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389B1 -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389B1
KR101316389B1 KR1020110100993A KR20110100993A KR101316389B1 KR 101316389 B1 KR101316389 B1 KR 101316389B1 KR 1020110100993 A KR1020110100993 A KR 1020110100993A KR 20110100993 A KR20110100993 A KR 20110100993A KR 101316389 B1 KR101316389 B1 KR 10131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wing portion
passenger
right 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825A (ko
Inventor
이창현
최준열
이언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389B1/ko
Priority to JP2011265697A priority patent/JP5973712B2/ja
Priority to US13/323,586 priority patent/US8579321B2/en
Priority to DE102011056992.8A priority patent/DE102011056992B4/de
Priority to CN201110455151.2A priority patent/CN103029673B/zh
Publication of KR2013003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25A/ko
Priority to US13/932,479 priority patent/US88075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과 에어백장치가 탑재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용량의 에어백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중량과 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승객의 상체와 머리부분의 차등화된 지지작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승객의 머리와 목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크래쉬패드와 윈드쉴드글래스의 형상과 무관하게 구성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표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ROOF AIRBA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동승석 루프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승객을 보호하도록 하는 에어백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승석 에어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500)에 내장되어 있다가, 차량의 충돌 발생시 에어백쿠션(502)이 크래쉬패드(500)의 외부로 팽창되면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에어백쿠션(502)의 팽창시에는 윈드쉴드글래스(504)와 크래쉬패드(500) 상측 부분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승석 에어백 장치는 승객과 에어백장치가 내장된 위치의 사이가 상대적으로 멀어서 대용량의 에어백장치가 필요하여, 그 중량이 크고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으며, 차량마다 크래쉬패드(500) 및 윈드쉴드글래스(504)의 디자인에 차이가 있어서 그에 따라 에어백쿠션(502)의 형상 및 구조가 달라져야 하므로 에어백장치의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과 에어백장치가 탑재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용량의 에어백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중량과 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승객의 상체와 머리부분의 차등화된 지지작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승객의 머리와 목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크래쉬패드와 윈드쉴드글래스의 형상과 무관하게 구성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표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과;
상기 아웃터쿠션 및 인너쿠션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객과 에어백장치가 탑재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용량의 에어백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중량과 원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승객의 상체와 머리부분의 차등화된 지지작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승객의 머리와 목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크래쉬패드와 윈드쉴드글래스의 형상과 무관하게 구성됨으로써, 에어백장치의 표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승석 에어백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에어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아웃터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인너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아웃터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인너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선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아웃터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의 인너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3의 ⅩⅥ-ⅩⅥ선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ⅩⅦ-ⅩⅦ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를 승객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를 상측에서 본 도면,
도 21은 도 18의 우측면도,
도 22은 도 18의 승객측에서 본 도면,
도 23은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루프(1) 부분에 하우징(3)이 장착되어, 에어백쿠션(5)의 팽창시에는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하측으로 에어백쿠션(5)이 전개되어 승객의 상체 및 머리 부분 등을 적절히 구속하면서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을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과;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과;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백쿠션(5)은 상기 아웃터쿠션(7)과 인너쿠션(9)으로 이루어져서 팽창시에 도 3과 같은 형상으로 팽창되어 승객의 어깨부분과 머리 및 목 부분을 선별적으로 완충 및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승객을 향하여 개방된 U자형 단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너쿠션(9)으로 팽창가스를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한다.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U자형으로 개구된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다.
참고로, 도 4와 도 5의 점선은 상기 아웃터쿠션(7)과 인너쿠션(9)을 서로 재봉하여 접합시키는 부위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U자형 단면의 개방된 좌측편을 이루는 좌측날개부(7-L)와, 우측편을 이루는 우측날개부(7-R) 및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아웃터전방부(7-F)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상기 아웃터전방부(7-F)에 인접하면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에 인접한 좌측인너중간부(9-M-L)와 우측날개부(7-R)에 인접한 우측인너중간부(9-M-R)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전방부(9-F)는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와 함께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S자 형상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도 7의 점선은 상기 S자형 만곡부 윤곽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하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하측부(9-B) 양측의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1)는 하나의 인플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팽창가스를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에어백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11)에서 발생된 팽창가스는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 먼저 공급되고,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상기 공급벤트홀(13)과 수급벤트홀(15)을 통해 상기 인너쿠션(9)으로 공급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23은 제1실시예의 루프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좌측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동상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아웃터쿠션(7)과 인너쿠션(9)에 대한 승객 머리의 거동을 수평단면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23에서 보면, 종래 기술의 경우 승객의 전방 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승객의 머리나 목을 상체와 분리하여 지지하여 선별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 상체의 어깨부분은 상기 아웃터쿠션(7)이 신속하고 상대적으로 강하게 지지하여 승객의 전방 이동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고, 머리는 인너쿠션(9)의 좌측인너중간부(9-M-L)와 우측인너중간부(9-M-R) 사이로 거동하면서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완만하게 완충작용을 하며 머리와 목의 자연스럽고 안정된 거동을 형성하여, 승객의 머리나 목의 꺽임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에 장착된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과;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과;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너쿠션(9)으로 팽창가스를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한다.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전방측에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에 인접한 좌측인너중간부(9-M-L)와 우측날개부(7-R)에 인접한 우측인너중간부(9-M-R)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상측부(9-T) 양측의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인플레이터(11)는 하나의 인플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팽창가스를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아웃터쿠션(7)이 U자형 단면이 아니라,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아웃터전방부(7-F)가 배제된 양쪽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만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공급벤트홀(13)과 수급벤트홀(15)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에 장착된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과;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과;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 구조이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전방측에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단일 돌출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1)는 제1인플레이터(11-1)와 제2인플레이터(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인플레이터(11-1)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팽창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인플레이터(11-2)는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상측부(9-T)에 팽창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가 단일돌출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1)가 두 개로 구비되어 각각 인너쿠션(9)과 아웃터쿠션(7)으로 공급되도록 된 점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과;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과;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및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를 연결하는 통로부(7-P)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의 팽창가스를 상기 인너쿠션(9)으로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한다.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단일 돌출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의 통로부(7-P)는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전방 상측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7-P)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11)가 내장된 구조이다.
즉, 상기 인플레이터(11)를 상기 통로부(7-P)에 내장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11)에서 발생되는 팽창가스는 직접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부를 채우게 되고, 이어 상기 공급벤트홀(13)과 수급벤트홀(15)을 지나 상기 인너쿠션(9)을 채우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하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도록 상기 인너쿠션(9)의 하측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쿠션(9)의 전방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인너쿠션(9)은 하측부분이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에 고정되고, 상측부분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와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승객의 머리부분이 상기 인너쿠션(9)에 충돌하면 상기 인너쿠션(9)의 상측부분이 상기 아웃터쿠션(7)과는 별도로 전방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승객의 머리를 완충하고 나아가 승객의 머리와 목의 자연스러운 거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에는 각각 중앙부에 폐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데드존(19)이 구비되어, 팽창가스로 부풀게 해야 할 아웃터쿠션(7)의 공간을 축소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인플레이터(11)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작용은 도 2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루프
3; 하우징
5; 에어백쿠션
7; 아웃터쿠션
9; 인너쿠션
11; 인플레이터
13; 공급벤트홀
15; 수급벤트홀
17; 배출벤트홀
7-L; 좌측날개부
7-R; 우측날개부
7-F; 아웃터전방부
9-T; 인너상측부
9-B; 인너하측부
9-F; 인너전방부
9-M; 인너중간부
9-M-L; 좌측인너중간부
9-M-R; 우측인너중간부
11-1; 제1인플레이터
11-2; 제2인플레이터
7-P; 통로부
19; 데드존

Claims (22)

  1. 삭제
  2.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3);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 및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의 승객을 향하여 개방된 U자형 단면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너쿠션(9)으로 팽창가스를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U자형으로 개구된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은 U자형 단면의 개방된 좌측편을 이루는 좌측날개부(7-L)와, 우측편을 이루는 우측날개부(7-R) 및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아웃터전방부(7-F)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상기 아웃터전방부(7-F)에 인접하면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에 인접한 좌측인너중간부(9-M)와 우측날개부(7-R)에 인접한 우측인너중간부(9-M)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전방부(9-F)는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와 함께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S자 형상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하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하측부(9-B) 양측의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1)는 하나의 인플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팽창가스를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8.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3);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 및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너쿠션(9)으로 팽창가스를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전방측에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에 인접한 좌측인너중간부(9-M)와 우측날개부(7-R)에 인접한 우측인너중간부(9-M)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상측부(9-T) 양측의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1)는 하나의 인플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팽창가스를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3.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3);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 및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 팽창가스를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상측부(9-T)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하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하측부(9-B)와, 전방측에서 상기 인너상측부(9-T)와 인너하측부(9-B)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인너전방부(9-F)와, 상기 인너전방부(9-F)의 후측에서 상기 인너하측부(9-B)로부터 상기 인너상측부(9-T)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인너중간부(9-M)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중간부(9-M)가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중간부(9-M)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단일 돌출물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1)는 제1인플레이터(11)와 제2인플레이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인플레이터(11)는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상측에 각각 팽창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인플레이터(11)는 상기 인너쿠션(9)의 인너상측부(9-T)에 팽창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하측부(9-B)의 하측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7.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하우징(3);
    상기 하우징(3) 내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어깨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아웃터쿠션(7);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어 있다가 하측으로 승객의 머리 전방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인너쿠션(9); 및
    상기 아웃터쿠션(7) 및 인너쿠션(9)에 공급될 팽창가스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인플레이터(11)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웃터쿠션(7)은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및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를 연결하는 통로부(7-P)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11)로부터의 팽창가스를 상기 인너쿠션(9)으로 전달하는 공급벤트홀(13)을 구비하며;
    상기 인너쿠션(9)은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쿠션(7)으로부터 팽창가스를 전달받기 위한 수급벤트홀(15)과 팽창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벤트홀(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가 승객의 어깨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너쿠션(9)은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단일 돌출물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의 통로부(7-P)는 상기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의 전방 상측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7-P)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11)가 내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공급벤트홀(13)은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의 하측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급벤트홀(15)은 상기 공급벤트홀(13)에 상응하도록 상기 인너쿠션(9)의 하측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벤트홀(17)은 상기 인너쿠션(9)의 전방측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인너쿠션(9)은 하측부분이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에 고정되고, 상측부분은 상기 좌측날개부(7-L) 및 우측날개부(7-R)와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쿠션(7)의 좌측날개부(7-L)와 우측날개부(7-R)에는 각각 중앙부에 폐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데드존(19)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0110100993A 2011-10-05 2011-10-05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KR10131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93A KR101316389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JP2011265697A JP5973712B2 (ja) 2011-10-05 2011-12-05 車両のルーフエアバッグ装置
US13/323,586 US8579321B2 (en) 2011-10-05 2011-12-12 Roof airbag apparatus of vehicle
DE102011056992.8A DE102011056992B4 (de) 2011-10-05 2011-12-23 Dach-Airbag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201110455151.2A CN103029673B (zh) 2011-10-05 2011-12-30 车辆的车顶安全气囊装置
US13/932,479 US8807593B2 (en) 2011-10-05 2013-07-01 Roof airba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93A KR101316389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25A KR20130036825A (ko) 2013-04-15
KR101316389B1 true KR101316389B1 (ko) 2013-10-08

Family

ID=4790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93A KR101316389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9321B2 (ko)
JP (1) JP5973712B2 (ko)
KR (1) KR101316389B1 (ko)
CN (1) CN103029673B (ko)
DE (1) DE10201105699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7593B2 (en) * 2011-10-05 2014-08-19 Hyundai Motor Company Roof airbag device for vehicle
DE102012013698B4 (de) * 2012-07-10 2016-08-11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anordnung für eine verschließbare oder freigebbare Dachöffnung eines Kraftfahrzeugs
JP5803989B2 (ja) * 2013-06-25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ルーフ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CN103448660B (zh) * 2013-09-17 2015-07-22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正面保护功能的车辆侧气帘装置
US9376084B2 (en) 2013-12-07 2016-06-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s
US9580039B2 (en) 2014-04-22 2017-02-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US9561774B2 (en) * 2014-04-24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ged driver airbag
US9969349B2 (en) 2014-04-24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airbag with extended base
US9248799B2 (en) * 2014-06-03 2016-02-02 Autoliv Asp, Inc. Dual cushion airbag with independent inflation
JP6070646B2 (ja) * 2014-07-08 2017-02-01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0358106B2 (en) * 2014-08-04 2019-07-2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DE102014113277A1 (de) 2014-09-15 2016-03-17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lugzeugsitzvorrichtung
US9272684B1 (en) 2014-10-10 2016-03-01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pinch valve
US9573553B2 (en) * 2014-10-30 2017-02-21 Hyundai Mobis Co., Ltd. Airbag apparatus
US9428138B2 (en) 2014-12-11 2016-08-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llover passenger protection
DE102016204913A1 (de) * 2015-04-21 2016-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hangairbag
US9950687B2 (en) * 2015-05-28 2018-04-24 Toyoda Gosei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9533652B1 (en) 2015-07-14 2017-01-03 Autoliv Asp, Inc. One-directional valve for multi-chamber airbags
JP6411971B2 (ja) * 2015-08-25 2018-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KR101724944B1 (ko) * 2015-11-06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
JP6390596B2 (ja) * 2015-11-18 2018-09-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380348B2 (ja) * 2015-11-18 2018-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9789840B2 (en) * 2016-03-18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wnwardly inflatable vehicle airbag
CN105644489B (zh) * 2016-03-29 2018-03-23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椅子形安全气囊气袋
US9744932B1 (en) 2016-03-30 2017-08-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pwardly inflatable vehicle airbag
JP6565771B2 (ja) * 2016-04-06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719285B2 (ja) * 2016-06-10 2020-07-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18012363A1 (ja) * 2016-07-12 2018-01-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6885046B2 (ja) * 2016-07-12 2021-06-09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10029643B2 (en) * 2016-08-22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cluding a plurality of fingers extending from an impact surface
US10293777B2 (en) 2016-08-26 2019-05-21 Autoliv Asp, Inc. Multi-cushion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n occupant's head
US9944248B2 (en) * 2016-08-3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cluding a secondary panel extending across a valley defining a secondary chamber
US10293775B2 (en) * 2016-10-21 2019-05-21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 head of an occupant
JP2018086886A (ja) * 2016-11-28 2018-06-0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6938896B2 (ja) * 2016-11-29 2021-09-2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10155496B2 (en) * 2016-12-09 2018-1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with side chambers
CN106740645B (zh) * 2016-12-15 2018-10-12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棚的框状结构安全气囊气袋
US10703323B2 (en) * 2017-01-11 2020-07-07 Zoox, Inc. Occupant protection system including expandable curtain and/or expandable bladder
US10246043B2 (en) * 2017-02-03 2019-04-02 Autoliv Asp, Inc. Overhead airbag assemblies
JP6601804B2 (ja) 2017-03-27 2019-11-06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6937144B2 (ja) * 2017-03-27 2021-09-22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6183573B1 (ja) * 2017-03-30 2017-08-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10266145B2 (en) * 2017-07-14 2019-04-23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assemblies
JP6801609B2 (ja) * 2017-08-21 2020-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乗員保護装置
US10814823B2 (en) * 2017-08-29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ergy absorber
JP6761400B2 (ja) * 2017-10-20 2020-09-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3483012B1 (en) * 2017-11-09 2020-05-27 Autoliv Development AB Frontal airbag unit and motor vehicle
US10703321B2 (en) * 2017-11-20 2020-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US10688954B2 (en) 2017-11-29 2020-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US10486637B2 (en) 2017-11-29 201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US10682974B2 (en) * 2017-11-29 2020-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ested overhead airbag system
JP6596742B2 (ja) * 2017-12-28 2019-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596757B2 (ja) 2017-12-28 2019-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2542937B1 (ko) * 2018-02-02 2023-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커튼 에어백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CN111819113A (zh) * 2018-03-01 2020-10-23 Zf被动安全系统美国公司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10926733B2 (en) * 2018-03-12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cluding inflatable assembly supported by seat
US20190275974A1 (en) * 2018-03-12 2019-09-12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systems for a vehicle seat
US11203321B2 (en) 2018-03-29 2021-12-21 Toyoda Gosei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WO2019209378A1 (en) * 2018-04-24 2019-10-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DE102018207834A1 (de) * 2018-05-18 2019-11-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lbststabilisierendes Airbagsystem
KR102589026B1 (ko) * 2018-06-18 202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JP7100509B2 (ja) * 2018-06-22 2022-07-1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0730470B2 (en) * 2018-07-16 2020-08-04 Autoliv Asp, Inc. Inflatable safety restraint system for surrounding a vehicle occupant
JP6559847B2 (ja) * 2018-07-17 2019-08-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8117714A1 (de) * 2018-07-23 2020-01-23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Zusatzgassack
CN110843718A (zh) * 2018-07-30 2020-02-28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
KR20200108134A (ko) * 2019-03-06 2020-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CN111845615B (zh) * 2019-04-29 2023-08-22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和车辆
JP7223334B2 (ja) * 2019-09-26 2023-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7223333B2 (ja) * 2019-09-26 2023-02-16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CN110843714B (zh) * 2019-11-15 2020-11-24 江苏理工学院 一种延时引爆汽车安全气囊及其控制方法
CN113060090B (zh) * 2019-12-31 2023-11-28 奥托立夫开发公司 汽车前排座椅头顶安全气囊和汽车
CN113353018A (zh) * 2020-03-03 2021-09-07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顶棚安全气囊
US11325556B2 (en) 2020-09-15 2022-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US11383669B2 (en) * 2020-10-08 2022-07-12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s with pass-through chambers and related systems
US11498508B2 (en) * 2021-04-02 2022-11-15 Ford Global Technolgoies, Llc Roof mounted airbag for protection of front row mid and outboard passengers in frontal, offset, and oblique crash modes
US11623603B2 (en) 2021-04-26 2023-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airbag assembly with multiple chambers
US11840190B1 (en) * 2022-04-29 2023-12-12 Zoox, Inc.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
DE102022114931A1 (de) 2022-06-14 2023-12-1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CN115056742B (zh) * 2022-07-28 2023-10-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顶气囊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550A (ko) * 2009-03-03 2010-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KR20100120400A (ko) * 2009-05-06 2010-11-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KR20110036223A (ko) * 2009-10-01 2011-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쿠션
KR20110061197A (ko) * 2009-12-01 2011-06-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377A (en) * 1968-11-04 1971-09-20 Eaton Yale & Towne Vehicle crash restraint system
US5470103A (en) * 1994-12-27 1995-11-28 Davidson Textron Inc. Motor vehicle head impact air bag system
US5599041A (en) * 1995-10-24 1997-02-0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JP3035691U (ja) * 1996-09-12 1997-03-28 桂司 古川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
DE19757410C2 (de) * 1997-12-15 2001-01-25 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DE19932696C1 (de) * 1999-07-15 2000-09-07 Daimler Chrysler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mit zumindest zwei mit Gas auffüllbaren Airbags
US6932380B2 (en) * 2003-10-01 2005-08-23 Autoliv Asp, Inc. Overhead airbag having an external side cushion panel
JP2005145225A (ja) * 2003-11-14 2005-06-09 Takata Corp 乗員保護装置及び車両
JP4321228B2 (ja) * 2003-11-14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5239128A (ja) * 2004-02-24 2005-09-08 Takata Corp ツインエアバッグ装置
JP4235975B2 (ja) * 2005-06-10 2009-03-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US7625008B2 (en) * 2005-10-17 2009-12-01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groove or recess, open or partially covered
JP4123270B2 (ja) * 2005-11-24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193854B2 (ja) * 2006-02-16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7607683B2 (en) * 2006-05-11 2009-10-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ith po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149965A (ja) * 2006-12-19 2008-07-03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090126087A (ko) * 2008-06-03 2009-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7862074B2 (en) * 2008-10-09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ergy absorption systems for vehicles
KR101063389B1 (ko) * 2008-12-02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5366591B2 (ja) * 2009-02-27 2013-12-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363863B2 (ja) * 2009-04-03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00127982A (ko) * 2009-05-27 201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회전이 제한되는 루프 에어백 장치
GB2472071A (en) * 2009-07-23 2011-01-26 Ford Global Tech Llc An airbag assembly
JP5223964B2 (ja) * 2009-07-24 2013-06-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11099158A1 (ja) * 2010-02-15 201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219694B1 (ko) * 2010-08-30 2013-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550A (ko) * 2009-03-03 2010-09-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KR20100120400A (ko) * 2009-05-06 2010-11-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KR20110036223A (ko) * 2009-10-01 2011-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쿠션
KR20110061197A (ko) * 2009-12-01 2011-06-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6992B4 (de) 2019-02-07
JP5973712B2 (ja) 2016-08-23
JP2013082418A (ja) 2013-05-09
US20130087995A1 (en) 2013-04-11
KR20130036825A (ko) 2013-04-15
CN103029673B (zh) 2016-09-14
DE102011056992A1 (de) 2013-04-11
US8579321B2 (en) 2013-11-12
CN103029673A (zh)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89B1 (ko)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US10493940B2 (en) Side airbag device
US8807593B2 (en) Roof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241157B1 (ko) 내장 에어백 장치
KR101219695B1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장치
CN205113240U (zh) 帘式安全气囊装置
JP5780265B2 (ja) クッションエアバック装置を内蔵した車両用シート
CN102753399B (zh) 安全气囊装置
US7625008B2 (en) Air bag with groove or recess, open or partially covered
CN102216126B (zh) 侧气囊装置
JP2004512209A5 (ko)
CN104349945A (zh)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CN104470764A (zh)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KR20100062460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201205637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MX2007003946A (es) Bolsa de aire con ranura vertical.
CN104554121A (zh) 集成的侧面撞击和后排乘员正面撞击保护垫式安全气囊
US11254276B2 (en) Side airbag apparatus and vehicle seat including the same
CN104943650A (zh) 安全气囊装置
JP6916089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347875B1 (ko)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JP6365589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11260819B2 (en) Airbag apparatus
KR101355608B1 (ko)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CN110626307A (zh) T柱形中央气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