 유아의 보호 효과, 혹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쿠션으로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시트백을 세워 유아를 착석시키는 경우에도, 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착석시키기 위해 쿠션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목을 가누기 전의 유아, 혹은 목을 충분히 가눌 수 없는 유아에 대해서는, 머리부의 옆으로 어긋남, 옆으로 쓰러짐, 체간(體幹)의 옆으로 어긋남, 혹은 엉덩이부의 앞으로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쿠션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착석 상태에 있어서 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용 쿠션(1, 201)은, 차일드 시트(2) 상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10, 210), 등부 패드(30, 230) 및 엉덩이부 패드(50, 250)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패드에는, 상기 머리부 패드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하는 목 지지부(12, 212)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면(14, 214)이 마련되고, 상기 등부 패드에는, 상기 등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면(32, 232)이 마련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에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엉덩이 지지면(51, 251)과,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무릎 지지면(52, 252)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쿠션에 따르면, 우선 머리부 패드의 목 지지부에서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보유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여 유아에게 호흡을 편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옆머리 지지면이 유아의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을 억제하여 머리부를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등부 패드의 겨드랑이 지지면에서 유아의 몸통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의 엉덩이 지지면이 엉덩이부 패드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그 엉덩이 지지면을 유아의 엉덩이부에 대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전방으로의 엉덩이부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엉덩이부의 앞으로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의 무릎 지지면이 유아의 무릎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무릎을 적절하게 내측으로 구부려 하지를 적절한 배향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하반신의 굴근(屈筋)과 신근(伸筋)의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신체의 변형, 혹은 위축이 방지된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착석 상태에 있어서 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목 지지부의 능선(12a, 212a)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여 상기 옆머리 지지면을 향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해도 좋다. 이러한 만곡을 목 지지부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뒷목을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하여 머리부의 옆으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면으로 둘러싸인 함몰부(15, 215)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에 개방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머리 정수리를 구속하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아의 개방감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의 상기 겨드랑이 지지면 사이에는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면(31, 231)이 마련되고, 상기 등 지지면은 상기 등부 패드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등 지지면의 특히 하부를 유아의 허리에 충분히 접촉시켜 등부 패드에 의한 자세 보유 지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측의 단부에는 상기 등 지지면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33)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엉덩이부 패드의 후단부와 등부 패드의 하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하고, 엉덩이부 패드와 등부 패드를 차일드 시트의 시트부와 백부와의 사이의 만곡 또는 굴곡에 적합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나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50)의 상기 엉덩이 지지면(51)이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유아의 엉덩이부를 감싸도록 엉덩이 지지면을 엉덩이부에 접촉시켜 엉덩이 지지면에 의한 자세 보유 지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50)의 상기 무릎 지지면(52)이 상기 엉덩이 지지면보다도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엉덩이 지지면에서 엉덩이부를 지지하면서, 그 엉덩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무릎을 무릎 지지면에서 확실하게 받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엉덩이부 패드(50, 250)의 상기 엉덩이 지지면의 전방측에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하는 다리 지지면(53, 253)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무릎 지지면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려진 하지를 다리 지지면에 의해 자연스러운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 패드, 상기 등부 패드 및 상기 엉덩이부 패드 중 적어도 2개의 패드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일부의 패드를 다른 패드로부터 분리하여 차일드 시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쿠션의 사용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 패드가 상기 등부 패드에 대해 상기 차일드 시트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머리부 패드의 위치를 유아의 머리부의 위치에 맞추어 변화시켜 머리부를 최적의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 기입으로 부기했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용 쿠션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쿠션(1)을 차일드 시트(2)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차일드 시트(2)는,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되는 베이스(3)와, 그 베이스(3) 상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본체(4)를 갖고 있다. 시트 본체(4)에는 유아의 엉덩이부 및 등부를 각각 지지하는 시트부(5) 및 백부(6)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유아를 시트 본체(4)에 구속하기 위한 가랑이 벨트(7), 한 쌍의 허리 벨트(8) 및 한 쌍의 어깨 벨트(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2)의 구성은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쿠션(1)은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를 갖고 있다. 이들의 패드(10, 30, 50)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 패드(10)는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등부 패드(30)는 유아의 등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머리부 패드(10) 및 등부 패드(30)는 백부(6)에 배치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시트부(5)에 배치된다. 각 패드(10, 30, 50)는 차일드 시트(2)에 대해 각각 독립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패드(10, 30, 50)의 유아를 받치는 측을 표면측, 차일드 시트(2)와 접하는 측을 이면측이라 부른다. 각각의 패드(10, 30, 50)의 이면측의 형상은 차일드 시트(2)의 쿠션(1)이 배치되는 표면의 형상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다. 머리부 패드(10) 및 등부 패드(30)에 대해서는 백부(6)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하를 구별하고, 엉덩이부 패드(50)는 시트부(5)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후를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패드(10, 30, 50)의 좌우 방향은 차일드 시트(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것을 표현한다.
도2는 쿠션(1)의 사시도, 도3은 쿠션(1)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을 따른 쿠션(1)의 종단 단면도이다. 또한, 도3 및 도4는 쿠션(1)의 패드(10, 30, 50)를 평면 상에 나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4의 상하 방향이 각 패드의 높이 방향에 상당한다. 이하, 각 패드의 상세를 차례로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 또한 도5 내지 도9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는 표면측으로부터 보아 라운딩을 띤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머리부 패드(10)의 표면측에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하는 목 지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목 지지부(12)는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는, 그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중앙부보다도 표면측(도7 및 도8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구부려진 한 쌍의 만곡부(13)가 생기도록 구부려진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머리부 패드(10)의 표면에는,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면(도5 내지 도7의 해칭 영역)(14)이 형성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 지지부(12)의 능선(12a)은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여 옆머리 지지면(14)을 향해 매끄러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로 인해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하부 모서리가 목 지지부(12)로 둘러싸여 양쪽이 옆머리 지지면(14)으로 둘러싸이는 한편, 상부 모서리측이 개방된 함몰부(15)가 생긴다. 함몰부(15)는 유아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옆머리 지지면(14)은 머리부 패드(10)의 좌우 방향의 단면 상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구배로 경사져 있지만,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에 관해 옆머리 지지면(14)의 중앙부가 상하 단부보다도 외측으로 만곡하는 것에 의해 옆머리 지지면(14)은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목 지지부(12)의 높이, 옆머리 지지면(14)의 경사각, 함몰부(15)의 크기 등의 각 부의 치수는 차일드 시트(2)가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단, 목 지지부(12)의 높이는 유아의 뒷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뒷머리부의 돌출량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몰부(15)의 넓이도 뒷머리부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으로서, 함몰부(15)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목 지지부(12)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높이(Ha)(도4 참조)를 15 ㎜ 정도로 설정하고, 함몰부(15)의 바닥면의 법선, 바꾸어 말하면 머리부 패드(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CLa)의 방향에 대한 옆머리 지지면(14)의 경사각(θa)(도9 참조)을 40°내지 50°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함몰부(15)는, 도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100 내지 110 ㎜ 정도의 평탄한 원형 영역(Ch)이 확보되도록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는, 표피재(16)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17)로서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16)에는, 메쉬 천과 같이 통기성을 갖는 소재, 혹은 통기성이 부족한 천 등의 소재에 관통 구멍을 추가 가공하여 통기성을 확보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장재(17)로서는 솜, 우레탄, 저반발 우레탄, 겔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재(17)에 통기 구멍을 형성해도 좋고, 연결 기포를 갖는 우레탄 소재 등을 내장재(17)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내장재(17)는 머리부 패드(10)의 전체면에 걸쳐 설치되어도 좋고, 목 지지부(12)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함몰부(15)에 있어서 내장재(17)를 생략하고, 목 지지부(12) 및 만곡부(13)에만 내장재(17)를 마련해도 좋다.
도2 내지 도4, 또한 도10 내지 도1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는, 그 좌우 방향 양단부가 중앙부보다도 표면측으로 구부려진 형상을 갖고 있다. 도11에서는 그 만곡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만곡이 첨부되는 것에 의해, 등부 패드(3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유아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 지지면(31)이 형성되고, 그 등 지지면(31)의 양쪽에는 등부 패드(30)의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면(32)이 형성되어 있다(도10의 해칭 영역을 참조).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등 지지면(31)은 등부 패드(30)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 지지면(31)의 상단부(31a)는 머리부 패드(10)의 목 지지부(12)보다도 낮다. 또한,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측의 단부에는 등 지지면(31)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33)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33)은 등부 패드(30)를 차일드 시트(2) 상에 배치했을 때의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차일드 시트(2)의 시트부(5)와 백부(6)와의 사이에 는 만곡, 또는 굴곡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트부(5)의 후단부에 엉덩이부 패드(50)를 배치하고, 백부(6)의 하단부에 등부 패드(30)를 배치한 경우에는,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와 등부 패드(30)의 하단부가 간섭하여 이들을 하나로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경사면(33)은 그 간섭을 억제하여 엉덩이부 패드(50)와 등부 패드(30)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등부 패드(30)의 각 부의 치수는 차일드 시트(2)가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단, 등부 패드(30)의 만곡은 유아의 등으로부터 양 겨드랑이에 걸친 곡선에 맞는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으로서, 도12에 도시한 등 지지면(31)의 좌우 방향의 폭(Wb)을 140 내지 160 ㎜ 정도로 설정하고, 등부 패드(30)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CLb)의 방향에 대한 겨드랑이 지지면(32)의 경사각(θb)을 45°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부 패드(30)는, 표피재(34)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35)로서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34) 및 내장재(35)의 소재는 머리부 패드(10)의 표피재(16) 및 내장재(17)와 마찬가지로 선택해도 좋다. 내장재(35)는 등부 패드(30)의 전체면에 마련되어도 좋고, 일부에 한정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도2 내지 도4, 또한 도13 내지 도1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는, 엉덩이 지지면(51)과, 그 엉덩이 지지면(51)으로부터 엉덩이부 패드(5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려 경사지는 한 쌍의 무릎 지지면(52)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13에 있어서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는 도면의 좌측 단부에 상당하고, 도15에 있어서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는 도면의 상단부에 상당한다.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면(51)은,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도14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의 전방으로부터 보아, 엉덩이 지지면(51)은 엉덩이부 패드(50)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고, 무릎 지지면(52)을 향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15에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무릎 지지면(52)의 양단부에는 유아의 엉덩이부의 양쪽을 지지하는 경사면(51a)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들의 경사면(51a)은 무릎 지지면(52)으로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무릎 지지면(52)은 엉덩이 지지면(51)보다도 엉덩이부 패드(50)의 전방으로 약간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엉덩이 지지면(51)에서 엉덩이부를 지지하면서, 유아의 무릎을 무릎 지지면(52)에서 확실하게 받칠 수 있다.
도3 및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면(51)의 전방측에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하는 다리 지지면(53)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다리 지지면(53)의 도중에는, 가랑이 벨트(7)(도1 참조)를 통과하기 위한 벨트 구멍(54)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엉덩이 지지면(51)과 다리 지지면(53)의 경계를 이루는 능선(55)의 위치는 엉덩이 지지면(51)에 요구되는 넓이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엉덩이부 패드(50)의 각 부의 치수는 차일드 시트(2)가 대상으로 하는 유아 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다. 단, 엉덩이 지지면(51)은 유아의 엉덩이부,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엉덩이부에 장착된 기저귀의 표면에 맞는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릎 지지면(52)은 유아의 무릎이 무릎 지지면(52)을 넘어 좌우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으로서, 엉덩이 지지면(51)의 좌우 방향의 폭(Wc)(도16 참조)을 140 ㎜ 정도로, 전후 방향의 깊이(Dc)(도4 참조)를 80 ㎜ 정도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CLc)의 방향에 대한 무릎 지지면(52)의 경사각(θc)은 45°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는, 표피재(56)의 내측에 적절한 쿠션성을 갖는 탄성 재료를 내장재(57)로서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피재(56) 및 내장재(57)의 소재는 머리부 패드(10)의 표피재(16) 및 내장재(17)와 마찬가지로 선택해도 좋다. 내장재(57)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전체면에 설치되어도 좋고, 일부에 한정하여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측의 양쪽 모서리에는 좌우 방향 중심부를 향해 후퇴한 교축부(58)가 설치되어 있다. 교축부(58)는 차일드 시트(2)의 허리 벨트(8)를 엉덩이부 패드(50)의 표면측에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쿠션(1)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엉덩이부 패드(50)가 시트부(5)에 적재되는 한편, 등부 패드(30)는 그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에 접하도록 하여 백부(6)에 배치되고, 그 등부 패드(30)의 상방에 머리부 패드(10)가 더 적재된다. 다리 가랑이 벨트(7)는 엉덩이부 패드(50)의 벨트 구 멍(54)에 삽입 관통되고, 허리 벨트(8)는 엉덩이부 패드(50)의 후단부로부터 쿠션(1)의 표면측으로 인출되고, 어깨 벨트(9)는 등부 패드(30)와 머리부 패드(10)의 간극으로부터 쿠션(1)의 표면측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2)에 설치된 쿠션(1)의 표면측에 유아가 수용되어 벨트(7, 8, 9)로 구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유아를 차일드 시트(2)에 수용한 경우의 쿠션(1)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머리부 패드(10)에 있어서는, 유아의 머리부가 함몰부(15)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 패드(10)의 목 지지부(12)가 유아(100)의 뒷목에 대어져 목부가 등 뒤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아(100)의 머리부(101)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보유 지지하고,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여 호흡을 편안히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목 지지부(12)가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곡선을 그려 만곡하고 있으므로, 유아(100)의 목부를 좌우 방향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15)의 양쪽의 옆머리 지지면(14)에 의해 유아(100)의 머리부(101)가 양쪽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머리부(101)가 자연스럽게 정면을 향하게 되어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도 방지된다. 이들의 작용은, 특히 목을 가누기 전의 유아에 대해 효과적이다. 또한, 함몰부(15)의 상부 모서리측이 돌출부로 둘러싸이지 않고, 머리부 패드(10)의 상부 모서리측에 개방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개방감이 높아진다.
등부 패드(30)에 있어서는, 유아의 등이 등 지지면(31)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겨드랑이 지지면(32)이 유아(100)의 몸통부(102)에 외측으로부터 대어져 몸통부(102)가 측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아(100)의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이 방지된다. 등 지지면(31)이 등부 패드(30)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등 지지면(31)의 특히 하부를 유아의 허리에 대해 등 뒤로부터 충분히 접촉시키고, 그것에 의해 등부 패드에 의한 유아의 자세 보유 지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엉덩이부 패드(50)에 있어서는,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엉덩이 지지면(51)이 유아(100)의 엉덩이부(103)에 대어져 엉덩이부(103)가 지지된다. 엉덩이 지지면(51)에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전방을 향해 상향 구배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2)의 전방으로의 엉덩이부(103)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따라서, 엉덩이부의 앞으로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엉덩이 지지면(51)에 만곡이 부여되어 그 경사면(51a)이 엉덩이부의 측방에 접하는 것에 의해, 엉덩이부(103)를 감싸도록 엉덩이 지지면(51)이 엉덩이부(103)와 접촉하고, 그 결과, 엉덩이 지지면(51)에 의한 자세 보유 지지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50)에 있어서는, 무릎 지지면(52)이 유아(100)의 무릎(104)을 외측으로부터 접하도록 지지하는 것에 의해, 무릎(104)이 적절하게 내측으로 구부려진다. 이에 의해, 무릎(104)의 외측으로의 개방이 억제되어 하지(105)가 적절한 배향에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유아(100)의 하반신의 굴근과 신근의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신체의 변형이나 위축도 방지된다. 무릎 지지면(52)은 엉덩이 지지면(51)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엉덩이 지지면(51)에서 엉덩이부(103)를 지지하면서, 그 엉덩이부(103)의 전방에 위치하는 무릎(104)을 무릎 지지면(52)에서 확실하게 받칠 수 있다. 또한, 무릎 지지면(52)에 의해 내측으로 구부려진 하지(105)를 다리 지지면(53)에서 지지하는 것에 의해, 하지(105)를 전방으로 자연스러운 자세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쿠션(1)에 있어서는, 머리부 패드(10),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의 각각이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 단계에 따라서 이들의 패드(10, 30, 50)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신생아기(체중 2.5 ㎏ 내지 7 ㎏까지)에는 모든 패드(10, 30, 50)를 사용하고, 유아 전기(체중 7 ㎏ 내지 9 ㎏까지)에는 머리부 패드(10)만을 사용하고, 유아 후기(체중 9 ㎏ 이후)에는 모든 패드를 제거하는, 즉 쿠션(1)을 사용하지 않는 등의 사용 형태가 선택 가능하다. 또한, 신생아 전기에서 모든 패드를 제거하는 사용 형태, 유아 전기에서는 엉덩이부 패드(50)만을 사용하는 형태, 유신생아기에서는 어느 한쪽 2개의 패드만을 사용하는 형태 등도 선택 가능하다.
다음에, 머리부 패드(10)를 백부(6)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를 도20 및 도21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측에 한 쌍의 설치 벨트(60)를 고정하고, 각 벨트(60)의 일단부를 시트 본체(4)의 백부(6)에 설치된 어깨 벨트 구멍(6a)에 삽입 관통하고, 타단부를 백부(6)의 상단부로부터 백부(6)의 이면측으로 돌리고, 또한 각 벨트(60)의 양단부를 연결구(61)로 연결하여 각 벨트(60)를 루프형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연결구(61)로서는 버클, 면 패스너, 후크 등의 각종의 연결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22 및 도23은 머리부 패드(10)를 백부(6)에 설치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 타낸다. 본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측에, 머리부 패드(10)와는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된 패드 베이스(65)를 배치하고, 그 패드 베이스(65)와 머리부 패드(10)를 연결구(66)로 연결하고 있다. 패드 베이스(65)는 백부(6)에 대해 적절한 수단으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머리부 패드(10)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등부 패드(30)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백부(6)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머리부 패드(10)를 백부(6)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유아의 머리부의 높이에 맞추어 머리부 패드(10)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등부 패드(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패드를 차일드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크, 끈, 버클, 버튼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각 패드를 차일드 시트의 커버 또는 차일드 시트의 내장재(쿠션재 혹은 베이스판)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쪽 1개의 패드를 차일드 시트(2)에 연결하고, 그 패드에 대해 다른 패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각 패드를 차일드 시트(2)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2 이상의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그것들의 패드는 분리 가능해도 좋고, 분리 불가능해도 좋다. 패드(10, 30, 5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이하에 몇 가지의 예를 설명한다.
도24a 내지 도24e는,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4a의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 중앙에 띠형부(71)가 설치되고, 그 띠형부(71)의 표면 및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의 각각에 면 패스너(72A, 72B)가 접합되어 있다. 이들의 면 패스너(72A, 72B)를 이용하여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가 연결된다. 본 예에서는, 면 패스너(72A, 72B)의 중첩 범위를 차일드 시트(2)의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띠형부(71)를 등부 패드(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 패드(10)의 위치 조정 범위를 확대해도 좋다. 머리부 패드(10)의 면 패스너(72B)는 시트(2)의 표피재와 접하기 때문에 후크형의 돌기를 갖지 않는 암형측, 바꾸어 말하면 루프측의 면 패스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4b의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상부 모서리에 한 쌍의 띠형부(73)가 설치되고, 각 띠형부(73)의 표면에 후크(74A)가,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의 띠형부(73)에 대응한 위치의 각각에 후크(74A)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후크(74B)가 상하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등부 패드(30)의 후크(74A)를, 머리부 패드(10)의 어느 한쪽의 위치의 후크(74B)와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가 연결된다. 또한, 후크(74A)와 맞물리게 해야 하는 후크(74B)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4c의 예는, 후크(74A, 74B)를 맞물리게 하여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를 연결하는 점에서 도24b의 예와 공통된다. 단, 머리부 패드(10)의 띠형부(73)에 대응한 위치의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가이드(75)가 설치되고, 각 슬라이드 가이드(75)에 단일의 후크(74B)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24b의 예와 다르다. 본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후크(74B)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4d의 예에서는, 머리부 패드(10)의 하부 모서리에 한 쌍의 버튼(76)이 설치되고, 등부 패드(30)의 한 쌍의 띠형부(73)의 각각에는, 버튼(76)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버튼홀(77)이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버튼(76)을 어느 한쪽의 버튼홀(77)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머리부 패드(10)와 등부 패드(30)를 연결할 수 있고, 버튼홀(77)의 선택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등부 패드(30)에 대한 머리부 패드(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4e는 도24a의 변형예이며,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측에 면 패스너(72B)를 덮는 커버(78)가 추가되고, 등부 패드(30)의 띠형부(71)는 그 커버(78)의 하단부 개구부를 거쳐서 커버(78)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면 패스너(72B)가 머리부 패드(10)의 이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면 패스너(72B)를 후크 형의 돌기가 존재하는 수형측의 면 패스너로서도 상관없다. 또한, 도24a 내지 도24e의 예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10) 및 등부 패드(30)의 각각에 설치된 구성 요소를 서로 교체해도 패드(10, 30)를 마찬가지로 연결할 수 있다.
도25a 내지 도25c는 등부 패드(30)와 엉덩이부 패드(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8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5a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의 한 쌍의 띠형부(81)에 설치된 후크(82A)를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설치된 후크(82B)와 맞물리게 하여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25b는 등부 패드(30)의 하부 모서리 중앙의 띠형부(83)에 설치된 면 패스너(84A)를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설치된 면 패스너(84B)에 중첩하여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도25c는 엉덩이부 패드(50)의 이면에 설치된 버튼(85)을, 등부 패드(30)의 띠형부(81)의 버튼홀(86)에 통과시켜 패드(30, 50)를 연결하는 예이다. 또한, 도25a 내지 도25c의 예에 있어서도, 등부 패드(30) 및 엉덩이부 패드(50)의 각각에 설치된 구성 요소를 서로 교체해도 좋다. 도25b의 예에 있어서는, 면 패스너(84B)를 암형측의 면 패스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6a 및 도26b는 연결부(70, 80)의 각각을 덮는 커버(90, 91)를 등부 패드(30)의 이면측 상하부 모서리로부터 연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커버(90, 91)를 설치한 경우에는 패드(10, 30, 50)의 연결 부분에 간극이 비지 않으므로, 쿠션(1)을 분할 구조로 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마치 일체형의 쿠션과 같은 자세 보유 지지 효과, 혹은 쿠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형태에서는 각 패드를 각각 별개 부재로서 구성하여 서로 연결하고 있지만, 2 이상의 패드의 내장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등 하여 그들의 패드를 실질적으로 단일의 부품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제2 형태]
다음에, 도27 내지 도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용 쿠션을 설명한다. 도27은 제2 형태의 쿠션(201)을 차일드 시트(2)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8은 차일드 시트(2)에 설치된 쿠션(201)을 차일드 시트(2)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9는 차일드 시 트(2)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쿠션(201)의 길이 방향 중심선(도28의 XXⅨ-XXⅨ선에 상당)을 따른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차일드 시트(2)는 제1 형태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쿠션(201)은 머리부 패드(210)와 복합형 패드(220)를 갖고 있다. 머리부 패드(210)와 복합형 패드(2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복합형 패드(220)는, 시트 쿠션(2)의 백부(6)로부터 시트부(5)에 걸친 만곡 형상을 따른 일체형의 패드형 부품으로서 구성되고, 그 만곡 부분으로부터 백부(6)측에는 등부 패드(230)가, 만곡 부분으로부터 시트부(5)측에는 엉덩이부 패드(2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29 참조).
머리부 패드(210)는 유아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목적으로 백부(6)에 설치되고, 등부 패드(230)는 유아의 등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엉덩이부 패드(250)는 유아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각각의 패드(210, 230, 250)의 이면측, 즉 차일드 시트(2)와 접하는 측의 형상은, 차일드 시트(2)의 쿠션(1)이 배치되는 표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210) 및 등부 패드(230)에 대해서는 백부(6)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하를 구별하고, 엉덩이부 패드(250)는 시트부(5)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후를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패드(210, 230, 250)의 좌우 방향은 차일드 시트(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것을 표현한다.
머리부 패드(210)의 표면측(도29에 있어서 상측)에는, 유아의 뒷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212)(도29 참조)가 머리부 패드(21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 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 패드(210)는, 그 좌우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중앙부보다도 표면측을 향해 구부려진 한 쌍의 만곡부(213)가 생기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활 모양으로 만곡한 외관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머리부 패드(210)의 표면에는, 머리부 패드(21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면(도28의 해칭 영역)(214)이 형성되어 있다. 목 지지부(212)의 능선(212a)(도27 참조)은, 제1 형태의 목 지지부(12)와 마찬가지로, 머리부 패드(210)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여 옆머리 지지면(214)을 향해 매끄러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하고 있다. 머리부 패드(210)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로 인해 머리부 패드(21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하부 모서리가 목 지지부(212)로 둘러싸여 양쪽이 옆머리 지지면(214)으로 둘러싸이는 한편, 상부 모서리측이 개방된 함몰부(215)가 생긴다. 함몰부(215)는 유아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옆머리 지지면(214)은 일정한 구배로 기울어도 좋고, 주발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머리부 패드(210)의 각 부의 치수에 대해서는, 차일드 시트(2)가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지만, 일례로서 제1 형태와 같은 치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 패드(210)는 제1 형태의 머리부 패드(10)와 마찬가지로, 표피재의 내측에 탄성 재료제의 내장재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내장재는 머리부 패드(210)의 전체에 설치되어도 좋고, 머리부 패드(210)의 일부, 예를 들어 목 지지부(212)의 내부, 또는 옆머리 지지면(214)의 등 뒤, 혹은 이들의 양자로 한정하여 설치되어도 좋다.
등부 패드(230)는, 유아의 등부를 받치는 대략 평탄한 등 지지면(231)과, 그 등 지지면(231)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등부 패드(23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면(도28의 해칭 영역)(232)을 구비하고 있다. 도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등 지지면(231)은, 백부(6)의 표면 또는 그 표면의 연장선(L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등부 패드(230)의 하단부측, 즉 엉덩이부 패드(250)와의 경계측 상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6)의 표면으로부터의 등 지지면(231)의 상단부(231a)의 높이는, 시트부(6)의 표면으로부터의 머리부 패드(210)의 목 지지부(212)의 높이보다도 낮다. 또한, 등부 패드(230)의 치수는 차일드 시트(2)가 대상으로 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해도 좋지만, 일례로서 제1 형태와 같은 치수를 채용할 수 있다.
엉덩이부 패드(250)는, 그 표면측에 엉덩이부 패드(250)의 좌우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엉덩이 지지면(251)과, 그 엉덩이 지지면(251)의 좌우 방향에 관한 양쪽에 위치하고, 또한 엉덩이부 패드(250)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는 한 쌍의 무릎 지지면(252)과, 엉덩이 지지면(251)과 무릎 지지면(252)과의 사이로부터 엉덩이부 패드(250)의 전방을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면(253)을 구비하고 있다. 엉덩이 지지면(251)은, 시트부(5)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엉덩이부 패드(250)의 후단부측, 즉 등부 패드(230)와의 경계측으로부터 전단부측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져 있다. 엉덩이 지지면(251)의 후단부와 등 지지면(31)의 하단부는 만곡부(221)를 거쳐서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다리 지지면(253)은, 시트부(5)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엉덩이 지지면(251)의 전방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엉덩이 지지면(25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 또는 그것보다도 전방측의 위치로부터 엉덩이부 패드(25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되고, 그것들의 전단부(253a)는 엉덩이 지지면(251)의 전단부(251a)보다도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도29 참조). 또한, 여기서는 시트부(5)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구배의 방향을 특정했지만, 엉덩이부 패드(250)의 이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면으로부터 표면까지의 거리, 즉 엉덩이부 패드(25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향 구배가 부여되고,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하향 구배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서 취급하면 좋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250)에는 무릎 지지면(252) 및 다리 지지면(253)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엉덩이부 패드(250)의 전단부까지 상향 구배를 그려 연장하는 한 쌍의 다리 받침면(254)이 설치되어 있다. 다리 지지면(253)과 다리 받침면(254)과의 사이에는 차일드 시트(2)의 가랑이 벨트(7)[도7(도1 참조)]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 구멍(255)이 엉덩이부 패드(25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 받침면(254)은, 그 벨트 구멍(255)으로부터 엉덩이부 패드(250)의 전단부까지 엉덩이부 패드(250)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슬릿(256)에 의해 좌우 방향에 관해 분리되어 있다. 또한, 도29에서는, 다리 받침면(25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복합형 패드(220)는, 머리부 패드(210)와 마찬가지로 표피재의 내측에 내장재를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내장재는 복합형 패드(220)의 전체에 설치되어도 좋고, 그 일부에 한정되어 설치되어도 좋다. 이하, 도30 내지 도34를 참조하여, 복합형 패드(220)에 사용되는 내장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30은 내장재의 평면도, 도31은 도30의 화살표 XXXI 방향으로부터 본 내장재의 측면도, 도32는 도30의 XXXⅡ-XXXⅡ선을 따른 내장재의 단면도, 도33은 도31의 화살표 XXXⅢ 방향으로부터 본 내장재의 정면도, 도34는 도31의 XXXⅣ-XXXⅣ선을 따른 내장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29에서는 엉덩이부 패드(250)가 등부 패드(230)의 좌측에 위치하는 배향에서 복합형 패드(220)가 그려져 있지만, 도30 내지 도32에서는 엉덩이부 패드(250)가 등부 패드(230)의 우측에 위치하는 배향에서 내장재(221)가 그려져 있다. 내장재(221)는 복합형 패드(220)가 자중에 의해 변형하지 않고,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는 강성을 복합형 패드(220)에 부여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설치되어 있고, 그 재질에는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수지재가 적절하게 이용된다. 내장재(221)가 표피재[도27 및 도28에서 패드(220)의 표피를 구성하는 부분]로 적절하게 덮여 복합형 패드(220)가 형성된다.
도30 내지 도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장재(221)는 등부 코어(222)와, 엉덩이부 코어(223)를 구비하고 있다. 등부 코어(222)는 등부 패드(230)의 코어재로서 기능하고, 엉덩이부 코어(223)는 엉덩이부 패드(250)의 코어재로서 기능한다. 코어(222, 223)의 이면(222a, 223a)은 차일드 시트(2)의 백부(6) 및 시트부(5)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부 코어(222)는, 그 하단부측[엉덩이부 코어(223)와의 경계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두께가 감소하 도록 형성되어 있다. 등부 코어(222)의 표면은, 등부 패드(230)의 등 지지면(231)을 형성하기 위한 대략 평탄하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 등 지지면 형성부(222b)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등 지지면 형성부(222b)의 치수는 등부 패드(230)의 등 지지면(231)의 치수에 일치한다. 등부 코어(222)에는, 등부 패드(230)의 겨드랑이 지지면(232)에 상당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등부 코어(222)는, 등 지지면(231)의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등부 패드(230)의 겨드랑이 지지면(232)의 부분에 대해서는, 내장재(221)와는 다른 내장재가 설치되어도 좋고, 표피재만이 설치되어도 좋다. 겨드랑이 지지면(232)의 부분에 내장재를 설치하는 경우, 그 소재는 내장재(221)와 동일해도 좋고, 내장재(221)와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쿠션재라도 좋다.
한편, 엉덩이부 코어(223)는 엉덩이부 패드(250)의 엉덩이 지지면(251) 및 다리 지지면(253)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엉덩이부 코어(223)의 표면(223b)에는, 엉덩이 지지면(251)을 형성하기 위한 엉덩이 지지면 형성부(223c)와, 다리 지지면(253)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 지지면 형성부(223d)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지지면 형성부(223c)는, 엉덩이부 코어(223)의 이면(223a)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그 후단부측으로부터 전단부측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진다. 한편, 다리 지지면 형성부(223d)는, 엉덩이부 코어(223)의 이면(223a)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그 후단부측으로부터 전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진다. 또한, 다리 지지면 형성부(223d)에는 약간의 라운딩이 부여되어 있다. 다리 지지면 형성부(223d) 사이에는 벨트 구멍(255)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223e)가 마련되어 있다. 엉덩이부 코어(223)에는 엉덩이부 패드(250)의 무릎 지지면(252) 및 다리 받침면(254)에 상당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엉덩이부 코어(223)는 엉덩이 지지면(251) 및 다리 지지면(253)에 소정의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코어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부 패드(250)의 무릎 지지면(252) 및 다리 받침면(254)의 부분에 대해서는, 내장재(221)와는 다른 내장재가 설치되어도 좋고, 표피재만이 설치되어도 좋다. 무릎 지지면(252) 및 다리 받침면(254)의 부분에 내장재를 설치하는 경우, 그 소재는 내장재(221)와 동일해도 좋고, 내장재(221)와는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쿠션재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쿠션(201)에 따르면, 머리부 패드(210)에 설치된 목 지지부(212), 옆머리 지지면(214) 및 함몰부(215)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제1 형태의 머리부 패드(10)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등부 패드(230)에 설치된 등 지지면(231) 및 겨드랑이 지지면(232)에 의해 유아의 몸통부를 제1 형태의 등부 패드(30)와 마찬가지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부 패드(250)에 설치된 엉덩이 지지면(251)에 의해 유아의 엉덩이부의 앞으로 어긋남을 억제하고, 무릎 지지면(252)에 의해 유아의 하지를 적절한 배향에 보유 지지하고, 다리 지지면(253)에 의해 유아의 하지를 전방에 자연스러운 자세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다리 지지면(253)의 전방에는 상향 구배가 부여된 다리 받침면(25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연장된 유아의 다리 부분을 확실하게 받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다리 지지면(254)의 후단부가 엉덩이 지지면(251)의 전단부(251a)보다도 엉덩이부 패드(250)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엉덩 이 지지면(251)에서 지지된 엉덩이부에서 연장되는 유아의 대퇴부를 보다 자연스럽게 다리 지지면(253)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형태에 있어서, 머리부 패드(210)와 복합형 패드(220)를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해도 좋다. 그들의 연결 구조는 제1 형태에 관해 도시한 각종 연결 구조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형태에서는 등부 패드(230)와 엉덩이부 패드(250)를 일체로 형성했지만, 이들을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를 그 턱이 약간 들어 올려진 자세로 보유 지지하여 그 기도의 압박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아의 머리부의 옆으로 쓰러짐, 옆으로 어긋남을 억제하여 그 머리부를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등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체간의 옆으로 어긋남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엉덩이부 패드에 의해 유아의 엉덩이부의 앞으로 어긋남에 의한 복부의 굴곡, 혹은 압박을 방지하면서, 유아의 하지를 적절한 배향에 보유 지지하여 유아의 하반신의 굴근과 신근의 균형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신체의 변형, 혹은 위축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엉덩이부 패드의 무릎 지지면에서 유아의 무릎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무릎을 적절하게 내측으로 구부려 하지를 적절한 방향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착석 상태에 있어서 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일드 시트 상에 배치되는 머리부 패드, 등부 패드 및 엉덩이부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 패드에는, 상기 머리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돌출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옆머리 지지면이 마련되고, 상기 등부 패드에는, 상기 등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면이 마련되고, 상기 엉덩이부 패드에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엉덩이 지지면과,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양단부를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도록 경사지는 한 쌍의 무릎 지지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부의 능선이 상기 머리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여, 상기 옆머리 지지면을 향해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 지지부 및 상기 옆머리 지지면으로 둘러싸인 함몰부가 상기 머리부 패드의 상부 모서리측에 개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의 상기 겨드랑이 지지면 사이에는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면이 마련되고, 상기 등 지지면은 상기 등부 패드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하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 패드의 하부 모서리측의 단부에는 상기 등 지지면을 향해 상향 구배를 그리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상기 엉덩이 지지면이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바닥으로 하는 오목 곡선을 그리도록 높이 방향에 관해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상기 무릎 지지면이 상기 엉덩이 지지면보다도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8.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상기 엉덩이 지지면의 전방측에는 상기 엉덩이부 패드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구배를 그려 연장하고 있는 다리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 상기 등부 패드 및 상기 엉덩이부 패드 중 적어도 2개의 패드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10.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패드가 상기 등부 패드에 대해 상기 차일드 시트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쿠션.
KR1020060105981A 2005-11-01 2006-10-31 차일드 시트용 쿠션 KR101274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8585 2005-11-01
JP2005318585A JP2007125935A (ja) 2005-11-01 2005-11-01 チャイルドシート用クッショ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13A KR20070047213A (ko) 2007-05-04
KR101274892B1 true KR101274892B1 (ko) 2013-06-14

Family

ID=3807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981A KR101274892B1 (ko) 2005-11-01 2006-10-31 차일드 시트용 쿠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7125935A (ko)
KR (1) KR101274892B1 (ko)
CN (1) CN1958334B (ko)
HK (1) HK1103383A1 (ko)
TW (1) TWI3780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CN102741085B (zh) 2009-11-09 2016-05-04 宝得适儿童用品有限公司 带撞击保护功能的儿童座椅
JP5707143B2 (ja) * 2011-01-17 2015-04-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幼児支持パッド構造
KR200474112Y1 (ko) * 2012-07-10 2014-08-28 김윤정 유아용 캐리어
WO2018211744A1 (ja) * 2017-05-16 2018-11-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発泡成形体
JP7094573B2 (ja) * 2020-02-20 2022-07-04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サポート及び育児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365A (ja) * 1992-12-15 1994-08-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椅子状ベッド
JPH1111192A (ja) * 1997-06-26 1999-01-19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JP2001114001A (ja) * 1999-10-18 2001-04-24 Tagashira:Kk チャイルド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766A (en) * 1985-02-25 1986-12-3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Neonatal infant seat
US5916089A (en) * 1997-02-06 1999-06-29 Ive; Diana R. Support article for use with infant carrier device
CN2453777Y (zh) * 2000-11-28 2001-10-17 张宗汉 婴儿坐卧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365A (ja) * 1992-12-15 1994-08-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の椅子状ベッド
JPH1111192A (ja) * 1997-06-26 1999-01-19 Car Mate Mfg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JP2001114001A (ja) * 1999-10-18 2001-04-24 Tagashira:Kk チャイル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8334B (zh) 2011-04-06
TWI378043B (en) 2012-12-01
CN1958334A (zh) 2007-05-09
KR20070047213A (ko) 2007-05-04
HK1103383A1 (en) 2007-12-21
TW200720122A (en) 2007-06-01
JP2007125935A (ja)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344B1 (ko) 베이비 랙용 쿠션
US7841657B2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KR101302305B1 (ko) 베이비 카용 쿠션
CN113382664B (zh) 带有增强的运动自由度的可调节型儿童背带
EP2387892B1 (en) Nursing cushion
KR101274892B1 (ko) 차일드 시트용 쿠션
US8272546B2 (en) Baby carrier support belt
US20070062988A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JP2021514696A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2335879B1 (ko)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20060041992A (ko) 아기 보호 띠
JP2003111647A (ja) 子守帯
KR0123567Y1 (ko)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JP7440249B2 (ja) 乳幼児用座席装置用インナーシート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JP4463523B2 (ja) 帯状物品の連結構造、これを用いた子守帯、及び固定側バックル
JP2023075896A (ja) 子守帯
JP2023075886A (ja) 子守帯およびその臀部高さ調節部材
JP2023082266A (ja) 子守帯
KR200364173Y1 (ko) 배낭형 유아용 포대기
JP4536875B2 (ja) 椅子用乳幼児落下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