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595B1 - 영양 닭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영양 닭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595B1
KR102455595B1 KR1020220056343A KR20220056343A KR102455595B1 KR 102455595 B1 KR102455595 B1 KR 102455595B1 KR 1020220056343 A KR1020220056343 A KR 1020220056343A KR 20220056343 A KR20220056343 A KR 20220056343A KR 102455595 B1 KR102455595 B1 KR 10245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porridge
preparation step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큰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큰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큰길
Priority to KR102022005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10Meat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 닭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양 닭죽을 제조하는 방법은 두유준비단계(100), 육수베이스준비단계(200), 닭분말준비단계(300), 계장준비단계(400) 및 닭죽완성단계(500)를 포함하고, 상기 두유 준비단계(100)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통해 두유(10)를 제조하여 미리 준비하는 단계이고,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는 닭죽 및 닭백숙의 향과 맛을 중화시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보이차 및 매실을 통해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닭분말 준비단계(300)는 상기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닭을 삶아 가식부위만을 골라 건조한 후 닭분말(30) 및 섭취에 용이한 크기로 찢어 닭살(31)을 준비하는 단계이고, 계장 준비단계(400)는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닭분말(30) 및 닭살(31)을 육수베이스(20)에 혼합하여 계장(40)을 준비하는 단계이고, 닭죽 완성단계(500)는 상기 계장(40) 및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여 닭죽(5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이용한 두유를 포함하여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포함된 식물성 단백질 및 특유의 단백질을 공급하여 기능성이 포함된 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영양성분을 높여 식사 대신 죽을 섭취하 충분히 영양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죽을 제공가능하며, 닭죽이나 닭백숙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보이는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향과 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양 닭죽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Health functional Chiken Soup}
본 발명은 닭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여 두유를 제조하여 죽에 포함시키고, 보이차 및 매실을 육수베이스로 하여 닭을 포함한 닭죽을 제조하여 건강에 유익한 영양 닭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식은 전통적으로 쌀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왔고, 보통의 경우는 밥을 먹지만, 건강이 좋지 않거나 식욕이 없는 경우 쌀을 포함한 죽을 많이 먹어왔다.
또한, 최근에는 다이어트나 바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도 죽의 수요가 늘어나기 식작했으며, 그와 같이 죽에 대한 상업적 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죽은 곡물을 주재료로 하여 물을 많이 붓고 끓이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음식으로서 기본적으로 식사 대용으로서 섭취를 편하고 소화를 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최근에는 다양한 첨가물을 통해 다양한 맛과 풍부한 영양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죽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아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식,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식, 건강증진과 미식을 위한 보양식 등으로 구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음식들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완제품포장음식, 레토르트음식, 밀키트음식, 분말형태의 가공음식 등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소고기,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가 높으면서도 닭고기는 치킨, 닭백숙, 닭죽과 같이 간식 또는 주식 대용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양이 높은 죽을 제공하기 위해 닭을 포함하여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약콩)을 통해 기능성을 높이고, 또한, 닭죽 육수베이스를 보이차 및 매실로 구성하여 차별화된 맛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죽을 이용한 간편 제조방법에 대한 선행기술들도 많이 있으며, 다양한 첨가물을 포함한 죽 제조방법들에 대해 특허청 또는 인터넷 공개자료들에서 소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청에는 선행기술로서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327호, 특허문헌 1)에서는 쌀, 흑미쌀, 콩, 녹두, 해조류, 견과류, 버섯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쌀과 콩을 이용한 죽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과 본원 발명은 첨가류에서 차이가 있으며, 콩(병아리콩, 쥐눈이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유로 제조한 후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육수베이스에서도 차이점이 있다. 또한, "음료용 깨죽 조성물 및 음료용 깨죽의 제조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5713호, 특허문헌 2)에서는 검정깨, 들깨 및 콩 등을 함유한 영양이 풍부한 죽에 관한 것으로서, 볶은 검정깨 분말, 볶은 들깨 분말, 쌀 분말, 볶은 콩 분말, 땅콩 분말, 분유를 포함하는 죽에 관한 것으로서 죽을 음료로 제조하여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과의 차이점은 콩(병아리콩, 쥐눈이콩)을 두유로 제조한 후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육수베이스에서도 차이점이 있어 특허문헌 2는 편의성에 접근하였다면 본원 발명은 영양적으로 우수한 닭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콩비지를 이용한 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5857호, 특허문헌 3)에서는 콩비지를 이용한 죽을 제조하기 위해, 콩비지를 준비하고, 예열 후 찌고 뜸들인 후 건조 및 분쇄하는 죽 조성물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3은 콩비지를 이용하고 본원 발명은 두유를 이용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대추와 잣을 이용한 영양죽 및 그의 제조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1498호, 특허문헌 4)에서는 심신의 피로와 현대인의 긴장감을 풀어줄 수 있는 영양죽의 개발을 위해, 데친 대추, 계피를 혼합 가열, 대추 앙금 제조, 쌀, 잣 분쇄 혼합 및 가열하는 영양죽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4 와 본원 발명은 첨가물이 대추 및 잣인 것과 본원 발명은 콩(병아리콩, 쥐눈이콩)을 두유로 제조한 후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으며, 보이차 및 매실을 육수베이스로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의 공개된 문서에는 녹두를 포함하고, 닭을 연잎으로 싸서 찐 후 제조하는 녹두닭죽과 같은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기도 한다. (공개특허문헌 1)
본 발명에서는 콩 중에서도 특히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는 쥐눈이콩 및 병아리콩의 특유 영양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병아리콩을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하여 죽에 포함시키고, 보이차 및 매실을 육수베이스로 하여 닭을 포함한 닭죽을 제조하여 건강에 유익한 영양 닭죽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KR 공개특허 10-2011-0115327 (2011.10.21) KR 등록특허 10-1345713 (2013.12.20) KR 공개특허 10-2018-0065857 (2018.06.18) KR 공개특허 10-2021-0101498 (2021.08.19)
공개특허문헌 1. https://story.kakao.com/_7UaiJ5/hPWYV0QMl10 카카오스토리. 집밥의 여왕 (2015년 7월 22일)
본 발명은 병원식이나 간식 또는 식사대용 또는 유아들이 먹는 유아식으로 식용하는 죽(닭죽)에 대해 간편식으로서 죽을 넘어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기능성이 포함된 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간식이나 식사대용으로 섭취할 때 뿐만 아니라 병원식이나 환자식으로 섭취하는 죽으로서 영양성분을 높여 불가피하게 죽을 섭취해야 함에 있어서도 충분히 영양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치킨과 같은 닭음식에는 익숙하면서도 닭죽이나 닭백숙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보이는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향과 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영양 닭죽 제조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유준비단계(100), 육수베이스준비단계(200), 닭분말준비단계(300), 계장준비단계(400) 및 닭죽완성단계(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를 각각 준비한 후 따로 분리 포장하여 레토르트, 밀키트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이용하여 두유(10)를 제조하는 두유 준비단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이차 및 매실을 통해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닭을 삶아 가식부위만을 골라 건조한 후 닭분말(30)을 준비하고 닭살(31)을 준비하는 닭분말 준비단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하고 남은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상기 닭분말(30) 및 닭살(31)을 혼합하여 계장(40)을 준비하는 계장 준비단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장(40) 및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여 닭죽(50)을 완성하는 닭죽 완성단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두유 준비단계(100)는 상세하게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내지 300중량부 물에 넣고 3시간 내지 5시간 불려 껍질을 제거하는 불림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90℃ 내지 95℃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삶은 후 소금을 넣고 60℃ 내지 70℃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삶은 후 다시 5분 내지 10분 뜸을 들이는 삶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삶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삶은물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믹서에 갈아주는 분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는 상세하게는 물 1000중량부 기준으로 100% 보이차분말 10 내지 15 중량부 및 매실액기스 15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여 90℃ 내지 95℃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끓여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닭분말 준비단계(300)는 상세하게는 육수베이스(20)에 닭을 넣어 90℃ 내지 95℃ 온도에서 120분 내지 180분 끓인 후 가식부위로 부터 닭살(31) 및 건조된 20메쉬 내지 30메쉬 닭분말(30)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계장 준비단계(400)는 상세하게는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했던 육수베이스(2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닭살(31) 20 내지 40중량부 및 닭분말(30)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여 계장(40)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계장(40)에는 쌀가루를 10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닭죽 완성단계(500)는 상세하게는 계장(4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두유(10)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두유(10) 및 계장(40)을 혼합하여 닭죽(5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쌀가루를 10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간식 또는 식사대용으로서의 닭죽에 대해 간편식으로서 죽을 넘어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에 포함된 식물성 단백질 및 특유의 단백질을 공급하여 영양성 및 기능성이 포함된 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병원식이나 환자식으로 섭취하는 닭죽으로서 영양성분을 높여 식사 대신 죽을 섭취하므로써 충분히 영양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치킨과 같은 닭음식에는 익숙하면서도 닭죽이나 닭백숙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보이는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향과 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양 닭죽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영양 닭죽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영양 닭죽 제조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유 준비단계(100),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 닭분말 준비단계(300), 계장 준비단계(400) 및 닭죽 완성단계(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를 각각 준비한 후 따로 분리 포장하여 레토르트, 밀키트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두유 준비단계(100)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통해 두유(10)를 제조하여 미리 준비하는 단계이다.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는 닭죽 및 닭백숙의 향과 맛을 중화시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보이차 및 매실을 통해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닭분말 준비단계(300)는 상기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닭을 삶아 가식부위만을 골라 건조한 후 닭분말(30) 및 섭취에 용이한 크기로 찢어 닭살(3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계장 준비단계(400)는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닭분말(30) 및 닭살(31)을 사용한 육수베이스(20)에 혼합하여 계장(4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닭죽 완성단계(500)는 상기 계장(40) 및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여 닭죽(5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1. 두유 준비단계(100)
두유 준비단계(100)에서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이용하여 두유(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병아리콩 (chick-pea, Cicer arietinum)의 효능은 고영양 식품으로 특히 고단백질,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 여러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100g의 삶은 병아리콩은 16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중량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 있으며, 비타민E는 혈액순환을 개선해 두피까지 도달하지 못한 영양공급을 향상시키고, 식물성 여성호르몬인 이소플라본이 모발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병아리콩에는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빈혈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쥐눈이콩(약콩, Rhynchosia Nulubilis)은 검은콩의 일종으로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일반 검은콩 보다 훨씬 작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목태(鼠目太)라고도 불리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해서 (검은)약콩, 산과 들에서 난다고 해서 토종야콩이라고도 한다.
쥐눈이콩은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 물질이 일반 콩에 비해 4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초강목에 의하면 쥐눈이콩은 해독작용과 당뇨, 중풍 치료 효능이 있는 약재로 기록되어 있고, 최근에는 탈모 예방에 도움을 주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쥐눈이콩을 원료로 하여 샴푸와 환, 가루 등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검은콩은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과 같이 검은 빛을 띄는 콩을 의미하는데, 단백질 34%와 탄수화물 31%, 지질 18%를 함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무기질과 비타민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검은콩의 비타민E와 불포화지방산은 혈액순환을 개선해 두피까지 도달하지 못한 영양공급을 향상시키고,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은 모발 성장에 도움을 주고 비타민B 성분이 모발을 윤기있게 가꿔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의 영양적 측면과 기능성을 닭죽에 포함시켜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필요에 따라,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이외에도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과 같은 검은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포함한 두유(10)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잘 씻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내지 300중량부 물에 넣고 3시간 내지 5시간 불려 껍질을 제거한다. (불림단계)
물에 불린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90℃ 내지 95℃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삶은 후 소금을 넣고 60℃ 내지 70℃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삶은 후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이 충분히 익은 상태에서 5분 내지 10분 뜸을 들인다. (삶는단계)
이때, 삶는단계에서는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견과류 분말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삶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삶은물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믹서에 갈아준다. (분쇄단계)
이때, 분쇄단계에서는, 기호에 따라 우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두유(10)는 4℃ 냉장보관한다.
2.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는 닭을 이용한 닭죽 또는 닭백숙의 향과 맛을 중화시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보이차 및 매실을 통해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우리나라의 닭에 대한 수요는 상당히 높은 편인데, 주로 후라이드치킨이나 강정 등과 같은 간식에 편중되어 있다.
닭을 이용하여 닭죽이나 닭백숙과 같은 음식에 대해서는 닭을 끓여 식품화 하는 과정에서 조류 특유의 냄새와 맛이 식품으로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와 맛을 중화하기 위해 무, 생강, 마늘, 대파, 양파와 같은 재료를 통해 냄새와 맛을 중화시키는 육수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여러 가지 한약재를 함께 포함하여 향을 중화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 생강, 마늘, 대파, 양파와 같은 재료 또는 한약재가 아닌 보이차와 매실을 이용하였다.
보이차는 중국에서 들여온 흑차(黑茶)의 일종으로서, 찻잎을 가공한 뒤 미생물 등으로 발효시킨 후발효차로 부드럽고 독특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다. 흑차는 순하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후발효차다. 차(茶)는 산화 정도와 가공 방법에 따라 녹차, 황차, 우롱차(청차), 백차, 홍차, 흑차의 여섯 종류로 구분한다고 하며, 가장 대중적인 차는 녹차, 우롱차, 홍차이지만, 보이차는 그 향과 맛이 강한 편에 속하지만, 맛은 녹차나 홍차 등에 비하여 더 독특하고 부드러운 맛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녹차, 홍차 등에 비하여 향이 더 뛰어나고 맛은 더 부드러운 보이차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널리 알려진데로 보이차는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인기가 많이 있는데,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이차에는 폴리페놀성분인 카테킨 성분이 포함되어 항산화 작용을 통해 미용에 도움이 되며,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보이차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찻잎이나 분말형태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00% 보이차 분말을 이용한다.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은 우리나라에서도 예전부터 목마름, 설사, 만성기침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도 쓰여 왔으며, 주로 덜익은 청매 상태에서 수확하여 장아찌, 청, 과실주 등의 원료로 활용하며, 최근에는 매실차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고, 주로 매실엑기스를 물에 타서 매실차로 사용하기도 한다.
매실에는 구연산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등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매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서 닭을 물에 끓였을 때 특유의 비린 향과 맛을 중화시키기 위해 매실을 포함하여 육수베이스(20)로 사용하여 매실 특유의 향과 맛이 전체적인 향과 맛을 중화시켰으며, 매실의 소화촉진 기능 및 피로 개선 기능은 특히 환자나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죽을 섭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화 및 피로감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실엑기스 중에서 매실 100중량부 기준 설탕 5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14일 내지 21일간 충분히 발효된 매실엑기스를 이용하였다.
보이차 및 매실을 포함한 육수베이스(20)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물 1000중량부 기준으로 100% 보이차분말 10 내지 15 중량부 및 매실액기스 15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여 90℃ 내지 95℃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끓여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한다.
이때, 기존의 무, 생강, 마늘, 대파, 양파와 같은 양념재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3. 닭분말 준비단계(300)
닭분말 준비단계(300)는 상기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닭을 삶아 가식부위만을 골라 건조한 후 닭분말(30) 및 섭취에 용이한 크기로 찢어 닭살(3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에서 준비한 육수베이스(20)에 미리 준비한 세척된 닭을 넣어 90℃ 내지 95℃ 온도에서 120분 내지 180분 끓여 충분히 삶는다.
충분히 끓인 닭을 다시 꺼내어 실온에서 충분히 식힌다.
닭의 뼈나 껍질과 같은 비가식 부위를 제거하고 가식부위인 살 부위만을 골라 적당한 크기로 잘라낸다.
닭은 다른 육류와 달리 충분히 익은 경우 결대로 찢어낼 수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가능하면 얇은 결로 찢은 후 잘라낸다.
이때, 결대로 찢어 잘라 낸 닭살(31)은 뒤의 계장 준비단계(400)에서 육수베이스(20)에 혼합하여 계장(40)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닭죽(50)을 완성하는 단계에서 닭을 분말로 만들어 포함시켜 닭분말(30)을 포함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준비한 닭살(31)은 건조기를 통해 충분히 건조한 후 20메쉬 내지 30메쉬로 너무 곱지 않은 크기로 분쇄하여 닭분말(30)을 준비한다.
즉, 닭분말(30)은 닭살(31) 만을 넣얼을 때 부족한 식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작감이 느껴지는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한 닭분말(30)은 다시 한번 건조기 또는 실온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준비된 닭분말(30) 및 닭살(31)은 이후 계장 준비단계(400)에서 육수베이스(20)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는, 닭분말(30)은 닭죽 완성단계(500)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4. 계장 준비단계(400)
계장 준비단계(400)는 상기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닭을 삶을 때 사용했던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한 닭분말(30) 및 닭살(31)을 육수베이스(20)에 혼합하여 계장(4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하는 계장(40)은 완성된 닭죽(50)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하는 것이며, 계장(40)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두유(10)와 혼합하여 최종 닭죽(50) 완성 전 단계로서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된 육수베이스(20), 닭살(31) 또는/및 닭분말(30)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했던 육수베이스(2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닭살(31) 20 내지 40중량부 및 닭분말(30)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여 계장(40)을 준비한다.
한편, 이 과정에서 상기 계장(40)에 쌀가루를 10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닭죽 완성단계(500)
닭죽 완성단계(500)는 상기 계장 준비단계(400)에서 준비한 계장(40) 및 두유 준비단계(100)에서 준비한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여 닭죽(5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계장(4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두유(10)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이면 본 발명의 곡류를 포함하지 않은 닭죽(50)이 완성된다.
두유(10)를 끓이게 되면 두유의 단백질 성분이 엉김을 형성하게 되어 죽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너무 높은 온도나 오래 끓이게 되면 두유의 변성이 발생할 수 있고 두유의 효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계장(40) 및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일 때 상기 계장 준비단계(400)에서 쌀가루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이 단계에서 쌀가루를 10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쌀가루를 포함하지 않고 두유(10) 및 계장(40)만을 혼합하여 스프와 같은 곡류를 포함하지 않은 맑은 형태의 닭죽(50)을 제공하는 한편 쌀가루를 포함하여 퍼지는 일반 죽 형태의 곡류를 포함하는 닭죽(5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 : 두유
20 : 육수베이스
30 : 닭분말
31 : 닭살
40 : 계장
50 : 닭죽
100 : 두유 준비단계
200 : 육수베이스 준비단계
300 : 닭분말 준비단계
400 : 계장 준비단계
500 : 닭죽 완성단계

Claims (3)

  1.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이용하여 두유(10)를 제조하는 두유 준비단계(100);
    보이차 및 매실을 통해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
    상기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닭을 삶아 가식부위만을 골라 건조한 후 닭분말(30)을 준비하고 닭살(31)을 준비하는 닭분말 준비단계(300);
    상기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하고 남은 육수베이스(20)를 이용하여 상기 닭분말(30) 및 닭살(31)을 혼합하여 계장(40)을 준비하는 계장 준비단계(400);
    및 상기 계장(40) 및 두유(10)를 혼합하여 끓여 닭죽(50)을 완성하는 닭죽 완성단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닭죽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두유 준비단계(100)는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0 내지 300중량부 물에 넣고 3시간 내지 5시간 불려 껍질을 제거하는 불림단계,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을 90℃ 내지 95℃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삶은 후 소금을 넣고 60℃ 내지 70℃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삶은 후 다시 5분 내지 10분 뜸을 들이는 삶는단계,
    삶은 병아리콩 및 쥐눈이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삶은물 3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믹서에 갈아주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며,
    육수베이스 준비단계(200)는 물 1000중량부 기준으로 100% 보이차분말 10 내지 15 중량부 및 매실액기스 15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여 90℃ 내지 95℃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끓여 육수베이스(20)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닭분말 준비단계(300)는 육수베이스(20)에 닭을 넣어 90℃ 내지 95℃ 온도에서 120분 내지 180분 끓인 후 가식부위로 부터 닭살(31) 및 건조된 20메쉬 내지 30메쉬 닭분말(30)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계장 준비단계(400)는 닭분말 준비단계(300)에서 사용했던 육수베이스(2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닭살(31) 20 내지 40중량부 및 닭분말(30)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여 계장(40)을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닭죽 완성단계(500)는 계장(40)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두유(10)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60℃ 내지 70℃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닭죽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장(40)에는 쌀가루를 10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닭죽 제조방법
KR1020220056343A 2022-05-09 2022-05-09 영양 닭죽 제조방법 KR10245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43A KR102455595B1 (ko) 2022-05-09 2022-05-09 영양 닭죽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343A KR102455595B1 (ko) 2022-05-09 2022-05-09 영양 닭죽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595B1 true KR102455595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343A KR102455595B1 (ko) 2022-05-09 2022-05-09 영양 닭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5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327A (ko) 2010-04-15 2011-10-21 한현규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1504A (ko) * 2012-05-24 2013-12-04 유인숙 즉석 누룽지 닭죽의 제조방법
KR101345713B1 (ko) 2012-01-27 2013-12-27 삼성제약공업주식회사 음료용 깨죽 조성물 및 음료용 깨죽의 제조 방법
KR20170030167A (ko) * 2015-09-09 2017-03-17 박희숙 모시콩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5857A (ko) 2017-06-07 2018-06-18 (주)제이앤푸드 콩비지를 이용한 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8740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101498A (ko) 2020-02-10 2021-08-19 잣향기푸른숲농업회사법인(주) 대추와 잣을 이용한 영양죽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327A (ko) 2010-04-15 2011-10-21 한현규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713B1 (ko) 2012-01-27 2013-12-27 삼성제약공업주식회사 음료용 깨죽 조성물 및 음료용 깨죽의 제조 방법
KR20130131504A (ko) * 2012-05-24 2013-12-04 유인숙 즉석 누룽지 닭죽의 제조방법
KR20170030167A (ko) * 2015-09-09 2017-03-17 박희숙 모시콩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5857A (ko) 2017-06-07 2018-06-18 (주)제이앤푸드 콩비지를 이용한 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87406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101498A (ko) 2020-02-10 2021-08-19 잣향기푸른숲농업회사법인(주) 대추와 잣을 이용한 영양죽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문헌 1. https://story.kakao.com/_7UaiJ5/hPWYV0QMl10
카카오스토리. 집밥의 여왕 (2015년 7월 22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92172A (zh) 一种肉酱及制备方法和用途
CN103504325B (zh) 一种香辣青豆猪肉干及其制备方法
CN109463619A (zh) 一种富蛋白藜麦杂粮养生粥及制备方法
KR20120119177A (ko) 검은콩 미숫가루 제조방법
CN117547005A (zh) 一种钙质含量高且营养丰富的猪骨汤的制备方法
KR102455595B1 (ko) 영양 닭죽 제조방법
KR101716296B1 (ko) 한방성분과 단백질이 함유된 쌀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쌀 음료
KR102390363B1 (ko) 연자육 성분을 포함하는 콜라겐묵 및 그 제조방법
KR101295682B1 (ko) 잡곡을 이용한 삼계죽의 제조방법
KR101771432B1 (ko) 식이 섬유가 증가된 저당도 두유 및 그 제조방법
CN107692047A (zh) 一种纳豆功能性食品的制备方法
KR20110087390A (ko) 맷돌을 이용한 기능성 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50803A (zh) 一种富蛋白康复营养养生粥及制备方法
CN110583795A (zh) 一种酱香腐乳及其制备方法
KR102628560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단백질 강화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4281B1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429269B1 (ko) 청국장 찌개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청국장 찌개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1530B1 (ko) 헴프씨드케이크를 이용한 헴프스테이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헴프스테이크
CN113892590B (zh) 一种烤香速溶豆粉的生产方法
KR102494438B1 (ko) 전복죽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죽
KR102309408B1 (ko) 망개빵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망개빵
KR20120134956A (ko) 곡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및 그 건강보조식품
Vyas et al.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eanut sauce prepared through fermentation process
KR20210090786A (ko) 야채함유 중심의 식동 되비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동 되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