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72B1 -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72B1
KR101396572B1 KR1020110126757A KR20110126757A KR101396572B1 KR 101396572 B1 KR101396572 B1 KR 101396572B1 KR 1020110126757 A KR1020110126757 A KR 1020110126757A KR 20110126757 A KR20110126757 A KR 20110126757A KR 101396572 B1 KR101396572 B1 KR 10139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lower
water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610A (ko
Inventor
현창구
김민진
문지영
김정은
김현
김정미
양경월
Original Assignee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사랑농수산 filed Critical (주)제주사랑농수산
Priority to KR102011012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NO 생성 억제 활성, iNOS 및 COX-2 생성 억제 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활성 및 PGE2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Using a Flower Extract of Hallabong tangor}
본 발명은 한라봉(Hallabong tangor)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선천성 면역 반응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 반응은 대식세포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통해 비자기(non-self)로 인식하고 공격함으로써 시작된다. 염증 반응 시에는 염증 부위에 혈장이 축적되어 세균이 분비한 독성을 희석시키며, 혈류가 증가하고, 홍반,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증상이 수반되게 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특히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와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합성과 관련되는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가 염증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NOS는 세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하는데, 칼슘이나 카모듈린 의존성인 eNOS(내피성 NOS)와 nNOS(신경성 NOS), 그리고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세균의 내독소나 IL-1β, TNF-α, IL-6, IL-8, IL-12과 같은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iNOS(유도성 NOS)가 있으며,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산화질소(NO)를 생성한다.
eNOS나 n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혈압 조절 작용, 신경 전달 작용, 학습, 기억 등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i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관절염, 패혈증,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신경세포의 사멸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ncade S. et al, Pharmacol. Rev., 1991, 43, 109; Nature Medicine, 2001, 7, 1138; Mu, M. M., J. Endotoxic Res. 7, p341, 2001).
COX 효소는 COX의 기능과 함께 하이드로퍼옥시다제(hydroperoxidase, HOX) 활성을 가지고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중간체인 PGG2와 PGH2를 합성하며, 이들 화합물로 PGE2, PGF2, PGD2, 프로스타시클린 및 트롬복신A2(thromboxane A2, TxA2)를 만든다. COX의 기능 중 PGH 합성효소의 기능은 PGE2의 합성을 통해 통증과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COX에는 두 가지 아형이 있고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 항시 발현되는데 비해, COX-2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신속히 발현이 유도되어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NO, PGE2,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억제제나 iNOS 억제제 그리고 COX-2 억제제는 염증질환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NO, PGE2,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거나 iNOS 및 COX-2 억제 활성을 가지는 한라봉 꽃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세 가지 활성물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라봉 꽃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 추출물, 한라봉 꽃을 증류하여 얻어진 물 추출물,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그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물 분획물 및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 한라봉 꽃 추출물과 분획물이 NO 생성 억제 활성과 iNOS 및 COX-2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과 함께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 및 PGE2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하였듯이, NO 생성 억제 활성, iNOS 및 COX-2 억제 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 생성 억제 활성, 및/또는 PGE2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은 항염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염증제 조성물은 한라봉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한라봉(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 ponkan)"은 일본 농림수산성 과수시험장에서 청견(Citrus kiyomi)과 ponkan(Citrus reticulata)의 교잡종으로 육성되어 부지화(不知火))로도 불리는 감귤 품종을 말한다(Korean J. Food Preserv., 13, 538-542, 2006).
또 본 명세서에서, "한라봉 꽃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한라봉 꽃(암술, 수술, 꽃잎 및/또는 꽃받침)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추출 방법은 추출 대상인 한라봉 꽃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방법과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침지를 통한 추출 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침지 또는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특히 열수)에 침지시켜 얻어진 추출물, 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였을 때 얻어지는 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물로 증류시켜 얻어진 정유 또는 물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는 부피 백분율에 의한 농도(v/v) 표현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부피의 용액 중에 녹아 있는 일정 부피의 용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30%(v/v)는 용액 100㎖에 용질 30㎖가 용해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아래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활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이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어떠한 상태로서 정의될 있다. 이러한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될 것이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라봉 꽃 추출물은 전술한 바의 항염 활성 이외에도 여드름균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및 자외선 차단 활성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한라봉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제 조성물,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외선"이란 장파장 자외선(320∼400nm, 이하 "UVA"라 칭함) 및/또는 중파장 자외선(280∼320nm, 이하 "UVB"라 칭함)을 의미한다. 자외선은 장파장 자외선인 UVA와 중파장 자외선인 UVB 그리고 단파장 자외선(200∼280nm, 이하 UVC라 칭함)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 영역은 290∼400nm이며 그 광량은 태양광선 중 약 6%를 차지하며 이중 UVB가 약 0.5%, UVA가 나머지 5.5%를 차지할 정도로 UVA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UVA와 UVB는 홍반, 수포, 피부 주름 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어떤 질병 또는 증상의 발병 억제, 및/또는 그러한 질병 또는 증상의 발병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 조성물, 여드름 개선제 조성물, 항히스타민제 조성물,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또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상기 한라봉 꽃 추출물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항염증 활성, 여드름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또는 자외선 차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항염증 활성, 여드름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또는 자외선 차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한라봉 꽃 추출물을 제약상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첨가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투여용 또는 비경구투여용으로 제제화하게 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의 예는 락토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전분, 탈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라비아고무, 올리브유, 참기름, 카카오버터, 에틸렌글리콜, 기타 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경구투여용 고체 조성물의 예는 정제, 환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체 조성물에서는 유효성분인 식물 추출물이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락토스, 만니톨, 포도당,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미결정성 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 피롤리돈,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등과 혼합된다. 고체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첨가물, 예를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섬유소 글리콜산 칼슘과 같은 붕해제, 글루타민산 또는 아스파라긴산과 같은 용해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따라 슈크로스,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피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 액체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엘릭서제 등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투여용 주사제로는, 무균의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제, 현탁제, 에멀젼화제가 포함된다. 수성의 용액제·현탁제로는, 예를 들면 주사용 물 및 주사용 생리식염수가 포함된다. 비수성의 용액제·현탁제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유,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폴리솔베이트 80®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다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예를 들면, 유당), 용해보조제(예를 들면,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정밀여과막에 의한 여과멸균, 고압증기멸균과 같은 가열멸균, 또는 살균제 배합 등의 통상적인 멸균 방법으로 무균화될 수 있다. 주사제는 용액제제, 또는 사용 시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동결-건조 제제일 수 있다. 동결-건조를 위한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만니톨, 글루코스 등의 당알콜이나 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방법 또는 비경구 투여방법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투여방법, 예를 들면, 주사에 의한 투여(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주사, 복강 내에의 주사 등으로 투여), 경피투여, 경점막투여(경직장투여 등), 경폐투여 등이다. 물론 경구투여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0.005 ㎍/kg ~ l00 mg/kg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기는 0.02㎍/kg ~ 5mg/kg의 범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을 부가하여 가지도록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료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피부 보습 활성 물질, 항아토피 활성 물질, 항여드름 활성 물질, 미백 활성 물질 등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제 조성물, 항히스타민 조성물,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한라봉 꽃 추출물이 NO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한라봉 꽃 추출물이 iNOS 및 COX-2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7] 내지 [도 17]은 한라봉 꽃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한라봉 꽃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한라봉 꽃 추출물의 제조예 1
한라봉 꽃을 변형된 클레벤저 타입의 장치에 넣고 8시간 동안 수증기로 증류하여 정유를 제조하고 그 정유를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켜 한라봉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클레벤저 타입의 장치 아래 부분의 트랩(trap)에는 증류수를 채우고, 그 위층에는 얇은 거즈로 싼 한라봉 꽃 분말을 담고, 증류수를 끓여 스팀으로 추출된 향기 오일 성분을 냉각 장치를 통과시켜 얻은 후 이를 탈수시켜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2> 한라봉 꽃 추출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제조시에 함께 얻어진 물층을 분리하여 한라봉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즉 수증기로 증류할 경우 물층과 오일층이 얻어지는데, 이 중 물층을 분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3> 한라봉 꽃 추출물의 제조예 3
한라봉 꽃 분말에 10배 중량의 80% 에탄올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였다. 다음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고형상의 한라봉 꽃 추출물을 얻었다.
이 에탄올 추출물 5g을 증류수 1L에 녹이고 에틸아세테이트 1L를 가하고 교반한 후 24시간 동안 정치시켜 분획하였다. 그 후에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각각 회수하고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물층과 에틸아세테이층의 분획물을 얻었다.
<실시예 4> 한라봉 꽃 추출물의 제조예 4
한라봉 꽃 분말에 10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2시간 9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였다. 다음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한라봉 꽃 추출물을 얻었다.
< 제조예 >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한라봉 꽃 추출물을 통상의 화장료 성분들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중량%)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실시예1>의 추출물 3.0 - -
<실시예2>의 추출물 - 3.0 -
<실시예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 - 3.0
바셀린 5.0 5.0 5.0
글리세린 4.0 4.0 4.0
1,3-부틸글리콜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폴리솔베이트20 0.2 0.2 0.2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0.5 0.5 0.5
밀납 3.0 3.0 3.0
유동 파라핀 5.0 5.0 5.0
스쿠알란 4.0 4.0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방부제 0.05 0.05 0.05
향료 0.05 0.05 0.05
정제수 잔량
< 실험예 > 항염 활성 평가, 여드름 개선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및 자외선 차단 활성 평가
<실험예 1> 항염 활성 평가
<실험예 1-1> 세포 및 시약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는 KCLB(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받아 100units/㎖ penicillin, 100㎍/㎖ streptomycin,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95% 습도 하에서 준포화상태(subconfluence)를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DMEM 배지 및 FBS는 Invitrogen-Gibco(Grand Island, NY)로부터 구입하였고, TNF-α IL-1β, IL-6 및 PGE2 정량을 위한 ELISA kit는 R&D systems, Inc.(St. Louis, MO) 및 BD biosciences(San Diego, C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예 1-2> NO 생성 억제 활성 평가
RAW 264.7 세포를 1.5×105 cell/㎖로 전배양한 후 시험물질과 LPS(1㎍/㎖)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 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형태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시약[1% (w/v) sulfanilamide, 0.1%(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 100㎕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는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으며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군(LPS만의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한라봉 꽃 정유 추출물을 0.01%(v/v), 0.02%(v/v) 및 0.0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고, [도 2]는 <실시예 2>의 추출물을 1%(v/v), 2%(v/v) 및 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도 3]은 <실시예 3>의 추출물과 분획물 및 <실시예 4>의 열수 추출물을 25㎍/㎖, 50㎍/㎖ 및 100㎍/㎖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A 및 B는 양성대조군으로서 각각 2-amino-4-methylpyridine(10uM) 및 dexamethasone(20uM)을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P<0.05; ** P<0.01).
<실험예 1-3> iNOS COX -2 생성 억제 활성 평가
RAW 264.7 세포 (1.0×106 cells/㎖)를 18시간 동안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과 LPS(1㎍/㎖)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를 수거하고 PBS로 두번 세척하였다. 그리고 세포를 용해버퍼[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Nonidet P-40, 2 mM EDTA, 1 mM EGTA, 1 mM NaVO3, 10 mM NaF, 1 mM dithiothreitol,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25 ㎍/㎖ aprotinin, 25 ㎍/㎖ leupeptin]로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얼음에서 보관하였다가 4℃에서 15,0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수거하여 사용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단백질의 농도는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1976)으로 정량하였다. 세포 용해 상등액을 30~50㎍을 취하여 8~12%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하고 PVDF membrane(BIO-RAD, HC, USA)에 트랜스 버퍼[192 mM glycine, 25 mM Tris-HCl (pH 8.8), 20% MeOH (v/v)]로 전이시킨 후 blocking 용액(5% nonfat dried milk)으로 blocking하였다. anti-iNOS 항체(1:1000, Calbiochem, CA, USA) 및 anti-COX-2 항체(1:1000, BD Biosciences Pharmingen, CA, USA)를 이용하여 4℃에서 overnight한 다음 2차 항체(1:5000, Amersham Pharmacia Biotech, Little Chalfont, UK)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ECL 웨스턴 블롯팅 검출 키트(Amersham Biosciences, NJ, USA)로 검출하고 액틴(actin)과 비교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정량하였다. 결과를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실시예 1>의 한라봉 꽃 정유 추출물을 0.01%(v/v), 0.02%(v/v) 및 0.0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고, [도 5]는 <실시예 2>의 추출물을 1%(v/v), 2%(v/v) 및 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도 6]은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층의 분획물을 25㎍/㎖, 50㎍/㎖ 및 100㎍/㎖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A 및 B는 양성대조군으로서 각각 2-amino-4-methylpyridine(10uM) 및 dexamethasone(20uM)을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은 대체로 농도 의존적으로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알 수 있다(* P<0.05; ** P<0.01).
<실험예 1-4>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 2 의 생성 억제 활성
RAW 264.7 세포 (1.0×106 cells/㎖)를 18시간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과 LPS(1㎍/㎖)를 동시처리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GE2, TNF-α, IL-1β 및 IL-6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결과를 대조군(LPS만의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7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예 1>의 한라봉 꽃 정유 추출물을 0.01%(v/v), 0.02%(v/v) 및 0.0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고, [도 11 내지 14]는 <실시예 2>의 추출물을 1%(v/v), 2%(v/v) 및 4%(v/v)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층의 분획물을 25㎍/㎖, 50㎍/㎖ 및 100㎍/㎖로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과 PGE2의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P<0.05; ** P<0.01).
<실험예 1-5> 세포독성 실험
RAW 264.7 세포 (1.5×105 cells/㎖)를 18시간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과 LPS(1㎍/㎖)를 동시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로부터 유출된 LDH(lactate dehydrogenase)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LDH의 유출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데, 젖산에서 피부르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NADH을 정량함으로써 LDH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LDH 활성을 LDH 세포독성 검출 키트(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세포독성을 대조군(무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1] 내지 [도 3]에 함께 나타내었다.
한라봉 꽃 추출물은 <실시예 3>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4>의 열수 추출물이 25㎍/㎖에서 약간의 독성을 보였으나, 시험물질들 대부분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0.05; ** P<0.01).
통계처리
통계학적 유의차는 one way ANOVA test 및 student’s t-test로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3번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의 데이터를 mean ± standard deviation (SD) 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여드름 개선 활성 실험
<실험예 2-1>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실험 - 최소억제농도의 측정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ATCC로부터 구입한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최소억제농도로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각 실시예의 한라봉 꽃 추출물이 농도별로 첨가된 GAM Semisolid(Nissui) 아가배지를 제조하고 여기에 여드름균을 접종하여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균의 증식 정도를 Microplate reader(Powerwave XS, BioTek)로 650 nm에서 측정하여 상기 여드름균의 증식이 억제되는 한라봉 추출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MIC(mg/㎖)
<실시예 1>의 추출물 2.0
<실시예 2>의 추출물 4.0
<실시예 3>의 80% 에탄올 추출물 4.0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5
<실시예 3>의 물 분획물 -
<실시예 4>의 열수 추출물 2.0
* -, Growth
상기 [표 2]의 결과는 <실시예 3>의 물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한라봉 꽃 추출물이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높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2-2> 여드름 개선 활성에 대한 임상평가
상기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라봉 꽃 추출물의 여드름 개선 활성에 대한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상기 [표 1]에서 한라봉 꽃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 더 포함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여드름 증상을 갖고 있는 남녀 80명을 네 그룹으로 세 그룹에는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나머지 한 그룹에는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4주째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용자의 수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여드름 개선 활성에 대한 임상평가 결과
구분 치료 효과가 있다 치료 효과가 없다
제조예 1 6 14
제조예 2 6 14
제조예 3 12 8
비교예 3 17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한라봉 꽃 추출물이 포함되어 제조된 모든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할 때 여드름 개선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포함되어 제조된 <제조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탈과립 억제 활성의 측정 - β- hexosaminidase assay
RBL-2H3 세포주를 10% FBS(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RBL-2H3 세포주를 monoclonal antibody IgE(0.5㎍/ml)로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세포에 안티젠(DNP-HSA) 200ng/㎖을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10분간 ice bath에 처리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0.02㎖의 상등액에 0.02㎖의 기질액 1mM p-NAG(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를 처리한 후, 이를 37℃, 5% CO2에서 60분간 반응시킨 다음 0.1M Na2CO3/NaHCO3 0.2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405 nm에서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 억제 효과에 대해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IC50)로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베타 헥소사미니다제 분비 양의 억제는 면역세포의 탈과립화를 방지함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항히스타민 활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 활성(IC50, ㎍/㎖)
시료 IC50 (㎍/ml)
<실시예 1>의 추출물 84.52
<실시예 2>의 추출물 117.93
<실시예 3>의 80% 에탄올 추출물 105.45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2.91
<실시예 3>의 물 분획물 145.36
<실시예 4>의 열수 추출물 112.27
상기 [표 4]의 결과는 실시예의 한라봉 꽃 추출물 모두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며, <실시예 3>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실시예 3>의 80%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4>의 열수 추출물, <실시예 2>의 물 추출물 그리고 <실시예 3>의 물 분획물의 순서로 그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에 대한 임상평가
상기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라봉 꽃 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에 대한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상기 [표 1]에서 한라봉 꽃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 더 포함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먼저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소아 40명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매일 2회씩 총 6주간 상기 각 제조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게 하였다.
6주 후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정도를 The European Task Force on Atopic Dermatitis가 개발한 SCORAD 지수(SCORing Atopic Dermatitis Index, 아토피 증상이 심할수록 높은 수치로 나타남)로 평가하여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SCORAD 지수
구분 도포 전(평균값) 도포 후(평균값)
제조예 1 44.62±12.79 32.46±10.27**
제조예 2 45.92±7.96 37.36±11.38**
제조예 3 48.21±11.24 36.64±9.42**
비교예 42.27±10.28 44.38±9.93
* 모든 실험 결과는 Mean±SD 값으로 나타냈으며, ANOVA 분석을 실시하고, Duncan 테스트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표 5]의 결과는 한라봉 꽃 추출물이 포함된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한라봉 꽃 추출물이 포함되지 아니한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뚜렷하게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표 5]의 결과에서 가장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이 뛰어난 추출물은 <실시예 1>의 한라봉 꽃 정유 추출물이 포함된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다.
<실험예 7> 자외선 차단 활성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SPF(Sun Protection Factor) 및 PFA(Protection Factor of UVA)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한 기능성 화장품 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SPF/PFA가 높을수록 UVB/UVA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한라봉 꽃 추출물 대신에 그 함량만큼 정제수가 더 첨가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SPF/PFA 측정 결과
구분 SPF PFA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 26.2 6.7
제조예 2의 화장료 조성물 25.6 5.6
제조예 3의 화장료 조성물 22.5 5.2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13.8 4.6
상기 [표 6]의 결과는 한라봉 꽃 추출물이 전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며, 특히 <실시예 1>의 한라봉 정유 추출물이 포함되어 제조된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보여준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한라봉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제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라봉 꽃 추출물은 아래의 (Ⅰ) 내지 (Ⅳ)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히스타민제 약제학적 조성물.
    (Ⅰ) 한라봉 꽃을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Ⅱ) 한라봉 꽃을 물에 침지시키고 가온 추출하여 얻어진 열수 추출물;
    (Ⅲ) 한라봉 꽃을 물로 증류시켜 얻어진 추출물; 및
    (Ⅳ) 한라봉 꽃을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분획하였을 때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 분획물.
  8. 한라봉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라봉 꽃 추출물은 아래의 (Ⅰ) 내지 (Ⅲ)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Ⅰ) 한라봉 꽃을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Ⅱ) 한라봉 꽃을 물로 증류시켜 얻어진 추출물; 및
    (Ⅲ) 한라봉 꽃을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분획하였을 때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삭제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삭제
KR1020110126757A 2011-11-30 2011-11-30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10139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57A KR101396572B1 (ko) 2011-11-30 2011-11-30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57A KR101396572B1 (ko) 2011-11-30 2011-11-30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10A KR20130060610A (ko) 2013-06-10
KR101396572B1 true KR101396572B1 (ko) 2014-05-21

Family

ID=4885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57A KR101396572B1 (ko) 2011-11-30 2011-11-30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42B1 (ko) * 2018-04-10 2020-02-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nalool inhibits in vitro NO formation: Probable involvement in the antinociceptive activity of this monoterpene compound. Life Sciences. 2006년. 제78권, pp 719-723. *
Essential Oil of Citrus Fruit Waste Attenuates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hibits the Growth of Skin Pathogens.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 Biology. 2009년. 제11권 6호, pp 791-794 *
Limonene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W 264.7 Macrophages. Journal of Oleo Science. 2010년. 제59권 8호, pp 415-42 *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citrus flowers and citrus honey. Food Chemistry. 2003년. 제82권, pp 575-5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10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07B1 (ko) 온주 밀감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101630801B1 (ko) 항염증성 조성물
KR101516317B1 (ko) 넓미역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6011B1 (ko) 까마귀쪽나무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37965B1 (ko)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55842B1 (ko) 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396572B1 (ko)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20180024470A (ko)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0580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JP2017518335A (ja) 紅葉した大豆の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157067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119307B1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0691B1 (ko) 프라톨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25724B1 (ko) 큰고랭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20160080513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22472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Litseakolide D2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41965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90512B1 (ko) 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91705B1 (ko) 누은분홍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140065965A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69909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254895B1 (ko) 곱슬사초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89310B1 (ko) 8-옥소-9-옥타데세노산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