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70A -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70A
KR20180024470A KR1020160110739A KR20160110739A KR20180024470A KR 20180024470 A KR20180024470 A KR 20180024470A KR 1020160110739 A KR1020160110739 A KR 1020160110739A KR 20160110739 A KR20160110739 A KR 20160110739A KR 20180024470 A KR20180024470 A KR 2018002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inflammatory
diabetic complications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희
조현우
안병관
정호경
장지훈
심미옥
Original Assignee
한약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약진흥재단 filed Critical 한약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6011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470A/ko
Publication of KR2018002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섬기린초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섬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은 IκB-α의 분해 억제를 통해 NF-κB 전사 활성화를 억제시키며, LPS에 의해 유도되는 iNOS 그리고 COX-2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및 IL-6, IL-1β의 발현을 유전자 및 단백질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섬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관련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Sedum takesimense Nakai extracts}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섬기린초 추출물을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섬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달 및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자 비율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및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면역계 이상으로 염증반응의 만성화가 진행되어 아토피, 천식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자극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과 같은 내부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기전으로 세포 내 다양한 염증조절인자들인 종양괴사인자-α(TNF-α),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여러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생성된다. 또한, 내독소로 알려진 지질다당체(LPS, 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여, 대식세포 또는 단핵세포에서 세포내 전사요소인 핵 인자-κB(NF-κB, nuclear facter-κB)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동성 산화질소 신타아제(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cyclooxygenase-2)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며, 염증 매개물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iNOS, COX-2, 또는 NF-κB의 발현, 및 사이토카인과 산화질소의 분비 조절은 염증반응의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인자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이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 계통인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등이 있으나, 이들 물질은 간 손상, 암, 뇌졸중과 같은 여러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여 사용 시 제한되고 있다.
이에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종래 의약품에 비해 장기간 섭취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을 이용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는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L.)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 울릉도와 독도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종이다(Chung YH and Kim JH. (1989). A taxonomic study of Sedum section Aizo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9:189-227.; Nakai T. (1919).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Its formation and floral relationship with Korea and Japan. Proceeding of the Third Pan-Pacific Science Congress. 1:911-914.). 돌나물속은 북반구 전역에 분포하고 내건성 및 내한성이 강하며 왕성한 번식력으로 군집을 이루어 자라는 특징을 보인다(Ohba H. (1978). Generic and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old world sedoideae.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Tokyo. 12:139-198.). 섬기린초는 주로 울릉도 전 지역에 해안가를 따라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높이가 50 cm에 달하고 기부 30 cm 정도가 겨울 동안에 살아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싹이 나와서 자라며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벋으면서 자란다(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Korea. p.459.; Lee W and Park JH. (2010). Intraspecific sequence variation of trnL/F intergenic region (cpDNA) in Sedum takesimense Nakai (Crassulaceae) and aspects of geogeaphic distribu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157-162.).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말린 것을 활용하는데 활혈 작용이 있으므로 섬기린초 달인 물을 술에 타서 복용하면 타박상에 좋고,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 대장출혈, 외상출혈에 생것을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고, 국산 돌나물속의 일부 종은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Bae KH. (1999).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202.; Kim DW, Son KH, Chang HW, Bae KH, Kang SS and Kim HP. (2004).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dum kamtshaticum.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0:409-414.). 그러나, 실제 섬기린초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산특종 특산식물인 섬기린초의 자원산업화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던 중, 섬기린초가 항염증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섬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는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L.)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기린초 추출물"은 섬기린초의 잎, 줄기, 꽃,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섬기린초의 전초 추출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섬기린초로부터 추출한 추출액뿐만 아니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출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인 섬기린초 추출물은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세포 내 NO 농도를 감소시키고, COX-2의 발현 억제를 통해 PGE2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대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인 사이토카인(TNF-α, IL-6, IL-1β)의 생성을 저해하며, IκB-α 분해 억제를 통해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증 질환"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또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한 염증질환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동맥경화증, 염증성 내장 질병, 궤양성 대장염, 골다공증, 크론(Crohn) 병, 뇌척수염, 수막염, 췌장염, 복막염, 골수염, 뇌염, 뇌막염, 비염, 급성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맥관염, 임파구 맥락수막염, 사구체신염, 포도막염, 회장염, 간 염증, 신장 염증, 천식, 통증, 패혈성 쇼크, 국소 빈혈, 궤양, 다중경화증, 경화증, 출혈성쇼크, 아나필락틱 쇼크, 화상, 감염, 박테리아성 감염, 비루스성 감염, 진균성 감염 및 기생성감염, 건선, 아토피성피부염, 알러지성피부염, 위궤양, 레이슈마니아증, 주혈흡충증, 혈액투석증, 발작, 심폐 혈관이식, 국소 빈혈, 재환류 질환, 혈색소증, 혈색소병증, 당뇨병, 알츠하이머(Alzheimer) 병, 파킨슨(Parkinson) 병, 타가이식거부증 및 자가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은 염증질환의 발달을 저지시키거나, 염증질환의 확산을 예방하거나, 염증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염증질환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섬기린초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데, 치료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 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방법은 모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내 주입,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섬기린초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섬기린초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섬기린초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세포독성이 없는 무해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은 독성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약학적,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은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해 세포 내 NO 농도를 감소시키고, COX-2의 발현 억제를 통해 PGE2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대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인 사이토카인(TNF-α, IL-6, IL-1β)의 생성을 저해하며, IκB-α 분해 억제를 통해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염증관련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500, 및 1000 ㎍/㎖) 전처리에 따른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NO 생성 억제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5,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PGE2(Prostaglandin E2)의 분비 억제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iNOS 및 COX-2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RT-PCR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웨스턴 블랏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TNF-α, IL-6, IL-1β)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RT-PCR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농도별(62, 125, 250, 및 500 ㎍/㎖) 전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TNF-α, IL-6, IL-1β) 생성량 변화를 ELISA법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의 IκB 분해 억제 효능을 형광량 분석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SKLC: 섬기린초 물추출물).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이 좀 더 이해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시약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과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은 Gibco/BRL (Eggenstein- Leopoldshafen, Germany)에서 구입하였고, MTS(3-(4,5-dimethylthiazol- 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및 PES(phenazine ethosulfate)가 포함된 The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와 Griess reagent system은 Promega (Madison, WI, USA)에서 구입하였다. Tripure Isolation Reagent는 Roche (Basel, Switzerland)에서 구입하였다. LPS(Lipopolysaccaride), DMSO(dimethyl sulfoxide)는 Sigma Chemical Co. (St. Lousi,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PEG2 ELISA kit와 RIPA cell lysis buffer 3은 Enzo Life Sciences Co. (Farmingdale, NY, USA)에서 구입하였고, TNF-α, IL-1β, IL-6의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는 R&D systems (DuoSet ELISA Development Systems, MN, USA)에서 구입하였다. iNOS, COX-2, IκB-α GAPDH antibodies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Danvers,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 Mouse, FITC conjugate와 Rabbit, Alexa Fluor 514 antibodies는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세포주 및 세포배양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은 한국세포주은행 (KCLB,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아 10%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여, CO2배양기 (MCO-17A1, Sanyo, Osaka, Japan)에서 온도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시예에서 얻은 결과는 평균치 ㅁ 표준편차 (mean ㅁ 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각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는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 Chicago, IL, USA)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Student's t-test로 분석하여 p-value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제조예 1: 섬기린초 추출물의 제조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의 전초를 잘라 수세한 후 50℃로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일주일간 건조하였다. 그 후 건조된 섬기린초 시료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쇄한 후 3차 증류수를 칭량한 시료무게의 10배를 넣고 60℃ 환류냉각으로 3시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완전히 건조된 시료를 실험 목적에 맞춰서 PBS(phosphate-buffered saline) 용매에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섬기린초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MTS 분석)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MTS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96 well plate에 RAW 264.7 세포를 3 ㅧ 105 cells/㎖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 FBS DMEM 조건에서 시료를 농도별(62, 125, 250, 500, 및 1000 ㎍/㎖)로 전처리하고 여기에 LPS (500 ng/㎖)를 각각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각 10 ㎕의 MTS 용해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4시간 배양한 후 ELISA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pro, TECAN, Grㆆdig, Austria)를 이용하여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1000 ㎍/㎖ 농도에서 생존률이 85%로 유의적으로 세포독성이 있었으므로, 이하의 실험은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섬기린초 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농도 측정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cell에서 상기 제조예 1의 섬기린초 물추출물의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62, 125, 250, 및 500 ㎍/㎖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LPS (500 ng/㎖)와 함께 24시간 세포 배양한 후 griess reagent system를 이용하여 NO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세포 배양 상등액과 griess reagent를 1:1로 혼합하여 넣고 10분 동안 반응 시킨 후 ELISA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 pro, TECAN, Grㆆdig, Austria)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군에 비해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PS를 처리하지 않고 섬기린초 물추출물만 처리한 군에서는 NO 생성의 변화가 없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섬기린초 추출물의 PGE 2 (Prostaglandin E 2 )의 분비 억제 효과
RAW 264.7 cell에서 섬기린초 물추출물의 PGE2 분비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 PEG2 ELISA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AW 264.7 cell를 96 well plate에 2 ㅧ 105 cells/㎖로 분주하여 배양하였고, 10% FBS DMEM 조건에서 시료를 62.5, 125, 250, 및 500㎍/㎖ 농도별로 전처리하고 2시간 후에 LPS (500 ng/㎖)를 각각 처리한 다음 RAW 264.7 cell을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PS에 의해 Raw 264.7 세포에서 PGE2생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별로 유의성있게 PGE2생성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PGE2 생성 활성을 낮춤으로써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섬기린초 추출물의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
4-1. 염증관련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 정도 분석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6 ㎝ dish에 1ㅧ105 cells/dish 씩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 시켰다. 이후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62, 125, 250, 및 500 ㎍/㎖의 농도별로 처리하고 30분 후에 LPS (500 ng/㎖)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2회 헹궈낸 뒤 Tripure Isolation Reagent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5 ㅅg의 mRNA를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을 하였다. 합성된 cDNA 1 ㎕, taqman primer 1 ㎕,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 10 ㎕, 3차 증류수 8 ㎕를 넣고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정량 중합 효소 반응에 쓰인 TaqMan gene은 http://www.lifetechnologies.com 에서 검색하여 주문 후 사용하였고 분석하고자 하는 유전자 특이적 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real-time PCR 반응 조건은 50℃에서 2분 95℃에서 10분 동안 1회 수행하고, 변성 온도 95℃에서 15초, 어닐링 온도 60℃에서 15초인 사이클을 40회 반복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Gene symbol Gene description TaqMan gene expression assay number Reference sequence
TNF-α tumor necrosis factor alpha Mm00443258_m1 NM_013693.3
IL-1β interleukin 1 beta Mm01336189_m1 NM_008361.3
IL-6 interleukin 6 Mm00446190_m1 NM_031168.1
Ptgs2
(COX-2)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 2 Mm00478374_m1 NM_011198.3
NOS2 nitric oxide synthase 2, inducible Mm00440502_m1 NM_010927.3
Hprt1 hypoxanthine 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reference gene)
Mm01545399_m1 NM_013556.2
4-2. 염증관련 단백질의 생성량 분석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62, 125, 250, 및 500 ㎍/㎖의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24시간 배양한 후 단백질을 용해시키는 완충제인 RIPA cell lysis buffer을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액을 15,000 ㅧ g로 4℃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만 포함하고 있는 상층액만을 얻었다. 정량한 단백질 20 ㎍을 10% SDS-PAGE에 전기 영동시킨 후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 (BIO-RAD, Richmond, CA, USA)으로 옮겼다. 그리고 membrane의 blocking은 5% bovine serum albumin (BSA)이 함유된 TTBS (0.1% Tween 20 + TBS) 용액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실시한 다음 iNOS, COX-2, 및 GAPDH에 대한 1차 항체와 반응시킨 후 2차 항체인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rabbit 또는 anti-mouse IgG를 반응시키고 ECL detection reagents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4-3. 결과
도 4 내지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은 iNOS, COX-2의 mRNA 및 단백질의 양이 농도별로 감소하였고, 특히 500 ㎍/㎖ 농도에서 많은 감소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섬기린초 추출물의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발현 억제 효과
RAW 264.7 cell에서 섬기린초 물추출물이 LPS로 유도되는 각종 전염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4-1에 기술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기린초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7 내지 9에 나타내었다.
도 7 내지 9에서 볼 수 있듯이, Real-time PCR 측정한 결과 섬기린초 물추출물의 62 ~ 500 ㎍/㎖ 농도에서 IL-1β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TNF-α 발현을 250 ~ 500 ㎍/㎖의 농도에서 IL-6 발현을 125 ~ 500 ㎍/㎖의 농도에서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또한, LPS (500 ng/㎖)로 RAW 264.7 cell을 자극하기 전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62, 125, 250, 및 500㎍/㎖의 농도별로 30분 동안 전처리를 하였다. 이후 LPS로 자극한 후 24시간 후 세포와 세포배양액을 수집하고 뒤 이들 염증매개와 관련된 사이토카인을 세포 상층액에서 명시된 ELISA kit의 매뉴얼대로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섬기린초 물추출물의 62 ~ 500 ㎍/㎖ 농도에서 IL-1β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TNF-α 생성을 125 ~ 500 ㎍/㎖의 농도에서 IL-6 생성을 250 ~ 500 ㎍/㎖의 농도에서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실시예 6: 섬기린초 추출물의 IκB의 분해 억제 효과
대식세포주 내에서의 세포기질(cytosol)에 있는 IκB의 분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IκB-α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형광 염색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cover slip이 깔린 24 wells cell culture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2시간 전에 LPS (500 ng/㎖)를 각각 처리한 다음 섬기린초 물추출물을 500 ㅅg/㎖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시간에 따라 6시간이 지난 후 그룹 별로 cover slip 위의 세포를 1 X PBS로 3번 세척해 주고, 3.7% formaldehyde로 실온에서 20분 동안 고정 시켜 주었다. 다시 1 X PBS로 3번 세척한 후 0.5% Triton X-100을 15분 간 처리한 다음, 3% BSA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 하였다. 그 다음 1차 항체로 각각 IκB-α (1:100)를 1% BSA/PBS에 희석하여 처리하여 4℃에서 밤새 반응하였다. 1 X PBS로 5분간 세척 한 후 2차 항체 (1:200)를 1% BSA/PBS에 희석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마지막으로 1 X PBS로 5분씩 3번 세척 후 cover slip을 fluorescence solution (DAKO cytomation, Carpinteria, CA)으로 고정 시킨 후 fluorescence microscope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로 관찰하였다. 형광량 측정은 이미지 계량 소프트웨어 (Image J)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LPS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서는 IκB의 분해가 많이 나타났지만, 섬기린초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IκB가 분해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섬기린초 추출물이 IκB의 분해를 억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나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NF-κB의 핵내이동 (nuclear translocation)을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8)

  1.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은 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동맥경화증, 염증성 내장 질병, 궤양성 대장염, 골다공증, 크론(Crohn) 병, 뇌척수염, 수막염, 췌장염, 복막염, 골수염, 뇌염, 뇌막염, 비염, 급성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맥관염, 임파구 맥락수막염, 사구체신염, 포도막염, 회장염, 간 염증, 신장 염증, 천식, 통증, 패혈성 쇼크, 국소 빈혈, 궤양, 다중경화증, 경화증, 출혈성쇼크, 아나필락틱 쇼크, 화상, 감염, 박테리아성 감염, 비루스성 감염, 진균성 감염 및 기생성감염, 건선, 아토피성피부염, 알러지성피부염, 위궤양, 레이슈마니아증, 주혈흡충증, 혈액투석증, 발작, 심폐 혈관이식, 국소 빈혈, 재환류 질환, 혈색소증, 혈색소병증, 당뇨병, 알츠하이머(Alzheimer) 병, 파킨슨(Parkinson) 병, 타가이식거부증 및 자가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은 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동맥경화증, 염증성 내장 질병, 궤양성 대장염, 골다공증, 크론(Crohn) 병, 뇌척수염, 수막염, 췌장염, 복막염, 골수염, 뇌염, 뇌막염, 비염, 급성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 맥관염, 임파구 맥락수막염, 사구체신염, 포도막염, 회장염, 간 염증, 신장 염증, 천식, 통증, 패혈성 쇼크, 국소 빈혈, 궤양, 다중경화증, 경화증, 출혈성쇼크, 아나필락틱 쇼크, 화상, 감염, 박테리아성 감염, 비루스성 감염, 진균성 감염 및 기생성감염, 건선, 아토피성피부염, 알러지성피부염, 위궤양, 레이슈마니아증, 주혈흡충증, 혈액투석증, 발작, 심폐 혈관이식, 국소 빈혈, 재환류 질환, 혈색소증, 혈색소병증, 당뇨병, 알츠하이머(Alzheimer) 병, 파킨슨(Parkinson) 병, 타가이식거부증 및 자가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섬기린초(Sedum takesimense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은 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0739A 2016-08-30 2016-08-30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24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39A KR20180024470A (ko) 2016-08-30 2016-08-30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39A KR20180024470A (ko) 2016-08-30 2016-08-30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70A true KR20180024470A (ko) 2018-03-08

Family

ID=6172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739A KR20180024470A (ko) 2016-08-30 2016-08-30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4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78A (ko) * 2018-10-10 2020-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2045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2043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애기 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78A (ko) * 2018-10-10 2020-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2045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2043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애기 기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0611A (ko) 온주 밀감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KR20190080821A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24470A (ko)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127188A (ko)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1695A (ko) 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70815B1 (ko)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보습 또는 항아토피용 조성물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9188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6823B1 (ko) 새송이버섯 및 포도가지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7640A (ko) 홍삼 분말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및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0513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2532A (ko) 무우 뿌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3369A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산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