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578A -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578A
KR20200040578A KR1020180120675A KR20180120675A KR20200040578A KR 20200040578 A KR20200040578 A KR 20200040578A KR 1020180120675 A KR1020180120675 A KR 1020180120675A KR 20180120675 A KR20180120675 A KR 20180120675A KR 20200040578 A KR20200040578 A KR 2020004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umgirincho
nanocomposite
carbohydrate
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554B1 (ko
Inventor
최신식
엠디.압두르 라작
이지은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5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섬기린초 추출물,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a) 섬기린초추출물 및 유화제를 결합한 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b) 덱스트린(Dextrin)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섬기린초 추출물을 탄수화물과 결합하여 나노 사이즈 입자의 복합체를 만듦으로써, 기존의 섬기린초 추출물 자체보다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높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가지는 섬기린초 추출물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SEDUM TAKESIMENSE EXTRACT CARBORNHYDRATE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기린초 추출물을 덱스트린 등과 결합하여 나노 사이즈 입자의 복합체를 만듦으로써 기존의 섬기린초 추출물 자체를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제공하여 섬기린초의 여러 효능을 잘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기린초(Sedum Kantschaticum)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둥근 기둥 모양으로 키는 30-50㎝가량에 해당한다. 꽃은 6-7월에 피며 열매는 5개의 골돌과로 익으면 별 모양으로 찢어진다. 산이나 들의 바위 위에 자생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울릉도나 독도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기린초 추출물의 경우 여러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균 내지 항 바이러스 효과,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항 말라리아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균효과와 관련해, 미생물들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고 제품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식품 및 화장품, 의약품에는 방부제가 필수적이다. 제품 특성상 유통기간이 비교적 길며 미생물의 영양원이 많은 화장품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의약품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은 피부알러지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용 방부제들도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만성 독성, 돌연변이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천연 항균 물질인 알칼로이드(alkaloid), 후라보노이드(flavonoid), 피토알렉신(phytoalexin), 항균 펩타이드 등을 방부제로 사용하는 방안도 대두되었으나 이러한 천연 항균 물질의 대부분의 경우 색취, pH 저하, 좁은 항균 스펙트럼, 제형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항산화 효과와 관련해서, 천연 항산화물질인 토코페롤과 비타민 C의 경우 인체에 안전하므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는 있으나 안정성이 낮아 항산화 능력이 떨어지는 점 및 경제성 때문에 실제로는 합성 항산화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량이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피부 미백과 관련해서도,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해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dcid), 알부틴(arbutin) 또는 이들의 유도체들을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해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및 화장품에 배합 시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섬기린초 추출물(Sedum Takesimense, ST)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뛰어나 우수한 향균, 항산화 내지 미백 효과 등을 발휘하는 물질을 개발하기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1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섬기린초 추출물을 덱스트린 등과 결합하여 나노 사이즈 입자의 복합체를 만듦으로써, 기존의 섬기린초 추출물 자체를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제공하여 섬기린초의 여러 효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섬기린초 추출물(ST),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는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중량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상기 덱스트린(Dextrin), 상기 카제인을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섬기린초추출물과 유화제를 결합한 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b) 덱스트린(Dextrin)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상기(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d)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은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중량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 상기 덱스트린(Dextrin), 상기 카제인을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섬기린초 추출물을 덱스트린 등과 결합하여 나노 사이즈 입자의 복합체를 만듦으로써, 기존의 섬기린초 추출물 자체보다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높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가지는 섬기린초 추출물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입자 크기(Particle size), PDI(Poly disperse index)를 나타내고, 도 1(b)는 제타 포텐셜(ζ-potential)을 나타낸다.
도 2(a)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를 동결건조 후 동일 농도로 다시 물에 녹였을때 입자크기와 PDI를 나타내고 도 2(b)는 제타전위를 나타낸다.
도 3(a)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존재하는 NaCl수용액 농도에 따른 입자 크기 및 PDI를 나타내고, 도 3(b)s는 제타 포텐셜을 나타내며 도 3(c)는 NaCl수용액에 12시간 방치했을 때 침전물 형성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pH 변화에 따른 입자 크기 및 PDI를 나타내고, 도 4(b)는 제타 포텐셜, 도 4(c)는 pH 조정 후 12시간 방치했을 때의 침전 여부를 나타낸다.
도 5는 섬기린초 추출물(ST) 및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섬기린초 추출물(ST)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capacity)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는 섬기린초 추출물(ST),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덱스트린(Dextrin)은 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β-cycliodextrin, HP-β-CD)일 수 있다. 상기 HP-β-CD는 식품 안전 리스트인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에도 나온 물질로서 섭취 시 인체에 안전한 물질에 해당한다. 상기 HP-β-CD은 탄수화물의 일종으로서 이하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1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경우 상기 HP-β-CD의 고리 안에 상기 ST가 결합되어 HP-β-CD가 ST를 코팅하고 있는 형태가 된다. ST가 HP-β-CD의 고리 안에 결합되는 경우 HP-β-CD의 고리 밖에 존재하는 친수성기인 다수의 OH기가 고리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HP-β-CD와 ST의 결합체의 경우 표면이 소수성을 띄게 된다. 상기 유화제로 데카글리세릴 라우레이트(Decaglyceryl laurate, L10D)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L10D를 더 포함함으로써 L10D이 상기 HP-β-CD와 ST의 결합체 표면을 둘러싸게 되고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 )가 물에서도 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는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중량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상기 덱스트린(Dextrin), 상기 카제인을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을 상기 동일 중량비를 초과하여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덱스트린(Dextrin)과 결합하지 못한 ST가 용매에 침전되어 남아 있을 수 있고, 상기 동일 중량 비 미만으로 너무 적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합체 자체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a) 섬기린초추출물과 유화제를 결합한 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b) 덱스트린(Dextrin)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Dextrin)은 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β-cycliodextrin, HP-β-CD)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는 상기 HP-β-CD의 고리 안에 상기 ST가 결합되어 HP-β-CD가 ST를 코팅하고 있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ST가 HP-β-CD의 고리 안에 결합되는 경우 HP-β-CD의 고리 밖에 존재하는 친수성기인 다수의 OH기가 고리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HP-β-CD와 ST의 결합체의 경우 표면이 소수성을 띄게 된다. 상기 유화제로 데카글리세릴 라우레이트(Decaglyceryl laurate, L10D)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L10D이 상기 HP-β-CD와 ST의 결합체 표면을 둘러쌈으로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물에서도 용해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단계의 경우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을 이후 반용매 공동침전(Antisolvent co-precipitation)원리에 의해 40℃로 설정된 증발기로 유기용매인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고 결국 섬기린초 추출물(ST) 및 유화제, 덱스트린(Dextrin)이 결합된 복합체(ST-L10D-HPβCD)가 용매인 물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d)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d)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의 경우 물 속에 섬기린초 추출물(ST) 및 유화제, 덱스트린(Dextrin)이 결합된 복합체(ST-L10D-HPβCD)가 존재하므로 상기 혼합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복합체(ST-L10D-HPβCD)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은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중량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 상기 덱스트린(Dextrin), 상기 카제인을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의 전체 부피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의중량이 0.5%, 상기 덱스트린(Dextrin) 중량이 0.5%, 상기 카제인 중량이 0.5%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을 상기 동일 중량비를 초과하여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덱스트린(Dextrin)과 결합하지 못한 ST가 용매에 침전되어 남아 있을 수 있고, 상기 동일 중량 비 미만으로 너무 적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합체 자체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중량 대비 섬기린초 추출물(ST), 덱스트린(Dextrin), 카제인을 1:1:1의 동일 중량비로 하여 즉, 하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을 제거한 후의 섬기린초 추출물 및 유화제의 복합체 및 덱스트린(Dextrin)을 포함한 혼합 용액의 부피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의 중량이 0.5%, 상기 덱스트린(Dextrin) 중량이 0.5%, 상기 카제인 중량이 0.5%가 되도록 사용한 섬기린초 추출물 및 유화제를 결합한 복합체를 물에, 덱스트린(Dextrin)을 유기 용매에 각각 용해시킨다. 그리고 상기 용액들을 혼합한다. 이후 반용매 공동 침전법(Antisolvent co-precipitation)에 의해 상기 혼합 용액에서 40℃의 증발기를 이용해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하면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용매인 물에 침전되어 형성된다.
측정예 1.
L10D, HPbCD의 농도를 고정하고, ST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입자 크기(Particle size) 및 PDI(Poly disperse index), 제타 포텐셜(ζ-potential)을 측정하였다.
도 1(a)에 나타난바와 같이 에탄올을 제거한 후의 섬기린초 추출물 및 유화제의 복합체 및 덱스트린(Dextrin)을 포함한 혼합 용액의 부피 대비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ST)의 중량이 0.4 내지 0.5%인 경우, 즉 ST, L10D, HPbCD의 비율이 1:1:0.8 내지 1:1:1 일 경우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고, 가장 작은 입자 크기와 낮은 PDI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ST의 중량이 0.1 내지 0.2%인 경우 ST와 결합하지 못한 여분의 HPβCD의 침전이 일어났고, ST의 중량이 0.6 내지 1.2%인 경우 HPβCD와 결합하지 못하고 남은 ST의 침전이 일어났다.
PDI값의 경우 보통 0.5 미만 값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입자크기를 갖는다고 볼 수 있고, PDI값이 낮을수록 균일한 입자크기를 갖는다고 본다. 따라서 ST, L10D, HPbCD의 비율이 1:1:0.8 내지 1:1:1 일 경우 ST-L10D-HPβCD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으면서 가장 균일하게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제타 포텐셜은 수용액내에서 얼마나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그 절대값이 클수록 수용액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한다고 본다. 도 1(b)를 보면 ST 첨가비율(0.1 내지 1.2%)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비교적 큰 절대값을 나타내고 있고 ST의 첨가비율이 0.5%이상인 경우에는 제타 포텐셜의 절대 값이 약 18정도로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ST-L10D-HPβCD의 수용액내에서의 안정성은 ST 첨가비율(0.1 내지 1.2%)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측정예 2.
물속에 용해된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를 동결 건조하여 분리한 후 다시 물에 녹인 경우에 동결건조 전에 비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했고, PDI 값이 낮아져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게 되었음을 확인했다.(도 2(a)) 그리고 제타포텐셜의 경우 큰 차이는 없으나 조금 더 큰 음의 값을 나타내어 제타 포텐셜의 절대값이 동결건조 전에는 15V였으나 동결건조 후 재용해 시켰을 때는 23V정도를 나타내는바(도 2(b)) 용액 내에서 동결 건조 후 재용해시켰을 때에도 복합체가 안정하게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를 동결 건조하여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상용화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동결건조 전 보다 식품 등에 더 잘 용해되고 여전히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성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어 상용화에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예 3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존재하는 수용액에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수용액의 농도를 다르게 하였을 때, 입자 크기는 약 8 내지 15nm를 나타내는 등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NaCl수용액의 농도가 600mM로 증가할 때까지 PDI값이 최고 1.0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3(a)) 따라서 NaCl수용액 농도가 높아질수록 복합체의 PDI값이 0.5이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기는 하나 입자의 크기가 크게 변하지 않은 채 거의 원래의 입자 크기를 유지하는바 비교적 복합체의 원래 형태를 잘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T-L10D-HPβCD의 경우 다양한 염 농도를 가진 식품 내지 화장품에 사용되는 경우 나노 사이즈의 작은 입자 형태로 용해되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수용액내에서의 복합체의 제타 포텐셜도 NaCl수용액 농도변화에 따라 대체로 그 절대값이 NaCl수용액 농도가 0mM인 경우보다 증가하였는바 복합체가 오히려 NaCl수용액에서 더 안정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3(b))
또한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존재하는 수용액에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수용액의 농도를 다르게한 후 12시간 방치하였을 때 침전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3(c))
따라서 ST-L10D-HPβCD의 경우 다양한 염 농도를 가진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사용되는 경우 복합체가 비교적 균일한 나노 사이즈의 작은 입자 형태를 띄고 침전됨이 없이 용해되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을 것인바 상기 ST-L10D-HPβCD를 함유한 제품 등의 상용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예 4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가 존재하는 수용액의 pH를 2부터 7까지 조정했을 때, 입자 크기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pH가 낮아지면서 pH 5부터는 PDI 값이 0.5를 초과하여 증가하였으나 1.0을 초과하지는 않은 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도 4(a)) 그리고 제타전위의 경우 pH가 낮아짐에 따라 절댓값이 작아졌으나 pH가 매우 낮은 2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pH 3 이상에서는 약 7 내지 18정도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이정도 값의 경우 수용액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한다고 수 있다.(도 4(b)) 또한 pH 2 내지 7의 수용액에서 12시간 방치했을 때의 침전물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4(c))
따라서 ST-L10D-HPβCD의 경우 다양한 pH를 가진 식품 내지 화장품등에 사용되는 경우 복합체가 비교적 균일한 나노 사이즈의 작은 입자 형태를 띄고 침전됨이 없이 안정하게 용해되어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바 상기 ST-L10D-HPβCD를 함유한 제품 등의 상용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측정예 5
섬기린초 추출물(ST) 농도에 따른 ST 단독의 DPPH 라디칼 소거능(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capacity) 즉, 항산화 능력의 경우 ST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라디컬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반면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경우 적은 농도의 ST에서도 높은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었다.(도 5) 따라서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경우 섬기린초 추출물(ST)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적은 양으로도 동일한 항산화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바 섬기린초 추출물(ST) 자체보다 뛰어난 항산화능력을 보였다.
측정예 6
섬린초 추출물 자체(ST)와 본 발명의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ST-L10D-HPβCD)의 향균 능력을 각각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50%DMSO: 50% 농도의 dimethyl sulfoxide
상기 표 1에 의하면 ST-L10D-HPβCD의 향균 능력과 관련해 ST-L10D-HPβCD인 복합체를 50%DMSO 내지 물에 용해시키는 경우 ST를 용해시키는 경우보다 향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더 높은 최소 저해농도(MIC)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향균 효과를 발휘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인 1,2,4,6-tetra-O-galloyl-β-D-glucose의 양은 복합체가 존재하는 혼합 용액에서 0.72% 존재하므로 섬기린초 추출물이 존재하는 혼합용액에서 2.82%의 유효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와 비교해 훨씬 적은 양의 유효 성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ST-L10D-HPβCD복합체의 경우 섬기린초 출물(ST) 자체 보다 더 뛰어난 향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섬기린초 추출물,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는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3. (a) 섬기린초추출물 및 유화제를 결합한 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b) 덱스트린(Dextrin)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a)단계와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d)단계를 거친 혼합 용액에서 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은 상기 섬기린초 추출물, 덱스트린(Dextrin) 및 유화제를 1:1:1의 동일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80120675A 2018-10-10 2018-10-10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75A KR102217554B1 (ko) 2018-10-10 2018-10-10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75A KR102217554B1 (ko) 2018-10-10 2018-10-10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78A true KR20200040578A (ko) 2020-04-20
KR102217554B1 KR102217554B1 (ko) 2021-02-22

Family

ID=7046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75A KR102217554B1 (ko) 2018-10-10 2018-10-10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5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716B1 (ko) * 2002-03-27 2005-03-08 주식회사 참 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KR20110059697A (ko) * 2009-07-10 201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나노 전분 복합체 및 제조 방법
KR101637167B1 (ko) 2014-03-14 2016-07-07 주식회사 다인소재 섬기린초 추출물과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항균 원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24470A (ko) * 2016-08-30 2018-03-08 한약진흥재단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716B1 (ko) * 2002-03-27 2005-03-08 주식회사 참 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KR20110059697A (ko) * 2009-07-10 201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나노 전분 복합체 및 제조 방법
KR101637167B1 (ko) 2014-03-14 2016-07-07 주식회사 다인소재 섬기린초 추출물과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항균 원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24470A (ko) * 2016-08-30 2018-03-08 한약진흥재단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polymer nano-particles and natural nano-carriers fornano-encaps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A. Faridi Esfanjani, S.M. Jafari et al.,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146 (2016) 532-54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554B1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jakumari et al. Grape seed extract-soluplus dispersion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Li et al. The simultaneous loading of catechin and quercetin on chitosan-based nanoparticles as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gent
Nayak et al. Synergistic combination of antioxidants, silver nanoparticles and chitosan in a nanoparticle based formulation: Characterization and cytotoxic effect on MCF-7 breast cancer cell lines
Rahaiee et al. Nanoparticles based on crocin loaded chitosan-alginate biopolymers: Antioxidant activities, bioavailability and anticancer properties
CN111714460B (zh) 抗氧化碳量子点、其制备方法、应用及组合物
Vidal J et al. Microencapsulation of maqui (Aristotelia chilensis Molina Stuntz) leaf extracts to preserve and control antioxidant properties
WO2011140856A1 (zh) 雪莲花提取物、其制备方法和应用
Pathania et al. Low-energy assisted sodium alginate stabilized Phyllanthus niruri extract nanoemulsion: Characterization,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pplication
JP2006298857A (ja) 育毛剤および育毛用キット
Chainpure et al. A study of carica papaya concerning it's ancient and Traditional uses-recent advances and modern Applications for improving the milk secretion in Lactating womens
Bujak et al.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Stevia rebaudiana leaf extracts in the “green synthesis” of AgNPs
KR101515073B1 (ko)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Mouriya et al. Green synthesis of Cicer arietinum waste derived silver nanoparticle for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properties
Kiani et al. Green synthesis of LAE@ ZnO/Ag nanoparticles: Unlocking the multifaceted potential for biomedic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KR20200040578A (ko)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7634B1 (ko) 섬기린초 추출물 단백질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7567B1 (ko)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Pathak et al. Nanobiotechnology of cyanobacterial UV-protective compounds: Innovations and prospects
KR102080034B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088597B2 (ja) 内服および注射用組成物とその製法
WO2020044360A1 (en) A curcumin loaded stabilized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increased solubility and photo-stability and a green process for the synthesis thereof
KR102582150B1 (ko) 신규한 석류-산화아연 나노복합입자 및 이의 용도
Keyimu et al. Seaweed composition and potential uses
JP2003192603A (ja) 抗ガン剤および健康食品
KR102384243B1 (ko) 레티놀 또는 레티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키토산이 코팅된 나노캡슐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