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965B1 -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965B1
KR101141965B1 KR1020090093932A KR20090093932A KR101141965B1 KR 101141965 B1 KR101141965 B1 KR 101141965B1 KR 1020090093932 A KR1020090093932 A KR 1020090093932A KR 20090093932 A KR20090093932 A KR 20090093932A KR 101141965 B1 KR101141965 B1 KR 10114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essential oil
activ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330A (ko
Inventor
현창구
윤원종
한명수
송관필
이연경
이남호
이욱재
Original Assignee
(주)휴스콘건설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스콘건설,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휴스콘건설
Priority to KR102009009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9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큰비쑥 잎을 수증기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큰비쑥 정유 추출물과 그 정유 추출물의 항염증제 및 항미생물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큰비쑥, 정유, 항염, 항미생물

Description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Essential Oil Extract of Artemisia fukudo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것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선천성 면역 반응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 반응은 대식세포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통해 비자기(non-self)로 인식하고 공격함으로써 시작된다. 염증 반응 시에는 염증 부위에 혈장이 축적되어 세균이 분비한 독성을 희석시키며, 혈류가 증가하고, 홍반,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증상이 수반되게 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현상이 관여하는데, 특히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와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PGs)의 생합성과 관련되는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가 염증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NOS는 세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하는데, 칼슘이나 카모듈린 의존성인 eNOS(내피성 NOS)와 nNOS(신경성 NOS), 그리고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세균의 내독소나 IL-1β, TNF-α, IL-6, IL-8, IL-12과 같은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iNOS(유도성 NOS)가 있으며,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산화질소(NO)를 생성한다.
eNOS나 n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혈압 조절 작용, 신경 전달 작용, 학습, 기억 등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i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관절염, 패혈증,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신경세포의 사멸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ncade S. et al, Pharmacol. Rev., 1991, 43, 109; Nature Medicine, 2001, 7, 1138; Mu, M. M., J. Endotoxic Res. 7, p341, 2001).
COX 효소는 COX의 기능과 함께 하이드로퍼옥시다제(hydroperoxidase, HOX) 활성을 가지고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중간체인 PGG2와 PGH2를 합성하며, 이들 화합물로 PGE2, PGF2, PGD2, 프로스타시클린 및 트롬복신A2(thromboxane A2, TxA2)를 만든다. COX의 기능 중 PGH 합성효소의 기능은 PGE2의 합성을 통해 통증과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COX에는 두 가지 아형이 있고 COX-1은 대부분의 조직에 항시 발현되는데 비해, COX-2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신속히 발현이 유도되어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iNOX 억제제와 COX-2 억제제는 염증질환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항미생물제는 사람, 동물 또는 식물의 질병 예방 또는 개선, 기타 사람에게 유용한 여러 제품, 예컨대 섬유, 식품, 화장품 등의 부패를 예방 또는 방지하는 등 광범위한 용도를 지닌다.
항미생물제에서 항미생물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은 크게 화학물질과 천연물질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유효성분으로서 화학물질의 경우 그것이 인체에 여러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을 찾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한 천연물질로서 예컨대 조릿대 엑기스(국제공개특허 제2003-105878호), 자영지 (Ganoderma sinense) 추출액(대한민국 공개특허 제445405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것의 항염증제 또는 항미생물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항염증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큰비쑥 정유 추출물의 항염증제 또는 항미생물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항염 활성 및 항미생물성을 가지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큰비쑥 잎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정유 추출물이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활성, PGE2 생성 억제 활성, iNOS(inducible NOS) 생성 억제 활성 및 COX-2 생성 억제 활성을 살펴보았는데, 상기 정유 추출물이 상기 모든 활성들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정유 추출물이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서 항미생물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클린다미신 등의 항생제에 대해서 내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쿠 스 에피더미디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특정 균주에 대해서도 상기 정유 추출물은 항미생물성을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염 활성 및 항미생물성을 가지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은 큰비쑥 잎을 수증기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항염 활성 및 항미생물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염 활성"은 아래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활성으로 정의되며, 구체적으로는 염증성 매개인자인 NO 생성 억제 활성 및/또는 iNOS 생성 억제 활성, PGE2 생성 억제활성 및/또는 COX-2 생성 억제 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또는 IL-1β의 생성 억제 활성으로 정의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염증성 질환이 가지는 병리적 증상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미생물성"이란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성질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생물"이란 상기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세균, 진균, 효모, 조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럼에도 상기 "미생물"은 하기 실험예에서 직접적으로 항미생물성이 확인된 세균 또는 진균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세균 중에서는 스타필로코쿠스 속 미생물(Staphylococcus sp.)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미생물(Propionibacterium sp.)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균 중에서는 캔디다 속 미생물(Candida sp.)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험예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직접적으로 확인된 각각의 미생물들을 의미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성 질환"이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어떠한 상태로서 정의될 있다. 이러한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PGE(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될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NOS 억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하였지만, iNOS의 억제는 NO의 생성을 억제시켜 염증성 질환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NO의 생성을 억제하고 iNOS를 유전자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iNOS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iNOS 억제"의 의미는 iNOS 유전자의 발현 억제 및 iNOS 생성 억제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중간 기작이 어떻든 NO의 생성의 억제 및/또는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OX-2 억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하였지만, COX의 억제는 PGE2의 생성을 억제시켜 염증성 질환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PGE2의 생성을 억제하고 COX-2 유전자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COX-2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COX-2 억제"의 의미는 COX-2 유전자의 발현 억제 및 COX-2 생성 억제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중간 기작이 어떻든 PGE2의 생성의 억제 및/또는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즉 염증성 질환 개선제 조성물, iNOS 억제제 조성물 및 COX-2 억제제 조성물을 말함; 이하 같음)은 그 유효성분인 상기 정의된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치료를 의도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서, 염증성 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 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물질인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감미제, 사과, 레몬, 감귤 등의 과일이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등의 차류에서 얻어진 풍미제, 카테킨,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등의 생리활성 성분,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등의 미네랄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기타의 식품 첨가물도 필요하다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큰비쑥 정유 추출물은 그것이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한 그것이 적용될 제품이나 분야, 항미생물성이 요구되는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한 임의의 양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충분한 항미생물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 적용 양태나 항미생물성이 요구되는 정도를 불문하고 통상적으로 상기 큰비쑥 정유 추출물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포함되면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큰비쑥 정유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그 유효성분인 이외에도 분산제와 담체 그리고 기타의 항미생물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분산제로서 물,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케로센 등), 방향족 탄화수소(예: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산 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디드 등),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롤(예: 아세토니트릴 등), 계면 활 성제(고급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설폰산, 알킬 알릴 설폰산, 4급 암모늄 염, 옥시 알킬 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시드 화합물, 안하이드로 소르비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담체의 경우로서는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활성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담체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항미생물제의 경우는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시트랄(citral) (대한민국 특허 제438209호),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대한민국 특허 제427584호), 조릿대 엑기스(WO 2003/105878), 자영지(Ganoderma sinense) 추출액(대한민국 특허 제445405호), 이소디아졸론(isothiazolone) 화합물과 아미노카르복시산(WO 2000/13510)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항미생물제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액체상, 고체상 및 기체상 중 임의의 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등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방식의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액제, 식품 형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경구 방식의 제형은 주사제, 국소 투여제(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좌약, 살포제(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국소 투여 방식의 제 형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로 된 담체에 함침시킨 것, 화장품이나 비누 등에 함유시킨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인간, 동물 또는 식물에 발생하는 질병, 수질 또는 토양의 오염, 섬유의 부패 등 인간에게 유해한 현상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면, 사람 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이나 가축, 양식 어류 등 을 포함한 동물이나 식물에도 투여/살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간이 사용하는 화장품, 섬유 제품 등에도 그 제품의 보존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화장품, 섬유 제품의 제조 시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아래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미생물들이 모두 피부 병원균들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세정제 등 피부 외용제의 제조시에 첨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첨가제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항미생성을 나타내는, 아래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는 피부 상재균으로서 평상시에는 의학적으로 특별히 문제되지 않으나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들에 대해서는 패혈증, 복막염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고, 캔디다 알비칸스의 경우는 질염, 무좀, 여드름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캔디다 알비칸스가 일으키는 질병의 개선제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또는 캔디다 알비칸스가 일으키는 질병은 구체적으로는 패혈증, 복막염, 여드름, 질염 또는 무좀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의 유효량, 그것의 제형, 담체 등과 관련하여서는 앞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개선제 약제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유효성분인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염증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것의 항염증제 또는 항미생물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나 항미생물제는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큰비쑥 정유 추출물의 제조
큰비쑥 잎을 변형된 클레벤저 타입의 장치에 넣고 8시간 동안 수증기로 증류 하여 정유를 제조하고 그 정유를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켜 유리 앰플에 넣고 밀봉하여 실험 전까지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클레벤저 타입의 장치 아래 부분의 트랩(trap)에는 증류수를 채우고, 그 위층에는 얇은 거즈로 싼 큰비쑥 잎 분말을 담고, 증류수를 끓여 스팀으로 추출된 향기 오일 성분을 냉각 장치를 통과시켜 얻은 후 이를 탈수시켜 제조한 것이다.
<실험예> 항염증 활성 실험 및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실험
<실험예 1> 항염증 활성 실험
<실험예 1-1> 세포 및 시약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는 KCLB(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받아 100units/㎖ penicillin, 100㎍/㎖ streptomycin,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95% 습도 하에서 준포화상태(subconfluence)를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DMEM 배지 및 FBS는 Invitrogen-Gibco(Grand Island, NY)로부터 구입하였고, TNF-α IL-1β, IL-6 및 PGE2 정량을 위한 ELISA kit는 R&D systems, Inc.(St. Louis, MO) 및 BD biosciences(San Diego, C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예 1-2> NO 생성 억제 활성 평가
RAW 264.7 세포를 1.5×105 cell/㎖로 전배양한 후 시험물질(12.5, 25 및 50㎍/㎖의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 20μM의 DEX(dexamethason), 20μM의 NS-398)과 LPS(1㎍/㎖)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 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형태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시약[1% (w/v) sulfanilamide, 0.1%(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 100㎕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는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으며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군(LPS만의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를 참조하여 보면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의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P<0.05; ** P<0.01). 참고로 DEX와 NS-398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실험예 1-3> iNOS 및 COX-2 생성 억제 활성 평가
RAW 264.7 세포 (1.0×106 cells/㎖)를 18시간 동안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12.5, 25 및 50㎍/㎖의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 20μM의 DEX(dexamethason), 20μM의 NS-398)과 LPS(1㎍/㎖)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를 수거하고 PBS로 두번 세척하였다. 그리고 세포를 용해버퍼[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Nonidet P-40, 2 mM EDTA, 1 mM EGTA, 1 mM NaVO3, 10 mM NaF, 1 mM dithiothreitol,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25 ㎍/㎖ aprotinin, 25 ㎍/㎖ leupeptin]로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얼음에서 보관하였다가 4℃에서 15,0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수거하여 사용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단백질의 농도는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1976)으로 정량하였다. 세포 용해 상등액을 30~50㎍을 취하여 8~12%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하고 PVDF membrane(BIO-RAD, HC, USA)에 트랜스 버퍼[192 mM glycine, 25 mM Tris-HCl (pH 8.8), 20% MeOH (v/v)]로 전이시킨 후 blocking 용액(5% nonfat dried milk)으로 blocking하였다. anti-iNOS 항체(1:1000, Calbiochem, CA, USA) 및 anti-COX-2 항체(1:1000, BD Biosciences Pharmingen, CA, USA)를 이용하여 4℃에서 overnight한 다음 2차 항체(1:5000, Amersham Pharmacia Biotech, Little Chalfont, UK)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ECL 웨스턴 블롯팅 검출 키트(Amersham Biosciences, NJ, USA)로 검출하고 액틴(actin)과 비교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정량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큰비쑥 정유 추출물은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알 수 있다. 여기서도 DEX(A)와 NS-398(B)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실험예 1-4>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 2 의 생성 억제 활성
RAW 264.7 세포 (1.0×106 cells/㎖)를 18시간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12.5, 25 및 50㎍/㎖의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 20μM의 DEX(dexamethason), 20μM의 NS-398)과 LPS(1㎍/㎖)를 동시처리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GE2, TNF-α, IL-1β 및 IL-6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결과를 대조군(LPS만의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3a 내지 3d>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3d>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P<0.05; ** P<0.01). 여기서도 DEX와 NS-398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실험예 1-5> 유전자 수준에서의 iNOS 및 COX-2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 활성 평가
RAW264.7 세포(1.5×105 cells/㎖)를 18시간 동안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12.5, 25 및 50㎍/㎖의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 20μM의 DEX(dexamethason), 20μM의 NS-398)과 LPS(1 ㎍/㎖)를 동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TRI-reagent(MRC, Cincinnati, OH)를 이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는 -70℃에서 보관되었다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1㎍의 total RNA를 oligo(dT)18 primer, dNTP(0.5 μM), 1 unit RNase inhibitor 그리고 M-MuLV reverse transcriptase(Promega, Madison, WI)로 70℃ 5 분, 25℃ 5분, 37℃ 60분, 그리고 70℃에서 10분 heating시킴으로서 반응을 중지시켰다.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은 cDNA, 1.25 U Taq polymerase(Promega, USA), 50μM의 5′과 3′ primer(서열은 아래의 <표 1> 참조), 200mM dNTP, 및 20mM Tris-HCl 버퍼(pH 8.4)(500mM KCl, 1-4 mM MgCl2)로 반응액을 조성하고 DNA gene cycler(BIO-RAD, HC,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PCR 조건은 94℃/45 초(denaturing), 60~65℃/45초(annealing), 72℃/1분(primer extension), 30 cycle이며,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5%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특정 band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도 4a 및 4b>에 나타내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보면,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유전자 수준에서 iNOS 및 COX-2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프라이머 서열
구분 F/R 프라이머 서열 서열 ID
TNF-α
F 5'-TTGACCTCAGCGCTGAGTTG-3' 2
R 5'-CCTGTAGCCCACGTCGTAGC-3' 3
IL-1β
F 5'-CAGGATGAGGACATGAGCACC-3' 4
R 5'-CTCTGCAGACTCAAACTCCAC-3' 5
IL-6
F 5'-GTACTCCAGAAGACCAGAGG-3' 6
R 5'-TGCTGGTGACAACCACGGCC-3' 7
iNOS F 5`-CCCTTCCGAAGTTTCTGGCAGCAGC-3` 8
R 5`-GGCTGTCAGAGCCTCGTGGCTTTGG-3` 9
COX-2 F 5'-CACTACATCCTGACCCACTT-3' 10
R 5'-ATGCTCCTGCTTGAGTATGT-3' 11
β-Actin
F 5'-GTGGGCCGCCCTAGGCACCAG-3' 12
R 5'-GGAGGAAGAGGATGCGGCAGT-3' 13
<실험예 1-6> 세포독성 실험
RAW 264.7 세포 (1.5×105 cells/㎖)를 18시간 전 배양하고 시험물질(12.5, 25 및 50㎍/㎖의 실시예의 큰비쑥 정유 추출물, 20μM의 DEX(dexamethason), 20μM의 NS-398)과 LPS(1㎍/㎖)를 동시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로부터 유출된 LDH(lactate dehydrogenase)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LDH의 유출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데, 젖산에서 피부르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NADH을 정량함으로써 LDH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LDH 활성을 LDH 세포독성 검출 키트(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세포독성을 대조군(무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도 1>에 함께 나타내었다.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50㎍/㎖ 처리군에서 약간의 독성을 보였으나, 시험물질들 대부분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P<0.05; ** P<0.01).
통계처리
통계학적 유의차는 one way ANOVA test 및 student’s t-test로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3번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의 데이터를 mean ± standard deviation (SD) 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균 활성 실험
항균 활성은 Paper diffusion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아래 <표 3>에서 확인되는 피부병원균을 37℃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배양하여 4 McFarldand가 되도록 세포수를 조정하여 배지위에 도말하였고 여기에 지름 7cm인 paper disc를 얹은 후 20㎕의 상기 실시예의 정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환의 크기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항균력
Strains Drug-resistant patterns of skin pathogens(MIC;㎍/㎖) Inhibition zones (mm)
S. epidermidis CCARM 3709 Susceptible 1.3
S. epidermidis CCARM 3710 Erythromycin(>32), Clindamycin(>16),
Chloramphenicol(64)
1.1
S. epidermidis CCARM 3711 Tetracycline(>32) 1.1
P. acnes CCARM 0081 Susceptible 0.9
P. acnes CCARM 9010 Clindamycin(64) 1.3
C. albicans KCCM 11282 - 1.5
상기 <표 2>의 결과는 상기 실시예의 정유 추출물이 실험에 사용된 모든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력을 가짐을 물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일부 피부 병원균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1은 큰비쑥 정유 추출물의 NO의 생성 및 세포 독성(LDH assay)에 대해 갖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의 iNOS 및 COX-2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a 내지 3d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PGE2 생성 억제 효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a 및 4b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이 유전자 수준에서 iNOS, COX-2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큰비쑥 잎을 수증기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미생물제 조성물.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및 세정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피부 외용제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
  10. 큰비쑥 잎을 수증기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큰비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가 일으키는 질병의 개선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가 일으키는 질병의 개선제 조성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
KR1020090093932A 2009-10-01 2009-10-01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14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32A KR101141965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932A KR101141965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30A KR20110036330A (ko) 2011-04-07
KR101141965B1 true KR101141965B1 (ko) 2012-05-07

Family

ID=4404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932A KR101141965B1 (ko) 2009-10-01 2009-10-01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11B1 (ko) * 2017-08-24 2019-02-26 주철규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30116192A (ko) 2022-01-28 2023-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한국식품과학회지 *
논문1; 한국식품과학회지*
논문2; PHYTOCHEMISTRY *
논문2; PHYTOCHEMIST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11B1 (ko) * 2017-08-24 2019-02-26 주철규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30116192A (ko) 2022-01-28 2023-08-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30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07B1 (ko) 온주 밀감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102326886B1 (ko) 어성초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및 항염증 조성물
US20220080016A1 (en) Antioxidant, Antibacterial Or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nd Magnolia Officina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KR101618330B1 (ko) 락토코커스 중앙젠시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80580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157067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516317B1 (ko) 넓미역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US20050003030A1 (e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and preparations from African nutmeg seeds
KR101141965B1 (ko)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큰비쑥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455842B1 (ko) 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62763A (ko) 항염 조성물
KR20180060754A (ko) 연산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13337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39520A (ko) 때죽나무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211B1 (ko)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130092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idew et al. Antimyco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ruit of Trapa natans L. var. Bispinosa reveal its therapeutic potential
KR101490512B1 (ko) 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21050B1 (ko) 천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항균 조성물
KR101396572B1 (ko) 한라봉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101326164B1 (ko) 항균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65684B1 (ko) 민들레 추출물, 비타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1182B1 (ko) 항염증성 조성물
KR2015010244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