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551B1 -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 Google Patents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551B1
KR101314551B1 KR1020060067058A KR20060067058A KR101314551B1 KR 101314551 B1 KR101314551 B1 KR 101314551B1 KR 1020060067058 A KR1020060067058 A KR 1020060067058A KR 20060067058 A KR20060067058 A KR 20060067058A KR 101314551 B1 KR101314551 B1 KR 10131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sheet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849A (ko
Inventor
타다시 마타노
코이치 나가모토
히데오 세누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점착제층의 양쪽면에 접착되어 있는 박리시트의 내부에, 확실하게 한쪽의 박리시트만을 박리할 수 있고, 또한, 그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결손되거나, 최초에 박리한 박리시트에 들러 붙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부재를 제공하고, 이러한 접착부재를 사용한 광학부품의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접착부재(100)는, 점착제층(3)과, 제1박리시트(1)와 제2박리시트(2)를 가지고 있다. 점착제층(3)은 양면이 점착성을 가진 것이다. 제1박리시트(1)는, 제1기재(11)위에 제1박리제층(1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박리시트(2)는, 제2기재(21)위에 제2박리제층(2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박리시트(2)는,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할 때의 박리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부부근에, 제2박리제층(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박리영역(2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067058
접착부재, 광학부품, 점착제층, 박리시트

Description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Adhesion Method of Adhesive Sheet and Optical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부재를 롤상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착부재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부재에 사용된 제2박리시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접착부재 1: 제1박리시트
11: 제1기재 12: 제1박리제층
2: 제2박리시트 21: 제2기재
22: 제2박리제층 23: 비박리영역
3: 점착제층
본 발명은 접착부재 및 광학부재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점착제층을 2매의 박리(剝離)시트(Sheet)로 끼워 보호한 테이프상의 접착부재(양면테이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한쪽의 박리시트(제1박리시트)를 벗겨 피착체(被着體)에 붙이고, 그 후 타측의 박리시트(제2박리시트)를 벗기는 것에 의해, 피착체와 다른 피착체를 붙여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부재는, 제1박리시트를 벗길 때에 점착제층(粘着劑層)과 제2박리시트가 본의 아니게 벗겨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과 제2박리시트가 벗겨지게 되면, 최초의 피착체에 붙일 때에 점착제층을 균일하게 붙이기가 곤란하여 피착체와의 충분한 밀착성을 얻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박리시트의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剝離力)을, 제1박리시트의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크게 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7-41736호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접착부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없고, 또한, 제1박리시트(박리력이 작은 박리시트)를 박리할 때에, 제1박리시트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붙어버려서 점착제층의 일부가 결손되는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접착부재의 폭방향의 단부부근에 있어서 현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층의 양쪽면에 접착되어 있는 박리시트의 내부에, 확실하게 한쪽의 박리시트만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결손되거나, 최초에 박리한 박리시트에 들러 붙어버려, 이른바 동반이탈 현 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부재를 제공하고, 이러한 접착부재를 사용한 광학부품의 접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아래의 (1)∼(6)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점착제층과,
제1박리제층을 구비한 제1박리시트와,
제2박리제층을 구비한 제2박리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박리시트는, 상기 제1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박리시트는, 상기 제2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쪽 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2박리시트의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된 부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剝離力)이, 상기 제1박리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크고,
상기 제2박리시트는, 적어도 주변부 부근의 일부에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박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비박리영역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2) 접착부재는 테이프 형상이고,
상기 비박리영역은, 상기 제2박리시트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1)에 기재된 접착부재.
(3) 상기 제2박리시트는, 제2기재와 상기 제2박리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박리영역의 폭은, 상기 제2기재 폭의 0.1∼5.0 %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접착부재.
(4) 상기 제1박리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F1[mN/50mm], 상기 제2박리시트의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F2[mN/50mm]라 할 때, F2 - F1≥10 [mN/50mm]의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부재.
(5) 광학부품을 다른 피착체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부재.
(6) 상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착부재로부터 상기 제1박리시트를 벗겨내어, 상기 점착제층을 광학부품에 접착한 후, 상기 제2박시시트를 박리하고, 상기 광학부품을 다른 피착체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부재를 롤상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착부재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3은, 접착부재에 사용되는 제2박리시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 및 도 3중의 위쪽을 「위」 또는 「상부」, 아래쪽을 「아래」또는 「하부」라고 한다.
접착부재(100)(본 발명의 접착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3)과, 제1박리시트(1)와, 제2박리시트(2)를 가지고 있다.
제1박리시트(1)는, 점착제층(3)의 한쪽면에 접착되어 있고, 제2박리시트(2)는, 점착제층(3)의 제1박리시트(1)가 접착되어 있는 면의 반대쪽 면에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착부재(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접착부재(100)는, 제2박리시트(2)(후술하는 제2박리제층(22)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이,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접착부재(100)는, 점착제층(3)으로부터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한 후, 피착체(被着體)에 접착하고, 그 후 제2박리시트(2)를 박리하는 것에 의해, 피착체를 다른 피착체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제2박리시트(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기재(21) 위에 제2박리제층(2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박리시트(2)는, 제2박리제층(22)을 개재하여 후술하는 점착제층(3)에 접착되어 있다.
제2기재(21)는, 제2박리제층(22)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2기재(21)는, 주로 합성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재(2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나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등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가운데에도, 제2기재(2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여러가지 두께나 등급의 것이 입수 가능하다.
특히, 접착부재(100)를 광학부품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배향각(配向角)의 최대치가 15°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편광판 등의 광학부품과 접착하여 합친 후에, 불량이 없이 제품검사를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2기재(21)의 평균두께는, 12∼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박리제층(22)은, 제2박리시트(2)에 박리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2박리제층(2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장쇄(長鎖)알킬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가운데 실리콘수지는, 박리용이성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아주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박리제층(22)을 구성하는 재료는,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이, 후술하는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크게 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제2박리제층(22)에는, 후술하는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이 크게 되도록 첨가제(중박리첨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박리력은, JIS-Z0237에 준거하여 측정되고, 폭 50mm, 길이 200mm의 박리시트와 점착제층을 접착하고, 인장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고정한 상태에서 박리시트를 300mm/분의 속도로 180°방향으로 박리한 때의 하중을 나타낸다.
제2박리제층(22)의 평균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2∼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박리제층(22)의 평균두께가 상기 하한치의 미만이 되면,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2박리제층(22)의 평균두께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박리력은 변화하지 않지만, 생산성이나 생산비용을 고려하면 쓸데없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박리시트(2)의 폭방향의 단부부근, 즉, 제2박리시트(2)의 면방향에 있어서,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하는 때의 박리방향(도 1 가운데의 화살표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부부근에, 전술한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박리영역(23)이 설치되어 있다.
비박리영역(23)은, 제2박리시트(2)의 양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박리영역(23)은, 도시된 구성과 같이, 점착제층(3)과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비박리영역(23)에 있어서는, 박리제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3)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2박리시트(2)위에, 후술하는 점착제층(3) 및 제1박리시트(1)를 적층한 접착부재는,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할 때 제2박리시트(2)와 점착제층(3) 사이에서의 본의 아닌 벗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점착제층(3)의 일부가 결손되거나, 제1박리시트(1)에 들러 붙어버려,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종래의 이러한 접착부재에 발생하기 쉬웠던, 접착부재(100)의 폭방향, 즉, 접착부재(100)(제2박리시트(2))의 면방향에 있어서, 제1박리시트(1)의 박리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부부근에 있어서 동반이탈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비박리영역(23)에 있어서는, 제2박리시트(2)와 후술하는 점착제층(3)이 밀착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는, 제1박리시트(1)보다도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비박리영역(23)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도, 제2박리시트(2)와 점착제층(3)과의 본의아닌 박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한 후에 제1박리시트(1)를 감아서 회수한 경우, 권취롤이 제1박리시트(1)에 부착하여 점착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접착부재를 액정셀, 편광판,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부품에 사용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에 결손 등이 발생하게 되면 공기 등이 광학부품과 점착제층과의 사이에 들어가 광학부품의 광학특성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접착부재(100)(본 발명의 접착부재)를 사용한 경우,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접착부재(100)의 비박리영역에 대응하는 부위는,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하고, 피착체에 접착한 후에, 절단 등으로 제거하여도 좋다.
비박리영역(23)의 폭은, 제2기재(21)의 폭의 0.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박리영역(23)의 폭이 전기 하한치 미만이 면, 제2박리시트(2)를 구성하는 제2기재(21)나 후술하는 점착제층(3)을 구성하는 재료등에 의하면, 비박리영역(23)에 있어서 점착제층(3)과 제2박리시트(2)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박리영역(23)의 폭이 상기 하한치를 초과하면, 비박리영역(23)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효과의 더 큰 증대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된 부위의, 후술하는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은, 후술하는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도 큰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60∼1000mN/50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mN/50mm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한 때에,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 F1 [mN/50mm],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을 F2 [mN/50mm] 라 할 때, F2 - F1 ≥10 [mN/50mm]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F2 - F1 ≥30 [mN/50mm]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는 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한 때에,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박리시트(2)의 인장강도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1박리시트(1)의 인장강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한 때에,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는, 제2박리시트(2)가 제2박리시트(2)의 면방향에 있고, 제1박리시트(1)를 박리하는 때의 박리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단부부근에 비박리영역(23)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박리영역(23)은, 제2박리시트(2)의 주연부 부근의 일부에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제1박리시트(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기재(11)위에, 제1박리제층(1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기재(11)는, 제1박리제층(12)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기재(11)는, 주로 합성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재(1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나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가운데에도, 제1기재(1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여러가지 두께나 등급의 것이 입수 가능하다. 또한, 제1박리제층(12)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제1기재(11)의 평균두께는, 전술한 제2박리시트(2)를 구성하는 제2기재(21)의 평균두께보다도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기재(11)와 제2기재(21)를 구성하는 재료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용이성과 후술하는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된 부위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용이성과의 차이를 보다 현저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1박리시트(1)를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한 때에,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제1기재(11)의 평균두께는, 5∼125㎛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기재(11)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의 것이면, 제1박리시트(1)는 후술하는 점착제층(3)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제1박리시트(1)를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한 때에,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제1박리제층(12)은, 제1박리시트(1)에 박리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제1기재(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박리제층(12)을 구성하는 재료(박리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수지, 실리콘 수지, 장쇄알킬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가운데에도 실리콘 수지는, 제1박리제층(12)의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 우수한 박리성을 발휘한다.
제1박리제층(12)의 평균두께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2∼0.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0.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박리제층(12)의 평균두께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전술한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가 어렵게 되어, 제1박리제층(12)을 구성하는 재료나 후술하는 제2박리시트(2)의 구성에 의해서는,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1박리제층(12)의 평균두께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박리력은 변화하지 않지만, 생산성이나 생산비용을 고려하면 쓸데없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1박리제층(12)은, 다른 수지성분이나, 가소제(可塑劑),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제1박리시트(1)의 점착제층(3)으로부터의 박리력은, 전술한 제2박리시트(2)의 제2박리제층(22)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박리력보다도 작은 값이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200m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00mN/5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를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한 때에, 후술하는 점착제층(3)의 일부가 결손되고, 제1박리시트(1)에 들러붙어버려,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점착제층(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이 점착성을 갖는 것이다.
점착제층(3)은, 점착제를 주 재료로 한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학부품 용도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경우, 점착성을 부여하는 주 모노머 (Monomer)성분, 접착성이나 응집력을 부여하는 코모노머(Comonomer) 성분, 가교점이나 접착성 개량을 위한 관능기(官能基) 함유 모노머 성분을 주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구성할 수가 있다.
주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아밀,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벤질, 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탈크릴산 벤질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코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초산비닐, 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나,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각 성분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 응집력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는, 통상 분자중에 불포화 결합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빛이나 산소에 대한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더욱이, 모노머의 종류나 분자량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용도에 맞는 품질, 특성을 구비한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로는, 가교처리를 실시하는 가교형 및 가교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비가교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가교형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응집력이 보다 우수한 점착제층(3)을 형성할 수가 있다.
가교형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시드, 금속염, 아민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 점착부여제, 안정제, 실란커플링제 등의 각종첨가제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중에는, 무기미립자, 수지입자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3)에 이러한 무기입자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무기미립자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 하여도, 동반이탈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점착제층(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100㎛인 것이 바람직 하고, 15∼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판등의 광학부품과 접착하는 경우, 점착제층(3)의 23℃에 있어서의 저장탄성율 G'가, 0.05∼1MPa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저장탄성율의 점착제에 있어서도, 동반이탈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점착부재(100)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테이프 상의 제2기재(21)를 준비하고, 이 제2기재(21)위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박리제를 도포하여 제2박리제층(22)을 형성한다. 또한, 이 때에, 제2기재(21)의 폭 방향의 단부부근에는, 박리제를 도포하지 않고, 비박리영역(23)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제2박리시트(2)가 얻어진다.
박리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의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얻어진 제2박리시트(2) 위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한다.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박리제와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한편, 테이프상의 제1기재(11)를 준비하고, 이 제1기재(11)위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박리제를 도포하여 제1박리제층(12)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시트(1)가 얻어진다. 박리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제2박리시트(2)에 있어서의 박리제의 도포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제1박리시트(1)를, 제2박리시트(2)위에 형성한 점착제층(3)에 접착하여 붙인다. 이것에 의해, 접착부재(100)가 얻어진다.
또한, 제1박리시트(1)의 제1박리제층(12)위에, 점착제층(3)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점착제층(3)위에 제2박리시트(2)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접착부재(100)를 제조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접착부재(100)는, 광학부품을 기타의 피착체에 접착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광학부품의 광학특성을 유지시키고, 바람직하게 광학부품을 접착할 수가 있다.
광학부품의 접착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하여 행할 수가 있다.
접착부재(100)로부터 제1박리시트(1)를 벗겨내고, 노출된 점착제층(3)을 광학부품에 접착한다.
다음에, 제2박리시트(2)를 박리하고, 광학부품을 다른 피착체에 접착한다.
이렇게 접착부재(100)를 사용한 광학부품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광학부품의 광학특성을 유지시키고, 매우 적절히 광학부품을 접착할 수가 있다.
또한, 제2박리시트(2)를 박리할 때에, 비박리영역(23)에 대응하는 부분을 잘라 제거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접착부재로서 테이프상의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접착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시트상의 것이라 면, 주연부의 일부에 비박리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주연부 전체에 비박리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점착제층이 1층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점착제층은 2층 또는 3층 이상의 적층체 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이 적층체로 구성된 것인 경우, 예를 들면, 제1박리시트를 접착한 쪽의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제2박리시트를 접착한 쪽의 점착제층의 점착력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접착부재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1] 제2박리시트의 제작
먼저, 제2기재로서, 폭 1040mm, 평균두께 38㎛의 테이프상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쯔비시화학 폴리에스테르사제: 상품명「다이아호일T100」)을 준비하였다.
한편, 박리제로서의 실리콘 수지(토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 상품명「BY24-561」):90중량부와, 중박리첨가제로서 레진성분(토레·다우코닝·실리콘사제: 상품명 「SD-7292」):5중량부를 준비하고, 이것들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농도 1.3중량%의 제2박리제층 형성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2박리제층 형성액을, 상기 제2기재위에 마이어 바 #4로서 도장하고, 10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평균두께 0.1㎛의 제2박리제층을 형성하여, 제2박리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2박리제층 형성액의 도장시에, 제2기재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폭이 10mm(제2기재의 폭의 1%)의 제2박리제층 형성액 미도장부분(비박리영역)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아크릴산 부틸:96 중량부와, 아크릴산:4 중량부를 포함한 중량평균분자량 145만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100 중량부와,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트릴렌디이소시아나이트(일본 폴리우레탄사제: 상품명「코로네이트L」):0.3 중량부 및 N,N,N,N,테트라글리시딜메타크실렌디아민 0.02 중량부와, 실란커플링제로서, 글리시딜디메톡시실란(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KBM-403」):0.0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2-부타논으로 희석하여, 고형분농도 18%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2박리시트의 제2박리제층 및 비박리영역상에, 나이프 코터에 의해 도장하고, 11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건조시켜, 평균두께 25㎛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3] 제1박리시트의 제작
먼저, 제1기재로서, 폭 1040mm, 평균두께 38㎛의 테이프상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쯔비시화학폴리에스테르사제: 상품명 「다이아호일T100」을 준비하였다.
한편, 박리제로서 실리콘 수지(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KS-835」): 100중량부와, 백금촉매((신월화학공업주식회사제: 상품명「
PL-50T」:1중량부를 준비하고, 이것들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농도 1.3중량%의 제1박리제층 형성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1박리제층 형성액을, 상기 제1기재 전면에 마이어 바 #4로서 도장하고, 10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평균두께 0.1㎛의 제2박리제층을 형성하여, 제1박리시트를 제작하였다.
[접착부재의 제작]
그 후, 얻어진 제1박리시트를 제2박리시트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에 접합하여, 접착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
제2박리시트의 제작에 있어서, 비박리영역의 폭을 표 1에 나타낸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제1기재로서, 그 평균두께가 표 1에 나타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1기재로서, 평균두께:100㎛의 폴리에틸렌필름(PE)(아이세로화학사제: 상품명 「스즈론L-105」)을 사용한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미립자(도시바실리콘사제: 상품명 「도스팔#145」):5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정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미립자(도시바실리콘사제: 상품명 「도스팔#145」):25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비박리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비박리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비박리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6과 같이 하여 접착부재를 제작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로 제작한 접착부재에 있어서, 제1박리시트의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 제2박리시트의 제2박리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 각 박리시트의 인장강도(카탈로그 값), 각층(기재)의 평균두께, 점착제층의 구성재료, 평균두께, 저장탄성율 G', 등의 제조조건 등을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저장탄성율 G는 두께 25㎛의 점착제를 적층하여, 직경 8mm, 두께 3mm 의 원주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동적점탄성측정장치(레오나도릭사제, DYNAMIC ANALYZER RDAⅡ)을 사용하여 주파수 1Hz, 온도 23℃의 조건으로,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1]
제1박리시트 제2박리시트 점착제층 F2-F1[mN
/50
mm]
제1기재의 구성재료 제1기재의 평균두께T1
[㎛]
박리력F1
[mN/
50㎜]
인장강도
[N/m]
제2기재의 구성재료 제2기재의 평균두께T2
[㎛]
박리력F2
[mN/
50㎜]
인장강도[N/m] 비박리 영역의 폭
[%]
점착제층의 구성재료 평균두께[㎛] 저장탄성율G'
[MPa]
실시예1 PET 38 40 1.52×105 PET 38 110 1.52×105 1 아크릴계점착제 25 0.11 70
실시예2 PET 38 40 1.52×105 PET 38 110 1.52×105 0.5 아크릴계점착제 25 0.11 70
실시예3 PET 25 35 1.00×106 PET 38 110 1.52×105 1 아크릴계점착제 25 0.11 75
실시예4 PE 100 38 5.00×102 PET 38 110 1.52×105 1 아크릴계점착제 25 0.11 72
실시예5 PET 38 60 1.52×106 PET 38 160 1.52×105 1 아크릴계점착제 25 0.15 100
실시예6 PET 38 80 1.52×106 PET 38 300 1.52×105 1 아크릴계점착제 25 0.25 220
비교예1 PET 38 40 1.52×106 PET 38 110 1.52×105 - 아크릴계점착제 25 0.11 70
비교예2 PET 38 60 1.52×105 PET 38 160 1.52×105 - 아크릴계점착제 25 0.15 100
비교예3 PET 38 80 1.52×105 PET 38 300 1.52×105 - 아크릴계점착제 25 0.25 220
<평 가>
[동반이탈 발생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접착부재(길이 200m)를 각각 20본씩 준비하고, 제1박리시트를 속도 10m/min로 벗기고, 동반이탈이 발생한 수의 비율을 구하였다. 또한, 동일하게, 속도 30m/min으로 벗기고, 동반이탈이 발생한 수의 비율을 구하였다.
또한, 동반이탈이 발생한 비율은, 동반이탈이 발생한 접착부재의 수를 X개라고 할 때, X/20×100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동반이탈발생평가
(동반이탈발생율)%
박리속도 10m/min 박리속도30m/min
실시예1 0 0
실시예2 0 0
실시예3 0 0
실시예4 0 0
실시예5 0 5
실시예6 0 10
비교예1 10 30
비교예2 20 40
비교예3 30 50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접착부재는, 동반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것에 대해, 각 비교예의 접착부재는, 만족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전술한 평가방법에 있어서, 제1박리시트의 박리속도를 향상시킨 경우, 본 발명의 접착부재로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점착제층에 실리콘 수지미립자를 포함하는 실시예 5, 6과 같이, 동반이탈이 발생하기 쉬운 점착제층이 있어도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러한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광학부품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광학부품을 구비한 전자기기등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양쪽면에 접착되어 있는 박리시트의 내부에, 확실하게 한쪽의 박리시트만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결손되거나, 최초에 박리한 박리시트에 들러 붙어버려, 이른바 동반이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점착제층과,
    제1박리제층을 구비한 제1박리시트와,
    제2박리제층을 구비한 제2박리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박리시트는, 상기 제1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박리시트는, 상기 제2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쪽 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2박리시트의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된 부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剝離力)이, 상기 제1박리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크고,
    상기 제2박리시트는, 적어도 주변부 부근의 일부에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박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비박리영역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테이프 형상이고,
    상기 비박리영역은, 상기 제2박리시트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박리시트는, 제2기재와 상기 제2박리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박리영역의 폭은, 상기 제2기재 폭의 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박리시트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F1[mN/50mm], 상기 제2박리시트의 상기 제2박리제층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F2[mN/50mm]라 할 때, F2 - F1≥10 [mN/50mm]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광학부품을 다른 피착체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부재.
  6. 제1항에 기재된 접착부재로부터 상기 제1박리시트를 벗겨내어, 상기 점착제층을 광학부품에 접착한 후, 상기 제2박리시트를 박리하고, 상기 광학부품을 다른 피착체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KR1020060067058A 2005-08-01 2006-07-18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KR101314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3430 2005-08-01
JP2005223430A JP4912635B2 (ja) 2005-08-01 2005-08-01 貼着部材および光学部品の貼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849A KR20070015849A (ko) 2007-02-06
KR101314551B1 true KR101314551B1 (ko) 2013-10-07

Family

ID=376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58A KR101314551B1 (ko) 2005-08-01 2006-07-18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2635B2 (ko)
KR (1) KR101314551B1 (ko)
CN (1) CN1908104B (ko)
TW (1) TWI3927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01B1 (ko) * 2007-03-12 2015-01-2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유리 부착 유리 기판 및 보호 유리 부착 유리 기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17018B1 (ko) * 2007-05-03 2009-09-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접착필름의 제조방법
EP2210926B1 (en) * 2007-11-16 2014-01-08 Taica Corporation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for optical use,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minates for optical us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5102012B2 (ja) * 2007-12-19 2012-12-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10318577A1 (en) * 2009-05-18 2011-12-29 Taica Corporation Optical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body, optical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189589A (ja) * 2010-03-15 2011-09-29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11213025A (ja) * 2010-04-01 2011-10-27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離型フィルム
JP2011252109A (ja) * 2010-06-03 2011-12-15 Nitto Denko Corp シート製品
JP6016323B2 (ja) * 2010-07-21 2016-10-26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KR101707863B1 (ko) * 2010-12-27 2017-02-1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이형 필름
WO2012090762A1 (ja) * 2010-12-27 2012-07-05 三菱樹脂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2012184327A (ja) * 2011-03-05 2012-09-27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12207166A (ja) * 2011-03-30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5623970B2 (ja) * 2011-04-22 2014-11-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積層体、及び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EP2773793B1 (en) * 2011-10-31 2017-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applying a coating to a substrate in rolled form
JP2013103959A (ja) * 2011-11-11 2013-05-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半導体用接着シート
JP5973302B2 (ja) * 2012-09-27 2016-08-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体
JP2014189778A (ja) * 2013-03-28 2014-10-06 Lintec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捲回体
JP5886886B2 (ja) * 2014-02-04 2016-03-1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6345310B1 (ja) * 2017-05-19 2018-06-20 尾池工業株式会社 機能性物品の製造方法、機能性転写基材および機能性物品
WO2023189651A1 (ja) * 2022-03-30 2023-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光学部材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3983A (ja) * 1991-03-25 1992-10-19 Kanzaki Paper Mfg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H06157999A (ja) * 1992-11-24 1994-06-07 Koyo Kagaku Kogyo Kk ストリッピングフィルム用接着シート
JP2003177241A (ja) 2001-12-10 2003-06-27 Fujimori Kogyo Co Ltd 光学用積層体、粘着剤転写テープ、および光学用積層体の製造法
KR20040030282A (ko) * 2002-08-29 2004-04-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압감 점착성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14B2 (ja) * 1987-09-29 1995-10-04 藤森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用剥離フィルム
JPH064828B2 (ja) * 1988-05-31 1994-01-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テープ
JPH07417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US6365254B1 (en) * 1998-02-02 2002-04-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oll stabilizing release liner
TWI265324B (en) * 2003-01-23 2006-11-01 Nippon Oil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yered body,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layered body,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3983A (ja) * 1991-03-25 1992-10-19 Kanzaki Paper Mfg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H06157999A (ja) * 1992-11-24 1994-06-07 Koyo Kagaku Kogyo Kk ストリッピングフィルム用接着シート
JP2003177241A (ja) 2001-12-10 2003-06-27 Fujimori Kogyo Co Ltd 光学用積層体、粘着剤転写テープ、および光学用積層体の製造法
KR20040030282A (ko) * 2002-08-29 2004-04-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압감 점착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2159A (en) 2007-04-01
KR20070015849A (ko) 2007-02-06
JP4912635B2 (ja) 2012-04-11
TWI392716B (zh) 2013-04-11
CN1908104A (zh) 2007-02-07
CN1908104B (zh) 2011-12-07
JP2007039510A (ja)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551B1 (ko) 접착부재 및 광학부품의 접착방법
KR100382846B1 (ko) 감압성접착시트
US6680096B1 (en) Adhesive film strip and its use
JP5912772B2 (ja) 基材レス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86503B2 (ja) フィルム剥離方法、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フィルム剥離機構及び光学フィルム製造装置
JP3616866B2 (ja) 光学フィルム貼合基板の製造方法
KR101256202B1 (ko) 점착 시트
KR101435449B1 (ko) 박리시트 및 점착체
KR20090115075A (ko) 스피커 장식용 시트 고정용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스피커 장식용 시트의 하우징체에 대한 접착 방법
JP200110699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KR20110042367A (ko) 이형 재료
JP2013181054A (ja) 粘着製品
JP6388766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WO2012144352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5096601A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17091398A1 (en) Multi-layer cover tapes
JP2018028054A (ja) 両面感圧粘着テープ
JP2014189660A (ja) 積層体、粘着ロール、および当該積層体を用いる粘着剤層含有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5200505A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被着体の加工方法
JP6607370B2 (ja) 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2584289Y2 (ja) 両面粘着体
JP2018154052A (ja) 造型マット
JP4317827B2 (ja) 高離型性シリコーンゴ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17708A (ja)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ロール
WO2012144350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