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716B1 -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 Google Patents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716B1
KR100473716B1 KR10-2002-0016737A KR20020016737A KR100473716B1 KR 100473716 B1 KR100473716 B1 KR 100473716B1 KR 20020016737 A KR20020016737 A KR 20020016737A KR 100473716 B1 KR100473716 B1 KR 10047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cholesterol
cyclodextrin
present
skin
stab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814A (ko
Inventor
정호권
김광년
오철
강병찬
서원상
최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 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to KR10-2002-001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7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입체 망목(網目) 구조 내에 포접(inclusion) 또는 포획(entrapping)되어 있으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사이클로덱스트린이 1:1~20의 중량 비율인 포접 복합체(inclusion complex)와,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과,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 또는 위의 포접 복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의하면 불안정한 물질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용이하고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화장품이나 의약으로서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유통 및 사용기간 중에 발생하기 쉬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다른 물질로의 변환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갖는 고유한 본연의 효과는 충분히 발휘하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수용화함으로써 만성피부질환자의 피부 개선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수용성 제형의 화장료 또는 외용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INCLUSION COMPLEX OF 7-DEHYDROCHOLESTEROL AND CYCLODEXTRI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STABILIZING 7-DEHYDROCHOLESEROL}
본 발명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와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 피부 노화 방지, 골다공증 예방 및 피부 이상 각화증의 예방 및 개선 등에 유효하나 불안정한 물질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킴으로써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킨 포접 복합체와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용이하고도 효과적인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D의 주요한 형태로는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와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가 있다.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은 비타민 D3의 전구체로서 표피(epidermis) 내에 존재하는 물질이며, 피부가 태양광, 특히 자외선을 받게 되면 상기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프레비타민(previtamin) D3로 전환되며, 이것이 인체의 체온으로 인하여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cholecalciferol)로 전환된 다음, 비타민 D3를 혈액으로 운반시켜주는 비타민 D 결합 단백질(DBP: vitamin D binding protein)과 결합됨으로 혈액 내에서 콜레칼시페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비타민 D 결합 단백질과 결합된 비타민 D3는 간에서 25-하이드로콜레칼시페롤로 전환된 다음, 신장에서 비타민 D3의 가장 유력한 형태인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1,25-(OH)2D3)로 변환된다.
비타민 D, 특히 비타민 D3는 칼슘의 흡수를 자극하여 뼈의 힘과 밀도를 강화시키며 유방암과 결장암에 대한 항암 특성들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비타미 D의 영양 권장량은 하루 200~400I.U이나, 노인들이나 일조량이 불충분한 북위도 지역의 거주자들에 대한 일일 권장량은 400~800I.U이다. 한편, 비타민 D는 독성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루 1,000I.U 이상의 복용량은 혈중 칼슘 농도의 증가와 내부 기관에의 칼슘 침전 및 신장 결석, 마그네슘 흡수 저하에 따른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화장료 등으로서 표피에 다량 적용(도포)하더라도 후술하는 J. MacLaughlin 등에 의해 보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피와 진피 사이의 배리어(barrier) 기능에 의하여 그 흡수량은 안전하게 제어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J. MacLaughlin 등(J. Clin. Invest. Vol.76, 1536-1538, October 1985)의 보고에 의하면, 표피 내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양은 연령 증가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지만 진피(dermis) 내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양은 연령 증가에도 불구하고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프레비티민 D3로 전환되는 과정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진피 내에서가 아니라 표피 내에서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피층에 지속적으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보충하여줌으로써 자외선 흡수 차단 및 피부 노화 방지는 물론, 콜레칼시페롤의 생산을 촉진하여 골다공증 예방 등의 효과가 기대됨과 아울러, 피부의 이상각화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건선(psoriasis)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같은 만성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는 기능이 기대된다.
그러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피부 내에서는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지만 피부 외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여 빛이 있는 곳에서 상온으로 일정 시간 방치할 경우 타키스테롤, 루미스테롤, 또는 이소피로칼시페롤 등의 여러 물질로 쉽게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전환된 상기한 변환체들은 독성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프레비타민 D3로의 전환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종래, 한국특허공개 제98-28477호는 콜레칼시페롤을 직접 피부화장료에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5,342,833호(도란 토마스 등)는 건선 등의 치료를 위한 콜레칼시페롤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고, 미국특허 제5,747,478호(마키노 유지 등)는 산화 마그네슘과 소듐 시트레이트를 이용한 활성화 콜레칼시페롤의 안정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발명은 모두 콜레칼시페롤에 관한 것으로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에 의하여 프레비타민 D3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콜레칼시페롤은 자외선 흡수 차단능이 없으므로 구조적으로 자외선 방어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콜레칼시페롤 자체가 피부 손상 및 노화의 원인이 되는 유리 라디칼 생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 차단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또는 그 기제(基劑)로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콜레칼시페롤을 이용하고 있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본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322208호(한국특허공개 제2001- 2281)는 콜레칼시페롤 대신에 불안정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에 흡착시켜 안정성 증가를 도모한 친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한 조성물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친유성 고분자 수지에 흡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흡착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온도 및 UV 안정도가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수용성 제형화가 곤란하여 끈적거림 및 번들거림 등으로 인하여 사용감이 열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건선 등의 만성 피부질환자의 피부에 지나치게 많은 유성 물질들에 의한 보습성 부여는 장기적으로 볼 때 오히려 해로울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탄소수 C1~C4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입체 망목(網目) 구조에 포접(抱接:inclusion)(또는 포획(entrapping))시킴으로써 열, UV 및,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수용성 제형화가 용이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inclusion complex)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용성 제형의 화장료용 또는 외용제용 의약 기제(基劑)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불안정한 물질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효과적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사이클로덱스트린이 1:1~2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게는 1:1~6의 중량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 정도의 비율이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입체 망목(網目) 구조 내에 포접(또는 포획)되어 있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를 주요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용성 제형의 화장료 또는 외용제용 의약 조성물 기제(基劑)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0.001~15중량% 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사이클로덱스트린 0.1~25중량% 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서로 혼합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를 회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하게 포접하여 담지(擔持)하기 위한 물질로서는, 탄소수 C1~C4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들 수 있다.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상기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중량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1:1~2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게는 1:1~6의 중량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 정도의 비율이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상기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입체 망목(網目) 구조 내에 포접 또는 포획된다.
본 발명자들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용이하고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물질 및 방법에 대하여 광범위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특히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 복합체(inclusion complex)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코어(core)는 소수성을 나타내므로 용이하고도 효과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포접 복합체를 얻을 수가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두 물질이 복합체를 구성하게 되면, 첫째로는 분자량이 증가하고, 둘째로는 수용상에서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특유의 고유한 자외선 흡광도 곡선(피크)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하여 상기한 복합체의 형성 여부, 형성 정도 및 그 안정화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 복합체의 제조 방법(즉,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0.001~15중량% 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사이클로덱스트린 0.1~25중량% 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서로 혼합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를 원심분리 등과 같은 적절한 분리 수단을 이용하여 회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한 혼합 단계에 이어서, 선택적으로 교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회수 단계에 후속하여, 회수된 포접 복합체를, 예컨대, 상온에서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결정화된 포접 복합체를 수(水) 중에 부유시킨 다음, 약 55~68℃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65℃의 온도로 가온하는 가온 단계를 수행할 수가 있고, 계면활성제를 0.001~10중량%의 농도로 첨가하는 계면활성제 첨가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키더라도 결정이 생기지 않는 안정한 상태로 가용화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물에 가용화된 상기한 포접 복합체 중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량 및 안정화도 등에 대한 측정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특유의 고유한 자외선 흡광도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음은 물론, 마찬가지 방법으로 수용상에 가용화되어 있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분석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 방법에 의하면, 인체의 피부 이외의 환경 하에서 극히 불안정한 물질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상온을 포함하는 비교적 광범위한 범위의 유통 온도 범위에서 통상적인 유통 기간 이상의 장기간이 경과하더라도 그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화장료 등의 제품 제조시에 관용되는 일반적인 공정, 즉 약 70℃ 이상의 온도에서의 가열 공정을 경유하여 생산되는 화장료 또는 의약 외용제의 생산에 안심하고 적용할 수가 있다. 특히 주목하여야 할 점은, 고에너지를 갖는 UV 조사 조건 하에서도 그 구조가 쉽게 변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유상의 물질이기 때문에 에멀젼 형태의 제품으로는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지만 수용상의 제형화는 곤란한 문제점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켜 안정화함으로써 수용상으로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 복합체를 주요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또는 의약 외용제용 기제(基劑)는 보습 수렴 화장수, 엣센스, 로션, 스킨 소프너, 영양 크림, 연고제, 스프레이제, 접촉 도포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생산이 가능하며, 이 경우 주요 활성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 복합체는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1~10중량%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러한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증(例證)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 1~3: 포접 복합체의 제조
1중량% 농도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알코올 용액을 3중량% 농도의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4중량% 농도의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및, 5.4중량% 농도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과 각각 혼합하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 또는 포획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복합체를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체화하였으며, 이들 각각을 실시예 1~3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포접 복합체 각각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3, 1:4 및, 1:5.4였다.
실시예 4~6: 포접 복합체의 정제 수용액의 제조
상기한 실시예 1~3에서 얻은 결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 각각을 0.5중량%씩 물에 가용화한 다음, 약 65℃의 온도로 가온한 후,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POE(10)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0.5중량%를 첨가하여 95% 이상의 정제된 수용상의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복합체 수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각각을 실시예 4~6으로 하였다.
비교예 1: 비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용액의 제조
1중량% 농도의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안정화처리 하지 않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알코올 용액을 물과 혼합하고, 교반한 다음,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POE(10)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0.5중량%를 첨가하여 안정화 처리하지 않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수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1: 경시(經時) 안정성 시험
상기한 실시예 4 내지 6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안정화 포접 복합체의 0.5% 수용액과 비교예 1의 비안정화 처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0.5% 수용액을 70℃에서 40분간 가열하고 냉각하는 과정을 4회 반복한 후 9주(63일)간 45℃에서 보관하면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성 평가 시험 결과(잔류 중량%)
일(days) 비교예 1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0 98.0% 99.1% 99.1% 99.1%
14 44.8% 98.4% 98.8% 99.1%
21 35.4% 98.0% 98.3% 98.9%
28 19.2% 97.4% 98.3% 98.9%
42 12.5% 97.4% 98.3% 98.9%
63 3.7% 97.4% 98.3% 98.9%
상기한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히 인지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안정화 포접 복합체는 0.5% 수용액 상태에서 9주 경과시에도 적어도 최초량의 97.4% 이상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 안정화 처리 하지 않은 비교예 1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0.5% 수용액 상태에서 1회 가열 후 단지 2주 만에 50% 이상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안정화 포접 복합체 또는 그 수용액 중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시험예 2: UV 조사에 대한 안정성 평가 시험
상기한 실시예 4 내지 6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안정화 포접 복합체의 0.5% 수용액과 비교예 1의 비안정화 처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0.5% 수용액 중에서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UV 조사(照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40W 더블램프로 8분간 UV를 조사하고 구조 변화없이 잔류하는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로 분석하였다. 하기의 표 2에서의 무균 실험실에서의 UV 조사시의 총 에너지양은 약 10mJ/cm2였다.
다시 이 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갖는 UV를 조사하고자 290nm UV 조사기를 이용하여 1J/cm2 및 3.5J/cm2의 에너지양으로 각 시료에 UV를 8분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도 아울러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
UV 조사에 대한 안정성 평가 시험 결과(잔류 중량%)
실시예 6(안정화 7-DHC의 잔존량) 비교예 1(안정화 미처리 7-DHC의 잔존량)
UV 조사 없음 99.1 98.5
무균실험실(10mJ/cm2) 99.1 41.9
1 J/cm2 91.6 34.1
3.5 J/cm2 83.7 19.7
상기한 표 2의 결과로부터, 무균 실험실에서의 10mJ/cm2의 UV 조사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비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UV 조사 후 약 35% 정도의 양만이 잔존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처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거의 전량이 구조 변화 없이 그대로 잔존하고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 2의 결과로부터, 3.5J/cm2의 상대적으로 고에너지를 갖고 있는 UV를 조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처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70% 이상이 안정화된 상태로 남아 있는 현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비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보다 안정성이 매우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포접 복합체의 제형화
하기의 표 3와 같은 조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 복합체를 이용)과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지 않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형화하였으며, 각각 실시예 7 및 비교예 2로 하였다.
[표 3]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포접 복합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중량%)
성 분 실시예 7 비교예 2
싸이클로덱스트린실시예 3의 안정화 7-DHC 포접 복합체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정제수 0.00.34.04.073.2 0.30.04.04.073.2
에탄올세틸알코올밀납와세린스쿠알렌디메틸폴리실록산POE(10)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글리세롤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방부제향료색소 5.01.00.52.06.02.01.01.0적량적량적량 5.01.00.52.06.02.01.01.0적량적량적량
100
시험예 3: 보습력 평가 시험
실시예 6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의 수용액형태의 제제와, 비교로서 비이온형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수용액 제제 및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0.25중량% 농도의 하이알루론산(hyaluronic acid: 소디움염) 수용액 제제에 대한 보습력을 측정 평가하였다.
보습력의 측정은 25℃, 습도 40%의 항온항습실에서 측정하였고, Corneometer CM 825(CK, 독일)를 사용하여 도포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a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포접 복합체 수용액은 0.25% 하이알루론산 수용액의 경우에 비하여 보습력이 약 5~15% 이상 더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보습력을 제형상에서 평가하고자 실시예 7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2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지 않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습력을 측정 평가하였다. 보습력의 측정은 위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b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포접 복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화장료의 보습력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포접없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만을 사용한 비교예 2의 화장료의 경우 보다 약 4~10% 이상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수용화시킴으로 인하여 보습력이 증대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미생물 생육 억제력 평가 시험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ebacterium acnes)와 화농균인 스타필로코카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등의 피부유해 미생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미생물 생육 억제력을 평가 시험하였다.
0.146~15㎍/㎖ 농도의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양성 대조(positive control)로서 싸이클로덱스트린과 계면활성제 용액을 단계별로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에 배지와 함께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초기 배양된 상기한 세균 배양액을 각 웰의 배지 부피의 1% 정도의 양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에서 63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도 2a 및 도 2b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서의 음성 대조(negative control)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넣지 않은 대조군이며, 양성 대조(positive control)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형성시키는 담지체로서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과 계면활성제만 첨가된 대조군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수용상에서 피부유해 세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ebacterium acnes)와 스타필로코카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정균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타필로코카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약 2㎍/㎖ 의 농도에서 20% 이상의 O.D값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ebacterium acnes)에 대하여는 매우 저농도에서도 약 10% 가량의 O.D값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피부질환 완화 평가 시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비타민 D3를 합성할 수 있는 전구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으로서의 외용제가 피부에 도포되고 피부의 표층에서 비타민 D3로 전환되면 건선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하거나 증상의 완화 경감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한 화장료를 건선 등의 피부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는 피부실험 지원자에게 적용한 후, 피부의 상태를 Skin Visiometer SV 600(CK, germany)으로 측정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원거리 사진을 도 3a 및 도 3b에, 그 근거리 확대 사진을 도 4a 및 도 4b에 각각 나타냈다(도 3a 및 도 4a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3일간 도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피부 도포 전 건선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지원자는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이상과각질화 현상을 보였으나 피부 도포 1일 후부터는 가려움증이 나타나지 않았고, 3일간 지속적으로 1일 5회 100㎕씩 피부에 도포한 결과 매우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상과각질화 현상도 상대적으로 현저히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건선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같은 만성 피부 질환을 겪고 있는 피부를 개선함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빛과 온도 등에 매우 불안정한 물질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베타-싸이클로덱스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덱스트린으로 포접 또는 포획하여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화장품이나 의약으로서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 유통 및 사용기간 중에 발생하기 쉬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다른 물질로의 변환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갖는 고유한 본연의 효과는 충분히 발휘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수용화함으로써 만성피부질환자의 피부 개선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수용성 제형의 화장료 또는 외용 의약품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 수용액 제제에 대한 보습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습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에 있어서의 화농균인 스타필로코카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각 농도별 생육 억제력 그래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에 있어서의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ebacterium acnes)에 대한 생육 억제력 그래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손등에 건선 피부질환을 갖고 있는 피험인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도로서, 피부 적용 전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원거리 측정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와 유사하게 피부 적용 전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근거리 측정 사진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0.001~15중량%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이클로덱스트린 0.1~25중량 농도의 에틸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와 서로 혼합시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포접복합체를 상온에서 가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복합체용액을 함유하여,
    활성성분으로서 안정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율이 1:1~20이고, 상기 포접복합체의 중량비가 전 조성물 중량기준으로 0.001~10중량%인 건선 및 아토피성피부염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사이클로덱스트린이 1:1~6의 중량비율이며,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인 건선 및 아토피성피부염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2-0016737A 2002-03-27 2002-03-27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KR10047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737A KR100473716B1 (ko) 2002-03-27 2002-03-27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737A KR100473716B1 (ko) 2002-03-27 2002-03-27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814A KR20030077814A (ko) 2003-10-04
KR100473716B1 true KR100473716B1 (ko) 2005-03-08

Family

ID=3237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737A KR100473716B1 (ko) 2002-03-27 2002-03-27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78A (ko) * 2018-10-10 2020-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186B1 (ko) * 2021-05-03 2021-09-30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160A (en) * 1978-01-27 1980-10-14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 Inclusion complex of cyclodextrin and indomethaci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method of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4952565A (en) * 1986-11-13 1990-08-28 Janko Zmitek Inclusion complex of ibuproxam with beta-cyclodextri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H07196484A (ja) * 1993-10-08 1995-08-01 South African Druggist Ltd 包接錯体
JPH07252144A (ja) * 1993-12-02 1995-10-03 South African Druggist Ltd 薬学組成物
KR20010002281A (ko) * 1999-06-14 2001-01-15 임병철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03473A (ko) * 2000-07-05 2002-01-12 심승일 레티놀을 다중 안정화시켜 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160A (en) * 1978-01-27 1980-10-14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 Inclusion complex of cyclodextrin and indomethaci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method of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4952565A (en) * 1986-11-13 1990-08-28 Janko Zmitek Inclusion complex of ibuproxam with beta-cyclodextri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H07196484A (ja) * 1993-10-08 1995-08-01 South African Druggist Ltd 包接錯体
JPH07252144A (ja) * 1993-12-02 1995-10-03 South African Druggist Ltd 薬学組成物
KR20010002281A (ko) * 1999-06-14 2001-01-15 임병철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03473A (ko) * 2000-07-05 2002-01-12 심승일 레티놀을 다중 안정화시켜 함유하는 화장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stry, Vol.39, pp.8119-8124 (2000) *
제제학,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제학 분과회 발행, 한림원(199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78A (ko) * 2018-10-10 2020-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7554B1 (ko) 2018-10-10 2021-02-2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기린초 추출물 탄수화물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814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5298B2 (ja) 医薬組成物
KR100752990B1 (ko) 나노리포좀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502318B2 (ja) 美白化粧料
JP4564471B2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H09143063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CN1255053A (zh) 抗坏血酸基-磷酰基-胆固醇
JPWO2001072265A1 (ja) 皮膚外用剤及び美白剤
JPH09510723A (ja) 皮膚の処置用組成物類
JP2002504098A (ja) トコフェロールエステル並びに化粧品及び医薬品でのその使用
JP2003527411A (ja) 生理学上活性な成分を含有する高圧/高剪断分散物を調製する方法
KR100550246B1 (ko) 시클로덱스트린과 비타민 에프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화장용 조성물
JP2001151633A (ja) 皮膚外用剤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20060014433A (ko) 신규의 피부의학 조성물
JP2002265313A (ja) 皮膚外用剤
JP2009234939A (ja) 植物由来ポリアミン含有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0473716B1 (ko)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49566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3667027B2 (ja) 皮膚外用剤
KR100998354B1 (ko) 불포화 지방산 및 층상형 금속 수산화물의 혼성체, 그 제조방법, 및 그 혼성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피부외용제
JP2009234938A (ja) 植物由来ポリアミン含有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EP3936575A1 (en) Surface-treated inorganic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ispersion solution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2010018559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