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472B1 -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472B1
KR101319472B1 KR1020100112382A KR20100112382A KR101319472B1 KR 101319472 B1 KR101319472 B1 KR 101319472B1 KR 1020100112382 A KR1020100112382 A KR 1020100112382A KR 20100112382 A KR20100112382 A KR 20100112382A KR 101319472 B1 KR101319472 B1 KR 101319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nterest
line
ima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908A (ko
Inventor
타카유키 쓰쓰미
히사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 H04N1/4056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the pattern varying in one dimension only, e.g. dash length, pulse 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주사 라인 위의 도트의 성장 방향을 나타내는 패턴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계수들을 설정한다. 입력 화상의 엣지를 검출한다. 입력 화상의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계수들에 따라 주목 화소 및 주목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에 분배한다. 분배가 행해진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에, 인접 화소로부터 분배된 화상 데이터를 가산하고, 화상 데이터의 가산값을 주목 화소의 보정된 화상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엣지에 대해서는 보정된 화상 데이터 및 생성한 지향 데이터를 선택하고, 비엣지에 대해서는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 및 입력 지향 데이터를 선택하고, 펄스폭 변조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장치는, 감광 드럼을 대전하고, 대전한 감광 드럼을 레이저광에 의해 주사하여 노광함으로써, 감광 드럼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후, 정전 잠상을 색재(토너)에 의해 현상함으로써 토너 상을 형성한다. 토너 상을 기록지에 전사하여 정착함으로써 기록지 위에 가시 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장치는,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 다양한 모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동, 회전축이나 기어 등의 편심, 피치 오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출력 화상에 열화가 생긴다. 예를 들면, 잠상 형성중의 감광 드럼의 진동이나 회전 속도의 변동은, 레이저광의 주사 방향(이하, 주 주사 방향이라고 한다)에 수직한 방향(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 이하, 부주사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주사 라인의 피치 변동을 생기게 한다. 이와 같은 변동은, 출력 화상에 있어서 밴딩(banding)으로 불리는 농도 변동을 일으켜, 출력 화상의 화질을 열화시킨다.
미국 특허 제5134495호 명세서(특허문헌 1)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법의 한가지를 개시한다. 이 방법은, 주목 화소의 도트의 농도값을 부주사 방향의 주변 화소에 분배하여, 토너 상의 각각의 도트의 위치를 부주사 방향으로 시프트할 있도록 한다.
도 1a∼1e를 참조하여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설명한다. 도 1a는, 부주사 방향으로 주사 라인 K-1, K 및 K+1(K는 정수)이 배치되고, K-1 주사 라인 위에 도트 A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피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 도트 A의 위치를 부주사 방향으로 1/2 화소만큼 시프트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도트 A에 대응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 Sa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트 A의 화소값은 100% 농도(최대값)에 대응하한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입력 화상의 각 화소값은, 피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 메모리에 격납된 테이블에 설정된 보정 계수에 따라,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이하, 순방향이라고 한다)에 인접하는 화소(이하, 인접 화소라고 한다)에 분배된다. 예를 들면, 도트 A의 화소값은, 보정 계수에 따라, K-1 및 K 주사 라인 위의 화소에 분배되어, 도 1c에 나타낸 PWM 신호 Sa1 및 Sa2를 생성한다. 도 1c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PWM 신호 Sa1과 Sa2는 모두 50% 농도에 대응한다. 그리고, PWM 신호 Sa1과 Sa2는, 예를 들면, 화소 위치의 중앙으로부터 화소를 성장시키도록 펄스폭 변조된 신호이다.
도 1d는 화소값을 분배한 후의 레이저 조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각형 영역 La1, La2의 폭은 PWM 신호 Sa1, Sa2에 의한 레이저 조사의 범위를 나타낸다. 영역 Ra는, PWM 신호 Sa1, Sa2에 따른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위치 D1은 1 화소의 개시단을 나타내고, D2은 레이저 조사 La1, La2의 개시 위치, D3은 레이저 조사 La1, La2의 종료 위치, D4은 1 화소의 종료단을 각각 표시한다. 레이저 조사 La1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과, 레이저 조사 La2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이 합성되어, 영역 Ra에 해당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이 잠상을 현상해서 토너 상의 전사 및 정착을 행하면, 도 1e에 나타낸 도트 A'이 형성된다. 도트 A'은, 도트 A로부터 1/2 화소만큼 순방향(K+1 주사 라인을 향해)으로 시프트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기술은, 토너 상의 각각의 도트 위치를 부주사 방향으로 시프트할 수 있어, 피치 변동에 의한 밴딩을 보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 따르면, 단독 도트나 1 도트 폭으로 형성되고 주 주사 방향으로 뻗는 라인은, 피치 변동 보정후, 양호한 화질을 갖는다. 그러나, 2 도트 폭 이상 폭이 넓어지면 피치 변동의 보정후, 화질의 열화를 일으킨다.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여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발생하는 화질 열화를 설명한다. 도 2a는, 밴딩이 생길 때,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도트에 의해 2 도트 폭의 라인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트 A와 B는 2 라인 폭의 라인을 구성하는 도트 C를 형성된다. 피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 라인의 위치를 1/2 화소만큼 순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트 A, B는 모두 100% 농도(최대값)에 대응하는 화소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b는, 도트 A, B의 화소값을 보정 계수에 따라 인접 화소에 분배함으로써 생성된 PWM 신호 Sa1, Sab, Sb2를 나타내고 있다. 도트 A의 화소값은 K-1 및 K 주사 라인의 화소에 등분배된다. 도트 B의 화소값은 K 및 K+1 주사 라인의 화소에 등분배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PWM 신호 Sa1과 Sb2는 50% 농도에 대응하는 값을 갖고, PWM 신호 Sab은 100% 농도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PWM 신호 Sa1, Sab, Sb2 각각은, 예를 들면, 화소 위치의 중앙으로부터 화소를 성장시키도록 펄스폭 변조된 신호이다.
도 2c는 화소값을 분배한 후의 레이저 조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각형 영역 La1, Lab, Lb2의 폭은, PWM 신호 Sa1, Sab, Sb2에 의한 레이저 조사의 범위를 나타낸다. 영역 Ra는 PWM 신호 Sa1에 따른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영역 Rab은 PWM 신호 Sab에 따른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영역 Rb은 PWM 신호 Sb2에 따른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위치 D1 내지 D4은 도 1d에서와 같다.
도 2c에 나타낸 레이저 조사를 행할 때, 레이저 조사 La1, Lab, Lb2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이 합성된 잠상, 즉 도 2c에 나타낸 영역 Ra, Rab, Rb에 해당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영역 Ra와 Rab의 중복 영역은 100% 농도에 해당하는 잠상이 아니라, 150% 농도에 해당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영역 Rab과 Rb의 중복 영역에도 150% 농도에 해당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즉, 중복 영역에서 토너 상은 과잉의 토너를 갖게 된다.
도 2d는, 감광 드럼 위에 형성되는 토너 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토너 상은, 영역 Ra의 잠상을 현상하여 형성된 토너 상 Ta, 영역 Rab의 비중복 영역의 잠상을 현상하여 형성된 토너 상 Tc와, 영역 Rb의 잠상을 현상하여 형성된 토너 상 Tb를 포함한다. 전술한 중복 영역에는 과잉의 토너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복 영역을 갖지 않는 화상에 비해, 토너 상 Ta와 Tb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토너가 퍼진 도트가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토너 상 Ta, Tb에 의해 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토너의 밀도가 높은 주 주사 횡 방향이 아니라, 토너의 밀도가 낮은 부주사 방향으로 토너 상이 퍼진다. 그 결과, 도 2e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래의 2 도트 폭의 도트 C보다도 굵은(예를 들면, 3 도트 폭) 도트 C'이 형성되어, 라인이 굵어지게 된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라인의 선명도가 저하한다.
본 발명은, 제 1 국면에서는,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라인을 검출하도록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하는 화상의 엣지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엣지부에 있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주목 화소 및 인접 화소의 화소값을 보정하도록 상기 주목 화소와 부 주사 방향으로 주목 화소에 인접한 상기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소값 또는 상기 도트의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으로부터 변조된 화상 신호 펄스폭을 각 화소에 대하여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라인의 폭 방향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이 상기 라인의 하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성장 방향과 다르도록 상기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2 국면에서는,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라인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하는 화상의 엣지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엣지부에 있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상기 주목 화소, 및 상기 주목 화소 및 인접 화소의 화소값을 보정하도록 부 주사 방향으로 상기 주목 화소에 인접한 상기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하는 단계에서 보정된 화소값으로부터 화상 신호 펄스폭, 또는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각 화소에 대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성장 방향은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라인의 폭 방향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이 상기 라인의 하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방법를 제공한다.
이들 국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된 라인 폭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밴딩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도 1e는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도 2e는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의 화질 열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보정 계수 생성부가 생성하는 보정 계수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위치 보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위치 보정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보정 계수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생성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0은 지향 테이블이 격납하는 지향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a∼도 11d는 형성되는 도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지향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4a 및 도 14b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장치의 구성]
도 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화상 처리장치는, 후술하는 보정 계수 테이블을 격납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라인 메모리, 화소들의 처리를 동기시키는 화소 클록 등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메모리와 클록의 존재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므로,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처리부(101)는, 농도값을 표시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ppi)를 화상 형성장치의 기록밀도(dpi)로 변환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101)는,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하는 다값 화상의 하프톤 처리를 행하여 계조수를 저감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디더에 의한 하프톤 처리는 메모리(미도시)에 격납된 디더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때,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는 후술하는 PWM 회로(106)가 표현가능한 계조수를 갖는다.
화상 처리부(101)에는, 예를 들면, 디더 매트릭스의 셀마다 도트의 성장 방향을 표시하는 데이터(이하, 지향 데이터라고 한다)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트 집중형의 디더 매트릭스의 경우, 화소 위치의 중앙으로부터 도트를 성장시키는 지향 데이터가 설정된다. 주목 화소의 좌우에 인접하는 도트가 있는 경우, 왼쪽 또는 오른쪽에 인접하는 화소값이 큰 화소 측으로부터 주목 화소의 도트를 성장시키는 지향 데이터를 설정해도 된다. 또는, 도트 분산형의 디더 매트릭스의 경우, 화소 위치의 개시단 또는 종료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도트를 성장시키는 지향 데이터가 설정된다. 화상 처리부(101)가 유지하는 지향 데이터는, 디더 매트릭스의 사이즈, 임계값, 레이저의 특성 등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프톤 처리를 위해 디더 매트릭스 대신에 오차확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오차확산법을 이용하는 경우, 도트가 분산된다. 따라서, 모든 도트의 성장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지향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정 계수 생성부(107)는, 피치 변동 등에 의해 발생된 각 주사 라인의 벗어남 양에 근거하여,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주목 화소가 위치하는 주사 라인(이하, 주목 주사 라인이라 한다) 위 또는 아래의 주사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이하, 상하 인접 화소라고 한다)에 분배하기 위한 분배율을 설정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산출한 분배율을 메모리(미도시)의 보정 계수 테이블에 격납한다.
위치 보정부(102)는,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위치 보정부(102)는, 보정 계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목 화소의 값을 주목 화소 및 상하 인접 화소에 분배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위치 보정부(102)는, 분배된 화소값을 화소마다 합성하여 얻어진 보정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엣지 판정부(103)는,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입력 화상의 엣지를 검출하고, 화소가 엣지를 형성하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엣지 정보를 출력한다. 엣지 검출은,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을 2차 미분하여 형성된 엣지 화상의 화소값과 임계값을 비교해서 화상이 엣지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방법이나, 주목 화소와 그 주위 화소의 차분값에 근거하여, 주목 화소가 엣지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때, 엣지 정보는 1 비트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1"은 엣지부의 화소를 나타내고, "0"은 비엣지부(평지부)의 화소를 각각 나타낸다.
셀렉터 104는, 엣지 판정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엣지 정보에 따라, 화상 처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또는, 위치 보정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셀렉터 104는, 엣지 정보가 "1"(엣지부)인 경우에는, 위치 보정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셀렉터 104는, 엣지 정보가 "0"(평탄부)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는, 한개의 라인의 폭방향의 상단의 주사 라인과 하단의 주사 라인 사이에서 도트의 성장 방향을 변화시키는 성장 패턴을 갖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예를 들면, 2 도트 폭의 라인용의 지향 데이터는, 주사 라인마다 "우측 성장, 우측 성장, 좌측 성장, 좌측 성장, 우측 성장, …"의 성장 패턴을 갖는다. 즉, 2 주사 라인마다의 주기(주사 라인 주기)로 지향 데이터가 성장 방향을 변화시킨다. 이때, "우측 성장"은 화소 위치의 우단으로부터 좌단으로 도트가 성장하는 것을 표시하고, "좌측 성장"은 화소 위치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도트가 성장하는 것을 표시한다.
셀렉터 108은, 엣지 판정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엣지 정보에 따라, 화상 처리부(101)에 의해 하프톤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공급하는 지향 데이터, 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가 생성한 지향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셀렉터 108은, 엣지 정보가 "0"(평탄부)인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101)가 공급하는 지향 데이터를 선택한다. 셀렉터 108은, 엣지 정보가 "1"(엣지부)의 경우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가 출력하는 지향 데이터를 선택한다. 전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셀렉터 104 및 108은, 화상의 엣지부에 대해서는 주목 화소의 보정된 화상 데이터(위치 보정부(102)의 출력)와 생성된 지향 데이터(지향 데이터 생성부(105)의 출력)를 선택하고, 화상의 비엣지부에 대해서는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와 입력 화상 데이터와 함께 공급된 입력 지향 데이터(화상 처리부(101)의 출력)를 선택한다.
PWM 회로(106)는, 셀렉터 108로부터 선택 출력되는 지향 데이터와 셀렉터 104로부터 선택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펄스폭 변조된 화상신호(PWM 신호)를 생성한다. PWM 신호는, PWM 신호에 따라 레이저 소자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가 구비한 레이저 드라이버로 보내진다.
[보정 계수 생성부]
도 4를 참조하여 보정 계수 생성부(107)가 생성하는 보정 계수 테이블의 일례를 설명한다. 보정 계수 테이블은, 주사 라인 0으로부터 n-1까지의 n 주사 라인 각각에 대응하는 n개의 보정 계수를 갖는다. 보정 계수는 -1로부터 +1의 범위의 값을 갖는다. 보정 계수의 절대값은 화소값을 위 또는 아래에 인접하는 화소(이하, 상하 인접 화소라고 한다)에 분배하는 분배율을 나타낸다. 보정 계수의 부호는, 화소값을 분배하는 상하 인접 화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K 주사 라인의 주목 화소에 대해, 양의 보정 계수는 후 주사 라인(K+1 주사 라인)의 인접 화소에의 분배를 나타낸다. 음의 보정 계수는 전 주사 라인(K-1 주사 라인)의 인접 화소에의 분배를 나타낸다.
식 (1)은 분배후의 화소의 값 Pk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식 (2)은 상하 인접 화소에 분배되는 값 Pk'의 계산식을 나타낸다.
Pk = (1-|Cc|)×Pi …(1)
Pk'= |Cc|×Pi ‥(2)
여기에서, Pi는 분배해야 할 화소값,
Pk은 분배후의 화소의 값
Pk'은 상하 인접 화소에 분배되는 값,
Cc은 보정 계수이다.
주사 라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Cc은, 피치 변동 등에 기인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 벗어남의 주기에 해당하는 주사 라인수 만큼 설정된다. 예를 들면, 피치의 변동 주기가 N 주사 라인인 경우에, N 주사 라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Cc을 설정한다. 이때, 보정 계수 테이블의 어드레스 k와 주목 주사 라인 n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k = mod(n+n0, N) …(3)
여기에서, n0은 주사 라인 위치 0의 어드레스,
n은 주목 주사 라인의 라인 위치,
N은 피치의 변동 주기에 해당하는 주사 라인 수,
mod(x, y)은 x/y의 잉여 함수이다.
예를 들면, 주목 주사 라인의 주사 라인 위치 n이 41이고, 피치의 변동 주기 N이 30이고, 라인 위치 0의 어드레스 n0이 0인 경우, 보정 계수 테이블의 어드레스 k로서 "11"이 얻어진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보정 계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목 주사 라인에 대한의 보정 계수로서 Cc=+0.5가 취득된다.
[위치 보정부]
도 5를 참조하여 위치 보정부(102)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때, K 주사 라인이 주목 주사 라인이다.
K-1 주사 라인에 대응하는 분배 회로 301은,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와, K-1 주사 라인의 보정 계수 CcK-1을 입력한다. 보정 계수 CcK-1>0(위의 인접 화소에 분배)이면, 분배 회로 301은 식 (2)에 의해 화소값 Pi(=PK-1)로부터 분배 데이터 Pk'을 생성한다. 보정 계수 CcK-1≤0이면 분배 회로 301은 값 "0"의 분배 데이터 Pk'을 생성한다.
주목 주사 라인 K에 대응하는 분배 회로 302는,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K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와, K 주사 라인의 보정 계수 CcK을 입력한다. 식 (1)에 의해 분배 회로 (302)는 화소값 Pi(=PK)로부터 분배 데이터 Pk을 생성한다.
K+1 주사 라인에 대응하는 분배 회로 303은,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와, K+1 주사 라인의 보정 계수 CcK-1을 입력한다. 보정 계수 CcK-1<0(아래의 인접 화소에 분배)이면, 분배 회로 303은 식 (2)에 의해 화소값 Pi(=PK+1)로부터 분배 데이터 Pk'을 생성한다. 보정 계수 CcK+1≥0이면 분배 회로 303은 "0"의 분배 데이터 Pk'을 생성한다.
가산 회로(304)는, 분배 회로 301∼303이 생성한 분배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들 값의 가산 값을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조정 회로(305)는, 가산 회로(304)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가 최대 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산값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가산 회로(304)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가 100%보다 큰 농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100% 농도로 보정한다. 100% 농도 이하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 출력한다.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의해 위치 보정부(102)의 처리를 설명한다.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K-1 주사 라인의 인접 화소가 100% 농도에 해당하는 값 PiK-1을 갖고, K 주사 라인의 주목 화소가 100% 농도에 해당하는 값 PiK를 갖고, K+1 주사 라인의 인접 화소가 0% 농도에 해당하는 값 PiK+1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보정 계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보정 계수 테이블은, K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와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가 형성하는 2 도트 폭의 라인을 1/2 도트 폭 만큼 부주사 방향(순방향)으로 시프트하는 보정 계수 Cc을 유지한다.
위치 보정부(102)는,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K-1 내지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S11). 또한, 위치 보정부(102)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CcK-1, CcK, CcK+l을 보정 계수 생성부(107)로부터 입력한다(S12). 그리고, 위치 보정부(102)는, 보정 계수 Cc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 Pi을 분배한다(S13). 화상 데이터 PiK-1 및 PiK로부터 주목 화소에 분배되는 값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Pk' = |CcK-1lx100=0.5×100=50%
Pk = (1-|CcK|)×100=0.5×100=50%
CcK+1=0이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PiK+1로부터 주목 화소에 분배되는 값은 0이다.
다음에, 위치 보정부(102)는, 주목 화소에 분배된 값을 가산하고(S14), 가산 값이 100%를 초과하는 농도에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5). 가산 값이 100%를 초과하는 농도에 해당하면, 가산 값을 100% 농도로 보정한다(S16). 가산값 또는 보정후의 값을 주목 화소의 값으로서 출력한다(S17). 이 예에 있어서는, 주목 화소의 값으로서 100% 농도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스텝 S18에서, 주목 화소가 화상 데이터의 최종 화소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될 때까지, 위치 보정부(102)는, 스텝 S11 내지 S17을 반복한다. 전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정 계수 생성부(107)가,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주목 화소와 부 주사 방향으로 이 주목 화소에 인접하는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보정 계수들을 설정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설명한다. 도 8a는, 스텝 S11에 있어서 위치 보정부(102)가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00% 농도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 PiK-1과 PiK은 흑색으로 채워진 것이고, 0%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 PiK+1은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8b는, 스텝 S17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주목 주사 라인이 K+1 주사 라인으로 이동할 때, K-1 주사 라인의 화소는,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K 주사 라인에 분배하여,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갖도록 한다. K 주사 라인의 화소는, K-1 주사 라인으로부터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고,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K+1 주사 라인에 분배하여, 10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갖도록 한다. K+1 주사 라인의 화소는, 주사 라인 K로부터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하여, 50% 농도에 해당하는 값을 갖도록 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
도 9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의 구성을 설명한다.
지향 테이블(401)은, 주사 라인 위의 도트의 성장 방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메모리에 유지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2 도트 폭의 라인용의 지향 데이터는 "우측 성장, 우측 성장, 좌측 성장, 좌측 성장, 우측 성장, …"의 성장 패턴을 갖는다. 즉, 지향 데이터는, 2 주사 라인 떨어진 도트의 성장 방향이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지향 테이블(401)이 격납하는 지향 데이터를 설명한다. K-1 주사 라인의 지향 데이터는 좌측 성장(L)을 나타낸다. 한편, 2 주사 라인 떨어진 K+1 주사 라인의 지향 데이터는 우측 성장(R)을 나타낸다.
지향 데이터 취득부(402)는, 라인 위치를 표시하는 어드레스를 출력하고, 지향 테이블(401)로부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지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지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어드레스의 생성을 위해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의 라인 위치를 표시하는 주사 라인 카운터를 사용하여, 라인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어드레스로서 출력하면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는 주사 라인 위의 도트의 성장 방향(예를 들면, 우측 또는 좌측)을 나타내고 소정의 주사 라인 수마다 성장 방향이 변화하는 패턴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PWM 회로]
PWM 회로(106)는, 엣지 정보에 따라 셀렉터 108로부터 선택 출력되는 지향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화상 처리부(10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향 데이터를 "지향 데이터 A"로 부르고,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가 생성하는 지향 데이터를 "지향 데이터 B"로 부른다.
PWM 회로(106)가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와 지향 데이터의 조합은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평탄부에 대해서는, 지향 데이터 A와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조합으로 된다. 엣지부에 대해서는, 지향 데이터 B와 위치 보정부(102)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조합으로 된다. 즉, PWM 회로(106)는, 라인의 폭이 굵어질 가능성이 있는 엣지부에 대해서는, 위치 보정부(102)에 의해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와 지향 데이터 B를 사용해서 펄스폭 변조를 행한다. 그 결과, 라인이 1/2 도트폭 만큼 순방향으로 시프트되었다고 하더라도, 엣지부의 라인의 폭의 굵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11d를 참조하여 형성되는 도트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8b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와 도 10에 나타낸 지향 데이터가 PWM 회로(106)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K-1 및 K 주사 라인의 도트에 대해 좌측 성장이 설정되고, K+1 주사 라인의 도트에 대해 우측 성장이 설정된다. PWM 회로(106)는 지향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준신호들을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지향 데이터가 우측 방향의 도트 성장을 나타낼 때에는, 상대적으로 우측의 무게 중심을 갖는 기준 삼각 신호를 사용하고, 지향 데이터가 좌측 방향의 도트 성장을 나타낼 때에는, 상대적으로 좌측의 무게 중심을 갖는 기준 삼각 신호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 11a는 레이저 조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각형 영역 LK-1, LK, LK+1의 폭은, 도 8b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를 각각 펄스폭 변조에 의해 얻어진 PWM 신호에 의한 레이저 조사의 범위를 나타낸다.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는 50% 농도에 해당하고, K-1 주사 라인에 대해 좌측 성장이 설정되기 때문에, 화소 위치의 개시 단(좌측 단) D1로부터 거의 중간점 C까지 레이저가 조사된다. K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는 100% 농도에 해당하고, K 주사 라인에 대해 좌측 성장이 설정되기 때문에, 화소 위치의 좌측 단 D1로부터 화소 위치의 거의 종료 단(우측 단) D4까지 레이저가 조사된다.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는 50% 농도에 해당하고, K+1 주사 라인에 대해 우측 성장이 설정되기 때문에, 화소 위치의 거의 중간점 C로부터 화소 위치의 우측 단 D4까지 레이저가 조사된다.
영역 RK-1은, 레이저 조사 LK-1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영역 RK은 레이저 조사 LK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영역 RK+1은 레이저 조사 k+1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11a에 나타낸 영역 RK의 잠상을, 도 1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영역 RK1과 영역 RK2로 분할한다. 도 11b에 나타낸 영역 RK-1의 잠상과 영역 RK1의 잠상이 합성되어, 도 11C에 나타낸 토너 상 T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11b에 나타낸 영역 RK+1의 잠상과 영역 RK2의 잠상이 합성되어, 도 11c에 나타낸 토너 상 T2가 형성된다. 토너 상 T1과 T2가 합성되어, 도 11d에 나타낸 2 도트 폭의 라인을 구성하는 도트 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되는 토너 상 T1, T2에서는, 과잉의 토너를 갖는 부분(도 11b에 나타낸 중복 영역 Rab 및 Rab')이 작아져, 전사시에 토너의 비산이나 라인 폭의 굵어짐을 일으키기 어렵다. 그 결과, 도 11d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형성되는 도트 E에 의해 생성되는 라인의 굵어짐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라인 폭이 굵어지지 않는 이유]
이하에서는 라인 폭이 굵어지지 않는 이유를 농도의 면에서 고찰한다.
도 11c에 나타낸 토너 상 T1은, 도 11b에 나타낸 영역 RK-1의 잠상과 영역 RK1의 잠상의 합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토너 상 T1의 잠상은, 레이저 조사 LK-1과, 위치 D1로부터 위치 C의 범위의 레이저 조사 LK로부터 합성하여 형성된다. 즉, 토너 상 T1의 농도로서는, PiK-1=50%과 PiK/2=50%을 가산해서 100%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토너 상 T2는, 영역 RK2의 잠상과 영역 RK+1의 잠상의 합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토너 상 T2의 잠상은, 레이저 조사 LK+1과, 위치 C로부터 위치 D4의 범위의 레이저 조사 LK의 합성에 의해 형성된다. 즉, 토너 상 T2의 농도로서는 PiK+1=50%과 PiK/2=50%을 가산해서 100%가 얻어진다. 즉, 토너 상 T1과 T2 각각은, 부주사 방향으로 1/2 화소만큼 시프트되고 주 주사 방향으로 1/2 도트폭을 갖는 100% 농도의 도트이다. 따라서, 토너 상 T1과 T2를 합성하여 형성된 도 11d에 나타낸 도트 E의 농도는, 토너 상 T1, T2의 농도의 가산에 대응하는 200%가 아니라. 100%가 된다. 그 결과, 도트 E로 구성되는 라인의 폭은 굵어지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2 도트 폭의 라인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2 도트 폭을 초과하는 라인에 대해서도, 폭 방향으로 라인의 상하단 사이에서의 도트의 성장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지향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라인의 굵어짐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 도트 폭의 라인용의 지향 데이터는, 주사 라인마다 "우측 성장, 우측 성장, 우측 성장, 좌측 성장, 좌측 성장, 좌측 성장, 우측 성장, …"의 성장 패턴을 갖는다. 즉, 3 주사 라인마다의 주기(주사 라인 주기)로 지향 데이터가 성장 방향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도트의 형성 위치를 제어해서 피치 변동에 의해 발생된 밴딩을 보정할 때에, 2 도트 폭을 갖는 라인의 굵어짐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상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의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지향 데이터 생성부(105)의 구성을 설명한다.
2 비트 카운터(901)는, 수평 동기신호 Hsync을 카운트하여, 주사 라인마다 카운트업하는 라인 카운터이다. 그리고, "11"로부터 카운트업하면 카운트 값은 "00"으로 되돌아온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902)는, 2 비트 카운터(901)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터 값의 최상위 비트(MSB)에 근거하여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MSB가 "0"인 경우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902)가 우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MSB가 "1"인 경우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02)는 좌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MSB는 2주사 라인마다 "0"과 "1"을 반복한다. 이 때문에, 지향 데이터 생성부(902)로부터 출력되는 지향 데이터는, 2주사 라인마다 우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와 좌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가 반복된다.
N 주사 라인마다 반복(도 10의 예에서는 N=4)하는 경우에는, 2 비트 카운터(901) 대신에 N진 카운터를 이용하면 된다. 특히, N이 2의 제곱인 경우에는, 라인 카운터의 하위 M 비트(M=log2N)로부터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주사 라인 카운터를 이용하면, 지향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상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가 제 1 실시예와 다르며, 이하에서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의 상세를 설명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화상 처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PiK-1, PiK, PiK+1을 입력한다. 이때, 화상 데이터 PiK은, 주목 주사 라인 K의 주목 화소의 화상 데이터이다. 더구나,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각 주사 라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CcK-1, CcK, CcK+1을 입력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2 도트 폭 이상을 갖는 라인의 폭의 굵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라인의 폭 방향 상하단 사이의 도트의 성장 방향을 변화시키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화상 데이터 PiK-1, PiK, PiK+1과 보정 계수 CcK-1, CcK, CcK+1에 근거하여, 주목 화소가 라인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 판정 방법과, 판정 결과에 따른 지향 데이터의 생성을 설명한다. 라인의 폭 방향의 상단 또는 하단을 "라인의 상단" "라인의 하단" "라인의 상하단"으로 생략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 주목 화소가 라인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 PiK-1=0, PiK>0, PK+1>0, 또한, 보정 계수 CcK>0인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주목 화소는 라인의 상단에 위치한다. 화상 데이터 PiK=0, PiK+l>0, 또한, 보정 계수 CcK+1<0인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주목 화소는 라인의 상단에 위치한다. 제1 또는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주목 화소가 라인의 상단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예를 들면, 좌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 주목 화소가 라인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 PiK-1>0, PiK0, PiK+1=0, 또한, 보정 계수 CcK<0인 제3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주목 화소는 라인의 하단에 위치한다. 화상 데이터 PiK-1>0, PiK=0, 또한, 보정 계수 CcK-1>0인 제4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주목 화소는 라인의 하단에 위치한다. 제3 또는 제4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주목 화소가 라인의 하단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상단과 역방향의 성장 방향(이 예에서는 우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 주목 화소가 라인의 상하단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1 내지 제4 조건의 어느 것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주목 화소가 라인의 상하단에 위치하지 않거나, 형성하려는 라인이 2 도트 폭 이상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예를 들면, 중앙으로부터 성장을 표시하는 소정의 지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가 0인가 아닌가와, 보정 계수 Cc의 부호에 근거하여, 주목 화소가 라인의 상하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라인의 상단과 하단에 대해 다른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a 및 도 14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의 처리를 설명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화상 처리부(101)가 출력하는 K-1 내지 K+1 주사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S21).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그들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CcK-1a, CcK, CcK+1을 보정 계수 생성부(107)로부터 입력한다(S22).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화상 데이터와 보정 계수가 제1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가를 판정하고(S23),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가를 판정한다(S24). 제1 또는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예를 들면 우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출력하고(S25), 처리를 스텝 S30으로 진행시킨다.
제1, 제2 조건의 어느 쪽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화상 데이터와 보정 계수가 제3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가를 판정하고(S26), 제4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가를 판정한다(S27), 제3 또는 제4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예를 들면 좌측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출력하고(S28), 처리를 스텝 S30으로 진행시킨다.
제1 내지 제4 조건의 어느쪽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예를 들면 중앙으로부터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출력하고(S29), 처리를 스텝 S3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30에서 주목 화소가 화상 데이터의 최종 화소에 이르렀다고 판정될 때까지,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가 스텝 S21 내지 S29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주목 화소가, 라인의 엣지부에 해당하는 라인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성장 방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주목 화소가 라인의 엣지부에 해당하는 라인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는, 제1 성장 방향과 역방향의 제2 성장 방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인의 상하단 이외인 라인의 평탄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중앙으로부터 성장을 표시하는 지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평탄부의 도트의 성장 방향은 중앙으로부터 성장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도 15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는, 부주사 방향에 인접하는 3 화소의 화상 데이터와, 그들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의 부호로부터 지향 데이터를 생성한다. 지향 데이터 생성부(1005)가 생성하는 지향 데이터는, 라인의 폭 방향의 엣지부에 대해 좌측 성장 또는 우측 성장을 표시하거나, 또는 라인의 평탄부에 대해 소정의 성장 방향(예를 들면, 중앙으로부터 성장)을 표시한다. 따라서, 화상 처리부(101)에서 설정된 성장 방향이 소정의 성장 방향이면, 도 13에 나타낸 구성으로부터 엣지 판정부(103) 및 셀렉터(104, 108)를 삭제하여, 회로 규모를 저감한 화상 처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국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소자)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거쳐, 또는 기억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이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주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라인을 검출하도록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하는 화상의 엣지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엣지부에 있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주목 화소 및 인접 화소의 화소값을 보정하도록 상기 주목 화소와 부 주사 방향으로 주목 화소에 인접한 상기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에 의해 보정된 화소값 또는 상기 도트의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으로부터 변조된 화상 신호 펄스폭을 각 화소에 대하여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라인의 폭 방향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이 상기 라인의 하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성장 방향과 다르도록 상기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분배율을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율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에서 상기 부 주사 방향으로 위치 벗어남을 보정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분배율에 따라 상기 화소값의 분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라인은 N 화소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은 오른쪽 성장이고,
    다른 도트의 성장 방향은 왼쪽 성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화소 위치의 중앙으로부터 도트를 성장시키도록 상기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7.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하여,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화상 형성의 부 주사 방향으로 위치 벗어남을 보정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분배율을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입력 화상 데이터의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주목 화소 및 상기 분배율에 근거하여 상기 부 주사 방향으로 상기 주목 화소에 인접한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설정수단; 및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분배수단에 의한 분배 결과로서 획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변조된 화상 신호 펄스폭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주사 라인 K-1 상의 화소 PK-1, 주사 라인 K 상의 화소 PK, 및 주사 라인 K+1 상의 화소 PK+1은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고, 화소 PK-1의 성장 방향은 화소 PK+1의 성장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화상 형성의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위치 벗어남의 주기에 상응하는 주사 라인수의 분배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라인 카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10.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라인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가 표시하는 화상의 엣지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엣지부에 있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상기 주목 화소, 및 상기 주목 화소 및 인접 화소의 화소값을 보정하도록 부 주사 방향으로 상기 주목 화소에 인접한 상기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배하는 단계에서 보정된 화소값으로부터 화상 신호 펄스폭, 또는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입력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각 화소에 대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성장 방향은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라인의 폭 방향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이 상기 라인의 하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방법.
  11. 전자사진 방식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장치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화성 처리방법에 있어서,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하여,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화상 형성의 부 주사 방향으로 위치 벗어남을 보정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분배율을 취득하는 단계와;
    입력 화상 데이터의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주목 화소 및 상기 분배율에 근거하여 상기 부 주사 방향으로 상기 주목 화소에 인접한 인접 화소에 분배하는 단계와;
    주 주사 방향으로 각 주사 라인에 대한 도트의 성장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트의 상기 성장 방향에 따라 상기 분배하는 단계에 의한 분배 결과로서 획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변조된 화상 신호 펄스폭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주사 라인 K-1 상의 화소 PK-1, 주사 라인 K 상의 화소 PK, 및 주사 라인 K+1 상의 화소 PK+1은 상기 주 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고, 화소 PK-1의 성장 방향은 화소 PK+1의 성장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방법.
  12. 처리수단이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00112382A 2009-11-16 2010-11-12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KR101319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1320 2009-11-16
JP2009261320A JP5623063B2 (ja) 2009-11-16 2009-11-16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908A KR20110053908A (ko) 2011-05-24
KR101319472B1 true KR101319472B1 (ko) 2013-10-29

Family

ID=4372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382A KR101319472B1 (ko) 2009-11-16 2010-11-12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9336B2 (ko)
EP (1) EP2323371A3 (ko)
JP (1) JP5623063B2 (ko)
KR (1) KR101319472B1 (ko)
CN (1) CN1020632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310B2 (ja) * 2010-06-07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47570B2 (ja) * 2011-03-07 2015-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6403490B2 (ja) * 2014-08-20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72300B2 (ja) 2015-03-31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JP6613115B2 (ja) * 2015-11-19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JP6646257B2 (ja) * 2016-02-08 2020-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84B1 (ko) * 1990-02-23 1994-03-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KR0156956B1 (ko) * 1993-06-04 1998-11-16 미따라이 하지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0689B1 (ko) * 2005-06-24 2009-08-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7641A (en) 1988-08-16 1989-07-11 Hewlett-Packard Company Piece-wise print image enhancement for dot matrix printers
JP2754741B2 (ja) * 1989-06-09 1998-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符号化装置
DE69026159T2 (de) * 1989-08-02 1996-10-17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US5134495A (en) * 1990-11-07 1992-07-28 Dp-Tek, Inc. Resolution transforming raster-based imaging system
JPH05246080A (ja) * 1992-03-05 1993-09-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276394B2 (ja) * 1992-04-14 2002-04-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436981A (en) * 1992-06-24 1995-07-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940002484A (ko) 1992-07-30 1994-02-17 안쇼 도시오 내연 기관용 흡배기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JPH06152957A (ja) * 1992-11-04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装置
US5646670A (en) * 1993-08-31 1997-07-08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reduces toner consumption during image formation
JP3856964B2 (ja) * 1998-10-13 2006-12-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791713B1 (en) 1998-10-13 2004-09-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6683702B1 (en) * 1999-07-07 2004-01-27 Xerox Corporation Compact-dot reproduction of scanned halftone screens
US6961150B2 (en) * 2001-09-19 2005-11-0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55757B2 (en) * 2002-10-01 2008-04-08 Seiko Epson Corporation Fast edge reconstruction with upscaling for pulse width modulation rendering
US7432985B2 (en) * 2003-03-26 2008-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JP4217657B2 (ja) * 2003-07-30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装置
JP2005136612A (ja) * 2003-10-29 2005-05-26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網点形成方法、網点形成装置および網点記録媒体
JP4533218B2 (ja) * 2005-04-06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270266B2 (ja) * 2006-11-29 2009-05-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線幅制御方法、および線幅制御プログラム
JP4795264B2 (ja) * 2007-02-06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変換装置及び走査変換方法
JP4845801B2 (ja) * 2007-04-26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メモリのアクセス制御方法
JP4898590B2 (ja) * 2007-07-26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JP4968930B2 (ja) * 2007-08-03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補正方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49567B2 (ja) * 2007-08-29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876051B2 (ja) * 2007-10-10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209953B2 (ja) * 2007-12-20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供給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供給方法
JP2010161503A (ja) * 2009-01-06 2010-07-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484B1 (ko) * 1990-02-23 1994-03-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KR0156956B1 (ko) * 1993-06-04 1998-11-16 미따라이 하지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0689B1 (ko) * 2005-06-24 2009-08-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미스­레지스트레이션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3371A2 (en) 2011-05-18
JP5623063B2 (ja) 2014-11-12
JP2011109343A (ja) 2011-06-02
KR20110053908A (ko) 2011-05-24
US20110116139A1 (en) 2011-05-19
US8619336B2 (en) 2013-12-31
EP2323371A3 (en) 2013-01-16
CN102063278A (zh)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472B1 (ko) 화상 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방법
US88731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900340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US91465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correcting registration deviation
JP201713075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21318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濃度ムラの補正方法
US85878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644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479663B2 (ja) 固定セルによるハーフトーン処理を行う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60203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454428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1848310B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JP200601426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71527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7339774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4208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246983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reshold matrix of resolution higher than resolution of input image
JP4456305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23772A (ja) 画像形成装置
JP411663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1051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JP2010288143A (ja) 画像処理装置
JPH091319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8884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1128011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