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678A1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678A1
WO2021137678A1 PCT/KR2021/000034 KR2021000034W WO2021137678A1 WO 2021137678 A1 WO2021137678 A1 WO 2021137678A1 KR 2021000034 W KR2021000034 W KR 2021000034W WO 2021137678 A1 WO2021137678 A1 WO 20211376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me
english name
scientific name
english
scient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0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상권
박동준
조호성
김길남
김재희
박준형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180007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901298A/zh
Priority to US17/790,306 priority patent/US20230125075A1/en
Priority to JP2022541267A priority patent/JP2023510235A/ja
Publication of WO20211376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67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5/00Butter; Butter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5/12Butter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a plant extract,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mproving cholesterol, improving anti-obesity, improving immune function, improving female menopause, anti-allergy, controlling blood suga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liver health and improving male menopause to the composition.
  • Thrombosis-related diseases which account for about 39% of the world's deaths, are on the rise in Korea as well due to westernization of diet, excessive stress, and an aging population.
  • streptokinase As thrombolytic enzyme agents currently in use, streptokinase, urokinase,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etc. are known. Mainly, plasminogen in vivo is converted into plasmin. ) to dissolve blood clots in an indirect way that activates them. In the case of the above plasminogen activ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lassified as allergy, fever, local bleeding, short half-life, and expensive medicine, so that it is used only for thrombosis treatment. Streptokinase and urokinase are exogenous enzyme substances that convert plasminogen to plasmin, and have side effects such as fever, allergy, local bleeding, and hypotension. It is currently not being used.
  • cholesterol is present everywhere in our body, such as brain, nerve, muscle, skin, liver, intestine, heart, etc., and acts as a component of cell membranes in the body, and acts as a raw material for hormones, vitamin D, and bile acids related to lipid digestion. It is known as an important substance involved i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actions.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know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arteriosclerosis and type 2 diabetes, which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adult disease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number of patients in recent years.
  • Cholesterol is an important substance that is indispensable in our body, but when cholesterol is present in excess, it accumulate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or intima to form atherosclerosis, which causes vascular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Secondary diseases such as As such,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blood cholesterol homeostasis because the total cholesterol in the blood show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Blood cholesterol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by synthesis in hepatocytes and reabsorption in enterocytes. Hyperlipidem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n excessive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or triglycerides in the blood is present and causes inflammation. Although it does not show any special symptoms, it is a risk factor for high blood pressure, arteriosclerosis, and stroke.
  • LDL-cholesterol deposits on the arterial wall, damaging blood vessels and causing arteriosclerosis, while HDL-cholesterol removes harmful LDL-cholesterol and reduces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sis, heart disease, and stroke. Therefore, even if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is normal, high LDL cholesterol or low HDL cholesterol can cause arteriosclerosis.
  • obesity is known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respiratory disease, brain disease, cancer, and the like, and interest in its treatment and prevention is increasing.
  • medical expenses and mortality due to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eases are rapidly increas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worldwide.
  • the world's obese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about 2 billion, and in Korea, 1 in 3 people is classified as obese.
  • Obesity drugs developed through the mechanism of suppressing appetite include Sibutramine, Phentermine, Phendimetrazine, Phentermine/Topiramate combination, and Locaserin.
  • the therapeutic agents may cause central nervous system side effects or cardiovascular side effects, so their use is mostly prohibited or extremely limited.
  • Orlistat an obesity drug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mechanism of inhibiting fat absorption, is known to be relatively safe and can be taken for a long period of time, but side effects such as diarrhea, fatty stool, and loss of money have been reported, causing discomfort.
  • immunostimul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therapeutic strategies for reinforcing the body's defense mechanism against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nd inflammatory diseases.
  • macrophages play a major role in the immune response, and phagocytosis, a major role in macrophages, uptakes microorganisms and other pyrogenic particles, and also includes tumor necrosis factor (TNF- ⁇ ), interleukin Immune response by secreting a number of cytokines such as -1 ⁇ (interleukin; IL-1 ⁇ ) and interleukin-12 (IL-12) and cytotoxic and inflammatory substances such as nitric oxide (NO) is stimulated (Wolf et al., 1994; Lee and Hong, 2011; Murray and Wynn, 2011). Therefore, increasing macrophage activity can be one means for enhancing immunity.
  • TNF- ⁇ tumor necrosis factor
  • IL-1 ⁇ interleukin
  • IL-12 interleukin-12
  • NO nitric oxide
  • Natural products have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Asian countries, especially as a tonic for immunity enhancement, health maintenance and longevity, and components of various structures, especially polysaccharides, ⁇ -glucan Components such as (glucans), saponins and curcuminoids have been widely proposed as immune enhancers in clinical and drug applications (Ragupathi et al., 2008; Won et al., 2011; Sun et al. ., 2005).
  • menopause is a phenomenon of cessation of menstruation that occurs when the ovarian function, which has been genetically determined for about 50 years after birth,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span.
  • the average lifespan of Korean women is 81.2 years (2011: Statistics Korea)
  • the average age of menopause prescribed by the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s 50,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one third of a woman's life is spent depleted of female hormones.
  • vasomotor symptoms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hot flashes, night sweats, sleep disturbance, fatigue, depression, anxiety, difficulty concentrating, dyspareunia due to memory disturbance and urogenital atrophy, frequent urination, loss of skin elasticity due to collagen decrease, and breast It is accompanied by various diseases such as sagging, 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dementia.
  • menopausal symptoms vary from person to pers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ore experienced, severe, and longer the menopausal symptoms,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likely to proceed.
  • Hormone therapy, drug therapy, exercise therapy, and diet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s, but female hormone therapy, which is widely used medically, may increase the risk of breast cancer, etc. , may increase the rate of hypertension. Therefore,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hytoestrogen, which is reported to have a function similar to estrogen, in order to replace estrogen therapy and other drug therapies.
  • an allergy is a kind of hypersensitivity reaction caused by immune imbalance, which is a reaction to a specific antigen called an allergen.
  • An IgE-class antibody specific to that antigen is bound to mast cells or basophiles. It is an induced reaction.
  • allergen-specific IgE antibodies When many allergen-specific IgE antibodies are made, these antibodies bind to Fc receptors on the surface of mast cells or basophils. When allergens bind to this, these cells are activated and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ytokines, prostaglandin, leukotriene, histamine, bradykinin, tryptase, etc.) are secreted, leading to changes such as vasodilation,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smooth muscle contraction, and inflammatory response.
  •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ytokines, prostaglandin, leukotriene, histamine, bradykinin, tryptase, etc.
  • Allergic diseases include allergic atopic dermatitis, systemic allergy, allergic rhinitis, asthma, food allergy, and skin allergy. Allergic diseases were 0.9 per 100,000 in 1979, but increased to 1.4 in 1998, about 55.6%, and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and preventing diseases was highlighted.
  • Therapeutic agents used to treat allerg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tihistamines or antileukotriene drugs. Most of the former have strong immunosuppressive action, so they can exhibit a temporary sedative effec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From mild side effects to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growth inhibition or osteoporosis, long-term use has many problems. The latter may show a temporary relief effect, but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drowsiness and dizziness, so use is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ubstance derived from a natural extract having few side effects in the body and high anti-allergic activity.
  • diabetes Diabetes mellitus
  • diabetes mellitus is a group of diseases characterized by chronic hyperglycemia due to lack of insulin action and accompanied by several characteristic metabolic abnormalities. Since insulin is mainly involved in carbohydrate metabolism, diabetes mellitus is a basic problem of abnormal carbohydrate metabolism, but this affects all nutrient metabolism in the body. It is considered a disease, and the incidence is higher,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Diabetes is diagnosed based on the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of venous blood. Diabetes is diagnosed when both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are 126 mg/dL or higher during fasting (usually fasting for 8 to 12 hours before the test) by performing the test twice on different days.
  • the diabetic population in Korea increased from 1.5% in the 1970s to 8-10% in the 1990s, and the incidence rate of chronic diabetic complications is also showing a rapid increase.
  • Diabetes is largely divided into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d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occurs mainly in puberty and requires insulin injection therapy. Because the disease progresses, treatment is mainly performed with diet and exercise prescription.
  • the treatment of diabetes requires the administration of glycemic control drugs.
  • Insulin is widely used as a conventional glycemic control agent, and sulfonyl urea-based drugs and biguanide-based drugs are used as oral preparations. Drugs are mainly used.
  • these drugs are expensive, have a significant cost burden for life, and have many side effects such as allergies, bone marrow suppression, and hypoglycemia. Therefore, they are used for patients with liver or kidney disorders, hypotension, myocardial infarction, hypoxia, or the elderly. caution and contraindications are required.
  •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uscarine acetylcholine receptor) was found to be the result of a study that cognitive dysfunction such as loss of memory and learning ability caused by Alzheimer's disease, a type of senile dementia, is caused by damage to acetylcholinergic neurons at the base of the cerebrum.
  • Drugs that can enhance the function of acetylcholinergic neuron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various mechanisms of action, such as agonists, acetylcholine production promoter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 tacrine has been developed as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but some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appear, so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inhibitory active materials from natural plant materials and utilize them.
  • Fatty liver refers to an unhealthy condition that explains when the fat content of the human liver exceeds 5%, and is known to be caused by several complex causes, but is largely caused by alcoholic fatty liver caused by excessive drinking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caused by other etiologies independent of alcohol. It can be divided into fatty liver. Among them, alcoholic steatohepatitis (ASH), a fatty liver caused by drinking, is one of the most serious liver diseases after cancer among the causes of death among adults in their 40s and 50s in developed countries. It was reported as 32% in 2009 for adults.
  • ASH alcoholic steatohepatitis
  •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triglycerides are accumulated in the liver regardless of alcohol consumption. Clinically, it is a progressive liver disease that can lead to cirrhosis or liver cancer. It is recognized as a predisposing disease causing a great deal of significance. In particular, as major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insulin resistance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re recognized as risk factors, active control and treatment are required (Jonathan et al., Metabolism. 65: 1096-1108, 2016).
  • P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
  • Symptoms of male menopause include irritability, emotional anxiety, depression, dizziness, hot flashes, sweating, sleep disturbance, decreased vitality, memory loss, decreased work performance, decreased libido, skin aging, decreased bone density, and increased visceral fat.
  • Menopause like women, begins to occur in men around the age of 50, and the incidence increases with age. As the age increases, the function of adrenal gland secretion, sperm fertility, and Leydig cell function decline, and serum testosterone decreases. As it decreases, the symptoms of male menopause appear. In addition to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main cause of male menopause is the decline of the endocrine system centered on male hormones, so conventionally, treatment to supplement male hormones has been known as the main treatment regimen. Mal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cludes oral medications, topical formulations, patch-type formulations, and injection therapy.
  • testosterone As a hormone associated with andropause, testosterone is the main circulating androgen in men. It is mainly secreted by the Leydig cells of the testes, and testosterone is main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in men. Testosterone circulating in the body can be metabolized to dihydrotestosterone (DHT) by 5 ⁇ -reductase. Testosterone can be metabolized to estradiol by a complex of aromatase enzymes found in the liver, fat and testes. The aromatization of testosterone to estradiol can lead to andropause symptoms, such as gynecomastia symptoms. Increasing testosterone and decreasing levels of dihydrotestosterone and estradiol can help relieve symptoms of male menopause.
  • DHT dihydrotestosterone
  • testosterone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DHT is important in many respects. For example, DHT binds SHBG with a much higher affinity than testosterone. In addition, in many tissues, the activity of testosterone determines the reduction of DHT bound to the cytosolic receptor protein. The steroid receptor complex is translocated to the nucleus and cellular changes related to transcription and androgen action are initiated.
  • Testosterone is 98% bound to protein and circulates in the blood. Approximately 40% of men bind to high affinity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The remaining 60% binds weakly to albumin. Thus, measurements for multiple testosterones from clinical trials are possible. The portion of testosterone in the blood that is not bound to protein is called “free” testosterone, and “total testosterone” or “testosterone", including free testosterone and protein-bound testosterone.
  • SHBG high affinity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 SHBG binds to testosterone and plays a role in regulating the actual action of testosterone.
  • the hormone loses its activity, and when it is separated, it becomes a hormone that actually acts.
  • 40-80% of testosterone binds to SHBG and is present in a biologically inactivated state, and as a result of a survey on men aged 40-70 years, SHBG was found to increase. The increase in blood SHBG with aging further decreases bioavailable testosterone, which may exacerbate andropause symptoms.
  • Male hormone (androgen) drug replacement therapy is a treatment method for andropause complex syndrome.
  • drug supplementation therapy may exhibit liver toxicity, and side effects such as increasing LDL by affecting blood lipid metabolism and reducing HDL to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are problematic.
  • side effects such as increasing LDL by affecting blood lipid metabolism and reducing HDL to cause cardiovascular disease are problematic.
  • the administration of male hormones may have adverse effects on liver, lipid status, cardiovascular and prostate diseases, and sleep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regular examination for these side effects.
  • androgen therapy cannot be provided in the presence of asymptomatic or overt prostate cancer.
  • 111 plant extracts have a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by restoring nitric oxide (NO) reduced by oxLDL, a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an anti-obesity effect by activating triglyceride decomposition.
  • NO nitric oxid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thistle (scientific name: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English name: Island thistle), samdeodeok (scientific name: Codonopsis lanceolata, English name: Deodeok), Ulleung seaweed (scientific name: Solidago virgaurea, English name: Ulleung) goldenrod), snow horse riding (Scientific name: Aruncus dioicus, English name: goat's beard), wormwood (Scientific name: Aster glehnii, English name: Ulleungdo aster), wild garlic (Scientific name: Allium victorialis or Allium ulleieuxse, English name: Myeongyi), Dume leek (Scientific name: Allium senescens, English name: Aging chive), Rowan (Sorbus commixta, English name: Silvery mountain ash), thyme (Scientificific
  • Makino ex Nakai English name: Arrow bamboo
  • sagebrush Scientific name: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English name: Kuril bamboo), Old ginseng (Sophora flavescens Aiton, English name: Shrubby sophora), Wonchuri (Scientific name: Hemerocallis fulva ( L.) L., English name: Orange Daylily), Lily (Scientific name: Lilium lancifolium Thunb., English name: Tiger lily), Maekmundong (Scientific name: Liriope platyphylla FT Wang & 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ater thistle (Scientific name: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English name: Island thistle), Seomdeok (Scientific name: Codonopsis lanceolata, English name: Deodeok), Ulleung seaweed (Scientific name: Solidago) virgaurea, English name: Ulleung goldenrod), snow horse riding (Scientific name: Aruncus dioicus, English name: goat's beard), wormwood (Aster glehnii, English name: Ulleungdo aster), wild garlic (Scientific name: Allium victorialis or Allium ulleieuxse, English name: Myeongyi), Dume leek (scientific name: Allium senescens, English name: Aging chive), rowan (scientific name: Sorbus commixta, English name: Silvery mountain ash), thyme
  • Makino ex Nakai English name: Arrow bamboo
  • sagebrush Scientific name: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English name: Kuril bamboo), Old ginseng (Sophora flavescens Aiton, English name: Shrubby sophora), Wonchuri (Scientific name: Hemerocallis fulva ( L.) L., English name: Orange Daylily), Lily (Scientific name: Lilium lancifolium Thunb., English name: Tiger lily), Maekmundong (Scientific name: Liriope platyphylla FT Wang & T.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by restoring nitric oxide (NO) reduced by oxLDL, a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an anti-obesity effect by activating triglyceride decomposit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immune function by increasing interferon gamma, has the effect of improving female menopause by activating estrogen signaling, has anti-allergic effect by inhibiting IgE that causes allergy, and has the effect of regulating blood sugar by increasing intracellular glucose uptake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by inhibiting beta-secretase activity, has an effect of improving liver health by restoring the liver cell viability decreased by alcohol (ethanol) treatment, and has an effect of improving male menopause by activating androgen signaling It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 NO nitric oxide
  • oxLDL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thistle (Scientific name: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English name: Island thistle), Seomdeodeok (Scientific name: Codonopsis lanceolata, English name: Deodeok), Ulleung seaweed (Scientific name: Solidago virgaurea, English name: Ulleung goldenrod), snow crab Horseback riding (Scientific name: Aruncus dioicus, English name: goat's beard), wormwood (Scientific name: Aster glehnii, English name: Ulleungdo aster), wild garlic (Scientific name: Allium victorialis or Allium ulleieuxse, English name: Myeongyi), Dume leek (Scientific name: Allium) senescens, English name: Aging chive), rowan (Scientific name: Sorbus commixta, English name: Silvery mountain ash
  • Makino ex Nakai English name: Arrow bamboo
  • sagebrush Scientific name: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English name: Kuril bamboo), Old ginseng (Sophora flavescens Aiton, English name: Shrubby sophora), Wonchuri (Scientific name: Hemerocallis fulva ( L.) L., English name: Orange Daylily), Lily (Scientific name: Lilium lancifolium Thunb., English name: Tiger lily), Maekmundong (Scientific name: Liriope platyphylla FT Wang & T.
  • composition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mproving cholesterol, improving anti-obesity, improving immune function, improving female menopause, anti-allergy, glycemic control,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liver health and improving male menopause can be used as
  •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excellent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at low concentration.
  •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ale menopause improvement effect, so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en I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menopausal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 or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ale menopause, or pharmaceutical Use of the plant extract for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and a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method, cholesterol improvement method, anti-obesity method, immun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female menopausal method, anti-allergic method, blood sugar control method, cogni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lant extract
  • a method for improving function, a method for improving liver health, and a method for improving male menopause are provided.
  • the plant is not limited to the type, and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on the source, such as using a cultivated one or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and th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lternatively, a commercially available extract may be used.
  • the plan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mproving cholesterol, improving anti-obesity, improving immune function, improving female menopause, anti-allergy, controlling blood suga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liver health and/or improving male menopause regardless of region can
  • the plant extracts collected and extracted from Ulleungdo are better improved blood circulation,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or male menopause may have an improvement effect.
  • All parts of the plant may be used for the plant extract, and the extraction site is not limited.
  • the production of the plant extract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plant, and the plant is meant to include all of those that have gone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such as drying.
  • the plant may be an outpost, root, stem, leaf, fruit, flower, shoot, branch, bark, sap, sprout and/or seed (seed) of the aforementioned plant.
  •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above-mentioned plants, a diluted or concentrated liquid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prepared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a fermented product of the extract, or these It includes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such as a mixture of In addition, it includes the juice obtained by filtration after directly pressing or pulverizing the plant.
  • the plant may be extracted as it is or by fabricating (processing) it.
  • the "poje” ( ⁇ ) refers to a pharmaceutical technology that changes the original properties of a drug by processing the drug based on the oriental medicine theory, for example, a vinegar method of roasting the drug, and a certain amount of a liquid auxiliary material Stir-frying together with a mixture of liquid supplements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Ja ( ⁇ ) method, which allows the auxiliary materials to permeate into the drug tissue, and mix and heat in an appropriate container, or steam and dry it until it reaches a certain level ( ⁇ ) law, etc.
  • the extraction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 reflux extraction method,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for ext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include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6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yl alcohol, and butyl alcoh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nd specifically, water, lower alcohol, 1,3-butylene glycol, and ethyl acetat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solvents are mixed and used, the mixing ratio between the solv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Ext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weight of the plant dried product, 1 to 100 times by weight, specifically 1 to 50 time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using a solvent of 2 to 20 times by weight, 10 to 80 °C , specifically, an extraction method of 2 hours to 30 days, specifically, an extraction time of 12 hours to 18 days at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15 to 50° C., may be applied once to 5 times, including the dried and crushed material It may include the process of obtaining a liquid crude extract by continuous extraction.
  • the extract is filtered to remove suspended solid particles, for example, using nylon, filter paper, etc. to filter out particles or filtration using freeze filtration, etc., and then use it as it is, freeze-drying, hot-air drying, spraying. It can be used by drying it using drying or the like.
  • the liquid crude extract may be separated from the dried lysate of the plant by a method such as reduced pressure filtration and then subjected to a process of concentration or drying.
  • the liquid crude extract may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20 to 100°C, preferably at 30 to 70°C with a vacuum rotary concentrator, and the liquid extract may be dried to obtain a powdered extract .
  • the concentrated or powdered extract may be used by dissolving it in water, alcohol, dimethyl sulfoxide (DMSO), or a mixed solvent thereof, if necessary.
  • DMSO dimethyl sulfoxide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 fraction of a plant extract.
  • fraction refers to a result obtained by performing fractionation in order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containing various various components.
  • the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ractionation method include a method of obtaining a fraction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a predetermined solvent to a plant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plant.
  • the type of solvent used to obtain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fractionation solvent include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dichloromethane, butanol,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n alcohol in the fractionation solvent an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may be used.
  • the 'blood circulation improving effect' refers to exhibiting a blood circulation improving effect by inhibiting vasodilation or platelet aggregation.
  • the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the effect of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 the 'anti-obesity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helping to reduce body fat.
  • the 'immune function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improving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improving or enhancing immune function.
  • the term 'menopausal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helping menopausal women's health or menopausal men's health.
  • the 'anti-allergic effect' refers to the effect of helping to improve the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helping to improve the nasal condition due to the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or helping to improve the skin condition due to the immune hypersensitivity reaction.
  •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deteriorated due to aging.
  • the 'liver health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the effect of helping the liver health or protecting the liver from alcoholic damage.
  • the term 'glycemic control effect' refers to a blood glucose control effect including helping to suppress postprandial blood glucose rise by promoting the absorption of sugar into cells.
  • 'effective amount' or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n effect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exhibiting an anti-obesity effect, improving immune function, or improving female menopause. It means the amount of the extract, which exhibits an anti-allergic effect, an anti-allergic effect, a blood sugar control effect, a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effect, a liver health improvement effect, or an androgenic improvement effect.
  • the content of the plant extract is preferably 0.0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or male menopause improvement, comprising a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osition is provided.
  •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meaning of 'quasi-drugs' or 'drug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 active ingredient may include know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ale menopause improvement component.
  • Additional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ale menopause improvement component is included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cholesterol improvement ,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ale menopause improvement effect could be further enhanced.
  • safety according to combined use, ease of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active ingredients can be considered.
  • the composition is known in the art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cholesterol,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 male menopause improvement It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rang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requirements such as safety and ease of formulation of the plant extra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contain various ingredients such as buffers, sterile water for injection, plain saline or phosphate buffered saline, sucrose, histidine, salts and polysorbates, and the lik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may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example, oral and parenteral various formulations during clinical administration.
  •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diluent such as a surfactant, or an excipient.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water Cross (Sucrose) or lactose (Lactose),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gelatin and the like.
  •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water Cross (Sucrose) or lactose (Lactos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re also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plant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 in which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the method in which the compound is applied to the skin, and the time it stays on the skin.
  • the composition when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as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it may contain the plant extract at a higher concentration than when commercialized as a cosmetic that is applied to the skin on a daily basis. Therefore, the daily dose is 0.1 to 100 mg/kg, preferably 30 to 80 mg/kg, more preferably 50 to 60 mg/kg, based on the amount of the plant extract, and 1 to 6 times a day may be administer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mprovement and/or male menopause improvement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may be provided as a quasi-drug.
  • “quasi-drug”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f necessary, in addition to including the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for example,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a lubricant, a sweetening agent, a flavoring agent or a preservative. c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quasi-drug may be, for example, a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ointment, wet tissue, coating agent, etc., and preferably may be prepared as a semi-solid preparation such as an ointment for external use, lo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method, dose, usage method, component, etc. of the quasi-drug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conventional techniques known in the art.
  • a fatty substance When the plant extract is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ing agent and a gelling agent, an emolli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water ,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lipid vesicles, or commonly used externally for skin applications It ma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such as any other ingredients used. In addition, the ingredients may be introduced in an amount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 the plant extract When the plant extract is provid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t may have a formulation such as, but not limited to, an ointment, a patch, a gel, a cream, or a spray.
  • a formulation such as, but not limited to, an ointment, a patch, a gel, a cream, or a spra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mproving cholesterol, anti-obesity, improving immune function, improving female menopause,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liver health, and improving male menopause, comprising the plant extract .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foo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ood supplement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food supplement additive refers to a component that can be added to food conservatively, and is added to the produ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of each formul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use it.
  • food supplement additives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flavoring agents such as natural flavoring agents, complexing age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s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the types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 health functional food.
  •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or food composition that has added value to act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for a specific purpose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bioengineering methods, etc. It refers to food that is designed and processed to sufficiently express body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etc. It has an active health maintenance or promotion effect compared to general food, and health supplement food means food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ation.
  • functional food, health food, and dietary supplement are used interchangeabl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by adding the plant extract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 confectionery, or the like, or encapsulating, powdering, suspension, etc., and when ingested, certain health effects
  •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 confectionery, or the like, or encapsulating, powdering, suspension, etc., and when ingested, certain health effects
  •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are no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the drug for a long time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 the food may include a food supplementary additive that is acceptable in terms of food,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health functional food.
  • Each of the abov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mount prescribed in each country's food safety norms.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to improve odor, taste, vision, and the like.
  •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othenic aci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it may include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copper (Cu), and chromium (Cr).
  • it may include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and valin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nd it may include any food in a conventional sens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known in the art, such as functional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known additives with other suitable auxiliary ingredi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oo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suitable auxiliary ingredients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There are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and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foo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in component to juice, tea, jelly, juice, and the like. It also includes food used as feed for animals.
  • the food formulation When the food formulation is a beverage, it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a conventional beverage.
  •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tine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ood formulations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ed beverages It may contain a carbonation agent, etc. used for Other food formulations may contain the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in this way can be consumed on a daily basis, high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holesterol improvement, anti-obesity, immune function improvement,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anti-allergy, blood sugar control,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liver health It is very useful becaus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and improve male menopause.
  • the plant extract When the plant extract is used as a food additive, the plant extract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 oxLDL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 a grease reagent was prepared by mixing equal amounts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Then, 250 ⁇ l of sample (medium) and 50 ⁇ l of grease reagent were added to the plate and mixed well. Next, in order to prepare a sodium nitrite solution, the nitrite standard solution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a concentration between 1 and 100 mM (reference sample). The mixture of the sample and the grease reagent was incubated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hile blocking light. Then, the absorbance (OD) of the nitrite-containing samp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ample was measured at 548 nm. At this time, as a positive control, 0.1 ⁇ M of rosuvastatin was treated, and the positive control showed a 100% recovery result.
  • This experimental example is an experiment to confirm how much the plant extract recovers nitric oxide reduced by oxLDL,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a quantification of the nitric oxide amount. Since nitric oxide dilates blood vessels, it means that the more nitric oxide is secreted, the better the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effect is.
  • HepG2 cells were divided into an appropriate number and IMEM (10% FCS, 4.5 g/L glucose, 4 mM glutamine, 10 ⁇ g/ml insulin, 50 ⁇ g/ml of penicillin, 50 ⁇ g/ml streptomycin, and 1% non-essential amino acids).
  • IMEM 10% FCS, 4.5 g/L glucose, 4 mM glutamine, 10 ⁇ g/ml insulin, 50 ⁇ g/ml of penicillin, 50 ⁇ g/ml streptomycin, and 1% non-essential amino acids.
  • This experimental example is an experiment to determine how much the plant extract inhibits cholesterol synthesis,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a quantification of the amount of cholesterol. The lower the cholesterol level, the better the cholesterol lowering effect.
  •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each sample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and the effect of the test substance on the intracellular cholesterol content is the relative effect when the control group (DMSO (dimethyl sulfoxide) only) is 100%. It was expressed as a ratio or as the amount of acetate incorporated (nmoles [ 14 C]-acetate incorporated/4h/well). It was interpreted that the larger the measured value, the greater the cholesterol synthesis, and when the cholesterol synthesis was less,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helped improve cholesterol.
  • DMSO dimethyl sulfoxide
  • the content of glycerol was measured in 3T3-L1 fibroblast culture medium.
  • 3T3-L1 fibroblasts were cultured using DMEM medium (proliferation medium) containing 10% bovine serum, and then cultured in an appropriate number of cells on the plate. Then, the cells were allowed to grow tightly on a DMEM (differentiation medium) plate containing 10% FBS, and then cultured for 2-3 more days. Exchange the cells with a medium containing the differentiation inducers insulin (5 ⁇ g/mL), dexamethasone (0.25 ⁇ M),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0.5 mM) After that, it was cultured for 2-3 days.
  • DMEM proliferation medium
  • a medium containing the differentiation inducers insulin 5 ⁇ g/mL
  • dexamethasone (0.25 ⁇ M
  • 3-Isobutyl-1-methylxanthine 0.5 mM
  • the cell culture medium After exchanging the cell culture medium with a medium containing only insulin (5 ⁇ g/mL), it was cultured for 2 to 3 days, and replaced with 10% FBS/DMEM and cultured for another 6 to 8 days (when fat is observed in the cells) up to the point).
  • the anti-obesity effect substance was treated before or after differentiation indu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 the cell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at 10,000 rpm for 1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with a Pasteur pipette. The obtain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plate and heated at 65° C. for 8 minutes to inactivate the enzymes released from the cells.
  • a glycerol probe was dissolved in 220 ⁇ l of DMSO, and a glycerol enzyme mix (Cayman Chemical, USA; Item No. 10010962) was dissolved in an assay buffer, followed by blocking the light. It was stored at -20 °C until the experiment. After diluting 10 ⁇ l of glycerol standard solution with 990 ⁇ l of analysis buffer to make 1 mM glycerol standard solution, mix well and add 0, 2, 4, 6, 8, and 10 ⁇ l to each well. It was adjusted to 50 ⁇ l by adding a buffer for analysis. Here, 50 ⁇ l of a sample (a medium in which the enzyme was inactivated) was added to each well.
  • a sample a medium in which the enzyme was inactivated
  • a total of 50 ⁇ l of a reaction mix containing 46 ⁇ l of an assay buffer, 2 ⁇ l of a glycerol probe and 2 ⁇ l of a glycerol enzyme mix was prepared per well. After adding 50 ⁇ l of the reaction mixture to the wells containing the standard solution and the sample, mixing well, blocking the light, and leaving i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At this time, 0.5 ppm of orlistat was treat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result was increased by 160%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heck how much the plant extract activates the decomposition of triglycerid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a quantification of the amount of glycerol. Since glycerol is a by-product of lipo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glycerol, the better the anti-obesity effect.
  • interferon-gamma production levels in splenocytes and macrophages were measured.
  • macrophages, THP-1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NK-92 cells were treated with RPMI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 medium (for THP-1 cells) and MEMA (Minimum Essential Media Alpha) medium (NK-92, respectively). cells) and aliquoted into culture plates (24well/96well).
  • Plant extracts (samples) diluted by concentration were dispensed into the seeded cells.
  • LPS lipopolysaccharide
  • the sample-treated cells were placed in an incubator at 37° C., 5% CO 2 and cultured for 24 to 48 hours, and the supernatant was taken and used as an analysis sample.
  • the experiment was analyzed using the enzyme-linked immumosorbent assay (ELISA) method.
  • ELISA enzyme-linked immumosorbent assay
  • 1% bovine serum albumin (BSA) was added to block the remaining space.
  • distilled water (blank) IFN- ⁇ standard solution
  • 100 ⁇ l of each sample were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 100 ⁇ l of biotin-bound IFN- ⁇ secondary antibody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 100 ⁇ l of avidin-coupled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or 37° C. for 30 minutes.
  • 100 ⁇ l of TMB substrate solution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4-14 minutes. Stop solution (sulfuric acid) was added 50 ⁇ l each to terminate the reaction.
  •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wavelength using an ELISA reader. The IFN- ⁇ content of the sampl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onfirm how much the plant extract increases interferon gamma, and the experimental result quantifies the amount of interferon gamma.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feron gamma, the better the immune function improvement effect.
  • HAP 60% hydroxyapatite
  • the separated binding ligand (pellet) was washed three times with 2 ml of 50 mM Tris buffer, 2 ml of ethanol at 4 ° C was added, and placed on ice for 15 minutes while vortexing at 5 minute intervals for 10 seconds, and then placed on ice at 4 ° C. 600 g and centrifuged for 10 minutes.
  • [ 3 H]-E2 was dissolved in ethanol, and the rest all settled into pellets, thereby extracting radiolabeled E2 ([ 3 H]-E2).
  • the extracted [ 3 H]-E2 (supernatant) in the supernatant was poured into a vial containing 10ml of scintillation cocktail (scintillation cocktail).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heck how much the plant extract activates estrogen signaling, a female hormon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quantify the binding ability to the estrogen receptor. The higher the binding to estrogen, the better the female menopause improvement effect.
  • the secretion amount of immunoglobulin E was measured.
  • the test substance was treated while culturing U266 cells in 10% FBS RPMI1640 medium for 3 days. After 3 days of treatment with the test substance, the medium (cell culture solution) was harvested. IgE capture antibody was placed on the plate and left for one day. Plates were blocked with 2% BSA. The collected medium (cell culture solution) was put on the plate and mixed by shaking. IgE detection antibody was added to the plate and mixed by shaking. Streptavidin (streptavidin)-HRP was put on the plate, and after blocking the light, the mixture was shaken. The substrate was placed on a plate, shaded, and mixed by shaking until it turned blue.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heck how much the plant extract inhibits IgE that causes allergy,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a quantification of the amount of IgE. The lower the level of IgE, the better the anti-allergic effect.
  • the glucose uptake capacity of the cells treated with the plant extract was measured. First, C2C12 cells were spread in a 96-well culture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4 cells/well, and then the experiment was started when subconfluence was reached within 24 hours.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determine how much the plant extract increases the uptake of glucose into cell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quantify the amount of glucose uptake into cells. That is, as glucose uptake into cells increases, it means that the blood glucose control effect is better.
  • BACE ⁇ -secretase cleavage enzyme
  • BACE1 substrate (Rh-EVNLDAEFK-quencher at 750 nM): 40 ⁇ l + BACE1 assay buffer 3960 ⁇ l, used within 24 hours after preparation
  • Test substances were prepared by concentration and used. In this case, an analysis buffer was used.
  • the plate was wrapped with foil to block the light.
  • the reaction was stopped by adding 10 ⁇ l of Stop solution. Fluorescence intensity was measured with Ex 545/Em 585 nm wavelength. The measured fluorescence intensity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determine how much the plant extract inhibits beta secretase activity,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to quantify beta secretase activity. The lower the beta secretase activity, the better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effect.
  • liver cells treated with the plant extract were measured. First, using 10% FBS DMEM medium, HepG2 cells were cultured at 37° C., 5% CO 2 atmosphere. Then, HepG2 cells were aliquoted in a 24-well plate at 3x10 5 cells/well and cultured for one day. The test substance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 MTT solution dissolved in PBS at 5 mg/mL was diluted to 10% of the culture solution. It was aliquoted so as to be 0.5 to 1.0 mL in a 24-well plate. Incubated in an incubator for 4 hours.
  • the plate was wrapped in foil and incubated.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onfirm how much the plant extract recovers the liver cell viability decreased by alcohol (ethanol) treatment, and the experimental result is a quantification of the liver cell viability.
  •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androgen receptors was measured to confirm the effect of improving male menopause according to the plant extract. Specificall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the LNCaP cell line into which the ARE reporter plasmid was inserted. First, cells were cultured at 37° C. and 5% CO 2 atmosphere using 10% FBS DMEM medium. Thereafter, the cells were transferred to a plate and cultured for 2 days, followed by treatment with the test substance. One day after treatment with the test substance, the substrate was add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luciferase.
  • 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check how much the plant extract activates androgen signaling, a male hormon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quantify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androgen receptors. That is, the higher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andorgen receptor, the better the male menopause improvement effect.
  • Example 66 tail wind lamp
  • Example 70 Baecho flavor
  • Example 104 Island cherry tree
  • Example 110 Insular cypress tree
  • Example 111 Cornflower Hydrangea
  • the above ingredients were mixed and filled in an airtight cloth to prepare a powder.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tablets.
  • the capsules were prepared by filling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capsules.
  • Foods containing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as follows.
  • Brown rice, barley, glutinous rice, and barley radish were pregelatinized by a known method and dried, and then roasted and prepared as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with a grinder.
  • Black soybeans, black sesame, and perilla were also steamed and dri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roasted and prepared into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with a grinder.
  • the plant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in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with a spray and hot air dryer was pulverized to a particle size of 60 mesh with a pulverizer to obtain a dry powder.
  • the resulting solution is filtered and obtained in a sterilized 2L-container, sealed and sterilized, then refrigerated. It was used to prepare the health drink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a beverage of preference in a preferred embodiment
  • the mix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class, demand country, and use purpose.
  • Vegetable juice for health promotion was prepared by adding 1 g of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1,000 mL of tomato or carrot juice.
  • Fruit juice for health promotion was prepared by adding 1 g of the plant extract to 1,000 mL of apple or grape ju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oxLDL에 의해 감소한 산화질소(NO)를 회복시켜 혈행 개선 효과를 가지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가지며, 중성지방 분해를 활성화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인터페론 감마를 증가시켜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에스트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켜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알러지를 일으키는 IgE를 억제시킴으로써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며, 세포 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효과를 가지고, 베타 시크리타아제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알코올(에탄올) 처리에 의해 감소한 간 세포 생존율을 회복시킴으로써 간 건강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안드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의약품,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사망원인의 약 39%를 차지하고 있는 혈전 관련 질환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 과도한 스트레스,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사용 중인 혈전분해효소제로는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유로키나아제(urokinase),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 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생체 내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활성화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혈전을 용해시킨다. 위와 같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의 경우, 알러지, 발열, 국소출혈, 짧은 반감기 및 고가의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혈전 치료제에 국한되어 이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트렙토키나아제 및 유로키아나제는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시키는 외래성 효소 물질로서, 발열, 알러지, 국소출혈, 저혈압 유발 등의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매우 비싸 체내 혈전 형성 예방에는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안전하면서도 혈행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뇌, 신경, 근육, 피부, 간, 창자, 심장 등 어디에나 존재하며 체내에서 세포막의 구성 성분으로 작용하며 호르몬, 비타민 D, 지질 소화에 관련된 담즙산의 원료로 작용하는 등 여러가지 생리 생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최근 환자 발생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대표적인 성인병 중의 하나인 동맥경화증, 제2형 당뇨병 등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체내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물질이나 콜레스테롤이 과잉으로 존재하면 혈관내피 세포나 혈관내막에서 축적되어 동맥경화소를 형성하여 고지혈증과 같은 혈관질환을 유발하고 고지혈증은 동맥경화, 고혈압, 비만, 당뇨 등과 같은 이차적인 질환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 질환 발생과 밀접한 상관성을 나타내므로 혈중의 콜레스테롤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혈중 콜레스테롤은 간세포에서의 합성 및 장세포에서의 재흡수에 의해 일정 수준의 혈중 콜레스테롤수치가 유지된다. 고지혈증이란 혈액 중에 필요 이상의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농도가 존재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별한 증세를 나타내지 않으나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등의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 체내에서 적정한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콜레스테롤이 축적될 경우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나타나며,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이상이 생긴 경우 총콜레스테롤뿐 아니라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등 지단백(lipoprotein) 성분이 양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LDL-콜레스테롤은 동맥벽에 침전되어 혈관에 상처를 입히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해로운 LDL-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동맥경화, 심장병,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질환을 줄여준다. 따라서 총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정상인 경우라도 LDL 콜레스테롤이 높거나 HDL 콜레스테롤의 양이 낮으면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천연물유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보이는 기능성 원료로 창녕양파추출액, 보리베타글루칸 추출액, 아마인, 보이차 추출물, 홍국쌀, 식물스타놀에스테르, 폴리코사놀-사탕수수왁스알코올, 스피루리나, 유니벡스대나무추출물, 씨제이히비스커등복합추출물, 알로에복합추 출물분말, 알로에추출물분말 등에 대한 연구가 있다. 고콜레스테롤 환자들에게 약물 치료와 병행하여 지속적인 치료와 예방효과를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분리하여 투여하고자 천연물로부터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물질을 분리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한편,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호흡기 질환, 뇌질환, 암 등의 발생에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어 이의 치료와 예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 및 사망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고, 현재 전세계 비만 인구는 약 20억 명으로 보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3명 중 1명이 비만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비만 치료제는 주로 식욕을 억제하거나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기전에 관련되어 있다. 식욕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개발된 비만 치료제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 펜터민 (Phentermine),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펜터민/토피라메이트(Phentermine/Topiramate) 복합제, 로카세린(Locaserin) 등이 있는데, 상기 치료제들은 중추신경계 부작용 또는 심혈관계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대부분 사용이 금지되거나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기전과 관련되어 개발된 비만 치료제인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어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지만,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불편함을 유발하고, 특히 한국인과 같이 비만의 주된 원인이 지방섭취 보다는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인 경우에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따라서 아직까지 체중 조절 효능이 뛰어나고 장기 복용의 안전성이 확인된 비만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 알려진 기전 외에 새로운 기전을 통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면역증강(Immunostimulation)은 암 및 염증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체 방어 기전을 보강하는 중요한 치료학적 전략중 하나로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면역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데, 대식세포들은 면역반응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대식세포에서의 주요한 역할인 식세포 작용은 미생물 및 기타 발열성 입자들을 흡수하고, 또한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 TNF-α), 인터루킨-1β(interleukin; IL-1β), 인터루킨-12(interleukin; IL-12)와 같은 다수의 시토킨(cytokin) 및 일산화 질소 (nitric oxide; NO)과 같은 세포독성 및 염증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자극시킨다 (Wolf et al., 1994; Lee and Hong, 2011; Murray and Wynn, 2011). 따라서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면역증강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천연물은 아시아 국가들에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는데, 특히 면역증강, 건강 유지 및 장수를 위한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구조의 구성성분들, 특히, 폴리사카라드(polysaccharides), β-글루칸 (glucans), 사포닌(saponins) 및 쿠르쿠미노이드(curcuminoids) 등의 성분들은 임상 및 약물 적용에 있어 폭넓게 면역증강제로서 제시되어 왔다(Ragupathi et al., 2008; Won et al., 2011; Sun et al., 2005).
한편, 여성의 폐경(menopause)이란 태어난 후 약 50년에 이르는 유전적으로 이미 결정된 난소의 기능이 수명을 다함으로써 나타나는 월경의 중단 현상으로, 생식능력의 소실을 의미하며 병적 현상이 아닌 생리적인 변화이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수명은 81.2세(2011년: 통계청)로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규정한 한국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을 50세로 가정한다면 여성 일생의 약 1/3 이상을 여성호르몬이 고갈된 상태로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은 폐경을 맞이하면서 여성 호르몬의 분비 불균형 및 감소로 인해 혈관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기계 및 뇌신경 등 신체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일어난다. 즉 혈관 운동성증상과 심리적 증상인 안면 홍조, 야간 발한, 수면 장애, 피로감, 우울증, 불안감, 집중력 장애, 그리고 기억 장애와 비뇨생식계 위축에 의한 성교통, 빈뇨, 교원질 감소에 의한 피부탄력의 소실, 유방의 처짐, 그리고 심혈관 및 근골격계 증상, 치매 등의 다양한 질환 등이 동반된다. 갱년기 증상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갱년기 증상을 많이 경험할수록,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여성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을 뿐만 아니라, 갱년기 증상은 신체적인 노화와 함께 만성 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갱년기 증상의 치료에는 호르몬 요법, 약물 요법, 운동 요법, 식이요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의학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여성 호르몬 치료는 유방암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궁암, 혈전혈관질환, 담낭질환, 고혈압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에스트로겐 요법과 기타 약물 요법 등의 대체를 위하여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알러지란 면역 불균형에 의한 과민반응의 일종으로 알러젠(allergn)이라는 특정한 항원에 대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IgE급 항체가 비만세포(mast cell)나 호염구(basophile)에 결합되어 유도되는 반응이다. 알러젠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많이 만들어지면 이들 항체는 비만세포나 호염구 표면에 있 는 Fc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며, 여기에 알러젠이 결합하게 되면 이들 세포가 활성화되어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물질(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루코트리엔, 히스타민, 브래디키닌, 트립테이즈 등)이 분비되어, 혈관확장, 혈관의 침투성의 증가, 평활근 수축, 염증반응 등과 같은 변화가 유도된다. 이러한 반응은 이들 세포가 만들어 내는 매개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질환으로는 알러지성 아토피, 전신 알러지, 알러지성 비염, 천식, 음식 알러지, 피부 알러지 등이 있다. 알러지 질환은 1979년 10만명당 0.9명이였으나 1998년 1.4명으로 약 55.6%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질환 완화 및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알러지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와,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류코트리엔제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는 대부분 강력한 면역억제 작용을 가지므로 단기간 내에 일시적인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메스꺼움 등의 가벼운 부작용부터 성장 억제나 골다공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까지 있어 장기 복용에는 많은 문제가 따른다. 후자는 일시적인 완화 효과를 보일 수는 있으나, 졸림이나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체내 부작용이 적으며 항알러지 활성이 높은 천연 추출물에서 유래한 물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작용의 부족에 의한 만성 고혈당증을 특징으로 하면서 여러 특징적인 대사 이상을 수반하는 질환군이다. 인슐린은 주로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하므로, 당뇨병은 탄수화물 대사의 이상이 기본적인 문제이나, 이로 인해 체내의 모든 영양소 대사가 영향을 받게 되므로, 또한 총체적인 대사상의 질병이라 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만성 질병으로 꼽히고, 특히 선진국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당뇨병은 정맥혈의 혈장 포도당 농도를 기준으로 진단하는데, 서로 다른 날 2번 검사하여 공복 시(보통 검사 전 8~12시간 금식 상태) 혈장 포도당 농도가 둘 다 126 mg/dL 이상이면 당뇨로 진단한다.
우리나라의 당뇨인구는 70년대에 1.5 %인데 반하여 90년대 들어서는 8~10%로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의 발생율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으로 분류되는데,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주로 사춘기에 발병하며 반드시 인슐린 주사치료가 필요하며, 당뇨 환자의 84%를 차지하고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들에게서 서서히 진행하여 발병하기 때문에, 주로 식사요법과 운동처방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당뇨병의 치료는 혈당조절약물의 투여가 필수인데, 종래의 혈당조절 약제로는 인슐린(insulin)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경구용 제제로는 설포닐 우레아(sulfonyl urea)계 약물과 비구아나이드(biguanide)계 약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고가인데다가 평생을 투여해야하는 비용부담이 상당하며, 알레르기, 골수억제, 저혈당 등의 부작용도 많아, 간 또는 신장장애환자나 저혈압, 심근경색, 저산소증이 있는 환자나 노인 등에게는 사용에 주의 및 금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평생 투여해야 한다는 질병상의 특이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부작용이 없는 건강기능식품 및 천연물의약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노인성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으로부터 유발되는 기억력 및 학습능력의 상실 등 인지 기능 장애는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손상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에 의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muscarine acetylcholine receptor)에 대한 효능제(agonist), 아세틸콜린 생성촉진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 등 여러가지 작용기전에 따라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약물들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로 타크린(tacrine)이 개발되어 있으나 위장장애와 같은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천연 식물소재로부터 저해활성소재를 탐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현대인들의 음주 습관과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는 서구식 식습관의 변화는 지방간 질환의 증가추세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방간이란 인체 간의 지방함량이 5%를 초과할 경우를 설명하는 비 건강 상태를 말하며 여러 복잡한 원인에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알코올과 무관한 다른 병인과 연관되어 발생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음주로 인한 지방간인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steatohepatitis, ASH)은 선진국 40-50대 성인 인구의 사망원인 중 암 다음으로 심각한 질환인 간질환 중 하나로, 선진국 기준 알코올 섭취량이 최상위권인 우리나라에서는 지방간 발생율이 성인 기준으로 2009년 32%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알코올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알코올성 지방간과는 달리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음주와 관계없이 간내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진행성 간질환으로 간경변이나 간암을 유발하는 선행 질환으로 인식되어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특히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주요 성인질환이 위험인자로 인식되면서 적극적인 조절 및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Jonathan et al., Metabolism. 65: 1096-1108, 2016).
한편, 남성 갱년기(P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란 신체의 노화 현상에 따라 남성이 전반적인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쇠퇴 현상을 겪게 되는 과정이며, 남성 호르몬의 저하로 인한 영향으로 남성적 특징, 전반적인 생활 활력이나 기분이 서서히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남성 갱년기 증상으로는 신경과민, 정서 불안, 우울증, 현기증, 안면 홍조, 발한, 수면 장애, 활력 저하, 기억력 저하, 업무 능력 감소, 성욕 감퇴, 피부 노화, 골밀도 감소, 내장 지방의 증가 등이 있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에게도 50대 전후부터 갱년기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늘어가며, 나이가 들면서 부신 분비의 기능, 정자의 생식력, 레이디히(Leydig) 세포 기능이 감퇴하고, 혈청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면서 남성 갱년기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남성 갱년기의 원인은 기타 환경적 요인 외에도 주원인이 남성 호르몬을 주축으로 한 내분비계의 쇠퇴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남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가 주된 치료 요법으로 알려져 왔다. 남성 호르몬 보충 요법은 먹는 약이나 바르는 제제, 붙이는 패치형 제제, 주사 요법 등이 있다.
남성 갱년기와 관련된 호르몬으로,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주요 순환 안드로겐이다. 주로 고환의 레이디히 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테스토스테론은 주로 남성의 2차 성징의 발달 및 유지에 관여한다. 신체에서 순환하는 테스토스테론은 5α-환원효소에 의해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로 대사될 수 있다. 테스토스 테론은 간, 지방 및 고환에서 발견되는 아로마타아제(aromatase) 효소복합체에 의해 에스트라디올(estradiol)로 대사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이 에스트라디올로 방향화됨으로써 여성형 유방 증상과 같은 남성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키고,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라디올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남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테스토스테론의 DHT로의 전환은 많은 측면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DHT는 테스토스테론보다 훨씬 높은 친화도로 SHBG에 결합한다. 또한, 많은 조직에서 테스토스테론의 활성이 시토솔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한 DHT로의 환원을 결정한다. 스테로이드 수용체 복합체는 핵으로 이동되고, 전사 및 안드로겐 작용과 관련된 세포 변화가 시작 된다.
테스토스테론은 단백질에 98% 결합되어 혈액에서 순환한다. 남성에서 대략 40%는 고친화성 성호르몬 결합 글로 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에 결합한다. 나머지 60%는 알부민에 약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임상 실험으로부터 다수의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다. 단백질에 결합되지 않은 혈액 중의 테스토스테론 부분을 "유리" 테스토스테론이라고 하고,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단백질 결합 테스토스테론을 포함하여 "전체 테스토스테론" 또는 "테스토스테론"이라고 한다.
SHBG는 테스토스테론과 결합하여 테스토스테론의 실제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SHBG이 테스토스테론과 결합하면 호르몬의 활성을 잃어버리며, 분리되면 실제로 작용하는 호르몬이 된다. 테스토스테론의 40~80%는 SHBG와 결합하여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 상태로 존재하며 남성 40~70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SHBG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따른 혈중 SHBG의 증가로 생체이용가능한 테스토스테론은 더욱 감소하므로 남성갱년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남성 갱년기 복합증후군의 치료 방법으로 남성 호르몬(안드로겐) 약물 보충 요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물 보충 요법은, 간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혈중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쳐 LDL을 상승시키고, HDL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등의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남성 호르몬의 투여가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및 수면 및 행동 장애에 역효과를 미칠 수도 있고, 이러한 부작용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 무증상이거나 또는 명백한 전립선암의 존재 하에서는 남성 호르몬 치료가 제공될 수 없음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의 치료 요법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복합증후군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 기술은 주로 남성 갱년기 복합증후군의 단편적 증상인 성 기능 관련한 연구만 한정될 뿐, 골다공증, 근력 저하, 의욕 저하 등 남성 갱년기 복합증후군으로 나타나는 제반 증상들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은 아니어서 남성 갱년기 복합증후군 개선용 제제의 개발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111 종의 식물 추출물이 oxLDL에 의해 감소한 산화질소(NO)를 회복시켜 혈행 개선 효과를 가지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가지며, 중성지방 분해를 활성화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인터페론 감마를 증가시켜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에스트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켜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알러지를 일으키는 IgE를 억제시킴으로써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며, 세포 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효과를 가지고, 베타 시크리타아제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알코올(에탄올) 처리에 의해 감소한 간 세포 생존율을 회복시킴으로써 간 건강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안드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엉겅퀴(학명: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 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 Codonopsis lanceolata, 영명: Deodeok), 울릉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영명: Ulleung goldenrod), 눈개승마(학명: Aruncus dioicus, 영명: goat's beard), 섬쑥부쟁이(학명: Aster glehnii, 영명: 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ulleungense, 영명: Myeongyi), 두메부추(학명: Allium senescens, 영명: Aging chive), 마가목(학명: Sorbus commixta, 영명: Silvery mountain ash), 섬백리향(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전호(학명: Anthriscus sylvestris, 영명: 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 Fallopia sachalinensis, 영명: 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 Acer pictum, 영명: Mono maple), 섬고사리(학명: Athyrium acutipinnulum, 영명: 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 Wasabia japonica, 영명: 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 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 Polygonatum odoratum, 영명: 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 Hedera rhombea, 영명: Songak), 우산제비꽃(학명: Viola woosanensis, 영명: 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 Campanula takesimana, 영명: 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 Lilium hansonii, 영명: 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 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 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 Sedum oryzifolium, 영명: 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 Stellaria aquatica, 영명: 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 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 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 Ranunculus quelpaertensis(H.Lev.) Nakai), 거북꼬리(학명: Boehmeria tricuspis(Hance) Makino, 영명: 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 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 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 영명: 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 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 Gynostemma pentaphylla(Thunb.) Makino, 영명: 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 Melothria japonica(Thunb.) Maxim., 영명: 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 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 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 Sisymbrium officinale(L.) Scop., 영명: Hedge Mustard), 만병초(학명: Rhododendron fauriei), 매화노루발(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 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 Ardisia japonica(Thunb.) Blume, 영명: 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 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 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 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 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 Foam flower), 딱지꽃(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 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 Amorpha fruticosa L., 영명: 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 Lespedeza cuneata(Dum. Cours.) G. Don., 영명: 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 Medicago sativa L., 영명: Alfalfa), 벌완두(학명: Vicia amurensis Oett., 영명: Amur vetch), 털부처꽃(학명: Lythrum salicaria L., 영명: 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 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 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 Oenothera biennis L., 영명: 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 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 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 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 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 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 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 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 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 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 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 Spindle Tree), 머루(학명: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 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영명: 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 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영명: 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 Solanum lyratum Thunb., 영명: 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 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 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 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 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 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 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 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L., 영명: 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 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 Thalictrum kemense Fr., 영명: 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 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 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 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 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 Leopard plant), 금불초(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 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 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 Carex breviculmis R. Br., 영명: Short-stem sedge),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 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 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 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 Kuril bamboo), 고삼(학명: 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 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영명: 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 Tiger lily), 맥문동(학명: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 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 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 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 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 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 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 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 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 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 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 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 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 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 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 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 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 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 Tili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 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 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 Aucuba japonica Thunb., 영명: 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 Acer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 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 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honeysuckle) 및 산수국(학명: Hydrange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물엉겅퀴(학명: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 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 Codonopsis lanceolata, 영명: Deodeok), 울릉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영명: Ulleung goldenrod), 눈개승마(학명: Aruncus dioicus, 영명: goat's beard), 섬쑥부쟁이(학명: Aster glehnii, 영명: 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ulleungense, 영명: Myeongyi), 두메부추(학명: Allium senescens, 영명: Aging chive), 마가목(학명: Sorbus commixta, 영명: Silvery mountain ash), 섬백리향(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전호(학명: Anthriscus sylvestris, 영명: 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 Fallopia sachalinensis, 영명: 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 Acer pictum, 영명: Mono maple), 섬고사리(학명: Athyrium acutipinnulum, 영명: 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 Wasabia japonica, 영명: 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 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 Polygonatum odoratum, 영명: 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 Hedera rhombea, 영명: Songak), 우산제비꽃(학명: Viola woosanensis, 영명: 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 Campanula takesimana, 영명: 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 Lilium hansonii, 영명: 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 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 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 Sedum oryzifolium, 영명: 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 Stellaria aquatica, 영명: 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 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 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 Ranunculus quelpaertensis(H.Lev.) Nakai), 거북꼬리(학명: Boehmeria tricuspis(Hance) Makino, 영명: 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 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 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 영명: 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 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 Gynostemma pentaphylla(Thunb.) Makino, 영명: 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 Melothria japonica(Thunb.) Maxim., 영명: 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 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 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 Sisymbrium officinale(L.) Scop., 영명: Hedge Mustard), 만병초(학명: Rhododendron fauriei), 매화노루발(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 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 Ardisia japonica(Thunb.) Blume, 영명: 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 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 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 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 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 Foam flower), 딱지꽃(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 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 Amorpha fruticosa L., 영명: 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 Lespedeza cuneata(Dum. Cours.) G. Don., 영명: 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 Medicago sativa L., 영명: Alfalfa), 벌완두(학명: Vicia amurensis Oett., 영명: Amur vetch), 털부처꽃(학명: Lythrum salicaria L., 영명: 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 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 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 Oenothera biennis L., 영명: 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 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 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 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 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 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 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 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 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 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 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 Spindle Tree), 머루(학명: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 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영명: 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 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영명: 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 Solanum lyratum Thunb., 영명: 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 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 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 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 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 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 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 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L., 영명: 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 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 Thalictrum kemense Fr., 영명: 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 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 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 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 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 Leopard plant), 금불초(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 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 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 Carex breviculmis R. Br., 영명: Short-stem sedge),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 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 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 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 Kuril bamboo), 고삼(학명: 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 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영명: 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 Tiger lily), 맥문동(학명: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 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 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 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 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 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 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 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 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 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 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 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 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 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 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 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 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 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 Tili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 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 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 Aucuba japonica Thunb., 영명: 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 Acer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 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 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honeysuckle) 및 산수국(학명: Hydrange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oxLDL에 의해 감소한 산화질소(NO)를 회복시켜 혈행 개선 효과를 가지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가지며, 중성지방 분해를 활성화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인터페론 감마를 증가시켜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에스트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켜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알러지를 일으키는 IgE를 억제시킴으로써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며, 세포 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조절 효과를 가지고, 베타 시크리타아제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며, 알코올(에탄올) 처리에 의해 감소한 간 세포 생존율을 회복시킴으로써 간 건강 개선 효과를 가지고, 안드로겐 시그널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엉겅퀴(학명: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 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 Codonopsis lanceolata, 영명: Deodeok), 울릉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영명: Ulleung goldenrod), 눈개승마(학명: Aruncus dioicus, 영명: goat's beard), 섬쑥부쟁이(학명: Aster glehnii, 영명: 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ulleungense, 영명: Myeongyi), 두메부추(학명: Allium senescens, 영명: Aging chive), 마가목(학명: Sorbus commixta, 영명: Silvery mountain ash), 섬백리향(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전호(학명: Anthriscus sylvestris, 영명: 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 Fallopia sachalinensis, 영명: 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 Acer pictum, 영명: Mono maple), 섬고사리(학명: Athyrium acutipinnulum, 영명: 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 Wasabia japonica, 영명: 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 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 Polygonatum odoratum, 영명: 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 Hedera rhombea, 영명: Songak), 우산제비꽃(학명: Viola woosanensis, 영명: 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 Campanula takesimana, 영명: 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 Lilium hansonii, 영명: 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 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 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 Sedum oryzifolium, 영명: 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 Stellaria aquatica, 영명: 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 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 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 Ranunculus quelpaertensis(H.Lev.) Nakai), 거북꼬리(학명: Boehmeria tricuspis(Hance) Makino, 영명: 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 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 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 영명: 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 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 Gynostemma pentaphylla(Thunb.) Makino, 영명: 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 Melothria japonica(Thunb.) Maxim., 영명: 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 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 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 Sisymbrium officinale(L.) Scop., 영명: Hedge Mustard), 만병초(학명: Rhododendron fauriei), 매화노루발(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 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 Ardisia japonica(Thunb.) Blume, 영명: 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 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 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 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 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 Foam flower), 딱지꽃(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 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 Amorpha fruticosa L., 영명: 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 Lespedeza cuneata(Dum. Cours.) G. Don., 영명: 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 Medicago sativa L., 영명: Alfalfa), 벌완두(학명: Vicia amurensis Oett., 영명: Amur vetch), 털부처꽃(학명: Lythrum salicaria L., 영명: 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 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 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 Oenothera biennis L., 영명: 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 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 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 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 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 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 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 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 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 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 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 Spindle Tree), 머루(학명: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 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영명: 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 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영명: 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 Solanum lyratum Thunb., 영명: 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 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 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 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 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 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 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 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L., 영명: 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 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 Thalictrum kemense Fr., 영명: 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 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 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 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 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 Leopard plant), 금불초(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 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 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 Carex breviculmis R. Br., 영명: Short-stem sedge),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 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 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 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 Kuril bamboo), 고삼(학명: 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 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영명: 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 Tiger lily), 맥문동(학명: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 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 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 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 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 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 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 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 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 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 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 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 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 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 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 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 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 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 Tili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 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 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 Aucuba japonica Thunb., 영명: 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 Acer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 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 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honeysuckle) 및 산수국(학명: Hydrange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식물 추출물의 용도 및 상기 식물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방법, 콜레스테롤 개선 방법, 항비만 방법, 면역기능 개선 방법, 여성 갱년기 방법, 항알러지 방법, 혈당 조절 방법, 인지기능 개선 방법, 간 건강 개선 방법 및 남성 갱년기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식물은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는 등 그 출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시판되고 있는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지역에 상관없이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울릉도에서 채취 및 추출된 식물 추출물이 보다 우수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의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추출 부위에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제조는 상기 식물체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식물체는 건조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식물은 전술한 식물의 전초,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순, 가지, 수피, 수액, 주아 및/또는 씨(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전술한 식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추출액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식물을 직접 압착 혹은 분쇄 후 여과하여 얻은 착즙액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은 식물 그대로 추출하거나 또는 포제(가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포제" (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을 의미하며, 예컨대, 약재를 볶는 초(炒)법, 약재를 일정량의 액체 보조재료와 함께 볶음으로써 보조재료가 약물조직 내에 스며들게 하는 자(炙)법, 약재 각 품목의 포제 규정에 따라 액체 보조재료를 넣고 섞어서 적당한 용기 안에서 가열하여 찌거나, 일정한 정도가 될 때까지 쪄서 말리는 증(蒸)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매 간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은 상기 식물 건조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배 중량,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0배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에 달하는 중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1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의 추출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0일,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18일의 추출 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및 파쇄물을 포함하여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액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여과지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은 감압여과 등의 방법으로 식물의 건조 파쇄물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농축 또는 분말화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알코올,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식물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물을 추출하여 얻은 식물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행 개선 효과'라 함은 혈관 이완 또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함으로써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라 함은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비만 개선 효과'라 함은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역기능 개선 효과'라 함은 면역과민반응을 개선시키거나, 면역기능을 개선 또는 증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갱년기 개선 효과'라 함은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을 주거나, 갱년기 남성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알러지 효과'라 함은 면역과민반응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코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지기능 개선 효과'라 함은 노화로 인해 저하된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 건강 개선 효과'라 함은 간 건강에 도움을 주거나,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당 조절 효과'라 함은 당의 세포 내로의 흡수를 촉진하여 식후 혈중 포도당 상승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포함한 혈당 조절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라 함은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거나,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거나,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거나, 면역기능을 개선하거나,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거나,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거나, 혈당 조절 효과를 나타내거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거나, 간 건강 개선 효과를 나타내거나, 또한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량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혈행 개선 효과, 콜레스테롤 조절 효과, 항비만 효과, 면역기능 개선 효과,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 항알러지 효과, 혈당 조절 효과, 간 건강 개선 효과 및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 조성물"이란, '의약외품' 또는 '의약품'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성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안전성,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약학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약학 제형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식물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은 의약외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은, 예를 들어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용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 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식품에 보존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삭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더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고, 건강 보조 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 식품,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의 용어는 혼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한 성분 각각은 각 국가별 식품 안전 규범에 규정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식품 제형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식품 제형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식품 제형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및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식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1-111의 식물(울릉도 각지에서 채집 또는 구매함)의 전초,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순, 가지, 수피, 수액, 주아 또는 씨(종자)를 질량의 2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을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혈행 개선 효과 - oxLDL 유도 산화질소의 감소 회복량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혈행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oxLDL)로 유도된 산화질소의 감소 회복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HUVEC 세포를 Ham's F-12K(Kaighn's modification) 배지로 현탁하여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그 다음, 세포에 농도별로 희석된 식물 추출물(시료)를 분주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oxLDL 200 ppm을 사용하였다. 시료가 처리된 세포를 37℃, 5% CO 2 배양기에 넣고 24 내지 48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산화질소를 분석하기 위해, 동량의 성분 A와 성분 B를 섞어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플레이트에 250 ㎕의 시료(배지)와 50 ㎕의 그리스 시약을 넣고 잘 섞어주었다. 다음으로,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용액을 준비하기 위해, 아질산 표준용액을 증류수로 1 내지 100 mM 사이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였다(참조시료). 시료와 그리스 시약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빛을 차단한 상태로 30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48 nm에서 참조시료에 대한 아질산염-함유 시료의 흡광도(O.D)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0.1 μM의 로수바스타틴을 처리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은 100% 회복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예는 oxLDL에 의해 감소한 산화질소를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회복시키는지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산화질소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산화질소는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산화질소가 많이 분비될수록 혈행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에 따라 흡광도 수치가 증가하면 산화질소(NO) 생성량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므로, oxLDL에 의해 감소한 산화질소의 양이 시료 처리에 의해 회복되면 생체 내 혈관 확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지질-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 HepG2 세포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지질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적당한 수로 분주하여 IMEM (10%의 FCS, 4.5g/L의 포도당, 4 mM의 글루타민, 10 ㎍/ml의 인슐린, 50 ㎍/ml의 페니실린, 5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1%의 비필수아미노산 함유)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액은 2일마다 갈아주었고, 세포는 분주한지 12일 후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에 1 ml의 표지된 아세테이트([ 14C]Sodium acetate) 용액을 첨가하여 CO 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1시간 후, 배양액을 버리고 세포를 ice-cold PBS로 잘 세척하고, 2 M의 NaOH를 첨가하여 세포를 떨어뜨리고 지질의 비누화가 일어나도록 95℃에서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recovery marker로 [ 3H]cholesterol (약 20,000 dpm/시료)을 첨가하고 지질을 클로로포름-메탄올 2:1 (v/v)로 추출하였다. 이후, TLC(thin layer chromatohrapy)에서 지질을 분리한 후 유리 콜레스테롤에 해당하는 밴드를 긁어서 신틸레이션 바이알(scintillation vial)에 넣고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단백질 당 영입된 아세테이트의 양 (nmoles acetate incorporated/mg protein)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심바스타틴(simvastatin)과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을 사용하였으며, IC50은 각각 31.8nM 및 70.4nM이었다.
본 실험예는 콜레스테롤 합성을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을수록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시험물질이 세포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에스테르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군(DMSO(dimethyl sulfoxide)만 처리한 군)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비로 나타내거나 영입된 아세테이트의 양 (nmoles [ 14C]-acetate incorporated/4h/well)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 값이 클수록 콜레스테롤 합성이 많이 된 것으로 해석하였고, 콜레스테롤 합성이 적게 나타나면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비만 효과 - 3T3-L1 섬유아세포 배양액에서 글리세롤 함량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T3-L1 섬유아세포 배양액에서 글리세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3T3-L1 섬유아세포를 10%의 소혈청(bovine serum)을 포함하는 DMEM 배지 (증식용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한 후 플레이트에 적절한 세포수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10%의 FBS를 포함한 DMEM (분화용 배지) 플레이트에 세포가 빈틈없이 자라게 한 후 2-3일간 더 배양하였다. 세포를 분화 유도 물질인 인슐린 (5 ㎍/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25 μM), 3-이소부틸-1-메틸잔틴(3-Isobutyl-1-methylxanthine) (0.5 mM)을 포함한 배지로 교환한 후 2 내지 3일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를 인슐린 (5 ㎍/mL)만 포함한 배지로 교환한 후 2 내지 3일간 배양하고, 10%의 FBS/DMEM로 교환하여 6 내지 8일간 더 배양하였다 (세포 내에 지방이 차는 것이 관찰되는 시점까지). 항비만 효과 물질은 분화 유도 전 또는 분화 유도 후 실험 목적에 따라 처리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를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파스퇴르 피펫으로 얻었다. 얻은 상층액을 플레이트에 옮겨서 65℃에서 8분간 가열하여 세포들에서 방출된 효소들을 불활성화시켰다. 마지막으로, 글리세롤 프로브(glycerol probe)를 220 ㎕의 DMSO에, 글리세롤 효소 믹스(glycerol enzyme mix)(Cayman Chemical, USA; Item No. 10010962)를 분석용 완충용액(assay buffer)에 용해시킨 후 차광하여 -20 ℃에 실험 전까지 보관하였다. 10 ㎕의 글리세롤 표준용액을 990 ㎕의 분석용 완충용액으로 희석하여 1 mM의 글리세롤 표준용액으로 만든 뒤, 잘 섞어 각 웰에 0, 2, 4, 6, 8, 10 ㎕씩 가한 후 각 웰에 분석용 완충용액을 추가하여 50 ㎕로 맞춰주었다. 여기에 시료(효소를 불활성화 시킨 배지)를 각 웰당 50 ㎕씩 가하였다. 각 웰당 46 ㎕의 분석용 완충용액, 2 ㎕의 글리세롤 프로브, 2 ㎕의 글리세롤 효소 믹스를 포함하는 총 50 ㎕의 반응 혼합액(reaction mix)를 준비하였다. 표준용액과 시료를 포함하는 웰에 반응 혼합액을 50 ㎕씩 가하여 잘 섞어준 후, 차광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오르리스타트(orlistat) 0.5ppm을 처리하였으며, 양성 대조군 결과는 음성대조군 대비 160% 증가하였다.
본 실험은 중성지방 분해를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활성화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글리세롤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글리세롤은 지방분해의 부산물이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수치가 높을수록 항비만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시험 물질에 의해 지방분해가 항진된 경우, 지방세포 내 축적되어 있던 중성지질의 양은 감소하고 글리세롤의 방출 양은 증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방출량이 증가하는 것은 그만큼 중성지질이 분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험물질이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면역기능 개선 효과 - 비장세포/대식세포의 인터페론 감마 (IFN-γ) 생성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이해,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에서의 인터페론-감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대식세포인 THP-1 세포와 자연살해세포인 NK-92 세포를 각각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 배지(THP-1 세포용) 및 MEMA(Minimum Essential Media Alpha) 배지(NK-92 세포용)로 현탁하여 배양 플레이트 (24well/96well)에 분주하였다. 분주된 세포에 농도별로 희석된 식물 추출물(시료)을 분주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LPS(lipopolysaccharide)(0.1-1 ㎍/mL)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시료가 처리된 세포를 37℃, 5% CO 2 배양기에 넣고 24 내지 48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nzyme-linked immumosorbent assay,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IFN-γ 1차 항체를 넣어 코팅한 후, 1%의 BSA(bovine serum albumin)를 넣어서 남은 공간을 블록킹하였다. 이후, 증류수(blank), IFN-γ 표준액, 시료를 각각 100 ㎕씩 넣어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비오틴과 결합된 IFN-γ 2차 항체를 100 ㎕씩 넣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아비딘과 결합된 horseradish peroxidase (HRP)를 100 ㎕씩 넣고 실온 또는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TMB 기질 용액을 100 ㎕씩 넣고 실온에서 4-14분간 반응시켰다. Stop solution (황산)을 50 ㎕씩 넣어 반응을 종결시켰다.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시료의 IFN-γ 함량을 계산하였다.
본 실험은 인터페론 감마를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인터페론 감마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인터페론 감마의 수치가 높을수록 면역기능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흡광도가 높을수록 IFN-γ 함량이 높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IFN-γ 생성이 증가하면 T 림프구의 분화 증진, 대식세포를 활성화, B세포에서의 IgG 항체 생성 촉진 등 면역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실험예 5.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 - 경쟁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리간드 결합 분석
식물 추출물에 따른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에스트로겐 수용체(ER)에 대한 리간드의 경쟁적 결합 정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 3H]-E2(17β-에스트라디올) 10㎕를 rat uterine cytosol 50㎕ 및 50mM의 Tris buffer(pH 7.4) 230㎕와 혼합한 후, 드럼 롤러(drum roller)에서 농도별로 희석된 식물 추출물 10㎕와 반응시켰다(4℃에서 20시간동안 배양). 반응이 끝난 후, 차가운 60%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lapatite, HAP) 750㎕를 넣고 5분 간격으로 10초간 볼텍싱(vortexing)하면서 20분간 얼음에 두었다가 4℃에서 6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자유 리간드(Free ligand)와 결합 리간드(bound ligand)를 분리하였다. 이때, 자유 리간드는 [ 3H]-E2 또는 식물 추출물과 결합하지 않은 ER을 의미하며, 결합 리간드는 [ 3H]-E2 또는 식물 추출물과 결합된 ER을 의미하고, HAP는 상기 결합 리간드에 흡착되어 자유 리간드와 결합 리간드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런 다음, 분리된 결합 리간드(pellet)를 50mM의 Tris buffer 2ml로 세 번 세척(washing)하고, 4℃의 에탄올 2ml을 넣어 5분 간격으로 10초간 볼텍싱하면서 15분간 얼음에 두었다가 4℃에서 6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 3H]-E2는 에탄올에 녹아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펠렛(pellet)으로 가라앉게 됨으로써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된(radiolabeled) E2([ 3H]-E2)를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상층액 내 추출된 [ 3H]-E2(상층액)을 10ml의 섬광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이 들어있는 바이알에 부어주었다. 이후 바이알에 포함되어 있는 방사능(radioactivity)을 β-카운터로 측정하여 식물 추출물이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E2([ 3H]-E2)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합력을 방해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식물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 추출물 대신 0.03nM, 0.1nM, 0.33nM, 1nM, 10nM, 100nM의 표지되지 않은 E2(에스트라디올)을 넣은 군의 결과를 표준곡선으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시그널링을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활성화시키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 능력을 정량한 것이다. 에스트로겐과 잘 결합할수록 높을수록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측정된 방사능 값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R)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실험예 6. 항알러지 효과 - IgE 분비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항알러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글로불린 E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U266 세포를 10%의 FBS RPMI1640 배지로 3일간 배양하면서 시험물질을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 처리 3일 후, 배지(세포 배양액)를 수거하였다. IgE 포획 항체를 플레이트에 넣고 하룻동안 두었다. 2%의 BSA로 플레이트를 블록킹하였다. 수거해 놓은 배지(세포 배양액)를 플레이트에 넣고 흔들어 섞어 주었다. IgE 검출 항체를 플레이트에 넣고 흔들어 섞어 주었다. 스트렙트아비딘(streptavidin)-HRP를 플레이트에 넣고 차광한 후 흔들어 섞어 주었다. 기질을 플레이트에 넣고 차광한 후 푸른색으로 변할 때까지 흔들어 섞어 주었다. 색이 변한 것을 확인한 후 2N의 황산 용액을 플레이트에 넣고 노란색으로 변할 때까지 흔들어 섞어 주었다. 450 nm와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450 nm 흡광도에서 570 nm 흡광도를 뺀 값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 1 μM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32%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0.1 μM을 처리한 결과, 35%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은 알러지를 일으키는 IgE를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IgE의 양을 정량한 것이다. IgE의 수치가 낮을수록 항알러지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IgE는 면역과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IgE 분비량이 감소되면 알러지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혈당 조절 효과 - Glucose uptake 측정(2-NBDG법)
식물 추출물에 따른 혈당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식물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포도당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C2C12 세포를 96 웰 배양 플레이트에 1×10 4 cells/well 농도로 깐 후, 24시간 이내 포화(subconfluence) 상태가 되면 실험을 시작하였다.
[주의사항]
세포를 접종한 후 48시간 이내에 실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배양 시간이 증가하여 세포가 꽉 차거나, 혹은 세포 수가 너무 적을 경우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가 어렵다.
포화 상태가 되면, 배지를 제거한 후 각 웰을 10 μM의 2-NBDG를 포함하거나 포함치 않은 (대조군용) 100 ㎕의 신선한 배지로 교체해주었다. 이때 평가하고자 하는 시험물질을 같이 넣어 세포에 처리하였다. 1시간동안 처리한 후, pre-cold PBS로 2번 웰을 세척하고, 각 웰의 세포를 모아 200 ㎕의 pre-cold 배지로 재현탁시켜 1 ㎍/mL의 PI(propidium iodine)로 핵을 염색하였다.
[주의사항]
핵 염색 후 세포자동해석(FACS)으로 측정하기 전까지 4℃에 보관해야 하며, 30분 이내에 측정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FACS로 20초 정도 측정하여 2,000 개 정도의 단일세포 이벤트(event) 결과를 모아 통계분석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메타포르민 1mM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180% 증가 효과를 보였다.
본 실험은 세포 내 포도당 흡수를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세포 내로의 포도당 흡수량을 정량한 것이다. 즉, 세포 내로의 포도당 흡수가 증가할수록 혈당 조절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형광강도 (Fluorescence intensity)를 측정하여, 수치가 증가할수록 포도당 흡수(glucose uptake)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며, 포도당 흡수가 증가하면 혈중 포도당 수치가 감소한 것이기 때문에 당뇨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8. 인지기능 개선 효과 - β-secretase 활성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식물 추출물을 처리한 β-세크레타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실험에 필요한 시약과 용매를 준비하였다:
1) BACE(β-세크레타제 절단 효소) 분석 버퍼 (50 mM의 소듐 아세테이트, pH 4.5)
2) BACE1 효소 (1 unit/ml)
3) BACE1 기질 (750 nM의 Rh-EVNLDAEFK-퀀처): 40 ㎕ + BACE1 분석 버퍼 3960 ㎕, 제조 후 24시간 내에 사용
4) Stop solution(2.5 M의 소듐 아세테이트)
2. Black 96-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분석 버퍼 10 ㎕, BACE1 기질 10 ㎕, β-secretase 효소(1 units/ml), 시험물질 10 ㎕를 넣었다.
[주의사항]
시험물질은 농도별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때 분석 버퍼를 사용하였다.
Ex 545 nm / Ex 585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주의사항]
빛을 차단시키기 위해 호일로 플레이트를 감쌌다.
Stop solution 10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Ex 545/Em 585 nm 파장으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형광강도를 아래의 일반식으로 계산하였다.
[일반식]
억제율(Inhibition)(%)=[1-{(S-S0)/(C-C0)}X100
C=대조군(control) 처리 60분 후의 형광강도,
C0=대조군 처리 전(처리 0분째)의 형광강도,
S=시료(sample) 처리 60분 후의 형광강도,
S0=시료 처리 전(처리 0분째)의 형광강도
본 실험은 베타 세크레타제 활성을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억제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베타 세크레타제의 활성을 정량한 것이다. 베타 세크레타제의 활성이 낮을수록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β-secretase는 APP 아미노산 말단을 절단하여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아밀로이드-베타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의 활성이 감소하면 인지기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9. 간 건강 개선 효과 - 간 세포 생존율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간 건강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식물 추출물을 처리한 간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10%의 FBS DMEM 배지를 이용하여 HepG2 세포를 37℃, 5% CO 2 대기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HepG2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3x10 5 cells/well로 분취한 후 하룻동안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시험물질을 처리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주의사항]
시험물질 처리시 웰에 70 내지 80% 정도의 세포가 밀집(confluence)되어 있어야 한다.
PBS에 5 mg/mL로 녹인 MTT 용액을 배양액의 10%가 되도록 희석해주었다. 24-웰 플레이트에 0.5 내지 1.0 mL이 되도록 분주해주었다. 배양기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주의사항]
MTT 용액은 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플레이트는 호일에 싸서 배양하였다.
배양 4시간 후, MTT 용액이 포함된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넣고 10분간 흔들어 섞어 주었다. 그 다음,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① 에탄올 100mM 및 ② 에탄올 100mM + 실리마린 100ppm을 각각 처리하였으며, ① 에탄올 100mM을 처리한 결과 간 세포 생존율이 31% 감소하였고, ② 에탄올 100mM + 실리마린 100ppm을 처리한 결과 간 세포 생존율이 86% 회복되었다.
본 실험은 알코올(에탄올) 처리에 의해 감소한 간 세포 생존율을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회복시키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간 세포 생존율을 정량한 것이다. 즉, 간 세포 생존율이 높을수록 간 건강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흡광도 값이 높을 수록 간세포 생존율이 높은 것이므로, 간 건강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실험예 10.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 -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전사활성 측정
식물 추출물에 따른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안드로겐 수용체의 전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ARE 리포터 플라스미드가 삽입된 LNCaP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10%의 FBS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세포를 37℃, 5% CO 2 대기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를 플레이트로 옮기고 2일간 배양한 후, 시험물질을 처리하였다. 시험물질 처리 하루 후, 기질을 넣어 루시퍼라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 시그널링을 식물 추출물이 얼마나 활성화시키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며, 실험 결과는 안드로겐 수용체의 전사활성을 정량한 것이다. 즉, 안도르겐 수용체의 전사활성이 높을수록 남성 갱년기 개선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각 시료에 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안드로겐 수용체는 남성 호르몬의 역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수용체의 활성이 높아지면 남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물엉겅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2
실시예 2. 섬더덕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4
실시예 3. 울릉미역취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6
실시예 4. 눈개승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8
실시예 5. 섬쑥부쟁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0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0
실시예 6. 산마늘
1) 산마늘(Allium victoriallis)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2
2) 산마늘(Allium ulleungense)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4
실시예 7. 두메부추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6
실시예 8. 마가목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8
실시예 9. 섬백리향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1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0
실시예 10. 섬전호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2
실시예 11. 왕호장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4
실시예 12. 우산고로쇠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6
실시예 13. 섬고사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8
실시예 14. 고추냉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2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0
실시예 15. 노랑하늘타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2
실시예 16. 풍도둥굴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4
실시예 17. 송악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6
실시예 18. 우산제비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8
실시예 19. 섬초롱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3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0
실시예 20. 섬말나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2
실시예 21. 섬꼬리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4
실시예 22. 땅채송화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6
실시예 23. 쇠별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8
실시예 24. 약모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4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0
실시예 25. 섬노루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2
실시예 26. 왜젓가락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4
실시예 27. 거북꼬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6
실시예 28. 술패랭이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8
실시예 29. 소리쟁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5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0
실시예 30. 고추나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2
실시예 31. 돌외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4
실시예 32. 새박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6
실시예 33. 섬장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8
실시예 34. 유럽장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6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0
실시예 35. 만병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2
실시예 36. 매화노루발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4
실시예 37. 자금우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6
실시예 38. 갯까치수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8
실시예 39. 등수국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7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0
실시예 40. 돌나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2
실시예 41. 섬기린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4
실시예 42. 헐떡이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6
실시예 43. 딱지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8
실시예 44. 족제비싸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8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0
실시예 45. 비수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2
실시예 46. 자주개자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4
실시예 47. 벌완두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6
실시예 48. 털부처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8
실시예 49. 털이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09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0
실시예 50. 바늘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2
실시예 51. 달맞이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4
실시예 52. 애기괭이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6
실시예 53. 바위떡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8
실시예 54. 섬광대수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0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0
실시예 55. 섬국수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2
실시예 56. 섬현호색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4
실시예 57. 섬나무딸기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6
실시예 58. 섬바디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8
실시예 59. 섬제비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1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0
실시예 60. 사철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2
실시예 61. 머루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4
실시예 62. 독활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6
실시예 63. 두릅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8
실시예 64. 팔손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2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0
실시예 65. 사위질빵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2
실시예 66. 배풍등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4
실시예 67. 애기메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6
실시예 68. 갯메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8
실시예 69. 작살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3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0
실시예 70. 배초향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2
실시예 71. 층층이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4
실시예 72. 광대나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6
실시예 73. 익모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8
실시예 74. 큰꿩의다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4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0
실시예 75. 분꽃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2
실시예 76. 애기똥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4
실시예 77. 해국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6
실시예 78. 털머위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8
실시예 79. 금불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5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0
실시예 80. 머위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2
실시예 81. 여우꼬리사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4
실시예 82. 청사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6
실시예 83. 억새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8
실시예 84. 수크령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6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0
실시예 85. 이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2
실시예 86. 섬조릿대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4
실시예 87. 고삼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6
실시예 88. 원추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8
실시예 89. 참나리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7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0
실시예 90. 맥문동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2
실시예 91. 큰두루미꽃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4
실시예 92. 삼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6
실시예 93. 후박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8
실시예 94. 섬잣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8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0
실시예 95. 솔송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2
실시예 96. 참식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4
실시예 97. 굴거리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6
실시예 98. 푸조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8
실시예 99. 풍게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19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0
실시예 100. 난티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2
실시예 101. 두메오리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4
실시예 102. 섬피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6
실시예 103. 쪽동백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8
실시예 104. 섬벚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0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0
실시예 105. 식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2
실시예 106. 섬단풍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4
실시예 107. 섬황벽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5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6
실시예 108. 머귀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7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8
실시예 109. 광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19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20
실시예 110. 섬괴불나무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21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22
실시예 111. 산수국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23
Figure PCTKR2021000034-appb-img-000224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001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식물 추출물 0.003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식물 추출물 2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상기 식물 추출물 0.05 ~ 1.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상기 식물 추출물 0.2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식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혼합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식물 추출물 (0.1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식물 추출물 0.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 야채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1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주스의 제조
식물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물엉겅퀴(학명: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 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 Codonopsis lanceolata, 영명: Deodeok), 울릉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영명: Ulleung goldenrod), 눈개승마(학명: Aruncus dioicus, 영명: goat's beard), 섬쑥부쟁이(학명: Aster glehnii, 영명: 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ulleungense, 영명: Myeongyi), 두메부추(학명: Allium senescens, 영명: Aging chive), 마가목(학명: Sorbus commixta, 영명: Silvery mountain ash), 섬백리향(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전호(학명: Anthriscus sylvestris, 영명: 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 Fallopia sachalinensis, 영명: 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 Acer pictum, 영명: Mono maple), 섬고사리(학명: Athyrium acutipinnulum, 영명: 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 Wasabia japonica, 영명: 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 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 Polygonatum odoratum, 영명: 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 Hedera rhombea, 영명: Songak), 우산제비꽃(학명: Viola woosanensis, 영명: 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 Campanula takesimana, 영명: 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 Lilium hansonii, 영명: 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 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 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 Sedum oryzifolium, 영명: 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 Stellaria aquatica, 영명: 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 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 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 Ranunculus quelpaertensis(H.Lev.) Nakai), 거북꼬리(학명: Boehmeria tricuspis(Hance) Makino, 영명: 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 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 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 영명: 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 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 Gynostemma pentaphylla(Thunb.) Makino, 영명: 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 Melothria japonica(Thunb.) Maxim., 영명: 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 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 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 Sisymbrium officinale(L.) Scop., 영명: Hedge Mustard), 만병초(학명: Rhododendron fauriei), 매화노루발(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 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 Ardisia japonica(Thunb.) Blume, 영명: 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 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 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 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 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 Foam flower), 딱지꽃(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 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 Amorpha fruticosa L., 영명: 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 Lespedeza cuneata(Dum. Cours.) G. Don., 영명: 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 Medicago sativa L., 영명: Alfalfa), 벌완두(학명: Vicia amurensis Oett., 영명: Amur vetch), 털부처꽃(학명: Lythrum salicaria L., 영명: 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 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 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 Oenothera biennis L., 영명: 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 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 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 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 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 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 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 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 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 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 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 Spindle Tree), 머루(학명: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 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영명: 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 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영명: 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 Solanum lyratum Thunb., 영명: 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 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 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 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 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 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 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 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L., 영명: 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 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 Thalictrum kemense Fr., 영명: 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 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 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 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 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 Leopard plant), 금불초(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 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 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 Carex breviculmis R. Br., 영명: Short-stem sedge),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 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 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 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 Kuril bamboo), 고삼(학명: 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 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영명: 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 Tiger lily), 맥문동(학명: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 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 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 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 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 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 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 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 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 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 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 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 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 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 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 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 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 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 Tili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 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 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 Aucuba japonica Thunb., 영명: 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 Acer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 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 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honeysuckle) 및 산수국(학명: Hydrange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식물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식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식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식품 조성물.
  6. 물엉겅퀴(학명: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 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 Codonopsis lanceolata, 영명: Deodeok), 울릉미역취(학명: Solidago virgaurea, 영명: Ulleung goldenrod), 눈개승마(학명: Aruncus dioicus, 영명: goat's beard), 섬쑥부쟁이(학명: Aster glehnii, 영명: 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ulleungense, 영명: Myeongyi), 두메부추(학명: Allium senescens, 영명: Aging chive), 마가목(학명: Sorbus commixta, 영명: Silvery mountain ash), 섬백리향(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전호(학명: Anthriscus sylvestris, 영명: 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 Fallopia sachalinensis, 영명: 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 Acer pictum, 영명: Mono maple), 섬고사리(학명: Athyrium acutipinnulum, 영명: 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 Wasabia japonica, 영명: 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 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 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 Polygonatum odoratum, 영명: 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 Hedera rhombea, 영명: Songak), 우산제비꽃(학명: Viola woosanensis, 영명: 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 Campanula takesimana, 영명: 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 Lilium hansonii, 영명: 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 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 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 Sedum oryzifolium, 영명: 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 Stellaria aquatica, 영명: 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 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 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 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 Ranunculus quelpaertensis(H.Lev.) Nakai), 거북꼬리(학명: Boehmeria tricuspis(Hance) Makino, 영명: 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 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 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 영명: 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 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 Gynostemma pentaphylla(Thunb.) Makino, 영명: 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 Melothria japonica(Thunb.) Maxim., 영명: 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 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 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 Sisymbrium officinale(L.) Scop., 영명: Hedge Mustard), 만병초(학명: Rhododendron fauriei), 매화노루발(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 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 Ardisia japonica(Thunb.) Blume, 영명: 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 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 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 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 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 Foam flower), 딱지꽃(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 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 Amorpha fruticosa L., 영명: 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 Lespedeza cuneata(Dum. Cours.) G. Don., 영명: 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 Medicago sativa L., 영명: Alfalfa), 벌완두(학명: Vicia amurensis Oett., 영명: Amur vetch), 털부처꽃(학명: Lythrum salicaria L., 영명: 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 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 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 Oenothera biennis L., 영명: 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 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 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 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 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 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 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 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 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 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 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 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 Spindle Tree), 머루(학명: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 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 Aralia elata (Miq.) Seem., 영명: 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 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영명: 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 Solanum lyratum Thunb., 영명: 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 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 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 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 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 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 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 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L., 영명: 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 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 Thalictrum kemense Fr., 영명: 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 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 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 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 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 Leopard plant), 금불초(학명: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 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 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 Carex breviculmis R. Br., 영명: Short-stem sedge),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 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 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 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 Kuril bamboo), 고삼(학명: 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 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영명: 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 Tiger lily), 맥문동(학명: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 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 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 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 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 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 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 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 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 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 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 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 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 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 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 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 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 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 Tili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 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 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 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 Aucuba japonica Thunb., 영명: 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 Acer takesimense Nakai, 영명: 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 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 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 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 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 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 Ulleungdo honeysuckle) 및 산수국(학명: Hydrangea serrat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항비만, 면역기능 개선, 여성 갱년기 개선, 항알러지, 혈당 조절, 인지기능 개선, 간 건강 개선 또는 남성 갱년기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식물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약학적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약학적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PCT/KR2021/000034 2020-01-02 2021-01-04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11376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7919.1A CN114901298A (zh) 2020-01-02 2021-01-04 含有植物提取物的组合物
US17/790,306 US20230125075A1 (en) 2020-01-02 2021-01-04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JP2022541267A JP2023510235A (ja) 2020-01-02 2021-01-04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 2020-01-02
KR10-2020-0000283 2020-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78A1 true WO2021137678A1 (ko) 2021-07-08

Family

ID=7668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034 WO2021137678A1 (ko) 2020-01-02 2021-01-04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25075A1 (ko)
JP (1) JP2023510235A (ko)
KR (1) KR20210087406A (ko)
CN (1) CN114901298A (ko)
WO (1) WO20211376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962A1 (ja) * 2022-09-27 2024-04-04 株式会社カネカ 凝集抑制剤
WO2024096721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에버바이오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331A1 (ko) * 2021-12-23 2023-06-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540A1 (ko) * 2021-12-31 2023-07-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5035A (ko) * 2022-01-26 2023-08-02 (주)유스케어팜 타이바질, 물엉겅퀴 및 눈개승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58020A1 (ko)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닥터오레고닌 느릅나무속 식물 유래 카테킨 배당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근감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59381B1 (ko) 2022-04-27 2023-07-25 (주)바이텍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55595B1 (ko) * 2022-05-09 2022-10-17 주식회사 큰길 영양 닭죽 제조방법
KR20230168761A (ko) 2022-06-08 2023-12-15 한국식품연구원 알팔파 새싹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23A (ja) * 1999-01-07 2000-09-19 Kao Corp アザミ抽出物の製造法
KR20090040810A (ko) * 2007-10-22 2009-04-27 박희준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KR101898262B1 (ko) * 2015-10-12 2018-09-14 대한민국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23A (ja) * 1999-01-07 2000-09-19 Kao Corp アザミ抽出物の製造法
KR20090040810A (ko) * 2007-10-22 2009-04-27 박희준 펙토리나린 또는 펙토리나리게닌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조성물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KR101898262B1 (ko) * 2015-10-12 2018-09-14 대한민국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 JAE-CHUL, JUNG KEUN-YOUNG , SON KUN-HO: "Isolation of Pectolinarin from the Aerial Parts of Cirsium nipponicum",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vol. 25, no. 1, 30 April 1994 (1994-04-30), pages 73 - 75, XP055825571, ISSN: 0253-307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962A1 (ja) * 2022-09-27 2024-04-04 株式会社カネカ 凝集抑制剤
WO2024096721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에버바이오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01298A (zh) 2022-08-12
US20230125075A1 (en) 2023-04-27
KR20210087406A (ko) 2021-07-12
JP2023510235A (ja)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37678A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1137677A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8124508A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09104902A2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fatigue recovery and antioxidation activity comprising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processed panax species plant leaves extract, or mixture of the both
WO2014104672A1 (en)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WO2022035115A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3183920A1 (ko) 베르베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8062777A1 (ko) 풋귤수로 처리한 발아콩 유래의 두즙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근력 및 근육량 향상용 조성물
WO2020071667A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43949A1 (ko) 화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03232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18062820A1 (ko) 피토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18221922A1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09104913A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ixed herbs with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WO2020145619A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19027239A2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128636A1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80641A1 (ko) 지노스테마 론기페스 vk1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mpk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0608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ation of red clover extract and hops extract for improvement of menopausal disorder
WO2020130478A1 (ko)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36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4126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12.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36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