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62B1 - 항염증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62B1
KR101326162B1 KR1020090093911A KR20090093911A KR101326162B1 KR 101326162 B1 KR101326162 B1 KR 101326162B1 KR 1020090093911 A KR1020090093911 A KR 1020090093911A KR 20090093911 A KR20090093911 A KR 20090093911A KR 101326162 B1 KR101326162 B1 KR 10132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extract
extract
inflammatory
leaf
ch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317A (ko
Inventor
현창구
양은진
송관필
이욱재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09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로쇠나무 잎 추출물, 가막살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멀구슬나무 잎 추출물, 인동 전초(全草) 추출물, 고비 전초 추출물, 사방오리 잎 추출물, 비목나무 잎 추출물 등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염증, 식물

Description

항염증성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염증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로쇠나무 잎 추출물, 가막살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멀구슬나무 잎 추출물, 인동 전초 추출물, 고비 전초 추출물, 사방오리 잎 추출물, 비목나무 잎 추출물 등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선천성 면역 반응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 반응은 대식세포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통해 비자기(non-self)로 인식하고 공격함으로써 시작된다. 염증 반응 시에는 염증 부위에 혈장이 축적되어 세균이 분비한 독성을 희석시키며, 혈류가 증가하고, 홍반,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증상이 수반되게 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특히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와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합성과 관련되는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가 염증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NOS는 세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하는데, 칼슘이나 카모듈린 의존성인 eNOS(내피성 NOS)와 nNOS(신경성 NOS), 그리고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세균의 내독소나 IL-1β, TNF-α, IL-6, IL-8, IL-12과 같은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iNOS(유도성 NOS)가 있으며,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산화질소(NO)를 생성한다.
eNOS나 n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혈압 조절 작용, 신경 전달 작용, 학습, 기억 등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i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관절염, 패혈증,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신경세포의 사멸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ncade S. et al, Pharmacol. Rev., 1991, 43, 109; Nature Medicine, 2001, 7, 1138; Mu, M. M., J. Endotoxic Res. 7, p341, 2001).
COX 효소는 COX의 기능과 함께 하이드로퍼옥시다제(hydroperoxidase, HOX) 활성을 가지고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중간체인 PGG2와 PGH2를 합성하며, 이들 화합물로 PGE2, PGF2, PGD2, 프로스타시클린 및 트롬복신A2(thromboxane A2, TxA2)를 만든다. COX의 기능 중 PGH 합성효소의 기능은 PGE2의 합성을 통해 통증과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COX에는 두 가지 아형이 있고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 항시 발현되는데 비해, COX-2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신속히 발현이 유도되어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iNOX 억제 활성이나 COX-2 억제 활성, NO, PGE2, TNF-α, IL-6 등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은 염증질환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염증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260여 종의 식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NO 생성 억제 활성, PGE2 생성 억제 활성, IL-6 생성 억제 활성 및/또는 TNF-α 생성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아래의 <표 1>에 나열된 122종의 식물 추출물이 NO 생성 억제 활성, PGE2 생성 억제 활성, IL-6 생성 억제 활성 및/또는 TNF-α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증성 조성물은, 고로쇠나무 잎 추출물, 가막살나무 잎 추출물, 덜꿩나무 잎 추출물, 으름덩굴 잎 추출물, 박새 전초 추출물, 개족도리풀 전초 추출물, 화살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분단나무 잎 추출물, 붉나무 잎 추출물, 화살나무 잎 추출물, 실거리나무 잎 추출물, 구릿대 전초 추출물, 긴잎달맞이꽃 전초 추출물, 층층나무 잎 추출물, 멀구슬나무 잎 추출물, 인동 전초 추출물, 고비 전초 추출물, 사방오리 잎 추출물, 멍석딸기 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해국 잎 추출물, 예덕나무 잎 추출물, 나문재 전초 추출물, 개다래 전초 추출물, 비목나무 잎 추출물, 쥐똥나무 잎 추출물, 정금나무 잎 추출물, 섬오갈피나무 가지 추출물, 등 잎 추출물, 굴피나무 잎 추출물, 떡갈나무 잎 추출물, 풍게나무 잎 추출물, 소사나무 잎 추출물, 병개암나무 잎 추출물, 서어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작살나무 잎 추출물, 덧나무 잎 추출물, 삼색병꽃나무 잎 추출물, 소태나무 잎 추출물, 병꽃나무 잎 추출물, 때죽나무 잎 추출물, 버드나무 잎 추출물, 좀참빗살나무 잎 추출물, 붉나무 잎 추출물, 목련 잎 추출물, 참개암나무 잎 추출물, 이나무 잎 추출물, 말채나무 잎 추출물, 후피향나무 잎 추출물, 꽃댕강나무 잎 추출물, 참느릅나무 잎 추출물, 산뽕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마가목 잎 추출물, 털팥배나무 잎 추출물, 팥배나무 잎 추출물, 사옥 잎 추출물, 쪽동백나무 잎 추출물, 고추나무 잎 추출물, 머귀나무 잎 추출물, 사람주나무 잎 추출물, 솔비나무 잎 추출물, 육박나무 잎 추출물,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산개벚지나무 잎 추출물,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꾸지나무 잎 추출물, 오구나무 잎 추출물, 광대싸리 잎 추출물, 들메나무 잎 추출물, 칠엽수 잎 추출물, 회화나무 잎 추출물, 붉은토끼풀 잎 추출물, 섬오갈피나무 잎 추출물, 애기땅빈대 전초 추출물, 은행나무 잎 추출물, 개옻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검양옻나무 잎 추출물, 두충 잎 추출물, 고추나무 잎 추출물, 고욤나무 잎 추출물, 큰달맞이꽃 잎 추출물, 큰달맞이꽃 줄기 추출물, 구릿대 줄기 추출물, 개머루 전초 추출물, 갯길경 전초 추출물, 질경이 전초 추출물, 붓순나무 잎 추출물, 좁은잎천선과나무 줄기 추출물, 모람 열매 추출물,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 산유자나무 잎 추출물, 비쑥 전 초 추출물, 제비쑥 전초 추출물, 참나무겨우살이 잎 추출물, 등대풀 전초 추출물, 소귀나무 잎 추출물, 겨울딸기 잎 추출물, 유럽점나도나물 전초 추출물, 자주광대나물 전초 추출물, 무환자나무 잎 추출물, 당광나무 잎 추출물, 꾸지나무 잎 추출물, 참골무꽃 잎 추출물, 꽃향유 잎 추출물, 남오미자 지상부 추출물, 계요등 지상부 추출물, 모새나무 지상부 추출물, 센달나무 잎 추출물, 개속새 지상부 추출물, 동백나무 잎 추출물, 상산 잎 추출물, 작살나무 잎 추출물, 갯사상자 전초 추출물, 말오줌때 전초 추출물, 갯강활 전초 추출물, 수송나물 전초 추출물, 말똥비름 전초, 및 파초 줄기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NO 생성 억제 활성, PGE2 생성 억제 활성, IL-6 생성 억제 활성 및/또는 TNF-α 생성 억제 활성이 높은, 고로쇠나무 잎 추출물, 가막살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멀구슬나무 잎 추출물, 인동 전초 추출물, 고비 전초 추출물, 사방오리 잎 추출물, 비목나무 잎 추출물, 쥐똥나무 잎 추출물, 정금나무 잎 추출물, 굴피나무 잎 추출물, 소사나무 잎 추출물, 병개암나무 잎 추출물, 서어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버드나무 잎 추출물, 목련 잎 추출물, 참개암나무 잎 추출물, 이나무 잎 추출물, 말채나무 잎 추출물, 후피향나무 잎 추출물, 참느릅나무 잎 추출물, 산뽕나무 잎 추출물, 아그배나무 잎 추출물, 마가목 잎 추출물, 털팥배나무 잎 추출물, 팥배나무 잎 추출물, 쪽동백나무 잎 추출물, 사람주나무 잎 추출물, 육박나무 잎 추출물,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오구나무 잎 추 출물, 광대싸리 잎 추출물, 들메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검양옻나무 잎 추출물, 큰달맞이꽃 잎 추출물, 좁은잎천선과나무 줄기 추출물, 비쑥 전초 추출물, 꽃향유 잎 추출물, 모새나무 지상부 추출물, 상산 잎 추출물, 갯사상자 전초 추출물, 및 말오줌때 전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상기 각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는 부피 백분율(v/v)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아래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질환의 발병 억제/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이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어떠한 상태로서 정의될 있다. 이러한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염증성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첨가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투여용 또는 비경구투여용으로 제제화하게 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의 예는 락토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전분, 탈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라비아고무, 올리브유, 참기름, 카카오버터, 에틸렌글리콜, 기타 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경구투여용 고체 조성물의 예는 정제, 환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체 조성물에서는 유효성분인 식물 추출물이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락토스, 만니톨, 포도당,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미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 피롤리돈,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등과 혼합된다. 고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첨가물, 예를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섬유소 글리콜산 칼슘과 같은 붕해제, 글루타민산 또는 아스파라긴산과 같은 용해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따라 슈크로스,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피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 액체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엘릭서제 등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용 주사제로는, 무균의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제, 현탁제, 에멀젼화제가 포함된다. 수성의 용액제·현탁제로는, 예를 들면 주사용 물 및 주사용 생리식염수가 포함된다. 비수성의 용액제·현탁제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유,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폴리솔베이트 80®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다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예를 들면, 유당), 용해보조제(예를 들면,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정밀여과막에 의한 여과멸균, 고압증기멸균과 같은 가열멸균, 또는 살균제 배합 등의 통상적인 멸균 방 법으로 무균화될 수 있다. 주사제는 용액제제, 또는 사용 시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동결-건조 제제일 수 있다. 동결-건조를 위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만니톨, 글루코스 등의 당알콜이나 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방법 또는 비경구 투여방법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투여방법, 예를 들면, 주사에 의한 투여(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 내에의 주사 등으로 투여), 경피투여, 경점막투여(경직장투여 등), 경폐투여 등이다. 물론 경구투여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0.005 ㎍/kg ~ l00 mg/kg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기는 0.02㎍/kg ~ 5mg/kg의 범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항염증성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 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을 부가하여 가지도록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염증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성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각종 식물 추출물 제조
아래 <표 1>의 122종의 각종 식물의 잎, 줄기, 지상부, 가지 또는 전초(全草)를 80%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암농축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각각의 시료는 분주하여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표 1]
추출에 사용한 식물 및 추출 부위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1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2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3
<실험예> 항염 활성 평가
<1> 세포 배양 및 시약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를 KCLB (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 받아 100 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배지를 사용하여 37 ℃, 5% CO 2 항온기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 계대 배양에 사용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 지와 fetal bovine serum (FBS)은 Hyclone (Logan, Utah, USA)에서 구입하였고, lipopolysaccharide (LPS, E. coli serotype 0111:B4)는 sigma (St. Louis, MO)로부터 구입하였다. TNF-α와 IL-6 정량을 위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는 BD Biosciences (San Diego,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PGE2 정량을 위한 ELISA kit는 R&D systems (Minneapolis, US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2>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활성 측정
RAW 264.7 세포 (1.5×105 cells/㎖)를 18시간 전 배양 후, 실시예의 각 시료(100 ㎍/㎖)와 LPS(1 ㎍/㎖)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고, 생성된 NO는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층액 100㎕와 Griess시약[1% (w/v) sulfanilamide, 0.1% (w/v) naphtylethylenedi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을 동량 혼합하여 10분간 실온 암소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 (NaNO2)를 serial dilution하여 얻었다 (10-100μM).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NO 생성 억제 활성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4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5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6
상기 <표 2>의 결과는 상기 각 시료가 모두 NO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참고로 상기 각 시료의 처리 농도에서의 세포 독성은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는데, 상기 각 시료는 모두 특별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약간의 세포독성을 보이는 추출물(예컨대 으름덩굴 잎 추출물, 쥐똥나무 잎 추출물, 후피향나무 잎 추출물,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 등)이 있었지만, 그것의 세포독성 이상으로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3> 염증 매개 인자인 TNF-α, IL-6 및 PGE 2 의 정량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 (4.0×105 cells/㎖)를 18시간 전 배양하고 상기 각 시료(100 ㎍/㎖)를 LPS(1 ㎍/㎖)와 동시처리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min) 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GE2, TNF-α와 IL-6 함량을 측정하였다. 정량은 murin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 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 (Cho et al., 2000).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염증 매개 인자의 억제율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7
상기 <표 3>의 결과는 상기 각 시료를 LPS와 함께 처리했을 때의 결과이다. <표 3>에서 상기 각 시료가 염증 매개 인자 즉 PGE 2 , TNF-α및 IL-6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각 시료의 세포 독성은 아래의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세포독성 평가
세포독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생존하면서 대사가 왕성한 세포는, 세포 내 mitochondria의 탈수소효소 작용에 의하여 수용성의 노란색 MTT [3-(4,5-dimethylthiax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를 환원시켜 자주색을 띠는 비 수용성의 formazan을 형성한다 (Gerlier et al ., 1986; Liu, 1999). RAW 264.7 세포 (1.5×10 5 cells/㎖)에 각 시료(100 ㎍/㎖)를 LPS (1 ㎍/㎖)와 동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MTT (Sigma, MO, USA) 용액 50 ㎕ (2 ㎖/㎎)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imethylsulfoxide (DMSO : Sigma, MO, USA)를 200 ㎕를 가하여 침전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 (Amersham Pharmacia Biotech, NY,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4]
세포 독성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8
Figure 112009060643990-pat00009
Figure 112009060643990-pat00010
상기 <표 4>의 결과는 상기 각 실시예 시료의 NO 생성 억제 활성 및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 억제 활성이 세포 독성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보여준다.

Claims (8)

  1. 서어나무 잎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성은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염증성 질환의 개선, 치료, 발병 억제 또는 발병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서어나무 잎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090093911A 2009-10-01 2009-10-01 항염증성 조성물 KR10132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11A KR101326162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증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11A KR101326162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증성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20A Division KR101630801B1 (ko) 2012-05-30 2012-05-30 항염증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17A KR20110036317A (ko) 2011-04-07
KR101326162B1 true KR101326162B1 (ko) 2013-11-07

Family

ID=4404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911A KR101326162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증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4243A (zh) * 2014-12-08 2015-04-22 甘元兴 关节疼痛的中药制剂配方
CN104839382A (zh) * 2014-06-20 2015-08-19 三峡大学 一种灵芝海棠茶及制备工艺及其应用
CN105311237A (zh) * 2015-05-20 2016-02-10 孙喜范 一种治疗过敏性鼻炎病中药
WO2017007273A1 (ko) * 2015-07-08 2017-01-12 한국한의학연구원 각막질환 또는 결막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15B1 (ko) * 2010-11-23 2014-06-30 대한민국 누리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50179B1 (ko) * 2011-06-17 2013-04-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인도산 멀구슬나무 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내독소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9096B1 (ko) * 2011-09-14 2018-06-20 애경산업(주)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2283942A (zh) * 2011-09-16 2011-12-21 耿彬 一种治疗强直性脊柱炎的内服中药制剂
KR101355821B1 (ko) * 2011-10-05 2014-01-27 강인위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23344B1 (ko) * 2011-11-15 2013-10-29 (주)제주사랑농수산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CN102580021B (zh) * 2011-11-16 2013-07-17 姜艳艳 用于原发性肾小球肾炎的鳖黄青白汤
KR101346617B1 (ko) * 2011-11-17 2014-01-23 김연수 전복 젓갈 또는 소라 젓갈의 제조 방법
KR101230644B1 (ko) * 2012-02-16 2013-02-06 주식회사 더마프로 모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2657786B (zh) * 2012-03-22 2013-07-03 翟爱玲 一种治疗躁狂症的饮剂
KR101443049B1 (ko) * 2012-05-08 2014-09-2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CN102697894B (zh) * 2012-06-04 2014-04-30 韦相炎 一种用于治疗鼻腔炎症性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49802B1 (ko) * 2012-09-03 2014-10-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병개암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464406B1 (ko) * 2012-09-03 2014-11-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440290B1 (ko) * 2012-11-08 2014-09-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33264B1 (ko) * 2012-11-23 2016-06-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소독용 조성물
KR101359728B1 (ko) * 2013-03-25 2014-02-2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432269B (zh) * 2013-09-23 2014-12-10 梁付奎 一种治疗放射性肠炎的中药制剂
CN103655745B (zh) * 2013-12-17 2016-05-18 广西厚德大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治疗烧烫伤的药物组合物
CN103751287A (zh) * 2014-02-13 2014-04-30 福建省华杭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辅助保护化学性肝损伤的药物组合物和胶囊及其制备方法
WO2015147597A1 (ko) * 2014-03-27 2015-10-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호모에고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000926A (zh) * 2014-05-22 2014-08-27 薛永梅 一种用于治疗小儿肠炎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1665354B1 (ko) * 2014-10-01 2016-10-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때죽나무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4474055B (zh) * 2014-11-18 2017-03-08 潍坊医学院 一种治疗正畸儿童牙龈炎的药物组合物
US10376553B2 (en) 2015-05-13 2019-08-1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Magnoliae flos extract, fraction, or active fraction thereof
KR101631314B1 (ko) * 2015-07-29 2016-06-20 한국식품연구원 정공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056176A (zh) * 2015-08-03 2015-11-18 李强 一种用于治疗子宫肌瘤的药物制剂
CN105876650A (zh) * 2016-04-01 2016-08-24 吉林农业大学 添加五味子香薷提取物的林蛙健康即食食品的制作方法
US20180085415A1 (en) * 2016-09-23 2018-03-29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Method of treating macrophage foam cell formation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macrophage foam cell formation
WO2018062895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코팜 오스문드아세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441323A (zh) * 2017-08-07 2017-12-08 丁武沛 一种治疗霉菌性尿道炎的中药
KR102106325B1 (ko) * 2017-11-14 2020-05-06 한국식품연구원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7597A (ko) * 2018-03-12 2019-09-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7836B1 (ko) * 2018-06-29 2021-05-28 대한민국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EP3848043A4 (en) * 2018-09-04 2022-06-22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FOR IMPROVING A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AN EXTRACT OF PALIURUS RAMOSISSIMUS (LOUR.) PEAR
KR102610447B1 (ko) * 2018-09-28 2023-12-06 (주)아모레퍼시픽 회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식품 조성물
KR102109274B1 (ko) 2018-10-19 2020-05-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랭이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127570B1 (ko) 2018-10-19 2020-06-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226144B1 (ko) * 2018-11-29 2021-03-11 대한민국 항염증 또는 면역 억제 활성을 갖는 나문재 된장의 제조방법
KR102162843B1 (ko) * 2018-12-27 2020-10-07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18733A2 (ko) * 2019-04-23 2020-10-29 나천수 노각나무 잎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 2019-06-07 2022-03-24 Att Costech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102246229B1 (ko) * 2019-09-24 2021-04-29 신경식 스피루리나를 이용한 딸기 재배용 영양제 또는 비료 조성물
CN110668946B (zh) * 2019-10-28 2021-11-26 广东药科大学 化合物Stybenpropol A及其防治动脉粥样硬化的应用
KR102302242B1 (ko) * 2019-11-13 2021-09-15 남도꼬막 주식회사 어업회사 법인 자숙 꼬막살의 보존 기간을 향상시키고 맛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
KR2021008740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48188B1 (ko) * 2020-02-27 2020-08-26 주식회사 비케이컴퍼니 음료용 파우더 및 시럽의 혼합 조성물
KR102213809B1 (ko) * 2020-06-25 2021-02-08 박성율 불가사리 콜라겐 및 덜꿩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2406911B1 (ko) * 2020-06-29 2022-06-10 유완순 밤의 풍미를 살려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운 밤을 함유하는 요구르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요구르트
KR102214505B1 (ko) * 2020-09-08 2021-02-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덜꿩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491584B1 (ko) * 2021-02-10 2023-01-26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3746B1 (ko) * 2021-04-02 2022-07-21 최영옥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542119B1 (ko) * 2021-11-03 2023-06-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유발 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1944B1 (ko) * 2021-11-03 2023-12-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3245B1 (ko) * 2022-04-28 2022-12-01 주식회사 한국식생활연구개발원 약용식물 추출액을 함유한 연화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1871B1 (ko) * 2022-06-22 2023-04-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3728A1 (ko) * 2022-08-25 2024-02-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407A (ko) * 2003-10-25 2005-04-29 이덕호 석창포뿌리, 뽕잎, 뽕가지, 오가피잎 그리고 구기자잎을이용한 천연세제조성물
KR20070028276A (ko) * 2003-09-12 2007-03-12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사이토킨 조절물질 및 관련된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8276A (ko) * 2003-09-12 2007-03-12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사이토킨 조절물질 및 관련된 용도
KR20050039407A (ko) * 2003-10-25 2005-04-29 이덕호 석창포뿌리, 뽕잎, 뽕가지, 오가피잎 그리고 구기자잎을이용한 천연세제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제26권 제3호 232-236쪽 (2003) *
Arch. Pharm. Res. 제26권 제3호 232-236쪽 (2003)*
생약학회지 제34권 제2호 150-155쪽(2003) *
생약학회지 제34권 제2호 150-155쪽(2003)*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9382A (zh) * 2014-06-20 2015-08-19 三峡大学 一种灵芝海棠茶及制备工艺及其应用
CN104839382B (zh) * 2014-06-20 2018-01-16 三峡大学 一种灵芝海棠茶及制备工艺及其应用
CN104524243A (zh) * 2014-12-08 2015-04-22 甘元兴 关节疼痛的中药制剂配方
CN105311237A (zh) * 2015-05-20 2016-02-10 孙喜范 一种治疗过敏性鼻炎病中药
WO2017007273A1 (ko) * 2015-07-08 2017-01-12 한국한의학연구원 각막질환 또는 결막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US10357528B2 (en) 2015-07-08 2019-07-2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corneal diseases or conjunctival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17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162B1 (ko) 항염증성 조성물
KR101630801B1 (ko) 항염증성 조성물
KR101110064B1 (ko) 항염증성 조성물
Ali et al. Produc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Artemisia absinthium L.
KR101448207B1 (ko) 온주 밀감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101110061B1 (ko) 가시파래 추출물과 그것의 항염증제로서의 용도
KR101616011B1 (ko) 까마귀쪽나무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16317B1 (ko) 넓미역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35784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68293B1 (ko) 참다래 과실 발효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및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2337965B1 (ko)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82657B1 (ko) 테트라세라 로우레이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0691B1 (ko) 프라톨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91705B1 (ko) 누은분홍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160080513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22472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Litseakolide D2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54895B1 (ko) 곱슬사초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96572B1 (ko)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20190132032A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02829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과 그것의 항염증제로서의 용도
KR20140065965A (ko) 항염증용 조성물
KR20110137047A (ko) 개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KR20190065029A (ko) 쇼레아 록스부르그히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72653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켐페롤-3-오-글루코실-6¨-오-펜타디오닉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