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75B1 -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 Google Patents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75B1
KR102347875B1 KR1020150092477A KR20150092477A KR102347875B1 KR 102347875 B1 KR102347875 B1 KR 102347875B1 KR 1020150092477 A KR1020150092477 A KR 1020150092477A KR 20150092477 A KR20150092477 A KR 20150092477A KR 102347875 B1 KR102347875 B1 KR 10234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hamber
cushion
tether
upper chamber
cush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80A (ko
Inventor
이석민
박해권
송지운
김도형
황보상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은: 루프로부터 윈드쉴드와 크러쉬패드의 사이로 전개되는 상부챔버부와, 상부챔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크러쉬패드와 착석자의 사이로 전개되는 하부챔버부가 형성되는 쿠션본체부와, 쿠션본체부의 내부에 상부챔버부와 하부챔버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부챔버부에서 하부챔버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내부테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CUSHION OF PASSENGER AIR BAG DEVICE}
본 발명은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동승석 착석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에어백은 충돌 사고 발생 시 에어백쿠션을 전개시켜 착석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장치로, 운전석 에어백(DAB, Driver Air-Bag)과 동승석 에어백(PAB, Passenger Air-Bag), 사이드 에어백(SAB, Side Air-Bag),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Bag)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승석 에어백은 동승석 착석자의 머리가 전방으로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석자의 전방에서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전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동승석 에어백은 만개(滿開)된 상태에서 착석자의 머리에만 접하거나, 착석자의 가슴과 부수적으로 접하도록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개 형상에 의하면 착석자 머리의 전방 이동을 구속할 수는 있으나, 가슴의 거동은 고려하지 못하여 착석자의 목 상해 정도의 변동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647호(2012.05.09.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시 동승석 착석자의 목 상해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은: 루프로부터 윈드쉴드와 크러쉬패드의 사이로 전개되는 상부챔버부와, 상기 상부챔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착석자의 사이로 전개되는 하부챔버부가 형성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부에서 상기 하부챔버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내부테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기 상부챔버부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루프에서 상기 윈드쉴드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상부전면부; 및 상기 하부챔버부의 전방부에 상기 상부전면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접하면서 착석자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기 착석자와 마주하는 후면부 상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치우친 착석자의 머리와 가슴이 실리는 로딩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딩홈부는, 상기 상부챔버부의 후방부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착석자의 머리와 접하는 상부로딩부; 및 상기 하부챔버부의 후방부에 상기 상부로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착석자의 허리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착석자의 가슴과 접하는 하부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테더부는,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를 구획하고, 상기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내부테더; 및 상기 내부테더 상에 상기 연통홀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통홀부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설정 방향으로 전환하는 유동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테더는,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테더본체부; 상기 테더본체부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접하는 상기 쿠션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결합부; 및 상기 테더본체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결합부보다 상측에서 상기 쿠션본체부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후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전환부재는, 상기 내부테더 상에 상기 연통홀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본체부; 상기 내부테더와 상기 커버본체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전환부; 상기 유동전환부의 일단부 상에 상기 크러쉬패드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전방개방부; 및 상기 유동전환부의 타단부 상에 착석자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후방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동전환부재는, 상기 하부챔버부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변형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간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내부테더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상기 연통홀부를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에 의하면, 윈드쉴드와 크러쉬패드의 사이로 전개되는 상부챔버부와, 크러쉬패드와 동승석 착석자의 사이로 전개되는 하부챔버부에 의해, 차량 충돌 시 전방으로 쏠리는 착석자의 머리와 가슴을 안정되게 지지, 완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석자의 목 상해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설치 및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의 내부테더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의 전개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이 만개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설치 및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의 내부테더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의 전개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이 만개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1)의 쿠션(2)이 적용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1)는, 차량의 루프(4) 상에 설치된다. 차량의 충돌 시 루프(4)에 결합된 인플레이터(3)가 작동되고, 본 발명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1)의 쿠션(2)은 루프(4)로부터 윈드쉴드(windshield)(5), 크러쉬패드(crush pad)(6), 착석자(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하향 전개되면서 전방으로 쏠리는 착석자의 상체를 받치게 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1)의 쿠션(2)은 쿠션본체부(10)와 내부테더부(20)를 포함한다.
쿠션본체부(10)는 차량의 충돌 시 인플레이터(3)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부풀어지며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을 이루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본체부(10)는 루프(4)로부터 윈드쉴드(5)와 크러쉬패드(6)의 사이로 전개되는 상부챔버부(11)와, 상부챔버부(11)의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크러쉬패드(6)와 착석자(7)의 사이로 전개되는 하부챔버부(12)를 포함한다.
내부테더부(20)는 쿠션본체부(10)의 내부에 상부챔버부(11)와 하부챔버부(12)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내부테더부(20) 상에는 상부챔버부(11) 상의 공기가 하부챔버부(12)로 유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연통홀부(22)가 형성된다. 내부테더부(20)에 의해 상부챔버부(11)가 우선적으로 전개된 후 하부챔버부(12)가 전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션본체부(1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로딩홈부(130), 측면부(140)를 포함한다.
전면부(110)는 윈드쉴드(5)와 마주하는 쿠션본체부(10)의 전방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0)는 상부전면부(111)와 하부전면부(112)를 포함한다.
상부전면부(111)는 상부챔버부(11)의 전방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루프(4)에서 윈드쉴드(5)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다. 하부전면부(112)는 하부챔버부(12)의 전방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전면부(11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크러쉬패드(6)와 접하면서 착석자(7)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3)로부터 상부챔버부(11)의 내부로 방출된 공기 중 전방을 향하는 공기는 상부전면부(111)를 타고 윈드쉴드(5)를 따라 크러쉬패드(6)측으로 하향 유동된다. 이러한 공기 흐름에 의해 상부챔버부(11)가 윈드쉴드(5)와 크러쉬패드(6) 사이의 공간부에 안정적으로 충진(fill)될 수 있고, 전방으로 실리는 착석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을 거쳐 상부챔버부(11)의 내부에 일차적으로 채워진 공기는 내부테더부(20)를 통과하여 하부챔버부(12)로 유입된다. 이때, 하부전면부(112)는 크러쉬패드(6)로부터 착석자(7)가 위치한 후방측으로 전개된다. 이에 따라, 하부전면부(112)가 접하는 크러쉬패드(6)를 기준으로 하여 착석자(7)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후면부(120)는 착석자(7)와 마주하는 쿠션본체부(10)의 후방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후면부(120) 상에는 전방으로 쏠린 착석자(7)의 머리와 가슴을 받치기 위한 로딩홈부(130)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로딩홈부(130)는 차량 충돌 시 전방으로 쏠리는 착석자(7)의 상체 거동을 고려하여 착석자(7)의 머리와 가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로딩홈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로부터 머리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더 치우지게 되는 거동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차량 충돌 시 전방으로 치우친 착석자(7)의 머리와 가슴은 함께 로딩홈부(130)에 실리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석자(7)의 머리와 가슴은 로딩홈부(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실리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딩홈부(130)는 상부로딩부(131)와 하부로딩부(132)를 포함한다.
상부로딩부(131)는 상부챔버부(11)의 후방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착석자(7)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로딩부(132)는 하부챔버부(12)의 후방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로딩부(13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착석자(7)의 가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로딩부(132)는 상부로딩부(131)로부터 착석자(7)의 허리측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 시 허리로부터 머리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더 치우지게 되는 착석자(7)의 상체 거동 시, 착석자(7)의 머리가 상부로딩부(131)에 접하여 받쳐짐과 동시에 착석자(7)의 가슴이 하부로딩부(132)에 안정되게 접하여 받쳐지게 된다.
로딩홈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후면부(120)가 단순한 수직면의 형상을 가지거나 착석자(7)의 가슴의 거동을 고려하지 않고 머리만을 구속하는 경우와 비교해, 착석자(7)의 머리에 대해 보다 확장된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머리와 가슴의 거동 불일치로 인한 목의 상해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면부(140)는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전면부(110), 후면부(120), 측면부(140)는 함께 쿠션본체부(1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측면부(140) 중 하부챔버부(1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벤트홀부(13)가 형성된다. 하부챔버부(12)에 걸리는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벤트홀부(13)를 통해 하부챔버부(12) 내부의 공기가 자연히 배출되므로, 하부챔버부(12)의 내부 압력을 설정치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챔버부(12)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내부 압력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하부챔버부(12)의 쿠션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착석자(7)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챔버부(11)의 내부에는 하부챔버부(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 압력이 형성되므로, 가슴에 비해 순간적인 거동량이 많은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테더부(20)는 내부테더(21)와 유동전환부재(23)를 포함한다.
내부테더(21)는 쿠션본체부(10)의 내부에 상부챔버부(11)와 하부챔버부(12)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내부테더(21) 상에는 상부챔버부(11)와 하부챔버부(12)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홀부(22)가 형성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테더(21)는 테더본체부(211), 전면결합부(212), 후면결합부(213), 측면결합부(214)를 포함한다.
테더본체부(211)는 내부테더(21)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테더본체부(211)는 섬유재 등과 같이 쿠션본체부(10)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테더본체부(211)는 쿠션본체부(10)의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되, 전방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전면결합부(212), 후면결합부(213), 측면결합부(214)는 각각 테더본체부(211)의 전단부, 후단부, 측단부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해 테더본체부(211)의 가장자리부를, 즉 전면결합부(212), 후면결합부(213), 측면결합부(214)를 쿠션본체부(10)에 결합할 수 있다.
전면결합부(212)는 쿠션본체부(10)의 전면부(110) 중 크러쉬패드(6)와 접하는 부분에 결합된다. 후면결합부(213)는 전면결합부(212)보다 상측에서 쿠션본체부(10)의 후면부(1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본체부(1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테더본체부(211)가 크러쉬패드(6)를 기준으로 쿠션본체부(10)의 후면부(120)를 안정되게 상향 지지할 수 있다.
유동전환부재(23)는 연통홀부(22)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설정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부재로, 하부챔버부(12)측에서 내부테더(2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전환부재(23)는 커버본체부(231), 유동전환부(232), 전방개방부(233), 후방개방부(234)를 포함한다.
커버본체부(231)는 유동전환부재(23)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테더(21) 상에 연통홀부(22)를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커버본체부(231)는 섬유재 등과 같이 하부챔버부(12)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동전환부(232)는 연통홀부(22)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테더(21)와 커버본체부(231)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부(231)와 내부테더(21)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커버본체부(231)를 휘어진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내부테더(21)와 커버본체부(231)의 사이에 유동전환부(232)를 자연히 형성할 수 있다.
전방개방부(233)는 크러쉬패드(6)를 향하는 유동전환부(232)의 전방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후방개방부(234)는 착석자(7)를 향하는 유동전환부(232)의 후방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커버본체부(231)를 연통홀부(2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하고, 연통홀부(22)의 양측에 위치되는 측단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해 내부테더(21)에 결합함으로써, 커버본체부(231)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전방개방부(233)와 후방개방부(23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연통홀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전환부(232)로 유입되고, 유동전환부(232) 상에서 그 유동 방향이 전방개방부(233)와 후방개방부(234)측으로 전환된 후, 전방개방부(233)와 후방개방부(234)를 통해 크러쉬패드(6)와 착석자(7)를 향해 하부챔버부(12)의 내부로 최종 배출된다. 이러한 하부챔버부(12) 내부의 공기 유동에 의해 크러쉬패드(6)와 착석자(7)간의 이격 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충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개방부(233)와 후방개방부(234)를 통해 하부챔버부(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테더(21)와 나란한 방향으로 그 유동이 이루어지며 하부전면부(112)와 하부로딩부(132)에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테더(21)의 전후방향 펼침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챔버부(11)에서 하부챔버부(12)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상부챔버부(11)의 내부 압력이 하부챔버부(12)의 내부 압력보다 높으므로, 커버본체부(231)가 연통홀부(22)를 통과하는 공기에 밀려 내부테더(21)로부터 이격되고, 유동전환부(232), 전방개방부(233), 후방개방부(234)가 생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챔버부(12)로의 공기 유입이 완료되고, 착석자(7)의 하중 등으로 인해 하부챔버부(12)의 내부 압력이 상부챔버부(11)의 내부 압력보다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커버본체부(231)가 내부테더(21)에 밀착되면서 연통홀부(22)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챔버부(11)의 공기 배출은 방지되고, 하부챔버부(12) 내부의 공기는 벤트홀부(13)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하부챔버부(12)의 내부 압력을 설정치 이하로 생성, 유지하면서 하부챔버부(12)의 쿠션력을 확보할 수 있고 착석자(7)의 가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챔버부(11)의 내부 압력을 하부챔버부(12)에 비해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가슴에 비해 순간적인 거동량이 많은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동승석 에어백장치(1)의 쿠션(2)에 의하면, 윈드쉴드(5)와 크러쉬패드(6)의 사이에 전개되는 상부챔버부(11)와, 크러쉬패드(6)와 동승석 착석자(7)의 사이에 전개되는 하부챔버부(12)에 의해 차량 충돌 시 전방으로 쏠리는 착석자(7)의 머리와 가슴을 안정되게 지지, 완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석자(7)의 목 상해를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동승석 에어백장치 2 : 쿠션
3 : 인플레이터 4 : 루프
5 : 윈드쉴드 6 : 크러쉬패드
7 : 착석자 10 : 쿠션본체부
11 : 상부챔버부 12 : 하부챔버부
13 : 벤트홀부 20 : 내부테더부
21 : 내부테더 22 : 연통홀부
23 : 유동전환부재 110 : 전면부
111 : 상부전면부 112 : 하부전면부
120 : 후면부 130 : 로딩홈부
131 : 상부로딩부 132 : 하부로딩부
140 : 측면부 211 : 테더본체부
212 : 전면결합부 213 : 후면결합부
214 : 측면결합부 231 : 커버본체부
232 : 유동전환부 233 : 전방개방부
234 : 후방개방부

Claims (8)

  1. 루프로부터 윈드쉴드와 크러쉬패드의 사이로 전개되는 상부챔버부와, 상기 상부챔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착석자의 사이로 전개되는 하부챔버부가 형성되는 쿠션본체부; 및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를 구획하는 격막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부에서 상기 하부챔버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내부테더와, 상기 하부챔버부 내부의 전후방향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내부테더의 전후방향 펼침과, 전후방에 위치한 상기 크러쉬패드와 착석자간의 이격 공간 충진이 이루어지게 상기 연통홀부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전환하는 유동전환부재가 구비되는 격막형 내부테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전환부재는,
    상기 내부테더에 상기 연통홀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본체부;
    상기 내부테더와 상기 커버본체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전환부;
    상기 유동전환부 상에서 전방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하부챔버부의 전면부에 부딪히면서 상기 내부테더의 전방 펼침이 이루어지게 상기 유동전환부의 전단부 상에 상기 크러쉬패드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전방개방부; 및
    상기 유동전환부 상에서 후방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하부챔버부의 후면부에 부딪히면서 상기 내부테더의 후방 펼침이 이루어지게 상기 유동전환부의 후단부 상에 착석자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후방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기 상부챔버부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루프에서 상기 윈드쉴드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상부전면부; 및
    상기 하부챔버부의 전방부에 상기 상부전면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접하면서 착석자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본체부는,
    상기 착석자와 마주하는 후면부 상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치우친 착석자의 머리와 가슴이 실리는 로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홈부는,
    상기 상부챔버부의 후방부에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착석자의 머리와 접하는 상부로딩부; 및
    상기 하부챔버부의 후방부에 상기 상부로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착석자의 허리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착석자의 가슴과 접하는 하부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테더는,
    상기 쿠션본체부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테더본체부;
    상기 테더본체부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크러쉬패드와 접하는 상기 쿠션본체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전면결합부; 및
    상기 테더본체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결합부보다 상측에서 상기 쿠션본체부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후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부재는,
    상기 하부챔버부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변형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간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내부테더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며 상기 연통홀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KR1020150092477A 2015-06-29 2015-06-29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KR10234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7A KR102347875B1 (ko) 2015-06-29 2015-06-29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77A KR102347875B1 (ko) 2015-06-29 2015-06-29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80A KR20170002780A (ko) 2017-01-09
KR102347875B1 true KR102347875B1 (ko) 2022-01-07

Family

ID=5781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477A KR102347875B1 (ko) 2015-06-29 2015-06-29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378A1 (en) * 2018-04-24 2019-10-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230068677A (ko) 2021-11-11 2023-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KR20240048283A (ko) 2022-10-06 2024-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20240048285A (ko) 2022-10-06 2024-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20240058581A (ko) 2022-10-26 202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20240084327A (ko) 2022-12-06 2024-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1704A (ja) * 2011-09-29 2013-04-2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270B2 (ja) * 2005-11-24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595346B1 (ko) * 2009-05-07 2016-02-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20031804A (ko) * 2010-09-27 2012-04-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1704A (ja) * 2011-09-29 2013-04-2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80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875B1 (ko)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KR102474669B1 (ko) 동승석 에어백장치의 쿠션
KR102545853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102674890B1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KR102004535B1 (ko) 승차인 보호 장치
KR101316389B1 (ko) 차량의 루프 에어백 장치
JP529951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23941B2 (ja) 延長肩部分を持つ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102656154B1 (ko) 에어백 장치
JP551475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KR102675827B1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CN112585040B (zh) 具有附加安全气囊的车辆乘客约束系统
KR102339066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78314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及び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330758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JP5229238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472922B2 (en) Rocker trim packaged side impact airbag system
JP5261925B2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装置
WO2006121383A1 (en) A front seat passenger air-bag
JP519577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33860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048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957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64032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233974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