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744B1 -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744B1
KR101313744B1 KR1020120014549A KR20120014549A KR101313744B1 KR 101313744 B1 KR101313744 B1 KR 101313744B1 KR 1020120014549 A KR1020120014549 A KR 1020120014549A KR 20120014549 A KR20120014549 A KR 20120014549A KR 101313744 B1 KR101313744 B1 KR 10131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actor
load
charging relay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002A (ko
Inventor
밥 마테젝
마크 니드즈윅키
그레그 필립스
양희국
브리안 사이먼스
밥 머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2011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전지팩을 부하(load)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은, 제 1 및 제 2 접촉기들(connectors),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 및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부(base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은, 하기 회로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은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는, 또한, 전지팩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버스 바는, 또한, 부하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은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3 및 제 4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버스 바는, 또한, 부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Battery Disconnectin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Disconnection Unit}
본 발명은, 전지팩을 부하(load)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battery disconnect unit)으로서, 제 1 및 제 2 접촉기(contactor)들,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 및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부(base portion); 및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bus bars)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기판;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은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버스 바는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은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3 및 제 4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3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버스 바는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를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전달계(hybrid vehicle powertrain)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전기 시스템(battery electrical system)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 전기 시스템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각각 별개의(individual distinct) 와이어들이 있고, 조립하는데 있어서 시간 소모가 매우 크며(time consuming), 조립 실수(error)들을 범하기 쉽다.
따라서,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앞서 언급한 결점(deficiency)들을 감소 및/또는 최소화하는 개선된 배터리 차단 유닛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은 단순화된 조립공정으로 조립 실수를 최소화하도록 개선한 배터리 차단 유닛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지팩을 부하(load)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은, 제 1 및 제 2 접촉기들(contactors),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 및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부(base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은, 하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bus bars)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은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버스 바는, 또한,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은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3 및 제 4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버스 바는, 또한,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버스 바는, 또한,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차단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접촉기들,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 및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를 기저부 상에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저부 위에,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을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을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기들, 충전 릴레이 및 회로 기판이 기저부 및 커버부(cover portion)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저부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은 다른 유닛들 및 방법들에 대해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배터리 차단 유닛은, 다른 유닛들 및 방법들과 비교하여, 배터리 차단 유닛의 조립을 매우 단순화시키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바들, 예비 충전 저항기를 사용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하고, 조립 실수를 감소시킨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차단 유닛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등측 투영도(isometric view)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등측 투영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top view)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배터리 차단 유닛에 사용되는 회로기판의 등측 투영도이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배터리 차단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의 순서도(flow chart)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차단 유닛(30)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10)이 제공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10)은 배터리 팩(20), 배터리 차단 유닛(30),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hybride powertrain system)(34), 캐패시터(capacitor)(36), 충전 시스템(45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4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부하(load)는 전기적 부하(electrical load)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부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피시터(36) 및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팩(20)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용 작동 전압(operational voltage)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지팩(20)은 서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리튬 이온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타입들의 배터리 모듈들이 전지팩(20)내에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배터리 차단 유닛(30)은 전지팩(20)을 전기적 부하인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30)은 기저부(base portion)(60),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62),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64), 제 1 및 제 2 접촉기들(contactors)(70, 74), 회로 기판(circuit board)(80), 제 1, 제 2, 제 3, 제 4 버스 바들(90, 92, 94, 96), 예비 충전 저항기(pre-charging resistor)(110), 제 1, 제 2 및 제 3 커넥터 단자 조립체들(120, 130, 140) 및 커버부(142)를 포함한다.
기저부(60)은 충전 릴레이(62), 예비 충전 릴레이(64), 제 1 및 제 2 접촉기들(70, 74) 및 회로 기판(80)을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저부(6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기저부(60)는 충전 릴레이(62), 예비 충전 릴레이(64) 및 제 1 및 제 2 접촉기들(70, 74)에 부착될 수 있고, 스크류(screw)들 또는 볼트(bolt)들이 사용된다. 물론 부착 소자들(attachment devices)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고려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충전 릴레이(62)는 충전 시스템(40)과 전지팩(2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 릴레이(62)는 충전 릴레이 스위치(160), 충전 릴레이 코일(162), 제 1 및 제 2 충전 릴레이 단자들(164, 166), 너트(nut)들(168, 170) 및 샤프트(shaft)들(172, 174)를 포함한다.
충전 릴레이 코일(162)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을 수신하는 충전 릴레이 코일(162)에 반응하여, 충전 릴레이 스위치(160)가 닫힌 동작 위치(closed operation position)를 갖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충전 릴레이 코일(162)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거한 때, 충전 릴레이 스위치(160)은 열린 작동 위치(open operational position)을 갖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릴레이 스위치(160)은 40 Amps의 전류 용량(current capacity)을 갖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릴레이 스위치(160)은 40 Amps 미만 또는 초과의 전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 1 충전 릴레이 단자(164)는 전지팩(20)의 정전압(positive voltage)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node)(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충전 릴레이 단자(166)은 충전 시스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너트(nut)(168)은 샤프트(shaft)(172)를 회로 기판(80)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너트(174)는 샤프트(174)를 회로 기판(80)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충전 릴레이(62)는 기저부(60)에 결합되어 있고, 스크류들(176, 178)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예비 충전 릴레이(64)는 전지팩(20) 및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드(260)은 전지팩(20)의 정전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노드(270)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비 충전 릴레이(64)는 예비 충전 릴레이 스위치(190),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 제 1 및 제 2 예비 충전 릴레이 단자들(194, 196), 너트들(198, 200) 및 샤프트들(202, 204)를 포함한다.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을 수신하는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 반응하여, 예비 충전 릴레이 스위치(190)가 닫힌 동작 위치(closed operation position)를 갖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거할 때, 예비 충전 릴레이 스위치(190)은 열린 작동 위치(open operational position)을 갖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비 충전 릴레이 스위치(190)은 15 Amps의 전류 용량(current capacity)을 갖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충전 릴레이 스위치(190)은 15 Amps 미만 또는 초과의 전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 1 예비 충전 릴레이 단자(194)는 전지팩(20)의 정전압(positive voltage)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node)(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예비 충전 릴레이 단자(196)은, 예비 충전 저항기(11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예비 충전 저항기(110)은, 노드(27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270)는, 또한,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너트(198)은 샤프트(202)를 회로 기판(80)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너트(200)은 샤프트(204)를 회로 기판(80)에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예비 충전 릴레이(64)는 기저부(60)에 결합되어 있고, 스크류들(206, 208)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접촉기(70)은 전지팩(20)의 정전압 단자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접촉기(70)는 제 1 접촉기 스위치(210), 제 1 접촉기 코일(212),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 및 너트들(218, 220)을 포함한다.
제 1 접촉기 코일(2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접촉기 코일(212)에 반응하여, 제 1 접촉기 스위치(210)가 닫힌 동작 위치(closed operation position)를 갖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제 1 접촉기 코일(212)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거할 때, 제 1 접촉기 스위치(210)은 열린 작동 위치(open operational position)을 갖는다.
제 1 단자(214)는, 제 1 버스 바(90)을 거쳐, 노드(260) 및 전지팩(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단자(216)은, 제 2 버스 바(92)를 거쳐, 노드(270) 및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너트(218)은 제 1 단자(214)를 제 1 버스 바(90)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너트(220)은 제 2 단자(216)을 제 2 버스 바(92)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스크류들(222,224)는 제 1 접촉기(70)을 기저부(60)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접촉기 스위치(210)은 500 Amps의 전류 용량을 갖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접촉기 스위치(210)은 500 Amps 미만 또는 초과의 전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접촉기(74)는 전지팩(20)의 부전압(negative voltage) 단자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접촉기(74)는 제 2 접촉기 스위치(230), 제 2 접촉기 코일(232), 제 1 및 제 2 단자들(234, 236) 및 너트들(238, 240)을 포함한다.
제 2 접촉기 코일(232)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접촉기 코일(232)에 반응하여, 제 2 접촉기 스위치(230)가 닫힌 동작 위치(closed operation position)를 갖도록 유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제 2 접촉기 코일(232)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거할 때, 제 2 접촉기 스위치(230)은 열린 작동 위치(open operational position)을 갖는다.
제 1 단자(234)는, 제 3 버스 바(94)를 거쳐, 노드(260) 및 전지팩(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단자(236)은, 제 4 버스 바(96)을 거쳐, 노드(270) 및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너트(238)은 제 1 단자(234)를 제 3 버스 바(94)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너트(240)은 제 2 단자(236)을 제 4 버스 바(96)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스크류들(242,244)는 제 2 접촉기(74)를 기저부(60)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접촉기 스위치(230)은 500 Amps의 전류 용량을 갖는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접촉기 스위치(230)은 500 Amps 미만 또는 초과의 전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80)은 제 1, 제 2, 제 3, 제 4 버스 바들(90, 92, 94, 96), 예비 충전 저항기(110) 및 제 1 및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들(120, 130)을 그것의 제 1 측면(a first side) 상에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스 바들(90, 92, 94, 96)은 회로 기판을 통해 연장하는 탭(tab)들을 포함하고, 회로 기판(80)상 전기 통로(electrical trace)들에 납땜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버스 바들(90, 92, 94, 96)은, 회로 기판(80)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접촉기들의 단자들에 연결하도록 회로 기판(8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 1, 제 2, 제 3, 제 4 버스 바들(90, 92, 94, 96)은, 작은 구멍들(290, 292, 294, 296)을 포함하고, 상기 작은 구멍들은 각각 그것을 통해서 각각 단자들(214, 216, 234, 236)을 수용(receive)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제 2, 제 3, 제 4 버스 바들(90, 92, 94, 96)은 구리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 바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전도성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비 충전 저항기(110)는 25 Ohms의 저항 값 및 2 Amps의 전류 용량을 가진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충전 저항기(110)은 25 Ohms 초과 또는 미만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예비 충전 저항기(110)은 2 Amps 초과 또는 미만의 전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충전 저항기(110)은 회로 기판(80)에서 떨어져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80)상의 구성요소들은 충전 시스템(40) 또는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의 기능적 및 전기적 요건(requirement)들에 기반하여 다양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 단자 조립체(120)은 충전 릴레이 코일(162) 및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단자 조립체(120)은, 또한, 제 1 커넥터 단자 조립체(120)을 통해 충전 릴레이 코일(162) 및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130)는 제 1 접촉기(70)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 제 1 접촉기 코일(212), 제 2 접촉기(74)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 및 제 2 접촉기 코일(2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130)은, 또한,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130)을 통해 제 1 및 제 2 접촉기 코일들(212, 232)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또한,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130)을 거쳐, 제 1 접촉기(70)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을 가로지르는 전압 및 제 2 접촉기(74)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을 가로지르는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접촉기들(70, 74)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 커넥터 단자 조립체(140)은 기저부(60)에 연결된다.
제 3 커넥터 단자 조립체(140)은 충전 릴레이 코일(162) 및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3 커넥터 단자 조립체(140)은,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또한, 제 3 커넥터 단자 조립체(140)을 거쳐, 충전 릴레이 코일(162)에서 전압을 측정하고,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충전 릴레이 코일(162) 및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192)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42)는, 배터리 차단 유닛(30)의 기타 구성요소들(remaining components)이 기저부(60) 및 커버부(142) 사이에 배치되도록 기저부(6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부(142)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는 노드들(270, 280) 및 전기적 접촉기들(70, 74)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촉기들(70, 72)이 닫힌 작동 위치를 가질 때, 전지팩(20)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지팩(20)으로부터의 작동 전압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적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기들(70, 72)이 열린 작동 위치를 가질 때, 전지팩(20)으로부터의 작동 전압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로부터 제거된다.
캐패시터(36)은 노드들(270, 280) 사이에서 연결되고,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캐패시터(36)은, 또한, 전기적 부하의 일부이다.
작동 중에,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예비 충전 릴레이(64)가 닫힌 작동 위치를 가지도록 유도하고, 접촉기(70)이 닫힌 작동 위치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캐패시터(36)를 충전하기 위하여 작동 전압을 캐패시터(36)에 적용한다.
그 후에,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접촉기들(70, 72) 모두가 닫힌 작동 위치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예비 충전 릴레이(64)가 열린 작동 위치를 가질 때, 전지팩(20)으로부터의 작동 전압이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적용되도록 전지팩(20)을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에 연결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로부터 작동 전압을 제거하는 것을 결정한 때,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제어 신호를 접촉기들(70, 72)의 코일들로부터 제거하고, 접촉기들(70, 72)이 열린 작동 위치를 가지도록 유도하며,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시스템(34)으로부터 전지팩(20)을 차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2)가 전지팩(20)이 충전 시스템(40)에 의해 충전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 때, 마이크로프로세서(42)는, 충전 릴레이(62) 및 접촉기(74)가 닫힌 작동 위치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충전 시스템(40)으로부터 전지팩(20)으로 작동 전압을 적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차단 유닛(30)을 조립하는 방법의 순서도가 설명되어 있다.
단계(300)에서, 오퍼레이터(operator)는 제 1 및 제 2 접촉기들(70. 74), 예비 충전 릴레이(64) 및 충전 릴레이(62)를 기저부(60)상에 배치한다.
단계(302)에서, 오퍼레이터는 기저부(60) 위에,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90, 92, 94, 96)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80), 예비 충전 저항기(110), 제 1 및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들(120, 130)을 배치한다.
제 1 커넥터 단자 조립체(120)은 충전 릴레이(62) 및 예비 충전 릴레이(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130)은 제 1 및 제 2 접촉기들(70, 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계(304)에서, 오퍼레이터는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90. 92)을 제 1 접촉기(70)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14, 216)에 각각 연결한다.
단계(306)에서, 오퍼레이터는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94, 96)을 제 2 접촉기(74)의 제 1 및 제 2 단자들(234, 236)에 각각 연결한다.
단계(308)에서, 오퍼레이터는 제 1 및 제 2 접촉기들(70, 74), 예비 충전 릴레이(64), 충전 릴레이(62) 및 회로 기판(80)이 기저부(60) 및 커버부(142)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부(142)를 기저부(60)에 연결한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수정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변화, 교체, 치환 또는 동등한 배열들을 얼마든지 합체할 수 있지만, 그것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부합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단지 일부를 포함하고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Claims (8)

  1. 전지팩을 부하(load)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battery disconnect unit)으로서,
    제 1 및 제 2 접촉기(contactor)들, 예비 충전 릴레이(pre-charging relay) 및 충전 릴레이(charging relay)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저부(base portion); 및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bus bars)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은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버스 바는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은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3 및 제 4 단자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3 버스 바는 전지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버스 바는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상에는 예비 충전 저항기(pre-charging resistor)가 설치되어 있고, 예비 충전 릴레이가 전지팩을 예비 충전 저항기를 통해 부하로 연결하도록 제 1 제어 신호가 유도하고, 상기 부하를 예비 충전하는 동안에 제 2 접촉기가 전지팩을 부하에 연결하도록 제 2 제어 신호가 유도할 수 있게, 상기 예비 충전 릴레이와 예비 충전 저항기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접촉기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기가 전지팩을 부하에 연결하여 부하에 전압을 인가(energize)하도록 제 3 제어 신호가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들(connector terminal assemblies)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 조립체는 상기 예비 충전 릴레이 내의 예비 충전 릴레이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충전 릴레이 내의 충전 릴레이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 조립체는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접촉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2 접촉기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부(cover por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8. 배터리 차단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접촉기들, 예비 충전 릴레이 및 충전 릴레이를 기저부에 배치하는 과정;
    상기 기저부 위에,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과정;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바들을 각각 상기 제 1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연결하는 과정;
    상기 제 3 및 제 4 버스 바들을 각각 상기 제 2 접촉기의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기들, 충전 릴레이 및 회로 기판이 기저부 및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저부에 커버부를 결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
KR1020120014549A 2011-03-28 2012-02-14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101313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73,000 2011-03-28
US13/073,000 US8288031B1 (en) 2011-03-28 2011-03-28 Battery disconnect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disconnect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02A KR20120110002A (ko) 2012-10-09
KR101313744B1 true KR101313744B1 (ko) 2013-10-01

Family

ID=4575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549A KR101313744B1 (ko) 2011-03-28 2012-02-14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88031B1 (ko)
EP (1) EP2505419B1 (ko)
JP (1) JP5531041B2 (ko)
KR (1) KR101313744B1 (ko)
CN (1) CN102700424B (ko)
PL (1) PL2505419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19B1 (ko) 2014-05-13 2017-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용 릴레이 어셈블리
KR20230106299A (ko) 2022-01-06 2023-07-13 엘에스일렉트릭(주) 터미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6382B2 (ja) * 2009-07-08 2014-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US9350187B2 (en) * 2012-01-09 2016-05-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Pre-charging vehicle bus using parallel battery packs
US8934264B2 (en) * 2012-05-09 2015-01-13 Robert Bosch Gmbh Inverted base battery disconnect unit
US9297860B2 (en) 2012-12-03 2016-03-29 Lg Chem, Ltd.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solation resistance fault of a battery pack
CN103287282B (zh) * 2013-05-24 2015-11-1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充电保护装置
DE102013215563A1 (de) * 2013-08-07 2015-02-12 Robert Bosch Gmbh Vorladeeinheit für Batterieunterbrechungseinheit
US9251985B2 (en) 2013-08-08 2016-02-02 Lg Chem, Ltd. Fuse lock-out assembly for a battery pack
US10032588B2 (en) 2013-09-24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high voltage contactor and service disconnect
DE102014200244B4 (de) 2014-01-09 2023-11-30 Robert Bosch Gmbh Trenneinrichtung zur galvanischen Trennung einer Spannungsquelle von einem elektrischen Verbraucher im Störfall umfassend ein Steckverbindersystem sowie Batteriesystem mit einer solchen Trenneinrichtung
US20170062793A1 (en) * 2015-08-24 2017-03-02 Elitise Llc Contactor assembly for battery module
US10300791B2 (en) * 2015-12-18 2019-05-28 Ge Global Sourcing Llc Trolley interfacing device having a pre-charging unit
US10326442B2 (en) 2015-12-29 2019-06-18 Lear Corporation Assembly having internally configurable solid-state switch arrangement for use as one or more disconnection switches in electrical systems and having external package common to the electrical systems
KR20170003870U (ko) * 2016-05-04 2017-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디스커넥티드 유닛
KR102145524B1 (ko) * 2016-06-22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자동차용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7376B1 (ko) * 2016-09-08 2021-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0752115B2 (en) * 2017-09-19 2020-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ctor supply bus
KR102056876B1 (ko) * 2017-09-25 201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08964166B (zh) * 2017-09-30 2024-02-23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带主正继电器的预充模块
CN110962602B (zh) * 2019-04-15 2021-06-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电池管理系统的负载保持电路
CN111890940A (zh) * 2020-08-05 2020-11-06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Bdu、电池包、供电装置和电动汽车
KR20230012355A (ko) *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7813725A (zh) * 2021-09-10 2024-04-02 小鹰公司 具有圆柱形电池电芯和带式接合的电池系统
DE102022210649A1 (de) 2022-10-10 2024-04-1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ische Schaltung für ein Hochvoltnetz eines Fahrzeugs
DE102022210657A1 (de) 2022-10-10 2024-04-1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ische Schaltung für ein Hochvoltnetz eines Fahrzeu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283A (ja) * 2000-06-12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ユニット
JP2007141478A (ja) * 2005-11-15 2007-06-07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池パック
JP2009181737A (ja) * 2008-01-29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3244A (en) 1940-04-03 1942-02-17 Electric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cell
SE319224B (ko) 1966-12-19 1970-01-12 Asea Ab
US3503558A (en) 1968-03-14 1970-03-31 Electrolux Corp Exhaust diffusion manifold for a vacuum cleaner or the like
US4390841A (en) 1980-10-14 1983-06-28 Purdue Research Founda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supply
US4396689A (en) 1981-06-01 1983-08-02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Separator-spacer for electrochemical systems
JPH0456079A (ja) 1990-06-21 1992-02-24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並にリチウム二次電池
US5071652A (en) 1990-12-11 1991-12-10 Globe-Union Inc. Metal oxide hydrogen battery having improved heat transfer properties
CH679620A5 (ko) 1990-12-11 1992-03-13 Sulzer Ag
US5364711A (en) 1992-04-01 1994-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Fuel cell
US5385793A (en) 1992-07-20 1995-01-31 Globe-Union Inc. Thermal management of battery systems
JP3026690B2 (ja) 1992-11-30 2000-03-27 株式会社リコー 電位推定装置
US5354630A (en) 1992-12-10 1994-10-11 Comsat Ni-H2 battery having improved thermal properties
JP3209457B2 (ja) 1992-12-11 2001-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残容量検出方法
CA2122092C (en) 1993-04-28 2006-06-06 Atsuo Omaru Secondary battery having non-aqueous electrolyte
US5520976A (en) 1993-06-30 1996-05-28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Composite enclosure for electronic hardware
US5825155A (en) 1993-08-09 1998-10-20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set structure and charge/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lithium-ion battery
US5487958A (en) 1993-12-06 1996-01-30 Tura; Drew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lithium-polymer battery construction
US5470671A (en) 1993-12-22 1995-11-28 Ballard Power System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employing ambient air as the oxidant and coolant
JP3260951B2 (ja) 1994-02-23 2002-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の単電池及び単位電池
US5663007A (en) 1994-02-23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aled storag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4407156C1 (de) 1994-03-04 1995-06-08 Deutsche Automobilgesellsch Batteriekasten
US5487955A (en) 1994-03-15 1996-01-30 Electric Fuel (E.F.L.) Ltd. Cooled zinc-oxygen battery
US5346786A (en) 1994-03-21 1994-09-13 Hodgetts Philip J Modular rack mounted battery system
US5606242A (en) 1994-10-04 1997-02-25 Duracell, Inc. Smart battery algorithm for reporting battery parameters to an external device
US5633573A (en) 1994-11-10 1997-05-27 Duracell, Inc. Battery pack having a processor controlled battery operating system
JPH08138735A (ja) 1994-11-16 1996-05-31 Fujitsu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51142B2 (ja) 1994-11-18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温度制御機構を備えたバッテリ組立体
JP3599859B2 (ja) 1994-12-29 2004-12-08 石原産業株式会社 多孔性物質−高分子固体電解質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JPH08222280A (ja) 1995-02-15 1996-08-30 Fujikura Ltd Na−S電池モジュールの冷却構造
JP3745424B2 (ja) 1995-11-06 2006-02-15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2000504477A (ja) 1996-11-21 2000-04-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シミュレータ
JP3416440B2 (ja) 1997-01-10 2003-06-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電池
US6117584A (en) 1997-07-25 2000-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conductor for high-energy electrochemical cells
US6099986A (en) 1997-07-25 2000-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itu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energy electrochemical cells
JP3854382B2 (ja) 1997-08-18 2006-12-06 株式会社クレハ ゲル状固体電解質形成用高分子マトリクス、固体電解質および電池
DE69825153D1 (de) 1997-10-14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ärmeleitende einheit und wärmeverbindungsstruktur welche diese einheit verwendet
JPH11155241A (ja) 1997-11-21 1999-06-08 Hitachi Ltd 組電池充電電流制御回路および組電池充電方法
JPH11191432A (ja) 1997-12-26 1999-07-13 Fuji Elelctrochem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7147045B2 (en) 1998-06-08 2006-12-12 Thermotek, Inc. Toroidal low-profile extrusion coo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413678B1 (en) 1999-03-03 2002-07-02 Ube Industries, Inc. Non-aqueous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231127B2 (ja) 1998-09-03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積電池の温度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6353815B1 (en) 1998-11-04 2002-03-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tatistically qualified neuro-analytic failur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AU1727600A (en) 1998-11-16 2000-06-05 C & D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FR2792776B1 (fr) 1999-04-23 2002-09-06 Oldham France Sa Source d'alimentation en courant continu pour vehicule automoteur electrique
JP4778602B2 (ja) 1999-07-22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JP4416266B2 (ja) 1999-10-08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角形蓄電池
JP2001196103A (ja) 2000-01-12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の冷却構造
DE10021161A1 (de) 2000-04-29 2001-10-31 Vb Autobatterie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Ladezustands und der Belastbarkeit eines elektrischen Akkumulators
JP4196521B2 (ja)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TW535308B (en) 2000-05-23 2003-06-01 Canon Kk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state of a rechargeable battery, detecting device for practicing said detecting method, and instrument provided with said
US7251889B2 (en) 2000-06-30 2007-08-07 Swales & Associates, Inc. Manufacture of a heat transfer system
US6462949B1 (en) 2000-08-07 2002-10-08 Thermotek, Inc. Electronic enclosure cooling system
DE10056969A1 (de) 2000-11-17 2002-05-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stimmung des Ladezustandes einer Batterie
KR100444410B1 (ko) 2001-01-29 2004-08-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액이차전지
DE10106508A1 (de) 2001-02-13 2002-08-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stimmung der Leistungsfähigkeit einer Batterie
DE10106505A1 (de) 2001-02-13 2002-08-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standserfassung von technischen Systemen wie Energiespeicher
US6441586B1 (en) 2001-03-23 2002-08-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ate of charge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ttery
US20020166654A1 (en) 2001-05-02 2002-11-14 Smalc Martin D. Finned Heat Sink Assemblies
US6422027B1 (en) 2001-05-03 2002-07-23 Ford Global 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battery pack
EP1417503B1 (de) 2001-06-29 2010-02-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ladezustands und/oder der leistungsfähigkeit eines ladungsspeichers
JP4361229B2 (ja) 2001-07-04 2009-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US7072871B1 (en) 2001-08-22 2006-07-04 Cadex Electronics Inc. Fuzzy logic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state of health determination
RU2193261C1 (ru) 2001-09-03 2002-11-20 Гительсон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Аккумулятор
US20030082440A1 (en) 2001-10-29 2003-05-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JP3927017B2 (ja) * 2001-11-26 2007-06-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回路構成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727708B1 (en) 2001-12-06 2004-04-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nitoring system
US6534954B1 (en) 2002-01-10 2003-03-18 Compact Pow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ttery state of charge estimator
JP3867581B2 (ja) 2002-01-1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システム
US20030184307A1 (en) 2002-02-19 2003-10-02 Kozlowski James D. Model-based predictive diagnostic tool for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KR20100088625A (ko) 2002-02-19 2010-08-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에너지 전기 화학 전지를 위한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US6821671B2 (en) 2002-03-01 2004-11-23 Lg Chem,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positioning prismatic battery cells
KR100471233B1 (ko) 2002-06-26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최대 충전 및 방전전류값 생성방법
US6771502B2 (en) 2002-06-28 2004-08-03 Advanced Energy Technology Inc. Heat sink made from longer and shorter graphite sheets
DE10231700B4 (de) 2002-07-13 2006-06-14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Alterungszustandes einer Speicherbatterie hinsichtlich der entnehmbaren Ladungsmenge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JP3594023B2 (ja) 2002-07-30 2004-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DE10240329B4 (de) 2002-08-31 2009-09-24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einer vollgeladenen Speicherbatterie entnehmbaren Ladungsmenge einer Speicherbatterie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Speicherbatterie
DE10252760B4 (de) 2002-11-13 2009-07-02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fahren zur Vorhersage des Innenwiderstands einer Speicherbatterie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Speicherbatterien
CN1228873C (zh) 2002-12-27 2005-11-23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复合电解质及其应用
US6892148B2 (en) 2002-12-29 2005-05-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battery capacity fade
US6832171B2 (en) 2002-12-29 2004-1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ttery impedance increase with aging
WO2004068157A1 (de) 2003-01-30 2004-08-12 Robert Bosch Gmbh Zustandsgrössen- und parameterschätzer mit mehreren teilmodellen für ein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US7199557B2 (en) 2003-07-01 2007-04-03 Eaton Power Quality Company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imation of battery reserve life using adaptively modified state of health indicator-based reserve life models
US20050026014A1 (en) 2003-07-31 2005-02-03 Michael Fogaing Polymer batteries having thermal exchange apparatus
DE10335930B4 (de) 2003-08-06 2007-08-16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Zustands einer elektrochemischen Speicherbatterie
JP4045340B2 (ja) 2003-08-13 2008-02-13 現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有効パワー算出方法及び算出システム
US6927554B2 (en) 2003-08-28 2005-08-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mple optimal estimator for PbA state of charge
US7109685B2 (en) 2003-09-17 2006-09-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estimating states and parameters of an electrochemical cell
TWI251951B (en) 2003-09-19 2006-03-21 Lg Chemical Ltd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cyclability and/or high temperature safety improved
US7039534B1 (en) 2003-11-03 2006-05-02 Ryno Ronald A Charging monitoring systems
US7321220B2 (en) 2003-11-20 2008-01-22 Lg Chem, Ltd. Method for calculating power capability of battery packs using advanced cell model predictive techniques
US20050127874A1 (en) 2003-12-12 2005-06-16 Myoungho Lim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battery cell management
US20050134038A1 (en) 2003-12-17 2005-06-23 Eaton Corporation Fitting for fluid conveyance
ATE556327T1 (de) 2003-12-18 2012-05-15 Lg Chemical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ätzung des ladezustands einer batterie unter verwendung eines neuronalen netzwerks
DE102004005478B4 (de) 2004-02-04 2010-01-21 Vb Autobatterie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Kenngrößen für elektrische Zustände einer Speicherbatterie und Überwachungseinrichtung hierzu
US7126312B2 (en) 2004-07-28 2006-10-24 Enerd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multi-cell lithium battery systems
US7649178B2 (en) * 2004-08-13 2010-0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olid state detector packaging technique
US7525285B2 (en) 2004-11-11 2009-04-28 Lg Chem, Ltd. Method and system for cell equalization using state of charge
US8103485B2 (en) 2004-11-11 2012-01-24 Lg Chem, Ltd. State and parameter estimation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7315789B2 (en) 2004-11-23 2008-01-01 Lg Chem, Ltd.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parameter estimation
KR100857021B1 (ko) 2004-12-10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착식 전지팩
US7197487B2 (en) 2005-03-16 2007-03-27 Lg Chem,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state of charge
US7229327B2 (en) 2005-05-25 2007-06-12 Alcoa Fujikura Limite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100765659B1 (ko) 2005-08-09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구조
JP2007048750A (ja)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US7589532B2 (en) 2005-08-23 2009-09-15 Lg Chem, Ltd.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state vector associated with a battery
US20070087266A1 (en) 2005-10-18 2007-04-19 Debbi Bourke Modular battery system
US7446504B2 (en) 2005-11-10 2008-11-04 Lg Chem, Lt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battery state vector
US7723957B2 (en) 2005-11-30 2010-05-25 Lg Chem, Lt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battery parameter vector
KR101029021B1 (ko) 2005-12-02 201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냉각 효율성의 전지모듈
US7400115B2 (en) 2006-02-09 2008-07-15 Lg Chem, Ltd.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determining an estimated combined battery state-parameter vector
US7521895B2 (en) 2006-03-02 2009-04-21 Lg Chem,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oth an estimated battery state vector and an estimated battery parameter vector
JP4906433B2 (ja) * 2006-08-07 2012-03-2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KR100921346B1 (ko) 2006-09-25 2009-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0889241B1 (ko) 2006-10-23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1064240B1 (ko) 2006-11-27 2011-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복사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 시스템
JP5205792B2 (ja) * 2007-04-25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と扁平状のコイル導線の製造方法
JP5121295B2 (ja) * 2007-04-25 2013-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US8309248B2 (en) 2007-07-26 2012-11-13 Lg Chem, Ltd. Battery cell carrier assembly having a battery cell carrier for holding a battery cell therein
US8628872B2 (en) 2008-01-18 2014-01-14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US9140501B2 (en) 2008-06-30 2015-09-22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a rubber cooling manifold
US7883793B2 (en) 2008-06-30 2011-02-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assemblies with alignment-coupling features
US8486552B2 (en) 2008-06-30 2013-07-16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manifold with ported screws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US8067111B2 (en) 2008-06-30 2011-11-29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battery cell assembly with heat exchanger
US9759495B2 (en) 2008-06-30 2017-09-12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having heat exchanger with serpentine flow path
US8426050B2 (en) 2008-06-30 2013-04-23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manifold and method for cooling battery module
JP2010041794A (ja) * 2008-08-04 2010-02-18 Nissan Motor Co Ltd 車両駆動装置
US8202645B2 (en) 2008-10-06 2012-06-19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US9537326B2 (en) * 2009-04-16 2017-01-03 Valence Technology, Inc. Batteries, battery systems, battery submodules, battery operational methods, battery system operational methods, battery charging methods, and battery system charging methods
US9337456B2 (en) 2009-04-20 2016-05-10 Lg Chem, Ltd. Frame member, frame assembly and battery cell assembly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403030B2 (en) 2009-04-30 2013-03-26 Lg Chem, Ltd. Cooling manifold
US8663828B2 (en) 2009-04-30 2014-03-04 Lg Chem, Ltd. Battery systems,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US8852778B2 (en) 2009-04-30 2014-10-07 Lg Chem, Ltd. Battery systems,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oling a battery module
US20100275619A1 (en) 2009-04-30 2010-11-04 Lg Chem, Ltd. Cooling system for a battery system and a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system
US8663829B2 (en) 2009-04-30 2014-03-04 Lg Chem, Ltd. Battery systems,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oling a battery module
US8399118B2 (en) 2009-07-29 2013-03-19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US8703318B2 (en) 2009-07-29 2014-04-22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US8399119B2 (en) 2009-08-28 2013-03-19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9283A (ja) * 2000-06-12 2001-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ユニット
JP2007141478A (ja) * 2005-11-15 2007-06-07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池パック
JP2009181737A (ja) * 2008-01-29 2009-08-13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19B1 (ko) 2014-05-13 2017-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용 릴레이 어셈블리
KR20230106299A (ko) 2022-01-06 2023-07-13 엘에스일렉트릭(주) 터미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00424A (zh) 2012-10-03
EP2505419A2 (en) 2012-10-03
CN102700424B (zh) 2014-10-29
JP2012213313A (ja) 2012-11-01
US20120251866A1 (en) 2012-10-04
PL2505419T3 (pl) 2019-06-28
US8288031B1 (en) 2012-10-16
EP2505419B1 (en) 2019-02-20
JP5531041B2 (ja) 2014-06-25
EP2505419A3 (en) 2016-08-03
KR20120110002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744B1 (ko)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JP4696291B2 (ja) 二次電池異常検出装置
JP6872549B2 (ja) シャント抵抗を用いた電流測定装置
CN104641244B (zh) 用于检测和测量绝缘故障的装置
WO2013059611A2 (en) Modular battery disconnect unit
US20140339892A1 (en) Disconnection unit for disconnecting a battery from a power system and a motor vehicle having a lithium-ion battery
JP6706688B2 (ja) 電池制御装置
JP2018136314A (ja) 故障診断装置、蓄電装置、故障診断方法
CN108983000B (zh) 一种高压互锁检测电路、高压互锁检测系统和汽车
JP5298158B2 (ja) 電源装置
CN108116231A (zh) 一种新能源电动汽车电池系统高压配电盒的电路方法
KR20160122887A (ko) 절연지그에 의해 조립되는 배터리 모듈
CN204462334U (zh) 一种应用于高压电池接触器的故障检测设备
US9117735B2 (en) Hybrid circuit
CN110832334B (zh) 故障诊断装置
CN110999020B (zh) 电池分流实施系统和方法
KR20170127150A (ko) 전기차량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JP2006073362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JP6481593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端子接続構造
JP2015101288A (ja) 回生システム用継電装置
CN217730373U (zh) 一种高压配电盒
CN216562137U (zh) 一种电动车电池实训装置和系统
JP2018133215A (ja) バッテリパック
KR20220014990A (ko) 인터락 회로를 이용한 msd 대체 안전장치
CN114267217A (zh) 一种电动车电池实训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